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0966B1 -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0966B1
KR100740966B1 KR1020050114020A KR20050114020A KR100740966B1 KR 100740966 B1 KR100740966 B1 KR 100740966B1 KR 1020050114020 A KR1020050114020 A KR 1020050114020A KR 20050114020 A KR20050114020 A KR 20050114020A KR 100740966 B1 KR100740966 B1 KR 1007409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orming
cam
forming apparatus
feeding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4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0327A (ko
Inventor
야스히로 구로카와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003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03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09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09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10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 B41J13/103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for the sheet feeding 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6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 B65H5/062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between rollers or bal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02Supplying of sheet copy material; Cassettes therefor
    • G03G15/6508Automatic supply devices interacting with the rest of the apparatus, e.g. selection of a specific casset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50Driving mechanisms
    • B65H2403/51Cam mechanisms
    • B65H2403/512Cam mechanisms involving radial plate c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10Rollers
    • B65H2404/11Details of cross-section or profile
    • B65H2404/111Details of cross-section or profile shape
    • B65H2404/1112D-shap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556Control of copy medium fee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화상 형성 장치는 급지부(給紙部), 급송부, 캠, 바닥판과 암부(arm portion)를 갖는다. 급지부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인출 가능하게 장착된다. 급송부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설치되어 시트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급송한다. 캠은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설치되어 급송부와 연동하여 회동한다. 바닥판은 급지부에 설치되어 급지부가 급송부로 시트를 가압(urge)한다. 암부는 급지부에 요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급지부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장착할 때, 급송부와 연동하는 캠의 회동에 의해 암부가 요동하고, 탄성 부재를 통하여 바닥판을 급송부를 향하여 가압한다.
화상 형성 장치, 급지부, 급송부, 캠, 리프팅 레버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IMAGE FORMATION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급지부와 급송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캠과 리프팅 레버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화상 형성 장치 11 : 반송로
12 : 카세트 14, 15 : 시트 수용부
16 : 리프팅 레버 16A, 16B : 암
16C : 경사면 18 : 캠
20 : 분리 롤러 24 : 바닥판
26 : 스프링 30 : 급지 롤러
38 : 가이드 40 : 반송 롤러 쌍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프린터 등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화상이 형성되는 시트를 장치 본체에 인출(引出) 가능하게 장착된 카세트나 매거진(magazine) 등의 급지 유닛에 미리 수납하고, 이 시트를 장치 본체에 설치된 급송 기구에 의해 1매씩 꺼내어 화상 형성부에 급송하여 화상 형성을 행한다. 이때, 급지 유닛 중의 시트의 나머지 매수에 관계없이 일정한 반송성을 유지하여 급송 기구에 의해 시트를 꺼내기 위해서는 시트를 탑재 배치한 바닥판을 압축 스프링 등에 의해 급송 기구를 향하여 가압(urge)하는 구성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시트를 세트할 때에는 바닥판이 급장(給裝) 기구로부터 떨어져 있지 않으면 세트할 수 없다.
그래서, 급지 유닛이 장치 본체 외로 인출되었을 때에는 시트의 세트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시트를 탑재 배치하는 리프트판을 상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력에 저항하여 리프트판을 푸시다운 캠(push-down cam)으로 내리누름으로써, 리프트판을 용지 세트가능한 상태로 하도록 구성한 용지 반송 유닛이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11-343037호 공보 참조).
그러나, 상기와 같은 급지 유닛에서는 급지 시에 푸시다운 캠을 회전 캠에 의해 밀어올리지 않으면 안되어 캠의 회전 부하가 커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급지 유닛이 인출된 상태에서는 리프트판을 상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력에 저항하여 리프트판을 푸시다운 캠으로 내리누르고 있으므로, 시트의 세트 중에 푸시다운 캠 이 어떠한 원인으로 리프트판으로부터 벗어난 경우, 힘차게 리프트판이 상승하여 손가락이 끼는 등의 위험이 있다. 또한, 어떠한 원인으로 회전 캠이 정규 위치로부터 벗어나 있는 경우, 회전 캠과 푸시다운 캠이 용지 반송 유닛 삽입시에 충돌하지만, 푸시다운 캠은 가압되어 있으므로, 가령 회전 캠에 얹혀져 있도록 설정되어 있어도 얹혀질 때의 저항이 삽입 저항으로 되어 급지 유닛이 장치에 장착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또는, 급지 유닛에 설치한 바닥판의 자유단 측의 양측을 인장(引張) 스프링의 힘으로 끌어올리는 승강 부재를 급지 유닛의 단부(端部)에 형성된 손잡이의 내부 공간에 설치하고, 화상 처리 장치 본체의 급지구에 급지구의 안쪽을 향할수록 위쪽으로 경사지는 안내면을 갖는 가이드를 설치하고, 급지 유닛을 급지구에 장착하는 과정에서 가이드의 안내면에 의해 승강 암(arm)을 상승시켜 바닥판 위의 종이를 급지 롤러에 압접(壓接)하도록 구성하는 용지 반송 유닛이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 2002-154670호 공보 참조).
상기 예는 카세트 케이스를 급지구로부터 인출한 상태에서는, 승강 부재가 가이드로부터 해방되어 자중(自重)에 의해 바닥판이 도복(倒伏)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시트를 용이하게 세트할 수 있다. 카세트 케이스를 급지구의 안쪽에 삽입하는 과정에서는, 승강 부재가 가이드의 안내면에 지지되어 점차 상승하므로, 인장 스프링의 힘에 의해 바닥판이 상승하여 종이를 급지 롤러에 압접한다.
그러나, 이러한 급지 유닛에서는, 가이드는 고정 가이드이므로 급지 유닛을 장착한 후에는 당연히 바닥판이 승강할 수 없다. 또한, 고정 가이드의 길이가 필 요하고, 카세트의 삽입 방향으로 스페이스를 필요로 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실을 고려하여, 소형이며 조작성과 안전성에서 우수한 급지부를 사용한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는 화상 형성 장치로서,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인출 가능하게 장착되는 급지부와,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설치되고, 시트를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급송하는 급송부와,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급송부와 연동하여 회동(回動)하는 캠과, 상기 급지부에 설치되고, 상기 급지부가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급송부에 상기 시트를 가압할 수 있는 바닥판과, 상기 급지부에 요동(搖動)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바닥판과 탄성 부재를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캠과 맞닿는 암부(arm portion)를 갖고, 상기 급지부의 장착 시에, 상기 급송부와 연동하는 캠의 회동에 의해 상기 암부가 요동하고, 상기 탄성 부재를 통하여 상기 바닥판을 상기 급송부를 향하여 가압하는 화상 형성 장치이다.
상기 구성에 의해, 급지부를 제거함으로써 바닥판이 자중에 의해 내려가므로, 시트의 세트 중에 바닥판이 상승하여 손가락이 끼는 등의 위험이 없이, 안전성, 조작성에서 우수하다. 또한, 급지부 장착 후에 바닥판을 요동할 수 있으므로, 고정 가이드 분의 스페이스를 소형화할 수 있다.
<장치의 구성>
도 1에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이 나타나 있 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10)는 ROS(50)에 의해 감광체(62) 위에 화상 노광을 행하여 감광체(62) 위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기(60) 내의 토너로 현상하고, 반송로(11) 위를 반송하는 시트에 전사하고, 정착기로 정착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전자 사진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이다.
화상 형성 장치(10)에 장착되는 카세트(12)에는 시트 수용부(14)가 설치되고, 시트 수용부(14)에는 화상 형성이 행해지는 시트가 수용되어 있다. 카세트(12)가 도면 중 화살표와 같이 장치 본체에 장착되면 시트 수용부(14) 내의 시트는 위에서부터 순서대로 1매씩 장치 본체에 반송되어 화상 형성 처리가 행해진다.
그러나, 복수 종류/복수 사이즈의 시트를 전환하여 사용하고 싶은 경우는 복수의 카세트(12)를 장치 내에 수용하면 장치 전체가 대형화·고가격화되는 결점이 있다. 그래서, 카세트(12)의 시트 수용부(14)와는 별도로 장치 본체에 시트 수용부(15)를 설치하여 복수 종류/사이즈의 시트를 처리하면, 상기 결점을 해소할 수 있다.
즉, 카세트(12)의 시트 수용부(14)와는 별개로 시트 반송로를 형성함으로써, 복수 종류/사이즈의 시트를 반송 가능하게 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 및 반송부가 나타나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세트(12)의 시트 수용부(14)와는 별도로 장치 본체에 시트 수용부(15)를 설치하여 복수 종류/사이즈의 시트를 처리하면, 카세트 (12)의 인출 바로 앞쪽으로부터 시트를 반송 가능하게 된다.
삽입된 시트는 분리 롤러(20)에 의해 최상부의 1매만 반송되고, 급지 롤러(30)에 의해 장치 내부로 전송된다. 반송된 시트는 가이드 롤러(34, 36)에 가이드되고, 도 3의 가이드(38)에 맞부딪쳐 반송 롤러 쌍(40)에 의해 가이드된다.
반송 롤러 쌍(40) 이후의 반송계는 시트 수용부(14)로부터 반송되는 시트의 반송 경로와 공통이고, 반송로(11)를 따라 반송되면서 Y, M, C, BK의 각 감광체(62) 위의 토너 화상을 전사하여 풀 컬러 화상을 형성한 후 정착기에 정착, 배출된다.
여기서, 시트 수용부(15)로부터 가장 위의 1매를 급지 롤러(30)로 반송할 때, 시트 수용부(15)의 시트 선단을 급지 롤러(30)로 내리누르기 위해, 급지 롤러(30)의 구동에 맞추어 바닥판(24)을 급지 롤러(30)로 가압할 필요가 있다.
즉, 급지 롤러(30)와 동축으로 구동되는 캠(18)에 맞닿는 리프팅 레버(lifting lever)(16)가 스프링(26)을 통하여 바닥판(24)을 급지 롤러(30)로 가압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반송부가 나타나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급지 롤러(30)와 동축, 즉, 급지 롤러(30)의 축(22)에 설치된 캠(18)이 급지 롤러(30)에 동기하여 회전하고, 이 캠(18)에 맞닿는 리프팅 레버(16)는 캠(18)의 둘레 형상에 맞추어 축(17)을 중심으로 요동한다. 이때, 캠(18)은 축(17)의 양단부, 즉, 카세트(12)의 폭 방향 양측에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고, 한쪽에만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리프팅 레버(16)는 선단이 캠(18)에 맞닿는 암(16A)과, 바닥판(24)을 구동하는 암(16B)의 2개의 암을 구비하고 있다. 암(16B)의 선단과 바닥판(24)은 스프링(26)에 의해 연결되어 암(16B)의 요동에 따라 바닥판(24)은 상하 방향으로 요동한다. 바닥판(24) 위에 시트가 탑재 배치되어 있으면 시트의 선단을 바닥판(24)이 들어 올려 급지 롤러(30)의 방향으로 가압한다.
선단이 캠(18)에 맞닿는 암(16A)보다도 스프링(26)에 의해 바닥판(24)과 연결되는 암(16B) 쪽이 길기 때문에, 암(16A)의 이동량(도면 중 검은색 화살표)은 암(16B)으로 확대되어 전달되어(도면 중 사선 화살표), 캠(18)을 대형화하지 않고도 바닥판(24)의 리프팅 거리를 크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장치 전체를 소형화할 수 있다.
급지 롤러(30)의 구동에 따라 시트가 반송되면, 캠(18)이 더 회동하여 리프팅 레버(16)는 초기 위치로 되돌아간다. 이에 의해, 스프링(26)에 의해 리프팅 레버(16)와 연결되어 있는 바닥판(24)도 또한 초기 위치, 즉, 가장 아래로 되돌아가므로 시트를 가압할 일은 없다. 따라서, 예기치 않은 타이밍에서 시트가 반송되지 않고, 2중으로 반송되지도 않는다.
또한, 카세트(12)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로부터 제거함으로써 리프팅 레버(16)는 캠(18)과 맞닿기 전의 상태로 되돌아가므로(도 1 참조), 바닥판(24)은 자중에 의해 초기 위치에 복귀한다. 이 바닥판(24)의 복귀에는 동력이나 복잡한 구동 기구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고장이 적고, 시트의 세트 중에 바닥판(24)이 상승하 여 손가락이 끼는 등의 위험도 없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캠과 리프팅 레버가 나타나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프팅 레버(16)의 2개의 암에서, 캠(18)에 맞닿는 암(16A)의 선단은 경사면(16C)으로 되어 있다. 즉, 캠(18)이 회동하면 경사면(16C)이 캠(18)의 둘레면에 맞닿아, 도면 중 검정색 화살표와 같이 리프팅 레버(16)가 요동한다.
이에 의해, 암(16B)의 선단과 스프링(26)에 의해 연결된 바닥판(24)이 시트(도시 생략)를 급송 롤러 방향(도면 중 상향)으로 가압한다. 1매 분의 시트의 급송이 종료(도면 중 360°)되면, 캠(18)에 맞닿는 암(16A)은 캠(18)의 형상에 따라 도면 중 하향으로 요동하여 바닥판(24)은 자중에 의해 내려가므로 남은 시트는 가압되지 않아 예기치 않은 타이밍에서 시트가 반송되지 않고, 2중으로 반송되지도 않는다.
또한, 경사면(16C)은 암(16A)이 가장 내려간 위치(초기 위치 0°)여도 캠(18)의 중심(축(22)의 중심)보다도 높은 위치에 있으므로, 카세트(12)를 장치 본체에 삽입할 때에 경사면(16C)이 하향으로 가압되는 일은 없다. 이 구조에 의해, 예를 들면 캠(18)이 본래의 대기 위치, 즉, 0°(360°) 위치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정지하고 있던 경우라도, 카세트(12)를 장치 본체에 삽입할 때에 레버(16A)의 선단인 경사면(16C)은 캠(18)에 얹혀지는 형상으로 되므로, 카세트(12)의 장착을 저해하는 일은 없다. 또한, 레버(16A)는 가압되어 있지 않으므로, 캠(18)에 얹혀질 때에 저항이 되는 경우도 적다. 또한, 캠(18)의 둘레 형상을 적절하게 설정함으로써, 급 지 롤러의 구동 타이밍과 바닥판의 요동 타이밍을 조정할 수 있다. 즉, 급지 롤러의 회전 개시 시점(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낸 0°부터 30°사이)에서는 바닥판을 들어올리지 않도록 설정하여 모터에 과잉 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기술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로 어떤 한정이 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양태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즉,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시트 수용부를 구비한 급지부는 수용되는 시트가 종이에 한정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화상 형성 장치 이외에도 종이형상의 시트를 반송하는 재단기나 도포기 등에 응용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제 1 양태는 화상 형성 장치로서,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인출 가능하게 장착되는 급지부와,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설치되고, 시트를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급송하는 급송부와,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급송부와 연동하여 회동하는 캠과, 상기 급지부에 설치되고, 상기 급지부가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급송부에 상기 시트를 가압할 수 있는 바닥판과, 상기 급지부에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바닥판과 탄성 부재를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캠과 맞닿는 암부를 갖고, 상기 급지부의 장착 시에, 상기 급송부와 연동하는 캠의 회동에 의해 상기 암부가 요동하고, 상기 탄성 부재를 통하여 상기 바닥판을 상기 급송부를 향하여 가압하는 화상 형성 장치이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의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캠은 상기 급송부와 동축 형상으로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구성에서는, 급지 롤러의 회전과 용지의 급지 롤러에 누르는 타이밍을 정확하게 맞출 수 있으므로, 급지 성능이 향상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양태의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급송부의 구동 개시로부터 소정 시간 후에 상기 바닥판이 요동할 수도 있다.
상기 구성에서는, 급지 롤러에 가장 부하가 큰 구동을 개시할 때를 피하고, 타이밍을 지연시켜 바닥판을 요동함으로써 작동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양태의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암부는 지점(支點)으로부터 상기 캠까지 연장되는 제 1 암부와, 상기 제 1 암부보다도 길게 상기 제 1 암부와 각도를 갖고 지점으로부터 연장되어 선단 근방에서 상기 탄성 부재와 연결되는 제 2 암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구성에서는, 캠과 맞닿는 암의 움직임을 확대하여 바닥판에 전달할 수 있으므로, 캠을 대형화하지 않아도 바닥판의 이동 거리를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양태의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캠의 외형은 원호 형상으로서, 상기 암부의 캠 맞닿음 면은 경사면이고, 상기 경사면의 선단이 항상 상기 캠의 회전 중심보다도 높은 위치에 있을 수도 있다.
상기 구성에서는, 캠이 대기 위치로부터 벗어난 각도로 정지하고 있어도 레버는 캠에 얹혀지므로, 급지 카세트의 장착을 저해하지 않는다. 또한, 레버는 가압되어 있지 않으므로 레버는 캠에 용이하게 얹혀지고, 카세트의 삽입 저항도 적다.
본 발명은 소형이며 조작성과 안전성에서 우수한 급지부를 사용한 화상 형성 장치로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소형이며 조작성과 안전성에서 우수한 급지부를 사용한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0)

  1. 화상 형성 장치로서,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인출 가능하게 장착되는 급지부(給紙部)와,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설치되고, 시트를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급송하는 급송부와,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급송부와 연동하여 회동하는 캠과,
    상기 급지부에 설치되고, 상기 급지부가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급송부에 상기 시트를 가압(urge)할 수 있는 바닥판과,
    상기 급지부에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바닥판과 탄성 부재를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캠과 맞닿는 암부(arm portion)를 갖고,
    상기 급지부의 장착 시에, 상기 급송부와 연동하는 캠의 회동에 의해 상기 암부가 요동하고, 상기 탄성 부재를 통하여 상기 바닥판을 상기 급송부를 향하여 가압하고,
    상기 암부는 지점(支點)으로부터 상기 캠까지 연장되는 제 1 암부와, 상기 제 1 암부보다도 길게 상기 제 1 암부와 각도를 갖고 지점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탄성 부재와 연결되는 제 2 암부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캠은 상기 급송부와 동축 형상으로 설치되는 화상 형성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송부의 구동 개시로부터 소정 시간 후에 상기 바닥판이 요동하는 화상 형성 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캠은 원호 형상의 외형을 갖고,
    상기 암부의 캠 맞닿음 면은 경사면으로서, 상기 경사면의 선단이 항상 상기 캠의 회전 중심보다도 높은 위치에 있는 화상 형성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화상 형성부를 향하여 공급하는 시트를 수용하는 시트 수용부를 더 갖는 화상 형성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수용부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외부에 설치되는 화상 형성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수용부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외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화상 형성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수용부는 상기 급지부에 설치되는 화상 형성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의 급송 종료 후, 상기 바닥판이 시트를 상기 급송부를 향하여 가압하지 않는 초기 위치로 자중(自重)에 의해 되돌아가도록, 상기 캠과 상기 암부가 연결되는 화상 형성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지부가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로부터 이탈시, 상기 캠과 상기 암부의 맞닿음이 해제됨으로써, 상기 바닥판이 시트를 상기 급송부를 향하여 가압하지 않는 초기 위치로 자중에 의해 되돌아가는 화상 형성 장치.
  12. 화상 형성 장치로서,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 1 급지부와,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외부에 설치되는 제 2 급지부와,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설치되고, 시트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급송하는 급송부와,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급송부와 연동하여 회동하는 캠과,
    상기 제 1 급지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급지부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급송부에 상기 시트를 가압할 수 있는 바닥판과,
    상기 제 1 급지부에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바닥판과 탄성 부재를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캠과 맞닿는 암부를 갖고,
    급송 시에, 상기 급송부와 연동하는 캠의 회동에 의해 상기 암부가 요동하고, 상기 탄성 부재를 통하여 상기 바닥판을 상기 급송부를 향하여 가압하고,
    상기 암부는 지점으로부터 상기 캠까지 연장되는 제 1 암부와, 상기 제 1 암부보다도 길게 상기 제 1 암부와 각도를 갖고 지점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탄성 부재와 연결되는 제 2 암부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캠은 상기 급송부와 동축 형상으로 설치되는 화상 형성 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급송부의 구동 개시로부터 소정 시간 후에 상기 바닥판이 요동하는 화상 형성 장치.
  15. 삭제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캠은 원호 형상의 외형을 갖고,
    상기 암부의 캠 맞닿음 면은 경사면으로서, 상기 경사면의 선단이 항상 상기 캠의 회전 중심보다도 높은 위치에 있는 화상 형성 장치.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급지부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인출 가능하게 장착되는 화상 형성 장치.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급지부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화상 형성부를 향하여 공급하는 시트를 수용하는 화상 형성 장치.
  19.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의 급송 종료 후, 상기 바닥판이 시트를 상기 급송부를 향하여 가 압하지 않는 초기 위치로 자중에 의해 되돌아가도록, 상기 캠과 상기 암부가 연결되는 화상 형성 장치.
  20.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급지부가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로부터 이탈시, 상기 캠과 상기 암부의 맞닿음이 해제됨으로써, 상기 바닥판이 시트를 상기 급송부를 향하여 가압하지 않는 초기 위치로 자중에 의해 되돌아가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050114020A 2005-06-27 2005-11-28 화상 형성 장치 KR1007409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187414 2005-06-27
JP2005187414A JP4529816B2 (ja) 2005-06-27 2005-06-27 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0327A KR20070000327A (ko) 2007-01-02
KR100740966B1 true KR100740966B1 (ko) 2007-07-19

Family

ID=37596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4020A KR100740966B1 (ko) 2005-06-27 2005-11-28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762545B2 (ko)
JP (1) JP4529816B2 (ko)
KR (1) KR100740966B1 (ko)
CN (1) CN189159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29816B2 (ja) 2005-06-27 2010-08-2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101428481B1 (ko) * 2007-08-17 2014-08-11 삼성전자 주식회사 인쇄매체이송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JP2009286517A (ja) 2008-05-27 2009-12-10 Kyocera Mita Corp 給紙装置及びこれを搭載した原稿搬送装置、画像形成装置
JP5289541B2 (ja) * 2011-03-16 2013-09-11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659924B2 (ja) * 2011-04-01 2015-01-28 カシオ電子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N102874639B (zh) * 2012-08-08 2015-03-04 新达通科技股份有限公司 薄片介质夹送机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6042A (ko) * 1997-09-22 1999-04-15 윤종용 소음방지용 자동급지부를 가진 잉크젯프린터
JPH11343037A (ja) 1998-06-01 1999-12-14 Mita Ind Co Ltd 用紙搬送装置
JP2002154670A (ja) * 2001-10-01 2002-05-28 Ricoh Co Ltd 給紙装置及び画像処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01873A (en) * 1990-07-04 1993-04-13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feeding apparatus having the ability to retract the sheet supply
JP3403073B2 (ja) * 1997-08-26 2003-05-06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処理装置
KR100251120B1 (ko) * 1997-11-04 2000-04-15 윤종용 사무자동화기기의 용지 자동급지장치
KR20010005239A (ko) 1999-06-30 2001-01-15 이도자 고형연료의 제조방법
US6880822B2 (en) * 2001-08-28 2005-04-19 Seiko Epson Corporation Paper feeder,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of detecting a position of a terminal edge of a recording material in the recording apparatus
JP4407444B2 (ja) * 2003-10-02 2010-02-0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被記録媒体給送装置、記録装置、液体噴射装置
JP4218509B2 (ja) * 2003-11-26 2009-02-0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シート材給送装置
JP4529816B2 (ja) 2005-06-27 2010-08-2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6042A (ko) * 1997-09-22 1999-04-15 윤종용 소음방지용 자동급지부를 가진 잉크젯프린터
JPH11343037A (ja) 1998-06-01 1999-12-14 Mita Ind Co Ltd 用紙搬送装置
JP2002154670A (ja) * 2001-10-01 2002-05-28 Ricoh Co Ltd 給紙装置及び画像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91595A (zh) 2007-01-10
JP2007001762A (ja) 2007-01-11
JP4529816B2 (ja) 2010-08-25
US7762545B2 (en) 2010-07-27
KR20070000327A (ko) 2007-01-02
US20070007713A1 (en) 2007-01-11
CN1891595B (zh) 2010-05-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10156B2 (en) Sheet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quipped with the same
KR100740966B1 (ko) 화상 형성 장치
US7798483B2 (en) Sheet feed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3337978B2 (ja) 用紙搬送装置
JP3129967U (ja) 用紙捕獲組立体
JP3940532B2 (ja) 給紙装置及びそれからなる画像形成装置
JP7306146B2 (ja) シート後処理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システム
CN113086693A (zh) 片材进给设备和成像设备
JP2008100824A (ja) 給紙機構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4154278B2 (ja) 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652423B2 (ja) 画像形成装置
KR20060136297A (ko) 화상 형성 장치
EP4215467A1 (en) Sheet post-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formation system
JP4178167B2 (ja) 画像形成装置
JP3941459B2 (ja) 給紙装置
JP4569907B2 (ja) 媒体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9007087A (ja) 画像形成装置
JP3646075B2 (ja) 原稿供給装置
JP2004262656A (ja) シート後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4099275A (ja) 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234642B2 (ja) 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3221138A (ja) 画像形成装置
JP2005132581A (ja) 給紙装置
JP2003312925A (ja) 画像形成装置
JPH09221240A (ja) 給紙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