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0794B1 - 에리트로포이에틴의 약제학적 제형 - Google Patents

에리트로포이에틴의 약제학적 제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0794B1
KR100740794B1 KR1020017012906A KR20017012906A KR100740794B1 KR 100740794 B1 KR100740794 B1 KR 100740794B1 KR 1020017012906 A KR1020017012906 A KR 1020017012906A KR 20017012906 A KR20017012906 A KR 20017012906A KR 100740794 B1 KR100740794 B1 KR 1007407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rmaceutical formulation
erythropoietin
delete delete
amount
buf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2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16770A (ko
Inventor
춰ㅇ윙케이.
나타라잔자야
샌더스마릴린
버카멘엘스
샤마바산트
비건셀리마
Original Assignee
오르토-맥네일 파마슈티칼, 인코퍼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르토-맥네일 파마슈티칼, 인코퍼레이티드 filed Critical 오르토-맥네일 파마슈티칼, 인코퍼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20016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67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07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07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22Horm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8Growth factors; Growth regulators
    • A61K38/1816Erythropoietin [EPO]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0Alcohols; Phenols; Salts thereof, e.g. glycerol; Polyethylene glycols [PEG]; Poloxamers; PEG/POE alkyl 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1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nitrogen, e.g. nitro-, nitroso-, azo-compounds, nitriles, cyanates
    • A61K47/18Amines; Amides; Urea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Amino acids; Oligopeptides having up to five amino acids
    • A61K47/183Amino acids, e.g. glycine, EDTA or asparta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42Proteins; Polypeptides;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Derivatives thereof, e.g. albumin, gelatin or ze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61P7/06Antianaem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61P7/08Plasma substitutes; Perfusion solutions; Dialytics or haemodialytics; Drugs for electrolytic or acid-base disorders, e.g. hypovolemic sho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2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2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6Carbohydrates, e.g. sugar alcohols, amino sugars, nucleic acids, mono-, di- or oligo-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polysorbates, sorbitan fatty acid esters or glycyrrhiz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abetes (AREA)
  • Zo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Immu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Endocri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람 혈청 혈액 생성물을 함유하지 않고 소정량의 아미노산 및 소르비탄 모노-9-옥타데세노에이트 폴리(옥시-1,2-에탄디일) 유도체로 안정화된 에리트로포이에틴의 약제학적 수성 제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항균량의 크레졸과 다량의 아미노산을 함유하는 에리트로포이에틴의 안정한 수성 보존 약제학적 제형을 제공한다.
에리트로포이에틴, pH 완충제, 소르비탄 모노-9-옥타데세노에이트 폴리(옥시-1,2-에탄디일) 유도체, 삼투 조절제, 크레졸.

Description

에리트로포이에틴의 약제학적 제형{Pharmaceutical formulations of erythropoietin}
관련 출원에 대한 참조
본원은 1999년 4월 9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원 제60/128,596호를 우선권으로 주장하며, 이의 내용은 본원에 참고로 인용된다.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사람 혈청 혈액 생성물을 함유하지 않고 소정량의 아미노산과 소르비탄 모노-9-옥타데세노에이트 폴리(옥시-1,2-에탄디일) 유도체로 안정화된 에리트로포이에틴의 약제학적 수성 제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항균량의 크레졸과 소정량의 아미노산을 함유하는 에리트리포이에틴의 안정한 보존된 약제학적 수성 제형을 제공한다.
발명의 배경
에리트로포이에틴(EPO)은 조직의 산소압 저하에 반응하여 신장에서 분비되고 골수에서 적혈구 세포의 생성을 자극하는 당단백질 호르몬이다(1). EPO 유전자는 클로닝되고 챠이니즈 햄스터 난소 세포에서 발현되었다(2,3). 이러한 재조합 사람 에리트로포이에틴(에포에틴 알파, rhEPO)은 아미노산 서열이 사람 뇨 에리트로포이에틴의 아미노산 서열과 동일하며 이들 둘은 비록 생체내 효능에 영향을 미치는 단백질 당화에 있어서 차이가 있을지라도 기능 및 면역학적 검정을 기준으로 볼 때 구별할 수 없다(4,5).
지금까지의 임상 시험에서, rhEPO는 정상인뿐만 아니라 여러 빈혈 증세를 앓고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평가되어 왔다(6,7). EPO는 증가된 헤모글로빈 합성을 유지하기 위해 철이 적절하게 공급되는 경우, 정상인에게서 활발한 혈액학적 반응을 유도한다(8). 대부분의 시험은 투석을 지속해온 만성 신장 이상 환자 및 지속 투석을 받지 못하고 있는 환자의 치료에 rhEPO의 안전성 및 효능을 연구하는 것이었다. 미국에서 인정된 다른 징후로는 암의 화학요법 치료의 이차 징후인 빈혈 및 사람 면역결핍 바이러스 감염의 지도부딘 치료와 연관된 빈혈이 포함된다. 전세계적으로 EPO는 류마티스성 관절염, 조산, 골수섬유증, 겸상 적혈구성 빈혈, 골수 이식, 화상, β-지중해빈혈증과 연관된 빈혈을 치료하거나, 수술전 자가 수혈의 촉진제로서 사용하거나, 수술전 보조제로서 사용되어 왔다(6,7).
비록 rhEPO는 일반적으로 잘 허용되고 있으나, 이따금 피부 발진 및 두드러기가 관찰된다. 이것은 에포에틴 알파 제형의 일부 성분, 아마도 사람 혈청 알부민에 대한 알레르기성 과민반응임을 시사한다. 또한, 혈액의 선별에도 불구하고 사람 혈액 생성물을 사용하여 약제학적 제형을 제형할 때 전염균에 의한 감염의 위험이 존재한다. 따라서, 알부민과 같은 사람 혈액 생성물을 함유하지 않고 안정한 rhEPO의 약제학적 제형이 요구되고 있다.
미국 특허 제4,992,419호에는 우레아 5 내지 50g/ℓ, 아미노산 1 내지 50g/ℓ, 계면활성제 0.05 내지 5g/ℓ를 함유하고 사람 혈청 알부민을 함유하지 않는 에리트로포이에틴의 동결건조 제형이 기술되어 있다. 수성 제형이 기술되어 있으나 이는 사람 혈청 알부민을 함유한 제형에 비하여 한정된 안정성을 보여줌으로써 실질적으로 상업성이 없다. 따라서, 의사나 환자와 같은 최종 사용자는 투여 직전에 제형을 환원시켜야 한다. 동결건조 제형은 에리트로포이에틴의 임상 제형에 바람직하지 않은데 그 이유는 환원 과정이 시간 소모적이고 단백질 제형의 적절치 못한 취급 위험을 수반하기 때문이며 또한 부적절하게 환원될 수 있으며 안정제와 같은 특정 첨가제가 에리트로포이에틴의 충분한 활성을 유지하는데 보통 필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에리트로포이에틴의 수성 제형이 일반적으로 바람직하다.
미국 특허 제5,376,632호에는 β 또는 γ 사이클로덱스트린을 함유하고 다른 추가의 안정제(예: 사람 혈청 알부민, 소 혈청 알부민, 렉시틴, 메틸 셀룰로즈, 폴리에틸렌 글리콜, 황 함유 환원제, 우레아, 아미노산 및 계면활성제)를 함유하지 않은 에리트로포이에틴의 수성, 동결건조 또는 분무 건조 제형이 기술되어 있다(컬럼 4의 제51행 내지 제54행).
미국 특허 제5,661,125호에는 벤질 알콜, 파라벤, 페놀 및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항균 보존제를 함유한 에리트로포이에틴의 수성 제형이 기술되어 있다. 사람 혈청 알부민(HSA)이 없는 제형이 제조되고 사람 혈청 알부민을 함유한 상응하는 제형과 비교하여 안정성에 대해 검사되었다. 그 결과로서 0℃에서 조차 HSA 무함유 크레졸(0.5%) 및 클로로크레졸(0.3%) 제형에 에리트로포이에틴이 현저하게 침전되어(컬럼 8의 제1행 내지 제29행) 그들 제형이 임상적으로 실용화될 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크레졸을 0.2% 내지 0.5%의 범위로 사용되는 EPO 제형은 상당히 불량한 안정성과 EPO의 보다 급속한 소멸을 나타내는 것으로 기술되어 있다(컬럼 6의 제21행 내지 제25행). 현재 시판되고 있는 수회 용량의 보존된 제형은 1% 벤질 알콜을 함유한다.
시판되고 있는 rhEPO 제형은 정맥내 및 피하 주사의 경우 1000IU/0.5㎖, 2000IU/㎖, 5000IU/㎖ 및 10,000IU/㎖(10K)의 역가로 시트레이트 완충액으로 제조된다. 이들 제형은 시트레이트 완충된 제형의 피하 주사와 연관된 환자의 불쾌감을 흔히 유발시키는 것으로 임상학적으로 알려져 있다(9,10). rhEPO의 주된 임상적 사용이 정맥내에서 피하로 바뀌어 감에 따라 현 제형의 부분적 허용이 최적이 아님은 자명하게 되었다. 약제를 주사 전에 실온으로 적응시키거나 용량을 1㎖ 이상으로 하지 않는 것으로 주사 부위에 통증을 예방하기에는 충분하지 않았다. 제형의 안정제로서 사용되고 있는 사람 알부민이나 용액의 낮은 삼투질 농도도 통증 유도인자인 것으로 밝혀지지 않음에 따라 rhEPO의 시트레이트 완충액은 제안된 후보물이었다. 40,000IU/㎖ 일회 용량의 보존된 제형이 시판되고 있으며 이는 시트레이트 완충액이 아닌 인산나트륨을 함유하고 있다. 덜 바람직한 시트레이트 완충액 대신에 인산염 완충액을 함유하는 안정하고 보다 적은 용량의 제형이 필요하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pH 완충제(a), 안정화량의 소르비탄 모노-9-옥타데세노에이트 폴리(옥시-1,2-에탄디일) 유도체(b), 안정화량의 아미노산(c) 및 약제량의 에리트로포이에틴(d)을 포함하고 우레아 또는 사람 혈액 생성물을 함유하지 않는 에리트로포이에틴의 약제학적 제형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제형은 폴리소르베이트 80과 글리신의 배합물을 안정제로서 포함한다. 특히 바람직한 제형은 폴리소르베이트 80과 글리신의 배합물을 안정제로서 인산염 완충계에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pH 완충제(a), 안정화량의 사람 혈청 알부민(b), 안정화량의 아미노산(c), 항균량의 크레졸(d) 및 약제량의 에리트로포이에틴(e)을 포함하는 에리트로포이에틴의 약제학적 제형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제형은 사람 알부민과 글리신의 배합물을 안정제로서 포함한다. 특히 바람직한 제형은 사람 알부민과 글리신의 배합물을 안정제로서 인산염 완충계에 포함하고 m-크레졸을 약 0.3%의 농도로 사용한다.
본 발명의 제형은 현재의 약제학적 제형과 유사한 약동학적 특성을 나타내며, 예를 들면 현재 시판되고 있는 재조합 사람 에리트로포이에틴의 약제학적 제형과 비슷한 흡수, 성향 및 혈청 농도 수준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제형은 투여시 환자의 불쾌감이 덜하고 주사 부위에서의 불쾌감 지속 시간도 훨씬 짧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에리트로포이에틴에 사용될 수 있고 환자의 불쾌감을 줄이기 위해 제형화될 수 있는 에리트로포이에틴의 사람 혈청 알부민 무함유 약제학적 제형 또는 사람 혈청 알부민 함유 약제학적 제형을 제공한다.
도 1은 0.3% m-크레졸 보존제 함유 및 무함유 일회 150IU/kg 피하 용량의 rhEPO가 주입된 피험체의 평균 혈청 에리트로포이에틴 농도-시간 프로파일(에리트로포이에틴 기준선에 대해 보정되지 않음)을 나타낸다.
도 2는 신규한 안정제(NS) 함유 및 무함유 일회 150IU/kg 피하 용량의 rhEPO(2K)가 주입된 피험체의 평균 혈청 에리트로포이에틴 농도-시간 프로파일(에리트로포이에틴 기준선에 대해 보정되지 않음)을 나타낸다. 혈청 에리트로포이에틴 농도는 방사성면역검정(RIA)으로 측정하였다.
도 3은 신규한 안정제 함유 및 무함유 일회 750IU/kg 피하 용량의 rhEPO(40K)가 주입된 피험체의 평균 혈청 에리트로포이에틴 농도-시간 프로파일(에리트로포이에틴 기준선에 대해 보정되지 않음)을 나타낸다. 혈청 에리트로포이에틴 농도는 RIA로 측정하였다.
도 4는 시트레이트 함유 및 포스페이트 완충액 함유 일회 150IU/kg 피하 용량의 rhEPO가 주입된 피험체의 평균 혈청 에리트로포이에틴 농도-시간 프로파일(에리트로포이에틴 기준선에 대해 보정되지 않음)을 나타낸다. 혈청 에리트로포이에틴 농도는 RIA으로 측정하였다.
본 발명은 사람 혈액 생성물 또는 우레아를 함유하지 않는 완충액 중에 아미노산 및 소르비탄 모노-9-옥타데세노에이트 폴리(옥시-1,2-에탄디일) 유도체 안정제를 함유하는 에리트로포이에틴의 안정한 약제학적 수성 제형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pH 완충제(a), 안정화량의 소르비탄 모노-9-옥타데세노에이트 폴리(옥시-1,2-에탄디일) 유도체(b), 안정화량의 아미노산(c) 및 약제량의 에리트로포이에틴(d)을 포함하고 우레아 또는 사람 혈액 생성물을 함유하지 않는 에리트로포이에틴의 약제학적 제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람 혈청 알부민과 아미노산의 배합물로 안정화된 에리트로포이에틴의 크레졸 보존된 수성 제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pH 완충제(a), 안정화량의 사람 혈청 알부민(b), 안정화량의 아미노산(c), 항균량의 크로졸(d) 및 약제량의 에리트로포이에틴(e)을 포함하는 에리트로포이에틴의 약제학적 제형을 제공한다.
이들 제형에 대한 한 가지 목적은 시트레이트 완충된 제형의 피하 주사와 연관된 임상적으로 알려진 환자의 불쾌감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따라서, 인산염 완충계가 본 발명의 모든 제형에 있어서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유용한 완충제의 양은 대체적으로 사용된 특정 완충제 및 제형의 필요한 pH에 좌우된다. 용액의 바람직한 pH 범위는 약 5 내지 8이고, 바람직한 pH 범위는 약 6 내지 7.5이며, 가장 바람직한 pH는 약 6.9이다. 이들 pH 값에 걸쳐서, 완충제의 양은 일반적으로 약 10mM 내지 약 30mM이다. 2염기성 인산나트륨 및 1염기성 인산나트륨의 완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약 5 내지 약 8의 필요한 pH 범위를 유지하기 위해 적합한 다른 완충계로는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시트르산나트륨/시트르산, 아세트산나트륨/아세트산 및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된 기타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pH 완충제가 포함된다.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염산, 시트르산, 수산화나트륨 또는 이들의 염과 같은 pH 조절제가 첨가될 수 있으며, 이 목적을 위해 특히 시트르산나트륨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에 유용한 삼투 조절제(tonicity agent)는 본 발명의 제형이 사람의 혈액과 등장성이 되도록 할 수 있는 물질이면 어느 것도 가능하다. 전형적으로 적합한 삼투 조절제는 당해 기술분야에 익히 공지되어 있으며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염화나트륨, 만니톨, 글리신, 글루코즈 및 소르비톨이 포함된다. 삼투 조절제로서 염화나트륨을 사용하는 것이 본 발명의 제형에 바람직하다.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폴리소르베이트 80 또는 폴리소르베이트 20을 포함한 소르비탄 모노-9-옥타데세노에이트 폴리(옥시-1,2-에탄디일) 유도체는 에리트로포이에틴을 함유한 제형을 저장하는 용기의 표면에 에리트로포이에틴의 흡착을 방지하는 안정제로서 유용한 유도체의 예이다. 매우 다양한 소르비탄 모노-9-옥타데세노에이트 폴리(옥시-1,2-에탄디일) 유도체가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으며 본 발명의 제형에 유용하다. 본 발명의 제형에 유용한 폴리소르베이트 20 또는 폴리소르베이트 80의 양은 바이얼당 1000 내지 100,000IU의 에리트로포이에틴을 함유한 제형 1㎖당 약 0.01 내지 약 1.0mg이다. 본 발명의 제형에 폴리소르베이트 80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3mg/㎖의 폴리소르베이트 80을 사용한다.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글리신, L-이소로이신, L-로이신, L-2-페닐알라닌, L-글루탐산 및 L-트레오닌을 포함한 아미노산을 0.1g/ℓ 내지 50g/ℓ, 바람직하게는 0.25g/ℓ 내지 20g/ℓ 사용한다. L-알라닌과 L-아르기닌은 본 발명의 제형에 바람직하지 않은데 그 이유는 이들이 함유될 경우 EPO의 구조에 형태 변화를 일으키기 때문이다. 글리신이 바람직한 아미노산이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소르베이트 80을 함유하고 사람 혈청 알부민을 함유하지 않은 제형에서 0.25g/ℓ 내지 20g/ℓ의 양으로, 특히 0.5g/ℓ의 양으로 사용된다. 글리신이 바람직한 아미노산이고 사람 혈청 알부민을 함유하고 크레졸로 보존된 제형에서 바람직하게는 0.5g/ℓ 내지 50g/ℓ의 양으로, 특히 2.0g/ℓ의 양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제형에서, L- 또는 D-이성체형 중 어느 형태의 아미노산도 L-아르기닌 및 L-알라닌을 제외하고 사용하기에 적합다.
특히 바람직한 조성물은 표 A 및 표 B에 수록된 것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표 A
제형 설명 활성 성분 비활성 성분
2000IU/㎖ HSA 무함유 EPO 2000IU 4.38mg 염화나트륨 1.16mg 1염기성 인산나트륨 2수화물 2.23mg 2염기성 인산나트륨 2수화물 5.00mg 글리신 0.30mg 폴리소르베이트 80 총량이 1.0㎖로 되도록 하는 양의 주사용수
4000IU/㎖ HSA 무함유 EPO 4000IU 4.38mg 염화나트륨 1.16mg 1염기성 인산나트륨 2수화물 2.23mg 2염기성 인산나트륨 2수화물 5.00mg 글리신 0.30mg 폴리소르베이트 80 총량이 1.0㎖로 되도록 하는 양의 주사용수
10000IU/㎖ HSA 무함유 EPO 10000IU 4.38mg 염화나트륨 1.16mg 1염기성 인산나트륨 2수화물 2.23mg 2염기성 인산나트륨 2수화물 5.00mg 글리신 0.30mg 폴리소르베이트 80 총량이 1.0㎖로 되도록 하는 양의 주사용수
40000IU/㎖ HSA 무함유 EPO 40000IU 4.38mg 염화나트륨 1.16mg 1염기성 인산나트륨 2수화물 2.23mg 2염기성 인산나트륨 2수화물 5.00mg 글리신 0.30mg 폴리소르베이트 80 총량이 1.0㎖로 되도록 하는 양의 주사용수
표 B
제형 설명 활성 성분 비활성 성분
10000IU 다용량 크레졸로 보존 EPO 10000IU 6.25mg 사람 혈청 알부민 2.91mg 1염기성 인산나트륨 2수화물 11.19mg 2염기성 인산나트륨 12수화물 50.00mg 글리신 7.50mg m-크레졸 총량이 2.5㎖로 되도록 하는 양의 주사용수
25000IU 다용량 크레졸로 보존 EPO 25000IU 6.25mg 사람 혈청 알부민 2.91mg 1염기성 인산나트륨 2수화물 11.19mg 2염기성 인산나트륨 12수화물 50.00mg 글리신 7.50mg m-크레졸 총량이 2.5㎖로 되도록 하는 양의 주사용수
40000IU 다용량 크레졸로 보존 EPO 40000IU 5.00mg 사람 혈청 알부민 2.33mg 1염기성 인산나트륨 2수화물 8.95mg 2염기성 인산나트륨 12수화물 40.00mg 글리신 6.00mg m-크레졸 총량이 2.0㎖로 되도록 하는 양의 주사용수
놀랍게도, 아미노산과 소르비탄 모노-9-옥타데세노에이트 폴리(옥시-1,2-에탄디일) 유도체를 함유하고 우레아 또는 사람 혈액 생성물을 함유하지 않은 인산염 완충계를 사용한 에리트로포이에틴의 수성 제형이 안정한 제형을 제공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글리신 및 폴리소르베이트 80을 함유한 제형은 당해 기술분야에 기재되어 있는 종래 제형에 비하여 우수하고 예상하지 못한 안정성을 제공한다.
에리트로포이에틴은 조성물중에 치료학적 유효량으로 존재한다. "에리트로포이에틴"은 사람 에리트로포이에틴의 생물학적 활성을 갖는 단백질 뿐만 아니라, 에리트로포이에틴 유사체, 에리트로포이에틴 이소형태, 에리트로포이에틴 의사체, 에리트로포이에틴 단편, 하이브리드 에리트로포이에틴 단백질, 상기의 융합 단백질 올리고머 및 다량체, 상기의 동족체, 상기의 글리코실화 패턴 변체 및 상기의 뮤테인을, 이들의 생물학적 활성 및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cDNA 또는 게놈 DNA로부터의 재조합, 합성, 트랜스제닉 및 유전자 활성화 방법을 포함한 합성 또는 제조 방법에 상관없이 포함한다. 에리트로포이에틴의 특정 예로는 에포에틴 알파(EPREX
Figure 112005018293608-pct00005
, ERYPO
Figure 112005018293608-pct00006
), 신규한 에리트로포이에틴 자극 단백질(NESP)(유럽 특허원 제640 619호에 기재되어 있는 재조합 사람 에리트로포이에틴(에포에틴)의 과당화 유사체), 국제공개공보 제WO 99/66054호에 기재되어 있는 사람 에리트로포이에틴 유사체-사람 혈청 알부민 융합 단백질, 국제공개공보 제WO 99/38890호에 기재되어 있는 에리트로포이에틴 돌연변이체, 미국 특허 제5,688,679호에 기재되어 있는 사람 에리트로포이에틴 유전자의 ApaI 제한 단편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는 에리트로포이에틴 오메가, 국제공개공보 제WO 99/11781호에 기재되어 있는 변형된 당화 사람 에리트로포이에틴, 국제공개공보 제WO 98/05363호 또는 미국 특허 제5,643,575호에 기재되어 있는 PEG 결합된 에리트로포이에틴 유사체가 포함된다. 내인성 사람 에리트로포이에틴의 발현을 위해 변형된 세포주의 특정 예가 국제공개공보 제WO 99/05268호 및 제WO 94/12650호에 기재되어 있다.
에리트로포이에틴의 효과는 적혈구용적(hematocrit)을 측정하여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표적 적혈구용적 범위는 30 내지 33%이다. 용량 조정은 적혈구용적을 모니터링하여 달성할 수 있다. 에리트로포이에틴의 일회 사용 바이얼은 2,000IU, 3,000IU, 4,000IU, 10,000IU 또는 40,000IU의 에리트로포이에틴(1IU는 약 8.4ng의 재조합 에리트로포이에틴에 상응한다)을 함유한다. 본 발명의 한 가지 양태의 제형이 보존되고 다용량의 이점을 제공함에 따라, 제형은 바람직하게는 일회 사용 바이얼에 존재하는 에리트로포이에틴의 단위 수를 다수배 더 함유할 수 있다. 바이얼당 1,000 내지 100,000IU 또는 그 이상의 에리트로포이에틴을 함유한 조성물이 본 발명에 포함된다. 특히 에리트로포이에틴을 피하 투여할 경우, 일반적으로 유효량은 약 1 내지 500IU/kg 체중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300IU/kg 체중이다. 유효량은 치료 피험체의 종 및 크기, 치료 질환 또는 증세, 중증도 및 투여 경로에 따라 변화된다. 어떠한 경우든 사용 용량은 숙주에 무독성이어야 한다.
놀랍게도, 에리트로포이에틴은 크레졸을 0.5% 미만 함유하고 안정제로서 사람 혈청 알부민과 아미노산을 함유하는 보존된 안정한 수성 제형으로서 제형화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크레졸의 바람직한 범위는 0.2% 내지 0.5%이고 0.3%가 가장 바람직하다. 글리신은 바람직한 아미노산 안정제가다. 본 발명은 10,000IU/2.5㎖, 25,000IU/2.5㎖ 및 40,000IU/2.0㎖(40K) 역가로 개발된, 크레졸 보존되고 인산염 완충된 제형을 제공한다. 보다 고 단위 용량의 제형은 피하 주사의 횟수를 감소시키고 환자의 순응을 향상시켜 준다.
본 발명의 실시예 1로부터의 데이터는 완충제로서 시트레이트 또는 인산염을 사용하고 제형에 m-크레졸을 포함시키면 에리트로포이에틴의 흡수, 소인 및 안전성 프로필이 감소되지 않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보존된 다용량 에리트로포이에틴 인산염 완충된 신규 제형은 현재 시판되고 있는 일회 사용 제형에 필적하며 다용량 에리트로포이에틴이 현재 에리트로포이에틴에 대해 인정된 모든 징후에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일회 사용 EPREX 제형과 약동학적으로 유사한 신규 제형은 임상적으로도 유사할 것으로 예상된다. 게다가, 인산염 완충된 다용량 에리트로포이에틴은 일회 사용 에리트로포이에틴 바이얼에 비해 잠재적으로 추가의 이점, 즉 경제적 이점을 갖는다. 빈혈의 치료 또는 수술전 자가혈액 예치를 치료하기 위한 에리트로포이에틴의 사용은 에리트로포이에틴을 4주에 1회, 2주에 1회, 주 1회, 주 2회 또는 주 3회 반복 투여할 것을 요한다. 일회 사용으로 고안된 경우 일회 사용 에리트로포이에틴의 미사용 부분은 폐기하여야 하는 반면에, 보존된 다용량 에리트로포이에틴의 적절한 크기를 사용함으로써 폐기할 에리트로포이에틴의 양이 최소로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보존된 제형의 살균 특성으로 잠재적인 자가 투여 및 공공 시설에 수용된 다수의 환자 치료에 본 발명의 보존된 제형이 보다 적합할 수 있으며 결국 보건 비용을 상당히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다용량 에리트로포이에틴 바이얼은 환자/병원이 고용량으로 사용할 수밖에 없었던 단일 바이얼 또는 앰풀의 수를 최소화함으로써 약물 투여의 편리성을 추가로 제공할 것이다. 또한, 다용량 에리트로포이에틴의 보다 높은 역가(25,000IU/2.5㎖ 및 40,000IU/2.0㎖)는 특히 보다 고 용량을 필요로 하는 증세에 대해 주사 용량을 최소로 할 수 있다. 또한, 다용량 에리트로포이에틴으로 단일 바이얼을 용량 투여에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가 혈액 기증 프로그램을 위한 권장 용량은 주 2회 600IU/kg이다(7). 70kg 환자의 경우, 권장 용량 섭생은 주 2회 약 40K일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 단일 40K 바이얼이 일회 약물 투여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10,000IU 농도가 적당할 뿐 아니라, 최대로 권장되는 약 1㎖ 피하 주사 용적을 제공하기 때문에, 이 농도의 제형을 실시예 1에 예시된 연구에서 선택하였다. 주사 용적을 최소화함으로써, 더 높은 농도의 다용량 에리트로포이에틴은 잠재적으로 피하 주사 부위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는 환자의 순응도를 개선시키는데 명백히 유리하다.
목표: 시판되는 시트레이트 완충된 rhEPO 제형(보존제 무함유)와, 인산염 완충제에서 제형화되고 0.3% m-크레졸 보존제를 함유하는 피하 투여된 재조합 사람 에리트로포이에틴(에포에틴 알파, rhEPO)(10,000IU/㎖)의 안전성 및 약동학(pharmacokinetics)의 비교.
환자 및 방법
환자
연령이 20 내지 38세(평균 연령 26.9세)이고 체중이 60.8 내지 87.4kg(평균 체중 72.3kg)인 18명의 건강한 지원자가 이 연구에 끝까지 참여하였다. 그룹 I의 피험체의 평균 연령(28.1세)은 그룹 II의 피험체의 평균 연령(25.8세)보다 약간 높았지만, 이러한 차이가 연구 결과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하지는 않았다. 이 연구에 참여한 피험체는 혈액학 또는 혈청 화학 측면에서 임상학적으로 현저한 비정상적 실험실 수치를 보유하지는 않았다. 이들은 뇨 독물학 스크린, HIV 스크린 및 B형 간염 표면 항원이 모두 음성이었다. 이들 지원자는 다음 중의 어떤 징후도 나타내지 않았다: 고혈압(예: 확장혈압 ≥95mmHg); 1차 혈액학 질병의 병력; 현저한 간, 신장, 심혈관, 위장, 비뇨기, 대사, 신경학적 질환의 병력; 빈혈 또는 발작 질환의 병력; 포유류 유도형 생성물 또는 사람 혈청 알부민에 대한 알려진 감수성; 카페인을 함유하는 음료에 대한 습관성 다량 소비; 본 연구에 참여하기 30일 이내에 어떤 다른 임상적 시험에의 참여 또는 수혈 또는 헌혈; 본 연구 참가 3개월 내에 rhEPO에 대한 노출; 연구 참가 7일 이내에 병에 걸린 경험; 본 연구 참가 14일 이내에 연구전 신체 검사 또는 임상적 실험실 평가에서 현저한 비정상. 모든 피험체에 대해 안정성을 평가하였으며, 약동학 분석용의 모든 혈액 수거물은 계획대로 수거하였다. 모든 연구는 공공 윤리 위원회의 승인과 환자의 동의를 얻어 실시하였다.
연구 과정
이 연구는 건강한 남성 지원자에서의 I기, 단일 센터, 개방 라벨, 무작위, 2-기간 교차 연구였다. 18명의 피험체를 두 처리 순서 그룹(1그룹당 9명의 피험체) 중 한 그룹으로 무작위적으로 나누었다. rhEPO를 상부 대퇴부에 환괴 피하 주사로서 2회의 별도의 투약 기간 동안 투여하였다. 각 투약 기간 사이에는 14일의 워시아웃(washout) 기간을 두었다. 피험체는, 2회의 투약 기간 중 각각의 기간 동안 최소한 투약 12시간 전부터 투약 후 72시간에는 연구 센터에 감금하였으나, 투약 기간 사이에는 그러지 않았다. 투약법은 표 1에 요약되어 있다.
투여법 및 연구 과정
그룹 N 기간 1 워시아웃 기간 기간 2
I 9 m-크레졸 보존제 함유 일회 용량의 150IU/kg의 rhEPO 피하 투여 14일 m-크레졸 보존제 무함유 일회 용량의 150IU/kg의 rhEPO 피하 투여
II 9 m-크레졸 보존제 무함유 일회 용량의 150IU/kg의 rhEPO 피하 투여 14일 m-크레졸 보존제 함유 일회 용량의 150IU/kg의 rhEPO 피하 투여
2종의 EPO 제형을 이 연구에 사용하였다. 에포에틴 알파(EPREX
Figure 112005018293608-pct00007
로 시판됨)는 시트레이트 완충제 중 rhEPO 10,000IU/㎖를 함유한다. 보존제를 함유하는 rhEPO 제형은 m-크레졸 보존제 함유 인산염 완충제에 rhEPO를 25,000IU/2.5㎖를 포함한다.
혈액 샘플링
EPO를 투여하기 전후에 지원자로부터 직접 연속하여 채혈하였다. 혈청 에리트로포이에틴 농도 측정용 정맥혈 샘플(5㎖)은 투약하기 전 30, 20 및 10분(3개의 기준 샘플)과, 투약한지 대략 30분과 1, 2, 5, 8, 12, 15, 18, 24, 30, 36, 48, 60, 72시간 후에 수득하였다. 각 혈청 샘플은 2개의 분액으로 나누었다. 모든 혈청 샘플은 -20℃에서 저장하였다. 혈청 샘플은 드라이아이스에 두었다. 금식 임상 실험실 시험(혈액학, 혈청 화학 및 뇨분석학)는 1일째 처음 투약하기 직전, 4일째 오전, 16일째 투약 직전과 19일째 오전에 실시하였다.
생체분석 방법
혈청 에리트로포이에틴 농도를 측정하는 데 방사성면역분석법(RIA) 키트 공정[미국 텍사스주 웹스터 소재의 다이아그노스틱 시스템즈 래보러토리(Diagnostic Systems Laboratory[DSL]]을 사용하였다. 시판용 RIA는, 1차 항체로서 사람 뇨 에리트로포이에틴에 대한 토끼 폴리클론 항혈청과 추적자로서 125I-표지된 사람 뇨 에리트로포이에틴을 이용하는 이중-항체, 경쟁 방법이다. 표준 및 품질 대조 샘플에서, DSL 키트에 제공된 뇨 에리트로포이에틴을 에포에틴 알파로 대체하였다. 이 분석에 사용된 표준 농도는 7.8, 15.6, 31.3, 50, 62.5, 100 및 125mIU/㎖였다. 허용가능한 정밀도를 제공하는 최저 표준에 대한 평균 백-피트(back-fit) 값으로서 정의된 감수성은 8.6mIU/㎖였으며, 분석 범위는 품질 대조군 희석을 통해 2,000mIU/㎖로 확장하였다.
안전성 측정
각 투약 직전(1일 및 16일)과 각 투약 후 6, 24, 48 및 72시간에 바이탈 사인을 기록하였다. 임상 실험실 시험에서 기준선으로부터의 변화와 이상반응의 발생 및 유형을 기준으로 하여 안전성을 결정하였다. 또한, 혈압을 비롯한 바이탈 사인 측정시 연구전과의 변화와 신체 검사 결과를 평가하였다.
데이터 분석
투약후 혈청 농도 값은, 투약 전 30, 20 및 10분에 수거된 3개의 샘플로부터 수득한 에리트로포이에틴 수준을 평균내어 측정된 평균 기준선 에리트로포이에틴 농도를 각각의 투약후 값에서 빼서 투약전 기준선 에리트로포이에틴 농도에 대해 교정하였다. 투약전 혈청 에리트로포이에틴 농도가 분석에서 정량화 수준보다 낮은 경우, 이 농도는 평균 값의 계산에 포함시키지 않았다. 기준선 에리트로포이에틴 농도에 대해 교정한 혈청 농도 데이터로부터 약동학 파라미터를 측정하였다.
약동학 파라미터는, BIOAVL 소프트웨어 버전 8.0(Scientific Computer Systems, RWJPRI)을 사용하여 디지탈 이큅먼트 코포레이션(Digital Equipment Corporation) VAX 8600 컴퓨터 시스템에서 모델 독립형 방법으로 계산하였다. 다음과 같은 약동학 파라미터를 측정하였다: 피크 혈청 농도(Cmax); 피크 혈청 농도에서의 시간(tmax); 농도-시간 곡선하 면적(AUC), 선형 부등사변형 법칙을 이용하여 계산된 시간 0에서부터 최종 혈액 샘플링 시간까지의 면적(AUC0-72); 및 0.693/제거율 상수로부터 산정된 최종(terminal) 제거 반감기(t1/2). 제거율 상수는 log-선형 농도-시간 플롯의 말단의 직선 영역에서 연속 데이터점의 선형 회귀로 추정하였다. 각 처리에 대하여 약동학 파라미터의 평균, 표준 편차(SD) 및 변화 계수(CV)를 계산하였다. 파라미터 평균의 비율(보존제 함유 제형/보존제 무함유 제형)을 계산하였다.
결과
안전성 결과
이상반응의 발생률은 처리 그룹(39%, rhEPO, 보존제 무함유; 33%, rhEPO, 보존제 함유)에서 동일하게 분포하였다. 기준선 또는 연구전 임상 실험실 시험 또는 혈압에 있어서 임상적으로 현저한 변화는 없었고, 신체 검사 결과 및 바이탈 사인 측정에 있어서 연구 전과 눈에 띄게 달라진 점은 없었다. 평균 총 빌리루빈이 처치 후 4일째에 기준선 값의 거의 1/2로 감소하였다는 것은 흥미롭다. 그러나, 이러한 감소 범위는 양 치료 그룹에서 유사하였으며, 평균 총 빌리루빈 수치는 정상범위 내에 있었다. 다른 간 기능 시험(알칼리 포스파타제, SGOT, SGPT, LDH)에서의 유사한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2개의 치료 그룹에 대한 안전성 프로파일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약동학 결과
m-크레졸 보존제 함유 및 무함유 일회 150IU/kg 피하 용량의 rhEPO를 투약한 후 모두 18명의 피험체에서의 평균 혈청 에리트로포이에틴 농도-시간 프로파일(기준선 에리트로포이에틴 수준에 대해 교정되지 않음)은 측정된 각 시점에서 유사하였다(도 1). 모든 피험체는 정상 생리학적 범위(<8.6 내지 22mIU/㎖)내에서 투약전 기준선 에리트로포이에틴 농도를 나타내었다.
약동학 파라미터는 투약전 평균 기준선 에리트로포이에틴 농도에 대해 교정된 혈청 데이타로부터 결정하였다(표 2). Cmax의 범위는, 보존제 함유 rhEPO의 경우 최저 85mIU/㎖부터 최고 558mIU/㎖(평균 198 ±123mIU/㎖)이고, 보존제 무함유 rhEPO의 경우 61mIU/㎖부터 최고 601mIU/㎖(평균 226 ±138mIU/㎖)였다. 주목할 것은, 2명의 피험체가, 다른 16명의 피험체(즉, <400mIU/㎖)와 비교하여 비정상적으로 높은 Cmax 값(즉, 보존제 함유 rhEPO에 대한 피험체 111[558mIU/㎖]과 보존제 무함유 rhEPO에 대한 피험체 118[601mIU/㎖])을 나타내었다. Cmax를 이들 2경우의 값을 제외하고 계산한 경우, 보존제 함유 및 무함유 rhEPO 제형에 대한 평균 Cmax 값은 더욱 유사하였다(각각 177 ±89 및 196 ±102mIU/㎖).
보존제를 함유하는 rhEPO 제형의 경우, 평균 에리트로포이에틴 AUC(0-72시간) 은 5,754 ±2,284mIU·h/㎖이며, 2,973 내지 11,185mIU·h/㎖ 범위였다. 유사하게, 보존제를 함유하지 않는 rhEPO 제형의 경우, 평균 에리트로포이에틴 AUC(0-72시간)은 6,521 ±2,769mIU·h/㎖이며, 3,096 내지 14,235mIU·h/㎖ 범위였다(표 2). 유의할 것은, 2명의 피험체가 다른 16명의 피험체(즉, <10,000mIU/㎖)와 비교하여 드물게 높은 AUC(0-72시간) 값(즉, 보존제 함유 rhEPO에 대해 피험체 111[11,185mIU·h/㎖]과 보존제 무함유 rhEPO에 대해 피험체 118[14,235mIU·h/㎖])을 나타내었다. AUC(0-72시간)을 이들 2경우의 값을 제외하고 계산한 경우, 보존제 함유 및 무함유 rhEPO 제형에 대한 평균 AUC(0-72시간) 값은 더욱 유사하였다(각각 5,460 ±1960 및 6,000 ±2,100mIU/㎖).
평균 tmax는 보존제의 존재 여부와 관계없이 rhEPO에 대해 유사하였다(각각 12 ±5 및 13 ±5h). tmax에 대한 범위는 2종의 rhEPO 제형에 대해 유사하였다(8-24시간). 최종 반감기 값은 보존제의 존재 여부와 관련없이 rhEPO에 대해 유사하였다(각각 20.2 ±8.1 및 19.8 ±6.6 시간).
이 연구의 양쪽 부분에서 관찰된 최종 반감기 값(∼20h)은 문헌(11,12)에 보 고된 피하 주사 후의 값과 유사하였다. 그러나, 이들 반감기 값은 이전에 관찰된 정맥 투여 후의 값(∼5h)보다는 길었다(11-14). 제거율보다 주사 부위로부터의 흡수율이 속도 제한 단계인 경우, 반감기 값이 길어지는 것은 예상되지 않았다.
0.3% m-크레졸 함유 및 무함유 일회 150IU/kg 피하 용량의 rhEPO를 투여한 후의 평균 ±SD(%CV) 약동학 파라미터
파라미터 0.3% m-크레졸 함유 rhEPO 0.3% m-크레졸 무함유 rhEPO 비율a
Cmax(mIU/㎖) 198 ±123 (62.1%) 226±138 (61.%) 0.88
tmax(시간) 12±5 (41.1%) 13±5 (35.7%) 0.92
AUC(0-72시간) (IU·h/㎖) 5.75±2.28 (39.7%) 6.52±2.77 (42.5%) 0.88
t1/2(시간) 20.2±8.1 (40.2%) 19.8±6.6 (33.2%) 1.02
a 파라미터 비율, m-크레졸 함유 rhEPO/m-크레졸 무함유 rhEPO
본 연구는 건강한 남성 피험체에서 실시하였지만, 유사한 흡수 특성 및 안전성 프로파일이, 암 또는 만성 신부전의 남녀 환자, 소아 신부전 환자, 수술전 자가혈액 예치 프로그램 환자 또는 선택 수술을 계획한 환자 등의 다른 환자군에서도 예상된다.
결론적으로, 피하 투여된 일회 용량의 0.3% m-크레졸 함유 및 무함유 rhEPO(150IU/kg)는 안전하며, 건강한 남성 피험체에 의해 관용되었다. 이상반응의 발생률, 임상 시험실 값, 바이탈 사인 및 신체 검사 결과의 비교예 기초하여, 보존제를 함유하거나 함유하지 않는 rhEPO 제형의 안전성 프로파일은 동일하였다. 신규한 다용량 EPREX의 제안된 다중 농도는 환자 및 보건 제공업자에게 큰 임상적 유용성을 제공한다.
실시예 2
신규 안정제를 포함시키거나 포함시키지 않고 배합한 재조합 사람 에리트로포이에틴 제형 2종을, 건강한 피험체에게 일회 피하 투여한 후의 안전성, 내성 및 약동학 비교
목표: 안정제로서 사람 혈청 알부민(HSA)을 사용한 시판되는 EPREX
Figure 112005018293608-pct00008
제형과, 2가지 농도(2,000[수월하게 제조되는 최저치] 및 40,000IU/㎖[수월하게 제조되는 최고치])의 신규 안정제(글리신 및 폴리소르베이트 80)와 배합한 인산염 완충 재조합 사람 에리트로포이에틴(EPREX
Figure 112005018293608-pct00009
, 에포에틴 알파, rhEPO)의 안전성, 내성 및 약동학의 비교.
환자 및 방법
환자
연령이 18 내지 35세(평균 연령 21.9세)이고 체중이 57.2 내지 92.3kg(평균 체중 74.3kg)인 24명의 건강한 지원자를 제1 연구에 참가시켰다. 제1 연구에서 2개의 치료 순서 그룹의 평균 연령은 매우 유사하였다(21.8세 및 22.0세). 이들 24명의 피험체 중 23명이 연구 끝까지 참여하였다. 한명의 피험체는 제1 투약 기간에서는 모든 평가를 완료하였으나, 제2 투약 기간에는 참여하지 않기로 하였다. 신규한 안정제 없이 rhEPO만을 투여받은 이 피험체에서 수득한 안정성 및 내성 데이터는 안전성 데이터에 포함시켰다. 그러나, 이 피험체로부터 수득한 혈청 EPO 농도는 약동학 분석에 포함시키지 않았다.
연령이 18 내지 40세(평균 연령 23.8세)이고 체중이 62.2-93.4kg(평균 체중 73.1kg)인 또 다른 24명의 남성 지원자를 연구에 참여시키고, 제2 연구를 마쳤다. 2개의 처리 순서 그룹의 평균 연령은 매우 유사하였다(24.5세 및 23.1세).
이 두 연구에 참여한 모든 피험체는 연구전 헤모글로빈이 16.0g/㎗를 초과하지 않았고, 혈액학 또는 혈청 화학에 대해 현저하게 비정상적인 실험실 값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뇨 독물학 스크린, HIV 스크린, B형 간염 표면 항원 및 C형 간염 항체가 음성이었다. 피험체는 고혈압(예, 좌위(座位)의 확장혈압 >95mMHg)의 증거가 없고; 1차 혈액학 질병의 병력이 없으며; 현저한 간, 신장, 심혈관, 위장, 비뇨기, 대사 또는 신경학적 질병의 병력이 없고; 빈혈 또는 발작 질환의 병력이 없었다. 피험체는 포유류 유도형 생성물 또는 HSA에 대한 감수성이 없고; 카페인을 함유하는 음료를 습관성으로 다량 소비하지 않았으며; 심한 흡연자(>10 담배/일)가 아니며; 연구에 참가하기 90일 이내에 어떤 다른 임상적 시험에 참여하거나 수혈 또는 헌혈한 적이 없고; 연구 참가 3개월 내에 rhEPO에 대한 노출이 없었다. 모든 피험체에 대해 안정성을 평가하였으며, 약동학 분석용의 모든 혈액 수거물은 계획대로 수거하였다. 모든 연구는 공공 윤리 위원회의 승인과 환자의 동의를 얻어 실시하였다.
연구 과정
두가지 연구는 건강한 남성 지원자에서의 I기, 단일 센터, 이중 블라인드(double-blind), 무작위, 2-기간 교차 연구였다. 각 연구에서, 24명의 피험체를 두 처리 순서 그룹(1그룹당 12명의 피험체) 중 한 그룹으로 무작위적으로 나누었다. EPO를 상부 대퇴부에 환괴 피하 주사로서 2회의 별도의 투약 기간 동안 투여하였다. 피험체는, 2회의 투약 기간 중 각각의 기간 동안 최소한 투약 12시간 전부터 투약 후 36시간에는 연구 센터에 감금하였다. 피험체는 제한 기간 외에는, 필요한 평가와 채혈을 위해 연구 센터로 돌아왔다. 각 투약 기간 사이에는 28일의 워시아웃 기간을 두었다. 피험체는 투약 기간 사이(3일 내지 29일)에는 그 거주 범위를 센터로 한정하지 않았다. 투약법은 표 3에 요약되어 있다.
투여법 및 연구 과정
그룹 N 기간 1(1일) 워시아웃 기간 기간 2(30일)
I 12 신규 안정제 무함유 일회 150IU/kg 피하 용량의 rhEPO(2,000IU/㎖) 투여 28일 신규 안정제 함유 일회 150IU/kg 피하 용량의 rhEPO(2,000IU/㎖) 투여
II 12 신규 안정제 함유 일회 150IU/kg 피하 용량의 rhEPO(2,000IU/㎖) 투여 28일 신규 안정제 무함유 일회 150IU/kg 피하 용량의 rhEPO(2,000IU/㎖) 투여
III 12 신규 안정제 무함유 일회 750IU/kg 피하 용량의 rhEPO(40,000IU/㎖) 투여 28일 신규 안정제 함유 일회 750IU/kg 피하 용량의 rhEPO(40,000IU/㎖) 투여
IV 12 신규 안정제 함유 일회 750IU/kg 피하 용량의 rhEPO(40,000IU/㎖) 투여 28일 신규 안정제 무함유 일회 750IU/kg 피하 용량의 rhEPO(40,000IU/㎖) 투여
이 연구에서는 2종의 EPO 제형을 사용하였다. 안정제로서의 HSA 함유 2,000IU/㎖(2K) 농도의 EPO와, 신규 안정제로서 글리신과 폴리소르베이트 80을 함유하는 2K 농도의 rhEPO의 신규 인산염 완충 제형을 제1 연구에 사용하였다. 제2 연구에서, 안정제로서 HAS를 함유하는 40,000IU/㎖(40K) 농도의 EPO와 신규 안정제를 함유하는 40K 농도의 신규 인산염 완충된 rhEPO 제형을 사용하였다.
혈액 샘플링
EPO를 투여하기 전후에 지원자로부터 직접 연속하여 채혈하였다. 헤파린 고정(lock)은 사용하지 않았다. 혈청 에리트로포이에틴 농도 측정용 정맥혈 샘플(5 ㎖)은 투약하기 전 30, 20 및 10분(3개의 기준 샘플)과, 투약한지 대략 0.5, 1, 2, 5, 8, 12, 15, 18, 24, 30, 36, 48, 60, 72시간 후에 수득하였다(모든 그룹). 제2 연구에서는 96, 120, 144 및 168시간에 피험체의 혈액 샘플을 추가로 채취하였다. 각 혈청 샘플은 2개의 분액으로 나누었다. 모든 혈청 샘플은 -20℃에서 저장하였다. 혈청 샘플은 드라이아이스에 두었다. 금식 임상 실험실 시험(혈액학, 혈청 화학 및 뇨분석학)은 1일째 처음 투약하기 직전, 4일째 오전, 30일째 투약 직전과 33일째 오전에 실시하였다.
생체분석 방법
혈청 에리트로포이에틴 수준에 대한 샘플 분석은 LabCorp에서 실시하였다. 다이아그노스틱 시스템즈 래보러토리에서 제조한 방사성면역분석법(RIA) 키트 공정을 혈청 에리트로포이에틴 농도 측정을 위해 사용하였다. 시판용 RIA는, 1차 항체로서 사람 뇨 에리트로포이에틴에 대한 토끼 폴리클론 항혈청과 추적자로서 125I-표지된 사람 뇨 에리트로포이에틴을 이용하는 이중-항체, 경쟁 방법이다. 표준 및 품질 대조 샘플에서, 뇨 에리트로포이에틴을 에포에틴 알파로 대체하여 DSL 키트를 변형시켰다. 분석에 사용된 표준 농도는 7.8, 15.6, 31.3, 50, 62.5, 100 및 125mIU/㎖였다. 허용가능한 정밀도를 제공하는 최저 표준에 대한 평균 백-피트 값으로서 정의된 감수성은 7.8mIU/㎖였으며, 분석 범위는 품질 대조 희석을 통해 5,000mIU/㎖로 확장하였다.
안전성 측정
각 투약 직전(1일 및 30일)과 각 투약 후 6, 24, 30, 36, 48, 60 및 72시간에 바이탈 사인을 기록하였다. 임상 실험실 시험에서 기준선으로부터의 변화와 이상반응의 발생률 및 유형을 기준으로 하여 안정성을 결정하였다(투여 후 72시간 까지). 또한, 혈압을 비롯한 바이탈 사인 측정시 연구전과의 변화와 신체 검사 결과를 평가하였다.
내성 측정
주사 부위에서의 내성을 평가하는 시험은 각 주사(1일 및 30일) 45분 후에 실시하였다. 각 용량을 3, 4 또는 5회 주사로 분할하여, 가장 통증이 심한 주사 부위를 평가하였다. 2가지 통증 규모로 분류하였다. 단계적 변화 없이 10cm 수평선으로 된 가시적 아날로그 규모(VAS; visual analog scale); 및 인접 형체와 5개의 수직으로 놓인 상자로 된 언어로 설명가능한 규모(VDS; verbal descriptive scale). VAS 규모의 양 끝점은 "통증 없음" 내지 "내가 상상할 수 있는 최악의 것"이며, VDS 규모는 "통증 없음" 내지 "매우 심한 통증"이었다. 통증 지속 시간에 대해 피험체에게 물었다. 통증이 45분 이상 지속되면, 정상으로 돌아올 때까지 시간 간격을 두고 내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데이터 분석
투약후 혈청 농도 값은, 투약 전 30, 20 및 10분에 수거된 3개의 샘플로부터 수득한 에리트로포이에틴 수준을 평균내어 측정된 평균 기준선 에리트로포이에틴 농도를 각각의 투약후 값으로부터 감하여 투약전 기준선 에리트로포이에틴 농도에 대해 교정하였다. 투약전 혈청 에리트로포이에틴 농도가 분석에서 정량화 수준보다 낮은 경우, 이 농도는 평균 값의 계산에 포함시키지 않았다. 기준선 에리트로포이에틴 농도에 대해 교정한 혈청 농도 데이터로부터 약동학 파라미터를 측정하였다.
약동학 파라미터는, WinNonlin 소프트웨어 버전 1.1(Scientific Consulting, Inc.)을 사용하여 모델 독립형 방법으로 구하였다. 다음과 같은 약동학 파라미터를 측정하였다: 피크 혈청 농도(Cmax); 피크 혈청 농도에서의 시간(tmax); 선형 부등사변형 법칙을 이용하여 계산된 시간 0에서부터 최종 혈액 샘플링 시간까지의 농도-시간 곡선하 면적(AUC), AUC(0-72)[그룹 I 및 II]와 AUC(0-168)[그룹 III 및 IV]; 및 0.693/제거율 상수로부터 산정된 최종 제거 반감기(t1/2). 제거율 상수는 log 선형 농도-시간 플롯의 말단의 직선 영역에서 연속 데이터점의 선형 회귀로 추정하였다. 3개의 데이터 점의 최소값을 회귀에 사용하였다. 상관계수가 0.975 미만인 경우, 해당 t1/2 값은 EPOrt화되지 않았다. 각 처리에 대해 약동학 파라미터의 평균, 표준 편차(SD) 및 변화 계수(CV)를 계산하였다. 평균 약동학 파라미터의 비율(신규 안정제 함유 rhEPO/신규 안정제 무함유 rhEPO)을 계산하였다.
원래의 생체이용성 파라미터 AUC와 log 변환시킨 생체이용성 파라미터 AUC에 대한 통계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변화 모델의 분석은 종속 변수로서 원래의 AUC 데이터 및 log 변환시킨 AUC 데이터와, 예측자로서의 처리 순서 그룹, 순서 그룹내의 피험체, 처리 및 기간으로 인한 효과에 적당하였다. 처리 순서 그룹 효과에 대한 시험은, 오차 한계로서 순서 그룹내의 피험체로 인하여 평균 제곱을 사용하여 10% 레벨에서 실시하였다. 기간 효과는 잔여 오차 한계를 사용하여 5% 수준에서 시험하였다. 상기 모델로부터의 오차 평균 제곱을 사용하여 피험체내 변화성을 추정하였다. 상기 모델에서 수득한 추정된 최소 제곱 및 피험체내 변화성을 사용하여, 신규 안정제를 함유하는 평균 EPREX
Figure 112005018293608-pct00010
/HSA를 함유하는 평균 EPREX
Figure 112005018293608-pct00011
의 비율에 대해 90% 신뢰 구간을 설정하였다. 이전의 연구에서 수득한 40%의 CV를 기초로, 24명의 피험체의 샘플 크기는 90% 신뢰도에서 참값의 ±20% 이내의 비율을 추정하기에 충분해야 한다. 원값 및 변환값의 Cmax, tmax 및 t1/2를 서술적으로 보고하였다.
비계획형 통계 분석으로서, 교차 시험 방법(11)으로 3가지 로컬 내성 파라미터를 분석하였다. 통계학적 시험을 실시하기 전에, VAS 스코어 및 통증 지속 값을 정규화시켰다. 변환된 VAS 및 통증 지속값에 대한 교차 분석은 SAS
Figure 112005018293608-pct00012
내의 Proc glm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연구 과정은 투약 기간 사이에 이월 가능성을 제거하기 위해서 28일의 워시아웃 기간을 조건으로 하였다. 따라서, 이월 효과 없이 표준 교차 모델에 준하여 계산하였다. VDS로 평가된 통증 결과는, 코크(Koch) 등의 문헌(12)에 개시된 교차 시험에 대한 방법에 따라서 윌콕슨-만-화이트니(Wilcoxon-Mann-Whitney) 계수(階數) 총계 시험로 분석하였다. 간단히 요약하면, 이 절차는 시험한 모든 환자에 대해 기간 차이를 등급화하고, 2개의 순서 그룹 사이의 차이에 대해 윌콕슨-만-화이트니 시험을 사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결과
안전성 결과
이상반응의 전체 발생은 모든 처리 그룹에서 균일하게 분포하였다. 발생률은 2K 농도에 대해 63%(신규 안정제를 함유하지 않는 rhEPO) 및 61%(신규 안정제를 함유하는 rhEPO)이고, 40K의 농도에 대해 54%(신규 안정제를 함유하지 않는 rhEPO) 및 46%(신규 안정제를 함유하는 rhEPO)였다. 모든 이상반응은 일시적이었으며, 조정없이 해소되었다. 단 경미한 두통이 있거나 인플루엔자 유사 증상이 있는 5명의 피험체(3명은 2K rhEPO를, 2명은 40K rhEPO를 투여받음)에게는 파라세타몰을 제공하였다. 모든 그룹에서 가장 빈번하게 EPOrt된 이상반응은 두통이었다.
40K 농도의 rhEPO를 투여받은 피험체에서 약물치료 연구와 관련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분류된 이상반응은 인편 피부(n=4), 두통(n=2), 근육통(n=1) 및 피로(n=1)를 포함한다. 2K 농도 rhEPO를 투여받은 피험체에서, 연구 약물치료와 관련될 가능성이 있는 이상반응은 두통(n=2) 및 피로(n=2)이다. 4건의 EPOrts 피부 발진은 모두 신규 안정제와 함께 rhEPO를 투여한 지 3일 내지 8일 사이에 발생하였지만, 모든 사건은 경미하였으며 2 내지 3일내에 해결되었다. 4건의 보고된 인편 피부 사례를 제외하고는, 2가지 rhEPO 농도의 제형에서는 이상반응의 유형과 발생에 있어서 임상적으로 현저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2가지 rhEPO 농도의 제형을 이용한 임상 실험실 시험, 혈압, 신체 검사 결과 및 바이탈 사인 측정 에서 연구 약물의 투여 후 처음 4일 동안 임상적으로 현저한 변화는 없었다. 모든 치료 그룹에서, 기준선과 비교하여 4일째에 망상적혈구의 약간의 증가가 관찰되었다. 이에 수반하여, 모든 그룹에서 기준선과 비교하여 4일째에 림프구가 약간 감소하였다. 모든 처리 그룹에서 4일째에 기준선으로부터 평균 총 빌리루빈이 상당히 감소하였다. 연구 4일 동안 혈청 화학 파라미터의 약간의 변화가 관찰되었지만, 임상적으로 중요한 것으로 생각되는 것은 없었다. 따라서, 모두 4개의 처리 그룹에서의 안전성 프로파일은 유사한 것으로 보였다.
내성 결과
신규 안정제 함유 및 무함유 일회 150IU/kg 피하 용량의 rhEPO(2K)를 투여 후의 평균 VAS 스코어는 큰 차이가 없었다(p=0.608). 유사하게, 신규 안정제 함유 및 무함유 일회 750IU/kg 피하 용량의 rhEPO(40K) 투여 후의 평균 VAS 스코어의 차이도 크지 않았다(p=0.402). 윌콕슨 계수 총계 시험을 사용하여 통증의 VDS 심함 정도를 평가하는 경우, 2종의 제형 사이의 차이는 그룹 I 및 II의 피험체(p=0.610)와 그룹 III 및 IV의 피험체(p=0.581)에 대해 크게 상이하지는 않았다.
연구 약물의 모든 투여에 대한 통증의 전체 평균 지속 시간은 그룹 I 및 그룹 II의 피험체의 경우 1.01분이고, 그룹 III 및 IV의 피험체의 경우 3.03분이었다. 통증 지속 시간은 일반적으로 그룹 I 및 II의 피험체의 경우 3분 이하, 그룹 III 및 IV의 피험체의 경우 2분 이하인 것으로 보고되었다. 통증 지속에 관한 결과는 기타 내성 파라미터에 대해 수득한 것과 일치하였다. 그룹 I 및 II(p=0.159)와 그룹 III 및 IV(p=0.951)에서 신규 안정제 함유 및 무함유 EPREX
Figure 112005018293608-pct00013
를 투여받은 피험체 사이에, 주사 후 통증 지속성에 있어서 통계학적으로 큰 차이는 없었다.
에포에틴 알파의 2가지 상이한 농도 사이의 통증 비교 결과, 그룹 I 및 그룹 II에서 모든 연구 약물 투여(2K rhEPO) 후에 통증이 보고됨을 확인하였다. 대조적으로, 그룹 III 및 그룹 IV 피험체(40K rhEPO)에서의 48회의 피하 투여 중 24회의 투여에서는 전혀 통증이 보고되지 않았다. 또한, 평균 통증 스코어(VAS, VDS)는 일회 750IU/kg 피하 용량의 rhEPO(40K)를 투여한 후보다 일회 150IU/kg 피하 용량의 rhEPO(2K)를 투여한 후에 더 컸다. 그러나, 일회 750IU/kg 피하 용량의 rhEPO(40K)를 투여한 후보다 일회 150IU/kg 피하 용량의 rhEPO(2K)를 투여한 후에 보고된 평균 통증 스코어가 더 높을 뿐 아니라 통증 발생율도 더 높았다. 이것은, 그룹 III 및 그룹 IV에서 사용된 것(40K)과 비교하여 제형(2K)가 더 약하므로, 필요한 용량을 수득하기 위해서 그룹 I 및 그룹 II에서는 연구 약물의 투여에 따른 더 많은 주사가 필요하기 때문일 수 있다. 그룹 I 및 그룹 II에서 피험체에 투여하는데 사용된 바늘은 그룹 III 및 그룹 IV에서 피험체에 사용된 바늘보다 더 폭이 좁고 더 잘 구부려지는데, 이는 피하 주사의 실시를 더 어렵게 한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통증의 평균 지속 기간은 그룹 I 및 그룹 II(2K)에서보다 그룹 III 및 그룹 IV(40K)에서 더 길지만, 이것은 아마도 40K 농도의 rhEPO를 투여받은 2명의 개체(모든 치료 그룹에서의 모든 피험체와 비교하여 치료 후에 오래 지속되는 통증을 나타냄)에 기인하는 것 같다.
약동학 결과
신규 안정제 함유 및 무함유 일회 150IU/kg 피하 용량의 rhEPO(그룹 I 및 II) 또는 일회 750IU/kg 피하 용량의 rhEPO(그룹 III 및 IV)를 투여한 후 모든 피험체에서 평균 혈청 에리트로포이에틴 농도-시간 프로파일은 각각 도 2 및 3에 도시되어 있다(기준선 에리트로포이에틴 수준에 대해 교정되지 않음). 모든 피험체(n=48)는 정상 생리학적 범위(<7.8 내지 32mIU/㎖)내의 투여전 기준선 에리트로포이에틴 농도를 나타내었다. 신규 안정제 함유 및 무함유 일회 150IU/kg 피하 용량의 rhEPO(2K)를 투여한 후, 4일 째에 평균 혈청 에리트로포이에틴 수준(각각 36±11 및 33±11mIU/㎖)은 투여전 평균 내인성 에리트로포이에틴 수준(각각 16±6 및 16±7mIU/㎖)에 접근하였다. 유사하게, 신규 안정제 함유 및 무함유 일회 750IU/kg 피하 용량의 rhEPO(40K)를 투여한 후, 7일 째에 평균 혈청 에리트로포이에틴 수준(각각 26±9 및 23±7mIU/㎖)은 투여전 평균 내인성 에리트로포이에틴 수준에 접근하였다.
약동학 파라미터는 투약전 평균 기준선 에리트로포이에틴 농도에 대해 교정된 혈청 데이타로부터 결정하였다. 그룹 I 및 II에서, 신규 안정제 함유 일회 150IU/kg 피하 용량의 rhEPO(2K)를 투여한 후에 Cmax의 범위는 최저 86.6mIU/㎖부터 최고 681mIU/㎖(평균 222 ±128mIU/㎖)이고, 신규 안정제 무함유 rhEPO의 경우는 119mIU/㎖부터 최고 377mIU/㎖(평균 226 ±79mIU/㎖)였다(표 4). 안정제 함유 일회 150IU/kg 피하 용량의 rhEPO(2K)를 투여받은 한 명의 피험체는 드물게 높은 Cmax 값을 나타내었으며, 동일한 그룹에서 한 명의 피험체는 비통상적으로 낮은 Cmax를 나타내었다. 이들 예외적인 Cmax 값에 대한 이유는 모른다. 그룹 III 및 IV에서 신규 안정제 함유 일회 750IU/kg 피하 용량의 rhEPO(40K)를 투여한 후에 Cmax의 범위는 최저 1194mIU/㎖부터 최고 4334mIU/㎖(평균 2978 ±808mIU/㎖)이고, 신규 안정제 무함유 rhEPO의 경우는 1892mIU/㎖부터 최고 3997mIU/㎖(평균 3065 ±705mIU/㎖)였다(표 5). 2K 및 40K 농도의 경우 신규 안정제를 함유하거나 함유하지 않는 rhEPO 제형 간의 Cmax 차이는 통계학적으로 현저하지 않았다(p<0.05).
그룹 I 및 그룹 II에서, 신규 안정제와 일회 150IU/kg 피하 용량의 rhEPO(2K)를 투여한 후에 AUC(0-72)의 범위는 최저 3238 내지 최대 11,318(평균 6647 ±2488mIU·h/㎖)이었다. 유사하게, 신규 안정제 없이 일회 150IU/kg 피하 용량의 rhEPO(2K)를 투여한 후에 AUC(0-72) 범위는 최저 4234 내지 최대 10,968(평균 6983 ±1855mIU·h/㎖)이었다(표 4). 그룹 III 및 그룹 IV에서, 신규 안정제와 함께 일회 750IU/kg 피하 용량의 rhEPO(40K)를 투여한 후에 AUC(0-168) 범위는 최저 48,347 내지 최대 136,290(평균 102,768 ±21,500mIU·h/㎖)이었다. 유사하게, 신규 안정제 없이 일회 750IU/kg 피하 용량의 rhEPO(40K)를 투여한 후에 AUC(0-168) 범위는 최저 69,537 내지 최대 136,689(평균 104,897 ±15,781mIU·h/㎖)였다(표 5). 2K 및 40K 농도의 경우 신규 안정제를 함유하거나 함유하지 않는 rhEPO 제형 간의 Cmax 차이는 통계학적으로 현저하지 않았다(p<0.05). 유의할 것은, 신규 안정제를 함유하는 rhEPO(40K)와 신규 안정제를 함유하지 않는 rhEPO(40K) 사이에서 처리 순서 효과는 통계학적으로 상당하였다.
신규 안정제의 함유 여부와 관계없이 일회 150IU/kg 피하 용량의 rhEPO(2K)의 투여 후에 평균 tmax는 유사하였다(각각 17.4 ±7.3 및 15.4 ±7.5h)(표 4). 유사하게, 신규 안정제의 함유 여부와 관계없이 일회 750IU/kg 피하 용량의 rhEPO(40K)를 투여한 후의 평균 tmax는 각각 16.7 ±6.8 및 16.6 ±4.8h)이었다(표 5). tmax 범위는 2가지 2K rhEPO 제형에 대해 8 내지 30시간이었다. 40,000IU/㎖ rhEPO 농도의 경우, 신규 안정제를 함유한 제형은 tmax 범위가 8 내지 36 시간이고, 신규 안정제를 함유하지 않은 경우는 12 내지 30시간이었다.
그룹 I 및 그룹 II의 피험체의 작은 비율만이 보고된 최종 반감기 값을 보유하지만, 수득한 값은 보존제 함유 및 무함유 일회 150IU/kg 피하 용량의 rhEPO(2K)를 투여한 후의 값과 유사하였다(각각 19.7±12.8 및 20.1±10.4시간). 일회 750IU/kg 피하 용량의 rhEPO(40K)를 투여한 후, 그룹 III 및 그룹 IV의 피험체에서의 최종 반감기 값은 보존제 함유 및 무함유에서 유사하였다(각각 25.7 ±14.9 및 23.8 ±11.8시간).
신규 안정제 함유 및 무함유 일회 150IU/kg 피하 용량의 rhEPO(2,000IU/㎖)를 투여한 후에 평균 ±SD(%CV) 약동학 파라미터
그룹 I 및 II
파라미터 신규 안정제 무함유 rhEPO 신규 안정제 함유 rhEPO 비율a 90% 신뢰 구간
Cmax(mIU/㎖) 226 ±79 (34.5%) 222±128 (57.4%) 0.98 NDb
tmax(시간) 15.4±7.5 (49.0%) 17.4±7.3 (41.8%) 1.13 ND
AUC(0-72) (mIU·h/㎖) 6983±1859 (26.6%) 6642±2488 (37.4%) 0.95 83.5-107c 81.1-105d
a 파라미터 비율, 신규 안정제 함유 rhEPO/신규 안정제 무함유 rhEPO b 측정되지 않음 c 원래의 데이터 d Log 변환 데이타
신규 안정제 함유 및 무함유 일회 750IU/kg 피하 용량의 rhEPO(40,000IU/㎖)의 투여후에 평균 ±SD(%CV) 약동학 파라미터
그룹 III 및 IV
파라미터 신규 안정제 무함유 rhEPO 신규 안정제 함유 rhEPO 비율a 90% 신뢰 구간
Cmax(mIU/㎖) 3065 ±705 (23.0%) 2978±808 (27.1%) 0.97 NDb
tmax(시간) 16.6±4.8 (29.1%) 16.7±6.8 (40.7%) 1.00 ND
AUC(0-168) (mIU·h/㎖) 104,897±15,781 (15.0%) 102,768±21,500 (20.8%) 0.98 91.6-104c 89.8-104d
a 파라미터 비율, 신규 안정제 함유 rhEPO/신규 안정제 무함유 rhEPO b 측정되지 않음 c 원래의 데이터 d Log 변환 데이타
신규 단백질 안정제로서 글리신 및 폴리소르베이트 80을 함유하는 EPREX
Figure 112005018293608-pct00014
제형은 EPREX
Figure 112005018293608-pct00015
에 대해 현재 승인된 모든 표시에 대한 건강 관리자 및 환자를 위한 대체 제형을 제공한다. 신규 안정제를 함유하는 상이한 농도(즉, 2K, 4K, 10K 및 40K)의 EPO 제형은, 상이한 농도(즉, 2K, 4K, 10K 및 40K)의 HSA 함유 EPO 제형과 상호교환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3
건강한 피험체에서 일회 용량의 재조합 사람 에리트로포이에틴의 피하 투여 후에 2종 제형의 약동학, 안전성 및 내성
목표: 인산염 또는 시트레이트로 완충된 2종의 재조합 사람 에리트로포이에틴(에포에틴 알파, rhEPO)의 일회 용량을 피하 투여하여 약동학, 내성 및 안전성을 비교하고, 통증을 유도하는데 있어서 완충제 성분의 중요성을 평가.
환자 및 방법
환자
연령이 18 내지 40세(평균 연령 27세)이고 체중이 62.6 내지 82.2kg(평균 체중 70.1kg)인 18명의 건강한 지원자를 참가시키고, 이 연구를 마쳤다. 이 연구에 참가한 피험체는 혈액학 또는 혈청 화학에 대해 현저하게 비정상적인 실험실 값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뇨 독물학 스크린, HIV 스크린 및 B형 간염 표면 항원이 음성이었다. 피험체는 고혈압(예, 확장혈압 >95mMHg)의 증거가 없고; 1차 혈액학 질병의 병력이 없으며; 현저한 간, 신장, 심혈관, 위장, 비뇨기, 대사 또는 신경학적 질병의 병력; 빈혈 또는 발작 질환의 병력; 포유류 유도형 생성물 또는 사람 혈청 알부민에 대한 알려진 감수성; 과거 2년 동안 알콜 및 약물 남용 병력이 없으며; 카페인을 함유하는 음료를 습관적으로 다량 소비하지 않고; 연구에 참가하기 30일 이내에 어떤 다른 임상적 시험에 참여하거나 수혈 또는 헌혈 경험이 없고; 연구 참가 3개월 이내에 rhEPO에 노출된 적이 없으며; 연구 참가 7일 이내에 병에 걸린 적이 없고; 연구 참가 14일 이내에 연구전 신체 검사 또는 임상적 실험실 평가에서 현저한 비정상을 나타내지 않았다. 모든 피험체에 대해 안정성을 평가하였으며, 약동학 분석용의 모든 혈액 수거물은 계획대로 수거하였다. 모든 연구는 공공 윤리 위원회의 승인과 환자의 동의를 얻어 실시하였다.
연구 과정
이 연구는 건강한 남성 지원자에서의 I기, 단일 센터, 개방 라벨, 무작위, 2-기간 교차 연구였다. 18명의 피험체를 두 처리 순서 그룹(1그룹당 9명의 피험체) 중 한 그룹으로 무작위적으로 나누었다. rhEPO를 상부 대퇴부에 환괴 피하 주사로서 2회의 별도의 투약 기간에 걸쳐 투여하였다. 각 투약 기간 사이에는 14일의 워시아웃 기간을 두었다. 피험체는, 2회의 투약 기간 중 각각의 기간 동안 최소한 투약 12시간 전부터 투약 후 72시간에는 연구 센터에 감금하였다. 투약법은 표 6에 요약되어 있다.
투여법 및 연구 과정
그룹 N 기간 1 워시아웃 기간 기간 2
I 9 인산염 완충제와 일회 150IU/kg 피하 용량의 rhEPO 투여 14일 시트레이트 완충제와 일회 150IU/kg 피하 용량의 rhEPO 투여
II 9 시트레이트 완충제와 일회 150IU/kg 피하 용량의 rhEPO 투여 14일 인산염 완충제와 일회 150IU/kg 피하 용량의 rhEPO 투여
EPO의 2종의 제형을 이 연구에 사용하였다. 에포에틴 알파(EPREX
Figure 112005018293608-pct00016
로 시판됨, 10,000IU/㎖)는 시트레이트 완충제에서 제조하고, 신규 rhEPO(10,000IU/㎖) 제형은 인산염 완충제에서 제조하였다. 2종의 제형은 푸에르토리코의 마나티에 소재하는 오르토 바이올로직스 디비젼 오브 오르토 맥네일 얀센 파마슈티칼스, 인코포레이티드(Ortho Biologics Division of Ortho McNeil Janssen Pharmaceutical, Inc.)가 제조한다.
혈액 샘플링
EPO를 투여하기 전후에 지원자로부터 직접 연속하여 채혈하였다. 헤파린 고정은 사용하지 않았다. 혈청 에리트로포이에틴 농도 측정용 정맥혈 샘플(5㎖)은 투약 전 ∼30, 20 및 10분(3개의 기준 샘플)과, 투약한지 대략 30분과 1, 2, 5, 8, 12, 15, 18, 24, 48 및 72시간 후에 수득하였다. 각 혈청 샘플은 2개의 분액으로 나누었다. 모든 혈청 샘플은 -20℃에서 저장하였다.
혈청 샘플은 드라이아이스 속에 두었다. 금식 임상 실험실 시험(혈액학, 혈청 화학 및 뇨분석학)은 1일째 처음 투약하기 직전, 2일째 오전, 16일째 투약 직전과 17일째 오전에 실시하였다.
생체분석 방법
혈청 에리트로포이에틴 수준에 대한 샘플 분석은 RWJPRI에서 실시하였다. 혈청 에리트로포이에틴 농도를 측정하는데 방사성면역분석법(RIA) 키트 공정(Diagnostic Systems Laboratory[DSL], Webster TX)를 사용하였다. 시판용 RIA는, 1차 항체로서 사람 뇨 에리트로포이에틴에 대한 토끼 폴리클론 항혈청과 추적자로서 125I-표지된 사람 뇨 에리트로포이에틴을 이용하는 이중-항체, 경쟁 방법이다. 표준 및 품질 대조 샘플에서 뇨 에리트로포이에틴을 에포에틴 알파로 대체하여 DSL 키트를 변형시켰다. 분석에 사용된 표준 농도는 7.8, 15.6, 31.25, 50, 62.5, 100 및 125mIU/㎖였다. 허용가능한 정밀도를 제공하는 최저 표준에 대한 평균 백-피트 값으로서 정의된 감수성은 8.6mIU/㎖였으며, 분석 범위는 품질 대조 희석을 통해 2,000mIU/㎖로 연장하였다.
안정성 측정
각 투약 직전(1일 및 16일)과 각 투약 후 6, 24, 48 및 72시간에 바이탈 사인을 기록하였다. 임상 실험실 시험에서 기준선으로부터의 변화와 이상반응의 발생 및 유형을 기준으로 하여 안정성을 결정하였다. 또한, 혈압을 비롯한 바이탈 사인 측정시 연구전과의 변화와 신체 검사 결과를 평가하였다.
내성 측정
주사 부위에서의 내성을 평가하는 시험은 투약일에 각 주사 45분 후에 실시하였다. 2가지 통증 규모로 분류하였다. 단계적 변화 없이 10cm 수평선으로 된 가시적 아날로그 규모(VAS); 및 인접 형체와 5개의 수직으로 놓인 상자로 된 언어로 설명가능한 규모(VDS). VAS 규모의 양 끝점은 "통증 없음" 내지 "내가 상상할 수 있는 최악의 것"이며, VDS 규모는 "통증 없음" 내지 "매우 심한 통증"이었다. 또한, 피험체에게 통증 지속 시간에 대해 물었다.
데이터 분석
투약후 혈청 농도 값은, 투약 전 30, 20 및 10분에 수거된 3개의 샘플로부터 수득한 에리트로포이에틴 수준을 평균내어 측정된 평균 기준선 에리트로포이에틴 농도를 각각의 투약후 값으로부터 감하여 투약전 기준선 에리트로포이에틴 농도에 대해 교정하였다. 투약전 혈청 에리트로포이에틴 농도가 분석에서 정량화 수준보다 낮은 경우, 이는 평균 값의 계산에 포함시키지 않았다. 기준선 에리트로포이에틴 농도에 대해 교정한 혈청 농도 데이터로부터 약동학 파라미터를 측정하였다.
약동학 파라미터는, BIOAVL 소프트웨어 버전 8.0(Scientific Computer Systems, RWJPRI)을 사용하여 디지탈 이큅먼트 코포레이션(Digital Equipment Corporation) VAX 8600 컴퓨터 시스템에서 모델 독립형 방법으로 계산하였다. 다음과 같은 약동학 파라미터를 측정하였다: 피크 혈청 농도(Cmax); 피크 혈청 농도에서의 시간(tmax); 농도-시간 곡선하 면적(AUC), 선형 부등사변형 법칙을 이용하여 계산된 시간 0에서부터 최종 혈액 샘플링 시간까지의 면적(AUC0-72); 및 0.693/제거율 상수로부터 산정된 최종 제거 반감기(t1/2). 제거율 상수는 log 선형 농도-시간 플롯의 말단의 직선 영역에서 연속 데이터점의 선형 회귀로 추정하였다. 3개의 데이터점의 최소값을 회귀에 사용하였다. 측정 (r2)<0.95의 계수를 이용한 이들 회귀에 있어서, 해당 t1/2 값은 기록하지 않았다. 각 처리에 대해 약동학 파라미터의 평균, 표준 편차(SD) 및 변화 계수를 계산하였다. 평균 약동학 파라미터의 비율(인산염/시트레이트)을 계산하였다.
원래의 생체이용성 파라미터와 log-변환시킨 생체이용성 파라미터에 대한 통계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변화 모델의 분석은 종속 변수로서 해당 생체이용성 파라미터(원래의 AUC, Cmax와 log 변환시킨 AUC, Cmax) 중 하나의 데이타와, 예측자로서의 처리 순서 그룹, 순서 그룹내의 피험체, 처리 및 기간으로 인한 효과에 적당하였다. 처리 순서 그룹 효과에 대한 시험은, 오차 한계로서 순서 그룹내의 피험체로 인한 평균 제곱을 사용하여 10% 레벨에서 실시하였다. 기간 및 처리 효과는 잔여 오차 한계를 사용하여 5% 유의 수준에서 시험하였다. 상기 모델로부터의 오차 평균 제곱을 사용하여 피험체내 변화성을 추정하였다. 추정된 피험체내 변화성을 사용하여, 인산염 완충제와 rhEPO 대 시트레이트 완충제와 rhEPO의 평균 생체이용성 파라미터의 비율에 대해 90% 신뢰 구간을 설정하였다.
통계 분석을 3가지 내성 파라미터에서 수행하였다. 통계학적 시험을 실시하기 전에, VAS 스코어 및 통증 지속 값을 정규화시켰다. 모두 3개의 파라미터를 교차 시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변환된 VAS 및 통증 지속값에 대한 교차 분석은 SAS
Figure 112005018293608-pct00017
내의 Proc glm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연구 과정은 투약 기간 사이에 이월 가능성을 제거하기 위해서 14일의 워시아웃 기간을 조건으로 하였다. 따라서, 이월 효과 없이 표준 교차 모델에 준하여 계산하였다. VDS와 관련된 통증 결과는, Koch 등의 문헌에 개시된 교차 시험에 대한 방법에 따라서 윌콕슨-만-화이트니 계수(階數) 총계 시험로 분석하였다. 간단히 요약하면, 이 절차는 시험한 모든 환자에 대해 기간 차이를 등급화하고, 2개의 순서 그룹 사이의 차이에 대해 윌콕슨-만-화이트니 시험을 사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결과
안전성 결과
6건의 임상 이상반응(AE)이 2회의 투약 기간에서 6명의 피험체에 의해 보고되었다. 2건의 AE는 모두 시트레이트 완충된 제형을 투여받은 후에 2명의 피험체(11%)에서 보고되었고, 4건의 AE는 약물의 인산염 완충 제형을 투여받은 후에 4명의 피험체(22%)에서 보고되었다. 시트레이트 완충 제형의 주사 후에 보고된 2건의 AE는 모두 호흡 증상(즉 인두염 및 부비강염)이었다. 인산염 완충된 제형의 주사 후에 보고된 4건의 AE는 근육 경련, 두통, 다리 통증 및 피부염 등이었다. 양 그룹에서 발생한 모든 AE는 경증이었으며, 사실상 일시적인 것이었다.
총 혈청 빌리루빈 농도의 감소는, 2종의 제형을 주사한 날 모든 피험체에서 관찰되었다. 평균 총 빌리루빈이 관찰 2일 동안 투약전 기준선 값의 거의 1/2로 감소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감소 범위는 양 치료 그룹에서 유사하였으며, 평균 총 빌리루빈 수치는 정상 범위 내에 있었다. 2가지 투약전 기준선 값(16일 간격)이 매우 유사하기 때문에, 이러한 감소는 일시적인 것으로 보인다. 다른 간 기능 시험(알칼리 포스파타제, SGOT, SGPT, LDH)에서의 유사한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총 혈청 빌리루빈에서의 예상치 못한 감소를 제외하고는, 약물 투여 후 처음 2일 동안 신체 검사, 임상 실험실 시험, 혈압 및 바이탈 사인 측정에 있어서 임상적으로 현저한 변화는 없었다. 따라서, 2개의 치료 그룹에 대한 안전성 프로파일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내성 결과
시트레이트 완충된 제형을 투여받은 2명의 환자는 각 기간 동안 하나씩 통증 기록을 분실하였다. 모두 16회의 시트레이트 주사의 평균 VAS 값은 34.3±28.6mM인 것과 비교하여, 모두 18회의 인산염 주사의 평균 VAS 값은 21.5±27.5mM이었다(p=0.0692). 인산염 용액 투여 후의 통증 감각은 주사 기간과 무관한 반면, 시트레이트 제형의 투여 후의 통증은 기간 II에서보다 기간 I에서 더욱 심하게 느껴졌다(39.3±31.7mM 대 29.4±26.3mM).
2종의 제형의 VDS 심각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현저하였다(p=0.0339). 13명의 피험체(72%)는 통증이 없거나 경미한 통증을 나타내었고, 5명의 피험체(28%)는 인산염 완충된 제형을 투여한 후에 중간/심한/매우 심한 통증을 나타내었다. 시트레이트 완충된 제형을 투여한 후의 해당 기록은 각각 피험체 8명(44%) 및 10명(56%)이었다. 또한, VDS 통증 감각은 순서가 시트레이트/인산염일 때 약간 더 심하게 느껴졌다.
통증 지속 시간은 인산염 완충된 제형(0.4±0.5분)보다 시트레이트 완충 제형(1.5 ±2.0분)를 투여한 후에 현저히 길어졌다(p=0.0057). 그 차이는 기간 I에서 이미 나타났지만(평균 0.8 대 0.3분), 기간 II, 즉 시트레이트를 투여받은 피험체가 인산염 용액을 이미 경험한 경우 그 차이는 매우 명백해졌다(평균 2.2 대 0.5분). 유의할 것은, 양쪽의 약물 제형군은 기간 I에서 하나의 기록을 분실하였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표준 EPREX
Figure 112005018293608-pct00018
제형(시트레이트 함유)이 완충제로서 인산염을 사용한 제형에서보다 주사 부위에서 더 현저한 통증을 유발한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시트레이트으로 유도된 통증의 감각은, 시험 순서가 인산염/시트레이트과 반대로 시트레이트/인산염인 경우 더욱 강렬하였는데, 이는 기준선 경험이 통증 인식을 변형시킨다는 것을 제시한다. 또한, 통증 지속 시간에 관하여, 2종의 제형 사이의 차이는 상당하였으나(p=0.0057), 이 설정에서 시트레이트 유도된 통증은 순서가 인산염/시트레이트일 때 더욱 길게 느껴졌다.
약동학 결과
시트레이트 또는 인산염에서 완충된 일회 150IU/kg 피하 용량의 rhEPO를 투여한 후에 모두 18명의 피험체에서 평균 혈청 에리트로포이에틴 농도-시간 프로파일(기준선 에리트로포이에틴 수준에 대해 교정되지 않음)이 유사하였다(도 4). 모든 피험체는 정상 생리학적 범위(<8.6 내지 18mIU/㎖)내의 투약전 기준선 에리트로포이에틴 농도를 나타내었다.
투약전 평균 기준선 에리트로포이에틴 농도에 대해 교정된 혈청 데이터로부터 약동학 파라미터를 측정하였다(표 7). 시트레이트 완충제와 rhEPO의 경우 Cmax의 범위는 최저 74mIU/㎖부터 최고 583mIU/㎖(평균 260 ±169mIU/㎖)이고, 인산염 완충제와 rhEPO의 경우는 64mIU/㎖부터 최고 642mIU/㎖(평균 245 ±167mIU/㎖)였다. 각 그룹에서 몇몇 피험체는 비정상적으로 높은 Cmax 값을 나타내었다. 이들 2가지 제형 사이의 Cmax 값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현저한 차이는 없었다(p>0.05). 시트레이트 완충제를 함유한 rhEPO 제형의 경우, 평균 에리트로포이에틴 AUC(0-72시간)는 7,992±3,319mIU·h/㎖으로, 3,215 내지 13,077mIU·h/㎖ 범위였다. 유사하게, 인산염 완충제를 함유한 rhEPO 제형의 경우, 평균 에리트로포이에틴 AUC(0-72시간)는 8,059 ± 4,021mIU·h/㎖으로서, 3,445 내지 17,996mIU·h/㎖ 범위였다(표 7). 2종의 제형 간의 AUC(0-72시간) 차이는 통계학적으로 현저하지 않았다(p>0.05). 평균 tmax는 시트레이트 및 인산염 완충제를 사용한 rhEPO에 대해 유사하였다(각각 14±5 및 17±10h). tmax 범위는 2가지 rhEPO 제형에 대해 유사하였다(8 내지 24시간). 시트레이트과 인산염 완충제를 사용한 rhEPO에 대한 평균 최종 반감기 값은 유사하였다(각각 13.4 ±10.8 및 19.7 ±14.9시간).
시트레이트 및 인산염 완충제와 함께 일회 150IU/kg 피하 용량의 rhEPO를 투여한 후의 평균±SD(%CV) 약동학 파라미터
파라미터 신규한 안정제 무함유 rhEPO 신규한 안정제 함유 rhEPO 비율a 90% 신뢰 구간
Cmax(mIU/㎖) 245 ±167 (68.1%) 260 ±159 (61.0%) 0.94 73.3-115.2b 77.1-111.0c
tmax(시간) 17±10 (57.7%) 14 ±5 (39.4%) 1.21 NDd
AUC(0-72) (mIU·h/㎖) 8.06 ±4.02 (49.9%) 7.99±3.32 (41.5%) 1.01 84.3-117.3b 87.0-112.4c
t1/2(시간) 19.7 ±14.9 (75.7%) 13.4±10.8 (80.5%) 1.47 NDd
a 파라미터 비율, 인산염 완충제 함유 rhEPO/시트레이트 완충제 함유 rhEPO b 원래의 데이터 c Log 변환된 데이터 d 측정되지 않음
참고문헌
1. Koury ST, Bondurat MC, Koury MJ. (1988) Localization of erythropoietin synthesizing cells in murine kidneys by in situ hybridization. Blood 71:524-527.
2. Jacobs K, Shoemaker C, Rudersdorf R, Neill SD, Kaufman RJ, Mufson A, et al. (1985)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genomic and cDNA clones of human erythropoietin. Nature 313:806-810.
3. Lin FK, Suggs S, Lin Ck, Browne JK, Smalling R, Egrie JC, et al. (1985) Cloning and expression of the human erythropoietin gene. Proc Natl Acad Sci USA 82: 7580-7584.
4. Jelkmann W. (1992) Erythropoietin: structure, control of production, and function. Physiol Rev 72:449-489.
5. Egrie JC, Browne JK, Lai P, Lin FK. (1986) Characterization and biological effects of recombinant human erythropoietin.
Immunobiology 172:213-224.
6. Faulds D, Sorkin EM. (1989) Epoetin (Recombinant Human Erythropoietin); A review of its pharmacodynamic and pharmacokinetic properties and therapetic potential in anermia and the stimulation of erythropoiesis Drugs 38:863-899.
7. Markham A, Bryson HM. (1995) Epoetin alfa: A review ofits pharmacodynamic and pharmacokinetic properties and therapeutic use in nonrenal applications Drugs 49:232-254.
8. Breymann C, Bauer C, Major A, et al. (1996) Optimal timing of repeated rh-erythropoietin administration improves its effectiveness in stimulating erythropoiesis in healthy volunteers. Brit J Heamatol 92:295-301.
9. Granolleras C, Leskopf W, Shaldon S, Fourcade J. (1991) Experience of pain after subcutaneous administration of different preparations of recombinant human erythropoietin: a randomized, double-blind crossover study. Clin Nephrol 36:294-298.
10. Frenken LA, Van Lier HJ, Jordans JG, et al, (1993) Identification of the component part in an epoetin alfa preparation that causes pain after subcutaneous inject. Am J Kidney Dis 22:553-556.
11. Halstenson CE, Macres M, Katz SA, et al. (1991) Comparative Pharmacokinetics and pharmacodynamics of epoetin alfa and epoetin beta. Clin Pharmacol Ther 50:702-712.
12. Ateshkadi A, Johnson CA, Oxton LL, Hammond TG, Bohenek WS, Zimmerman SW. (1993) Pharmacokineties of intraperitoneal, intravenous, and subcutaneous recombinant human erythropoietin in patients on continuous ambulatory peritoneal dialysis, Am J Kidney Dis 21:635-642.
13. McMahon FG, Vargas R, Ryan M, et al. (1990). Pharmacokinetics and effects of recombinant human erythropoietin after intravenous and subcutaneous injections in healthy volunteers, Blood 76:1718-1722.
14. Salmonson T, Danielson BG, Wikstrom B. (1990) The pharmacokinetics of recombinant human erythropoietin after intravenous and subcutaneous administration to healthy subjects. Brit J clin Pharmacol 29:709-713.

Claims (9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pH 완충제(a),
    안정화량의 사람 혈청 알부민(b),
    안정화량의 아미노산(c),
    항균량의 크레졸(d) 및
    약제량의 에리트로포이에틴(e)으로 필수적으로 이루어진 에리트로포이에틴의 약제학적 제형.
  45. 제44항에 있어서, pH 완충제가 10mM 내지 30mM 범위의 양으로 존재하는 약제학적 제형.
  46. 제45항에 있어서, pH 완충제가 5 내지 8의 pH를 제공하는 약제학적 제형.
  47. 제46항에 있어서, pH 완충제가 6 내지 7.5의 pH를 제공하는 약제학적 제형.
  48. 제47항에 있어서, pH 완충제가 6.9의 pH를 제공하는 약제학적 제형.
  49. 제44항에 있어서, pH 완충제가 1염기성 인산나트륨/2염기성 인산나트륨, 시트르산나트륨/시트르산 및 아세트산나트륨/아세트산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약제학적 제형.
  50. 제49항에 있어서, pH 완충제가 10mM 내지 30mM 범위의 양으로 존재하는 약제학적 제형.
  51. 제50항에 있어서, pH 완충제가 5 내지 8의 pH를 제공하는 약제학적 제형.
  52. 제51항에 있어서, pH 완충제가 6 내지 7.5의 pH를 제공하는 약제학적 제형.
  53. 제52항에 있어서, pH 완충제가 6.9의 pH를 제공하는 약제학적 제형.
  54. 제44항에 있어서, 크레졸 보존제가 0.2 내지 0.5%w/v 범위의 양으로 존재하는 m-크레졸인 약제학적 제형.
  55. 제54항에 있어서, m-크레졸 보존제가 0.3%w/v로 존재하는 약제학적 제형.
  56. 제44항에 있어서, 에리트로포이에틴의 약제량이 에리트로포이에틴 1000IU 내지 100,000IU 범위의 단위 용량을 제공하도록 제형화되는 약제학적 제형.
  57. 제56항에 있어서, pH 완충제가 1염기성 인산나트륨/2염기성 인산나트륨, 시트르산나트륨/시트르산 및 아세트산나트륨/아세트산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약제학적 제형.
  58. 제57항에 있어서, pH 완충제가 10mM 내지 30mM 범위의 양으로 존재하는 약제학적 제형.
  59. 제58항에 있어서, pH 완충제가 5 내지 8의 pH를 제공하는 약제학적 제형.
  60. 제59항에 있어서, 10000IU/2.5㎖, 25000IU/㎖ 및 40000IU/2㎖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용량의 다용량 바이얼로서 제공되는 약제학적 제형.
  61. 제44항에 있어서, 알부민의 안정화량이 0.25g/ℓ인 약제학적 제형.
  62. 제44항에 있어서, 아미노산이 글리신인 약제학적 제형.
  63. 제62항에 있어서, 글리신의 안정화량이 5g/ℓ 내지 50g/ℓ인 약제학적 제형.
  64. 제63항에 있어서, 아미노산이 0.25g/ℓ 내지 20g/ℓ 범위의 양으로 제공되는 글리신인 약제학적 제형.
  65. 제64항에 있어서, 에리트로포이에틴의 약제량이 에리트로포이에틴 1000IU 내지 100,000IU 범위의 단위 용량을 제공하도록 제형화되는 약제학적 제형.
  66. 제65항에 있어서, 10000IU/2.5㎖, 25000IU/㎖ 및 40000IU/2㎖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용량의 다용량 바이얼로서 제공되는 약제학적 제형.
  67. 제62항에 있어서, 글리신이 5g/ℓ의 양으로 존재하고 알부민의 안정화량이 0.25g/ℓ인 약제학적 제형.
  68. 제67항에 있어서, 에리트로포이에틴의 약제량이 에리트로포이에틴 1000IU 내지 100,000IU 범위의 단위 용량을 제공하도록 제형화되는 약제학적 제형.
  69. 제44항에 있어서, 수성인 약제학적 제형.
  70. pH 완충제(a),
    안정화량의 사람 혈청 알부민(b),
    안정화량의 아미노산(c),
    항균량의 크레졸(d),
    약제량의 에리트로포이에틴(e) 및
    삼투 조절제(f)로 필수적으로 이루어진 에리트로포이에틴의 약제학적 제형.
  71. 제70항에 있어서, pH 완충제가 10mM 내지 30mM 범위의 양으로 존재하는 약제학적 제형.
  72. 제71항에 있어서, pH 완충제가 5 내지 8의 pH를 제공하는 약제학적 제형.
  73. 제72항에 있어서, pH 완충제가 6 내지 7.5의 pH를 제공하는 약제학적 제형.
  74. 제73항에 있어서, pH 완충제가 6.9의 pH를 제공하는 약제학적 제형.
  75. 제70항에 있어서, pH 완충제가 1염기성 인산나트륨/2염기성 인산나트륨, 시트르산나트륨/시트르산 및 아세트산나트륨/아세트산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약제학적 제형.
  76. 제75항에 있어서, pH 완충제가 10mM 내지 30mM 범위의 양으로 존재하는 약제학적 제형.
  77. 제76항에 있어서, pH 완충제가 5 내지 8의 pH를 제공하는 약제학적 제형.
  78. 제77항에 있어서, pH 완충제가 6 내지 7.5의 pH를 제공하는 약제학적 제형.
  79. 제78항에 있어서, pH 완충제가 6.9의 pH를 제공하는 약제학적 제형.
  80. 제70항에 있어서, 크레졸 보존제가 0.2 내지 0.5%w/v 범위의 양으로 존재하는 m-크레졸인 약제학적 제형.
  81. 제80항에 있어서, m-크레졸 보존제가 0.3%w/v인 약제학적 제형.
  82. 제70항에 있어서, 에리트로포이에틴의 약제량이 에리트로포이에틴 1000IU 내지 100,000IU 범위의 단위 용량을 제공하도록 제형화되는 약제학적 제형.
  83. 제82항에 있어서, pH 완충제가 1염기성 인산나트륨/2염기성 인산나트륨, 시트르산나트륨/시트르산 및 아세트산나트륨/아세트산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약제학적 제형.
  84. 제82항에 있어서, pH 완충제가 10mM 내지 30mM 범위의 양으로 존재하는 약제학적 제형.
  85. 제84항에 있어서, pH 완충제가 5 내지 8의 pH를 제공하는 약제학적 제형.
  86. 제85항에 있어서, 10000IU/2.5㎖, 25000IU/㎖ 및 40000IU/2㎖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용량의 다용량 바이얼로서 제공되는 약제학적 제형.
  87. 제70항에 있어서, 알부민의 안정화량이 0.25g/ℓ인 약제학적 제형.
  88. 제70항에 있어서, 아미노산이 글리신인 약제학적 제형.
  89. 제88항에 있어서, 글리신의 안정화량이 5g/ℓ 내지 50g/ℓ인 약제학적 제형.
  90. 제89항에 있어서, 아미노산이 0.25g/ℓ 내지 20g/ℓ로 제공되는 글리신인 약제학적 제형.
  91. 제90항에 있어서, 에리트로포이에틴의 약제량이 에리트로포이에틴 1000IU 내지 100,000IU 범위의 단위 용량을 제공하도록 제형화되는 약제학적 제형.
  92. 제91항에 있어서, 10000IU/2.5㎖, 25000IU/㎖ 및 40000IU/2㎖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용량의 다용량 바이얼로서 제공되는 약제학적 제형.
  93. 제70항에 있어서, 삼투 조절제가 염화나트륨, 만니톨, 글리신, 글루코즈 및 소르비톨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약제학적 제형.
  94. 제88항에 있어서, 글리신이 5g/ℓ의 양으로 존재하고 알부민의 안정화량이 0.25g/ℓ인 약제학적 제형.
  95. 제94항에 있어서, 에리트로포이에틴의 약제량이 에리트로포이에틴 1000IU 내지 100,000IU 범위의 단위 용량을 제공하도록 제형화되는 약제학적 제형.
  96. 제70항에 있어서, 수성인 약제학적 제형.
  97. (a) 에리트로포이에틴 10000IU, 사람 혈청 알부민 6.25mg, 1염기성 인산나트륨 2수화물 2.91mg, 2염기성 인산나트륨 12수화물 11.19mg, 글리신 50.00mg, m-크레졸 7.50mg 및 총량이 2.5㎖로 되도록 하는 양의 물,
    (b) 에리트로포이에틴 25000IU, 사람 혈청 알부민 6.25mg, 1염기성 인산나트륨 2수화물 2.91mg, 2염기성 인산나트륨 12수화물 11.19mg, 글리신 50.00mg, m-크레졸 7.50mg 및 총량이 2.5㎖로 되도록 하는 양의 물 및
    (c) 에리트로포이에틴 40000IU, 사람 혈청 알부민 5.00mg, 1염기성 인산나트륨 2수화물 2.33mg, 2염기성 인산나트륨 12수화물 8.95mg, 글리신 40.00mg, m-크레졸 6.00mg 및 총량이 2.0㎖로 되도록 하는 양의 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에리트로포이에틴의 약제학적 제형.
KR1020017012906A 1999-04-09 2000-04-07 에리트로포이에틴의 약제학적 제형 KR1007407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859699P 1999-04-09 1999-04-09
US60/128,596 1999-04-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6770A KR20020016770A (ko) 2002-03-06
KR100740794B1 true KR100740794B1 (ko) 2007-07-20

Family

ID=22436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2906A KR100740794B1 (ko) 1999-04-09 2000-04-07 에리트로포이에틴의 약제학적 제형

Country Status (27)

Country Link
US (2) US6696056B1 (ko)
EP (1) EP1181036B1 (ko)
JP (1) JP2002541208A (ko)
KR (1) KR100740794B1 (ko)
CN (1) CN1165339C (ko)
AR (1) AR029623A1 (ko)
AT (1) ATE401908T1 (ko)
AU (1) AU775041B2 (ko)
BG (1) BG106046A (ko)
BR (1) BR0010665A (ko)
CA (1) CA2369444C (ko)
CY (1) CY1108418T1 (ko)
DE (1) DE60039598D1 (ko)
DK (1) DK1181036T3 (ko)
ES (1) ES2308978T3 (ko)
HK (1) HK1041445B (ko)
HU (1) HUP0201068A3 (ko)
IL (1) IL145816A0 (ko)
MX (1) MXPA01010208A (ko)
NO (1) NO20014893L (ko)
NZ (1) NZ515380A (ko)
PL (1) PL203797B1 (ko)
PT (1) PT1181036E (ko)
RU (1) RU2225221C2 (ko)
TR (1) TR200103788T2 (ko)
WO (1) WO2000061169A1 (ko)
ZA (1) ZA20010923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6431B1 (ko) 2007-12-07 2010-05-06 주식회사 제이에스마루 혈장크린접착제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04150B1 (en) 1998-10-23 2007-12-04 Amgen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anemia
IL145816A0 (en) * 1999-04-09 2002-07-25 Ortho Mcneil Pharm Inc Pharmaceutical compositions of erythropoietin
US7371787B2 (en) * 2000-04-14 2008-05-13 Viance, Llc Methods of incorporating treatment agents into wood based composite products
BRPI0110914B8 (pt) 2000-05-15 2021-05-25 Hoffmann La Roche 'composição farmacêutica líquida, processo para preparação da mesma e uso de uma composicão farmacêutica'
US6818613B2 (en) 2001-11-07 2004-11-16 Ortho-Mcneil Pharmaceutical, Inc. Aqueous sustained-release formulations of proteins
BRPI0411114B8 (pt) * 2003-06-10 2021-05-25 Lg Chemical Ltd solução aquosa estável de eritropoetina humana, não contendo albumina de soro
DE10333317A1 (de) * 2003-07-22 2005-02-17 Biotecon Therapeutics Gmbh Formulierung für Proteinarzneimittel ohne Zusatz von humanem Serumalbumin (HSA)
CN1852700A (zh) * 2003-09-23 2006-10-25 爱尔康公司 曲安奈德和醋酸阿奈可他注射用制剂
US7141544B2 (en) 2003-10-10 2006-11-28 Baxter International, Inc. Stabilization of pharmaceutical protein formulations with small peptides
DE202004020676U1 (de) * 2004-03-10 2005-11-10 Bioceuticals Arzneimittel Ag Erythropoietin-Flüssigformulierung
US7588745B2 (en) * 2004-04-13 2009-09-15 Si Options, Llc Silicon-containing products
US20050255112A1 (en) * 2004-05-17 2005-11-17 Lee Jong Y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preventing erythropoietin-associated hypertension
US7597884B2 (en) 2004-08-09 2009-10-06 Alios Biopharma, Inc. Hyperglycosylated polypeptide variants and methods of use
CA2576030A1 (en) * 2004-08-09 2006-02-23 Alios Biopharma Inc. Synthetic hyperglycosylated, protease-resistant polypeptide variants, oral formulation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BRPI0611901A2 (pt) 2005-06-14 2012-08-28 Amgen, Inc composição, liofilizado, kit, e, processo para preparar uma composição
CA2618068C (en) 2005-08-05 2016-02-16 Amgen Inc. Stable aqueous protein or antibody pharmaceutical formulations and their preparation
CN101015684B (zh) * 2006-02-10 2011-08-24 华北制药集团新药研究开发有限责任公司 一种重组人红细胞生成素溶液制剂
US20080050749A1 (en) * 2006-08-17 2008-02-28 Ildiko Amann-Zalan Use of bnp-type peptides for the stratification of therapy with erythropoietic stimulating agents
EP3381445B1 (en) 2007-11-15 2023-10-25 Amgen Inc. Aqueous formulation of antibody stablised by antioxidants for parenteral administration
US8883146B2 (en) 2007-11-30 2014-11-11 Abbvie Inc. Protein formulations and methods of making same
CN102232085A (zh) 2008-09-26 2011-11-02 Ambrx公司 修饰的动物促红细胞生成素多肽和其用途
EA201791717A1 (ru) 2012-09-07 2018-03-30 Кохерус Байосайенсис, Инк. Стабильные водные составы адалимумаба
US11229702B1 (en) 2015-10-28 2022-01-25 Coherus Biosciences, Inc. High concentration formulations of adalimumab
US11071782B2 (en) 2016-04-20 2021-07-27 Coherus Biosciences, Inc. Method of filling a container with no headspace
CN114917185B (zh) 2016-10-21 2023-11-14 美国安进公司 药物配制品及其制备方法
JP2020522263A (ja) * 2017-06-06 2020-07-30 キンドレッド バイオサイエンシ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獣医学的使用のためのエリスロポエチンおよびアナログ
CN111150837B (zh) * 2020-02-11 2022-07-12 中国人民解放军陆军军医大学 Epo在抗金黄色葡萄球菌感染药物中的应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06524A (en) * 1984-10-18 1989-02-21 Chugai Seiyaku Kabushiki Kaisha Stable erythropoietin preparation and process for formulating the same
EP0528313A1 (de) * 1991-08-15 1993-02-24 Roche Diagnostics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humanproteinhaltigen, konservierten Arzneimitteln für Infusions- oder Injektionszwecke
EP0909564A1 (en) * 1996-04-26 1999-04-21 Chugai Seiyaku Kabushiki Kaisha Erythropoietin solution preparation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91131A (ja) * 1984-10-09 1986-05-09 Chugai Pharmaceut Co Ltd 医薬品の吸着防止方法および組成物
DK173067B1 (da) * 1986-06-27 1999-12-13 Univ Washington Humant erythropoietin-gen, fremgangsmåde til ekspression deraf i transficerede cellelinier, de transficerede cellelinier sa
DE3729863A1 (de) * 1987-09-05 1989-03-16 Boehringer Mannheim Gmbh Stabilisierte erythropoietin-lyophilisate
GB8822857D0 (en) 1988-09-29 1988-11-02 Patralan Ltd Pharmaceutical formulations
GB9001987D0 (en) * 1990-01-29 1990-03-28 Janssen Pharmaceutica Nv Improved cyclodextrin based erythropietin formulation
US5543575A (en) * 1990-06-20 1996-08-06 Pioneer-Hi-Bred International, Inc. Inbred corn line PHK46
DE4126984A1 (de) * 1991-08-15 1993-02-18 Boehringer Mannheim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humanprotein-enthaltenden, gut vertraeglichen arzneimitteln fuer infusions- oder injektionszwecke
US5661125A (en) 1992-08-06 1997-08-26 Amgen, Inc. Stable and preserved erythropoietin compositions
US5766582A (en) 1994-10-11 1998-06-16 Schering Corporation Stable, aqueous alfa interferon solution formulations
DE19539574A1 (de) * 1995-10-25 1997-04-30 Boehringer Mannheim Gmbh Zubereitungen und Verfahren zur Stabilisierung biologischer Materialien mittels Trocknungsverfahren ohne Einfrieren
TW586933B (en) 1996-06-20 2004-05-11 Chugai Pharmaceutical Co Ltd Compositions for treating liver-complaints using EPO
IL145816A0 (en) * 1999-04-09 2002-07-25 Ortho Mcneil Pharm Inc Pharmaceutical compositions of erythropoieti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06524A (en) * 1984-10-18 1989-02-21 Chugai Seiyaku Kabushiki Kaisha Stable erythropoietin preparation and process for formulating the same
EP0528313A1 (de) * 1991-08-15 1993-02-24 Roche Diagnostics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humanproteinhaltigen, konservierten Arzneimitteln für Infusions- oder Injektionszwecke
EP0909564A1 (en) * 1996-04-26 1999-04-21 Chugai Seiyaku Kabushiki Kaisha Erythropoietin solution preparation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EP 528313 A1.
EP 909564 A1.
US 4806524 A.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6431B1 (ko) 2007-12-07 2010-05-06 주식회사 제이에스마루 혈장크린접착제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4218600A (en) 2000-11-14
EP1181036B1 (en) 2008-07-23
ATE401908T1 (de) 2008-08-15
JP2002541208A (ja) 2002-12-03
NO20014893D0 (no) 2001-10-08
PL203797B1 (pl) 2009-11-30
HK1041445A1 (en) 2002-07-12
US20040248797A1 (en) 2004-12-09
DK1181036T3 (da) 2008-11-24
NO20014893L (no) 2001-11-15
KR20020016770A (ko) 2002-03-06
CN1354669A (zh) 2002-06-19
TR200103788T2 (tr) 2002-05-21
CA2369444A1 (en) 2000-10-19
EP1181036A1 (en) 2002-02-27
WO2000061169A1 (en) 2000-10-19
PT1181036E (pt) 2008-10-03
BG106046A (en) 2002-05-31
HK1041445B (zh) 2009-07-03
US6696056B1 (en) 2004-02-24
HUP0201068A2 (en) 2002-08-28
CY1108418T1 (el) 2014-04-09
NZ515380A (en) 2003-10-31
AU775041B2 (en) 2004-07-15
ZA200109236B (en) 2003-12-08
CA2369444C (en) 2009-08-18
PL351837A1 (en) 2003-06-16
AR029623A1 (es) 2003-07-10
CN1165339C (zh) 2004-09-08
HUP0201068A3 (en) 2002-10-28
BR0010665A (pt) 2004-03-09
IL145816A0 (en) 2002-07-25
MXPA01010208A (es) 2003-07-21
EP1181036A4 (en) 2004-04-21
ES2308978T3 (es) 2008-12-16
RU2225221C2 (ru) 2004-03-10
DE60039598D1 (de) 2008-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0794B1 (ko) 에리트로포이에틴의 약제학적 제형
KR100987311B1 (ko) 아연을 전혀 포함하지 않거나 소량의 아연만을 포함한 개선된 안정성을 가지는 인슐린 제형
US6303126B1 (en) Treatment of fibrosis by HGF
US20030134795A1 (en) Erythropoietin dosing regimen for treating anemia
JP2002510653A (ja) 緩衝剤としてコハク酸を含有する注射可能なigf処方物
US20070203069A1 (en) Grf-containing lyophilize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U2003251284B2 (en) Stable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erythropoietin
EP1536822B1 (en) Stable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erythropoietin
JPH05170664A (ja) 安定なペプチド医薬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