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8439B1 - 파워 래치 모드를 적용한 전자제어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파워 래치 모드를 적용한 전자제어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8439B1
KR100738439B1 KR1020020004775A KR20020004775A KR100738439B1 KR 100738439 B1 KR100738439 B1 KR 100738439B1 KR 1020020004775 A KR1020020004775 A KR 1020020004775A KR 20020004775 A KR20020004775 A KR 20020004775A KR 100738439 B1 KR100738439 B1 KR 1007384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te
signal
turned
relay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4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4468A (ko
Inventor
오희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0200047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8439B1/ko
Publication of KR20030064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44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8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84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57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 B62D5/046Controlling the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1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 Steering Control In Accordance With Driving Cond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ECU에 대한 파워 소스를 점화 파워 라인에서 배터리 파워 라인으로 변경하고, MCU에서 제공하는 INH 신호를 이용하여 점화 스위치의 오프시에도 일정 시간동안 시스템 파워 소스를 공급함으로써 차량의 조향 안정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파워 래치 모드를 적용한 EPS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MCU로부터 출력되는 인히빗 기능의 INH 신호와 점화 파워 라인(IGN)으로 입력되는 신호를 논리합하는 오아 게이트와, 상기 오아 게이트의 출력 결과인 하이 또는 로우신호와 배터리 파워 라인(B+)으로 입력되는 신호를 논리곱하는 앤드 게이트와, 상기 앤드 게이트로부터 출력되는 하이 또는 로우신호에 따라 온 또는 오프동작하는 릴레이와, 상기 릴레이가 온동작하는 경우 배터리의 전원을 입력하여 EPS 시스템의 각 부에서 사용하기 위한 일정 전압을 발생하는 레귤레이터와, 상기 릴레이가 온동작하는 경우 배터리의 전원을 입력하여 EPS 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ECU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파워 래치 모드를 적용한 전자제어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EPS SYSTEM APPLYING POWER LATCH MODE}
도 1은 일반적인 EPS 시스템의 간략한 블록 구성도,
도 2는 종래 파워 래치 모드를 적용하지 않은 경우의 파워 소스 공급과 관련된 EPS 시스템의 간략한 블록 구성도,
도 3은 종래 파워 래치 모드를 적용하지 않은 경우의 EPS 시스템의 각 부 타이밍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파워 래치 모드를 적용한 경우의 파워 소스 공급과 관련된 EPS 시스템의 간략한 블록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파워 래치 모드를 적용한 경우의 EPS 시스템의 각 부 타이밍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센서부 2, 7, 15 : ECU
3 : 모터 제어 및 구동부 4, 12 : 앤드 게이트
5, 13 : 릴레이 6, 14 : 레귤레이터
11 : 오아 게이트
본 발명은 파워 래치 모드(Power Latch Mode)를 적용한 전자제어 파워 스티어링(Electronic Power Steering ; 이하, 'EPS'라 칭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 제어 장치(Electronic Control Unit ; 이하, 'ECU'라 칭함)에 대한 파워 소스(Power Source)를 점화 파워 라인(Ignition Power Line)에서 배터리 파워 라인으로 변경하고, MCU(Main Control Unit)에서 제공하는 INH(INHibit) 신호를 이용하여 점화 스위치의 오프(Off)시에도 일정 시간동안 시스템 파워 소스를 공급함으로써 차량의 조향 안정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파워 래치 모드를 적용한 EPS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각종 입력센서에서 검출되는 전기적 신호를 입력받아 출력측의 각종 액츄에이터를 구동하기 위한 디지털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차량용 ECU가 구비되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ECU를 이용하여 차량의 속도에 따라 운전자 핸들의 조작력을 줄여주어 가볍고 신속한 조향 조작이 가능하도록 한 EPS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속도를 검출하는 차속 센서, 모터의 상대 조향각을 검출하는 모터 위치 센서, 운전자 핸들의 토오크를 검출하는 토오크 센서 등의 센서부(1)와, 상기 센서부(1)에서 검출되는 각종 입력신호에 따라 운전자 핸들의 조작력을 줄여주기 위한 모터 제어신호 및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ECU(2)와, 상기 ECU(2)에서 출력되는 모터 제어신호 및 구동신호에 따라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고, 모터의 구동 에 따른 출력으로 랙바를 구동시키는 모터 제어 및 구동부(3)로 크게 이루어진다.
도 2는 종래 파워 래치 모드를 적용하지 않은 경우의 파워 소스 공급과 관련된 EPS 시스템의 간략한 블록 구성도로서, 배터리 파워 라인(B+)으로 입력되는 신호와 점화 파워 라인(IGN)으로 입력되는 신호를 논리곱하는 앤드 게이트(AND Gate)(4)와, 상기 앤드 게이트(4)로부터 출력되는 하이(High) 또는 로우(Low)신호에 따라 온(On) 또는 오프(Off)동작하는 릴레이(5)와, 상기 릴레이(5)가 온동작하는 경우 배터리의 전원을 입력하여 EPS 시스템의 각 부에서 사용하기 위한 일정 전압을 발생하는 레귤레이터(Regulator)(6)와, 상기 릴레이(5)가 온동작하는 경우 배터리의 전원을 입력하여 EPS 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ECU(7)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EPS 시스템의 동작을 도 3의 각 부 타이밍도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배터리 파워 라인(B+)으로 입력되는 신호와 점화 파워 라인(IGN)으로 입력되는 신호가 모두 있어 앤드 게이트(4)가 하이신호를 출력하는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 전체의 파워 공급이 온되면서, 초기 체크(Initial Check)를 위한 일정 시간 지연 후 릴레이(5)가 온동작하여 레귤레이터(6) 및 ECU(7)로 배터리의 전원이 입력되어 전체적인 EPS 시스템의 각 부가 동작되는 반면에, 점화 스위치의 오프 동작에 따라 점화 파워 라인(IGN)으로 입력되는 신호가 없어 상기 앤드 게이트(4)가 로우신호를 출력하는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 전체 의 파워 공급이 오프되면서, 상기 릴레이(5)도 오프동작하게 된다.
이에 따라, 레귤레이터(6) 및 ECU(7)로 배터리의 전원이 입력되지 않아 EPS 시스템의 동작이 중단되게 된다.
즉, 차량의 시동을 켜기 위해 점화 스위치를 온시키는 경우에는 바로 시스템 전체의 파워 공급을 온시키고 릴레이(5)에 대한 초기 체크를 실시한 후 릴레이(5)를 온시키며, 차량의 시동을 끄기 위해 점화 스위치를 오프시키는 경우에는 바로 시스템 전체의 파워 공급을 오프시키고 릴레이(5)도 동시에 오프시킨다.
상기와 같이 종래에는 차량의 시동을 끄기 위해 점화 스위치를 오프시키는 경우 시스템 파워 소스(Vcc)의 공급이 완전히 사라짐에 따라 EPS 시스템의 동작이 중단되어 조향 토오크를 어시스트(Assist)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ECU에 대한 파워 소스를 점화 파워 라인에서 배터리 파워 라인으로 변경하고, MCU에서 제공하는 INH 신호를 이용하여 점화 스위치의 오프시에도 일정 시간동안 시스템 전체의 파워 공급을 온시킴으로써 차량의 조향 안정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파워 래치 모드를 적용한 EPS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파워 래치 모드를 적용한 EPS 시스템은, MCU로부터 출력되는 인히빗 기능의 INH 신호와 점화 파워 라인(IGN)으로 입력되는 신호를 논리합하는 오아 게이트와, 상기 오아 게이트의 출력 결과인 하이 또는 로우신호와 배터리 파워 라인(B+)으로 입력되는 신호를 논리곱하는 앤드 게이트와, 상기 앤드 게이트로부터 출력되는 하이 또는 로우신호에 따라 온 또는 오프동작하는 릴레이와, 상기 릴레이가 온동작하는 경우 배터리의 전원을 입력하여 EPS 시스템의 각 부에서 사용하기 위한 일정 전압을 발생하는 레귤레이터와, 상기 릴레이가 온동작하는 경우 배터리의 전원을 입력하여 EPS 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ECU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의한 파워 래치 모드를 적용한 EPS 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파워 래치 모드를 적용한 경우의 파워 소스 공급과 관련된 EPS 시스템의 간략한 블록 구성도로서, MCU로부터 출력되는 인히빗(Inhibit) 기능의 INH 신호와 점화 파워 라인(IGN)으로 입력되는 신호를 논리합하는 오아 게이트(OR Gate)(11)와, 상기 오아 게이트(11)의 출력 결과인 하이 또는 로우신호와 배터리 파워 라인(B+)으로 입력되는 신호를 논리곱하는 앤드 게이트(12)와, 상기 앤드 게이트(12)로부터 출력되는 하이 또는 로우신호에 따라 온 또는 오프동작하는 릴레이(13)와, 상기 릴레이(13)가 온동작하는 경우 배터리의 전원을 입력하여 EPS 시스템의 각 부에서 사용하기 위한 일정 전압을 발생하는 레귤레이터(14)와, 상기 릴레이(13)가 온동작하는 경우 배터리의 전원을 입력하여 EPS 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ECU(15)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EPS 시스템에 있어서, 차량의 시동을 켜기 위해 점화 스 위치를 온시키는 경우에는 종래와 동일하게 바로 시스템 전체의 파워 공급을 온시키고 릴레이(13)에 대한 초기 체크를 실시한 후 릴레이(13)를 온시키는 반면에, 차량의 시동을 끄기 위해 점화 스위치를 오프시키는 경우에는 일정 시간 지연 후에 릴레이(13)를 오프시키고 이어 일정 시간 더 지연한 후에 시스템 전체의 파워 공급을 오프시키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파워 래치 모드를 적용한 경우의 EPS 시스템의 각 부 타이밍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파워 래치 모드를 적용한 EPS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ECU(15)에 대한 파워 소스를 점화 파워 라인(IGN)에서 배터리 파워 라인(B+)으로 변경하고 있다.
즉, 종래에는 점화 파워 라인(IGN)으로 입력되는 신호가 신호 및 전원으로 직접 앤드 게이트(4)에 입력되고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점화 파워 라인(IGN)으로 입력되는 신호를 제어신호로 인식하여 오아 게이트(11)의 한 입력단자에 입력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MCU에서 제공하는 INH 신호도 제어신호로 인식하여 상기 오아 게이트(11)의 나머지 입력단자에 입력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 INH 신호는 인히빗 기능을 위해 MCU에서 제공되는 신호로서, 이 신호를 이용하여 점화 스위치의 오프시에도 오아 게이트(11)에서 출력되는 하이신호에 의해 앤드 게이트(12)가 하이신호를 출력하도록 하여 릴레이(13)를 바로 오프시키는 것이 아니라 일정 시간 지연한 후에 오프시키고, 시스템 파워 소스 역시 점화 스위치의 오프와 함께 바로 오프시키는 것이 아니라 상기 릴레이(13)를 오프시킨 다음 일정 시간 더 시스템 파워 소스의 공급을 온시켰다가 오프시킨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MCU로부터 출력되는 인히빗 기능의 INH 신호와 점화 파워 라인(IGN)으로 입력되는 신호가 모두 있어 오아 게이트(11)가 하이신호를 출력하면, 앤드 게이트(12) 역시 상기 오아 게이트의 출력 결과인 하이신호와 배터리 파워 라인(B+)으로 입력되는 신호를 논리곱하여 하이신호를 출력한다.
이어, 시스템 전체의 파워 공급이 온되면서, 초기 체크를 위한 일정 시간 지연 후 상기 하이신호에 따라 릴레이(13)가 온동작하여 레귤레이터(14) 및 ECU(15)로 배터리의 전원이 입력되어 전체적인 EPS 시스템의 각 부가 동작된다.
즉, 차량의 시동을 켜기 위해 점화 스위치를 온시키는 경우에는 종래와 동일하게 상기와 같이 바로 시스템 전체의 파워 공급을 온시키고 릴레이(13)에 대한 초기 체크를 실시한 후 릴레이(13)를 온시키도록 한다.
한편, 셔트 다운(Shut Down)시 점화 스위치의 오프 동작에 따라 점화 파워 라인(IGN)으로 입력되는 신호가 없는 경우, MCU로부터 출력되는 인히빗 기능의 INH 신호에 의해 상기 오아 게이트(11)는 일정 시간동안 하이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상기 앤드 게이트(12)도 상기 오아 게이트(11)에서 출력되는 하이신호와 배터리 파워 라인(B+)으로 입력되는 신호를 논리곱하여 상기 오아 게이트(11)와 마찬가지로 일정 시간동안 하이신호를 출력한다.
이후, 상기 앤드 게이트(12)가 일정 시간동안 하이신호를 출력하므로, 릴레이(13)를 바로 오프시키는 것이 아니라 일정 시간(T1) 온상태를 유지하였다가 일정 시간(T1)이 지연된 후에 릴레이(13)를 오프시키고, 시스템 파워 소스 역시 바로 오프시키는 것이 아니라 상기 릴레이(13)가 오프되고 나서 다시 일정 시간(T2)이 지연된 후에 시스템 파워 소스를 오프시키도록 한다.
이에 따라, 시스템 파워 소스의 공급이 완전히 사라지게 되면 레귤레이터(14) 및 ECU(15)로 배터리의 전원이 입력되지 않아 EPS 시스템의 중단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 T1 및 T2의 시간 동안에는 시스템 파워 소스의 공급이 계속되므로 EPS 시스템이 중단되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T1 및 T2의 시간을 갖는 파워 래치 모드를 적용함으로써 점화 스위치의 오프시에도 일정 시간동안 시스템 파워 소스를 공급함으로써 EPS 시스템의 조향 토오크를 어시스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ECU에 대한 파워 소스를 점화 파워 라인에서 배터리 파워 라인으로 변경하고, MCU에서 제공하는 INH 신호를 이용하여 점화 스위치의 오프시에도 일정 시간동안 시스템 파워 소스를 공급함으로써 EPS 시스템의 조향 토오크를 어시스트할 수 있어 차량의 조향 안정성을 높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MCU로부터 출력되는 인히빗 기능의 INH 신호와 점화 파워 라인(IGN)으로 입력되는 신호를 논리합하는 오아 게이트와,
    상기 오아 게이트의 출력 결과인 하이 또는 로우신호와 배터리 파워 라인(B+)으로 입력되는 신호를 논리곱하는 앤드 게이트와,
    상기 앤드 게이트로부터 출력되는 하이 또는 로우신호에 따라 온 또는 오프동작하는 릴레이와,
    상기 릴레이가 온동작하는 경우 배터리의 전원을 입력하여 EPS 시스템의 각 부에서 사용하기 위한 일정 전압을 발생하는 레귤레이터와,
    상기 릴레이가 온동작하는 경우 배터리의 전원을 입력하여 EPS 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ECU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래치 모드를 적용한 전자제어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 파워 라인(IGN)으로 입력되는 신호가 없는 경우, 상기 INH 신호에 의해 상기 오아 게이트 및 앤드 게이트가 일정 시간동안 하이신호를 출력함에 따라 상기 릴레이를 일정 시간 지연한 후에 오프시키고, 상기 릴레이를 오프시킨 다음 일정 시간 더 지연한 후에 시스템 파워 소스의 공급을 오프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래치 모드를 적용한 전자제어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
KR1020020004775A 2002-01-28 2002-01-28 파워 래치 모드를 적용한 전자제어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 KR1007384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4775A KR100738439B1 (ko) 2002-01-28 2002-01-28 파워 래치 모드를 적용한 전자제어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4775A KR100738439B1 (ko) 2002-01-28 2002-01-28 파워 래치 모드를 적용한 전자제어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4468A KR20030064468A (ko) 2003-08-02
KR100738439B1 true KR100738439B1 (ko) 2007-07-11

Family

ID=32219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4775A KR100738439B1 (ko) 2002-01-28 2002-01-28 파워 래치 모드를 적용한 전자제어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843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8502B1 (ko) 2008-09-05 2014-10-3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Mdps용 ecu 전원 제어 회로
KR101532793B1 (ko) * 2009-05-19 2015-06-3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회생제동 엔진 컨트롤러에 대한 개선된 전원 공급 회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5614B1 (ko) * 2011-08-10 2013-09-0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의 오일펌프제어기 제어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7420A (ko) * 1994-11-24 1996-06-17 전성원 차량용 4륜조향 시스템의 후륜 직진정렬장치
JPH1134892A (ja) * 1997-07-24 1999-02-09 Honda Motor Co Ltd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H1159445A (ja) * 1997-08-18 1999-03-02 Honda Motor Co Ltd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20030055867A (ko) * 2001-12-27 2003-07-04 주식회사 만도 전자제어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에서의 조타력 가변 제어방법
KR20030055865A (ko) * 2001-12-27 2003-07-04 주식회사 만도 파워 래치 모드를 이용한 전자제어 파워 스티어링시스템의 과부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7420A (ko) * 1994-11-24 1996-06-17 전성원 차량용 4륜조향 시스템의 후륜 직진정렬장치
JPH1134892A (ja) * 1997-07-24 1999-02-09 Honda Motor Co Ltd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H1159445A (ja) * 1997-08-18 1999-03-02 Honda Motor Co Ltd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20030055867A (ko) * 2001-12-27 2003-07-04 주식회사 만도 전자제어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에서의 조타력 가변 제어방법
KR20030055865A (ko) * 2001-12-27 2003-07-04 주식회사 만도 파워 래치 모드를 이용한 전자제어 파워 스티어링시스템의 과부하 제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8502B1 (ko) 2008-09-05 2014-10-3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Mdps용 ecu 전원 제어 회로
KR101532793B1 (ko) * 2009-05-19 2015-06-3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회생제동 엔진 컨트롤러에 대한 개선된 전원 공급 회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4468A (ko) 2003-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4162B1 (ko) 전동 파워 스티어링 제어장치
JP3391628B2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の制御装置
US6148950A (en)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US9796408B2 (en) Electric steering device
KR100738439B1 (ko) 파워 래치 모드를 적용한 전자제어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
JP2007015428A (ja) バッテリ劣化検出装置
US6213249B1 (en)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JP2008307968A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2053057A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5293136B2 (ja) 車両用操舵装置
JP3598707B2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の制御装置
KR100723716B1 (ko) 전자제어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에서의 조타력 가변 제어방법
JP2002362393A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の制御装置
KR100738468B1 (ko)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에서의 모터 오동작 방지장치
KR100816413B1 (ko) 전자제어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에서의 보완장치
JP2009012665A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3267243A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の制御装置
KR100678624B1 (ko) 전자제어장치의 전원 단속회로
KR100746716B1 (ko)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에서의 모터 전류 제어방법
JP3945224B2 (ja) 自動車の電源システム
JP2003182598A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1122142A (ja) 車両の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H08142884A (ja) 電動パワ−ステアリング装置の制御装置
KR20080107533A (ko) Mdps ecu의 전원공급회로 및 그 제어방법
KR20060045219A (ko)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에서의 모터 전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