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3518B1 - 낚시질용 전동 릴 - Google Patents

낚시질용 전동 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3518B1
KR100743518B1 KR1020060056186A KR20060056186A KR100743518B1 KR 100743518 B1 KR100743518 B1 KR 100743518B1 KR 1020060056186 A KR1020060056186 A KR 1020060056186A KR 20060056186 A KR20060056186 A KR 20060056186A KR 100743518 B1 KR100743518 B1 KR 1007435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l
fishing
clutch
reel
power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6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5316A (ko
Inventor
타카시 테라우치
Original Assignee
다이와 세이꼬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와 세이꼬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와 세이꼬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55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53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3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35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7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motor-driv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66D1/12Driving gear incorporating electric mo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경쾌한 클러치의 전환 조작을 행할 수 있는 낚시질용 전동 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낚시질용 전동 릴은 낚싯줄이 권회되는 스풀(7)을 릴 본체(5)에 설치한 구동 모터(8) 및 수동 핸들(6)로 권취 구동 가능하게 함과 함께, 스풀(7)을 동력 전달 상태와 동력 차단 상태로 전환하는 클러치 기구(18)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구동 모터(8) 및 수동 핸들(6)로 회전하는 회전체(39)에 클러치 작동 부재(40)를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회전 방지 끼움 결합함과 함께, 클러치 작동 부재(40)의 일측에 형성한 결합부(40a)를 스풀(7)과 일체 회전하는 걸림부(7h)에 걸거나 벗김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릴, 스풀, 클러치, 구동 모터, 핸들, 회전체, 베어링

Description

낚시질용 전동 릴{ELECTRICALLY DRIVEN REEL FOR FISHIN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시질용 전동 릴의 제1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내부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도 1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으로서, 동력 전달 상태(클러치 ON)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으로서, 동력 차단 상태(클러치 OFF)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수동 핸들을 회전 조작하였을 때의 동력 전달 경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회전 구동력이 출력되는 구동 모터측의 유성 기어 기구를 도시한 모식도.
도 5는 구동 모터를 회전 조작하였을 때의 동력 전달 경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회전 구동력이 출력되는 수동 핸들측의 유성 기어 기구를 도시한 모식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시질용 전동 릴의 제2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내부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도 6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으로서, 동력 전달 상태(클러치 ON)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6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으로서, 동력 차단 상태(클러치 OFF)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내부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부호의 설명>
1 : 낚시질용 전동 릴 3a, 3b : 프레임
5 : 릴 본체 6 : 수동 핸들
7 : 스풀 7a : 낚싯줄 권회 몸체부
7h : 걸림부 7s : 스풀 축
8 : 구동 모터 12 : 동력 전달 기구
15 : 감속 기구 18 : 클러치 기구
40 : 클러치 작동 부재 40a : 결합부
50 : 벨트
본 발명은 릴 본체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된 스풀을 회전 구동하는 구동 모터를 구비함과 함께, 릴 본체의 일측에 설치한 수동 핸들의 회전 조작으로 스풀을 권취 구동하는 낚시질용 전동 릴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낚시질용 전동 릴은, 릴 본체에 설치된 구동 모터의 동력을 유성 기어 기구로 이루어지는 감속 기구를 통하여 스풀로 동력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동력 전달 경로에는, 스풀을 낚싯줄 권취 상태와 낚싯줄 방출 상 태(스풀 프리 상태)의 두 상태로 전환하는 클러치 기구가 배열되어 있다. 또한 릴 본체에는 구동 모터에 의한 전동 구동뿐만 아니라, 수동 조작으로 스풀의 권취 구동을 할 수 있도록 수동 핸들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수동 핸들에 의해 입력된 권취 구동력은 상기 동력 전달 경로에 설치된 클러치 기구를 통하여 스풀로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낚시질용 전동 릴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스풀의 동력 전달 경로에 유성 기어로 이루어지는 감속 기구가 개재되어 있기 때문에, 클러치 기구를 낚싯줄 방출 상태(스풀 프리 상태)로 전환하여도(클러치 OFF), 유성 기어 등의 일부의 기어도 스풀과 함께 연동 회전하게 되어, 기어의 맞물림에 의한 회전 마찰 저항이 발생하여 프리 성능이 떨어져, 낚시찌를 신속하게 내보낼 수 없는 과제가 남겨져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특허 문헌 1에는, 구동 모터의 구동 연결 기구를 수동 핸들에서 스풀로의 구동 연결 기구 중에 직렬로 개재시키고, 수동 핸들 연결 기구와 스풀 간 연결을 차단하여 스풀의 회전 마찰 저항을 적게 한 낚시질용 전동 릴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공개공보 2002-000145호
상기한 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낚시질용 전동 릴 클러치 기구는, 릴 본체에 설치된 전환 부재(클러치 레버)를 조작함으로써 스풀 축 상에 설치된 동력 전달 기어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동력 전달 기어의 스풀 측에는 단면이 비원형인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환 부재를 조작함으로써 동력 전달 기어를 축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고, 이에 따라 스풀 또는 스풀과 일체인 스풀 축에 설치한 결합부에 동력 전달 기어의 걸림부를 걸거나 벗겨 동력 전달 상태(낚싯줄 권취 상태)와 동력 차단 상태(낚싯줄 풀림 상태)로 전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동력 전달 기어는 핸들측(구동 모터측)으로부터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는 기어와 맞물린 상태에 있으며, 기어끼리가 서로 맞물린 채로 동력 전달 기어를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동력 전달 기어를 손상시킬 우려가 있다.
또한 낚싯줄에 중량이 있는 낚시찌나 추를 매닮으로써 맞물리는 기어끼리의 회전 방향의 부하가 커지게 되어, 클러치를 ON에서 OFF로 전환하기가 어려워지게 된다. 특히 기어끼리의 맞물림에 있어서는 맞물림 율이 높고 맞물림 성능이 양호하며 맞물림 구동음이 작은 나선형 기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클러치의 끊기 용이성(동력 전달 기어의 축방향으로의 이동의 용이성)을 고려하면, 나선형 기어를 이용할 수 없다. 이러한 경우, 만일 나선형 기어를 사용한다고 하여도, 양호한 클러치 조작성을 고려하면 잇줄의 비틀림 각도를 크게 할 수 없어, 맞물림 성능의 향상에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에 기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경쾌한 클러치의 전환 조작을 행할 수 있는 낚시질용 전동 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낚시질용 전동 릴은, 낚싯줄이 권회(卷回)되는 스풀을 릴 본체에 설치한 구동 모터 및 수동 핸들로 권취 구동 가능하게 함과 함께, 상기 스풀을 동력 전달 상태와 동력 차단 상태로 전환하는 클러치 기구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구동 모터 및 수동 핸들로 회전하는 회전체에 클러치 작동 부재를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회전 방지 끼움 결합함과 함께, 상기 클러치 작동 부재의 일측에 형성한 결합부를 상기 스풀과 일체 회전하는 걸림부에 걸거나 벗김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클러치 기구에 의해 동력 전달 상태에서 동력 차단 상태로 하는 경우, 동력이 전달되는 회전체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회전 방지 끼움 결합된 클러치 작동 부재가 축방향으로 이동하고, 스풀과 일체 회전하는 걸림부로부터 떨어진다. 상기 클러치 작동 부재는 동력 전달 부분인 회전체로부터 회전 부하가 작용하지 않고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하기 때문에, 클러치 기구를 경쾌하게 전환 조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회전체는 구동 모터나 수동 핸들로부터 동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면 좋으며, 기어로서 구성하거나 벨트가 권회되는 회전체로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클러치 작동 부재의 결합부가 걸리거나 벗겨지는 걸림부는 스풀과 일체 회전하는 부분에 설치된 것이면 좋으며, 스풀 자체(예컨대 스풀의 측면 영역)에 형성한 것 혹은 스풀을 회전 지지하는 스풀 축의 단부에 형성한 것 등이면 좋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시질용 전동 릴의 제1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1은 내부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동력 전달 상태(클러치 ON)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동력 차단 상태(클러치 OFF)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의 낚시질용 전동 릴(1)은 좌우의 프레임(3a, 3b)에 외측판(4a, 4b)을 부착하여 구성되는 릴 본체(5)를 구비하고 있다. 릴 본체(5)를 구성하는 어느 하나의 측판(우측판(4b)) 측에는 권취 조작되는 수동 핸들(6)이 설치되어 있고, 릴 본체(5)를 구성하는 좌우의 프레임(3a, 3b) 사이에는 낚싯줄이 권회되는 스풀(7)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풀(7)의 전방측의 좌우의 프레임 사이에는 구동 모터(8)가 유지되어 있으며, 상기 스풀(7)은 상기 수동 핸들(6)의 권취 조작 및 구동 모터(8)의 회전 구동에 의해 후술하는 동력 전달 기구를 통하여 낚싯줄 권취 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상기 스풀(7)은 낚싯줄이 권회되는 낚싯줄 권회 몸체부(7a)를 구비하고 있으며, 그 양단에는 권회되는 낚싯줄을 규제하는 플랜지(7b, 7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스풀(7)은 스풀 축(7s)에 고정 장착되어 있으며, 스풀 축(7s)의 양단측이 각프레임(3a, 3b)에 대하여 베어링(10)을 통하여 지지됨으로써 프레임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아울러, 스풀 축(7s)의 우측판 측의 단부에는 후술하는 클러치 기구의 클러치 작동 부재(40)의 결합부(40a)가 걸리거나 벗겨지도록 단면이 비원형인 걸림부(7h)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 걸림부(7h)는 클러치 작동 부재(40)와 스풀(7)이 일체 회전하도록 동력 전달부로서의 기능을 구비하고 있으 며, 예컨대 단면이 비원형인 오목부, 볼록부, 요철부 등에 의해 구성된다.
상기 스풀(7)에는 동력 전달 기구(12)를 통하여 상기 수동 핸들(6) 및 구동 모터(8)로부터의 회전 구동력이 입력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 동력 전달 기구(12)는 구동 모터(8)의 회전 구동을 감속하는 감속 기구(15) 및 동력 전달 기구(12)에서의 동력 전달을 동력 전달 상태와 동력 차단 상태로 전환하는 클러치 기구(18)를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하, 이들 동력 전달 기구(12), 감속 기구(15) 및 클러치 기구(18)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동력 전달 기구(12)는 릴 본체(4)의 우측 프레임(4b) 측에 집약되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수동 핸들(6)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핸들축(6a), 핸들축(6a)에 장착되는 구동 기어(6b), 구동 기어(6b)에 맞물림과 함께 상기 감속 기구(15)에 연결되는 연결 기어(20), 감속 기구(15)와 클러치 기구(18) 사이에 개재되는 중간 기어(2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감속 기구(15)는 나란히 설치되는 유성 기어 기구에 의해 구동 모터(8)의 회전 구동력을 감속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구동 모터(8)의 구동축(8a)에 나란히 설치되는 제1 태양 기어(30) 및 제2 태양 기어(31)에 각각 맞물리는 제1 유성 기어(32) 및 제2 유성 기어(33)를 구비하고 있다. 이 경우, 제1 태양 기어(30)는 구동축(8a)에 고정되고, 제2 태양 기어(31)는 프리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각유성 기어(32, 33)는 출력 회전체(35)에 형성되는 내치(35a)에 맞물려 있으며, 제1 유성 기어(32)를 지지하는 제1 캐리어(32a)는 상기 제2 태양 기어(31)에 연결 고정되어 있다. 또한 제2 유성 기어(33a)를 지지하는 제2 캐리어(33a)는 상기 연결 기 어(20)에 연결 고정되어 있다.
상기 핸들축(6a)에는 역회전 방지 기구(6c)가 설치되어 있어, 구동 모터(8)가 회전 구동되었을 때 수동 핸들(6)의 연동 회전을 저지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 형태의 역회전 방지 기구(6c)는 핸들축(6a)에 장착되는 역회전 방지용 래칫으로서 구성되어 있으나, 한방향 클러치로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구동 모터(8)의 구동축(8a)의 좌측판 측의 돌출 부분에는 수동 핸들(6)을 권취 조작하였을 때 헛 돌지 않도록, 그리고 스풀(7) 측에 동력이 전달되도록 한방향 클러치(8d)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감속 기구(15)를 구성하는 출력 회전체(35)의 회전 구동력은 상기 클러치 기구(18)와 관련된 입력 회전체(39)로 전달되도록 되어 있으며, 본 실시 형태에서는 양자간의 회전 구동력의 전달은 동력 전달용 벨트(50)를 통하여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즉, 출력 회전체(35) 및 입력 회전체(39)의 외주면에 각각 홈부(35e 및 39e)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부분에 벨트(50)를 권회함으로써 동력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클러치 기구(18)는 한 쌍의 베어링(41)을 통하여 우측 프레임(3b) 및 우측판(4b)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됨과 함께, 축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축 형상의 클러치 작동 부재(40)와, 이 클러치 작동 부재(40)에 결합되는 작동판(42)과, 작동판(42)에 결합되어 클러치 작동 부재(40)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클러치 플레이트(43)와, 클러치 플레이트(43)를 회동 구동하는 조작 레버(클러치 레버)(45)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상기 입력 회전체(39)의 내부의 비원형 원 주부에는 클러치 작동 부재(40)의 일측에 형성한 비원형 외주부가 회전 방지 끼움 결합된다.
상기 클러치 작동 부재(40)의 스풀측에는 스풀 축(7s)에 형성되어 있는 단면이 비원형인 걸림부(7h)에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부(40a)가 형성되어 있다. 결합부(40a)와 걸림부(7h)는 걸거나 벗김 가능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단면이 비원형인 끼움 결합 관계가 되고, 양자의 끼움 결합시에 있어서는 클러치 작동 부재(40)가 회전 구동함으로써 스풀(7)은 스풀 축(7s)을 통하여 일체 회전한다.
상기 작동판(42)은 클러치 작동 부재(40)의 중간부에 장착되어 클러치 작동 부재(40)를 항상 스풀측을 향하여 탄성 가압하고 있으며, 이 상태에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러치 작동 부재(40)의 결합부(40a)를 스풀 축(7s)의 걸림부(7h)에 끼워 결합하여 동력 전달 상태가 된다(클러치 ON). 그리고, 조작 레버(45)를 회전 조작하면, 상기 클러치 플레이트(43)의 단부에 형성한 결합 장공(43b)에 조작 레버(45)와 일체 회전하는 작동체(45a)의 편심 돌기부(45b)가 결합되어 클러치 플레이트(43)를 클러치 작동 부재(40)의 축심측으로 슬라이딩시키고, 그 표면에 설치된 캠 부재(43a)가 작동판(42)을 탄성 가압력에 대항하여 밀어올려, 클러치 작동 부재(40)를 우측판 측을 향하여 슬라이딩시킨다. 이 상태에서 클러치 작동 부재(40)의 결합부(40a)는 걸림부(7h)로부터 벗어나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력 전달 차단 상태가 된다(클러치 OFF). 한편, 클러치 OFF 상태에서 클러치 ON 상태로의 복귀는 공지의 복귀 기구에 의해 수동 핸들(6)의 권취 조작 혹은 조작 레버(45)의 회동 조작 등에 의해 이루어진다.
다음, 상기한 동력 전달 기구(12)에 의해 수동 핸들(6) 및 구동 모터(8)의 구동력의 동력 전달 경로에 대하여 도 1,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수동 핸들(6)을 회전 조작하였을 때의 동력 전달 경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회전 구동력이 출력되는 구동 모터측의 유성 기어 기구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수동 핸들(6)을 권취 조작하면, 구동 기어(6b)는 도 4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며, 이 회전 구동력은 연결 기어(2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제2 캐리어(33a)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 때 제2 태양 기어(31)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며, 이에 따라 제1 캐리어(32a)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제1 캐리어(32a)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제1 태양 기어(30)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하는데, 구동 모터(8)의 구동축(8a)에 장착된 한방향 클러치(8d)에 의해 제1 태양 기어(30)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없으며, 결과적으로 제1 유성 기어(32)는 제1 태양 기어(30)의 주변을 반시계 방향으로 공전하면서 자전한다. 이에 따라, 출력 회전체(35)는 각 제1 유성 기어(32)에 의해 감속된 상태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그리고, 출력 회전체(35)의 반시계 방향의 회전은 상기 벨트(50)를 통하여 입력 회전체(39)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스풀(7)은 입력 회전체(39)에 회전 방지되는 클러치 작동 부재(40)를 통하여 낚싯줄 권취 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도 5는 구동 모터(8)를 회전 조작하였을 때의 동력 전달 경로를 나타내는 도 면으로서, 회전 구동력이 출력되는 수동 핸들측의 유성 기어 기구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구동 모터(8)를 회전 구동하면, 제1 태양 기어(30)는 도 5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고, 이 회전 구동력에 의해 제1 캐리어(32a)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이 때 제2 태양 기어(31)도 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며, 이에 따라 제2 캐리어(33a)도 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려고 하는데, 제2 캐리어(33a)는 연결 기어(20)를 통하여 구동 기어(6b)에 장착된 역회전 방지 기구(6b)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없으며, 결과적으로 제2 유성 기어(33)는 반시계 방향으로 자전한다. 이에 따라, 출력 회전체(35)는 각 제2 유성 기어(33)의 자전에 의해 감속된 상태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그리고, 출력 회전체(35)의 반시계 방향의 회전은 상기한 수동 핸들(6)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벨트(50)를 통하여 입력 회전체(39)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스풀(7)은 입력 회전체(39)에 회전 방지되는 클러치 작동 부재(40)를 통하여 낚싯줄 권취 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수동 핸들(6)의 권취 조작 및 구동 모터(8)의 회전 구동에 의해 회전 구동력이 입력되는 입력 회전체(39)에 대하여 클러치 작동 부재(40)를 독자적으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회전 방지 끼움 결합으로써 클러치의 걸거나 벗김 조작을 지장 없이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무거운 낚시찌나 추를 매달아 낚싯줄에 커다란 장력이 작용하고, 스풀(7)을 권취 구동하는 클러치 결합부에 부하가 가해지고 있어도, 경쾌한 클러치 끊기 조작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풀(7)에 대한 동력 전달을 기어끼리의 맞물림 관계가 아니라 벨트(50)에 의해 행하므로, 특히 구동 모터(8)의 구동시에 있어서의 기어 맞물림에 의한 소음을 감소하여 정음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내부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 7 및 도 8은 도 6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7은 동력 전달 상태(클러치 ON)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동력 차단 상태(클러치 OFF)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실시 형태의 출력 회전체(35)에서 입력 회전체(39)로의 회전 구동력의 전달을 기어의 맞물림에 의해 행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즉, 출력 회전체(35)의 외주면에는 외치(35b)가 형성되어 있으며, 입력 회전체(39)는 기어로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출력 회전체(35)와 입력 회전체(기어)(39) 사이에는 중간 기어(22)가 개재되어 있어, 출력 회전체와 입력 회전체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스풀(7)은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낚싯줄이 권회되는 낚싯줄 권회 몸체부(7a)의 내측에는 공동부(7d)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공동부(7d)는 도 1에 도시한 실시 형태와 같이 좌우의 프레임(3a, 3b) 사이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는 스풀 축(7s)이 배열되지 않는 공간이며, 이에 따라 스풀을 경량화하여 프리 회전 성능을 향상시키고 있다. 한편, 이 공동부(7d)는 후술하는 실시 형태와 같이 전원 유닛이나 기판 등의 전장 부품을 설치하는 공간으로서 이용하여도 좋다.
또한 스풀(7)의 양측부(측단면)에는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베어링 장착부(7e, 7f)가 형성되어 있다. 이 베어링 장착부(7e, 7f)는 스풀과 함께 일체 형성하여도 좋고, 별체로서 구성하여 스풀에 일체화되는 것이어도 좋으며, 환상으로 구성되어 좌우의 프레임(3a, 3b) 사이에서 베어링(10a, 10b)을 개재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나아가, 스풀(7)의 일측부(우측판 측의 단면)에는 클러치 작동 부재(40)의 결합부(40a)가 걸리거나 벗겨지도록 걸림부(7h)가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부(7h)는 상기 베어링 장착부(7f)의 지름 방향 내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클러치 작동 부재(40)의 결합부(40a)와 결합하여 클러치 작동 부재(40)의 회전과 함께 스풀(7)을 일체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걸림부(7h)는 상기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클러치 작동 부재(40)와 스풀(7)이 일체 회전하도록 동력 전달부로서의 기능을 구비하고 있으며, 예컨대 단면이 비원형인 오목부, 볼록부, 요철부 등에 의해 구성된다.
이상과 같이 스풀(7)은 그 중심부에 스풀 축을 장착하지 않고, 그 양단부가 릴 본체인 좌우의 프레임(3a, 3b)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클러치 작동 부재(40)는 구동 모터(8) 및 수동 핸들(6)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입력 회전체인 기어(39)의 내부에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해지도록 회전 방지 끼움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기어끼리(중간 기어(22), 기어(39))의 맞물림 상태를 유지하면서 스풀(7)에 대하여 동력 전달 상태와 동력 차단 상태의 전환이 가능해져 기어의 이빨 부분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또한 기어의 맞물림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클러치 작동 부재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이므 로 맞물림 성능이 양호한 나선형 기어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짐과 함께, 나아가서는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나선형 기어가 잇줄의 비틀림 각도를 크게 하여 양호한 맞물림 성능의 유지를 도모하면서, 클러치 끊기의 경쾌한 조작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구성에서는 스풀(7)의 내부에 스풀 축을 포함하는 동력 전달부나 지지부 등이 설치되지 않으므로 회전하는 스풀을 경량화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스풀(7)의 프리 회전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에 따라 릴 본체(5)의 스풀 축 방향 길이를 단축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전체적으로 소형 경량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나아가, 상기한 구성에서는 클러치 작동 부재(40)의 결합부(40a)와 스풀(7)의 걸림부(7h)를 대형화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걸리거나 벗겨지는 동력 전달부의 강도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내부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상기한 제2 실시 형태와 같이 스풀(7)의 낚싯줄 권회 몸체부(7a)의 내측에는 공동부(7d)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부분(사선으로 나타낸 영역(60))에 전원 유닛이나 기판 등의 전장 부품을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프레임과 측판 사이에 전장 부품을 집약 배치할 필요가 없어져 분산화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릴 본체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음과 함께, 전기적 접속부 등의 고장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클러치 기구에 있어서 클러치 작동 부재를 동력 전달계의 동력 전달 상태(기어의 맞물림 상태를 포함함)를 유지한 상태 그대로 이동시켜 클러치를 OFF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좋으며, 전술한 동력 전달 기구, 감속 기구, 클러치 기구의 구성 및 그 배치 태양에 대해서는 적당하게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클러치 작동 부재(40)는 구동 모터(8)의 구동 및 수동 핸들(6)의 회전 조작으로 회전하고, 외부의 전환 조작으로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구성이면 좋으며, 예컨대 내부에 공동부를 형성하여 회전체의 외주를 슬라이딩시키는 등 적당히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클러치 작동 부재(40)의 결합부(40a)가 걸리거나 벗겨지는 걸림부(7h)는 스풀과 일체 회전하는 부분에 설치된 것이면 된다. 아울러, 출력 회전체(35)와 입력 회전체(39)는 동력 전달하도록 구성된 것이면 좋으며, 상기한 바와 같이 기어끼리의 맞물림에 의한 동력 전달, 벨트에 의한 동력 전달 및 이들을 조합하여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낚시질용 전동 릴 이외에도, 스풀을 양측판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핸들의 권취 조작에 의해 스풀을 권취 조작하는 양베어링형 릴에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종래의 양베어링형 릴에 있어서 클러치 기구는 핸들축에 장착되어 핸들의 회전 조작에 의해 회전 구동하는 구동 기어에 피니언 기어를 맞물리게 한 상태에서 피니언 기어의 외주면에 끼워져 결합되는 작동판을 통하여 피니언 기어를 축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클러치 끊기의 조작성을 고려하면 구동 기어와 피니언 기어에 나선형 기어를 이용하는 것은 곤란하였으나, 전술한 실시 형태와 같이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 한 클러치 작동 부재의 외주에 피니언 기어를 회전 방지 끼움 결합으로써 기어끼리의 맞물림 상태를 유지한 채로 클러치 작동 부재를 축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이러한 양베어링형 릴에 의하면, 클러치 끊기의 경쾌한 조작성을 유지한 채로 맞물림 성능이 양호한 나선형 기어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경쾌한 클러치의 전환 조작을 행할 수 있는 낚시질용 전동 릴이 얻어지게 된다.

Claims (6)

  1. 낚싯줄이 권회되는 스풀을 릴 본체에 설치한 구동 모터 및 수동 핸들로 권취 구동 가능하게 함과 함께, 상기 스풀을 동력 전달 상태와 동력 차단 상태로 전환하는 클러치 기구를 구비한 낚시질용 전동 릴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터 및 수동 핸들로 회전하는 회전체에 클러치 작동 부재를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회전방지 끼움 결합함과 함께, 상기 클러치 작동 부재의 일측에 형성한 결합부를 상기 스풀과 일체 회전하는 걸림부에 걸거나 벗김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질용 전동 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동력 전달용 벨트가 권회되어 동력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질용 전동 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은 상기 릴 본체와의 사이에 개재되는 베어링을 장착하는 베어링 장착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릴 본체에 대하여 베어링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질용 전동 릴.
  4. 낚싯줄이 권회되는 스풀을 릴 본체에 설치한 구동 모터 및 수동 핸들로 권취 구동 가능하게 함과 함께, 상기 스풀을 동력 전달 상태와 동력 차단 상태로 전환하는 클러치 기구를 구비한 낚시질용 전동 릴에 있어서,
    상기 스풀의 양측부를 상기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함과 함께, 상기 스풀의 일측부에 형성한 걸림부에 상기 구동 모터 및 수동 핸들로 회전하며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클러치 작동 부재에 형성한 결합부를 걸거나 벗김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질용 전동 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작동 부재는 상기 구동 모터 및 수동 핸들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회전체에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회전방지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질용 전동 릴.
  6. 릴 본체에 대하여 베어링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스풀과, 상기 릴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스풀을 회전 구동하는 구동 모터 및 수동 핸들과, 상기 구동 모터 및 수동 핸들에 의한 회전 구동력을 상기 스풀로 전달하는 동력 전달 기구와, 이 동력 전달 기구를 동력 전달 상태/동력 차단 상태로 전환하는 클러치 기구를 갖는 낚시질용 전동 릴로서,
    상기 동력 전달 기구는 상기 구동 모터의 출력 축 상에 배열되는 유성 기어 기구와, 이 유성 기어 기구의 유성 기어가 맞물리는 내치를 구비한 출력 회전체와, 이 출력 회전체에 연동하여 회전 구동되는 입력 회전체와, 이 입력 회전체에 회전 방지되어 일체 회전함과 함께, 상기 클러치 기구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되는 클러치 작동 부재를 가지며,
    상기 스풀의 양측부에는 상기 릴 본체와의 사이에 개재되는 베어링을 장착하 는 베어링 장착부가 설치됨과 함께, 스풀의 일측부에는 상기 클러치 작동 부재의 결합부가 걸리거나 벗겨지는 걸림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질용 전동 릴.
KR1020060056186A 2005-11-25 2006-06-22 낚시질용 전동 릴 KR1007435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340292 2005-11-25
JP2005340292A JP4565566B2 (ja) 2005-11-25 2005-11-25 魚釣用電動リー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5316A KR20070055316A (ko) 2007-05-30
KR100743518B1 true KR100743518B1 (ko) 2007-07-27

Family

ID=38205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6186A KR100743518B1 (ko) 2005-11-25 2006-06-22 낚시질용 전동 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565566B2 (ko)
KR (1) KR100743518B1 (ko)
TW (1) TW20071982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7944B1 (ko) 2007-01-23 2010-03-15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낚시용 전동 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74423B2 (ja) * 2009-07-10 2014-04-16 株式会社シマノ 電動リールのスプール駆動装置
JP6836324B2 (ja) * 2016-01-26 2021-02-24 株式会社シマノ 電動リール
CN111918830B (zh) * 2018-03-30 2022-05-13 精工爱普生株式会社 收卷装置以及印刷装置
JP2022185844A (ja) * 2021-06-03 2022-12-15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電動リール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145A (ja) * 1988-06-14 1990-01-08 Fujitsu Ltd 半導体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8765U (ko) * 1989-07-05 1991-02-25
JPH0358966U (ko) * 1989-10-16 1991-06-10
JPH10178982A (ja) * 1996-12-27 1998-07-07 Ryobi Ltd 魚釣り用両軸受リール
JP2002000145A (ja) * 2000-04-21 2002-01-08 Johshuya Co Ltd 魚釣用電動リール
JP2002142625A (ja) * 2000-08-31 2002-05-21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ル
JP4097150B2 (ja) * 2004-03-19 2008-06-11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電動リール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145A (ja) * 1988-06-14 1990-01-08 Fujitsu Ltd 半導体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7944B1 (ko) 2007-01-23 2010-03-15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낚시용 전동 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565566B2 (ja) 2010-10-20
JP2007143448A (ja) 2007-06-14
TWI296503B (ko) 2008-05-11
TW200719826A (en) 2007-06-01
KR20070055316A (ko) 2007-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20172B1 (en) Actuator
KR100743518B1 (ko) 낚시질용 전동 릴
JP5047889B2 (ja) 魚釣用リール
JP4885666B2 (ja) 魚釣用電動リール
JP4439437B2 (ja) 魚釣用電動リール
KR960005022B1 (ko) 레버식 권상견인기
JP4841584B2 (ja) 負荷感応型自動変速装置を内蔵した巻上牽引機
CN104203797A (zh) 手动提升牵引装置
JP4097150B2 (ja) 魚釣用電動リール
TWI632849B (zh) Electric reel
TW201934003A (zh) 雙軸承捲線器
KR102611460B1 (ko) 전동 릴
JP4565565B2 (ja) 魚釣用電動リール
JP4397043B2 (ja) 魚釣用リール
JP2014223041A5 (ko)
JP2552465Y2 (ja) リールのクラッチ操作構造
JP4605714B2 (ja) 魚釣用電動リール
JP3936882B2 (ja) 魚釣用電動リール
JP2008072978A (ja) 魚釣用電動リール
JP7492434B2 (ja) 釣り用リールのトルク制限装置及び釣り用リール
JP2003259777A (ja) 魚釣用リール
JP2008072979A (ja) 魚釣用電動リール
JP2007252331A (ja) 魚釣用電動リール
JP2007222112A (ja) 魚釣用電動リール
TW202410803A (zh) 電動捲線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