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0631B1 - 재생 담배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재생 담배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0631B1
KR100730631B1 KR1020057020809A KR20057020809A KR100730631B1 KR 100730631 B1 KR100730631 B1 KR 100730631B1 KR 1020057020809 A KR1020057020809 A KR 1020057020809A KR 20057020809 A KR20057020809 A KR 20057020809A KR 100730631 B1 KR100730631 B1 KR 1007306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ction
tobacco
membrane
extract
recyc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0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4975A (ko
Inventor
요시유키 야마다
유키코 하세가와
Original Assignee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049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49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0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06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0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12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reconstituted tobacco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8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24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extraction; Tobacco extrac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e Of Tobacco Products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 Extraction Or Liquid Replacement (AREA)
  • Seasonings (AREA)
  • Treatment Of Liquids With Adsorbents In General (AREA)

Abstract

재생 담배재는, 천연 단배재를 추출용매로 추출하고, 상기 천연 담배재의 성분을 포함하는 추출액과 추출 잔사를 얻는 것을 거쳐 제조된다. 추출 잔사를 이용해서 재생 담배웹을 조제한다. 다른 한편, 추출액을 한외여과 또는 역침투여과에 의해 분획조작 또는 역상분배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분획조작에 제공하여 소망 성분이 부화되고, 불소망 성분이 빈화된 제1의 획분과, 소망 성분이 빈화되고, 불소망 성분이 부화된 제2의 획분을 얻는다. 제1의 획분을, 임의로, 양을 감소시킨 제2의 획분과 함께, 상기 재생 담배웹에 첨가하여, 재생 담배재를 조제한다.

Description

재생 담배재의 제조방법{PROCESS FOR PRODUCING REGENERATED TOBACCO MATERIAL}
본 발명은, 재생 담배재(tobacco material)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천연의 담배의 잎, 살, 중골(中骨), 줄기, 뿌리 등의 담배재에는, 니코틴, 질산염류, 니트로소아민류, 탄화수소류, 단백질 등 여러가지 성분이 포함되어 있다. 천연의 담배재로부터 이들 성분을 추출하고, 담배의 끽미 첨가제로서 사용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그 경우, 끽미 또는 다른 이유로부터, 그 양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한 성분이 있는 한편, 제거하지 않거나 또는 그 양을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한 성분도 있다.
예컨대, 미국특허 제 4,253,929호나 미국특허 제 4,364,401호에는, 담배재를 수계 추출용매로 추출하고, 얻어진 수성 담배 추출액을 전기투석에 제공하여 질산 이온을 분리 제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 질산 이온을 제거한 추출액을 추출 잔사인 섬유질 담배재에 첨가하는 것에 의해, 여러가지 담배 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
미국특허출원 공개 US2002/0134394A1(국제공개 WO O2/28209에 대응)에는, 담배재를 추출 용매로 추출해서 얻은 추출액에 활성탄과 같은 니트로소아민을 흡착ㆍ 흡수하는 수착제(收着劑)로 처리해서 니트로소아민을 제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 니트로소아민을 제거한 추출액을 추출 잔사인 섬유질 담배재에 첨가하는 것에 의해, 여러가지 담배 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
국제공개 WO 01/65954에는, 담배를 초임계 이산화탄소로 처리해서 니트로소아민을 추출하고, 그 추출물을 니트로소아민 제거 프로세스에 제공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이 니트로소아민 제거 프로세스에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분리 조작이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크로마토그래피에 관한 상세한 것은 밝혀져 있지 않고,또한 크로마토그래피에 제공되는 추출물은, 수계 추출물은 아니다.
상기 전기투석을 이용한 분리 제거 방법에서는, 분리 제거 대상이 이온에 한정되고, 범용성이 없다. 또한, 전기투석시의 인가전압에 의해 추출액이 변질되거나, 분리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행하는 가열에 의해서도 추출액이 변질되어 버릴 염려가 높다. 또한, 질산 이온을 제거해서 얻어지는 투석액중의 유용성분을 어느 용도로 사용하려고 하는 경우, 투석액의 농축 조작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수착제를 이용하는 분리방법에도 동일한 농축 조작이 필요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하는 방법은, 사용하는 장치가 고가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천연 담배재로부터 얻은 추출액으로부터 비교적 간편한 수법에 의해 소망 성분이 부화(富化)되고, 불소망 성분이 빈화(貧化)된 획분과, 소망 성분이 빈화되고, 불소망 성분이 부화된 획분을 획득하고, 이들 획분의 한쪽 또는 양쪽을 이용해서 재생 담배재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태양에 의해 재생 담배재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의해 재생 담배재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도이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에 의하면, (a) 천연 담배재를 추출 용매로 추출하고, 상기 천연 담배재의 성분을 포함하는 추출액과 추출 잔사를 얻는 공정으로서, 상기 천연 담배재는 소망 성분과 불소망 성분을 포함하는 것인 공정, (b) 상기 추출액을 한외여과 또는 역침투여과에 의한 분획조작 또는 역상분배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분획조작에 제공하여 상기 소망 성분이 부화되고, 상기 불소망 성분이 빈화된 제1의 획분과, 상기 소망 성분이 빈화되고, 상기 불소망 성분이 부화된 제2의 획분을 얻는 공정, (c) 상기 추출 잔사를 이용해서 재생 담배웹을 조제하는 공정, (d) 상기 제1의 획분을, 임의로, 양을 감소시킨 상기 제2의 획분과 함께, 상기 재생 담배웹에 첨가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재생 담배재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천연 담배재를 추출하는 것에 의해 얻어진 추출액과 추출 잔사를 이용해서 재생 담배재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추출 잔사를 이용해서 재생 담배웹을 조제한다.
다른 한편, 추출액은, 한외여과 또는 역침투여과 또는 역상분배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분획조작에 제공한다. 천연 담배재로부터 얻어지는 추출액에는, 끽미 또는 다른 이유로부터, 그 양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한 성분(불소망 성분)이 있는 한편, 제거하지 않거나 또는 그 양을 증가시키는 쪽이 바람직한 성분(소망 성분)이 있다. 본 발명의 분획조작에 의해, 소망 성분이 부화되고, 불소망 성분이 빈화된 제1의 획분과, 소망 성분이 빈화되고, 불소망 성분이 부화된 제2의 획분이 얻어진다. 제1의 획분을, 임의로, 양을 감소시킨 제2의 획분과 함께, 상기 재생 담배웹에 첨가하여, 소망의 재생 담배재를 제조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태양에 의해 재생 담배재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도이다. 이 태양에서는, 추출액의 분획조작은 한외여과막 또는 역침투 여과막을 이용해서 행해진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선, 천연 담배재(11)와 추출 용매(12)를 혼합하고, 교반하는 것에 의해 천연 담배재(11)를 추출처리(S1)에 제공한다.
천연 담배재(11)로서는, 담배의 잎, 살, 중골(中骨), 줄기, 뿌리 및 그들의 혼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추출 용매로서는, 물, 유기용매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물 등의 추출용매는, 알칼리성이어도, 산성이어도 좋다. 추출용매로서, 물과 수혼화성 유기용매의 혼합물도 사용할 수 있다. 유기용매의 예를 들면, 에탄올과 같은 알코올류, 디에틸에테르와 같은 에테르류, 시클로헥산과 같은 탄화수소용매 등이다. 이들 용매에는, 수산화나트륨과 같은 무기염을 용해해서 이용할 수도 있다. 추출처리(S1)는, 통상, 0∼100℃의 온도에서, 5분∼6시간 행해진다.
추출처리(S1)의 종료후, 얻어진 추출 혼합물을, 예컨대 여과 등에 의한 분리 조작(S2)에 제공하여, 추출액(13)과 추출 잔사(14)로 나눈다.
천연 담배재에는, 칼륨 등의 금속의 염, 질산염, 니코틴, 당류, 아미노산류, 배당체, 아미노-당화합물류, 단백질, 탄화수소류(포화 탄화수소류, 불포화 탄화수소류, 방향족 탄화수소류), 알코올류, 에테르류, 알데히드류, 케톤류, 에스테르류, 락톤류, 퀴논류, 산류(산무수물을 포함한다), 페놀류, 아민류, 피롤류, 피리딘류, 피라진류, 알카로이드류, 다환식 질소함유 화합물류, 니트로소아민(담배 고유의 니트로소아민(TSNA)을 포함한다) 등의 니트로소 화합물류, 아미드류, 지질류, 할로겐화물, 유황함유 화합물, 무기원소 등이 포함된다. 상기 추출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추출액(13)에는, 사용하는 추출 용매의 종류에도 의하지만, 이들 성분의 대부분이 포함될 수 있다. 이들 성분 중, 어느 것이 소망 성분이며, 어느 것이 불소망 성분인지는, 제조하려고 하는 재생 담배재의 끽미 등에 따라 다르지만, 적어도 니코틴은 소망 성분이며, 질산염, TSNAS와 같은 니트로소아민류, 기타의 아민류는 불소망 성분이다.
추출 잔사(14)는, 추출 용매 불용성 성분이며, 실질적으로 섬유로 이루어진다. 이 추출 잔사(14)를 이용하여, 통상의 방법에 의해, 재생 담배웹을 제조한다. 이 재생 담배웹은, 그 일부가 추출 잔사(14)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어도 좋고, 그 전부가 추출 잔사(14)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어도 좋다. 예컨대, 추출 잔사(14)를 포함하는 펄프재를 통상의 초지공정(S3)에서 초지하여 재생 담배웹(15)으로 할 수 있다.
다른 한편, 분리 조작(S2)로부터 얻어진 추출액(13)은, 막분리 조작(S4)에 제공한다. 막분리 조작(S4)은, 한외여과 또는 역침투여과에 의한 것이다. 이들의 막분리에 사용되는 막(한외여과막, 역침투 여과막)은, 어느 일정 이하의 사이즈의 구멍을 갖는 다공질 막이며, 주로 구멍의 사이즈와 용질분자의 크기의 차이에 의해 용질을 분리ㆍ분획하는 것이다. 막을 투과할 수 없는 최소의 용질의 분자량을 막의 분획분자량이라 한다. 일반적으로, 한외여과막의 분획분자량의 범위는, 1,000∼1,000,000이며, 역침투 여과막의 분획분자량의 범위는, 100∼1,000의 범위이다. 이들 막은 시판되고 있다. 예컨대, 한외여과막으로서는, 밀리포어(Milipore)사제 바이오맥스(Biomax)5(분획분자량 5,000) 및 PCXK셀룰로오스(분획분자량 1,000,000)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역침투 여과막으로서는, 밀리포어사제 나노맥스(Nanomax)95(분획분자량 약 100) 및 나노맥스50(분획분자량 약 400)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한외여과 및 역침투 여과에 의한 막분리는, 그 자체가 알려진 수법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이들 막분리의 경우에, 추출액(13)은 0℃∼30℃라는 낮은 온도에 있을 수 있으므로, 추출액(13)중의 성분을 변질시킬 염려가 적다. 또, 역침투 여과막(역침투막)은, 질산 이온과 같은 수화 이온을 효율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이 막분리 조작(S4)에 의해, 사용한 막의 분획분자량보다도 큰 분자량을 갖는 천연 담배재 성분이 막 불투과물 획분(16)으로서, 사용한 막의 분획분자량보다도 작은 분자량을 갖는 천연 담배재 성분이 막 투과물 획분(17)으로서 획득된다. 환언하면, 막 불투과물 획분(16)은, 막 투과물 획분(17)에 비하여, 사용한 막의 분획분자량보다도 큰 분자량을 갖는 천연 담배재 성분이 부화되고, 사용한 막의 분획분자량보다도 작은 분자량을 갖는 천연 담배재 성분이 빈화되어 있다. 다른 한편, 막 투과물 획분(17)은, 막 불투과물 획분(16)에 비하여, 사용한 막의 분획분자량보다도 작은 분자량을 갖는 천연 담배재 성분이 부화되고, 사용한 막의 분획분자량보다도 큰 분자량을 갖는 천연 담배재 성분이 빈화되어 있다. 이와 같이, 부화, 빈화는, 천연 담배재 성분의 상대적인 농도/양에 관한 것이다.
막 불투과물 획분(16) 및/또는 막 투과물 획분(17)은, 추가 처리(도시하지 않음)에 제공할 수 있다. 이 추가 처리에는, 적어도 1회의 상기와 동일한 막분리 조작,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성분 분리, 농축 처리, 흡착제를 이용한 성분제거 등이 포함된다.
막 불투과물 획분 및/또는 막 투과물 획분(그들의 추가 처리물을 포함한다)은, 소망하지 않은 것이면, 폐기할 수 있고, 소망한 것이면, 그대로 또는 끽미 를 조정하기 위해서 다른 쪽과 혼합(S5)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막 불투과물 획분과 막 투과물 획분을 혼합하는 경우, 적어도 한쪽의 양을 감소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조제된 담배 끽미제를 재생 담배웹(15)에 첨가(S6)하는 것에 의해, 재생 담배재(18)가 얻어진다. 이렇게 해서 얻어지는 재생 담배재(18)는, 천연 담배재 유래의 성분을 함유하는데도 불구하고, 천연의 담배재와는 다른 끽미를 나타내게 된다. 또, 상기 막분리 조작을 분획분자량이 다른 복수의 한외여과막 또는 역침투 여과막을 이용해서 복수회 행한 경우, 얻어지는 막 불투과물 획분 및 막 투과물 획분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상기 재생 담배웹에 첨가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 얻어지는 막 불투과물 획분 및 막 투과물 획분의 전부를 상기 재생 담배웹에 첨가하는 경우에는, 이들 얻어지는 막 불투과물 획분 및 막 투과물 획분 중 적어도 하나의 획분의 양을 감소시켜서 상기 재생 담배웹에 첨가한다.
예컨대, 제1의 예로서, 천연 담배재중의 질산염을 감소시키려고 하는 경우, 천연 담배재를 물로 추출한 수추출액을 분획분자량 약 400의 역침투 여과막을 이용한 막분리 조작에 제공한다. 이것에 의해, 분자량이 400을 넘는 성분이 부화된(환언하면, 질산 이온, 칼륨 등의 무기 이온을 포함하는 분자량 400 이하의 성분이 빈화된) 막 불투과물 획분과, 분자량이 400을 넘는 성분이 빈화된(환언하면, 질산 이온, 칼륨 등의 무기 이온을 포함하는 분자량 400 이하의 성분이 부화된) 막 투과물 획분이 얻어진다. 질산 이온이 감소한 막 불투과물 획분을 단독으로, 또는 소량의 막 투과물 획분과 혼합해서 상기 추출 잔사를 이용한 재생 담배재에 첨가할 수 있다. 이 재생 담배재를 이용해서 제작한 궐련은, 천연 담배재를 이용해서 제작한 궐련에 비하여, 주류연 중의 NOx가 대폭 저감될 수 있고, 연소 속도도 저하할 수 있다.
또한, 제2의 예로서, 수추출 천연 담배재 추출액의 막분리 시에, 분획분자량 약 100의 역침투 여과막을 이용하면, 니코틴을 포함하는 분자량 100을 넘는 성분이 부화된 막 불투과물 획분과 분자량 100 이하의 성분이 부화된 막 투과물 획분이 얻어진다. 이 막 불투과물 획분을 상기 재생 담배웹에 첨가한 재생 담배재를 이용해서 제작한 궐련은, 담배다움을 유지했고, 또한 담배다움이 상대적으로 증강된 것이 되고, 더구나 질산 이온도 빈화되어 있으므로, 주류연 중의 NOx 양도 감소한 것으로 된다. 또, 이 니코틴이 부화된 막 불투과물 획분에는, TSNA 등의 니트로소아민이 포함되어 있을 염려가 있으므로, 재생 담배웹에 첨가하기 전에, 이 막 불투과물 획분을 니트로소아민을 제거하는 추가 처리에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추가 처리로서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분리, 니트로소아민 수착재에 의한 수착제거가 포함된다. 이 니트로소아민의 제거는, 상기 제1의 예에 있어서의 막 투과물 획분에도 적용할 수 있다.
제3의 예로서, 2종류의 막을 이용해서 추출액을 분획하는 예를 들 수 있다. 즉, 천연 담배재를 물로 추출해서 얻은 추출액을 분획분자량 100의 역침투 여과막을 이용한 막분리 조작에 제공하여, 제2의 예에 있어서와 같이 질산 이온이 빈화된 막 불투과물 획분(획분 A라 한다)과 질산 이온이 부화된 막 투과물 획분을 얻는다. 다음에, 획분 A를 분획분자량 약 5000의 한외여과막을 이용한 막분리 조작에 제공하여 막 불투과물 획분(획분 B라 한다)과 막 투과물 획분(획분 C라 한다)을 얻는다. 획분 B는 단백질이 부화되고, 획분 C는 자당 등의 당류가 부화되어 있다. 따라서, 획분 C를 경우에 따라 소량의 획분 A 및/또는 획분 B와 혼합해서 상기 재생 담배웹에 첨가하여, 재생 담배재를 조제하고, 이것을 이용해서 궐련을 제작하면, 상대적으로 감미가 강조된 궐련이 얻어진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의해 재생 담배재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도이다. 도 2에 있어서, 도 1과 동일한 요소, 조작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도 2의 태양에서는, 추출액의 분획조작은, 역상분배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행해진다. 이 역상분배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추출액의 분획조작에 의해, 니코틴과 TSNA가 효과적으로 분리된다.
본 발명자들은, 천연 담배재로부터 수계 추출용매로 추출해서 얻어지는 추출액에 있어서 니코틴과 TSNA를 분리하는 간편한 수법으로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착안했다. 크로마토그래피로서는, 소정의 기공 사이즈를 갖는 충전재를 충전해서 용리액을 컬럼에 흘리고, 분자의 크기나 형상에 의한 용출 속도의 차이를 이용해서 원하는 성분을 분리하는 사이즈 크로마토그래피가 있다. 그러나, 사이즈 크로마토그래피에서는, 니코틴과 TSNA의 성상이 비슷하기 때문에, 그들을 분리하기 곤란했다. 또한,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나 순상분배 크로마토그래피에서는, 충전재에 흡착된 니코틴과 TSNA를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용리액의 염 농도는 pH의 조정이 필요하고, 단순히 수계 용리액을 이용한 경우에는, 니코틴과 TSNA를 분리할 수 없었다.
따라서, 더 연구한 결과, 역상분배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면, 수계 용리액에 의해서도 니코틴과 TSNA를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 내었다.
그리고, 도 2에 있어서, 도 1에 관해서 설명한 바와 같이, 천연 담배재(11)로부터, 추출 용매(12)를 이용한 추출처리(S1)로 추출액(13)과 추출 잔사(14)를 얻는다. 재생 담배웹(15)은, 도 1에 관해서 설명한 바와 같이 추출 잔사(14)를 이용한 초지(S3)에 의해 조제할 수 있다.
그리고, 분리 조작(S2)으로부터 얻어진 추출액(13)은, 역상분배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분리 조작(S21)에 제공한다. 이 분리 조작(S21)은, (메타)아크릴계 수지, 비닐계 수지 또는 실리카계 수지를 기재로 하는 고정상을 이용해서 행할 수 있다. 기재는, 소수성 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소수성 기는 탄소수 6 이하의 탄화수소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탄소수 6 이하의 탄화수소기는, 소수성이기는 하지만, 그 정도가 낮기(친수성이 상대적으로 높다) 때문인지, 그러한 소수성 기를 갖는 기재로 이루어지는 고정상을 이용하면, 니트로소아민과 니코틴을 한층 효율 좋게 분리할 수 있다. 탄소수 6 이하의 탄화수소기에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부틸기, 펜틸기, 헥실기, 페닐기가 포함된다. 소수성 기는, 기재를 수식하는 것으로서 도입된 것이어도 좋고, 예컨대 폴리메타크릴산계 수지를 구성하는 메타크릴산 부분의 메틸기와 같이, 기재가 본래 갖는 것이어도 좋다. 이와 같은 소수성 기를 갖는 역상분배 크로마토그래피용 고정상 재료는, 입자의 형태로, 시판되고 있다.
역상분배 크로마토그래피는, 상기 고정상을 충전한 컬럼에 담배 추출액을 주입한 후, 수계 용리제를 이용해서 분획하는 것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수계 용리제로서는, 물 또는 물과 수혼화성 유기용매(예컨대, 에탄올)와의 혼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역상분배 크로마토그래피는, 용매의 비점 미만의 온도(예컨대, 10℃∼90℃)에서 행할 수 있다. 이 역상분배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컬럼으로부터 유출하는 획분 중, 유의량(예컨대, 초기 니코틴량의 적어도 30% 이상)의 니코틴을 함유하고, TSNA가 실질적으로 제거된 획분(니코틴 함유 TSNA 제거획분)(21)을 회수하고, 유의량의 TSNA를 함유하는 획분(TSNA획분)(22)을 폐기한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역상분배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하면, 상기 천연 담배재에 비하여, 니코틴에 대한 니트로소아민의 비율이 감소한 획분이 얻어진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하면, 분획전 추출액에 비하여, TSNA의 감소율이 약 90% 이상이며, 게다가 니코틴의 감소율이 60% 미만인 획분이 얻어질 수 있다. 탄소수 6 이하의 탄화수소기로 이루어지는 소수성 기를 갖는 고정상 재료를 이용하면, TSNA의 감소율이 약 90% 이상이며, 게다가 니코틴의 감소율이 35% 미만인 획분을 얻을 수 있다.
니코틴 함유 TSNA 제거획분(21)을 농축하고, 또는 농축하는 일 없이, 그 일부 또는 전부를 재생 담배웹(15)에 첨가(S22)하는 것에 의해, 재생 담배재(23)가 얻어진다. 이렇게 해서 얻어지는 재생 담배재(23)는, 니코틴을 함유하지만, TSNA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을 여러가지 태양에 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그들 태양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말할 나위 없이, 상기 태양을 조합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제1의 태양에 따라서 얻어진 막 투과물 획분 또는 막 불투과물 획분을 제2의 태양에 의한 역상분배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분획조작에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제1의 태양에 의해 얻어지고, 니코틴과 함께 TSNA가 부화된 막투과 획분을 제2의 태양에 의한 역상분배 크로마토그래피에 제공하는 것에 의해, 당해 막투과 획분을 TSNA획분과 니코틴 부화 TSNA 제거획분으로 분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그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이하의 실시예, 비교예에 있어서,
주류연 중의 NOx 양, 방향족 아민량 및 TSNA 양은, 각각, 캐나다법 No.T -110, T-102 및 T-111에 의해 측정하고;
주류연 중의 니코틴량은, ISO 10315에 의해 측정하고;
담배살중의 니코틴량은, 독일 표준화 기구 DIN10373에 의해 측정하고;
담배살중의 NO3 양은, 담배살을 수추출 후, 추출액중의 NO3을 히드라진 환원법으로 아질산으로 환원하고, 디아조화법에 의해 비색정량하는 것에 의해 측정하고(일본약학회편, 위생시험법 p707, p836 참조);
담배살중의 단백질량은, Balasubramaniam 등의 방법에 의해 측정했다 (Balasubramaniam D 등. "Tobacco Protein Separation by aqueous two-phase extraction", Journal of Chromatography A 989, 119∼129, 2003 참조).
또한, 당류는,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로서 Agilent 1100 LC Chromatograph를 이용하고, 컬럼으로서 Waters High Performance Carbohydrate Column 60A 4㎛(4.6×250mm)를 이용하고, 컬럼 온도를 35℃로 설정하고, 시료 주입량을 8.0μL로 하여, 이동상으로서 아세토니트릴:정제수=3:1을 이용해서 분석했다.
실시예 1
25℃의 온도에서, 담배살 200g을 875mL의 물과 혼합ㆍ교반하는 것에 의해, 담배살의 추출을 행하였다. 얻어진 추출 혼합물을 여과하고, 추출액과, 추출 잔사로 나누었다. 추출 잔사를 초지하여, 재생 담배웹을 얻었다. 또, 그 중량은 건조시에 100g이고, 원래의 담배살의 약 반의 중량이었다.
다른 한편, 추출액에 211mL의 물을 가하고, 분획분자량 100의 역침투 여과막 (밀리포어사제 나노맥스95)을 이용한 막분리 조작에 제공하여 막 불투과물 획분(246mL)과 막 투과물 획분(840mL)을 얻었다. 얻어진 막 불투과물 획분과 막 투과물 획분의 질산과 당(프락토오스 및 글루코오스)의 양을 분석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낸 결과를 얻었다. 표 1에는, 추출액에 대한 분석 결과도 나타낸다.
획분 획분의 양(mL) 각 획분중의 성분량
질산(mg) 프락토오스(g) 글루코오스(g)
막 불투과물 획분 246 201 1.46 0.72
막 투과물 획분 840 193 0 0
분획전 추출액 875 394 1.46 0.72
표 1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막 불투과물 획분은 당이 부화되고, 질산이 빈화되어 있다. 다른 한편, 막 투과물 획분은, 당이 빈화되고(이 경우 0), 질산이 부화되어 있다.
다음에, 막 불투과물 획분을 상기 재생 담배웹 100g에 전량(246mL) 첨가하고, 얻어진 재생 담배재를 이용해서 궐련을 제작했다.
또한, 이것과 별도로, 상기 수법과 완전히 동일하게 해서 추출 조작을 행하고, 그 추출 잔사로부터 동일하게 해서 재생 담배웹을 제작했다. 또한, 추출액에 대해서는, 막 분리 조작을 행하지 않고, 진공가열 농축만을 행하고, 그 전량을 재생 담배웹에 첨가하여, 얻어진 재생 담배재를 이용해서 궐련을 제작했다.
이들 궐련을 ISO법에 따라 1회의 흡연시간 2초(1회의 흡연량 35mL)로 벨형의 흡연 프로파일로 흡연하고, 주류연 중의 NOx 양을 측정하고, 타르당 NOx 양을 산출했다. 각각의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낸다.
궐련 주류연 중의 NOx
궐련 1개피당 NOx 양(㎍) 타르 mg당 NOx 양(㎍)
추출액 첨가 230 10.9
막 불투과물 획분 첨가 117 5.3
표 2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질산이 빈화된 막 불투과물 획분을 재생 담배웹에 첨가하는 것에 의해, 궐련의 주류연 중의 NOx 양 및 타르당 NOx 양을 저감시킬 수 있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이용한 담배살과는 다른 담배살에 대해서, 실시예 1과 동일한 추출처리를 행하여, 추출액과 추출 잔사를 얻었다. 추출 잔사를 초지해서 재생 담배웹을 얻었다.
다른 한편, 추출액을 역침투막(니토전공사제 NTR-729HG)을 이용한 막분리 조작에 제공하고, 얻어진 막 불투과물 획분을 상기 재생 담배웹에 첨가하여, 재생 담배재를 얻고, 이것을 잘게 썰어서 담배살로 했다.
또한, 상기 수법과 완전히 동일하게 해서 추출 조작을 행하고, 얻어진 추출 잔사를 초지해서 재생 담배웹을 얻었다. 또한, 얻어진 추출액을 진공가열 농축하고, 그 전량을 이 재생 담배웹에 첨가하여, 재생 담배재를 얻고, 이것을 잘게 썰어서 담배살로 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담배살중의 NO3 양 및 니코틴량을 측정했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담배살 살중의 NO3 양(mg/g) 살중의 니코틴량(mg/g)
추출액 첨가 6.17 7.5
막 불투과물 획분 첨가 0.3 6.6
표 3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막 불투과물 획분을 재생 담배웹에 첨가하는 것에 의해 얻어지는 재생 담배재 담배살은, 막처리를 행하지 않은 추출액을 첨가한 재생 담배재 담배살과 비교하여, 니코틴량의 감소가 억제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담배살중의 NO3 양이 약 95% 저감되어 있다.
상기 각 담배살을 이용해서 궐련을 제작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해서 주류연 중의 NOx 양 및 니코틴량을 측정했다.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궐련 주류연 중의 NOx 주류연 중의 니코틴량
궐련 1개피당 (㎍) 타르 mg당 (㎍) 궐련 1개피당 (mg) 타르 mg당 (mg)
추출액 첨가 담배살 154 9.7 0.6 0.045
막 불투과물 획분 첨가 담배살 27 1.8 0.6 0.040
표 4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막 불투과물 획분을 첨가한 담배살을 이용해서 제작한 궐련은, 막분리 처리를 행하지 않은 추출액을 첨가한 담배살을 이용해서 제작한 궐련에 비하여, 니코틴량에 손색은 없지만, NOx 양이 대폭 감소되어 있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 이용한 담배살과는 다른 담배살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추출처리를 행하여, 추출액과 추출 잔사를 얻었다. 추출 잔사를 초지해서 재생 담배웹을 얻었다.
다른 한편, 추출액을 한외여과막(니토전공사제 CF30-F4-PT; 분획분자량 5만)을 이용한 막 분자조작에 제공하고, 얻어진 막 투과물 획분을 역침투막(니토전공사제 NTR-729HG)을 이용한 막분리 조작에 더 제공했다. 얻어진 막 불투과물 획분을 상기 재생 담배웹에 첨가하여, 재생 담배재를 얻고, 이것을 잘게 썰어서 담배살로 했다.
또한, 상기 수법과 완전히 동일하게 해서 추출 조작을 행하고, 얻어진 추출 잔사를 초지해서 재생 담배웹을 얻었다. 또한, 얻어진 추출액을 진공가열 농축하고, 그 전량을 이 재생 담배웹에 첨가하여, 재생 담배재를 얻고, 이것을 잘게 썰어서 담배살로 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담배살중의 NO3 양, 니코틴량 및 단백질 양을 측정했다.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담배살 살중의 NO3 양(mg/g) 살중의 니코틴량(mg/g) 살중의 단백질 양(mg/g)
추출액 첨가 담배살 6.17 7.5 16
막 불투과물 획분 첨가 담배살 0.22 7.5 0
표 5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한외여과막에 대한 투과 물 획분을 역침투여과에 제공하여 얻어진 막 불투과물 획분을 재생 담배웹에 첨가하는 것에 의해 얻어지는 재생 담배재 담배살은, 막처리를 행하지 않은 추출액을 첨가한 재생 담배재 담배살과 비교하여, 니코틴량의 감소가 억제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담배살중의 N03 양이 약 95% 저감하고, 단백질도 거의 전량 감소되어 있다.
상기 각 담배살을 이용해서 궐련을 제작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해서 주류연 중의 NOx 양 및 니코틴량을 측정했다. 결과를 표 6에 나타낸다.
궐련 주류연 중의 NOx 주류연 중의 니코틴량
궐련 1개피당 (㎍) 타르 mg당 (㎍) 궐련 1개피당 (mg) 타르 mg당 (mg)
추출액 첨가 담배살 154 9.7 0.6 0.045
막 불투과물 획분 첨가 담배살 25 1.9 0.6 0.040
표 6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한외여과막에 대한 투과 물 획분을 역침투여과에 제공하여 얻어진 막 불투과물 획분을 재생 담배웹에 첨가하는 것에 의해 얻어지는 재생 담배재 담배살을 이용해서 제작한 궐련(본 발명의 궐련)은, 막분리 처리를 행하지 않은 추출액을 첨가한 담배살을 이용해서 제작한 궐련에 비하여, 니코틴량에 손색은 없지만, NOx 양이 대폭 감소되어 있다.
또한, 10명의 패널이 평가한 바, 본 발명의 궐련은 비린내가 저감하고 있다는 공통 평가가 얻어졌다.
실시예 4
실시예 1에서 이용한 살과는 다른 담배살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추출처리를 행하여, 추출액과 추출 잔사를 얻었다. 추출 잔사를 초지해서 재생 담배웹을 얻었다.
다른 한편, 추출액을 한외여과막(밀리포어제 바이오맥스10; 분획분자량 1만)을 이용한 막분자 조작에 제공하고, 얻어진 막 투과물 획분을 역침투막(밀리포어제 나노맥스95; 분획분자량 약 100)을 이용한 막분리 조작에 더 제공했다. 얻어진 막 불투과물 획분을 상기 재생 담배웹에 첨가하여, 재생 담배재를 얻고, 이것을 잘게 썰어서 담배살로 하고, 이것을 이용해서 궐련을 제작했다.
또한, 상기 수법과 완전히 동일하게 해서 추출 조작을 행하고, 얻어진 추출 잔사를 초지해서 재생 담배웹을 얻었다. 추출액을 진공가열 농축하고, 그 전량을 이 재생 담배웹에 첨가하여, 재생 담배재를 얻고, 이것을 잘게 썰어서 담배살로 하고, 이것을 이용해서 궐련을 제작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궐련의 주류연 중의 방향족 아민류 양을 측정했다. 결과를 표 7에 나타낸다.
Figure 112005063026466-pct00001
표 7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한외여과막에 대한 투과 물 획분을 역침투여과에 제공하여 얻어진 막 불투과물 획분을 재생 담배웹에 첨가하는 것에 의해 얻어지는 재생 담배재 담배살을 이용해서 제작한 궐련(본 발명의 궐련)은, 막분리 처리를 행하지 않은 추출액을 첨가한 담배살을 이용해서 제작한 궐련에 비하여, 주류연 중의 방향족 아민류가 대폭 저감되어 있다.
실시예 5
온도 25℃에서, 담배잎살(황색종과 바레종의 혼합물)과 중골살의 중량비1:1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담배살 100g을 물 1000mL와 혼합하고, 교반하는 것에 의해 담배살의 추출을 행하였다. 얻어진 추출 혼합물을 여과하고, 추출액과, 추출 잔사로 나누었다. 추출 잔사를 초지하여, 재생 담배웹을 얻었다.
다른 한편, 추출액을 막분리 조작에 의해 농축하고, 그 1mL를, 입경 200∼600㎛ 폴리메타크릴계 수지(미쓰비시화학사제 상품명 HP2MG)를 충전한 컬럼(직경 8mm, 길이 300mm)에 주입했다. 용리제로서 물을 컬럼에 흘리고, 처음에 70mL 분획하고(획분1), 다음에 8030mL 분획했다(획분2). 분획전 추출액(미처리 추출액)과 각획분중에 포함되는 니코틴과 니트로소아민(N'-니트로소놀니코틴(NNN), 4-(메틸니트로소아미노)-1-(3-피리딜)-1-부타논(NNK) 및 N'-니트로소아나타빈(NAT))의 양을 분석했다. 결과를 하기 표 8에 나타낸다. 표 8에는 니코틴 감소율 및 TSNA 감소율도 나타냈다.
Figure 112005063026466-pct00002
표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획분1은, TSNA가 초기량보다 거의 89% 감소하고, TSNA중 NNK 및 NAT는 완전히 제거되고, 게다가 니코틴은 초기량보다도 3%밖에 감소하지 않았다.
따라서, 획분2를 폐기하고, 획분1을 상기 재생 담배웹에 첨가하는 것에 의해, 재생 담배재를 조제했다.
실시예 6
황색종과 바레종의 혼합비를 바꾼 것 이외에는 실시예 5와 동일하게 하여, 농축 담배 추출액과 재생 담배웹을 조제했다. 농축 담배 추출액 1mL를, 입경 50∼150㎛의 페닐기 수식 폴리비닐계 수지(토소사제 상품명 TOYOPEARL Phenyl 650C)를 충전한 컬럼(직경 10mm, 길이 250mm)에 주입했다. 용리제로서 물을 컬럼에 흘리고, 처음에 28mL 분획하고(획분1), 다음에 115mL 분획했다(획분2). 분획전 추출액(미처리 추출액)과 각 획분중에 포함되는 니코틴과 NNN, NNK, NAT, 더욱이 N'-니트로소아나바신(NAB)의 양을 분석했다. 결과를 하기 표 9에 나타낸다. 표 9에는, 니코틴 감소율 및 TSNA 감소율도 나타나 있다.
Figure 112005063026466-pct00003
표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획분1은, TSNA가 초기량보다 거의 91% 감소하고, TSNA 중 NNK, NAT 및 NAB는 완전히 제거되고, 게다가 니코틴은 전혀 감소하지 않았다.
따라서, 획분2를 폐기하고, 획분1을 상기 재생 담배웹에 첨가하는 것에 의해, 재생 담배재를 조제했다.
실시예 7
황색종과 바레종의 혼합비를 바꾼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농축 담배 추출액과 재생 담배웹을 조제했다. 농축 담배 추출액 0.02mL를, 평균 입경 15㎛의 부틸기 수식 실리카계 수지(YMC사제 상품명, Pack C4)를 충전한 컬럼(직경 6mm, 길이 150mm)에 주입했다. 용리제로서 물을 컬럼에 흘리고, 처음에 600mL 분획하고(획분1), 다음에 400mL 분획했다(획분2). 분획전 추출액(미처리 추출액)과 각 획분중에 포함되는 니코틴과 NNN, NNK, NAT 및 NAB의 양을 분석했다. 결과를 하기 표 10에 나타낸다. 표 10에는, 니코틴 감소율 및 TSNA 감소율도 나타나 있다.
Figure 112005063026466-pct00004
표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획분2는, TSNA가 100% 감소하고, 게다가 니코틴은 초기량보다도 33%밖에 감소하지 않았다.
따라서, 획분1을 폐기하고, 획분2를 상기 재생 담배웹에 첨가하는 것에 의해, 재생 담배재를 조제했다.
또, 실시예 5∼7에서 얻어진 결과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탄소수 6 이하의 탄화수소기로 이루어지는 소수성 기를 갖는 고정상 재료를 이용하면, TSNA의 감소율이 약 90% 이상이며, 게다가 니코틴의 감소율이 35% 미만인 획분을 얻을 수 있다.
실시예 8
황색종과 바레종의 혼합비를 바꾼 것 이외에는 실시예 5와 동일하게 하여, 농축 담배 추출액과 재생 담배웹을 조제했다. 농축 담배 추출액 0.02mL를, 평균 입경 5㎛의 옥틸기 수식 실리카계 수지(Aligent사제 상품명 XDB-C8)를 충전한 컬럼(직경 4.6mm, 길이 150mm)에 주입했다. 용리제로서 물을 컬럼에 흘리고, 처음에 200mL 분획하고(획분1), 다음에 200mL 분획하고(획분2), 최후에 400mL 분획했다(획분3). 분획전 추출액(미처리 추출액)과 각 획분중에 포함되는 니코틴과 NNN, NNK, NAT 및 NAB의 양을 분석했다. 결과를 하기 표 11에 나타낸다. 표 11에는, 니코틴 감소율 및 TSNA 감소율도 나타나 있다.
Figure 112005063026466-pct00005
표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획분3은, TSNA가 완전히 제거되고, 게다가 니코틴의 감소율은 56%이다.
따라서, 획분1 및 획분2를 폐기하고, 획분3을 상기 재생 담배웹에 첨가하는 것에 의해, 재생 담배재를 조제했다.
실시예 9
황색종과 바레종의 혼합비를 바꾼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농축 담배 추출액과 재생 담배웹을 조제했다. 농축 담배 추출액 0.02mL를, 평균 입경 15㎛의 옥타데실기 수식 실리카계 수지(YMC사제 상품명 ODS-AP)를 충전한 컬럼(직경 6mm, 길이 150mm)에 주입했다. 용리제로서 물을 컬럼에 흘리고, 처음에 400mL분획하고(획분1), 다음에 200mL 분획하고(획분2), 최후에 200mL 분획했다(획분3). 분획전 추출액(미처리 추출액)과 각 획분중에 포함되는 니코틴과 NNN, NNK, NAT 및 NAB의 양을 분석했다. 결과를 하기 표 12에 나타낸다. 표 12에는, 니코틴 감소율 및 TSNA 감소율도 나타나 있다.
Figure 112005063026466-pct00006
표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획분3은, TSNA가 완전히 제거되고, 게다가 니코틴의 감소율은 65%이다.
따라서, 획분1 및 획분2를 폐기하고, 획분3을 상기 재생 담배웹에 첨가하는 것에 의해, 재생 담배재를 조제했다.
비교예 1
황색종과 바레종의 혼합비를 바꾼 것 이외에는 실시예 5와 동일하게 해서 조제한 농축 담배 추출액 1mL를, 평균 입경 300㎛의 폴리스티렌계 양이온교환 수지(쌍이온 Na+ ; 오르가노사제 상품명 CR-1310)를 충전한 컬럼(직경 10mm, 길이 250mm)에 주입했다. 용리제로서 물을 컬럼에 흘리고, 처음에 100mL 분획하고(획분1), 다음에 900mL 분획했다(획분2). 분획전 추출액(미처리 추출액)과 각 획분중에 포함되는 니코틴과 NNN, NNK, NAT 및 NAB의 양을 분석했다. 결과를 하기 표 13에 나타낸다. 표 13에는, 니코틴 감소율 및 TSNA 감소율도 나타나 있다.
Figure 112005063026466-pct00007
표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획분1 및 획분2의 어느 것이나, TSNA는 유의하게 제거되어 있지만, 니코틴이 완전히 제거되어 있다. 따라서, 획분1 및 획분2의 어느 것을 이용해도, 니코틴을 함유하는 재생 담배재는 얻을 수 없다는 것이 분명하다.
비교예 2
황색종과 바레종의 혼합비를 바꾼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해서 조제한 농축 담배 추출액 0.22mL를, 평균 입경 7㎛의 폴리스티렌계 음이온교환수지(쌍이온 CH3COO- ; 미쓰비시화학사제 상품명 CDR10)를 충전한 컬럼(직경 4.6mm, 길이 250mm)에 주입했다. 용리제로서 물을 컬럼에 흘리고, 처음에 500mL 분획하고(획분1), 다음에 950mL 분획했다(획분2). 분획전 추출액(미처리 추출액)과 각 획분중에 포함되는 니코틴과 NNN, NNK, NAT 및 NAB의 양을 분석했다. 결과를 하기 표 14에 나타낸다. 표 14에는, 니코틴 감소율 및 TSNA 감소율도 나타나 있다.
Figure 112005063026466-pct00008
표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획분1은, TSNA가 유의하게 제거되어 있지만, 니코틴이 초기량의 100%를 유지하고 있고, 다른쪽 획분2는, 니코틴이 완전히 제거되어 있지만, TSNA의 감소율은 겨우 26%이다. 따라서, 획분1 및 획분2의 어느 것을 이용해도, 유의량의 니코틴을 함유함과 동시에, TSNA를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재생 담배재를 얻을 수 없다는 것은 분명하다.
비교예 3
황색종과 바레종의 혼합비를 바꾼 것 이외에는 실시예 5와 동일하게 해서 조제한 농축 담배 추출액 0.5mL를, 입경 40∼60㎛의 순상분배 크로마토그래피용 실리카계 수지(다이소사제 상품명 Daisoge12000)를 충전한 컬럼(직경 7.5mm, 길이 50mm)에 주입했다. 용리제로서 물을 컬럼에 흘리고, 처음에 10mL 분획하고(획분1), 다음에 10mL 분획하고(획분2), 다음에 10mL 분획하고(획분3), 다음에 10mL 분획하고(획분4), 최후에 110mL 분획했다. 분획전 추출액(미처리 추출액)과 각 획분중에 포함되는 니코틴과 NNN, NNK 및 NAT의 양을 분석했다. 결과를 하기 표 15에 나타낸다. 표 15에는, 니코틴 감소율 및 TSNA 감소율도 나타나 있다.
Figure 112005063026466-pct00009
표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획분1∼획분5의 어느 것이나, TSNA가 유의하게 제거되어 있지만, 니코틴의 감소율은 약 70% 이상에 이른다. 따라서, 획분1∼획분5의 어느 것을 이용해도, 유의량의 니코틴을 함유함과 동시에, TSNA를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재생 담배재를 얻을 수 없다는 것은 분명하다.

Claims (10)

  1. (a) 천연 담배재를 추출 용매로 추출하고, 상기 천연 담배재의 성분을 포함하는 추출액과 추출 잔사를 얻는 공정으로서, 상기 천연 담배재는 소망 성분과 불소망 성분을 포함하는 것인 공정,
    (b) 상기 추출액을 한외여과 또는 역침투여과에 의한 분획조작 또는 역상분배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분획조작에 제공하여 상기 소망 성분이 부화(富化)되고, 상기 불소망 성분이 빈화(貧化)된 제1의 획분과, 상기 소망 성분이 빈화되고, 상기 불소망 성분이 부화된 제2의 획분을 얻는 공정,
    (c) 상기 추출 잔사를 이용해서 재생 담배웹을 조제하는 공정,
    (d) 상기 제1의 획분을, 임의로, 양을 감소시킨 상기 제2의 획분과 함께, 상기 재생 담배웹에 첨가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재생 담배재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획조작을 한외여과막 또는 역침투 여과막을 이용해서 행하여, 막투과 획분과 막 불투과물 획분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담배재의 제조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분획조작을 분획분자량이 다른 막을 이용해서 복수 회 행하여, 얻어지는 막 불투과물 획분 및 막 투과물 획분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상기 재생 담배웹에 첨가하고, 다만 상기 얻어지는 막 불투과물 획분 및 막 투과물 획분의 전부를 상기 재생 담배웹에 첨가하는 경우에는, 상기 얻어지는 막 불투과물 획분 및 막 투과물 획분 중 적어도 하나의 획분의 양을 감소시켜서 상기 재생 담배웹에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담배재의 제조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막 불투과물 획분이 질산 이온이 빈화된 것이며, 이것을 상기 재생 담배웹에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담배재의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획조작을 역상분배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행하고, 상기 추출액으로부터 니트로소아민이 감소한 획분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담배재의 제조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역상분배 크로마토그래피를, (메타)아크릴계 수지, 비닐계 수지 또는 실리카계 수지를 기재로 하는 고정상을 이용해서 행하고, 상기 기재는 탄소수 6 이하의 탄화수소를 포함하는 소수성 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담배재의 제조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니트로소아민이 감소한 획분이, 상기 천연 담배재에 비하여, 니코틴에 대한 니트로소아민의 비율이 감소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담배재의 제조방법.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막 투과물 획분을 역상분배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분획조작에 제공하고, 상기 막 투과물 획분으로부터, 니코틴이 부화되고, TSNA가 제거된 획분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담배재의 제조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막 불투과물 획분이 질산 이온이 빈화된 것이며, 이것을 상기 재생 담배웹에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담배재의 제조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역상분배 크로마토그래피를, (메타)아크릴계 수지, 비닐계 수지 또는 실리카계 수지를 기재로 하는 고정상을 이용해서 행하고, 상기 기재는 탄소수 6 이하의 탄화수소를 포함하는 소수성 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담배재의 제조방법.
KR1020057020809A 2003-05-06 2004-04-26 재생 담배재의 제조방법 KR1007306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28104 2003-05-06
JPJP-P-2003-00128104 2003-05-06
JPJP-P-2003-00384083 2003-11-13
JP2003384083 2003-11-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4975A KR20060004975A (ko) 2006-01-16
KR100730631B1 true KR100730631B1 (ko) 2007-06-20

Family

ID=33436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0809A KR100730631B1 (ko) 2003-05-06 2004-04-26 재생 담배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7677253B2 (ko)
EP (1) EP1623634B1 (ko)
JP (1) JP3867098B2 (ko)
KR (1) KR100730631B1 (ko)
CA (1) CA2524714C (ko)
DK (1) DK1623634T3 (ko)
ES (1) ES2414867T3 (ko)
HK (1) HK1091380A1 (ko)
PT (1) PT1623634E (ko)
RU (1) RU2310353C2 (ko)
TW (1) TWI351257B (ko)
WO (1) WO20040983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558164C (en) * 2004-03-01 2013-01-22 Universite Laval Process and system for separation of organic charged compounds
WO2007032433A1 (ja) * 2005-09-15 2007-03-22 Japan Tobacco Inc. 再生タバコ材の製造方法
WO2007053097A1 (en) 2005-11-07 2007-05-10 Njette Ab Nicotine with a reduced content of nitrosamines .
WO2010110227A1 (ja) * 2009-03-23 2010-09-30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非燃焼タイプたばこシートの製造方法
GB201003887D0 (en) 2010-03-09 2010-05-12 British American Tobacco Co Methods for extracting and isolating constituents of cellulosic material
US20120152265A1 (en) * 2010-12-17 2012-06-21 R.J. Reynolds Tobacco Company Tobacco-Derived Syrup Composition
US9107453B2 (en) 2011-01-28 2015-08-18 R.J. Reynolds Tobacco Company Tobacco-derived casing composition
WO2012124059A1 (ja) * 2011-03-15 2012-09-20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再生タバコ材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WO2012132007A1 (ja) * 2011-03-31 2012-10-04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再生タバコ材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US9420825B2 (en) 2012-02-13 2016-08-23 R.J. Reynolds Tobacco Company Whitened tobacco composition
CN102907760A (zh) * 2012-09-03 2013-02-06 上海聚华科技股份有限公司 调控烟草物化学成分的方法
JP6693747B2 (ja) * 2012-12-21 2020-05-13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植物体中のたばこ特異的ニトロソアミンの低減
US9301544B2 (en) 2013-03-14 2016-04-05 R.J. Reynolds Tobacco Company Protein-enriched tobacco-derived composition
HUE042324T2 (hu) * 2013-03-15 2019-06-28 Philip Morris Products Sa Eljárások egy vagy több dohányspecifikus nitrozamin csökkentésére dohány anyagban
EP3269260A4 (en) * 2015-03-10 2018-10-10 Japan Tobacco, Inc. Method for manufacturing regenerated material for chewing tobacco, and chewing tobacco product
GB201521626D0 (en) * 2015-12-08 2016-01-20 British American Tobacco Co Tobacco composition
US11612183B2 (en) 2015-12-10 2023-03-28 R.J. Reynolds Tobacco Company Protein-enriched tobacco composition
CN106509979B (zh) * 2016-12-26 2018-10-23 福建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组合物及使用该组合物制备烟草提取物的方法
EP3711494A4 (en) * 2017-11-16 2021-07-07 Japan Tobacco Inc. METHOD OF MANUFACTURING A TOBACCO CHARGE CONTAINING A PERFUME, TOBACCO CHARGE CONTAINING A PERFUME AND HEATING-TYPE FLAVOR INHALER
EP3779042A4 (en) 2018-05-29 2021-11-24 Japan Tobacco Inc. NON-COMBUSTION-HEATED TYPE SMOKING PAPER, NON-COMBUSTION-TYPE SMOKING ITEM AND ELECTRIC HEATING TYPE SMOKING SYSTEM
JP2022547977A (ja) 2019-09-11 2022-11-16 ニコベンチャーズ トレーディング リミテッド タバコを白色化するための代替方法
US11369131B2 (en) 2019-09-13 2022-06-28 Nicoventures Trading Limited Method for whitening tobacco
CN111035053B (zh) * 2019-11-27 2022-07-05 内蒙古昆明卷烟有限责任公司 烟蒂焦油中致香成分的提取方法及其在卷烟中的应用
CN111713730B (zh) * 2020-07-17 2021-04-30 杨伟祖 一种烟用增香减害颗粒及其制备方法和应用
US11937626B2 (en) 2020-09-04 2024-03-26 Nicoventures Trading Limited Method for whitening tobacco
WO2023112920A1 (ja) * 2021-12-14 2023-06-22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たばこ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たばこ製品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48275A (en) * 1980-03-05 1981-11-17 Philip Morris Inc Tobacco treatment
JPH05292935A (ja) * 1991-09-30 1993-11-09 R J Reynolds Tobacco Co たばこ再構成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365807A (en) 1972-03-06 1974-09-04 British American Tobacco Co Smoking materials
US4301617A (en) * 1978-08-30 1981-11-24 Shaw Christopher W Model steam locomotives
US4589428A (en) * 1980-02-21 1986-05-20 Philip Morris Incorporated Tobacco treatment
US4364401A (en) * 1980-03-05 1982-12-21 Philip Morris Incorporated Method for selective denitration of tobacco
US4253929A (en) * 1980-03-05 1981-03-03 Philip Morris Incorporated Method for denitration of tobacco employing electrodialysis
JPS62289167A (ja) * 1986-06-10 1987-12-16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たばこ中骨解繊刻の製造方法
US4962774A (en) * 1988-11-16 1990-10-16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Tobacco reconstitution process
US4941484A (en) 1989-05-30 1990-07-17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Tobacco processing
CN1087076A (zh) 1993-07-02 1994-05-25 张德玉 用霉烟或碎烟末提取茄尼醇的工艺方法
RU2259797C2 (ru) 2000-03-10 2005-09-10 Бритиш Америкэн Тобэкко (Инвестментс) Лимитед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табака, установка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варианты) и продукция, получаемая этим способом
KR100879193B1 (ko) * 2000-10-05 2009-01-16 니꼴라스 바스케비치 담배 및 담배 제품 중의 니트로사민의 감소 방법
CN1329855A (zh) 2001-07-31 2002-01-09 杜荣安 一种以烟梗、烟末为原料制造烟叶纸的方法
RU2198575C1 (ru) 2002-03-05 2003-02-20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Дж.Т.И. Елец"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восстановленного табак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48275A (en) * 1980-03-05 1981-11-17 Philip Morris Inc Tobacco treatment
JPH05292935A (ja) * 1991-09-30 1993-11-09 R J Reynolds Tobacco Co たばこ再構成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공개특허공보 5-292935호
일본공개특허공보 56-148275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867098B2 (ja) 2007-01-10
DK1623634T3 (da) 2013-07-15
US7677253B2 (en) 2010-03-16
TWI351257B (en) 2011-11-01
JPWO2004098323A1 (ja) 2006-07-13
EP1623634B1 (en) 2013-06-12
PT1623634E (pt) 2013-08-23
WO2004098323A1 (ja) 2004-11-18
US20060065279A1 (en) 2006-03-30
EP1623634A4 (en) 2011-02-23
CA2524714C (en) 2009-06-02
KR20060004975A (ko) 2006-01-16
CA2524714A1 (en) 2004-11-18
RU2005137852A (ru) 2006-04-27
EP1623634A1 (en) 2006-02-08
ES2414867T3 (es) 2013-07-23
RU2310353C2 (ru) 2007-11-20
HK1091380A1 (en) 2007-01-19
TW200425844A (en) 2004-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0631B1 (ko) 재생 담배재의 제조방법
RU2336789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восстановленного табачного материала
EP1742546B9 (en) Removal of nitrogen containing compounds from tobacco
KR101505333B1 (ko) 니트로스아민 선택성인 분자 각인 중합체 및 이의 사용 방법
RU2504307C2 (ru) Молекулярно впечатанные полимеры, селективные по отношению к специфическим для табака нитрозаминам, и способы их применения
KR100883711B1 (ko) 흡연시의 자극ㆍ매운 맛을 저감시킨 담배재료, 향끽미제, 재생 담배재료, 담배재료의 제조방법, 및 향끽미제의 제조방법
WO2007032433A1 (ja) 再生タバコ材の製造方法
JP2015536150A (ja) タバコ材料の処理
WO2014080225A1 (en) Treatment of tobacco material
CN100415125C (zh) 再生烟草材料的制造方法
US10368576B2 (en) Additive carrying composition
CN104223355B (zh) 一种利用电渗析法分离去除白肋烟提取物中tsna的方法
KR101277013B1 (ko) 프라티코사이드를 고순도로 포함하는 길경 분획물의 분리정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