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4537A - 식생형 호안구조의 셀형식 합성 보강 연결부재 - Google Patents

식생형 호안구조의 셀형식 합성 보강 연결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4537A
KR20090084537A KR1020080010778A KR20080010778A KR20090084537A KR 20090084537 A KR20090084537 A KR 20090084537A KR 1020080010778 A KR1020080010778 A KR 1020080010778A KR 20080010778 A KR20080010778 A KR 20080010778A KR 20090084537 A KR20090084537 A KR 200900845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connecting member
type
vegetation
fi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0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헌
안태진
지홍기
박종태
박주선
Original Assignee
(주)리버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리버앤텍 filed Critical (주)리버앤텍
Priority to KR10200800107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84537A/ko
Publication of KR20090084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45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01G24/44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16Sealings or joints

Abstract

본 발명은 유연성과 강성을 가진 셀형식 셀합성 구조체로 다수의 반복되는 형태로 절곡된 띠형상의 판이 대응되게 형성된 제 1,2부재를 연결부재에 의해 결합하여 형성된 채움공간부의 상단에 토사유출 방지막이 형성된 것으로, 상기 채움공간부에 채움 재를 충전하여 토사 유출을 방지하면서 형상의 변형 없이 토압에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도록 개선된 식생형 호안구조의 셀형식 합성 보강 연결부재에 관한 것이다.
셀, 호안, 식생, 토사, 방지막, 지오셀, 합성

Description

식생형 호안구조의 셀형식 합성 보강 연결부재{Cell form composition reinforcement connection absence of Plant Community Type shore structure}
본 발명은 식생형 호안구조의 셀형식 합성 보강 연결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연성과 강성을 가진 셀형식 구조물을 간단하면서 편리하게 조립이 가능하여 식생형 호안 복토 구조에 지반을 다지면서 호안 복토 유실을 방지하기 위한 식생형 호안구조의 셀형식 합성 보강 연결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례의 기술에는 호안의 복토 유실을 방지하기 위해 호안블록, 호안구조물 등 다양한 설치를 하여 호안복토를 방지하는 구조물을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호안블록 또는 호안 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해 단지 노상면을 정형하기 위해 자연 토층을 절토하거나 기초지반 위에 성토를 취하는 토공공사가 이루어진다.
이는 절토된 부위가 외부적인 기후요인에 의해 조성된 단지내로 붕락되는 사태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호안 같은 비탈면의 경우는 성토만을 행하게 되면 외부적인 기후적 요인에 의해 비탈면과 이에 연속된 사면의 안전을 꾀할 수 없으므로 통상적으로 계단 형태로 절토된 전체면 또는 하단 전면에 콘크리트 옹벽을 접하도록 설치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조성 단지 내로 비탈면의 붕락의 유발을 사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나 그 구조가 비탈면의 구조적인 안정과 낙석 방지를 효과적으로 기대하기에는 취약한 결점이 많았다.
즉, 콘크리트 옹벽이 전단 강도가 취약한 구조적 형태를 취하고 있어 과도한 토압이 전가되어 올 경우 및 강우시에 그 내부에 침투한 물에 의해 안정을 잃고 붕괴하는 사태가 종종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다양한 형태의 곡선 선형을 만족시킬 수 있어서 다양한 지역에 적용가능하고, 채움재와 파형 구조의 합성된 형태로 형상의 변형없이 토압에 강력하게 저항할 수 있으며, 셀형태의 판을 연결부재에 의해 간단하면서 안정적으로 견고하게 조립하고, 다수의 토사유출방지막이 형성되어 토사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이고 견고한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식생형 호안구조의 셀형식 합성 보강 연결부재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수 반복되는 지그재그 형태의 부재들로 이루어진 셀형식의 셀합성 구조의 내부에 채움재를 충전하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지그재그의 형태로 절곡되어 제1부재와 제2부재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나란히 위치하여 마주보고 있는 양측 모서리부에 연결 결합되어 공간을 나누는 것으로 다수개로 연결하는 '>-<' 형상의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 제1부재와 제2부재에 다수의 채움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상단에 부착된 소정의 폭을 가진 날개가 펼쳐지는 토사 유출 방지막을 포함하는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재는 '>-<' 형상의 양측에 위치한 '>,<'의 연결바에는 다수개로 형성된 채결용 연결돌출편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의 내측면 모서리부를 중심으로 양측 상하 각각에는 다수개의 결합공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공에 연결부재의 연결바에 형성된 연결돌출편이 각각 결합되어 제1부재와 제2부재 사이에 다수의 채움공간부를 형성하는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토사 유출 방지막은 각각의 연결부재의 중앙에 수평하게 형성된 중앙막의 상단을 중심으로 양측에 사각형상의 날개 막인 토사 유출 방지막이 펼쳐져 각각의 채움공간부 상단을 소정의 공간을 차폐시키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가 나란히 위치하고 연결부재가 형성된 육각 형상의 채움공간부에 벽을 이루는 각각의 면 상단에 다수의 토사 유출방지막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가 조합하되 마름모 형태로 연이어지게 형성된 셀합성 구조체로 채움공간부가 마름모로 구성된 사각면의 각 일면 상단부에 토사 유출 방지막이 각각의 채움공간부 상단을 소정의 공간을 차폐시키는 구조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식생형 호안구조의 셀형식 합성 보강 연결부재는 유연성과 강성을 가진 셀형 구조를 형성하여 연결부재에 의한 조립으로 견고하며, 안정적으로 조립할 수 있고, 수직하중 및 횡압력이 집중되는 판 에 연결부재와 토사유출방지막을 설치하여 강성과 지지력이 더욱 향상되고 토사 유출울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다수 반복되는 지그재그 형태의 부재들로 이루어진 셀형식의 셀합성 구조의 내부에 채움재를 충전하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지그재그의 형태로 절곡되어 제1부재와 제2부재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나란히 위치하여 마주보고 있는 양측 모서리부에 연결 결합되어 공간을 나누는 것으로 다수개로 연결하는 '>-<' 형상의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 제1부재와 제2부재에 다수의 채움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상단에 부착된 소정의 폭을 가진 날개가 펼쳐지는 토사 유출 방지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형 호안구조의 셀형식 합성 보강 연결부재를 제공함으로써 달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셀형식 합성구조체의 보강 연결부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셀형식 합성구조체의 보강 연결부재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셀형식의 셀합성 구조체(100)는 다수의 반복되는 지그재그의 형태로 절곡된 띠 형상의 판으로 이루어진 부재와, 상기 부재와 동일 형상 및 동일 재질로 대응되게 형성된 타측 부재 및 상기 부재와 부재를 나란하게 연결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셀형식의 셀합성 구조체(100)는 셀 구조에 의한 호안 토사 유출 방지막(132)으로 사용되기 위하여 지그재그로 절곡된 띠들로 이루어진 제1,2부재(110,120)들과 이들을 접합하는 연결부재(13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재(130)는 제1부재(110)와 제2부재(120)를 연결 고정하는 것으로 지그재그로 모서리부(102)를 형성하면서 연결되어 마주보고 있는 제1부재(110)와 제2부재(120)의 모서리부(102)를 연결 결합하여 공간을 나누는 것으로 '>-<' 형상의 연결부재(130)가 다수개로 부착되어 다수개의 채움공간부(133)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2부재(110,120)에는 상기 연결부재(130)가 체결될 수 있도록 다수의 결합공(104)을 가지며, 이들이 조립되면서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상기 제1,2부재(110,120) 사이에는 다수의 채움공간부(133)가 형성되게 된다.
즉, 상기 제1부재(110)와 제2부재(120)의 내측면 모서리부(102)를 중심으로 양측 상하 각각에는 다수개의 결합공(104)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공(104)에 연결부재(130)의 연결바(134)에 형성된 연결돌출편(135)이 각각 결합되어 제1부재(110)와 제2부재(120) 사이에 다수의 채움공간부(133)를 형성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연결부재(130)는 '>-<' 형상의 양측에 위치한 '>,<'의 연결바(134)에는 다수개로 형성된 채결용 연결돌출편(135)이 형성된 것이다.
여기서, 채움공간부(133)는 각각 지그재그로 절곡 형성된 제1부재(110)와 제2부재(120)를 연결부재(130)가 연결하면서 그 사이에 일정공간이 형성된 것으로 상기 채움공간부(133) 내부에는 채움재(106)가 충전된다.
또한, 상기 제1부재(110)와 제2부재(120)를 연결하여 채움공간부(133)를 형성하면서 연결부재(130)의 연결바(134) 사이에 위치한 중앙막(137)에는 토사 유출 방지막(132)을 구성한다.
즉, 상기 토사 유출 방지막(132)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연결부재(130)의 중앙에 위치하는 통공(131)을 구비한 중앙막(137)의 상단을 중심으로 양측에 사각형상의 날개 막인 토사 유출 방지막(132)이 펼쳐져 각각의 채움공간부(133) 상단을 소정의 공간으로 차폐시키는 것이다.
상기 토사 유출 방지막(132)은 중앙막(137)의 양측에 연결된 것으로 채움공간부(133)의 채움재(106)를 채울 시는 토사 유출 방지막(132)은 바닥면을 향하여 꺽어지게 되어 상부가 개방되며, 상부를 차폐시킬 시는 중앙막(137)을 중심으로 양측의 토사 유출 방지막(132)이 직각이 되도록 하여 중앙막(137) 사이에서 평행하게 위치한다.
아울러, 상기 토사 유출 방지막(132)은 채움공간부(133) 내부에 채워진 채움재(106)의 유출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1부재(110)와 제2부재(120)에 형성된 채움공간부(133)를 채움재(106)로 채운 셀합성 구조체(100)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층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셀합성 구조체(100)를 다단계 층으로 적층하여 제1,2부재(110,120)에 의해 횡방향 토압에 저항하게 되고, 또한 이들의 적층에 의해 종방향 하중에 대하여도 견고한 지지력을 갖추게 된다.
또한, 상기 셀합성 구조체(100)를 지면에서 일측부로 계속해서 부착시켜 수평한 지면에 넓게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제1부재(100)와 제2부재(120)의 연결부재(130)와 토사 유출 방지막(132)은 다음과 같이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 반복되는 모서리부(102)를 형성한 지그재그의 형태로 절곡된 제1부재(110)와 제2부재(120)의 결합을 마름모 형태로 조합하여 이루어지는 셀합성 구조체(100)는 마름모 형태의 채움공간부(133)가 연이어지게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마름모 사각면의 각 일면 상단부에 토사 유출 방지막(132)이 각각의 채움공간부(133) 상단을 소정의 공간을 차폐시키도록 하여 셀합성 구조체(100)를 형성한다.
아울러,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셀형식 합성구조체의 보강 연결부재의 다른 실시예인 조립식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셀형식 합성구조체의 보강 연결부재의 다른 실시예인 조립식 부재의 조립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셀형식 합성구조체의 보강 연결부재의 다른 실시예인 방지막을 형성한 조립식 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예로서 연결조립체(240)는 다수 반복되는 지그재그의 형태로 절곡된 제1조립부재(210)와 제2조립부재(220)의 각각의 모서리부(102)에 끼움홈(230)을 형성한 것이다.
이러한, 상기 제1조립부재(210)와 제2조립부재(220)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나란히 위치하여 마주보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제1조립부재(210)와 제2조립부재(220)가 마주보고 있는 양측의 모서리부(102)의 끼움홈(230)에 끼움볼(242)을 형성한 차단판 연결부(250)가 수직으로 끼워지는 것이다.
상기 차단판 연결부(250)는 다수개의 통공(131)을 형성하는 수직한 판상체로 상단에 토사 유출 방지막(132)을 형성하여 제1조립부재(210)와 제2조립부재(220) 사이에 다수의 채움공간부(133)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차단판 연결부(250)에 형성된 토사 유출 방지막(132)은 제1조립부체(210)와 제2조립부재(220) 사이에 차단판 연결부(250)가 조립되어 육각 형태의 채움공간부(133) 내부에 채워진 채움재(106)의 유출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조립부재(210)와 제2조립부재(220)의 각 면에 소정의 두께로 형성된 'V'형상의 상단에 방지막(260)을 형성하여 제1조립부재(210)와 제2조립부재(220)가 마주보면서 각각의 모서리부(102)의 끼움홈(230)에 끼움볼(242)을 구비한 연결조립체(240)가 결합되어 형성된 육각형태의 채움공간부(133) 상단에 소정의 두께로 육각형태의 토사 유출 방지막(132)과 방지막(260)이 형성되어 각 형태의 채움공간부(133) 내부에 채워진 채움재(106)의 유출을 방지하게 된다.
아울러,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셀형식 합성구조체의 보강 연결부재의 다른 실시예인 반복셀 구조체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셀형식 합성구조체의 보강 연결부재의 다른 실시예인 반복셀 구조체를 나타낸 상세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예로서 다수 반복되는 지그재그 형태로 반복되는 반복셀 구조체(330) 형태에 형성된 양측의 모서리부(102)에서 일측은 상단부와 하단부는 내측으로 돌출되게 향하는 안착면(302)을 형성하면서 중앙측은 외측으로 소정의 길이로 돌출된 연결돌출부(304)로 삽입부(310)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지그재그로 반복되는 형태에 삽입부(310)의 타측 모서리부(102)는 상기 연결돌출부(304)의 길이만큼을 내입하는 공간으로 형성된 인입부(320)는 모서리부(102) 중앙측에 홈을 구성한 것이다.
상기 삽입부(310)와 인입부(320)가 반복적으로 형성된 반복셀 구조체(330)가 대칭적으로 마주보는 위치에서 양측의 모서리부(102)의 삽입부(310)와 인입부(320)가 결합되면서 길이방향으로 연이어지는 마름모 형태를 갖추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삽입부(310)와 인입부(320)가 반복적으로 형성된 반복셀 구조체(330)가 결합하여 다수개의 체결공간부(133)가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반복셀 구 조체(330)가 반복적인 결합은 횡방향으로 조합 배열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반복셀 구조체(330)에 형성된 삽입부(310)의 안착면(302)과 연결돌출부(304)는 모서리부(102) 측에 형성된 수직공간부(306)를 중심으로 수직한 형태의 지그재그로 형성되는 것으로 반복셀 구조체(330)의 삽입부(310)와 인입부(320)의 결합으로 다수개로 형성되는 상기 수직공간부(306)에 중앙핀(340)을 삽입하여 횡배열로 다수개로 결합된 반복셀 구조체(330)를 지면에 고정하는 것이다.
아울러,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셀형식 합성구조체의 보강 연결부재의 다른 실시예로 교차형 셀 구조체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셀형식 합성구조체의 보강 연결부재의 다른 실시예로 교차형 셀 구조체의 접힘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셀형식 합성구조체의 보강 연결부재의 다른 실시예로 교차형 셀 구조체의 설치 상태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예로서 다수 반복되는 지그재그의 형태로 절곡된 제1부재(110)와 제2부재(120)에 지그재그 형태로 절곡된 양측 모서리부(102)의 일부분이 겹쳐져 배열된 교집합 모양으로 형성되면서 교차 되도록하여 이루어지는 교차형 셀 구조체(200)는 크기가 다른 두 개의 마름모가 번갈아 가면서 반복적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교차형 셀 구조체(200)에 크기가 다른 두 개의 마름모 중에 크기가 작은 소형 마름모(210)에 중간 연결바(220)가 삽입되어 상기 교차형 셀 구조체(200)가 형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면서 하단으로 소정의 길이로 돌출하여 좌우측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교차형 셀 구조체(200)에서 채움공간부(133)로 형성한 마름모의 상단에서 마주보는 'V'홈에서 펼쳐져 토사 유출을 방지하는 접이식 토사 방지막(202)이 구성된다.
즉, 상기 교차형 셀 구조체(200)는 길이가 길게 형성되어 다수의 채움공간부(133)와 소형 마름모(210)가 반복적으로 번갈아 가면서 연결되는 것으로 채움공간부(133)에 의해 이격된 소형 마름모(210)가 밀착하게 접혀 교차형 셀 구조체(200)가 소정의 두께로 축소되는 것이다.
이것은, 상기 교차형 셀 구조체(200)는 제1부재(110)와 제2부재(120)가 하나로 연결되어 제작된 것으로 이동시에는 접어서 크기를 축소하게 되고, 설치 장소에 설치시 교차형 셀 구조체(200)를 일방향으로 당겨 채움공간부(133)와 소형 마름모(210)가 펼쳐져 교차형 셀 구조체(200)가 형태를 갖추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교차형 셀 구조체(200)가 접히게 되는 축소시 채움공간부(133) 상단에 위치하는 접이식 토사 방지막(202)의 날개가 접히게 되며, 상기 교차형 셀 구조체(200)가 펼쳐지는 설치시 접이식 토사 방지막(202)의 날개가 펼쳐져 토사 유출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교차형 셀 구조체(200)와 접이식 토사 방지막(202)은 접이식으로 구성되어 이동과 설치 시 신속한 접힘과 인출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셀형식 합성구조체의 보강 연결부재의 다른 실시예로 사각셀 구조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예로서 사각형태의 채움공간부(133)가 개봉 부를 구비하는 사각 박스 형태로 통공(131)을 구비한 사각부재(510)가 장방형체로 연결되는 하나의 사각 셀 구조체(520) 구성된다.
즉, 상기 사각 부재(510)가 바둑판식으로 나열되어 장방형체로 이루어져 사각셀 구조체(520)를 이루는 것으로 상기 사각 부재(510)의 상단이 개봉되어 내부에 공간을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사각부재(510)의 개봉부 측에 사면으로 토사 유출 방지막(132)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사각 셀 구조체(520)의 중심으로 좌우 측에서 밀착시켜 길이방향으로 긴 소정의 두께로 접히는 사각 셀 구조체(520)인 것이다.
여기서, 본원 발명에 의해 개발된 셀합성 구조체(100)와 반복셀 구조체(330), 교차형 셀 구조체(400) 및 사각셀 구조체(520)는 탄성을 가지는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강 재질의 금속으로도 제작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셀형식 합성구조체의 보강 연결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셀형식 합성구조체의 보강 연결부재의 조립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셀형식 합성구조체의 보강 연결부재의 조립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셀형식 합성구조체의 보강 연결부재의 설치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셀형식 합성구조체의 보강 연결부재가 다수개로 설치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셀형식 합성구조체의 보강 연결부재의 다른 실시예인 조립식 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셀형식 합성구조체의 보강 연결부재의 다른 실시예인 조립식 부재의 조립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셀형식 합성구조체의 보강 연결부재의 다른 실시예인 방지막을 형성한 조립식 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셀형식 합성구조체의 보강 연결부재의 다른 실시예인 반복셀 구조체를 나타낸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셀형식 합성구조체의 보강 연결부재의 다른 실시예인 반복셀 구조체를 나타낸 상세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셀형식 합성구조체의 보강 연결부재의 다른 실시예로 교차형 셀 구조체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셀형식 합성구조체의 보강 연결부재의 다른 실시예 로 교차형 셀 구조체의 설치 상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셀형식 합성구조체의 보강 연결부재의 다른 실시예로 교차형 셀 구조체의 접힘을 나타낸 도면.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셀형식 합성구조체의 보강 연결부재의 다른 실시예로 사각셀 구조체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셀합성 구조체 102:모서리부
104:결합공 106:채움재
110:제1부재 120:제2부재
130:연결부재 131:통공
132:토사 유출 방지막 133:채움공간부
134:연결바 135:연결동출편
137:중앙막 210:제1조립부재
220:제2조립부재 230:끼움홈
240:연결조립체 242:끼움볼
250:차단편 연결부재 260:방지막
302:안착면 304:연결돌출부
306:수직 공간부 310:삽입부
320:인입부 330:반복셀 구조체
340:중앙핀 400:교차형 셀 구조체
402:접이식 토사 방지막 410:소형 마름모
420:중간 연결바 510:사각부재
250:사각셀 구조체

Claims (15)

  1. 다수 반복되는 지그재그 형태의 부재들로 이루어진 셀형식의 셀합성 구조의 내부에 채움재를 충전하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지그재그의 형태로 절곡되어 제1부재(110)와 제2부재(120)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나란히 위치하여 마주보고 있는 양측 모서리부(102)에 연결 결합되어 공간을 나누는 것으로 다수개로 연결하는 '>-<' 형상의 연결부재(130)와,
    상기 연결부재(130)에 의해 제1부재(110)와 제2부재(120)에 다수의 채움공간부(133)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130)의 상단에 부착된 소정의 폭을 가진 날개가 펼쳐지는 토사 유출 방지막(13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형 호안구조의 셀형식 합성 보강 연결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130)는 '>-<' 형상의 양측에 위치한 '>,<'의 연결바(134)에는 다수개로 형성된 채결용 연결돌출편(135)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형 호안구조의 셀형식 합성 보강 연결부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110)와 제2부재(120)의 내측면 모서리부(102)를 중심으로 양측 상하 각각에는 다수개의 결합공(104)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 공(104)에 연결부재(130)의 연결바(134)에 형성된 연결돌출편(135)이 각각 결합되어 제1부재(110)와 제2부재(120) 사이에 다수의 채움공간부(133)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형 호안구조의 셀형식 합성 보강 연결부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사 유출 방지막(132)은 각각의 연결부재(130)의 중앙에 위치하는 통공(131)을 구비한 판상체의 중앙막(137)의 상단측 중심으로 양측에 사각형상의 날개 막인 토사 유출 방지막(132)이 펼쳐져 각각의 채움공간부(133) 상단을 소정의 공간을 차폐시키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형 호안구조의 셀형식 합성 보강 연결부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110)와 제2부재(120)가 나란히 위치하고 연결부재(130)가 형성된 육각 형상의 채움공간부(133)에 벽을 이루는 각각의 면 상단에 다수의 토사 유출 방지막(132)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형 호안구조의 셀형식 합성 보강 연결부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토사 유출 방지막(132)은 통공(131)을 구비한 중앙막(137)의 양측에 연결된 것으로 채움공간부(133)의 채움재(106)를 채울 시는 토사 유출 방지막(132)은 바닥면을 향하여 꺽어지게 되어 상부가 개방되고, 채움공간부(133)의 상부를 차폐시킬 시는 중앙막(137)을 중심으로 양측의 토사 유출 방지막(132)이 직각이 되도록 하여 중앙막(137) 사이에서 평행하게 위치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형 호안구조의 셀형식 합성 보강 연결부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110)와 제2부재(120)가 조합하되 마름모 형태로 연이어지게 형성된 셀 합성 구조체(100)로 채움공간부(133)가 마름모로 구성된 사각면의 각 일면 상단부에 토사 유출 방지막(132)이 각각의 채움공간부(133) 상단을 소정의 공간을 차폐시키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형 호안구조의 셀형식 합성 보강 연결부재.
  8. 다수 반복되는 지그재그 형태의 부재들로 이루어진 셀형식의 셀합성 구조의 내부에 채움재를 충전하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지그재그의 형태로 절곡된 제1조립부재(210)와 제2조립부재(220)의 각각의 모서리부(102)에 끼움홈(230)을 형성한 것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나란히 위치하여 마주보고 있는 연결조립체(240)와,
    상기 제1조립부재(210)와 제2조립부재(220)가 마주보고 있는 양측의 모서리부(102)의 끼움홈(230)에 수직으로 끼워지는 끼움볼(242)을 형성한 것으로 다수개 의 통공(131)을 형성하는 수직한 판상체로 상단에 토사 유출 방지막(132)을 형성하여 제1조립부재(210)와 제2조립부재(220) 사이에 다수의 채움공간부(133)를 형성하는 차단판 연결부재(2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형 호안구조의 셀형식 합성 보강 연결부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립부재(210)와 제2조립부재(220)의 각 면에 소정의 두께로 형성된 'V'형상의 상단에 방지막(260)을 형성하여 제1조립부재(210)와 제2조립부재(220)가 마주보면서 각각의 모서리부(102)의 끼움홈(230)에 끼움볼(242)을 구비한 연결조립체(240)가 결합되어 형성된 육각형태의 채움공간부(133) 상단에 소정의 두께로 육각형태의 토사 유출 방지막(132)과 방지막(260)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형 호안구조의 셀형식 합성 보강 연결부재.
  10. 다수 반복되는 지그재그 형태의 부재들로 이루어진 셀형식의 셀합성 구조의 내부에 채움재를 충전하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지그재그로 반복되는 형태에 형성된 양측의 모서리부(102)에서 일측은 상단부와 하단부는 내측으로 돌출되게 향하는 안착면(302)을 형성하면서 중앙측은 외측으로 소정의 길이로 돌출된 연결돌출부(304)로 이루어진 삽입부(310)와,
    상기 지그재그로 반복되는 형태에 삽입부(310)의 타측 모서리부(102)는 상기 연결돌출부(304)의 길이만큼을 내입하는 공간이 형성된 것으로 모서리부(102) 중앙측에 홈을 구성한 인입부(320)와,
    상기 삽입부(310)와 인입부(320)가 반복적으로 형성된 반복셀 구조체(330)가 대칭적으로 마주보는 위치에서 양측의 모서리부(102)의 삽입부(310)와 인입부(320)가 결합되면서 길이방향으로 연이어지는 마름모 형태를 갖추면서 다수개의 체결공간부(133)가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반복셀 구조체(330)가 반복적으로 결합하여 횡방향으로 조합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형 호안구조의 셀형식 합성 보강 연결부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반복셀 구조체(330)에 형성된 삽입부(310)의 안착면(302)과 연결돌출부(304)는 모서리부(102) 측에 형성된 수직공간부(306)를 중심으로 수직한 형태의 지그재그로 형성되는 것으로 반복셀 구조체(330)의 삽입부(310)와 인입부(320)의 결합으로 다수개로 형성되는 상기 수직공간부(306)에 중앙핀(340)을 삽입하여 횡배열로 다수개로 결합된 반복셀 구조체(330)를 지면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형 호안구조의 셀형식 합성 보강 연결부재.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110)와 제2부재(120)에 지그재그 형태로 절곡된 양측 모서리부(102)의 일부분이 겹쳐져 배열된 교집합 모양으로 형성하되 교차 되어 형성된 크기가 다른 두 개의 마름모가 번갈아 가면서 반복적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교차형 셀 구조체(400)와,
    상기 교차형 셀 구조체(400)에 크기가 다른 두 개의 마름모 중에 소형 마름모(410)에 삽입되어 상기 교차형 셀 구조체(400)를 지지하는 중간 연결바(420)와.
    상기 교차형 셀 구조체(400)에서 채움공간부(133)로 형성한 마름모의 상단에서 마주보는 'V'홈에서 펼쳐져 토사 유출을 방지하는 접이식 토사 방지막(40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형 호안구조의 셀형식 합성 보강 연결부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교차형 셀 구조체(400)는 채움공간부(133)와 소형 마름모(410)가 반복적으로 번갈아가며 연결되는 것으로 채움공간부(133)에 의해 이격된 소형 마름모(410)가 밀착하게 접혀 교차형 셀 구조체(400)가 소정의 두께로 축소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형 호안구조의 셀형식 합성 보강 연결부재.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교차형 셀 구조체(400)가 접히게 되는 축소시 채움공간부(133) 상단에 위치하는 접이식 토사 방지막(402)의 날개가 접히게 되며, 상기 교차형 셀 구조체(400)가 펼쳐지는 설치시 접이식 토사 방지막(402)의 날개가 펼쳐져 토사 유출을 방지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형 호안구조의 셀형식 합성 보강 연결부재.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움공간부(133)가 개봉부를 구비하는 통공(131)이 형성된 사각 박스 형태로 구성한 사각부재(510)가 장방형체로 연결되는 하나의 사각 셀 구조체(520) 구성되어 상기 사각부재(510)의 개봉부 측에 사면으로 토사 유출 방지막(132)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사각 셀 구조체(520)의 중심으로 좌우 측에서 밀착시켜 길이방향으로 긴 소정의 두께로 접히는 사각 셀 구조체(5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형 호안구조의 셀형식 합성 보강 연결부재.
KR1020080010778A 2008-02-01 2008-02-01 식생형 호안구조의 셀형식 합성 보강 연결부재 KR200900845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0778A KR20090084537A (ko) 2008-02-01 2008-02-01 식생형 호안구조의 셀형식 합성 보강 연결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0778A KR20090084537A (ko) 2008-02-01 2008-02-01 식생형 호안구조의 셀형식 합성 보강 연결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4537A true KR20090084537A (ko) 2009-08-05

Family

ID=41205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0778A KR20090084537A (ko) 2008-02-01 2008-02-01 식생형 호안구조의 셀형식 합성 보강 연결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8453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7750B1 (ko) * 2021-01-26 2021-10-27 길인 지반 보강용 지오셀장치 및 그 설치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7750B1 (ko) * 2021-01-26 2021-10-27 길인 지반 보강용 지오셀장치 및 그 설치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97830B2 (en) Barrier wall made of sheet-pile components
US8033759B2 (en) Modular retaining wall
US9481970B2 (en) Gabion
KR101266152B1 (ko) 어집 기능을 갖는 투과성 잠제블럭
KR100789210B1 (ko) 시트파일과 합성형 보를 이용한 흙막이 공법
KR102135594B1 (ko) 조립식 내진 옹벽블록 시스템
JP6049382B2 (ja) 耐震耐越流堤体構造
JP5832658B2 (ja) 捨石が除去された防波堤構造物
US20230279631A1 (en) Bulwark structure and method
KR20090084537A (ko) 식생형 호안구조의 셀형식 합성 보강 연결부재
KR20180106715A (ko) 조립식 내진 옹벽블록 시스템
KR100636085B1 (ko) 조립식 옹벽 구조체
KR100789209B1 (ko) 합성형 말뚝과 보를 이용한 흙막이 공법
US20090162147A1 (en) Sand and soil internal reinforcement system
KR101388870B1 (ko) 빗물저류시설용 저류구조체와 이를 갖는 빗물저류시설 및 상기 저류시설 시공방법
KR100245048B1 (ko) 보강토 구조물
JPH11209987A (ja) 土木構造物
KR100635416B1 (ko) 마감용 시트파일
KR102147115B1 (ko) 콤플렉스블록 및 그의 시공공법
KR200327423Y1 (ko) 하천제방 보호용 엑스형 블록
KR101303944B1 (ko) 식생 호안블록 및 그 시공방법
KR102571761B1 (ko) 구조 개선형 빗물저류시설
CN211006548U (zh) 一种水利防坡网
KR200410820Y1 (ko) 하천 옹벽기초 세굴방지구조
KR100256993B1 (ko) 보강토 구조물을 판넬 및 내부골조로 이용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