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9395B1 - 도로경계석의 심재 및 도로경계석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도로경계석의 심재 및 도로경계석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9395B1
KR100729395B1 KR1020060078112A KR20060078112A KR100729395B1 KR 100729395 B1 KR100729395 B1 KR 100729395B1 KR 1020060078112 A KR1020060078112 A KR 1020060078112A KR 20060078112 A KR20060078112 A KR 20060078112A KR 100729395 B1 KR100729395 B1 KR 1007293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boundary
core material
cement mortar
boundary stone
boundary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8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인호
Original Assignee
한국가로수보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가로수보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가로수보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8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93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9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93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1Kerbs or like edging members, e.g. flush kerbs, shoulder retaining means ; Joint members, connecting or load-transfer means specially for ker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08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vibrating or jol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23/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 B28B23/0056Means for inserting the elements into the mould or supporting them in the mou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멘트 모르타르로 블록을 성형할 때 성형되는 블록의 강도를 높여주기 위한 것으로 가로수보호틀, 수목화초의 보호틀 및 도로경계석 등을 제조하는 도로경계석의 심재 및 도로경계석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특징은, "X"자형 세로심재(22)의 중앙에 삽입공(22a)이 형성되고, 다수의 "X"자형 세로심재(22)의 삽입공(22a)에 가로심재(21)를 끼워 "X"자형 세로심재(22)를 일정거리로 배열시켜 도로경계석용 심재(20)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경계석의 심재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또 다른 본 발명의 특징은, 일측에 돌출부(11)에 의한 걸림턱(12)이 형성될 수 있는 돌출조(31)를 형성한 제작형틀(30)의 저면부에 타일정리요철(33)이 형성된 포장보호파레트(32)를 착설하고 타일정리요철(33) 사이에 타일(34)을 삽입하여 그 위로 시멘트 모르타르(35)를 투입하여 견고하게 진동 성형시키고 성형된 도로경계석(10)을 제작형틀(30)과 함께 증기 양생실로 이동 건조시키는 도로경계석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타일(34)을 삽입하는 과정과 시멘트 모르타르(35)를 투입하는 과정사이에 도로경계석용 심재(20)를 삽입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경계석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경계석, 심재

Description

도로경계석의 심재 및 도로경계석의 제조방법{Road boundary block of manufacturing method and road boundary block of cor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심재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심재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제작형틀에 심재를 결합하는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제작형틀의 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경계석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도로경계석 11 : 돌출부
12 : 걸림턱 20 : 심재
21 : 가로심재 22 : 세로심재
30 : 제작형틀 31 : 돌출조
32 : 포장보호파레트 33 : 타일정리요철
34 : 타일 35 : 모르타르
본 발명은 도로경계석의 심재 및 도로경계석의 제조방법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시멘트 모르타르로 블록을 성형할 때 성형되는 블록의 강도를 높여주기 위한 것으로 가로수보호틀, 수목화초의 보호틀 및 도로경계석 등을 제조하는 도로경계석의 심재 및 도로경계석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로수보호틀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보호덮개의 측면을 지지하여 보호덮개의 설치상태가 정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콘크리트 받침틀이 필요하며 이러한 받침틀 또는 도로경계석은 별도의 보강용 철골을 배치하지 않고 단순히 콘크리트로만 성형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은 비교적 소형의 구조물인 받침틀 또는 도로경계석에는 별도의 철골을 배치하는 것이 어렵고, 철골을 배치하여도 운반이나 시공이 용이할 정도로 경량을 유지하지 못하는 것에 그 원인이 있다.
따라서 보도(步道)에 설치되는 받침틀 및 도로경계석의 특성상 상당한 하중과 충격을 견딜 수 있는 만큼의 내구성이 요구되지만 단순히 콘크리트로 성형된 받침틀 및 도로경계석은 충분한 내구성을 발휘하지 못하고 웬만한 충격에도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으며 이러한 종래 받침틀 및 도로경계석의 문제점은 받침틀 및 도로경계석의 파손에 따라 도시미관을 저해하고 가로수 및 그 보호덮개 유지, 보수에 따르는 예산을 낭비하는 커다란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가로수보호틀, 수목화초의 보호틀 및 도로경계석의 경도를 높여, 쉽게 파손되지 않게 내구성을 좋게 하여 가로수보호틀, 수목화초의 보호틀 및 도로경계석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그로 인해 유지, 보수에 따른 예산을 경감하기 위한 도로경계석의 심재 및 도로경계석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X"자형 세로심재(22)의 중앙에 삽입공(22a)이 형성되고, 다수의 "X"자형 세로심재(22)의 삽입공(22a)에 가로심재(21)를 끼워 "X"자형 세로심재(22)를 일정거리로 배열시켜 도로경계석용 심재(20)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경계석의 심재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일측에 돌출부(11)에 의한 걸림턱(12)이 형성될 수 있는 돌출조(31)를 형성한 제작형틀(30)의 저면부에 타일정리요철(33)이 형성된 포장보호파레트(32)를 착설하고 타일정리요철(33) 사이에 타일(34)을 삽입하여 그 위로 시멘트 모르타르(35)를 투입하여 견고하게 진동 성형시키고 성형된 도로경계석(10)을 제작형틀(30)과 함께 증기 양생실로 이동 건조시키는 도로경계석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타일(34)을 삽입하는 과정과 시멘트 모르타르(35)를 투입하는 과정사이에 도로경계석용 심재(20)를 삽입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경계석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 는 것이다.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철근 또는 두꺼운 철사를 재료로 가로심재(21)를 일정 길이로 절단하고, "X"자형 세로심재(22)의 중앙에 삽입공(22a)을 형성한다.
다수의 "X"자형 세로심재(22) 삽입공(22a)에 가로심재(21)를 끼우고, "X"자형 세로심재(22)를 가로심재(21) 상에서 일정거리로 배열시켜 스폿용접하여 도로경계석용 심재(20)를 구성한다.
여기서 가로심재(21)의 절단과 "X"자형 세로심재(22)의 성형을 별도 작업하여 도로경계석의 성형 작업시 "X"자형 세로심재(22)에 가로심재(21)를 끼워 사용하므로서 가로심재(21) 및 "X"자형 세로심재(22)의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며 도로경계석용 심재(20)를 대량 생산할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되고 경제적인 것이다.
또한 도로경계석용 심재(20)의 형태도 직선은 물론 원형, 반원형, 말굽형, 사다리꼴형 등의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도로경계석용 심재(20)를 이용한 도로경계석의 제조방법의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고속 진동기에 일측에 돌출부(11)에 의한 걸림턱(12)이 형성될 수 있는 돌출조(31)가 형성된 제작형틀(30)을 올려놓고 그 저면부에 여러 가지 형태의 타일정리요철(33)을 형성시킨 포장보호파레트(32)를 깔아 설치하고, 그 타일정리요철(33) 사이에 타일(34)을 삽입하여 그 위로 본 발명의 도로경계석용 심재(20)를 삽입하고 시멘트 모르타르(35)를 1차 투입 충진한다.
여기서 도로경계석용 심재(20)의 "X"자형 세로심재(22)로 인하여 도로경계석용 심재(20)가 제작형틀(30)의 일정한 높이에 균일하게 놓여지므로 도로경계석용 심재(20)의 삽입 위치를 별도로 계산하지 않더라도 일정위치에 항상 놓이므로 도로경계석의 성형에 따른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시멘트 모르타르(35)를 1차 투입 충진후 일반적인 심재(20a)를 삽입하고 시멘트 모르타르(35)를 2차 투입 충진한 후 고속진동기로 초당 좌우 75사이클 상하 50사이클로 수회 진동 압축시키고 다져진 시멘트 모르타르(35)가 담긴 제작형틀(30)을 증기 양생실로 운반시켜 섭씨 75℃에서 8시간동안 양생시킴으로서 도로경계석(10)을 제조하는 것이다.
상기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도로경계석(10)은 일측에 다수의 돌출부(11)가 형성되고, 이 돌출부(11)에 의해 걸림턱(12)이 형성되며, 상부에는 타일(34) 등이 결합되어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경계석의 제조방법을 공정별로 세분하여 설명한다.
도 2의 도시와 같이 돌출부(11)에 의한 걸림턱(12)이 형성될 수 있는 돌출조(31)가 형성된 제작형틀(30)의 저면부에 포장보호파레트(32)를 삽입한다.
이때, 포장보호파레트(32)에는 타일(34) 등의 사이사이에 위치하여 타일(34) 등간의 간격을 유지 시켜주는 타일정리요철(33)을 형성하되 그 포장보호파레트(32)와 타일정리요철(33)의 형상은 도로경계석(10)의 형상과 타일(34) 등의 모양 및 접착위치에 따라서 다양하게 형성한다.
제작형틀(30)의 저면부에 삽입된 포장보호파레트(32)의 타일정리요철(33) 사이에 타일(34) 등을 삽입하되 타일(34) 등의 미장 디자인된 표면이 하측을 향하도록 삽입하여 그 표면이 포장보호파레트(32)에 접촉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포장보호파레트(32)에 타일(34) 등이 삽입된 상태에서 제작형틀(30)내에 본 발명에 따른 도로경계석용 심재(20)를 삽입한다.
상기 도로경계석용 심재(20)가 삽입된 제작형틀(30) 내에 시멘트 모르타르(35)를 2/3정도 투입하여 충진시킨다.
시멘트 모르타르(35)가 2/3정도 충진된 제작형틀(30) 내에 일반적인 도로경계석용 심재(20a)를 삽입한다.
상기 도로경계석용 심재(20a)가 삽입된 제작형틀(30) 내에 시멘트 모르타르(35)를 가득 투입하여 충진시킨다.
상기 시멘트 모르타르(35)가 투입 충진된 제작형틀(30)을 고속진동기로 진동시켜 시멘트 모르타르(35)를 단단하게 다져주되 초당 좌우 75사이클 상하 50사이클로 고속 진동기를 수회 진동시켜 시멘트 모르타르(35)를 제작형틀(30)내에서 다진다.
상기 다져진 시멘트 모르타르(35)를 제작형틀(30)에 담긴 상태로 증기양생실 로 운반하여 섭씨 75℃의 온도에서 8시간동안 양생시킨 후 양생된 도로경계석(10)을 제작형틀(30)에서 이형 시키므로 심재(20)가 내부에 삽입된 도로경계석이 완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도로경계석을 예로 설명하였으나, 가로수보호틀 또는 수목화초의 보호틀 등들도 같은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그 모양에 있어서도 원호형 등 원하는 모양으로 제작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 가로수보호틀, 수목화초의 보호틀 및 도로경계석에 사용된 심재(20)를 일괄적인 공정에 의한 대량생산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가로수보호틀, 수목화초의 보호틀 및 도로경계석에 심재(20)를 넣고 성형할 수 있게 하여 가로수보호틀, 수목화초의 보호틀 및 도로경계석의 경도를 높여, 쉽게 파손되지 않게 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가로수보호틀, 수목화초의 보호틀 및 도로경계석의 수명을 연장시켜 가로수보호틀, 수목화초의 보호틀 및 도로경 계석의 유지, 보수에 따른 예산을 경감시켜 경제적인 이득이 있는 등 여러 효과가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2)

  1. "X"자형 세로심재(22)의 중앙에 삽입공(22a)이 형성되고, 다수의 "X"자형 세로심재(22)의 삽입공(22a)에 가로심재(21)를 끼워 "X"자형 세로심재(22)를 일정거리로 배열시켜 도로경계석용 심재(20)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경계석의 심재.
  2. 일측에 돌출부(11)에 의한 걸림턱(12)이 형성될 수 있는 돌출조(31)를 형성한 제작형틀(30)의 저면부에 타일정리요철(33)이 형성된 포장보호파레트(32)를 착설하고 타일정리요철(33) 사이에 타일(34)을 삽입하여 그 위로 시멘트 모르타르(35)를 투입하여 견고하게 진동 성형시키고 성형된 도로경계석(10)을 제작형틀(30)과 함께 증기 양생실로 이동 건조시키는 도로경계석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타일(34)을 삽입하는 과정과 시멘트 모르타르(35)를 투입하는 과정사이에 제1항의 도로경계석용 심재(20)를 삽입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경계석의 제조방법.
KR1020060078112A 2006-08-18 2006-08-18 도로경계석의 심재 및 도로경계석의 제조방법 KR1007293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8112A KR100729395B1 (ko) 2006-08-18 2006-08-18 도로경계석의 심재 및 도로경계석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8112A KR100729395B1 (ko) 2006-08-18 2006-08-18 도로경계석의 심재 및 도로경계석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9395B1 true KR100729395B1 (ko) 2007-06-15

Family

ID=38359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8112A KR100729395B1 (ko) 2006-08-18 2006-08-18 도로경계석의 심재 및 도로경계석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939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2126B1 (ko) * 2008-11-18 2009-04-09 이병관 수목 경계판
CN114717925A (zh) * 2022-04-06 2022-07-08 洛阳中天绿色构件有限公司 一种用于道路养护的裂缝熔接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7111A (ja) * 1989-04-11 1991-01-25 Rohm & Haas Co 熱可塑性アクリルエラストマ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7111A (ja) * 1989-04-11 1991-01-25 Rohm & Haas Co 熱可塑性アクリルエラストマ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등록실용 0317111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2126B1 (ko) * 2008-11-18 2009-04-09 이병관 수목 경계판
CN114717925A (zh) * 2022-04-06 2022-07-08 洛阳中天绿色构件有限公司 一种用于道路养护的裂缝熔接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87526A (en) Mold device for forming concrete pathways
RU2119993C1 (ru) Подпорное сооружение в виде стены, композитный блок для каменной кладки и формовочный узел для производства композитных блоков для каменной кладки
CN101848797A (zh) 带有重量承载垫的墙块及生产墙块的方法
US20070166102A1 (en) Dividable paving slabs
KR100729395B1 (ko) 도로경계석의 심재 및 도로경계석의 제조방법
EP1893811B1 (en) Paving stones, method for laying pavement with sam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US20060251862A1 (en) Composite shaped block
PT1490563E (pt) Laje de betão armado e método de fabrico desta laje
KR100984019B1 (ko) 조립식 횡단보도
CN109252434A (zh) 一种沥青路面结构及其施工方法
KR20170012906A (ko) 콘크리트 타설구
KR100432863B1 (ko) 보차도 경계석의 건식 시공방법과 경계석 받침구
JP3133417U (ja) 敷石用ブロック
KR102269552B1 (ko) 보차도블록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차도블록
KR101478696B1 (ko) 운반공이 형성된 계단형 호안블록, 이를 성형하기 위한 성형용 몰드 및 이들을 이용한 시공방법
KR200274507Y1 (ko) 이중보도블록
KR100805733B1 (ko) 가로수 보호덮개용 받침틀 및 가로수 보호덮개용 받침틀의제조방법
KR100559746B1 (ko) 도로경계석 제조방법
KR950006733B1 (ko) 타일이 접착된 가로수 보호틀 및 도로경제석용 블럭의 제조방법
KR200272862Y1 (ko) 보차도 경계석 시공용 받침구
JPH07124928A (ja) 舗装材の製造方法
CN108589461B (zh) 一种中空模型及应用该中空模型的园林道路施工工艺
KR101780270B1 (ko) 인조석 투수블럭 제조용 몰탈공급지그
JP4615584B2 (ja) 覆工用床材
CA2678960A1 (en) Paving stone device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