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9389B1 - 도포막의 건조 방법 및 광학 필름 - Google Patents

도포막의 건조 방법 및 광학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9389B1
KR100739389B1 KR1020057016625A KR20057016625A KR100739389B1 KR 100739389 B1 KR100739389 B1 KR 100739389B1 KR 1020057016625 A KR1020057016625 A KR 1020057016625A KR 20057016625 A KR20057016625 A KR 20057016625A KR 100739389 B1 KR100739389 B1 KR 1007393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film
plate
coating
drying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6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0660A (ko
Inventor
마코토 고마츠바라
류우이치 이노우에
미에 오오타
가즈키 츠치모토
세이지 곤도우
도모아키 마스다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110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06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9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93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3/00Machines and apparatus for drying fabrics, fibres, yarns, or other materials in long length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3/10Arrangements for feeding, heating or supporting materials; Controlling movement, tension or position of materia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포막의 건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두께 편차가 적은 도포막을 안정되게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그래서, 주행하는 장척형 지지체 (10) 에 도포액을 도포하여 형성되는 도포막 (11) 의 건조 방법에 있어서, 장척형 지지체 (10) 에 대하여 도포액이 도포된 직후, 용제의 증발 속도를 0.1g/㎡·s 이하로 유지하여 도포막 (11) 을 건조시킨다. 바람직하게는 도포 직후의 도포막 (11) 의 주행로 상에, 도포막 (11) 과의 사이에 일정한 공극을 형성하여 판 (20) 을 배치하고, 도포액의 증발 속도를 규제한다.

Description

도포막의 건조 방법 및 광학 필름{METHOD FOR DRYING COATING FILM AND OPTICAL FILM}
본 발명은 주행하는 장척형 지지체에 도포되는 도포액을 연속적으로 건조시키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그 건조 방법, 그 방법에 의해서 형성되는 광학 기능층을 적층한 구조를 갖는 광학 필름, 그 광학 필름을 갖는 편광판, 및 그 편광판을 구비한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행하는 장척형 지지체에 도포액을 도포하여 형성되는 도포막을 연속적으로 건조시키는 방법으로서, 도포면에 대하여 일 방향으로부터 공조된 바람을 불어넣는 것이 있다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170547호). 또한 이밖에도, 도포 후의 건조 장치에 있어서 열풍을 도포면에 내뿜거나, 원적외선을 조사하는 등의 건조 방법이 있다.
그런데, 최근, 액정 표시 장치 등의 광학 용도용 필름 등의 분야에서, 사용 용도에 따라서는 도포 후의 외관에 엄격한 요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10μm 이하의 박층 도공 (塗工) 이 이루어지는 상품에서는 도포막의 불균일에 의해서 생기는 외관의 불균일이 매우 현저히 나타나기 쉬운 반면, 그러한 외관 불균일을 저감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건조 방법에서는 도공 장치에 있어서 주행하는 장척형 지지체에 도포액을 도포하고 나서, 건조 장치에 있어서 건조시키기 전까지는 장치 주변의 주위 환경 하에 노출되는 구간이 존재하고, 예를 들어 주위 환경으로부터의 불규칙한 속도·방향의 바람 등에 의한 외란 인자의 영향으로 건조 속도에 편차가 생기게 된다. 그 결과, 도포막의 표면 장력에 차이가 생겨 도포액이 유동하여 버리기 때문에, 도포막의 두께에 불균일이 생기고, 이것이 외관 불균일을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두께 편차가 적은 도포막을 안정되게 제조할 수 있는, 도포막의 건조 방법을 제공함과 함께, 그 방법에 의해서 형성되는 광학 기능층을 적층한 구조를 갖는 광학 필름, 그 광학 필름을 갖는 편광판, 및 그 편광판을 구비한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주행하는 장척형 지지체에 도포액을 도포하여 형성된 도포막을 건조시킬 때, 도포 직후의 도포액의 증발 속도 (건조 속도) 를 0.1g/㎡·s 이하로 함으로써 균일한 상태로 도포막을 건조시킬 수 있고, 두께가 균일한 도포막이 형성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주행하는 장척형 지지체에 도포액을 도포하여 형성되는 도포막의 건조 방법에 있어서, 장척형 지지체에 대하여 도포액이 도포된 직후, 용제의 증발 속도를 0.1g/㎡·s 이하로 유지하여 건조를 행하는, 도포막의 건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럼으로써, 균일한 상태로 도포막을 건조시키고, 두께 편차가 적은 도포막을 안정되게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도포막이 형성된 상태의 외관은 양호한 외관으로서 얻어진다.
또한, 증발 속도를 0.1g/㎡·s 이하로 한 건조는 도포액이 도포된 장척형 지지체가 건조 장치에 들어가기 전까지 행해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단, 증발 속도를 0.1g/㎡·s 이하로 한 건조 공정만을 행하고, 별도로 건조 장치를 설치하지 않고, 건조를 종료시키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증발 속도를 0.1g/㎡·s 이하로 하기 위해서, 도포액이 도포된 직후의 장척형 지지체에 평행한 판을, 도포막과의 사이에 공극을 형성하여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럼으로써, 판과 도포막 사이의 공극에 주변 환경으로부터의 바람 등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그 공극을 용제의 증기로 거의 채우고, 증발 속도를 0.1g/㎡·s 이하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의 온도가 도포액의 증기의 이슬점 이상으로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럼으로써, 증발 속도를 0.1g/㎡·s 이하의 범위로 컨트롤 할 수 있음과 함께 증기의 결로 (結露) 를 막아, 안정된 건조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의 장척형 지지체측의 면에 핀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럼으로써, 장척형 지지체의 주행에 수반되는 공기 흐름이 미건조 상태인 도포막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하여 두께가 균일한 도포막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도포액의 점도가 300mPa·s 이하이면, 보다 안정된 건조를 행할 수 있다. 50mPa·s 이하이면 특히 더욱 안정된 건조를 행할 수 있다.
또한, 도포막이 광학 기능을 갖는 광학 기능층으로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럼으로써, 최근 엄격한 외관이 요구되는 광학 용도용 도공물이더라도, 외관 불균일이 적은 도공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이상과 같은 건조 방법에 의해서, 광학 기능층을 적층한 구조를 갖는 광학 필름을 제조함으로써, 외관 불균일이 적은 광학 용도에 적합한 필름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그러한 광학 필름을 적층하여 편광판을 형성함으로써, 외관 불균일이 적은 광학 용도에 적합한 편광판이 얻어진다.
또한, 그 편광판을 사용하여 화상 표시 장치를 제조하면, 외관 불균일이 적은, 고품위의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행하는 장척형 지지체에 도포액을 도포하여 형성되는 도포막의 건조 방법에 있어서, 장척형 지지체의 폭 이상의 판폭을 갖는 판을, 도포액의 도공 장치의 하류측에서의 장척형 지지체의 주행 경로를 따라 배치해 두고, 도공 장치에 의해서 도포막이 형성된 직후의 장척형 지지체를, 도포막을 상기 판의 판면과 소정 간극을 두고 대향시키면서, 주행 경로를 따라 주행시킴으로써, 상기 간극에 있어서 도포막의 적어도 일부를 건조시키는, 도포막의 건조 방법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그럼으로써, 주위 환경으로부터의 바람 등의 영향을 저감하면서 건조를 행할 수 있고, 두께 편차가 적은 도포막을 안정되게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국면, 및 이점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 도면에 의해 보다 명백해진다.
도 1 은 장척형 지지체의 도포막 형성측에 판을 설치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는 장척형 지지체의 도포막 형성측과 비형성측의 쌍방에 판을 설치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은 도포액이 도포된 직후에 장척형 지지체를 둘러싸도록 포위판을 설치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는 도 1 의 구성에 있어서 판에 평판 형상의 핀을 설치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1 의 도포막 두께의 평균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1 의 도포막 두께의 분산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은 실시예 2 및 비교예 2 의 도포막 두께의 평균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은 실시예 2 및 비교예 2 의 도포막 두께의 분산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을 화상 표시 장치의 편광판 등의 제조 프로세스에 적용할 수 있게 구성한 실시형태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장척형 지지체의 도포막 형성측에 판을 설치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장척형 지지체 (10) 는 도포막 형성의 기재가 되는 것으로서, 예를 들 어 편광판의 제조에 있어서는 웨브 형상의 필름이나 시트 등으로 구성된 평탄한 장척 가요성의 면형상 기재이고, 복수의 롤러 (35) 등에 지지된 상태에서 지면 오른쪽 방향으로 거의 일정 속도로 주행하도록 되어 있다. 장척형 지지체 (10) 의 주행 경로에는 장척형 지지체 (10) 의 적어도 일면측 (도 1 에서는 상면측, 다른 도면도 동일) 에 도포액을 도포하는 다이코터 등의 도공 장치 (30) 가 설치되어 있고, 장척형 지지체 (10) 가 도공 장치 (30) 를 주행할 때, 그 상면측에 도포액이 균일한 상태로 도포되어 도포막 (11) 이 형성된다. 도포액은 예를 들어 편광판의 보호 시트나 광학 기능층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예는 후술).
장척형 지지체 (10) 의 주행 경로에 있어서 도공 장치 (30) 의 직후 (제조 프로세스 상의 하류측) 에는 장척형 지지체 (10) 에 도포된 도포막 (11) 과 대향하 도록, 장척형 지지체 (10) 의 주면 (主面)(피도포면) 에 거의 평행한 판 (20) 이 설치되어 있고, 판 (20) 과 도포막 (11) 사이에는 일정한 공극 (G) 이 형성된다. 판 (20) 의 도포막 (11) 과 대향하는 면 (20s) 측은 되도록이면 매끄러운 상태로 마무리되고, 판 (20) 은 장척형 지지체 (10) 의 폭방향 (지면 수직 방향) 에 대해서 도포막 (11) 을 모두 덮는 판폭으로 되어, 장척형 지지체 (10) 의 주행 경로를 따라 배치된다. 또한, 판 (20) 은 장척형 지지체 (10) 에 형성된 도포막 (11) 이 미건조 상태에 있어서 주행 경로 주변 환경으로부터의 바람 등의 영향을 받는 것을 억제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는 것이기 때문에, 판 (20) 과 도포막 (11) 사이의 공극 (G) 은 바람직하게는 10mm 이하가 된다. 그 결과, 판 (20) 과 도포막 (11) 사이의 공극은 용제의 증기로 거의 채워지게 되고, 용제의 증발 속도를 0.1g/ ㎡·s 이하로까지 저하시킬 수 있어, 균일한 상태에서 도포막이 건조되어, 두께가 균일한 도포막이 형성된다.
따라서, 판 (20) 은 도포막 (11) 이 외부의 기류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간극 (G) 내에서의 도포막 (11) 의 용제 증발 환경을,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170547호와 같은 강제 송풍 등이 아니라) 도포막 (11) 으로부터 증발된 용제의 증기압 자체가 자율적으로 또한 균일하게 제어하는 증발 환경 제어판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용제의 증발 속도를 컨트롤하기 위해서, 판 (20) 은 균일한 열전도성을 나타내도록 형성되고, 열원을 포함하는 온도 제어부 (25) 에 의해서 판 (20) 의 온도 (특히 도포면에 대향하는 면 (20s) 의 온도) 가 용제의 이슬점 이상의 온도로 되도록 제어된다. 단, 이 경우에도 용제의 증발 속도가 0.1g/㎡·s 이하가 되도록 온도 조정된다. 그럼으로써, 판 (20) 과 도포막 (11) 사이의 공극 (G) 에 있어서 용제의 증기의 결로를 방지하면서, 증발 속도를 0.1g/㎡·s 이하의 범위 내에서 임의로 조정할 수 있게 된다.
판 (20) 은 예를 들어 금속판이나, 금속층으로 하면 (20s) 을 덮은 판재로 할 수 있고, 온도 제어부 (25) 는 예를 들어 전기적 히터를 열원으로서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판재 (20) 또는 공극 (G) 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 (26) 를 설치하고, 이 온도 센서 (26) 의 온도 검출치를 사용하여 온도 제어부 (25) 의 피드백 제어를 행함으로써, 판 (20) 의 온도를 보다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판 (20) 을 사용한 건조 공정은 도포액의 도포 직후로서, 장척형 지지체 (10) 가 건조 장치 (40) 에 들어갈 때까지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러한 타이밍으로 행해짐으로써, 미건조 상태의 도포액이 건조 장치 (40) 에 들어가기 전까지 주위 환경으로부터의 바람 등에 의한 영향을 양호하게 방지할 수 있다.
그 후, 도포막 (11) 이 형성되어 판 (20) 의 하방을 통과한 장척형 지지체 (10) 는 종래의 건조 장치 (40) 에 들어가, 가열되거나 또는 자외선이 조사되어 도포막 (11) 이 완전히 건조되거나 또는 경화된다. 단, 도공 장치 (30) 의 직후에 설치한 판 (20) 이 온도 조정되어 있는 점에서, 판 (20) 의 하방의 공극 (G) 은 실온보다 높은 온도로 되어 있어, 도포막 (11) 의 건조 가속 작용이 있다. 따라서, 판 (20) 의 작용에 의해서 도포막 (11) 을 완전히 건조시키도록 해도 되고, 그 경우에는 건조 장치 (40) 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또, 장척형 지지체 (10) 가 판 (20) 의 하방을 통과한 후, 건조 장치 (40) 로 별도 건조 처리가 행해지는 경우에는 용제의 증발 속도가 0g/㎡·s 가 되도록 제어되어도 된다. 이 경우, 도포막 (11) 이 형성된 장척형 지지체 (10) 가 주위 환경에 의해서 전혀 건조되지 않는 상태로 건조 장치 (40) 에 안내되므로, 양호하고 균일한 막두께의 도포막이 형성된다. 이에 비하여, 건조 장치 (40) 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에는 장척형 지지체 (10) 가 판 (20) 의 하방을 통과하고 있는 동안에 완전히 건조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용제의 증발 속도는 적어도 0g/㎡·s 보다 높은 값으로 제어된다. 이 경우의 구체적인 증발 속도의 하한치는 주행 방 향에 대한 판 (20) 의 길이나, 장척형 지지체 (10) 의 이동 속도 등에 기초하여 완전한 건조가 가능한 속도로 정해진다.
이상과 같이 하여 불균일이 없는 안정된 도포막 (11) 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사용하는 도포액의 점도가 300mPa·s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포액의 점도를 50mPa·s 이하로 함으로써, 특히 안정된 건조가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도 2 는 도 1 과는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장척형 지지체의 도포막 형성측과 비형성측의 쌍방에 판을 설치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장척형 지지체 (10) 의 주행 경로에 있어서 도공 장치 (30) 의 직후에는 장척형 지지체 (10) 의 도포막 형성측에 도포막 (11) 과 대향하도록, 장척형 지지체 (10) 에 거의 평행한 제 1 판 (20a) 이 설치되어 있고, 또한 장척형 지지체 (10) 의 도포막 비형성측에 장척형 지지체 (10) 와 대향하도록, 장척형 지지체 (10) 에 거의 평행한 제 2 판 (20b) 이 설치된다. 이 경우에도 제 1 판 (20a) 과 도포막 (11) 사이, 및 제 2 판 (20b) 과 장척형 지지체 (10) 사이에는 각각 일정한 공극 (G1, G2) 이 형성된다.
도포막 (11) 과 대향하는 측에 제 1 판 (20a) 이 설치됨으로써, 제 1 판 (20a) 과 도포막 (11) 사이의 공극 (G1) 은 용제의 증기로 거의 채워지게 되고, 용제의 증발 속도를 0.1g/㎡·s 이하로까지 저하시킬 수 있어, 균일한 상태로 도포막이 건조되어, 두께가 균일한 도포막이 형성된다.
또한, 장척형 지지체 (10) 의 도포막 형성측과 비형성측의 쌍방에 판 (20a, 20b) 을 설치함으로써, 주위 환경으로부터의 바람 등의 영향을 더욱 양호하게 방지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용제의 증발 속도를 컨트롤하기 위해서, 각각의 판 (20a, 20b) 은 균일한 열전도성을 나타내도록 형성되고, 열원을 포함하는 온도 제어부 (25a, 25b) 에 의해서 각 판 (20a, 20b) 의 온도 (특히 도포면 또는 지지체 표면에 대향하는 면의 온도) 가 용제의 이슬점 이상의 온도가 되도록 개별적으로 제어된다. 판 (20a) 과 판 (20b) 을 개별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용제의 증발 속도를 컨트롤할 때에 미묘한 조정이 가능해지고, 증발 속도를 0.1g/㎡·s 이하의 안정된 상태를 고정밀도로 실현할 수 있다.
판 (20a, 20b) 의 온도를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경우에는 판 (20a, 20b) 또는 공극 (G1, G2) 의 각각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 (26a, 26b) 를 별개로 설치하여 온도 제어부 (25a, 25b) 의 각각의 피드백 제어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 중의 일방 (예를 들어 도포면에 대향하는 측의 온도 센서 (26a)) 의 온도 검출치를 참조하여 2개의 온도 제어부 (25a, 25b) 의 쌍방의 피드백 제어를 행해도 된다.
다음으로, 도 3 은 상기 기술한 것과는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도포액이 도포된 직후에 장척형 지지체를 둘러싸도록 포위판 (편평한 터널 구조체; 20c) 을 설치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 도 3 은 장척형 지지체 (10) 의 주행 방향에 수직인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고, 장척형 지지체 (10) 는 지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주행한다.
도 3 의 구성에 있어서, 포위판 (20c) 은 장척형 지지체 (10) 의 주행 경로 에 있어서 도공 장치 (30) 의 직후에 배치되고, 도포막 (11) 이 형성된 직후의 장척형 지지체 (10) 는 포위판 (20c) 에 의해서 형성되는 터널 형상의 내부 공간 (21) 에 들어간다. 즉, 포위판 (20c) 은 장척형 지지체 (10) 의 도포막 형성측 및 비형성측 뿐만 아니라, 측방측에도 판이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고, 장척형 지지체 (10) 및 도포막 (11) 이 포위판 (20c) 의 내부 공간 (21) 을 주행하는 동안에는 주위 환경으로부터의 바람 등에 의한 영향을 현저히 저감할 수 있다. 그리고 포위판 (20c) 의 도포막 (11) 과 대향하는 면측에는 도포막 (11) 과 포위판 (20c) 사이에 상기 기술한 일정한 공극 (G1) 이 형성되고, 용제의 증발 속도가 0.1g/㎡·s 이하가 된다.
또한, 용제의 증발 속도를 컨트롤하기 위해서, 포위판 (20c) 은 균일한 열전도성을 나타내도록 형성되고, 열원을 포함하는 온도 제어부 (25) 에 의해서 포위판 (20c) 의 온도 (특히 내면측의 온도) 가 용제의 이슬점 이상의 온도로 되도록 제어된다. 그럼으로써, 포위판 (20c) 과 도포막 (11) 사이의 공극 (G1) 이나 포위판 (20c) 의 내부 공간 (21) 에 있어서 용제의 증기의 결로를 방지하면서, 증발 속도를 0.1g/㎡·s 이하의 범위 내에서 임의로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4 는 도 1 의 구성에 있어서 판 (20) 에 평판 형상의 복수의 핀 (22a∼22d) 을 설치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핀 (22a∼22d) 은 판 (20) 의 도포막 (11) 에 대향하는 면에 대하여, 장척형 지지체 (10) 의 주행로 상을 횡단하도록 매달려 설치된다. 또한 핀 (22a∼22d) 의 하단부가 도포막 (11) 과 접촉하지 않도록, 핀 (22a∼22d) 의 하단부와 도포막 (11) 사이에 일정한 간극 (G) 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판 (20) 의 도포막 (11) 과 대향하는 면에 핀 (22a∼22d) 이 설치됨으로써, 도포액이 도포된 장척형 지지체 (10) 의 주행에 수반되어 발생하는 불규칙한 기류 (8) 가 용제의 증발 속도를 불균일하게 하는 영향을 저감할 수 있다. 즉, 주행 방향을 향하여 발생하는 기류 (8) 는 핀 (22a) 에 의해서 판 (20) 과 도포막 (11) 사이의 공극 공간 (G) 으로 침입하는 것이 방지되어, 기류 (8) 의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된 건조를 행할 수 있다. 또한, 판 (20) 과 도포막 (11) 사이의 공극 공간 (G) 내에서도 기류가 발생하는 것이 상정되지만, 그것들은 핀 (22b, 22c) 에 의해서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이 방지되어, 안정된 건조를 행할 수 있다. 또한, 핀 (22a∼22d) 을 설치함으로써, 판 (20) 과 도포막 (11) 사이의 공극 공간 (G) 이, 주위 환경으로부터의 영향을 받는 것을 양호하게 저감할 수 있다.
상기 핀 (22a∼22d) 은 장척형 지지체 (10) 의 주행 방향에 관해서 등간격으로 배치해도 되고, 판 (20) 의 단부 부근에서의 배치 간격과 판 (20) 의 중앙부 부근에서의 배치 간격을 상이하게 해도 된다. 즉, 이들 단부 부근 (특히 도면의 좌측에 상당하는 입구 부근) 에서는 도포막 (11) 을 갖는 장척형 지지체 (10) 의 각 부가 판 (20) 의 하방 공간으로 들어갈 때에 주위의 공기를 말아 끌어들이기 쉽지만, 단부 부근에서는 비교적 짧은 피치로 핀을 배열함으로써 기류의 말아 끌어들임 방지 작용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핀 (22a∼22d) 중 단부측의 핀 (20a, 20d) 은 판 (20) 의 단면 (20e) 의 위치와 정합시켜 설치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럼으로써, 기류 (8) 의 침입을 판 (20) 의 단부에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 의 구성과 마찬가지로, 용제의 증발 속도를 컨트롤하기 위해서, 판 (20) 은 균일한 열전도성을 나타내도록 형성되고, 열원을 포함하는 온도 제어부 (25) 에 의해서 판 (20) 의 온도 (특히 도포면에 대향하는 면의 온도) 가 용제의 이슬점 이상의 온도로 되도록 제어된다. 그럼으로써, 판 (20) 과 도포막 (11) 과 각 핀 (22a∼22d) 사이의 공극 공간 (G) 에 있어서 용제의 증기의 결로를 방지하면서, 증발 속도를 0.1g/㎡·s 이하의 범위 내에서 임의로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각 핀 (22a∼22d) 에 의해서 구획되는 부분 공극 공간마다 판 (20) 의 온도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그 경우에는 도포액의 건조 상태를 보다 고도로 조정할 수 있다. 이러한 분할 제어의 경우에는 온도 센서 (26) 도 각 부분 공간 (분할 공간) 마다 설치하여, 존별로 온도를 피드백 제어하면 특히 온도 조정 기능이 향상된다. 또한, 핀 대신에 판 (20) 의 하면을 파형으로 형성해도 되고, 이 경우에는 각각이 장척형 지지체 (10) 의 주행 방향에 거의 직각인 방향으로 신장하는 복수의 물결 구조를 장척형 지지체 (10) 의 주행 방향으로 평행 배열시킨 것으로 하면 된다. 즉, 도 4 와 같은 핀의 배열 형성이 바람직한 태양이기는 하지만, 일반적으로, 장척형 지지체 (10) 의 주행 방향에 거의 직각인 방향으로 신장된 복수의 볼록 구조를 판 (20) 의 하면에 거의 평행하게 배열함으로써, 기류의 말아 끌어들임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도포·건조 공정에 의해, 상기 도포막 (11) 을 예를 들어 광학 기능을 갖는 광학 기능층으로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화상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광학 필름이나 편광판을, 상기 광학 기능층이 적층된 구조로서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기술한 건조 공정은 광학 필름이나 편광판에 적층되는 광학 기능층을 형성하는 데에 있어서 특히 유익한 것이 된다.
편광판은 예를 들어, 2색성 물질이 함유된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등으로 이루어지는 편광자의 한 면 또는 양면에, 보호 시트나 그 밖의 광학 필름을 형성한 구조로서 구성된다.
편광자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각종의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부분 포르말화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계 부분 비누화 필름 등의 친수성 고분자 필름에 요오드나 2색성 염료 등의 2색성 물질을 흡착시켜 1축 연신한 것, 폴리비닐알코올의 탈수 처리물이나 폴리염화비닐의 탈염산 처리물 등 폴리엔계 배합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과 요오드 등의 2색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편광자가 바람직하다.
편광자의 한 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는 보호 시트를,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도포막 (11) 으로서 형성하는 경우, 그 재료로서는 투명성, 기계적 강도, 열안정성, 수분 차폐성, 등방성 등이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나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폴리머, 디아세틸셀룰로오스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폴리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계 폴리머, 폴리스티렌이나 아크릴로니트릴·스 티렌 공중합체 (AS 수지) 등의 스티렌계 폴리머,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머를 들 수 있다. 또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시클로계 내지는 노르보르넨 구조를 갖는 폴리올레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와 같은 폴리올레핀계 폴리머, 염화비닐계 폴리머, 나일론이나 방향족 폴리아미드 등의 아미드계 폴리머, 이미드계 폴리머, 술폰계 폴리머, 폴리에테르술폰계 폴리머,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계 폴리머, 폴리페닐렌술피드계 폴리머, 비닐알코올계 폴리머, 염화비닐리덴계 폴리머, 비닐부티랄계 폴리머, 알릴레이트계 폴리머, 폴리옥시메틸렌계 폴리머, 에폭시계 폴리머, 또는 상기 폴리머의 블렌드물 등도 보호 시트를 형성하는 폴리머의 예로서 들 수 있다.
또한, 보호 시트는 아크릴계, 우레탄계, 아크릴우레탄계, 에폭시계, 실리콘계 등의 열경화형, 자외선 경화형의 수지의 경화층으로서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열경화 작용 또는 자외선 경화 작용을 나타내는 도포액을 도공 장치 (30) 에 의해서 장척형 지지체 (편광자; 10) 에 도포한 직후, 건조 장치 (40) 에 들어가기 전까지, 상기 기술한 건조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불균일이 없는 안정된 경화층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이상과 같은 편광판은 실제 사용시에 각종 광학 기능층을 적층하여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기술한 건조 방법은 광학 기능층을 적층 형성할 때에도 사용할 수 있다.
그 광학 기능층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보호 시트의 편광자를 형성하지 않은 면에 대하여, 하드 코트 처리나 반사 방지 처리, 스티킹 방지나, 확산 내지 안티글레어를 목적으로 한 표면 처리를 실시하거나, 시각 보상 등을 목적으로 한 배향 액정층을 적층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반사판이나 반투과판, 위상차판 (1/2 이나 1/4 등의 파장판 (λ 판) 포함), 시각 보상층 등의 화상 표시 장치의 형성에 사용되는 광학 기능층을 1층 또는 2층 이상 적층한 것을 들 수 있다. 특히, 편광판에 반사판 또는 반투과 반사판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반사형 편광판 또는 반투과형 편광판, 위상차판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타원 편광판 또는 원 편광판, 시각 보상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광시야각 편광판, 또는 휘도 향상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편광판이 바람직하다.
시각 보상층은 화상 표시 장치의 화면을, 화면에 수직이 아니게 약간 경사진 방향에서 본 경우라도, 화상이 비교적 선명하게 보이도록 시야각을 확대하기 위한 광학 기능층이다. 이러한 시각 보상층이 적층된 광시야각 편광판으로서는 예를 들어 위상차판, 액정 폴리머 등의 배향 필름이나 투명 기재 상에 액정 폴리머 등의 배향층을 지지한 것 등으로 이루어진다. 통상의 위상차판은 그 면방향으로 1축 연신된 복굴절을 갖는 폴리머 필름이 사용되는 데 비하여, 시각 보상 필름으로서 사용되는 위상차판에는 면방향으로 2축으로 연신된 복굴절을 갖는 폴리머 필름이나, 면방향으로 1축으로 연신되고, 두께 방향으로도 연신된, 두께 방향의 굴절률을 제어한 복굴절을 갖는 폴리머나 경사 배향 필름과 같은 2방향 연신 필름 등이 사용된다. 경사 배향 필름으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머 필름에 열수축 필름을 접착하여 가열에 의한 그 수축력의 작용 하에 폴리머 필름을 연신 처리 또는/및 수축 처리한 것이나, 액정 폴리머를 경사 배향시킨 것 등을 들 수 있다. 위상차판의 소재 원료 폴리머는 액정 셀에 의한 위상차에 기초하는 시인각의 변화에 따른 착색 등의 방지나 양호한 시인성의 시야각 확대 등을 목적으로 한 적당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양호한 시인성의 넓은 시야각을 달성하는 점 등에 의해, 액정 폴리머의 배향층, 특히 디스코틱 액정 폴리머의 경사 배향층으로 이루어지는 광학적 이방성층을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으로 지지한 광학 보상 위상차판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이 종류의 광학 보상 기능을 나타내는 시각 보상층의 형성에는 상기 건조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척형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에 액정성 디스코틱 화합물을 함유하는 도포액을 도포하고, 그 도포막을 건조시킬 때에, 상기 기술한 건조 방법을 적용할 수 있고, 그럼으로써 외관 불균일이 적은 위상차판을 얻을 수 있다.
휘도 향상층이 적층된 편광판은 통상 액정 셀의 이면측 사이드에 설치되어 사용된다. 휘도 향상층은 액정 표시 장치 등의 화상 표시 장치의 백라이트나 이면측으로부터의 반사 등에 의해 자연광이 입사하면 소정 편광축의 직선 편광 또는 소정 방향의 원 편광을 반사하고, 다른 빛은 투과하는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휘도 향상층을 적층한 편광판은 백라이트 등의 광원으로부터의 빛을 입사시켜 소정 편광 상태의 투과광을 얻음과 함께, 상기 소정 편광 상태 이외의 빛을 투과시키지 않고 반사시킨다. 이러한 휘도 향상층의 필름면에서 반사된 빛을 다시 그 뒤쪽에 형성된 반사층 등을 통해 반전시켜 휘도 향상층에 재입사시키고, 그 일부 또는 전부를 소정 편광 상태의 빛으로서 투과시켜 휘도 향상층을 투과하는 빛의 증량을 도모함과 함께, 편광자에 흡수시키기 어려운 편광을 공급하여, 화상 표시에 이용할 수 있는 광량의 증대를 꾀함으로써 휘도를 향상시키는 것이다. 즉, 휘도 향상층 (휘도 향상 필름) 을 사용하지 않고, 백라이트 등으로 액정 셀의 이면측으로부터 편광자를 통해서 빛을 입사시킨 경우에는 편광자의 편광축에 일치하지 않는 편광 방향을 갖는 빛은 거의 편광자에 흡수되어, 편광자를 투과하여 오지 않는다. 즉, 사용한 편광자의 특성에 따라 달라지기도 하지만, 대략 50% 의 빛이 편광자에 흡수되고, 그 만큼, 화상 표시에 이용할 수 있는 광량이 감소하여 화상이 어두워진다. 휘도 향상층은 편광자에 흡수되는 편광 방향을 갖는 빛을 편광자에 입사시키지 않고, 휘도 향상층에서 일단 반사시키고, 다시 그 뒤쪽에 형성된 반사층 등을 통해 반전시켜 휘도 향상층에 재입사시키는 것을 반복하고, 이 양자 사이에서 반사, 반전하고 있는 빛의 편광 방향이 편광자를 통과할 수 있는 편광 방향으로 된 편광만을 투과시켜 편광자에 공급하므로, 백라이트 등의 빛을 효율적으로 화상 표시에 사용할 수 있어, 화면을 밝게 할 수 있다.
또한, 휘도 향상층과 반사층 등과의 사이에 확산판을 설치할 수도 있다. 휘도 향상층에 의해서 반사한 편광 상태의 빛은 반사층 등을 향하지만, 설치된 확산판은 통과하는 빛을 균일하게 확산함과 동시에 편광 상태를 해소하여 비편광 상태로 한다. 즉 원래의 자연광 상태로 되돌린다. 이 비편광 상태 즉 자연광 상태의 빛이 반사층 등을 향하고, 반사층 등을 통해 반사되어, 확산판을 다시 통과하여 휘도 향상층에 재입사하는 것을 반복한다. 원래의 자연광 상태로 되돌리는 확산판을 설치함으로써, 표시 화면의 밝기를 유지하면서, 동시에 표시 화면의 밝기의 불균일을 적게 하여 균일하고 밝은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원래의 자연광 상태로 되돌리는 확산판을 설치함으로써, 초회의 입사광은 반사의 반복 횟수가 알맞게 증가하여, 확산판의 확산 기능과 더불어 균일하고 밝은 표시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광학적 기능을 나타내는 휘도 향상층으로서는 예를 들어 콜레스테릭 액정 폴리머의 배향 필름이나 그 배향 액정층을 필름 기재 상에 지지한 것과 같이, 좌선성 또는 우선성 회전으로 원 편광된 빛 중 어느 일방을 반사하고 다른 빛은 투과하는 특성을 나타내는 것 등의 적당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종류의 휘도 향상층의 형성에도 상기 건조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척형의 필름 기재 상에 배향 액정층을 형성하기 위한 도포액을 도포하고, 그 도포막을 건조시킬 때에, 상기 기술한 건조 방법을 적용할 수 있고, 그럼으로써 외관 불균일이 적은 휘도 향상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휘도 향상층으로서, 예를 들어 유전체의 다층 박막이나 굴절률 이방성이 상이한 박막 필름의 다층 적층체와 같이, 소정 편광축의 직선 편광을 투과하고 다른 빛은 반사하는 특성을 나타내는 것 등도 사용되고, 이 종류의 휘도 향상층으로서는 그 투과광을 그대로 편광판에 편광축을 일정하게 정렬시켜 입사시킴으로써, 편광판에 의한 흡수 손실을 억제하면서, 효율적으로 투과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 종류의 휘도 향상층이, 상기 기술한 건조 방법에 의해서 형성된 광학 기능층에 적층되어, 다층 구조의 편광판이 형성되어도 된다.
한편, 콜레스테릭 액정층과 같이 원 편광을 투과하는 타입의 휘도 향상층에 서는 그대로 편광자에 입사시킬 수도 있지만, 흡수 손실을 억제하는 점에서 그 원 편광을 위상차판을 통해 직선 편광화하여 편광판에 입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그 위상차판으로서 1/4 파장판을 사용함으로써, 원 편광을 직선 편광으로 변환할 수 있다.
가시광 영역 등의 넓은 파장 범위에서 1/4 파장판으로서 기능하는 위상차판은 예를 들어 파장 550nm의 단색광에 대하여 1/4 파장판으로서 기능하는 위상차층과 다른 위상차 특성을 나타내는 위상차층, 예를 들어 1/2 파장판으로서 기능하는 위상차층을 중첩하는 방식 등에 의해 얻을 수 있다. 따라서, 편광판과 휘도 향상층 사이에 배치하는 위상차판은 1층 또는 2층 이상의 위상차층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위상차층에 대해서도, 도포액을 도포함으로써 도포막을 형성한 후, 그 도포막을 건조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어, 외관 불균일이 적은 위상차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종 광학 기능층을 형성할 때, 모재가 되는 장척형 지지체 (필름 등) 에 도포액을 도포하여 도포막을 형성하고, 그 도포막을 상기 기술한 건조 방법에 의해서 건조시킴으로써, 불균일이 없는 광학 기능층이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광학 기능층이 광학 필름에 적층됨으로써, 불균일이 없는 고품질인 광학 필름이 얻어진다. 또한, 이 광학 필름이 편광판에 적층됨으로써, 불균일이 없는 고품질의 편광판이 얻어진다.
또한, 편광판은 편광판과 2층 또는 3층 이상의 광학 기능층을 적층한 것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따라서, 반사형 편광판이나 반투과형 편광판과 위상차판을 조합한 반사형 타원 편광판이나 반투과형 타원 편광판 등이어도 된다. 또, 광학 필름이나 편광판에는 상기 기술한 건조 방법에 의해서 형성되는 광학 기능층이 적어도 1층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그래서, 다층 구조를 갖는 광학 필름이나 편광판에 있어서, 적어도 1층이 상기 기술한 건조 방법에 의해서 형성되고, 다른 층이 종래의 수법에 의해서 형성된 편광판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광학 기능층을 보호 시트에 적층하는 경우, 그 적층하는 타이밍은 보호 시트를 편광자에 접합하기 전일 수도 있고, 접합한 후일 수도 있다. 보호 시트에 대하여 도포액을 도포함으로써 광학 기능층을 적층하는 경우에는 보호 시트 단독 또는 편광자와 보호 시트의 적층체를 장척형 지지체 (10) 로 하고, 이 장척형 지지체 (10) 에 대하여 도공 장치 (30) 를 이용하여 광학 기능을 갖는 도포액을 도포한 직후, 그 도포막이 건조 장치 (40) 에 들어가기 전까지, 상기 기술한 건조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그리고 그 건조 방법에 의해서, 안정된 건조를 행할 수 있어, 불균일이 없는 광학 기능층이 형성되게 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광학 기능층을 갖는 광학 필름을, 편광판에 적층하는 경우, 광학 필름과 편광판을 별개로 생성하여, 액정 표시 장치 등의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프로세스로 이들을 서로 접합함으로써 적층하는 방식으로도 형성할 수 있지만, 미리 편광판에 대하여 광학 필름을 적층한 것은 품질의 안정성이나 조립 작업 등이 우수하여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공정을 효율화시킨다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편광판은 액정 표시 장치의 형성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편광판을 액정 셀의 한 면 또는 양면에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반사형이나 반투과형, 또는 투과·반사 양용형의 액정 표시 장치에 사용할 수 있다. 액정 셀 기판은 플라스틱 기판, 유리 기판의 어느 것이나 된다. 또한 액정 표시 장치를 형성하는 액정 셀은 임의의 것으로서, 예를 들어 박형 트랜지스터형으로 대표되는 액티브매트릭스 구동형의 것, 트위스트 네마틱형이나 수퍼 트위스트 네마틱형으로 대표되는 단순 매트릭스 구동형의 것 등, 적당한 타입의 액정 셀을 사용한 것이어도 된다. 그리고 상기 건조 방법에 의해 형성된 광학 기능층을 적층한 구조를 갖는 편광판이, 액정 표시 장치에 사용됨으로써,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불균일이 없는 고품질의 화상 표시가 실현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편광판은 액정 표시 장치에 한정되지 않고, 유기 EL 표시 장치나 플라즈마 표시 장치 등의 화상 표시 장치에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화상 표시 장치에, 상기 기술한 건조 방법에 의해서 형성되는 광학 기능층을 적층한 편광판을 사용함으로써, 외관상 불균일이 없는 화상 표시 장치를 실현할 수 있음과 함께, 그러한 화상 표시 장치를 안정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불균일이 없는 고품질의 화상 표시가 실현된다.
이하에, 실시예 및 비교예를 나타내면서,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다이코터를 이용하여 PET 필름 (두께 75μm) 상에, 자외선 경화형의 액정 모 노머를 유기 용제 (시클로펜탄온) 로 고형분 30% 로 희석한 점도 6mPa·s (측정 장치: Haake 사 제조 레오미터 RS-1) 의 도포액을, 건조 후의 두께로 4.0μm 가 되도록 도포하고, 이 도포막을, 도 1 과 같이, 도포막과의 사이에 일정한 공극 (G) 을 형성한 판 (20) 이 배치된 존에 통과시킨 후, 건조 장치 (40) 를 이용하여 70℃ 의 열풍으로 건조시킨 후, 자외선 조사 (적산 광량 300mJ/㎠) 에 의해 경화시킴으로써, 광학 기능층을 갖는 시트를 얻었다. 이 때, 판 (20) 이 배치된 존에서의 도포액의 증발 속도를, 발생하는 증기의 가스 농도 분포와 풍량 (풍속) 에 기초하여 측정하면, 0.03g/㎡·s 이었다.
여기서 뱃치식의 건조 방식에 있어서, 증발 속도와 발생하는 증기의 가스 농도 분포 사이에 상관 관계가 있는 것은 발명자들에 의해서 확인되어 있다. 뱃치식으로 전자 천칭 상에 도포액을 올리고, 가스 농도와 풍속을 감시하면서 경시적인 중량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가스 농도 및 풍속과, 건조 속도와의 관계 (검량선) 를 미리 산출해 두고, 본 실시예에서는 이 관계를 이용하여 증발 속도를 산출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판 (20) 에 있어서의 기재의 흐름 방향 중앙 부분으로서, 또한 기재의 폭방향 중앙 부분에 구멍을 뚫어, 그 구멍에, 가스 농도 측정 장치 (요코가와 전기사 제조 포터블 VOC 모니터) 및 풍속 측정 장치 (닛폰 카노맥스사 제조 아네모 마스터) 의 각 센서를 배치하여 가스 농도 및 풍속을 측정하고, 상기 방법에 의해서 미리 구해 둔 관계로부터 상기 증발 속도 0.03g/㎡·s 가 구해졌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 풍향은 기재 진행 방향과 동일한 방향 (순방향) 으로 하고, 측정된 풍속은 0.1m/s 이었다.
비교예 1
실시예 1 에 있어서, 판 (20) 을 제거한 것 이외에는 상기와 같은 조건으로 도포막을 형성시켰다. 이 때, 판 (20) 을 제거한 부분에 있어서의 도포액의 증발 속도를 상기와 동일하게 측정하면, 0.12g/㎡·s 이었다.
또, 본 비교예에 있어서는 가스 농도 측정 장치 및 풍속 측정 장치의 각 센서가 실시예 1 의 경우와 같은 위치가 되도록 설치되고, 도포막 표면으로부터 5mm 의 위치에 설치하였다. 그리고 이 때의 풍속을 확인하면, 실시예 1 과 동일하였다.
평가 1
도 5 에 실시예 1 및 비교예 1 의 도포막 두께의 평균치를, 도 6 에 도포막 두께의 분산을 나타낸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포막의 평균치는 실시예 1 과 비교예 1 에서 다르지 않지만,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포막의 분산에 관해서는 실시예 1 이 비교예 1 보다 작고, 두께 편차가 작은 광학 기능층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 판명되었다. 따라서, 도포액의 도포 직후, 그 증발 속도가 0.1g/㎡·s 이하로 유지된 상태에서 건조가 행해짐으로써, 그보다 증발 속도가 빠른 경우와 비교하면, 두께 편차가 작은 광학 기능층이 형성되게 된다.
또한, 두께 분산이 0.03μm 이하가 되면, 필름의 외관 불균일이 눈에 띄지 않게 되므로, 실시예 1 과 같이 0.1g/㎡·s 이하의 증발 속도로 건조시킴으로써 양호한 광학 필름을 얻을 수 있다.
실시예 2
다이코터를 이용하여 TAC 필름 (두께 85μm) 상에, 열경화형의 수지를 유기 용제 (MIBK (메틸이소부틸케톤)) 로 고형분 10% 로 희석한 도포액 (점도 250mPa·s) 을, 건조 후의 두께로 3.0μm 가 되도록 도포하고, 이 도포막을, 도 1 과 같이, 도포막과의 사이에 일정한 공극 (G) 을 형성한 판 (20) 이 배치된 존에 통과시킨 후, 건조 장치 (40) 를 이용하여 100℃ 의 열풍으로 건조시켜, 광학 기능층을 갖는 시트를 얻었다. 이 때, 판 (20) 이 배치된 존에서의 도포액의 증발 속도를, 발생하는 증기의 가스 농도 분포와 풍량 (풍속) 에 기초하여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측정하면, 0.06g/㎡·s 이었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도포액의 점도를 측정한 장치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고, 또한 이 때의 풍속을 확인하면 실시예 1 과 동일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2 에 있어서, 판 (20) 을 제거한 것 이외에는 상기와 같은 조건으로 도포막을 형성시켰다. 이 때, 판 (20) 을 제거한 부분에 있어서의 도포액의 증발 속도를, 상기와 동일하게 측정하면 0.15g/㎡·s 이었다.
또, 본 비교예에 있어서도, 가스 농도 측정 장치 및 풍속 측정 장치의 각 센서가 실시예 2 의 경우와 같은 위치가 되도록 설치하였다. 그리고 이 때의 풍속을 확인하면 0.1m/s 이었다.
평가 2
도 7 에 실시예 2 및 비교예 2 의 도포막 두께의 평균치를, 도 8 에 도포막 두께의 분산을 나타낸다.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포막의 평균치는 실시 예 2 와 비교예 2 에서 다르지 않지만,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포막의 분산에 관해서는 실시예 2 가 비교예 2 보다 작고, 두께 편차가 작은 광학 기능층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 판명되었다. 따라서, 도포액의 도포 직후, 그 증발 속도가 0.1g/㎡·s 이하로 유지된 상태에서 건조가 행해짐으로써, 그보다 증발 속도가 빠른 경우와 비교하면, 두께 편차가 작은 광학 기능층이 형성되게 된다. 또한, 실시예 2 에서도 두께 분산이 0.03μm 이하로, 외관 불균일이 눈에 띄지 않는 양호한 광학 필름으로 되어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은 상세히 설명되었는데, 상기 설명은 모든 국면에 있어서 예시이고,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되지 않은 무수한 변형예가,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상정될 수 있다.

Claims (14)

  1. 주행하는 장척형 지지체에 도포액을 도포하여 형성되는 도포막의 건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장척형 지지체에 대하여 상기 도포액이 도포된 직후, 상기 도포막과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여 배치되는 판에 의해, 용제의 증발 속도를 0.1g/㎡·s 이하로 유지하여 건조를 행하는, 도포막의 건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액이 도포된 상기 장척형 지지체가 건조 장치에 들어가기 전까지 상기 건조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막의 건조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액이 도포된 직후의 상기 장척형 지지체에 평행한 판이 상기 도포막과의 사이에 공극을 형성하여 배치되고, 상기 도포막이 당해 공극을 주행하는 동안에 상기 건조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막의 건조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판의 온도가 상기 도포액의 증기의 이슬점 이상으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막의 건조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판의 상기 장척형 지지체측의 면에 핀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막의 건조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막이 광학 기능을 갖는 광학 기능층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막의 건조 방법.
  7. 제 6 항에 기재된 도포막의 건조 방법에 의해서 형성되는 상기 광학 기능층을 적층한 구조를 갖는 광학 필름.
  8. 제 7 항에 기재된 광학 필름을 갖는 편광판.
  9. 제 8 항에 기재된 편광판을 구비한 화상 표시 장치.
  10. 주행하는 장척형 지지체에 도포액을 도포하여 형성되는 도포막의 건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장척형 지지체의 폭 이상의 판폭을 갖는 판을, 상기 도포액의 도공 장치의 하류측에서의 상기 장척형 지지체의 주행 경로를 따라 배치해 두고,
    상기 도공 장치에 의해서 도포막이 형성된 직후의 상기 장척형 지지체를, 상기 도포막을 상기 판의 판면과 소정 간극을 두고 대향시키면서, 상기 주행 경로를 따라 주행시킴으로써, 상기 간극에 있어서 상기 도포막의 전체 또는 일부를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막의 건조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판이 제 1 판으로서 설치됨과 함께, 상기 장척형 지지체의 양면 중 상기 도포막이 존재하는 측과는 반대의 면에 간격을 두고 대향하는 제 2 판이 상기 제 1 판과 평행하게 설치되고,
    상기 도포막이 형성된 직후의 장척형 지지체를, 상기 제 1 판과 제 2 판의 간극을 통해 주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막의 건조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장척형 지지체의 주행 방향에 직각인 방향으로 신장된 복수의 볼록 구조를, 상기 주행 방향을 따라 상기 판의 하면에 평행하게 배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막의 건조 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판은 상기 장척형 지지체의 주행 경로를 둘러싸는 편평한 터널 구조체의 1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막의 건조 방법.
  14. 제 10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의 온도를, 상기 도포액의 증기의 이슬점 이상으로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막의 건조 방법.
KR1020057016625A 2003-03-07 2004-03-04 도포막의 건조 방법 및 광학 필름 KR1007393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061805 2003-03-07
JPJP-P-2003-00061805 2003-03-07
PCT/JP2004/002720 WO2004078363A1 (ja) 2003-03-07 2004-03-04 塗布膜の乾燥方法および光学フィル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0660A KR20050110660A (ko) 2005-11-23
KR100739389B1 true KR100739389B1 (ko) 2007-07-13

Family

ID=32958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6625A KR100739389B1 (ko) 2003-03-07 2004-03-04 도포막의 건조 방법 및 광학 필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70110894A1 (ko)
KR (1) KR100739389B1 (ko)
CN (2) CN100542686C (ko)
TW (1) TW200417421A (ko)
WO (1) WO20040783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01197B2 (ja) * 2007-03-29 2012-08-1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フィルム乾燥方法及び装置並びに溶液製膜方法
KR101182226B1 (ko) * 2009-10-28 2012-09-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도포 장치, 이의 도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유기막 형성 방법
JP2012172960A (ja) * 2011-02-24 2012-09-10 Dainippon Screen Mfg Co Ltd 乾燥装置および熱処理システム
PL2739923T3 (pl) 2011-08-01 2016-12-30 Sposób i urządzenie do suszenia naniesionej na substrat płynnego filmu
US20150192360A1 (en) * 2012-06-20 2015-07-09 FMP TECHNOLOGY GmbH FLUID MEASUREMENT & PROJECTS Method and device for drying a fluid film applied to a substrate
JP5728555B2 (ja) * 2013-10-18 2015-06-0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不織布の嵩回復装置、及び嵩回復方法
CN107626539B (zh) * 2016-07-19 2023-05-02 扬州万润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涂布膜干燥和自切断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6817A (ja) * 2000-04-05 2001-10-16 Konica Corp 塗膜の乾燥方法
JP2003031476A (ja) * 2001-07-17 2003-01-31 Ricoh Co Ltd レジスト膜形成方法、レジスト膜形成装置及びレジスト膜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44214A (ja) * 1990-06-07 1992-02-14 Seiko Epson Corp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CA2086939C (en) * 1991-05-08 1996-10-22 Vladimir Alexandrovich Peremyschev Method of drying a protective polymer coating applied onto a surface of an article from a solution, and device for effecting thereof
US5694701A (en) * 1996-09-04 1997-12-09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Coated substrate drying system
DE19721461C2 (de) * 1997-05-22 1999-03-11 Daimler Benz Aerospace Airbus Verfahren zur Trocknung von Lacken auf metallischen oder nichtmetallischen Einzelteilen oder montierten Baugruppen beliiebiger Struktur
DE59709110D1 (de) * 1997-05-23 2003-02-13 Merck Patent Gmbh Metalloxidbeschichtete titandioxidplättchen
JP2001198518A (ja) * 2000-01-20 2001-07-24 Mitsubishi Paper Mills Ltd 乾燥方法
JP2001314798A (ja) * 2000-05-09 2001-11-13 Konica Corp 塗布乾燥装置、塗布乾燥方法及び其れにより造られた塗布物
JP2003236799A (ja) * 2002-02-20 2003-08-26 Minoru Sasaki スプレーコーティングによるレジスト膜の成膜方法とこれを実施したレジスト膜の成膜装置
JP4116347B2 (ja) * 2002-07-08 2008-07-09 日東電工株式会社 被膜シート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6817A (ja) * 2000-04-05 2001-10-16 Konica Corp 塗膜の乾燥方法
JP2003031476A (ja) * 2001-07-17 2003-01-31 Ricoh Co Ltd レジスト膜形成方法、レジスト膜形成装置及びレジスト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417421A (en) 2004-09-16
CN101229543A (zh) 2008-07-30
WO2004078363A1 (ja) 2004-09-16
CN1758964A (zh) 2006-04-12
CN100542686C (zh) 2009-09-23
TWI312297B (ko) 2009-07-21
US20070110894A1 (en) 2007-05-17
KR20050110660A (ko) 2005-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33584B2 (en) Optical compensation plate, liquid crystal cell,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9588271B2 (en) Organic EL display element having optical stack
CN109844584B (zh) 宽频带波长膜及其制造方法以及圆偏振膜的制造方法
US20130100529A1 (en) Optical display device having polarizing film
US11366258B2 (en) Wide-band wavelength film,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method for producing circular polarization film
JP2007004120A5 (ko)
TWI798426B (zh) 寬頻帶波長薄膜及其製造方法,以及圓偏光薄膜的製造方法
KR100739389B1 (ko) 도포막의 건조 방법 및 광학 필름
KR102140552B1 (ko) 광학 소자, 광학 소자의 제조 방법 및 액정 표시 장치
JP4369773B2 (ja) 塗布膜の乾燥方法
WO2019208508A1 (ja) 広帯域波長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円偏光フィルムの製造方法
CN111045132B (zh) 带相位差层的偏振片及使用了该带相位差层的偏振片的图像显示装置
CN115144946A (zh) 偏光板和偏光板的制造方法
US5926313A (en) Phase retarder film
CN111045133B (zh) 带相位差层的偏振片及使用了该带相位差层的偏振片的图像显示装置
TW201915526A (zh) 光學積層體
CN111045134B (zh) 带相位差层的偏振片及使用了该带相位差层的偏振片的图像显示装置
CN111045137B (zh) 带相位差层的偏振片及使用了该带相位差层的偏振片的图像显示装置
TWI844562B (zh) 帶相位差層的偏光板及使用了該帶相位差層的偏光板的影像顯示裝置
JP2004330183A (ja) 塗布膜の製造方法、光学フィルム、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CN116107010A (zh) 带相位差层的偏振片及使用了该带相位差层的偏振片的图像显示装置
WO2004091811A1 (ja) 塗布膜の製造方法
JP2005313118A (ja) 塗膜の形成方法、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