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3585B1 - 웹카메라를 이용한 수문제어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웹카메라를 이용한 수문제어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3585B1
KR100743585B1 KR1020060048826A KR20060048826A KR100743585B1 KR 100743585 B1 KR100743585 B1 KR 100743585B1 KR 1020060048826 A KR1020060048826 A KR 1020060048826A KR 20060048826 A KR20060048826 A KR 20060048826A KR 100743585 B1 KR100743585 B1 KR 1007435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 camera
hydrological
signal
facility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8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기선
손명숙
Original Assignee
문기선
손명숙
코스모스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기선, 손명숙, 코스모스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문기선
Priority to KR1020060048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35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3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35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nfrared-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0Status alarms responsive to moistur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4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a single signalling line, e.g. in a closed loop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3/00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 G08C23/04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using light waves, e.g. infrar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웹카메라를 이용한 수문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원격지에서 수문 설비를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수문 설비에 설치되어, 수문 설비에 대한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수문 개폐를 제어하는 로컬 수문제어 패널, 상기 수문 설비와 상기 수문 설비가 설치된 현장을 실시간으로 촬영하기 위해 수문 설비 현장에 설치되는 웹 카메라, 상기 웹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실시간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웹카메라를 원격지에서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웹카메라 서버, 및 상기 웹카메라 서버로부터 인터넷 또는 CDMA 통신으로 전송되는 실시간 영상 데이터를 수신받고, 상기 웹카메라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상기 웹카메라 서버에 전송하거나 상기 수문 설비에 대한 제어 명령을 상기 로컬 수문 제어 패널에 전송하는 관리자 서버를 포함하며, 실시간으로 모니터되는 영상을 전송하여 웹을 통하여 통합하여 관리하고 이상상황이나 기타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는 각종 수문 제어 설비를 원격으로 실시간 제어할 수 있다.
웹카메라, 수문 제어, 실시간 영상, 이벤트, 통합관리

Description

웹카메라를 이용한 수문제어 시스템 및 방법{Controlling system floodgate using web camera and method thereof}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웹카메라를 이용한 수문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웹카메라를 이용한 수문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서버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웹카메라를 이용한 수문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웹카메라 서버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문 제어 시스템이 사업소, 관제실, 유관기관에서 감시 또는 제어하는 경우의 시스템 연결 구성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웹카메라를 이용한 수문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웹카메라서버 110 : 웹카메라
120 : 공유기(HUB) 130 : 모듈레이터
140 : 제어패널 150 : 온/습도 센서
160 : 적외선 센서 170 : 전류/전압 센서
180 : 출입센서 200 : 관리자서버
300 : 관리자 모니터부
본 발명은 웹카메라를 이용한 수문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문 제어 설비가 있는 현장에 웹 카메라를 설치하여 상기 웹 카메라에서 들어오는 영상신호를 감시하고, 현장에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원격으로 웹카메라를 이용하여 현장상황을 보면서 수문 제어 설비를 원격에서 작동하거나 제어할 수 있는 웹카메라를 이용한 수문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많은 곳에서는 수리시설에 댐이나 보를 설치하고 생활용수, 공업용수, 농업용수를 확보하기 위해 운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댐이나 보에는 수문을 설치하고, 수문을 열고 닫을 수 있는 개폐장치를 장착하여, 필요에 따라 수문을 열거나 닫아서 저수량을 조절하고 이를 통하여 물관리를 하고 있다.
과거에는 수문에 조절핸들을 설치하여 현장 관리자가 직접 조절핸들을 회전시킴으로써 수문이 개폐되도록 하는 수동방식을 많이 채용하였으나, 최근에는 모터와 기어유닛 또는 유압 피스톤 장치 등을 이용하여 수문 개폐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자동방식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자동방식이라 하더라도 종래에는 모터 등을 구동하는 제어판넬이 수리시설 현장에 설치되어 있어, 수문을 개폐하기 위해서는 수문 관리자가 일일이 현 장까지 직접 가서 제어판넬의 스위치를 조작하여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집중 호우 및 폭우에는 신속하게 대응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수문 시설을 직접 관리하기 위한 인력을 배치하여야 하므로 별도의 건물을 건설하여야 하며 각 설비마다 인력을 배치하여야 하므로 높은 인건비가 요구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문 관리자를 현장 배치한다고 하여도 현장 상황이나 수문 설비, 또는 수문 제어에 대한 명령이나 정보를 해당 관리자 또는 공무원이 근무하는 출장소 또는 중앙관리소에서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신속한 대처나 처리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수문 설비가 있는 현장에서 수문 제어 상황이나 현장 설비에 웹카메라를 설치하고, 웹카메라에 의해서 실시간으로 촬영되어 모니터되는 실시간 영상을 자체 저장함은 물론 상급 기관 또는 관리소로 실시간으로 모니터되는 영상을 전송하여 웹을 통하여 통합하여 관리하고 이상상황이나 기타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는 각종 수문 제어 설비를 원격으로 실시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웹카메라를 이용한 수문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웹카메라를 이용한 수문 제어 시스템은, 원격지에서 수문 설비를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제어하기 위한 시스 템에 있어서, 상기 수문 설비에 설치되어, 수문 설비에 대한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수문 개폐를 제어하는 로컬 수문제어 패널, 상기 수문 설비와 상기 수문 설비가 설치된 현장을 실시간으로 촬영하기 위해 수문 설비 현장에 설치되는 웹 카메라, 상기 웹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실시간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웹카메라를 원격지에서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웹카메라 서버, 및 상기 웹카메라 서버로부터 인터넷 또는 CDMA 통신으로 전송되는 실시간 영상 데이터를 수신받고, 상기 웹카메라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상기 웹카메라 서버에 전송하거나 상기 수문 설비에 대한 제어 명령을 상기 로컬 수문 제어 패널에 전송하는 관리자 서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웹카메라를 이용한 수문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서버에는 상기 관리자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웹카메라 서버에 저장된 실시간 영상 데이터를 전송 받아 감시하는 관리자 모니터부가 인터넷 또는 CDMA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웹카메라를 이용한 수문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수문 제어 패널에는 신호 변환을 위한 모듈레이터가 연결되고 상기 모듈레이터에는 상기 관리자 서버에서 전송되는 제어 신호를 중계하는 공유기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웹카메라를 이용한 수문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수문 제어 설비가 설치된 현장의 온도 또는 습도를 측정하여 측정 신호를 모듈레이터로 전송하기 위한 온/습도 센서가 상기 모듈레이터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웹카메라를 이용한 수문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수문 제어 설비가 설치된 현장에서 열감지를 위한 적외선 센서가 상기 모듈레이터에 연결되어 상기 모듈레이터로 측정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웹카메라를 이용한 수문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상기 수문 제어 설비에 공급되거나 출력되는 전류 또는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전류/전압 센서가 상기 모듈레이터에 연결되어 상기 모듈레이터로 측정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웹카메라를 이용한 수문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모듈레이터에는 상기 수문 제어 설비에 출입하는 출입자를 감시하기 위한 출입 센서가 더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웹카메라를 이용한 수문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서버에는, 상기 웹카메라 서버로부터 인터넷 또는 CDMA 통신으로 전송되는 실시간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영상 저장부, 상기 실시간 영상 데이터를 다양한 화면 구성, 확대, 순간 캡처 또는 검색이 가능하도록 상기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부, 상기 관리자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사용자의 액세스를 허가하거나 관리하는 액세스 관리부, 상기 웹카메라의 구동을 제어하는 카메라 제어부, 및 상기 수문 설비에 대한 원격 개폐 제어를 위하여 상기 로컬 수문 제어 패널에 대한 원격 제어 명령을 처리하는 패널 원격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웹카메라를 이용한 수문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웹카메라 서버에는, 상기 웹카메라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웹카메라 구동 제어부, 상기 웹카메라에 촬영된 실시간 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영상 저장부, 상기 실시간 영상을 상기 관리자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영상 전송부, 상기 웹카메라 서버의 영상을 수신하기 위한 액세스에 대한 허가를 판단하는 액세스 판단부, 및 상기 웹카메라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A/D변환하거나 실시간 촬영되는 영상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A/D 신호 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웹카메라를 이용한 수문 제어 방법은, 관리자 서버에서 권한있는 사용자가 ID와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사용자 인증을 받는 로그인 단계, 상기 관리자 서버와 수문 제어 설비가 있는 현장의 제어패널과 무선 또는 인터넷 통신으로 연결하는 단계, 상기 수문 제어 설비가 있는 현장 상황을 웹카메라로부터 촬영하여 전송되는 실시간 영상을 데이터 처리한 현장 감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에서 실시간 영상을 확인하면서 동시에 수문 제어 설비의 원격 제어 화면을 실시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원격 제어 화면에서 사용자 인증을 받은 사용자가 수문 개폐 명령을 입력하고, 상기 입력된 제어 신호는 신호 변환 장비로 전송되어 수문 개폐를 위한 구동 신호로 변환되는 단계, 상기 수문 제어 설비에서 수문 개폐 명령이 실행되고 수문 개폐가 이루어지면, 상기 수문 개폐가 이루어지는 현장 상황을 웹카메라가 촬영하여 실시간 영상으로 관리자 서버 로 전송하는 단계, 및 관리자 서버에서 상기 수문 개폐 과정을 실시간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하고 명령 실행 중임을 확인하여 실행이 종료되면 화면을 초기 감시 화면에서 대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웹카메라를 이용한 수문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웹카메라를 이용한 수문 제어 시스템은, 현장의 수문 설비에 설치되어, 수문 설비에 대한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수문 개폐를 제어하는 로컬 수문제어 패널(140), 상기 수문 설비와 상기 수문 설비가 설치된 현장을 실시간으로 촬영하기 위해 수문 설비 현장에 설치되는 웹 카메라(110), 상기 웹카메라(110)로부터 촬영된 실시간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웹카메라(110)를 원격지에서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웹카메라 서버(100), 및 상기 웹카메라 서버(100)로부터 인터넷 또는 CDMA 통신으로 전송되는 실시간 영상 데이터를 수신받고, 상기 웹카메라(110)에 대한 구동 제어 신호를 상기 웹카메라 서버(100)에 전송하거나 상기 수문 설비에 대한 제어 명령을 상기 로컬 수문 제어 패널(140)에 전송하는 관리자 서버(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웹카메라(110)에 대한 구동 제어 신호는 현장에 설치된 상기 웹카메라(110)를 작동시작하거나, 회전, 줌, 높이 조정, 확대촬영 등 다양한 영상을 실시간으로 촬영하기 위하여 상기 웹카메라(110)를 원격지인 관리자 서버(200) 에서 구동 제어하기 위하여 전송되는 신호이다.
또한, 도1에서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웹카메라를 이용한 수문 제어 시스템에서, 상기 관리자 서버(200)에는 상기 관리자 서버(200)에 접속하여 상기 웹카메라 서버(100)에 저장된 실시간 영상 데이터를 전송 받아 감시하는 관리자 모니터부(300)가 인터넷 또는 CDMA로 연결되는 것이다.
또한, 도1에서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웹카메라를 이용한 수문 제어 시스템에서, 상기 수문 제어 패널(140)에는 신호 변환을 위한 모듈레이터(130)가 연결되고 상기 모듈레이터(130)에는 상기 관리자 서버(200)에서 전송되는 제어 신호를 중계하는 공유기(HUB, 120)가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모듈레이터(130)는 상기 수문 제어 패널(140)을 포함하여 설비의 구동 제어를 위하여 상기 관리자 서버(200)에서 인터넷을 통하여 공유기(120)을 거쳐서 들어오는 디지털 신호를 수신하여 각 설비에서 구동되는 구동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모듈레이터(130)와 상기 수문 제어 페널(140)의 신호 전달 방식은 무선 통신으로서 RS-232, 422/485와 같은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수문 제어 패널(140)은 수문 개폐를 위한 수문 제어부와 신호 전달 릴레이부, 제어 신호의 입,출력부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1에서 상기 수문 제어 설비가 설치된 현장의 온도 또는 습도를 측정하여 측정 신호를 모듈레이터(130)로 전송하기 위한 온/습도 센서(150)가 상기 모듈레이터(130)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모듈레이터(130)와 상기 온/습도 센서(150) 간의 신호 전달 방식은 무 선 통신으로서 RS-232, 422/485와 같은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웹카메라를 이용한 수문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수문 제어 설비가 설치된 현장에서 열감지를 위한 적외선 센서(160)가 상기 모듈레이터(130)에 연결되어 상기 모듈레이터(130)로 측정 신호를 전송하는 것이다.
또한, 도1에서 상기 수문 제어 설비에 공급되거나 출력되는 전류 또는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전류/전압 센서(170)가 상기 모듈레이터(130)에 연결되어 상기 모듈레이터(130)로 측정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도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웹카메라를 이용한 수문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모듈레이터(130)에는 상기 수문 제어 설비에 출입하는 출입자를 감시하기 위한 출입 센서(180)가 더 연결되어 있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적외선 센서(160), 전류/전압 센서(170), 출입 센서(180)과 상기 모듈레이터(130) 사이에서 신호 전달 방식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무선 통신인 RS-232, 422/485와 같은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웹카메라를 이용한 수문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서버(200)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2를 참조하면, 상기 관리자 서버(200)는 상기 웹카메라 서버(100)로부터 인터넷 또는 CDMA 통신으로 전송되는 실시간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영상 저장부(210), 상기 실시간 영상 데이터를 다양한 화면 구성, 확대, 순간 캡처 또는 검색이 가능하도록 상기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부(220), 상기 관리자 서버(200)에 접속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의 액세스를 허가하거나 관리하는 액세스 관리부(230), 상기 웹카메라(110)의 구동을 원격 제어하는 카메라 제어부(240), 및 상기 수문 설비에 대한 원격 개폐 제어를 위하여 상기 로컬 수문 제어 패널(140)에 대한 원격 제어 명령을 처리하는 패널 원격 제어부(2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220)는 사용자 또는 관리자에게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 구성을 1화면, 4화면, 9화면, 16화면 등 다양한 형태로 보여주게 되고, 각종 제어기기의 제어를 위해서 전체 화면 확대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자동, 순간 캡처, 이상상황 발생에 대한 이벤트등에 대한 저장, 장비 작동시, 이벤트 발생시에 검색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도록 한다.
또한, 카메라 제어부(240)의 기능과 관련하여 응급신호(센서, 알람벨)을 받아들여 그 위치에 영상을 곧바로 팝업시켜주고, 이상징후가 발견된 영상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지역이 바로 가운데로 보여질 수 있도록 자동팬/틸트/줌 이동 기능을 가지고 있고, 각 장비 또는 기기들의 작동시에 자동으로 설정된 위치를 포착할 수 있도록 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웹카메라를 이용한 수문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웹카메라 서버(100)의 상세 구성도이다.
상기 웹카메라 서버(100)는 웹 카메라(110)에 연결되어 상기 웹카메라(110)를 구동 제어하거나 상기 웹 카메라(110)에서 촬영된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도3을 참조하면, 상기 웹카메라 서버(100)는 상기 웹카메라(11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웹카메라 구동 제어부(101), 상기 웹카메라(110)에 촬영된 실시간 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영상 저장부(102), 상기 실시간 영상을 상기 관리자 서버(200)로 전송하기 위한 영상 전송부(103), 상기 웹카메라 서버(100)의 영상을 수신하기 위하여 액세스에 대한 허가를 판단하는 액세스 판단부(104), 및 상기 웹카메라(110)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A/D변환하거나 실시간 촬영되는 영상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A/D 신호 변환부(105)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영상 저장부(102)에 저장된 실시간 영상은 관리자 모니터부(300)가 인터넷 또는 CDMA로 연결하여 상기 액세스 판단부(104)에서 허가된 사용자인지를 판단하고 영상 데이터에 액세스하고 감시 화면에서 디스플레이 하도록 할 수 있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문 제어 시스템이 사업소, 관제실, 유관기관에서 감시 또는 제어하는 경우의 시스템 연결 구성도이다.
도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영상 신호가 수신되어 이상 상황 또는 긴급 신호가 발생되면, 관제실은 물론 각 사업소, 도 상황실, 중앙관제실에서 이를 경광등으로 작동하도록 하는 동시에 현장 실시간 영상 화면에서 이벤트 화면을 확대하는 동시에 알람으로 응급신호를 발생하도록 한다.
또한, 각 사업소에서 웹 카메라(110)에 의하여 촬영되는 실시간 영상을 상기 웹 카메라서버(100)에 자체 저장함은 물론 영상의 실시간 재현 속도저하를 막기 위하여 각 사업소에서 시/군/구 관제실로 재전송하는 기능이 구비되어 있으며, 군 관제실에는 여러곳의 사업소에서 재전송되는 영상을 통합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하 고 있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웹카메라를 이용한 수문 제어 시스템의 제어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웹카메라를 이용한 수문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웹카메라를 이용한 수문 제어 방법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다음과 같다.
관리자 서버(200)에서 권한있는 사용자가 ID와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제어 명령 수행을 위한 사용자 인증을 받는 로그인 단계(S510)를 진행한다.
다음에, 상기 관리자 서버(200)와 수문 제어 설비가 있는 현장의 제어패널과 무선 또는 인터넷 통신으로 연결하는 단계(S520)이다.
상기 무선 또는 인터넷 통신은 ADSL 또는 무선 또는 CDMA 통신에 의하고, 상기 관리자 서버(200)는 제어 컴퓨터가 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수문 제어 설비가 있는 현장 상황을 웹카메라(110)로부터 촬영하여 전송되는 실시간 영상을 데이터 처리한 현장 감시 화면을 관리자 서버(200)에 해당하는 제어 컴퓨터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에서 실시간 영상을 확인하면서 동시에 수문 제어 설비의 원격 제어 화면을 실시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530)이다.
그후, 상기 원격 제어 화면에서 사용자 인증을 받은 사용자가 수문 개폐 명령을 입력하고, 상기 입력된 제어 신호는 신호 변환 장비(모듈레이터(130))로 전송되어 수문 개폐를 위한 구동 신호로 변환되는 단계를 진행한다(S540).
그 다음, 상기 수문 제어 설비에서 수문 개폐 명령이 실행되고 수문 개폐가 이루어지면, 상기 수문 개폐가 이루어지는 현장 상황을 웹카메라(110)가 촬영하여 실시간 영상으로 관리자 서버(200)로 전송하는 단계(S550)를 진행한다.
그러면, 관리자 서버(200)에서 상기 수문 개폐 과정을 실시간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하고 명령 실행 중임을 확인하여 실행이 종료되면 화면을 초기 감시 화면으로 대기하는 단계(S560)로 돌아간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웹카메라를 이용한 수문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수문 설비가 있는 현장에서 수문 제어 상황이나 현장 설비에 웹카메라를 설치하고, 웹카메라에 의해서 실시간으로 촬영되어 모니터되는 실시간 영상을 자체 저장함은 물론 상급 기관 또는 관리소로 실시간으로 모니터되는 영상을 전송하여 웹을 통하여 통합하여 관리하고 이상상황이나 기타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는 각종 수문 제어 설비를 원격으로 실시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예에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10)

  1. 원격지에서 수문 설비를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수문 설비에 설치되어, 수문 설비에 대한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수문 개폐를 제어하는 수문제어부, 구동신호전달을 위한 신호전달릴레이부, 제어신호의 입, 출력부를 포함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가 구비된 로컬 수문제어 패널;
    상기 수문 설비와 상기 수문 설비가 설치된 현장을 실시간으로 촬영하기 위해 수문 설비 현장에 설치되는 웹 카메라;
    상기 웹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실시간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웹카메라를 원격지에서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웹카메라 서버; 및
    상기 웹카메라 서버로부터 인터넷 또는 CDMA 통신으로 전송되는 실시간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영상 저장부와, 상기 실시간 영상 데이터를 다양한 화면 구성, 확대, 순간 캡처 또는 검색이 가능하도록 상기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부와, 관리자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사용자의 액세스를 허가하거나 관리하는 액세스 관리부와, 상기 웹카메라의 구동을 제어하는 카메라 제어부와, 상기 수문 설비에 대한 원격 개폐 제어 명령을 처리하는 패널 원격 제어부를 포함하는 관리자 서버; 및
    상기 관리자 서버에서 제어신호를 중계하는 공유기를 거쳐서 들어오는 디지털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로컬수문제어패널을 포함하는 설비에서 구동되는 구동 신호로 변환하는 모듈레이터를 포함하는 웹카메라를 이용한 수문제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서버에는 상기 관리자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웹카메라 서버에 저장된 실시간 영상 데이터를 전송 받아 감시하는 관리자 모니터부가 인터넷 또는 CDMA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카메라를 이용한 수문 제어 시스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문 설비가 설치된 현장의 온도 또는 습도를 측정하여 측정 신호를 모듈레이터로 전송하기 위한 온/습도 센서가 상기 모듈레이터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카메라를 이용한 수문 제어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문 설비가 설치된 현장에서 열감지를 위한 적외선 센서가 상기 모듈레이터에 연결되어 상기 모듈레이터로 측정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카메라를 이용한 수문 제어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문 설비에 공급되거나 출력되는 전류 또는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전류/전압 센서가 상기 모듈레이터에 연결되어 상기 모듈레이터로 측정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카메라를 이용한 수문 제어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레이터에는 상기 수문 설비에 출입하는 출입자를 감시하기 위한 출입 센서가 더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카메라를 이용한 수문 제어 시스템.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웹카메라 서버에는,
    상기 웹카메라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웹카메라 구동 제어부;
    상기 웹카메라에 촬영된 실시간 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영상 저장부;
    상기 실시간 영상을 상기 관리자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영상 전송부;
    상기 웹카메라 서버의 영상을 수신하기 위한 액세스에 대한 허가를 판단하는 액세스 판단부; 및
    상기 웹카메라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A/D변환하거나 실시간 촬영되는 영상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A/D 신호 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카메라를 이용한 수문 제어 시스템.
  10. 삭제
KR1020060048826A 2006-05-30 2006-05-30 웹카메라를 이용한 수문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07435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8826A KR100743585B1 (ko) 2006-05-30 2006-05-30 웹카메라를 이용한 수문제어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8826A KR100743585B1 (ko) 2006-05-30 2006-05-30 웹카메라를 이용한 수문제어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3585B1 true KR100743585B1 (ko) 2007-07-27

Family

ID=38499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8826A KR100743585B1 (ko) 2006-05-30 2006-05-30 웹카메라를 이용한 수문제어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358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6749B1 (ko) 2007-07-30 2008-02-26 (주)동국일렉콘스 다기능 감시 제어 장치
KR101190120B1 (ko) 2011-02-28 2012-10-11 주식회사 인투텍 공유기 특성과 3g 기능을 가진 원격 감시 시스템
KR101307765B1 (ko) * 2013-02-18 2013-09-26 최석준 영상 및 원격제어 감시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7017A (ko) * 2003-10-17 2005-04-21 주식회사 도래정보시스템 통합 방재 시스템
KR20050100541A (ko) * 2004-04-14 2005-10-19 안종율 보안 기능 및 비상콜 기능을 구비한 실시간 원격감시 및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7017A (ko) * 2003-10-17 2005-04-21 주식회사 도래정보시스템 통합 방재 시스템
KR20050100541A (ko) * 2004-04-14 2005-10-19 안종율 보안 기능 및 비상콜 기능을 구비한 실시간 원격감시 및제어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6749B1 (ko) 2007-07-30 2008-02-26 (주)동국일렉콘스 다기능 감시 제어 장치
KR101190120B1 (ko) 2011-02-28 2012-10-11 주식회사 인투텍 공유기 특성과 3g 기능을 가진 원격 감시 시스템
KR101307765B1 (ko) * 2013-02-18 2013-09-26 최석준 영상 및 원격제어 감시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5979B1 (ko) 센서와 카메라를 이용한 보안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100822017B1 (ko) Cctv를 이용한 지능형 감시시스템 및 지능형 감시방법
EP1701475A1 (en) Home appliance control in a virtual private network environment
KR100897339B1 (ko) 공동주택의 통합 보안 시스템 및 그것의 운용방법
US20060242679A1 (en) Remote monitoring and information system
JP7052583B2 (ja) 監視システム
CN103180534A (zh) 强化安全性能的门锁系统及其控制方法
KR100743585B1 (ko) 웹카메라를 이용한 수문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2018053438A (ja) 住宅管理システム
KR100472081B1 (ko) 방조제 배수갑문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
KR100929921B1 (ko) 유비퀴터스 일체형 보안영상장치 및 시스템
KR200413332Y1 (ko) 센서와 카메라를 이용한 보안 감시 시스템
KR100369948B1 (ko) 가정 관리 방법
US20120236147A1 (en) Systems and methods of central station video alarm verification using an on site user video system
KR101938758B1 (ko) IoT 기반 무인보안시스템
EP362930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te opening electronic door lock
KR101935594B1 (ko) 구내 통신망을 이용한 아파트 보안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JPH10222773A (ja) ビル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JP4596363B2 (ja) ボタン電話システムを利用した自動監視システム
KR20120095516A (ko) 수계 감시 계측 제어시스템
JP2004364030A (ja) 監視システム
KR101037205B1 (ko) 장애인 전용 주차구획 불법 주차 단속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563229B1 (ko) 가정 통합 관리 시스템
JP4367066B2 (ja) セキュリティ装置およびセキュリティ方法、並びに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CN101690081A (zh) 经由至少部分公共通讯网络在第一数据处理系统和第二数据处理系统之间交换数据的系统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