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7423Y1 - 하천제방 보호용 엑스형 블록 - Google Patents

하천제방 보호용 엑스형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7423Y1
KR200327423Y1 KR20-2003-0016533U KR20030016533U KR200327423Y1 KR 200327423 Y1 KR200327423 Y1 KR 200327423Y1 KR 20030016533 U KR20030016533 U KR 20030016533U KR 200327423 Y1 KR200327423 Y1 KR 2003274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finishing
finishing block
shaped
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65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태화
Original Assignee
극동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극동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극동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20-2003-00165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74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74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742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천제방의 경사면에 설치되어 제방의 붕괴를 방지토록 하는 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블록 본체의 정면 형상을 엑스형으로 제작하여 내측으로 오목하게 절곡된 부분이 서로 대응되도록 배치됨으로써, 블록 본체들 사이에 형성되는 접합면이 복잡한 선을 이루므로 외력에 의해 쉽게 이격되지 않아 하천제방의 붕괴가 방지되도록 한 하천제방 보호용 엑스형 블록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하천제방 보호용 엑스형 블록은 콘크리트 베이스와, 상기 콘크리트 베이스 상면에 연속되게 설치되고, 절곡부 및 돌출부로 이루어지고, 그 평면 형상이 엑스 모양을 이룬 엑스형 블록 본체와, 엑스형 블록의 단부가 평면을 이루도록 제 1 마감블록 및 제 2 마감블록, 제 3 마감블록, 제 4 마감블록으로 이루어진 마감블록과, 상기 엑스형 블록 본체 및 마감블록을 고정하는 앵커 볼트와, 상기 제 1 마감블록 및 제 3 마감블록, 제 4 마감블록의 외측면에 형성된 체결홀부에 삽입되어 블록 사이의 이격을 방지토록 하는 마감 앵커가 포함된다.

Description

하천제방 보호용 엑스형 블록 {An X type block for protecting the causeway}
본 고안은 하천제방의 경사면에 설치되어 제방의 붕괴를 방지토록 하는 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블록 본체의 정면 형상을 엑스형으로 제작하여 내측으로 오목하게 절곡된 부분이 서로 대응되도록 배치됨으로써, 블록 본체들 사이에 형성되는 접합면이 다수 차례 절곡된 선을 이루므로 외력에 의해 쉽게 이격되지 않아 하천제방의 붕괴가 방지되도록 한 하천제방 보호용 엑스형 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이나 농수로 또는 호수 등지에는 하천의 범람을 방지하고 수자원의 효율적인 이용을 도모하기 위하여 토사를 다짐한 제방이 조성되어 있으며, 이와 같이 조성된 제방은 수압에 따른 제방의 붕괴를 방지하고, 차량을 포함한 각종 장비의 주행을 위한 가도로를 제방 위에 축조하는 것과 같은 시공학적인 이유로 인하여 수면과 직접 맞닿게 되는 제방의 일 측면에 경사면이 형성되거나 제방의 양 측면에 모두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제방의 일 측면 또는 양 측면이 경사면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제방의 경사면 하측이 하천의 흐름에 의하여 쉽게 침식되고, 우천 시나 폭우 시에는 빗물에 의하여 제방의 토사가 경사면을 따라 하천 등지로 쉽게 유실됨으로써, 제방의 지지강도가 취약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제방이 붕괴될 경우에는 심각한 인명피해나 재산피해를 유발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제방 경사면의 침식과 토사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한 블록이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하천제방 보호용 블록은 직사각형이나 정사각형등의 사각 모양으로 형성되어 다수 개의 층을 이루도록 나란히 배열되기 때문에 홍수 시에 갑자기 불어난 물에 의해 측 방향으로 외벽이 발생되면 블록과 블록 사이의 경계면이 모두 직선이므로 외력에 의해 쉽게 이격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블록과 블록이 이격되기 시작하면 짧은 시간 동안 증가된 수압으로 하천의 물이 흘러도 블록이 제방의 경사면에서 쉽게 이탈되므로 제방의 붕괴를 억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블록 본체의 정면 형상을 엑스형으로 제작하고, 내측 방향으로 절곡되는 부위가 서로 밀착되도록 다수 개의 블록 본체를 설치함으로써, 각각의 블록 본체 사이의 접촉면이 복잡한 선을 이루기 때문에 측 방향의 외력이 지속적 작용되어도 각각의 블록 본체가 쉽게 이격되지 않으므로 제방의 붕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하천제방 보호용 엑스형 블록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하천제방 보호용 엑스형 블록이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하천제방 보호용 엑스형 블록의 주요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하천제방 보호용 엑스형 블록의 설치 상태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 콘크리트 베이스 20 : 엑스형 블록 본체
22 : 절곡부 24 : 돌출부
26 : 체결홀부 30 : 마감블록
32 : 제 1 마감블록 34 : 제 2 마감블록
36 : 제 3 마감블록 38 : 제 4 마감블록
40 : 앵커 볼트 50 : 마감 앵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하천제방 보호용 엑스형 블록은 하천제방의 하단에 설치되는 콘크리트 베이스와;
상기 콘크리트 베이스 상면에 연속되게 설치되도록 내측으로 일정 각도 꺾인 절곡부 및 상대적으로 외측으로 연장된 돌출부로 이루어지고, 그 평면 형상이 엑스모양을 이루며, 중앙에 체결홀부가 형성된 다수 개의 엑스형 블록 본체와;
상기 엑스형 블록 본체에 의해 형성된 엑스형 블록의 상단에 설치되어 엑스형 블록 본체의 단부가 평면을 이루도록 한 제 1 마감블록 및 상기 엑스형 블록의 양측 단부에 설치된 제 2 마감블록, 상기 엑스형 블록의 하단과 콘크리트 베이스 상면 사이에 개재된 제 3 마감블록, 상기 제 1 마감블록과 제 2 마감블록이 연결되는 모서리와 제 2 마감블록과 제 3 마감블록이 연결되는 모서리에 설치된 제 4 마감블록으로 이루어진 마감블록과;
상기 엑스형 블록 본체 및 마감블록의 중앙에 각각 형성된 체결홀부에 삽입되어 하천제방에 고정되는 앵커 볼트와;
양측 단부가 동일한 방향으로 절곡된 앵커 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마감블록 및 제 3 마감블록, 제 4 마감블록의 외측면에 형성된 체결홀부에 삽입되어 블록 사이의 이격을 방지토록 하는 마감 앵커가 포함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하천제방 보호용 엑스형 블록의 일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하천제방 보호용 엑스형 블록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하천제방 보호용 엑스형 블록의 주요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하천제방 보호용 엑스형 블록은 하천제방의 하단에 매립되어 기초를 이루는 콘크리트 베이스(10)와, 상기 콘크리트 베이스(10)의 상면에 적층되어 하천제방 보호용 블록을 이루는 다수 개의 엑스형 블록 본체(20)와, 상기 엑스형 블록 본체(20)와 콘크리트 베이스(10) 사이에 설치되고, 다수 개가 연속되게 설치되는 엑스형 블록 본체(10)의 외각 단부에 설치되어 하천제방 보호용 블록의 단부가 평면을 이루도록 하여 다른 구조물들과 호환될 수 있도록 하는 마감블록(30)과, 상기 엑스형 블록 본체(20)를 관통하여 제방의 경사면에 체결되는 앵커 볼트(40)와, 각각의 상기 마감 블록(30)을 연결하는 마감 앵커(5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엑스형 블록 본체(20)는 일정 두께를 가지며, 그 정면 형상이 엑스형을 이루는 블록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절곡부(22)와, 외측 단부인 돌출부(24)로 이루어지며, 전면 중앙으로부터 배면까지 관통되는 체결홀부(26)가 형성되므로 다수 개의 엑스형 블록 본체(20)가 앵커 볼트(40)에 의해 하천제방의 경사면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엑스형 블록 본체(20)는 절곡부(22)를 이루는 각도가 모두 일정하게 90°를 이루기 때문에 각각 절곡부(22)는 다른 엑스형 블록 본체(20)의 돌출부(24)와 밀착되어 경계면을 이루고, 각각의 돌출부(24)는 다른 엑스형 블록 본체(20)의 절곡부(22)에 밀착됨으로써,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계면이 톱니 모양으로 규칙적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지므로 횡 방향의 외력이 작용될 때에 각각의 엑스형 블록 본체(20)가 서로 이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마감블록(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정면 형상이 상측으로 모서리가 돌출되는 5각형을 이루는데, 상기 모서리는 일 측으로 치우치게 배치됨으로써, 다수 개가 연속적으로 배치되면 톱날 모양을 이루므로 상기 엑스형 블록본체(20)가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이루어진 블록의 단부에 설치되어 블록의 단부가 평면을 이루도록 하는 블록인 바,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적당하게 그 크기가 조절되어 제작된다.
또한, 상기 마감블록(30)은 상대적으로 가장 크게 형성되어 블록의 상단에 설치되는 제 1 마감블록(32)과, 상기 제 1 마감블록(32)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작게 제작되어 블록의 측면 단부에 설치되는 제 2 마감블록(34)과, 상기 제 2 마감블록(34)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작게 제작되어 블록의 하단과 콘크리트 베이스(10) 사이에 개재되는 제 3 마감블록(36)과, 상기 제 1 마감블록(32)과 제 2 마감블록(34)이 맞다는 모서리와, 제 2 마감블록(34)과 제 3 마감블록(36)이 맞닿는 모서리에 설치되도록 그 평면 형상이 사각 모양을 이루는 제 4 마감블록(38)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물론, 설치 장소나 상기한 블록들의 크기에 따라 제 1 마감블록 내지 제 4 마감블록의 크기 차이는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으며, 그 형상 또한 오각형 내지는 사각형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마감블록(30)은 모두 그 중앙에 체결홀부가 형성되어 상기 앵커 볼트(40)에 의해 하천제방의 경사면에 고정되고, 상기 제 1 마감블록(32) 및 제 2 마감블록(34)은 그 외측면에 각각 한 쌍의 체결홀부(32a,34a)가 형성되어 상기 마감 앵커(50)가 서로 이웃하는 마감블록을 연결하고, 상기 제 4 마감블록(38)은 외측면에 하나의 체결홀부(38a)가 형성된다.
상기 마감 앵커(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방향으로 양측 단부가 절곡된 모양으로 형성되어 양측 단부가 각각 서로 이웃하는 다른 마감블록의 체결홀부에 삽입됨으로써, 마감블록 사이의 체결력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하천제방 보호용 엑스형 블록의 설치방법 및 그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하천제방 보호용 엑스형 블록의 설치 상태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먼저, 하천제방의 하단에 콘크리트 베이스(10)를 설치하고, 상기 콘크리트 베이스(10) 상면에 제 3 마감블록(36)을 배치시켜 체결홀부(36a)에 앵커 볼트(40)를 삽입하여 하천제방에 고정시킨 후에 제 3 마감블록(36)의 상면으로부터 제 2 마감블록(34)과 엑스형 블록 본체(20)를 연속되게 적층시킨다.
이때, 엑스형 블록 본체(20)의 절곡부(22)와 돌출부(24)는 서로 다른 엑스형 블록 본체(20)의 돌출부(24)와 절곡부(22)에 대응되도록 배치하고, 앵커 볼트(40)를 체결함으로써, 그 설치를 이룬다.
아울러, 상기 엑스형 블록 본체(20)의 적층이 종료되면 그 상단에 제 1 마감블록(32) 및 제 4 마감블록(38)을 배치시켜 상기 앵커 볼트(40) 및 마감 앵커(50)를 체결홀부에 결합함으로써, 엑스형 블록의 설치를 완료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한 하천제방 보호용 엑스형 블록은 그 평면 형상이 엑스 모양으로 형성되는 블록 본체의 절곡부와 돌출부가 다른 블록 본체의 돌출부 및 절곡부와 대응되게 설치되고, 앵커 볼트 및 마감 앵커에 의해 하천제방에 설치됨으로써, 엑스형 블록 본체들 사이에 형성되는 접촉면이 톱니 모양으로 규칙적으로 절곡되게 배치되므로 외력에 의해 엑스형 블록 본체가 이격되는 것을 억제하여 홍수 시에 하천제방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하천제방에 설치되는 보호용 블록에 있어서;
    하천제방의 하단에 설치되는 콘크리트 베이스(10)와;
    상기 콘크리트 베이스(10) 상면에 연속되게 설치되도록 내측으로 일정 각도 꺾인 절곡부(22) 및 상대적으로 외측으로 연장된 돌출부(24)로 이루어지고, 그 평면 형상이 엑스 모양을 이루며, 중앙에 체결홀부(26)가 형성된 다수 개의 엑스형 블록 본체(20)와;
    상기 엑스형 블록 본체(20)에 의해 형성된 엑스형 블록의 상단에 설치되어 엑스형 블록의 단부가 평면을 이루도록 한 제 1 마감블록(32) 및 상기 엑스형 블록의 양측 단부에 설치된 제 2 마감블록(34), 상기 엑스형 블록의 하단과 콘크리트 베이스(10) 상면 사이에 개재된 제 3 마감블록(36), 상기 제 1 마감블록(32)과 제 2 마감블록(34)이 연결되는 모서리와 제 2 마감블록(34)과 제 3 마감블록(36)이 연결되는 모서리에 설치된 제 4 마감블록(38)으로 이루어진 마감블록(30)과;
    상기 엑스형 블록 본체(20) 및 마감블록(30)의 중앙에 각각 형성된 체결홀부에 삽입되어 하천제방에 고정되는 앵커 볼트(40)와;
    양측 단부가 동일한 방향으로 절곡된 앵커 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마감블록(32) 및 제 3 마감블록(36), 제 4 마감블록(38)의 외측면에 형성된 체결홀부에 삽입되어 블록 사이의 이격을 방지토록 하는 마감 앵커(50)가 포함된 하천제방 보호용 엑스형 블록.
KR20-2003-0016533U 2003-05-27 2003-05-27 하천제방 보호용 엑스형 블록 KR2003274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6533U KR200327423Y1 (ko) 2003-05-27 2003-05-27 하천제방 보호용 엑스형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6533U KR200327423Y1 (ko) 2003-05-27 2003-05-27 하천제방 보호용 엑스형 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7423Y1 true KR200327423Y1 (ko) 2003-09-22

Family

ID=49338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6533U KR200327423Y1 (ko) 2003-05-27 2003-05-27 하천제방 보호용 엑스형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742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7217B1 (ko) 2010-01-27 2010-05-11 (주)가람콘크리트 조립식 호안블럭세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7217B1 (ko) 2010-01-27 2010-05-11 (주)가람콘크리트 조립식 호안블럭세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2103878U (zh) 一种防波堤构件及其防波堤结构
KR200327423Y1 (ko) 하천제방 보호용 엑스형 블록
WO2007024124A1 (en) Breakwater
US6588978B2 (en) Block assembly for protecting embankment
KR19990083890A (ko) 전단키를 갖춘 케이슨
JP3206883U (ja) 護岸構造物
KR100957217B1 (ko) 조립식 호안블럭세트
WO2017175676A1 (ja) 防波構造物の改良方法
JP3544957B2 (ja) 組立式護岸構造体
US6050745A (en) WavBrakerSteps for waterfront bulkheads, seawalls and seacoast
JP3206884U (ja) 護岸用基礎ブロック
KR100674354B1 (ko) 하천 범람 방지를 위한 제방 구조물
KR101811377B1 (ko) 콘크리트 블록 및 콘크리트 블록 네트 시공방법
KR100733283B1 (ko) 해안의 범람방지 구조물
JP2003119750A (ja) 構造物の抗力構造体
KR200327422Y1 (ko) 하천제방 보호용 법면블록
KR200370047Y1 (ko) 하천 제방의 전도 방지용 조립식 옹벽 구조
KR101303944B1 (ko) 식생 호안블록 및 그 시공방법
CN220644096U (zh) 一种田字形联锁护面块体
KR200163330Y1 (ko) 구축용블록
KR102147115B1 (ko) 콤플렉스블록 및 그의 시공공법
KR200361585Y1 (ko) 하천 제방 보호용 키블럭 설치구조
KR200344594Y1 (ko) 호안용 계단블록
JPH0860635A (ja) 港湾等の消波構造体
KR20090084537A (ko) 식생형 호안구조의 셀형식 합성 보강 연결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