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5754B1 - 센스 앰프 플립 플롭 - Google Patents

센스 앰프 플립 플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5754B1
KR100735754B1 KR1020060010881A KR20060010881A KR100735754B1 KR 100735754 B1 KR100735754 B1 KR 100735754B1 KR 1020060010881 A KR1020060010881 A KR 1020060010881A KR 20060010881 A KR20060010881 A KR 20060010881A KR 100735754 B1 KR100735754 B1 KR 1007357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de
power supply
signal
pull
no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0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민호
손영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10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5754B1/ko
Priority to US11/552,102 priority patent/US7479818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5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57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06Sense amplifiers; Associated circuits, e.g. timing or triggering circuits
    • G11C7/08Control thereof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06Sense amplifiers; Associated circuits, e.g. timing or triggering circuits
    • G11C7/065Differential amplifiers of latching typ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9Read-write [R-W] circuits 
    • G11C11/4091Sense or sense/refresh amplifiers, or associated sense circuitry, e.g. for coupled bit-line precharging, equalising or isolat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2207/06Sense amplifier related aspects
    • G11C2207/065Sense amplifier dr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ram (AREA)
  • Amplifiers (AREA)
  • Static Random-Access Memo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센스 앰프 플립 플롭을 공개한다. 제1 전원과 제1 및 제2 노드 사이에 각각 연결되고, 클럭 신호에 응답하여 제1 및 제2 노드를 소정의 전압으로 프리차징하는 프리차징부, 제2 전원과 제3 및 제4 노드 사이에 연결되고, 클럭 신호에 응답하여 입력 신호와 반전 입력 신호를 인가받아 입력 신호와 반전 입력 신호간의 전압 차에 해당하는 전압 차를 제3 및 제4 노드에 발생하는 차동 입력부, 제1 전원과 제3 노드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1 풀업 트랜지스터와 제1 풀다운 트랜지스터를 구비하여 제2 노드의 신호를 반전하여 제1 노드로 출력하는 제1 인버터와 제1 전원과 제4 노드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2 풀업 트랜지스터와 제2 풀다운 트랜지스터를 구비하여 제1 노드의 신호를 반전하여 제2 노드로 출력하는 제2 인버터를 구비하여 제3 및 제4 노드의 전압차를 증폭하며, 제1 및 제2 풀업 트랜지스터의 바디로 제1 및 제2 바디 바이어스 전원이 인가되는 차동 증폭부, 제3 및 제4 노드로 흐르는 전류의 오프셋을 조절하기 위한 제1 및 제2 바이어스 전원을 발생하는 바이어스 전원 발생부, 및 제1 및 제2 노드의 신호를 래치하여 출력 신호와 반전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래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센스 앰프 플립 플롭은 차동 출력 단의 각각의 인버터를 구성하는 MOS 트랜지스터의 바디로 서로 다른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여 오프셋을 조절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센스 앰프 플립 플롭{Sense amplifier flip-flop}
도1 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센스 앰프 플립 플롭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2 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센스 앰프 플립 플롭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3 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센스 앰프 플립 플롭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4 는 본 발명 따른 센스 앰프 플립 플롭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5 는 도4 의 제1 및 제2 바디 바이어스 전압을 발생하는 제1 바이어스 전압 발생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6 은 본 발명 따른 센스 앰프 플립 플롭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7 는 도6 의 제3 및 제4 바디 바이어스 전압을 발생하는 제2 바이어스 전압 발생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8 은 본 발명 따른 센스 앰프 플립 플롭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본 발명은 센스 앰프 플립 플롭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오프셋을 조절하는 센스 앰프 플립 플롭에 관한 것이다.
고속으로 입출력을 하는 시스템에서 여러 중요한 부분이 있지만, 그 중에서 성능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 부분이 바로 입출력 부분이다. 이 입출력 부분에서도 입력 신호를 정확히 수신하여 샘플링하는 중요한 부분이 바로 플립 플롭(Flip-flop)이다.
일반적으로, 디램(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및 에스램(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등과 같은 통상의 반도체 메모리장치는 TTL( transistor transistor logic) 형태로 입력되는 외부입력 데이터 신호를 감지하여 자체의 메모리 셀과의 정합을 위해 일정 레벨로 버퍼링시키는 데이타 입력 버퍼를 구비하며 또한, 내부에 별도의 래치수단을 설치하여 메모리 셀에 확실한 데이터가 전달될 때까지 외부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1 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센스 앰프 플립 플롭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1 의 센스 앰프 플립 플롭(Sense Amplifier Flip-flop)은 플립 플롭의 일예로서 많이 이용되는 형태이며, 이러한 센스 앰프 플립 플롭은 미국 특허 등록 공보 제 6,366,113와 한국 특허 등록 공보 제 10-0355227호로 나타나 있다.
도1 을 참조로 하여 센스 앰프 플립 플롭을 설명하면 프리차징부(10)는 전원 전압(Vdd)과 제1 노드(Node1) 사이에 연결된 PMOS 트랜지스터(P1)와 전원 전압(Vdd)과 제2 노드(Node2) 사이에 연결된 PMOS 트랜지스터(P2)로 구성된다. 각각의 PMOS 트랜지스터(P1, P2)는 클럭 신호(CLK)를 게이트 단자로 인가받으며, 클럭 신호(CLK)가 "로우"로 인가되면 턴 온(Turn on) 되어 제1 및 제2 노드(Node1, Node2)를 프리차징(precharging)한다.
차동 입력부(20)는 공통 노드(NodeC)와 접지 전원(Vss) 사이에 연결되고 클럭 신호(CLK)에 응답하여 차동 입력부(20)를 구동시키는 스위치인 NMOS 트랜지스터(N1)와, 제3 노드(Node3)와 공통 노드(NodeC) 사이에 연결되어 입력 신호(D)를 인가받는 NMOS 트랜지스터(N2), 그리고 제4 노드(Node4)와 공통 노드(NodeC) 사이에 연결되어 반전 입력 신호(DB)를 인가받는 NMOS 트랜지스터(N3)로 구성된다. 차동 입력부(20)는 클럭 신호(CLK)가 "하이"로 인가되면 NMOS 트랜지스터(N1)가 턴 온 되어 입력 신호(D)와 반전 입력 신호(DB)를 각각 NMOS 트랜지스터(N2, N3)로 인가받고, 입력 신호(D)와 반전 입력 신호(DB)간의 전압 차를 감지한다.
차동 증폭부(30)는 전원 전압(Vdd)과 제3 및 제4 노드(Node3, Node4) 사이에 각각 연결되는 두 개의 인버터로 구성되며, 제1 인버터(30-1)는 제2 노드(Node2)와 입력단이 연결되고 제2 인버터(30-2)는 제1 노드(Node1)와 입력단이 연결된다.
차동 증폭부(30)는 차동 입력부(20)에서 감지한 입력 신호(D)와 반전 입력 신호(DB)의 전압 차를 증폭하여 제1 및 제2 노드(Node1, Node2)로 차동 신호(Mout) 와 반전 차동 신호(MoutB)를 출력한다.
래치부(40)는 두 개의 낸드 게이트(40-1, 40-2)로 구성된다. 제1 낸드 게이트(40-1)는 반전 차동 신호(MoutB)와 제2 낸드 게이트(40-2)의 출력인 반전 출력 신호(QB)를 입력으로 인가받아 출력 신호(Q)를 출력하며, 제2 낸드 게이트(40-2)는 차동 신호(Mout)와 제1 낸드 게이트(40-1)의 출력인 출력 신호(Q)를 입력으로 인가받아 반전 출력 신호(QB)를 출력한다.
래치부(40)는 SR 래치로서 차동 신호(Mout)와 반전 차동 신호(MoutB)를 래치(Latch)하여 출력 신호(Q)와 반전 출력 신호(QB)로 출력한다.
CLK(L) D Mout MoutB Q
X 1 1 Hold
CLK(H) H 0 1 0
L 1 0 1
표1 은 도1 의 센스 앰프 플립 플롭의 진리표로서 표1 과 도1 을 참조로 하여 도1 의 센스 앰프 플립 플롭의 동작을 설명하면 먼저 클럭 신호(CLK)가 "로우"로 인가되는 경우에는 프리차징부(10)의 각각의 PMOS 트랜지스터(P1, P2)가 턴 온 되며 차동 입력부(20)의 NMOS 트랜지스터(N1)는 턴 오프 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노드(Node1, Node2)에는 전원 전압(Vdd)이 인가되고 차동 신호(Mout)와 반전 차동 신호(MoutB)는 모두 "하이"로 래치부(40)로 인가된다. 래치부(40)는 SR 래치의 특성상 입력 신호로 모두 "하이"가 인가되면 출력 신호(Q)와 반전 출력 신호(QB)는 모두 이전 상태를 그대로 유지한다. 동시에 프리차징부(10)는 제1 노드(Node1)와 제2 노드(Node2)를 프리차징한다.
클럭 신호(CLK)가 "하이"로 인가되면 프리차징부(10)의 각각의 PMOS 트랜지스터(P1, P2)는 턴 오프(Turn off) 되며, 차동 입력부(20)의 NMOS 트랜지스터(N1)이 턴 온 된다.
여기서 입력 신호(D)가 "하이"로 차동 입력부(20)로 인가되면 입력 신호(D)를 인가받는 NMOS 트랜지스터(N2)는 턴 온 되고, 반전 입력 신호(DB)를 인가받는 NMOS 트랜지스터(N3)는 턴 오프 된다.
차동 입력부(20)의 NMOS 트랜지스터(N2)가 턴 온 되면, 제1 및 제2 노드(Node1, Node2)는 프리차징 되어있었으므로 차동 증폭부(30)에서 제1 인버터(30-1)의 NMOS 트랜지스터(N4) 또한 턴 온 되고, 따라서 제1 노드(Node1)에는 전압 레벨이 낮아진다. 제1 노드(Node1)의 전압 레벨이 낮아지면 제2 인버터(30-2)의 PMOS 트랜지스터(P4)가 턴 온 되어 제2 노드(Node2)의 반전 차동 신호(MoutB)는 "하이"로 되어 래치부(40)로 출력된다.
반면에 차동 입력부(20)의 NMOS 트랜지스터(N3)는 턴 오프 된다. 그리고 차동 증폭부(30)에서 제2 인버터(30-2)의 PMOS 트랜지스터(P4)는 제1 노드(Node1)의 전압 레벨에 응답하여 턴 온 되고, NMOS 트랜지스터(N5)는 턴 오프 된다. 따라서 제2 노드(Node2)에는 프리차징 되어 있는 전압 레벨이 유지되며, 제1 노드(Node1)의 전압 레벨은 더욱 낮아져서 차동 신호(Mout)는 "로우"로 되어 래치부(40)로 출력된다.
래치부(40)은 차동 신호(Mout)로 "로우"가 반전 차동 신호(MoutB)로 "하이"가 되면 출력 신호(Q)로 "로우"를 출력하고, 반전 출력 신호(QB)로 "하이"를 출력한다.
입력 신호(D)가 "로우"로 차동 입력부(20)로 인가되면 입력 신호(D)를 인가받는 NMOS 트랜지스터(N2)는 턴 오프 되고, 반전 입력 신호(DB)를 인가받는 NMOS 트랜지스터(N3)는 턴 온 된다.
차동 입력부(20)의 NMOS 트랜지터(N3)가 턴 온 되면, 제1 및 제2 노드(Node1, Node2)는 프리차징 되어있었으므로 차동 증폭부(30)에서 제2 인버터(30-2)의 NMOS 트랜지스터(N5) 또한 턴 온 되고, 따라서 제2 노드(Node2)에는 전압 레벨이 낮아진다. 제2 노드(Node2)의 전압 레벨이 낮아지면 제1 인버터(30-1)의 PMOS 트랜지스터(P3)가 턴 온 되어 제1 노드의 차동 신호(Mout)는 "하이"로 되어 래치부(40)로 출력된다.
반면에 차동 입력부(20)의 NMOS 트랜지스터(N2)는 턴 오프 된다. 그리고 차동 증폭부(30)에서 제1 인버터(30-1)의 PMOS 트랜지스터(P3)는 제2 노드(Node2)의 전압 레벨에 응답하여 턴 온 되고, NMOS 트랜지스터(N4)는 턴 오프 된다. 따라서 제1 노드(Node1)에는 프리차징 되어 있는 전압 레벨이 유지되며, 제2 노드(Node2)의 전압 레벨은 더욱 낮아져서 반전 차동 신호(MoutB)는 "로우"로 되어 래치부(40)로 출력된다.
래치부(40)는 차동 신호(Mout)로 "하이"가 반전 차동 신호(MoutB)로 "로우"가 되면 출력 신호(Q)로 "하이"를 출력하고, 반전 출력 신호(QB)로 "로우"를 출력한다.
즉 차동 증폭부(30)의 제1 및 제2 인버터(30-1, 30-2)는 입력단이 상대 인버터의 출력단과 교차 연결되어 있으므로 결과적으로는 차동 입력부(20)에서 인가되는 미소한 전압차를 증폭하여 출력한다.
도1 에서 센스 앰프 플립 플롭은 프리차징부(10), 차동 입력부(20), 차동 증폭부(30)으로 구성된 마스터(Master)와 래치부(40)으로 구성된 슬래이브 래치(Slave Latch)를 가지는 구조로 마스터는 차동 증폭기의 형태로 구성되어 로우 레벨(Low Level) 신호 입력이 가능하고, 슬래이브 래치는 안정적인 고속 동작이 가능하므로 로우 레벨의 입력 신호를 고속으로 처리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센스 앰프 플립 플롭은 차동 증폭기(Differential amp)를 마스터로 이용하므로 로우 레벨의 신호를 처리 할 수 있다는 장점과 함께 입력 전압 오프셋이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오프셋은 입력단에 사용되는 MOS 트랜지스터의 공정상의 오차나 레이아웃(Layout) 상의 오차 또는 문턱 전압(Threshold Voltage : Vth)의 부정합 등으로 발생된다.
도2 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센스 앰프 플립 플롭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2 에서는 센스 앰프 플립 플롭의 오프셋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복수개의 캐패시터(Capacitor)를 구비하였다.
도2 에서 복수개의 캐패시터(C11, C12, C13, C21, C22, C23)는 제3 및 제4 노드(Node3, Node4)에 각각 연결되어 차동 증폭부(30)에서 차동 입력부(22)로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여 오프셋을 조절한다.
입력 신호(D)와 반전 입력 신호(DB)로 두 신호 모두가 "하이"로 인가된 경우에 두 신호 간(D, DB)의 전압 차가 없기 때문에 차동 증폭부(30)의 NMOS 트랜지스터(N4)에서 제3 노드(Node3)로 흐르는 전류와 제4 노드(Node4)로 흐르는 전류는 없어야 한다.
그러나 예를 들어 제3 및 제4 노드(Node3, Node4)로 흐르는 전류가 발생하고, 제3 노드(Node3)를 흐르는 전류(I)보다 제4 노드(Node4)를 흐르는 전류(I+Ioffset)가 오프셋 전류(Ioffset)만큼 더 흐른다고 가정을 하면, 이 오프셋 전류(Ioffset)는 입력 신호의 판정 시에 오류의 원인이 되므로 상쇄하여 주어야 한다.
따라서 제4 노드(Node4)를 흐르는 전류(I+Ioffset)에서 오프셋 전류(Ioffset)를 상쇄할 수 있을 정도로 제4 노드(Node4)에 연결된 캐패시터(C21, C22, C23)에서 소정 개수의 캐패시터를 유지하고, 나머지 캐패시터와 노드3(Node3)와 연결된 캐패시터(C11, C12, C13)는 퓨즈 컷팅(fuse cutting)한다. 예로서 캐패시터(C21)를 구비하여 오프셋 전류(Ioffset)가 상쇄된다면, 나머지 캐패시터(C11, C12, C13, C22, C23)은 퓨즈 컷팅한다.
도3 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센스 앰프 플립 플롭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3 에서는 센스 앰프 플립 플롭의 오프셋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차동 입력부(24)에 입력 신호가 인가되는 복수개의 NMOS 트랜지스터(N2, N21, N22, N3, N31, N32)를 구비하였다.
도2 의 센스 앰프 플립 플롭은 오프셋 전류(Ioffset)를 감소시켜서 오프셋을 조절하도록 하였으나 도3 에서는 반대로 제3 노드(Node3)를 흐르는 전류(I)가 오프셋 전류(Ioffset)만큼 더 흐를 수 있도록 하여 오프셋을 조절하도록 한다.
도2 에서 예를 든 것과 같이 제3 노드(Node3)를 흐르는 전류(I)보다 제4 노드(Node4)를 흐르는 전류(I+Ioffset)가 오프셋 전류(Ioffset)만큼 더 흐른다고 가정을 하면, 제3 노드(Node3)와 연결된 NMOS 트랜지스터(N2)측으로 전류가 더 많이 흐를 수 있도록 소정개수의 NMOS 트랜지스터를 유지하고 나머지 NMOS 트랜지스터는 퓨즈 컷팅한다.
예로서 NMOS 트랜지스터(N21)를 구비하여 오프셋 전류(Ioffset)만큼의 전류가 제3 노드(Node3)로 더 많이 흐르게 된다면, 나머지 NMOS 트랜지스터(N22, N31, N32)는 퓨즈 컷팅한다.
도3 과 유사한 다른 방법으로 상기한 바와 같이 제3 노드(Node3)를 흐르는 전류(I)보다 제4 노드(Node4)를 흐르는 전류(I+Ioffset)가 오프셋 전류(Ioffset)만큼 더 흐른다고 가정을 하면, NMOS 트랜지스터(N2)측으로 전류가 더 잘 흐를 수 있도록 NMOS 트랜지스터(N2)의 크기를 크게 하여 더 할 수 있다.
도2 와 도3 에서 설명한 종래의 센스 앰프 플립 플롭의 오프셋 조절방법은 복수개의 캐패시터나 복수개의 트랜지스터를 구비하여야 하므로, 설계가 어려우며 센스 앰프 플립 플롭의 레이아웃 면적이 증대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오프셋 조절을 하기 위해 퓨즈 컷팅을 하는 공정이 필요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하게 오프셋을 조절하는 센스 앰프 플립 플롭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센스 앰프 플립 플롭의 제1 실시예는 제1 전원과 제1 및 제2 노드 사이에 각각 연결되고, 클럭 신호에 응답하여 제1 및 제2 노드를 소정의 전압으로 프리차징하는 프리차징부, 제2 전원과 제3 및 제4 노드 사이에 연결되고, 클럭 신호에 응답하여 입력 신호와 반전 입력 신호를 인가받아 입력 신호와 반전 입력 신호간의 전압 차에 해당하는 전압 차를 제3 및 제4 노드에 발생하는 차동 입력부, 제1 전원과 제3 노드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1 풀업 트랜지스터와 제1 풀다운 트랜지스터를 구비하여 제2 노드의 신호를 반전하여 제1 노드로 출력하는 제1 인버터와 제1 전원과 제4 노드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2 풀업 트랜지스터와 제2 풀다운 트랜지스터를 구비하여 제1 노드의 신호를 반전하여 제2 노드로 출력하는 제2 인버터를 구비하여 제3 및 제4 노드의 전압차를 증폭하며, 제1 및 제2 풀업 트랜지스터의 바디로 제1 및 제2 바디 바이어스 전원이 인가되는 차동 증폭부, 제3 및 제4 노드로 흐르는 전류의 오프셋을 조절하기 위한 제1 및 제2 바이어스 전원을 발생하는 바이어스 전원 발생부, 및 제1 및 제2 노드의 신호를 래치하여 출력 신호와 반전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래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센스 앰프 플립 플롭의 제1 실시예의 바이어스 전원 발생부는 제1 전원보다 높거나 같은 전압 레벨을 갖는 제3 전원과 상기 제1 전원과 제2 전원 사이의 전압 레벨을 갖는 제4 전원 사이에 복수개의 저항과 복수개의 출력 노드를 구비하여, 복수개의 출력 노드에서 제1 바디 바이어스 전원과 제2 바디 바이어스 전원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센스 앰프 플립 플롭의 제2 실시예는 제1 전원과 제1 및 제2 노드 사이에 각각 연결되고, 클럭 신호에 응답하여 제1 및 제2 노드를 소정의 전압으로 프리차징하는 프리차징부, 제2 전원과 제3 및 제4 노드 사이에 연결되고, 클럭 신호에 응답하여 입력 신호와 반전 입력 신호를 인가받아 입력 신호와 반전 입력 신호간의 전압 차에 해당하는 전압 차를 제3 및 제4 노드에 발생하는 차동 입력부, 제1 전원과 제3 노드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1 풀업 트랜지스터와 제1 풀다운 트랜지스터를 구비하여 제2 노드의 신호를 반전하여 제1 노드로 출력하는 제1 인버터와 제1 전원과 제4 노드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2 풀업 트랜지스터와 제2 풀다운 트랜지스터를 구비하여 제1 노드의 신호를 반전하여 제2 노드로 출력하는 제2 인버터를 구비하여 제3 및 제4 노드의 전압차를 증폭하며, 제1 및 제2 풀다운 트랜지스터의 바디로 제1 및 제2 바디 바이어스 전원이 인가되는 차동 증폭부, 제3 및 제4 노드로 흐르는 전류의 오프셋을 조절하기 위한 제1 및 제2 바이어스 전원을 발생하는 바이어스 전원 발생부 및 제1 및 제2 노드의 신호를 래치하여 출력 신호와 반전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래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센스 앰프 플립 플롭의 제2실시예의 바이어스 전원 발생부는 제2 전원보다 낮거나 같은 전압 레벨을 갖는 제3 전원과 제1 전원과 제2 전원 사이의 전압 레벨을 갖는 제4 전원 사이에 복수개의 저항과 복수개의 출력 노드를 구비하여, 복수개의 출력 노드에서 제1 바디 바이어스 전원과 제2 바디 바이어스 전원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센스 앰프 플립 플롭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4 는 본 발명 따른 센스 앰프 플립 플롭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4 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센스 앰프 플립 플롭을 설명하면 프리차징부(10)는 전원 전압(Vdd)과 제1 노드(Node1) 사이에 연결된 PMOS 트랜지스터(P1)와 전원 전압(Vdd)과 제2 노드(Node2) 사이에 연결된 PMOS 트랜지스터(P2)로 구성된다. 각각의 PMOS 트랜지스터(P1, P2)는 클럭 신호(CLK)를 게이트 단자로 인가받으며, 클럭 신호(CLK)가 "로우"로 인가되면 턴 온 되어 제1 및 제2 노드(Node1, Node2)를 프리차징한다.
차동 입력부(20)는 공통 노드(NodeC)와 접지 전원(Vss) 사이에 연결되고 클럭 신호(CLK)에 응답하여 차동 입력부(20)를 구동시키는 스위치인 NMOS 트랜지스터(N1)와 제3 노드(Node3)와 공통 노드(NodeC) 사이에 연결되어 입력 신호(D)를 인가받는 NMOS 트랜지스터(N2), 그리고 제4 노드(Node4)와 공통 노드(NodeC) 사이에 연결되어 반전 입력 신호(DB)를 인가받는 NMOS 트랜지스터(N3)로 구성된다. 차동 입력부(20)는 클럭 신호(CLK)가 "하이"로 인가되면 NMOS 트랜지스터(N1)가 턴 온 되어 입력 신호(D)와 반전 입력 신호(DB)를 각각 NMOS 트랜지스터(N2, N3)로 인가받고, 입력 신호(D)와 반전 입력 신호(DB)간의 전압 차를 감지한다.
차동 증폭부(32)는 두 개의 인버터(32-1, 32-2)로 구성되며 두 개의 인버터(32-1, 32-2)는 각각의 입력이 상대 인버터(32-1, 32-2)의 출력과 교차 연결된다. 두 개의 인버터(32-1, 32-2)는 각각 PMOS 트랜지스터(P3, P4)와 NMOS 트랜지스터(N4, N5)로 구성되며 PMOS 트랜지스터(P3, P4)는 전원 전압과 제1 및 제2 노드(Node1, Node2) 사이에 연결되고, NMOS 트랜지스터(N4, N5)는 제1 및 제2 노드(Node1, Node2)와 제3 및 제4 노드(Node3, Node4) 사이에 연결된다. 제1 인버터(32-1)의 PMOS 트랜지스터(P3)와 NMOS 트랜지스터(N4)의 게이트 단자는 공통으로 연결되어 제2 노드(Node2)에 연결되고, 제2 인버터(32-2)의 PMOS 트랜지스터(P4)와 NMOS 트랜지스터(N5)의 게이트 단자는 공통으로 연결되어 제1 노드(Node1)에 연결된다. 또한 PMOS 트랜지스터(P3)는 바디로 제1 바디 바이어스 전원(Vbias1)이 인가되며, PMOS 트랜지스터(P4)는 바디로 제2 바디 바이어스 전원(Vbias2)가 인가된다. 제1 및 제2 바디 바이어스는 PMOS 트랜지스터(P3, P4)의 문턱 전압(Vth)을 변화 시켜 제3 노드(Node3)를 흐르는 전류와 제4 노드(Node4)로 흐르는 전류의 오프셋을 상쇄할 수 있도록 조절한다.
차동 증폭부(32)는 차동 입력부(20)에서 감지한 입력 신호(D)와 반전 입력 신호(DB)의 전압 차를 증폭하여 제1 및 제2 노드(Node1, Node2)로 차동 신호(Mout)와 반전 차동 신호(MoutB)를 출력한다.
래치부(40)는 두 개의 낸드 게이트(40-1, 40-2)로 구성된다. 제1 낸드 게이트(40-1)는 반전 차동 신호(MoutB)와 제2 낸드 게이트(40-2)의 출력인 반전 출력 신호(QB)를 입력으로 인가받아 출력 신호(Q)를 출력하며, 제2 낸드 게이트(40-2)는 차동 신호(Mout)와 제1 낸드 게이트(40-1)의 출력인 출력 신호(Q)를 입력으로 인가받아 반전 출력 신호(QB)를 력출한다.
래치부(40)는 SR 래치로서 차동 신호(Mout)와 반전 차동 신호(MoutB)를 래치하여 출력 신호(Q)와 반전 출력 신호(QB)로 출력한다.
도4 의 센스 앰프 플립 플롭의 동작을 설명하면 먼저 클럭 신호(CLK)가 "로우"가 인가되면 프리차징부(10)의 2개의 PMOS 트랜지스터(P1, P2)는 턴 온 되고, 차동 입력부(20)의 NMOS 트랜지스터(N1)은 턴 오프 된다. 따라서 차동 입력부(20)의 NMOS 트랜지(N2, N3)와 차동 증폭부(32)의 PMOS 트랜지스터(P3, P4) 또한 턴 오프 되고, 제1 노드(Node1) 및 제2 노드(Node2)에 전원 전압(Vdd)이 인가되어 프리차징 된다. 제1 노드(Node1) 및 제2 노드(Node2)에서 출력되는 차동 신호(Mout)와 반전 차동 신호(MoutB)는 모두"하이"로 출력이 되므로 래치부(40)는 출력 신호(Q)와 반전 출력 신호(QB)를 모두 이전 상태로 유지한다.
클럭 신호(CLK)가 "하이"로 인가되면 프리차징부(10)의 각각의 PMOS 트랜지스터(P1, P2)는 모두 턴 오프 되며, 차동 입력부(20)의 NMOS 트랜지스터(N1)이 턴 온 된다.
NMOS 트랜지스터(N1)이 턴 온 되면 차동 입력부(20)의 NMOS 트랜지스터(N2, N3)는 입력 신호(D)와 반전 입력 신호(DB)를 게이트 단자로 인가받아 두 신호(D, DB)의 전압 차를 감지한다.
입력 신호(D)가 "하이"로 NMOS 트랜지스터(N2)의 게이트 단자로 인가되면, 반전 입력 신호(DB)는 "로우"로 NMOS 트랜지스터(N3)의 게이트 단자에 인가된다.
따라서 NMOS 트랜지스터(N2)가 턴 온 되고 NMOS 트랜지스터(N3)가 턴 오프가 되면, NMOS 트랜지스터(N2)와 연결된 차동 증폭부(32)의 NMOS 트랜지스터(N4)도 턴 온 되며, 프리차징 되어있는 제1 노드(Node1)의 전압 레벨이 낮아진다. 제1 노드(Node1)의 전압 레벨이 낮아지면 제2 인버터(32-2)의 PMOS 트랜지스터(P4)는 턴 온 되고, NMOS 트랜지스터(N5)는 턴 오프 된다.
제1 노드(Node1)에는 PMOS 트랜지스터(P3)가 턴 오프 되고, NMOS 트랜지스터(N1, N2, N4)가 턴 온 되어있으므로 전압 레벨이 낮아지게 되어 차동 신호(Mout)는 "로우"로 출력된다.
제2 노드(Node2)에는 PMOS 트랜지스터(P4)가 턴 온 되고, NMOS 트랜지스터(N3, N5)가 턴 오프 되어있으므로 프리차징 된 전압 레벨이 유지되어 반전 차동 신호(MoutB)는 "하이"로 출력된다.
래치부(40)는 제1 노드(Node1) 및 제2 노드(Node2)에서 출력된 차동 신호(Mout)와 반전 차동 신호(MoutB)를 인가받아 래치하여 출력 신호(Q)를 "로우"로 반전 출력 신호(QB)를 "하이"로 출력한다.
입력 신호(D)가 "로우"로 NMOS 트랜지스터(N2)의 게이트 단자로 인가되면, 반전 입력 신호(DB)는 "하이"로 NMOS 트랜지스터(N3)의 게이트 단자에 인가된다.
따라서 NMOS 트랜지스터(N2)가 턴 오프 되고 NMOS 트랜지스터(N3)가 턴 온 되면, NMOS 트랜지스터(N3)와 연결된 차동 증폭부(32)의 NMOS 트랜지스터(N5)도 턴 온 되며, 프리차징 되어 있는 제2 노드(Node2)의 전압 레벨이 낮아진다. 제2 노드(Node2)의 전압 레벨이 낮아지면 제1 인버터(32-1)의 PMOS 트랜지스터(P3)는N턴 온 되고, NMOS 트랜지스터(N4)는 턴 오프 된다.
제1 노드(Node1)에는 PMOS 트랜지스터(P3)가 턴 온 되고, NMOS 트랜지스터(N2, N4)가 턴 오프 되어있으므로 프리차징 된 전압 레벨이 유지되어 차동 신호(Mout)는 "하이"로 출력된다.
제2 노드(Node2)에는 PMOS 트랜지스터(P4)가 턴 오프 되고, NMOS 트랜지스터(N1, N3, N5)가 턴 온 되어있으므로 전압 레벨이 낮아지게 되어 반전 차동 신호(MoutB)는 "로우"로 출력된다.
래치부(40)는 제1 노드(Node1) 및 제2 노드(Node2)에서 출력된 차동 신호(Mout)와 반전 차동 신호(MoutB)를 인가받아 래치하여 출력 신호(Q)를 "하이"로 반전 출력 신호(QB)를 "로우"로 출력한다.
그러나 상기한 도4 의 센스 앰프 플립 플롭의 동작은 오프셋이 없는 경우에 해당하는 동작이다. 도4 의 센스 앰프 플립 플롭의 오프셋을 검출하기 위하여 차동 입력부(20)의 NMOS 트랜지스터(N2, N3)에 인가되는 입력 신호(D)와 반전 입력 신호(DB)로 모두 "하이"가 인가한 경우에 제3 노드(Node3)를 흐르는 전류(I)보다 제4 노드(Node4)로 흐르는 전류(I+Ioffset)가 오프셋 전류(Ioffset)만큼 더 흐른다고 가정을 하면, 차동 증폭부(32)의 PMOS 트랜지스터(P3)에는 제1 바디 바이어스(Vbias1)를 인가하고 PMOS 트랜지스터(P4)에는 제2 바디 바이어스(Vbias2)를 인가한다. 여기서 제1 및 제2 바디 바이어스(Vbias1, Vbias2)는 각각 양의 바이어스 전압으로 PMOS 트랜지스터(P3, P4)의 문턱 전압(Vth)은 증가하게 되고, 문턱 전압(Vth)의 증가는 바로 PMOS 트랜지스터(P3, P4)의 드레인 단자로 흐르는 전류를 감소시키게 된다. 제4 노드(Node4)로 흐르는 전류(I+Ioffset)가 오프셋 전류(Ioffset)만큼 더 흐르고 있다고 가정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제1 바디 바이어스 전압(Vbias1)보다 제2 바디 바이어스 전압(Vbias2)을 더 높게 하여 PMOS 트랜지스터(P4)의 문턱 전압(Vth)가 PMOS 트랜지스터(P3)의 문턱 전압(Vth)보다 높도록 조절하여야 한다.
MOS 트랜지스터의 문턱 전압(Vth)의 변화는 바디 바이어스 전압의 1/2승에 비례하여 증가한다. 또한 포화영역에서 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단자로 흐르는 전류는 문턱 전압(Vth)의 제곱에 비례한다.
결과적으로 차동 증폭부(32)의 PMOS 트랜지스터(P3)와 PMOS 트랜지스터(P4)의 바디로 인가되는 제1 및 제2 바디 바이어스 전압(Vbias1, Vbias2)을 조절하여 센스 앰프 플립 플롭의 오프셋을 조절이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차동 증폭부(32)의 각각 PMOS 트랜지스터(P3, P4)에 모두 바디 바이어스 전압(Vbias1, Vbias2)을 인가하도록 하였으나 PMOS 트랜지스터(P3, P4) 중에 하나만 바디 바이어스를 인가하여 오프셋 조절도 가능하다. 즉, 제4 노드(Node4)로 흐르는 전류가 많으면 PMOS 트랜지스터(P4)에 인가되는 제2 바디 바이어스 전압(Vbias2)을 높게 조절하고, 제4 노드(Node4)로 흐르는 전류가 적으면 PMOS 트랜지스터(P4)에 인가되는 제2 바디 바이어스 전압(Vbias2)을 낮게 조절하여 오프셋을 조절할 수 있다.
도5 는 도4 의 제1 및 제2 바디 바이어스 전압을 발생하는 제1 바이어스 전압 발생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센스 앰프 플립 플롭이 디램에 적용 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디램에서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압인 외부 전압과 내부에서 생성하여 사용하는 전압인 내부 전압이 있다. 여기서 제1 외부 전압(Vext1)은 제1 내부 전압(Vint1)보다 높은 전압이며, 제1 내부 전압(Vint1)은 도4 의 전원 전압(Vdd)을 사용할 수 있다. 제1 바이어스 전압 발생부는 이러한 제1 외부 전압(Vext)과 제1 내부 전압(Vint)사이에 복수개의 저항(R11, R12, ... , R16)을 구비하고, 각각의 저항(R11, R12, ... , R16) 사이에 출력 단자(A11, A12, ... , A17)로 바이어스 전압을 출력한다.
제1 외부 전압(Vext1)에서 제1 내부 전압(Vint1)사이의 저항의 개수가 많을수록 전압은 더욱 세밀하게 조정이 가능하다.
도4 의 센스 앰프 플립 플롭의 오프셋을 조절하기 위하여 필요한 만큼의 전압으로 출력 단자(A11, A12, ... , A17)에서 제1 바디 바이어스 전압(Vbias1)과 제2 바디 바이어스 전압(Vbias2)를 선택하여 PMOS 트랜지스터(P3, P4)로 인가한다.
도5 에서는 제1 외부 전압(Vext)과 제1 내부 전압(Vint)으로 바이어스 전압 발생부의 전원을 기술하였으나 이외의 다른 전원을 이용할 수도 있다.
도6 은 본 발명 따른 센스 앰프 플립 플롭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4 의 센스 앰프 플립 플롭이 차동 증폭부(32)의 PMOS 트랜지스터(P3, P4)의 바디에 제1 및 제2 바디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여 오프셋을 조절하였으나, 도6 의 오프셋을 조절하는 센스 앰프 플립 플롭은 PMOS 트랜지스터(P3, P4)가 아닌 차동 증폭부(34)의 NMOS 트랜지스터(N4, N5)의 바디로 제3 및 제4 바디 바이어스 전압(Vbias3, Vbias4)을 인가하여 오프셋을 조절하도록 하였다.
도6 에서도 도4 에서와 같이 센스 앰프 플립 플롭의 오프셋을 검출하기 위하여 차동 입력부(20)의 NMOS 트랜지스터(N2, N3)에 인가되는 입력 신호(D)와 반전 입력 신호(DB)로 모두 "하이"가 인가한 경우에 제3 노드(Node3)를 흐르는 전류(I)보다 제4 노드(Node4)로 흐르는 전류(I+Ioffset)가 오프셋 전류(Ioffset)만큼 더 흐른다고 가정을 하면, 차동 증폭부(34)의 NMOS 트랜지스터(N4)에는 제3 바디 바이어스(Vbias3)를 인가하고 NMOS 트랜지스터(P5)에는 제4 바디 바이어스(Vbias4)를 인가한다. 여기서 제3 및 제4 바디 바이어스(Vbias1, Vbias2)는 각각 음의 바이어스 전압으로 NMOS 트랜지스터(N4, N5)의 문턱 전압(Vth)은 증가하게 되고, 문턱 전압(Vth)의 증가는 바로 NMOS 트랜지스터(N4, N5)의 소스 단자로 흐르는 전류를 감소시키게 된다. 제4 노드(Node4)로 흐르는 전류(I+Ioffset)가 오프셋 전류(Ioffset)만큼 더 흐르고 있다고 가정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제3 바디 바이어스 전압(Vbias3)보다 제4 바디 바이어스 전압(Vbias4)을 더 낮게 하여 NMOS 트랜지스터(N5)의 문턱 전압(Vth)가 NMOS 트랜지스터(N4)의 문턱 전압(Vth)보다 높도록 조절하여야 한다.
결과적으로 차동 증폭부(34)의 NMOS 트랜지스터(N4)와 NMOS 트랜지스터(N5)의 바디로 인가되는 제3 및 제4 바디 바이어스 전압(Vbias3, Vbias4)을 조절하여 센스 앰프 플립 플롭의 오프셋을 조절이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차동 증폭부(34)의 각각 NMOS 트랜지스터(N4, N5)에 모두 바디 바이어스 전압(Vbias3, Vbias4)을 인가하도록 하였으나 NMOS 트랜지스터(N4, N5) 중에 하나만 바디 바이어스를 인가하여 오프셋 조절도 가능하다. 즉, 제4 노드(Node4)로 흐르는 전류가 많으면 NMOS 트랜지스터(N5)에 인가되는 제4 바디 바이어스 전압(Vbias4)을 낮게 조절하고, 제4 노드(Node4)로 흐르는 전류가 적으면 NMOS 트랜지스터(N5)에 인가되는 제4 바디 바이어스 전압(Vbias4)을 높게 조절하여 오프셋을 조절할 수 있다.
도7 는 도6 의 제3 및 제4 바디 바이어스 전압을 발생하는 제2 바이어스 전압 발생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7 에서는 제2 외부 전압(Vext2)은 제2 내부 전압(Vint2)보다 낮은 전압이며, 제2 내부 전압(Vint2)은 도4 의 접지 전압(Vss)을 사용할 수 있다. 제2 바이어스 전압 발생부는 이러한 제2 외부 전압(Vext)와 제2 내부 전압(Vint)사이에 복수개의 저항(R21, R22, ... , R26)을 구비하고, 각각의 저항(R21, R22, ... , R26) 사이에 출력 단자(A21, A22, ... , A27)로 바이어스 전압을 출력한다.
제2 외부 전압(Vext1)에서 제2 내부 전압(Vint1)사이의 저항의 개수가 많을수록 전압은 더욱 세밀하게 조정이 가능하다.
도6 의 센스 앰프 플립 플롭의 오프셋을 조절하기 위하여 필요한 만큼의 전압으로 출력 단자(A21, A22, ... , A27)에서 제3 바디 바이어스 전압(Vbias3)과 제4 바디 바이어스 전압(Vbias4)를 선택하여 NMOS 트랜지스터(N4, N5)로 인가한다.
도7 에서는 제2 외부 전압(Vext2)과 제2 내부 전압(Vint2)으로 바이어스 전압 발생부의 전원을 기술하였으나 이외의 다른 전원을 이용할 수도 있다.
도8 은 본 발명 따른 센스 앰프 플립 플롭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4 와 도6 의 센스 앰프 플립 플롭이 차동 증폭부(32, 34)의 PMOS 트랜지스터(P3, P4)의 바디에 제1 및 제2 바디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여 오프셋을 조절하거나, NMOS 트랜지스터(N4, N5)의 바디에 제3 및 제4 바디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여 오프셋을 조절하도록 하였으나, 도8 의 오프셋을 조절하는 센스 앰프 플립 플롭은 차동 증폭부(36)의 PMOS 트랜지스터(P3, P4)와 NMOS 트랜지스터(N4, N5)의 바디로 제1 및 제2 바디 바이어스 전압(Vbias1, Vbias2)과 제3 및 제4 바디 바이어스 전압(Vbias3, Vbias4)을 모두 인가하여 오프셋을 조절하도록 하였다.
도8 에서도 도4 와 도6 에서와 같이 센스 앰프 플립 플롭의 오프셋을 검출하기 위하여 차동 입력부(20)의 NMOS 트랜지스터(N2, N3)에 인가되는 입력 신호(D)와 반전 입력 신호(DB)로 모두 "하이"가 인가한 경우에 제3 노드(Node3)를 흐르는 전류(I)보다 제4 노드(Node4)로 흐르는 전류(I+Ioffset)가 오프셋 전류(Ioffset)만큼 더 흐른다고 가정을 하면, 차동 증폭부(36)의 PMOS 트랜지스터(P3)에는 제1 바디 바이어스(Vbias1)를, PMOS 트랜지스터(P4)에는 제2 바디 바이어스(Vbias2)를, NMOS 트랜지스터(N4)에는 제3 바디 바이어스(Vbias3)를, NMOS 트랜지스터(P5)에는 제4 바디 바이어스(Vbias4)를 인가한다. 여기서 제1 및 제2 바디 바이어스(Vbias1, Vbias2)는 각각 양의 바이어스 전압으로 PMOS 트랜지스터(P3, P4)의 문턱 전압(Vth)은 증가하게 되고, 문턱 전압(Vth)의 증가는 바로 PMOS 트랜지스터(P3, P4)의 드레인 단자로 흐르는 전류를 감소시키게 된다. 제3 및 제4 바디 바이어스(Vbias1, Vbias2)는 각각 음의 바이어스 전압으로 NMOS 트랜지스터(N4, N5)의 문턱 전압(Vth)은 증가하게 되고, 문턱 전압(Vth)의 증가는 바로 NMOS 트랜지스터(N4, N5)의 소스 단자로 흐르는 전류를 감소시키게 된다. 제4 노드(Node4)로 흐르는 전류 (I+Ioffset)가 오프셋 전류(Ioffset)만큼 더 흐르고 있다고 가정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제1 바디 바이어스 전압(Vbias1)보다 제2 바디 바이어스 전압(Vbias2)을 더 높게 하여 PMOS 트랜지스터(P4)의 문턱 전압(Vth)가 PMOS 트랜지스터(P3)의 문턱 전압(Vth)보다 높도록 조절하여야 하고, 제3 바디 바이어스 전압(Vbias3)보다 제4 바디 바이어스 전압(Vbias4)을 더 낮게 하여 NMOS 트랜지스터(N5)의 문턱 전압(Vth)가 NMOS 트랜지스터(N4)의 문턱 전압(Vth)보다 높도록 조절하여야 한다.
결과적으로 차동 증폭부(36)의 PMOS 트랜지스터(P3)와 PMOS 트랜지스터(P4)의 바디로 인가되는 제1 및 제2 바디 바이어스 전압(Vbias1, Vbias2)과 NMOS 트랜지스터(N4)와 NMOS 트랜지스터(N5)의 바디로 인가되는 제3 및 제4 바디 바이어스 전압(Vbias3, Vbias4)을 조절하여 센스 앰프 플립 플롭의 오프셋을 조절이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차동 증폭부(34)의 각각 PMOS 트랜지스터(P3, P4)와 NMOS 트랜지스터(N4, N5)에 모두 바디 바이어스 전압(Vbias1, Vbias2, Vbias3, Vbias4)을 인가하도록 하였으나 PMOS 트랜지스터(P3, P4)와 NMOS 트랜지스터(N4, N5) 중에 각각 하나씩만 바디 바이어스를 인가하여 오프셋 조절도 가능하다. 즉, 제4 노드(Node4)로 흐르는 전류가 많으면 PMOS 트랜지스터(P4)에 인가되는 제2 바디 바이어스 전압(Vbias2)을 높게 조절하고 NMOS 트랜지스터(N5)에 인가되는 제4 바디 바이어스 전압(Vbias4)을 낮게 조절하며, 제4 노드(Node4)로 흐르는 전류가 적으면 PMOS 트랜지스터(P4)에 인가되는 제2 바디 바이어스 전압(Vbias2)을 낮게 조절하고 NMOS 트랜지스터(N5)에 인가되는 제4 바디 바이어스 전압(Vbias4)을 높게 조절하여 오프셋을 조절할 수 있다.
도8 에서 제1 및 제2 바디 바이어스 전압(Vbias1, Vbias2)은 도5 에 도시된 제1 바이어스 전압 발생부로 생성하며, 제3 및 제4 바디 바이어스 전압(Vbias3, Vbias4)은 도7 에 도시된 제2 바이어스 전압 발생부로 생성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오프셋을 조절하는 센스 앰프 플립 플롭은 프리차징부와 차동 입력부, 차동 증폭부와 래치부를 구비하고, 특히 차동 증폭부의 MOS 트랜지스터의 바디로 바디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여 MOS 트랜지스터의 문턱전압을 조절하므로 오프셋 조절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설계가 간단하고 레이아웃 면적이 작으며 별도의 퓨즈 컷팅 공정 등이 없이 센스 앰프 플립 플롭의 오프셋이 조절 가능하다.

Claims (18)

  1. 제1 전원과 제1 및 제2 노드 사이에 각각 연결되고, 클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및 제2 노드를 소정의 전압으로 프리차징하는 프리차징부;
    제2 전원과 제3 및 제4 노드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클럭 신호에 응답하여 입력 신호와 반전 입력 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입력 신호와 상기 반전 입력 신호간의 전압 차에 해당하는 전압 차를 제3 및 제4 노드에 발생하는 차동 입력부;
    상기 제1 전원과 상기 제3 노드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1 풀업 트랜지스터와 제1 풀다운 트랜지스터를 구비하여 상기 제2 노드의 신호를 반전하여 상기 제1 노드로 출력하는 제1 인버터와 상기 제1 전원과 상기 제4 노드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2 풀업 트랜지스터와 제2 풀다운 트랜지스터를 구비하여 상기 제1 노드의 신호를 반전하여 상기 제2 노드로 출력하는 제2 인버터를 구비하여 상기 제3 및 제4 노드의 전압차를 증폭하며, 상기 제1 및 제2 풀업 트랜지스터의 바디로 제1 및 제2 바디 바이어스 전원이 인가되는 차동 증폭부;
    상기 제3 및 제4 노드로 흐르는 전류의 오프셋을 조절하기 위한 상기 제1 및 제2 바이어스 전원을 발생하는 바이어스 전원 발생부; 및
    상기 제1 및 제2 노드의 신호를 래치하여 출력 신호와 반전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래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스 앰프 플립 플롭.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차징부는
    상기 제1 전원과 상기 제1 노드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클럭 신호를 게이트로 인가받는 제1 PMOS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1 전원과 상기 제2 노드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클럭 신호를 게이트로 인가받는 제2 PMOS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스 앰프 플립 플롭.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동 입력부는
    공통 노드와 상기 제2 전원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클럭 신호를 게이트로 인가받는 제1 NMOS 트랜지스터;
    상기 제3 노드와 상기 공통 노드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입력 신호를 게이트로 인가받는 제2 NMOS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4 노드와 상기 공통 노드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반전 입력 신호를 게이트로 인가받는 제3 NMOS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스 앰프 플립 플롭.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풀업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1 전원과 상기 제1 노드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노드의 신호를 게이트 단자로 인가받으며 바디로 상기 제1 바디 바이어스 전원을 인가받는 PMOS 트랜지스터이며, 상기 제1 풀다운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1 노드와 상기 제3 노드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노드의 신호를 게이트 단자로 인가받는 NMOS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스 앰프 플립 플롭.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풀업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1 전원과 상기 제2 노드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노드의 신호를 게이트 단자로 인가받으며 바디로 상기 제2 바디 바이어스 전원을 인가받는 PMOS 트랜지스터이며, 상기 제1 풀다운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2 노드와 상기 제4 노드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노드의 신호를 게이트 단자로 인가받는 NMOS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스 앰프 플립 플롭.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부는
    2개의 낸드게이트를 구비하는 SR 래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스 앰프 플립 플롭.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스 전원 발생부는
    상기 제1 전원보다 높거나 같은 전압 레벨을 갖는 제3 전원과 상기 제1 전원과 상기 제2 전원 사이의 전압 레벨을 갖는 제4 전원 사이에 복수개의 저항과 복수개의 출력 노드를 구비하여, 상기 복수개의 출력 노드에서 제1 바디 바이어스 전원과 제2 바디 바이어스 전원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스 앰프 플 립 플롭.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동 증폭부는
    상기 제1 및 제2 풀다운 트랜지스터의 바디로 제3 및 제4 바디 바이어스 전원이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스 앰프 플립 플롭.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스 전원 발생부는
    상기 제3 및 제4 노드로 흐르는 전류의 오프셋을 조절하기 위한 상기 제3 및 제4 바이어스 전원을 추가로 더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스 앰프 플립 플롭.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스 전원 발생부는
    상기 제1 전원보다 높거나 같은 전압 레벨을 갖는 제3 전원과 상기 제2 전원보다 낮거나 같은 전압 레벨을 갖는 제4 전원 사이에 복수개의 저항과 복수개의 출력 노드를 구비하여, 상기 복수개의 출력 노드에서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바디 바이어스 전원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스 앰프 플립 플롭.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스 전원 발생부는
    상기 제1 전원보다 높거나 같은 전압 레벨을 갖는 제3 전원과 상기 제1 전원과 상기 제2 전원 사이의 전압 레벨을 갖는 제4 전원 사이에 복수개의 저항과 복수개의 출력 노드를 구비하여, 상기 복수개의 출력 노드에서 상기 제1 바디 바이어스 전원과 상기 제2 바디 바이어스 전원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제1 바이어스 전원 발생부; 및
    상기 제2 전원보다 낮거나 같은 전압 레벨을 갖는 제5 전원과 상기 제1 전원과 상기 제2 전원 사이의 전압 레벨을 갖는 제6 전원 사이에 복수개의 저항과 복수개의 출력 노드를 구비하여, 상기 복수개의 출력 노드에서 상기 제3 바디 바이어스 전원과 상기 제4 바디 바이어스 전원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제2 바이어스 전원 발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스 앰프 플립 플롭.
  12. 제1 전원과 제1 및 제2 노드 사이에 각각 연결되고, 클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및 제2 노드를 소정의 전압으로 프리차징하는 프리차징부;
    제2 전원과 제3 및 제4 노드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클럭 신호에 응답하여 입력 신호와 반전 입력 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입력 신호와 상기 반전 입력 신호간의 전압 차에 해당하는 전압 차를 상기 제3 및 제4 노드에 발생하는 차동 입력부;
    상기 제1 전원과 상기 제3 노드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1 풀업 트랜지스터와 제1 풀다운 트랜지스터를 구비하여 상기 제2 노드의 신호를 반전하여 상기 제1 노드로 출력하는 제1 인버터와 상기 제1 전원과 상기 제4 노드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2 풀업 트랜지스터와 제2 풀다운 트랜지스터를 구비하여 상기 제1 노드의 신호를 반전하여 상기 제2 노드로 출력하는 제2 인버터를 구비하여 상기 제3 및 제4 노드의 전압차를 증폭하며, 상기 제1 및 제2 풀다운 트랜지스터의 바디로 제1 및 제2 바디 바이어스 전원이 인가되는 차동 증폭부;
    상기 제3 및 제4 노드로 흐르는 전류의 오프셋을 조절하기 위한 상기 제1 및 제2 바이어스 전원을 발생하는 바이어스 전원 발생부; 및
    상기 제1 및 제2 노드의 신호를 래치하여 출력 신호와 반전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래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스 앰프 플립 플롭.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차징부는
    상기 제1 전원과 상기 제1 노드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클럭 신호를 게이트로 인가받는 제1 PMOS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1 전원과 상기 제2 노드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클럭 신호를 게이트로 인가받는 제2 PMOS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스 앰프 플립 플롭.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차동 입력부는
    공통 노드와 상기 제2 전원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클럭 신호를 게이트로 인가받는 제1 NMOS 트랜지스터;
    상기 제3 노드와 상기 공통 노드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입력 신호를 게이트로 인가받는 제2 NMOS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4 노드와 상기 공통 노드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반전 입력 신호를 게이트로 인가받는 제3 NMOS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스 앰프 플립 플롭.
  15.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풀업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1 전원과 상기 제1 노드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노드의 신호를 게이트 단자로 인가받는 PMOS 트랜지스터이며, 상기 제1 풀다운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1 노드와 상기 제3 노드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노드의 신호를 게이트 단자로 인가받으며 바디로 상기 제1 바디 바이어스 전원을 인가받는 NMOS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스 앰프 플립 플롭.
  16.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풀업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1 전원과 상기 제2 노드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노드의 신호를 게이트 단자로 인가받는 PMOS 트랜지스터이며, 상기 제2 풀다운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2 노드와 상기 제4 노드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노드의 신호를 게이트 단자로 인가받으며 바디로 상기 제2 바디 바이어스 전원을 인가받는 NMOS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스 앰프 플립 플롭.
  17.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부는
    2개의 낸드게이트를 구비하는 SR 래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스 앰프 플립 플롭.
  18.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스 전원 발생부는
    상기 제2 전원보다 낮거나 같은 전압 레벨을 갖는 제3 전원과 상기 제1 전원과 상기 제2 전원 사이의 전압 레벨을 갖는 제4 전원 사이에 복수개의 저항과 복수개의 출력 노드를 구비하여, 상기 복수개의 출력 노드에서 상기 제1 바디 바이어스 전원과 상기 제2 바디 바이어스 전원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스 앰프 플립 플롭.
KR1020060010881A 2006-02-03 2006-02-03 센스 앰프 플립 플롭 KR1007357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0881A KR100735754B1 (ko) 2006-02-03 2006-02-03 센스 앰프 플립 플롭
US11/552,102 US7479818B2 (en) 2006-02-03 2006-10-23 Sense amplifier flip flo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0881A KR100735754B1 (ko) 2006-02-03 2006-02-03 센스 앰프 플립 플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5754B1 true KR100735754B1 (ko) 2007-07-06

Family

ID=38333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0881A KR100735754B1 (ko) 2006-02-03 2006-02-03 센스 앰프 플립 플롭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479818B2 (ko)
KR (1) KR1007357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1668B1 (ko) 2008-10-14 2010-04-0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버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8462B1 (ko) * 2006-09-13 2007-08-13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리시버 회로
JP2010238289A (ja) * 2009-03-30 2010-10-21 Elpida Memory Inc 差動増幅回路
US8179165B2 (en) * 2009-04-27 2012-05-15 Oracle America, Inc. Precision sampling circuit
CN101645707B (zh) * 2009-06-11 2012-06-06 四川和芯微电子股份有限公司 失调自修正的高速数据比较锁存器
KR101699033B1 (ko) * 2009-11-30 2017-01-24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출력 드라이버
US8743630B2 (en) * 2011-05-23 2014-06-03 Infineon Technologies Ag Current sense amplifier with replica bias scheme
KR20130003594A (ko) * 2011-06-30 2013-01-09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로그래머블 회로
KR20130008674A (ko) * 2011-07-06 2013-01-23 삼성전자주식회사 어댑티브 바디 바이어스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WO2013018217A1 (ja) * 2011-08-03 2013-02-07 富士通株式会社 半導体集積回路及びラッチ回路の駆動方法
US8624632B2 (en) 2012-03-29 2014-01-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nse amplifier-type latch circuits with static bias current for enhanced operating frequency
JP6088201B2 (ja) * 2012-10-24 2017-03-01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装置
EP2869467B1 (en) * 2013-11-01 2020-08-05 Nxp B.V. Latch circuit
KR20150093485A (ko) * 2014-02-07 2015-08-18 삼성전자주식회사 센스 증폭기 및 이의 동작 방법
US9614502B2 (en) * 2015-08-04 2017-04-04 Qualcomm Incorporated Accurate sample latch offset compensation scheme
US10038447B2 (en) * 2015-08-11 2018-07-31 Semiconductor Components Industries, Llc Method of forming a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therefor
US9722611B2 (en) * 2015-09-01 2017-08-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circuits
US9799395B2 (en) * 2015-11-30 2017-10-24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ense amplifier in low power and high performance SRAM
US9953727B1 (en) * 2017-02-10 2018-04-24 Globalfoundries Inc. Circuit and method for detecting time dependent dielectric breakdown (TDDB) shorts and signal-margin testing
US10491205B2 (en) 2017-12-15 2019-11-26 Qualcomm Incorporated Comparator for globally distributed regulators
JP7144696B2 (ja) * 2018-06-14 2022-09-30 株式会社ソシオネクスト 分周回路、通信回路、及び集積回路
KR20200046345A (ko) * 2018-10-24 2020-05-07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감지 증폭기와 래치를 구비한 반도체 집적 회로
US11095273B1 (en) * 2020-07-27 2021-08-17 Qualcomm Incorporated High-speed sense amplifier with a dynamically cross-coupled regeneration stage
US11264081B1 (en) * 2020-08-30 2022-03-01 Taiwan Semiconductor Manfacturing Company, Ltd. Memory circuit,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memory circuit, and method of operating memory circui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3041A (ko) * 1997-06-24 1999-01-15 김영환 토글 플립-플롭 회로
KR20050053993A (ko) * 2003-12-03 2005-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저전압에서 동작할 수 있는 센스 앰프 플립 플롭
KR20050096607A (ko) * 2004-03-31 2005-10-06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속 저전력 래치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플립-플롭 회로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1007522A5 (fr) 1993-09-29 1995-07-25 Solvay Compositions comprenant du 1,1,1,3,3-pentafluorobutane et procede d'elimination d'eau d'une surface solide.
KR100400379B1 (ko) 1997-11-01 2003-12-24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연산증폭기와이를이용한디지털-아날로그변환기
US6232810B1 (en) * 1998-12-08 2001-05-15 Hitachi America, Ltd. Flip-flop
US6336113B1 (en) * 1998-12-30 2002-01-01 Kawasaki Steel Corporation Data management method and data management apparatus
US6714053B2 (en) * 2001-03-13 2004-03-30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Fast set reset latch with complementary outputs having equal delay and duty cycle
JP4090231B2 (ja) * 2001-11-01 2008-05-28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半導体集積回路装置
US6590804B1 (en) 2002-07-16 2003-07-0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djustable current mode differential amplifier
US6807118B2 (en) * 2003-01-23 2004-10-1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djustable offset differential amplifi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3041A (ko) * 1997-06-24 1999-01-15 김영환 토글 플립-플롭 회로
KR20050053993A (ko) * 2003-12-03 2005-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저전압에서 동작할 수 있는 센스 앰프 플립 플롭
KR20050096607A (ko) * 2004-03-31 2005-10-06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속 저전력 래치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플립-플롭 회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1668B1 (ko) 2008-10-14 2010-04-0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버퍼
US7944240B2 (en) 2008-10-14 2011-05-17 Hynix Semiconductor Inc. Buffer of semiconductor memory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182458A1 (en) 2007-08-09
US7479818B2 (en) 2009-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5754B1 (ko) 센스 앰프 플립 플롭
US5640356A (en) Two-stage differential sense amplifier with positive feedback in the first and second stages
US7038963B2 (en) Current sense amplifier circuits having a bias voltage node for adjusting input resistance
US6633188B1 (en) Sense amplifier-based flip-flop with asynchronous set and reset
US6717448B2 (en) Data output method and data output circuit for applying reduced precharge level
US6563357B1 (en) Level converting latch
US20060049852A1 (en) Sense amplifier with low common mode differential input signal
US5289415A (en) Sense amplifier and latching circuit for an SRAM
US5537066A (en) Flip-flop type amplifier circuit
US4871933A (en) High-speed static differential sense amplifier
US6762957B2 (en) Low clock swing latch for dual-supply voltage design
US6972601B2 (en) Sense amplifier having synchronous reset or asynchronous reset capability
US6327190B1 (en) Complementary differential input buffer for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20040023837A (ko) 반도체 소자의 차동증폭형 입력 버퍼
US6836155B2 (en) Current sense amplifier
KR20030052363A (ko)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전압 발생장치
JPH11162176A (ja) 半導体記憶装置
US5384503A (en) SRAM with current-mode read data path
US20180254750A1 (en) Amplifier circuit
KR100284740B1 (ko) 다수개의 입력 수신기들을 갖는 반도체 메모리장치
US6859385B2 (en) Low power SRAM
KR20030028486A (ko) 차동 입력 신호를 위한 대칭 클럭 수신기
US7071772B2 (en) Differential amplifier
US10050624B2 (en) Process-compensated level-up shifter circuit
JPH06132747A (ja) 半導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