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9338B1 - 건축 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 Google Patents

건축 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9338B1
KR100739338B1 KR1020070030497A KR20070030497A KR100739338B1 KR 100739338 B1 KR100739338 B1 KR 100739338B1 KR 1020070030497 A KR1020070030497 A KR 1020070030497A KR 20070030497 A KR20070030497 A KR 20070030497A KR 100739338 B1 KR100739338 B1 KR 1007393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uss
exterior
fasteners
order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0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0777A (ko
Inventor
김종성
Original Assignee
김종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성 filed Critical 김종성
Priority to KR10200700304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9338B1/ko
Publication of KR20070040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07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9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93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외장재를 벽체에 설치된 결합구를 갖는 트러스에 고정 설치하기 위한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전면과 후면이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그 전면에는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외장재에 대응하여 그 각각의 배면에 결합된 앵커볼트/너트를 끼워 체결하도록 상하 등 간격으로 다수개의 외장재 체결구가 형성되고, 그 후면에는 상기 벽체의 트러스에 대응하여 체결하도록 상하 등 간격으로 소수개의 트러스 체결구가 형성된 "ㄷ"형상의 수직프레임; 일측 끝단은 상기 트러스 체결구에 결합하고 타측 끝단은 상기 트러스의 결합구에 결합한 상태에서 그 사이에 차수/단열재를 설치할 수 있도록 길게 형성된 연결볼트; 및 한 쌍은 상기 트러스의 결합구에 결합된 연결볼트를 조여 고정하고, 다른 한 쌍은 상기 수직프레임의 트러스 체결구를 조여 고정하는 한편, 또 다른 하나는 상기 트러스에 밀착된 차수/단열재를 밀착 고정시키도록 형성된 다수개의 고정너트;로 이루어짐에 따라, 외장재를 벽체의 트러스에 설치하기 위한 부품을 줄여 더욱 간편하고 안전한 설치가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그 사이에 차수/단열재의 설치가 용이하고 그 기능이 더욱 향상되도록 한 건축 외장재 설치용 고정구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건축 외장재 설치용 고정구{FIXING APPARATUS FOR FACING MATERIAL OF BUILDING}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건축 외장재용 고정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건축 외장재용 고정구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건축 외장재용 고정구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건축 외장재용 고정구를 도시한 시공상태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0: 외장재 12: 앵커볼트/너트
20: 벽체 22: 트러스
24: 결합편 26: 결합구
30: 차수/단열재
100: 수직프레임 120: 외장재 체결구
140: 트러스 체결구
200: 연결볼트 300a, 300b 300c: 고정너트
400: 차폐판
본 발명은 건축물의 벽체에 외장재를 고정 설치하기 위한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외장재를 벽체의 트러스에 설치하기 위한 부품을 줄여 더욱 간편하고 안전한 설치가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그 사이에 차수/단열재의 설치가 용이하고 그 기능이 더욱 향상되도록 한 건축 외장재 설치용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벽체은 대리석이나 화강암 또는 인조석 등과 같은 외장재를 통해 미려하게 장식되고 있는바, 최근에는 상기 외장재를 건축물의 벽체에 간편하게 설치 고정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제공되고 있음은 주지된 사실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고정구에 의하면 하나의 외장재에 결합하기 위한 적어도 2개 이상의 지지브래킷과 이에 대응하여 벽체의 트러스에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2개 이상의 고정브래킷 및 상기 각각의 지지브래킷과 고정브래킷을 연결하기 위한 볼트/너트가 구비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 구성에 의하면 하나의 외장재를 결합하기 위하여 각각의 지지브래킷과 고정브래킷을 이용한 여러 번의 작업이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것은 물론이고, 많은 인력이 소모되는 문제가 있다.
더구나 종래 구성에 의하면 각각의 외장재를 벽체의 트러스에 개별적으로 설치 고정해야하기 때문에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위험한 문제가 발생한다. 즉, 단층 이나 저층 건물에 대해서는 외장재를 각각 설치하는 것에 큰 어려움이 없겠지만, 중층이나 고층 건물에 대해서는 더욱 많은 수의 외장재를 각각 설치함에 따라 그만큼 많은 인력과 시간 및 장비의 사용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은 작업이 높은 위치에서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그만큼 추락과 같은 위험성이 증가될 수밖에 없다.
한편, 종래 구성에 의하면 외장재를 벽체의 트러스에 설치 고정함과 동시에 그 사이에 차수/단열재를 설치해야하기 때문에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불편할 뿐만 아니라, 외장재와 벽체의 트러스 사이에 차수/단열재를 설치시 상기 각각의 지지브래킷과 고정브래킷을 연결하기 위해서 상기 차수/단열재 상에 많은 수의 결합구를 뚫어야 하기 때문에 그만큼 단열 및 차수의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종래의 문제점 및 결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으로는 외장재를 벽체의 트러스에 설치 고정하기 위한 부품을 줄여 더욱 간편하고 안전한 설치가 이루어지도록 한 건축 외장재 설치용 고정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는 외장재와 벽체의 트러스 사이에 차수/단열재의 설치가 더욱 용이하도록 하면서 상기 차수/단열재에 의한 내외의 완전 차단이 이루어지도록 한 건축 외장재 설치용 고정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건축물의 외장재를 벽체에 설치된 결합구를 갖는 트러스에 고정 설치하기 위한 고정구에 있어서,
전면과 후면이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그 전면에는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외장재에 대응하여 그 각각의 배면에 결합된 앵커볼트/너트를 끼워 체결하도록 상하 등 간격으로 다수개의 외장재 체결구가 형성되고, 그 후면에는 상기 벽체의 트러스에 대응하여 체결하도록 상하 등 간격으로 소수개의 트러스 체결구가 형성된 "ㄷ"형상의 수직프레임; 일측 끝단은 상기 트러스 체결구에 결합하고 타측 끝단은 상기 트러스의 결합구에 결합한 상태에서 그 사이에 차수/단열재를 설치할 수 있도록 길게 형성된 연결볼트; 및 한 쌍은 상기 트러스의 결합구에 결합된 연결볼트를 조여 고정하고, 다른 한 쌍은 상기 수직프레임의 트러스 체결구를 조여 고정하는 한편, 또 다른 하나는 상기 트러스에 밀착된 차수/단열재를 밀착 고정시키도록 형성된 다수개의 고정너트; 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수직프레임의 외장재 체결구 및 트러스 체결구는 각각 수직 또는 수평의 장공 형태로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차수/단열재를 트러스에 밀착시키기 위한 고정너트의 전단에는 연결볼트가 관통되는 차수/단열재의 결합구를 차단하기 위한 차폐판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트러스의 결합구는 수직 또는 수평의 장공 형태로 형성하되, 상기 트러스 상단에 결합 고정된 "ㄴ"형 결합편 상에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건축 외장재용 고정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이 적용된 건축 외장재용 고정구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건축 외장재용 고정구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건축 외장재용 고정구를 도시한 시공상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건축 외장재용 고정구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전면과 후면에 다수개의 외장재 체결구(120)와 트러스 체결구(140)가 형성된 "ㄷ"형 수직프레임(100), 상기 트러스의 결합구와 상기 수직프레임의 트러스 체결구에 결합한 상태에서 그 사이에 차수/단열재를 설치할 수 있도록 길게 형성된 연결볼트(200) 및 상기 트러스의 결합구와 수직프레임의 트러스 체결구에 결합된 연결볼트를 조여 고정하는 한편, 그 사이의 차수/단열재를 트러스에 밀착 고정하도록 형성된 다수개의 고정너트(300a, 300b, 300c)로 이루어진다.
이에, 상기 수직프레임(100)은 일측이 개방된 "ㄷ"형 빔 형태로 형성하여 다수개의 외장재(10)를 한꺼번에 설치할 수 있도록 길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수직프레임(100)은 전면과 후면이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그 전면에는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외장재(10)에 대응하여 그 각각의 배면에 결합된 앵커볼트/너트(12)를 끼워 체결하도록 상/하 등 간격으로 다수개의 외장재 체결구(120)를 형성하고, 그 후면에는 벽체(20)의 트러스(22)에 대응하여 체결하도록 상/하 등 간격으로 소수개의 트러스 체결구(140)를 형성한다.
즉,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직프레임(100)의 전면에는 다수개의 외장재(10)를 체결할 수 있도록 그에 대응되는 많은 수의 외장재 체결구(120)를 형성하는 반면에, 수직프레임(100)의 후면에는 벽체(20)의 트러스(22)에 고정할 수 있 도록 상하에 적어도 2 개 이상의 적은 수로 트러스 체결구(140)를 형성한다. 다시 말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프레임(100)이 5개의 외장재(10)를 한꺼번에 체결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경우 그 전면에는 각 외장재(10)의 상/하 앵커볼트/너트(12)를 체결할 수 있도록 10개의 외장재 체결구(120)를 형성하는 한편, 그 후면에는 상하 2개의 트러스(22)에 대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2개의 트러스 체결구(140)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수직프레임(100)의 외장재 체결구(120) 및 트러스 체결구(140)는 각각 수직 또는 수평의 장공 형태로 형성하여 외장재(10)의 좌/우 또는 상/하의 편차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종래 트러스(22)에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 수평 장공 형태의 결합구(26)가 형성되기 때문에 수직프레임(100)의 외장재 체결구(120) 및 트러스 체결구(140)는 수직 장공의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볼트(200)는 그 일측 끝단을 상기 트러스(22)의 결합구(26)에 결합하고 타측 끝단을 상기 수직프레임(100)의 트러스 체결구(140)에 결합한 상태에서 그 사이에 차수/단열재(30)를 설치할 수 있도록 봉 형태로 길게 형성한다. 이때, 상기 연결볼트(200)는 트러스(22)에 대하여 외장재(10) 및 수직프레임(100)의 하중을 지탱할 수 있는 강도와 크기로 형성한다.
상기 다수개의 고정너트(300a, 300b, 300c)는 연결볼트(200)를 트러스(22)와 수직프레임(100)에 체결 고정하는 한편, 그 사이의 차수/단열재(30)를 설치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한다. 즉, 각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다수개의 고정너 트(300a, 300b, 300c) 중 한 쌍의 고정너트(300a)는 상기 트러스(22)의 결합구(26)에 결합된 연결볼트(200)를 조여 고정하고, 다른 한 쌍의 고정너트(300b)는 상기 수직프레임(100)의 트러스 체결구(140)를 조여 고정하는 한편, 또 다른 하나의 고정너트(300c)는 상기 트러스(22)에 밀착된 차수/단열재(30)를 밀착 고정한다.
이때, 상기 차수/단열재(30)를 트러스(22)에 밀착시켜 고정하기 위한 고정너트(300c)의 전단에는 연결볼트(200)가 관통되는 차수/단열재(30)의 관통구를 차단하기 위한 차폐판(400)을 결합한다. 즉, 상기 차폐판(400)은 차수/단열재(30)의 관통된 부분을 차단하여 열손실이나 수분의 침투를 차단함과 동시에, 차폐판(400)이 차수/단열재(30)와 밀착되기 때문에 앞서 설명된 고정너트(300c)를 이용한 설치 고정이 간편하게 이루어진다.
한편, 앞서 설명된 트러스(22)의 결합구(26)는 수평 또는 수직의 장공 형태로 형성하면서 상기 트러스(22)의 전면에 직접 형성할 수도 있지만, 각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러스(22)의 상단에 "ㄴ"형 결합편(24)을 결합 또는 용접한 상태에서 그 전면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구성의 건축 외장재용 고정구에 의하면 먼저, 벽체(20)에 통상의 트러스(22)를 설치 고정하는 한편, 각 외장재(10)의 배면에는 앵커볼트(12)를 상/하의 중간에 각각 결합 고정한다. 이때, 상기 트러스(22)에는 수평 장공 형태의 결합구(26)가 형성되고, 외장재(10)의 배면에 결합된 앵커볼트(12)는 그 끝단을 체결하기 위한 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어, 상기 수직프레임(100)의 전면에 다수개의 외장재(10)를 체결 고정하는데, 이는 바닥에 외장재(10)를 깔아 놓은 상태에서 그 위에 수직프레임(100)의 전면이 밀착되도록 하면서 각각의 외장재 체결구(120)를 통해 끼워진 외장재(10)의 앵커볼트(12)를 너트로 조여 고정한다.
한편, 상기 트러스(22)의 결합구(26)에는 연결볼트(200)의 일단을 끼운 상태에서 상기 결합구(26)의 전후로부터 한 쌍의 고정너트(300a)를 조여 완전하게 체결 고정한다.
아울러, 상기 트러스(22)에 체결 고정된 연결볼트(200)의 외측으로부터 차수/단열재(30)의 관통구를 밀어 끼워 차수/단열재(30)가 트러스(22)에 밀착되도록 한 상태에서 차폐판(400)과 다른 고정너트(300c)를 결합 고정한다.
이와 같이 각각의 작업이 별도로 간편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업의 능률과 안전성이 크게 향상되는 것은 물론이고, 차수/단열재(30)에 대한 기능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다수개의 외장재(10)가 체결 고정된 수직프레임(100)을 들어올려 수직프레임(100)의 후면이 상기 트러스(22)에 결합된 연결볼트(200)를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연결볼트(200)를 트러스 체결구(140)에 끼운 후 다른 한 쌍의 고정너트(300b)로 결합 고정한다.
이때, 상기 외장재(10) 및 외장재(10)를 체결 고정한 수직프레임(100)의 좌우 편차 조절은 각 트러스(22)의 결합구(26) 및 수직프레임(100)의 외장재 체결구(120)와 트러스 체결구(140)의 수평 또는 수직 장공에 의해 간편하게 조절될 뿐만 아니라, 설치되는 외장재(10)의 전후 편차는 연결볼트(200)에 수직프레임(100) 을 고정너트(300b)로 체결하는 과정에서 조절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다수개의 외장재(10)가 결합된 수직프레임(100)의 전면에는 다수개의 외장재(10)를 체결 고정하기 위한 다수개의 외장재 체결구(120)를 형성하되, 그 배면에는 상/하 또는 중간 지점에 형성된 트러스 체결구(140)만으로도 안정된 설치 고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그만큼 사용되는 부품 수를 줄임에 따라 작업 능률이 더욱 향상된다.
또한, 상기 모든 작업이 단위별로 이루어진 후, 한 번에 체결 고정되기 때문에 작업의 편리성이 향상되는 것은 물론이고, 차수/단열재(30)의 설치가 간편하면서 그 내/외를 완전히 차단할 수 있어 차수 및 단열의 기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건축 외장재 설치용 고정구에 의하면 각 구성을 통해 외장재를 벽체의 트러스에 설치 고정하기 위한 부품을 줄여 더욱 간편하고 안전한 설치가 이루어짐에 따라, 작업능률의 향상과 내구성 및 안전성이 크게 향상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발휘된다.
또한, 본 발명의 건축 외장재 설치용 고정구에 의하면 외장재와 벽체의 트러스 사이에 단열재 및 차수막의 설치가 더욱 용이하면서 내외의 완전 차단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업능률의 향상과 단열 및 차수의 기능이 크게 향상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발휘된다.

Claims (4)

  1. 건축물의 외장재를 벽체에 설치된 결합구를 갖는 트러스에 고정 설치하기 위한 고정구에 있어서,
    전면과 후면이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그 전면에는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외장재에 대응하여 그 각각의 배면에 결합된 앵커볼트/너트를 끼워 체결하도록 상하 등 간격으로 다수개의 외장재 체결구가 형성되고, 그 후면에는 상기 벽체의 트러스에 대응하여 체결하도록 상하 등 간격으로 소수개의 트러스 체결구가 형성된 "ㄷ"형상의 수직프레임;
    일측 끝단은 상기 트러스 체결구에 결합하고 타측 끝단은 상기 트러스의 결합구에 결합한 상태에서 그 사이에 차수/단열재를 설치할 수 있도록 길게 형성된 연결볼트; 및
    한 쌍은 상기 트러스의 결합구에 결합된 연결볼트를 조여 고정하고, 다른 한 쌍은 상기 수직프레임의 트러스 체결구를 조여 고정하는 한편, 또 다른 하나는 상기 트러스에 밀착된 차수/단열재를 밀착 고정시키도록 형성된 다수개의 고정너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외장재용 고정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의 외장재 체결구 및 트러스 체결구는 각각 수직 또는 수평의 장공 형태로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외장재용 고정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차수/단열재를 트러스에 밀착시키기 위한 고정너트의 전단에는 연결볼트가 관통되는 차수/단열재의 결합구를 차단하기 위한 차폐판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외장재용 고정구.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트러스의 결합구는 수직 또는 수평의 장공 형태로 형성하되, 상기 트러스 상단에 결합 고정된 "ㄴ"형 결합편 상에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외장재용 고정구.
KR1020070030497A 2007-03-28 2007-03-28 건축 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KR1007393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0497A KR100739338B1 (ko) 2007-03-28 2007-03-28 건축 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0497A KR100739338B1 (ko) 2007-03-28 2007-03-28 건축 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0777A KR20070040777A (ko) 2007-04-17
KR100739338B1 true KR100739338B1 (ko) 2007-07-13

Family

ID=38176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0497A KR100739338B1 (ko) 2007-03-28 2007-03-28 건축 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933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6919B1 (ko) 2012-01-25 2012-11-09 이원우 고정철물을 이용한 건물 외벽 스치로폼 고정방법
KR101293688B1 (ko) * 2011-10-26 2013-08-06 김종성 건물 외장재 설치용 빔
KR101415321B1 (ko) * 2013-02-08 2014-07-04 최서윤 건축물 외벽용 커튼월 유닛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5009B1 (ko) * 2008-02-05 2008-04-25 주식회사 유신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목재데크판 장착 구조
KR100950565B1 (ko) * 2009-05-15 2010-04-01 김종성 건축 마감재 설치용 고정구
KR101377248B1 (ko) * 2012-03-19 2014-04-10 정일석건 주식회사 외벽 패널 고정구조
KR102107971B1 (ko) 2019-08-01 2020-05-07 (주)삼우에이피엔 무용접 외장 패널 트러스
KR102238270B1 (ko) 2020-07-08 2021-04-26 주식회사 지오테크 건축물 외벽 고정부재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79778A (ja) * 1991-12-27 1993-07-20 Fujita Corp 外装パネル類取付部の平坦面形成方法
KR20030072283A (ko) * 2003-08-12 2003-09-13 병 철 오 콘크리트 벽면의 건축패널 취부구조
KR200414098Y1 (ko) 2006-01-23 2006-04-17 (주)대동석재공업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KR20060066705A (ko) * 2006-05-29 2006-06-16 김종성 건축 외장재용 고정구
KR200431317Y1 (ko) 2006-08-25 2006-11-23 (주)대동석재공업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KR20070020118A (ko) * 2007-01-29 2007-02-16 김종성 건축물의 외장재 고정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79778A (ja) * 1991-12-27 1993-07-20 Fujita Corp 外装パネル類取付部の平坦面形成方法
KR20030072283A (ko) * 2003-08-12 2003-09-13 병 철 오 콘크리트 벽면의 건축패널 취부구조
KR200414098Y1 (ko) 2006-01-23 2006-04-17 (주)대동석재공업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KR20060066705A (ko) * 2006-05-29 2006-06-16 김종성 건축 외장재용 고정구
KR200431317Y1 (ko) 2006-08-25 2006-11-23 (주)대동석재공업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KR20070020118A (ko) * 2007-01-29 2007-02-16 김종성 건축물의 외장재 고정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3688B1 (ko) * 2011-10-26 2013-08-06 김종성 건물 외장재 설치용 빔
KR101196919B1 (ko) 2012-01-25 2012-11-09 이원우 고정철물을 이용한 건물 외벽 스치로폼 고정방법
KR101415321B1 (ko) * 2013-02-08 2014-07-04 최서윤 건축물 외벽용 커튼월 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0777A (ko) 2007-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9338B1 (ko) 건축 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KR100900062B1 (ko) 현장용접 없이 시공 가능한 건물의 외벽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물의 외벽시공방법
KR101125549B1 (ko) 단열재가 부착된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방법
US8539730B2 (en) Building system
KR101360371B1 (ko) 건축물 커튼월 시공장치
WO2012014581A9 (ja) 方杖付つなぎ材および仮設足場
JP2019070272A (ja) タイル係止部材の固定金具
KR20180001758A (ko) 건축용 고정부재
AU2021237982B2 (en) Prefabricated wall assembly and method therefor
KR101712851B1 (ko) 건축물의 내,외장패널 고정장치
JPH06346568A (ja) プレート部材の取付片
WO2009103249A3 (en) Modular construction system
KR101036707B1 (ko) 난간포스트 어셈블리
JP2008163588A (ja) タイトフレーム
KR20090112237A (ko) 건축물 외장재 고정장치
CN212176408U (zh) 一种墙面板材结构
JP3388390B2 (ja) 木質構造材の接合構造
JP2001146802A (ja) 縦壁スライド構法による壁パネルの取付け構造
JP4088200B2 (ja) 構造体の構面補強装置
KR100219885B1 (ko) 벽면 마감재
KR930002861Y1 (ko) 석재 부착 고정구
CN117188692A (zh) 一种装配式自保温自防水光伏楼板及其装配方法
JP3164164U (ja) 瓦棒クランプ
JP2005120647A (ja) 木造建築の耐震補強構造とこれに使用する補強金具および屋根構造
JP5217022B2 (ja) 軽量気泡コンクリートパネル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