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3688B1 - 건물 외장재 설치용 빔 - Google Patents

건물 외장재 설치용 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3688B1
KR101293688B1 KR1020110110103A KR20110110103A KR101293688B1 KR 101293688 B1 KR101293688 B1 KR 101293688B1 KR 1020110110103 A KR1020110110103 A KR 1020110110103A KR 20110110103 A KR20110110103 A KR 20110110103A KR 101293688 B1 KR101293688 B1 KR 1012936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installation
wall
support surface
exteri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0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5712A (ko
Inventor
김종성
Original Assignee
김종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성 filed Critical 김종성
Priority to KR1020110110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3688B1/ko
Publication of KR20130045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57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3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36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6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extending into the back side of the covering elements
    • E04F13/0819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extending into the back side of the covering elements inserted into grooves in the back side of the cover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외벽 또는 건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트러스에 다수개의 외장재를 설치하기 위한 빔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마주하는 두 면과 상기 두 면을 연결하는 한 면에 의해 "H"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두 면과 한 면 사이에 절곡되는 코너 부분에는 보강 리브가 형성됨에 따라, 빔의 구조적 안정성을 높여 외장재의 설치에 따른 안전성과 미감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건물 외장재 설치용 빔을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건물 외장재 설치용 빔{BEAM FOR EXTERIOR MATERIAL OF BUILDING}
본 발명은 건물의 외벽에 다수의 외장재를 안정적으로 설치하기 위한 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외벽에 대리석이나 화강암 또는 인조석과 같은 외장재를 설치하기 위한 수단으로 여러 형태의 빔이 제공되고 있다.
상기 빔의 한 실시 예로서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한 대한민국 특허 제0739338호(등록일자 2007. 07. 07.)에는 다수개의 외장재를 건물의 외벽 또는 건물의 외벽에 설치된 트러스에 설치하기 위한 "ㄷ"형상의 빔이 개재되어 있다.
상기 빔(10)에 대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마주하는 두 설치면(11a, 11b)과 상기 두 설치면의 단부를 연결하는 한 지지면(12)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빔(10)은 두 설치면(11a, 11b) 중 일측면이 상기 외벽(1) 또는 트러스에 체결되고, 타측면에 상기 외장재(2)를 체결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빔은 다수개의 외장재(2)를 설치할 수 있도록 길게 형성되며, 건물의 외벽(1)에 대하여는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설치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의 종래 빔(10)에 의하면 마주하는 두 설치면(11a, 11b)과 상기 두 설치면을 연결하는 한 지지면(12)이 직각으로 절곡된 "ㄷ" 형태로 되어 있으므로, 큰 하중의 외장재(2)를 지지하는데 있어서 구조적으로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빔(10)을 수평방향으로 놓고 그 일측면을 외벽(1)이나 트러스에 수평방향으로 설치한 상태에서 그 타측면에 다수개의 외장재(2)를 설치할 경우, 상기 외장재(2)의 하중에 의해 두 설치면(11a, 11b)과 한 지지면(12)이 접하는 부분에서 휘어지거나 꺾이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현상에 의하면 외장재(2)가 처지면서 기우는 현상이 발생하여 전체적으로 안전성에 대한 심각한 원인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시각적으로도 미감이 저하되는 등 여러 문제가 야기될 수밖에 없다.
본 발명은 건물의 외벽이나 외벽에 설치된 트러스에 다수개의 외장재를 설치하기 위한 빔의 구조적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건물 외장재 설치용 빔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건물의 외벽 또는 건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트러스에 다수개의 외장재를 설치하기 위한 빔에 있어서, 마주하는 두 설치면과 상기 두 설치면을 연결하는 한 지지면에 의해 "H"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두 설치면과 한 지지면 사이에 접하는 코너 부분에는 보강 리브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마주하는 두 설치면의 높이에 대하여 상기 한 지지면이 형성되는 높이는 2/3 내지 4/5 지점이다.
상기 빔은 인발 성형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인발 성형된 빔의 마주하는 두 설치면에는 다수개의 체결구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의 건물 외장재 설치용 빔에 의하면 "H" 형태로 형성되면서 직각으로 절곡된 코너 부분의 보강 리브에 의해 구조적 안정성을 높임으로써, 외장재의 설치에 따른 안전성과 미감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건물 외장재 설치용 빔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건물 외장재 설치용 빔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건물 외장재 설치용 빔을 도시한 사시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본 발명의 건물 외장재 설치용 빔(100)에 의하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주하는 두 설치면(110a, 110b)과 상기 두 설치면을 연결하는 한 지지면(120)에 의해 "H"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두 설치면과 한 지지면 사이에 접하는 코너 부분에는 보강 리브(130)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빔(100)의 구조를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두 설치면(110a, 110b)은 서로 수평인 상태로 나란하게 형성되며, 상기 한 지지면(120)은 두 설치면(110a, 110b)에 대하여 직각인 상태로 형성되어 그 단부가 "H"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두 설치면(110a, 110b)과 한 지지면(120)이 접하는 부분 즉, 두 설치면(110a, 110b)과 한 지지면(120)이 만나는 코너 부분에는 보강 리브(130)가 형성된다.
상기 보강 리브(130)는 구조적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 코너 부분에 모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면(120)은 도면상 좌우 폭이 상기 두 설치면(110a, 110b)의 상하 폭 보다 크지 않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면(120)은 도면상 두 설치면(110a, 110b)의 높이에 대하여 2/3 내지 4/5 지점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지지면(120) 하부의 두 설치면(110a, 110b)에 의해 일측에는 상기 외벽(1) 또는 트러스를 타측에는 상기 외장재(2)를 설치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두 설치면(110a, 110b)에는 각각 체결구(140a, 140b)가 형성된다. 즉, 상기 두 설치면(110a, 110b) 중 일측에는 상기 외벽(1)의 앵커볼트 또는 외벽에 설치된 트러스에 별도의 볼트를 이용하여 체결할 수 있도록 체결구(140a)를 형성하는 한편, 타측에는 상기 외장재의 앵커볼트를 체결할 수 있도록 체결구(140b)를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두 설치면(110a, 110b)에 형성된 체결구(140a, 140b)는 앞서 설명된 앵커볼트 또는 볼트에 각각 대응하여 서로 다른 간격과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두 설치면(110a, 110b)과 한 지지면(120)이 "H" 형태로 형성되면서 상호 접하는 코너 부분에 상기 보강 리브(130)를 형성함으로써, 두 설치면(110a, 110b)이 외장재(2)의 무게에 의해 기울거나 꺾이는 등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정된 구조를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의 빔(100)은 실시 예로서 인발 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은 구조의 빔(100)을 인발에 의해 성형하면서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용접 등에 의해 형성되는 빔에 비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빔(100)은 알루미늄 재질로서 인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빔(100)을 인발 성형할 경우 상기 체결구(140a, 140b)는 인발 성형후 별도의 공정을 통해 관통 형성한다. 이와 같이 관통 형성되는 체결구(140a, 140b)는 일측 설치면(110a)에 대하여는 상기 외벽(1)에 기 설치된 앵커볼트 또는 상기 트러스의 체결구에 대응하여 관통하는 한편, 타측 설치면(110b)에 대하여는 상기 외장재(2)에 기 설치되는 앵커볼트에 대응하여 관통 형성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H" 형태로 형성되면서 직각으로 절곡된 코너 부분의 보강 리브(130)에 의해 구조적 안정성을 높임으로써, 외장재(2)의 설치에 따른 안전성과 미감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1: 외벽 2: 외장재
100: 빔 110a, 110b: 설치면
120: 지지면 130: 보강 리브
140a, 140b: 체결구

Claims (4)

  1. 건물의 외벽(1) 또는 건물의 외벽(1)에 설치되는 트러스에 다수개의 외장재(2)를 설치하기 위한 빔(100)으로, 마주하는 두 설치면(110a, 110b)과 상기 두 설치면(110a, 110b)을 연결하는 한 지지면(120)에 의해 "H"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두 설치면(110a, 110b)과 한 지지면(120) 사이에 접하는 코너 부분에는 보강 리브(130)가 형성된 건물 외장재 설치용 빔(100)에 있어서,
    상기 마주하는 두 설치면(110a, 110b)의 높이에 대하여 상기 한 지지면(120)이 형성되는 높이는 2/3 내지 4/5 지점으로 적용되며,
    상기 빔(100)은 인발 성형에 의해 일체 형성되는 한편 상기 인발 성형된 빔(100)의 마주하는 두 설치면(110a, 110b)에는 다수개의 체결구(140a, 140b)를 관통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외장재 설치용 빔.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10110103A 2011-10-26 2011-10-26 건물 외장재 설치용 빔 KR1012936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0103A KR101293688B1 (ko) 2011-10-26 2011-10-26 건물 외장재 설치용 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0103A KR101293688B1 (ko) 2011-10-26 2011-10-26 건물 외장재 설치용 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5712A KR20130045712A (ko) 2013-05-06
KR101293688B1 true KR101293688B1 (ko) 2013-08-06

Family

ID=48657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0103A KR101293688B1 (ko) 2011-10-26 2011-10-26 건물 외장재 설치용 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36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69223B (zh) * 2018-11-09 2021-02-02 宁夏大学 一种绿色外维护墙体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8284Y1 (ko) * 2004-12-15 2005-03-11 (주)대동석재공업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KR100739338B1 (ko) * 2007-03-28 2007-07-13 김종성 건축 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KR20090090845A (ko) * 2008-02-22 2009-08-26 (주)대동석재공업 건축물벽면의 외장판넬 고정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8284Y1 (ko) * 2004-12-15 2005-03-11 (주)대동석재공업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KR100739338B1 (ko) * 2007-03-28 2007-07-13 김종성 건축 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KR20090090845A (ko) * 2008-02-22 2009-08-26 (주)대동석재공업 건축물벽면의 외장판넬 고정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5712A (ko) 2013-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0862B1 (ko) 건물의 벽체 패널 설치용 프레임 구조체를 사용한 벽체 패널 설치 장치
US20200048894A1 (en) Finishing panel fixing device
US20170101784A1 (en) Locking and regulation device for panels and slabs
WO2012105858A1 (en) A fire protection system for wide flange steel columns and beams
KR20200109559A (ko) 건축물 내외장재 및 트러스 프로파일 고정용 브라켓
KR101137960B1 (ko) 트러스 조립체
KR102168881B1 (ko) 교량 점검시설물의 보강 구조체
KR101293688B1 (ko) 건물 외장재 설치용 빔
KR101870676B1 (ko) 조립형 울타리
KR20120028762A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와 데크플레이트의 합성보
KR101327784B1 (ko) 높이 조절용 데크 플레이트
KR101422687B1 (ko) 인도교
JP4650317B2 (ja) 耐力壁パネルの取付方法、耐力壁パネル、建築構造物
JP2016079767A (ja) 吊り天井構造
KR101770393B1 (ko) 내장재 고정용 클립
JP6869789B2 (ja) 外壁改修構造
JP2007247220A (ja) Alc壁パネルの取付構造
JP2017020208A (ja) ユニット式建物の構造
JP5486200B2 (ja) 浴室用吊り架台
KR101336668B1 (ko) 트러스 조립체
RU2808814C1 (ru) Навесная вентилируемая фасадная система стены здания
JP6096659B2 (ja) 木造軸組建物
JP2018178708A (ja) 吊り天井構造
JP6265677B2 (ja) 外部張出し構造
JP6839740B2 (ja) 仕上げ材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