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5496B1 - 차량용 폐쇄회로 텔레비전 카메라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폐쇄회로 텔레비전 카메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5496B1
KR101495496B1 KR20130070804A KR20130070804A KR101495496B1 KR 101495496 B1 KR101495496 B1 KR 101495496B1 KR 20130070804 A KR20130070804 A KR 20130070804A KR 20130070804 A KR20130070804 A KR 20130070804A KR 101495496 B1 KR101495496 B1 KR 1014954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module
support mechanism
housing
holde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70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7472A (ko
Inventor
송진규
정경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디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디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디스
Priority to KR20130070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5496B1/ko
Priority to US14/287,655 priority patent/US9426340B2/en
Publication of KR20140147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74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5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54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4Mounting of cameras operative during driv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relative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차량에 탑재되어 차량의 내부 또는 외부 상황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송출하는 차량용 폐쇄회로 텔레비전 카메라장치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장치는 카메라모듈과, 지지기구와, 하우징, 및 완충 부재를 포함한다. 지지기구는 카메라모듈의 촬영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카메라모듈을 지지한다. 하우징은 카메라모듈을 수용한 상태로 안쪽 저면에 지지기구와 체결된다. 완충 부재는 지지기구와 하우징 사이에서 지지기구와 카메라모듈을 탄성 지지해서 충격을 완화한다.

Description

차량용 폐쇄회로 텔레비전 카메라장치{CCTV camera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폐쇄회로 텔레비전에 구비되는 카메라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에 탑재되어 차량의 내부 또는 외부 상황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송출하는 차량용 폐쇄회로 텔레비전 카메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가를 비롯하여 백화점, 은행, 전시장 등과 같이 보안 및 안전을 필요로 하는 관리 영역으로부터 영상을 전송 받아 모니터링할 수 있게 폐쇄회로 텔레비전(Closed Circuit Television: CCTV) 시스템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폐쇄회로 텔레비전 시스템에서는 관리 영역에서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송출하기 위한 카메라장치가 구비된다.
근래에는 자동차, 기차, 트럭, 버스 등과 같은 차량에도 방범, 도난방지, 사고예방 등의 목적으로 폐쇄회로 텔레비전 시스템이 사용되고 있다. 이 경우, 카메라장치는 차량의 내부 또는 외부 상황을 촬영하도록 차량에 설치된다. 종래에 따르면, 카메라장치는 카메라모듈의 촬영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카메라모듈이 지지기구에 의해 지지되고 지지기구가 스크류에 의해 하우징에 체결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카메라장치는 차량의 장시간 이동시 진동과 충격을 받게 되는데, 지지기구는 플라스틱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진동과 충격으로 인해 지지기구에 크랙 등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차량의 장시간 이동시 진동과 충격으로 인해 지지기구와 하우징의 결합이 느슨해져 카메라모듈의 렌즈 틀어짐 등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28950호(2009.03.20 공개)
본 발명의 과제는 차량에 탑재된 상태로 장시간 이동하더라도 카메라모듈을 지지하는 지지기구의 크랙 등을 방지할 수 있고 카메라모듈의 렌즈 틀어짐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폐쇄회로 텔레비전 카메라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폐쇄회로 텔레비전 카메라장치는, 카메라모듈; 상기 카메라모듈의 촬영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상기 카메라모듈을 지지하는 지지기구; 상기 카메라모듈을 수용한 상태로 안쪽 저면에 상기 지지기구와 체결되는 하우징; 및 상기 지지기구와 하우징 사이에서 상기 지지기구와 카메라모듈을 탄성 지지해서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카메라장치가 차량에 탑재된 상태로 차량과 함께 장시간 이동시 진동과 충격을 받게 되더라도, 완충 부재에 의해 카메라모듈을 지지하는 지지기구에 크랙 등이 발생되는 문제가 방지될 수 있고, 카메라모듈의 렌즈 틀어짐 등과 같은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기구와 하우징 사이의 결합을 풀게 되면, 완충 부재의 엠보싱부들에 의해 카메라모듈이 완충 몸체와 간섭을 피하도록 위치되므로, 카메라모듈의 각도 조절이 손쉬워질 수 있다.
도 1은 차량용 폐쇄회로 텔레비전 카메라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있어서, 지지기구가 완충 부재를 사이에 두고 하우징에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있어서, 완충 부재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있어서, 완충 부재의 엠보싱부에 의한 작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차량용 폐쇄회로 텔레비전 카메라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있어서, 지지기구가 완충 부재를 사이에 두고 하우징에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차량용 폐쇄회로 텔레비전 카메라장치(100)는 카메라모듈(110)과, 지지기구(120)와, 하우징(130), 및 완충 부재(140)를 포함한다.
카메라모듈(110)은 촬상소자가 탑재된 회로기판(미도시)을 수용하는 케이스(111)와, 렌즈(112)를 지지하며 케이스로부터 노출되게 수용된 경통부(113), 및 렌즈(112) 주변을 따라 케이스(111)에 장착된 발광소자(114)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소자(114)들은 조명을 위한 것으로, LED 등과 같은 발광소자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케이스(111)의 둘레 면은 원형을 이루되 렌즈(112)의 광축 방향을 따라 곡면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기구(120)는 카메라모듈(110)의 촬영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카메라모듈(110)을 지지한다. 예컨대, 지지기구(120)는 카메라모듈(110)을 틸팅/패닝 가능하게 지지함으로써, 카메라장치(100)의 설치 환경에 적절하게 카메라모듈(110)의 촬영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이 경우, 지지기구(120)는 틸팅 홀더(121, tilting holder) 및 패닝 홀더(126, panning holder)를 포함할 수 있다. 틸팅 홀더(121)는 상하가 트인 구조로 이루어져 카메라모듈(110)의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틸팅 홀더(121)는 카메라모듈(110)을 틸팅 가능하게 지지한다. 틸팅 홀더(121)는 카메라모듈(110)의 양쪽 면에 마주하는 면에 힌지 돌기들이 형성되며, 카메라모듈(110)은 양쪽 면에 힌지 돌기들이 끼워질 수 있는 힌지 홈들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모듈(110)은 틸팅 홀더(121)에 대해 상하로 틸팅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틸팅 홀더(121)는 카메라모듈(110)의 경통부(113)가 위치한 전면 부위와 대응되는 부위가 절개된 형태로 이루어져, 경통부(113)의 전면 부위를 노출시킬 수 있다. 틸팅 홀더(121)의 하측 가장자리에는 원형 테두리(122)가 반경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원형 테두리(122)의 상면에는 고정 홈(122b)들이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피치로 형성될 수 있다.
패닝 홀더(126)는 상하가 트인 구조로 이루어지며 틸팅 홀더(121)의 하측 둘레를 패닝 가능하게 지지함에 따라 카메라모듈(110)을 패닝 가능하게 한다. 패닝 홀더(126)는 링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패닝 홀더(126)는 상측 부위가 틸팅 홀더(121)의 원형 테두리(122)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함몰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패닝 홀더(126)의 양측에는 한 쌍의 돌기들이 나뉘어 배치될 수 있다. 돌기들은 원형 테두리(122)의 고정 홈(122a)들 중 대응되는 2개의 고정 홈(122a)들에 각각 끼워짐으로써, 틸팅 홀더(121)가 패닝 홀더(126)에 대해 좌우 패닝 방향을 따라 각도 조절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하우징(130)은 카메라모듈(110)을 수용한다. 예컨대, 하우징(130)은 하우징 베이스(131)와 하우징 커버(136)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 커버(136)는 하우징 베이스(131)의 상부에 결합되어 카메라모듈(110)를 수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 커버(136)는 카메라모듈(110)에 대응되는 부위가 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30)은 안쪽 저면, 즉 하우징 베이스(131)의 상면에 지지기구(120)와 체결된다. 히우징 베이스(131)의 상면에는 체결부(132)가 형성된다. 체결부(132)는 나사 홈이 각각 형성되고 하우징 베이스(131)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패닝 홀더(126)는 보스들에 각각 대응되도록 연장 형성된 체결 편(127)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체결 편(127)에는 스크류(128)를 통과시킬 수 있는 관통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스크류(128)는 체결 편(127)의 관통 홀을 통해 보스의 나사 홈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패닝 홀더(126)를 하우징 베이스(131)에 고정시킬 수 있다.
완충 부재(140)는 지지기구(120)와 하우징(130) 사이에서 지지기구(120)와 카메라모듈(110)을 탄성 지지해서 충격을 완화한다. 완충 부재(140)는 패닝 홀더(126)와 하우징 베이스(131)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완충 부재(140)는 고무, 실리콘 등과 같은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카메라장치(100)가 차량에 탑재된 상태로 차량과 함께 장시간 이동시 진동과 충격을 받게 되면, 완충 부재(140)는 패닝 홀더(126)와 하우징 베이스(131) 사이에서 진동과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패닝 홀더(126)가 틸팅 홀더(121) 등을 안정되게 지지하기 위해 플라스틱 재질 등과 같은 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더라도, 패닝 홀더(126)에 크랙 등이 발생되는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장시간 이동시 진동과 충격으로 인해 패닝 홀더(126)와 하우징 베이스(131)의 결합이 느슨해지더라도, 완충 부재(140)는 패닝 홀더(126)를 하우징 베이스(131)로부터 탄성력으로 밀어내어 패닝 홀더(126)와 하우징 베이스(131)의 결합을 타이트하게 할 수 있다. 게다가, 완충 부재(140)에 의해 카메라모듈(110)이 탄성 지지되므로, 카메라모듈(110)의 렌즈(112) 틀어짐 등과 같은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
한편, 하우징(130)은 돌출 받침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 받침부(133)는 안쪽 저면으로부터 지지기구(120)를 관통해서 카메라모듈(110)의 하측 부위를 감싸는 형태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돌출 받침부(133)는 중앙이 함몰되고 좌우 대칭되게 한 쌍으로 분할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돌출 받침부(133)는 카메라모듈(110)의 후방에 대응되는 부위가 절개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모듈(110)의 후방에 케이블(115)이 연결된 경우, 케이블(115)은 돌출 받침부(133)의 후방 절개된 부위를 통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됨에 따라, 카메라모듈(110)이 원활하게 틸트 및/또는 패닝 동작할 수 있다. 그리고, 돌출 받침부(133)는 원주 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곡면진 형태로 이루어져 카메라모듈(110)의 하측 곡면진 부위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완충 부재(140)는 완충 몸체(141)와 완충 플랜지(146)를 포함할 수 있다. 완충 몸체(141)는 돌출 받침부(133)의 상면과 둘레 면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완충 몸체(141)는 일정한 두께를 갖고 돌출 받침부(133)의 상면과 둘레 면을 감쌀 수 있다. 완충 몸체(141)는 돌출 받침부(133)의 후방 절개된 부위에 대응되는 부위가 절개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완충 몸체(141)는 상면으로부터 각각 돌출 형성되어 방사상으로 배열된 다수의 돌기부(142)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돌기부(142)는 방사상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돌기부(142)들은 완충 몸체(141)의 상면에 카메라모듈(110)의 하측 부위가 안착된 상태에서 탄성 변형될 수 있게 형성된다. 따라서, 돌기부(142)들은 완충 몸체(141)가 카메라모듈(110)에 가하는 탄성력을 더욱 높임으로써, 차량의 장시간 이동시 카메라모듈(110)을 안정되게 지지하는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완충 플랜지(146)는 완충 몸체(141)의 하측 둘레로부터 하우징(130)의 안쪽 저면에 맞닿게 돌출 형성되어 지지기구(120)의 가장자리 하면을 지지한다. 완충 플랜지(146)는 패닝 홀더(126)의 하면을 지지하도록 원형 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완충 플랜지(146)는 상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다수의 엠보싱부(147)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엠보싱부(147)는 완충 플랜지(146)의 하면으로부터 오목한 공간을 갖고 완충 플랜지(146)의 상면으로부터 볼록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엠보싱부(147)는 상부가 편평하게 잘린 원추 형태의 외관을 가질 수 있다. 물론, 엠보싱부(147)는 반구형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므로, 예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엠보싱부(147)들은 패닝 홀더(126)가 하우징 베이스(131)에 체결된 상태에서 압착된 상태로 탄성 변형되고, 패닝 홀더(126)가 하우징 베이스(131)로부터 분리되면 원상태로 복원될 수 있게 형성된다. 엠보싱부(147)들은 탄성 변형된 상태에서 패닝 홀더(126)에 탄성력을 가한다. 이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모듈(110)을 틸팅 방향 및/또는 패닝 방향으로 각도 조절하기 위해 스크류(128)를 풀게 되면, 엠보싱부(147)들이 패닝 홀더(126)를 탄성력으로 밀게 되며, 그에 따라 카메라모듈(110)이 완충 몸체(141)와 간섭을 피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모듈(110)의 각도 조절이 손쉬워질 수 있다. 각각의 엠보싱부(147)는 상측으로 갈수록 테이퍼진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변형과 복원이 용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카메라모듈 120..지지기구
121..틸팅 홀더 126..패닝 홀더
130..하우징 140..완충 부재
141..완충 몸체 142..돌기부
146..완충 플랜지 147..엠보싱부

Claims (5)

  1. 카메라모듈;
    상기 카메라모듈의 촬영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상기 카메라모듈을 지지하는 지지기구;
    상기 카메라모듈을 수용한 상태로 안쪽 저면에 상기 지지기구와 체결되며, 안쪽 저면으로부터 상기 지지기구를 관통해서 상기 카메라모듈의 하측 부위를 감싸는 형태로 돌출 형성된 돌출 받침부를 구비하는 하우징; 및
    상기 지지기구와 하우징 사이에서 상기 지지기구와 카메라모듈을 탄성 지지해서 충격을 완화하고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돌출 받침부의 상면과 둘레 면을 감싸서 상기 카메라모듈을 탄성 지지하는 완충 몸체와, 상기 완충 몸체의 하측 둘레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안쪽 저면에 맞닿게 돌출 형성되어 상기 지지기구의 가장자리 하면을 탄성 지지하는 완충 플랜지를 구비하는 완충 부재;
    를 포함하는 차량용 폐쇄회로 텔레비전 카메라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플랜지는,
    상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다수의 엠보싱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폐쇄회로 텔레비전 카메라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몸체는,
    상면으로부터 각각 돌출 형성되어 방사상으로 배열된 다수의 돌기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폐쇄회로 텔레비전 카메라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기구는,
    상하가 트인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카메라모듈의 둘레를 감싸며 상기 카메라모듈을 틸팅(tilting) 가능하게 지지하는 틸팅 홀더, 및
    상하가 트인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틸팅 홀더의 하측 둘레를 패닝(panning) 가능하게 지지함에 따라 상기 카메라모듈을 패닝 가능하게 하는 패닝 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폐쇄회로 텔레비전 카메라장치.
KR20130070804A 2013-06-20 2013-06-20 차량용 폐쇄회로 텔레비전 카메라장치 KR1014954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0804A KR101495496B1 (ko) 2013-06-20 2013-06-20 차량용 폐쇄회로 텔레비전 카메라장치
US14/287,655 US9426340B2 (en) 2013-06-20 2014-05-27 Vehicle CCTV camera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0804A KR101495496B1 (ko) 2013-06-20 2013-06-20 차량용 폐쇄회로 텔레비전 카메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7472A KR20140147472A (ko) 2014-12-30
KR101495496B1 true KR101495496B1 (ko) 2015-02-25

Family

ID=52110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70804A KR101495496B1 (ko) 2013-06-20 2013-06-20 차량용 폐쇄회로 텔레비전 카메라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426340B2 (ko)
KR (1) KR1014954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13761S1 (en) * 2015-07-29 2018-03-27 Lr Acquisition, Llc Controller of an unmanned aerial vehicle
EP3290274B1 (en) * 2016-09-01 2019-04-03 Veoneer Sweden AB Imaging system for a motor vehicle
US10341570B1 (en) * 2018-04-10 2019-07-02 Ademco Inc. Assembly and method for restricting indefinite one-way rotation of a rotatable camera
DE102019206925A1 (de) * 2019-05-14 2020-11-19 Continental Automotive Gmbh Kamerasystem und Assistenzsystem für ein Fahrzeug
JP7002502B2 (ja) * 2019-07-29 2022-01-20 市光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ミラー装置
JP7370768B2 (ja) * 2019-08-30 2023-10-30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JP7362363B2 (ja) * 2019-08-30 2023-10-17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DE102022105241A1 (de) * 2022-03-07 2023-09-07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Kamerahalterung zur Befestigung an einem Fahrzeugaufbau
TWI812413B (zh) * 2022-08-18 2023-08-11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用於將一影像擷取裝置設置於一移動載具之減震裝置以及具有前述減震裝置之影像擷取系統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0631B1 (ko) * 1994-07-28 1997-06-28 대우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고체 촬상 소자(ccd) 카메라의 방진 장치
KR20030077219A (ko) * 2002-03-25 2003-10-01 주식회사 이언테크 차량용 카메라 장착-조종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54749B1 (en) * 1998-09-09 2002-03-12 Videolarm, Inc. Housing for surveillance camera
US7217045B2 (en) * 2005-01-03 2007-05-15 Robert Bosch Gmbh Connect/disconnect mechanism for a surveillance camera head
US20070126872A1 (en) * 2005-12-06 2007-06-07 Michael Bolotine Modular surveillance camera system
JP2007189502A (ja) * 2006-01-13 2007-07-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撮像素子駆動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撮影装置
JP4771827B2 (ja) * 2006-02-21 2011-09-14 三洋電機株式会社 監視カメラ
US7614804B2 (en) * 2006-08-29 2009-11-10 Nuvico, Inc. Security camera
KR20090028950A (ko) 2007-09-17 2009-03-20 백희천 자동차 훼손 방지 및 감시 장치
JP5113785B2 (ja) * 2009-02-27 2013-01-0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ドーム型カメラ
US8251596B2 (en) * 2009-08-06 2012-08-28 Canon Kabushiki Kaisha Imaging apparatus
US20110064403A1 (en) * 2009-09-16 2011-03-17 Victor Company Of Japan, Ltd. Domed-shaped camera
JP5587105B2 (ja) * 2010-09-09 2014-09-10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EP2657762B1 (en) * 2012-04-25 2014-03-26 Axis AB Top cover assembly for a monitoring camera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0631B1 (ko) * 1994-07-28 1997-06-28 대우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고체 촬상 소자(ccd) 카메라의 방진 장치
KR20030077219A (ko) * 2002-03-25 2003-10-01 주식회사 이언테크 차량용 카메라 장착-조종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375809A1 (en) 2014-12-25
US9426340B2 (en) 2016-08-23
KR20140147472A (ko) 2014-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5496B1 (ko) 차량용 폐쇄회로 텔레비전 카메라장치
US9699359B2 (en) Imaging apparatus
US8764318B2 (en) Dome camera
US9022586B2 (en) Vehicular mirror having a camera for enhanced vision
US9531930B2 (en) Surveillance device
EP3035305B1 (en) Enclosure and arrangement for recess mounting of a camera or camera head
US20090251538A1 (en) Dome camera and housing for dome camera
KR101111230B1 (ko)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 장치
WO2019128935A1 (zh) 多目摄像机及多目摄像机的补光装置
US20160255255A1 (en) Imaging apparatus
JP2008070790A (ja) 撮像装置
CN110365868B (zh) 多目摄像机
KR102006780B1 (ko) 카메라 모듈이 설치된 램프
CN114762310A (zh) 摄像装置
KR200479210Y1 (ko) 헬멧 탈착 브래킷
JP3234888U (ja) 撮像装置
JP2010081293A (ja) カメラモジュール
US8253798B2 (en) Video surveillance device with infrared LED
US11022862B2 (en) Imaging system
KR101423693B1 (ko) 광축 조절식 렌즈경통
JP6936707B2 (ja) インターホン機器
KR20150003757U (ko) 감시 카메라 모듈
CN211765313U (zh) 相机组件及具有其的运载工具
EP4123353A1 (en) Reflector, imaging device, and vehicle
KR20230123831A (ko) 시야 방향 조정이 용이한 돔형 카메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