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8639B1 - 파우치 용기 - Google Patents

파우치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8639B1
KR100738639B1 KR1020050127200A KR20050127200A KR100738639B1 KR 100738639 B1 KR100738639 B1 KR 100738639B1 KR 1020050127200 A KR1020050127200 A KR 1020050127200A KR 20050127200 A KR20050127200 A KR 20050127200A KR 100738639 B1 KR100738639 B1 KR 1007386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uch container
bellows
discharge tube
spout
cont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7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66253A (ko
Inventor
권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501272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8639B1/ko
Publication of KR20070066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62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86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86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61Spouts
    • B65D75/5872Non-integral spouts
    • B65D75/5877Non-integral spouts connected to a planar surface of the package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61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with telescopic, retractable or reversible spouts, tubes or nozzles
    • B65D47/063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with telescopic, retractable or reversible spouts, tubes or nozzles with flexibl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25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25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t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2547/063Details of 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2575/52Details
    • B65D25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2575/583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the non-integral spout having an elongate cross-sectional shape, e.g. canoe or boat shaped

Abstract

본 발명은 파우치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내용물을 담아 저장하는 파우치(pouch) 용기와, 파우치 용기에 부착되어 내용물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스파우트(spout)와, 스파우트에 분리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는 뚜껑, 그리고 뚜껑이 분리된 상기 스파우트에 분리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고, 스파우트로부터 직경이 작아지며 길이가 신축 가능하도록 주름진 자바라(jybara)형 토출관을 포함한다.
파우치 용기, 스파우트, 자바라형 토출관

Description

파우치 용기{POUCH CONTAINER WITH JYBARA TYPE DISCHARGING TUB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용기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용기의 사용 상태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용기에 대한 변형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용기에 구비된 자바라형 토출관이 개봉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파우치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파우치 용기의 토출관을 자바라 형태로 연장 형성하여 파우치 용기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을 보다 편리하게 부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파우치 용기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파우치 용기는 대부분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시트의 가장자리를 밀봉하여 만들어진 내부 공간에 음료, 세제, 섬유유연제 등의 액상, 잴 및 분말 형태의 내용물을 포장 및 보관하는데 사용한다.
이 파우치 용기는 휴대가 간편하고 포장 비용이 저렴하기 때문에 유리병, 캔, 플라스틱 용기 등을 대체하여 리필용 용기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파우치 용기에 저장되 내용물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용기의 모서리부를 일부 절단하고, 그 절단부를 통해 내용물을 유출시켜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파우치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을 한꺼번에 모두 사용하지 않고 시간 간격을 두고 사용해야 하는 경우 용기를 구성하는 합성수지가 내용물의 보관에 필요한 내구성을 갖지 못하기 때문에 보관상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 특허 공보 제2005-0107723호 에는 파우치 용기의 상측에 접합부를 형성하고, 이 접합부에 내용물의 주입 및 배출이 이루어지는 스파우트(spout)가 구비되며, 이 스파우트에 뚜껑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파우치 용기용 스파우트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파우치 용기의 스파우트를 막고 있는 뚜껑을 분리하여 스파우트를 통해 필요한 양만큼의 내용물을 배출시키고, 다시 뚜껑으로 스파우트를 닫아 파우치 용기에 남겨진 내용물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파우치 용기에 형성된 스파우트의 길이가 제한되기 때문에 액상 세제나 섬유 유연제 등을 담는 대부분의 리필용 파우치 용기 경우, 내용물을 흘리지 않고 원하는 위치에 부어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파우치 용기에 담긴 내용물을 스파우드의 직경 보다 작은 직경의 주입구를 갖는 보관 용기에 주입해야 하는 경우 보다 많은 어려움이 따르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필요에 따라 파우치 용기의 토출관의 길이를 연장시켜 저장된 내용물을 좀더 편리하게 부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스파우트보다 주입구의 직경이 작은 보관용기에 내용물을 보다 쉽게 부어서 주입할 수 있도록 하는 파우치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파우치 용기는 내용물을 담아 저장하는 파우치(pouch) 용기와, 파우치 용기에 부착되어 내용물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스파우트(spout)와, 스파우트에 분리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는 뚜껑, 그리고 뚜껑이 분리된 상기 스파우트에 분리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고, 스파우트로부터 직경이 작아지며 길이가 신축 가능하도록 주름진 자바라(jybara)형 토출관을 포함한다.
스파우트는 파우치 용기의 상측에 구비될 수 있다.
스파우트는 파우치 용기의 상측 모서리부에 밀봉 수납될 수 있다. 스파우트는 파우치 용기의 모따기면에 부착될 수 있다.
파우치 용기 일측에는 자바라형 토출관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용 포켓이 구비될 수 있다
자바라형 토출관의 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본 발명의 파우치 용기는 내용물을 담아 저장하는 파우치 용기, 파우 치 용기에 접합부에 부착되며, 파우치 용기로부터 직경이 작아지며 길이가 신축 가능하도록 주름진 자바라형 토출관, 그리고 자바라형 토출관의 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캡을 포함한다.
자바라형 토출관은 파우치 용기의 상측에 구비될 수 있다.
자바라형 토출관은 파우치 용기의 상측 모서리부에 부착되고, 상측 모서리부가 모따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자바라형 토출관은 캡이 결합된 상태로 파우치 용기의 모서리부에 밀봉 수납될 수 있다. 캡과 자바라형 토출관은 연결고리로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용기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용기는 내용물을 담아 저장하는 파우치(pouch) 용기(10)와, 이 파우치 용기(10)에 구비된 스파우트(spout) (12)에 분리 가능하게 연장 결합되는 자바라형 토출관(20)을 포함한다.
파우치 용기(10)는 맞대어진 합성수지 시트의 가장자리를 밀봉하여 액상, 잴, 분말 등의 내용물을 담아 저장할 수 있는 수용 공간을 형성한다. 이 파우치 용기 (10)의 상측 모서리부에는 파우치 용기(10) 안에 담긴 내용물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스파우트(12)가 부착된다.
스파우트(12)는 파우치 용기(10)이 상측에 부착되며, 보다 바람직하기는 파우치 용기(10)의 상측 모서리부에 부착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 스파우트(12)에는 이를 개폐하도록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뚜껑(20)이 구비된다.
이 스파우트(12)와 뚜껑(20)은 외압에 의해 파우치 용기(10)가 눌리면서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이 유출되지 않도록 밀봉하기 위하여 보다 견고하게 나사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파우트(12)는 뚜껑(20)이 결합된 상태로 파우치 용기(10)를 이루는 합성수지 시트의 모서리부에 밀봉 수납되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파우치 용기(10)의 모서리부를 절단한 후, 스파우트(12)에 결합된 뚜껑(20)을 열어 파우치 용기(10)에 저장된 내용물을 사용한다. 이 때, 뚜껑(20)이 분리된 스파우트(12)에 자바라형 토출관(30)을 연장 결합하여 파우치 용기(10)에 저장된 내용물을 흘리지 않고 좀더 정확한 위치에 부으면서 사용할 수 있다.
이 자바라형 토출관(30)은 스파우트(12)에 분리 가능하게 연장 결합되는 연결부(31)와, 이 연결부(31)로부터 직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며 길이가 신축 가능하도록 주름진 신축부(32)를 포함한다.
연결부(31)는 뚜껑(20)과 마찬가지로 스파우트(12)에 외주면 상에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신축부(32)는 주름이 펼쳐지며 신장되어 파우치 용기(10)의 저장된 내용물을 흘리지 않고 원하는 위치에 부을 수 있도록 일정한 길이를 가 진다. 또한, 신축부(32)는 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작아지는 원추형으로 구성되어 스파우트(12)의 직경 보다 작은 직경의 주입구를 갖는 보관용기에도 내용물을 좀더 쉽게 주입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자바라형 토출관을 이용해 파우치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의 제1 일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용기의 사용 상태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사용자가 파우치 용기(10)에 저장된 액상의 내용물을 부어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우치 용기(10)의 상측 모서리부를 절단하여 밀봉 수납된 스파우트(12)를 개봉한다.
스파우트(12)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우치 용기(10)의 모따기면(11)에 부착되어 있다. 이 모따기면(11)은 파우치 용기(10)의 모서리를 깎아낸 형태로 형성된 면을 의미한다.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파우트(12)의 단부에 나사 결합된 뚜껑(20)을 돌려 스파우트(12)로부터 분리하고, 도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뚜껑(20)이 분리된 스파우트(12)에 자바라형 토출관(30)의 연결부(31)를 돌려 나사 결합한다.
그리고, 도 2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파우트(12)에 연장 결합된 자바라형 토출관(30)의 신축부(32)를 잡아 당겨 내용물의 주입에 필요한 길이로 신장시킨 후, 신축부(32)를 보관 용기(50)의 주입구(52)에 삽입함으로써 파우치 용기(10)에 저장된 내용물을 흘리지 않고 부어 넣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파우치 용기(10)의 스파우트(12)에 직경이 점진적으로 축소되며 길이가 신축되는 자바라형 토출관(30)을 연결하여 사용함으로써 파우치 용기(10)에 저장된 내용물을 흘리지 않고 원하는 곳에 부어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파우치 용기(10)에 남아 있는 내용물은 자바라형 토출관(30)을 스파우트(12)에서 분리한 후, 다시 뚜껑(20)을 닫아 파우치 용기(10)에 계속 보관할 수 있도록 밀봉한다.
도 3은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용기에 대한 변형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의 파우치 용기(10)는 자바라형 토출관(30)을 개폐하도록 신축부의 끝간에 분리 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는 캡(4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특히, 파우치 용기(10)는 그 상측 모서리부가 처음부터 모따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도 2a에서와 같은 상측 모서리부를 따라 절단할 필요가 없다.
이 캡(40)은 자바라형 토출관(30)의 신축부(32)의 단부를 막아 스파우트(12)에 결합된 자바라형 토출관(30)을 분리하지 않고도 파우치 용기(10)에 남아있는 내용물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파우치 용기(10)의 일측에 자바라형 토출관(30)을 보관할 수 있는 수납용 포켓(14)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수납용 포켓(14)은 사용 후 스파우트(12)에서 분리된 자바라형 토출관(30) 을 수납 보관하여 분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의 파우치 용기는 제1 실시예와 비교해 자바라형 토출관(120)의 연결부(122)가 파우치 용기(110)의 상측 모서리부에 직접 부착된다. 이 자바라형 토출관(120)은 압축된 상태로 파우치 용기(110)의 모서리부에 밀봉 수납된다. 물론, 자바라형 토출관(120)은 파우치 용기(110)의 상측에 개방된 상태로 부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자바라형 토출관(120)의 신축부(122) 단부에는 파우치 용기(110)에 저장된 내용물을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캡(130)이 분리 가능하게 나사 결합 된다. 이 캡(130)은 자바라형 토출관(120)으로부터 분리될 때 분실 방지하도록 연결 고리(135)로 연결될 수 있다.
도 6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용기의 자바라형 토출관이 개봉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사용자는 파우치 용기(110)에 저장된 내용물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파우치 용기(110)의 모서리부를 절단하여 자바라형 토출관(120)이 수납된 부분을 개봉한다.
그리고, 자바라형 토출관(120)에 나사 결합된 캡(130)을 분리한 후, 신축부(122)를 필요한 만큼 늘려 원하는 곳에 내용물을 부어 사용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자바라형 토출관(120)을 파우치 용기(110)에 직접 연결하여 사용함으로써 파우치 용기의 스파우트에 자바라형 토출관(120)을 탈착시켜야 하는 번거 로움을 제거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 용기는 직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며 길이가 신축되는 자바라형 토출관을 구비하여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을 흘리지 않으면서 필요한 곳에 좀더 편리하게 부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Claims (11)

  1. 내용물을 담아 저장하는 파우치(pouch) 용기,
    상기 파우치 용기에 부착되어 내용물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스파우트(spout), 상기 스파우트에 분리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는 뚜껑, 그리고
    상기 뚜껑이 분리된 상기 스파우트에 분리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고, 상기 스파우트로부터 직경이 작아지며 길이가 신축 가능하도록 주름진 자바라(jybara)형 토출관을 포함하며,
    상기 파우스트는 상기 뚜껑이 결합된 상태로 상기 파우치 용기의 모서리부에 밀봉 수납되는 파우치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파우트는 상기 파우치 용기의 상측 모서리부에 구비되는 파우치 용기.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파우트는 상기 파우치 용기의 상측 모서리의 모따기(chamfer)면에 부착되는 파우치 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 용기 일측에는 상기 자바라형 토출관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용 포켓이 구비되는 파우치 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바라형 토출관의 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캡을 더 포함하는 파우치 용기.
  7. 내용물을 담아 저장하는 파우치 용기,
    상기 파우치 용기에 접합부에 부착되며, 상기 파우치 용기로부터 직경이 작아지며 길이가 신축 가능하도록 주름진 자바라형 토출관, 그리고
    상기 자바라형 토출관의 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캡을 포함하며,
    상기 자바라형 토출관은 상기 캡이 결합된 상태로 상기 파우치 용기의 모서리부에 밀봉 수납되는 파우치 용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자바라형 토출관은 상기 파우치 용기의 상측 모서리부에 구비되는 파우치 용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자바라형 토출관은 상기 파우치 용기의 상측 모서리부의 모따기 면에 형성되는 파우치 용기.
  10. 삭제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캡과 상기 자바라형 토출관은 연결고리로 상호 연결되는 파우치 용기.
KR1020050127200A 2005-12-21 2005-12-21 파우치 용기 KR1007386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7200A KR100738639B1 (ko) 2005-12-21 2005-12-21 파우치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7200A KR100738639B1 (ko) 2005-12-21 2005-12-21 파우치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6253A KR20070066253A (ko) 2007-06-27
KR100738639B1 true KR100738639B1 (ko) 2007-07-11

Family

ID=38365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7200A KR100738639B1 (ko) 2005-12-21 2005-12-21 파우치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863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46366A (ja) * 2001-11-13 2003-05-21 Toppan Printing Co Ltd 食品包装体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46366A (ja) * 2001-11-13 2003-05-21 Toppan Printing Co Ltd 食品包装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6253A (ko) 2007-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29263A (en) Package system
JP2000118562A (ja) ハウジング並びにスパウト
CN110035957B (zh) 重装容器的倒出用袋嘴及其与包装容器的倒出单元连结的连结构造
JP4785035B2 (ja) 容器
KR100738639B1 (ko) 파우치 용기
KR200451631Y1 (ko) 이중 구조의 저장용기
KR200446283Y1 (ko) 세로접이선이 구비된 용기
KR20090043649A (ko) 내부 팽창 복원력을 가진 튜브용기
JP4393835B2 (ja) 開閉機構付きスパウト
KR20170127210A (ko) 조립 용기, 리필팩 및 펌프를 포함하는 용기 세트 및 이에 사용되는 스파우트
WO2012173603A1 (en) Protective packaging
KR102658348B1 (ko) 음료 파우치용 스파우트
JP2564044Y2 (ja) 開栓部材付き詰め替え用液体収納袋
KR102056815B1 (ko) 보관 및 재사용 가능한 캡 형 파우치
KR200265447Y1 (ko) 착탈식 보관용기
KR200371120Y1 (ko) 변형가능한 목부를 구비한 가요성 용기
KR200245436Y1 (ko) 긴 배출관을 구비한 포장용 용기
JPH10194289A (ja) 包装容器
KR101218350B1 (ko) 누설되지 아니하는 유출부를 구비한 밀폐 비닐봉지
JP4252763B2 (ja) キャップ付き注出栓
JP6138587B2 (ja) 内袋付き容器
JPH10278932A (ja) 液体封入用容器
JP2007302253A (ja) 吐出容器
JP2000309362A (ja) 弁及び袋状緩衝材
KR200215420Y1 (ko) 내용적 신축가능한 액체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