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9641B1 - 중량물 방향전환장치 및 방향전환방법 - Google Patents

중량물 방향전환장치 및 방향전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9641B1
KR100729641B1 KR1020060001686A KR20060001686A KR100729641B1 KR 100729641 B1 KR100729641 B1 KR 100729641B1 KR 1020060001686 A KR1020060001686 A KR 1020060001686A KR 20060001686 A KR20060001686 A KR 20060001686A KR 100729641 B1 KR100729641 B1 KR 1007296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weight
heavy
coupled
b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1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상진
Original Assignee
수성정밀기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수성정밀기계(주) filed Critical 수성정밀기계(주)
Priority to KR10200600016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96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96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96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03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량물인 대형공작물을 가공에 적합한 위치로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련되는 것으로 간단한 구조를 가지며 신속하고 안전하게 방향전환을 이룰 수 있고 취급이 곤란한 중량물을 자유롭게 전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이를 위해 베드의 일측으로 수직하게 설치되는 두개의 기둥에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되는 이동체를 갖춘 구동유닛과; ㄴ자 형태를 이루어 중량물이 놓여지고 상기 이동체와 일측단부가 회동가능토록 결합되고 외면에는 롤러가 결합되어져 상기 이동체를 따라 승하강 되면서 90도 범위 내에서 방향전환이 이루어지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하부에 위치되며 지지대에 놓인 중량물을 들어올려 베드의 좌우방향으로 움직이는 이송수단과; 상기 구동유닛의 반대측에 위치되며 상기 이송수단에 의해 이동된 중량물을 들어올려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턴테이블;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중량물의 방향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방향전환장치에 관한 것이고 또한 이러한 장치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중량물 방향전환방법에 관한 것이다.
중량물, 방향전환장치, 볼스크류, 구동유닛, 지지대, 반송장치, 턴테이블, 이송수단

Description

중량물 방향전환장치 및 방향전환방법{direction conversion apparatus and method for heavy weight object}
도 1 - 종래기술에 따른 중량물 반전장치의 평단면도.
도 2 - 측단면도.
도 3 -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중량물 방향전환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4 - 도3에 대한 평면도.
도 5 - 도3에 대한 측면도.
<도면에 사용된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0 : 구동유닛 110 : 기둥
120 : 이동체 200 : 지지대
210 : 체결봉 220 : 롤러
230 : 구름판 240 : 접촉로드
300 : 이송수단 310 : 가이드레일
320 : 가동판 330 : 리프팅실린더
340 : 승강판 400 : 턴테이블
500 : 보조실린더 510 : 구름체
b : 베드 m : 모터
본 발명은 선박용 실린더블럭과 같이 대형이며 고중량을 가지는 제품을 가공하기 위해 가공을 위한 소재의 방향을 적절히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중량물 방향전환장치 및 방향전환방법에 관한 것이다.
선박용 각종 부품들은 대부분 크기도 크고 중량도 많아 가공에 어려움이 많은 것이 현실이며, 이러한 가공상 어려움은 대부분 소재를 가공에 적합한 위치로 방향전환하는 것이 용이치 못하기 때문에 발생되고 있다.
즉, 소재의 정면을 가공 후 하면이나 배면 가공을 위해서는 소재를 뒤집거나 돌려야 한다. 가장 원시적인 방법으로는 소재를 크레인으로 들어올린 상태에서 또 다른 크레인으로 소재를 당겨서 원하는 방향으로 돌린 후 지면에 내려놓는 것이다. 이외에도 모래로 이루어진 대형 작업장을 마련하고 소재를 크레인으로 들어올린 후 내던지듯이 하여 적합한 위치에 오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은 작업자에게 큰 안전상 위험이 되며 작업에 있어 효율적이지 못하고 소재에 많은 손상을 주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번호 제346555호의 중량물 반전장치가 제시된 바 있고, 첨부되는 도1은 중량물 반전장치의 평단면도이고, 도2는 측단면도이다.
종래기술에 따른 중량물 반전장치의 구성을 보면, 힌지(12)를 중심으로 양측에 구비되는 한쌍의 적재판(14)과, 적재판의 아래면에서 힌지를 중심으로 구비된 한쌍의 캠(15)과, 캠의 표면 곡선부위와 접촉되어 롤링되는 롤러(16)와, 롤러와 결합되어 캠 표면의 곡선부를 따라 적재판을 90°범위까지 경사시키는 유압실린더(13)와, 유압실린더를 구동하는 유압발생장치로 구성되는 방향전환장치(10)와, 방향전환장치의 양측면에 구비된 체인(32)과 스프로켓(33) 및 중량물 이송판(31)으로 구성되어 중량물을 좌.우로 이송하는 장치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반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에 따른 중량물 반전장치에 있어서는 평면상에 좌우 대칭을 이루는 적재판 등을 갖추어야 하므로 설치공간을 많이 차지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중량물이 놓이는 적재판의 상승은 피스톤에 결합된 롤러가 캠과 직접 접촉되는 것에 의해 캠의 곡선을 따라 적재판이 상승되므로 롤러와 캠의 접촉면에는 엄청난 하중이 작용하게되고 이로 인해 조기손상이 발생 될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상기 종래기술은 작업시에 좌우 대칭의 적재판이 동시 및 동일한 양만큼 상승 또는 하강되어야만 방향전환이라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하지만 장기간 사용에 의해 언급한 바와 같이 어느 일측의 롤러와 캠에 손상이 발생하면 좌우 적재판의 작동이 일치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생기게 된다. 좌우 적재판의 작동이 일치하지 않게 되는 경우에는 중량물이 움직이거나 타 부위에 충격을 줄 수 있는 등의 문제점이 유발될 수 있다.
또한, 종래기술의 경우 중량물이 적재판과 접하는 4면에 대해서만 자유롭게 방향전환이 가능한 구조적 한계를 가지므로 상하면과 좌우면 외에 정면과 배면에 대한 방향전환은 불가능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중량물의 방향전환을 위한 공간이 최소화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신속하고 효율적인 작업이 가능하고 내구성도 우수하며 안전성도 높은 중량물 방향전환장치 및 방향전환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중량물의 모든 면에 대해 원하는 방향으로 방향전환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중량물 방향전환장치 및 방향전환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베드의 일측으로 수직하게 설치되는 두개의 기둥에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되는 이동체를 갖춘 구동유닛과; ㄴ자 형태를 이루어 중량물이 놓여지고 상기 이동체와 일측단부가 회동가능토록 결합되고 외면에는 롤러가 결합되어져 상기 이동체를 따라 승하강 되면서 90도 범위 내에서 방향전환이 이루어지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하부에 위치되며 지지대에 놓인 중량물을 들어올려 베드의 좌우방향으로 움직이는 이송수단과; 상기 구동유닛의 반대측에 위치되며 상기 이송수단에 의해 이동된 중량물을 들어올려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턴테이블;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중량물의 방향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방향전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구동유닛의 기둥 및 이동체는 볼스크류에 의하여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두개의 기둥 사이 공간 베드 위에 보조실린더가 설치되고, 상기 보조실린더의 피스톤 단부에는 회전되는 구름체가 결합되어 상승 또는 하강되는 지지대와 상기 구름체가 접촉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방향전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이송수단은 베드 내부에 좌우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쌍의 가이드레일과; 상기 각 가이드레일과 결합되어 움직이는 가동판과; 상기 가동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리프팅실린더와; 상기 리프팅실린더에 구비되는 피스톤과 연결되는 승강판;으로 구성되어 중량물을 들어올린 상태에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방향전환장치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또한, 본 발명은 ㄴ 자형을 이루는 지지대에 중량물이 놓여지고 상기 지지대는 수직방향으로 상승되는 이동체에 연결되어 90도 만큼 방향전환이 이루어지는 제1반전단계와; 90도 만큼 방향전환된 중량물을 지지대로부터 들어올리고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턴테이블 위에 중량물을 내려놓는 취출단계와; 상기 턴테이블을 원하는 각도만큼 회전시키는 제2반전단계와; 턴테이블에 놓여진 중량물을 들어올려 상기 지지대로 수평이동하여 지지대 위에 상기 중량물을 내려놓은 적재단계와; 상기 이동체가 하강되어 중량물을 90도 만큼 추가로 방향전환시키는 제3반전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중량물을 자유롭게 방향전환시킬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방향전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중량물 방향전환장치에 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중량물 방향전환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며, 도4는 평면도에 해당되고 도5는 측면도를 도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중량물 방향전환장치는 구동유닛(100), 지지대(200), 이송수단(300) 및 턴테이블(400)을 주요한 구성요소로 하며, 상기 구동유닛(100)은 지면에 설치되는 베드(b)의 일측 단부 근처에 수직 상방으로 형성되는 기둥(110)과 상기 기둥에 결합되는 이동체(120)로 구성된다. 상기 이동체(120)는 기둥(110)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이동체(120)는 후술할 지지대(200)의 일단부와 회동가능토록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이동체(120)가 상승하게 되면 지지대(200)도 점차 상승하여 90도 만큼 방향전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예에서 적용되는 구동유닛(100)으로 기둥(110)과 이동체(120)의 조합은 볼스크류를 이용하도록 하며, 상기 기둥의 외면에는 연속적인 스크류홈이 형성되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기둥의 상부 또는 하부에는 기둥에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모터(m)가 설치되며 일반적인 감속기를 거쳐 상기 기둥으로 동력이 전달된다. 상기 기둥이 회전함에 따라 이에 결합되는 이동체는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되며 도4에서와 같이 2개의 기둥(110)이 세워지고 각 기둥에 이동체(120)가 결합되어 지지대(200)와 2개소에서 체결되도록 한다. 볼스크류를 이용한 힘의 전달은 일반적인 공지기술인 바,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겠다. 그리고 상기 이동체의 원활한 동작을 보조할 수 있도록 상기 두개의 기둥(110) 사이에 안내레일(r)을 두 도록 하여 이동체가 안내레일과 결합된 상태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지면에 설치되는 베드(b)는 사각형 형태를 이루며 베드의 상면 일측에 상술한 구동유닛(100)이 형성되고 이에 인접하여 지지대(200)가 설치된다. 상기 지지대(200)는 ㄴ 자형태를 이루며 다수의 바아들이 연결되어 중량물을 적재할 수 있는 형태를 갖추게 된다. 도3 내지 도5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지지대의 일측단부에서 이동체와 연결되며 이를 위해 지지대에는 체결봉(210)이 구비되고 이동체의 승하강에 따라 상기 지지대도 일정한 궤적을 그리며 방향전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지지대의 가장자리 외면에는 다수의 롤러(220)가 설치되며 이에 대응하여 베드의 상면에는 상기 롤러(220)가 접촉하여 구름운동할 수 있도록 구름판(230)이 구비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롤러(220)의 형상을 도4에 보이는 바와 같이 가장자리가 돌출되어 이동시 구름판(230)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도록 한다.
도3의 경우 이동체(120)가 최대로 상승된 경우로서 이동체가 하사점에 있을 때가 초기 상태이며, 초기 상태에서 중량물이 지지대 위에 놓여지고 이동체가 상사점에 이르면 중량물은 초기 상태에 비교하여 90도 만큼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중량물 방향전환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베드(b) 위에 설치되는 두개의 기둥(110) 사이 공간 베드 위에 유압/공압으로 작동되는 보조실린더(500)를 설치하며 상기 보조실린더에 결합되는 피스톤은 지지대(200)를 향하도록 하고 상기 피스톤의 단부에는 회전되는 구름체(510)를 결합하도록 한다. 상기 구름체는 피스톤의 전후진에 따라 이동될 수 있으며 상승 또는 하 강되는 지지대와 접촉되어 상기 지지대가 이동체에 이끌려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게 한다.
즉,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름체(510)가 지지대(200)와 접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지지대(200)의 중심에 상기 구름체(510)의 길이에 상응하는 다수의 접촉로드(240)를 두도록 하며, 피스톤에 연결된 구름체는 지지대의 이동에 따라 적절하게 전후진 동작될 수 있도록 제어토록 한다. 이처럼 구름체가 접촉로드와 접촉되면서 전후진되므로 중량물이 적재된 지지대가 상승/하강시 그 하중에 의해 급작스럽게 이동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송수단에 대해 설명하기로 하며, 상기 이송수단(300)은 지지대(200)의 하부에 위치되어서 지지대에 놓인 중량물을 들어올려 베드(b)의 좌우방향으로 움직이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 이송수단(300)이 사용되는 것은 초기상태(이동체가 하사점에 위치되어 중량물이 지지대에 놓여진 상태)로부터 이동체가 상사점으로 이동되어 90도만큼 방향전환이 이루어진 후, 중량물을 90도 이상으로 방향전환 시키고자 할때 이송수단을 이용하여 지지대에 놓인 중량물을 들어올려 지지대로부터 이격시키고 수평방향으로 이동되어 지지대로부터 중량물을 이탈시키게 된다.
보다 구체적인 이송수단(300)의 구조를 설명하면, 크게 가이드레일(310), 가동판(320), 리프팅실린더(330), 승강판(340)으로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레일(310)은 베드(b) 내부에 좌우방향으로 길다랗게 설치되며 2열을 이루도록 한쌍이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레일(310)에는 판상의 가동판(320)이 결합되며 일반적인 LM가이드의 조합으로 가동판과 가이드레일을 조립함으로서 가동판이 좌우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각 가동판(320)의 상면에는 다수의 리프팅실린더(330)가 설치되며 본 예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가동판(320)에 2개씩의 리프팅실린더(330)를 두도록 한다. 한편, 상기 리프팅실린더에는 피스톤이 구비되며 상기 피스톤의 단부에 판상의 승강판(340)이 결합되어져 있다. 상기 승강판은 길다란 판형상으로서 지지대와 간섭되지 않으며 피스톤의 상승에 의해 이동되어 지지대에 놓인 중량물을 들어올리게 된다.
이와 같이 지지대에 놓인 중량물이 이송수단에 의해 들어올려지면 가이드레일을 따라 가동판이 수평운동하여 지지대로부터 이탈하게 된다. 즉, 도3에서 가동판은 우측으로 이동되어 중량물을 이동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또한 턴테이블(400)이 구비되는데, 상기 턴테이블은 베드(b)의 일측에 형성되는 구동유닛(100)의 반대측에 설치된다. 상기 턴테이블은 이송수단에 의해 이동된 중량물을 이어받아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턴테이블은 일반적인 공지기술을 적용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으로서 구동모터 등과 연계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하면 된다.
한편, 상기 이송수단의 좌우이동 역시 유압 등을 이용하여 수평운동할 수 있도록 하면 되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역시 생략하기로 하겠다. 상기 이송수단 이나 턴테이블의 구동은 다양한 공지기술로 달성될 수 있는 것이므로 단순한 구조변경 등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중량물 방향전환장치의 전체적인 작동원리에 관해 개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하겠다. 언급한 바와 같이 이동체가 하사점에 위치한 것이 초기상태이며 이 상태에서 중량물이 지지대 상부에 놓여지게 된다. 초기상태에서 중량물의 방향을 90도 만큼 방향전환하고자 할 시에 이동체는 기둥을 따라 상사점까지 이동하게 된다. 이동체의 상승에 따라 지지대는 90도 만큼 방향전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후 90도 이상 즉, 190도, 270도 등으로 방향전환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이송수단을 이용하여 지지대에 놓인 중량물을 들어올려 턴테이블이 설치된 곳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턴테이블 측으로 중량물이 이송되면 턴테이블이 중량물을 이어받게 되고 원하는 각도만큼 회전시키도록 한다. 즉, 중량물을 가공에 적합한 위치에 오도록 하기 위해 적합한 각도만큼 회전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중량물은 이송수단에 다시 놓여지고 이송수단은 지지대의 하부로 이동되며 지지대 위에 중량물을 내려놓게 된다. 이후 지지대가 초기상태로 하강되면 중량물은 다시한번 방향전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면, 초기상태에 놓인 중량물의 하면을 상면이 되도록 180도 만큼 방향전환시켜야 한다면, 이동체를 상승시켜 중량물을 90도 만큼 방향전환시켜며, 이어서 90도 만큼 방향전환된 중량물을 이송수단과 턴테이블을 이용하여 180도 만큼 회전시키도록 한다. 이어서 그 상태의 중량물을 지지대 위에 내려놓고 지지대를 초기상태로 복귀시키면 최초 중량물의 하면은 상면에 위치 되어 결국 180도 만큼 방향전환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중량물을 원하는 각도만큼 방향전환시킬 수 있게 되며, 턴테이블을 이용하여 중량물을 회전시키는 각도에 따라 중량물(육면체인 경우)의 모든 면에 대해 원하는 위치에 오도록 방향전환이 가능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중량물 방향전환방법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중량물 방향전환방법은 상술한 중량물 방향전환장치를 이용하는 것이므로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하며, 크게 제1반전단계, 취출단계, 제2반전단계, 적재단계 및 제3반전단계의 5단계로 구성된다.
제1반전단계에서는 초기상태에서(이동체가 하사점에 위치하는 상태) 중량물이 지지대에 놓여지며 이동체가 상승함에 따라 이에 연결되는 지지대가 90도 만큼 방향전환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즉, 초기상태에서는 지지대가 ┛과 같은 형태를 이루는데 90도 만큼 방향전환되면 지지대는┗ 과 같은 형태가 됨으로서 중량물은 일차적으로 방향전환이 이루어진다.
제1반전단계가 이루어진 후에는 지지대에 놓인 중량물을 들어올려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며 턴테이블 위에 중량물을 내려놓게 되는 취출단계가 수행된다. 취출단계를 위해 언급한 이송수단이 사용되며 지지대가 ┗ 과 같은 상태이므로 이송수단으로 중량물을 수직방향으로 들어올린 후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지지대와 간섭없이 중량물을 턴테이블이 위치된 곳까지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취출단계로 중량물은 턴테이블 위에 놓여지는데, 이어서는 제2반전단계가 수 행된다. 상기 턴테이블은 원하는 각도만큼 회전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90 또는 180도 270도로 중량물을 회전시키게 된다.
제2반전단계에 이어서는 적재단계가 뒤따르게 되는데, 본 단계에서는 상기 턴테이블에 놓여진 중량물을 다시 들어올려 지지대로 수평이동하여 지지대 위에 중량물을 내려놓게 된다.
이어서 제3반전단계가 수행되며 여기에서는 ┗ 자 형으로 놓인 지지대를 초기 상태인 ┛ 자 형태로 전환시키게 된다. 이를 위해 상사점에 위치된 이동체가 하사점으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지지대는 90도 만큼 방향전환되고 그 위에 놓인 중량물은 추가로 90도 만큼 더 방향전환 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으로 수십톤에 달하는 중량물을 가공에 적합한 위치로 자유롭게 전환시킬 수 있게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지지대는 90도 만큼만 중량물을 방향전환시킬 수 있으나 턴테이블에서는 다양한 각도로 중량물을 회전시킬 수 있음으로 결국 지지대와 턴테이블의 조합으로서 중량물을 자유롭게 방향전환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중량물 방향전환장치는 종래기술과 달리 그 크기가 작아 설치를 위한 공간확보에 큰 어려움이 없다는 효과가 있고, 대상물이 올려지는 지지대가 고정된 ㄴ자형을 이루므로 종래기술에서 개별적으로 작동되었던 적재판의 경우보다 안전성이 높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신속하게 방향전환이 가능하여 작업성을 높일 수 있으며, 종래기술에서 채용하였던 캠과 롤러에 의한 적재판의 상승동작에 비하여 수직상하로 동작되는 볼스크류와 같은 구성을 사용하므로 회전력의 전달이 확실하고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는 효과도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서는 중량물을 뒤집는 수준으로 방향전환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었으나, 본 발명에 의하면 턴테이블에 의해서 원하는 각도로 회전되게 하므로 모든 면에 대해 자유롭게 방향전환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즉, 종래기술에서는 연속적인 4면에 대해서 방향전환이 이루어지게 하나 본 발명에서는 6면 전체에 대해 원하는 위치에 오도록 방향전환 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중량물 방향전환장치는 중량물을 클램핑 장치와 같은 것을 이용하여 지지대에 고정시킬 필요가 없이 방향전환이 이루어 질 수 있어 신속한 작업을 가능하게 한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베드의 일측으로 수직하게 설치되는 두개의 기둥에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되는 이동체를 갖춘 구동유닛과;
    ㄴ자 형태를 이루어 중량물이 놓여지고 상기 이동체와 일측단부가 회동가능토록 결합되고 외면에는 롤러가 결합되어져 상기 이동체를 따라 승하강되면서 90도 범위 내에서 방향전환이 이루어지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하부에 위치되며 지지대에 놓인 중량물을 들어올려 베드의 좌우방향으로 움직이는 이송수단과;
    상기 구동유닛의 반대측에 위치되며 상기 이송수단에 의해 이동된 중량물을 들어올려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턴테이블;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중량물의 방향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방향전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구동유닛의 기둥 및 이동체가 볼스크류에 의하여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방향전환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물 방향전환장치는,
    상기 두개의 기둥 사이 공간 베드 위에 보조실린더가 설치되고, 상기 보조실린더의 피스톤 단부에는 회전되는 구름체가 결합되어 상승 또는 하강되는 지지대와 상기 구름체가 접촉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방향전환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은,
    베드 내부에 좌우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쌍의 가이드레일과;
    상기 각 가이드레일과 결합되어 움직이는 가동판과;
    상기 가동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리프팅실린더와;
    상기 리프팅실린더에 구비되는 피스톤과 연결되는 승강판;으로 구성되어 중량물을 들어올린 상태에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방향전환장치.
  5. ㄴ 자형을 이루는 지지대에 중량물이 놓여지고 상기 지지대는 수직방향으로 상승되는 이동체에 연결되어 90도 만큼 방향전환이 이루어지는 제1반전단계와;
    90도 만큼 방향전환된 중량물을 지지대로부터 들어올리고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턴테이블 위에 중량물을 내려놓는 취출단계와;
    상기 턴테이블을 원하는 각도만큼 회전시키는 제2반전단계와;
    턴테이블에 놓여진 중량물을 들어올려 상기 지지대로 수평이동하여 지지대 위에 상기 중량물을 내려놓은 적재단계와;
    상기 이동체가 하강되어 중량물을 90도 만큼 추가로 방향전환시키는 제3반전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중량물을 자유롭게 방향전환시킬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방향전환방법.
KR1020060001686A 2006-01-06 2006-01-06 중량물 방향전환장치 및 방향전환방법 KR1007296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1686A KR100729641B1 (ko) 2006-01-06 2006-01-06 중량물 방향전환장치 및 방향전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1686A KR100729641B1 (ko) 2006-01-06 2006-01-06 중량물 방향전환장치 및 방향전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9641B1 true KR100729641B1 (ko) 2007-06-18

Family

ID=38372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1686A KR100729641B1 (ko) 2006-01-06 2006-01-06 중량물 방향전환장치 및 방향전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964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6609B1 (ko) 2008-07-21 2010-05-11 (주)씨엔아이 테크 중량물 반전 장치
KR20200050653A (ko) * 2018-11-02 2020-05-12 주식회사 제워디 슬라이딩 턴테이블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6761A (ko) * 1999-11-01 2000-02-07 류득룡 중량물 가공용 방향전환장치
KR200346555Y1 (ko) * 2003-12-26 2004-04-01 최성우 중량물 반전장치
KR100431758B1 (ko) * 2003-12-26 2004-05-17 최성우 중량물 반전장치
KR20050116896A (ko) * 2004-06-08 2005-12-13 오성주 음성데이터 통신시스템에서 데이터서비스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6761A (ko) * 1999-11-01 2000-02-07 류득룡 중량물 가공용 방향전환장치
KR200346555Y1 (ko) * 2003-12-26 2004-04-01 최성우 중량물 반전장치
KR100431758B1 (ko) * 2003-12-26 2004-05-17 최성우 중량물 반전장치
KR20050116896A (ko) * 2004-06-08 2005-12-13 오성주 음성데이터 통신시스템에서 데이터서비스장치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6609B1 (ko) 2008-07-21 2010-05-11 (주)씨엔아이 테크 중량물 반전 장치
KR20200050653A (ko) * 2018-11-02 2020-05-12 주식회사 제워디 슬라이딩 턴테이블
KR102111154B1 (ko) * 2018-11-02 2020-05-14 주식회사 제워디 슬라이딩 턴테이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311807B (zh) 数控重型h型钢自动装夹焊接生产线
CN203229195U (zh) 一种辊道装置
CN203545105U (zh) 一种双层旋转升降机
JP2011178387A (ja) 船舶のローンチングシステム
CN106272949A (zh) 翻转设备、翻转方法及预制件生产系统
CN106241328B (zh) 输送线体上的举升平移装置
KR20190093309A (ko) 고중량 콘크리트 성형물 틸팅 반송장치
KR100713005B1 (ko) 중량물 방향전환장치
KR100729641B1 (ko) 중량물 방향전환장치 및 방향전환방법
CN111807014A (zh) 一种钢拱架运送装置
KR102178970B1 (ko) 중량물 반전장치
KR100927205B1 (ko) 중량물 반전기
US3827682A (en) Apparatus for rotation of plates to facilitate weldment
CN106672628A (zh) 玻璃基板旋转设备
JP4014903B2 (ja) インゴットの積上げ方法及びその装置
JP6762605B2 (ja) 金型分離反転装置
CN112878666B (zh) 叠合剪力墙翻面组模系统及方法
CN212402385U (zh) 一种多层陶瓷砖水平方向垂直转弯输送装置
KR20060026332A (ko) 대형 구조물 이동 및 잭킹 장치
CN112775607A (zh) 翻转装置及翻转焊接设备
CN113980690A (zh) 焦炉模块化砌块砌筑装置
KR20120027731A (ko) 중량물 방향 변경장치
CN110921569B (zh) 长条型材物料自动卸料机及工作方法
KR100431758B1 (ko) 중량물 반전장치
JP2001019118A (ja) リフ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1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