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5420Y1 - 내용적 신축가능한 액체 용기 - Google Patents

내용적 신축가능한 액체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5420Y1
KR200215420Y1 KR2020000023115U KR20000023115U KR200215420Y1 KR 200215420 Y1 KR200215420 Y1 KR 200215420Y1 KR 2020000023115 U KR2020000023115 U KR 2020000023115U KR 20000023115 U KR20000023115 U KR 20000023115U KR 200215420 Y1 KR200215420 Y1 KR 2002154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ntents
corrugated
thread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31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순
Original Assignee
박재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순 filed Critical 박재순
Priority to KR20200000231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54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54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5420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진공 하에서 뚜껑을 닫을 수 있는 용기로서 특히 액체 내용물의 배출량 만큼 용기의 내용적을 인위적으로 줄일 수 있는 신축 자재의 액체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이같은 본 고안은, 외면에 나사산(4)을 나선형으로 형성한 주름통(3)을 용기(1) 내에 설치한 것으로서, 주름통(3)을 용기(1) 저부 내면에서 신축시키면 용기(1)의 내용적이 변화한다. 또 주름통(3)에 상하로 외력을 가할 때 나사산(4)이 나선방향으로 부드럽게 절첩된다. 내용물이 차 있는 만큼의 절첩 후에 뚜껑(2)을 밀폐시키면 용기(1) 내부에 공기가 없고 후변형이 없는 상태로 진공을 유지하므로 산패나 김이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내용적 신축가능한 액체 용기{Volume Retractable Liquid Bottle}
본 고안은 진공 하에서 뚜껑을 닫을 수 있는 용기로서, 특히 액체 내용물의 배출량 만큼 용기의 내용적을 인위적으로 줄일 수 있는 신축 자재의 액체 용기에 관한 것이다.일반적인 액체 용기, 특히 음료용기는 밀폐시일이 뚜껑 내에 붙어 있어서 용기 내부를 진공으로 한 상태에서 뚜껑을 닫으면 그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밀폐 구조 하에서는 용기 내부에 탄산가스가 들어가 있어도 마찬가지로 밀폐력을 발휘한다.한편 액체 용기로서 내용적을 줄일 수 있는 수단을 가진 것은 주름진 야외용 플라스틱 물통이 있었다. 이 물통은 원형의 동일한 나사산이 연속해서 형성된 것이다. 나사산의 외경과 골지름은 같으며 나사산각도 동일하다.이러한 물통은 내용물이 채워진 상태에서 상하로 외력을 가하면 내용물이 배출되고 내용물이 빠진 만큼 내용적이 줄어든 상태에서 일종의 진공력을 유지하며 밀폐시킬 수 있는 것이다.
밀폐 뚜껑을 가진 액체 용기, 특히 음료 용기에서는 뚜껑의 개방 후 내부에 내용물이 남아 있을 때 그 액체의 보관이 문제가 된다. 일단 뚜껑을 개방시키고 나면 용기 내부에는 내용물이 배출된 만큼의 내용적이 공기로 채워진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뚜껑으로 밀폐시켰다 하더라도 내부에 들어간 공기에 의하여 내용물이 산폐되는 것을 막을 수 없다. 또 외부와의 온도차에 의하여 팽창하게 되면 탄산가스와 압력 상승 작용을 일으켜 뚜껑 사이로 김이 빠지게 되는 원인이 되었다.이와 같은 현상을 막기 위해서는 내부에 액체의 내용물만이 보관될 수 있도록 하여 공기가 들어가지 않게 하는 방법이 모색될 수 있다. 이를 실현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내용물이 배출된 만큼 용기의 내용적이 줄어들게 하는 것이다. 음료를 주로 담는 플라스틱의 액체 용기로서 이러한 방법을 실현할 수 있는 수단으로는 앞서 말한 주름진 플라스틱 물통과 같은 신축 수단을 채용할 수 있다.그러나 주름진 물통과 같은 방식은 음료용기와 같은 작은 주둥이와 좁은 지름의 몸통에서는 실용성이 없다. 왜냐하면 동일한 각도를 갖는 원형의 나사산이 연속하는 구조 하에서는 나사산의 사면(斜面)에 동일한 압축응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외력을 가할 때 순간적으로 여러 개의 나사산이 동시에 접히려고 하는 물리적 속성이 있다.그래서 뚜껑을 순간적으로 정확하고 재빠르게 닫지 않으면 나사산이 급속하게 접히는 탄성력으로 내용물이 밖으로 튀어나오게 되어 있어서 신체와 주변을 더럽힐 것은 자명한 일이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구조 하에서는 나사산과 골의 리드 부분에 동일한 탄성력이 계속 작용하기 때문에 용기를 일정 높이로 조절하였다고 하더라도 다시 펴지는(상하로 전개되는) 물리적 속성이 있어서 뚜껑의 밀폐력을 떨어뜨리게 되어 있다.본 고안의 목적은 액체 용기의 내용물이 배출된 만큼 내용적이 줄어들 수 있으며, 용기 내부를 인위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하되 그 절첩되는 동작이 부드럽고 의도된 높이 만큼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후변형이 없는 상태에서 일정한 진공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내용적 신축가능한 액체 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다.
도 1은 주름통이 설치된 본 고안의 액체용기 사시도.
도 2는 내용적이 최대화된 본 고안의 실시예의 용기 입면도.
도 3은 도 2의 III-III선 단면을 절단한 본 고안의 주름통 평면도.도 4는 내용적의 변화를 가져오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예시도.<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1:용기, 2:뚜껑, 3:주름통, 4:나사산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외면에 나사산을 나선형으로 형성하는 주름통을 구비하며, 이 주름통을 용기의 저면 내부에서 신축 자재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용기 내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이때, 상기 주름통의 외면에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상기 나사산이 갖는 사면은, 선분 A,A'를 선분 B,B'보다 길게 구성함으로서, 짧은 선분 B,B'가 언제나 긴 선분 A,A'의 내측으로 접히도록 하여 용기내에 수용된 음료가 접히어진 주름부에 고임이 없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용기는 진공을 유지할 수 있는 밀폐 뚜껑을 갖는 것으로서 원통의 형상이어야 하고 저면은 개방되어 있어야 한다. 용기 내부의 주름통은 그 펴졌을 때의 높이가 적어도 용기의 최대 내경을 유지하는 범위 내의 유효 높이와 일치하여야 하고, 내면 중앙에 손잡이가 있는 것이 신축 조절하기에 유리하다.
또한 주름통은 적정한 압력을 가할 때 쉽게 절첩될 수 있는 플라스틱 용기이어야 한다. 이것은 주름통의 재질과 두께 및 크기, 나사산의 각도, 골지름과 관련된 설계상의 고려 사항이기도 하다. 뚜껑은 밀폐력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면 되므로 이 고안에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주름통의 나사산은 그 외경과 골지름을 동일하게 하여야 한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내용물이 일정량 배출된 상태에서 용기 저부에서 주름통 내면을 위로 누르면 나사산이 나선형으로 부드럽게 절첩되고 압력을 가하지 않으면 그대로 정지한다. 용기 내에 공기가 없는 상태에서 뚜껑을 밀폐시키면 진공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중, 도 1은 주름통이 설치된 본 고안의 액체용기 사시도. 도 2는 내용적이 최대화된 본 고안의 실시예의 용기 입면도. 도 3은 도 2의 III-III선 단면을 절단한 본 고안의 주름통 평면도. 그리고, 도 4는 내용적의 변화를 가져오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예시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 뚜껑(2)은 일반적인 펫트병의 밀폐시일을 갖는 것과 동일하다.이러한 용기(1)의 내부에는 중공의 주름통(3)이 부착되어 있다. 주름통(3)은 바닥 쪽이 개방되어 있으며 용기(1)의 저면도 개방되어 있다. 주름통(3)의 하단 가장자리와 용기(1) 저면의 개방된 가장자리 간은 액밀하게 용착되어 있다. 주름통(3)은 하단에서 상단에 이르는 모든 구간이 나선형의 나사산(4)으로 형성되어 있다.주름통(3)은 완전히 접혀졌을 때 나사산(4)의 외경이 용기(1)의 내경과 거의 일치한다. 그리고 주름통(3)의 높이 또한 용기(1)의 최대 유효 내경(동일한 내경이 유지되는 범위)이 갖는 높이와 일치한다. 주름통(3)의 막혀 있는 상면 저부의 중앙에는 주름통(3)을 인위적으로 신축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작은 손잡이를 돌출 성형할 수 있다.주름통(3)의 나사산(4)이 갖는 외경과 골지름은 동일하고 나사산의 피치도 동일하다. 나사산(4)의 산을 이루는 리드선은 일정 각도로 주어져 있지만 도면에서 나사산(4)의 한쪽 사면(斜面)을 이루는 선분 A와 선분 B는 그 길이가 서로 달라 A>B의 관계에 있다. 나사산(4)이 180°방향에 있는 곳에서는 선분 A'와 선분 B'가 역시 A'>B'의 관계를 유지한다.그러므로 하나의 나사산(4)이 갖는 사면은, 짧은 선분 B,B'가 언제나 긴 선분 A,A'와 포개어 지면서 내측으로 접히게 됨에 따라 도 2에서와 같이 반복적으로 포개어진 접시모양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며, 이로인해 용기(1)내에 수용된 음료가 접히어진 주름부에 고임이 없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게 된다.이와같이 나선형을 이루고 있는 나사산(4)은, 어떠한 경우라도 불규칙한 탄성변형은 발생하지 않는다. 즉 주름통(3)의 중간이 먼저 접혀진다거나 군데 군데가 접혀지는 일은 없다.도 2는 주름통(3)이 완전히 접혀져 있는 상태를 나타내며 동시에 용기(1) 내에 액체의 내용물이 완전히 채워져 있음을 나타낸다. 이러한 상태에서 용기(1) 내의 내용물을 필요량 배출하였다고 할 때 그 배출량 만큼의 공간이 공기가 채워진 채 용기(1) 상부에 생기게 된다.이 공간을 줄이기 위해서는 주름통(3)을 위로 신장시켜 용기(1) 내의 내용적을 내용물 배출량 만큼 줄일 필요가 있다. 이러기 위해서는 먼저 용기(1) 저부 중앙 쪽에 손을 넣어 주름통(3)의 내부 중앙 상면을 위로 밀어 올리면 된다.주름통(3)를 밑에서 위로 신장시키면 나사산(4)이 나선형으로 펴져 올라가게 된다. 도 4는 주름통(3)이 서서히 전개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주름통(3)의 외면과 용기(1) 내면 간에 잔여의 내용물이 채워져 있다고 가정할 때 뚜껑(2)을 닫아 밀폐시키게 되면 용기(1) 내부가 진공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이다. 도 1과 같은 상태에서 용기(1) 내에 내용물을 다시 채울 수도 있다.이때에는 주름통(3)을 위에시 밑으로 눌러 주거나 주름통(3) 저부 내면에 있는 손잡이(미도시)를 밑으로 당겨줄 필요가 있다. 그러면 주름통(3)의 나사산이 위에서부터 나선형으로 접혀지면서 줄어든다. 주름통(3)이 적정 높이로 절첩되었을 때 용기(1) 내에 액체 내용물을 채우고 뚜껑(2)을 닫아 밀폐시키면 용기(1) 내에 공기가 없는 진공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용기의 내용적을 신축이 용이하게 구성함으로써 내용물이 배출된 만큼 내용적이 줄어들게 되며 그 절첩되는 동작도 부드럽고 의도된 높이만큼 정확하게 이루어진다. 또 후변형이 없는 상태에서 진공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용물의 산패를 방지하게 되며 뚜껑의 밀폐력이 약화되는 것을 막아 음료 등의 김이 빠지거나 맛이 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2)

  1. 밀폐 뚜껑을 갖는 플라스틱의 액체 용기에 있어서,
    외면에 나사산을 나선형으로 형성하는 주름통을 구비하여, 이 주름통을 용기의 저면 내부에서 신축 자재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용기 내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적 신축가능한 액체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주름통의 외면에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상기 나사산이 갖는 사면은, 선분 A,A'를 선분 B,B'보다 길게 구성함으로서, 짧은 선분 B,B'가 언제나 긴 선분 A,A'의 내측으로 접히도록 하여 용기내에 수용된 음료가 접히어진 주름부에 고임이 없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적 신축가능한 액체 용기.
KR2020000023115U 2000-08-14 2000-08-14 내용적 신축가능한 액체 용기 KR2002154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3115U KR200215420Y1 (ko) 2000-08-14 2000-08-14 내용적 신축가능한 액체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3115U KR200215420Y1 (ko) 2000-08-14 2000-08-14 내용적 신축가능한 액체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5420Y1 true KR200215420Y1 (ko) 2001-03-15

Family

ID=73057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3115U KR200215420Y1 (ko) 2000-08-14 2000-08-14 내용적 신축가능한 액체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542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4900A (ko) 2013-12-04 2015-06-12 유상현 리필 가능한 용기
KR20220005360A (ko) * 2020-07-06 2022-01-13 정혜영 물병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4900A (ko) 2013-12-04 2015-06-12 유상현 리필 가능한 용기
KR20220005360A (ko) * 2020-07-06 2022-01-13 정혜영 물병
KR102394335B1 (ko) * 2020-07-06 2022-05-03 정혜영 물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46431C2 (ru) Одноразовая бутылка с конструкцией боковых стенок, способной постепенно сжиматься без восстановления формы
FI110382B (fi) Kokoontaitettava säiliö
US8381940B2 (en) Pressure reinforced plastic container having a moveable pressure panel and related method of processing a plastic container
US4790361A (en) Collapsible carbonated beverage container
US3042271A (en) Container with retractable projectable spout
JP2525274B2 (ja) プラスチツク製折り畳み式容器およびその製作方法
US4291814A (en) Container with drinking tube
US20120152885A1 (en) Variable-volume bellows bottle
US20150344177A1 (en) Container
US5944251A (en) Form fit container liner
US4140235A (en) Closing arrangement for packing containers
JP2000118562A (ja) ハウジング並びにスパウト
US7823756B2 (en) Alternative flexible gate restrictors
US4964548A (en) Dispensing closure having an interior sealing sleeve, a threaded sleeve engaging a threaded tube, and stop blocks limiting twisting of the closure cap
US4095724A (en) Container for holding and dispensing flowable products
NO169222B (no) Flaske for vannoedforpleining
US6109470A (en) Container and condiment cup for refrigerated dough or like products
JP2014234196A (ja) 二重容器
KR200215420Y1 (ko) 내용적 신축가능한 액체 용기
KR200215422Y1 (ko) 신축 자재의 액체 용기
KR20110013743A (ko) 구형 음료용기
HU230990B1 (hu) Gyűrődő palack a túlnyomás és/vagy az állandó fajlagos szénsavtartalom megőrzéséhez
KR101651019B1 (ko) 포장용 캔 용기의 마개
EP2128039A1 (en) Beverage container equipped with straw
US20100270321A1 (en) Beverage container equipped with with stra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2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