KR100750959B1 - 차량용 후방 감시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후방 감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0959B1
KR100750959B1 KR1020060134067A KR20060134067A KR100750959B1 KR 100750959 B1 KR100750959 B1 KR 100750959B1 KR 1020060134067 A KR1020060134067 A KR 1020060134067A KR 20060134067 A KR20060134067 A KR 20060134067A KR 100750959 B1 KR100750959 B1 KR 1007509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main body
vehicle
coil spring
f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4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윤화
Original Assignee
에치디프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치디프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치디프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34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09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0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09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4Mounting of cameras operative during driv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relative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2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screws, bolts, rivet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1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 B60R2300/101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using cameras with adjustable capturing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Studio Device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시를 위한 촬영위치의 조절을 편리하도록 한 차량용 후방 감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측면 또는 후방에 설치되어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의 본체를 구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카메라의 본체가 케이스에 수용된 후 렌즈부로 피사체가 유입되는 보호유리부분이 상하좌우로 회동가능하도록 결합하면서 이탈을 방지하는 호형 고정링이 케이스의 전면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삽입된 카메라의 본체 후방 둘레에 일단이 접촉되면서 탄발력을 제공하는 코일스프링이 배치되어 상기 카메라의 본체가 소망하는 각도로 용이하게 조절가능하게 함은 물론 카메라의 본체를 견고히 고정되어 있도록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후방 감시장치는 구형의 카메라 본체와 코일스프링의 탄성 지지력을 이용함으로써 차량의 설치 위치변화 또는 촬영 각도의 변경이 이루어져도 소망하는 촬영각도를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인위적인 힘을 이용하여 매우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고, 코일스프링의 자체 탄성 지지력 또는 마찰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고무층의 부착과 패킹의 부가를 통해 설정된 소망하는 촬영각도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항상 안전한 주행 또는 후진 주차를 유도를 통해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차량용, 감시, 카메라, 구형, 각도, 조절

Description

차량용 후방 감시장치{REAR VIEW DEVICE FOR VEHIC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후방 감시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후방 감시장치를 차량에 설치한 사용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후방 감시장치의 부분 절결 단면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후방 감시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후방 감시장치의 다른 실시 예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카메라 2: 케이스
3: 호형 고정링 4: 고정볼트
5: 체결너트 6: 코일스프링
7: 고무층 8: 패킹
9: 번호판
본 발명은 차량용 후방 감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소형 승용차 및 대형 차량의 후방 또는 측면에 간편하게 설치하여 편리하게 촬영각도를 조절하여 차량 측면 및 후방의 사각지대의 상황을 운전자가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후방 감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을 운전할 때 운전자는 전방의 상황은 쉽게 식별하여 판단할 수 있으나, 차량의 측면은 사이드 밀러를 통하여 식별하고 후방의 경우 소형차는 룸 밀러로 대형차는 후방 밀러로 사용하여 식별할 때 밀러의 크기와 설치 장소가 한정되므로 넓은 면적을 식별할 수 있도록 곡면 밀러를 사용하여도 사각지대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 사고의 원인이 되는 사각지대의 상황을 항상 운전자가 식별할 수 있도록 정확하게 안내하여 차량의 안전운행이 이루어지도록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업발전에 따라 상기와 같이 차량의 측면 또는 후방의 사각지대를 식별 가능하도록 다양한 감시장치를 제안하게 되었다. 상기 감시장치 중 하나는 차량의 측면 또는 후방에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를 설치하고, 카메라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변환하여 모니터로 실제 상황을 표시 및 녹화하면 운전자가 모니터에 표시되는 상황을 통해 안전성을 확보함으로써 안전 운전에 도움이 된다.
상기 차량의 측면 또는 후방에 설치되는 감시장치로는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34156호 "차량용 후방 감시장치"가 제안되었다. 상기 차량용 후방 감시장치는 사선 통공 구조의 렌즈 장착공을 구비한 보호캡슐을 형성하고, 상기 보호캡슐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사선 구조의 렌즈 장착공을 통해 촬영렌즈를 노출되게 하는 카메라를 형성하며, 상기 카메라가 수용된 보호캡슐을 밀봉시키는 수단으로서 장착볼트를 일체로 구비한 밀폐뚜껑을 형성하고,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정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네비게이션 모니터를 통해 실시간 영상정보로 제공하는 영상처리부로 구성된다.
상기 차량용 후방 감시장치는 시야의 사각지대인 차량의 측면 및 후미에 설치되어 실제 상황을 화상 정보로 실시간 제공하여 차량의 후진 주행 또는 주차시 안전한 주행 유도기능을 행하도록 이루어져 카메라의 촬영 각도에 근접하는 차량의 상황은 물론 후방 지면의 굴곡 상태까지 파악가능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차량용 후방 감시장치는 적정한 위치의 차량 후미에 천공된 체결구멍 또는 차량번호판의 체결구멍에 끼워진 후 너트로서 고정되는 장착볼트가 카메라를 고정하고 있는 보호캡슐의 후반에 결합된 밀폐뚜껑에 일체로 고정된 상태이므로 각 차량에 천공된 구멍 또는 차량번호판 부착용 구멍 등의 접촉 부위가 수직 상태가 아니면 목적하고자 하는 촬영각도를 유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감시장치가 설치된 위치에서 목적하고자 하는 촬영각도로 변경하기 위하여 경사를 이루는 쇄기 등을 차체와 밀폐뚜껑 사이에 끼워 넣게 된다. 이때 끼워진 쇄기의 각도만큼 장착볼트가 기울어져야 함으로써 체결구멍을 크게 천공하여야만 하는 추가의 설치공정이 필요하고 확대된 구멍을 밀폐시키는 후공정이 추가되는 단점이 있으므로 소망하는 좌우 또는 상하 위치의 촬영각도의 조절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 의 목적은 카메라의 본체를 구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카메라의 본체를 코일스프링으로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카메라의 본체가 소망하는 촬영하고자 하는 좌우상하 방향으로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고, 촬영각도 조절 후 운행중 충격이 발생하여도 촬영 각도가 변화되지 않도록 카메라의 본체가 견고히 고정됨으로써 항상 소망하는 위치의 후방 상황을 운전자에게 전달하게 되어 안전하게 운행 및 주차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후방 감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차량용 후방 감시장치는 차량의 측면 또는 후방에 설치되어 피사체를 촬영하도록 양단이 개방된 본체 전면에는 투명 보호유리가 끼워져 밀폐되도록 고정링으로 나사 결합되고 후면은 커버에 의하여 폐쇄되며 내부에는 렌즈부 및 영상처리부가 끼워져 설치되고 영상처리부에 접속된 통신케이블을 갖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를 수용하는 원통형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후방에 결합되어 통신케이블을 관통시키면서 차량에 천공된 설치 구멍 또는 번호판 체결구멍으로 끼워지도록 마련되는 고정볼트 및 체결용 너트로 이루어진 차량용 후방 감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의 본체는 구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카메라의 본체가 상기 원통형 케이스에 수용된 후 카메라의 렌즈부가 접하는 투명 보호유리부분이 상하좌우로 회동 가능하도록 중앙이 관통되고 내측면이 본체와 동일 곡면으로 이루어지면서 이탈을 방지하는 호형 고정링이 케이스의 전면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삽입된 카메라의 본체 후방 둘레에 일단이 접촉되면서 탄발력을 제공하는 코일스프링이 배치되어 상기 카메라의 본체가 소망하는 각도로 용이하게 조절가능하게 함은 물론 카메라의 본체를 견고히 고정되어 있도록 지지하 는 것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차량용 후방 감시장치는 카메라 본체의 설정 위치의 변동이 없도록 견고히 고정할 수 있도록 마찰력을 제공하는 고무층 또는 패킹을 접합 또는 개재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후방 감시장치의 분해 사시도 및 사용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로서, 카메라(1), 케이스(2), 호형 고정링(3), 고정볼트(4), 너트(5) 및 코일스프링(6)을 구비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카메라(1)는 차량의 측면 또는 후방에 설치되어 광범위한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양단이 개방된 구형(求刑)의 본체(11)와, 상기 본체(11)의 전면은 돌출되면서 투명 보호유리(14)가 끼워져 고정링(15)에 의해 나사 결합되어 밀폐시키게 되고, 이어서 본체(11) 내부에 렌즈부(12) 및 영상처리부(13)가 끼워져 고정 설치되며, 상기 영상처리부(13)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통상의 네비게이션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등으로 연결하는 통신케이블(16)이 접속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11)의 후방은 상기 렌즈부(12) 및 영상처리부(13)가 삽입될 수 있는 개방 공간을 제공하면서 통상의 고정용 볼트로서 커버(17)를 체결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카메라(1)의 본체(11)를 수용하는 케이스(2)는 첨부된 도 3a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후방에 통신케이블(16)을 관통시키면서 차량에 천공된 설치 구멍 또는 번호판(9)의 체결구멍으로 끼워지도록 마련되는 고정볼트(4)를 일체 또는 용접 등을 통해 일체화하여 체결용 너트(5)가 결합되도록 이루어지고, 전방에는 상기 구형의 카메라(1)의 본체(11)가 끼워진 후 카메라(1)의 렌즈부(12)가 접하는 투명 보호유리(14) 부분이 상하좌우로 회동가능하도록 중앙이 관통되고 내측면이 본체(11)와 동일 곡면으로 이루어지면서 이탈을 방지하는 호형 고정링(3)이 나사결합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케이스(2)의 내부에는 삽입된 카메라(1)의 본체(11) 후방 둘레에 일단이 접촉되면서 탄발력을 제공하는 코일스프링(6)이 배치되어 첨부된 도 3b에서와 같이 상기 카메라(1)의 본체(11)가 소망하는 각도로 용이하게 조절가능하게 함은 물론 카메라(1)의 본체(11)를 견고히 고정되어 있도록 지지하게 된다. 상기 코일스프링(6)의 탄성 지지력은 카메라(1)의 본체(11)의 자중이 차량의 진동 또는 외부의 간접 충격이 전달될 때 이동되지 않을 정도이며, 카메라(1)의 고정링(15)을 파지한 후 좌우 또는 상하로 인위적 힘을 가하여 촬영각도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지지력을 작용하게 된다.
또한, 카메라(1)의 본체(11)의 이동은 곧 렌즈부(12)의 초점 이동으로 이루어지므로 상기 코일스프링(6)의 탄성 지지력 유지가 중요한 것으로 탄성 지지력 이상의 인위적인 힘을 가할 때에만 카메라(1)의 본체(11)가 이동하여 소망하는 촬영위치를 설정할 수 있게 하고, 설정 후에는 더욱 안정적으로 카메라(1)의 본체(11) 가 고정되어 있도록 첨부된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카메라(1)의 본체(11) 후방 둘레면에 상기 코일스프링(6)의 일단이 접촉될 때 마찰력을 제공하여 미끄럼 방지를 통해 카메라(1)의 본체(11)가 더욱 견고히 고정되어 있도록 카메라(1)의 본체(11) 후방 둘레면에 대략 0.2~2㎜ 정도의 얇은 막을 이루는 고무층(7)을 코팅하여 접합할 수 있다.
또한, 마찰력을 제공하는 다른 방법으로는 첨부된 도 1 및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카메라(1)의 본체(11) 후방 둘레면 또는 고무층(7) 표면 중 어느 면과 상기 코일스프링(6)의 사이에 개재되어 마찰력을 제공하여 미끄럼 방지를 통해 카메라(1)의 본체(11)가 더욱 견고히 고정되도록 상기 코일스프링(6)의 강선에 끼워져 이탈을 방지하는 홈(81)이 형성되고, 카메라(1)의 본체(11) 후방 둘레면에 접할 수 있는 동일한 곡면부(82)를 갖는 고무재의 패킹(8)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10은 차량에 설치할 때 체결너트(5)를 이용하여 차체의 파손을 방지하면서 견고하게 체결되도록 보호하는 와셔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차량용 후방 감시장치는 도 2와 같이 차량의 번호판(9)을 고정시키는 체결구멍과, 미도시된 차량의 후방 또는 측면 차체에 직접 천공된 체결구멍 또는 미도시된 대형 차량에 천공된 체결구멍 중 어느 한 설치구멍에 고정볼트(4)를 끼워넣은 후 체결너트(5)로 고정하고, 카메라(1)의 통신케이블(16)을 통상의 네비게이션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영상을 취득할 수 있도록 설치하게 된다. 상기 상태에서 후방 피사체 촬영 입사 각도의 조절은 케이스(2) 내부에 개재된 코일스프링(6)의 탄성 지지력보다 강한 힘으로 본체(11)의 고정링(15)을 잡고 상하 또는 좌우로 소망하는 위치로 편리하게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차량 감시 영역의 설정 작업이 완료된 카메라(1)는 케이스(2)의 내부에 개재된 코일스프링(6)의 탄성 지지력에 의하여 차량의 자체 진동 또는 외부의 충격이 전달되어도 설정된 촬영각도를 유지하게 된다.
다른 실시 예로서 첨부된 도 4에서와 같이 카메라(1)의 본체(11) 후방 둘레면인 코일스프링(6)이 접촉하는 부위에 고무층(7)을 접합시키면 고무층(7)이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마찰력을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설정된 촬영각도의 위치를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첨부된 도 4에서와 같이 코일스프링(6)의 강선이 끼워지는 홈(81)과 카메라(1)의 본체(11) 후방 둘레면과 동일한 곡면부(82)를 갖는 고무재의 패킹(8)을 개재하여 패킹(8)의 곡면부(82)가 카메라(1)의 본체(11) 후방 둘레면에 직접 접촉하거나 카메라(1)의 본체(11) 후방 둘레면에 부착된 고무층(7)의 표면과 접촉하게 되면, 마찰력이 더욱 증대하게 되어 카메라(1)의 본체(11)는 이동되지 않고 항상 설정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어 안전한 운행 및 후진 주차가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상기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실시 예를 적절히 변형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으므로 적 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후방 감시장치는 구형의 카메라 본체와 코일스프링의 탄성 지지력을 이용함으로써 차량의 설치 위치변화 또는 촬영 각도의 변경이 이루어져도 소망하는 촬영각도를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인위적인 힘을 이용하여 매우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고, 코일스프링의 자체 탄성 지지력 또는 마찰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고무층의 부착과 패킹의 부가를 통해 설정되어 소망하는 촬영각도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항상 안전한 주행 또는 후진 주차의 유도를 통해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3)

  1. 삭제
  2. 차량의 측면 또는 후방에 설치되어 피사체를 촬영하도록 양단이 개방된 구형의 본체(11) 전면에는 투명 보호유리(14)가 끼워져 밀폐되도록 고정링(15)으로 나사 결합되고 후면은 커버(17)에 의하여 폐쇄되며 내부에는 렌즈부(12) 및 영상처리부(13)가 끼워져 설치되고 영상처리부(13)에 접속된 통신케이블(16)을 갖는 카메라(1)와, 상기 카메라(1)의 본체(11)가 수용된 후 렌즈부(12)가 접하는 투명 보호유리(14)부분이 상하좌우로 회동가능하도록 중앙이 관통되고 내측면이 본체(11)와 동일 곡면으로 이루어지면서 이탈을 방지하는 호형 고정링(3)이 전면에 나사결합되는 원통형 케이스(2)와, 상기 케이스(2)의 내부에는 삽입된 카메라(1)의 본체(11) 후방 둘레에 일단이 접촉되면서 탄발력을 제공하여 상기 카메라(1)의 본체(11)가 소망하는 각도로 용이하게 조절가능하게 함은 물론 카메라(1)의 본체(11)를 견고히 고정되어 있도록 지지하는 코일스프링(6)이 배치되며, 상기 케이스(2)의 후방에 결합되어 통신케이블(16)을 관통시키면서 차량에 천공된 설치 구멍 또는 번호판(9)의 체결구멍으로 끼워지도록 마련되는 고정볼트(4) 및 체결용 너트(5)로 이루어진 차량용 후방 감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1)의 본체(11) 후방 둘레에 상기 코일스프링(6)의 일단이 접촉될 때 마찰력을 제공하여 미끄럼 방지를 통해 카메라(1)의 본체(11)가 더욱 견고히 고정되어 있도록 카메라(1)의 본체(11) 후방 둘레에 고무층(7)을 접합시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방 감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1)의 본체(11) 후방 둘레면 또는 고무층(7) 표면 중 어느 면과 상기 코일스프링(6)의 사이에 개재되어 마찰력을 제공하여 미끄럼 방지를 통해 카메라(1)의 본체(11)가 더욱 견고히 고정되도록 상기 코일스프링(6)의 강선이 끼워지는 홈(81)과 카메라(1)의 본체(11) 후방 둘레면과 동일한 곡면부(82)를 갖는 고무재의 패킹(8)을 더욱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방 감시장치.
KR1020060134067A 2006-12-26 2006-12-26 차량용 후방 감시장치 KR1007509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4067A KR100750959B1 (ko) 2006-12-26 2006-12-26 차량용 후방 감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4067A KR100750959B1 (ko) 2006-12-26 2006-12-26 차량용 후방 감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0959B1 true KR100750959B1 (ko) 2007-08-22

Family

ID=38615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4067A KR100750959B1 (ko) 2006-12-26 2006-12-26 차량용 후방 감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095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9827A (ja) * 2000-07-21 2002-01-29 Murata Mfg Co Ltd 絶縁体磁器組成物
JP2003051321A (ja) * 2001-08-06 2003-02-21 Toho Gas Co Ltd 低温焼結性固体電解質材料及びこれを用いた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
JP2004030433A (ja) * 2002-06-27 2004-01-29 Japan Wall:Kk 土壌処分計画装置及び土壌処分計画方法
KR100635520B1 (ko) * 2004-01-12 2006-10-17 주식회사 비젼하이텍 레퍼를 구비한 각도조절용 카메라 지지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9827A (ja) * 2000-07-21 2002-01-29 Murata Mfg Co Ltd 絶縁体磁器組成物
JP2003051321A (ja) * 2001-08-06 2003-02-21 Toho Gas Co Ltd 低温焼結性固体電解質材料及びこれを用いた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
JP2004030433A (ja) * 2002-06-27 2004-01-29 Japan Wall:Kk 土壌処分計画装置及び土壌処分計画方法
KR100635520B1 (ko) * 2004-01-12 2006-10-17 주식회사 비젼하이텍 레퍼를 구비한 각도조절용 카메라 지지장치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20-0229827호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20-0351321호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20-0430433호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10-0635520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30304B1 (en) Video recorder
JP2012226030A (ja) カメラ装置
JP2002504453A (ja) 車両に装着される光学アセンブリ
JP2008118482A (ja) ドライビングレコーダ用カメラユニット
KR101495496B1 (ko) 차량용 폐쇄회로 텔레비전 카메라장치
JP2006145895A (ja) カメラ雲台
CA2251522A1 (en) Vehicle mirror assembly
DE60301319D1 (de) Aussenrückspiegel
AU2003227775A1 (en) Outside rear-view mirror assembly for vehicle, which is designed to support an image-detector device
JP4058983B2 (ja) 車載全方位カメラ
KR100750959B1 (ko) 차량용 후방 감시장치
BRPI0518213A (pt) retrovisor externo para veìculo
US8702254B1 (en) Mirror adjustment mechanism
JP3619173B2 (ja) 車載カメラ装置
JPH1075389A (ja) 車載テレビ電話システム
KR200430433Y1 (ko) 차량용 후방 감시장치
KR100778760B1 (ko) 차량용 후방 감시장치
AU2004203545A1 (en) Electrical connection structures in additional unit for vehicles and in inner mirror
JPH08276793A (ja) 液晶テレビの車載取付装置
JP2566108B2 (ja) 車内用の撮影機ホルダ
KR200328374Y1 (ko) 자동차의 후방용 감시카메라
KR100507408B1 (ko) 차량의 리어 스포일러에 설치된 후방 감시용 카메라
KR100528162B1 (ko) 자동차의 후방용 감시카메라 및 그 제어 방법
KR0120553Y1 (ko) 자동차용 촬영장치
DE602004011173D1 (de) Halterung für aussen angebrachtes Reservera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