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4160B1 - 보관 대상물 관리 장치 - Google Patents

보관 대상물 관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4160B1
KR100734160B1 KR1020010074122A KR20010074122A KR100734160B1 KR 100734160 B1 KR100734160 B1 KR 100734160B1 KR 1020010074122 A KR1020010074122 A KR 1020010074122A KR 20010074122 A KR20010074122 A KR 20010074122A KR 100734160 B1 KR100734160 B1 KR 1007341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ometric information
storage
release
input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4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3121A (ko
Inventor
야마기시주니치
Original Assignee
유니레크 가부시키가이샤
야마기시 주니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레크 가부시키가이샤, 야마기시 주니치 filed Critical 유니레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10074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4160B1/ko
Publication of KR20030043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31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41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41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금고 내의 보관 대상물의 관리 등을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하는 것으로서, 록을 채움으로써 보관 대상물을 보관함과 함께 해제함으로써 보관 대상물을 꺼낼 수 있는 보관 수단(CL1)과, 보관 수단(CL1)을 해제하기 위해 생체 정보를 입력하는 생체 정보 입력 수단(CL2)과, 생체 정보를 미리 등록하는 생체 정보 등록 수단(CL3)과, 입력된 생체 정보를 등록된 생체 정보와 조합하는 생체 정보 조합 수단(CL4)과, 생체 정보의 조합으로 등록자의 확인이 이루어졌을 때 보관 수단(CL1)의 해제를 행하는 해제 제어 수단(CL5)과, 해제에 의거하여 적어도 조합이 확인된 등록자를 기록하는 기록 수단(CL6)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금고, 보관 수단, 생체 정보 입력 수단, 생체 정보 등록 수단, 생체 정보 조합 수단, 해제 제어 수단, 기록 수단

Description

보관 대상물 관리 장치{Management system for articles in custody}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블록도.
도 3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금고의 문을 개방한 상태의 개략 정면도.
도 4는 제 1 실 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표시의 일례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5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MPU 보드(7)의 블록도.
도 6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플로우 챠트.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문을 생략한 상태의 금고(1)의 정면도.
도 8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블록도.
도 9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플로우 챠트.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키 보관판의 개략 정면도.
도 11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플로우 챠트.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CL1 보관 수단(금고 1, 키 보관판 83)
CL2 생체 정보 입력 수단(외부 지문 입력부 27, 내부 지문 입력부 29, 지문 입력부 91)
CL3 생체 정보 등록 수단(MPU 보드 7, 지문 정보·종업원 정보 데이터 59)
CL4 생체 정보 확인 수단(MPU 보드 7, 검색 회로 57)
CL5 해제 제어 수단(MPU 보드 7, 95)
CL6 기록 수단(MPU 보드 7, 95)
본 발명은 금고 등에 있어서 보관 대상물을 관리하는 보관 대상물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러한 종류의 관리 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 특개평6-133068호 공보에 기재된 것이 있다. 이 종래의 장치는 금고 내의 보관 대상물의 도난을 양호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금고는 전기 신호에 의해 해제 및 록되는 전자 키와 키 등에 의해 기계적으로 해제 및 록되는 실린더 키를 가지며, 전자 키를 해제한 상태로 실린더 키를 해제하였을 때에만 문을 열 수 있다. 그리고, 금고 관리 센터측에서 전화 회선을 통해 명령이 송신되어 검출부에 의해서 명령이 검출되었을 때에 전자 키를 해제 또는 록하도록 하여 금고를 원격 관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렇지만, 상기와 같은 원격 관리로서는 금고 관리 센터로부터 명령이 송신되지 않으면 금고의 문을 열 수 없고, 여러 명의 종업원이 금고를 각각 수시로 열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조작이 번잡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여려명의 종업원이 수시로 금고를 열 수 있으면서 확실한 관리를 행할 수 있는 보관 대상물 관리 장치의 제공을 과제로 한다.
청구항 1의 발명은 록을 채움으로써 보관 대상물을 보관함과 함께 해제함으로써 보관 대상물을 꺼낼 수 있는 보관 수단과, 상기 보관 수단을 해제하기 위해서 생체 정보를 입력하는 생체 정보 입력 수단과, 상기 생체 정보를 미리 등록하는 생체 정보 등록 수단과, 상기 입력된 생체 정보를 상기 등록된 생체 정보와 대조하는 생체 정보 확인 수단과, 상기 생체 정보의 대조로 등록자의 확인이 이루어졌을 때 상기 보관 수단의 해제를 행하는 해제 제어 수단과, 상기 해제에 근거하여 적어도 상기 대조가 확인된 등록자를 기록하는 기록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보관 대상물 관리 장치로서, 상기 기록 수단은 해제 시간을 맞추어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보관 대상물 관리 장치로서, 상기 보관 수단은 금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의 발명은 청구항 3에 기재된 보관 대상물 관리 장치로서, 상기 금고는 해제함으로써 열 수 있는 문 및 각각 록을 채움으로써 보관 대상물을 보관함과 함께 선택적인 해제에 의해 보관 대상물을 각각 꺼낼 수 있는 복수의 내부 보관 선반을 구비하고, 상기 생체 정보 입력 수단은 상기 문을 해제하기 위해서 생체 정보를 입력하는 외부 생체 정보 입력 수단 및 상기 내부 보관 선반을 해제하기 위해서 생체 정보를 입력하는 내부 생체 정보 입력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내부 보관선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해서 입력하는 선반 선택 입력 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해제 제어 수단은 상기 외부 생체 정보 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된 생체 정보의 대조로 등록자의 확인이 이루어졌을 때 상기 문의 해제를 행하는 문 해제 제어 수단 및 상기 내부 생체 정보 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된 생체 정보의 대조로 등록자의 확인이 이루어지며 또한 상기 선반 선택 입력 수단에 의한 내부 보관 선반의 선택 입력이 있었을 때 선택된 내부 보관 선반의 해제를 행하는 선반 해제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의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보관 대상물 관리 장치로서, 상기 보관 수단은 상기 보관 대상물의 보관 상황을 촬상하는 촬상 수단과, 상기 해제가 이루어졌을 때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한 화상을 기록하는 화상 기록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의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보관 대상물 관리 장치로서, 상기 보관 수단은 복수의 키를 각각 록을 채움으로써 보관함과 함께 선택적인 해제에 의해 키를 선택적으로 꺼낼 수 있는 키 보관판이고, 상기 키 보관판 중 어느 하나의 키를 선택하기 위해서 입력하는 키 선택 입력 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해제 제어 수단은 상기 생체 정보 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된 생체 정보의 대조로 등록자의 확인이 이루어지며 또한 상기 키 선택 입력 수단에 의한 키의 선택 입력이 있었을 때 선택된 키에 대응하여 키 보관판을 선택적으로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7의 발명은 청구항 6에 기재된 보관 대상물 관리 장치로서, 상기 기 록 수단은 상기 해제에 의해 꺼내어진 키의 종류를 합쳐서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과 같이, 본 발명의 보관 대상물 관리 장치는 보관 수단(CL1)과, 생체 정보 입력 수단(CL2)과, 생체 정보 등록 수단(CL3)과, 생체 정보 확인 수단(CL4)과, 해제 제어 수단(CL5)과, 기록 수단(CL6)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보관 수단(CL1)은 전자 록 등의 록을 채움으로써 보관 대상물을 보관함과 함께 해제함으로써 보관 대상물을 꺼낼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금고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생체 정보 입력 수단(CL2)은 보관 수단(CL1)을 해제하기 위해서 생체 정보로서 예를 들면 지문 등을 입력하는 것이다. 상기 생체 정보 등록 수단(CL3)은 생체 정보로서 예를 들면 지문 등을 미리 등록하는 것이다.
상기 생체 정보 조합 수단(CL4)은 상기 입력된 생체 정보로서의 지문을 상기 등록된 생체 정보로서의 지문과 대조하는 것이다. 상기 해제 제어 수단(CL5)은 생체 정보로서의 지문의 대조로 등록자로서의 종업원의 확인이 이루어졌을 때 상기 보관 수단 CL1의 해제를 행하는 것이다. 상기 기록 수단(CL6)은 상기 해제에 근거하여 적어도 대조가 확인된 등록자를 기록하는 것이다.
따라서, 생체 정보로서의 지문의 입력에 의해서 보관 수단(CL1)을 해제하고, 보관 대상물을 용이하게 꺼낼 수 있음과 동시에, 기록 수단(CL6)에 의해서 대조가 확인된 종업원, 해제 시간을 기록함으로써, 몇 시, 어느 종업원이 보관 수단(CL1)을 해제한 것인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어서 확실한 관리를 행할 수 있다.
(제 1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상기 도 2에서는 보관 수단(CL1)으로서 예를 들면 금고(1)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금고(1)는 동일 영역에 복수 또는 복수 영역으로 각각 분산하여 배치할 수 있다. 금고(1)에는 문(3)이 구비되고, 전자 록(5)에 의해서 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문(3)은 전자 록(5)의 해제에 의해 열 수 있다. 상기 전자 록(5)은 MPU 보드(7)에 접속되고, 상기 MPU 보드(7)의 신호에 의해서 해제, 록의 제어가 이루어지게 되어 있다. 따라서, MPU 보드(7)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해제 제어 수단(CL1)의 문 해제 제어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상기 금고(1)에는 문(3)을 열면 내부에 도 3과 같이 복수의 내부 보관 선반(9, 11, 13, 15, 17, 19, 21, 23, 25)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각 내부 보관 선반(9, 13, …)에는 각각 선반 문(9a, 11a, 13a, 15a, 17a, 19a, 21a, 23a, 25a)이 구비되고, 각각 전자 록(9b, 11b, 13b, 15b, 17b, 19b, 21b, 23b, 25b)의 실시로 보관 대상물을 보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보관 대상물로서는 예를 들면 도장, 어음, 현금, 기타 여러가지의 것이 있다.
상기 각 전자 록(9b, 11b, …)의 선택적인 해제에 의해 선반 문(9a, …)을 선택적으로 열 수 있어, 보관 대상물로서의 도장, 어음 등을 각각 선택적으로 꺼낼 수 있다. 전자 록(9b, 11b, 13b, 15b, 17b, 19b, 21b, 23b, 25b)은 각각 상기 MPU 보드(7)에 접속되고, MPU 보드(7)의 신호에 의해서 해제, 록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MPU 보드(7)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해제 제어 수단(CL1)의 선반 해제 제어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상기 금고(1)에는 문(3)의 전자 록(5)를 해제하기 위해서 생체 정보를 입력하는 생체 정보 입력 수단(CL2)의 외부 생체 정보 입력 수단으로서 외부 지문 입력부(27)가 설치되고, 상기 MPU 보드(7)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금고(1) 내부에는 상기 내부 보관 선반(9, 11, …)을 해제하기 위해서 생체 정보를 입력하는 생체 정보 입력 수단(CL2)의 내부 생체 정보 입력 수단으로서 내부 지문 입력부(29)가 설치되고, 상기 MPU 보드(7)에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생체 정보는 종업원의 집게 손가락 등의 지문 정보로 되어 있다. 단지 종업원의 생체 정보로서는, 예를 들면 눈의 정보, 얼굴의 정보, DNA, 목소리(聲紋), 또한 손과 같은 정맥 등의 정보로 할 수 있다. 또한 금고(1)의 내부에는 상기 내부 보관 선반(9, 11, …)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해서 입력하는 선반 선택 입력 수단으로서 텐 키(31)가 설치되고, 상기 MPU 보드(7)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MPU 보드(7)는 외부 지문 입력부(27)에 의해서 입력된 생체 정보로서의 지문 정보, 내부 지문 입력부(29)로부터 입력된 생체 정보로서의 지문 정보를 미리 등록된 생체 정보로서의 지문 정보와 대조하여, 생체 정보 확인 수단(CL4)을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MPU 보드(7)는 외부 지문 입력부(27)로부터 입력된 지문 정보의 대조로 등록자인 종업원의 확인이 이루어졌을 때, 문(3)의 해제를 행하기 위해 서 전자 록(5)에 해제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MPU 보드(7)는 내부 지문 입력부(29)에 의해 입력된 지문 정보의 대조로 등록자인 종업원의 확인이 이루어지며 또한 텐 키(31)에 의한 선반의 선택 입력이 있었을 때, 선택된 내부 보관 선반(9, 11, 13, …)의 해제를 행하기 위해서 전자 록(9b, 11b, 13b, …)중 어느 하나로 해제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금고(1)에는, 도 2와 같이, 문(3)의 앞면에 디스플레이(33)가 설치되어 있다. 디스플레이(33)에는 예를 들면 도 4와 같은 각종 메뉴가 터치 패널로서 표시된 초기 화면 외에 각 메뉴에 따른 상세 및 각종의 표시를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4와 같이, 내용 표시(35)를 터치하였을 때에는 각 내부 보관 선반(9, 11, 13, …) 중의 보관 대상물의 내용이 디스플레이(33) 상에 내부 보관 선반(9, 11, 13, …)에 대응한 형으로 표시되게 되어 있다. 또한 해제(37)를 터치하였을 때에는 전자 록(5)를 해제하기 위한 조작 메뉴가 표시된다. 지문 등록(39)을 터치하였을 때에는 외부 지문 입력부(27)를 사용하여 종업원의 지문 등록을 행하는 경우의 메뉴가 표시된다. 로그 표시(41)를 터치하였을 때에는 금고(1)의 문(3)을 열어 보관 대상물 중 어느 하나를 꺼낸 종업원의 종업원 번호, 성명, 해제 시간, 꺼낸 보관 대상물 등이 표시되게 되어 있다. 기타, 지문 입력이 행하여졌을 때는, 상기 지문이 표시되고, 종업원은 지문 입력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2와 같이, 상기 MPU 보드(7)에는 무정전 전원 장치(UPS)(43)가 접속되고, 상기 무정전 전원 장치(43)를 통해 MPU 보드(7)에 전기가 공급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MPU 보드(7)에는 LAN 접속 등에 의해서 로그 확인용 단말기(45)가 접속됨과 동시에, 예를 들면 전화 회선(47)을 거쳐 호스트컴퓨터(49)에 WAN 접속되어 있다.
상기 호스트컴퓨터(49)는 데이터 베이스(51)를 구비하고 있다. 데이터 베이스(51)에는 종업원 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종업원 정보로서는 등록된 종업원개인의 성명, 연령, 주소, 지문 정보 등으로 되어 있다. 상기 데이터 베이스(51)는 신입 사원 또는 퇴직 사원이 있을 때마다 갱신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항상 최신의 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또한, 상기 MPU 보드(7)에는 전화 회선(47)을 거쳐 로그 확인용 단말기(53)가 접속되어 있다.
도 5는 상기 MPU 보드(7)의 상세를 도시한 것으로, 지문 판독 회로(55), 검색 회로(57), 지문 정보·종업원 정보 데이터(59), 메모리(61), 문 해제 회로(63),선반 선택 해제 회로(65)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지문 판독 회로(55)는 상기 외부 지문 입력부(27), 내부 지문 입력부(29)와 함께 생체 정보 입력 수단(CL2)을 구성하는 것으로, 입력부(27, 29)로부터 입력된 지문을 판독하는 것이다. 상기 검색 회로(57)는 상기 생체 정보 확인 수단(CL4)을 구성하는 것으로, 기억되어 있는 종업원 정보 및 지문 정보를 판독하고, 지문 판독 회로(55)에서 판독된 지문과 대조를 행하여 종업원을 특정하여 등록된 종업원의 확인을 행한다.
상기 지문 정보·종업원 정보 데이터(59)는 상기 생체 정보 등록 수단(CL3)을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각 종업원의 지문 정보, 종업원 정보를 미리 기억하고 있다. 상기 지문 정보·종업원 정보 데이터(59)에 기억되는 지문 정보 종업원 정보는 예를 들면 도 2의 데이터 베이스(51)로부터 다운로드되는 것이다. 단지, 각 금고(1)마다 지문 정보·종업원 정보를 입력하여, 기억시킬 수 있다.
상기 문 해제 회로(63)는 상기 해제 제어 수단 CL5를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외부 지문 입력부(27)에 의해 입력된 지문 정보의 대조로 등록자인 종업원의 확인이 이루어졌을 때, 문(3)의 해제를 행하기 위해서 전자 록(5)에 해제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선반 선택 회로(65)는 상기 내부 지문 입력부(29)에 의해 입력된 지문 정보의 대조로 종업원의 확인이 이루어지며 또한, 텐 키(31)에 의한 내부 보관 선반(9, 11, 13, …)의 선택 입력이 있었을 때, 선택된 내부 보관 선반(9, 11, 13, …)의 해제를 행하기 위해서 어느 하나의 전자 록(9b, 11b, 13b, …)에 해제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메모리(61)는 상기 기록 수단(CL6)을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전자 록(5, 9b, 11b, 13b, …)의 해제에 근거하여 대조가 확인된 등록자, 즉 종업원의 성명, 종업원 번호, 연령, 해제 시간 및 꺼낸 보관 대상물을 기록한다. 보관 대상물의 기록은, 내부 보관 선반(9, 11, 13)마다 각각 보관 대상물의 종류가 특정되어 있고, 어느 하나의 내부 보관 선반(9, 11, 13, …)을 열게 됨으로써 자동적으로 보관 대상물의 종류가 메모리(61)에 기록되어지게 된다.
다음에, 도 6의 플로우 챠트를 참조하여 작용을 설명한다. 스텝 S1에서는 지문 입력의 처리가 실행된다. 상기 스텝 S1에서의 지문 입력은 문(3)을 열기 위 한 것으로, 외부 지문 입력부(27)에서 종업원이 지문 입력을 행한다. 스텝 S2에서는, 해당 데이터의 판독이 실행된다. 이로써 데이터 베이스(59)에 기억되어 있는 지문 정보, 종업원 정보의 데이터가 판독되어지게 된다.
스텝 S3에서는 지문 대조의 처리가 실행된다. 즉 상기 지문 판독 회로(55)에서 판독된 지문 정보와 데이터 베이스(59)로부터 판독된 지문 정보가 대조되어, 일치하면 스텝 S4로 이행하고, 불일치이면 처리가 종료하게 된다. 따라서, 등록된 종업원 이외는 금고(1)의 문(3)을 열 수는 없다.
스텝 S4에서는 도어 해제의 처리가 실행된다. 여기서는 검색 회로(57)로부터의 일치 신호에 의해서 문 해제 회로(63)가 전자 록(5)에 문 해제 신호를 출력하여 전자 록(5)를 해제한다. 이로써 종업원은 문(3)을 열 수 있다.
스텝 S5에서는 종업원 번호, 성명, 해제 시간의 기록이 실행된다. 여기서는 검색 회로(57)로부터의 신호와 도시하지 않은 타이머의 신호에 의해 메모리(61)에 종업원 번호, 성명, 해제 시간이 기록되어지게 된다.
스텝 S6에서는 다시 지문 입력의 처리가 실행된다. 여기서는 금고(1)의 문(3)이 열리고, 도 3과 같이 내부 보관 선반(9, 11, 13, …)의 각 선반 문(9a, 11a, 13a, …)을 열기 위해서 지문을 입력한다. 따라서, 내부 지문 입력부(29)에 집게 손가락 등을 대어 지문 입력을 행하게 된다.
스텝 S7에서는 지문 대조의 처리가 실행된다. 상기 지문 대조의 처리는 상기 스텝 S3과 동일하며, 지문 판독 회로(55)로부터의 정보와 데이터 베이스(59)로부터의 정보에 의해 지문 대조가 일치하면 스텝 S8로 이행하고, 일치하지 않으면 처리가 종료하게 된다. 따라서, 여기서도 등록된 종업원 이외는 내부 보관 선반(9, 11, 13, …)을 여는 것은 불가능하다.
스텝 S8에서는 선반 선택 입력의 처리가 실행된다. 여기서는 텐 키(31)의 조작에 의해서 각 내부 보관 선반(9, 11, 13, …)중 어느 하나의 해당 번호(1, 2, 3, …)를 입력함으로써 선택하게 된다.
스텝 S9에서는 선반 선택 입력이 있었는지 여부의 처리가 실행된다. 여기서는 텐 키(31)에 의한 입력이 있었는지 여부가 판단되고, 입력이 있으면 스텝 S10으로 이행하고, 입력이 없으면 처리가 종료하게 된다. 따라서, 금고(1)의 문(3)을 열 수 있더라도 각 내부 보관 선반(9, 11, 13, …)이 선택되지 않으면 처리가 종료하게 된다. 또한, 텐 키(31)에 의해서 암호 번호 입력 후에 각 내부 보관 선반(9, 11, 13, …)의 해당 번호를 누르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으며, 암호 번호의 입력이 없는 한 스텝 S9의 판단은 선반 선택 입력이 없는 것으로 되어 그대로 처리가 종료하게 된다. 따라서, 보다 확실한 관리를 행할 수 있다.
스텝 S10에서는 선반 선택 해제의 처리가 실행된다. 여기서는 검색 회로(57) 및 텐 키(31)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선반 선택 해제 회로(65)가 선택된 내부 보관 선반(9, 11, 13, …)중 어느 하나의 전자 록(9b, 11b, 13b, …)에 해제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로써 등록된 종업원은 어느 하나의 내부 보관 선반(9, 11, 13, …)으로부터 보관 대상물인 도장, 어음 등을 꺼낼 수 있다.
스텝 S11에서는 종업원 번호, 성명, 해제 시간, 보관 대상물 기록의 처리가 실행된다. 여기서는 검색 회로(57), 선반 선택 해제 회로(65) 및 도시하지 않은 타이머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메모리(61)에 종업원 번호, 성명, 해제 시간, 보관 대상물인 도장, 어음 등의 기록이 행하여진다.
상기 기록을 확인할 때에는 도 2의 로그 확인용 단말(45, 53)에 의해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등록된 종업원은 지문 입력을 행하는 간단한 조작으로 금고(1) 내에서 보관 대상물을 꺼낼 수 있어서 작업이 상당히 용이하다. 또한 로그 확인용 단말(45, 53)에 의해서 몇 시, 어느 종업원이 어느 보관 대상물을 꺼냈는 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어서 확실한 관리를 행할 수 있다.
스텝 S12에서는 문 및 선반 해제 신호의 판독 처리가 실행된다. 여기서는, 상기 문(3) 및 내부 보관 선반(9, 11, 13, …)의 전자 록(5),9b, 11b, …)이 실시되었을 때의 전기 신호를 판독한다.
스텝 S13에서는 문 및 선반 록 신호인지 여부의 판단이 행하여지고, 록이 확인되면 처리는 종료하고, 록이 확인되지 않으면 스텝 S14로 이행한다. 스텝 S14에서는 일정 시간의 경과가 판단된다. 일정 시간으로서는, 금고(1)를 열어 보관 대상물을 꺼내고 다시 닫을 때까지 걸리는 시간에 여유 시간을 보고 5분 정도로 한다. 단지, 이 시간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스텝 S14에서, 일정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었을 때는 스텝 S11으로 이행하여 상기 기록이 계속된다. 스텝 S14에서 일정 시간이 경과했다고 판단되었을 때는 스텝 S15로 이행하여 부저 등에 의한 경보가 발생하고 처리는 종료한다. 따라서, 금고(1)를 연 종업원은 부저음을 듣음으로써 금고(1)의 록이 재촉되어 확실하게 록시킬 수 있다. 이렇게하여 금고(1)의 문(3), 내부 보관 선반(9, 11, 13, …) 중 어느 하나가 열린 채로, 예를 들면 내부 보관 선반(9, 11, 13, …)이 열린 채로 문(3)이 닫히었을 때 등이라도 경보가 발생하여 확실하게 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실시예에서는 외부 지문 입력부(27), 내부 지문 입력부(29)의 쌍방을 설치하였지만, 어느 한쪽만 설치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내부 지문 입력부(29)만을 설치하는 경우에 문(3)은 다이얼식의 기계적인 록으로 실시하고, 해제를 행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외부 지문 입력부(27)를 설치하여 내부 지문 입력부(29) 및 텐 키(31)는 쌍방 모두 생략할 수 있다. 이 경우라도 어느 하나의 내부 보관 선반(9, 11, 13, …)을 열었을 때에 그 신호에 의해서 선택 대상물을 기록함으로써, 몇 시, 어느 종업원이 어느 보관 대상물을 꺼냈는가를 기록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스텝 S5와 스텝 S11에서 각각 기록하도록 하여, 문(3)을 연 종업원과 각 내부 보관 선반(9, 11, 13, …)을 연 종업원이 다른 경우라도 그 기록을 정확히 행할 수 있어 확실한 관리를 행할 수 있지만, 스텝 S5를 생략하는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모든 종업원이 모든 내부 보관 선반(9, 11, 13, …)을 열 수 있는 구성이지만, 종업원마다 열 수 있는 내부 보관 선반(9, 11, 13, …)을 다르게 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것은 암호 번호의 입력 등에 의해 구별할 수 있고, 이렇게 함으로써, 가장 중요한 보관 대상물의 경우는 책임자만 꺼낼 수 있게 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도 7, 도 8,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금고(1) 내의 보관 대상물의 보관 상황을 화상으로 확인하여 기록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7은 금고(1)의 문을 생략하고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금고(1) 내에 내부 보관 선반은 설치되어 있지 않고, 금고(1) 내에 직접 각 보관 대상물(67, 69) 등이 보관되어 있다. 단지, 내부 보관 선반을 설치하여 개개의 내부 보관 선반에 카메라를 설치하여, 개개의 내부 보관 선반마다 화상으로 확인하여 기록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상기 금고(1)의 문(3) 등의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전자 록(5), 외부 지문 입력부(27), 디스플레이(33)를 구비하며, 또한 금고(1)에는 이들을 접속하는 MPU 보드(7), 무정전 전원 장치(43)가 구비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금고(1)내의 내부 상벽에 촬상 수단으로서, 예를 들면 CMOS 카메라(71)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금고(1) 내의 상벽에는 또한 조명 장치(73, 75)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도 7에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금고(1)에는 도 8과 같이 도어 스위치(77)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CMOS 카메라(71)는 도 8과 마찬가지로 화상 기록 장치(79)에 접속되어 있다. 도 8의 화상 기록 장치(79)는 CPU(81), 비디오 디코더(83), 필드 메모리(85), 플래시 메모리(87)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CMOS 카메라(71)는 촬상 수단을 구성하는 것으로, 보관 대상물(67, 69)등의 보관 상황을 촬상한다. CMOS 카메라(71)는 CCD 카메라 등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CPU(81)는 신호 처리를 행하는 것이다. 상기 필드 메모리(85)는 CMOS카메라(71)에 의해서 입력된 화상 데이터를 비디오 디코더(83)를 통해 입력하고, 순차 갱신하면서 소정 매수 기억하여 가는 것이다. 상기 플래시 메모리(87)는 도어 스위치(77)로부터의 트리거 신호를 받았을 때에 필드 메모리(85)로부터 전송된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것이다. 즉 플래시 메모리(87)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화상 기록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다음에 도 9의 플로우 챠트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우선, 스텝 S21에서 CMOS 카메라에 의한 촬상의 처리가 실행된다. 즉 조명 장치(73, 75)의 조명에 의해 금고(1) 내가 조명된 상태로 CMOS 카메라(71)에 의해 금고(1) 내의 보관 대상물(67, 69) 등의 보관 상황이 촬상된다.
스텝 S22에서는 화상 데이터를 필드 메모리에 기억 처리가 실행된다. 즉 CMOS 카메라(71)에 있어서 CDS 회로, AGC 회로, A/D 변환 회로를 통해 디지털 신호화되어 신호 처리가 행하여진다. 상기 신호 처리는 코드 신호 처리, 색 신호 처리, 윤곽 보정 처리, 인코드 처리이고, D/A 변환되어 아날로그의 코드 신호와 색도 신호가 출력되는 것이다.
스텝 S23에서는 도어 스위치의 판독 처리가 실행된다. 상기 처리에서는 금고(1)의 도어 스위치(77)의 온, 오프 신호가 판단되어지게 된다. 스텝 S24에서는 도어 스위치 온인지 여부의 판단이 실행된다. 상기 처리에서는 금고(1)의 도어가 열려지고, 도어 스위치(77)가 온이면 스텝 S26으로 이행하고, 도어 스위치가 오프 이면 스텝 S25로 이행하게 된다.
스텝 S25에서는 필드 메모리 기억 페이지 갱신의 처리가 실행되고, 순차 새로운 것이 기억되고, 항상 최신의 것으로부터 소정 매수분 만큼 기억되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로그 확인 단말 장치(45, 53)에 의해서 금고(1) 내의 보관 상황을 화상에 의해서 몇시라도 확인할 수 있다.
스텝 S26에서는 도어 스위치 온에 의해서 트리거 출력이 이루어지고, 스텝 S27에서 플래시 메모리에 필드 메모리 데이터를 전송/기억 갱신 금지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는 CPU(81)에 의해서 행하여지는 것으로, 이러한 처리에 의해 필드 메모리(85)에 기억한 데이터가 플래시 메모리(87)에 전송되어, 그 때의 화상 데이터가 플래시 메모리(87)에 기억되어지게 된다.
스텝 S28에서는 도어 스위치 판독의 처리가 실행되고, 스텝 S29에서 도어 스위치 온인지 여부의 판단이 행하여진다. 이로써 금고(1)의 도어가 닫혀져 도어 스위치가 다시 오프가 되면 스텝 S30으로 이행하고, 도어 스위치가 온 그대로이면 스텝 S28, 스텝 S29의 처리가 반복된다.
스텝 S30에서는 기억 갱신 금지 처리 해제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로써 다시 필드 메모리(85)에서의 기억 갱신이 실행되어지게 된다. 스텝 S38에서는 필드 메모리(85)에 기억한 최신의 데이터가 플래시 메모리(87)에 전송되고, 그 때의 화상 데이터가 플래시 메모리(87)에 기억되어지게 된다. 따라서, 금고(1)를 열었을 때의 기록 화상과, 그 후 금고를 닫았을 때의 최신 화상을 확인함으로써, 보관 대상물(67, 69)의 변화를 화상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금고(1) 내의 보관 대상물(67, 69)의 보관 상황을 로그 확인 단말 장치(45, 53)에 의해서 항상 확인할 수 있음과 동시에, 금고(1)의 문이 개폐되고, 보관 대상물(67, 69)을 꺼내었을 때에는 그 때의 화상이 기록되고, 상기 지문 입력에 의한 기록과 함께 몇 시, 어느 종업원이 어느 보관 대상물(67, 69)을 꺼낸 것인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보관 대상물(67, 69)의 보관 상황을 직접 화상에 의해서 확인할 수 있어서 보관 대상물(67, 69)의 관리를 보다 확실히 행할 수 있다. 또한, 그 밖의 제 1 실시예와 대략 같은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CMOS 카메라(71)에 의해 보관 대상물(67, 69)을 촬상하도록 하였지만, 더불어, 금고(1)를 연 종업원의 얼굴을 촬상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얼굴 촬상용의 CMOS 카메라를 증설할 수도 있다.
(제 3 실시예)
도 10,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하고, 도 10은 보관 수단의 정면도, 도 11은 플로우 챠트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키의 꺼냄 관리를 행하 도록 한 것이다. 즉, 도 10과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보관 수단 CL1로서 복수의 키(77, 79, 81, …)를 각각 록을 채움으로써 보관함과 함께, 선택적인 해제에 의해 키(77, 79, 81, …)를 선택적으로 꺼낼 수 있는 키 보관판(83)으로 한 것이다.
상기 키 보관판(83)은 복수의 키(77, 79, 81)를 각각 록을 채움으로써 보관하는 전자 록으로 구성된 훅(85, 87, 89, …)이 설치되어 각 키(77, 79, 81)가 보관되어 있다. 또한 키 보관판(83)에는 생체 정보 입력 수단으로서 지문 입력부(91)가 구비되고, 또한 키 선택 입력 수단으로서 키 선택용 텐 키(9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지문 입력부(91)는 제 1 실시예의 외부 지문 입력부(27) 등과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고, MPU 보드(95)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키 선택용 텐 키(93)는 상기 제 1 실시예의 텐 키(31)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고, MPU 보드(95)에 접속되어 있다. MPU 보드(95)의 출력측은 각 훅(85, 87, 89, …)에 접속되고, 해제 제어 수단으로서 지문 입력부(91)에 의해 입력된 생체 정보로서의 지문 정보의 대조로 종업원의 확인이 이루어지며, 또한 키 선택용 텐 키(93)에 의한 키의 선택 입력이 있었을 때 선택된 키에 대응하는 훅(85, 87, 89, …)을 해제한다. 또한, 도 10에 있어서 도시되지 않았으나, MPU 보드(95)는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무정전 전원 장치(UPS)를 거쳐 전원에 접속되어 있다.
다음에 도 11의 플로우 챠트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스텝(S31, S32, S33)은 제 1 실시예의 도 6의 스텝 S1, S2, S3에 대응하고 있다. 따라서, 스텝 S33에서 지문 대조가 일치하여, 등록된 종업원의 확인이 이루어졌을 때는 스텝 S34로 이행하고, 지문 대조가 불일치이면 처리는 그대로 종료하게 된다. 스텝 S34에서는 키 선택 입력의 판독이 행하여진다. 여기서는 상기 키 선택용 텐 키(93)에 의해서 어느 하나의 키(77, 79, 81, …)의 해당하는 번호의 입력 신호가 판독되어지게 된다. 이 경우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암호 번호를 입력하고 나서 해당하는 키(77, 79,81, …)에 대응한 번호를 입력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스텝 S35에서는 키 선택 입력이 있었는지 여부의 판단이 행하여진다. 키 선택 입력이 있으면 스텝 S36으로 이행하고, 없으면 처리는 그대로 종료하게 된다. 따라서,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지문 입력이 있더라도 키 선택용 텐 키(93)에 의해서 키 선택 입력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처리는 그대로 종료하게 된다. 또한 암호 번호를 입력하는 형태로 한 경우에는 암호 번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대응하는 키(77, 79, 81, …)의 번호가 입력되더라도 처리는 그대로 종료하게 된다.
스텝 S36에서는 선택 해제의 처리가 실행된다. 여기서는 MPU 보드(95)에 의해 지문 대조로 등록된 종업원의 확인이 이루어지며, 또한 키 선택 입력이 있었을 때 선택된 키(77, 79, 81, …)에 대응하는 훅(85, 87, 89, …)을 해제하게 된다. 이로써 확인이 이루어진 종업원은 어느 하나의 선택한 키(77, 79, 81,…)를 꺼낼 수 있다.
스텝 S37에서는 종업원 번호, 성명, 해제 시간, 키 종류의 기록 처리가 실행된다. 여기서는 MPU 보드(95)에 있어서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종업원 번호, 성명, 해제 시간이 기록되고,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훅(85, 87, 89, …)의 해제 신호에 의해 MPU 보드(95)가 키(77, 79, 81)의 종류를 기록하게 된다.
따라서, 몇시, 어느 종업원이 어떤 키(77,79, 81, …)를 꺼낸 것인가를 확실히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종업원이 지문 입력부(91)에 지문을 입력하고, 키 선택용 텐 키(93)에 입력하는 것만으로 키(77, 79, 81, …)중 어느 하나를 꺼낼 수 있어, 키의 꺼냄이 상당히 용이하다.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보관 수단은 록을 채움으로써 보관 대상물을 보관함과 함께 해제함으로써 보관 대상물을 꺼낼 수 있다. 생체 정보 입력 수단에서는 보관 수단을 해제하기 위해서 생체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생체 정보 등록 수단에서는 생체 정보를 미리 등록할 수 있다. 생체 정보 확인 수단에서는 입력된 생체 정보를 등록된 생체 정보와 대조할 수 있다. 해제 제어 수단에서는 생체 정보의 대조로 등록자의 확인이 이루어졌을 때 보관 수단의 해제를 행할 수 있다. 또한 기록 수단에서는 해제에 근거하여 적어도 상기 대조가 확인된 등록자를 기록할 수 있다.
따라서, 보관 수단에 대하여 명령의 송신이 없더라도 생체 정보의 입력에 의해서 보관 수단의 해제를 행할 수 있어, 작업자는 보관 수단을 수시 해제하여 보관 대상물을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또한 보관 수단이 해제되었을 때에는 대조가 확인된 등록자가 기록되기 때문에, 어느 종업원이 보관 수단을 해제한 것일까를 용이하게 알 수 있어, 보관 수단 및 보관 대상물의 확실한 관리를 행할 수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에 있어서, 청구항 1의 발명의 효과에 부가하여, 기록 수단은 해제 시간을 맞추어 기록할 수 있다. 따라서, 몇시, 어느 종업원이 보관 수단을 해제한 것인가를 용이하게 알 수 있어서 보다 확실한 관리를 행할 수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에 있어서, 청구항 1 또는 2의 발명의 효과에 부가하여, 보관 수단은 금고이고, 금고의 보관 대상물의 관리를 확실히 행할 수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에 있어서, 청구항 3의 발명의 효과에 부가하여, 금고는 해제함으로써 문을 열 수 있고, 또한 문을 연 상태에서 복수의 내부 보관 선반에 대하여 록을 채움으로써 보관 대상물을 보관함과 함께, 선택적인 해제에 의해 보관 대상물을 각각 꺼낼 수 있다. 생체 정보 입력 수단의 외부 생체 정보 입력 수단은 문을 해제하기 위해서 생체 정보를 입력할 수 있고, 내부 생체 정보 입력 수단은 내부 보관 선반을 해제하기 위해서 생체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선반 선택 입력 수단은 내부 보관 선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해서 입력할 수 있다. 해제 제어 수단의 문 해제 제어 수단은 외부 생체 정보 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된 생체 정보의 대조로 등록자의 확인이 이루어졌을 때 문의 해제를 행할 수 있고, 선반 해제 제어 수단은 내부 생체 정보 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된 생체 정보의 대조로 등록자의 확인이 이루어지며 또한, 선반 선택 입력 수단에 의한 선반의 선택 입력이 있었을 때 선택된 내부 보관 선반의 해제를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종업원은 생체 정보의 입력에 의해서 우선 금고의 문을 열고, 이어서 생체 정보의 입력 및 선반의 선택 입력에 의해서 복수의 내부 보관 선반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열 수 있어서 보관 대상물의 관리를 보다 확실히 행할 수 있다.
청구항 5의 발명에 있어서, 청구항 1 또는 2의 발명의 효과에 부가하여, 촬상 수단에 의해서 보관 대상물의 보관 상황을 촬상하여 해제가 이루어졌을 때 촬상 수단에 의한 화상을 기록 수단에 의해서 기록할 수 있다. 따라서, 보관 수단으로부터 어느 보관 대상물이 누구에 의해서 꺼내어졌는가를 화상에 의해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청구항 6의 발명에 있어서, 청구항 1 또는 2의 발명의 효과에 부가하여, 키 보관판에 의해서 복수의 키를 각각 록을 채움으로써 보관함과 함께, 선택적인 해제에 의해 키를 선택적으로 꺼낼 수 있다. 키 선택 입력 수단에서는 키 보관판 중 어느 하나의 키를 선택하기 위해서 입력할 수 있다. 해제 제어 수단은 생체 정보 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된 생체 정보의 대조로 등록자의 확인이 이루어지며 또한, 키 선택 입력 수단에 의한 키의 선택 입력이 있었을 때 선택된 키에 대응하여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종업원은 생체 정보의 입력과 키 선택 입력에 의해 복수의 키 중 어느 하나를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또한 키가 어느 종업원에 의해서 몇시에 꺼내어 졌는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어서 확실한 관리를 행할 수 있다.
청구항 7의 발명에 있어서, 청구항 6의 발명의 효과에 부가하여, 기록 수단은 해제에 의해 꺼내어진 키의 종류를 기록할 수 있다.
따라서, 어느 종업원에 의해서 어떤 키가 몇시에 꺼내어 졌는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어서 보다 확실한 관리를 행할 수 있다.

Claims (7)

  1. 보관 대상물 관리장치로서,
    록을 채움으로써 보관 대상물을 보관함과 함께 해제함으로써 보관 대상물을 꺼낼 수 있는 보관 수단과,
    상기 보관 수단을 해제하기 위해서 생체 정보를 입력하는 생체 정보 입력 수단과,
    상기 생체 정보를 미리 등록하는 생체 정보 등록 수단과,
    상기 입력된 생체 정보를 상기 등록된 생체 정보와 대조하는 생체 정보 대조수단과,
    상기 생체 정보의 대조로 등록자의 확인이 이루어졌을 때 상기 보관 수단의 해제를 행하는 해제 제어 수단과,
    상기 해제에 기초하여 적어도 상기 대조가 확인된 등록자를 기록하는 기록 수단을 구비하는, 상기 보관 대상물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관 수단에 부착되고, 해제함으로써 열 수 있는 문 및 상기 문에 의해 개폐되는 보관 수단의 내부에 설치되고, 각각 록을 채움으로써 보관 대상물을 보관함과 함께 선택적인 해제에 의해 보관 대상물을 각각 꺼낼 수 있는 복수의 내부 보관 선반을 구비하고,
    상기 생체 정보 입력 수단은 상기 문을 해제하기 위해서 생체 정보를 입력하는 외부 생체 정보 입력 수단 및 상기 내부 보관 선반을 해제하기 위해서 생체 정보를 입력하는 내부 생체 정보 입력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내부 보관 선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해서 입력하는 선반 선택 입력 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해제 제어 수단은 상기 외부 생체 정보 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된 생체정보의 대조로 등록자의 확인이 이루어졌을 때 상기 문의 해제를 행하는 문 해제 제어 수단 및 상기 내부 생체 정보 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된 생체 정보의 대조로 등록자의 확인이 이루어지며 또한 상기 선반 선택 입력 수단에 의한 내부 보관 선반의 선택 입력이 있었을 때 선택된 내부 보관 선반의 해제를 행하는 선반 해제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 대상물 관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수단은 해제 시간을 맞추어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 대상물 관리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 수단은 금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 대상물 관리 장치.
  4. 삭제
  5. 보관물 관리 장치에 있어서,
    록을 채움으로써 보관 대상물을 보관함과 함께 해제함으로써 보관 대상물을 꺼낼 수 있는 보관 수단과,
    상기 보관 수단을 해제하기 위해서 생체 정보를 입력하는 생체 정보 입력 수단과,
    상기 생체 정보를 미리 등록하는 생체 정보 등록 수단과,
    상기 입력된 생체 정보를 상기 등록된 생체 정보와 대조하는 생체 정보 대조수단과,
    상기 생체 정보의 대조로 등록자의 확인이 이루어졌을 때 상기 보관 수단의 해제를 행하는 해제 제어 수단과,
    상기 해제에 기초하여 적어도 상기 대조가 확인된 등록자를 기록하는 기록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보관 수단은 상기 보관 대상물의 보관 상황을 촬상하는 촬상 수단과, 상기 해제가 이루어졌을 때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한 화상을 기록하는 화상 기록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 대상물 관리 장치.
  6. 보관 대상물 관리 장치에 있어서,
    록을 채움으로써 보관 대상물을 보관함과 함께 해제함으로써 보관 대상물을 꺼낼 수 있는 보관 수단과,
    상기 보관 수단을 해제하기 위해서 생체 정보를 입력하는 생체 정보 입력 수단과,
    상기 생체 정보를 미리 등록하는 생체 정보 등록 수단과,
    상기 입력된 생체 정보를 상기 등록된 생체 정보와 대조하는 생체 정보 대조수단과,
    상기 생체 정보의 대조로 등록자의 확인이 이루어졌을 때 상기 보관 수단의 해제를 행하는 해제 제어 수단과,
    상기 해제에 기초하여 적어도 상기 대조가 확인된 등록자를 기록하는 기록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보관 수단은 복수의 키를 각각 록을 채움으로써 보관함과 함께 선택적인 해제에 의해 키를 선택적으로 꺼낼 수 있는 키 보관판이고,
    상기 키 보관판 중 어느 하나의 키를 선택하기 위해서 입력하는 키 선택 입력 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해제 제어 수단은 상기 생체 정보 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된 생체 정보의 대조로 등록자의 확인이 이루어지며 또한 상기 키 선택 입력 수단에 의한 키의 선택 입력이 있었을 때 선택된 키에 대응하여 키 보관판을 선택적으로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 대상물 관리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수단은 상기 해제에 의해 꺼내어진 키의 종류를 합쳐서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 대상물 관리 장치.
KR1020010074122A 2001-11-27 2001-11-27 보관 대상물 관리 장치 KR1007341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4122A KR100734160B1 (ko) 2001-11-27 2001-11-27 보관 대상물 관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4122A KR100734160B1 (ko) 2001-11-27 2001-11-27 보관 대상물 관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3121A KR20030043121A (ko) 2003-06-02
KR100734160B1 true KR100734160B1 (ko) 2007-07-03

Family

ID=37421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4122A KR100734160B1 (ko) 2001-11-27 2001-11-27 보관 대상물 관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41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96910A (zh) * 2016-08-05 2017-01-04 李伟中 一种具有智能化管理功能的指静脉识别保险柜控制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7975Y1 (ko) * 2000-09-18 2001-03-15 김종해 비밀문건 보관용 보안 용기의 개폐 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7975Y1 (ko) * 2000-09-18 2001-03-15 김종해 비밀문건 보관용 보안 용기의 개폐 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3121A (ko) 2003-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29817B2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articles in custody
US6980672B2 (en) Lock and switch using pressure-type fingerprint sensor
EP0976897A1 (en) Lock and switch using pressure-type fingerprint sensor
US10072454B1 (en) Lockable enclosure and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JP2011038329A (ja) 生体特徴認証機能付集合ロッカー
CN204060321U (zh) 一种保密枪弹柜
KR102033638B1 (ko) 스마트 보안기능을 구비한 우편함
JP3650725B2 (ja) 保管対象物管理装置
JP2005022775A (ja) 物品管理装置、物品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物品管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録媒体
KR101131663B1 (ko) 디지털 도어록의 출입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2714928A (zh) 受理终端机
KR100734160B1 (ko) 보관 대상물 관리 장치
JP2002364224A (ja) 電気錠施錠/解錠機能付きテレビドアホン
KR101080820B1 (ko) 저장장치를 이용한 보안 디지털 도어록
US11544980B2 (en) Electronic key storage device
JP2007046290A (ja) 開閉装置
KR102204876B1 (ko) 지정맥과 부가 인증수단을 이용한 공공장소 잠금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7323121B2 (ja) 重要物収納装置
JP2003184371A (ja) 金庫施解錠システム
KR20200057613A (ko) 전자식 도어록 제어 방법
CN112689856A (zh) 管理系统及数据中心
JP7250991B1 (ja) 貴重品管理システム
JPH0517115B2 (ko)
KR102030293B1 (ko) 전자식 도어록 제어 방법
JP7271771B1 (ja) 鍵管理システム、及び鍵管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