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8595B1 - 브레이크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브레이크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8595B1
KR100738595B1 KR1020027008910A KR20027008910A KR100738595B1 KR 100738595 B1 KR100738595 B1 KR 100738595B1 KR 1020027008910 A KR1020027008910 A KR 1020027008910A KR 20027008910 A KR20027008910 A KR 20027008910A KR 100738595 B1 KR100738595 B1 KR 1007385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brake shoe
shoe
state
back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8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8073A (ko
Inventor
누이 왕
Original Assignee
피비알 오스트레일리아 피티와이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비알 오스트레일리아 피티와이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피비알 오스트레일리아 피티와이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20068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80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8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85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1/00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 F16D51/10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shaped as exclusively radially-movable brake-sho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2Braking members; Mounting thereof
    • F16D65/04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8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for internally-engaging brakes
    • F16D65/09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91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for axially holding the seg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19/00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for particular grinding operations not covered by any other main group
    • B24B19/26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for particular grinding operations not covered by any other main group for grinding workpieces with arcuate surfaces, e.g. parts of car bodies, bumpers or magnetic recording heads
    • B24B19/28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for particular grinding operations not covered by any other main group for grinding workpieces with arcuate surfaces, e.g. parts of car bodies, bumpers or magnetic recording heads for grinding shoes or linings of drum br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1/00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1/00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 F16D51/02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shaped as one or more circumferential ba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2Braking members; Mounting thereof
    • F16D65/04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8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for internally-engaging br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1/00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 F16D2051/001Parts or details of drum brakes
    • F16D2051/003Brake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7/00Auxiliary mechanisms
    • F16D2127/02Release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250/00Manufacturing; Assemb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250/00Manufacturing; Assembly
    • F16D2250/003Chip remov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250/00Manufacturing; Assembly
    • F16D2250/0038Surface trea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방사상 내부 브레이크 표면을 구비하고 회전이 가능한 드럼과 상기 드럼 내에 뒷받침판(12)에 장착되며 단일체 구조로서 전체적으로 원형의 형태를 가지는 브레이크 슈(11)를 구비한 드럼 브레이크 어셈블리(10). 상기 브레이크 슈(11)는 방사상의 외부 면(18)과 이에 장착되어 방사상의 내부 브레이크 표면과 대면하는 관계에 있는 마찰 라이닝(16, 17)을 구비한다. 액튜에이터의 작용 하중이 작동되고 있는 브레이크-온 상태와 액튜에이터의 작용 하중이 해제되어 있는 브레이크-오프 상태를 가지며, 상기 브레이크-온 상태에서 상기 브레이크 슈(11)를 직경방향으로 확장시킬 수 있는 액튜에이팅수단(13)이 제공된다. 상기 액튜에이팅수단(13)이 브레이크-오프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마찰 라이닝(16, 17)의 외부면(18)과 상기 드럼의 내부 브레이크 표면 사이의 완전한 간극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드럼 내에서 상기 브레이크 슈(11)를 배치하기 위하여 배치수단(21)이 제공된다. 마찰 라이닝을 연마하기 위한 연마 지그도 제공되며, 브레이크 어셈블리는 뒷받침판에 브레이크 슈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브레이크 어셈블리{Brake assembly}
본 발명은 드럼 브레이크에서 사용되는 개선된 브레이크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전체적으로 원형의 형상을 갖는 일체로된 슈를 사용하는 형태의 브레이크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며, 그러한 어셈블리는 출원상태에 있는 출원인의 국제출원 제PCT/AU99/00248호와 미국 특허 제5246093호에 개시되어 있다.
단일체 구조의 브레이크 슈(brake shoe)를 구비한 브레이크 어셈블리는, 특히 부품의 수가 적기 때문에, 기존의 다른 어셈블리들에 대하여 여러 가지의 잇점이 있다. 그것은 단일체의 슈를 사용하는 브레이크 어셈블리에서는 슈가 드럼내에서 부유(float)하도록 장착되므로 중요한 구속용 부품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과도한 진동과 축휨(axle deflection)과 같은 외력(外力)은 상기 슈를 뒷받침판 상에서 이동시킬 수 있고, 이는 상기 어셈블리가 "브레이크-오프(brake off)" 상태에 있을 때, 즉 브레이크 작용 하중이 가해지지 않고 있을 때, 상기 브레이크 슈의 정렬상태를 손상시킬 수 있다. 어떤 상황에서는, 상기 정렬상태의 손상이 "브레이크-오프" 상태에서 브레이크 슈를 드럼 브레이크 표면과 접촉시킬 수 있는데, 이는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은 브레이크-오프 상태에서 브레이크 슈가 보다 신뢰성있게 드럼 브레이크 표면과 접촉하지 않는 이격된 위치로 복귀하는 개선된 브레이크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방사상 내부 브레이크 표면(radially inner braking surface)을 구비하고 회전이 가능한 드럼(drum); 상기 드럼 내에 뒷받침판(backing plate)에 장착되며, 단일체 구조로서 전체적으로 원형의 형태를 가지고, 방사상의 외부 면과 이에 장착되어 상기 내부 브레이크 표면과 대면하는 관계에 있는 마찰 라이닝(friction lining)을 구비한 브레이크 슈; 액튜에이터의 작용 하중이 작동되고 있는 브레이크-온(actuated brake-on) 상태와 액튜에이터의 작용 하중이 해제되어 있는 브레이크-오프(released brake-off) 상태를 가지며, 상기 작동된 상태에서 상기 브레이크 슈를 직경방향으로 확장시킬 수 있는 액튜에이팅수단(actuating means); 및 상기 액튜에이팅수단이 브레이크-오프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마찰 라이닝의 외부면과 상기 내부 브레이크 표면 사이의 완전한 간극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드럼 내에서 상기 브레이크 슈를 배치하는 배치수단(positioning means);을 구비한 드럼 브레이크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배치수단이 브레이크 슈를 드럼의 회전축에 대하여 중심에 배치하여, 적어도 마찰 라이닝이 실질적으로 마모(wearing)되지 않았을 때는 마찰 라이닝과 드럼 브레이크 표면 간의 비교적 균일한 간극(clearance)을 제공한다. 상기 라이닝이 마모됨에 따라서 상기 간극은 브레이크 라이닝의 선단부와 후단부 간에 다를 수 있다. 다만 주차 브레이크로서만 작동하는 브레이크 슈를 구비한 브레이크 어셈블리에서는 상기 마모는 일반적으로 무시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간극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도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유지된다. 또한 상기 배치수단은 상기 라이닝 간극을 적절하게 유지하면서도 상기 브레이크 슈를 상기 드럼의 회전축에 대하여 편심적으로 배치할 수도 있는데, 브레이크 슈의 대향하는 부분들에 다른 두께의 마찰 라이닝이 적용되거나 또는 편심 배치가 마찰 라이닝의 마모를 최소화하거나 또는 보상할 수 있는 태양으로 마찰 라이닝이 마모되는 경우에는 상기 편심 배치가 바람직하다.
단일체의 브레이크 슈는 브레이크 작용 하에서의 확장에 대하여 탄성(resilience)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는데, 이는 브레이크 작용 하중의 제거 시에 브레이크 슈를 방사상으로 수축하게 하여, 상기 마찰 라이닝을 드럼 브레이크 표면과의 접촉으로부터 후퇴시킨다. 그러한 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배치수단은, 추가적인 브레이크 슈 수축 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도, 브레이크 슈와 협력하여 전술된 방식으로 이를 배치할 수 있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필요하다면, 상기 브레이크 슈가 상기 브레이크 작용 위치로부터 복귀하는 것을 보조하는 수축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서, 상기 배치수단은 브레이크-오프 위치에서 브레이크 슈의 내부 면 또는 에지와 닿는 어버트먼트수단(abutment means)을 구비한다. 상기 어버트먼트수단은 브레이크 슈에 의한 그 접촉이 수축된 브레이크-오프 상태에서만 발생하도록 배치되고, 이 때 상기 브레이크 슈는 브레이크 슈의 마찰 라이닝과 드럼 브레이크 표면 간에 적절한 간극이 존재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의 상기 형태에서, 상기 어버트먼트수단은 적어도 한 쌍의 어버트먼트(abutment)들을 구비할 수 있는데, 이들은 이격되어 있어서 브레이크 슈의 이격된 또는 대향하는 면들과 접촉하며,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슈의 대향하는 단부들 사이에서 연장하는 중심선에 대하여 대칭된다.
브레이크 슈와 어버트먼트 쌍과의 접촉에 의하여 상기 브레이크 슈가 원하는 대로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다른 바람직한 구조에 있어서는 상기 어버트먼트수단이 브레이크 작용력(actuating force)이 제거된 때에 상기 슈를 상기 어버트먼트에 대하여 편향(bias) 및 복귀시키는 편향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편향수단은 임의의 형태일 수 있으며, 일 형태로서는 상기 편향수단이 브레이크 어셈블리의 뒷받침판과 브레이크 슈 사이를 연결하며 연장한다. 상기 편향수단은 인장 또는 압축 상태에서 작용하여 상기 브레이크 슈를 상기 어버트먼트와 접촉하도록 편향시킬 수 있고, 일 형태에서는 상기 편향수단이 상기 브레이크 슈와 뒷받침판 사이에서 인장상태에서 연장하는 코일 스프링을 구비하며 상기 스프링의 브레이크 슈에의 연결은 전술된 중심선을 따라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연결은, 특히 상기 스프링이 그 위치에서 브레이크 어셈블리의 다른 사항들을 방해하는 경우에는, 슈 중심선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다른 구조에 있어서, 상기 편향수단은 뒷받침판 또는 브레이크 슈 중의 어느 하나에 고정되어 다른 하나를 지지하는 리프(leaf) 또는 캔틸레버(cantilever) 스프링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그 구조에 있어서, 상기 리프 스프링은 인장 또는 압축 상태에서 작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프 스프링은 뒷받침판에 고정되 며 브레이크 슈의 내부 에지 또는 면에 대하여 지지한다.
상기 어버트먼트수단은 뒷받침판과 연결되어 연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일체로서 형성되거나 이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어버트먼트는, 상기 뒷받침판이 주조물이라면 주조된 돌출부로서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개별적으로 형성된 후에 용접이나 스크류나사 결착과 같은 방법에 의해서 뒷받침판에 부착될 수 있다. 비록 바람직한 구조에서는 상기 어버트먼트가 브레이크 어셈블리가 장착되는 바퀴가 충격 하중을 받는다면 브레이크 슈에 의하여 어버트먼트에 가해 질 수 있는 상당한 충격 하중과 이로 인한 축휨 하에서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지만, 각 어버트먼트는 고체 또는 강체일 수 있다. 만일 상기 어버트먼트가 강체로서 형성된다면, 상기와 같은 충격 하중은 브레이크 슈 또는 상기 어버트먼트들 중의 하나 이상을 영구적으로 변형시킬 수 있으며, 이는 상기 드럼 내의 브레이크 슈의 브레이크-오프 위치에 영향을 줄 것이다. 상기 구조의 일 형태로서, 상기 어버트먼트는 그 전체 길이에 걸쳐서 연장하는 길이방향의 간극(gap)을 갖는 튜브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구조에서는 상기 어버트먼트는 상기 뒷받침판으로부터 연장하도록 뒷받침판에 고정될 수 있으며, 하중을 받을 때 닫음(closure)에 의하여 어버트먼트의 탄성 압축을 가능하게 하도록 배치된 상기 길이방향의 간극과, 상기 뒷받침판의 전체적인 평면을 실질적으로 가로지르는 종축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닫음은 충격 하중이 있는 때에만 이루어지며, 상기 충격 하중 또는 축휨이 제거되면 상기 어버트먼트의 탄성 성질은 상기 간극으로 하여금 다시 개방되게, 즉 상기 어버트먼트로 하여금 회복되게 한다. 상기 탄성 어버트먼트의 초기하중은 상기 편향수단의 하중을 실질적으로 초과하도록 되어, 편향 하중만에 의하여는 상기 어버트먼트가 압축되지 않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상기 배치수단은 후속하는 하중이 있더라도 상기 브레이크 슈를 정위치에 계속하여 유지할 수 있는데, 상기와 같은 구조가 아니라면 어버트먼트의 변형을 초래할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은, 슈가 배치수단을 구비한 뒷받침판에 배치된 것과 같이 슈를 배치하는 배치수단을 구비한 지지수단에 브레이크 슈를 장착함에 의하여, 전체적으로 원형의 단일체 구조를 가지며 라이닝이 구비된 "브레이크 슈"를 준비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지지수단은 뒷받침판에 대해 브레이크 슈가 장착된 형태를 시뮬레이션(simulation)하며, 상기 마찰 라이닝은 브레이크 슈가 장착될 특정 브레이크 드럼과 맞도록 표면 연마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처리될 수 있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라이닝이 드럼 브레이크의 정확한 표면 윤곽(profile)으로 연마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브레이크 슈의 대향하는 단부들 사이에 장착되어 연마 압력 하에서 슈의 함몰을 방지하거나 또는 슈를 방사상으로 확장시켜서 "브레이크-온" 또는 브레이크 슈의 장착된 상태를 시뮬레이션하는 어버트먼트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라이닝을 슈 플랫폼(platform)에 부착하는 단계와 같은 라이닝이 구비된 브레이크 슈의 형성에 있어서의 다른 단계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슈가 상기 배치수단에 대하여 상기 지지수단 상에 지지될 때 상기의 부착이 편리하게 이루어 질 수 있다.
상기 장치 및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을 배치수단을 사용하는 뒷받침판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구성하는 것은 중요한데, 이는 상기 방법과 장치에 의하여 형성되는 브레이크 슈가 사용 중의 브레이크-오프 상태에서 상기 드럼 브레이크 표면과 마찰 라이닝 사이에 원하는 간극을 갖도록 보장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지지수단의 형상은 브레이크 어셈블리의 실제뒷받침판/배치수단 구조와 정확히 일치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정확함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주조된 뒷받침판을 사용하는 브레이크 어셈블리에 있어서 뒷받침판의 중앙 마개(spigot) 개구가 정확하게 기계가공되고, 그 마개 개구의 중심이 상기 지지수단의 구성을 위한 기준점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2 구현예에서, 상기 배치수단은 상기 브레이크 슈를 뒷받침판에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구비하며, 이는 상기 뒷받침판(214)에 대한 상기 브레이크 슈(210)의 방사상 및 원주방향 이동을 가능하게 하며, 브레이크 작용 하중의 제거 시에는 그러한 이동으로부터 브레이크 슈를 복귀시킨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른 브레이크 어셈블리는 브레이크 슈와 뒷받침판의 일체형 구성을 가능하게 하는데 유리하고, 나아가 브레이크 작용 중의 뒷받침판에 대한 슈의 바람직한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연결은, 브레이크 작용 하에서 상기 슈가 가장 적합한 브레이크 위치로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함에 의하여, 그 작동방식에 있어서 어느 정도 여유 있게 이루어진다. 다만 상기 연결수단은 이동을 원하는 대로 제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제 2 구현예에 따른 브레이크 슈는 실질적으로 강성(rigid)이며 대면하는 관계로 배치된 한 쌍의 브레이크 슈 부분들을 한정하며, 그 각각은 그 길이의 적어도 상당부를 따라서 T형상의 횡단면 형태를 가지고, 그 각각은 마찰 라이닝을 지지하기 위한 방사상 외향 표면을 한정한다. 상기 슈 부분들은 그들의 일 단부들에서 이 격되어 있으며, 그 부분들의 다른 단부들 또는 이에 인접한 곳에 연결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연결수단은 브레이크 작용 중에 뒷받침판에 대한 브레이크 슈의 방사상 및 원주방향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적합한 임의의 형태를 가진다. 일 형태에서, 한 쌍의 연결요소가 브레이크 슈와 뒷받침판 사이에서 연장한다. 이 구성에서는, 상기 연결요소들이 전술된 슈 중심선 주위로 원주방향으로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형태에 있어서, 각각의 연결요소는 서로 이격되어 있는 단부들로부터 먼 슈 부분들 각각의 단부들 또는 이에 인접한 곳에 배치된다.
제 2 구현예에 따른 브레이크 슈는 실질적인 그 원주 전체에 걸쳐서 T형상을 갖는 횡단면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연결수단은 그 T 단면의 내부로 연장한 웨브(web)와 연결되어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부로 연장된 웨브에의 연결은 임의의 적절한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예를 들어 리벳 또는 용접접합과 같은 적절한 고정수단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연결을 위한 수단들도 적절하지만, 연결수단이 브레이크 슈 웨브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브레이크 슈에서의 상기 일체 형성은 프레싱(pressing), 펀칭(punching) 또는 스탬핑(stamping)과 같은 방법 또는 레이저 절삭과 같은 방법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방법들도 적절할 수 있다.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뒷받침판에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연결될 수도 있으며, 위에서 서술된 연결수단 또한 뒷받침판에의 연결에도 적절하다. 그러나 다시 한 번 말하건데, 뒷받침판에의 연결은 일체형 연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점에서, 브레이크 슈, 연결수단, 및 뒷받침판은 일련의 공정 작업에 의하여 금속판으로부터 일체로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원형의 슈 플랫폼으로서 형성되는 금속판은 그 에지를 통하여 잘려질 수 있어서, 에지를 구부리고 디스크의 평면에 수직으로 연장하는 원주형 림(peripheral rim)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림은 결과적으로 이에 부착되는 마찰 라이닝을 지지하기 위한 방사상의 지지 표면을 한정한다. 그 후에 상기 원형 디스크는, 상기 디스크의 부분을 원주형 림의 방사상 내부로 배치하여 뒷받침판을 형성하고, 이로써 상기 원형 슈 부분을 브레이크 슈 부분과 뒷받침판 부분으로 분리하기 적합한 작업을 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디스크는 프레싱, 펀칭, 또는 스탬핑되거나, 또는 기계가공 또는 레이저 절삭될 수 있다. 상기 뒷받침판은 상기 원형 슈 부분의 브레이크 슈 부분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기보다는 브레이크 슈와 뒷받침판 사이에 이들과 연결된 연결부 또는 연결부들이 잔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부분 또는 부분들은 연결수단을 구성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연결수단은 임의의 적당한 형태를 구비하여 상기 브레이크 슈와 뒷받침판 사이에 필요한 방사상, 원주방향, 및 복귀 이동을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 연결수단의 형태는 브레이크 어셈블리의 구조에서 사용되는 형성 작업의 형태에 의하여 제한될 수 있으며, 연결수단의 형태가 복잡해질수록 복잡한 형성 기술을 필요로 할 것으로 파악된다. 예를 들어 레이저 절삭은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형성기술이지만, 이는 전술된 디스크 플랫폼 구조로부터 절삭될 수 있는 형상의 형태를 매우 다양하게 한다.
상기 연결수단은 전술된 방사상 및 원주방향의 이동을 탄성적 또는 신축성 있게 제공할 수 있어서, 브레이크 슈가 회전하는 브레이크 드럼의 내부 브레이크 표면에 대하여 확장될 때의 브레이크 힘과 작용력과 같은 이동을 개시하는 힘이 제거되었을 때, 상기 브레이크 어셈블리는 상기와 같은 임의의 이동으로부터 복귀한다. 그러나 바람직한 일 구성에서 상기 연결수단도 유연한 이동을 제공하여, 상기 브레이크 어셈블리는 브레이크-오프 상태에서 브레이크 드럼에 대하여 브레이크 슈를 영구적으로 정확하게 배치하는 방식으로 영구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연결수단의 유연한 변형은 유연한 변형의 조건들이 알려진 때 브레이크 어셈블리의 제조 중, 또는 브레이크 슈의 최초 또는 초기의 작동시와 같은 브레이크 어셈블리의 작동 중, 또는 마찰 라이닝의 마모를 보상하기 위하여 점진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뒷받침판이 차량에 고정된 후와 같은 때에 유연한 변형은 브레이크 드럼 내에 브레이크 슈를 적절히 배치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즉 상기 브레이크 슈와 뒷받침판 간의 단단한 연결은 브레이크 드럼에 대하여 브레이크 슈를 부정확하게 정렬하여 브레이크 어셈블리의 작동능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연결수단은, 바로잡지 않으면 브레이크 어셈블리의 영구적 결함이 되는 것을 바로잡기 위하여, 그 영구적 변형 하에서 자기-중심잡기와 같은 자기-정렬의 발생을 가능하게 한다.
유연한 변형의 가능성은 제한된 상태 하에서만 선택적으로 가능할 필요가 있다. 즉 브레이크 어셈블리의 작동이 예견가능하여, 브레이크 작용력이 가해지지 않을 때 드럼 브레이크의내부 브레이크 표면과 어셈블리의 마찰 라이닝 간의 양의 구 동 간극이 유지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상기 연결수단의 유연한 변형은 제어되는 조건 하에서만 일어나도록 제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수단의 유연한 변형은 브레이크 슈 이동의 방사상 또는 원주방향 중의 어느 하나에만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도 있으며, 적어도 방사상 방향으로는 유연한 변형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된 배치수단은 전술된 바와 같은 어버트먼트수단도 구비할 수 있으며, 그러한 어버트먼트수단은 상기 뒷받침판으로부터 연장할 수 있고, 상기 연결수단은 브레이크-오프 상태에서 브레이크 슈를 어버트먼트수단과 접촉시켜서 슈를 적극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다른 구성도 가능하다.
본 구현예에서의 배치수단은 브레이크 작용력이 제거되었을 때 상기 브레이크 어셈블 리가 브레이크 슈를 드럼 브레이크 표면과의 접촉으로부터 복귀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연결수단에 의하여 가능한 이동은, 브레이크 슈로 하여금 브레이크 작동 하에서 배치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상기 브레이크 슈에 부착된 마찰 라이닝이 드럼 브레이크 표면에 효율적인 제동과 마찰 라이닝의 마모에 적절한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구성은 상기 브레이크 슈가 뒷받침판에 스스로 지지되어 유지되기 때문에 더 유리하다. 따라서 상기 구조는 브레이크 슈가 뒷받침판에 부착되는 브레이크 어셈블리의 장점을 유지하면서도 브레이크 슈의 비정렬에 관계된 구조상의 단점은 없다.
첨부된 도면들은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 구현예들을 도시한다. 이 도면들의 특정 사항 및 이와 관계된 설명이 전술된 본 발명에 대한 일반적 이고 넓은 설명에 우선하는 것은 아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브레이크 어셈블리의 평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중심선을 따라 취한 측단면도이다.
도 3 은 도 2 의 편향 스프링의 배치를 도시하는 부분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브레이크 어셈블리의 평면도이다.
도 5 는 도 4 의 중심선을 따라 취한 측단면도이다.
도 6, 6a, 및 7 내지 9 는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어셈블리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어버트먼트들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어셈블리에서 사용되는 브레이크 슈를 연마하기 위한 연마 지그(grinding jig)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1 은 도 10 에 도시된 연마 지그에서 사용되는 클램프판을 도시한다.
도 12 는 도 10 에서 도시된 연마 지그에서 사용되는 어버트먼트를 도시한다.
도 13 은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브레이크 어셈블리를 도시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브레이크 어셈블리(10)의 평면도로서, 전체적으로 원형을 갖는 단일체인 브레이크 슈(11) 및 뒷받침판(12)을 도시하며, 상기 뒷받침판 위에 브레이크 슈(11)가 장착된다. 상기 어셈블리(10)는, 브레이크 작동 시에 상기 브레이크 슈(11)의 단부(14, 15)를 분리하여 상기 슈를 방사상으로 팽창시키고 상기 브레이크 슈(11)의 방사상 외부 표면(18)에 부착된 마찰 라이닝(16, 17)을 브레이크 드럼(도시되지 않음)의 브레이크 표면과 접촉하도록 한다. 상기 브레이크 슈(11)는 도 2 및 3 의 측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T형(11a) 또는 채널(channel)형(11b)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뒷받침판(12)은 스텁축(stub axle)을 수용하기 위한 중앙 개구(opening)(19) 및 휠볼트(wheel bolt)를 수용하기 위한 다른 4 개의 개구(20)를 구비한다. 상기 중앙 개구(19)는 정확하게 위치설정되고 형성되어야 하는데, 이것은 상기 스텁축 주위의 과도한 간극은 상기 어셈블리(10)가 부정확하게 배치되는 것을 야기하고 따라서 상기 마찰 라이닝(16, 17) 중의 하나가 브레이크-오프 상태에서 상기 드럼과 접촉하게 되기 때문이다.
한 쌍의 어버트먼트(21)들이 상기 뒷받침판(12)의 평편한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데, 이들은 상기 브레이크 슈(11)의 단부들(14, 15) 사이에서 연장된 중심선(C)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된다. 또한 편향수단이 상기 뒷받침판(12)으로부터 연장하는데, 이는 리프 스프링 또는 캔틸레버 스프링의 형태이다.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22)은 방사상으로 내부를 향하여 있는 상기 브레이크 슈(11)의 면(face) 또는 에지(edge)(23)와 밀착하며, 이 밀착은 슈의 단면 형태에 무관하게 이루어진다.
어버트먼트(21) 각각은 실린더 또는 아치의 형태를 가지며, 이는 상기 슈와 접촉하고, 또한 브레이크 슈(11)의 방사상으로 내부를 향한 에지(23)와 접할 수 있는 충분한 높이로 연장된다. 상기 어버트먼트의 높이는 상기 브레이크 슈의 단면 모양에 따라서 다를 수 있으며, 또한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버트먼트(21)는 상기 뒷받침판(12)의 편평한 표면에 인접하고 방사상으로 내부를 향해 연장하는 렉(leg)(24)과 접하기 충분한 높이로 연장된다. 따라서 도 2 에 도시된 어버트먼트(21)는 도 3 에 도시된 슈(11b)의 방사상으로 내부를 향해 연장하는 웨브(web)(25)와 접하기 위하여 필요한 높이보다 작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어버트먼트(21)들은 뒷받침판(12)의 중심으로부터 대략 120°정도의 각도로 이격되어 있다. 반드시 상기와 같이 이격되어야 하는 것이 아니고 또한 상기 어버트먼트들이 다른 곳에 위치될 수도 있으나, 상기와 같이 이격시키는 것은 적절하다.
도 1 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슈(11)는 브레이크-오프 상태에 있는데, 이 상태에서 상기 브레이크 슈의 내부 에지(23)는 상기 어버트먼트(21)의 외주부와 접한다. 상기 단부들(14, 15)도 액튜에이터(13)의 대향하는 단부들과 접하며, 상기 스프링(22)은 내부 에지(23)과 접한다. 상기와 같은 접함에 의하여, 상기 브레이크 슈(11)는 드럼 브레이크 표면(도시되지 않음)과 마찰 라이닝(16, 17)의 외부면 사이에 간극을 제공하도록 배치된다.
브레이크 작동 하중이 상기 액튜에이터(13)를 통하여 상기 브레이크 슈(11)에 가해질 때, 상기 슈는 방사상으로 확장되어 상기 마찰 라이닝(16, 17)이 상기 드럼 브레이크 표면과 접하게 되며, 상기 방사상의 확장에 의하여 상기 내부 에지(23)는 상기 어버트먼트(21)로부터 떨어진다. 도시된 구조에서, 상기 스프링(22)은 에지(23)와 접촉한 상태에서 유지되는데, 이 접촉의 지속이 중요한 것은 아니다. 브레이크 작동 하중 하에서, 상기 브레이크 슈(11)는 미국 특허 제5246093호에 설명된 바와 같이 알려진 방식으로 작동한다.
상기 배치수단이 상기 드럼(도시되지 않음) 내의 슈(11)의 위치에 영향을 주는 것은 브레이크 슈(11)의 복귀 이동 때이다. 상기 브레이크 슈(11)의 탄성적 방사상 수축 하에서, 상기 에지(23)는 어버트먼트(21)의 주변 표면과 다시 접하며, 상기 스프링(22)은 (도 1 에 도시된 어셈블리(10)의 방향에 대하여)하방으로 편향하는 영향을 준다. 또한 단부(14, 15)는 상기 액튜에이터(13)와 접하게 된다. 도 1 에 도시된 구성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슈(11)는 부유 이동(floating movement)되지 않도록 구속되며, 따라서 상기 브레이크 슈(11)는 상기 드럼 브레이크 표면과 마찰 라이닝(16, 17) 사이에 접촉이 발생하지 않도록 뒷받침판 상에 정확하게 배치된다.
도 4 및 도 5 에는 다른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편의상 대응되는 부품에 대하여는 이미 사용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되 100을 더하여 표기한다. 상기 브레이크 어셈블리(100)는 두 가지 점에서 도 1 에 도시된 브레이크 어셈블리와 구별된다. 첫째, 상기 어셈블리(100)는 어셈블리(10)의 어버트먼트와 동일한 형태의 한 쌍의 어버트먼트(30)를 구비하지만, 이들은 상기 브레이크 슈(111)의 내부 에지(123)를 따라 슈의 중간부를 향하여 더 이격된다. 둘째, 상기 어셈블리(100)는 일 단부가 상기 뒷받침판(112)에 걸리고 다른 단부는 상기 브레이크 슈(111)에 걸린 코일 스프링(31)을 구비한다. 상기 코일 스프링(31)은 브레이크-오프 상태에서 브레이크 슈(111)를 어버트먼트(30)와 접하도록 편향시키는 것을 보조하며, 상기 브레이크 슈의 방사상 탄성은 상기 슈 단부(114, 115) 및 액튜에이터(113) 사이의 접함이 지속되도록 한다. 상기의 접함과 상기 슈 단부(114, 115)와 상기 액튜에이터(11)의 접함에 의하여, 상기 브레이크 슈(111)는 상기 뒷받침판 상에 정확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또한 부유되지 않도록 구속된다. 도 1 의 구현예와 같이, 정확한 배치는 브레이크-오프 상태에서 상기 마찰 라이닝(116, 117)이 상기 드럼 브레이크 표면과 접촉되지 않도록 이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브레이크 어셈블리에 사용되기 적합한 어버트먼트들의 실시예가 도 6 및 도 6a 에 도시되어 있다. 도 6 을 참조하면, 도 1 에 도시된 것과 같은 뒷받침판(12)으로부터 연장하는 어버트먼트(32)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6 에는 상기 어버트먼트(32)와 접하는 채널 형태의 브레이크 슈(33)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어버트먼트는 스텝(step)(34)을 구비하는데, 이것의 제 1 면(35)은 상기 브레이크 슈(33)를 상기 뒷받침판(12)으로부터 이격하여 지지하기 위한 것이고, 제 2 면(36)은 상기 브레이크 슈의 내부 에지를 방사상으로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6a 에는 유사한 형태의 어버트먼트가 도시되어 있다. 다만 상기 어버트먼트(37)는, 상기 브레이크 슈(39)의 방사상으로 내부를 향한 웨브(38)를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뒷받침판(12)로부터 축방향으로의 높이가 어버트먼트(32) 보다 더 크다. 또한 상기 어버트먼트(37)는 상기 웨브를 상기 뒷받침판으로부터 축방향으로 멀리 지지하고 또한 방사상으로 지지하기 위한 스텝을 구비한다.
전술된 브레이크 어셈블리들은 브레이크 슈가 상기 뒷받침판으로부터 축방향으로 멀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을 구비할 수 있는데,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구현예들 각각에서는 스프링(22, 31)이 각각의 브레이크 슈에 어버트먼트 스텝에 대한 하향의 또는 축방향의 영향을 가하여 뒷받침판에 인접하게 유지한다.
도 7 내지 도 9 에는 적절한 어버트먼트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서는, 뒷받침판(12) 내의 개구(41, 42) 각각에 튜브형 부재(40)가 도입된다. 상기 개구(41, 42) 각각은 상기 뒷받침판의 상승된 부분(41a, 42a)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는데, 상기 부재(40)가 상기 뒷받침판에 장착되는 방식은 중요한 것이 아니다. 도 9 는 도 7 에 도시된 구성의 평면도이며, 전체적으로 튜브형이며 길이 전체에 걸쳐서 연장된 간극(G)을 구비한 부재(40)를 도시한다. 상기 간극(G)은, 상기 부재(40)와 브레이크 슈(33) 사이의 접점에 대하여 대략 90°의 각도를 갖는 평면에 배치되고, 또한 브레이크 슈에 의하여 가해지는 큰 하중 하에서 상기 부재(40)가 탄성적으로 굽혀지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부재(40)는 하중이 제거 또는 이동되었을 때 상기 탄성적 굽힘에 의하여 원상을 회복할 수 있고, 따라서 상기 브레이크 슈는 상기 하중이 가해지기 전에 있던 뒷받침판 상의 위치로 되돌아가게 된다. 상기 부재(40)는 탄성적 굽힘을 용이하게 하는 스프링 강(spring steel)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재(40)는 큰 하중 하에서만 굽혀지도록 설계되며, 도 4 에 도시된 편향 스프링(31)과 같은 편향수단의 하중에 의해서는 굽혀지지 않도록 충분한 초기하중(preload)을 갖는다.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어셈블리에서 사용되는 브레이크 슈를 연마하기 위한 연마 지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연마 지그(50)는 연마 휠(51)을 구비하며, 상기 휠은 공지의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지그(50)는 내향의 렉(leg)(53) 주위로 실질적으로 등거리를 두고 이격된 3개의 클램프판(clamping plate)(52)을 더 구비한다(도 11 참조). 상기 클램프판(52)은 상기 브레이크 슈(54)를 지그(50)의 뒷받침판(55)에 대해 지지한다.
상기 지그(50)는 한 쌍의 어버트먼트(56)를 구비하는데, 이들은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어셈블리에 제공되는 어버트먼트를 시뮬레이션하여 상기 지그(50)에 배치된다. 도 12 에는 어버트먼트(56)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 어버트먼트는 원형의 주변부를 구비하는데, 이는 다른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어버트먼트(56)는, 축방향의 지지를 위한 스텝을 구비할 수도 있으나,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텝을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지그(50)는 플랫폼(57)(도 11 참조)에 대하여 브레이크 슈(54)를 클램프(clamp)하는 클램프판(52)을 사용하기 때문에, 상기 어버트먼트(56)는 축방향의 지지부를 제공할 필요가 없다. 상기 슈 단부들 사이의 간극 영역에 두 개의 클램프, 및 상기 어버트먼트(56)에 가까운 또는 인접한 두 개의 클램프, 총합 4개의 클램프가 있을 수도 있다.
도 10 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크 슈(54)를 어버트먼트(56)와 접하도록 하는 편향수단(biasing means)(58)이 사용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편향수단(58)은 압축된 상태에서 작용한다. 상기 지그(50)에 브레이크 슈가 장착되었을 때, 상기 편향수단(58)은 상기 뒷받침판(55)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브레이크 슈(54)와 접촉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상기 지그(50)는 브레이크 슈(54)의 자유 단부들과 닿고 "적용" 또는 "장착된" 상태의 브레이크 액튜에이터를 시뮬레이션하는 어버트먼트(59)를 더 구비한다.
지그(50) 내에 브레이크 슈(54)를 배치하는 것은 브레이크 어셈블리의 브레이크 슈의 위치와 정확히 일치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도 4 와 도 10 내의 음영진(shaded) 삼각형 영역(R)이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개구(119)(도 4)가 정확히 형성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기계가공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브레이크 슈를 지그(50)에 장착한 후에는, 상기 연마 휠(grinding wheel)이 상기 마찰 라이닝(60, 61)을 임의의 적당한 윤곽으로 연마할 수 있는데, 상기 윤곽은 반드시 드럼의 내부 브레이크 표면의 윤곽과 반드시 같을 필요는 없다.
도 13 은, 본 발명의 제안된 일 형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단일체이고 T형상의 횡단면 구조를 갖는 브레이크 슈(210)를 구비한 브레이크 어셈블리(200)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레이크 슈(210)는 전체적으로 원형의 형태를 가지며 한 쌍의 대향하는 단부들(211, 212)을 구비하는데, 상기 단부들은 사용 중 브레이크 하중 하에서 뒷받침판(214)에 형성된 어버트먼트(213)에 접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브레이크 슈(210)는, 본 출원인에 의하여 제출되어 출원상태에 있는 국제출원 PCT/AU99/00248호 에 개시된 브레이크 슈와 유사한 형태를 가지며, 방사상 내향으로 연장된 웨브(215)와 상기 웨브(215)에 직교하여 형성된 림(216)을 구비한다. 상기 림(216)은 브레이크 마찰 라이닝(218)을 지지하기 위한 방사상의 외부 지지 플랫폼(217)을 한정한다. 상기 마찰 라이닝(218)은 적절한 접착제를 사용하는 등의 적절한 방법으로 상기 플랫폼(217)에 부착된다. 상기 브레이크 슈(210)는 대향하는 브레이크 슈 부분들(219, 220) 상에 배치된 두 개의 마찰 라이닝(218) 부위를 구비한다. 상기 브레이크 슈(210)의 웨브(215)는 확장기 또는 액튜에이터(도시되지 않음)의 배치 및 수용을 위한 노치(notch)(221)를 구비한다.
상기 뒷받침판(214)은, 차량의 축과 통상적인 방법으로 연결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지며, 이를 위하여 개구(222, 223)를 구비한다. 이 개구들은 상기 뒷받침판이 부착될 특정 차량에 맞도록 적절하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브레이크 슈(210)는 통상적인 방식으로 작동하는데, 즉 상기 슈에 작용력(actuating force)을 가하여 이를 방사상으로 확장되게 하고, 이로써 대향하는 단부들(211, 212) 사이의 간극이 커지게 하며 상기 마찰 라이닝(218)을 브레이크 드럼의 내부 브레이크 표면과 브레이크 접촉하게 한다. 상기 브레이크 슈의 탄성은 상기 작용력이 해제될 때 슈로 하여금 방사상으로 수축되게 하며, 상기 슈 부분들(219, 220) 사이에 부착된 코일 스프링과 같은 알려진 수단으로 상기 수축을 보조할 수 있다.
상기 브레이크 어셈블리(200)의 고유한 특징은, 상기 브레이크 슈 부분(219, 220)의 단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브레이크 슈를 뒷받침판(214)와 연결하는 연결수단(224)에 의하여 제공된다. 상기 연결수단(224)은 상기 웨브(215)의 방사상 내부 에지로부터 상기 뒷받침판(214)의 방사상 외부 에지까지 연장되며, 상기 브레이크 슈(210) 및 상기 뒷받침판(214)과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연결수단(224)은 실질적으로 편평한 탄성 스프링으로서 형성되는데, 이는 상기 뒷받침판(214)에 대한 상기 브레이크 슈(210)의 방사상 및 원주방향 이동을 가능하게 하며, 이것은 상기 마찰 라이닝(218)이 상기 드럼 브레이크 표면과 이격되는 브레이크-오프 위치로의 복귀성을 갖는다. 상기 이동은 도시된 연결수단(224)의 형상에 의하여 용이하게되며, 상기 형상 또는 배치는 다른 형태를 택하면서도 같은 이동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링크 형의 구조 또는 탄성 고무 블록을 사용한 스프링 구조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3 은, 상기 브레이크 슈를 방사상으로 확장시키는 작용력이 제거되었을 때 브레이크 슈를 설정된 비작용 위치(inoperative position)로 반복해서 복귀시키는 탄성 변형을 위하여 설계된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브레이크 어셈블리를 도시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브레이크 슈(210)는, 상기 마찰 라이닝(218)을 드럼의 내부 브레이크 표면과 브레이크 접촉되게 하도록 하기 위하여, 슈의 방사상 확장을 가능하게 하는 작용 하중 하에서 방사상으로 이동가능하다. 그리고 나아가서 상기 브레이크 슈는 브레이크 하중 하에서 원주방향으로 이동가능해서 상기 슈의 대향하는 단부(211 또는 212) 중의 하나가 상기 어버트먼트(213)와 접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보통의 방식으로 브레이크 토크(torque)를 그 어버트먼트에 전달한다.
상기 연결수단은, 브레이크 어셈블리(200)가 드럼 브레이크에 설치될 때 브레이크 슈(210)가 뒷받침판(214)에 대하여 정확하고 바르게 배치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유연한 변형(plastic deformation)을 위하여 설계될 수도 있다. 상기 설계는 방사상과 원주방향 중의 어느 하나 또는 모두의 방향으로 원하는 대로 유연한 변형이 이루어 질 수 있게 한다.
상기 연결수단(224)들은 바람직하게는 60°내지 120°사이의 각도에 의하여 분리될 수 있다. 도 1 에 도시된 연결수단(224)의 위치는 가장 적절한 것으로 생각된다.
상기 브레이크 어셈블리(200)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도 1 에 도시된 구조는 림(rim)(216)을 형성하기 위하여 에지가 잘린 원형 디스크 플랫폼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그 후 상기 디스크는 펀치되거나 달리 처리되어서 브레이크 슈(210)와 뒷받침판(214)을 분리하며, 또한 노치(221) 및 개구(222, 223)를 형성한다. 상기 펀치 작업은 상기 연결수단(224)의 추후 변형을 위하여 뒷받침판(214)에 연결된 브레이크 슈(210)를 남기는 작업이며, 상기 연결수단(224)의 스프링 구조의 변형을 위하여 상기 브레이크 슈(210)를 상기 뒷받침판(214)에 연결하는 편평한 탭(tab) 또는 스트립(strip)이 남겨질 수 있다. 그 후 상기 탭 또는 스트립은 도 1 에 도시된 편평한 스프링 형태로 레이저 절삭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른 방법도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브레이크 슈(210)와 뒷받침판(214)이 분리되도록 형성하는 펀치작업으로써 연결수단(224)도 형성할 수 있다. 이 것은 레이저 절삭의 필요를 제거하고 브레이크 어셈블리(200)을 형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공정의 수를 줄인다는 점에서 특히 유리하다. 상기 연결수단(224)은, 상기 펀치 작업과 같은 작업에 의해서 상기 브레이크 슈(210)와 뒷받침판(214) 사이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또는 브레이크 슈와 뒷받침판 각각과 분리되어 형성되고 이에 부착될 수 있다. 그러한 부착은 임의의 적절한 수단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드럼 브레이크 어셈블리는 상기 드럼 브레이크 어셈블리에 구비된 배치 수단이 브레이크-오프 상태에서 마찰 라이닝의 외부면과 내부 브레이크 표면 사이에 완전한 간극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서 외력의 영향에 의해 드럼 브레이크 어셈블리에서 발생하는 브레이크 슈우 의 운동이 본 발명에 따른 드럼 브레이크 어셈블리에서는 발생하지 않으며, 그에 의해 종래 기술의 단점이 극복된다.
여기에 기술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으로 설명된 바와는 달리 변형, 수정, 및/또는 추가가 가능하며, 본 발명은 상기 설명의 범위와 취지 내의 모든 변형예, 수정예, 및/또는 추가예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차량 등의 바퀴에 적용되는 브레이크에 이용될 수 있다.

Claims (30)

  1. 방사상 내부 브레이크 표면을 구비하고, 회전이 가능한 드럼;
    상기 드럼 내에 뒷받침판에 장착되며, 단일체 구조로서 전체적으로 원형의 형태를 가지고, 방사상의 외부 면과 이에 장착되어 상기 내부 브레이크 표면과 대면하는 관계에 있는 마찰 라이닝을 구비한 브레이크 슈;
    액튜에이터의 작용 하중이 작동되고 있는 브레이크-온(brake-on) 상태와, 액튜에이터의 작용 하중이 해제되어 있는 브레이크-오프(brake-off) 상태를 가지며, 상기 브레이크-온 상태에서 상기 브레이크 슈를 직경 방향으로 확장시킬 수 있는 액튜에이터; 및
    상기 액튜에이터가 브레이크-오프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마찰 라이닝의 외부면과 상기 내부 브레이크 표면 사이의 완전한 간극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드럼 내에서 상기 브레이크 슈를 배치하는 배치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배치 장치는 상기 브레이크-오프 상태에서 상기 브레이크 슈의 내부 면 또는 에지와 닿도록 배치된 적어도 한쌍의 이격된 어버트먼트와, 상기 액튜에이터의 작용 하중이 브레이크-온 상태로부터 브레이크-오프 상태로 해제될 때, 상기 브레이크 슈를 상기 어버트먼트와 접하도록 편향 및 복귀시키는 편향 스프링을 구비한 드럼 브레이크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버트먼트의 쌍은 상기 브레이크 슈의 대향하는 단부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중심선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이격된 드럼 브레이크 어셈블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어버트먼트들은 상기 뒷받침판으로부터 외향으로 돌출된 드럼 브레이크 어셈블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어버트먼트들은 상기 뒷받침판과 일체로 형성된 드럼 브레이크 어셈블리.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어버트먼트들은 상기 뒷받침판에 연결된 드럼 브레이크 어셈블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버트먼트들은 축휨을 야기하는 하중 하에서 탄성적으로 변형되도록 배치된 드럼 브레이크 어셈블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어버트먼트들은 튜브형이며 길이 전체에 걸쳐서 연장된 길이방향의 간극을 갖고, 상기 어버트먼트는 축휨을 야기하는 상기 하중이 상기 간극을 탄성적으로 닫도록 배치된 드럼 브레이크 어셈블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튜에이터의 작용 하중이 브레이크-온 상태로부터 브레이크-오프 상태로 해제될 때, 직경방향으로 수축하여 상기 어버트먼트와 접하도록, 상기 브레이크 슈는 직경방향의 확장에 반하는 탄성을 갖는 드럼 브레이크 어셈블리.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 스프링이 연장하여 상기 브레이크 슈와 상기 뒷받침판 사이를 연결하는 드럼 브레이크 어셈블리.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 스프링은 상기 브레이크 슈와 상기 뒷받침판 사이에서 인장상태로 연장되는 코일 스프링을 구비한 드럼 브레이크 어셈블리.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 스프링은 상기 브레이크 슈 또는 상기 뒷받침판 중의 어느 하나에 고정되고 다른 하나에 대해 지지되는 리프 스프링 또는 캔틸레버 스프링을 구비한 드럼 브레이크 어셈블리.
  12. 방사상 내부 브레이크 표면을 구비하고, 회전이 가능한 드럼;
    상기 드럼 내에 뒷받침판에 장착되며, 단일체 구조로서 전체적으로 원형의 형태를 가지고, 방사상의 외부 면과 이에 장착되어 상기 내부 브레이크 표면과 대면하는 관계에 있는 마찰 라이닝을 구비한 브레이크 슈;
    액튜에이터의 작용 하중이 작동되고 있는 브레이크-온 상태와, 액튜에이터의 작용 하중이 해제되어 있는 브레이크-오프 상태를 가지며, 상기 브레이크-온 상태에서 상기 브레이크 슈를 직경방향으로 확장시키도록 작동될 수 있는 액튜에이터; 및
    상기 액튜에이터가 브레이크-오프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마찰 라이닝의 외부면과 상기 내부 브레이크 표면 사이의 완전한 간극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드럼 내에서 상기 브레이크 슈를 배치하는 배치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배치 장치는 상기 브레이크 슈와 상기 뒷받침판을 연결하는 연결구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구는 필요에 따라 상기 뒷받침판에 대한 방사상 및 원주방향으로의 탄성적인 브레이크 슈 이동을 가능하게 하여 상기 액튜에이터가 작동되면 상기 브레이크 슈가 직경방향으로 확장되어 브레이크-온 상태로 될 수 있고 상기 액튜에이터가 해제되면 상기 브레이크 슈가 상기 드럼의 내부 브레이크 표면과 상기 마찰 라이닝의 내부 면 사이의 간극이 있는 위치로 복귀되어 직경방향으로 수축된 브레이크-오프 상태로 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구는 상기 브레이크 슈 주위로 원주방향으로 이격된 한 쌍의 연결요소를 구비하고, 상기 브레이크 슈와 상기 뒷받침판 사이에서 일체화된 연결로서 형성된 드럼 브레이크 어셈블리.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슈는 대면하는 관계로 배치된 실질적으로 강성인(rigid) 한 쌍의 브레이크 슈 부분들을 형성하며, 브레이크 슈 부분들 각각은 그 길이의 일부를 따라서 T형상의 횡단면 형태를 가지고, 그 각각은 마찰 라이닝을 지지하기 위한 방사상 외향 표면을 형성하는 드럼 브레이크 어셈블리.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슈는 실질적으로 그 전체 원주에 걸쳐서 T형상의 횡단면 형태를 가지고, 상기 연결구는 상기 브레이크 슈의 방사상 내향으로 연장된 웨브와 연결된 상태로 연장된 드럼 브레이크 어셈블리.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슈 부분들은 그 대향하는 단부들이 이격하여 있고, 상기 연결구는 상기 슈 부분들 각각의 다른 단부들에 또는 그에 인접하여 배치된 드럼 브레이크 어셈블리.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유연하게 변형될 수 있어서 상기 내부 브레이크 표면과 상기 마찰 라이닝의 외부면 사이의 간극을 위한 상기 브레이크 슈의 정확한 배치를 용이하게 하는 드럼 브레이크 어셈블리.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상기 내부 브레이크 표면과 상기 마찰 라이닝의 외부면 간의 간극이 마찰 라이닝이 마모됨에 따라서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시간의 흐름에 따라서 점차적으로 유연하게 변형될 수 있는 드럼 브레이크 어셈블리.
  18. 브레이크-오프 상태로 드럼 브레이크 어셈블리에 브레이크 슈가 장착된 상태를 시뮬레이션(simulation)하기 위하여, 브레이크 슈의 이완된 상태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확장된 상태로 상기 브레이크 슈를 배치하는 배치 장치를 구비한 지지용 지그 안에 상기 브레이크 슈를 장착하는 단계; 및
    사용중에 라이닝이 드럼 브레이크 어셈블리의 브레이크 표면으로부터 필요한 설정의 주행 간극과 같은 거리로 이격되기에 충분한 재료를 마찰 라이닝의 외부면으로부터 제거하는 연마 경로를 통해 상기 마찰 라이닝의 방사상 외부면을 연마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전체적으로 원형의 형태를 갖는 단일체 구성이고 마찰 라이닝을 구비한 브레이크 슈를 준비하는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용 지그는, 상기 마찰 라이닝의 처리 중에 상기 브레이크 슈의 함몰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브레이크 슈의 대향하는 단부들 간에 배치된 어버트먼트를 더 구비하는 브레이크 슈를 준비하는 방법.
  20. 브레이크 슈가 장착되는 지지용 지그 및, 브레이크 슈의 이완된 상태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확장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용 지그안에 상기 브레이크 슈를 배치하는 배치 장치를 구비하며 전체적으로 원형의 형태를 갖는 단일체 구조이고 마찰 라이닝을 구비한 브레이크 슈를 준비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지지용 지그와 배치 장치는 브레이크-오프 상태에 있는 드럼 브레이크 어셈블리에 브레이크 슈가 장착된 상태를 시뮬레이션(simulation)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장치는, 사용중에 라이닝이 드럼 브레이크 어셈블리의 브레이크 표면으로부터 필요한 설정의 주행 간극과 같은 거리로 이격되기에 충분한 재료를 마찰 라이닝의 외부면으로부터 제거하는 연마 경로를 통해 상기 마찰 라이닝의 방사상 외부면을 연마하는 연마 휠을 더 구비하는 브레이크 슈를 준비하기 위한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장치는 상기 브레이크 슈의 대향 면들 또는 에지와 닿도록 이격되어 있는 한쌍의 어버트먼트를 구비한 브레이크 슈를 준비하기 위한 장치.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KR1020027008910A 2000-01-11 2000-12-29 브레이크 어셈블리 KR1007385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PQ5040A AUPQ504000A0 (en) 2000-01-11 2000-01-11 Brake assembly
AUPQ5040 2000-01-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8073A KR20020068073A (ko) 2002-08-24
KR100738595B1 true KR100738595B1 (ko) 2007-07-11

Family

ID=3819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8910A KR100738595B1 (ko) 2000-01-11 2000-12-29 브레이크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899205B2 (ko)
EP (1) EP1247027B1 (ko)
JP (1) JP2003519763A (ko)
KR (1) KR100738595B1 (ko)
AU (1) AUPQ504000A0 (ko)
CA (1) CA2396906A1 (ko)
DE (1) DE60041783D1 (ko)
MY (1) MY127198A (ko)
TW (1) TW480319B (ko)
WO (1) WO200105182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8582B1 (ko) 2016-10-12 2018-11-15 조원봉 단일 슈 타입의 브레이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10034B1 (en) * 2006-01-17 2008-08-12 Robert Bosch Gmbh Drum brake
US7975815B2 (en) * 2008-03-03 2011-07-12 John Joseph Carney Brake
KR101962798B1 (ko) * 2017-03-21 2019-03-27 주식회사 대철 브레이크 장치
CN109854639A (zh) * 2019-01-22 2019-06-07 清华大学 一种电动轮鼓式制动器
CN113915253B (zh) * 2021-11-03 2022-06-17 清华大学 鼓式制动器
CN115365541A (zh) * 2022-10-21 2022-11-22 靖江市永恒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制动蹄轴套孔及滚轮孔端面加工用夹具工装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46024A (en) 1929-02-23 1932-02-23 Gen Motors Res Corp Combination band and shoe brake
US2032864A (en) 1931-02-07 1936-03-03 Midland Steel Prod Co Brake shoe and method of forming same
US2068959A (en) 1935-01-21 1937-01-26 Bendix Brake Co Brake
US2102915A (en) 1935-03-28 1937-12-21 Luther C Rishel Universal brake shoe grinder guide
US2166754A (en) 1938-05-04 1939-07-18 Wagner Electric Corp Braking apparatus
JPH0232864A (ja) * 1988-07-22 1990-02-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サーマルヘッド
JPH0268959A (ja) * 1988-09-02 1990-03-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密着型メイージセンサ
JPH02102915A (ja) * 1988-10-11 1990-04-16 Tokyo Electric Co Ltd 動圧流体軸受装置
JPH02166754A (ja) * 1988-12-21 1990-06-2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半導体封止用樹脂成形材料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053617A (ko) *
US1898136A (en) * 1929-04-29 1933-02-21 Alvin L Miller Brake adjusting tool
US1952130A (en) * 1929-05-14 1934-03-27 Cincinnati Grinders Inc Brake shoe grinder
US2174243A (en) 1933-11-20 1939-09-26 Hawley Jones Corp Brake
US2236345A (en) 1937-01-25 1941-03-25 Bernard H Mossinghoff Brake device
US2263263A (en) 1938-03-28 1941-11-18 Adiel Y Dodge Brake
US2167935A (en) 1938-08-08 1939-08-01 Forrest V Borden Clutch or brake band
US2273223A (en) 1939-07-05 1942-02-17 Charles A Sawtelle Brake mechanism
US2215547A (en) 1939-07-31 1940-09-24 Wagner Electric Corp Braking mechanism
US2293710A (en) 1939-12-16 1942-08-25 Warner Electric Brake Mfg Co Brake
US2330879A (en) 1941-07-21 1943-10-05 Kelsey Hayes Wheel Co Brake
US2596379A (en) 1946-08-29 1952-05-13 Adiel Y Dodge Brake
US2768714A (en) 1951-01-03 1956-10-30 Borg Warner Cardioidal shaped brake band
FR1361516A (fr) * 1963-04-11 1964-05-22 Perfectionnement apportés aux freins à tambour pour cycles et analogues
FR1408979A (fr) * 1963-12-13 1965-08-20 Teves Kg Alfred Frein à bande intérieure pour les véhicules automobiles
US3412835A (en) 1966-09-14 1968-11-26 Goldberg Charles Morley Flexible friction shoe
US3386535A (en) 1966-10-26 1968-06-04 Gen Motors Corp Friction band
GB1406430A (en) * 1971-10-28 1975-09-17 Girling Ltd Adjusters for shoe drum brakes
FR2275396A1 (fr) 1974-06-20 1976-01-16 Comec Dispositif presseur destine a appliquer une bande contre un cylindre d'entrainement ou de freinage
US4024933A (en) 1974-10-25 1977-05-24 Hinderks M V Brake and vehicle braking system
US4053287A (en) * 1976-03-10 1977-10-11 Purpose Engineers Limited Brake shoe grinding jig
US4456100A (en) 1981-08-04 1984-06-26 Kabushiki Kaisha Daikin Seisakusho Band brake mechanism for an automatic transmission of an automobile
US4452346A (en) 1982-03-08 1984-06-05 General Motors Corporation Brake shoe and lining assembly
US5246093A (en) * 1989-04-12 1993-09-21 Brake & Clutch Industries Australia Pty. Ltd. Drum brake assembly
DE3941400A1 (de) * 1989-12-15 1991-06-27 Daimler Benz Ag Als trommelbremse ausgebildete feststellbremse
AUPP291498A0 (en) * 1998-04-09 1998-05-07 Pbr Automotive Pty Ltd Brake shoe and brake assembly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46024A (en) 1929-02-23 1932-02-23 Gen Motors Res Corp Combination band and shoe brake
US2032864A (en) 1931-02-07 1936-03-03 Midland Steel Prod Co Brake shoe and method of forming same
US2068959A (en) 1935-01-21 1937-01-26 Bendix Brake Co Brake
US2102915A (en) 1935-03-28 1937-12-21 Luther C Rishel Universal brake shoe grinder guide
US2166754A (en) 1938-05-04 1939-07-18 Wagner Electric Corp Braking apparatus
JPH0232864A (ja) * 1988-07-22 1990-02-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サーマルヘッド
JPH0268959A (ja) * 1988-09-02 1990-03-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密着型メイージセンサ
JPH02102915A (ja) * 1988-10-11 1990-04-16 Tokyo Electric Co Ltd 動圧流体軸受装置
JPH02166754A (ja) * 1988-12-21 1990-06-2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半導体封止用樹脂成形材料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8582B1 (ko) 2016-10-12 2018-11-15 조원봉 단일 슈 타입의 브레이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480319B (en) 2002-03-21
KR20020068073A (ko) 2002-08-24
AUPQ504000A0 (en) 2000-02-03
EP1247027A4 (en) 2007-08-15
WO2001051824A1 (en) 2001-07-19
DE60041783D1 (de) 2009-04-23
MY127198A (en) 2006-11-30
EP1247027A1 (en) 2002-10-09
JP2003519763A (ja) 2003-06-24
US20030029682A1 (en) 2003-02-13
EP1247027B1 (en) 2009-03-11
US6899205B2 (en) 2005-05-31
CA2396906A1 (en) 2001-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29059B2 (ja) ドラムブレーキ組立体及びその製造方法
US5251727A (en) Wear compensating return spring for floating caliper disc brake shoes
KR100619536B1 (ko) 브레이크 슈와 브레이크 조립체
US5246093A (en) Drum brake assembly
US20160273600A1 (en) Disc brake pad retention system and mounting method
EP2914866B1 (en) Guide pin for disc brake assembly, disc brake assembly including such a guide pin and method for producing a disc brake assembly including such a guide pin
KR100738595B1 (ko) 브레이크 어셈블리
GB2160600A (en) Disc brake
AU771785B2 (en) Brake assembly
JP2005500495A (ja) ドラムブレーキアセンブリ
EP0197192B1 (en) Brake shoe retention apparatus
CN114729672A (zh) 具有主动缩回元件的坯件优化的制动器滑动夹
JPH09112602A (ja) ディスクブレーキ用取付部材
JPH0344455Y2 (ko)
JP3566560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
KR20020084126A (ko) 조정기 스트러트
JPH022097Y2 (ko)
JP4597854B2 (ja) ドラムブレーキ
JPH0227529B2 (ko)
JPH09257060A (ja) ディスクブレーキ
GB1585755A (en) Disc brakes
CN117795224A (zh) 用于商用车的盘式制动器以及用于盘式制动器的制动衬片
JPH0510830U (ja) デイスクブレーキ装置
KR19980021631U (ko) 캘리퍼브레이크의 마모감지장치
JPH0630539U (ja) ディスクブレーキのキャリパガイド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