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1280B1 - 쇽 업소버의 높이 조절 가능한 상부캡 - Google Patents

쇽 업소버의 높이 조절 가능한 상부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1280B1
KR100741280B1 KR1020030027577A KR20030027577A KR100741280B1 KR 100741280 B1 KR100741280 B1 KR 100741280B1 KR 1020030027577 A KR1020030027577 A KR 1020030027577A KR 20030027577 A KR20030027577 A KR 20030027577A KR 100741280 B1 KR100741280 B1 KR 1007412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ck absorber
height
upper cap
hydraulic jack
hydraul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7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3762A (ko
Inventor
유춘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030027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1280B1/ko
Publication of KR20040093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37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1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12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6Special sealings, including sealings or guides for piston-rods
    • F16F9/361Sealings of the bellows-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0/00Purpose; Design features
    • F16F2230/02Surface features, e.g. notches or protuberan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0/00Purpose; Design features
    • F16F2230/30Seal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쇽 업소버의 높이 조절 가능한 상부캡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쇽업소버의 기본장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높이가 조절되는 상부캡은, 원통형으로 하부는 개방되고 상부는 중심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어 일측에 상기 몸체를 관통한 유압입력포트를 통하여 공급되는 유압으로 길이가 조절되는 유압잭과; 상기 유압잭의 하단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유압잭의 높이 조절에 의하여 위치가 이동되는 이동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부캡의 설치는 쇽업소버의 기본장 변경이 용이하여 생산성 향상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쇽 업소버의 높이 조절 가능한 상부캡{UPPER PART CAP THAT A SHOCK ABSORBER HEIGHT CONTROL IS AVAILABLE}
도 1은 종래 쇽 업소버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쇽 업소버의 높이 조절 가능한 상부캡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쇽 업소버의 높이 조절 가능한 상부캡의 평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높이조절 가능한 상부캡이 장착된 쇽업소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70 : 상부캡 171 : 몸체
172 : 개구부 173 : 가이드홈
174 : 경사면 180 : 유압잭
182 : 유압입력포트 190 : 이동판
192 : 돌기
본 발명은 쇽 업소버의 높이 조절 가능한 상부캡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실차 시험 평가시 차량의 휠 스트로크를 조절하기 위하여 쇽업소버의 기본장이 변경되어야 하는데 이를 용이하도록 한 쇽업소버의 높이조절 가능한 상부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쇽 업소버(shock absorber)는 차축과 차체 사이에 설치되어 차량의 주행시 차축이 노면으로부터 받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방진, 완충장치로서, 그 내부는 가스 및 오일 등의 충진물이 채워져 감쇠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는데, 통상적으로 오일이 충진된 유압식 쇽 업소버가 많이 사용된다.
도 1은 이러한 종래의 쇽 업소버 내부를 보인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쇽 업소버(1)는 오일이 가득 채워진 내부관(20)과, 그 외측으로 오일이 절반정도 채워진 외부관(10), 그리고 일단은 내부관(20) 내측으로 삽입되고 타단은 외부관(10) 외측으로 연장된 피스톤 로드(30)가 마련된다.
상기 외부관(10)은 밀폐된 중공관으로서 외부 하측에는 미도시된 차축과 연결될 수 있도록 하부 브래킷(11)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피스톤 로드(30)가 외부로 연장될 수 있도록 상단면의 중심축은 개구되어 있고, 그 내부에는 오일 누설을 방지할 수 있도록 오일씰(42)과 그 상단에 씌워져 결합되는 상부캡(44)이 설치된다. 그리고 오일씰(42)의 하부에는 피스톤 로드(30)를 지지 안내하는 로드 가이드(40)가 위치하고, 상기 로드 가이드(40)의 하부로는 내부관(20)이 이어진다.
또, 외부관(10)의 외부 상측에는 피스톤 로드(30)의 상측 선단과 결합되어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는 더스트 커버(13)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더스트 커버(13)의 내부에는 풀 압축시 어퍼더스트 커버(12)와 상부캡(44)의 부딪힘을 방지함과 동시에 충격 및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고무재질의 범퍼러버(50)가 위치한다.
상기에 따른 구성에서 차량의 실차 시험 평가시 차량의 거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쇽업소버의 기본장을 변경하여야 한다. 여기에서 쇽업소버의 기본장은 차량의 차체와 차축 사이의 기본적인 높이, 즉 정차시의 차량의 기본적인 높이를 유지하기 위해 쇽업소버가 차체와 차축 사이의 길이에 대응하는 높이를 말한다.
그러나 상부캡(44)은 높이가 고정되어, 차량의 튜닝시 쇽업소버의 기본장을 조절하여야 할 경우 새로이 샘플을 제작하여야 하는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높이조절 가능한 상부캡을 설치함으로서, 쇽업소버의 기본장이 용이하게 조절되는 쇽 업소버의 높이조절 가능한 상부캡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체와 차축 사이의 길이에 대응하는 쇽업소버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높이가 조절되는 상부캡에 있어서, 상기 상부캡은 원통형으로 하부는 개방되고 상부는 중심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어 일측에 상기 몸체를 관통한 유압입력포트를 통하여 공급되는 유압으로 길이가 조절되는 유압잭과, 상기 유압잭의 하단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유압잭의 높이 조절에 의하여 위치가 이동되는 이동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 업소버의 높이조절 가능한 상부캡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쇽 업소버의 높이 조절 가능한 상부캡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쇽 업소버의 높이 조절 가능한 상부캡의 평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높이조절 가능한 상부캡이 장착된 쇽업소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쇽 업소버의 높이조절 가능한 상부캡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쇽 업소버(100)는, 오일이 가득 채워진 내부관(120)과 이 내부관(120)의 외측으로는 오일이 절반정도 채워진 외부관(110), 그리고 일단은 내부관(12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 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외측으로 연장되는 피스톤 로드(130)가 마련된다.
상기 내부관(120)은 실린더 역할을 하는 중공의 원통관으로서, 외부관(110)의 내측에 외부관(110)과 소정간격 이격 되도록 설치되며, 그 상측 내부에는 피스톤 로드(130)의 이동을 안내해줄 수 있도록 그 내부에 로드 가이드(140)가 마련된다. 상기 로드 가이드(140)의 상부에는 오일의 누유를 막는 오일씰(150)이 설치되며, 그 상부에는, 본 발명인 상부캡(170)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부캡(17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의 몸체(171)로 형성되고, 몸체(171)의 하부는 개방되고 상부는 중심부에 개구부(172)가 형성된다.
그리고 몸체(171)의 내측 상부에 유압잭(180)이 설치된다. 유압잭(180)은 중심부에 중공부를 이루며 수축과 팽창이 용이하게 되는 벨로우즈로 형성된다. 그리고 유압잭(180)의 일측에 몸체(171)를 관통한 유압입력포트(182)가 형성된다. 유압입력포트(182)로 오일이 입력되어 유압잭(180)의 길이가 결정되며, 오일의 입력 후 상기 유압입력포트(182)를 용접하여 상기 유압입력포트(182)를 차단하게 된다.
그리고 유압잭(180)의 하단에 슬라이딩되는 이동판(190)이 설치된다.
이동판(190)은 몸체(171)의 내경과 같은 크기의 원판으로 중공부를 가지며 원주 방향에 몇 개소의 돌기(192)가 형성된다. 한 편, 이동판(190)의 돌기(192)에 대응하도록 몸체(171)의 내측면에는 돌기(192)가 상, 하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홈(173)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가이드홈(173)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171)의 하부 내측면이 외부관(110)과의 결합을 위하여 경사면(174)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쇽 업소버의 높이조절 가능한 상부캡의 조립은 다음과 같다.
차량 실차의 튜닝(TUN'G)시 차량의 차체와 차축 사이의 기본적인 높이, 즉 정차시의 차량의 기본적인 높이를 유지하기 위한 차체와 차축 사이의 길이에 대응하는 높이인, 쇽업소버의 기본장 변경이 요구되면, 먼저 유압입력포트(182)를 통하여 오일을 주입시킨다. 주입되는 오일로 하여 벨로우즈의 유압잭(180)은 길이 방향으로 팽창한다. 유압잭(180)이 원하는 길이로 팽창이 이루어지면, 이 후 유압입력포트(182)를 차단한다. 이 때 이동판(190)은 가이드홈(173)의 하단부에 거취되어 있는 상태이다.
유압잭(180)이 팽창된 상부캡(170)은 외부관(110)에 압입 설치되고 피스톤로드(130)가 개구부(172)에 관통 설치된다. 몸체(171)의 경사면(174)은 외부관(110) 과의 보다 원활히 압입을 가능하게 한다. 압입 정도는 외부관(110)이 이동판(190)을 밀고 이동판(190)이 유압잭(180)의 하단부에 위치하여 더 이상 진입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까지 된다.
따라서 유압잭(180)의 팽창이나 수축 정도에 의하여 외부관(110)과의 압입 정도가 달라져 기본장 길이가 용이하게 변경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쇽 업소버의 높이조절 가능한 상부캡에 의하면, 쇽업소버의 기본장 변경이 용이하도록 높이조절 가능한 상부캡을 설치함으로서, 생산성 향상의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차체와 차축 사이의 길이에 대응하는 쇽업소버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높이가 조절되는 상부캡에 있어서;
    상기 상부캡은
    원통형으로 하부는 개방되고 상부는 중심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어 일측에 상기 몸체를 관통한 유압입력포트를 통하여 공급되는 유압으로 길이가 조절되는 유압잭과;
    상기 유압잭의 하단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유압잭의 높이 조절에 의하여 위치가 이동되는 이동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 업소버의 높이조절 가능한 상부캡.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잭은 수축과 팽창을 위하여 벨로우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 업소버의 높이조절 가능한 상부캡.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판의 외주연에 다수개의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내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돌기가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 업소버의 높이조절 가능한 상부캡.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쇽업소버의 외부관과의 결합을 위하여 하부 내측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 업소버의 높이조절 가능한 상부캡.
KR1020030027577A 2003-04-30 2003-04-30 쇽 업소버의 높이 조절 가능한 상부캡 KR1007412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7577A KR100741280B1 (ko) 2003-04-30 2003-04-30 쇽 업소버의 높이 조절 가능한 상부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7577A KR100741280B1 (ko) 2003-04-30 2003-04-30 쇽 업소버의 높이 조절 가능한 상부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3762A KR20040093762A (ko) 2004-11-09
KR100741280B1 true KR100741280B1 (ko) 2007-07-19

Family

ID=37373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7577A KR100741280B1 (ko) 2003-04-30 2003-04-30 쇽 업소버의 높이 조절 가능한 상부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12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48496B2 (en) 2019-08-09 2021-10-19 Hyundai Motor Company Strut assembly for vehic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0777A (ko) * 1988-06-04 1991-01-30 필립 스타인, 헤리베르트 부크 정균 활성을 갖는 안트라사이클린 유도체
KR910000777B1 (ko) * 1982-12-04 1991-02-06 페스토-마쉬넨파브릭 고틀리브스톨 완충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0777B1 (ko) * 1982-12-04 1991-02-06 페스토-마쉬넨파브릭 고틀리브스톨 완충기
KR910000777A (ko) * 1988-06-04 1991-01-30 필립 스타인, 헤리베르트 부크 정균 활성을 갖는 안트라사이클린 유도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48496B2 (en) 2019-08-09 2021-10-19 Hyundai Motor Company Strut assembly f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3762A (ko) 2004-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4287B1 (ko) 가변유로를 갖는 쇽업소버의 밸브 구조
US20130140117A1 (en) Valve structure of shock absorber
JPS60260731A (ja) 調整可能な油圧式シヨツクアブソ−バ
KR100741280B1 (ko) 쇽 업소버의 높이 조절 가능한 상부캡
JP2006177531A (ja) 油圧緩衝器
KR20100114821A (ko) 연속 감쇠력가변형 댐퍼
KR100391419B1 (ko) 차량용 쇽 업소버
KR100489332B1 (ko) 쇽 업소버의 먼지보호 캡
KR100791469B1 (ko) 쇽 업소버
KR20090100485A (ko) 전자석을 이용한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
KR101815593B1 (ko) 철도 차량용 완충기
KR100455215B1 (ko) 쇽 업소버의 스토퍼
KR100478908B1 (ko) 쇽 업소버의 상부캡 지지구조
JPS6340005Y2 (ko)
KR100741276B1 (ko) 쇽 업소버의 스토퍼 구조
KR100448783B1 (ko) 자동차의 쇽업소버
CN117345796A (zh) 减振器以及用于装配减振器的方法
KR20050054326A (ko) 쇽 업소버의 범퍼러버 고정구조
KR100716425B1 (ko) 쇽 업소버의 범퍼러버
KR100863720B1 (ko) 슬라이딩 로드를 갖는 모노 튜브식 쇽업소버
KR20020042942A (ko) 쇽업소버의 리바운드스토퍼
KR100757809B1 (ko) 쇽 업소버의 범퍼러버
KR200178436Y1 (ko) 쇽업소버의 로드가이드장치
JPH01295038A (ja) ばね定数可変式緩衝器
KR100455214B1 (ko) 쇽 업소버의 로드가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