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6358B1 - 필터기능을 갖는 오·폐수처리장치용 락 여재 - Google Patents

필터기능을 갖는 오·폐수처리장치용 락 여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6358B1
KR100746358B1 KR1020060047791A KR20060047791A KR100746358B1 KR 100746358 B1 KR100746358 B1 KR 100746358B1 KR 1020060047791 A KR1020060047791 A KR 1020060047791A KR 20060047791 A KR20060047791 A KR 20060047791A KR 100746358 B1 KR100746358 B1 KR 1007463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filter
waste water
treatment device
wastewater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7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5622A (ko
Inventor
송정호
Original Assignee
신성메디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성메디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성메디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477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6358B1/ko
Publication of KR20060065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56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6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63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0Packings; Fillings; Grids
    • C02F3/109Characterized by the shap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터기능을 갖는 오·폐수처리장치용 락 여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오·폐수처리장치의 내부에 설치되어 미생물을 이용한 접촉산화 및 여과처리 방식을 통해 유입된 오·폐수를 정화시키기 위한 락 필터의 제조가 보다 저렴하고 간편할 뿐만 아니라, 제조된 락 필터의 설치 및 취급이 보다 용이하도록 한 필터기능을 갖는 오·폐수처리장치용 락 여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오·폐수처리장치의 내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미생물을 이용한 유기물의 접촉산화 및 필터의 구성을 이용한 부유물의 여과처리 방식을 통해 유입된 오·폐수를 정화시키기 위한 락 필터에 있어서, 코코넛 껍질의 섬유질을 분리하여 일정 넓이와 두께를 갖는 수세미 형태의 패드를 형성하되, 그 외면에는 상기 패드가 하중에 의해 흘러 내리거나 찢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종·횡방향으로 교차하여 시침줄이 형성된 락; 상기 락의 테두리를 따라 봉제되면서 락의 형태를 유지하도록 형성된 마감띠; 및 상기 마감띠의 상·하·좌·우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부착된 연결끈의 끝단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락 필터를 오·폐수처리장치의 내부에 설치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 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필터기능을 갖는 오·폐수처리장치용 락 여재{PURIFICATION MATERIAL WITH FILTER FUNCTION FOR POLLUTED AND WASTE WATER}
도 1은 종래 오·폐수처리장치용 락 여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필터기능을 갖는 오·폐수처리장치용 락 여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필터기능을 갖는 오·폐수처리장치용 락 여재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고정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고정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는 본 발명이 적용된 고정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7는 본 발명이 적용된 고정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0: 락 102: 시침줄
120: 마감띠
140, 140-1 ,140-2, 140-3, 140-4: 고정부재
142: 연결끈
본 발명은 필터기능을 갖는 오·폐수처리장치용 락 여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오·폐수처리장치의 내부에 설치되어 미생물을 이용한 접촉산화 및 여과처리 방식을 통해 유입된 오·폐수를 정화시키기 위한 락 필터의 제조가 보다 저렴하고 간편할 뿐만 아니라, 제조된 락 필터의 설치 및 취급이 보다 용이하도록 한 필터기능을 갖는 오·폐수처리장치용 락 여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폐수처리장치의 내부에는 유입된 오·폐수에 대하여 미생물을 이용한 접촉산화 또는 여과처리 방식을 통해 정화시킬 수 있도록 필터기능을 갖는 오·폐수처리장치용 락 여재가 설치되고 있음은 주지된 사실이다.
이와 같은 오·폐수의 접촉산화 또는 여과처리 방식은 다음과 같은 장·단점이 있다. 먼저, 상기 접촉산화 방식은 오·폐수 내의 유기성 오염물질이 미생물에 의해 완전히 분해되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오·폐수의 처리속도가 느리고 처리수 내에 많은 부유물질이 잔류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여과처리 방식은 오·폐수의 처리속도가 빠르고 처리수 내에 부유물질이 제거되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처리수 내에 유기성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화학처리를 거쳐야 하는 불편함이 따르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 이전에 본 출원인의 선등록실용신안에 의해 접촉산화 및 여과처리 기능이 동시에 작용되는 필터기능을 갖는 오·폐수처리장치용 락 여재를 제공한 바 있다.
즉, 상기 필터기능을 갖는 오·폐수처리장치용 락 여재(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크기의 메시로 이루어지면서 그 내부에 수납공간을 갖도록 자루 형상으로 형성되는 필터커버(12), 상기 필터커버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탄성처리된 폴리프로필렌 파일렌사를 수세미 형상과 같이 컬링 처리하여 형성되는 락(14) 및 상기 필터커버(12)의 압착된 테두리에 각각 결합되어 필터커버(12)를 폐수처리장치의 내부에 설치하기 위한 후크 형태의 고정부재(16)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필터커버(12)와 그 내부에 충진된 락(14)에 의해 매우 활발한 미생물의 생장 및 번식이 이루어짐으로서 오·폐수에 대한 접촉산화가 이루어짐은 물론이고, 상기 필터커버(12)와 락(14)에 의한 필터 기능에 의해 오·폐수 내의 부유물질을 제거시키는 여과작용이 동시에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필터기능을 갖는 오·폐수처리장치용 락 여재에 의하면 제조가 다소 번거롭고 많은 비용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오·폐수처리장치의 내부에 락 필터를 설치함에 따른 불편함이 다소 발생됨으로서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 및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주된 목적으로는 오·폐수처리장치의 내부에 설치되어 미생물을 이용한 접촉산화 및 필터를 이용한 여과처리 방식을 통해 유입된 오·폐수를 효과적으로 정화시키기 위한 락 필터를 제공하되, 상기 락 필터를 보다 저렴하고 간편하게 제조하는 것은 물론이고, 제조된 락 필터의 설치 및 취급이 보다 용이하도록 한 필터기능을 갖는 오·폐수처리장치용 락 여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는 미생물을 생장시키고 부유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락을 자연물인 코코넛 껍질을 이용하여 재활용함에 따라 자원의 낭비를 방지하고 친환경적인 필터기능을 갖는 오·폐수처리장치용 락 여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오·폐수처리장치의 내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미생물을 이용한 유기물의 접촉산화 및 필터의 구성을 이용한 부유물의 여과처리 방식을 통해 유입된 오·폐수를 정화시키기 위한 락 필터에 있어서,
코코넛 껍질의 섬유질을 분리하여 일정 넓이와 두께를 갖는 수세미 형태의 패드를 형성하되, 그 외면에는 상기 패드가 하중에 의해 흘러 내리거나 찢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종·횡방향으로 교차하여 시침줄이 형성된 락; 상기 락의 테두리를 따라 봉제되면서 락의 형태를 유지하도록 형성된 마감띠; 및 상기 마감띠의 상·하·좌·우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결합되어 상기 락 필터를 오·폐수처리장치의 내부에 설치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 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는 락 필터를 오·폐수처리장치의 내부 설치할 수 있도록 후크, 걸고리, 스냅단추 또는 밸크로테이프, 일정길이의 끈을 갖는 길이조절구 및 합성수지재의 결속끈(통상 케이블 타이로 사용됨)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필터기능을 갖는 오·폐수처리장치용 락 여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필터기능을 갖는 오·폐수처리장치용 락 여재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고정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고정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는 본 발명이 적용된 고정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7는 본 발명이 적용된 고정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본 출원인의 선등록실용신안의 필터기능을 갖는 오·폐수처리장치용 락 여재를 개선한 것으로서 크게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코넛 섬유질을 이용한 락, 상기 락의 테두리를 봉제하여 락의 형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마감띠 및 상기 마감띠의 상·하·좌·우측에 결합되는 고정부재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코코넛 껍질의 기술적 활용 정도를 살펴본다.
상기 코코넛 껍질은 예로부터 바닷물에 담거 불근 상태에서 방망이 등으로 두들겨 섬유질을 분리하여 사용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섬유질은 매우 강하기 때문에 밧줄이나 메트, 양탄자 또는 필터 등의 용도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코코넛 껍질의 섬유질을 이용한 제품은 주로 전통공예 등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최근 실용화되고 있는 기술로서 가구 등의 빈 속을 채워넣거나 정수기 등의 필터로서 널리 상용화되고 있음은 주지된 사실이다.
이에, 상기 락(100)은 상기 코코넛 껍질의 섬유질을 분리하여 일정 넓이와 두께를 갖는 수세미와 같은 패드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폐기되는 코코넛의 껍질을 장시간 물에 불린 후 이를 두드리면 껍질을 이루고 있는 섬유질이 분리가 되는 바,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회수된 섬유질을 골고루 혼합하여 일정한 넓이와 두께의 패드 형상으로 형성한다. 이때, 상기 락(100)을 형성시 코코넛 섬유의 밀도는 상호 풀어지지 않으면서 오·폐수 내부의 부유물을 걸러낼 수 있는 정도록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일정한 넓이와 두께로 형성된 락(100)의 전·후면에는 상기 뭉쳐진 코코넛 섬유질이 하중에 의해 하측으로 흘러내려 처짐을 방지하면서, 오·폐수의 작용에 의해 쉽게 찢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듬성듬성 바느질 하듯 옭아낸 시침줄(10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시침줄(102)은 상기 패드 형상의 락(100)에 대하여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교차하여 형성된다.
상기 마감띠(120)는 코코넛 껍질을 이용한 패드 형상의 락(100) 테두리 따라 봉제하여 그 형상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후술되는 고정부재(140, 140-1, 140-2, 140-3, 140-4)를 사용하여 오·폐수처리장치 내부의 걸림부재(미도시)에 설치 고정할 수 있도록 잘 찢어지지 않는 강성의 직물재로 형성된다. 즉, 종래 메시 형태로서 락(100) 전체를 커버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에 비하여 보다 간단한 구조로 락(100)의 테두리를 커버하면서 그 형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고정부재(140, 140-1, 140-2, 140-3, 140-4)는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오·폐수처리장치 내부의 걸림부재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착용 또는 분리가 용이하도록 하되, 오·폐수의 작용에 의해 쉽게 분리되지 않는 구성으로 형성한다.
이에, 본 발명의 고정부재(140, 140-1, 140-2, 140-3, 140-4)로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도 2 및 도 3에는 후크(140)가 도시되었으나,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체적인 다른 실시가 가능하다.
즉,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폐수처리장치의 내부에 설치된 후크 형태의 걸이부재(미도시)에 결합할 수 있도록 마감띠(120)에 봉제된 연결끈(142)의 끝단에 형성되는 후크(140)로 이루어거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폐수처리장치의 내부에 설치된 고리 형태의 걸이부재(미도시)에 걸 수 있도록 마감띠(120)에 봉제된 연결끈(142)의 끝단에 형성되는 걸고리(140-1)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폐수처리장치의 내부에 설치된 바(bar: 미도시)에 감은 상태로 상호 결합할 수 있도록 마감띠(120)에 봉제된 연결끈(142)의 적소에 형성되는 한 쌍의 스냅단추(140-2) 또는 밸크로테이프(미도시)로 이루어지거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감띠(120)에 봉제된 일정길이의 끈을 접어서 그 상측에 고리를 형성한 상태로 길이를 조절하면서 오·폐수처리장치의 내부에 설치된 걸고리에 걸 수 있도록 하는 길이조절구(140-3)로 이루어지거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감띠(120)와 오·폐수처리장치의 내부에 설치된 바(bar)를 동시에 결속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 합성수지재의 결속끈(140-4; 통상 케이블 타이로 사용됨)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합성수지재 결속끈(140-4)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감띠(120)에 별도의 고리를 형성하여 이를 통해 걸이부재와 결속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마감띠(120)나 락 필터(100)를 관통하여 걸이부재와 결속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연결끈(142)은 각 고정부재(140, 140-1, 140-2, 140-3, 140-4)를 마감띠(120)로부터 이격되도록 형성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필터기능을 갖는 오·폐수처리장치용 락 여재에 의하면 오·폐수처리장치의 내부에 설치되어 유입된 오·폐수를 정화시키기 위한 락 필터의 경제성과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는 것은 물론이고, 제조된 락 필터의 설치 및 취급이 보다 간편해지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발휘된다.
나아가, 자연물인 코코넛 껍질을 재활용하여 상기 락을 형성함으로서 자원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매우 환경친화적인 효과가 발휘된다.

Claims (6)

  1. 오·폐수처리장치의 내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미생물을 이용한 유기물의 접촉산화 및 필터의 구성을 이용한 부유물의 여과처리 방식을 통해 유입된 오·폐수를 정화시키기 위한 락 필터에 있어서,
    코코넛 껍질의 섬유질을 분리하여 일정 넓이와 두께를 갖는 수세미 형태의 패드를 형성하되, 그 외면에는 상기 패드가 하중에 의해 흘러 내리거나 찢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종·횡방향으로 교차하여 시침줄이 형성된 락;
    상기 락의 테두리를 따라 봉제되면서 락의 형태를 유지하도록 형성된 마감띠; 및
    상기 마감띠의 상·하·좌·우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결합되어 상기 락 필터를 오·폐수처리장치의 내부에 설치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기능을 갖는 오·폐수처리장치용 락 여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오·폐수처리장치에 설치된 후크 형태의 걸이부재에 결합할 수 있도록 마감띠에 봉제된 연결끈의 끝단에 형성되는 후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기능을 갖는 오·폐수처리장치용 락 여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오·폐수처리장치에 설치된 고리 형태의 걸이부재에 걸 수 있도록 마감띠에 봉제된 연결끈의 끝단에 형성되는 걸고리로 이 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기능을 갖는 오·폐수처리장치용 락 여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오·폐수처리장치에 설치된 바(bar)에 감은 상태로 상호 결합할 수 있도록 마감띠에 봉제된 연결끈의 적소에 형성되는 한 쌍의 스냅단추 또는 밸크로테이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기능을 갖는 오·폐수처리장치용 락 여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마감띠에 봉제된 일정길이의 끈을 접어서 그 상측에 고리를 형성한 상태로 길이를 조절하면서 오·폐수처리장치에 설치된 걸고리에 걸 수 있도록 하는 길이조절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기능을 갖는 오·폐수처리장치용 락 여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마감띠와 오·폐수처리장치에 설치된 바(bar)를 동시에 결속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합성수지재의 결속끈(통상 케이블 타이로 사용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처리용 락 필터.
KR1020060047791A 2006-05-26 2006-05-26 필터기능을 갖는 오·폐수처리장치용 락 여재 KR1007463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7791A KR100746358B1 (ko) 2006-05-26 2006-05-26 필터기능을 갖는 오·폐수처리장치용 락 여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7791A KR100746358B1 (ko) 2006-05-26 2006-05-26 필터기능을 갖는 오·폐수처리장치용 락 여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5622A KR20060065622A (ko) 2006-06-14
KR100746358B1 true KR100746358B1 (ko) 2007-08-03

Family

ID=37160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7791A KR100746358B1 (ko) 2006-05-26 2006-05-26 필터기능을 갖는 오·폐수처리장치용 락 여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635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1670Y1 (ko) 2006-01-02 2006-03-16 주식회사 수엔테크 천연섬유를 이용한 수질 정화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1670Y1 (ko) 2006-01-02 2006-03-16 주식회사 수엔테크 천연섬유를 이용한 수질 정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5622A (ko) 2006-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9505351A (ja) 合成樹脂繊維の捕集手段
JP4130013B2 (ja) 巾着式経編濾し袋、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746358B1 (ko) 필터기능을 갖는 오·폐수처리장치용 락 여재
KR100791863B1 (ko) 필터기능을 갖는 오폐수처리용 정화여재
EP0170738A1 (en) Bracelet mounted screen filter
JPS59115720A (ja) 固液分離用濾布
KR100746357B1 (ko) 필터기능을 갖는 오폐수처리용 정화여재
KR20090035991A (ko) 오·폐수 처리장치용 정화필터
JP4077105B2 (ja) 水処理用接触材
JPS6049894A (ja) 固液分離方法
JP2564200Y2 (ja) 脱水用収納体
CN213128471U (zh) 一种具有水体净化功能的军事背包
CN214223574U (zh) 一种腌制后桂花的沥水装置
JP6251441B1 (ja) 泡立て具
JPH08103782A (ja) 接触濾材
CN207175622U (zh) 一种便于拆卸安装的纯水制备装置
JP2000000564A (ja) 油の回収方法と油吸着シート
KR20120044525A (ko) 재활용이 가능한 친환경 내외수면 유흡착포
JPS6363312B2 (ko)
JP5946005B2 (ja) シート状油吸着材
JPS646896Y2 (ko)
JP2000254677A (ja) 水処理用接触材
JP2001107034A (ja) 油状物質吸着材及び吸着方法
JPH08103783A (ja) 接触濾材
JPS6044014A (ja) 固液分離用濾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