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0371B1 - 건축물 커튼월 시공장치 - Google Patents

건축물 커튼월 시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0371B1
KR101360371B1 KR1020120015722A KR20120015722A KR101360371B1 KR 101360371 B1 KR101360371 B1 KR 101360371B1 KR 1020120015722 A KR1020120015722 A KR 1020120015722A KR 20120015722 A KR20120015722 A KR 20120015722A KR 101360371 B1 KR101360371 B1 KR 1013603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beam
vertical
groove
fixed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5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4462A (ko
Inventor
백종균
박재민
Original Assignee
박재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민 filed Critical 박재민
Priority to KR10201200157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0371B1/ko
Publication of KR20130094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44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0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03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04B2/96Curtain walls comprising panels attached to the structure through mullions or transoms
    • E04B2/965Connections of mullions and transo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04B2001/389Bra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 커튼월 시공설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석재 또는 금속재의 외장 패널을 이용하여 건축물의 외벽을 시공하면서도 용접작업을 사용하지 않는 건축물 커튼월 시공설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커튼월 시공설비는, 석재 또는 금속재의 외장 패널을 이용하여 건축물 외벽에 가공된 판 형태의 벽면(10)을 시공하기 위한 건축물 커튼월 시공설비에 있어서, 건축물의 층간에 설치되는 슬라브(20)에 고정된 채로 돌출형성되고 측단면이 90°각도를 갖는 엘보 형태로 이루어지는 다수 개의 브라켓(100); 한 쌍으로 대항 되게 마주보는 상기 브라켓(100) 사이마다 배치되어 상기 브라켓(100)에 의해 거치 되고, 상기 벽면(10)이 고정앵글(30)을 통해 거치될 수 있도록 하는 수직 사각 관 형태의 수직빔(200); 상기 수직빔(200)과 상기 벽면(10) 사이에 배치되어 다수 개의 상기 수직빔(200)을 수평방향으로 동시에 연결고정하는 다수개의 수평빔(300); 및 상기 수직빔(20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되, 상기 수직빔(200)과 상기 수평빔(300)이 교차 되는 위치에서 상기 수직빔(200)과 상기 수평빔(300)에 동시에 고정되는 다수 개의 밴드편(40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건축물 커튼월 시공장치{CONSTRUCTING APPARATUS OF OUTER WALL TRUSS IN BUILDINGS}
본 발명은 건축물 커튼월 시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석재 또는 금속재의 외장 패널을 이용하여 건축물의 외벽을 시공하면서도 용접작업을 사용하지 않는 건축물 커튼월 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외벽(outer wall)이란 건축물의 외부로 보여지는 바깥쪽 벽면을 지칭하는바, 과거에는 주로 페인트를 칠하거나 벽돌 등으로 치장하였지만, 최근 들어 건물의 벽면 바깥쪽으로 석재 또는 금속재의 판 구조물을 고정시켜 미려한 외관을 추구하는 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때, 건물의 벽면 바깥쪽으로 고정되는 석재 또는 금속재의 판 구조물은 달리, 외장 패널이라 불리기도 한다.
한편, 건물의 완성된 벽면에 판 구조물을 고정하는 방법은 크게 습식방법과 건식방법이 있는데, 습식방법은 벽면의 바깥쪽에 판 구조물을 대면 배치한 후 그 사이로 시멘트 등을 타설해서 고정하는 방식으로서 양생을 포함한 시공기간이 길고 작업성과 시공성이 떨어져 현재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반면, 건식방법은 금속 등으로 이루어진 별도의 고정구를 동원하여 벽면의 바깥쪽에 판 구조물을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상대적으로 시공성과 작업성이 뛰어나다.
하지만, 석재 또는 금속재의 판 구조물은 자체 하중이 무거운 관계로 취급이 까다롭고, 벽면이 완성된 건물의 바깥쪽에서 시공해야 하므로 고층 빌딩의 경우에는 장시간의 고공작업을 수반한다.
더욱이, 건물의 벽면에 판 구조물을 고정하는 고정구는 벽면의 앵커볼트에 선(先) 고정된 후, 볼트와 너트 등으로 판 구조물이 후(後) 고정되는 단순한 구조를 나타내는바, 벽면과 판 구조물 사이의 협소한 공간에서 볼트 및 너트의 체결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작업이 까다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건물의 벽면에 판 구조물을 고정하는 작업에는 용접작업이 불가피하게 이루어졌는데, 이러한 용접작업은 볼트 및 너트의 체결작업보다 까다롭고, 한번 시공된 후에는 외벽 전체를 들어내지 않는 한 부분적인 수선 및 교체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건물의 외 벽면에 판 구조물을 고정하기 위해 벽면에 앵커볼트를 고정하는 작업도, 외벽면의 수직 면상에 앵커볼트를 고정해야 하기 때문에 앵커볼트의 고정 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10-0398911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커튼월 시공설비는, 건물의 벽면에 판 구조물을 고정하여 외장 패널을 설치하면서도 용접작업 없이 견고하게 그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건축물 커튼월 시공설비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커튼월 시공설비는, 건물의 벽면에 판 구조물을 고정하여 외장 패널을 설치하기 위한 준비로 건물의 수직 벽면에 설치하는 앵커볼트 설치 작업을 수평 상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건축물 커튼월 시공설비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커튼월 시공설비는, 석재 또는 금속재의 외장 패널을 이용하여 건축물 외벽에 가공된 판 형태의 벽면(10)을 시공하기 위한 건축물 커튼월 시공설비에 있어서, 건축물의 층간에 설치되는 슬라브(20)에 고정된 채로 돌출형성되고 측단면이 90°각도를 갖는 엘보 형태로 이루어지는 다수 개의 브라켓(100); 한 쌍으로 대항 되게 마주보는 상기 브라켓(100) 사이마다 배치되어 상기 브라켓(100)에 의해 거치 되고, 상기 벽면(10)이 고정앵글(30)을 통해 거치될 수 있도록 하는 수직 사각 관 형태의 수직빔(200); 상기 수직빔(200)과 상기 벽면(10) 사이에 배치되어 다수 개의 상기 수직빔(200)을 수평방향으로 동시에 연결고정하는 다수개의 수평빔(300); 및 상기 수직빔(20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되, 상기 수직빔(200)과 상기 수평빔(300)이 교차 되는 위치에서 상기 수직빔(200)과 상기 수평빔(300)에 동시에 고정되는 다수 개의 밴드편(400);을 포함한다.
상기 브라켓(100)은, 상기 슬라브(20) 상면에 일부가 배치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벽면(10)이 설치되는 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수직빔(200)과 연결되되, 다수 개의 관통된 장홈(120)이 포함되고, 상기 수직빔(200)은, 관통형성된 다수 개의 고정홈(210)이 포함되며, 상기 브라켓(100)의 상기 슬라브(20)와 밀착되는 면은, 상기 장홈(120)에 결합 되는 앵커볼트(110)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브라켓(100)의 상기 수직빔(200)과 밀착되는 면은, 상기 수직빔(200)을 사이에 두고 좌우에 배치된 상기 브라켓(100)의 상기 장홈(120)과 상기 고정홈(210)을 동시에 관통하여 연결고정하는 전산볼트(220)에 의해 결합 된다.
상기 수평빔(300)은, 길이방향으로 중공 된 채로 슬릿홈(310)을 포함하고, 상기 밴드편(400)은, 상기 수직빔(200)과 상기 수평빔(300)에 동시에 연결되기 위한 층이 형성되고 상기 슬릿홈(310)에서 유동 가능한 앵커볼트(110)와, 상기 수직빔(200)에 고정되는 상기 앵커볼트(110)와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다수 개의 볼트홈(410)을 포함한다.
상기 브라켓(100)과 연결되는 부위에 형성된 상기 고정홈(210)은, 상기 브라켓(100)이 상기 수직빔(200)의 측면에 연결고정시, 상기 고정홈(210)과 상기 장홈(120)의 위치가 상호 어긋나는 것을 보완하기 위하여 수직 방향으로 최소한 상기 전산볼트(220)의 직경 보다 2배 이상 길게 형성된다.
상기 수직빔(200)과 연결되는 부위에 형성된 상기 장홈(120)은, 상기 고정홈(210)과 상기 장홈(120)의 위치가 상호 어긋나는 것을 보완하기 위하여 수평방향으로 최소한 상기 전산볼트(220)의 직경 보다 2배 이상 길게 형성된다.
상기 밴드편(400)과 연결되는 부위에 형성된 상기 고정홈(210)은, 상기 고정홈(210)과 상기 볼트홈(410)의 위치가 상호 어긋나는 것을 보완하기 위하여 수직방향으로 최소한 상기 앵커볼트(110)의 직경 보다 2배 이상 길게 형성되고, 상기 볼트홈(410)은, 상기 고정홈(210)과 상기 볼트홈(410)의 위치가 상호 어긋나는 것을 보완하기 위하여 수직방향으로 최소한 상기 앵커볼트(110)의 직경 보다 2배 이상 길게 형성된다.
상기 수직빔(200)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상기 수직빔(200)과 다른 수직빔(200)을 상호 연결고정하는 연결편(25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편(250)은, 상기 고정홈(210)과 대응되는 위치에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는 연결홈(260)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홈(210)과 상기 연결홈(260)은, 상기 앵커볼트(110)에 의해 상호 연결고정된다.
석재 또는 금속재의 외장 패널을 이용하여 건축물 외벽에 가공된 판 형태의 벽면(10)을 시공하기 위한 건축물 커튼월 시공설비에 있어서, 사각 관 형태의 수직빔(200); 상기 수직빔(200)을 거치하기 위해 상기 수직빔(200)의 양 측면에 배치되되, 상기 수직빔(200)의 측면에 밀착되는 거치면(160)과, 건축물 외벽(70)에 고정되는 고정면(170)을 갖으며 측단면이 90°각도를 갖는 엘보 형태로 이루어지는 다수 개의 브라켓(100); 상기 수직빔(200)과 상기 벽면(10) 사이에 배치되어 다수 개의 상기 수직빔(200)을 수평방향으로 동시에 연결고정하는 다수개의 수평빔(300); 및 상기 수직빔(20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되, 상기 수직빔(200)과 상기 수평빔(300)이 교차 되는 위치에서 상기 수직빔(200)과 상기 수평빔(300)에 동시에 고정되는 다수 개의 밴드편(400);을 포함한다.
상기 브라켓(100)은, 다수 개의 관통된 장홈(120)이 포함되고, 상기 수직빔(200)은, 관통형성된 다수 개의 고정홈(210)이 포함되며, 상기 브라켓(100)의 상기 외벽(70)과 밀착되는 상기 고정면(170)은, 상기 장홈(120)에 결합 되는 앵커볼트(110)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브라켓(100)의 상기 수직빔(200)과 밀착되는 상기 거치면(160)은, 상기 수직빔(200)을 사이에 두고 좌우에 배치된 상기 브라켓(100)의 상기 장홈(120)과 상기 고정홈(210)을 동시에 관통하여 연결고정하는 전산볼트(220)에 의해 결합 된다.
상기 수평빔(300)은, 길이방향으로 중공 된 채로 슬릿홈(310)을 포함하고, 상기 슬릿홈(310)에 연결되는 고정앵글(30)을 통해 상기 벽면(10)이 배치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밴드편(400)은, 상기 수직빔(200)과 상기 수평빔(300)에 동시에 연결되기 위한 층이 형성되고 상기 슬릿홈(310)에서 유동 가능한 앵커볼트(110)와, 상기 수직빔(200)에 고정되는 상기 앵커볼트(110)와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다수 개의 볼트홈(41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커튼월 시공설비는, 건물의 벽면에 판 구조물을 고정하여 외장 패널을 설치시 용접작업 없이 판 구조물을 건물의 벽면에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커튼월 시공설비는, 건물의 수직 벽면에 설치되는 앵커볼트 설치 작업을 수평 상에서 작업이 수행가능하도록 하여 그 설치가 용이하면서도 견고하도록 하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커튼월 시공설비는, 용접작업을 생략하고 수직 벽면에 설치되는 앵커볼트 설치 작업을 용이하게 함으로 인해, 그 작업 속도 및 비용이 절감되도록 하는 경제적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커튼월 시공설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커튼월 시공설비의 분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커튼월 시공설비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커튼월 시공설비의 요부를 분리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커튼월 시공설비의 요부를 정면에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커튼월 시공설비의 다른 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커튼월 시공설비의 다른 실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따른 건축물 커튼월 시공설비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7에 따른 건축물 커튼월 시공설비를 나타낸 사시도 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일 예로 석재 또는 금속재의 외장 패널을 이용하여 건축물의 외벽을 시공하면서도 용접작업을 사용하지 않는 건축물 커튼월 시공설비 [ 특히, 브라켓, 수직빔,수평빔 ]의 기술적 구성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커튼월 시공설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커튼월 시공설비의 분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살펴보면, 건축물의 외벽에는 석재 또는 금속재의 외장 패널인 판 형태의 벽면(10)을 이용하여 외관이 미려하도록 시공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벽면(10)의 원활하고 견고한 고정 설치를 위해서, 상기 벽면(10)을 지지 또는 거치할 수 있는 수직빔(200)과 수평빔(300)이 사용되게 된다
특히, 상기 수직빔(200)은, 건축물의 층간에 설치되는 슬라브(20)에 고정된 채로 외부로 돌출형성되는 브라켓(100)에 의해 거치 되게 된다.
이러한 상기 브라켓(100)은, 측단면이 90°각도를 갖는 엘보 형태로 이루어지는 다수 개가 배치되되, 상기 수직빔(200)을 사이에 두고 상호 마주보며 대항 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과적으로 상기 수직빔(200)은, 한 쌍으로 대항 되게 마주보는 상기 브라켓(100) 사이마다 배치되어 상기 브라켓(100)에 의해 거치 되게 된다.
상기 브라켓(100)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 개가 배치되며, 상기 수직빔(200) 또한 등 간격을 갖으며 다수 개가 배치되되 한 쌍의 상기 브라켓(100) 사이에 위치되게 된다.
이때, 상기 브라켓(100)은, 일부가 상기 슬라브(20) 상면에 배치되고 다른 일부가 상기 벽면(10)이 설치되는 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수직빔(200)과 연결된다.
또한, 상기 브라켓(100)은, 다수 개의 관통된 장홈(12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수직빔(200)은 관통형성된 다수 개의 고정홈(210)을 포함한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 브라켓(100)의 상기 슬라브(20)와 밀착되는 면은, 상기 장홈(120)에 결합 되는 앵커볼트(110)에 의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100)의 상기 수직빔(200)과 밀착되는 면은, 상기 수직빔(200)을 사이에 두고 좌우에 배치된 상기 브라켓(100)의 상기 장홈(120)과 상기 고정홈(210)을 동시에 관통하여 연결고정하는 전산볼트(220)에 의해 결합 되게 된다.
이때, 상기 앵커볼트(110)와 상기 전산볼트(220)는 나사(50)에 의해 조여져 각각 상기 브라켓(100)의 일부분이 상기 슬라브(20)에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브라켓(100)의 다른 일부분이 상기 수직빔(200)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기 수직빔(200)의 상기 고정홈(210)에는, 상기 벽면(10)이 상기 수직빔(200)에 연결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앵글(30)이 고정 배치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수직빔(200)은, 상기 고정홈(210)에 연결형성되는 상기 고정앵글(30)을 통하여 다수 개의 사각 판 형태의 상기 벽면(10)을 거치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수직빔(200)이 다수 개의 상기 벽면(10)을 거치하게 되면, 많은 하중을 받게 되는데, 다수 개의 상기 수직빔(200)에 수평 방향으로 고정연결되는 다수 개의 상기 수평빔(300)에 의해 상기 수직빔(200)은 상기 벽면(10)을 견고하게 거치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수평빔(300)은, 상기 수직빔(200)과 상기 벽면(10) 사이에 배치되어 사수 개의 상기 수직빔(200)을 수평방향으로 동시에 연결고정하게 된다.
상기 수평빔(300)은, 사각 관 형태로 형성되되, 길이방향으로 홈이 형성되는 슬릿홈(31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직빔(200)과 상기 수평빔(300)이 교차 되는 위치에는, 상기 수직빔(200)과 상기 수평빔(300)에 동시에 고정되는 다수 개의 밴드편(400)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밴드편(400)은, 상기 수직빔(200)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수직빔(200)과 상기 수평빔(300)이 교차 되는 위치에서 상기 수직빔(200)과 상기 수평빔(300)에 동시에 고정되게 된다.
이때, 상기 밴드편(400)은, 상기 수직빔(200)과 상기 수평빔(300)에 동시에 연결되기 위한 단층이 형성되고 상기 슬릿홈(310)에서 유동 가능한 앵커볼트(110)와, 상기 수직빔(200)에 고정되는 상기 앵커볼트(110)와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다수 개의 볼트홈(41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밴드편(400)의 상기 볼트홈(410)과 상기 수직빔(200)의 상기 고정홈(210)을 동시에 관통하는 상기 앵커볼트(110)는 나사(50)에 의해 조여진 채로, 상기 밴드편(400)과 상기 수직빔(200)에 고정형성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밴드편(400)은, 상기 수직빔(200)과 상기 수평빔(300)에 동시에 고정연결되면서, 상기 수직빔(200)이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커튼월 시공설비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커튼월 시공설비의 요부를 분리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커튼월 시공설비의 요부를 정면에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살펴보면, 측단면이 90°각도를 갖는 엘보 형태로 이루어지는 다수 개가 배치되는 브라켓(100)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되 사각 관 형태로 형성되는 수직빔(200)을 사이에 두고, 상기 수직빔(200) 양측에 고정되게 된다.
이때, 상기 브라켓(100)은, 건축물의 층간에 설치되는 슬라브(20)에 일부분이 고정되고 다른 일부분이 상기 수직빔(200)과 연결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브라켓(100)은, 상기 슬라브(20)에 수직방향으로 박힌 앵커볼트(110)에 상기 브라켓(100)에 형성된 장홈(120)이 끼워지고, 상기 앵커볼트(110)에 상기 브라켓(100)이 연결되면 나사(50)가 상기 앵커볼트(110)를 조임으로써, 상기 브라켓(100)의 일 부분은 상기 슬라브(20)의 상면에 고정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100)의 다른 일부분은, 상기 수직빔(200)의 양 측면에 배치되되, 상기 브라켓(100)의 장홈(120)과 상기 수직빔(200)에 관통 형성되는 고정홈(210)이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면, 전산볼트(220)가 상기 장홈(120)과 상기 고정홈(210)을 동시에 관통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전산볼트(220)가 상기 수직빔(200)과, 상기 수직빔(200) 양 측면에 배치된 상기 브라켓(100)을 동시에 관통하게 되면, 나사(50)를 통해 상기 전산볼트(50)의 양측을 조여, 상기 수직빔(200)이 상기 브라켓(10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브라켓(100)과 상기 수직빔(200)이 연결 고정되면, 다수 개의 상기 수직빔(200)을 수평방향으로 동시에 연결하는 다수 개의 수평빔(300)이 상기 수직빔(200)에 연결 고정되게 된다.
상기 수평빔(300)은, 사각 관 형태로 형성되되, 길이방향으로 홈이 형성되는 슬릿홈(31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직빔(200)과 상기 수평빔(300)이 교차 되는 위치에는, 상기 수직빔(200)과 상기 수평빔(300)에 동시에 고정되는 다수 개의 밴드편(400)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밴드편(400)은, 상기 수직빔(200)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수직빔(200)과 상기 수평빔(300)이 교차 되는 위치에서 상기 수직빔(200)과 상기 수평빔(300)에 동시에 고정되게 된다.
이때, 상기 밴드편(400)은, 상기 수직빔(200)과 상기 수평빔(300)에 동시에 연결되기 위한 단층이 형성되고 상기 슬릿홈(310)에서 유동 가능한 앵커볼트(110)와, 상기 수직빔(200)에 고정되는 상기 앵커볼트(110)와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다수 개의 볼트홈(410)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앵커볼트(110)는 상기 슬릿홈(310)에서 유동 되면서 상기 밴드편(400)이 상기 수평빔(300)과 상기 수직빔(200)의 교차 되는 위치에 원활하게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상기 밴드편(400)의 위치가 정해지면, 상기 앵커볼트(110)가 상기 수평빔(300) 내부에서 상기 슬릿홈(310)을 관통하여 상기 밴드편(400)의 상기 볼트홈(410)을 동시에 관통하게 된다.
상기 앵커볼트(110)가 상기 수평빔(300)과 상기 밴드편(400)을 동시에 관통하여 돌출되면 나사(50)를 통해 상기 앵커볼트(110)를 조임으로써, 상기 수평빔(300)은 상기 밴드편(400)에 의해 상기 수직빔(200)에 견고하게 고정연결 되게 된다.
상기 밴드편(400)에 의해 상기 수평빔(300)이 다수 개의 상기 수직빔(200)을 수평방향으로 동시에 연결고정 함으로써 상기 수직빔(200)은 견고하게 고정가능하게 된다.
상기 밴드편(400)을 통하여 상기 수평빔(300)이 상기 수직빔(200)에 고정되면, 상기 수직빔(200)의 상기 장홈(120)에 고정앵글(30)이 배치되고, 상기 고정앵글(30)에는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다수 개의 벽면(10)이 고정연결 되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앵글(30)은, 상기 수직빔(200)의 하부와 상부에 형성되어 그 고정앵글(30)이 동시에 하나의 상기 벽면(10)을 거치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앵글(30)은, 상기 장홈(120)에 배치되는 앵커볼트(110)가 상기 고정앵글(30)을 관통하여 나사(50)에 의해 조여짐으로써, 상기 고정앵글(30)이 상기 수직빔(200)의 외면에 견고하게 고정되게 된다.
이렇게 다수 개의 상기 벽면(10)은, 다수 개의 상기 고정앵글(30)에 의해 다수 개의 상기 수직빔(200)에 거치 되면서 건축물의 외면을 이루게 되기 때문에, 상기 벽면(10)에 의해 건축물의 외면이 미려하게 된다.
한편, 상기 브라켓(100)과 연결되는 부위에 형성된 상기 고정홈(210)은, 상기 브라켓(100)이 상기 수직빔(200)의 측면에 연결고정시, 상기 고정홈(210)과 상기 장홈(120)의 위치가 상호 어긋나는 것을 보완하기 위하여 수직 방향으로 최소한 상기 전산볼트(220)의 직경 보다 2배 이상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빔(200)과 연결되는 부위에 형성된 상기 장홈(120)은, 상기 고정홈(210)과 상기 장홈(120)의 위치가 상호 어긋나는 것을 보완하기 위하여 수평방향으로 최소한 상기 전산볼트(220)의 직경 보다 2배 이상 길게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수직빔(200)은, 다수 개의 상기 장홈(120) 중에 한 부위가 상기 고정홈(210)과 동일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위치를 조절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장홈(120) 중에 한 부위가 상기 고정홈(210)과 동일 위치에 배치되면 상기 전산볼트(220)가 상기 장홈(120)과 고정홈(210)을 수평방향으로 동시에 관통하게 된다.
상기 전산볼트(220)가 상기 장홈(120)과 고정홈(210)을 수평방향으로 동시에 관통한 후, 상기 전산볼트(220)에 나사(50)를 조이게 되면, 그 나사(50)가 상기 브라켓(100)의 외면을 가압하면서 상기 수직빔(200)이 상기 브라켓(100)에 간편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밴드편(400)과 연결되는 부위에 형성된 상기 고정홈(210)은, 상기 고정홈(210)과 상기 볼트홈(410)의 위치가 상호 어긋나는 것을 보완하기 위하여 수직방향으로 최소한 상기 앵커볼트(110)의 직경 보다 2배 이상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볼트홈(410)은, 상기 고정홈(210)과 상기 볼트홈(410)의 위치가 상호 어긋나는 것을 보완하기 위하여 수직방향으로 최소한 상기 앵커볼트(110)의 직경 보다 2배 이상 길게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밴드편(400)은, 상기 밴드편(400)과 연결되는 부위에 형성되는 상기 수직빔(200)의 상기 고정홈(210)이 상기 볼트홈(410)과 동일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수직방향으로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수평빔(200)을 부분적으로 감싸면서 거치하는 상기 밴드편(400)이 상기 수직빔(200)에 간편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커튼월 시공설비의 다른 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살펴보면, 상기 수직빔(200)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상기 수직빔(200)과 다른 수직빔(200)을 상호 연결고정하는 연결편(250)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편(250)은, 상기 고정홈(210)과 대응되는 위치에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는 연결홈(260)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홈(210)과 상기 연결홈(260)은, 상기 앵커볼트(110)에 의해 상호 연결고정된다.
결과적으로, 두 개의 상기 수직빔(200) 들이 수직방향으로 연결되기 위해서는 하나의 수직빔(200) 하부에 형성된 고정홈(210)과 다른 하나의 수직빔(200) 상부에 형성된 고정홈(210)에 하나의 상기 연결편(250)에 형성된 다수 개의 상기 연결홈(260)을 각각 대응된 위치에 배치하게 된다.
두 개의 상기 수직빔(200)에 형성된 상기 고정홈(210) 들에 상기 연결홈(260)이 각각 대응되게 배치되면, 각각의 상기 고정홈(210)에 배치된 앵커볼트(110)가 상기 연결홈(260)을 관통하여 돌출되게 된다.
상기 앵커볼트(110)가 상기 연결홈(260)을 관통하여 돌출되면 나사(50)로 상기 앵커볼트(110)를 조여 상기 나사(50)가 상기 연결편(250) 외면을 가압함으로써, 두 개의 상기 수직빔(200)이 수직방향으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기의 구성을 통하여, 건물의 벽면에 판 구조물을 고정하여 외장 패널을 설치시 용접작업 없이 판 구조물을 건물의 벽면에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상기 수직빔(200)과 상기 수평빔(300)은 원형 타원형 등 다양한 형태와 길이 및 크기를 갖을 수 있고, 상기 장홈(120)과 상기 고정홈(210) 및 상기 볼트홈(410)의 직경과 크기 또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는 것이 당연하다.
또한, 건물의 수직 벽면에 설치되는 앵커볼트 설치 작업을 수평 상에서 작업이 수행가능하도록 하여 그 설치가 용이하면서도 견고하도록 하는 기술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커튼월 시공설비의 다른 실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따른 건축물 커튼월 시공설비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7에 따른 건축물 커튼월 시공설비를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살펴보면, 벽면(10)의 원활하고 견고한 고정 설치를 위해서, 상기 벽면(10)을 지지 또는 거치할 수 있는 수직빔(200)과 수평빔(300)이 사용되게 된다
특히, 상기 수직빔(200)은, 건축물 외벽(70)에 고정된 채로 외부로 돌출형성되는 브라켓(100)에 의해 거치 되게 된다.
상기 브라켓(100)은, 상기 수직빔(200)을 거치하기 위해 상기 수직빔(200)의 양 측면에 배치되되, 상기 수직빔(200)의 측면에 밀착되는 거치면(160)과, 건축물 외벽에 고정되는 고정면(170)을 갖으며 측단면이 90°각도를 갖는 엘보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브라켓(100)은, 상기 수직빔(200)을 사이에 두고 상호 마주보며 대항 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과적으로 상기 수직빔(200)은, 한 쌍으로 대항 되게 마주보는 상기 브라켓(100) 사이마다 배치되어 상기 브라켓(100)에 의해 거치 되게 된다.
상기 브라켓(100)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 개가 배치되며, 상기 수직빔(200) 또한 등 간격을 갖으며 다수 개가 배치되되 한 쌍의 상기 브라켓(100) 사이에 위치되게 된다.
상기 브라켓(100)은, 다수 개의 관통된 장홈(120)을 포함한다.
상기 수직빔(200)은, 관통형성된 다수 개의 고정홈(21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브라켓(100)의 상기 외벽(70)과 밀착되는 면은, 상기 장홈(120)에 결합 되는 앵커볼트(110)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브라켓(100)의 상기 수직빔(200)과 밀착되는 면은, 상기 수직빔(200)을 사이에 두고 좌우에 배치된 상기 브라켓(100)의 상기 장홈(120)과 상기 고정홈(210)을 동시에 관통하여 연결고정하는 전산볼트(220)에 의해 결합된다.
이때, 상기 앵커볼트(110)와 상기 전산볼트(220)는 나사(50)에 의해 조여져 각각 상기 브라켓(100)의 상기 고정면(170)이 상기 외벽(70)에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브라켓(100)의 상기 거치면(160)이 상기 수직빔(200)의 측면에 밀착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기 수직빔(200)의 상기 고정홈(210)에는, 상기 벽면(10)이 상기 수직빔(200)에 연결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앵글(30)이 고정 배치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수직빔(200)은, 상기 고정홈(210)에 연결형성되는 상기 고정앵글(30)을 통하여 다수 개의 사각 판 형태의 상기 벽면(10)을 거치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수직빔(200)이 다수 개의 상기 벽면(10)을 거치하게 되면, 많은 하중을 받게 되는데, 다수 개의 상기 수직빔(200)에 수평 방향으로 고정연결되는 다수 개의 상기 수평빔(300)에 의해 상기 수직빔(200)은 상기 벽면(10)을 견고하게 거치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수평빔(300)은, 상기 수직빔(200)과 상기 벽면(10) 사이에 배치되어 사수 개의 상기 수직빔(200)을 수평방향으로 동시에 연결고정하게 된다.
상기 수평빔(300)은, 사각 관 형태로 형성되되, 길이방향으로 홈이 형성되는 슬릿홈(31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직빔(200)과 상기 수평빔(300)이 교차 되는 위치에는, 상기 수직빔(200)과 상기 수평빔(300)에 동시에 고정되는 다수 개의 밴드편(400)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밴드편(400)은, 상기 수직빔(200)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수직빔(200)과 상기 수평빔(300)이 교차 되는 위치에서 상기 수직빔(200)과 상기 수평빔(300)에 동시에 고정되게 된다.
이때, 상기 밴드편(400)은, 상기 수직빔(200)과 상기 수평빔(300)에 동시에 연결되기 위한 단층이 형성되고 상기 슬릿홈(310)에서 유동 가능한 앵커볼트(110)와, 상기 수직빔(200)에 고정되는 상기 앵커볼트(110)와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다수 개의 볼트홈(41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밴드편(400)의 상기 볼트홈(410)과 상기 수직빔(200)의 상기 고정홈(210)을 동시에 관통하는 상기 앵커볼트(110)는 나사(50)에 의해 조여진 채로, 상기 밴드편(400)과 상기 수직빔(200)에 고정형성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밴드편(400)은, 상기 수직빔(200)과 상기 수평빔(300)에 동시에 고정연결되면서, 상기 수직빔(200)이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특히, 상기 수평빔(300)은, 길이방향으로 중공 된 채로 슬릿홈(310)을 포함하고, 상기 슬릿홈(310)에 연결되는 고정앵글(30)을 통해 상기 벽면(10)이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밴드편(400)은, 상기 수직빔(200)과 상기 수평빔(300)에 동시에 연결되기 위한 층이 형성되고 상기 슬릿홈(310)에서 유동 가능한 앵커볼트(110)와, 상기 수직빔(200)에 고정되는 상기 앵커볼트(110)와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다수 개의 볼트홈(410)을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수평빔(300)의 상기 슬릿홈(310)에는, 상기 벽면(10)이 상기 수직빔(200)에 연결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앵글(30)이 고정 배치된다.
상기 수평빔(300)은, 상기 슬릿홈(310)에 연결형성되는 상기 고정앵글(30)을 통하여 다수 개의 사각 판 형태의 상기 벽면(10)을 거치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수평빔(300)은, 상기 슬릿홈(210)에 연결형성되는 상기 고정앵글(30)을 통하여 다수 개의 사각 판 형태의 상기 벽면(10)을 거치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구성을 통하여, 건물의 벽면에 판 구조물을 고정하여 외장 패널을 설치시 용접작업 없이 판 구조물을 건물의 벽면에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 벽면 20 : 슬라브
30 : 고정앵글 50 : 나사
70 : 외벽
100 : 브라켓 110 : 앵커볼트
120 : 장홈 160 : 거치폄
170 : 고정면
200 : 수직빔 210 : 고정홈
220 : 전산볼트 250 : 연결편
260 : 연결홈
300 : 수평빔 310 : 슬릿홈
400 : 밴드편 410 : 볼트홈

Claims (10)

  1. 금속재의 외장 패널을 이용하여 건축물 외벽에 가공된 판 형태의 벽면(10)을 시공하기 위한 건축물 커튼월 시공장치에 있어서,
    건축물의 층간에 설치되는 슬라브(20)에 고정된 채로 돌출형성되고 측단면이 90°각도를 갖는 엘보 형태로 이루어지는 다수 개의 브라켓(100);
    한 쌍으로 대항 되게 마주보는 상기 브라켓(100) 사이마다 배치되어 상기 브라켓(100)에 의해 거치 되고, 상기 벽면(10)이 고정앵글(30)을 통해 거치될 수 있도록 하는 수직 사각 관 형태의 수직빔(200);
    상기 수직빔(200)과 상기 벽면(10) 사이에 배치되어 다수 개의 상기 수직빔(200)을 수평방향으로 동시에 연결고정하는 다수개의 수평빔(300); 및
    상기 수직빔(20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되, 상기 수직빔(200)과 상기 수평빔(300)이 교차 되는 위치에서 상기 수직빔(200)과 상기 수평빔(300)에 동시에 고정되는 다수 개의 밴드편(400);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빔(200)은 상기 밴드편(400)과 연결되는 부위에 다수의 고정홈(210)이 형성되며,
    상기 수평빔(300)은 길이방향으로 슬릿홈(310)이 형성되고,
    상기 밴드편(400)은 상기 수직빔(200)과 상기 수평빔(300)에 동시에 연결되기 위한 층이 형성되고 상기 슬릿홈(310)에서 유동 가능한 앵커볼트(110)와, 상기 수직빔(200)에 고정되는 상기 앵커볼트(110)와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다수 개의 볼트홈(410)을 포함하는 건축물 커튼월 시공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100)은,
    상기 슬라브(20) 상면에 일부가 배치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벽면(10)이 설치되는 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수직빔(200)과 연결되되, 다수 개의 관통된 장홈(120)이 포함되고,
    상기 수직빔(200)은,
    관통형성된 다수 개의 고정홈(210)이 포함되며,
    상기 브라켓(100)의 상기 슬라브(20)와 밀착되는 면은,
    상기 장홈(120)에 결합 되는 앵커볼트(110)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브라켓(100)의 상기 수직빔(200)과 밀착되는 면은,
    상기 수직빔(200)을 사이에 두고 좌우에 배치된 상기 브라켓(100)의 상기 장홈(120)과 상기 고정홈(210)을 동시에 관통하여 연결고정하는 전산볼트(220)에 의해 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커튼월 시공장치.
  3. 삭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100)과 연결되는 부위에 형성된 상기 고정홈(210)은,
    상기 브라켓(100)이 상기 수직빔(200)의 측면에 연결고정시, 상기 고정홈(210)과 상기 장홈(120)의 위치가 상호 어긋나는 것을 보완하기 위하여 수직 방향으로 최소한 상기 전산볼트(220)의 직경 보다 2배 이상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커튼월 시공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빔(200)과 연결되는 부위에 형성된 상기 장홈(120)은,
    상기 고정홈(210)과 상기 장홈(120)의 위치가 상호 어긋나는 것을 보완하기 위하여 수평방향으로 최소한 상기 전산볼트(220)의 직경 보다 2배 이상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커튼월 시공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편(400)과 연결되는 부위에 형성된 상기 고정홈(210)은,
    상기 고정홈(210)과 상기 볼트홈(410)의 위치가 상호 어긋나는 것을 보완하기 위하여 수직방향으로 최소한 상기 앵커볼트(110)의 직경 보다 2배 이상 길게 형성되고,
    상기 볼트홈(410)은,
    상기 고정홈(210)과 상기 볼트홈(410)의 위치가 상호 어긋나는 것을 보완하기 위하여 수직방향으로 최소한 상기 앵커볼트(110)의 직경 보다 2배 이상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커튼월 시공장치.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빔(200)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상기 수직빔(200)과 다른 수직빔(200)을 상호 연결고정하는 연결편(25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편(250)은,
    상기 고정홈(210)과 대응되는 위치에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는 연결홈(260)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홈(210)과 상기 연결홈(260)은, 상기 앵커볼트(110)에 의해 상호 연결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커튼월 시공장치.
  8. 석재 또는 금속재의 외장 패널을 이용하여 건축물 외벽에 가공된 판 형태의 벽면(10)을 시공하기 위한 건축물 커튼월 시공장치에 있어서,
    사각 관 형태의 수직빔(200);
    상기 수직빔(200)을 거치하기 위해 상기 수직빔(200)의 양 측면에 배치되되, 상기 수직빔(200)의 측면에 밀착되는 거치면(160)과, 건축물 외벽(70)에 고정되는 고정면(170)을 갖으며 측단면이 90°각도를 갖는 엘보 형태로 이루어지는 다수 개의 브라켓(100);
    상기 수직빔(200)과 상기 벽면(10) 사이에 배치되어 다수 개의 상기 수직빔(200)을 수평방향으로 동시에 연결고정하는 다수개의 수평빔(300); 및
    상기 수직빔(20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되, 상기 수직빔(200)과 상기 수평빔(300)이 교차 되는 위치에서 상기 수직빔(200)과 상기 수평빔(300)에 동시에 고정되는 다수 개의 밴드편(400);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빔(200)은 상기 밴드편(400)과 연결되는 부위에 다수의 고정홈(210)이 형성되며,
    상기 수평빔(300)은 길이방향으로 슬릿홈(310)이 형성되고, 상기 슬릿홈(310)에 연결되는 고정앵글(30)을 통해 상기 벽면(10)이 배치되며,
    상기 밴드편(400)은 상기 수직빔(200)과 상기 수평빔(300)에 동시에 연결되기 위한 층이 형성되고 상기 슬릿홈(310)에서 유동 가능한 앵커볼트(110)와, 상기 수직빔(200)에 고정되는 상기 앵커볼트(110)와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다수 개의 볼트홈(410)을 포함하는 건축물 커튼월 시공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100)은,
    다수 개의 관통된 장홈(120)이 포함되고,
    상기 수직빔(200)은,
    관통형성된 다수 개의 고정홈(210)이 포함되며,
    상기 브라켓(100)의 상기 외벽(70)과 밀착되는 상기 고정면(170)은,
    상기 장홈(120)에 결합 되는 앵커볼트(110)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브라켓(100)의 상기 수직빔(200)과 밀착되는 상기 거치면(160)은,
    상기 수직빔(200)을 사이에 두고 좌우에 배치된 상기 브라켓(100)의 상기 장홈(120)과 상기 고정홈(210)을 동시에 관통하여 연결고정하는 전산볼트(220)에 의해 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커튼월 시공장치.
  10. 삭제
KR1020120015722A 2012-02-16 2012-02-16 건축물 커튼월 시공장치 KR1013603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5722A KR101360371B1 (ko) 2012-02-16 2012-02-16 건축물 커튼월 시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5722A KR101360371B1 (ko) 2012-02-16 2012-02-16 건축물 커튼월 시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4462A KR20130094462A (ko) 2013-08-26
KR101360371B1 true KR101360371B1 (ko) 2014-02-10

Family

ID=49218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5722A KR101360371B1 (ko) 2012-02-16 2012-02-16 건축물 커튼월 시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03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56924A (zh) * 2015-10-09 2016-01-20 江苏南方雄狮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构件式幕墙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32452B (zh) * 2015-11-26 2017-10-13 中国航空规划设计研究总院有限公司 一种顶部设有钢桁架的拉索幕墙支承体系及其施工方法
KR102107971B1 (ko) 2019-08-01 2020-05-07 (주)삼우에이피엔 무용접 외장 패널 트러스
KR102315422B1 (ko) * 2020-12-21 2021-10-19 최진호 방향전환 브라켓과 직립식 앵커를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용 말뚝 보강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흙막이 가시설 및 이의 시공 방법
CN115162589A (zh) * 2022-07-07 2022-10-11 苏州金螳螂幕墙有限公司 一种装配式高精度免焊框架幕墙连接结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062Y2 (ko) * 1981-02-10 1988-01-26
KR200385723Y1 (ko) * 2005-03-02 2005-06-03 채창석 건축용 내외장 석재패널 고정구조물
KR20090007137U (ko) * 2008-01-10 2009-07-15 기세진 석재마감용 채널 연결구조
KR20120007568A (ko) * 2010-07-01 2012-01-25 박재민 현장용접 없이 시공 가능한 건물의 외벽시공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062Y2 (ko) * 1981-02-10 1988-01-26
KR200385723Y1 (ko) * 2005-03-02 2005-06-03 채창석 건축용 내외장 석재패널 고정구조물
KR20090007137U (ko) * 2008-01-10 2009-07-15 기세진 석재마감용 채널 연결구조
KR20120007568A (ko) * 2010-07-01 2012-01-25 박재민 현장용접 없이 시공 가능한 건물의 외벽시공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56924A (zh) * 2015-10-09 2016-01-20 江苏南方雄狮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构件式幕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4462A (ko) 2013-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0371B1 (ko) 건축물 커튼월 시공장치
US9683372B2 (en) Stair systems and wall assemblies comprising same
KR20180092677A (ko) 건축물 외장 마감재 고정구조
KR102107971B1 (ko) 무용접 외장 패널 트러스
KR20140049413A (ko) 벽체 외장설비
KR100739338B1 (ko) 건축 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KR101712848B1 (ko) 건축물의 내,외장패널 고정장치
JP6431876B2 (ja) 外壁パネルを固定するための固定金物
KR101281490B1 (ko) 건물 외벽의 금속패널 시공장치
KR200470819Y1 (ko) 스터드기능을 갖는 조립형 스퀘어바
KR101712851B1 (ko) 건축물의 내,외장패널 고정장치
JP3125462U (ja) 金属製屋根組みの支柱と桁との連結装置
KR200452023Y1 (ko) 비계용 클램프어셈블리
JP7156885B2 (ja) 腰壁パネルの固定構造
CN112502344A (zh) 一种轻钢龙骨石膏板吊顶施工工艺
JP2008163697A (ja) 型枠構造
KR20150107367A (ko) 압출성형시멘트패널을 이용한 지하 이중벽 조립체
KR100373628B1 (ko) 고정바를 이용한 천정판넬의 시공구조
JP7074534B2 (ja) 仮設建物の壁構造とその施工方法
KR101273087B1 (ko) 종벽 록킹구법에 의한 에이엘씨 패널 설치방법
CN212176408U (zh) 一种墙面板材结构
CN211072324U (zh) 一种焊接辅助工具
KR101272990B1 (ko) 에이엘씨 벽 패널과 슬래브를 연결하는 엘형 클립앵글
JP7409780B2 (ja) 吊り足場用吊具及び吊り足場
KR20090112237A (ko) 건축물 외장재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