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2137B1 - 기화기의 오토 쵸크 장치 - Google Patents

기화기의 오토 쵸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2137B1
KR100732137B1 KR1020050067345A KR20050067345A KR100732137B1 KR 100732137 B1 KR100732137 B1 KR 100732137B1 KR 1020050067345 A KR1020050067345 A KR 1020050067345A KR 20050067345 A KR20050067345 A KR 20050067345A KR 100732137 B1 KR100732137 B1 KR 1007321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cylinder
engine
valve
choke
carbure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7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6750A (ko
Inventor
시게키 에다마츠
히로시 모리야마
다카시 스즈키
다카노리 사토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4216999A external-priority patent/JP414584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216998A external-priority patent/JP414584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216996A external-priority patent/JP414584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217000A external-priority patent/JP425294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216997A external-priority patent/JP414584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238748A external-priority patent/JP4199171B2/ja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6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67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2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21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1/00Carburettors with means for facilitating engine's starting or its idling below operational temperatures
    • F02M1/08Carburettors with means for facilitating engine's starting or its idling below operational temperatures the means to facilitate starting or idling becoming operative or inoperative automatic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1/00Carburettors with means for facilitating engine's starting or its idling below operational temperatures
    • F02M1/08Carburettors with means for facilitating engine's starting or its idling below operational temperatures the means to facilitate starting or idling becoming operative or inoperative automatically
    • F02M1/10Carburettors with means for facilitating engine's starting or its idling below operational temperatures the means to facilitate starting or idling becoming operative or inoperative automatically dependent on engine temperature, e.g. having thermost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1/00Carburettors with means for facilitating engine's starting or its idling below operational temperatures
    • F02M1/08Carburettors with means for facilitating engine's starting or its idling below operational temperatures the means to facilitate starting or idling becoming operative or inoperative automatically
    • F02M1/10Carburettors with means for facilitating engine's starting or its idling below operational temperatures the means to facilitate starting or idling becoming operative or inoperative automatically dependent on engine temperature, e.g. having thermostat
    • F02M1/12Carburettors with means for facilitating engine's starting or its idling below operational temperatures the means to facilitate starting or idling becoming operative or inoperative automatically dependent on engine temperature, e.g. having thermostat with means for electrically heating thermost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ans For Warming Up And Starting Carburetors (AREA)

Abstract

왁스식의 감온부(25)와, 이 감온부(25)의 수열 작동에 따라서 기화기(C)의 쵸크 밸브(19)를 개방하는 출력부(26)를 구비하는 오토 쵸크 장치에 있어서, 바닥을 지닌 가동 실린더(31)와, 이것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일단을 가동 실린더(31) 밖으로 돌출시키는 고정 피스톤(33)과, 가동 실린더(31) 내에 봉입되어 열팽창하면 가동 실린더(31) 및 고정 피스톤(33)을 축 방향으로 상대 이동시키는 왁스(35)를 구비하며, 바닥부(30a')를 엔진의 고온부 측으로 향하게 하여 엔진(E)에 부착되는 바닥을 지닌 원통형의 하우징(30)에, 그 바닥부(30a') 내면에 고정 피스톤(33)의 바깥단을 접촉시켜 가동 실린더(31)를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수납하여 감온부(25)를 구성하여, 그 가동 실린더(31)에 출력부(26)를 연결했다. 이리 하여, 쵸크 밸브의 밸브 개방 속도를, 엔진의 난기 운전 시작 직후에 빠르게, 난기 운전 종료에 가까워짐에 따라 느리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기화기의 오토 쵸크 장치{AUTOMATIC CHOKE SYSTEM FOR CARBURETO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범용 엔진의 일부를 파단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의 3-3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4-4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5-5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6-6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대응한, 오토 쵸크 장치의 작용 설명도이다.
도 8은 오토 쵸크 장치의 다른 작용 설명도이다.
도 9는 오토 쵸크 장치의 또 다른 작용 설명도이다.
도 10은 도 6 중의 오토 쵸크 장치에 있어서의 감온부의 확대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대응하는 작용 설명도이다.
도 12는 가버너 장치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13은 쵸크 밸브 강제 개방 수단 주변부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대응한, 쵸크 밸브 강제 개방 수단의 작용 설명도이다.
도 15는 쵸크 밸브 강제 개방 수단의 다른 작용 설명도이다.
도 16은 쵸크 밸브 강제 개방 수단의 또 다른 작용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9 : 쵸크 밸브
25 : 감온부
26 : 출력부
38 : 복귀 스프링
30 : 하우징
30a' : 바닥부
31 : 가동 실린더
33 : 고정 피스톤
35 : 왁스
E : 엔진
C : 기화기
본 발명은 엔진에 부착되는 왁스식의 감온부와, 이 감온부 및 기화기의 쵸크 밸브 사이를 연결하여, 감온부의 수열(受熱) 작동에 따라서 쵸크 밸브를 개방하도록 작동하는 출력부를 구비하는, 기화기의 오토 쵸크 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기화기의 오토 쵸크 장치는 예컨대 일본 실용신안 공개 소57-182241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이미 알려져 있다.
종래의 이러한 기화기의 오토 쵸크 장치에서는, 왁스식의 감온부는, 실린더와, 이 실린더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일단을 실린더 밖으로 돌출시키는 피스톤과, 실린더 내에 봉입되어 열팽창하면 실린더 및 피스톤을 축 방향으로 상대 이동시키는 왁스와, 실린더 및 피스톤을 왁스의 압축 방향으로 서로 밀어 부치는 복귀 스프링을 구비하고 있고, 실린더가 왁스를 엔진의 고온부 측으로 향하게 하여 엔진에 부착되고, 피스톤이 출력부에 연결된다. 이러한 것에서는, 왁스가 엔진의 고온부에 항상 노출되기 때문에, 엔진으로부터의 수열 속도가 일정하며, 따라서 엔진의 난기 운전의 진행에 따른 쵸크 밸브의 밸브 개방 속도도 일정하게 된다.
그러나, 엔진의 난기 운전을 보다 정확하게 하기 위해서는, 쵸크 밸브의 밸브 개방 속도는 엔진의 난기 운전 시작 직후에 빠르게, 난기 운전 종료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느리게 할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그와 같이 쵸크 밸브의 밸브 개방 속도를 변화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기화기의 오토 쵸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엔진에 부착되는 왁스식의 감온부와, 이 감온부 및 기화기의 쵸크 밸브 사이를 연결하여, 감온부의 수열 작동에 따라서 쵸크 밸브를 개방하도록 작동하는 출력부를 구비하는, 기화기의 오토 쵸크 장치에 있어서, 바닥을 지닌 가동 실린더와, 이 가동 실린더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일단을 가동 실린더 밖으로 돌출시키는 고정 피스톤과, 가동 실린더 내에 봉입되어 열팽창하면 가동 실린더 및 고정 피스톤을 축 방향으로 상대 이동시키는 왁스와, 가동 실린더 및 고정 피스톤을 왁스의 압축 방향으로 서로 밀어 부치는 복귀 스프링을 구비하고, 바닥부를 엔진의 고온부 측으로 향하게 하여 엔진에 부착되는 바닥을 지닌 원통형의 하우징에, 그 바닥부 내면에 고정 피스톤의 바깥단을 접촉시키는 상태로 가동 실린더를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수납하여 상기 감온부를 구성하며, 그 가동 실린더에 상기 출력부를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제1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따르면, 감온부의 하우징에 있어서, 엔진의 운전 중, 가장 수열이 많은 바닥부의 내면에 고정 피스톤이 접촉하여, 왁스를 봉입한 가동 실린더가 왁스의 열팽창에 따라서 상기 바닥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하우징 안을 이동하기 때문에, 가동 실린더 내의 왁스의 하우징으로부터의 수열은 난기 운전 시작 직후에 많고, 난기 운전의 진행에 따라 감소하게 된다. 그 결과, 엔진의 난기 운전 시작 직후에는 쵸크 밸브의 밸브 개방이 촉진되어, 혼합기의 과농화(過濃化)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고, 난기 운전 종료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쵸크 밸브의 밸브 개방 속도가 늦어지기 때문에, 안정된 난기 운전을 계속할 수 있으며, 그리고 난기 운전 종료후, 즉 쵸크 밸브의 완전 개방후에는 왁스의 과열 열화를 막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엔진에 부착되는 왁스식의 감온부와, 이 감온부 및 기화기의 쵸크 밸브 사이를 연결하여, 감온부의 수열 작동에 따라서 쵸크 밸브를 개방하도록 작동하는 출력부를 구비하는, 기화기의 오토 쵸크 장치에 있어서, 바닥이 있는 가 동 실린더와, 이 가동 실린더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일단을 가동 실린더 밖으로 돌출시키는 고정 피스톤과, 가동 실린더 내에 봉입되어 열팽창하면 가동 실린더 및 고정 피스톤을 축 방향으로 상대 이동시키는 왁스와, 가동 실린더 및 고정 피스톤을 왁스의 압축 방향으로 서로 밀어 부치는 복귀 스프링을 구비하고, 엔진에 부착되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의 하우징에, 그 바닥부 내면에 고정 피스톤의 바깥단을 접촉시키는 상태에서 가동 실린더를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수납하여 상기 감온부를 구성하며, 그 가동 실린더에 상기 출력부를 연결하여, 상기 하우징을, 가동 실린더가 상기 바닥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서 왁스의 수열을 감소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제2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에 따르면, 엔진의 난기 운전의 진행에 따라 가동 실린더는, 그 내부의 왁스의 열팽창에 의해 하우징의 바닥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가동 실린더가 이동하면, 가동 실린더 내의 왁스의 수열이 감소하게 되기 때문에, 쵸크 밸브의 밸브 개방 속도를, 엔진의 난기 운전 직후에 빠르게, 난기 운전 종료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느리게 할 수 있어, 혼합기의 농후화를 피하면서, 안정된 난기 운전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난기 운전 종료후, 즉 쵸크 밸브의 완전 개방후에는 왁스의 수열이 더욱 적어지므로, 왁스의 과열 열화를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2 특징에 더하여, 상기 하우징을, 상기 바닥부를 갖는 컵형이며 열전도성이 좋은 제1 부분과, 이 제1 부분의 개방단에 결합되는 원통형이며 단열성인 제2 부분으로 구성하여, 왁스의 열팽창에 따라서 가동 실린더가 제1 부분 에서 제2 부분 측으로 이동하도록 한 것을 제3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특징에 따르면, 엔진으로부터 하우징에 있어서의 열전도성이 좋은 제1 부분으로의 열의 전달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므로, 특히 난기 운전 시작 직후, 가동 실린더 내의 왁스는 상기 제1 부분으로 신속하게 수열하여 팽창을 시작하여, 쵸크 밸브의 밸브 개방을 빠르게 하여 혼합기의 과농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엔진의 난기 운전의 진행에 따라 가동 실린더가 하우징의 제1 부분으로부터 단열성의 제2 부분 측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가동 실린더 내의 왁스의 하우징으로부터의 수열을 난기 운전의 진행에 따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고, 따라서 쵸크 밸브의 밸브 개방 속도를 난기 운전 종료에 근접함에 따라서 정확하게 느리게 하여, 보다 안정된 난기 운전을 계속할 수 있다. 또한 난기 운전 종료후에는 왁스의 수열이 더욱 적어지므로, 왁스의 과열 열화 방지에 한층 더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또는 제2 특징에 더하여, 상기 하우징을, 상기 바닥부를 갖는 열전도성이 좋은 제1 부분과, 이 제1 부분에서의 상기 바닥부와 반대측에 결합되는 단열성의 제2 부분으로 구성하고, 이 제2 부분을 엔진 및 기화기 사이에 개재되는 단열 부재에 일체로 성형한 것을 제4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4 특징에 따르면, 감온부의 하우징을, 바닥부를 갖는 열전도성이 좋은 제1 부분과, 이 제1 부분에서의 상기 바닥부와 반대측에 결합되는 단열성의 제2 부분으로 구성했기 때문에, 엔진이 발생하는 열은 주로 제1 부분을 통해 실린더 내의 왁스에 전달되게 되어, 제1 부분만의 형상 및 배치를 선정함으로써, 감 온부의 특성을 바꿀 수 있어, 엔진의 다기종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더구나 상기 제1 부분을, 엔진 및 기화기 사이에 개재되는 단열 부재에 일체로 성형했기 때문에, 전용의 지지 부재를 이용하는 일없이 감온부의 하우징을 엔진에 지지할 수 있어, 구조가 간단하게 되어 오토 쵸크 장치의 비용 저감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4 특징에 더하여, 상기 출력부를 지지하는 브래킷을 상기 단열 부재에 일체로 성형한 것을 제5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5 특징에 따르면, 출력부를 지지하는 브래킷도 단열 부재에 일체로 성형했기 때문에, 전용의 지지 부재를 이용하는 일없이 브래킷을 실린더 헤드에 지지할 수 있어, 구조가 보다 간단하게 되어 오토 쵸크 장치의 한층 더 비용 저감에 기여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제1 또는 제2 특징에 더하여, 상기 감온부를 엔진의 실린더 헤드에 형성된 흡기 포트에 근접하여 배치한 것을 제6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6 특징에 따르면, 엔진의 운전중, 실린더 헤드의 흡입 포트의 주변부는 항상 흡입 포트를 흐르는 흡기에 의해 냉각되기 때문에, 엔진의 부하 변동에 영향을 받는 일없이, 난기 운전의 진행에 대응한 온도 특성을 가질 수 있고, 따라서 흡기 포트에 근접하여 배치된 감온부는 엔진의 부하 변동에도 불구하고, 난기 운전의 진행에 정확하게 대응한 작동을 일으켜, 쵸크 밸브의 개방도를 항상 적정하게 제어할 수 있어, 엔진의 연비 특성 및 에미션 특성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6 특징에 더하여, 상기 실린더 헤드에, 상기 흡기 포트의 주벽(周壁)과, 이 주벽의 일측에서 기립하는 둘레벽에 의해 구획되는 수용실을 형성하여, 이 수용실에 상기 감온부를 배치한 것을 제7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7 특징에 따르면, 둘레벽의 길이 선정에 의해 수용실의 감온부와의 대향 면적을 적당히 설정함으로써, 엔진의 난기 운전의 진행에 대한 감온부의 작동 특성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또는 제2 특징에 더하여, 엔진에 지지되는 브래킷에, 상기 감온부의 수열 작동에 응답하여 이동하는 제1 레버와, 쵸크 밸브에 연동하는 제2 레버를 공통의 추축을 통해 각각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이들 제1 및 제2 레버에는, 상호 이격 가능하게 접촉하는 접촉부를 설치하는 동시에, 이들 접촉부의 접촉 방향으로 양 레버를 밀어 부치는 연결 스프링을 접속하여 상기 출력부를 구성하여, 쵸크 밸브의 완전 개방 이전에는 상기 감온부의 수열 작동이 제1 레버에서부터 연결 스프링을 통해 제2 레버에 쵸크 밸브의 개방 방향으로 전달되고, 쵸크 밸브의 완전 개방후에는 상기 감온부의 수열 작동에 의해, 연결 스프링의 세팅 하중에 대항하여 접촉부를 서로 이격시키도록 제1 레버만이 회동하도록 한 것을 제8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8 특징에 따르면, 쵸크 밸브를 완전 개방 상태로 하는 엔진의 난기 운전 종료후, 감온부가 엔진으로부터 더욱 수열하여 오버스트로크했을 때는, 감온부의 수열 작동에 의해, 연결 스프링의 세팅 하중에 대항하여 접촉부를 서로 이격시키도록 제1 레버만이 회동하기 때문에, 상기 감온부의 오버스트로크 작동을 연결 스프링의 변형으로 흡수할 수 있고, 따라서 오토 쵸크 장치에서부터 쵸크 밸브까지의 각 부에 있어서의 과대 응력의 발생을 피하여, 각 부의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더구나 서로 회동할 수 있는 제1 및 제2 레버는 공통의 추축을 통해 브래킷에 부착되기 때문에, 출력부의 부품 개수를 줄여, 구조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또는 제2 특징에 더하여, 기화기의 스로틀 밸브에, 이 스로틀 밸브를 엔진의 정지시에 열고, 엔진의 운전시에 엔진의 설정 회전수에 대응한 소정 개방도로 제어하는 가버너(governor) 장치를 연결하는 동시에, 스로틀 밸브 및 쵸크 밸브 사이에, 스로틀 밸브의 완전 개방 위치에서부터 아이들링 개방도 위치로의 밸브 폐쇄에 연동하여 쵸크 밸브를 강제적으로 개방하는 쵸크 밸브 강제 개방 수단을 설치한 것을 제9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9 특징에 따르면, 엔진의 냉간 또 정지 상태에서는 오토 쵸크 장치가 쵸크 밸브의 밸브 폐쇄를 허용하여, 가버너 장치가 스로틀 밸브를 완전 개방 상태로 유지한다. 엔진의 냉간 시동 직후의 아이들링일 때에는, 가버너 장치의 작동에 의해 스로틀 밸브를 완전 개방 위치에서 아이들링 개방도 위치까지 닫는다. 이 스로틀 밸브의 밸브 폐쇄 과정에서, 쵸크 밸브 강제 개방 수단의 작동에 의해, 쵸크 밸브를 완전 폐쇄 위치에서 반개방 상태로 강제적으로 개방하기 때문에, 기화기에서 생성되는 혼합기는 엔진의 아이들링에 알맞은 농도로 조정되어, 안정된 아이들링 상태를 확보할 수 있고, 또한 쵸크 밸브의 개방 지연에 의한 저연비성의 악화를 피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9 특징에 더하여, 상기 출력부 및 쵸크 밸브 강제 개방 수단을, 이들의 어느 한 쪽의 작동에 의한 쵸크 밸브의 밸브 개방을 다른 쪽이 방해하지 않도록 구성한 것을 제10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0 특징에 따르면, 상기 출력부 및 쵸크 밸브 강제 개방 수단은 서로 간섭하지 않고 쵸크 밸브를 정확하게 밸브 개방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한 것과 그 밖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이하에 상술하는 적합한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분명하게 될 것이다.
이하,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한다.
우선, 도 1∼도 3에 있어서, 부호 E는 각종 작업기의 동력원이 되는 4 사이클 엔진을 나타낸다. 이 엔진(E)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크랭크축(1)을 지지하는 크랭크케이스(2)와, 이 크랭크케이스(2)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고 실린더 보어(3a)를 갖는 실린더 블럭(3)과, 이 실린더 블럭(3)의 외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실린더 헤드(4)를 구비하고 있고, 실린더 헤드(4)에는, 흡기 밸브(7i) 및 배기 밸브(7e)에 의해 각각 개폐되는 흡기 포트(6i) 및 배기 포트(6e)와, 흡기 밸브(7i) 및 배기 밸브(7e)를 작동시키는 밸브 운전 기구(8)를 수용하는 밸브 운전실(9)이 설치된다. 이 밸브 운전실(9)을 폐쇄하는 헤드 커버(5)가 실린더 헤드(4)의 단부면에 접합된다.
흡기 포트(6i) 및 배기 포트(6e)의 바깥단은 실린더 헤드(4)의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한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개구되고, 그 일측면에는 흡기 포트(6i)에 연통하는 흡기도(11)를 갖춘 기화기(C)가 판형의 단열 부재(10)를 사이에 두고 복수의 관통 볼트(12)에 의해 접합된다. 단열 부재(10)는 단열성이 우수한 페놀 수지 등의 열경화성 합성 수지제이며, 이로써 엔진(E)에서 기화기(C)로의 열전도가 억제된다. 실린더 헤드(4)의 타측면에는 배기 포트(6e)에 연통하는 배기 머플러(14)가 부착된다. 또한 엔진(E)의 상부에는 연료 탱크(17)와 리코일식 스타터(15)가 배치된다. 한편, 도 1에서, 부호 16은 실린더 헤드(4)에 나사식 부착된 점화 플러그를 나타낸다.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화기(C)에는, 그 흡기도(11)의 상류측에 연속해 있는 에어 클리너(13)가 부착된다. 기화기(C)의 흡기도(11)에는 그 상류측에 쵸크 밸브(19), 하류측에 스로틀 밸브(20)가 설치되고, 또한 이 양 밸브(19, 20) 사이에서 개구되는 연료 노즐(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된다. 쵸크 밸브(19) 및 스로틀 밸브(20)는 모두 기화기(C)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는 밸브축(19a, 20a)에 각각 지지되는 버터플라이형이다.
도 4에 있어서, 쵸크 밸브(19)의 밸브축(19a)은 흡기도(11)의 중심선으로부터 일측에 오프셋하여 배치되고, 쵸크 밸브(19)는 그 완전 폐쇄 상태에서는, 쵸크 밸브(19)의 회전 반경이 큰 측이, 그 회전 반경이 작은 측보다 흡기도(11)의 하류측에 오도록 흡기도(11)의 중심 축선에 대하여 경사지게 되어 있다. 상기 밸브축(19a)의, 기화기(C) 외측으로 돌출된 외단부에는 쵸크 레버(22)가 부착되고, 이 쵸크 레버(22)는 밸브축(19a)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끼워 맞춰지는 중공 원통형을 하고 있으며, 그 내부에 있어서, 공지의 릴리프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밸브축(19a)과 연결된다. 쵸크 밸브(19)의 완전 개방 및 완전 폐쇄 위치는 쵸크 레버 (22)가 기화기(C)의 외측벽에 설치되는 스토퍼(도시하지 않음)에 접촉함으로써 규정된다.
그렇게 하여, 쵸크 밸브(19)의 완전 폐쇄 또는 약간 개방도일 때, 엔진(E)의 흡기 부압이 소정치를 넘으면, 쵸크 밸브(19)의 회전 반경이 큰 측에 작용하는 흡기 부압에 의한 회전 모멘트와, 쵸크 밸브(19)의 회전 반경이 작은 측에 작용하는 흡기 부압에 의한 회전 모멘트의 차가 상기 릴리프 스프링에 의한 회전 모멘트와 밸런스를 이루는 곳까지, 쵸크 밸브(19)를 열도록 되어 있다.
쵸크 레버(22)에는 이것을 쵸크 밸브(19)의 닫히는 측으로 밀어 부치는 쵸크 복귀 스프링(21)이 접속된다. 또한 쵸크 레버(22)에는 쵸크 밸브(19)의 개방도를 엔진(E)의 온도 변화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제어하는 오토 쵸크 장치(A)가 마주 대하게 배치된다.
이 오토 쵸크 장치(A)에 대해서, 도 2∼도 1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도 2∼도 6에 있어서, 오토 쵸크 장치(A)는 엔진(E)의 실린더 헤드(4), 특히 흡기 포트(6i) 주위로부터 수열하는 감온부(25)와, 이 감온부(25) 및 상기 쵸크 레버(22) 사이를 연결하여 감온부(25)의 수열 작동을 쵸크 레버(22)에 쵸크 밸브(19)의 개방 방향의 움직임으로서 전달하는 출력부(26)로 구성된다. 감온부(25)는 흡기 포트(6i)의 주벽(4a)과, 이 주벽(4a)의 상부로부터 기립하는 둘레벽(4b)(도 2 및 도 3 참조)에 의해 실린더 헤드(4)에 형성되는 수용실(27)에 배치되는 원통형의 하우징(30)을 갖는다. 수용실(27)은 흡기 포트(6i)와 마찬가지로 일단을 입구로 하여 실린더 헤드(4)의 일측면에 개구되고, 실린더 헤드(4)의 중심으로 향 하는 반대측의 단부는 폐색되어 있다. 또한 수용실(27)의 일측은 둘레벽(4b)의 성형성 및 감온부(25)의 조립성을 고려하여 적당히 개방되고 있다.
상기 하우징(30)은 열전도성이 우수한 금속, 예컨대 Al제이며 바닥부(30a')를 갖는 컵형의 제1 부분(30a)과, 단열성이 우수한 합성 수지, 예컨대 페놀 수지제이며 제1 부분(30a)의 개방단에 인도하여 끼워 맞춰져 비스(45)(도 2 참조)에 의해 결합되는 원통형의 제2 부분(30b)으로 구성된다. 그 제2 부분(30b)은 실린더 헤드(4) 및 기화기(C) 사이에 개재되는 상기 단열 부재(10)에 일체로 연달아 설치되며, 따라서, 하우징(30)은 전용의 부착 부재를 설치하는 일없이 실린더 헤드(4)에 부착되게 된다.
제1 부분(30a)은 그 바닥부(30a')를 수용실(27)의 안쪽 즉 실린더 헤드(4)의 중심부(고온부)로 향하는 동시에, 그 바닥부(30a') 및 주벽을 수용실(27)의 내면에 접촉 혹은 미소 간극을 두고 대향시키도록 배치된다. 제2 부분(30b)은 수용실(27)의 입구측, 즉 실린더 헤드(4)의 중심에서 멀어지는 측에 배치된다.
감온부(25)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전도성이 우수한 Al 등의 금속제이며 바닥이 있는 가동 실린더(31)와, 이 가동 실린더(31)의 개방단에 코오킹 결합한 가이드 부재(32)와, 이 가이드 부재(32)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그것을 관통하는 막대 형상의 고정 피스톤(33)과, 가동 실린더(31) 내에서 고정 피스톤(33)을 덮으면서, 개방단이 가동 실린더(31)와 가이드 부재(32) 사이에 액밀하게 끼워지는 탄성 주머니(34)와, 이 탄성 주머니(34)를 덮는 식으로 가동 실린더(31) 내에 봉입되는 왁스(35)를 구비하고 있고, 고정 피스톤(33)의 바깥단을 하우징(30) 의 제1 부분(30a)의 바닥부(30a') 내면에 접촉시킨 상태로, 가동 실린더(31)는 하우징(30)의 제1 부분(30a)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 맞춰진다.
그렇게 하여, 왁스(35)는 가열되면 팽창하여 탄성 주머니(34)를 짜듯이 압축함으로써 고정 피스톤(33)을 가이드 부재(32)의 바깥쪽으로 밀어내고자 하지만, 제1 부분(30a)의 바닥부(30a') 내면에 바깥단을 접촉한 고정 피스톤(33)은 이동 불가능하므로, 그 반작용에 의해 가동 실린더(31)가 제1 부분(30a) 안을 그 바닥부(30a')로부터 멀어지는 화살표 F 방향(도 11 참조)으로 전진하게 된다.
가동 실린더(31)의 외주면은 가이드 부재(32)와 반대측의 반이 소직경으로 되어 있고, 이 소직경부(31a)에 디스턴스 컬러(36)가 끼워 맞춰지고, 이 디스턴스 컬러(36)에 접촉하는 리네이너(37)와 단열 부재(10)의 사이에, 디스턴스 컬러(36)를 통해 가동 실린더(31)를 고정 피스톤(33)의 외단측으로 밀어 부치는 코일형의 복귀 스프링(38)이 축소 설치된다. 따라서, 리네이너(37)는 디스턴스 컬러(36)와 복귀 스프링(38) 사이에 끼이게 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출력부(26)는 단열 부재(10)를 관통하여 일단부(43a)를 상기 리네이너(37)에 연결하는 로드(43)와, 단열 부재(10)에 일체로 형성된 브래킷(10a)의 양측면에 공통의 추축(40)을 통해 지지되어 개별적으로 회동할 수 있는 제1 및 제2 레버(42)를 구비하고, 제1 레버(41)에 로드(43)의 L자형으로 굴곡된 타단부(43b)가 연결되어, 가동 실린더(31)의 전진(F)에 따른 로드(43)의 축 방향 이동에 의해 제1 레버(41)를 도 6의 화살표 R 방향으로 회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로드(43)의 리네이너(37)에의 연결은 로드(43)의 일단의 불룩한 대단부(43a)를 리네이너(37)와 가동 실린더(31)의 단부면 사이에 끼이게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제1 및 제2 레버(41, 42)는 양자의 회동 방향을 따라서 이격 가능하게 접촉하는 접촉부(41a, 42a)를 갖고 있고, 이들 접촉부(41a, 42a)는 제1 레버(41)가 제2 레버(42)에 대하여 화살표 R 방향으로 상대 회동할 때, 서로 이격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제1 및 제2 레버(41, 42)에는 스프링 걸림부(41b, 42b)가 설치되어 있고, 이들 스프링 걸림부(41b, 42b)에, 양 레버(41, 42)를 상기 접촉부(41a, 42a)의 접촉 방향으로 밀어 부치는 연결 스프링(44)의 양단이 걸려 고정된다.
제2 레버(42)에는 상기 쵸크 레버(22)의 수동 핀(22a)에 작동적으로 대향하는 작동 아암(42c)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제2 레버(42)가 화살표 R 방향으로 회동하면, 작동 아암(42c)이 쵸크 레버(22)를 쵸크 밸브(19)의 개방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되어 있다.
도 12에 있어서, 스로틀 밸브(20)를 자동적으로 개폐 제어하는 가버너 장치(G)에 대해서 설명한다. 스로틀 밸브(20)의 밸브축(20a)의 외단부에는 스로틀 레버(23)가 고착되고, 이 스로틀 레버(23)에는 엔진(E)에 지지된 회전 지지축(51)의 바깥단에 고착되는 가버너 레버(52)의 긴 아암부(52a)가 링크(53)를 통해 연결된다. 또한 가버너 레버(52)에는 엔진(E) 등에 지지되어 아이들링 위치에서부터 전체 부하 위치까지의 범위를 회동할 수 있는 출력 제어 레버(56)가 가버너 스프링(54)을 통해 연결된다. 가버너 스프링(54)은 스로틀 밸브(20)를 항상 개방 방향으로 밀어 부치는 것으로, 그 스프링 하중은 출력 제어 레버(56)를 아이들링 위치에 서 전체 부하 위치 방향으로, 또는 그것과 반대의 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증감 설정된다.
또한 가버너 레버(52)의 짧은 아암부(52b)에는 엔진(E)의 크랭크축(1)에 의해 구동되는 공지의 원심 가버너(55)의 출력축(55a)이 연접되어, 엔진(E)의 회전수의 증가에 따라서 증대되는 원심 가버너(55)의 출력이 짧은 아암부(52b)에 스로틀 밸브(20)의 폐쇄 방향으로 작용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엔진(E)의 운전 정지 상태에서는, 가버너 스프링(54)의 설정 하중에 의해 스로틀 레버(50)는 스로틀 밸브(20)의 폐쇄 위치(C)에 유지되지만, 엔진(E)의 운전 중에는 원심 가버너(55)의 출력에 의한 가버너 레버(52)의 모멘트와, 가버너 스프링(54)의 설정 하중에 의한 가버너 레버(52)의 모멘트의 균형에 의해서 스로틀 밸브(20)의 개방도가 자동 제어되게 된다.
또한 도 2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로틀 레버(50)에는 구동 아암(59)이 일체로 형성되고, 이 구동 아암(59)에 대응하는 종동 아암(60)이 쵸크 레버(33)에 일체로 형성되어, 쵸크 밸브(19)의 완전 폐쇄 상태에 있을 때, 스로틀 밸브(20)가 완전 개방에서 아이들링 개방도로 회동되면, 구동 아암(59)이 종동 아암(60)을 쵸크 밸브(19)의 개방 방향으로 압박하도록 되어 있다. 이들 구동 아암(59) 및 종동 아암(60)에 의해서 본 발명의 쵸크 밸브 강제 개방 수단(58)이 구성된다.
이어서, 이 실시예의 작용에 관해서 설명한다.
엔진(E)의 냉간 또 정지 상태에서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온부(25) 의 왁스(35)는 수축 상태에 있기 때문에, 가동 실린더(31)는 복귀 스프링(38)의 탄발력에 의해 하우징(30)의 제1 부분(30a)의 바닥부(30a')에 근접한 후퇴 위치에 유지되고 있다. 이에 따라,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출력부(26)의 제2 레버(42)의 작동 아암(42c)은 쵸크 레버(22)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유지되기 때문에, 쵸크 레버(22)는 쵸크 복귀 스프링(21)의 압박력으로 쵸크 밸브(19)의 폐쇄 위치에 유지된다.
한편, 스로틀 밸브(20)는 원심 가버너(55)의 비작동 상태에 의해, 가버너 스프링(54)에 의해 완전 개방 상태로 유지된다(도 13 참조). 이 때, 출력 제어 레버(56)가 아이들링 위치에 세팅되면, 가버너 스프링(54)의 하중은 최소 또는 제로로 설정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엔진(E)을 시동하도록 리코일 스타터(15)를 작동하여, 크랭크축(1)을 크랭킹하면, 기화기(C)에서 쵸크 밸브(19)보다 하류의 흡기도(11)에 큰 부압이 발생하여, 그 곳에 개구되는 연료 노즐로부터 비교적 다량의 연료가 분출되어, 흡기도(11)에서 생성되는 혼합기를 농후하게 하기 때문에, 엔진(E)을 원활하게 시동할 수 있다.
엔진(E)이 시동되면, 원심 가버너(55)가 크랭크축(1)의 회전수에 대응한 출력을 발생하고, 이 출력에 의한 가버너 레버(52)의 모멘트와, 가버너 스프링(54)의 최소 하중에 의한 가버너 레버(52)의 모멘트가 균형이 잡히는 곳까지 가버너 레버(52)가 회동하여, 스로틀 밸브(20)를 자동적으로 아이들링 개방도까지 닫기 때문에, 스로틀 레버(23)와 일체의 구동 아암(59)이 쵸크 레버(22)와 일체의 종동 아암 (60)을 쵸크 복귀 스프링(21)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밀어 움직임으로써,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쵸크 밸브(19)는 완전 폐쇄 위치에서 반개방 상태로 강제적으로 개방된다. 그 때, 쵸크 레버(22)의 수동 핀(22a)은 오토 쵸크 장치(A)에 있어서의 출력부(26)의 제2 레버(42)로부터 단순히 멀어질 뿐이므로, 출력부(26)는 구동 아암(59)에 의한 쵸크 밸브(19)의 강제 밸브 개방에는 전혀 간섭하지 않는다. 이리 하여, 흡기도(11)에서 생성되는 혼합기는 엔진(E)의 아이들링에 알맞은 농도로 조정되어, 안정된 아이들링 상태를 확보할 수 있고, 또한 쵸크 밸브(19)의 개방 지연에 의한 저연비성의 악화를 피할 수 있다.
엔진(E)의 난기 운전중, 엔진(E)에 작업기 그 밖의 부하를 걸도록, 출력 제어 레버(56)를 아이들링 위치에서 적당한 부하 위치로 회동하면, 그에 따라서 가버너 스프링(54)의 하중이 증가함으로써, 이 가버너 스프링(54)의 하중과 원심 가버너(55)의 출력이 균형을 이룰 때의 스로틀 밸브(20)의 개방도는 증가한다. 이 스로틀 밸브(20)의 개방도 증가에 의해, 구동 아암(59)은 종동 아암(60)에 대하여 후퇴하게 되는데, 쵸크 레버(22)의 종동 아암(60)은 쵸크 복귀 스프링(21)의 압박력을 가지고 구동 아암(59)의 후퇴에 추종하기 때문에, 쵸크 밸브(19)는 다시 닫힌다. 그 결과, 흡기도(11)의 하류에 발생하는 흡기 부압이 소정치를 넘으면, 상술한 바와 같이, 쵸크 밸브(19)의 회전 반경이 큰 측에 작용하는 흡기 부압에 의한 회전 모멘트와, 쵸크 밸브(19)의 회전 반경이 작은 측에 작용하는 흡기 부압에 의한 회전 모멘트의 차가 쵸크 레버(22) 내의 릴리프 스프링에 의한 회전 모멘트와 밸런스를 이루는 곳까지 쵸크 밸브(19)를 열기 때문에, 흡기도(11)에서 생성되는 혼합기의 과농화를 막아, 양호한 난기 운전 상태를 보증한다.
엔진(E)의 난기 운전의 진행에 따라, 실린더 헤드(4)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면, 흡기 포트(6i)에 근접한 수용실(27) 내의 감온부(25)는 수용실(27)의 내벽으로부터 가열되어, 가동 실린더(31) 내의 왁스(35)의 열팽창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탄성 주머니(34)가 조여져 고정 피스톤(33)을 밀어내고자 하는 반작용으로 가동 실린더(31)가 복귀 스프링(38)의 탄발력에 대항하여 화살표 F 방향으로 전진해 나가고, 이 가동 실린더(31)의 전진은 로드(43)를 통해 제1 레버(41)를 화살표 R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 제1 레버(41)와 제2 레버(42)는 당초, 연결 스프링(44)의 압박력에 의해 서로 접촉부(41a, 42a)를 접촉시킨 연결 상태에 있기 때문에,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레버(42)도 제1 레버(41)와 일체가 되어 회동하여, 작동 아암(42c)이 쵸크 복귀 스프링(21)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수동 핀(22a) 즉 쵸크 레버(22)를, 쵸크 밸브(19)의 개방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따라서, 쵸크 밸브(19)의 개방도는 수용실(27)의 온도 상승에 따라서 증가해 가기 때문에, 엔진(E)의 난기 운전의 진행에 따라서 흡기도(11) 내의 연료 노즐 상의 부압을 저하시켜, 연료 노즐의 연료 분출량을 감소시켜, 흡기도(11)에서 생성되는 혼합기의 공연비를 적정하게 보정할 수 있다. 그리고, 엔진(E)의 난기 운전이 종료될 때에는 수용실(27) 내의 온도가 충분히 높아져,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쵸크 밸브(19)를 완전 개방 상태로 제어하게 된다.
이 사이,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쵸크 밸브(19)의 밸브 개방에 따라 종동 아암(60)은 스로틀 레버(23)의 구동 아암(59)으로부터 멀어져가, 구동 아암(59) 의 간섭을 전혀 받지 않기 때문에, 쵸크 밸브(19)는 정확하게 밸브 개방할 수 있다.
그 후, 실린더 헤드(4)의 온도가 더욱 상승하여, 수용실(27)의 온도도 높아지면, 왁스(35)의 한층 더한 열팽창에 의해, 가동 실린더(31)가 과잉 전진하여, 로드(43)를 통해 제1 레버(41)를 화살표 R 방향으로 더욱 회동하는데, 제2 레버(42)는 완전 개방 위치의 쵸크 레버(22)에 의해, 그 이상의 회동이 저지되고 있으므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레버(41)만이 연결 스프링(44)을 늘리면서 화살표 R 방향으로 회동하여, 제1 레버(41)의 접촉부(41a)가 제2 레버(42)의 접촉부(42a)로부터 이격해 나간다. 따라서, 감온부(25)의 가동 실린더(31)의 오버스트로크 작동은 연결 스프링(44)의 신장에 흡수된다. 이것은 오토 쵸크 장치(A)에서 쵸크 밸브(19)까지의 각 부에는 연결 스프링(44)의 세팅 하중 이상의 하중이 작용하지 않음을 의미하며, 이로써 각 부에 있어서의 과대 응력의 발생을 피하여, 각 부의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더구나 서로 회동할 수 있는 제1 및 제2 레버(41, 42)는 공통의 추축(40)을 통해 브래킷(10a)에 부착되기 때문에, 출력부(26)의 부품 개수를 줄여, 구조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그 후, 엔진(E)의 운전을 정지한 경우, 엔진(E)의 고온 상태가 계속되고 있는 한, 수용실(27) 내부도 고온 상태가 계속되기 때문에, 감온부(25)는 가동 실린더(31)를 전진시킨 상태를 유지하여, 출력부(26)를 통해 쵸크 밸브(19)를 개방 상태로 유지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쵸크 레버(22)의 종동 아암(60)은 스로틀 레버(23)의 구동 아암(59)으로부터 크게 떨어져 있으므로, 가버너 스프링(54)의 하 중에 의한 스로틀 밸브(20)의 완전 개방 위치로의 복귀를 하등 방해하지 않는다. 그렇게 하여, 고온 상태의 엔진(E)의 재시동시에는 쵸크 밸브(19)의 개방 상태를 확보하여, 혼합기의 과농화를 막아, 재시동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엔진(E)이 운전 정지한 후, 냉각된 경우에는, 감온부(25)에서는, 왁스(35)의 열수축과 복귀 스프링(38)의 복귀 작용에 의해, 가동 실린더(31)가 후퇴하기 때문에, 출력부(26)는 쵸크 복귀 스프링(21)에 의한, 쵸크 밸브(19) 폐쇄 방향으로의 쵸크 레버(22)의 회동을 허용한다.
그런데, 엔진(E)의 운전중, 실린더 헤드(4)의 흡기 포트(6i)의 주변부는 항상 흡기 포트(6i)를 흐르는 흡기에 의해 냉각되기 때문에, 엔진(E)의 부하 변동에 거의 영향을 받는 일없이, 난기 운전의 진행에 대응한 온도 특성을 가질 수 있고, 따라서 흡기 포트(6i)에 근접하여 배치된 감온부(25)는 엔진(E)의 부하 변동에도 불구하고, 난기 운전의 진행에 정확하게 대응한 작동을 일으켜, 쵸크 밸브(19)의 개방도를 항상 적정하게 제어할 수 있어, 엔진(E)의 연비 특성 및 에미션 특성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특히, 감온부(25)가, 흡기 포트(6i)의 주벽(4a)과, 이 주벽(4a)의 일측에서 기립하는 둘레벽(4b)에 의해 실린더 헤드(4)에 형성되는 수용실(27)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둘레벽(4b) 길이의 선정에 의해 수용실(27)의 감온부(25)와의 대향 면적을 적당히 설정함으로써, 엔진(E)의 난기 운전의 진행에 대한 감온부(25)의 작동 특성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감온부(25)의 바닥을 지닌 하우징(30)에 있어서는, 실린더 헤드(4)의 중 심 부근의 바닥부(30a')의 실린더 헤드(4)로부터의 수열이 가장 많으며, 그 바닥부(30a')의 내면에 고정 피스톤(33)이 접촉하고, 왁스(35)를 봉입한 가동 실린더(31)가 왁스(35)의 열팽창에 따라서 상기 바닥부(30a')로부터 멀어지는 F 방향으로 하우징(30) 안을 전진하기 때문에, 가동 실린더(31) 내의 왁스(35)의 하우징(30)으로부터의 수열은 엔진(E)의 난기 운전 시작 직후에 많고, 난기 운전의 진행에 따라 감소하게 된다.
특히, 하우징(30)은 상기 바닥부(30a')를 갖는 열전도성이 높은 금속제의 제1 부분(30a)과, 상기 바닥부(30a')와 반대측의 단열성이 높은 제2 부분(30b)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왁스(35)의 수열 특성의 상기한 경향을 한층 더 강화할 수 있다. 즉, 가동 실린더(31)는 전진할 때, 그 일부를 단열성이 높은 제2 부분(30b) 측으로 옮기게 되어, 왁스(35)의 수열은 한층 더 감소한다. 그 결과, 엔진(E)의 난기 운전 시작 직후, 가동 실린더(31) 내의 왁스(35)는 하우징(30)의 제1 부분으로부터 신속하게 수열하여 팽창을 시작하여, 쵸크 밸브(19)의 밸브 개방을 빠르게 하여 혼합기의 과농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난기 운전의 진행에 따라 가동 실린더(31)가 하우징(30)의 제1 부분(30a)에서 제2 부분(30b) 측으로 이행하기 때문에, 가동 실린더(31) 내의 왁스(35)의 하우징(30)으로부터의 수열을 난기 운전의 진행에 따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고, 따라서 쵸크 밸브(19)의 밸브 개방 속도를, 난기 운전 종료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정확하게 느리게 하여, 보다 안정된 난기 운전을 계속할 수 있다. 또한 난기 운전 종료후에는 왁스(35)의 수열이 더욱 적어지므로, 왁스(35)의 과열 열화 방지에 한층 더 기여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30)을, 바닥부(30a')를 갖는 열전도성이 좋은 제1 부분(30a)과, 이 제1 부분에서의, 상기 바닥부(30a')와 반대측에 결합되는 단열성의 제2 부분(30b)으로 구성함으로써, 엔진(E)이 발생하는 열은 주로 제1 부분(30a)을 통해 가동 실린더(31) 내의 왁스(35)에 전달되게 되어, 제1 부분(30a)만의 형상 및 배치의 선정에 의해, 감온부(25)의 특성을 바꿀 수 있어, 엔진(E)의 다기종에의 대응이 용이하다.
더구나 단열성이 높은 제2 부분(30b)과, 출력부(26)의 제1 레버(41)를 피봇 지지하는 브래킷(10a)은 실린더 헤드(4) 및 기화기(C) 사이에 개재되는 단열 부재(10)를 이용하여, 그것에 일체로 성형했기 때문에, 전용의 지지 부재를 이용하는 일없이, 감온부(25)의 하우징(30) 및 브래킷(10a)을 실린더 헤드(4)에 지지할 수 있고, 따라서 부품 개수의 삭감에 의해 구조를 간소화하여, 오토 쵸크 장치(A)의 비용 저감에 기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예컨대, 가동 실린더(31)를 고정 실린더로서 하우징(30)의 제1 부분(30a)의 바닥부(30a')에 접촉시키고, 고정 피스톤(33)을 가동 피스톤으로서 리네이너(37) 또는 로드(43)에 연결하여, 왁스(35)의 열팽창시, 피스톤(33)을 전진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쵸크 밸브의 밸브 개방 속도를 변화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기화기의 오토 쵸크 장치를 제공하여, 엔진의 난기 운전 시작 직후에는 쵸크 밸브의 밸브 개방이 촉진되어, 혼합기의 과농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고, 난기 운전 종료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쵸크 밸브의 밸브 개방 속도가 늦어지기 때문에, 안정된 난기 운전을 계속할 수 있으며, 그리고 난기 운전 종료후, 즉 쵸크 밸브의 완전 개방후에는 왁스의 과열 열화를 막을 수 있다.

Claims (10)

  1. 엔진(E)에 부착되는 왁스식의 감온부(25)와, 이 감온부(25) 및 기화기(C)의 쵸크 밸브(19) 사이를 연결하여, 감온부(25)의 수열 작동에 따라서 쵸크 밸브(19)를 개방하도록 작동하는 출력부(26)를 구비하는, 기화기의 오토 쵸크 장치에 있어서,
    바닥을 지닌 가동 실린더(31)와, 이 가동 실린더(31)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일단을 가동 실린더(31) 밖으로 돌출시키는 고정 피스톤(33)과, 가동 실린더(31) 내에 봉입되어 열팽창하면 가동 실린더(31) 및 고정 피스톤(33)을 축 방향으로 상대 이동시키는 왁스(35)와, 가동 실린더(31) 및 고정 피스톤(33)을 왁스(35)의 압축 방향으로 서로 밀어 부치는 복귀 스프링(38)을 구비하며, 바닥부(30a')를 엔진(E)의 고온부 측으로 향하게 하여 엔진(E)에 부착되는 바닥을 지닌 원통형의 하우징(30)에, 그 바닥부(30a') 내면에 고정 피스톤(33)의 바깥단을 접촉시키는 상태로 가동 실린더(31)를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수납하여 상기 감온부(25)를 구성하고, 그 가동 실린더(31)에 상기 출력부(26)를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기의 오토 쵸크 장치.
  2. 엔진(E)에 부착되는 왁스식의 감온부(25)와, 이 감온부(25) 및 기화기(C)의 쵸크 밸브(19) 사이를 연결하여, 감온부(25)의 수열 작동에 따라서 쵸크 밸브(19)를 개방하도록 작동하는 출력부(26)를 구비하는, 기화기의 오토 쵸크 장치에 있어 서,
    바닥을 지닌 가동 실린더(31)와, 이 가동 실린더(31)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일단을 가동 실린더(31) 밖으로 돌출시키는 고정 피스톤(33)과, 가동 실린더(31) 내에 봉입되어 열팽창하면 가동 실린더(31) 및 고정 피스톤(33)을 축 방향으로 상대 이동시키는 왁스(35)와, 가동 실린더(31) 및 고정 피스톤(33)을 왁스(35)의 압축 방향으로 서로 밀어 부치는 복귀 스프링(38)을 구비하며, 엔진(E)에 부착되는 바닥을 지닌 원통형의 하우징(30)에, 그 바닥부(30a') 내면에 고정 피스톤(33)의 바깥단을 접촉시키는 상태로 가동 실린더(31)를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수납하여 상기 감온부(25)를 구성하며, 그 가동 실린더(31)에 상기 출력부(26)를 연결하고, 상기 하우징(30)을, 가동 실린더(31)가 상기 바닥부(30a')로부터 멀어지는 방향(F)으로 이동함에 따라 왁스(35)의 수열을 감소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기의 오토 쵸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30)을, 상기 바닥부(30a')를 갖는 컵형이며 열전도성이 좋은 제1 부분(30a)과, 이 제1 부분(30a)의 개방단에 결합되는 원통형이며 단열성인 제2 부분(30b)으로 구성하여, 왁스(35)의 열팽창에 따라서 가동 실린더(31)가 제1 부분(30a)으로부터 제2 부분(30b) 측으로 이동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기의 오토 쵸크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30)을, 상기 바닥부(30a')를 갖는 열전도성이 좋은 제1 부분(30a)과, 이 제1 부분(30a)에서의 상기 바닥부(30a')와 반대측에 결합되는 단열성의 제2 부분(30b)으로 구성하여, 이 제2 부분(30b)을, 엔진(E) 및 기화기(C) 사이에 개재되는 단열 부재(10)에 일체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기의 오토 쵸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26)를 지지하는 브래킷(10a)을 상기 단열 부재(10)에 일체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기의 오토 쵸크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온부(25)를, 엔진(E)의 실린더 헤드(4)에 형성된 흡기 포트(6i)에 근접하여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기의 오토 쵸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헤드(4)에, 상기 흡기 포트(6i)의 주벽(4a)과, 이 주벽(4a)의 일측에서 기립하는 둘레벽(4b)으로 구획되는 수용실(27)을 형성하여, 이 수용실(27)에 상기 감온부(25)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기의 오토 쵸크 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엔진(E)에 지지되는 브래킷(10a)에, 상기 감온부(25)의 수열 작동에 응답하여 이동하는 제1 레버(41)와, 쵸크 밸브(19)에 연동하는 제2 레버(42)를 공통의 추축(40)을 통해 각각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이들 제1 및 제2 레버(41, 42)에는, 서로 이격 가능하게 접촉하는 접촉부(41a, 42a)를 설치하는 동시에, 이들 접촉부(41a, 42a)의 접촉 방향으로 양 레버(41,42)를 밀어 부치는 연결 스프링(44)을 접속하여 상기 출력부(26)를 구성하여, 쵸크 밸브(19)의 완전 개방전에는 상기 감온부(25)의 수열 작동이 제1 레버(41)로부터 연결 스프링(44)을 통해 제2 레버(42)에 쵸크 밸브(19)의 개방 방향으로 전달되고, 쵸크 밸브(19)의 완전 개방후에는, 감온부(25)의 수열 작동에 의해, 연결 스프링(44)의 세팅 하중에 대항하여 접촉부(41a, 42a)를 서로 이격시키도록 제1 레버(41)만이 회동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기의 오토 쵸크 장치.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기화기(C)의 스로틀 밸브(20)에, 이 스로틀 밸브(20)를 엔진(E)의 정지시에 개방하고, 엔진(E)의 운전시에 엔진(E)의 설정 회전수에 대응한 소정 개방도로 제어하는 가버너(governor) 장치(G)를 연결하는 동시에, 스로틀 밸브(20) 및 쵸크 밸브(19) 사이에, 스로틀 밸브(20)의 완전 개방 위치에서부터 아이들링 개방도 위치로의 밸브 폐쇄에 연동하여 쵸크 밸브(19)를 강제적으로 개방하는 쵸크 밸브 강제 개방 수단(58)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기의 오토 쵸크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26) 및 쵸크 밸브 강제 개방 수단(58)을, 이들의 어느 한 쪽의 작동에 의한 쵸크 밸브(19)의 밸브 개방을 다른 쪽이 방해하지 않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기의 오토 쵸크 장치.
KR1020050067345A 2004-07-26 2005-07-25 기화기의 오토 쵸크 장치 KR1007321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16999A JP4145847B2 (ja) 2004-07-26 2004-07-26 気化器のオートチョーク装置
JP2004216998A JP4145846B2 (ja) 2004-07-26 2004-07-26 気化器のオートチョーク装置
JPJP-P-2004-00216997 2004-07-26
JP2004216996A JP4145844B2 (ja) 2004-07-26 2004-07-26 気化器のオートチョーク装置
JPJP-P-2004-00216998 2004-07-26
JPJP-P-2004-00216996 2004-07-26
JPJP-P-2004-00217000 2004-07-26
JP2004217000A JP4252943B2 (ja) 2004-07-26 2004-07-26 気化器のオートチョーク装置
JPJP-P-2004-00216999 2004-07-26
JP2004216997A JP4145845B2 (ja) 2004-07-26 2004-07-26 気化器のオートチョーク装置
JP2004238748A JP4199171B2 (ja) 2004-08-18 2004-08-18 気化器のオートチョーク装置
JPJP-P-2004-00238748 2004-08-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6750A KR20060046750A (ko) 2006-05-17
KR100732137B1 true KR100732137B1 (ko) 2007-06-27

Family

ID=34979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7345A KR100732137B1 (ko) 2004-07-26 2005-07-25 기화기의 오토 쵸크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128309B2 (ko)
EP (1) EP1621754B1 (ko)
KR (1) KR100732137B1 (ko)
AU (1) AU2005203242B2 (ko)
CA (1) CA2513367C (ko)
ES (1) ES2405760T3 (ko)
MX (1) MXPA05007895A (ko)
TW (1) TWI26599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12893B2 (ja) * 2004-06-11 2007-11-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制御装置
ES2405760T3 (es) 2004-07-26 2013-06-03 Honda Motor Co., Ltd. Sistema de estrangulador automático para carburador
JP4464849B2 (ja) * 2005-03-07 2010-05-1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気化器のスロットル弁制御装置
JP2008088835A (ja) * 2006-09-29 2008-04-17 Denso Corp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4732378B2 (ja) * 2007-02-12 2011-07-2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ンジン制御装置
US7886716B1 (en) * 2009-09-09 2011-02-15 Honda Motor Co., Ltd. Carburetor control system
JP5325068B2 (ja) * 2009-10-08 2013-10-23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エンジンの吸気装置
JP5539702B2 (ja) * 2009-11-25 2014-07-02 ザマ・ジャパン株式会社 気化器
CN104884776B (zh) 2013-08-15 2018-09-25 科勒公司 用于电子地控制内燃机的燃料空气比的系统和方法
JP6208081B2 (ja) * 2014-05-28 2017-10-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ンジン発電機
US10054081B2 (en) 2014-10-17 2018-08-21 Kohler Co. Automatic starting system
WO2017129222A1 (en) * 2016-01-25 2017-08-03 Husqvarna Ab Internal combustion engine provided with a semi-automatic choke device
WO2019187097A1 (ja) * 2018-03-30 2019-10-0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気化器のオートチョーク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4444B1 (ko) * 1993-10-08 1998-08-17 오오니시 요시유키 기화기의 오토초크장치
KR19980047128A (ko) * 1996-12-13 1998-09-15 박병재 쵸크밸브 작동장치
JP2001082250A (ja) 1999-09-10 2001-03-27 Nippon Carbureter Co Ltd 気化器の自動チョーク装置
JP2001263165A (ja) 2000-03-15 2001-09-26 Honda Motor Co Ltd オートチョーク制御装置
EP1621754A2 (en) 2004-07-26 2006-02-01 HONDA MOTOR CO., Ltd. Automatic choke system for carburetor
CN1727661A (zh) 2004-07-26 2006-02-01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用于化油器的自动阻风门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82241A (en) 1981-04-30 1982-11-10 Nec Corp Communication controlling-processing device
FR2568631B1 (fr) * 1984-08-03 1987-01-16 Solex Carburateur a dispositif de depart automatique
JPS62279259A (ja) * 1986-05-28 1987-12-04 Sanshin Ind Co Ltd オ−トチヨ−ク装置
US4984542A (en) * 1989-08-24 1991-01-15 Mcguane Industries Thermal throttle actuator
JPH0417762A (ja) * 1990-05-07 1992-01-22 Nippon Carbureter Co Ltd 気化器の自動チョーク装置
JP3543119B2 (ja) * 1993-09-08 2004-07-14 ヤマハマリン株式会社 エンジン始動制御装置
US5511519A (en) * 1994-07-05 1996-04-30 Homelite, Inc. Temperature adjusting automatic choke system
US5803035A (en) * 1995-05-03 1998-09-08 Briggs & Stratton Corporation Carburetor with primer lockout
JP3764187B2 (ja) * 1995-06-02 2006-04-05 ヤマハマリン株式会社 エンジン始動制御装置
US5711901A (en) * 1996-06-05 1998-01-27 Walbro Corporation Carburetor having temperature-compensated purge/primer
US6012420A (en) * 1997-12-30 2000-01-11 Briggs & Stratton Corporation Automatic air inlet control system for an engine
US6003845A (en) * 1998-03-24 1999-12-21 Walbro Corporation Fuel mixture adjusting and limiting device
JP2001323843A (ja) * 2000-05-15 2001-11-22 Tk Carburettor Co Ltd エンジンの始動燃料供給装置
JP3925073B2 (ja) * 2000-10-27 2007-06-06 スズキ株式会社 燃料噴射式エンジンの吸気制御装置
JP2004060555A (ja) * 2002-07-30 2004-02-26 Keihin Corp 内燃エンジンの始動時空気量制御装置
US6990969B2 (en) * 2003-07-30 2006-01-31 Briggs And Stratton Corporation Automatic choke for an engine
US6941916B2 (en) * 2003-10-27 2005-09-13 Arctic Cat Inc. Auto enrichener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4444B1 (ko) * 1993-10-08 1998-08-17 오오니시 요시유키 기화기의 오토초크장치
KR19980047128A (ko) * 1996-12-13 1998-09-15 박병재 쵸크밸브 작동장치
JP2001082250A (ja) 1999-09-10 2001-03-27 Nippon Carbureter Co Ltd 気化器の自動チョーク装置
JP2001263165A (ja) 2000-03-15 2001-09-26 Honda Motor Co Ltd オートチョーク制御装置
EP1621754A2 (en) 2004-07-26 2006-02-01 HONDA MOTOR CO., Ltd. Automatic choke system for carburetor
CN1727661A (zh) 2004-07-26 2006-02-01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用于化油器的自动阻风门系统
US20060022359A1 (en) 2004-07-26 2006-02-02 Honda Motor Co., Ltd. Automatic choke system for carbure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21754A2 (en) 2006-02-01
EP1621754B1 (en) 2013-04-24
TW200607919A (en) 2006-03-01
ES2405760T3 (es) 2013-06-03
CA2513367C (en) 2008-08-26
KR20060046750A (ko) 2006-05-17
TWI265997B (en) 2006-11-11
EP1621754A3 (en) 2011-09-14
AU2005203242B2 (en) 2009-01-22
US20060022359A1 (en) 2006-02-02
AU2005203242A1 (en) 2006-02-09
CA2513367A1 (en) 2006-01-26
US7128309B2 (en) 2006-10-31
MXPA05007895A (es) 2006-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2137B1 (ko) 기화기의 오토 쵸크 장치
JP4464849B2 (ja) 気化器のスロットル弁制御装置
AU2004260947B2 (en) Automatic choke for an engine
US7886716B1 (en) Carburetor control system
JP4145844B2 (ja) 気化器のオートチョーク装置
US4311653A (en) Fast idle carburetor system
CN100406710C (zh) 用于发动机的自动阻气门及其操作方法
JP4145845B2 (ja) 気化器のオートチョーク装置
US4003355A (en) Carburetor choke valve control device
JP4145846B2 (ja) 気化器のオートチョーク装置
JP4199171B2 (ja) 気化器のオートチョーク装置
JP4145847B2 (ja) 気化器のオートチョーク装置
JP4970298B2 (ja) 気化器の制御装置
JP4252943B2 (ja) 気化器のオートチョーク装置
JP4970297B2 (ja) 気化器の制御装置
US6523521B2 (en) Hot water type first idle control device
JPH0341669B2 (ko)
JPH09280113A (ja) オートチョーク弁付気化器
JPH0139880Y2 (ko)
JPH10196408A (ja) 遠心式ガバナを備えたディーゼルエンジ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