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6527B1 - 자기 테이프 기록 장치 및 방법, 자기 테이프 재생 장치 및 방법, 자기 테이프 및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자기 테이프 기록 장치 및 방법, 자기 테이프 재생 장치 및 방법, 자기 테이프 및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6527B1
KR100746527B1 KR1020010017915A KR20010017915A KR100746527B1 KR 100746527 B1 KR100746527 B1 KR 100746527B1 KR 1020010017915 A KR1020010017915 A KR 1020010017915A KR 20010017915 A KR20010017915 A KR 20010017915A KR 100746527 B1 KR100746527 B1 KR 1007465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magnetic tape
group
acquiring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7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5314A (ko
Inventor
아베후미요시
다우찌요이찌로
고따니야스따까
고자이도시노리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95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53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65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65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02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5/09Digital 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01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tapes
    • G11B20/120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tapes with transverse tracks only
    • G11B20/1208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tapes with transverse tracks only for continuous data, e.g. digitised analog information signals, pulse code modulated [PCM] data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008Recording on, or reproducing or erasing from, magnetic tapes, sheets, e.g. cards, or wires
    • G11B5/00813Recording on, or reproducing or erasing from, magnetic tapes, sheets, e.g. cards, or wires magnetic tapes
    • G11B5/00847Recording on, or reproducing or erasing from, magnetic tapes, sheets, e.g. cards, or wires magnetic tapes on transverse tracks
    • G11B5/0086Recording on, or reproducing or erasing from, magnetic tapes, sheets, e.g. cards, or wires magnetic tapes on transverse tracks using cyclically driven heads providing segmented track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 G11B2220/91Helical scan format, wherein tracks are slightly tilted with respect to tape direction, e.g. VHS, DAT, DVC, AIT or exabyte

Abstract

HD 영상 신호 및 HD 음성 신호를 기록 재생할 수 있도록 한다.
GOP 구조에 있어서의 M의 값(이 예에서는 3)으로 나타내는 수분의 화상을 하나의 단위로서, 그 화상에 관련되는 AUX 데이터(도면 중, U로 표시되어 있는 부분), 그 화상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도면 중, A로 표시되어 있는 부분) 및 그 음성 데이터에 관련되는 AUX 데이터(도면 중, X로 표시되어 있는 부분)가 인터리브되는 16트랙의 선두에 통합하여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그 후에 1단위분의 화상(이 예의 경우 3화상)이 배치되어 있다.
자기 테이프 기록 장치, 자기 테이프 재생 장치, 서브 코드, 보조 데이터

Description

자기 테이프 기록 장치 및 방법, 자기 테이프 재생 장치 및 방법, 자기 테이프 및 기록 매체{MAGNETIC TAPE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MAGNETIC TAPE 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MAGNETIC TAPE, AND RECORDING MEDIA}
도 1은 DV 포맷의 트랙 섹터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을 적용한 자기 테이프 기록 재생 장치의 기록계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3은 도 2의 자기 테이프(21)의 트랙 포맷을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도 3의 트랙에 기록되는 트랙킹용의 파일럿 신호를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도 3의 트랙에 기록되는 트랙킹용의 파일럿 신호를 설명하는 다른 도면.
도 6은 도 3의 트랙에 기록되는 트랙킹용의 파일럿 신호를 설명하는 다른 도면.
도 7은 도 3의 트랙의 섹터 배치를 설명하는 도면.
도 8은 도 7의 프리앰블과 포스트앰블의 패턴을 설명하는 도면.
도 9는 도 7의 메인 섹터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
도 10은 도 9의 메인 섹터의 ID를 설명하는 도면.
도 11은 도 9의 메인 섹터의 SB 헤더를 설명하는 도면.
도 12는 검색 속도를 설명하는 도면.
도 13은 AUX 데이터의 종류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고정 길이의 시스템 데이터를 설명하는 도면.
도 15는 가변 길이의 시스템 데이터를 설명하는 도면.
도 16은 고정 길이의 시스템 데이터의 포맷을 설명하는 도면.
도 17은 가변 길이의 시스템 데이터의 포맷을 설명하는 도면.
도 18은 헤더부에 정의되는 정보를 설명하는 도면.
도 19는 고정 길이의 시스템 데이터의 포맷을 설명하는 다른 도면.
도 20은 가변 길이의 시스템 데이터의 포맷을 설명하는 다른 도면.
도 21은 메인 섹터에 기록되는 데이터의 평균치를 설명하는 도면.
도 22는 도 7의 서브 코드 섹터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
도 23은 서브 코드 싱크 블럭의 ID를 설명하는 도면.
도 24는 서브 코드 데이터를 설명하는 도면.
도 25는 DV 포맷을 설명하는 다른 도면.
도 26은 테이프 위치 정보를 설명하는 도면.
도 27은 EPO를 설명하는 도면.
도 28은 ECCTB를 설명하는 도면.
도 29는 음성 모드를 설명하는 도면.
도 30은 영상 모드를 설명하는 도면.
도 31은 DATA-H를 설명하는 도면.
도 32는 데이터의 기록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33은 서브 코드 섹터에 대응하는 메인 섹터를 검출하는 처리를 설명하는 도면.
도 34는 AUX 데이터를 설명하는 도면.
도 35는 서브 코드 섹터에 대응하는 메인 섹터를 검출하는 처리를 설명하는 다른 도면.
도 36은 본 발명을 적용한 자기 테이프 기록 재생 장치의 재생계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영상 데이터 압축부
2 : 음성 데이터 압축부
5 : 오류 부호 ID 부가부
6 : 24-25 변환부
7 : 싱크 발생부
9 : 변조부
21 : 자기 테이프
43 : 복조부
45 : 25-24 변환부
44 : 싱크 검출부
46 : 오류 정정 ID 검출부
48 : 영상 데이터 압축 해제부
49 : 음성 데이터 압축 해제부
본 발명은 자기 테이프 기록 장치 및 방법, 자기 테이프 재생 장치 및 방법, 자기 테이프의 포맷 및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품위의 영상 데이터를 자기 테이프에 기록 또는 재생할 수 있도록 한 자기 테이프 기록 장치 및 방법, 자기 테이프 재생 장치 및 방법, 자기 테이프의 포맷 및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압축 기술이 발달되어 영상 데이터 등도, 예를 들면, DV(Digital Video) 방식에 의해 압축되어 자기 테이프에 기록되게 되었다. 그를 위한 포맷이 민간용 디지털 영상 테이프 리코더의 DV 포맷으로서 규정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DV 포맷의 1트랙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또, DV 포맷에 있어서는, 영상 데이터는 24-25 변환되어 기록되지만, 도 1에 도시한 숫자의 비트 수는 24-25 변환된 후의 수치를 나타내고 있다.
자기 테이프의 174도의 권선각에 대응하는 범위가 실질적인 1트랙의 범위가 된다. 이러한 1트랙의 범위 외부에는 1250비트 길이의 오버라이트 마진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오버라이트 마진은 데이터의 소거 잔여를 없애기 위한 것이다.
1트랙의 범위의 길이는 60×1000/1001㎐의 주파수에 동기하여 회전 헤드가 회전되는 경우 134975비트가 되고, 60㎐의 주파수에 동기하여 회전 헤드가 회전되는 경우 134850비트가 된다.
이 1트랙에는 자기 헤드의 트레이스 방향(도 1에 있어서 좌측으로부터 우측 방향)으로 ITI 섹터, 음성 섹터, 영상 섹터, 서브 코드 섹터가 순차 배치되고, ITI 섹터와 음성 섹터 사이에는 갭 G1이, 음성 섹터와 영상 섹터 사이에는 갭 G2가, 그리고 영상 섹터와 서브 코드 섹터 사이에는 갭 G3이 각각 형성된다.
ITI(Insert and Track Information) 섹터는 3600비트의 길이가 되고, 그 선두에는 클럭을 생성하기 위한 1400비트의 프리앰블이 배치되며, 그 다음에는 SSA (Start Sync Area)와 TIA(Track Information Area)가 1920비트분의 길이 설치되어 있다. SSA에는 TIA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해 필요한 비트 열(싱크 번호)이 배치되어 있다. TIA에는 민간용의 DV 포맷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 SP 모드 또는 LP 모드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 1프레임의 파일럿 신호의 패턴을 나타내는 정보 등이 기록되어 있다. TIA의 다음에는 280비트의 포스트앰블이 배치되어 있다.
갭 G1의 길이는 625비트분으로 되어 있다.
음성 섹터는 11550비트의 길이가 되고, 그 선두의 400비트와 최후의 500비트는 각각 프리앰블 또는 포스트앰블이 되고, 그 사이의 10650비트가 데이터(음성 데이터)가 된다.
갭 G2는 700비트의 길이가 된다.
영상 섹터는 113225비트가 되고, 그 선두의 400비트와 최후의 925비트가 각각 프리앰블 또는 포스트앰블이 되며, 그 사이의 111900비트가 데이터(영상 데이 터)가 된다.
갭 G3의 길이는 1550비트가 된다.
서브 코드 섹터는 회전 헤드가 60×1000/1001㎐의 주파수로 회전될 때 3725비트가 되고, 60㎐ 주파수로 회전될 때 3600비트가 된다. 그 중 선두의 1200비트는 프리앰블이 되고, 최후의 1325비트(회전 헤드가 60×1000/1001㎐의 주파수로 회전되는 경우), 또는 1200비트(회전 헤드가 60㎐의 주파수로 회전되는 경우)가 되고, 그 사이의 1200비트가 데이터(서브 코드)가 된다.
DV 포맷에 있어서는, 이와 같이, ITI 섹터, 음성 섹터, 영상 섹터 및 서브 코드 섹터 사이에 갭 G1 내지 G3이 형성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각 섹터마다 프리앰블과 포스트앰블이 설치되어 있어 소위 오버헤드가 많고, 실질적인 데이터의 기록 레이트를 충분히 얻을 수 없다는 과제가 있었다.
그 결과, 예를 들면, 고품위의 영상 데이터(이하, HD(High Definition) 영상 데이터로 칭함)를 기록하기 위해서는 25Mbps 정도의 비트 레이트가 필요하지만, 이 기록 포맷에서는 MPEG(Moving Picture Expert Group) 방식의 MP@HL에 대한 영상 레이트는 검색 화상용 데이터를 제외하면, 기껏해야 22Mbps 정도밖에 확보할 수 없고, 결과적으로, 표준 품위의 영상 데이터(이하, SD(Standard Definition) 영상 데이터로 칭함)는 기록할 수 있어도 HD 영상 데이터를 MP@HL, MP@H-14 방식 등으로 압축하여 기록하면 충분한 성능을 확보할 수 없다는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HD 데이터를 기록 또는 재생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자기 테이프 기록 장치는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또는 검색 데이터를 취득하는 제1 취득 수단과, 제1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데이터에 관련되는 가변 길이의 보조 데이터를 취득하는 제2 취득 수단과, 제1 취득 수단 또는 제2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데이터 중 한쪽을 제1 그룹의 데이터로서 선택하는 선택 수단과, 제1 그룹의 데이터에 관련되는 서브 코드를 포함하는 제2 그룹의 데이터를 취득하는 제3 취득 수단과, 제1 그룹의 데이터와 제2 그룹의 데이터를 자기 테이프의 트랙 상에 있어서, 양자 사이가 이격되지 않고 연속되도록 합성하는 합성 수단과, 합성 수단에 의해 합성된 데이터를 자기 테이프에 기록하기 위해서 회전 헤드에 공급하는 공급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취득 수단은 제1 그룹의 데이터로서, 영상 데이터를 그 편집 단위로 취득할 수 있다.
제2 취득 수단은 제2 그룹의 데이터로서, 음성 데이터에 관한 보조 데이터와, 영상 데이터에 관한 보조 데이터를 취득하고, 합성 수단은 음성 데이터에 관한 보조 데이터, 음성 데이터, 영상 데이터에 관한 보조 데이터, 그리고 영상 데이터의 순서로 배치되도록 각각 합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 취득 수단은 프리 재생에 필요한 보조 데이터를 또한 취득하고, 합성 수단은 프리 재생에 필요한 보조 데이터를, 영상 데이터의 편집 단위의 선두에 배치되도록 합성할 수 있다.
프리 재생에 필요한 보조 데이터는 서브 코드 섹터에 기록되어 있는 내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4에 기재된 자기 테이프 기록 장치이다.
본 발명의 자기 테이프 기록 방법은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또는 검색 데이터를 취득하는 제1 취득 단계와, 제1 취득 단계의 처리로 취득된 데이터에 관련되는 가변 길이의 보조 데이터를 취득하는 제2 취득 단계와, 제1 취득 단계의 처리 또는 제2 취득 단계의 처리로 취득된 데이터 중 한쪽을 제1 그룹의 데이터로서 선택하는 선택 단계와, 제1 그룹의 데이터에 관련되는 서브 코드를 포함하는 제2 그룹의 데이터를 취득하는 제3 취득 단계와, 제1 그룹의 데이터와 제2 그룹의 데이터를 자기 테이프의 트랙 상에 있어서 양자 사이가 이격되지 않고 연속되도록 합성하는 합성 단계와, 합성 단계의 처리로 합성된 데이터를 자기 테이프에 기록하기 위해서 회전 헤드에 공급하는 공급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록 매체의 프로그램은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또는 검색 데이터를 취득하는 제1 취득 단계와, 제1 취득 단계의 처리로 취득된 데이터에 관련되는 가변 길이의 보조 데이터를 취득하는 제2 취득 단계와, 제1 취득 단계의 처리 또는 제2 취득 단계의 처리로 취득된 데이터 중 한쪽을 제1 그룹의 데이터로서 선택하는 선택 단계와, 제1 그룹의 데이터에 관련되는 서브 코드를 포함하는 제2 그룹의 데이터를 취득하는 제3 취득 단계와, 제1 그룹의 데이터와 제2 그룹의 데이터를 자기 테이프의 트랙 상에 있어서 양자 사이가 이격되지 않고 연속되도록 합성하는 합성 단계와, 합성 단계의 처리로 합성된 데이터를 자기 테이프에 기록하기 위해서 회전 헤드에 공급하는 공급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자기 테이프의 포맷은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혹은 검색 데이 터,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혹은 검색 데이터에 관련되는 가변 길이의 보조 데이터의 제1 그룹의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혹은 검색 데이터에 관련되는 서브 코드를 포함하는 제2 그룹의 데이터가 트랙 상에 있어서, 양자 사이가 이격되지 않고 연속되도록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자기 테이프 기록 장치, 자기 테이프 기록 방법 및 기록 매체의 프로그램에 있어서는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또는 검색 데이터가 취득되고, 취득된 데이터에 관련되는 가변 길이의 보조 데이터가 취득되고, 취득된 데이터 중 한쪽이 제1 그룹의 데이터로서 선택되고, 제1 그룹의 데이터에 관련되는 서브 코드를 포함하는 제2 그룹의 데이터가 취득되고, 제1 그룹의 데이터와 제2 그룹의 데이터가 자기 테이프의 트랙 상에 있어서 양자 사이가 이격되지 않고 연속되도록 합성되고, 합성된 데이터가 자기 테이프에 기록된다.
본 발명의 자기 테이프 재생 장치는 제1 그룹의 데이터로서의 압축되어 있는 고품위 혹은 표준의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또는 검색 데이터에 관련되는 가변 길이의 보조 데이터, 또는 제1 그룹의 데이터에 관련되는 서브 코드를 포함하는 제2 그룹의 데이터를 취득하는 취득 수단과,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보조 데이터 또는 제2 그룹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회전 헤드에 의해 자기 테이프로부터 재생된 데이터 중, 압축되어 있는 고품위의 영상 데이터를 압축 해제하는 압축 해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자기 테이프 재생 방법은 제1 그룹의 데이터로서의 압축되어 있는 고품위 혹은 표준의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또는 검색 데이터에 관련되는 가변 길이의 보조 데이터, 또는 제1 그룹의 데이터에 관련되는 서브 코드를 포함하는 제2 그룹의 데이터를 취득하는 취득 단계와, 취득 단계의 처리로 취득된 보조 데이터 또는 제2 그룹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회전 헤드에 의해 자기 테이프로부터 재생된 데이터 중, 압축되어 있는 고품위의 영상 데이터를 압축 해제하는 압축 해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록 매체의 프로그램은 제1 그룹의 데이터로서의 압축되어 있는 고품위 혹은 표준의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또는 검색 데이터에 관련되는 가변 길이의 보조 데이터, 또는 제1 그룹의 데이터에 관련되는 서브 코드를 포함하는 제2 그룹의 데이터를 취득하는 취득 단계와, 취득 단계의 처리로 취득된 보조 데이터 또는 제2 그룹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회전 헤드에 의해 자기 테이프로부터 재생된 데이터 중, 압축되어 있는 고품위의 영상 데이터를 압축 해제하는 압축 해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자기 테이프 재생 장치, 자기 테이프 재생 방법 및 기록 매체의 프로그램에 있어서는 제1 그룹의 데이터로서의 압축되어 있는 고품위 혹은 표준의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또는 검색 데이터에 관련되는 가변 길이의 보조 데이터, 또는 제1 그룹의 데이터에 관련되는 서브 코드를 포함하는 제2 그룹의 데이터가 취득되고, 취득된 보조 데이터 또는 제2 그룹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회전 헤드에 의해 자기 테이프로부터 재생된 데이터 중, 압축되어 있는 고품위의 영상 데이터가 압축 해제된다.
도 2는 본 발명을 적용한 자기 테이프 기록 재생 장치의 기록계의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영상 데이터 압축부(1)는 입력된 HD 영상 신호를 MP@HL 혹은 MP@H-14 등의 MPEG 방식으로 압축한다.
음성 데이터 압축부(2)는 HD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음성 신호를, 예를 들면, MPEG1 layer2 혹은 AAC에 준거한 방식 등의 음성 압축을 행한다. 이에 따라, 음성 신호는 256Kbps 내지 384Kbps로 압축된다.
단자(3)에는 AUX(보조) 데이터나, 서브 코드 데이터 등으로 구성되는 시스템 데이터가 컨트롤러(13)로부터 입력된다. 시스템 데이터란 영상, 음성의 부가 데이터로서 외부로부터 입력된 저작권, 촬영 상황 등의 텍스트 정보, 검색이나 편집 등을 보조하는 타이틀 타임 코드(TTC), 트랙 위치 정보, 장치의 설정 정보 등을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스위치(4)는 컨트롤러(13)에 의해 전환되어 영상 데이터 압축부(1)의 출력, 음성 데이터 압축부(2)의 출력, 또는 단자(3)로부터 공급되는 시스템 데이터를 소정의 타이밍에서 적절하게 선택하고, 오류 부호ID 부가부(5)에 공급한다.
오류 부호 ID 부가부(5)는 스위치(4)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에 오류 검출 정정 부호나 ID를 부가하고, 16트랙 사이에서의 인터리브 처리를 실시하여 24-25 변환부(6)로 출력한다.
24-25 변환부(6)는 트랙킹용의 파일럿 신호의 성분이 강하게 출현하도록 선택된 중복된 1비트를 부가함으로써, 입력된 24비트 단위의 데이터를 25비트 단위의 데이터로 변환한다.
싱크 발생부(7)는 후술하는 메인 데이터(도 9) 또는 서브 코드(도 22)에 부가되는 싱크 데이터 및 앰블의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스위치(8)는 컨트롤러(13)에 의해 제어되어 24-25 변환부(6)의 출력 또는 싱크 발생부(7)의 출력의 한쪽을 선택하고, 변조부(9)로 출력한다.
변조부(9)는 스위치(8)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를 자기 테이프(21)에 기록하는 데 적합한 방식(DV 포맷에 있어서의 경우와 동일한 방식)으로 변조하고, 병렬 직렬(P/S) 변환부(10)에 공급한다.
병렬 직렬 변환부(10)는 입력된 데이터를 병렬 데이터로부터 직렬 데이터로 변환한다.
증폭기(11)는 병렬 직렬 변환부(10)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증폭하고, 회전 드럼(도시하지 않음)에 부착되어 회전되는 회전 헤드(12)에 공급하고, 자기 테이프(21)에 기록시킨다
도 3은 자기 테이프(21)에 회전 헤드(12)에 의해 형성되는 트랙의 포맷을 나타내고 있다. 회전 헤드(12)는 도 3에서 우측 아래로부터 좌측 위 방향으로 자기 테이프(21)를 트레이스함으로써, 자기 테이프(21)의 길이 방향에 대해 경사진 트랙을 형성한다. 자기 테이프(21)는 도 3에서 우측으로부터 좌측 방향으로 이송된다.
각 트랙은 거기에 기록되는 트랙킹 제어를 위한 파일럿 신호의 종류에 따라서, F0, F1 또는 F2 중 어느 하나가 된다. 트랙은 F0, F1, F0, F2, F0, F1, F0, F2의 순으로 형성된다.
트랙 F0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파수 f1, f2의 파일럿 신호가 어 느 것도 기록되어 있지 않다. 이것에 대해 트랙 F1에,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파수 f1의 파일럿 신호가 기록되어 있고, 트랙 F2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파수 f2의 파일럿 신호가 기록되어 있다.
주파수 f1, f2는 각각 채널 비트의 기록 주파수의 1/90 또는 1/60의 값으로 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랙 F0의 주파수 f1, f2에 있어서의 노치부의 깊이는 9㏈로 되어 있다. 이것에 대해, 도 5 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파수 f1, 또는 주파수 f2의 파일럿 신호의 CNR(Carrier to Noise Ratio)는 16㏈보다 크고, 19㏈보다 작은 값이 된다. 그리고 그 주파수 f1, f2의 노치부의 깊이는 3㏈보다 큰 값이 된다.
이 주파수 특성을 갖는 트랙 패턴은 DV 포맷과 마찬가지의 트랙 패턴이다. 또한, 기록 레이트는 1초 동안에 300트랙으로 하는 약 40Mbps이다. 따라서, 민간용 디지털 영상 테이프 리코더의 자기 테이프, 회전 헤드, 구동계, 복조계, 제어계가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각 트랙에는 트랙쌍 번호가 설정되어 있다. 트랙쌍 번호는 트랙쌍이 되는 플러스측의 아지머스(azimuth)와 마이너스측의 아지머스의 두 개의 헤드에 의해 주사되는 두 개의 트랙에 주어지는 번호이다. 도 3의 예에서는 0번 내지 31번의 트랙쌍 번호가 주어지고, 인터리브되는 16트랙의 선두의 트랙쌍에는 0번, 8번, 16번, 또는 24번(16번 및 24번이 설정된 트랙쌍은 도시되어 있지 않음)의 트랙쌍 번호가 설정된다.
도 7은 각 트랙의 섹터 포맷(섹터 배치)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 7에 있어서, 각 부의 길이의 비트 수는 24-25 변환 후의 길이로 표시되어 있다. 1트랙의 길이는 회전 헤드(12)가 60×1000/1001㎐의 주파수로 회전되면 134975비트가 되고, 60㎐의 주파수로 회전될 때 134850비트가 된다. 1트랙의 길이란 자기 테이프(21)의 174도의 권선각에 대응하는 길이이고, 그 뒤에는 1250비트의 오버라이트 마진이 형성된다. 이 오버라이트 마진은 소거 잔여를 방지하는 것이다.
도 7에 있어서, 회전 헤드(12)는 좌측으로부터 우측 방향으로 트랙을 트레이스한다. 그 선두에는 1800비트의 프리앰블이 배치되어 있다. 이 프리앰블에는 클럭을 생성하는 데 필요한,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은 패턴 A와 패턴 B로 나타내는 데이터가 조합되어 기록된다. 패턴 A와 패턴 B는 각각의 0과 1의 값이 역이 되는 패턴으로 되어 있다. 이 패턴을 적당하게 조합함으로써,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트랙 F0, F1, F2의 트랙킹 패턴을 실현할 수 있다. 또, 이 도 8의 트랙 패턴은 도 2의 24-25 변환부(6)에 의해 24-25 변환된 후의 패턴을 나타내고 있다.
1800비트의 프리앰블의 다음에는 130425비트의 길이의 메인 섹터가 배치되어 있다. 이 메인 섹터의 구조는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이 메인 섹터는 통상 재생 및 검색 재생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섹터는 141개의 싱크 블럭으로 구성되고, 각 싱크 블럭의 길이는 888비트(111바이트)가 된다.
141개의 싱크 블럭 중 123개의 싱크 블럭은 16비트의 싱크, 24비트의 ID, 8 비트의 싱크 블럭(SB) 헤더, 760비트의 메인 데이터, 그리고 80비트의 패리티 C1이 된다.
싱크는 싱크 발생부(7)에 의해 발생된다.
ID는, 도 10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1바이트의 길이의 3개의 ID0 내지 ID2로 구성되어 있다.
ID0의 b7 내지 b0 중, b7 내지 b5에는 트랙의 포맷 타입이 정의되고, b4 내지 b0에는 트랙쌍 번호가 표시되어 있다.
트랙 포맷은, 도 7에 도시한 것 외에, 예를 들면, ITI 섹터가 또한 설치되고, 메인 섹터가 139 싱크 블럭으로 이루어지는 포맷이나, ITI 섹터 및 7개의 싱크 블럭의 후 기록용 섹터가 또한 설치되며, 메인 섹터가 129 싱크 블럭으로 이루어지는 포맷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즉, ID0의 b7 내지 b5에는 이용 가능한 포맷을 식별하기 위한 ID 등이 배치된다. 이와 같이, 트랙 포맷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해 둠으로써, 포맷에 적응된 복조 처리를 실행할 수 있어 데이터를 적절하게 재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ID1에는 싱크 블럭 번호가 배치된다.
ID2에는 메인 섹터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가 신규로 기록된 것인지(아무것도 기록되어 있지 않은 곳에 처음으로 기록된 것인지), 또는 오버라이트된 것인지(어떠한 데이터에 오버라이트된 것인지)를 나타내는 정보가 오버라이트 프로텍트로서 배치된다. 예를 들면, 오버 라이트를 하는 경우에 있어서, 기초 데이터가 헤드의 순간 클럭 등에 의해 남아 있을 때, 새롭게 기록되는 데이터가 그 패리티 C1이 성립됨으로써 정정(정정부)된다. 그래서, 그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이 오버라이트 프로텍트에 의해 새롭게 기록된 데이터와 구별하고, 예를 들면, 기초 데이터로 판단되었을 때, 이 싱크 블럭을 전부 무효(버스트 에러 취급)로 하여 패리티 C2에 의해 이레이저 정정을 행할 수 있다.
도 10의 (B)는 141 싱크 블럭의 각각에 포함되는 ID0 내지 ID2를 나타내고 있다. ID0 내지 ID2는 오류 부호 ID 부가부(5)에 의해 부가된다.
SB 헤더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b7 내지 b0의 8비트로 구성되어 있다. b7 내지 b0 중, b7 내지 b5에는 메인 데이터의 종류(예를 들면, 음성 데이터, 영상 데이터, 검색용의 영상 데이터, 트랜스포트 스트림의 데이터, AUX 데이터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나타내는 소정의 값이 설정되고, b4 내지 b0에는 그 메인 데이터의 상세를 나타내는 소정의 값이 설정된다.
b7 내지 b5에 있어서의 값 0은 메인 데이터가 MPEG2에 준거한 프로그램 엘리멘터리 스트림(PES)의 포맷에 준거한 영상 데이터(PES 영상 데이터)인 것을 나타내고, 값 1은 PES의 포맷에 준거한 음성 데이터(PES 음성 데이터)인 것을 나타낸다. 이 경우, b4 내지 b0 중, b4에는 데이터(영상 데이터 또는 음성 데이터)가, 파셜(95바이트 미만)인지 풀(95바이트) 인지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배치되고, b3 내지 b0에는 카운트치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배치된다.
b7 내지 b5에 있어서의 값 2는 메인 데이터가 검색용 데이터인 것을 나타낸다. 이 경우, b4 내지 b0 중, b4에는 그 검색용 데이터가 영상 데이터인지 음성 데이터인지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배치된다. 또한, b3 내지 b1에는 검색 속도를 나 타내는 데이터가 배치된다. 예를 들면,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b3 내지 b1에 있어서의 값 1은 4배속을 나타내고, 값 2는 8배속을 나타내고, 값 4는 16배속을 나타내며, 그리고 값 5는 32배속을 나타낸다. 또, 회전 헤드(드럼)의 회전수를 추종형으로 함으로써, 각 배속의 적응 속도(드럼 회전수에 대응한 속도)를 확대한 검색이 가능해진다. 또한, 검색용의 영상 데이터는 I화상의 고영역 성분을 제거한 저비트 레이트의 데이터이다.
도 11로 되돌아가, b7 내지 b5에 있어서의 값 3은 메인 데이터가 AUX(보조) 데이터인 것을 나타낸다. 이 경우, b4 내지 b0 중, b4 내지 b2에는, 예를 들면,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AUX 데이터의 종류(AUX 모드)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배치된다.
즉, b4 내지 b2에 있어서의 값 0은 AUX 데이터가 PES 영상 데이터에 관한 AUX 데이터인 것(도 11 중, AUX-V)을 나타내고, 값 1은 PES 음성 데이터에 관한 AUX 데이터인 것(AUX-A)을 나타낸다. 값 2는 AUX 데이터가 트랜스포트 스트림의 형태로 기록되어 있는 것 중의 전반 부분의 데이터에 대응하는 PSI(프로그램 사양 정보)인 것(PES-PS11)을 나타내고, 값 3은 그 후반 부분의 데이터에 대응하는 PSI인 것(PES-PSI2)을 나타낸다. 그리고 값 4는 AUX 데이터가 도 14,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은 각각 키워드 번호가 설정되어 있는 소정의 데이터(시스템 데이터로 칭함)인 것(System)을 나타낸다. 또, 상세는 후술하지만, 도 14는 그 데이터량이 고정인 시스템 데이터를 나타내고 있고, 도 15는 그 데이터량이 가변되는 시스템 데이터를 나타내고 있다.
도 11에 재차 되돌아가, b7 내지 b5에 있어서의 값 4는 메인 데이터가 트랜스포트 스트림의 형태로 기록되어 있는 것 중의 전반 부분인 것을 나타낸다. 이 경우, b4, b3에는 점프 플래그가 배치되고, b2 내지 b0에는 타임 스탬프가 배치된다. 또한, b7 내지 b5에 있어서의 값 5는 메인 데이터가 트랜스포트 스트림의 형태로 기록되어 있는 것 중의 후반 부분인 것을 나타낸다. 이 경우의, b4 내지 b0에는 카운트치가 배치된다.
b7 내지 b5에 있어서의 값 6은 메인 데이터로서 어떠한 데이터도 기록되어 있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즉, NULL을 나타낸다. 이 NULL은 메인 데이터의 평균총량이 기록 가능 레이트보다 적을 때에 삽입된다. 예를 들면, 트랜스포트 스트림 기록에서 레이트가 20Mbps인 경우 약 5Mbps분의 NULL이 삽입된다.
상술한 SB 헤더의 데이터는 단자(3)로부터 컨트롤러(13)로부터 공급된다.
메인 섹터의 메인 데이터는 영상 데이터 압축부(1)로부터 공급되는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압축부(2)로부터 공급되는 음성 데이터, 혹은 단자(3)를 통해 컨트롤러(13)로부터 공급된 AUX 데이터(시스템 데이터)이다.
여기서, 시스템 데이터(SB 헤더의 b7 내지 b5에 값 3으로 설정되며, 또한, b4 내지 b2에 값 0(AUX-V), 값 1(AUX-A), 또는 값 4(System)가 설정된 메인 섹터에 메인 데이터 및 서브 코드 섹터의 데이터부로서 기록된 AUX 데이터의 패킷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시스템 데이터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은 고정 길이인 경우, 도 1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키워드 번호 등을 포함하는 헤더부(1바이트의 키워드)와, 그 키워드 번호에 대응하는 시스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부[고정 길이(4바이트)]로 구성된다. 또한, 시스템 데이터가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은 가변 길이인 경우, 도 1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더부(1바이트의 키워드), 데이터 길이를 나타내는 데이터 길이부(1바이트) 및 데이터부[가변 길이(n바이트)]로 구성된다.
또한, 이 예의 경우, 복수의 시스템 데이터를 메인 섹터에 기록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시스템 데이터가 고정 길이일 때는 도 16의 (B) 내지 도 16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또한, 가변 길이일 때는 도 17의 (B) 내지 도 17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헤더부가 설치된다.
헤더부의 1바이트(b7 내지 b0의 8비트) 중, b7에는 다른 헤더부가 계속해서 배치되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배치된다. 예를 들면, 도 16의 예에서의 헤더부 F1(도 16의 (A)), 헤더부 F12(도 16의 (B)), 헤더부 F23(도 16의 (C)), 또는 헤더부 FK(도 16의 (D))와 같이, 또한 도 17의 예에서의 헤더부 X1(도 17의 (A)), 헤더부 X12(도 17의 (B)), 헤더부 X23(도 17의 (C)), 또는 헤더부 XK(도 17의 (D))와 같이, 다음에 다른 헤더부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헤더부의 b7에는 값 0이 설정된다.
한편, 도 16의 예에서의 헤더부 F11, 헤더부 F21, F22, 또는 헤더부 F31 …(헤더부 FK를 제외함)과 같이, 또한, 도 17의 예에서의 헤더부 X11, 헤더부 X21, X22, 또는 헤더부 X31 …(헤더부 XK를 제외함)과 같이, 다음에 다른 헤더부가 배치되는 헤더부의 b7에는 값 1이 설정된다.
또한, 헤더부의 b7 내지 b0 중, b6 내지 b0에 배치되는 데이터는 선두에 배 치되는 헤더부(도 16의 예에서는 헤더부 F1, 헤더부 F11, 헤더부 F21, 또는 헤더부 F31, 도 17의 예에서는 헤더부 X1, 헤더부 X11, 헤더부 X21, 또는 헤더부 X31)와, 2번째 이후에 배치되는 헤더부(도 16의 예에서는, 헤더부 F12, 헤더부 F22, F23, 또한 헤더부 F32 내지 FK, 도 17의 예에서는 헤더부 X12, 헤더부 X22, X23, 또는 헤더부 X32 내지 XK)에 의해 다르다.
선두에 배치되는 헤더부의 b6 내지 b0 중, b6에는 시스템 데이터가 고정 길이인지 가변 길이인지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배치된다. 즉, 도 16에 있어서의 헤더부 F1, 헤더부 F11, 헤더부 F21, 또는 헤더부 F31의 b6에는 고정 길이인 것을 나타내는 값 0이 설정되고, 도 17에 있어서의 헤더부 X1, 헤더부 X11, 헤더부 X21, 또는 헤더부 X31의 b6에는 가변 길이인 것을 나타내는 값 1이 설정된다.
선두에 배치되는 헤더부의 남은 b5 내지 b0에는, 도 14에 도시한 키워드 번호(0번 내지 63번), 즉, 고정 길이의 시스템 데이터의 키워드 번호가 설정된다.
한편, 2번째 이후의 배치되는 헤더부의 경우, 그 b6 내지 b0에는 도 15에 도시하는 키워드 번호(64번 내지 127번), 즉, 가변 길이의 시스템 데이터의 번호가 설정된다.
도 18은 상술한 선두의 헤더부(도 18의 (A)) 및 2번째 이후의 헤더부(도 18의 (B))의 b7 내지 b6에 배치되는 데이터를 정리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19는 고정 길이의 시스템 데이터(도 14, 도 16)를, 도 20은 가변 길이의 시스템 데이터(도 15, 도 17)를 비트 배열에 대응하여 나타낸 것이다.
또, 상술한 시스템 데이터는 후술하는 서브 코드 섹터에 서브 코드 데이터로 서도 기록된다.
패리티 C1(도 9)은 각 싱크 블럭마다 ID, SB 헤더 및 메인 데이터로부터 오류 부호 ID 부가부(5)에 있어서 계산되어 부가된다.
141 싱크 블럭 중 18 싱크 블럭은 싱크, ID, 패리티 C2 및 C1이 된다. 패리티 C2는, 도 9에 있어서, SB 헤더 또는 메인 데이터를 각각 세로 방향으로 계산함으로써 구해진다. 이 연산은 오류 부호 ID 부가부(5)에 있어서 행해진다. 또, 18 싱크 블럭함으로써 패리티 C2의 싱크 블럭의 수의 비율이 싱크 블럭의 수(141)에 대해 12.7%(=18/141)가 되고, 연속 에러의 정정 능력을 2트랙 이상으로 하기 위해서 필요한 비율[12.5%(=2트랙/16트랙)]보다도 크게 할 수 있다.
도 21은 24-25 처리 전의 메인 데이터로서 기록되는 AUX 데이터,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검색 데이터, 패리티 C1 및 패리티 C2의 평균치를 나타내고 있다.
AUX 데이터,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그리고 검색 데이터에 대한 평균치로서의 싱크 블럭 수는 각각 7.5 싱크 블럭, 113 싱크 블럭, 1.75 싱크 블럭, 그리고 7.5 싱크 블럭이 된다. 즉, 평균치로서의 비트 레이트는 하기와 같이 구해진다.
AUX 데이터=95바이트×0.75SB×300트랙×8비트=171kbps
영상 신호=95바이트×113SB×300트랙×8비트=25.764Mbps
음성 신호=95바이트×1.75SB×300트랙×8비트=339kbps
검색 데이터=95바이트×7.5SB×300트랙×8비트=1710kbps
결국, 그 합계는 28.044(=171kbps+25.764Mbps+339kbps+1710kbps)Mbps가 되고, MP@HL 또는 MP@ H-14에 의한 HD 영상 데이터, 음성 압축 데이터, AUX 데이터, 검색용의 영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데 충분한 레이트가 된다. 또, 95바이트는 1 싱크 블럭에 있어서의 SB 헤더와 메인 데이터의 데이터량이다.
메인 섹터의 다음에는 1250비트의 서브 코드 섹터(도 7)가 배치되어 있다. 이 서브 코드 섹터의 구성은 도 22에 도시되어 있다.
1트랙의 서브 코드 섹터는 1250비트의 길이(24-25 변환 후의 길이)이고, 10개의 서브 코드 싱크 블럭으로 구성되어 있다.
1서브 코드 싱크 블럭은 16비트의 싱크, 24비트의 ID, 40비트의 서브 코드 데이터 및 40비트의 패리티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즉, 1서브 코드 싱크 블럭의 길이는 120비트(24-25 변환되기 전의 값)이고, 상술한 메인 섹터의 1 싱크 블럭의 길이 (888비트)에 대해 약 1/7의 길이이다. 이와 같이, 데이터 길이를 짧게 함으로써, 예를 들면, 200배속 정도의 고속 재생에 있어서도 서브 코드 싱크 블럭의 내용을 확실하게 판독할 수 있게 되어 고속 검색이 가능해진다.
싱크는 메인 섹터에 부가되는 싱크와는 다른 것으로, 이 싱크에 의해 메인 섹터와 서브 섹터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싱크는 도 2의 싱크 발생부(7)에 의해 부가된다.
싱크 블럭의 ID는, 도 2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1바이트마다 3개의 ID0 내지 ID2로 구성되어 있다.
ID0에는 도 10의 (A)의 메인 섹터의 ID0과 동일하게 포맷 타입 및 트랙쌍 번 호가 각각 정의되어 있다.
ID1의 b7 내지 b0 중, b3 내지 b0에는 서브 코드 싱크 블럭의 번호가 배치된다. b7 내지 b4는 예비 비트이다.
싱크 블럭 번호는 1트랙의 서브 코드 섹터에 포함되는 10개의 서브 코드 싱크 블럭의 각각에 주어지는 0번 내지 9번의 번호이다.
ID2에는 메인 섹터에 있어서의 ID2와 마찬가지로, 오버라이트 프로텍트가 배치된다. 또 서브 코드 섹터에 있어서는, 이 ID2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가 기초인 것을 나타내고 있는 경우, 싱크 블럭을 전부 무효로 하여(취득할 수 없는 것으로 하여) 처리가 실행된다.
도 23의 (B)는 10의 서브 코드 싱크 블럭에 포함되는 ID0 내지 ID2가 도시되어 있다. ID0 내지 ID2는 오류 부호 ID 부가부(5)에 의해 부가된다.
서브 코드 싱크 블럭의 ID의 다음에 배치되어 있는 서브 코드 데이터는 도 14에 도시한 소위 고정 길이의 시스템 데이터가 된다. 즉, 도 16,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은 형태로 기록된다. 또한, 서브 코드 데이터는, 예를 들면, 사용자 테이프의 경우와 Pre-REC 테이프의 경우에 그 종류가 다르다. 사용자 테이프의 경우에는, 도 2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이프 위치 정보(ATNF), 타이틀 타임 코드(TTC), 기록 연월일, 또는 기록 시간이 서브 코드 데이터가 되고, Pre-REC 테이프의 경우에는, 도 2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이프 위치 정보, 타이틀 타임 코드, 파트 번호, 또는 챕터 개시 위치가 서브 코드 데이터가 된다. 즉, Pre-REC 테이프의 경우, 사용자 테이프의 경우에 있어서의 기록 연월일 대신에 파트 번 호가, 그리고 기록 시각 대신에 챕터 개시 위치가 서브 코드 데이터에 포함된다.
서브 코드 데이터는 도 2의 단자(3)를 통해 컨트롤러(13)로부터 공급된다.
도 25는 DV 포맷(종래)의 서브 코드 싱크의 ID 및 서브 코드 데이터의 데이터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기록되는 데이터 위치 정보(ATNF 중의 EPO) 등이 기록되도록 이루어져 있지 않다.
서브 코드 데이터의 다음에는 40비트의 패리티가 부가되어 있다. 이 패리티는 오류 부호 ID 부가부(5)에 의해 부가되는 것이다.
서브 코드 섹터의 다음에는 포스트앰블(도 7)이 배치된다. 이 포스트앰블도 도 8에 도시한 패턴 A와 패턴 B를 조합함으로써 기록된다. 그 길이는 60×1000/1001㎐에 동기할 때 1500비트가 되고, 50㎐에 동기할 때 1375비트가 된다.
다음에,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한 시스템 데이터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4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 길이의 시스템 데이터가 키워드 번호와 함께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키워드 번호가 4번인 테이프 위치 정보(ATNF)는 23비트의 절대 위치(ATN), 1비트의 브레이크 플래그(B플래그) 및 8비트의 편집 정보로 이루어지는 고정 길이의 시스템 데이터이다.
절대 위치(ATN)는 트랙의 테이프 선두로부터의 거리(절대 위치 : Absolute Track number)를 나타낸다.
B플래그는 절대 위치(예를 들면, 번호)가 연속되어 있을 때에 "0"이 설정되고, 연속하지 않을 때에 "1"이 설정되는 플래그이다. 이것으로부터 기록이 혼재되 고, 절대 위치가 연속되지 않은 경우에 있어서도 단조 증가의 번호를 부여할 수 있게 된다. 즉, 번호가 앞으로 되돌아가지 않기 때문에, 검색을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
편집 정보는,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b7 내지 b0의 8비트로 구성되어 있다. b7에는 I플래그가 배치되어 있다. I플래그는 서브 코드 섹터에 대응하는 메인 섹터에 검색하고 싶은 장소를 나타내는 정보(기록시에 지정되어 있는 장소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때 "1"이 설정되는 플래그이다. 이에 따라, 검색 위치가 검출된다.
b5에는 P플래그가 배치되어 있다. 이 P플래그는 서브 코드 섹터에 대응하는 메인 섹터에 정지 화상의 기록 개시 영상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1"이 설정되는 플래그이다. 이것에 의해, 정지 화상의 기록 위치가 검출된다.
b4에는 EH 플래그가 배치되어 있다. EH 플래그는 서브 코드 섹터에 대응하는 메인 섹터에 I화상 또는 P화상이 기록되어 있을 때 "1"이 설정되는 플래그이다. 통상, 연속 촬영 등의 편집은 I화상이나 P화상으로부터 개시되기 때문에, 이 EH 플래그에 의해 편집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남은 b3 내지 b0에는 편집 화상 헤더 오프셋(EPO)이 배치되어 있다. 이 EPO는 서브 코드 섹터가 대응하는 메인 섹터의 위치를 16트랙을 1단위로서 나타낸다. 도 27을 참조하여, EPO에 대해 또한 설명한다. 도 27의 예에서는 TTC가 값 0으로 되어 있는 서브 코드 섹터에 대한 EPO는 값 5이고, 또한 그 서브 코드 섹터는 ECC 번호(16트랙마다의 번호)가 번호 6인 소정의 트랙에 배치되어 있다. 즉, 이 서브 코드 섹터에 대응하는 메인 섹터는 서브 코드 섹터가 배치되어 있는 트랙보다 EPO의 값 5×16트랙분만큼 선행하는 트랙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알았다. 이에 따라, 편집점이 되는 I화상이나 P화상이 실제로 어느 곳의 메인 섹터에 기록되어 있는지를 검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시스템 데이터는 상술한 바와 같이 메인 섹터 및 서브 코드 섹터에 기록된다.
다음에, 도 15에 도시한 가변 길이의 AUX 데이터에 대해 설명한다. 또, 이 AUX 데이터는 메인 섹터에만 기록된다.
예를 들면, 키워드 번호가 80번인 ECCTB(트랙 블럭)는 도 28에 있어서 ○로 표시되어 있는 복수의 AUX 데이터를 포함하는 패킷이고, 거기에는, 도 14에 도시되는 고정 길이의 AUX 데이터(데이터 위치 정보(ATNF), TTC 등) 등도 포함되어 있다. 예를 들면, 3바이트의 음성 모드로서,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성 프레임 사이즈(3비트), 샘플 주기(3비트) 등이 포함되며, 또한, 영상 모드로서,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영상 레이트(24비트) 등의 데이터가 포함된다. 또한, DATA-H로서,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의 종류 등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된다.
다음에, 도 2의 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HD 영상 신호는 검색용의 영상 데이터(썸네일의 영상 데이터)와 함께 영상 데이터 압축부(1)에 입력되어, 예를 들면, MP@HL 또는 MP@H-14 방식으로 압축된다. 음성 신호는 음성 데이터 압축부(2)에 입력되어 압축된다. 단자(3)에는 컨트롤러(13)로부터 서브 코드 데이터, AUX 데이터, 헤더 등이 공급된다.
스위치(4)는 컨트롤러(13)에 의해 제어되어 영상 데이터 압축부(1)로부터 출력된 영상 데이터(검색용의 영상 데이터를 포함함), 음성 데이터 압축부(2)로부터 출력된 음성 데이터, 혹은, 단자(3)로부터 입력된 시스템 데이터를 소정의 타이밍에서 받아들여 오류 부호 ID 부가부(5)로 출력함으로써 이들 데이터를 합성한다.
오류 부호 ID 부가부(5)는 메인 섹터의 도 9에 도시한 각 싱크 블럭에 24싱크의 ID를 부가한다. 또한, 도 9에 도시한 패리티 C1을 각 싱크 블럭마다 계산하여 부가함과 함께, 141 싱크 블럭 중 18 싱크 블럭에는 SB 헤더와 메인 데이터 대신에 패리티 C2를 부가한다.
또한, 오류 부호 ID 부가부(5)는,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브 코드 데이터의 각 서브 코드 싱크 블럭마다 24비트의 ID를 부가함과 함께, 40비트의 패리티를 연산하여 부가한다.
오류 부호 ID 부가부(5)는, 또한, 메인 섹터의 16트랙분의 데이터를 보유하고, 이들의 데이터를 16트랙 사이에서 인터리브한다.
24-25 변환부(6)는 오류 부호 ID 부가부(5)로부터 공급된 24비트 단위의 데이터를 25비트 단위의 데이터로 변환한다. 이에 따라,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주파수 f1, f2의 트랙킹의 파일럿 신호의 성분이 강하게 출현하게 된다.
싱크 발생부(7)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섹터의 각 싱크 블럭에 16비트의 싱크를 부가한다. 또한, 싱크 발생부(7)는,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브 코드 섹터의 각 서브 코드 싱크 블럭에 16비트의 싱크를 부가한다. 또한, 싱크 발생부(7)는 도 8에 도시한 프리앰블 또는 포스트앰블의 런 패턴을 발생시킨다.
이들의 데이터의 부가(합성)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컨트롤러(13)가 스위치(8)를 전환하여 싱크 발생부(7)로부터 출력된 데이터와, 24-25 변환부(6)가 출력한 데이터를 적절하게 선택하여 변조부(9)에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행해진다.
변조부(9)는 입력된 데이터를 DV 포맷으로 대응하는 방식으로 변조하고, 병렬 직렬 변환부(10)로 출력한다. 병렬 직렬 변환부(10)는 입력된 데이터를 병렬 데이터로부터 직렬 데이터로 변환하고, 증폭기(11)를 통해 회전 헤드(12)에 공급한다. 회전 헤드(12)는 입력된 데이터를 자기 테이프(21)에 기록한다.
도 32는, 이상과 같이 처리된 결과, 자기 테이프(21)에 기록되어 있는 GOP 구조가 N=15(15화상마다 I화상이 배열됨), M=3(3화상마다 P화상이 배치됨) 데이터의 기록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즉, M의 값으로 나타내는 수분의 화상을 하나의 단위로서 그 화상에 관련되는 AUX 데이터(도 32 중, U로 표시되어 있는 부분), 그 화상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도 32 중, A로 표시되어 있는 부분) 및 그 음성 데이터에 관련되는 AUX 데이터(도 32 중, X로 표시되어 있는 부분)가 인터리브되는 16트랙의 선두에 통합되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그 후에 1단위분의 화상(이 예의 경우, 3화상)이 배치되어 있다.
즉, 가변 길이의 AUX 데이터를 준비하고, 그것을 메인 섹터에 기록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이와 같이 AUX 데이터를 소정의 단위분의 화상마다 통합하여 기록할 수 있고, 그 결과, 효율적으로 AUX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서부 코드 섹터에 거기에 기록되어 있는 AUX 데이터(고정 길이의 데이터)에 대응하는 메인 섹터까지의 거리를 나타낸 EPO를 기록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용이하게 대응하는 메인 섹터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3은 목적으로 하는 TTC의 값을 EPO로 보정하고, 그 값을 이용하여 대응하는 메인 섹터를 검출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EPO는 하기에 식으로 구할 수 있다.
EP0= 편집점의 서브 코드_TTC의 기록 트랙 번호 / 16-서브 코드_TTC에 해당 하는 메인 PIC_TTC의 기록 트랙 번호/16
1/16은 ECC 블럭 번호로 변환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서브 코드_TTC는 10트랙에서 동일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기 때문에 평균 프레임 단위로 오프셋치를 구한다.
이에 따라, 검색 주행 중 사전(이 TTC에 도달하였을 때)에 목표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또, 이 경우, 오프셋의 히스토리 정보가 필요하게 된다(프리 재생을 짧게 하기 위해서는 ECCTB를 준비할 필요가 있음).
또한, 인터리브되는 16트랙의 선두에 AUX 데이터로서의 ECCTB(도 32 중, H로 표시되어 있는 부분)를 배치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예를 들면, 연속 촬영으로 행해지는 프리 재생 시간을 짧게 할 수 있다. 즉, 본래 프리 재생에 필요한 AUX 데이터는 서브 코드 섹터에 기록되어 있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서브 코드 섹터는 대응하는 메인 섹터에 대해 시간적으로 지연되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그것을 참조하면, 그 만큼 많은 시간이 걸리게 된다.
도 34는 화상에 관련되는 AUX 데이터(U)와 음성 데이터에 관한 AUX 데이터(X), ECCTB 및 서브 코드에 포함되는 데이터를 정리한 것이다.
도 35는 다른 방식으로 EPO를 생성하는 예이다. 이 예의 경우, EPO는 하기의 식으로 구할 수 있다.
EPO=ECC 내의 트랙 선두(=서브 코드_TTC-메인 PIC_TTC)
이것에 의해 EPO의 히스토리 정보가 없어도 연결하여 기록할 수 있다. 또한, 검색 주행 중 이 TTC에 도달한 후 오프셋 보정을 한 TTC(목표 위치)에 가깝게 갈 필요가 있다.
또한, 도 35의 예에서는, TTC가 값 0으로 되어 있는 서브 코드 섹터는 ECC6(ECC 번호가 6번)인 트랙 T0에 배치되어 있다. 즉, ECC6의 트랙 T0으로부터 9×16트랙분만큼 거슬러 올라감으로써, 대응하는 메인 섹터가 ECC0인 트랙 T0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검출할 수 있다. 또, ECC6의 각 트랙에 배치되어 있는 서브 코드 섹터에는 I화상이 기록되어 있는 메인 섹터가 대응하고 있기 때문에, EH 헤더에는 "1"이 설정되어 있다.
도 36은 이상과 같이 자기 테이프(21)에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계의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회전 헤드(12)는 자기 테이프(21)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재생하여 증폭기(41)로 출력한다. 증폭기(41)는 입력 신호를 증폭하여 A/D 변환부(42)에 공급한다. A/D 변환부(42)는 입력된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부터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복조부(43)에 공급한다. 복조부(43)는 A/D 변환부(42)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를 도 2의 변조부(9)에 있어서의 변조 방식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복조한다.
싱크 검출부(44)는 복조부(43)에 의해 복조된 데이터로부터 도 9에 도시한 메인 섹터의 각 싱크 블럭마다의 싱크 및 도 22에 도시한 서브 코드 섹터의 각 서브 코드 싱크 블럭의 싱크를 검출하고, 오류 정정 ID 검출부(46)에 공급한다. 25-24 변환부(45)는 복조부(43)로부터 공급된 데이터를 도 2의 24--25 변환부(6)에 있어서의 변환에 대응하여 25비트 단위로부터 24비트 단위의 데이터로 변환하고, 오류 정정 ID 검출부(46)로 출력한다.
오류 정정 ID 검출부(46)는 싱크 검출부(44)로부터 입력된 싱크를 기초로, 오류 정정 처리, ID 검출 처리, 디인터리브 처리를 실행한다.
스위치(47)는 컨트롤러(13)에 의해 제어되어 오류 정정 ID 검출부(46)로부터 출력된 데이터 중, 영상 데이터(검색용의 영상 데이터를 포함함)를 영상 데이터 압축 해제부(48)로 출력하고, 음성 데이터를 음성 데이터 압축 해제부(49)로 출력하고, 서브 코드 데이터 AUX 데이터 등의 시스템 데이터를 단자(50)로부터 컨트롤러(13)로 출력한다.
영상 데이터 압축 해제부(48)는 입력된 영상 데이터를 압축 해제하고, D/A 변환하여 아날로그 HD 영상 신호로서 출력한다. 음성 데이터 압축 해제부(49)는 입력된 음성 데이터를 압축 해제하고, D/A 변환하여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서 출력한다.
다음에, 그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회전 헤드(12)는 자기 테이프(21)에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은 형태로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재생하고, 증폭기(41)에 의해 증폭시킨 후 A/D 변환부(42)에 공급한다. A/D 변환부에 의해 아날로그 신호로부터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된 데이터는 복조부(43)에 입력되어 복조된다.
25-24 변환부(45)는 복조부(43)에 의해 복조된 데이터를 25비트 단위의 데이터로부터 24비트 단위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오류 정정 ID 검출부(46)로 출력한다.
싱크 검출부(44)는 복조부(43)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로부터 도 9에 도시한 메인 섹터의 싱크, 혹은, 도 22에 도시한 서브 코드 섹터의 싱크를 검출하고, 오류 정정 ID 검출부(46)에 공급한다. 오류 정정 ID 검출부(46)는 16트랙분의 데이터를 기억하고, 디인터리브 처리를 행함과 함께 도 9에 도시한 메인 섹터의 패리티 C1, C2를 이용하여 오류 정정 처리를 행한다. 또한 오류 정정 ID 검출부(46)는 메인 섹터의 SB 헤더를 검출하고, 각 싱크 블럭에 포함되어 있는 데이터가 음성 데이터, 영상 데이터, AUX 데이터, 검색용의 영상 데이터 중 어느 것인가를 판정한다.
오류 정정 ID 검출부(46)는 또, 도 22에 도시한 서브 코드 섹터의 패리티를 이용하여 서브 코드 데이터의 오류 정정 처리를 행함과 함께 AUX 데이터의 패킷 키워드(헤더)를 검출하고, 그 서브 코드 데이터의 내용을 판정한다. 이에 따라, 서브 코드 데이터가 트랙 번호를 나타내는 것인지, 타임 코드 번호를 나타내는 것인지 등을 알게 된다.
스위치(47)는 오류 정정 ID 검출부(46)에 의해 검출된 SB 헤더에 기초하여 영상 데이터 및 검색용 데이터를 영상 데이터 압축 해제부(48)에 공급한다. 영상 데이터 압축 해제부(48)는 입력된 데이터를 도 2의 영상 데이터 압축부(1)에 있어서의 압축 방식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압축 해제하고, 영상 신호로서 출력한다.
스위치(47)는 음성 데이터를 음성 데이터 압축 해제부(49)로 출력한다. 음성 데이터 압축 해제부(49)는 도 2의 음성 데이터 압축부(2)에 있어서의 압축 방식 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입력된 음성 데이터를 압축 해제하고, 음성 신호로서 출력한다.
스위치(47)는 또, 오류 정정 ID 검출부(46)로부터 출력된 AUX 데이터, 서브 코드 데이터 등을 단자(50)로부터 도시하지 않은 컨트롤러로 출력한다.
이에 따라,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록되어 있던 데이터가, 각 화상 및 음성 데이터가 압축 해제된다.
또, 이상에 있어서는, 자기 테이프(21)에 기록된 각 화상 및 음성 데이터를 압축 해제하는 경우를 예로서 설명하였지만, 이들을 다중화하여 MPEG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다.
상술한 일련의 처리는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시킬 수도 있지만,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시킬 수도 있다. 일련의 처리를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시키는 경우에는 그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이 전용의 하드웨어에 내장되어 있는 컴퓨터, 또는, 각종의 프로그램을 인스톨함으로써 각종의 기능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한, 예를 들면 범용의 퍼스널 컴퓨터 등에 기록 매체로부터 인스톨된다.
이 기록 매체는, 도 2, 도 3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기 테이프 기록 재생 장치 본체와는 별도로, 사용자에게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해서 배포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자기 디스크(31)(플로피 디스크를 포함함), 광 디스크(32) [CD-ROM(Compact Disk-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k)를 포함함], 광자기 디스크(33)[MD(Mini-Disk)를 포함함], 혹은 반도체 메모리(34) 등으로 이루어지는 패키지미디어에 의해 구성될 뿐만 아니라, 장치 본체에 미리 내장된 상태에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ROM이나 하드디스크 등으로 구성된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을 기술하는 단계는 기재된 순서에 따라서 시계열적으로 행해지는 처리는 물론, 반드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지 않더라도 병렬적 혹은 개별로 실행되는 처리도 포함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자기 테이프 기록 장치, 자기 테이프 기록 방법 및 기록 매체의 프로그램에 따르면,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혹은 검색 데이터, 또는 그 데이터에 관련되는 가변 길이의 보조 데이터의 한쪽을 제1 그룹의 데이터로서, 또한 제1 그룹의 데이터에 관련되는 서브 코드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제2 그룹의 데이터로서, 자기 테이프의 트랙 상에 있어서 양자 사이가 이격되지 않고 연속되도록 합성하고, 자기 테이프에 기록하기 위해서 공급하였기 때문에, HD 영상 신호의 데이터로 대표되는 데이터량이 많은 데이터를 자기 테이프 상에 디지털적으로 기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자기 테이프의 포맷에 의하면, 제1 그룹의 데이터와 제2 그룹의 데이터를 트랙 상에 있어서 양자 사이가 이격되지 않고 연속되도록 기록하였기 때문에, HD 영상 신호의 데이터에 대표되는 용량이 많은 데이터를 기록한 자기 테이프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자기 테이프 재생 장치, 자기 테이프 재생 방법 및 기록 매체의 프로그램에 따르면, 회전 헤드에 의해 자기 테이프로부터 재생된 데이터로부터 제1 그룹의 데이터로서의 보조 데이터를 취득하고, 그것에 기초하여 자기 테이프로부터 재생된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표준의 영상 데이터를 확실하게 재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Claims (11)

  1. 회전 헤드에 의해 자기 테이프에 디지털 데이터를 기록하는 자기 테이프 기록 장치에 있어서,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또는 검색 데이터를 취득하는 제1 취득 수단,
    상기 제1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데이터에 관련되는 가변 길이의 보조 데이터를 취득하는 제2 취득 수단,
    상기 제1 취득 수단 또는 상기 제2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데이터 중 한쪽을 제1 그룹의 데이터로서 선택하는 선택 수단,
    상기 제1 그룹의 데이터에 관련되는 서브 코드를 포함하는 제2 그룹의 데이터를 취득하는 제3 취득 수단,
    상기 제1 그룹의 데이터와 상기 제2 그룹의 데이터를, 상기 자기 테이프의 트랙 상에 있어서 양자 사이가 이격되지 않고 연속되도록 합성하는 합성 수단, 및
    상기 합성 수단에 의해서 합성된 데이터를 상기 자기 테이프에 기록하기 위해서 상기 회전 헤드에 공급하는 공급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테이프 기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취득 수단은 상기 제1 그룹의 데이터로서, 상기 영상 데이터를 그 편집 단위로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테이프 기록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취득 수단은 상기 제2 그룹의 데이터로서 상기 음성 데이터에 관한 보조 데이터와, 상기 영상 데이터에 관한 보조 데이터를 취득하고,
    상기 합성 수단은 상기 음성 데이터에 관한 보조 데이터, 상기 음성 데이터, 상기 영상 데이터에 관한 보조 데이터, 및 상기 영상 데이터의 순서로 배치되도록 각각 합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테이프 기록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취득 수단은 프리 재생에 필요한 보조 데이터를 더 취득하고,
    상기 합성 수단은 상기 프리 재생에 필요한 보조 데이터를 상기 영상 데이터의 편집 단위의 선두에 배치되도록 합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테이프 기록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 재생에 필요한 보조 데이터는 서브 코드 섹터에 기록되어 있는 내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테이프 기록 장치.
  6. 회전 헤드에 의해 자기 테이프에 디지털 데이터를 기록하는 자기 테이프 기록 장치의 자기 테이프 기록 방법에 있어서,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또는 검색 데이터를 취득하는 제1 취득 단계,
    상기 제1 취득 단계의 처리로 취득된 데이터에 관련되는 가변 길이의 보조 데이터를 취득하는 제2 취득 단계,
    상기 제1 취득 단계의 처리 또는 상기 제2 취득 단계의 처리로 취득된 데이터 중 한쪽을 제1 그룹의 데이터로서 선택하는 선택 단계,
    상기 제1 그룹의 데이터에 관련되는 서브 코드를 포함하는 제2 그룹의 데이터를 취득하는 제3 취득 단계,
    상기 제1 그룹의 데이터와 상기 제2 그룹의 데이터를, 상기 자기 테이프의 트랙 상에 있어서 양자 사이가 이격되지 않고 연속되도록 합성하는 합성 단계, 및
    상기 합성 단계의 처리로 합성된 데이터를 상기 자기 테이프에 기록하기 위해서 상기 회전 헤드에 공급하는 공급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테이프 기록 방법.
  7. 회전 헤드에 의해 자기 테이프에 디지털 데이터를 기록하는 자기 테이프 기록 장치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기록 매체에 있어서,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또는 검색 데이터를 취득하는 제1 취득 단계,
    상기 제1 취득 단계의 처리로 취득된 데이터에 관련되는 가변 길이의 보조 데이터를 취득하는 제2 취득 단계,
    상기 제1 취득 단계의 처리 또는 상기 제2 취득 단계의 처리로 취득된 데이터 중 한쪽을 제1 그룹의 데이터로서 선택하는 선택 단계,
    상기 제1 그룹의 데이터에 관련되는 서브 코드를 포함하는 제2 그룹의 데이터를 취득하는 제3 취득 단계,
    상기 제1 그룹의 데이터와 상기 제2 그룹의 데이터를, 상기 자기 테이프의 트랙 상에 있어서 양자 사이가 이격되지 않고 연속되도록 합성하는 합성 단계, 및
    상기 합성 단계의 처리로 합성된 데이터를 상기 자기 테이프에 기록하기 위해서 상기 회전 헤드에 공급하는 공급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기록 매체.
  8. 회전 헤드에 의해 디지털 데이터가 기록되는 자기 테이프에 있어서,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나 검색 데이터, 또는 상기 영상 데이터, 상기 음성 데이터나 상기 검색 데이터에 관련되는 가변 길이의 보조 데이터인 제1 그룹의 데이터 및 상기 영상 데이터, 상기 음성 데이터나 상기 검색 데이터에 관련되는 서브 코드를 포함하는 제2 그룹의 데이터가 트랙 상에 있어서, 양자 사이가 이격되지 않고 연속되도록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테이프.
  9. 압축되어 있는 고품위이거나 표준의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나 검색 데이터, 또는 상기 영상 데이터, 상기 음성 데이터나 상기 검색 데이터에 관련되는 가변 길이의 보조 데이터인 제1 그룹의 데이터, 및 상기 제1 그룹의 데이터에 관련되는 서브 코드를 포함하는 제2 그룹의 데이터가 트랙 상에 있어서, 양자 사이가 이격되지 않고 연속되도록 기록되어 있는 자기 테이프를 회전 헤드에 의해 재생하는 자기 테이프 재생 장치로서,
    상기 회전 헤드에 의해 상기 자기 테이프로부터 재생된 데이터로부터 상기 제1 그룹의 데이터로서의 상기 보조 데이터, 또는 상기 제2 그룹의 데이터를 취득하는 취득 수단, 및
    상기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보조 데이터 또는 상기 제2 그룹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회전 헤드에 의해 상기 자기 테이프로부터 재생된 데이터 중, 압축되어 있는 상기 고품위의 영상 데이터를 압축 해제하는 압축 해제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테이프 재생 장치.
  10. 압축되어 있는 고품위이거나 표준의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나 검색 데이터, 또는 상기 영상 데이터, 상기 음성 데이터나 상기 검색 데이터에 관련되는 가변 길이의 보조 데이터인 제1 그룹의 데이터, 및 상기 제1 그룹의 데이터에 관련되는 서브 코드를 포함하는 제2 그룹의 데이터가 트랙 상에 있어서 양자 사이가 이격되지 않고 연속되도록 기록되어 있는 자기 테이프를 회전 헤드에 의해 재생하는 자기 테이프 재생 장치의 자기 테이프 재생 방법으로서,
    상기 회전 헤드에 의해 상기 자기 테이프로부터 재생된 데이터로부터 상기 제1 그룹의 데이터로서의 상기 보조 데이터, 또는 상기 제2 그룹의 데이터를 취득하는 취득 단계, 및
    상기 취득 단계의 처리로 취득된 상기 보조 데이터 및 상기 제2 그룹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회전 헤드에 의해 상기 자기 테이프로부터 재생된 데이터 중, 압축되어 있는 상기 고품위의 영상 데이터를 압축 해제하는 압축 해제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테이프 재생 방법.
  11. 압축되어 있는 고품위이거나 표준의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나 검색 데이터, 또는 상기 영상 데이터, 상기 음성 데이터나 상기 검색 데이터에 관련되는 가변 길이의 보조 데이터인 제1 그룹의 데이터, 및 상기 제1 그룹의 데이터에 관련되는 서브 코드를 포함하는 제2 그룹의 데이터가 트랙 상에 있어서 양자 사이가 이격되지 않고 연속되도록 기록되어 있는 자기 테이프를 회전 헤드에 의해 재생하는 자기 테이프 재생 장치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기록 매체로서,
    상기 회전 헤드에 의해 상기 자기 테이프로부터 재생된 데이터로부터 상기 제1 그룹의 데이터로서의 상기 보조 데이터, 또는 상기 제2 그룹의 데이터를 취득하는 취득 단계, 및
    상기 취득 단계의 처리로 취득된 상기 보조 데이터 및 상기 제2 그룹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회전 헤드에 의해 상기 자기 테이프로부터 재생된 데이터 중, 압축되어 있는 상기 고품위의 영상 데이터를 압축 해제하는 압축 해제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기록 매체.
KR1020010017915A 2000-04-06 2001-04-04 자기 테이프 기록 장치 및 방법, 자기 테이프 재생 장치 및 방법, 자기 테이프 및 기록 매체 KR1007465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04838 2000-04-06
JP2000104838A JP4395679B2 (ja) 2000-04-06 2000-04-06 磁気テープ記録装置および方法、磁気テープ再生装置および方法、磁気テープ、並びに記録媒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5314A KR20010095314A (ko) 2001-11-03
KR100746527B1 true KR100746527B1 (ko) 2007-08-06

Family

ID=18618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7915A KR100746527B1 (ko) 2000-04-06 2001-04-04 자기 테이프 기록 장치 및 방법, 자기 테이프 재생 장치 및 방법, 자기 테이프 및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6996328B2 (ko)
EP (1) EP1148472A3 (ko)
JP (1) JP4395679B2 (ko)
KR (1) KR100746527B1 (ko)
CN (1) CN1248496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35863B2 (ja) * 2002-06-06 2006-01-18 ソニー株式会社 ビデオテープレコーダ及び記録方法
JP3719602B2 (ja) * 2002-06-07 2005-11-24 ソニー株式会社 ビデオテープレコーダ及び記録方法
JP2004164731A (ja) 2002-11-12 2004-06-10 Sony Corp 記録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6019862A (ja) * 2004-06-30 2006-01-19 Canon Inc 記録装置
JP2006179055A (ja) * 2004-12-21 2006-07-06 Canon Inc 記録再生装置
JP5194343B2 (ja) * 2005-08-08 2013-05-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情報再生装置及び情報再生方法
US9286159B2 (en) * 2013-11-06 2016-03-15 HGST Netherlands B.V. Track-band squeezed-sector error correction in magnetic data storage device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87126A (en) * 1996-07-15 1999-11-16 Kabushiki Kaisha Toshiba Device having a digital interface and a network system using such a device and a copy protection method
US6026212A (en) * 1994-12-26 2000-02-15 Sony Corporation Digital video recorder
US6658195B1 (en) * 1999-03-31 2003-12-02 Sony Corporation Magnetic recording and playback method and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63960B2 (ja) * 1992-01-29 1999-10-18 三菱電機株式会社 ディジタル信号記録再生装置及びディジタル信号記録再生方法
JP3458508B2 (ja) * 1995-01-23 2003-10-20 ソニー株式会社 磁気記録再生装置及び磁気記録再生装置のデータ記録再生方法
JP4328995B2 (ja) * 2000-03-30 2009-09-09 ソニー株式会社 磁気テープ記録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記録媒体
JP4345190B2 (ja) * 2000-03-30 2009-10-14 ソニー株式会社 磁気テープ記録装置および方法
JP2001291334A (ja) * 2000-04-04 2001-10-19 Sony Corp 磁気テープ記録装置および方法、磁気テープのフォーマット、並びに記録媒体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26212A (en) * 1994-12-26 2000-02-15 Sony Corporation Digital video recorder
US5987126A (en) * 1996-07-15 1999-11-16 Kabushiki Kaisha Toshiba Device having a digital interface and a network system using such a device and a copy protection method
US6658195B1 (en) * 1999-03-31 2003-12-02 Sony Corporation Magnetic recording and playback method and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289720B2 (en) 2007-10-30
JP4395679B2 (ja) 2010-01-13
EP1148472A3 (en) 2008-03-05
CN1248496C (zh) 2006-03-29
CN1323137A (zh) 2001-11-21
KR20010095314A (ko) 2001-11-03
US20020003947A1 (en) 2002-01-10
JP2001291335A (ja) 2001-10-19
EP1148472A2 (en) 2001-10-24
US20050265693A1 (en) 2005-12-01
US6996328B2 (en) 2006-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6538B1 (ko) 자기 테이프 기록 장치 및 방법, 자기 테이프 재생 장치 및 방법, 자기 테이프, 및 기록 매체
US7289720B2 (en) Magnetic tape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magnetic tape playback apparatus and method, format for magnetic tape, and storage medium product
KR19980019181A (ko) 디지털신호 기록방법 및 기록장치(digital signal recording method and recording apparatus)
US7062154B2 (en) Magnetic-tape recording apparatus, magnetic-tape recording method, magnetic-tape format, and recording medium
EP0420280B1 (en) Digital information signal reproducing apparatus for reproducing digital audio signal at the reproducing speed different from the recording speed
US6496646B1 (en) Magnetic recording method and apparatus for digital signals, magnetic reproducing method and apparatus for digital signals and tape-shaped recording medium
KR100772285B1 (ko) 자기-테이프 기록 장치 및 방법, 자기-테이프 재생 장치및 방법과, 기록 매체
US656040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information
US5796912A (en) Digital signal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capable of recording sequence signals in slanted and longitudinal tracks on a magnetic tape
KR100746887B1 (ko) 자기 테이프 기록 장치 및 방법, 자기 테이프, 및 기록 매체
JP3757948B2 (ja) 記録装置及び方法
JP2001275076A (ja) 磁気テープ記録装置および方法、磁気テープのフォーマット、並びに記録媒体
JP3371154B2 (ja) ディジタル情報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3371153B2 (ja) ディジタル情報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2002343032A (ja) 磁気テープ記録装置および方法、磁気テープのフォーマット、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2077792A (ja) 磁気テープ記録装置および方法、磁気テープのフォーマット、並びに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