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0494B1 - 수동 변속기용 시프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수동 변속기용 시프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0494B1
KR100750494B1 KR1020060047350A KR20060047350A KR100750494B1 KR 100750494 B1 KR100750494 B1 KR 100750494B1 KR 1020060047350 A KR1020060047350 A KR 1020060047350A KR 20060047350 A KR20060047350 A KR 20060047350A KR 100750494 B1 KR100750494 B1 KR 1007504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k
rail
shifter assembly
shaft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7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2752A (ko
Inventor
토마스 크리스토퍼 보웬
말루스 옥타벨 에나슈
댄 멀시어 스테판
김영수
Original Assignee
다이모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모스(주) filed Critical 다이모스(주)
Publication of KR20060122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27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04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04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08Multiple final output mechanisms being moved by a single common final actuating mechanism
    • F16H63/20Multiple final output mechanisms being moved by a single common final actuating mechanism with preselection and subsequent movement of each final output mechanism by movement of the final actuating mechanism in two different ways, e.g. guided by a shift g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012Multiple controlled elements
    • Y10T74/20018Transmission contro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012Multiple controlled elements
    • Y10T74/20018Transmission control
    • Y10T74/20085Restriction of shift, gear selection, or gear engagement
    • Y10T74/20128Resiliently biased restri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Abstract

수동 변속기용 시프터 조립체는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레일 및 상기 레일과 공동 작동하는 복수의 포크를 구비한다. 상기 각 레일에는 복수의 포크 중의 하나의 포크가 고정되어 있고, 이들 포크 중의 하나의 포크는 상기 레일에 대해 상대운동이 가능하다.
수동 변속기, 시프터, 조립체

Description

수동 변속기용 시프터 조립체{Shifter Assembly for Manual Transmiss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프터 조립체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시프터 조립체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3-3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4-4선 단면도이다.
도 5는 후진 위치를 도시한 도 4의 유사도이다.
도 6은 5-6속 위치를 도시한 도 4의 유사도이다.
도 7은 도 5의 7-7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2의 8-8선 단면도이다.
도 8A는 도 8의 원부분 8A의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8의 9-9선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수동 변속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의 수동 변속기의 시프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 트럭과 같은 차량용 수동 변속기는 공지되어 있다. 수동 변속기는 통상 그 내부에 설치된 복수의 기어를 시프팅시키기 위한 시프팅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시프팅 장치의 일례는 미국특허 US 5,477,742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에 있어서, 변속 기어 박스를 위한 기어 시프팅 장치에는 셀렉터 샤프트가 구비되어 있고, 이 셀렉터 샤프트는 복수의 경사면 및 오리엔테이션 스프링에 의해 작용하는 반응 슬리이브 상의 복수의 반응 볼(ball)을 개재하여 작동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제 1 시프트 게이트를 선택했을 때의 작동점(working point)을 감지할 수 있고, 제 2 시프트 게이트를 선택했을 때 상기 스프링 력이 상기 반응 볼을 개재하여 하우징 상에 직접 가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특허의 시프팅 장치의 단점은 경사면 및 반응 볼을 사용한다는 것이다. 상기 시프팅 장치의 다른 단점은 4개의 시프트 바 또는 시프트 레일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상기 시프팅 장치의 또 다른 단점은 다수의 부품이 필요하고, 블라인드 조립(blind assembly)이 필요하고, 제작비가 고가인 점이다.
따라서, 차량의 수동 변속기를 위한 새로운 시프터 조립체가 필요하다. 또, 부품의 수 및 제작비를 저감시킬 수 있는 수동 변속기용 시프터 조립체가 필요하다. 또, 스프링의 블라인드 조립을 제거할 수 있는 시프터 조립체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에는 상기 요구에 부합하는 수동 변속기용 시프터 조립체에 대한 요구가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수동 변속기를 위한 시프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시프터 조립체는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레일을 구비한다. 또, 상기 시프터 조립체는 복수의 포크를 구비한다. 적어도 하나의 포크는 상기 복수의 레일 중의 하나의 레일에 고정되고, 적어도 하나의 포크는 상기 복수의 레일 중의 하나의 레일에 대해 상대 운동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하나의 장점은 한 쌍의 시프트 레일만을 구비하므로 부품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는 수동 변속기용의 새로운 시프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은 상기 시프터 조립체는 경사면 및 반응 볼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장점은 상기 시프터 조립체는 스프링의 블라인드 조립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장점은 상기 시프터 조립체는 1회에 한 개만이 운동하는 시프트 포크를 구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장점은 상기 시프터 조립체는 제조비용이 저렴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장점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후술하는 설명으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면 특히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동 변속기(도시 생략)를 위한 시프터 조립체(10)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시프터 조립체(10)는 일반적으로 12로 표시된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레일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각 레일(12)은 축방향으로 연장하고, 일반적으로 원형의 단면을 구비한다. 상기 레일(12)은 금속제이다. 상기 한 쌍의 레일(12)은 이격 배치되어 있고, 상호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도면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레일(12)은 제 1레일(12a) 및 제 2레일(12b)을 구비한다.
상기 시프터 조립체(10)는 또 일반적으로 14로 표시된 복수의 포크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포크는 상기 한 쌍의 레일(12)과 공동 작동하는 것이다. 각 포크(14)는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일반적으로 역U자형의 형상을 가지고 있다. 상기 포크(14)는 주강(cast steel)과 같은 금속으로 제작된다. 상기 포크(14)는 제 1 포크(14a), 제 2 포크(14b), 제 3 포크(14c), 및 제 4 포크(14d)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 1 포크(14a)는 1-2속 시프트 포크이다. 상기 제 2 포크(14b)는 3-4속 시프트 포크이다. 상기 제 3 포크(14c)는 5-6속 시프트 포크이다. 상기 제 4 포크(14d)는 후진 시프트 포크이다. 상기 각 시프트 포크(14)는 싱크로나이저(도시 생략)를 통해 변속기 내의 수동 시프트 기어(도시 생략)와 공동 작동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각 레일(12)은 적어도 2개의 포크(14)를 구비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포크(14a)는 핀(16)과 같은 적절한 연결 기구에 의해 제 1레일(12a)에 고착 연결되어 있고, 제 4 포크(14d)는 제 2레일(12b)에 연결되어 있다. 또, 상기 제 2 포크(14b)는 제 1레일(12a)에 후술하는 캐처(catcher)에 의해 운동 가능하게 또는 슬라이드 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제 3 포크(14c)는 제 2레일(12b)에 운동 가능하게 또는 슬라이드 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 각 포크(14)는 그 상단부 상에 적어도 하나의,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절결부(18)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시프터 조립체(10)는 또 적어도 하나의,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인덱스(index; 20)를 구비하고 있다. 각 인덱스(20)는 일반적으로 원통 형상이다. 각 인덱스(20)는 변속기 하우징(도시 생략)에 연결된다. 상기 복수의 인덱스(20) 중의 하나는 상기 복수의 포크(14) 중의 하나와 공동 작동한다. 각 인 덱스(20)는 상기 포크(14)의 복수의 절결부(18) 중의 하나의 절결부 내에 연장된다. 상기 인덱스(20)는 운전자가 상기 시프터 조립체(10)를 시프팅했을 때 운전자에게 기계적인 감각을 제공한다.
도 1 내지 도 8에 있어서, 상기 시프터 조립체(10)는 시프터 샤프트(22)를 구비한다. 상기 시프터 샤프트(22)는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대체로 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원주 형상이다. 상기 시프터 샤프트(22)는 금속제이다. 상기 시프터 샤프트(22)는 상기 레일(12)에 대체로 수직한 방향으로 지향되어 있다. 상기 시프터 샤프트(22)는 그 일단부에 후술하는 기능을 발휘하기 위한 축경부(reduced diameter portion; 24)를 구비한다.
상기 시프터 조립체(10)는 용접과 같은 적절한 접합 기구에 의해 상기 시프터 샤프트(22)에 연결된 셀렉터 샤프트(26)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셀렉터 샤프트(26)는 축방향으로 연장하고, 대체로 원형 단면을 가지는 관형상이다. 상기 셀렉터 샤프트(26)는 금속제이다. 상기 셀렉터 샤프트(26)는 그 내부에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관통로(28)를 구비한다. 이 관통로의 제 1확대부(30)는 상기 시프터 샤프트(22)의 일단부를 수용하고, 제 2확대부(32)는 후술하는 너트(52)를 수용한다. 상기 셀렉터 샤프트(26)는 이 셀렉터 샤프트의 외면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함과 동시에 후술하는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축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더욱 바람직하게는 3개의 액츄에이터(33)를 구비하고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액츄에이터(33) 중 2개는 셀렉터 샤프트(26)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고, 복수의 액츄에이터(33) 중 1개는 셀렉터 샤프 트(26)의 하면측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시프터 조립체(10)는 또 상기 셀렉터 샤프트(26)에 연결된 일반적으로 34로 표시된 리턴 스프링 조립체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리턴 스프링 조립체(34)는 샤프트(36)를 구비한다. 상기 샤프트(36)는 축방향으로 연장하고, 대체로 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원통 형상이다. 상기 샤프트(36)은 금속으로 제작된다. 상기 샤프트(36)는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일단부(38), 상기 제 1 단부(38)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단부(38)보다 소직경을 가지는 중간부(40), 및 상기 중간부(40)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함과 동시에 상기 중간부(40)보다 소직경을 가지는 제 2 단부(42)를 구비한다. 상기 중간부(40)는 상기 셀렉터 샤프트(26)의 확대단부(32) 내에 부분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 2 단부(42)는 상기 셀렉터 샤프트(26)의 관통로(28) 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된다.
도 8 및 도 8A에 있어서, 상기 리턴 스프링 조립체(34)는 상기 샤프트(36)를 가압하여 셀렉터 샤프트(26)로부터 축방향으로 이격시키는 스프링(44)을 구비한다. 상기 스프링(44)은 코일형 스프링이다. 상기 스프링(44)은 상기 관통로(28) 내 및 상기 샤프트(36)의 제 2 단부(42)의 외주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44)은 또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샤프트(36)의 중간부(40) 및 상기 샤프트(36)의 제 2 단부(42)의 외주에 배치된 스톱부재(46)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스톱부재(46)는 대체로 환형상이고, 상기 관통로(28)의 숄더(48)와 결합하여 상기 관통로(28) 내에서의 샤프트(36)의 이동을 억제한다. 상기 스톱부재(46)는 상기 샤프트(36)의 제 2 단부(42)의 외주에 배치된 리테이너(50)에 의해 상기 샤프트(36)에 구속되어 있다.
상기 리턴 스프링 조립체(34)는 또 상기 셀렉터 샤프트(26)의 관통로(28)의 확대단부(32)를 폐쇄시키기 위한 너트(5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너트(52)는 상기 확대단부(32)와 치합하는 나사부(54)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너트(52)는 상기 샤프트(36)가 관통 연장할 수 있는 축방향의 관통 개구(56)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리턴 스프링 조립체(34)는 나사(56)(도 1 참조)를 구비할 수 있다. 이 나사는 상기 샤프트(36)의 제 1 단부(38)와 치합하여 상기 리턴 스프링 조립체(34)를 변속기 하우징(도시 생략)에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리턴 스프링 조립체(34)는 해제시 상기 시프트 레버를 중간 지점에 위치시키는 작용을 한다.
도 3 내지 도 8에 있어서, 상기 시프터 조립체(10)는 용접과 같은 적절한 접합 기구에 의해 상기 셀렉터 샤프트(26)에 연결된 캠 부재(58)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캠 부재(58)는 축방향으로 연장하고, 대체로 원형의 단면을 구비한 원통 형상이다. 상기 캠 부재(58)는 금속제이다. 상기 캠 부재(58)는 상기 시프터 샤프트(22)의 일부를 수용하기 위해 축방향으로 관통 연장하는 관통로(6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관통로(60)는 상기 셀렉터 샤프트(26)의 일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확대단부(6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캠 부재(58)는 후술하는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 그 외주의 일부를 따라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제 1 캠 홈(64)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캠 부재(58)는 또 후술하는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 그 외주의 일부를 따라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제 2 캠 홈(66)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캠 부재(58)는 또 후술하는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 그 외주의 일부를 따라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제 3 캠 홈(66)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시프터 조립체(10)는 또 상기 캠 부재(58)의 외주에 배치됨과 동시에 캠 부재(58)의 일부를 따라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시프터 하우징(7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하우징(70)은 대체로 장방형이지만, 임의의 적절한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70)은 금속제이다. 상기 하우징(70)은 내부에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제 1 공동부(72), 및 상기 하우징(70)을 축방향으로 관통 연장하여 상기 제 1 공동부(72)와 연통하는 개구(73)를 구비한다. 상기 캠 부재(58)는 상기 개구(73)를 관통 연장하여 상기 제 1 공동부(72) 내로 진입한다. 상기 시프터 샤프트(22)는 상기 캠 부재(58) 및 제 1 공동부(72)를 관통 연장한다. 상기 시프터 조립체(10)는 또 상기 제 1 공동부(72)의 외측에 배치된 레버(74)를 구비하고 있다. 이 레버(74)는 용접과 같은 적절한 접합 기구에 의해 상기 시프터 샤프트(22)의 단부(24)에 연결됨으로써 후술하는 기능을 발휘하도록 상기 시프터 샤프트(22)를 선회시킨다. 상기 레버(74)는 또 에어 시프트 보조기구(air shift assist mechanism; 도시 생략)에 접속하기 위해 관통 연장하는 개구(75)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하우징(50)은 또 후술하는 기능을 발휘하도록 내부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하는 제 2 공동부(76)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하우징(70)은 또 내부에서 직경방향으로 연장함과 동시에 후술하는 기능을 발휘하도록 제 1 공동부(72)와 연통하는 개구(77)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시프터 조립체(10)는 상기 제 2 공동부(76) 내에 배치된 셀렉터 케이블 샤프트(78)를 구비한다. 상기 셀렉터 케이블 샤프트(78)는 축방향으로 연장하고, 대체로 원형 단면의 원통형이다. 상기 셀렉터 케이블 샤프트(78)는 금속제이다. 상기 셀렉터 케이블 샤프트(78)는 축방향으로 연장함과 동시에 상기 제 2 공동부(76) 내에 배치된 축경부(reduced diameter)를 가지는 제 1 단부(80) 및 축방향으로 연장함과 동시에 상기 제 2 공동부(76)의 외측에 배치된 축경부를 가지는 제 2 단부(82)를 구비한다.
상기 시프터 조립체(10)는 상기 제 2 공동부(76)를 기밀시키기 위한 시일(84)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시일(84)은 대체로 환형이고, 상기 셀렉터 케이블 샤프트(78)의 외주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시일(84)은 압입(press-fit)과 같은 적절한 메카니즘에 의해 상기 하우징(70)에 연결된다. 상기 시프터 조립체(10)는 상기 제 2 공동부(74)의 외측에 배치된 레버(86)를 구비하고 있다. 이 레버(86)는 용접과 같은 적절한 접합 기구에 의해 상기 케이블 샤프트(78)의 단부(82)에 연결되어 후술하는 기능을 발휘하도록 상기 케이블 샤프트(78)를 회전시킨다. 상기 레버(86)는 또 하나의 케이블(도시 생략)에 연결하기 위해 관통 연장하는 개구(88)를 구비한다.
상기 시프터 조립체(10)는 또 상기 케이블 샤프트(78) 및 캠 부재(58)와 공동 작동하는 셀렉터 샤프트 작동 레버(9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작동 레버(90)는 축방향으로 연장하고, 대체로 평평한 형상을 가진다. 상기 작동 레버(90)는 상기 케이블 샤프트(78)의 외주에 배치되도록 그 일단부를 관통 연장하는 개구(92)를 구비한다. 상기 작동 레버(90)는 상기 하우징(70)에 형성된 슬롯(94)을 관통 연장함과 동시에 상기 캠 부재(58)의 홈(66) 내에 배치된 축경부(96)를 구비한다. 상기 시프터 조립체(10)는 또 상기 케이블 샤프트(78)의 외주 및 상기 하우징(70)과 작동 레버(9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슬롯(94) 내에 상기 작동 레버(98)를 지지하도록 된 시임(shim; 98)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시프터 조립체(10)는 상기 캠 부재(58)와 결합하는 중립 스위치(neutral switch; 10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중립 스위치(100)는 상기 개구(77)를 관통 연장하고, 상기 캠 부재(58)의 홈(68) 내에 배치된 이동이 가능한 단부(102)를 구비한다. 상기 중립 스위치(100)는 제어장치(도시 생략)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시프터 조립체(10)가 중립 위치에 존재할 때 신호를 발한다. 상기 중립 스위치(100)는 상기 하우징(70)에 나사 체결된다. 또 상기 중립 스위치(100)는 본 기술분야에 공지된 것이다.
상기 시프터 조립체(10)는 또 상기 캠 부재(58)에 작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후진 스위치(104)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후진 스위치(104)는 하우징(70) 내의 개구(105)를 관통하여 연장함과 동시에 후술하는 후진 리턴 스프링 조립체(108)에 결합되는 이동이 가능한 단부(106)를 구비한다. 상기 후진 스위치(104)는 제어장치(도시 생략)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시프터 조립체(10)가 후진 위치에 존재할 때 신호를 발한다. 상기 후진 스위치(104)는 상기 하우징(70)에 나사 체결된다. 또 상기 후진 스위치(104)는 본 기술분야에 공지된 것이다.
상기 시프터 조립체(10)는 일반적으로 108로 표시된 후진 리턴 스프링 조립체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후진 리턴 스프링 조립체(108)는 상기 개구(105)에 배치된 캡(cap; 11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캡(110)은 축방향으로 연장하고, 대체로 원형 단면을 가지는 원통형이다. 상기 캡(110)은 상기 캠 홈(64)과 결합하는 대체로 V자형의 단부(112)를 구비한다. 상기 캡(110)은 또 축방향으로 연장하여 포스트(post; 114)를 형성하는 환형 절결부(113)를 구비한다. 상기 캡(110)은 금속제이다. 상기 캡(110)은 일체형이다.
상기 후진 리턴 스프링 조립체(108)는 또 상기 캡(110)의 일단부에 배치된 스페이서(116)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스페이서(116)는 대체로 U자형 단면을 가지는 환형이다. 상기 스페이서(116)는 금속제이다. 상기 스페이서(116)는 상기 캡(110)의 포스트(114)의 일단부의 외주에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후진 스위치(104)의 이동이 가능한 단부(106)를 수용하기 위한 절결부(118)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후진 리턴 스프링 조립체(108)는 또 상기 캡(110)을 상기 스페이서(116)로부터 이격시키도록 가압하는 스프링(12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스프링(120)은 상기 스페이서(116) 및 캡(110) 사이에서 상기 절결부(113) 내의 포스트(114)의 외주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120)에 의해 상기 시프터 조립체(10)의 후진 위치로의 작동시 더 큰 힘이 요구된다.
도 1, 도 2, 도 8 및 도 9에 있어서, 상기 시프터 조립체(10)는 일반적으로 122로 표시된 인터록 조립체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인터록 조립체(122)는 축방향으로 연장함과 동시에 대체로 장방형인 인터록 부재(124)를 구비한다. 상기 인터록 부재(124)는 금속제이다. 상기 인터록 부재(124)는 그 바닥면으로 연장하는 공동부(126)를 구비한다. 상기 인터록 부재(124)는 그 상면으로부터 연장하는 레일부(128)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레일부(128)는 축방향으로 연장하고, 대체로 장방 형이다. 상기 레일부(128)는 후술하는 기능을 발휘하도록 그 축방향으로 이격된 적어도 하나의,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슬롯(13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슬롯(130)은 상기 셀렉터 샤프트(26)로부터 연장하는 액츄에이터(33)와 결합한다. 상기 인터록 조립체(122)에 의해 1회에 한 개의 포크(14)의 이동만이 허용된다.
상기 시프터 조립체(10)는 또 상기 액츄에이터(33) 및 인터록 부재(124)와 결합하는 제 1 레일(12a)에 연결된 제 1 캐처(catcher; 132)를 구비한다. 상기 제 1 캐처(132)는 제 1 포크(14a)인 1-2속 포크를 위한 것이다. 상기 시프터 조립체(10)는 상기 액츄에이터(33) 및 인터록 부재(124)와 결합하는 제 2 레일(12b)에 연결된 제 2 캐처(134)를 구비한다. 상기 제 2 캐처(134)는 제 4 포크(14d)인 후진 포크이다. 상기 시프터 조립체(10)는 또 상기 제 2 포크(14b)에 연결되고, 상기 인터록 부재(124)와 결합함과 동시에 상기 제 2 레일(12b)를 따라 슬라이드 운동하도록 제 2 레일(12b)의 외주에 배치된 제 3 캐처(136)를 구비한다. 상기 제 3 캐처(136)는 3-4속 포크이다. 상기 시프터 조립체(10)는 또 제 3 포크(14c)에 연결된 제 4 캐처(138) 및 제 3 캐처(14c)에 연결된 제5 캐처(140)를 구비한다. 제 4 캐처(138) 및 제5 캐처(140)는 상기 액츄에이터(33) 및 인터록 부재(124)와 결합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레일(12a)을 따라 슬라이드 운동하도록 상기 제 1 레일(12a)의 외주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 4 캐처(138) 및 제 4 캐처(140)는 5-6속 포크이다. 상기 각 캐처(132, 134, 136, 138, 및 140)는 상기 액츄에이터(33) 및 상기 인터록 부재(124)의 레일부(128)와 결합하는 슬롯을 구비하고 있다.
작동시, 케이블(도시 생략)이 작동되면 레버(86)가 이동하고, 이어서 작동 레버(90)가 회전되면 상기 캠 부재(58) 및 셀렉터 샤프트(26)는 상기 복수의 액츄에이터(33) 중의 하나의 액츄에이터가 상기 캐처(132, 134, 136, 138, 및 140) 중의 하나의 캐처와 정렬되는 위치까지 축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은 작동 상태에서 에어 시프트 보조기구는 상기 레버(74)를 회전시키고, 이어서 시프터 샤프트(22), 셀렉터 샤프트(26), 및 액츄에이터(33)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캐처(132, 134, 136, 138, 및 140) 중의 정렬되어 있는 캐처를 이동시킨다. 그 결과, 대응하는 시프트 포크(14)는 싱크로나이저(도시 생략)와 맞물려서 변속기를 시프트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인터록 부재(124)의 레일부(128)는 선택되지 않은 캐처(132, 134, 136, 138, 및 140)가 움직이는 것을 억제한다. 이와 같이 하여, 하나의 포크(14)만이 대응하는 싱크로나이저와 맞물리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제한적인 의미로 사용되지 않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교시에 따라 다양한 변경 및 개조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서 상기 기술된 범위 이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한 쌍의 시프트 레일만을 구비하므로 부품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는 수동 변속기용의 새로운 시프터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1회에 한 개의 시프트 포크만이 운동하는 시프터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조비용이 저렴한 시프터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0)

  1. 종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레일과;
    상기 레일과 동작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포크를 포함하는데, 상기 각 레일에는 상기 복수의 포크 중의 하나의 포크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포크 중의 하나의 포크는 상기 레일상에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레일에 연결되도록 구비된 복수의 캐처와;
    상기 레일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지향되도록 설치된 셀렉트 샤프트와;
    상기 셀렉트 샤프트의 외면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복수의 액츄에이터와;
    상기 복수의 포크와 작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셀렉터 샤프트에 의해 작동이 가능하게 지지됨과 더불어 상기 캐처 및 상기 액츄에이터와 결합하는 복수의 슬롯을 구비한 인터록 조립체와;
    상기 셀렉트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셀렉트 샤프트와는 함께 회전하고 상기 셀렉트 샤프트의 축방향으로는 셀렉트 샤프트가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셀렉트 샤프트와 결합되어 설치된 시프트 샤프트와;
    상기 시프트 샤프트의 외주에 배치되면서 상기 셀렉트 샤프트와 일체로 결합된 캠 부재와;
    상기 캠 부재의 외주에 배치된 하우징;
    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변속기용 시프터 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제 1 레일 및 제 2 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변속기용 시프터 조립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 레일 및 제 2 레일은 대체로 상호 평행하게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변속기용 시프터 조립체.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포크는 제 1 포크, 제 2 포크, 제 3 포크, 및 제 4 포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변속기용 시프터 조립체.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 1 포크는 상기 제 1 레일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변속기용 시프터 조립체.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 2 포크는 상기 제 1 레일에 이동이 가능하게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변속기용 시프터 조립체.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 3 포크는 상기 제 2 레일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변속기용 시프터 조립체.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 4 포크는 상기 제 2 레일에 이동이 가능하게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변속기용 시프터 조립체.
  9.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 1 포크는 1-2 기어 시프트 포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변속기용 시프터 조립체.
  10.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 2 포크는 3-4 기어 시프트 포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변속기용 시프터 조립체.
  11.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 3 포크는 후진 기어 시프트 포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변속기용 시프터 조립체.
  12.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 4 포크는 5-6 기어 시프트 포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변속기용 시프터 조립체.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셀렉터 샤프트와 작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후진 리턴 스프링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변속기용 시프터 조립체.
  1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피봇운동이 가능하게 연결된 셀렉터 샤프트 작동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변속기용 시프터 조립체.
  1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셀렉터 샤프트와 결합하는 리턴 스프링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변속기용 시프터 조립체.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리턴 스프링 조립체는 샤프트, 스프링, 및 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변속기용 시프터 조립체.
KR1020060047350A 2005-05-27 2006-05-26 수동 변속기용 시프터 조립체 KR1007504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139,721 2005-05-27
US11/139,721 US20060266147A1 (en) 2005-05-27 2005-05-27 Shifter assembly for manual transmiss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2752A KR20060122752A (ko) 2006-11-30
KR100750494B1 true KR100750494B1 (ko) 2007-08-21

Family

ID=37461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7350A KR100750494B1 (ko) 2005-05-27 2006-05-26 수동 변속기용 시프터 조립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60266147A1 (ko)
KR (1) KR1007504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9979B1 (ko) 2006-12-06 2008-08-01 주식회사 삼천리제약 2-데옥시-엘-리보오스의 제조방법
KR20130017724A (ko) * 2011-08-11 2013-02-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
US10495216B2 (en) * 2017-01-26 2019-12-03 Kongsberg Automotive As Interrocker assembly
CN108674180A (zh) * 2018-06-09 2018-10-19 无锡正瑞汽车传动技术有限公司 一种双动力驱动系统拨叉轴的运动机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1541A (ja) * 1993-09-22 1995-04-04 Aisin Ee I Kk 手動変速機の操作機構
JPH08152063A (ja) * 1994-11-29 1996-06-11 Hino Motors Ltd 変速機のシフト機構
JP2005069413A (ja) 2003-08-26 2005-03-17 Honda Motor Co Ltd 手動変速機の変速操作機構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48910A (en) * 1955-02-24 1956-06-05 Caterpillar Tractor Co Locking gate for shifting mechanism of a six-speed transmission
US3290955A (en) * 1964-01-15 1966-12-13 Gen Motors Corp Transmission
DE4310450C2 (de) * 1993-03-31 1995-01-12 Daimler Benz Ag Schaltvorrichtung für ein Zahnräderwechselgetriebe eines Kraftfahrzeuges
DE4313564C1 (de) * 1993-04-26 1994-06-23 Daimler Benz Ag Schaltvorrichtung für ein Zahnräderwechselgetriebe eines Kraftfahrzeuges
US5560254A (en) * 1994-07-25 1996-10-01 Saturn Corporation Shift control mechanism for a multi-speed countershaft transmission
DE69841843D1 (de) * 1997-12-09 2010-09-30 Isuzu Motors Ltd Getrieb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1541A (ja) * 1993-09-22 1995-04-04 Aisin Ee I Kk 手動変速機の操作機構
JPH08152063A (ja) * 1994-11-29 1996-06-11 Hino Motors Ltd 変速機のシフト機構
JP2005069413A (ja) 2003-08-26 2005-03-17 Honda Motor Co Ltd 手動変速機の変速操作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266147A1 (en) 2006-11-30
KR20060122752A (ko) 2006-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43147A (en) Gear shift device
JPS6345379Y2 (ko)
US7240578B2 (en) Gearing and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US8505403B2 (en) Gear shifting actuator and method of shifting gear ratios
US7654170B2 (en) Centering spring apparatus for a transmission shift control mechanism
US6026702A (en) Operating device with single-shaft actuation
US6065363A (en) Electromechanical shift device for a change-speed gearbox of a motor vehicle
KR100750494B1 (ko) 수동 변속기용 시프터 조립체
JPS62110550A (ja) 自動変速機のパ−キング装置
JP5308346B2 (ja) 自動車の切換変速機用の切換装置
US4476740A (en) Shift mechanism for change-speed gear transmission
EP1717490B1 (en) Shift mechanism of transmission
JP4955401B2 (ja) ギアシフト装置
US6397696B2 (en) Automatic gear transmission
JP4557013B2 (ja) 手動変速機の操作機構
US6966237B2 (en) First gear/reverse gate indicator switch
CN108533729B (zh) 一种变速器操纵装置
JP4525200B2 (ja) 手動変速機のシフトゲート機構
JPH0125805Y2 (ko)
JP2005090621A (ja) 手動変速機のリバースミスシフト防止装置
JP2009228745A (ja) 手動変速機
JP2006029507A (ja) 手動変速機のシフトゲート機構
JP2013018423A (ja) パーキングロック機構
KR20090051717A (ko) 시퀀셜 기어박스
JPH02157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