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8936B1 - 경사 조절이 가능한 교량 전차 - Google Patents

경사 조절이 가능한 교량 전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8936B1
KR100738936B1 KR1020060033114A KR20060033114A KR100738936B1 KR 100738936 B1 KR100738936 B1 KR 100738936B1 KR 1020060033114 A KR1020060033114 A KR 1020060033114A KR 20060033114 A KR20060033114 A KR 20060033114A KR 100738936 B1 KR100738936 B1 KR 1007389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inclination
tank
temporary
tr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3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성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템
Priority to KR10200600331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89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8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89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12Portable or sectional bridges
    • E01D15/127Portable or sectional bridges combined with ground-supported vehicles for the transport, handling or placing of such bridges or of sections thereof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02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 G01S17/06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 G01S17/08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for measuring distance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을 가설하는 교량 전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경사 감지기와 레이저 거리 측정기 및 경사 조절을 위한 실린더를 형성함으로써, 가설되는 교량의 안전성을 높임과 동시에 가설 가능 범위를 확장토록 한 경사 조절이 가능한 교량 전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가교를 갖는 교량 전차는, 그 전면 중앙부로는 교량의 가설 위치 선정을 위한 레이저 거리 측정기(210)를 형성하고, 중앙 바닥면(201)으로는 종 경사 및 횡 경사의 값을 측정하는 전차 경사 감지기(220)를 형성하며, 상기 가교(250)의 밑면 각 단부에는 각각 독립적으로 동작 가능한 경사 조절 실린더(252)가 형성되고, 밑면 중앙부로는 각각 설치된 교량의 종 경사 및 횡 경사 각을 감지하는 교량 경사 감지기(251)로 이루어진다.
교량 전차, 거리측정기, 경사 감지기

Description

경사 조절이 가능한 교량 전차{The bridge tank where the inclined control is possible}
도 1은, 종래의 교량 전차를 나타낸 사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가교가 제거된 교량 전차에 초음파센서 및 전차 경사감지기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교가 제거된 교량 전차에 레이저거리측정기 및 전차 경사 감지기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설실린더 및 교량 경사 감지기가 설치된 가교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전차의 가설동작 전/후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전차의 가설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전차의 가설 동작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1 : 전차 바닥면 210 : 레이저거리측정기
220 : 전차 경사 감지기 230, 203-1 : 인터페이스센서
250 : 가교 251 : 교량 경사 감지기
252 : 경사 조절 실린더 200, 200-1 : 측정부
300, 300-1 : 제어부 310, 310-1 : 롬(ROM)
320, 320-1 : 램(RAM) 330, 3301-1 : 마이크로프로세서
400, 400-1 : 표시부 410, 410-1 : 가설안전도 표시창
420 : 가설 가능등 430 : 경고등
440 : 경고부저 450 : 교량가설 블로킹
460 : 가설 완료등
본 발명은 야전에서 계곡 등에 전차나 장비, 병력이 이동할 수 있는 교량을 가설하는 교량 전차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교량 전차와 전차에 탑재된 가교에 경사 감지기와 레이저 거리 측정기 및 경사 조절을 위한 실린더를 형성함으로써, 가설되는 교량의 안전성을 높임과 동시에 가설 가능 범위를 확장토록 한 경사 조절이 가능한 교량 전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 전차는, 적에게 공간적, 시간적 여유를 허용하지 않고 다리가 없는 강, 계곡 등과 같은 곳에 임시로 교량을 설치하여 기갑부대 등의 여러 탑승장비와 보병대를 이동시키는 즉각적인 기동로를 확보함으로써, 공격기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수단이다.
그러나, 종래의 교량 전차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교(150)를 갖는 교량 전차의 전/후방 하단부에 설치되어 지면과 교량 전차와의 거리를 파 악하는 초음파 감지센서(120)와, 교량 전차의 내부에 설치되어 지반 위에 위치하고 있는 교량 전차의 종 경사와 횡 경사의 값을 산출하는 전차 경사 감지기(110)와, 상기 초음파감지센서(120)와 전차 경사 감지기(110)에서 받은 데이터를 제어부(미도시)에서 처리하기 위한 데이터로 변경해주는 인터페이스 센서(미도시)를 포함하는 감지부 등에 의해, 측정값과 기준 값을 비교하여 교량 전차의 전복 위험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만이 알려져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교량 전차는 초음파 감지센서(120)에서 측정된 지면과 전차와의 거리를 기준 값과 비교하고, 전차 경사 감지기(110)에서 측정된 종 경사 및 횡 경사 값을 가설 가능한 기준 값과 비교함으로써, 지면과 전차와의 경사각 차이를 알 수 있기 때문에 과다한 경사각 차이가 발생하는 지역에의 교량 설치를 피함으로써, 전복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으나, 여전히 전차와 교량이 놓여 지게 될 예컨대, 강이나, 계곡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지면과의 거리는 정확히 측정할 수 없었기에, 최적의 교량을 가설하기 위한 위치의 선정은, 사람의 육안으로 설치가능한 거리와 경사 가능범위를 판단함으로써, 가설 위치의 선정이 어렵고 가설의 안정성이 낮으며, 또한 경사지의 경사가 허용범위를 넘을 경우 교량의 가설이 불가능한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사람의 육안으로 측정하던 전차와 지면의 경사와 강이나, 계곡 등의 가설지역의 가설가능거리를 레이저 거리 측정기와 실린더로 정확한 값을 신속히 측정 함과 동시에 가설이 불가한 경사 지역에서도 경사각을 조정하여 교량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한 경사 조절이 가능한 교량 전차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경사 조절이 가능한 교량 전차는, 그 전면 중앙부로는 교량의 가설 위치 선정을 위한 레이저 거리 측정기를 형성하고, 중앙 바닥면으로는 종 경사 및 횡 경사의 값을 측정하는 전차 경사 감지기를 형성하며, 상기 가교의 밑면 각 단부에는 각각 독립적으로 동작 가능한 경사 조절 실린더가 형성되고, 밑면 중앙부로는 각각 설치된 교량의 종 경사 및 횡 경사 각을 감지하는 교량 경사 감지기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경사 조절이 가능한 교량 전차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교가 제거된 교량 전차에 레이저거리측정기 및 전차 경사 감지기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설실린더 및 교량 경사 감지기가 설치된 가교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교량 전차의 중앙부 바닥면(201)에는 전차 경사 감지기(22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전차 경사 감지기(220)는 교량 전차가 위치하고 있는 지면의 종(縱) 경사 및 횡(橫) 경사를 측정한다.
또, 교량 전차의 전면부 중앙에는 교량의 가설 위치 선정을 위한 레이저거리측정기(21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레이저거리측정기(210)는 교량이 가설될 강이 나, 계곡 등, 가설지역의 거리를 측정한다.
또한, 가교(250)의 밑면 각 단부에는 교량 경사 조절 실린더(252)가 설치되어 있고, 밑면 중앙부에는 설치된 가교(250)의 종 경사 및 횡 경사의 값을 측정하는 교량 경사 감지기(25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교량 경사 감지기(251)에 의해, 설치된 가교(250)의 경사각이 측정되면, 교량 경사 조절 실린더(252)는 설치된 교량의 경사각을 보상하여 수평으로 조절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교량 경사 조절용 실린더(252)는 유압식 실린더나 공압식 실린더 중, 어느 것으로 구성시켜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교량 전차를,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가설 동작 전의 구성으로는, 교량 전차의 가교와 차체에 설치된 레이저거리측정기(210)와 전차 경사 감지기(220)로부터 교량이 가설될 강이나, 계곡 등, 가설지역의 거리 측정과, 전차가 위치한 지면 상태를 측정하는 측정부(200)와, 상기 측정부(200)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기 내장된 가설가능 데이터와 비교하여 처리하는 제어부(300)와, 상기 제어부(300)에서 처리된 데이터에 상응하는 설정 상황을 외부로 알리고 조치하는 표시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측정부(200)는, 교량 전차가 위치하고 있는 지면의 종(縱) 경사 및 횡(橫) 경사를 측정하는 전차 경사 감지기(220)와, 교량이 가설될 강이나, 계곡 등, 가설지역의 가능 거리를 측정하는 레이저거리측정기(210)와, 상기 전차 경사 감지기(220)와 레이저거리측정기(210)에서 받은 데이터를 제어부에서 처리하기 위한 데이터로 변경해 주는 인터페이스 센서(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측정부(200)에서 받은 데이터를 롬(ROM)(310)에 내장된 데이터와 비교하고, 그 값에 따른 조치 결과를 출력하는 마이크로프로세스(330)와, 교량 가설이 가능한 기준 데이터가 내장되어 있는 롬(310)과,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스(330)에서 처리한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램(RAM)(3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표시부(400)는 상기 제어부(300)로부터 가설가능 데이터를 받았을 때, 가설 안전도를 표시하는 가설안전도 표시창(410) 및 가설가능 알림등(420)과, 상기 제어부(300)로부터 가설 불가능 데이터를 받았을 때, 점등되는 경고등(430) 및 경고부저(440)와, 상기 제어부(300)로부터 가설 불가능 데이터를 받았을 때, 동작하는 교량 가설 블로킹(4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가설 동작 후의 구성으로는, 교량 전차의 가교에 설치된 교량 경사 감지기(251)로부터 가설된 교량의 상태를 측정하는 측정부(200-1)와, 상기 측정부(200-1)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기 내장된 가설가능 데이터와 비교하여 처리하는 제어부(300-1)와, 상기 제어부(300-1)에서 처리된 데이터에 상응하는 설정 상황을 외부로 알리고 조치하는 표시부(400-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측정부(200-1)는, 교량 전차에 의해 가설된 교량의 종(縱) 경사 및 횡(橫) 경사를 측정하는 교량 경사 감지기(251)와, 상기 교량 경사 감지기(251)에서 받은 데이터를 제어부에서 처리하기 위한 데이터로 변경해 주는 인터 페이스 센서(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 상기 제어부(300-1)는, 상기 측정부(200-1)에서 받은 데이터를 롬(ROM)(310-1)에 내장된 데이터와 비교하고, 그 값에 따른 조치 결과를 출력하는 마이크로프로세스(330-1)와, 교량 가설이 가능한 기준 데이터가 내장되어 있는 롬(310-1)과,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스에서 처리한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램(RAM)(320-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표시부(400-1)는 상기 제어부(300-1)로부터 가설 안전도에 대한 데이터를 받았을 때, 가설 안전도를 표시하는 가설안전도 표시창(410-1)과, 상기 제어부(300-1)로부터 가설안전도에 대한 데이터를 받았을 때, 가설된 교량의 종 경사 및 횡 경사의 기준 경사각이 초과될 경우에 동작하는 가설 실린더(470)와, 상기 제어부(300-1)로부터 가설완료 데이터를 받았을 때, 점등되는 가설 완료등(4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를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승무원이 교량을 가설할 위치를 결정하고 교량 전차를 정지시킨 후, 레이저거리측정기(210)를 이용하여 교량이 가설될 위치의 거리, 즉 가교가 놓여 질 수 있는 거리인지 여부를 측정하고, 전차 경사 감지기(220)로는 전차가 정지하고 있는 지면의 종 경사 및 횡 경사를 측정한다.(S10, S20)
그리고, 상기 단계(S10, S20)에서 획득한 데이터를 제어부(300)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종합하고 변환(S30)한다.
여기서, 상기 레이저거리측정기(210)에서 측정된 교량 전차와 가교(250)가 설치될 강, 계곡 등과의 가설거리는 롬(310)에 저장된 가설거리 및 최대가설거리 데이터와 비교하고, 전차 경사 감지기(120)에서 측정된 값은 기준 값과 비교되어 가설안전도 표시창(410)에 가설안전도가 표시(S40) 된다.
또한, 상기 레이저거리측정기(210)에서 측정된 강이나 계곡의 거리가 가설 가능한 거리 이내이면 가설 가능 등(420)이 점등(S80)되고, 최대 가설 가능한 거리보다 멀면 가설이 불가능한 거리로서, 경고등(430)이 점등(S90)됨과 동시에 경고부저(440)에 의해 경고음이 발생(S100) 된다.
또, 상기 전차 경사 감지기(220)에서 측정된 경사 값 역시, 롬(310)에 저장된 가설 가능 각과 비교(S60, S70)하고, 전차 차체와 지면과의 종 경사 및 횡 경사 각이 가설 가능한 각이면 가설 가능 등(S80)이 점등되고, 가설 가능한 거리보다 멀다면 가설이 불가능한 거리로 인식하여 경고등(430)이 점등되고, 동시에 경고부저(440)에 의해 경고음이 발생(S100) 되면서, 교량의 가설이 블로킹(450) 되어 교량의 가설작업이 자동으로 중단되게 된다.(S110)
이와 달리, 레이저거리측정기(210) 및 경사 감지기(220)에서 측정된 값이 모두 가설 가능한 값을 만족시킬 경우, 가설 가능등(S80)이 점등되어 가설을 실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교량이 가설되고 나면, 설치된 가교(250)의 밑면에 형성된 교량 경사 감지기(251)에 의해, 교량의 종 경사 및 횡 경사 값을 측정한다.(S120)
그리고, 상기 단계(S120)에서 획득한 데이터를 제어부(300-1)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종합하고 변환(S130)한다.
여기서, 상기 교량 경사 감지기(251)에서 측정된 설치된 교량의 종 경사 및 횡 경사 값이 롬(310-1)에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표시부(400-1)의 가설안전도 표시창(410-1)에 가설안전도를 표시(S140) 한다.
또, 상기 교량 경사 감지기(251)에서 측정된 경사 값 역시, 롬(310-1)에 저장된 가설 안전도와 안전조건과 비교(S150)하고, 설치된 교량과 지면과의 종 경사 및 횡 경사 각이 안전조건의 허용범위 이내의 값을 나타내면 가설완료등(460)이 점등(S160)되고, 허용범위를 벗어날 경우에는 가교(250)의 밑면 각 단부에 형성된 교량 조절 실린더(252)를 각각 동작(S170)시켜 안전한 교량 상태가 되도록 경사각을 조절하게 된다.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경사 각 조절이 가능한 교량전차에 의하면, 전차 본체에는 레이저거리측정기와 차량 경사 감지기를 설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어, 교량의 가설가능한 거리와 차체의 종 경사 및 횡 경사 값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으므로, 교량의 가설 가능 여부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알 수 있다.
또한, 가교의 밑면으로는 교량 경사 감지기와 경사각 조절 실린더가 설치되어 있어, 교량의 설치 후, 교량 경사 감지기에 의해 교량의 설치 상태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알 수 있으며, 설치된 교량의 종 경사 및 횡 경사각이 안전 각 범위에 있지 않을 경우, 경사 각 조절 실린더를 이용하여 경사 각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종 경사 및 횡 경사 각이 안전 범위를 벗어나는 지역에서도 교량을 설치할 수 있는 뛰 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가교를 갖는 교량 전차에 있어서,
    상기 교량 전차는, 그 전면 중앙부로는 교량의 가설 위치 선정을 위한 레이저 거리 측정기(210)를 형성하고, 중앙 바닥면(201)으로는 종 경사 및 횡 경사의 값을 측정하는 전차 경사 감지기(220)를 형성하며, 상기 가교(250)의 밑면 각 단부에는 각각 독립적으로 동작 가능한 교량 경사 조절 실린더(252)가 형성되고, 밑면 중앙부로는 각각 설치된 교량의 종 경사 및 횡 경사 각을 감지하는 교량 경사 감지기(25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조정이 가능한 교량 전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량 경사 조절 실린더(252)는 유압식 또는 공압식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조정이 가능한 교량 전차.
KR1020060033114A 2006-04-12 2006-04-12 경사 조절이 가능한 교량 전차 KR1007389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3114A KR100738936B1 (ko) 2006-04-12 2006-04-12 경사 조절이 가능한 교량 전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3114A KR100738936B1 (ko) 2006-04-12 2006-04-12 경사 조절이 가능한 교량 전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8936B1 true KR100738936B1 (ko) 2007-07-12

Family

ID=38504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3114A KR100738936B1 (ko) 2006-04-12 2006-04-12 경사 조절이 가능한 교량 전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893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10637A (en) * 1983-03-14 1985-04-16 Lucjan Zlotnicki Bridge launcher
KR20050030472A (ko) * 2003-09-26 2005-03-30 주식회사 로템 교량전차 전복방지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10637A (en) * 1983-03-14 1985-04-16 Lucjan Zlotnicki Bridge launcher
KR20050030472A (ko) * 2003-09-26 2005-03-30 주식회사 로템 교량전차 전복방지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7300343B2 (en) Control and method of control for an earthmoving system
CN100540806C (zh) 用于碾压行车路段的机器
US7607667B2 (en) Method and system for aligning a stationary vehicle with an artificial horizon
KR101933787B1 (ko) 테이블 및 그의 자동 수평 조정방법
US6351696B1 (en) Automatic leveling system for articulated boom
ES2630766B2 (es) Dispositivo y procedimiento de monitorización y control en torres telescópicas de iluminación
ES2638405T3 (es) Torre de iluminación
US9718660B2 (en) Lifting vehicle with a transverse stability control system
WO2014043997A1 (zh) 混凝土泵车监控方法、混凝土泵车监控系统及混凝土泵车
GB2356602A (en) Vehicle having means to detect the state of a bow wave created while wading
JP2019183507A (ja) 脚立作業状況判定システム、脚立作業状況判定方法及び脚立作業状況判定プログラム
JP2017211222A (ja) 車載カメラキャリブレーション補助装置
CN112064690B (zh) 一种基坑位移自动监测系统及方法
KR100738936B1 (ko) 경사 조절이 가능한 교량 전차
JP6457460B2 (ja) 脚立監視装置
KR100537530B1 (ko) 교량전차 전복방지 장치 및 방법
KR101976693B1 (ko) 크레인 전복방지 장치 및 크레인 전복방지 방법
JP2000026098A (ja) 作業車の車体支持表示装置
KR20170106011A (ko) 부유체 진수 모니터링 장치
KR100347903B1 (ko) 레이더 쉘타의 수평 조절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719220B1 (ko) 교량가설용 전차 및 교량 가설용 전차에 의한 교량가설방법
JPH11171477A (ja) アウトリガを有する車両に用いられる自動水平形成装置
CN108797441A (zh) 与消防救援网络互联的城市内涝应急救援系统
JP2019178479A (ja) 脚立作業状況判定システム、脚立作業状況判定方法及び脚立作業状況判定プログラム
JPH0367894A (ja) クレー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