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2180B1 - 용기본체와 뚜껑 사이에 망상의 수용부재를 구비한 용기 - Google Patents

용기본체와 뚜껑 사이에 망상의 수용부재를 구비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2180B1
KR100732180B1 KR1020050044255A KR20050044255A KR100732180B1 KR 100732180 B1 KR100732180 B1 KR 100732180B1 KR 1020050044255 A KR1020050044255 A KR 1020050044255A KR 20050044255 A KR20050044255 A KR 20050044255A KR 100732180 B1 KR100732180 B1 KR 1007321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container body
opening
receiving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4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2200A (ko
Inventor
박완근
Original Assignee
박완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완근 filed Critical 박완근
Priority to KR10200500442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2180B1/ko
Priority to PCT/KR2006/001950 priority patent/WO2006126832A1/en
Publication of KR20060122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22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21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21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08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for immersion in the liquid to release part or all of their contents, e.g. tea bags

Abstract

생수 등과 같은 음료를 수용하는 용기가 개시된다. 용기본체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뚜껑의 내측면에는 수용 공간을 구비한 망상의 수용부재가 개재된다. 수용부재의 수용공간 내에 녹차 티백 등을 넣고 뚜껑에 고정시킨 후 뚜껑을 용기본체에 체결함에 따라 수용공간 내의 티백에서 차가 우러나게 된다. 컵과 같은 별도의 도구 없이도 평상시에 용기 자체에서 차 등을 우려낼 수 있으므로 편리하게 차가 우러난 생수를 음용할 수 있고 음용 전에 차가 우러나기를 기다릴 필요가 없다.
생수, 용기, 녹차, 뚜껑, 수용

Description

용기본체와 뚜껑 사이에 망상의 수용부재를 구비한 용기 {Container with a web-shaped containing member between container body and lid}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측단면도,
도 2 는 도 1 의 뚜껑의 저면도,
도 3 은 도 1 의 수용부재의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부분 측단면도,
도 5 는 도 4 의 부분 확대도,
도 5a 는 도 4 의 용기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도 6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부분 측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부분 측단면도,
도 8 은 도 7 의 뚜껑 부분의 저면도,
도 9 는 도 7 의 수용부재의 사시도,
도 10 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측단면도,
도 11 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측단면도, 그리고
도 11a 는 도 11 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생수나 음료수 등을 수용하기 위한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음료수, 특히 생수를 수용하는 용기는 통상적으로 용기본체와 뚜껑을 구비하고 있다. 용기본체는 생수를 주입하고 또한 생수를 따를 수 있도록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뚜껑은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통상 나선상의 결합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용기에 수용된 생수를 녹차 등과 같은 차나 음료로 우려내어 마시기 위해서는 용기에 수용된 물을 컵에 따르고 컵에 녹차 티백 등을 넣어 마셔야 한다. 따라서, 생수병 등을 들고 다니면서 차를 우려내어 마시기 위해서는 항상 별도의 컵이 준비되어야 한다.
또한, 별도의 컵을 준비하더라도 가열되지 않은 생수의 상태에서는 차를 우려내는 데에 시간이 오래 걸리므로 차가 우러난 생수를 즉시 마시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컵과 같은 별도의 도구 없이도 용기 자체에서 차 등을 우려낼 수 있도록 함으로써 편리하게 차가 우러난 생수를 음용할 수 있도록 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생수병을 휴대하고 다니는 상태 등과 같은 평상시에 차가 우러나도록 함으로써 음용 전에 차가 우러나기를 기다릴 필요가 없도록 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용기는, 액체를 수용하며 액체를 유입 및 유출시키기 위한 개구부를 구비한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의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뚜껑; 및 상기 뚜껑의 내측면에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측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며 그 내부에 수용 공간을 구비한 망상의 수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뚜껑의 내측면에 고정부가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재를 상기 뚜껑의 내측면에 착탈가능하게 고정시킨다.
상기 개구부, 상기 뚜껑 및 상기 수용부재는 상기 용기본체의 기립 상태에서의 상부 및 하부 중 어느 한 부위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재는 상기 뚜껑의 중앙 부위를 제외한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액체를 수용하며 액체를 유입 및 유출시키기 위한 개구부를 구비한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의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뚜껑; 상기 뚜껑의 외측에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를 개폐하는 보조뚜껑; 및 상기 뚜껑이 상기 용기본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 공간과 상기 수용공간을 구획하는 망상의 구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가 제공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측단면도, 도 2 는 도 1 의 뚜껑의 저면도, 그리고 도 3 은 도 1 의 수용부재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용기(100)는, 용기본체(10), 뚜껑(20) 및 수용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용기본체(10)는 생수나 음료수 등과 같은 액체를 수용하도록 마련되며, 그의 상부는 개구부로서 형성되어 용기본체(10) 내에 액체를 유입시키거나 용기본체(10)로부터 액체를 유출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용기본체(10)의 개구부의 둘레구간의 외주면에는 뚜껑(20)과 체결되기 위한 나선부(11)가 형성되어 있다.
뚜껑(20)은 용기본체(10)의 상부 개구부를 개폐하기 위하여 마련되며, 그 내주면에는 용기본체(10)의 나선부(11)와 체결되는 나선부(21)가 마련되어 있다. 뚜껑(20)을 개구부에 접촉한 상태에서 돌림으로써 뚜껑(20)의 나선부(21)와 용기본체(10)의 나선부(11)가 나선상으로 체결된다.
한편, 뚜껑(20)의 내측면에는 수용부재(3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25)가 마련되어 있다. 고정부(25)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20)의 내측면에 돌출형성된 돌기로서 형성되며, 이때, 도 2 와 같이 4 개의 돌기가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형성된다. 돌기의 형상이나 개수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이러한 형태 외에도 원형의 리브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뚜껑(20)의 내측면에는 원형의 돌출 리브(23)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돌출리브(23)는 뚜껑(20)이 용기본체(10)에 체결된 상태에서 개구부에 인접되 영역에 기밀적으로 접촉된다. 따라서, 뚜껑(20)의 체결 상태에서 생수가 새는 것이 방 지된다.
수용부재(30)는 뚜껑(20)의 내측면에 용기본체(20)의 내부측에 위치되도록 설치된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재(30)는 그 내부에 수용 공간을 형성하며 상부가 개방된 망(31)과, 망(31)의 상부에 부착된 림(33)으로 구성된다. 림(33)은 그 상면이 뚜껑(20)의 내측면에 접촉되도록 결합된다. 이때, 림(33)의 외측 연부가 뚜껑(20)의 고정부(25)에 삽입되어 걸림으로써 뚜껑(20)에 림(33)이 착탈가능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외력을 가하여 수용부재(30)와 뚜껑(20)을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당기면 수용부재(30)가 뚜껑(20)으로부터 분리되며, 분리된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수용부재(30)를 뚜껑(20) 내측면으로 가압함으로써 수용부재(30)를 뚜껑(20)과 결합시킬 수 있다.
수용부재(30)를 뚜껑(20)으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수용부재(30)의 수용공간 내에 녹차 티백이나 기타 분말상의 차가루 등을 넣고 수용부재(30)를 뚜껑에 결합시킨 후, 수용부재(30)를 뚜껑(20)에 결합시키고 뚜껑(20)을 용기본체(10)에 체결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수용부재(30)의 망(31)이 용기본체(10) 내에 수용된 생수에 잠기게 되고, 따라서 용기본체(10) 내에서 티백에 담겨 있는 녹차 또는 분말상의 녹차가 우러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평상시에 녹차가 생수에 우러나도록 할 수 있고, 이를 들고다니면서 마실 수 있게 된다.
한편, 생수의 양이 적은 경우에는 사용자는 용기본체(10)를 도 1 과 같이 기립상태가 아닌 옆으로 누운 상태로 둠으로써 녹차를 우러나게 할 수 있다.
한편, 녹차 등과 같이 티백의 형태로 제공되는 차를 우릴 경우에는 녹차 가루가 생수에 혼입될 우려가 없으므로 망(31)이 조밀하지 않아도 되며 따라서 망(31)은 플라스틱 재질 등을 이용하여 성긴 메쉬구조로 제조할 수도 있다.
그러나, 분말 형태의 차를 넣어 우리고자 하는 경우도 대비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망(31)은 매우 조밀한 것이 바람직하다. 분말 형태의 차가 생수로 혼입되지 않을 정도의 조밀한 망(31)은 플라스틱 재질로 제조하는 것 보다는 녹차 티백 제조시 사용되는 천 재질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러한 경우에는 망(31)의 메쉬 구조가 매우 조밀하여 육안으로는 망의 구조로 보이는 것이 아니라 주머니의 구조로 보일 것이다.
이와 같은 점에 기인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망" 또는 "망상"으로 기재된 것은 이와 같이 육안으로는 망의 구조로 보이지 않을 정도의 조밀한 구조도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망"이라는 용어가 수용부재(30) 내의 수용공간과 용기본체(10)의 내부공간 사이에서 물이 상호 유동 가능하여 수용부재(30)의 수용공간 내에서 우러난 차가 용기본체(10) 내로 혼입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재질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정의된다.
도 4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부분 측단면도이고, 도 5 는 도 4 의 부분 확대도이다. 이하의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에서, 전술한 제 1 실시예에서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인용한다.
도 4 및 도 5 에 도시된 제 2 실시예에서 용기본체(10), 뚜껑(20) 및 수용부 재(30)의 구성은 전술한 제 1 실시예에서와 유사하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수용부재(30)와 뚜껑(20)간의 체결 구조가 제 1 실시예와 상이하다.
즉, 제 1 실시예에서는 고정부(25)가 수용부재(30)의 림(33)의 외측면을 걸어 고정시키는 구조를 취하고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부(25a)가 그 내측면에 나선 결합구조를 구비하고 있고 수용부재(30)의 림(33a) 또한 고정부(25a)의 나선 구조에 대응되도록 그 외측면이 나선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수용부재(30)를 돌리는 방식으로 뚜껑(20)과 수용부재(30)를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제 1 실시예에서의 구조에 비하여 수용부재(30)의 결합이 견고하여 질 수 있고, 상호간의 원하지 않는 분리가 방지된다.
도 5a 는 도 4 의 용기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변형예에는 도 4 의 용기와 비교할 때 고정부와 림의 위치가 반대로 되어 있다. 즉, 본 변형예에서는, 고정부(25a-1)가 외측 방향으로 형성된 나선부분을 구비하고 있고 림(33a-1)이 내측 방향으로 형성된 나선부분을 구비하고 있다. 이때, 림(33a-1)의 직경이 고정부(25a-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고정부(25a-1)의 외측에 림(33a-1)이 맞물리게 된다.
도 6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부분 측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도 용기본체(10), 뚜껑(20) 및 수용부재(30)의 구성은 전술한 제 1 실시예에서와 유사하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수용부재(30)의 림(33b)의 구조가 제 1 및 제 2 실시예와 상이하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림(33b)의 직경이 용기본체(30)의 개구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으며, 따라서, 림(33b)이 용기본체(10)의 상단부에 걸쳐질 수 있게 된다. 림(33b)은 뚜껑(20)의 내측면에 형성된 돌기 형상의 고정부(25a-2)에 걸리어 뚜껑(20)의 내측면에 고정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림(33b)의 직경이 용기본체(30)의 개구부의 직경보다 크므로 림(33b)이 용기본체(10)로 빠질 우려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이러한 구조에서는 수용부재(30)의 망(31)이 용기본체(10) 내에 수용되도록 림(33b)을 개구부에 걸쳐놓은 후에 뚜껑(30)을 용기본체(10)에 체결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부(25a-2)의 구성이 본 실시예에서는 반드시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이에 따라 고정부(25a-2)를 형성하지 않을 경우 뚜껑(20)의 구성이 보다 간단하게 될 수 있다.
도 7 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부분 측단면도이고, 도 8 은 도 7 의 뚜껑 부분의 저면도이며, 도 9 는 도 7 의 수용부재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용부재(30)의 망(31a)이 그 단면이 도우넛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이에 대응하여 림(33c)이 내측의 작은 림과 외측의 큰 림으로 이중으로 구성된다. 즉,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수용부재(30)가 뚜껑(20)의 내측의 전 영역에 걸쳐 수용 공간을 형성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수용부재(30)가 뚜껑(20)의 중앙 부위를 제외한 영역에 수용 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이중으로 구성된 림(33c)의 구조에 대응하여 고정부(25b)는 외측의 큰 림의 외측 연부와 내측의 작은 림의 내측 연부를 고정지지할 수 있도력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는 휴대용 생수병이 아닌 일반 냉온수기에 적용되는 대형 생수병 에 적합한 구조이다. 즉, 냉온수기는 통상적으로 그의 상부에 대형 생수병을 그 개구부가 아래로 향하도록 뒤집어서 얹어 놓는 형태로 설치되는데, 이때 생수병의 뚜껑(20)을 개방시킨 후에 생수병을 냉온수기에 얹어 놓는 것도 있으나 뚜껑(20)을 개방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생수병을 냉온수기에 얹어놓는 것도 있다. 뚜껑(20)을 개방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생수병을 냉온수기에 설치하는 타입은 생수병이 거꾸로 안착될 때 냉온수기의 안착 위치의 중앙부에 첨축부가 마련되어 뚜껑(20)의 중앙부를 찔러 파단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에 따라 냉온수기에 생수병이 안착된 상태에서는 냉온수기 내로 생수가 공급될 수 있게 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타입의 냉온수기에 적용되는 생수병은 뚜껑(20)의 중앙부위가 냉온수기의 첨축부에 파열되므로 뚜껑(20)의 중앙부위를 제외한 부위에만 수용부재(30)가 배치될 수 있도록 본 실시예와 같은 구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수용부재(30)에 녹차 티백 같은 것을 넣고 뚜껑(20)을 체결한 후 냉온수기에 설치하면, 첨축부가 수용부재(30)는 건드리지 않으면서도 뚜껑(20)을 파열시키게 된다. 따라서, 수용부재(30) 내의 녹차 티백 등에서 자연스럽게 차가 우러나오게 되어 녹차 생수를 평상시에 음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측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개구부가 용기본체(10)의 상부는 물론 하부에도 형성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용기본체(10)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는 상부뚜껑(20)에 의해 개폐되며, 하부에 형성된 개구부는 하부뚜껑(20a)에 의해 개폐된다. 수용부재(30)는 하부뚜껑 (20a)과 용기본체(10)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수용부재(30)의 구조는 용기본체(10)의 하부에 설치된다는 점 외에는 전술한 제 3 실시예와 동일하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용기는 수용부재(30)가 하부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용기본체(10) 내의 생수가 줄어들더라도 용기가 기립된 상태에서 상시 수용부재(30)가 생수에 담그어진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생수가 줄어드는 경우 용기를 옆으로 누인 상태로 두지 않아도 차가 우러난다는 장점이 있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측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뚜껑(20c)의 구조가 일반 용기에 적용되는 뚜껑과 상이하며, 용기본체(10)의 구조는 일반적인 것이고,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은 별도의 수용부재(30)는 마련되어 있지 않다.
뚜껑(20c)은 제1뚜껑(20c-1)과 수용부(20c-2) 및 제2뚜껑(20c-3)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뚜껑(20c-1)은 용기본체(10)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기능을 하며, 수용부(20c-2)는 제1뚜껑(20c-1)의 상측에 실린더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제2뚜껑(20c-3)은 보조 뚜껑으로서 수용부(20c-2)를 개폐하는 기능을 한다.
수용부(20c-2)와 제1뚜껑(20c-1)사이에는 제1뚜껑(20c-1)이 용기본체(10)에 설치된 상태에서 용기본체(10)의 내부 공간과 수용부(20c-2)의 수용공간을 구획하는 망상의 구획부(20c-4)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망상의 구획부(20c-4)에 의하여 수용부(20c-2)의 수용공간과 용기본체(10)의 내부 공간이 상호 물이 흐를 수 있는 구조가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2뚜껑(20c-3)을 열어 수용부(20c-2)의 수용공간에 티백 등을 넣고 제2뚜껑(20c-3)을 닫는다. 그리고, 용기본체(10) 내의 생수를 음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1뚜껑(20c-1)을 열어 용기본체(10) 내의 생수를 따르거나 음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보다 사용자의 사용이 보다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1a 는 도 11 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변형예에서는, 도 11 의 실시예와 비교할 때, 도 11 의 구획부(20c-4)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도 11a 에서는 구획부(20c-4a)가 버킷(bucket)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점이 상이하다. 구체적으로는, 도 11a 와 같이, 뚜껑(20c-1)은 그 중앙 부위가 개방되어 있고 뚜껑(20c-1)의 개방된 부위의 외측면에 보조뚜껑(20c-3)이 나사결합 구조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은 뚜껑(20c-1)과 보조뚜껑(20c-3) 및 수용부(20c-4a)의 구조를 뚜껑결합체로 칭한다. 또는 뚜껑(20c-1) 및 수용부(20c-4a)를 뚜껑결합체로 칭할 수도 있다. 이는 도 11 의 경우에도 유사하게 적용된다.
이와 같은 구획부(20c-4a)의 기능은 기본적으로 도 11 의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다. 그러나, 본 변형예에서의 구획부(20c-4a)에 의하면 수용부(20c-2)의 수용공간이 상하방향으로 더 늘어나므로 전체 수용공간의 크기가 커지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수용부(20c-2)의 수용공간 내에 크기가 큰 티백 등을 넣기가 용이하며 수용부(20c-2) 자체의 높이도 낮게 만들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구조에서, 수용부재는 망과 림이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개의 부재로서 제작되어 부착될 수도 있다. 플라스틱 재질 등으로 수용부재가 제조되는 경우에는 일체로 제작되는 것이 공정의 간소화와 비용의 절감 측면에서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컵과 같은 별도의 도구 없이도 평상시에 용기 자체에서 차 등을 우려낼 수 있으므로 편리하게 차가 우러난 생수를 음용할 수 있고 음용 전에 차가 우러나기를 기다릴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액체를 수용하며 상부개구부 및 하부개구부를 구비한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의 상기 상부개구부를 개폐하는 상부뚜껑;
    상기 용기본체의 상기 하부개구부를 개폐하는 하부뚜껑; 및
    상기 하부뚜껑의 내측면에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측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며 그 내부에 수용 공간을 구비한 망상의 수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4. 삭제
  5. 액체를 수용하며 액체를 유입 및 유출시키기 위한 개구부를 구비한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의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뚜껑;
    상기 뚜껑의 외측에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를 개폐하는 보조뚜껑; 및
    상기 뚜껑이 상기 용기본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 공간과 상기 수용공간을 구획하는 망상의 구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6. 액체를 수용하는 용기본체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뚜껑;
    상기 뚜껑의 외측에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를 개폐하는 보조뚜껑; 및
    상기 뚜껑이 상기 용기본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 공간과 상기 수용공간을 구획하는 망상의 구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 용기용 뚜껑결합체.
  7. 액체를 수용하는 용기본체의 개구부에 설치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며, 그 외측면에 보조뚜껑이 설치가능한 결합 구조를 구비한 뚜껑;
    상기 뚜껑의 외측에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수용부; 및
    상기 뚜껑이 상기 용기본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 공간과 상기 수용공간을 구획하는 망상의 구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 용기용 뚜껑결합체.
  8. 액체를 수용하며 액체를 유입 및 유출시키기 위한 개구부를 구비한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의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며, 그 중앙 부위가 개방되어 있는 뚜껑;
    상기 뚜껑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뚜껑의 개방된 부위를 개폐하는 보조뚜껑; 및
    상기 뚜껑의 내측면에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측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며 그 내부에 수용 공간을 구비한 망상의 수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9. 액체를 수용하는 용기본체의 개구부에 설치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며, 그 중앙 부위가 개방되어 있는 뚜껑;
    상기 뚜껑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뚜껑의 개방된 부위를 개폐하는 보조뚜껑; 및
    상기 뚜껑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뚜껑이 상기 용기본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측에 위치되며, 그 내부에 수용 공간을 구비한 망상의 수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 용기용 뚜껑결합체.
  10. 액체를 수용하는 용기본체의 개구부에 설치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며, 그 중앙 부위가 개방되어 있고 그 외측면의 개방된 부위에 보조뚜껑이 설치가능한 결합 구조를 구비한 뚜껑; 및
    상기 뚜껑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뚜껑이 상기 용기본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측에 위치되며, 그 내부에 수용 공간을 구비한 망상의 수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 용기용 뚜껑결합체.
KR1020050044255A 2005-05-25 2005-05-25 용기본체와 뚜껑 사이에 망상의 수용부재를 구비한 용기 KR1007321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4255A KR100732180B1 (ko) 2005-05-25 2005-05-25 용기본체와 뚜껑 사이에 망상의 수용부재를 구비한 용기
PCT/KR2006/001950 WO2006126832A1 (en) 2005-05-25 2006-05-24 Container with a web-shaped containing member between container body and li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4255A KR100732180B1 (ko) 2005-05-25 2005-05-25 용기본체와 뚜껑 사이에 망상의 수용부재를 구비한 용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5286U Division KR200393645Y1 (ko) 2005-05-30 2005-05-30 용기본체와 뚜껑 사이에 망상의 수용부재를 구비한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2200A KR20060122200A (ko) 2006-11-30
KR100732180B1 true KR100732180B1 (ko) 2007-06-25

Family

ID=37452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4255A KR100732180B1 (ko) 2005-05-25 2005-05-25 용기본체와 뚜껑 사이에 망상의 수용부재를 구비한 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732180B1 (ko)
WO (1) WO200612683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4654A (ko) 2015-09-21 2017-03-29 안광호 휴대용 차(茶) 겸용 수소수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93297B2 (ja) * 2008-06-12 2014-05-14 タイガー魔法瓶株式会社 漉し器付き保温ボトル
US9826849B2 (en) 2010-11-09 2017-11-28 Mighty Leaf Tea Universal lid system and methods
KR101698467B1 (ko) * 2015-05-13 2017-01-20 박경아 보조저장부를 구비하는 텀블러
CN105615469A (zh) * 2015-07-27 2016-06-01 中山市梵凯科技服务有限公司 一种飘浮泡茶器
KR102167017B1 (ko) * 2016-04-29 2020-10-16 연화정(주) 보이차 발효용기
KR200486117Y1 (ko) * 2016-08-22 2018-04-05 이정호 커피분말 및 찻잎 보관기능을 가지는 티백과 장착형 티백과 거치형 티백을 포함한 텀블러
CN107518725A (zh) * 2017-07-25 2017-12-29 肇庆市天地人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水杯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1259A (ja) 1997-12-11 1999-06-29 Shinko Chemical Co Ltd 乾燥容器用の内蓋
JPH11253312A (ja) 1998-03-12 1999-09-21 Nippon Sanso Kk 茶漉し付保温容器
EP1270435A2 (en) 2001-06-19 2003-01-02 Masayuki Makita Closure member for a bottle
JP2004313718A (ja) 2003-04-19 2004-11-11 Masayuki Suzuki 茶こし網つき水筒
KR20050109017A (ko) * 2004-05-13 2005-11-17 한성원 내용물이 저장되는 용기 뚜껑
KR20060046092A (ko) * 2004-07-23 2006-05-17 쯔-유안 쉔 차류 제조용 용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1259A (ja) 1997-12-11 1999-06-29 Shinko Chemical Co Ltd 乾燥容器用の内蓋
JPH11253312A (ja) 1998-03-12 1999-09-21 Nippon Sanso Kk 茶漉し付保温容器
EP1270435A2 (en) 2001-06-19 2003-01-02 Masayuki Makita Closure member for a bottle
JP2004313718A (ja) 2003-04-19 2004-11-11 Masayuki Suzuki 茶こし網つき水筒
KR20050109017A (ko) * 2004-05-13 2005-11-17 한성원 내용물이 저장되는 용기 뚜껑
KR20060046092A (ko) * 2004-07-23 2006-05-17 쯔-유안 쉔 차류 제조용 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4654A (ko) 2015-09-21 2017-03-29 안광호 휴대용 차(茶) 겸용 수소수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2200A (ko) 2006-11-30
WO2006126832A1 (en) 2006-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2180B1 (ko) 용기본체와 뚜껑 사이에 망상의 수용부재를 구비한 용기
US20090266737A1 (en) Beverage container permitting multiple configurations
EP2190751B1 (en) System and method for storing and mixing two or more substances
US7806298B2 (en) Multi-compartment dispensing container
US7958816B2 (en) Multi-function beverage brewer and cup
US7946422B1 (en) Dispensing and disposing container system
WO2013043048A1 (en) Beverage filter systems and methods
CN105050458A (zh) 用于冲泡饮料的方法、装置和囊盒
CA2554727A1 (en) Steeping device for producing a liquid mixture
JP2014061949A (ja) 密封装置
KR200393645Y1 (ko) 용기본체와 뚜껑 사이에 망상의 수용부재를 구비한 용기
KR20110002519A (ko) 차 거름용기
KR101843468B1 (ko) 차 음용을 위한 글라스 및 보틀 전환형 텀블러
KR200419616Y1 (ko) 차(茶) 용기
KR20070114940A (ko) 찻잎 우림용 다기 구조체
KR20130137737A (ko) 빨대가 내장된 컵
JP2007253948A (ja) プラスチック容器
KR102607335B1 (ko) 일체형 원터치 성찬식 컵
WO2005077780A1 (en) Lid for a drinking beaker comprising a chamber filled with drink powder
JP3083368U (ja) ペットボトル用飲料材料浸出具
KR200259252Y1 (ko) 음료분말 또는 티백이 내장되는 생수병 뚜껑
JP3932004B2 (ja) カップホルダ
CN211022043U (zh) 一种杯子
CN1311770C (zh) 改进的容器
KR100455615B1 (ko) 캡슐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