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7117B1 - 볼라드 - Google Patents

볼라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7117B1
KR100747117B1 KR1020060115913A KR20060115913A KR100747117B1 KR 100747117 B1 KR100747117 B1 KR 100747117B1 KR 1020060115913 A KR1020060115913 A KR 1020060115913A KR 20060115913 A KR20060115913 A KR 20060115913A KR 100747117 B1 KR100747117 B1 KR 1007471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ollard
prevent
post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5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영 씨.앤.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영 씨.앤.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영 씨.앤.알
Priority to KR1020060115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71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7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71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보도 진입을 금지하기 위해 경계 부위에 설치되는 볼라드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보강을 위해 지주파이프를 심재로 하여 구성된 원기둥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직경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게 하부로 연장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하부 외주면 양측에 돌출되는 잠금돌기로 이루어지는 지주대; 및 지면에 매설되고, 상기 지주대의 삽입부 및 잠금돌기를 수직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양측으로 돌기홈이 형성된 삽입홈과, 상기 지주대가 회전에 의해 잠겨져 상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삽입홈의 하단 내주면에 형성된 잠금홈으로 이루어지는 지지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볼라드, 지주대, 지지대, 차량, 보도

Description

볼라드{A Bollar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볼라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볼라드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A-A 선에 따른 단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볼라드에서 지주대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지지대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볼라드의 제 1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볼라드의 제 2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지주대 110: 몸체
111: 단턱 120: 삽입부
130: 잠금돌기 140: 지주파이프
141: 암나사산 200: 지지대
210: 삽입홈 220: 돌기홈
230: 잠금홈 240: 마개
300: 볼라드 400: 화분
500: 조형물 510: 암나사홈
520: 나사
본 발명은 기존의 금속재질과, 석재로 이루어져 있어 설치비용 상승 및 도난의 위험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폐합성수지로 구성되며, 또한 응급상황 시 보도로 차량이 진입할 수 있도록 지주대와 지지대가 분리 가능하게 구성된 볼라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볼라드는 보행인과 차량교통의 분리를 위해서 설치했으며, 보행광장 혹은 전용도로와 일반도로와의 경계부에 설치하여 보행자의 안전을 위한 것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볼라드는 설치 공사비용이 비싼 석재나 금속종류로 이루어져 있다.
종래의 볼라드는 도로나 보도 위에 고정하여 설치하는 방식으로 설계되어왔다.
따라서 볼라드를 설치하거나 보수를 할 경우 그 기초가 되는 도로를 파헤쳐 시공 할 수밖에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응급상황인 경우 볼라드의 이동과 해체가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한 이동식 볼라드를 개발하였으나, 석재 볼라드일 경우에는 중량으로 인한 이동이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또한 금속 볼라드로 구성된 경우에도 도난을 방지하기 위해 열쇠 등으로 잠금과 해체시 매우 번거로운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볼라드는 차량 통행을 방지하기 위한 기능을 할 뿐 조경과, 환경의 취지는 전혀 고려치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기존의 금속재질과, 석재로 이루어져 있어 설치비용 상승 및 도난의 위험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폐합성수지로 구성되며, 또한 응급상황 시 보도로 차량이 진입할 수 있도록 지주대와 지지대가 분리 가능하게 구성된 볼라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볼라드의 상부에 조형물을 고정할 수 있는 암나사산을 구비하고, 또한 볼라드의 상부에 각종 화분 등을 안착시켜 고정할 수 있는 단턱을 구비한 볼라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들은,
자동차의 보도 진입을 금지하기 위해 경계 부위에 설치되는 볼라드에 있어서,
보강을 위해 지주파이프를 심재로 하여 구성된 원기둥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직경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게 하부로 연장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하부 외주면 양측에 돌출되는 잠금돌기로 이루어지는 지주대; 및 지면에 매설되고, 상기 지주대의 삽입부 및 잠금돌기를 수직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양측으로 돌기홈이 형성된 삽입홈과, 상기 지주대가 회전에 의해 잠겨져 상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삽입홈의 하단 내주면에 형성된 잠금홈으로 이루어지는 지지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라드에 의해서 달성된다.
상기에서 지주대의 상단 테두리로는 화분이나 각종 조형물을 안착할 수 있는 단턱이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지주대의 상부면은 화분이나 각종 조형물을 안착할 수 있도록 평탄하게 구성되며, 상부 테두리로는 안착된 화분이나 각종 조형물의 이탈 방지를 위해 단턱이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지주대 및 지지대는 폐합성수지 또는 PE 또는 PP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지지대는 지면에 선시공 할 때 콘크리트나 아스콘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비상시 도보 및 응급차량이 지나갈 수 있도록 상단에 고무 또는 폐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마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볼라드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볼라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볼라드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A-A 선에 따른 단면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존의 금속재질과, 석재로 이루어져 있어 설치비용 상승 및 도난의 위험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폐합성수지로 구성되며, 또한 응급상황 시 보도로 차량이 진입할 수 있도록 지주대(100)와 지지대(200)가 분리 가능하게 구성된 볼라드(300)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볼라드(300)는 크게 2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지면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지지대(200)와, 상기 지지대(200)의 상부에 결합되어 차량의 진입을 방지하는 지주대(100)로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지주대(100) 및 지지대(200)는 도난의 위험성이 매우 적고, 가벼운 폐합성수지 또는 PE 또는 PP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지주대(100)는 보강을 위해 지주파이프(140)를 심재로 하여 구성된 원기둥의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직경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게 하부로 연장되는 삽입부(120)와, 상기 삽입부(120)의 하부 외주면 양측에 돌출되는 잠금돌기(1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주파이프(140)는 금속재질로 구성되어, 상부 내주면에는 암나사산(141)이 형성된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삽입부(120)는 몸체(110)의 하부로 연장된 것으로 삽입부(120) 만이 지지대(200)에 삽입되고, 몸체(110)는 지지대(200)에 삽입되지 않도록 상기 몸체(110)의 직경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게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잠금돌기(130)는 삽입부(120)의 하부 외주면 양측에 사각형상으로 돌출된 것으로, 이러한 잠금돌기(130)는 실시예에서는 2개로 표현하였지만, 1개, 3개, 4개도 돌출 형성 가능하다.
그리고 지주대(100)의 상단면으로는 화분(400)이나 기타 조형물(500)을 안착할 수 있도록 평평하게 이루어지며, 그 상단 테두리로는 화분이나 각종 조형물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단턱(111)이 돌출 형성되어 있는 구조이다.
한편 상기 지지대(200)는 지면에 매설되고, 상기 지주대(100)의 삽입부(120) 및 잠금돌기(130)를 수직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중앙부위에 형성된 삽입홈(210)의 양측으로 돌기홈(220)이 형성된 구조이다.
즉 상기 지지대(200)는 지주대(100)의 삽입부(120) 만을 일정깊이로 삽입할 수 있도록 삽입홈(210)이 형성된 구조이며, 돌기홈(220) 역시 동반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홈(210)의 양측으로 돌기홈(220)이 형성된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200)는 내부로 삽입된 지주대(100)가 상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를 위해 상기 돌기홈(220)이 잠겨질 수 있는 잠금홈(230)이 삽입홈(210)의 하단 내주면에 형성된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는 지주대(100)를 삽입한 후 지주대(100)를 회전시켜 지주대(100)의 잠금돌기(130)가 잠금홈(230) 상에서 회전되어 잠겨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지주대(100)의 잠금돌기(130)가 삽입 후 회전에 의해 잠겨질 수 있도 록 상기 지지대(200)의 돌기홈(220)과 잠금홈(230)은 연통되는 구조이다.
한편 상기 지주대(100)의 분리 역시 지주대(100)를 회전시켜 잠금돌기(130)를 돌기홈(220)의 수직선상에 정지시킨 다음, 지주대(100)를 들어올려 분리할 수 있다.
때문에 상기 지주대(100)는 PP 또는 PE 또는 폐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무게가 가벼워 응급상황 시 보도로 차량이 진입할 수 있도록 지주대(100)와 지지대(200)가 아주 쉽게 분리 가능한 특징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볼라드에서 지주대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지지대의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200)는 지면에 선시공 할 때 콘크리트나 아스콘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비상시 도보 및 응급차량이 지나갈 수 있도록 상단에 고무 또는 폐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마개(240)가 결합 되어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지지대(200)의 매설깊이는 마개(240)를 결합시킬 때 마개(240)와 지면이 수평면을 이룰 수 있는 깊이이어야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볼라드의 제 1사용상태도이고,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볼라드의 제 2사용상태도이다.
먼저 도 5와 같이, 상기 지주대(100)의 상부로 화분(400)을 안착한 구조이 다. 이 때 상기 화분(400)은 지주대(100)의 상부에 형성된 단턱(111)에 의해 안정적으로 안착되며, 지주대(100)의 중앙에 있는 지주파이프(140)를 통해 물이 하부로 통기될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하여 화분(400)에 있는 각종 식물의 재배가 가능하다.
그리고 도 6과 같이, 지주대(100)의 상부로 조형물(500)을 설치할 경우, 상기 조형물(500)의 하부에도 암나사홈(510)을 형성하여 상기 지주대(100)의 지주파이프 상단에 체결 고정할 수 있다.
이는 조형물(500)을 지주대(100)에 안착시키기 앞서, 양측에 숫나사산이 구비된 나사(520)를 조형물(500)의 하부에 결합시키고, 이 후 조형물(500)에 결합된 나사(520)를 지주대(100)의 지주파이프(140) 상단에 형성된 암나사산(141)에 결합시켜 고정하여 안착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볼라드에 따르면, 폐합성수지로 구성되어 기존의 금속재질과, 석재로 이루어져 있어 설치비용 상승 및 도난의 위험성을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무게가 가벼워 응급상황 시 보도로 차량이 진입할 수 있도록 지주대와 지지대가 아주 쉽게 분리 가능한 특징이 있다.
또한 볼라드의 상부에 조형물을 고정할 수 있는 암나사산을 구비하고, 또한 볼라드의 상부에 각종 화분 등을 안착시켜 고정할 수 있는 단턱을 쾌적한 환경을 만들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설치와 보수를 쉽게 하기 위해서 지지대를 먼저 선시공 한 후 지주대를 체결함으로서 설치 후 보수 및 교체가 쉬워 비용 및 시간이 절약되는 장점이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의 범위는 본 고안의 진정한 범위내에 속하는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라고 여겨진다

Claims (5)

  1. 자동차의 보도 진입을 금지하기 위해 경계 부위에 설치되는 볼라드에 있어서,
    보강을 위해 지주파이프를 심재로 하여 구성된 원기둥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직경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게 하부로 연장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하부 외주면 양측에 돌출되는 잠금돌기로 이루어지는 지주대; 및
    지면에 매설되고, 상기 지주대의 삽입부 및 잠금돌기를 수직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양측으로 돌기홈이 형성된 삽입홈과, 상기 지주대가 회전에 의해 잠겨져 상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삽입홈의 하단 내주면에 형성된 잠금홈으로 이루어지는 지지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라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대의 상부면은 화분이나 각종 조형물을 안착할 수 있도록 평탄하게 구성되며, 상부 테두리로는 안착된 화분이나 각종 조형물의 이탈 방지를 위해 단턱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라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파이프는 상단 내주면에는 각종 조형물을 고정할 수 있는 암나사산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라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대 및 지지대는 폐합성수지 또는 PE 또는 PP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라드.
  5.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지면에 선시공 할 때 콘크리트나 아스콘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비상시 도보 및 응급차량이 지나갈 수 있도록 상단에 고무 또는 폐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마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라드.
KR1020060115913A 2006-11-22 2006-11-22 볼라드 KR1007471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5913A KR100747117B1 (ko) 2006-11-22 2006-11-22 볼라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5913A KR100747117B1 (ko) 2006-11-22 2006-11-22 볼라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7117B1 true KR100747117B1 (ko) 2007-08-07

Family

ID=38602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5913A KR100747117B1 (ko) 2006-11-22 2006-11-22 볼라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711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2161B1 (ko) * 2008-10-21 2010-11-05 주식회사 삼영 씨.앤.알 재활용 pe를 이용한 볼라드의 제조방법과 설치방법
KR101269396B1 (ko) * 2012-09-27 2013-05-29 동우산업 주식회사 교체형 시선유도봉
KR101969825B1 (ko) 2017-12-29 2019-04-17 김만호 폐플라스틱 및 합성고무 수지를 이용한 발광 볼라드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9987A (ja) * 1989-07-28 1991-03-14 Nippon Dennetsu Co Ltd 面状発熱体の製造方法
JPH043575A (ja) * 1990-04-19 1992-01-08 Mitsubishi Electric Corp 画像読取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9987A (ja) * 1989-07-28 1991-03-14 Nippon Dennetsu Co Ltd 面状発熱体の製造方法
JPH043575A (ja) * 1990-04-19 1992-01-08 Mitsubishi Electric Corp 画像読取装置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59987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03575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2161B1 (ko) * 2008-10-21 2010-11-05 주식회사 삼영 씨.앤.알 재활용 pe를 이용한 볼라드의 제조방법과 설치방법
KR101269396B1 (ko) * 2012-09-27 2013-05-29 동우산업 주식회사 교체형 시선유도봉
KR101969825B1 (ko) 2017-12-29 2019-04-17 김만호 폐플라스틱 및 합성고무 수지를 이용한 발광 볼라드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9375B1 (ko) 시선유도봉
KR100850799B1 (ko) 교통 표지판의 지주 설치구조
KR101820467B1 (ko) 내경 조절기능을 갖는 내부식성 가로수 보호대
KR100747117B1 (ko) 볼라드
KR100991886B1 (ko) 기둥 정착구조
KR20120068315A (ko) 착탈식 차선 규제봉
US8418414B2 (en) Swimming pool brace assembly
KR100832529B1 (ko) 휀스를 갖는 도로경계석
KR100619585B1 (ko) 경계용 표주(標柱)
KR20090102355A (ko) 지주형 시설물의 하부보호구조
KR100942995B1 (ko) 지주용 기초콘크리트
KR101136347B1 (ko) 지주용 기초콘크리트
KR100673583B1 (ko) 도로 안내표지판 및 가로등 지주
KR102412446B1 (ko) 교체보수가 용이한 볼라드 커버구조
KR102272793B1 (ko)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화분형 경계석
KR200405969Y1 (ko) 산화방지용 캡이 구비된 휀스용 지주
KR102163410B1 (ko) 도로안전시설물용 지주 설치 구조
KR102112034B1 (ko) 지주고정장치
KR100783559B1 (ko) 전주 지지구조
JP5762910B2 (ja) 弾性柱状体の設置構造
KR100561748B1 (ko) 토목 및 도로 교통 시설물 설치용 기둥의 매설형 하부 기초
KR200408883Y1 (ko) 주차금지 표지판
KR100961987B1 (ko) 지주커버
KR100692084B1 (ko) 가로수 보호커버
KR200205758Y1 (ko) 바리케이트용 지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