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9587B1 - 생리용 쇼트 - Google Patents

생리용 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9587B1
KR100729587B1 KR1020010011435A KR20010011435A KR100729587B1 KR 100729587 B1 KR100729587 B1 KR 100729587B1 KR 1020010011435 A KR1020010011435 A KR 1020010011435A KR 20010011435 A KR20010011435 A KR 20010011435A KR 100729587 B1 KR100729587 B1 KR 1007295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spension member
crotch
road
menstrual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1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7346A (ko
Inventor
나오자키사토시
와다미쯔히로
수가아야미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87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73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95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95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66Garments, holders or supports not integral with absorbent pads
    • A61F13/68Garments, holders or supports not integral with absorbent pads abdominal enclosing type
    • A61F13/72Garments, holders or supports not integral with absorbent pads abdominal enclosing type with endless waist encircling band, e.g. panty ty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0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separable parts, e.g. combination of disposable and reus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9/00Undergarments
    • A41B9/004Undergarments characterized by the crotc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Undergarments, Swaddling Clothes, Handkerchiefs Or Underwear Material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Jellies, Jams, And Syrups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종래의 생리용 쇼트는 생리용 냅킨을 고간부에 확실하게 밀착시킬 수 없고, 또한 탄성실을 갖는 것에서는 쇼트가 흘러내리기 쉬우며, 또한 주름이 발생하기 쉽다.
앞길(21), 가랑이부(23) 및 뒷길(22)에 걸쳐서 신축성 소재로 형성된 현수 부재(26)가 설치되고, 그 양측부에 연장 천(31)이 설치되어 있다. 뒷길(22)에 있어서 현수 부재(26)는 폭 치수가 서서히 커져 몸통 둘레(24)에 이르고 있기 때문에, 현수 부재의 수축 응력이 몸통 둘레부(24)에 있어서 분산하도록 되고, 쇼트를 흘러내리게 하려는 국부적인 응력이 작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흘러내리기 어려워 생리용 냅킨을 고간부에 확실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생리용 쇼트{SANITARY SHORT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생리용 쇼트를 도시하는 것으로, (A)는 정면도, (B)는 배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생리용 쇼트의 전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생리용 쇼트를 도시하는 것으로, (A)는 정면도, (B)는 배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하는 생리용 쇼트의 전개도.
도 5는 종래의 생리용 쇼트를 도시하는 것으로, (A)는 정면도, (B)는 배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앞길
22 : 뒷길
23 : 가랑이부
24 : 몸통 둘레부
25 : 다리 개구부
26 : 현수 부재
26a, 26b : 폭이 좁은 부분
26c, 26f : 만곡 가장자리부
31, 41 : 연장 천
본 발명은 장착성 및 착용감이 우수한 생리용 쇼트에 관한 것이다.
생리용 쇼트는 경혈의 누설이나 외부로의 침출을 방지하기 위해서, 통상의 여성용 쇼트의 가랑이 천부 내측에 방수 천을 추가하여 재봉한 구조로 되어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생리용 쇼트는 스포츠, 취침시, 신체의 움직임이나 자세의 변화 등에 의한 가로 누설 등을 방지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에, 상기 방수 천의 재봉 위치나 면적이 연구되고, 또한 생리용 쇼트 전체의 구조도, 생리용 냅킨의 장착성이나 착용감을 우수한 것으로 하는 고안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표평9-504194호 공보에는 상기와 같은 고안이 이루어진 생리용 쇼트가 개시되어 있다. 도 5는 상기 공보에 개시된 생리용 쇼트 중 대표적인 것을 도시한 것으로, (A)는 정면도, (B)는 배면도이다.
도 5에 도시하는 생리용 쇼트는 전방부(1), 후방부(2) 및 가랑이부(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생리용 쇼트는 허리부에 있어서 상기 전방부(1) 및 상기 후방부(2)를 따라 부착된 탄성 리본(4, 5)으로 형성된 허리 탄성체와, 상기 탄성 리본(4)과 상기 탄성 리본(5)의 양측을 접합함으로써 형성되는 한 쌍의 다리 개구부(6, 7)를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생리용 쇼트에는 중심선 O-O를 따라, 전방부(1), 가랑이부(3) 및 후방부(2)를 통과하는 탄성실(11, 12)을 가지고 있고, 이 탄성실(11, 12)의 단부는 상기 탄성 리본(4)과 상기 탄성 리본(5)에 접합되어 있다. 상기 탄성실(11, 12)은 전방부(1)에 있어서는 가랑이부(3)의 중심선 O-O의 근방으로부터 상기 탄성 리본(4)을 향하여 간격이 서서히 넓어지도록 배치되고, 후방부(2)에 있어서는 가랑이부(3)의 중심선 O-O의 근방으로부터 상기 탄성실(11, 12)이 서로 평행하게 상기 탄성 리본(5)을 향하여 연장되고 있다.
또한, 상기 탄성실(11, 12)의 배치 위치의 옆쪽에는 별도의 탄성실(13, 14)이 부착되어 있다. 이 탄성실(13, 14)은 전방부(1), 가랑이부(3) 및 후방부(2)에 걸쳐서 연장되고, 그 단부가 상기 탄성 리본(4) 및 상기 탄성 리본(5)에 접속되어 있다. 이 탄성실(13, 14)은 상기 중심선 O-O을 따라, 상기 가랑이부(3)로부터 각 탄성 리본(4) 및 탄성 리본(5)을 향하여 간격이 서서히 넓어지도록 부착되고 있다.
도 5에 도시한 생리용 쇼트에서는, 가랑이부(3)에 있어서는 4개의 탄성실(11, 12, 13, 14)에 의해 생리용 냅킨을 신체에 압박하도록 하고, 또한 탄성실(11, 12, 13, 14)로 가랑이부(3)를 위쪽으로 현수하도록 하며, 가랑이부(3)에서의 생리용 냅킨의 옆으로 어긋남을 방지하여 생리용 냅킨으로부터의 경혈의 누설이나 외부로의 침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생리용 쇼트에서는 가랑이부(3)를 현수하기 위한 탄성 부재로서 4개의 가는 탄성실(11, 12, 13, 14)을 이용하고 있다. 따라서, 전방부(1) 의 아래쪽 위치 및 후방부(2)에서의 아래쪽 위치에서는 가는 탄성실(11, 12, 13, 14)이 간격을 둔 상태로 장착자의 피부에 국부적으로 맞닿기 때문에 착용 감촉이 매우 나빠진다.
또한, 가랑이부(3)에 장착되는 생리용 냅킨을 현수하는 기능을 갖는 탄성실(11, 12, 13, 14)은 생리용 쇼트의 전방부(1) 및 후방부(2)에 있어서 탄성 리본(4) 및 탄성 리본(5)에 대하여 각각 1점에서 접합된 구조이다. 여기서 탄성 리본(4) 및 탄성 리본(5)이 그 탄성력에 의해 신체의 허리부로 밀착될 때, 쇼트의 흘러내림을 방지하고 있는 것은 주로 탄성 리본의 양측부이고, 배측과 등측(엉덩이측)에서는 탄성 리본과 신체의 밀착도가 약간 낮게 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탄성실(11, 12, 13, 14)이 각각 1점에서 탄성 밴드 및 탄성 리본(5)에 접속되어 있으면, 탄성실의 수축 장력이 탄성 리본(4) 및 탄성 리본(5)에 국부적으로 작용하게 되고, 상기 배측 및 등측(엉덩이측)에 맞닿아 있는 탄성 리본(4) 및 탄성 리본(5)이 가랑이부(3)를 향하여 만곡하기 쉽다. 그 결과 쇼트가 흘러내리기 쉬워진다. 또한, 탄성실(11, 12, 13, 14)의 중앙선 O-O을 따르는 방향의 탄성 수축력이 저하하게 되기 때문에, 생리용 냅킨을 가랑이부(3)의 내측에 있어서 신체에 탄성적으로 억압하는 힘 그 자체가 저하하여 생리용 냅킨의 어긋남이 발생하기 쉽다.
또한, 기본적으로 가는 탄성실(11, 12, 13, 14)이 전방부(1) 및 후방부(2)를 형성하는 천에 부착된 구조이므로, 탄성실(11, 12, 13, 14)의 부분에서 상기 천에 주름이 발생하기 쉽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장착한 상태로 탄성실(11, 12, 13, 14)의 느슨함이 발생하기 쉬운 구조이므로, 쇼트를 튼튼히 끌어 올려 착용해도 탄성실의 부분에서 천에 주름이 발생하기 쉽다.
상기 주름은 신체의 배부나 등부(엉덩이부)에 있어서 장착자의 피부에 위화감을 느끼게 하게 되어 착용 감촉이 매우 나빠진다. 또한, 상기 주름이 바깥쪽 팬츠 등에도 영향을 미쳐, 밖에서 주름의 발생이 보이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가랑이부에 장착되는 생리용 냅킨을 현수하는 기능을 발휘하는 탄성 부재의 느슨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생리용 냅킨의 옆으로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흘러내리기 어렵고 주름이 발생하기 어려운 생리용 쇼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앞길과, 뒷길과, 상기 앞길과 상기 뒷길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부와, 상기 앞길의 위 가장자리부와 상기 뒷길의 위 가장자리부로 형성된 몸통 둘레부와, 상기 앞길의 양측 가장자리와 뒷길의 양측 가장자리의 접합부의 밑에 형성되는 한 쌍의 다리 개구부를 갖는 생리용 쇼트에 있어서,
상기 앞길로부터 상기 가랑이부 및 상기 뒷길에 걸쳐서 연장되는 신축성 소재로 형성된 현수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현수 부재는 상기 뒷길에 있어서 상기 몸통 둘레부로부터 상기 가랑이부를 향해서 폭 치수가 서서히 줄어들도록 형성되어 있고,
적어도 상기 가랑이부에서는 상기 현수 부재의 양측으로부터 상기 다리 개구 부로 연장되는 연장 천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랑이부에서는 상기 현수 부재의 폭 치수(W1)가 10 mm 이상이고 40 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mm 이상이고 40 mm 이하이다.
또한, 상기 현수 부재에는 폭 치수가 상기 W1의 범위 내가 되는 폭이 좁은 부분이 상기 가랑이부로부터 상기 뒷길의 도중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앞길에 위치하는 현수 부재의 양측부와, 뒷길에 위치하는 현수 부재의 양측부가 접합되어, 상기 몸통 둘레부가 상기 현수 부재를 형성하는 상기 신축 소재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장 천은 상기 가랑이부로부터 상기 뒷길에 걸쳐서 설치되는데, 상기 가랑이부로부터 상기 뒷길에 걸쳐서 연장되는 상기 연장 천에 의해 엉덩이 지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할 수 있다.
혹은, 앞길에 있어서도 상기 현수 부재로부터 양옆쪽으로 연장되는 연장 천이 설치되고, 앞길에 위치하는 상기 연장 천의 양측부와, 상기 뒷길에 위치하는 상기 연장 천이 접합되어 상기 다리 개구부의 주위 전체 둘레가 상기 연장 천의 소재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앞길이 상기 현수 부재를 형성하는 소재만으로 형성되어도 좋다.
상기 연장 천을 형성하는 소재는 신축성을 가지고 있지 않은 것, 또는 동일한 인장력을 부여했을 때의 신장량이 상기 현수 부재보다도 작은 것이다. 혹은 상 기 연장 천을 형성하는 소재는 신축성을 가지고, 동일한 길이까지 연장시켰을 때의 수축 응력이 상기 현수 부재를 형성하는 신축 소재의 수축 응력보다도 낮은 것이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가랑이부 또는 상기 가랑이부로부터 상기 뒷길을 향하여 연장되는 부분의 내측에 신축성이고, 또한 투습성인 방수대가 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생리용 쇼트는 신축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된 현수 부재가 가랑이부로부터 뒷길의 몸통 둘레부에 걸쳐서 설치되고, 이 현수 부재는 가랑이부로부터 서서히 폭 치수가 넓어져 상기 몸통 둘레부에 이르고 있다. 따라서, 몸통 둘레부에 있어서 현수 부재의 수축 장력이 국부적으로 작용하는 일이 없고, 몸통 둘레부의 각부에 분산되어 작용한다.
따라서, 쇼트가 흘러내리기 어렵게 되어 뒷길의 전체가 등부 또는 엉덩이부에 밀착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현수 부재가 느슨해지기 어렵게 되어 가랑이부에 있어서 생리용 냅킨이 신체에 확실하게 밀착시켜져 옆으로 어긋나는 일이 발생하기 어렵다. 또한, 뒷길에 주름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뒷길에서는 현수 부재의 양옆쪽에 있어서 신축성이 낮은 연장 천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 연장 천에 의해서, 통상의 쇼트와 마찬가지로 둔부를 지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생리용 쇼트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생리용 쇼트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 1(A)는 정면도, 도 1(B)는 배면도, 도 2는 그 전개 평면도이다.
도 1와 도 2에 도시하는 생리용 쇼트는 앞길(21), 뒷길(22), 가랑이부(23)로 구성되어 있다.
도 1과 도 2에서는 앞길(21), 가랑이부(23), 뒷길(22)이 연속하는 Y 방향을 세로 방향으로 하고, 이것과 직교하는 X 방향을 가로 방향으로 한다. 또한, 가로 방향의 중심에서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앙선을 O-O로 한다.
도 2에 도시하는 앞길(21)의 측 가장자리(21a)와 뒷길(22)의 측 가장자리(22a)가 접합되고, 앞길(21)의 측 가장자리(21b)와 뒷길(22)의 측 가장자리(22b)가 접합됨으로써, 몸통 둘레부(24) 및 다리 개구부(25, 25)를 갖는 쇼트가 형성된다.
상기 쇼트의 가로 방향의 중심 영역에서는 상기 중심선 O-O을 따라 현수 부재(26)가 설치되어 있다. 이 현수 부재(26)는 고신축성 소재로 형성되어 있고, 신축성의 부직포, 고무실 등의 탄성실이 짜넣여진 신축성 직포, 또는 다수의 개공을 갖는 통기성 고무 시트 등으로 형성되어 있다.
현수 부재(26)는 가랑이부(23)에 있어서 폭 치수인 W1이 10 mm 이상이고 40 mm 이하, 바람직하게는 20 mm 이상이고 40 mm 이하인 폭이 좁은 부분(26a)으로 되어 있다. 이 폭이 좁은 부분(26a)은 쇼트의 가랑이부(23)의 최하단(Oy)을 중심으로 하여 세로 방향으로 적어도 50 mm 이상의 범위에서 연장되는 가랑이 영역(I)에 있어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랑이부(23)로부터 뒷길(22)의 중턱부에 걸리는 경계 영역(II)에 있어서도 현수 부재(26)는 폭 치수가 상기 W1의 범위인 폭이 좁은 부분(26b)으로 되어 있다.
상기 영역(I),(II)에 있어서의 상기 폭이 좁은 부분(26a, 26b)의 폭 치수는 일정해도 좋고, 혹은 상기 수치 범위(W1) 내에서 폭 치수가 변화해도 좋다.
뒷길(22)에 있어서, 상기 경계 영역(II)을 넘은 위치로부터 몸통 둘레부(24)를 향하여 상기 현수 부재(26)에 오목형의 만곡 가장자리부(26c, 26c)가 형성되고, 상기 현수 부재(26)의 X 방향의 폭 치수가 서서히 커지고 있다. 그리고, 뒷길(22)의 몸통 둘레부(24: 몸통 둘레부의 후부)에 있어서는 현수 부재(26)의 폭 치수가 몸통 둘레부(24)의 X 방향의 폭 치수의 전체 길이와 일치하고 있다.
현수 부재(26)의 상기 폭 치수가 W1이 되는 상기 경계 영역(II)의 길이는,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쇼트를 신체에 장착시키는 입체 형상으로 했을 때의 쇼트의 상기 최하단(Oy)으로부터의 높이 치수를 H로 했을 때에, 상기 최하단(Oy)으로부터 상기 경계 영역(II)의 상한까지의 높이(III)가 상기 높이 치수(H)의 4/5이하 1/4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폭 치수(W1)는 생리용 냅킨의 폭 치수보다도 작도록 설정되어 있다. 생리용 냅킨의 본체 부분(윙을 제외한 부분)의 폭 치수는 40∼70 mm의 범위이므로, 상기 가랑이부(23)에 위치하는 현수 부재(26)의 폭이 좁은 부분(26a)의 폭 치수(W1)는 상기한 바와 같이 10 mm 이상 40 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랑이부(23)로부터 뒷길(22)에 이르기까지의 경계 영역(II)에 있어서의 현수 부재(26)의 폭이 좁은 부분(26b)의 폭 치수가 상기 W1의 범위이고, 이 경계 영역(II)의 길이가 쇼트의 높이(H)의 4/5 이하 1/4 이상이므로, 쇼트를 장착했을 때에는 상기 폭이 좁은 부분(26b)이 둔부의 골짜기부에 들어가도록 장착된다.
앞길(21)에서는 현수 부재(26)의 폭 치수가 상기 가랑이부(23)의 (I)의 영역을 넘은 위치로부터 그대로 폭 치수가 서서히 커지도록 오목형의 만곡 가장자리부(26f, 26f)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앞길(21)의 몸통 둘레부(24: 몸통 둘레부의 전방부)에서는 현수 부재(26)의 폭 치수가 몸통 둘레부(24)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일치하고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쇼트가 신체에 장착되는 입체 형상이 된 상태로, 뒷길(22)의 현수 부재(26)의 폭 치수가 상기 W1인 부분에 대향하는 앞길(21)에 있어서, 상기 현수 부재(26)의 폭 치수(W2)가 상기 W1보다도 커져있다.
앞길(21)에 있어서 현수 부재(26)의 폭 치수(W2)가 뒷길(22)에서의 현수 부재(26)의 폭 치수(W1)보다도 넓게 되어 있기 때문에, 장착했을 때에 치골 부분이나 하복부에 국부적인 압박감이 주어지지 않는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앞길(21)의 몸통 둘레부에 있어서는 상기 현수 부재(26)의 가장자리부(26d, 26d)가 앞길(21)의 측 가장자리(21a, 21b)에 일치하고 있고, 뒷길(22)의 몸통 둘레부에 있어서도 현수 부재(26)의 가장자리부(26e, 26e)가 상기 뒷길(21)의 측 가장자리(22a, 22b)에 일치하고 있다. 따라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쇼트가 형성된 상태에서는 상기 가장자리부(26d)와 가장자리부(26e)가 몸통 둘레 부분에 접합되고, 쇼트의 몸통 둘레(24)의 전체 둘레가 상기 현수 부재(26)와 동일한 소재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몸통 둘레부(24)에서는 그 전체 둘레에 걸쳐서 탄성 부재(27)가 부착되어 있고, 몸통 둘레부(24)의 전체 둘레에 있어서 신체에 탄성적으로 맞닿은 허 리 밴드가 형성되어 있다.
도 1과 도 2에 도시하는 생리용 쇼트에서는 상기 현수 부재(26)의 양측옆에 연장 천(31, 31)이 설치되어 있다. 연장 천(31, 31)과 현수 부재(26)는 그 경계부에 있어서 서로 봉합되어 있어도 좋고, 또는 쇼트 전체가 상기 연장 천(31)에 의해 형성되고 그 중앙 부분에 상기 현수 부재(26)가 겹쳐져 봉합되어 있는 것이어도 좋다.
상기 연장 천(31)은 직포 또는 부직포 등이지만, 연장 천(31)은 거의 신축성을 나타내지 않는 천으로 형성되어 있다. 혹은, 현수 부재(26)의 소재와 연장 천(31)의 소재를 동일한 폭 치수로 하고 동일한 인장력을 부여했을 때에, 그 신장량은 현수 부재(26)의 소재쪽이 연장 천(31)의 소재보다도 길게 되도록 각 소재가 선택된다. 혹은, 연장 천(31)이 신축성 소재이며 현수 부재(26)의 소재와 연장 천(31)의 소재를 동일한 폭 치수로 하여 동일한 길이만큼 인장했을 때에, 현수 부재(26)의 소재의 수축 응력이 연장 천(31)의 소재의 수축 응력보다도 강하게 되도록 각 소재가 선택된다.
도 1과 도 2에 도시하는 것에서는 상기 연장 천(31)이 앞길(21), 뒷길(22) 및 가랑이부(23)의 모든 영역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앞길(21)에서는 연장 천(31)의 양단부(31a, 31a)가 앞길(21)의 측 가장자리(21a, 21b)와 일치하고, 뒷길(22)에 있어서의 연장 천(31)의 양단부(31b, 31b)가 뒷길(22)의 측 가장자리(22a, 22b)와 일치하고 있다.
따라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쇼트가 형성된 상태에서는, 연장 천(31)의 상기 양단부(31a, 31a)와, 양단부(31b, 31b)가 접합되고, 이 연장부(31)의 접합부의 밑으로 다리 개구부(25, 25)가 형성되어 있다. 즉, 다리 개구부(25, 25)의 주위 전체 둘레가 상기 연장 천(31)의 소재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다리 개구부(25, 25)의 둘레 가장자리부에는 탄성 부재(32)가 전체 둘레에 설치되고, 다리 체결 밴드가 형성되어 있다.
가랑이부(23)에 있어서, 상기 현수 부재(26) 및 연장 천(31)을 포함한 폭 치수(W2)는 생리용 냅킨의 본체 부분의 폭 치수와 거의 일치하고 있고, 바람직하게는 30 mm 이상이고 70 mm 이하이다. 이 가랑이부(23) 내측에는 신축성 및 투습성이 있는 방수대(33)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가랑이부(23)로부터 뒷길(22)에 연장되는 상기 연장 천(31)에 의해 엉덩이 지지부(31c)가 형성되고, 가랑이부(23)로부터 앞길(21)에 연장되는 상기 연장 천(31)에 의해 하복부 지지부(31d)가 형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생리용 쇼트는 가랑이부(23)의 내측에, 예컨대 윙 부착 등의 생리용 냅킨을 설치한 상태로 착용한다. 착용 상태에서는 앞길(21), 가랑이부(23) 및 뒷길(22)에 걸쳐서 신축성 소재로 형성된 현수 부재(26)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쇼트를 장착한 상태에서 가랑이부(23)의 내측에 설치된 생리용 냅킨이 상기 현수 부재(26)의 탄성력을 받아 신체에 확실하게 압박되게 된다.
여기서, 가랑이부(23)에서는 현수 부재(26)의 폭이 좁은 부분(26a)의 폭 치수(W1)가 생리용 냅킨의 본체 부분보다도 폭이 가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생리용 냅킨의 폭 방향에서의 중앙 부분이 상기 폭이 좁은 부분(26a)에 의해 신체에 압박 된다. 즉, 생리용 냅킨은 폭 방향의 중앙부가 신체측으로 볼록 형상이 되는 상태로 신체에 압박되기 때문에, 생리용 냅킨의 본체 부분이 신체에 확실하게 밀착한다. 또한, 가랑이부(23)에서는 현수 부재(26)의 폭이 좁은 부분(26a)의 양측에 연장 천(31)이 연장되고 있고, 이 연장 천(31)은 현수 부재(26)보다도 신축성이 뒤떨어지거나 혹은 현수 부재보다도 수축 응력이 작은 신축성 소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생리용 냅킨의 상기 현수 부재(26)의 양측에 밀려나와 있는 부분은 상기 연장 천(31)에 의해 신체에 가볍게 억압되는 상태가 된다.
또한, 현수 부재(26)는 경계 영역(II)에 있어서 폭 치수가 W1인 폭이 좁은 부분(26b)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폭이 좁은 부분(26b)은 둔부의 골짜기 사이에 들어가도록 장착된다. 폭이 좁은 부분(26b)이 둔부의 골짜기 사이에 들어감으로써, 가랑이부에서는 폭이 좁은 부분(26a)이 신체의 고간부로부터 떨어지기 어렵게 되어 가랑이부(23)에 있어서 생리용 냅킨의 중앙부가 신체에 튼튼히 압박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신체에 밀착하고 있는 생리용 냅킨은 가로 방향으로 위치가 어긋나기 어렵고, 또한 중앙부가 볼록 형상이 되어 신체에 밀착하고 있기 때문에, 생리용 냅킨으로부터의 경혈의 가로 누출이 생기기 어려우며, 또한 쇼트로부터의 경혈의 가로 누출도 생기기 어렵다.
또한,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뒷길(22)에서는 현수 부재(26)에 상기 폭이 좁은 부분(26b)에 연속하는 만곡 가장자리부(26c, 26c)가 형성되고, 현수 부재(26)는 폭 치수가 서서히 커지면서 몸통 둘레부(24)에 이르고 있다. 또한, 앞길(21)에 있어서도 현수 부재(26)는 만곡 가장자리부(26f)를 가짐에 따라 폭 치수 가 서서히 커지면서 몸통 둘레부(24)에 이르고 있다. 그리고 몸통 둘레부(24)의 주위 전체 길이가 상기 현수 부재(26)의 소재로 형성되어 있다.
앞길(21)과 뒷길(22)에 있어서, 특히 상기 뒷길(22)에 있어서 현수 부재(26)의 폭 치수가 서서히 커져 몸통 둘레부(24)에 이르는 형상이므로, 생리용 냅킨을 현수하고 있는 현수 부재(26)의 수축 응력이 몸통 둘레부(24)에 있어서 국부적으로 집중하는 일이 없고, 상기 응력이 몸통 둘레부(24)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분포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한 종래예와 같이 몸통 둘레부(24)가 가랑이 방향에 국부적으로 만곡하는 것 같은 일이 없고, 몸통 둘레부(24)가 신체에 확실하게 밀착하기 쉽다. 즉, 몸통 둘레부(24)에서는 탄성 부재(27)의 탄성 수축력 및 현수 부재(26)를 형성하는 소재의 탄성 수축력에 의해서 신체의 몸통 둘레에 밀착한다. 이 때, 도 1의 좌우 양측 부분에서는 몸통 둘레가 신체의 허리뼈의 부분에 걸려 내려가는 것이 방지되고,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현수 부재(26)의 수축 응력이 등부 및 배부에 있어서 몸통 둘레부(24)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분포하게 되기 때문에, 장착 중인 신체의 움직임에 의해서 쇼트가 흘러내리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가랑이부(23)에 있어서 생리용 냅킨을 누르고 있는 현수 부재(26)의 폭이 좁은 부분(26a)에 느슨함이 생기기 어렵게 되고, 고간부에 장착되어 있는 생리용 냅킨이 움직이기 어렵게 된다.
또한, 현수 부재(26)는 신체의 고간부로부터 둔부의 골짜기부 및 엉덩이 상부에 걸쳐서 신체에 밀착하기 때문에, 현수 부재(26)의 부분에 느슨함에 의한 주름 이 발생하기 어렵고, 또한 신체에 대한 착용감이 우수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생리용 쇼트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A)는 정면도, (B)는 배면도, 도 4는 그 전개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생리용 쇼트에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것과 거의 동일한 형상의 현수 부재(26)가 설치되어 있다. 현수 부재(26)는 가랑이부(23)에 있어서 폭 치수가 상기 W1의 폭이 좁은 부분(26a)이며, 가랑이부(23)로부터 뒷길(22)에 이르기까지의 경계 영역에도 상기 폭 치수(W1)의 폭이 좁은 부분(26b)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뒷길(22)에서는 상기 폭이 좁은 부분(26b)에 연속하는 오목형의 만곡 가장자리부(26c, 26c)가 형성되고, 현수 부재(26)의 폭 치수가 서서히 커져 몸통 둘레부(24)에 이르고 있다.
또한, 앞길(21)에 있어서도 현수 부재(26)는 만곡 가장자리부(26f, 26f)를 가지고 있고, 현수 부재(26)는 폭 치수가 서서히 커져 몸통 둘레부(24)에 이르고 있다.
도 3과 도 4에 도시하는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한 연장 천(31)과 동일한 소재로 형성된 연장 천(41)이 설치되고, 이 연장 천(41)은 현수 부재(26)의 양측부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다만, 도 3과 도 4에 도시하는 것에서는 연장 천(41)이 가랑이부(23)에 있어서의 폭이 좁은 부분(26a)의 양측으로부터 뒷길(22)의 현수 부재(26)의 양측에 이르는 영역에만 설치되어 있고, 앞길(21)에는 연장 천(41)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쇼트가 형성된 상태에서는 앞길(21)에 위치하는 현 수 부재(26)의 폭 방향의 양단부와, 뒷길(22)에 위치하는 현수 부재(26)의 폭 방향의 양단부가 접합되고, 몸통 둘레부(24)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현수 부재(26)를 구성하는 소재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가랑이부(23)에서는 현수 부재(26) 및 연장 천(41)의 전체 폭 치수가 도 2에 도시한 것과 동일한 W3이다. 또한, 뒷길(22)에서는 상기 연장 천(41)에 의해 엉덩이 지지부(41c, 41c)가 형성되어 있다.
도 3과 도 4에 도시하는 생리용 쇼트도 도 1과 도 2에 도시한 것과 동일한 기능을 가지고 있고, 가랑이부(23)에 접지되는 생리용 냅킨이 신체에 확실하게 밀착된다. 또한, 현수 부재(26)의 신축 응력이 몸통 둘레부(24)의 전체 길이에 분산되기 때문에, 흘러내림이 없고 주름이 발생하기 어렵게 되어 신체에 확실하게 밀착한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장 천(41)의 가장자리부에 탄성 부재(42)를 설치하여 다리 둘레 개구부(25)를 체결하는 밴드를 형성해도 좋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생리용 쇼트에서는 연장 천(31)이 앞길(21), 가랑이부(23) 및 뒷길(22)의 전체 영역에 설치되어도 좋고, 연장 천(41)이 가랑이부 및 뒷길(22)에만 설치되어도 좋다. 또한, 뒷길(22)에 엉덩이 지지부를 형성하는 것과 같은 연장 천을 설치하지 않고, 가랑이부(23)에 있어서만 현수 부재의 양측에 연장 천을 설치한 것이어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생리용 쇼트는 생리용 냅킨을 볼록형으로 변형시키고, 그 상태로 항상 신체에 밀착시킴으로써 누설을 막을 수 있다. 또한, 현수 부재의 신축 응력이 몸통 둘레에서 분산함으로써 쇼트가 흘러내리기 어렵게 되고, 따라서 냅킨을 단단히 누르는 힘이 느슨해지는 일이 없고 주름도 발생하기 어렵다.

Claims (10)

  1. 앞길과, 뒷길과, 상기 앞길과 상기 뒷길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부와, 상기 앞길의 위 가장자리부와 상기 뒷길의 위 가장자리부로 형성된 몸통 둘레부와, 상기 앞길의 양측 가장자리와 뒷길의 양측 가장자리의 접합부의 밑에 형성되는 한 쌍의 다리 개구부를 갖는 생리용 쇼트로서,
    상기 앞길로부터 상기 가랑이부 및 상기 뒷길에 걸쳐 연장되는 신축성 소재로 형성된 현수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현수 부재는 상기 뒷길에 있어서 상기 몸통 둘레부로부터 상기 가랑이부를 향해서 폭 치수가 서서히 줄어들도록 형성되어 있고,
    적어도 상기 가랑이부에서는 상기 현수 부재의 양측으로부터 상기 다리 개구부로 연장되는 연장 천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용 쇼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랑이부에서는 상기 현수 부재의 폭 치수(W1)가 10 mm 이상 40 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용 쇼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현수 부재에는 폭 치수가 상기 W1의 범위 내인 폭이 좁은 부분이 상기 가랑이부로부터 상기 뒷길의 도중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용 쇼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앞길에 위치하는 현수 부재의 양측부와, 뒷길에 위치하는 현수 부재의 양측부가 접합되고, 상기 몸통 둘레부가 상기 현수 부재를 형성하는 상기 신축 소재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용 쇼트.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천은 상기 가랑이부로부터 상기 뒷길에 걸쳐서 설치되고, 상기 가랑이부로부터 상기 뒷길에 걸쳐서 연장되는 상기 연장 천에 의해 엉덩이 지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용 쇼트.
  6. 제5항에 있어서, 앞길에 있어서도 상기 현수 부재로부터 양옆쪽으로 연장되는 연장 천이 설치되고, 앞길에 위치하는 상기 연장 천의 양측부와, 상기 뒷길에 위치하는 상기 연장 천이 접합되어 상기 다리 개구부의 주위 전체 둘레가 상기 연장 천의 소재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용 쇼트.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앞길이 상기 현수 부재를 형성하는 소재만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용 쇼트.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천을 형성하는 소재는 신축성을 가지고 있지 않은 것, 또는 동일한 인장력을 부여했을 때의 신장량이 상기 현수 부재보다도 작은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용 쇼트.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천을 형성하는 소재는 신축성을 가지고, 동일한 길이까지 연장시켰을 때의 수축 응력이 상기 현수 부재를 형성하는 신축 소재의 수축 응력보다도 낮은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용 쇼트.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랑이부 또는 상기 가랑이부로부터 상기 뒷길을 향하여 연장되는 부분의 내측에 신축성 및 투습성이 있는 방수대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용 쇼트.
KR1020010011435A 2000-03-06 2001-03-06 생리용 쇼트 KR1007295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60267 2000-03-06
JP2000060267A JP3696031B2 (ja) 2000-03-06 2000-03-06 生理用ショー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7346A KR20010087346A (ko) 2001-09-15
KR100729587B1 true KR100729587B1 (ko) 2007-06-19

Family

ID=18580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1435A KR100729587B1 (ko) 2000-03-06 2001-03-06 생리용 쇼트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6613034B2 (ko)
EP (1) EP1132070B1 (ko)
JP (1) JP3696031B2 (ko)
KR (1) KR100729587B1 (ko)
CN (1) CN1188095C (ko)
AT (1) ATE338523T1 (ko)
AU (1) AU775561B2 (ko)
BR (1) BR0102356B1 (ko)
CA (1) CA2339308A1 (ko)
DE (1) DE60122807T2 (ko)
ES (1) ES2266113T3 (ko)
ID (1) ID29502A (ko)
MY (1) MY128478A (ko)
SG (1) SG102616A1 (ko)
TW (1) TW475428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64633B2 (ja) * 2000-03-31 2005-06-2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生理用ショーツ
US7309332B2 (en) 2002-10-17 2007-12-18 Uni-Charm Corporation Wearing article
US8361049B2 (en) 2002-12-09 2013-01-2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Boxer shorts and process of making boxer shorts with expandable material
US8147642B2 (en) 2002-12-09 2012-04-0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rocess of making boxer shorts from a web
US9700079B2 (en) 2002-12-09 2017-07-1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rocess of making boxer shorts from a web with various leg opening shapes
US8176573B2 (en) 2002-12-09 2012-05-1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Boxer shorts and process of making boxer shorts from one or more webs
US8282618B2 (en) 2002-12-11 2012-10-0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isposable boxer brief
JP4494722B2 (ja) * 2003-02-25 2010-06-3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ショーツ
US20050197643A1 (en) 2003-02-25 2005-09-08 Uni-Charm Corporation Panty
US7875014B2 (en) 2003-12-15 2011-01-2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garment having a garment shell
US7993322B2 (en) 2003-12-15 2011-08-0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garment having outer shell and adjustable absorbent assembly therein
CA2464782C (en) * 2004-04-15 2011-06-21 Regg Miller Athletic support
US20060264871A1 (en) * 2005-05-23 2006-11-23 Carstens Jerry E System comprising thong-shaped holder and absorbent article
US7462173B2 (en) 2005-05-23 2008-12-09 Rusl, Llc System comprising thong-shaped holder and absorbent article
US20060264868A1 (en) * 2005-05-23 2006-11-23 Carstens Jerry E System comprising thong-shaped holder and article with sensor
US20060264873A1 (en) * 2005-05-23 2006-11-23 Carstens Jerry E System comprising thong-shaped holder and absorbent article
US20060264872A1 (en) * 2005-05-23 2006-11-23 Carstens Jerry E System comprising thong-shaped holder and absorbent article
US20060264879A1 (en) * 2005-05-23 2006-11-23 Carstens Jerry E System comprising thong-shaped holder and absorbent articles
US7867211B2 (en) 2005-05-23 2011-01-11 Rusl, Llc System comprising thong-shaped holder and absorbent article
US20060264870A1 (en) * 2005-05-23 2006-11-23 Carstens Jerry E System comprising thong-shaped holder and absorbent article
US7537587B2 (en) 2005-05-23 2009-05-26 Rusl, Llc System comprising thong-shaped holder and absorbent article
US7481801B2 (en) * 2005-05-23 2009-01-27 Rusl, Llc System comprising thong-shaped holder and absorbent article
US7458961B2 (en) 2005-05-23 2008-12-02 Rusl, Llc Thong-shaped holder for use with absorbent article
US20060264881A1 (en) * 2005-05-23 2006-11-23 Carstens Jerry E System comprising thong-shaped holder and absorbent article
US7785311B2 (en) * 2006-11-22 2010-08-31 Rusl, Llc Diaper and absorbent article
US7789867B2 (en) 2006-11-22 2010-09-07 Rusl, Llc Diaper and absorbent article
US8348918B2 (en) * 2006-11-22 2013-01-08 Rusl, Llc Diaper and absorbent article
US7803147B2 (en) 2006-11-22 2010-09-28 Rusl, Llc Diaper and absorbent article
US20080222781A1 (en) * 2007-03-15 2008-09-18 Rhew Kathleen K Undergarment for prevention of leaks and permanent stains
US10149780B2 (en) 2007-05-24 2018-12-11 Ziivaa Ip, Llc Compression undergarment for relief of menstrual pain and related method of use
US8191550B2 (en) 2007-05-24 2012-06-05 Embrace, Llc Method and apparatus to relieve menstrual pain
US9107753B2 (en) 2007-05-24 2015-08-18 Ziivaa Ip, Llc Method to relieve menstrual pain
US20080289623A1 (en) 2007-05-24 2008-11-27 Lee Stephen D Therapeutic compression belt
DE102008057840B4 (de) * 2008-11-19 2010-12-30 Van Clewe Sun Protection Gmbh Hose und Unterlage für Inkontinente
CA2749976C (en) 2009-01-15 2014-10-1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Reusable wearable absorbent articles with anchoring subsystems
JP5497067B2 (ja) 2009-01-15 2014-05-21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吸収性物品用の再利用可能な外側カバー
EP2376042A1 (en) * 2009-01-15 2011-10-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Reusable outer cover for an absorbent article having zones of varying properties
US8397314B2 (en) 2010-05-28 2013-03-19 Rodney B. Burke Lower torso garment system
USD667609S1 (en) 2011-09-19 2012-09-25 Larisa Zorin Disposable panty
EP2830563B1 (en) * 2012-03-30 2017-05-10 SCA Hygiene Products AB Undergarment having zones with different longitudinal elongation
JP1545433S (ko) * 2014-09-29 2016-03-14
JP6916594B2 (ja) * 2016-02-29 2021-08-11 株式会社Mic ヒップ部を形成する女性用衣料
JP6723143B2 (ja) * 2016-11-11 2020-07-1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生理用ショーツ
USD864522S1 (en) * 2017-09-21 2019-10-29 Rounderbum LLC. Padded underwear
USD861288S1 (en) * 2018-05-18 2019-10-01 Sang Wook Suh Panties
US20210177068A1 (en) * 2019-12-11 2021-06-17 Margaret Karabetyan Garment for suppressing genital bulge caused by a penis
USD945746S1 (en) * 2020-01-28 2022-03-15 Robyn Rabin Exercise garment
USD948168S1 (en) 2020-11-24 2022-04-12 Jockey International, Inc. Undergarment
USD948167S1 (en) 2020-11-24 2022-04-12 Jockey International, Inc. Undergarment
USD948843S1 (en) 2020-11-24 2022-04-19 Jockey International, Inc. Undergarment
CN113017160A (zh) * 2021-04-06 2021-06-25 何恺睿 一种适用于居家睡眠的经期防漏短裤
JP7490173B2 (ja) 2021-08-21 2024-05-27 正雄 千後瀧 生理対策に一段と優れた実用性と機能性を有する生理用ショーツ
KR20230064429A (ko) * 2021-11-03 2023-05-10 주식회사 더블센스 인체 밀착형 샘방지 기능이 탑재된 여성용 팬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61194A2 (en) * 1995-08-25 1997-03-12 Uni-Charm Corporation Disposable absorbent undergarment
US5745922A (en) * 1995-01-31 1998-05-05 Kimberly Clark Corporation Disposable garment and related manufacturing equipment and methods
KR20010113548A (ko) * 2000-06-19 2001-12-28 다카하라 게이이치로 생리용 팬티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58970A (en) * 1935-08-22 1936-10-27 Piqua Hosiery Company Inc Garment
US2250506A (en) * 1939-07-14 1941-07-29 Snyder Paul Undergarment
US2462195A (en) * 1948-04-15 1949-02-22 Kickernick Inc Maternity panty garment
US2632177A (en) * 1948-11-23 1953-03-24 Sallie B Bigger Maternity panty
US2596127A (en) * 1950-03-20 1952-05-13 Gladys M Carmean Sanitary belt
US2977957A (en) * 1957-08-28 1961-04-04 Napette Sanitary Napkin Holder Sanitary napkin holders and holder units
JPS5936704A (ja) * 1982-08-17 1984-02-29 株式会社ワコ−ル シヨ−トガ−ドル
US4628930A (en) * 1985-10-24 1986-12-16 Williams Steven N Soothing comfort girdle
US5239706A (en) * 1991-07-15 1993-08-31 Stevenson Jane M Underpants and coordinated bifurcated overgarment
US5131100A (en) * 1991-07-26 1992-07-21 Royal Textile Mills, Inc. Athletic compression shorts
US5291617A (en) * 1991-11-12 1994-03-08 Moretz Herbert L Moisture management garment
US5435014A (en) * 1991-11-12 1995-07-25 Intelpro Corporation Garment having a suspended moisture management panel
GB2282054B (en) * 1993-08-31 1997-05-07 Kimberly Clark Co Disposable panty
SE507668C2 (sv) * 1993-10-07 1998-06-29 Moelnlycke Ab Sanitetstrosa
US5855573A (en) * 1993-10-07 1999-01-05 Molnlycke Ab Sanitary panty
JP3478569B2 (ja) * 1993-10-13 2003-12-1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吸収性パッド
US5701608A (en) * 1993-10-27 1997-12-30 Kohn; Joel M. Undergar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menstrual cramping
US5593400A (en) * 1994-02-09 1997-01-14 Paragon Trade Brands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with suspended absorbent structure
US5546607A (en) * 1994-03-04 1996-08-20 Roberts; Mary K. Hygienic panty
JPH07304836A (ja) 1994-05-09 1995-11-21 Asahi Chem Ind Co Ltd ポリイソシアネート組成物とその製造方法及び樹脂組成物
US5528775A (en) * 1994-09-19 1996-06-25 Marenda; Madonna A. Women's abdominal support garment
US5645924A (en) * 1994-11-10 1997-07-08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Elastic woven fabric
JP3130454B2 (ja) * 1995-08-30 2001-01-3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パンツ型体液吸収性着用物品
JP3130453B2 (ja) * 1995-08-25 2001-01-3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パンツ型体液吸収性着用物品
SE516777C2 (sv) * 1997-12-03 2002-02-26 Sca Hygiene Prod Ab Absorberande alster med skikt av kontinuerliga fibr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45922A (en) * 1995-01-31 1998-05-05 Kimberly Clark Corporation Disposable garment and related manufacturing equipment and methods
EP0761194A2 (en) * 1995-08-25 1997-03-12 Uni-Charm Corporation Disposable absorbent undergarment
KR20010113548A (ko) * 2000-06-19 2001-12-28 다카하라 게이이치로 생리용 팬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D29502A (id) 2001-09-06
DE60122807T2 (de) 2007-04-05
JP3696031B2 (ja) 2005-09-14
US6613034B2 (en) 2003-09-02
EP1132070A3 (en) 2004-01-21
BR0102356B1 (pt) 2010-08-10
JP2001245929A (ja) 2001-09-11
DE60122807D1 (de) 2006-10-19
AU2486901A (en) 2001-09-13
ATE338523T1 (de) 2006-09-15
CN1312062A (zh) 2001-09-12
ES2266113T3 (es) 2007-03-01
MY128478A (en) 2007-02-28
BR0102356A (pt) 2001-10-30
US20010020158A1 (en) 2001-09-06
TW475428U (en) 2002-02-01
AU775561B2 (en) 2004-08-05
CN1188095C (zh) 2005-02-09
EP1132070A2 (en) 2001-09-12
SG102616A1 (en) 2004-03-26
EP1132070B1 (en) 2006-09-06
CA2339308A1 (en) 2001-09-06
KR20010087346A (ko) 2001-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9587B1 (ko) 생리용 쇼트
KR100729590B1 (ko) 생리용 쇼츠
KR100778720B1 (ko) 생리용 팬티
US4031568A (en) Legless panty
KR100591564B1 (ko) 1회용 기저귀
KR100775397B1 (ko) 일회용 체액 흡수성 착용 물품
KR20010033523A (ko) 개선된 호지어리
US4351068A (en) Panty hose garments
KR100713785B1 (ko) 쇼츠
JP2545279Y2 (ja) 吸収性物品用ホルダー
KR100961923B1 (ko) 생리용 쇼츠
KR100927883B1 (ko) 흡수성 물품 장착용 쇼츠
US6482196B1 (en) Disposable undergarment
JP3230438U (ja) 股部を有する衣類
KR101313701B1 (ko) 영유아용 팬츠 슈트
JPH03260102A (ja) パンティストッキング
ES2266256T3 (es) Prenda de vestir.
JP4094214B2 (ja) ショーツ
CN219229059U (zh) 防勒舒适内裤
JP3106714U (ja) 下衣
JPS6214090Y2 (ko)
JP2018053413A (ja) 衣類
JPH04133826U (ja) 生理用シヨーツ
MXPA00006330A (en) Improvements in hosiery
KR20060085055A (ko) 남성용 팬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