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3283B1 - 해안의 범람방지 구조물 - Google Patents

해안의 범람방지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3283B1
KR100733283B1 KR1020060071254A KR20060071254A KR100733283B1 KR 100733283 B1 KR100733283 B1 KR 100733283B1 KR 1020060071254 A KR1020060071254 A KR 1020060071254A KR 20060071254 A KR20060071254 A KR 20060071254A KR 100733283 B1 KR100733283 B1 KR 1007332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coupling
shape
connecting rod
coa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1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진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혜인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혜인이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혜인이엔씨
Priority to KR1020060071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32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3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32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0Dams; Dykes; Sluice ways or other structures for dykes, dams, or the like
    • E02B3/102Permanently installed raisable dykes
    • E02B3/104Permanently installed raisable dykes with self-activat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1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using active mechanical means, e.g. fluidizing or pum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안(海岸)을 따라 시공된 해안 도로로 해수(海水)가 월류하여 범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해안 구조물이 개시되어 있다.
해안 또는 해안 도로의 일정 깊이의 내부에 매설되는 기저콘크리트; 기저콘크리트의 상면에 하측단이 매설되고 상단부는 일정 넓이의 판재형상인 연결봉지지판의 저면에 고정되는 연결봉; 연결봉이 지지되는 연결봉지지판이 상면에 위치되어 제방의 표면에 착설되는 바닥플레이트; 바닥플레이트와 연결봉지지판의 상면에 착설되는 직사각형의 형상을 갖는 상단플레이트; 상단플레이트의 상면에 착설되고, 내부에는 일정 크기의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해안측 전면 하단에는 장공의 유입홀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며, 상면에는 장공의 가이드홀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방벽하우징; 방벽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는 내부공간에 삽설되면서 상단은 가이드홀을 통해 외부로 일정 길이가 노출되며, 내부공간의 내벽에 밀착되는 돌출턱이 형성되며, 좌우 측면 상단에는 티(T)자형상을 갖는 체결홈이 형성되는 상하이동블럭; 그리고 인접한 두 개의 상하이동블럭을 상호 결합시키기 위하여 상하이동블럭의 양측면 상단에 구비되는 체결홈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블럭으로 이루어지는 해안의 범람방지 구조물을 제공한다.
방벽하우징, 상하이동블럭, 기저콘크리트, 연결봉

Description

해안의 범람방지 구조물{STRUCTURE FOR PREVENTING OVERFLOWING OF SEA}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해안의 범람방지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해안의 범람방지 구조물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해안의 범람방지 구조물을 구성하는 상하이동블럭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해안의 범람방지 구조물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해안의 제방에 설치되는 해안의 범람방지 구조물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해안의 제방에 설치되는 해안의 범람방지 구조물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해안의 제방에 설치되는 해안의 범람방지 구조물의 사용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해안 도로 200 : 기저콘크리트
300 : 바닥플레이트 400 : 연결봉지지판
410 : 연결봉 500 : 상단플레이트
600 : 상하이동블럭 610 : 체결홈
620 : 돌출턱 700 : 방벽하우징
710 : 가이드홀 720 : 유입홀
730 : 결합홈 740 : 결합돌출부
750 : 내부공간 800 : 제1결합블럭
900 : 제2결합블럭
본 발명은 해안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해안을 따라 시공되는 해안 도로를 월류하여 범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해안의 범람방지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리나라는 대륙과 해양성 기후의 교차점에 위치하여 연간 강수량의 2/3가 여름철에 집중하는 지정학적·기상학적 여건과, 해안의 유로가 짧고 경사가 급한 지형적인 특성으로 인해 홍수피해가 많은 지역에 속한다.
이에 따라 여름철 태풍에 따른 홍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여러 가지 대책들을 지속적으로 강구하여 왔고, 대표적인 홍수 대응책으로서는 댐이나 하천 제방, 방파제 시설과 같은 수공구조물의 건설을 들 수 있다.
그러나 매년 하절기마다 홍수로 인한 자연적인 재해로부터 안전하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특히 최근 들어 지구 온난화의 원인을 제공하는 엘니뇨 현상 등에 따른 기상 이변으로 예측이 어려운 국지성 집중호우로 인한 수해가 반복되고 있는 실정이다. 홍수로 인한 가장 큰 재해 요인으로는 해안정비계획에 따른 홍수계획빈도를 넘어선 강우나 집중호우에 의해 해안이 범람하여서 발생하는 해안홍수 피해가 지배적이며, 이는 급격히 불어난 해수가 월류하면서 댐이나 제방 등의 수공구조물을 붕괴·유실시키는 데에서 비롯되어 대규모 피해로 확산시키기 때문이다.
그런데, 여름철 장마 기간에 갑자기 비가 많이 내려서 제방의 일부분이 붕괴되어 해안이 범람하는 경우에 사람들은 임의로 모래주머니를 붕괴된 제방에 쌓아서 하천의 범람을 방지하거나 해안의 침식을 방지한다.
또한, 하천의 개, 보수 공사를 하기 위하여 물길을 차단할 때도 설치와 해체가 쉬운 모래주머니를 축조하여 제방을 만들고, 공사를 한다.
상기 모래주머니는 내부에 모래를 담을 수 있도록 수용공간을 구비한 마대가 형성되고, 상기 마대의 끝단은 노끈으로 묶어서 모래가 밖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상기 마대로 형성된 모래주머니는 형상이 반듯하고, 각지게 형성되지 않아서 모래주머니를 층층이 쌓아서 제방을 축조할 때 상기 마대는 상호간의 하중으로 인하여 상, 하간의 체결력은 강하지만 좌, 우측은 접촉면적도 적어서 체결력이 크지 않음으로써, 상기 마대간의 틈새로 높은 수압이 형성되면 상기 마대는 상, 하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결국은 제방이 붕괴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특히, 해안 도로의 경우 별도의 시설이 설치되어 있지 않아 해안 도로와 연접한 장소에서는 해안이 침식되는 문제점이 발생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해안을 따라 시공되는 해안 도로에 해수가 월류하여 범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방호책 기능을 가지도록 설치되는 해안의 범람방지 구조물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해안의 일정 깊이의 내부에 매설되는 직육면체의 형상을 갖는 기저콘크리트; 기저콘크리트의 상면에 하측단이 매설되고 상단부는 일정 넓이의 판재형상인 연결봉지지판의 저면에 고정되며, 기저콘크리트에 매설되는 부분에는 십자형상을 갖도록 걸림로드가 구비되는 다수 개의 연결봉; 연결봉이 지지되는 연결봉지지판이 상면에 위치되고 연결봉이 끼워지는 관통홀이 구비되어 제방의 표면에 착설되는 직사각형의 형상을 갖는 바닥플레이트; 바닥플레이트와 연결봉지지판의 상면에 착설되는 직사각형의 형상을 갖는 상단플레이트; 상단플레이트의 상면에 착설되고, 상향으로 폭이 좁아지는 형상을 하는 육면체의 형상을 하며, 내부에는 일정 크기의 직육면체의 형상을 갖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해안측 전면 하단에는 장공의 유입홀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며, 상면에는 내부공간보다 전후 폭이 작은 장공의 가이드홀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방벽하우징; 방벽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는 내부공간에 삽설되면서 상단은 가이드홀을 통해 외부로 일정 길이가 노출되며, 해수의 가압력에 따라 상승 및 하강동작을 하게 되도록 하단부에는 전후방향으로 돌출되어 내부공간의 내벽에 밀착되는 돌출턱이 형성되며, 좌우 측면 상단에는 티(T)자형상을 갖는 체결홈이 형성되는 상하이동블럭; 그리고 인접한 두 개의 상하이동블럭을 상호 결합시키기 위하여 상하이동블럭의 양측면 상단에 구비되는 체결홈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블럭으로 이루어지는 해안의 범람방지 구조물을 제공한다.
결합블럭은 상하이동블럭의 양측면에 각각 착설되어 상호 결합되는 제1결합블럭과 제2결합블럭으로 이루어지고, 제1결합블럭과 제2결합블럭은 직육면체의 형상을 갖는 메인몸체와 그 메인몸체의 일측면에 착설되는 티자형상의 체결편으로 형성되며, 제1결합블럭을 구성하는 메인몸체의 타측면에는 안착홈이 일체로 구비되며, 제2결합블럭을 구성하는 메인몸체의 타측면에는 안착홈에 삽입되는 삽입돌기가 일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의 범람방지 구조물을 제공한다.
상하이동블럭의 양 측면 상단에 구비되는 체결홈은 상면이 티자형상을 하도록 오픈되어 있으며, 측면은 수직방향으로 일정 길이가 절개되어 오픈된 형상을 함으로써 결합블럭의 체결편이 상면으로부터 하향으로 결합되면서 상하이동블럭의 측면에 메인몸체가 위치되어 인접한 다른 상하이동블럭의 측면을 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의 범람방지 구조물을 제공한다.
방벽하우징의 양측면은 오픈된 형상을 하고, 일측면 내측 테두리에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결합돌출부가 형성되어 다른 방벽하우징의 결합돌출부가 결합홈에 결합되어 여러개의 방벽하우징이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의 범람방지 구조물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해안의 범람방지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해안의 범람방지 구조물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해안의 범람방지 구조물을 구성하는 상하이동블럭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해안의 범람방지 구조물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해안의 제방에 설치되는 해안의 범람방지 구조물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해안의 제방에 설치되는 해안의 범람방지 구조물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해안의 제방에 설치되는 해안의 범람방지 구조물의 사용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해안의 해안 도로(100)에는 상면에 일정 깊이를 갖는 설치홈(도시 안됨)을 해안 도로(100)를 따라 형성시키고, 상기 설치홈의 내부에는 일정 크기의 기저콘크리트(200)를 설치하여 매설한다.
상기 기저콘크리트(200)는 직육면체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시키고, 상기 기저콘크리트(200)에는 다수 개의 연결봉(410)을 착설시키며, 상기 연결봉(410)의 상단은 직사각형의 형상을 하는 연결봉지지판(400)의 저면에 착설시켜 고정시킨다. 즉, 상기 연결봉지지판(400)에는 저면에 4개의 연결봉(410)이 고정되고, 연결봉(410)에 걸림로드(420)가 고정된다.
상기 연결봉지지판(400)과 기저콘크리트(200)의 사이에는 바닥플레이트(300)가 설치되고, 상기 바닥플레이트(300)에는 다수 개의 관통홀(320)이 구비되어 있어 연결봉(410)이 끼워진다.
상기 바닥플레이트(300)는 해안 도로(100)의 표면에 착설되고, 상기 바닥플레이트(300)의 상면 내측에는 일정 넓이를 갖는 제1안착부(310)가 구비되어 연결봉지지판(400)의 저면이 안착된다.
상기 연결봉지지판(400)의 상면에는 상단플레이트(500)가 설치되되, 상기 상단플레이트(500)의 저면 내측에도 제2안착부(510)가 형성되어 연결봉지지판(400)의 상면이 안착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봉지지판(400)은 바닥플레이트(300)와 상단플레이트(500)의 사이에 설치되어 고정된다.
상기 상단플레이트(500)의 상면에는 방벽하우징(700)이 설치된다. 상기 방벽하우징(700)은 상측으로 점점 폭이 좁아지는 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는 직육면체의 형상을 갖도록 내부공간(750)이 구비된다. 상기 방벽하우징(700)의 해안측 전면에는 장공의 유입홀(720)이 구비되고, 상면에는 가이드홀(710)이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홀(710)은 내부공간(750)보다 좁은 폭을 가지므로 걸림턱의 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 방벽하우징(700)의 유입홀(720)은 해안으로부터 범람하는 해수가 유입홀(720)을 통해 내부공간(750)으로 유입되도록 하고, 상기 내부공간(750)에는 상하이동블럭(600)이 내설된다.
또한, 상기 방벽하우징(700)에는 길이방향 상단 양측에 각각 핀홀이 형성되고, 다수개의 방벽하우징(700)이 밀착된 경우 그 핀홀에 중간 연결대(790)의 삽입핀(794)이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방벽하우징(700)이 다수개 밀착되어 결합된 경우 그 밀착되는 이음부 상단에 중간 연결대(790)가 설치되는 것이며, 이때 방벽하우징(700)의 길이방향 양측 상단에 중간 연결대(790)가 설치시 접착제를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된 몸체 하면에 포설하여 일체로 고정하게 된다.
상기 상하이동블럭(600)은 직육면체의 형상을 하고 하단에는 전후측 방향으로 일정 길이가 연장되어 전후면 폭이 넓도록 형성된 돌출턱(620)이 형성된다. 상기 상하이동블럭(600)은 내부공간(750)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게 되므로 상향으로 이동할 경우 가이드홀(710)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어 돌출턱(620)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외부로 돌출된다.
상기 상하이동블럭(600)은 상단은 가이드홀(710)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상하이동블럭(600)의 양 측면 상단에는 각각 체결홈(610)이 구비된다.
상기 상하이동블럭(600)의 하단에 형성되는 돌출턱(620)은 내부공간(750)의 내측면에 밀착되며, 상기 유입홀(720)과 돌출턱(620)의 사이에는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어 유입홀(720)을 통해 유입되는 해수는 돌출턱(620)의 저면에 부딪히게 된다.
상기 상하이동블럭(600)의 돌출턱(620)의 저면에 해수가 유입되면 해수가 돌출턱(620)을 상향으로 가압하게 되어 돌출턱(620)과 함께 상하이동블럭(600)이 상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상하이동블럭(600)의 양 측면 상단에 구비되는 체결홈(610)은 상면이 티자(T)형상을 하면서 오픈되어 있으며, 측면은 수직방향으로 일정 길이가 절개되 어 오픈된 형상을 갖는다.
즉, 상기 체결홈(610)은 상면에 티자형상을 갖는 홈을 형성시키면서 하향으로 일정 깊이를 갖도록 홈을 형성시킴으로써 형성되므로 측면에는 수직방향으로 오픈된 홈이 형성된다.
상기 상하이동블럭(600)의 양 측면에 상단에 구비되는 체결홈(610)에는 결합블럭(800,900)이 결합된다. 상기 결합블럭(800,900)은 제1결합블럭(800)과 제2결합블럭(90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결합블럭(800)과 제2결합블럭(900)은 티자형상의 제1체결편(810)을 구비하여 제1체결편(810)이 체결홈(610)에 결합된다.
상기 제1결합블럭(800)의 제1체결편(810)은 체결홈(610)의 상면에서부터 하향으로 삽설시킴으로써 결합되며, 상기 체결홈(610)이 구비되는 상하이동블럭(600)의 양 측면에 제1체결편(810)의 타측부가 위치된다.
상기 제1결합블럭(800)의 제1체결편(810)의 타측부에는 제1메인몸체(820)가 구비된다. 상기 제1결합블럭(800)에 구비되는 제1체결편(810)의 타측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1메인몸체(820)에는 안착홈(830)이 구비되며, 상기 제2결합블럭(900)에 구비되는 제2체결편(910)의 타측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2메인몸체(920)에는 안착홈(830)에 삽입되는 삽입돌기(930)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1결합블럭(800)의 안착홈(830)에 제2결합블럭(900)의 삽입돌기(930)가 결합되어 연속해서 인접하게 설치되는 방벽하우징(700)에 설치되는 다른 상하이동블럭(600)을 상호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상단플레이트(500)와 바닥플레이트(300)의 네 모서리에는 볼트홀(770) 이 각각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상단플레이트(500)의 상면에 착설되는 방벽하우징(700)의 네 모서리에도 볼트홀(770)이 구비된다.
상기 바닥플레이트(300)와 상단플레이트(500)는 방벽하우징(700)과 함께 볼트(760)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어 고정된다. 상기 바닥플레이트(300)와 상단플레이트(500)의 중간에 삽설되는 연결봉지지판(400)의 저면에 착설되는 연결봉(410)이 해안 도로(100)의 지중에 매설된 기저콘크리트(200)에 착설됨으로써 방벽하우징(700)은 연결봉(410)을 통해 기저콘크리트(200)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된다.
상기 연결봉(410)의 하단은 십자형상을 갖도록 걸림로드(420)가 보조로 착설됨으로써 연결봉(410)이 기저콘크리트(200)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기 방벽하우징(700)의 양측면은 오픈된 형상을 가지며, 일측면 내측 테두리에는 결합홈(730)이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결합돌출부(740)가 형성됨으로써 인접한 다른 방벽하우징(700)이 결합홈(730)과 결합돌출부(740)를 상호 결합시킴으로써 해안이 범람하는 영역의 해안 도로(100)를 따라 연속적으로 연결시켜 설치할 수 있다.
해안을 따라 형성되는 해안 도로(100)의 상면에는 해수가 범람하는 영역을 따라 방벽하우징(700)을 설치하게 된다. 상기 방벽하우징(700)은 해안 도로(100)의 지중에 매설되는 기저콘크리트(200)에 연결봉(410)을 통해 연결되어 지지됨으로써 견고하게 해안 도로(100)의 상면에 고정된다.
상기 해안 도로(100)를 따라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설치되는 방벽하우징(700)의 내부에는 상하이동블럭(600)이 설치된다. 상기 방벽하우징(700)은 해안 도로(100)로부터 일정 높이로 도로 표면에서 돌출되어 있어 평상시는 해안 도로(100) 의 방호벽 기능을 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방벽하우징(700)의 내부에 설치되는 상하이동블럭(600)은 해수가 방벽하우징(700)까지 범람할 경우 보조방벽기능을 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방벽하우징(700)까지 해수가 범람하게 되면 방벽하우징(700)의 전면에 구비되는 유입홀(720)을 통해 해수가 방벽하우징(700)의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방벽하우징(700)의 내부로 유입된 해수는 상하이동블럭(600)의 저면을 가압하게 된다. 여기서 해수(海水)의 가압력이란, 해수를 통해 가해지는 압력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상하이동블럭(600)은 저면부에 구비되는 돌출턱(620)이 방벽하우징(700)의 내부공간(750)의 내벽에 밀착되므로 유입홀(720)을 통해 내부공간(750)측으로 유입된 해수는 자동으로 상하이동블럭(600)의 저면을 가압(加壓)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상하이동블럭(600)은 해수가 유입홀(720)을 통해 방벽하우징(700)으로 유입되어 상하이동블럭(600)의 저면을 가압하게 되면 방벽하우징(700)의 상면에 구비되는 가이드홀(710)을 따라 상하이동블럭(600)이 상향으로 이동을 하게 되어 상측으로 일정 길이가 돌출된다. 상기 상하이동블럭(600)의 일정길이가 방벽하우징(700)의 상면으로부터 일정높이로 돌출됨으로써 방벽하우징(700)의 상면을 통해 범람하는 해수는 상하이동블럭(600)에 의해 범람하지 못하고 차단되어 해안의 이면으로 해수가 급작스럽게 범람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상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해안의 해안 도로에는 상면에 일정 크기의 방벽하우징을 보조로 설치하고, 상기 방벽하우징은 육면체의 형상을 하고 있으며, 내부에는 일정 크기의 내부공간이 구비되어 상하이동블럭이 내부공간에 삽설되며, 또한, 상기 방벽하우징의 전면은 해안측을 향하도록 설치하면서 전면 하단부에 장공의 유입홀을 구비시키고, 상기 유입홀을 통해 해수가 방벽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되면 해수에 의해 부력을 가지는 상하이동블럭을 상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며, 상기 방벽하우징의 상면에는 가이드홀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하이동블럭이 가이드홀을 통해 상향으로 돌출되므로 바다와 접한 해안의 범람시 자동으로 보조방벽이 형성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벽하우징은 긴급시는 보조방벽의 기능을 담당하지만, 평상시는 해안 도로와 접한 위치에 설치되어 방호벽으로 이용가능하게 되는 바, 차량 통행중 발생될 수 있는 추락 사고에 의한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4)

  1. 해안 도로의 일정 깊이의 내부에 매설되는 직육면체의 형상을 갖는 기저콘크리트(200);
    기저콘크리트(200)의 상면에 연결봉(410)의 하측단이 매설되고 상단부는 일정 넓이의 판재형상으로 형성되되, 기저콘크리트(200)에 매설되는 부분에는 십자형상을 갖도록 걸림로드(420)가 저면에 고정되는 연결봉지지판(400);
    연결봉(410)이 지지되는 연결봉지지판(400)이 상면에 위치되고 연결봉(410)이 끼워지는 관통홀(320)이 구비되며, 제방의 표면에 착설되는 직사각형의 형상을 갖고 모서리에 볼트홀(770)이 관통되는 바닥플레이트(300);
    바닥플레이트(300)와 연결봉지지판(400)의 상면에 착설되고 직사각형의 형상을 갖으며, 모서리에 볼트홀(770)이 관통되는 상단플레이트(500);
    상단플레이트(500)의 상면에 착설되고, 상향으로 폭이 좁아지는 형상을 하는 육면체의 형상을 하며, 내부에는 일정 크기의 직육면체의 형상을 갖는 내부공간(750)이 형성되고 해안 측 전면 하단에는 장공의 유입홀(720)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며, 상면에는 내부공간보다 전후 폭이 작은 장공의 가이드홀(710)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방벽하우징(700);
    방벽하우징(700)의 내부에 구비되는 내부공간(750)에 삽설되면서 상단은 가이드홀(710)을 통해 외부로 일정 길이가 노출되며, 해수의 가압력(加壓力)에 따라 상승 및 하강동작을 하되, 하단부에 전후방향으로 돌출되어 내부공간의 내벽에 밀착되는 돌출턱(620)이 형성되고 좌우 측면 상단에는 티(T)자형상을 갖는 체결홈(610)이 형성되는 상하이동블럭(600);
    그리고 인접한 두 개의 상하이동블럭(600)을 상호 결합시키기 위하여 상하이동블럭(600)의 양측면 상단에 구비되는 체결홈(610)에 각각 결합되되, 제1결합블럭(800)과 제2결합블럭(900)으로 이루어지고, 제1결합블럭(800)과 제2결합블럭(900)은 직육면체의 형상을 갖는 메인몸체(820)(920)와 그 메인몸체(820)(920)의 일측면에 착설되는 티자형상의 체결편(810)(910)으로 형성되며, 제1결합블럭(800)을 구성하는 메인몸체(820)의 타측면에는 안착홈(830)이 일체로 구비되고 제2결합블럭(900)을 구성하는 메인몸체(920)의 타측면에는 안착홈(830)에 삽입되는 삽입돌기(930)가 일체로 구비되는 한 쌍의 결합블럭(800)(90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의 범람방지 구조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하이동블럭(600)은 양 측면 상단에 형성된 체결홈(610) 상면이 티자형상을 하도록 오픈되고, 측면이 수직방향으로 일정 길이가 절개되어 오픈된 형상으로,
    결합블럭(800)(900)의 체결편(810)(910)이 상면으로부터 하향으로 결합되고 상하이동블럭(600)의 측면에 메인몸체(820)(920)가 위치되어 인접한 다른 상하이동블럭(600)의 측면을 향하게 되며,
    방벽하우징(700)은 양측면이 오픈되되, 일측면 내측 테두리에는 결합홈(730)이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결합돌출부(740)가 형성되어 다른 방벽하우징(700)의 결합돌출부(740)가 결합홈(730)에 결합되어 여러개의 방벽하우징(700)이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의 범람방지 구조물.
  4. 제1항에 있어서,
    방벽하우징(700)이 길이방향으로 다수개 밀착되는 이음부 상단에는 그 방벽하우징(700)의 길이방향 상단 양측에 형성된 핀홀에 중간 연결대(790)의 삽입핀(794)이 삽입되어 접착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의 범람방지 구조물.
KR1020060071254A 2006-07-28 2006-07-28 해안의 범람방지 구조물 KR1007332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1254A KR100733283B1 (ko) 2006-07-28 2006-07-28 해안의 범람방지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1254A KR100733283B1 (ko) 2006-07-28 2006-07-28 해안의 범람방지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3283B1 true KR100733283B1 (ko) 2007-06-28

Family

ID=38373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1254A KR100733283B1 (ko) 2006-07-28 2006-07-28 해안의 범람방지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32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16238A (zh) * 2018-03-14 2018-07-24 辽宁忠旺铝合金精深加工有限公司 一种活动挡板及其防洪装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4769B1 (ko) 2005-10-06 2006-05-30 한국기술개발 주식회사 하천수의 도로침투방지장치
KR100612720B1 (ko) 2006-06-08 2006-08-17 주식회사 동호 하천제방의 곡면부 국소붕괴를 방지하는 방호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4769B1 (ko) 2005-10-06 2006-05-30 한국기술개발 주식회사 하천수의 도로침투방지장치
KR100612720B1 (ko) 2006-06-08 2006-08-17 주식회사 동호 하천제방의 곡면부 국소붕괴를 방지하는 방호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16238A (zh) * 2018-03-14 2018-07-24 辽宁忠旺铝合金精深加工有限公司 一种活动挡板及其防洪装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84520A (en) Shoreline protecting system and apparatus
JP5588567B2 (ja) 自動作動式の高潮障壁
US9644334B2 (en) Methods of and systems for controlling water flow, breaking water waves and reducing surface erosion along rivers, streams, waterways and coastal regions
KR101240152B1 (ko) 하천의 범람 및 월파를 방지하는 부력식 물막이 블록의 차수 장치
JP3186385U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製護岸用擁壁ブロックの設置構造
US20090252555A1 (en) Protective wall, dyke and method of producing a dyke
KR100733283B1 (ko) 해안의 범람방지 구조물
JP6166370B2 (ja) 防波壁機能を有する組立式高さ可変型遮断構造物
KR100923147B1 (ko) 차수부재를 포함하는 부력식 차수벽
KR20150061712A (ko) 제방차수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제방축조공법
CN1380469A (zh) 组合插板堤坝及建筑工艺
JP2015031093A (ja) 護岸補修用防波壁体及び護岸の補修方法
WO2014058387A1 (en) A versatile erosion control system
KR200318120Y1 (ko) 사각 블록과 계단 블록을 이용한 하천 제방의유실방지법면 보호구조
CN217870268U (zh) 一种用于河道整治的耐久防洪堤
KR200235686Y1 (ko) 도로하천 제방 물고기 보호용 호안블럭
KR100674354B1 (ko) 하천 범람 방지를 위한 제방 구조물
KR200361585Y1 (ko) 하천 제방 보호용 키블럭 설치구조
KR100579469B1 (ko) 친환경적인 하천호안블록 설치구조
KR101035133B1 (ko) 호안보호를 위한 블록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286236Y1 (ko) 하천 생태계 보호를 위한 원통형 물고기 집 블록을이용한 제방축대 설치구조
KR200327423Y1 (ko) 하천제방 보호용 엑스형 블록
KR200370047Y1 (ko) 하천 제방의 전도 방지용 조립식 옹벽 구조
KR102483537B1 (ko) 해수유통블록 케이슨 및 그 설치방법
JP5318934B2 (ja) 増水対応堤防とその構築に用いる築堤ブロ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