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1109B1 - 디스플레이 모듈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1109B1
KR100741109B1 KR1020060007274A KR20060007274A KR100741109B1 KR 100741109 B1 KR100741109 B1 KR 100741109B1 KR 1020060007274 A KR1020060007274 A KR 1020060007274A KR 20060007274 A KR20060007274 A KR 20060007274A KR 100741109 B1 KR100741109 B1 KR 1007411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chassis
boss
display panel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7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원규
김명곤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07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11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1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11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5/00Hand irons
    • D06F75/02Externally-heated hand irons; Hand irons internally heated by means other than electricity, e.g. by solid fuel, by steam
    • D06F75/06Externally-heated hand irons; Hand irons internally heated by means other than electricity, e.g. by solid fuel, by steam with means for supplying steam or liquid to the article being irone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1/00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 D06F71/18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specially adapted for pressing particular garments or parts thereof
    • D06F71/28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specially adapted for pressing particular garments or parts thereof for pressing sleeves, trousers, or other tubular garments or tubular parts of garments
    • D06F71/29Trous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5/00Hand irons
    • D06F75/30Hand irons of special external shape or for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5/00Hand irons
    • D06F75/34Handles; Handle mounting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5/00Hand irons
    • D06F75/36Casing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5/00Hand irons
    • D06F75/40Stands or supports attached to the iro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6Trou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후방에서 지지하는 섀시 베이스와, 상기 섀시 베이스로부터 절곡되어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의 기판 가이드들을 구비한 섀시와; 상기 섀시의 후방에서 일정 유격을 가지고 형성된 복수의 회로 기판들을 구비하는 것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 제어하는 회로부와; 상기 섀시 및 회로 기판 사이를 결합 고정하는 복수의 보스들을 구비하고, 상기 기판 가이드들은 상기 보스의 정확한 위치에 안착된 회로 기판의 테두리를 따라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모듈{Display module}
도 1은 종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회로 기판 장착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회로 기판 장착 구조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을 개략적인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A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Ⅵ-Ⅵ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디스플레이 모듈 110: 디스플레이 패널
140: 섀시 141: 섀시 베이스
145: 기판 가이드 160: 회로부
161: 회로 기판 190: 보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회로 기판이 섀시 베이스에 장착된 보스에 고정되는 구조가 개선된 디스플레이 모듈에 관한 것이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에 구비된 섀시에는 여러 가지의 회로 기판이 장착된다. 상기 회로 기판에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보드, 화상의 구현에 이용되는 신호의 제어를 위한 로직 보드(logic board), 패널의 전극에 전압을 공급하는 구동 보드 등이 있다.
이 때 상기 회로 기판을 섀시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상기 섀시에 압입되는 보스와 상기 회로 기판을 관통하여 상기 보스와 나사 결합하는 스크류가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결합 구조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회로 기판의 관통 홀이 상기 보스에 정확하게 위치하도록 회로 기판을 이동 시킨 다음, 스크류를 회로 기판 상측으로부터 관통 홀을 통과하여 보스에 나사 결합된다.
종래의 통상적인 보스는 상면이 편평한 구조로 상기 회로 기판이 상기 보스의 상면에 안착된다. 그런데, 상기 회로 기판이 불투명한 재질로서, 상기 회로 기판의 관통 홀을 상기 보스의 정확한 위치에 위치시키기가 쉽지 않고, 그 시간 또한 많이 걸리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스(90)를 2단으로 가공할 수 있다. 즉, 보스(90)가, 섀시(40)에 장착되며 회로 기판(50)이 안 착되는 상면을 가진 지지부(91) 및 상기 지지부(91)보다 작은 직경을 가져서 회로 기판의 관통 홀(55)에 끼워지는 가이드부(92)를 구비하여서, 상기 회로 기판(50)이 상기 가이드부(92)에 끼워져서 상기 지지부(91)에 안착 지지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구조는 보스(90)를 2단으로 가공하여야 하므로 제조 공정이 늘어나게 된다. 또한, 이 경우에도 회로 기판(40)을 보스(90) 상측에서 수평 이동시키면서 관통 홀(55)에 끼워야 함으로써, 상기 회로 기판(50)을 정확한 위치에 위치시키는데 걸리는 시간을 단축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용 보스(93) 이외에 가이드용 보스(98)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용 보스(98)가 2단으로 가공 형성되고, 결합용 보스(93)가 1단으로 가공 형성된다. 또한, 상기 회로 기판에는, 상기 결합용 보스(93)에 대응되는 관통 홀(55) 및 상기 가이드용 보스(98)에 끼워지는 가이드 홀(56)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회로 기판(50)의 가이드용 보스(98)가 상기 가이드 홀(56)에 끼워짐으로써 관통 홀(55)이 상기 결합용 보스(93) 상의 정확한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고, 이 상태에서 스크류(95)를 상기 회로 기판(50)의 관통 홀(55)을 통하여 상기 결합용 보스(93)와 결합시키도록 한다.
그런데 이 경우에는 가이드용 보스(98)를 별도로 추가하여야 함으로써 제조 비용이 증가하게 되고, 상기 가이드용 보스(98)를 배치하기 위한 별도의 제조 공정이 추가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단시간에 회로 기판이 보스의 정확한 위치에 안착될 수 있고, 제 작 비용을 저감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후방에서 지지하는 섀시 베이스와, 상기 섀시 베이스로부터 절곡되어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의 기판 가이드를 구비한 섀시와; 상기 섀시의 후방에서 일정 유격을 가지고 형성된 복수의 회로 기판을 구비하는 것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 제어하는 회로부와; 상기 섀시 및 회로 기판 사이를 결합 고정하는 복수의 보스를 구비하고, 상기 기판 가이드들은 상기 보스의 정확한 위치에 안착된 회로 기판의 테두리를 따라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기판 가이드들은 상기 섀시 베이스를 슬리팅 가공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판 가이드들의 후방 단부는 적어도 상기 보스보다 후방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기판 가이드들의 후방 단부는 상기 회로 기판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판 가이드들은 상기 회로 기판의 각각의 모서리마다 적어도 하나씩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디스플레이 모듈로, 플라즈마 방전을 이용하여 화상을 구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회로부에 구비된 회로 기판이 섀시에 지지되는 경우 본 발명에 포함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을 개략적인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의 A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Ⅵ-Ⅵ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섀시(140)와, 회로부(160)와, 보스(190)들을 구비한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이를 통하여 화상을 구현한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구비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로서, 면 방전형 3전극 구조를 갖는 교류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사용 편의상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로 가정하여 설명하고, 그 참조 부호도 디스플레이 패널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동일하게 사용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4를 참조하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전면 패널(120)과, 상기 전면 패널(120)과 대향되어 결합되는 배면 패널(130)과, 격벽(134)과, 유지전극쌍(122)들과, 어드레스전극(132)들과, 형광체층(136)을 구비한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전면 패널(120)은 전방에 배치된 전면기판(121)과, 상기 전면기판(121)의 배면에 형성되며 방전셀마다 X전극(123)과 Y전극(124)의 쌍으로 각각 이루어진 유지전극쌍(122)들을 구비한다. 상기 유지전극쌍(122)을 구성하는 X전극(123)과 Y전극(124)은 각각 공통 전극과 스캔 전극으로 작용하며, 상호간에 방전 갭으로 이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X전극(123)은 X투명전극(123a)과 이와 접속되도록 형성된 X버스전극(123b)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와 마찬가지로 Y전극(124)도 Y투명전극(124a)과 이와 접속되도록 형성된 Y버스전극(124b)을 구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배면 패널(130)은, 상기 전면기판(121)의 후방에서 이격 배치되어 상기 전면기판(121)과의 사이에 방전 공간(135)을 형성하는 배면기판(131)과, 상기 배면 기판(131)의 전면에 형성되며 상기 유지전극쌍(122)들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어드레스전극(132)들을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방전 공간(135)들 내에 형광체층(136)이 형성된다. 상기 유지전극쌍(122)들은 전면유전체층(125)에 의하여 덮여 있을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전면유전체층(125)의 배면에 보호막(126)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드레스전극(132)들은 배면유전체층(133)에 의하여 덮여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배면유전체층(133) 상에 격벽(134)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도 4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나의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와 다른 구조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다시 도 3으로 되돌아가서,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방에는 섀시(140)가 배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섀시(140)는 접착부재(미도시), 예를 들면 양면테이프에 의하여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섀시(140) 사이에는 열 전도매체인 방열부재(105; 도 4 참조)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섀시(140)는 섀시 베이스(141)와, 기판 가이드(145)들을 구비한다. 섀시 베이스(141)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후방에서 지지하고, 기판 가이드(145)는 상기 섀시 베이스(141)로부터 절곡되어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에 대해서는 후에 상세히 설명한다.
이 섀시(140) 후방에 회로부(160)가 배치될 수 있다. 이 회로부(160)는 로직 기판, 전원 기판 및 로직 버퍼 기판 등 복수의 회로 기판(161)들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구동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회로부(160)는 신호전달부재(170)를 통하여 전기적 신호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10)로 전달하게 된다. 상기 신호전달부재(170)로는 TCP(Tape Carrier Package), COF(Chip On Film) 등의 연성회로 기판일 수 있다. 이 경우 신호전달부재(170)는, 각각 테이프 형태의 배선부(171)에 적어도 하나의 실장 소자(172)를 실장하여 패키지로 될 수 있다. 또한, 실장 소자(172) 외측에 커버 플레이트(180)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 플레이트(180)는 장착볼트(183)를 장착구멍(185)에 통과시켜 설치구멍(143)의 암나사에 결합시킴으로써, 섀시(140)에 장착될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로부(160)를 이루는 회로 기판(161)과 섀시(140) 사이는 UL규격 등의 안전규격을 만족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6mm 이상의 일정 유격을 가지며, 상기 회로 기판(161)이 섀시(140)에 의하여 지지되기 위해서 보스(190)가 상기 섀시(140)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보스(190)는 섀시(140)의 전방으로부터 압입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안전규격에 맞는 높이를 하고 있다. 이 경우 상기 보스(190)는, 후술할 기판 가이드(145)가 구비되어 있음으로써 종래와 같이 2단으로 형성될 필요가 없으며, 이로써 보스(190)를 제조하는 비용이 감소한다.
이 경우 특히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로 기판(161)에는 상기 보스(190)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 홀(165)이 형성되어, 보스(190) 스크류가 상기 회로 기판(161)의 후방으로부터 관통 홀(165)을 관통하여 상기 보스(190)에 결합됨으로써, 회로 기판(161)이 고정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섀시(140)는 기판 가이드(145)들을 구비하는데, 이 기판 가이드(145)들은 상기 회로 기판(161)의 테두리를 따라서 돌출되어서 상기 회로 기판(161)이 정확한 위치에서 보스(190)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회로 기판(161)이 상기 기판 가이드(145)에 끼워지면서 보스(190)의 정확한 위치에 안착되고 그 상태에서 보스 스크류(195)를 관통홀(165)을 관통시켜 보스(190)에 결합시킴으로써 간단하고 신속히 회로 기판(161)을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기판 가이드(145)는 섀시(140)와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서 별도의 소재가 불필요하다. 이 경우 상기 기판 가이드(145)는 상기 섀시 베이스(141)를 슬리팅(slitting) 가공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즉, 섀시 베이스(141)의 테두리를 기 준으로 "ㄷ"자 형상의 슬릿을 내고, 이 슬릿된 부분을 후방으로 절곡시킴으로써 기판 가이드(145)가 제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기판 가이드(145)를 형성시키기 위하여 섀시 베이스(141)의 슬릿된 부분에는, 후에 기판 가이드(145)가 절곡 형성됨으로써 슬릿 홀(142)이 형성된다. 이 경우 도 4 및 도 5에서는 슬릿된 부분이 상기 회로 기판(161) 테두리의 외측에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슬릿된 부분이 상기 회로 기판(161) 테두리의 내측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기판 가이드(145)들의 후방 단부는 적어도 상기 보스(190)보다 후방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기판 가이드(145)의 높이는 보스(190)의 높이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회로 기판(161)이 보스(190)보다 높이가 높은 기판 가이드(145)들에 의하여 먼저 끼워져서 안착되는 위치가 가이드되어서, 회로 기판(161)이 보다 신속하게 보스(190)의 정확한 위치에 안착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기판 가이드(145)들의 후방 단부는 상기 회로 기판(16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기판 가이드(145)가 너무 높아지게 되면 상기 회로 기판(161)과 인접하는 부품과 간섭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기판 가이드(145)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로 기판(161)의 각각의 모서리마다 적어도 하나씩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이로써 신속하게 정확한 안착위치에 회로 기판(161)을 안착시킬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회로 기판(161)의 가운데 테두리에도 배치될 수도 있 고, 이와 더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회로 기판의 안착위치를 가이드하기 위한 별도의 부재를 구비할 필요가 없이 신속하게 회로 기판을 보스의 정확한 위치 상에 안착시킬 수 있음으로써, 제조 비용이 감소하게 되고, 작업성이 우수하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7)

  1.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후방에서 지지하는 섀시 베이스와, 상기 섀시 베이스로부터 절곡되어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의 기판 가이드를 구비한 섀시;
    상기 섀시의 후방에서 일정 유격을 가지고 형성된 복수의 회로 기판을 구비하는 것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 제어하는 회로부; 및
    상기 섀시 및 회로 기판 사이를 결합 고정하는 복수의 보스를 구비하고,
    상기 기판 가이드들은 상기 보스에 안착되는 회로 기판의 테두리를 따라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가이드들은 상기 섀시 베이스를 슬리팅 가공하여 형성된 디스플레이 모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가이드들의 후방 단부는 적어도 상기 보스보다 후방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디스플레이 모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가이드들의 후방 단부는 상기 회로 기판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모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가이드들은 상기 회로 기판의 각각의 모서리마다 적어도 하나씩 대응되게 배치된 디스플레이 모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보스의 후방 단부에 안착되고,
    상기 회로 기판의 전방에서 상기 회로 기판을 관통하여 보스에 결합하는 스크류를 더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인 디스플레이 모듈.
KR1020060007274A 2006-01-24 2006-01-24 디스플레이 모듈 KR1007411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7274A KR100741109B1 (ko) 2006-01-24 2006-01-24 디스플레이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7274A KR100741109B1 (ko) 2006-01-24 2006-01-24 디스플레이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1109B1 true KR100741109B1 (ko) 2007-07-20

Family

ID=38499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7274A KR100741109B1 (ko) 2006-01-24 2006-01-24 디스플레이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110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2386A (ja) 1999-09-20 2001-04-06 Fujitsu General Ltd Pdpの不要輻射防止装置
JP2003216054A (ja) 2002-01-23 2003-07-30 Nec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モジュール
JP2005017630A (ja) 2003-06-25 2005-01-20 Pioneer Electronic Corp 平面型表示装置
KR20050018029A (ko) * 2003-08-12 2005-02-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20060037072A (ko) * 2004-10-27 2006-05-0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인쇄 기판 조립체용 프레임 브래킷 및, 그것을 구비한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용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2386A (ja) 1999-09-20 2001-04-06 Fujitsu General Ltd Pdpの不要輻射防止装置
JP2003216054A (ja) 2002-01-23 2003-07-30 Nec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モジュール
JP2005017630A (ja) 2003-06-25 2005-01-20 Pioneer Electronic Corp 平面型表示装置
KR20050018029A (ko) * 2003-08-12 2005-02-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20060037072A (ko) * 2004-10-27 2006-05-0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인쇄 기판 조립체용 프레임 브래킷 및, 그것을 구비한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8749B1 (ko) 회로 기판 고정 구조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모듈
KR10051532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US8456384B2 (en) Plasma display device
KR10098200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JP2006119635A (ja) プラズマ表示装置
KR100759562B1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섀시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
EP1947671A2 (en) Plasma Display Device
KR10087930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41109B1 (ko) 디스플레이 모듈
KR20060032415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31478B1 (ko) 플라즈마 표시장치 및 플라즈마 표시장치용 회로 기판
KR10094394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20070083054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88953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20070055120A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섀시 및 이를 구비한 플라즈마디스플레이 장치
KR10070866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
KR10107297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4946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20110035683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49630B1 (ko) 플라즈마 표시장치
KR10081384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20070013941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47697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
KR10074112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20060106121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