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1897B1 - 블로성형기 - Google Patents

블로성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1897B1
KR100731897B1 KR1020027006036A KR20027006036A KR100731897B1 KR 100731897 B1 KR100731897 B1 KR 100731897B1 KR 1020027006036 A KR1020027006036 A KR 1020027006036A KR 20027006036 A KR20027006036 A KR 20027006036A KR 100731897 B1 KR100731897 B1 KR 1007318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blow
drive
spindle
mold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6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1212A (ko
Inventor
랑고스페터
함리쉬어볼프강
가일렌요하네스
홀바크마르쿠스
슈미트볼프강
키퍼에리히
프리드리히스카르스텐
바일란트올라프
Original Assignee
마우저-베르케 게엠베하
지그 카우텍스 게엠베하 운트 코.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808152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731897(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마우저-베르케 게엠베하, 지그 카우텍스 게엠베하 운트 코.카게 filed Critical 마우저-베르케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20081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12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1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18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56Opening, closing or clam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20Opening, closing or clamping
    • B29C33/22Opening, closing or clamping by rectilinear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56Opening, closing or clamping means
    • B29C49/5607Electrically operated, e.g. the closing or opening is done with an electrical motor direct dr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가소성재료로 블로성형된 중공체를 제조하는 블로성형기에 관한 것이며, 상기 블로성형기는 수평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고 이송구동부 및, 블로몰드 이분체를 개방 및 폐쇄시키기 위한 몰드폐쇄및로킹장치의 운동시퀀스를 위하여 별도의 구동유닛이 제공된다. 종래의 블로성형기에는 적어도 몰드폐쇄및로킹장치를 위한 유압구동이 장착되어 있다. 예를 들어, 클린룸 조건하에서 작동될 수 있는 블로성형기를 제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블로성형기의 구동유닛은 몰드폐쇄및로킹장치의 폐쇄요소를 위한 스핀들 구동부를 구비한 전동직접구동부 및 순환롤러를 구비한 스핀들매커니즘으로서 구성된다.

Description

블로성형기{BLOW-MOLDING MACHINE}
본 발명은 열가소성재료로 블로성형된 중공체를 만들기 위한 블로성형기에 관한 것이며, 상기 블로성형기는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2개의 블로몰드 이분체(halves)를 가지며, 블로몰드 이분체의 개방 및 폐쇄를 구현시키기 위하여 이송구동 및 몰드폐쇄및로킹장치(mold closing and locking device)의 운동시퀀스(movement sequence)를 위한 별도의 구동유닛을 구비하고 있다.
본 명세서와 관련된 구조의 블로성형기는, 예를 들어, 공개 DE 3416871 C2(Mauser)에 개시되어 있다. 제품을 신속히 꺼내기 위한 급속이송(급속운동)부로서의 동기구동부(motive drive) 및 블로몰드 이분체의 로킹 및 클램핑용 폐쇄구동부를 위한 종래의 상기 블로성형기의 개별 구동부들은 유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최근 15년 동안 많이 제작되어온 상기 블로성형기의 로드리스 구조(rodless construction)는 매우 성공적인 것으로 입증되었다. 하지만, 예를 들어, 클린룸 조건하에서의 생산와 같은 특별한 응용과 관련되는 경우에는, 유압식 구동장치의 사용은 그리 양호하다고는 할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몰드장착플레이트 및 블로몰드 이분체를 각각 로킹하기 위하여 최신의 블로성형기용의 새로운 몰드폐쇄및로킹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청구항 제1항에 나타낸 특징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특별한 특징은 상기 몰드폐쇄및로킹장치를 구현시키는 전동직접구동부(electromotive direct drive)와 같은 구동유닛의 구성에 있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유리한 변형례들은 후속 청구항에 설명되어 있다.
종래의 구성과 비교하여, 본 발명에 따른 블로성형기는,
- 유압식 구동부를 구비한 블로성형기와 비교하여 에너지 소비가 낮음,
- 실린더표면이 더 크다는 점을 고려하여, 더 많은 오일이 흐르며, 그 결과 생성되는 큰 경로를 피할 수 있음,
- 예를 들어, 정비간격후에 유압작동유를 교체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정비유지비가 적게듦,
- 낮은 소음의 발생,
- 운동의 제어능력 및 유연성이 더 높음,
- 좀 더 양호한 반복동작의 정확도(repeating accuracy)(준비동작(warm-up)이 필요없음), 및
- 예를 들어, 오일누출의 위험이 없기 때문에 클린룸 생산에 적합함
과 같은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실질적으로 회전대칭인 중공체의 제조는, 블로몰드 이분체 또는 몰드장착플레이트 또는 그것과 연결된 프레임부의 다음에 횡방향으로 대칭관계로 고정되는 전기직접구동부(electric direct drive)를 적어도 2개의 폐쇄요소에 제공함으로써 실현되는 한편, 특수한 블로성형부품(technical blow molded parts) 또는 실질적으로 회전비대칭인 중공체의 제조는 블로몰드 이분체 또는 몰드장착플레이트 또는 그것과 연결된 프레임부의 다음에 횡방향으로 대칭관계로 고정되는 전기직접구동부를 적어도 3개의 폐쇄요소에 제공함으로써 실현된다. 이에 의하여 몰드폐쇄및로킹장치의 각각의 폐쇄요소는 대략적으로 블로 분할이음매(blow partition seam)의 평면내에서 서로 결합될 수 있는 능동(active) 및 수동(passive) 이분체를 포함하며, 여기서, 블로몰드 이분체의 폐쇄 및 로킹을 구현하는 능동 이분체상에 배치되는 직접구동부는 사다리꼴 나사를 구비한 전기스핀들구동부로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송구동(= 구동모드--특별한 힘의 적용없는 급속운동) 및 몰드폐쇄및로킹디바이스(큰 힘 적용)의 운동시퀀스를 위한 별도의 구동유닛을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블로성형기는 다음의 특성들에 의하여 더욱 특징지워짐으로써 유리한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다.
- 예를 들어, 220 리터들이 플라스틱 드럼과 같은 대용량 중공체의 제조를 위한 블로몰드용 몰드폐쇄및로킹장치는 블로몰드 이분체의 다음에서 횡방향으로 또는 몰드장착플레이트의 횡방향으로 대칭관계로 부착되는 4개 이상의 동일한 폐쇄요소를 포함하고,
- 블로몰드 이분체가 로킹되면, 힘저장장치(force storing device)는 블로잉 압력(blowing pressure)과 반대로 작용하는 예비인장력(pre-tension)을 유지하기 위한 몰드폐쇄및로킹장치와 결합되고,
- 힘저장장치는 스프링요소조립체에 의하여 구현되고,
- 몰드장착플레이트 또는 그 뒤에 평행관계로 배치되는 프레임플레이트의 소정의 탄성변형가능한 영역에 의하여 힘저장장치가 구성되고,
- 몰드폐쇄및로킹장치의 각각의 폐쇄요소에는 블로몰드의 폐쇄 및 로킹을 위한 전기스핀들구동부가 제공되고, 이에 의하여 스핀들 구동부는 순환롤러(recirculating roller), 즉,
- a) 시프팅가능한 스핀들, 또는
- b) 상기 순환롤러로 지지되는 너트가 스핀들을 따라 시프팅가능하도록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비회전식으로 지지되는 스핀들을 구비한 스핀들매커니즘으로서 구성되고,
- (예를 들어, 베어링 링에서) 순환롤러로 지지되는 너트는, 블로몰드 이분체 또는 몰드장착플레이트에 각각 고정되고, 스핀들에 의하여 야기되거나 또는 커플링과의 상호동작으로 인한 각편향(angle deviation)을 일정하게하거나 또는 몰드장착플레이트의 변형으로부터 초래되는 굽힘응력이 상쇄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부동식 지지(floating support)"의 방법으로 탄성적으로 지지되고,
- 회전가능한 순환롤러로 지지되는 너트는 탄성적-힌지 방식(elastic-hinged manner)으로 지지되고, 모터 또는 그것의 기어 매커니즘과의 커플링을 보정함으로써 연결되고,
- 대향하는 스핀들과 결합될 수 있는 폐쇄요소의 카운터피스(counterpiece)는 각각 대향하고 있는 블로몰드 이분체 또는 몰드장착플레이트에 의하여 유연한 방식으로도 지지되고,
- 폐쇄요소의 이들 특정의 탄성 지지부는 굽힘, 온도의 영향 등의 결과로 인한 각오차를 보정하고,
- 상기 지지부는 볼 소켓 및 그 내부에 배치된 탄성 지지요소로 이루어지고, 이에 의하여, 지지요소는 스핀들을 중심위치에 유지하기 위하여 볼 소켓과 커플링요소 사이인, 볼 소켓에 대하여 소정 공간의 거리에서 작용하고,
- 상기 지지요소는, 통상적으로 각오차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는 순환롤러를 구비한 베어링의 마모가 증대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탄성변형가능한 플라스틱 링(예를 들어, 테플론(teflon))으로 만들어지고,
- 전기구동모터는 로킹 브레이크를 포함하거나 브레이크가 구동트레인내에서 너트 스핀들 기구쪽으로 배치되어, 블로몰드 이분체가 힘이 집중되는 클램핑 작용을 위한 지속적인 에너지 공급을 필요로 하지 않도록, 폐쇄되고, 예비인장력을 받는 상태에서 맞물리도록 구성되며,
- 블로몰드가 폐쇄되는 경우에, 구동모터는 블로몰드 이분체를 클램핑하기 위하여 충분히 큰 토크를 발생시키는 서보모터이다.
본 발명의 블로성형기의 더욱 유리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실시예에는,
- 블로몰드 이분체를 폐쇄 및 개방시키는 이송구동부에는 전동직접구동부가 장착되고,
- 이송구동부에는 좌 및 우나사부를 가지고 블로몰드 이분체와 반대로 이동하기 위하여 전기구동부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구동되는 단일체(single-piece) 스핀들이 장착되고,
- 각각의 블로몰드 이분체를 위한 이송구동부에는 너트-나사 매커니즘을 갖는 스핀들이 구비되고, 이에 의하여 각각의 스핀들 또는 각각의 나사산이 난 너트가 별도의 모터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고,
- 2개의 편향 휠에 대하여 가이드된 회전식 체인(revolving chain), 치형의(toothed) 벨트, 와이어 케이블 등의 요소의 형태로 구성되며, 각각의 블로몰드 이분체는 대향하고 있는 스트랜드(strands)(인장요소) 중 하나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이송구동부가 제공된다.
종래의 유압식 구동부와 비교하여, 전기식 직접구동부를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블로성형기는 정해진 이송점(defined travel points)에 상당히 향상된 반복정확도를 제공한다. 상기 성형기는 유연성이 높고, 작동상태의 빠른 안정화의 관점에서 즉각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어, 조업개시(start-up) 기간 및 런-오프(run-off) 단계가 필요없다. 열에너지 손실이 없으며, 중요한 작동 단계, 즉, 블로몰드 이분체들의 힘이 집중되는 클램핑이 진행되는 동안에 실질적인 에너지소비가 없다. 이는 구동모터의 브레이크 및 스프링 조립체에 의하여 유리하게 실현된다. 전기적인 토크를 가할 필요가 없도록(전기에너지 소비가 없음) 브레이크가 클램핑 위치에 있는 구동모터를 구속하며, 상기 스프링 조립체는 블로잉 압력과 대향하여 블로몰드 이분체의 확장(expansion)을 막는다. 순환하는 볼을 구비한 유리한 롤러 가이드 또는 선형 가이드 시스템은 손실이 적어, 70%를 상회하는 높은 효율성을 보장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유압기계는 유압작동유의 온도 의존성에 따라 항상 준비기간을 필요로 하며, 항시 열을 빼앗기기 때문에 열에너지 손실을 초래한다.
본 발명에서 예로든 실시예의 일부를 도면에 개략적으로 도시하였으며, 지금부터 상기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 및 기술할 것이다.
몰드 캐리어는 각각 평행관계로 배치되고, 면적이 넓은 박스형상의 캐리어 프레임을 형성하기 위하여 연결(용접구조체)되는 2개의 플레이트(7)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각각의 바깥쪽 플레이트가 수평웨브(horizontal webs)에 의하여 견고한 방식으로 형성된다. 일 유닛에는 베이스플레이트 및 4개의 리브붙이 금속시트(ribbed metal sheets)가 용접된다. 몰드캐리어는 2개의 순환볼 가이드라인(recirculating ball guiding lines)(5)상에서 베이스프레임을 따라 이동한다. 각각의 몰드 캐리어는 중심축선에 대하여 대칭관계로 600mm의 스트로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동될 매스(mass)(몰드 캐리어)에 대한 모든 신속구동부의 연결은 실질적인 정렬의 필요없이 착탈이 가능하도록 모듈러 구조(modular construction)로 설계된다. 또한, 소위 파워 바(power bar)로도 불리는 2개의 폐쇄요소(8)는 각각의 웨브 영역의 바깥쪽 판과 맞물린다. 이들 파워 바(8)는 상기한 구조적형태의 종래 블로성형기의 유압피스톤 및 실린더유닛에 해당한다.
파워 바(8)는 단축 및 카르단식으로(uniaxially and cardanically), 즉, 플레이트(7)상에서 힘 전달을 위하여 축방향으로는 강성(rigid)을 갖지만, 각 오차(angle error)의 상쇄를 위해서는 유연하게(각도방향으로 탄성적(angularly elastic)) 달려있게 된다. 한쪽의 각 측부는 사다리꼴 나사 스핀들 및 웜 기어 매 커니즘에 의하여 구동된다. 다른쪽의 각 측부분은 구동되지 않으며 탄성적으로 매달려있게 된다. 파워 바(8)에는 양쪽의 몰드 이분체(9)를 분리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해제가능한 커플링요소(10)가 제공된다. 파워 바(8)들은 그들이 블로 몰딩 작업동안 조이기(pinch-off) 및 클램핑을 위한 힘을 가해야만 하기 때문에 각각 안정적인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폐쇄요소 또는 파워 바는 특별한 특징을 나타낸다. 그것은 별도구조의 유닛으로 구성됨으로써 단순한 방식으로 착탈이 가능하다. 본 이점은 상기 바를 적절한 작업장소에서 미리 조립한 다음 완전한 조립유닛으로서 폐쇄프레임내로 설치될 수 있다는 사실에 있다.
전동구동부(electromotive drive)(15)를 갖춘 전동장치(14)는 스핀들 너트(19)를 구비한 곡면치(curved teeth) 커플링(13)에 의하여 연결된다. 이것이 구동되고 회전하는 스핀들 너트(19)(회전운동)가 멈춰 있는 스핀들(18)을 구동시키고(병진운동), 다음에는 스핀들이 핀요소에 의하여 수동측의 커플링 실린더(10)내에 맞물리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총 4개의 바는 대칭적이면서 균일한 힘을 가하고, 폐쇄된 힘의 사각형(force-tetragon)을 거쳐 상기 힘을 몰드장착플레이트(mold mounting plates)(7)내로 전달시키기 위해서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폐쇄된 프레임의 기계적 및 전기적 구조는 다음과 같다.
폐쇄유닛은 제품을 내보내기 위한 블로몰드 이분체의 운동(급속이동구동(quick movement drive)) 및 블로가공 동안 파리손(parison)(튜브)의 조임(pinch-off) 및 블로몰드 이분체의 클램핑(느린 폐쇄 구동(slow closing drive))을 위한 별개의 구동개념의 원리에 따라 작동한다. 이동구동부는 예를 들어, 체인구동 또는 벨트구동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들은 단지 하나의 원동기(바람직하게는 전기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며, 따라서 대칭 운동만을 허용한다. 하지만, 스핀들 구동의 사용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본 폐쇄유닛에는 각각의 장착플레이트에 대하여 2개의 개별 스핀들이 제공되는 것이 좋다. 결과적으로, 장착플레이트가 비대칭적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하지만, 전기선형모터가 이동구동부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4개의 스핀들을 구비한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을 예시하고 있다. 폐쇄구동부는 모터(15), 전동장치(14), 커플링(13), 스핀들 너트(19), 스핀들(18) 및 클램핑 바(8)를 구비한 컴팩트 유닛(compact unit)으로서 구성되며, 몰드 장착플레이트과는 분해되지 않는 단일구조로서 부착 및 탈착될 수 있다. 반면에 도 2는 폐쇄프레임구조체를 평면도로 나타내어 명확하게 예시하고 있다.
블로몰드 이분체 모두를 서로 로킹 및 클램핑시키는 폐쇄바의 기본구조가 도 3 및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스핀들 너트(19)는 스프링(17)에 의하여 베어링 링(12)내에서 부동적으로 지지되어, 바 또는 장착플레이트에 의하여 생성되는 굽힘응력이 상쇄되어, 스핀들-너트-시스템으로 전달되지 않으므로 조기마모는 발생하지 않는다. 스핀들(18, 8)은 (전체 시스템이 2000kN의 클램핑력을 가질 때) 대략 500kN의 힘을 흡수할 수 있는 크기로 되어 있다. 리졸버와 일체로 된 서버모터가 전기구동부로서 사용된다. 리졸버는 성형기를 제어하고 기능을 조절하는 증분식 변위픽업(incremental displacement pickups)이다. 리졸버의 신호는 이동부의 위치설 정을 위해서도 사용되며, 추가적인 외부 및 종래의 변위측정이 생략될 수 있다.
커플링공정에서의 폐쇄유닛의 작동설명:
이동구동부(1)는 몰드이분체들(9) 사이에 대략 35mm의 공간(대략 튜브벽 두께의 두배)이 남을 때까지 고속(대략 0.8m/s)으로 몰드 이분체(9)를 이동시킨다. 이 지점으로부터 장착플레이트(7)는 줄어든 속도(대략 10mm/s 조이기)로 서로를 향하여 계속 이동한다. 바(8)는 커플링실린더(10)내로 수납된다. 동시에, 바(8)의 안전한 맞물림을 얻기 위하여 폐쇄 구동부(15)는 그들이 이동구동부(1)와 동일한 속도를 가지거나 이동구동부(1)보다 약간 더 느리게 움직일 때까지 가속된다. 이에 의하여 커플링실린더(10)는 바가 맞물려지자마자, 스프링력에 의하여 바(8)를 더욱 충분히 로킹한다. 로킹이 리미트스위치의 작동을 유발한다. 이 신호에 의하여, 이동구동부(1)는 토크없는 상태로 전환되거나, 또는 이동구동부가 스핀들 구동부로서 구성되는 경우에, 하나의 스핀들만이 토크없는 상태로 전환되어, 제2스핀들이 몰드분리면(mold parting plane)에서 중앙으로 블로몰드 이분체를 잡아줄 수 있다.
이동구동부(1)와 동일한 속도로 폐쇄구동부(15)를 가속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더이상의 특별한 제어는 필요하지 않다. 견고한 로킹은 커플링실린더(10)의 끝단위치의 유극(play)에 의하여 실현되며, 동기화시 활용된다. 모든 커플링실린더(10)가 로킹되면, 플라스틱 튜브의 조이기를 위한 힘과 함께 몰드 폐쇄에 이르는 이동은 전기폐쇄구동부에 의해서만 구현된다. 이에 의하여, 폐쇄구동부(15)는 상기 폐쇄구동부(15)가 사전-설정된 토크에 도달할 때까지 조건에 따라 제어되어 작동된다. 이후에, 속도는 0까지 줄어드는 반면 토크는 일정하게 유지되 며, 여기서 동시에 브레이크가 맞물린다. 그 다음에, 모터(15)는 토크없는 상태(힘 해제)로 전환되고, 따라서, 모터의 전류가 감소된다. 결과적으로, 제품을 블로-몰딩하는 동안에는 구동부(15)에 전기에너지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작동시에, 스프링 조립체 및 힘저장장치는 블로몰드 이분체가 서로를 향하여 움직이고, 이에 따라 항복(yields)하여 성형될 때, 브레이크를 걸고, 가해진 블로잉 압력에 의한 확장경향에 대항하여 블로몰드 이분체가 나아가도록 한다. 몰드 이분체(9)를 개방하기 바로 전에, 토크의 제어를 다시 해제하여, 브레이크를 풀고, 몰드 이분체를 천천히 멀어지도록 이동시킨다. 장착플레이트(7) 및 바(8)의 해제후에, 바(8)는 압축공기에 의하여 커플링실린더(10)로부터 해제된다. 폐쇄구동부(15)는 비동기화될 수 있으며, 제품을 내보내기 위하여 이동구동부(1)는 급속운동으로 몰드 이분체(9)가 멀리 떨어지도록 이동시킨다. 이것에 의하여, 전기구동부의 제어-감지 시스템이 모터 자체에 직접적으로 유리하게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제어-감지 시스템은 비교적 덜 복잡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성형기의 구조 및 보수유지와 함께 감지 매커니즘의 조정과 관련된 문제는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블로성형기의 유연성은 특별한 요구(예를 들어, 비대칭 블로잉 위치)에 대한 고도의 적응성으로도 특징지워질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모듈라구조는 성형기가, 상이한 수(예를 들어, 2, 4, 6 또는 3, 5)의 폐쇄요소를 갖는 대칭 및 비대칭구조에 적합하고 리트로피트를 가능하게(retrofittable) 만든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로성형기에 대한 기술은 모두 전기적으로 구동되는 폐쇄 프레임의 뛰어난 이점 및 무한한 적용성을 명백하게 보여주고 있다. 사전-선택된 속도 프로파일(pre-selected velocity profile)이 공정시퀀스에 적합한 운동 역학에 의한 최상의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폐쇄유닛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폐쇄유닛의 평면도,
도 3은 폐쇄요소(능동측)의 주요부분에 대한 도면,
도 4는 폐쇄요소(수동측)의 주요부분에 대한 도면,
도 5는 순환롤러를 구비한 스핀들의 주요부분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모터 이송구동부
2 순환볼 스핀들
3 스핀들 너트
4 베이스프레임
5 리니어가이드
6 가이드캐리지
7 장착플레이트
8 폐쇄요소(바)
9 몰드 이분체
10 커플링 실린더
11 힌지 지지부(수동측)
12 힌지 지지부(능동측)
13 보정클러치하우징(compensating clutch housing)
14 전동장치
15 모터폐쇄구동부(motor closing drive)
16 보정커플링
17 힌지지지연결부
18 스핀들
19 스핀들 너트
20 로터리 링
21 실린더 로드
22 가동 베어링 연결부
23 축방향 피봇 베어링 셸(axial pivoting bearing shell)
24 축방향 피봇 베어링 볼
25 스핀들 로드
26 순환롤러
27 전동장치 케이스

Claims (14)

  1. 몰드장착플레이트(7) 상의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2개의 블로몰드 이분체(9)를 가지며,
    상기 블로몰드 이분체를 개방 및 폐쇄하기 위하여, 상기 블로몰드 이분체에 몰드폐쇄및로킹장치(mold closing and locking device)의 운동시퀀스(movement sequence) 및 이송구동부를 위한 별도의 구동유닛(1, 15)이 구비되는,
    열가소성물질로 블로-성형된 중공체(blow-molded hollow bodies)의 제조를 위한 블로성형기(blow molding machine)에 있어서,
    상기 몰드폐쇄및로킹장치의 폐쇄요소를 위한 상기 구동유닛(15)은 전동직접구동부(electromotive direct drive)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성형기.
  2. 제1항에 있어서,
    본질적으로 회전대칭(rotationally symmetrical)인 중공체의 제조를 위하여 전기직접구동부(15)를 가진 적어도 2개의 폐쇄요소가 제공되며, 상기 폐쇄요소는 상기 블로몰드 이분체(9)의 옆에, 또는 상기 몰드장착플레이트(7) 또는 상기 몰드장착플레이트와 연결된 프레임부에 횡방향으로 대칭적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성형기.
  3. 제1항에 있어서,
    산업상 블로부품(industrial blown parts) 또는 본질적으로 회전비대칭(rotationally asymmetrical)인 중공체의 제조를 위하여 전기직접구동부(15)를 가진 적어도 3개의 폐쇄요소가 제공되며, 상기 폐쇄요소는 상기 블로몰드 이분체(9)의 옆에, 또는 상기 몰드장착플레이트(7) 또는 상기 몰드장착플레이트와 연결된 프레임부에 횡방향으로 대칭적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성형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몰딩폐쇄및로킹장치의 각각의 폐쇄요소는 대략적으로 몰드분할이음매(mold parting seam)의 평면에서 결합될 수 있는 능동이분체(active half) 및 수동이분체(passive half)로 구성되며, 상기 블로몰드 이분체의 폐쇄 및 로킹을 위하여 상기 능동이분체상에 배치되는 직접구동부(15)는 전기 스핀들구동부(electric spindle drive)로서 지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성형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핀들구동부는 롤러형 회전스핀들매커니즘(25, 26, 27)으로서 지정되고, 이에 의해 상기 롤러형 회전스핀들매커니즘은 변위가능한 스핀들(25)을 가지며, 롤러형 회전 너트(19)는 상기 스핀들(18)에 대하여 고정되도록 상기 직접구동부(15)에 의하여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성형기.
  6. 삭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핀들구동부는 롤러형 회전스핀들매커니즘(25, 26, 27)으로서 지정되고, 이에 의해 상기 롤러형 회전스핀들매커니즘은 회전의 측면에서 고정되어 장착된 스핀들을 구비하고, 롤러형 회전 너트는 상기 스핀들 상에 변위가능하도록 상기 직접구동부에 의하여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성형기.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027006036A 1999-11-11 2000-09-08 블로성형기 KR1007318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9919885 1999-11-11
DE29919885.5 1999-11-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1212A KR20020081212A (ko) 2002-10-26
KR100731897B1 true KR100731897B1 (ko) 2007-06-25

Family

ID=8081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6036A KR100731897B1 (ko) 1999-11-11 2000-09-08 블로성형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923636B2 (ko)
EP (1) EP1233858B1 (ko)
JP (1) JP5174306B2 (ko)
KR (1) KR100731897B1 (ko)
AT (1) ATE254993T1 (ko)
AU (1) AU7651700A (ko)
DE (2) DE20015590U1 (ko)
ES (1) ES2211616T3 (ko)
WO (1) WO200103436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48648A1 (de) * 2001-10-02 2003-04-30 Gabler Gmbh Maschbau Vorstrecker-Antriebseinrichtung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Thermoformmaschine mit einer solchen Antriebseinrichtung
DE10218633B3 (de) * 2002-04-25 2004-08-19 Tmd Friction Europe Gmbh Presse
EP1366885A1 (en) * 2002-05-31 2003-12-03 U.T.E. Progetti S.r.l. Moulding machine for plastic objects
JP2004220575A (ja) * 2002-12-27 2004-08-05 Ricoh Co Ltd カード型メモリのインターフェース回路、その回路を搭載したasic、及びそのasicを搭載した画像形成装置
AT412542B (de) * 2003-11-11 2005-04-25 Kosme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lasformen von hohlkörpern
ITMI20040835A1 (it) * 2004-04-27 2004-07-27 Magic Mp Spa Macchina per la formatura di contenitori plastici con motore lineare di movimentazione del gruppo porta stampo
US20090057953A1 (en) * 2007-08-28 2009-03-05 James Vassar Extrusion blow molding machine
US8366435B2 (en) * 2007-08-28 2013-02-05 James Vassar Extrusion blow mold system
DE102009011692A1 (de) 2009-03-04 2010-09-09 Krones Ag Vorrichtung zum Behandeln von Behältnissen mit direkt angetriebenem Transportrad
EP2251180A1 (de) * 2009-05-13 2010-11-17 Uniloy Milacron Germany GmbH Anordnung und Verfahren zum elektromechanischen Antrieb für Formschließ- und Kalibrierblasdornsysteme in Blasformmaschinen
CA2764506A1 (en) * 2009-06-05 2010-12-09 Ness Inventions, Inc. Block mold having moveable liner
CN101890805B (zh) * 2010-04-13 2012-07-11 苏州同大机械有限公司 中空塑料制品成型机的磁力合模装置
DE102010022128B4 (de) * 2010-05-20 2012-03-15 Krones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zum Umformen von Kunststoffvorformlingen mit Sterilraum
DE102011053577A1 (de) * 2011-09-13 2013-03-14 Krones Aktiengesellschaft Blasmaschine mit demontierbaren Blasstationen
TW201441010A (zh) * 2013-04-24 2014-11-01 Jih Huang Machinery Ind Co Ltd 全電式中空成型機
DE102014111590A1 (de) * 2014-08-13 2016-02-18 Krones Ag Vorrichtung zum Umformen von Kunststoffvorformlingen zu Kunststoffbehältnissen
TW202033338A (zh) 2019-01-30 2020-09-16 日商京洛股份有限公司 成型裝置、以及成型品的製造系統
JP7317308B2 (ja) 2019-01-30 2023-07-31 キョーラク株式会社 成形装置
JP7248973B2 (ja) 2019-01-30 2023-03-30 キョーラク株式会社 成形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24987A (en) 1972-12-07 1975-12-09 Gottfried Mehnert Articulated mold opening and closing means for use in blow molding apparatus
US4702688A (en) 1985-04-15 1987-10-27 Bernd Schenk Apparatus for producing articles from a synthetic resin
US4929165A (en) 1986-06-30 1990-05-29 Yoshiharu Inaba Direct-pressure mold clamping mechanism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604575C3 (de) 1966-02-10 1975-11-20 Kautex Werke Reinold Hagen Gmbh, 5300 Bonn-Holzlar Vorrichtung zum Herstellen von Hohl-' körpern aus thermoplastischem Kunststoff im Blasverfahren
DE7437975U (de) * 1974-11-14 1976-05-26 Bekum Maschinenfabriken Gmbh, 1000 Berlin Blasformeinheit
DE3416871C3 (de) 1984-05-08 1995-11-09 Mauser Werke Gmbh Formschließvorrichtung
US4990084A (en) * 1989-11-06 1991-02-05 Cincinnati Milacron Inc. Mold clamping system
TW205018B (ko) 1990-11-30 1993-05-01 Toshiba Machine Co Ltd
JPH07107404B2 (ja) * 1991-04-22 1995-11-15 上西鉄工株式会社 シリンダ装置
US5478229A (en) * 1993-01-29 1995-12-26 The Japan Steel Works, Ltd. Apparatus for forming hollow article
JPH06226826A (ja) * 1993-02-02 1994-08-16 Japan Steel Works Ltd:The 中空成形機の型締方法及び装置
DE4403079C1 (de) * 1994-02-02 1995-04-06 Hemscheidt Maschtech Schwerin Formschließeinrichtung für Kunststoff-Spritzgießmaschinen zur Aufnahme großer und schwerer Formwerkzeuge
DE4443195B4 (de) * 1994-12-05 2005-12-22 Hesta-Graham Gmbh & Co. Kg Antriebseinrichtung für die Steuerung der Schließ- und Öffnungsbewegungen eines Formen-Schließsystems einer Blasformmaschine
DE19516125C1 (de) * 1995-05-03 1996-06-05 Battenfeld Fischer Blasform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chließen des Werkzeugs einer Kunststoffverarbeitungsmaschine
US5962039A (en) * 1997-02-21 1999-10-05 The Japan Steel Works, Ltd. Simultaneous filling blow molding apparatus
DE19536567C2 (de) * 1995-10-02 1998-12-17 Karl Hehl Formschließeinheit mit einer Einrichtung zur Behandlung und/oder Entfernung von Spritzteilen
WO1998038025A1 (fr) * 1995-11-08 1998-09-03 Kao Corporation Dispositif de serrage pour machines de soufflage
DE29619781U1 (de) * 1996-11-15 1997-01-02 Mauser Werke Gmbh Blasformmaschine
JPH10193445A (ja) 1996-12-27 1998-07-28 Kyoraku Co Ltd ブロー成形機における型締装置
JPH1128747A (ja) 1997-07-10 1999-02-02 Toyo Mach & Metal Co Ltd 成形機の型締め装置
DE19804143A1 (de) * 1998-02-03 1999-08-05 Fischer W Mueller Blasformtech Schließvorrichtung für Formen zum Herstellen von Gegenständen aus thermoplastischem Kunststoff
DE19909307A1 (de) * 1998-03-19 1999-09-23 Siemens Ag Produktionsmaschine mit elektrischen Antrieben für den Einsatz in der Kunststoffindustrie
DE19839700A1 (de) * 1998-09-01 2000-03-09 Fischer W Mueller Blasformtec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chließen und Öffnen des Werkzeugs einer Kunststoffverarbeitungsmaschine
JP2000218685A (ja) * 1999-01-29 2000-08-08 Tahara:Kk 中空成形機の型締装置のロッキング方法及びその装置
US6186770B1 (en) * 1999-03-05 2001-02-13 Amir Ziv-Av Clamping assembly for injection molding apparatus
DE19932741C2 (de) 1999-07-14 2002-06-27 Fischer W Mueller Blasformtec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chließen und Öffnen des Werkzeugs einer Kunststoffverarbeitungsmaschine
US6334768B1 (en) * 1999-08-11 2002-01-01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Blow molding clamp arrangemen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24987A (en) 1972-12-07 1975-12-09 Gottfried Mehnert Articulated mold opening and closing means for use in blow molding apparatus
US4702688A (en) 1985-04-15 1987-10-27 Bernd Schenk Apparatus for producing articles from a synthetic resin
US4929165A (en) 1986-06-30 1990-05-29 Yoshiharu Inaba Direct-pressure mold clamping mechanis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1034368A3 (de) 2001-10-11
DE50004597D1 (de) 2004-01-08
DE20015590U1 (de) 2001-02-01
US6923636B2 (en) 2005-08-02
JP5174306B2 (ja) 2013-04-03
WO2001034368A2 (de) 2001-05-17
EP1233858A2 (de) 2002-08-28
ATE254993T1 (de) 2003-12-15
KR20020081212A (ko) 2002-10-26
EP1233858B1 (de) 2003-11-26
US20030017229A1 (en) 2003-01-23
JP2003513819A (ja) 2003-04-15
ES2211616T3 (es) 2004-07-16
AU7651700A (en) 2001-06-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1897B1 (ko) 블로성형기
CN1068827C (zh) 用来制作有横向形状特点的热塑性塑料管的装置
EP0213211B1 (en) Mold clamping structure for injection molding machines
EP1277559B1 (en) Method and mould clamping press for injection moulding machines
EP3135455B1 (en) Injection unit
KR19980042356A (ko) 공기압축 성형 장치
US5266874A (en) Drive arrangement for a molding machine
JP2004001279A (ja) 射出成形機
EP1078728B1 (en) Injection molding machine with nozzle touch mechanism
CN106457632A (zh) 注塑成型装置
CN111629879B (zh) 注射成型设备
US20030185932A1 (en) Injection screw drive of a plastic injection molding machine
CA2072976C (en) Mold clamping system
US5102327A (en) Mold clamping system
US5538415A (en) Open frame injection molding machine
JP5356059B2 (ja) ロータリ射出成形機
CN1602246A (zh) 用于形成容器的机器
EP1588824B1 (en) Device for adjusting the thickness of the extruded parison in a blow molding machine
CA2193144A1 (en) Motion transfer mechanism
JP2002273776A (ja) 横輪郭に特徴を有した熱可塑性プラスチックのパイプの製造のための方法と装置
JP3491008B2 (ja) 射出成形機の射出装置
SU1712174A1 (ru) Механизм впрыска литьевой машины
JP2002166444A (ja) 電動式射出機構
US20220297357A1 (en) Molding machine
RU2096176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полых изделий из термопласт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