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8702B1 - 댐퍼의 자동복귀가 가능한 댐퍼구조 - Google Patents

댐퍼의 자동복귀가 가능한 댐퍼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8702B1
KR100728702B1 KR1020060090259A KR20060090259A KR100728702B1 KR 100728702 B1 KR100728702 B1 KR 100728702B1 KR 1020060090259 A KR1020060090259 A KR 1020060090259A KR 20060090259 A KR20060090259 A KR 20060090259A KR 100728702 B1 KR100728702 B1 KR 1007287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er
bracket
motor
duct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0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은이
Original Assignee
조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은이 filed Critical 조은이
Priority to KR1020060090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87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8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87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0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seal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모터의 전원 차단시 원활하게 댐퍼가 자동 복귀됨은 물론 모터의 토오크를 높여야 하는 경우 등을 방지하는 댐퍼의 자동복귀가 가능한 댐퍼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덕트(5)의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댐퍼(10)에 연결되어 공급 전원에 의해 상기 댐퍼(10)를 개방 작동시키는 모터(20)와, 상기 모터(20)와 댐퍼(10) 사이에 연결되어 댐퍼(10)에 전달되는 모터(20)의 회전력을 단속하는 클러치와, 상기 모터(20)와 댐퍼(10)의 연결부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댐퍼(20)와 함께 회동되는 제1스톱퍼(200)와, 상기 덕트(10)에 장착되어 플런저(212)가 상기 제1스톱퍼(200) 방향을 향하도록 된 솔레노이드(210)와, 상기 댐퍼(20)가 일방향으로 개방되어 상기 제1스톱퍼(200)가 터치될 때 상기 모터(30)의 공급 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솔레노이드(210)의 플런저(212)를 전진시켜 상기 제1스톱퍼(200)를 지지하는 리미트 스위치(220)와, 상기 모터(30)와 리미트 스위치(220)의 전원 차단시 댐퍼(10)를 타방향으로 회동복귀시키는 복귀수단(40)과, 상기 댐퍼(10)에 의해 덕트(5)의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는 제2스톱퍼(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효과는 감속기어가 내장된 소형의 모터(20)의 작동에 의해 댐퍼축(12)을 회전시켜 댐퍼(10)를 닫히도록 작동시키고, 스프링(98)의 힘에 의해 댐퍼(10)를 다시 닫히도록 하는 댐퍼구조에 있어서, 모터(20) 미작동시 스프 링(98)의 힘만으로 모터(20)를 원활하게 역회전시켜 댐퍼(10)를 닫을 수 있으면서도, 댐퍼(10)를 닫을 때 스프링(98)의 힘을 이기도록 하기 위해 모터(20)의 토오크를 높이지 않아도 되며, 전체 구조를 간소화시키고 제작 코스트를 절감할 수 있으며, 아울러, 경제성 등을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이다.
덕트, 댐퍼, 자동복귀, 케이스, 클러치, 모터

Description

댐퍼의 자동복귀가 가능한 댐퍼구조{Damper structure equipped with automatic reversible damp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외관 사시도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댐퍼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주요부를 이루는 연결부재와 케이스에 내장된 클러치의 회전전달체의 연결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댐퍼를 회전 작동시키는 주요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클러치의 작동을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10은 도 9의 우측면도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내측브라켓의 안쪽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12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터조인트의 측단면도
도 12b는 도 12a의 저면도
도 13은 도 9에 도시된 댐퍼축의 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터조인트와 댐퍼축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솔레노이드와 제1스톱퍼의 작동을 보여주는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주요부를 구성하는 회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덕트 10. 댐퍼
34. 모터조인트 40. 복귀수단
본 발명은 댐퍼의 자동복귀가 가능한 댐퍼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감속기어가 내장된 소형의 모터로 댐퍼를 작동하고, 스프링의 힘에 의해 댐퍼를 다시 닫히도록 하는 댐퍼구조에 있어서, 모터의 전원이 끊어지면 자동으로 모터를 원활하게 역회전시켜 댐퍼를 닫을 수 있으면서도 모터의 토오크를 높이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고, 구조를 간소화시켜 효율적이면서도 주요 부품의 가격이 상대적으로 낮아서 제작 코스트를 절감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경제성 등을 기대할 수 있는 댐퍼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빌라와 같은 공동주택이나 빌딩과 같은 고층건물에는 옥상으로 연통되는 공동구가 설치되고, 이 공동구에는 건물의 각 실내로 연통되는 환기덕트가 연결된다. 또한, 각각의 분기된 환기덕트에는 어느 실내의 공기가 다른 실내로 유입되어 영향을 주지 않도록 댐퍼가 설치된다. 이러한 댐퍼에 의하면, 예컨데, 주방에서 요리할 때 발생되는 연기를 배출할 경우에는 욕실이나 안방의 환기덕트에 설치된 댐퍼는 폐쇄되고 해당 환기덕트의 댐퍼는 개방되어, 요리시 발생되는 연기가 욕실이나 안방으로 유입되지 않고 건물의 공동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즉, 각 환기덕트의 댐퍼는 필요한 실내의 환기를 위해서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외부의 화재시, 내부의 화재시에도 유독가스가 공동구를 따라 이동되는 것을 막기에 필수적인 구조인 것이다.
그런데, 종래의 댐퍼구조는 각 부분의 구조가 상대적으로 복잡하다는 단점과 주요 부품의 가격이 상대적으로 높아서 전체 코스트가 비교적 높다는 단점이 있었으며, 나아가, 경제성 면 등에서 바람직하지 못한 결과를 초래하였다. 따라서, 좀더 구조가 간소화되면서 제품 코스트를 낮출 수 있는 방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감속기어가 내장된 소형의 모터로 댐퍼를 개방하고 댐퍼에 연결 설치된 스프링의 힘으로 댐퍼를 닫히도록 하는 구조의 댐퍼에 있어서, 스프링의 힘으로 댐퍼를 닫을 뿐만 아니라 모터를 역회전시킬 수 있어야 하는데, 모터는 동기모터이므로, 회전자가 마그네트로서 스프링의 힘만으로 모터를 역회전시키기는 어려우며, 스프링의 힘을 키우면 모터의 토오크를 높여야 하는 또 다른 문제가 발생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감속기어가 내장된 소형의 모터의 작동에 의해 댐퍼축을 회전시켜 댐퍼를 닫히도록 작동시키고, 스프링의 힘에 의해 댐퍼를 다시 닫히도록 하는 댐퍼구조에 있어서, 모터 미작동시 스프링의 힘만으로 모터를 원활하게 역회전시켜 댐퍼를 닫을 수 있으면서도, 댐퍼를 개방할 때 스프링의 힘을 이기도록 하기 위해 모터의 토오크를 높이지 않아도 되며, 전체 구조를 간소화시키고 제작 코스트를 절감할 수 있으며, 아울러, 경제성 등을 기대할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댐퍼의 자동복귀가 가능한 댐퍼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덕트(5)의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댐퍼(10)에 연결되어 공급 전원에 의해 상기 댐퍼(10)를 개방 작동시키는 모터(20)와, 상기 모터(20)와 댐퍼(10) 사이에 연결되어 댐퍼(10)에 전달되는 모터(20)의 회전력을 단속하는 클러치와, 상기 모터(20)와 댐퍼(10)의 연결부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댐퍼(20)와 함께 회동되는 제1스톱퍼(200)와, 상기 덕트(10)에 장착되어 플런저(212)가 상기 제1스톱퍼(200) 방향을 향하도록 된 솔레노이드(210)와, 상기 댐퍼(20)가 일방향으로 개방되어 상기 제1스톱퍼(200)가 터치될 때 상기 모터(30)의 공급 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솔레노이드(210)의 플런저(212)를 전진시켜 상기 제1스톱퍼(200)를 지지하는 리미트 스위치(220)와, 상기 모터(30)와 리미트 스위치(220)의 전원 차단시 댐퍼(10)를 타방향으로 회동복귀시키는 복귀수단(40)과, 상기 댐퍼(10)에 의해 덕트(5)의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는 제2스톱 퍼(23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의 자동복귀가 가능한 댐퍼구조가 제공된다.
상기 복귀수단(40)은 상기 댐퍼(10)를 덕트(5)에 지지하는 댐퍼축(12)의 둘레부에 구비됨과 동시에 일단부가 상기 댐퍼축(12)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덕트(5)에 연결된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댐퍼(10)의 댐퍼축(12)은 연결수단(32,34)을 매개로 상기 클러치의 종단 출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수단(32,34)은 상기 클러치의 종단 출력단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면에는 오목홈(32a)의 내부에 방사 방향으로 복수개의 브리지(32b)가 형성된 회전전달체(32)와, 일단부에 형성된 브리지 삽입홈(34a)이 상기 회전전달체(32)의 브리지(32b)와 끼워져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댐퍼축(12)의 둘레부에 구비된 허브(53)에 끼워져 상기 댐퍼축(12)에 연결되는 모터조인트(34)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터(20)와 클러치는 단일 케이스(70)에 내장 설치되어 상기 덕트(5)의 외측에 브라켓(60)을 매개로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브라켓(60)에는 상기 댐퍼(10)의 원위치 복귀시 상기 제1스톱퍼(200)가 걸려지는 제2스톱퍼(230)가 구비되고, 상기 제2스톱퍼(230)는 상기 브라켓(60)을 블랭킹 가공하여 상기 브라켓(60)에 일체화된 금속편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브라켓(60)은 채널부(61)의 양측단에 볼트결합부(62)가 구비된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채널부(61)에는 원호형상으로 절취된 원호부(61a)가 형성 됨과 동시에 원호부(61a)의 주위에는 복수개의 통공(61b)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결합부(62)에는 볼트공(62a)이 관통되며, 상기 덕트(5)의 외부에는 상기 볼트결합부(61)의 볼트공(62a)에 대응되는 체결보스(6)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70)는 상기 브라켓(60)의 채널부(61)와 마주하는 일측면에 원형의 모터안착부(72)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60)의 채널부(61)에 형성된 상기 원호부(61a)에 상기 모터안착부(72)가 정합되고, 상기 모터안착부(72) 주변에는 상기 채널부(61)의 통공(61b)과 마주하는 복수개의 볼트체결공(7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클러치와 모터(20)는 단일의 케이스(70)에 내장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케이스(70)는 덕트(5)의 외측에 브라켓(120,130)을 매개로 장착되고, 상기 브라켓(120,130)은 내측 브라켓(120)과 중간 브라켓(130)을 갖도록 구성되며, 상기 내측브라켓(120)은 채널부(122)의 양단부에 덕트(5)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덕트밀착부(124)를 갖는 단면 형태로 구성되어 양측단 덕트밀착부(124)가 덕트(5)의 외측면에 스폿용접(SP)으로 부착 고정되고, 상기 중간브라켓(130)은 채널부(132)의 양측단에 밀착결합부(134)가 구비된 단면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밀착결합부(134)가 내측브라켓(120)의 채널부(122) 외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간브라켓(130)을 블랭킹하여 상기 제2스톱퍼(230)를 중간브라켓(130)에 일체화된 금속편 형태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간브라켓(130)의 외측면에 장착되는 별도의 외측브라켓(14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외측브라켓(140)은 채널부(142)의 양측단에 좌우 고정편(144)이 구비 된 단면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외측브라켓(140)의 좌우 고정편(144)이 중간브라켓(130)의 외측면 양측에 밀착되어 상기 중간브라켓(130)의 외측에 장착된 상기 케이스(70)를 상기 외측브라켓(140)에 의해 커버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댐퍼(10)를 지지하는 댐퍼축(12)은 덕트(5)의 외측으로 돌출된 둘레부에 별도의 허브(53)가 장착되어 구성되고, 상기 허브(53)의 외주연에 상기 제1스톱퍼(200)가 구비되되 상기 제1스톱퍼(200)는 핀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허브(53)의 둘레부에 끼워진 코일스프링 형태의 복귀수단(40) 일단부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클러치는 자기 유도에 의해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된 영구자석(92) 및 유도링(93)과, 상기 영구자석(92)과 연계되어 회동되며 일단부에는 키이걸이(96a)가 구비된 키이(96)와, 상기 키이(96)의 키이걸이(96a)에 걸려지는 맞걸이부(94a)가 형성된 회전체(94)와, 상기 키이(96)의 키이걸이(96a)를 상기 회전체(94)의 맞걸이부(94a)에서 벗어나도록 탄지하는 스프링(98)과, 상기 모터(20)에 연계됨과 동시에 상기 회전체(94)에 치합된 제1클러치부재(80)와, 상기 제1클러치부재(80)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스프링(S)에 의해 상기 제1클러치부재(80)와의 연결이 해제되는 제2클러치부재(82)와, 상대 회전하는 내외측기어(86a,86b)로 구성되고 상기 외측기어(86b)는 상기 회전체(94)와 치합되고 상기 내측기어(86a)는 상기 제2클러치부재(82)에 연결된 회전전달기어(86)와, 상기 회전전달기어(86)의 내측기어(86a)에 결합되고 일측 둘레에는 원호형으로 가이드부(87a)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87a)에는 개방홈(87b)이 형성된 캠(87)과, 상기 제1클러치부재(80)의 일측 단과 마주하는 일단부에 상향경사부(88a)가 형성되고 타단부는 상기 캠(87)의 가이드부(87a)에 접촉되는 클러치 레버(88)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댐퍼(10)의 둘레부에는 상기 덕트(5)의 내주연에 밀착되는 실링부재(11)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외관 사시도,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댐퍼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주요부를 이루는 연결부재와 케이스 내부의 클러치에 연결된 회전전달체의 연결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댐퍼를 회전 작동시키는 주요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클러치의 작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덕트의 내부에 댐퍼축(12)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댐퍼(10)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모터(20)의 회전력을 단속하는 클러치와, 제1스톱퍼(200), 솔레노이드(210), 리미트 스위치(220)와, 복귀수단(40) 및 제2스톱퍼(230)를 포함한다.
상기 덕트(5)의 내부에는 댐퍼축(12)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댐퍼(10)가 설치되는데, 덕트(5)의 외부로 노출 설치된 댐퍼축(12)의 일단 둘레부에 허브(53)가 장착된다. 이때, 허브(53)는 외주면에서 내주면을 관통하는 볼트부재(미도시)를 댐퍼축(12)에 가압하도록 체결하여 댐퍼축(12)의 둘레부에 고정되는데, 댐퍼축(12)은 볼트부재와 마주하는 둘레부에 평탄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이 평탄부에 볼트부재가 맞닿아 가압되므로, 보다 견고하게 허브(53)를 댐퍼축(12)의 둘레부에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허브(53)의 외주연 일측에는 제1스톱퍼(200)가 구비된다. 이 제1스톱퍼(200)는 긴 볼트 형태로 이루어진 것으로, 허브(53)의 외주연 일측에 나사결합식으로 결합되어 허브(53)의 외주연으로 돌출 설치된다. 이러한 제1스톱퍼(200)는 댐퍼(10)와 댐퍼축(12)의 회전에 따라 원형의 회전 궤적을 따라 회동된다.
상기 댐퍼축(12)은 클러치에 의해 모터(20)에 연결된다. 도 6 내지 도 8에 클러치의 구조가 도시되는데, 상기 클러치는 영구자석(92), 유도링(93), 키이(96), 회전체(94), 스프링(98), 제1클러치부재(80), 제2클러치부재(82), 회전전달기어(86)와, 캠(87), 클러치 레버(88)를 갖도록 구성된다.
도 8a와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클러치부재(80,82)는 지지축에 의해 지지되어 케이스(70)의 내부에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됨과 동시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제1 및 제2클러치부재(80,82)의 서로 마주하는 면에는 서로 치합되는 치합돌기(80a,82a)가 구비된다. 또한, 제1 및 제2클러치부재(80,82) 사이에는 스프링(S)이 개재되어 평상시에는 도 8a와 같이 제1 및 제2클러치부재(80,82)가 서로 이격되어, 제1 및 제2클러치부재(80,82)의 치합돌기(80a,82a)가 결합 해제 상태에 있다.
또한, 제2클러치부재(82)는 치합돌기(82a)의 범위를 벗어난 둘레부에 복수개의 죠오(84)가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어 구성된다. 도 7a와 도 7b에는 죠오(84)가 평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8a와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전달기어(86)는 지지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케이스(70)의 내부에 설치됨과 동시에 서로 상대적으로 회전되는 내측기어(86a)와 외측기어(86b)로 구성된다. 상기 내측기어(86a)는 제1클러치부재(80)에 공지의 위성기어(g)를 매개로 기어 결합되어 제1클러치부재(80)와 함께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외측기어(86b)는 후술할 회전체(94)와 치합된다.
상기 캠(87)는 중앙부가 힌지축(h1)을 중심으로 케이스(70)의 내부 바닥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캠(87)는 회전전달기어(86)의 내측기어(86a)에 기어식으로 치합된다. 또한, 캠(87)는 기어결합부를 벗어난 외측부에 원호형으로 가이드부(87a)가 형성되며, 가이드부(87a)의 회전 궤적 끝단에는 개방홈(87b)이 형성된다.
상기 클러치 레버(88)는 일단부에 상향경사부(88a)가 형성되고 타단부는 힌지축(h2)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것으로, 상기 힌지축(h2)를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상향경사부(88a)에 의해 제1클러치부재(80)를 제2클러치부재(82) 방향으로 접근시켜 연결한다. 즉, 도 7a와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러치 레버(88)의 일단부가 힌지축(h2)를 중심으로 제1클러치부재(80)의 중심축 방향으로 회동하면, 상기 상향경사부(88a)가 제1클러치부재(80)의 중심축 방향으로 전진하기 때문에, 제1클러치부재(80)가 클러치 레버(88)의 상향경사부(88a)에 의해 제2클러치부재(82) 방향으로 밀리면서 제1클러치부재(80)와 제2클러치부재(82)의 서로 마주하는 치합돌기(80a,82a)가 서로 치합되어 연결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유도링(93)은 모터(20)의 회전축에 감속기어군에 의해 연결되어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도 7a와 도 7b에 도시된 부호 m은 유도링(93)에 기어식으로 결합되어 모터(20)의 회전력을 유도링(93)에 전달하는 로터피니온이다. 또한, 상기 유도링(93)의 내주연에는 영구자석(92)이 상대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회전체(94)는 회전전달기어(86)의 외측기어(86b)에 치합되는 것으로, 회전체(94)의 둘레부에는 원주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개의 맞걸이부(94a)가 구비된다. 도 6a와 도 6b에 회전체(94)가 평면도로 도시된다.
상기 키이(96)는 일단부가 힌지축(h4)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됨과 동시에 종동기어군에 의해 영구자석(92)의 중심부와 기어식으로 결합된다. 또한, 키이(96)의 타단부는 회전체(94)의 맞걸이부(94a)에 걸려지는 키이걸이(96a)이 구비된다. 키이(96)는 도 6a와 도 6b에 평면도로 도시된다.
상기 스프링(98)의 일단부는 키이(96)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케이스(70)의 내부에 연결된 것으로, 영구자석(92)의 회전 정지시 키이(96)의 키이걸이(96a)을 회전체(94)의 맞걸이부(94a)의 회전 궤적 외측으로 벗어나도록 탄지한다.
또한, 상기 댐퍼(10)의 댐퍼축(12)은 연결수단(30)에 의해 클러치의 종단 출력단에 연결된다. 상기 연결수단(30)은 도 2에 도시되는데, 클러치의 종단 출력단(즉, 상기한 클러치의 캠(87))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면에는 오목홈(32a)의 내부에 방사 방향으로 복수개의 브리지(32b)가 형성된 회전전달체(32)와, 일단부에 구비된 조인트로드(34b)가 허브(53) 중앙의 결합공(53a)(도 2에 도시됨)에 끼워져 고정되고 타단부에는 회전전달체(32)의 오목홈(32a)과 브리지(32b)에 끼워지는 환형부(34c)와 복수개의 브리지 결합홈(34a)을 갖는 모터조인트(34)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한 모터(20)와 클러치의 제1 및 제2클러치부재(80,82), 회전전달 기어(86), 캠(87), 클러치 레버(88), 키이(96)는 단일의 케이스(70)에 내장 설치된다. 또한, 연결수단(30)의 회전전달체(32)는 케이스(70)에 내장 설치되되, 회전전달체(32)의 타단부면에 형성된 오목홈(32a)과 브리지(32b)는 케이스(70)의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모터조인트(34)의 타단부에 형성된 환형부(34c)와 브리지 결합홈(34a)이 회전전달체(32)의 오목홈(32a)과 브리지(32b)에 각각 끼워져 접속된다.
한편, 상기 클러치를 구성하는 모든 부품과 모터(20)는 단일의 케이스(70)에 내장 설치되며, 클러치와 모터(20)가 내장된 케이스(70)는 후술할 브라켓(60)에 의해 덕트(5)의 외측에 장착된다. 이 브라켓(60)에 대해서는 추후에 설명한다.
상기와 같이, 댐퍼축(12)은 덕트(5)의 외부로 노출된 둘레부에 허브(53)가 장착되고, 허브(53)의 외주연 일측에는 제1스톱퍼(20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복귀수단(40)은 댐퍼축(12) 둘레부의 허브(53)에 끼워지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덕트(5)의 외측면에 돌출 설치되어 코일스프링 형태의 복귀수단(40) 일단부가 연결된 제1지지핀(44)을 갖는다. 그리고, 허브(53)의 외주연 타측에 구비된 제1스톱퍼(200)에 복귀수단(40)의 타단부가 연결된다.
이러한 제1스톱퍼(200)는 댐퍼(10)의 개방시 후술할 솔레노이드(210)의 플런저(212)에 걸려지는 기능과, 코일스프링 형태의 복귀수단(40)의 타단부를 걸어주는 두 가지 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 브라켓(60)은 채널부(61)의 양측단에 볼트관통부(62)가 구비된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브라켓(60)의 채널부(61) 일측벽에는 상기 제1스톱퍼(200)가 걸려지는 제2스톱퍼(230)가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된다. 이때, 제2스 톱퍼(230)는 브라켓(60)을 블랭킹 가공하여 브라켓(60)에 일체화된 금속편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브라켓(60)의 채널부(61)에 절취된 원호부(61a)가 형성됨과 동시에 볼트관통부(62)에는 관통공(62a)이 형성되고, 덕트(5)의 외부에는 브라켓(60)의 볼트관통부(62)에 형성된 관통공(62a)에 대응되는 체결보스(6)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모터(20)와 클러치가 내장된 케이스(70)는 모터(20)가 내장되는 위치의 외측면에 모터안착부(72)가 돌출 형성되고, 브라켓(60)의 채널부(61)에는 케이스(70)의 모터안착부(72)의 일측 둘레부에 정합되는 원호부(61a)가 형성되며, 상기 브라켓(60)은 케이스(70)에 형성된 볼트체결부(74)와 마주하는 면에 통공(61b)이 형성된다.
따라서, 브라켓(60)의 통공(61a)을 관통하는 볼트를 케이스(70)의 볼트체결부(74)에 체결하여 브라켓(60)을 케이스(70)에 일체화되도록 조립할 수 있으며, 아울러, 브라켓(60)의 볼트관통부(62)의 관통공(62a)을 통과하는 볼트를 덕트(5) 외부의 체결보스(6)에 체결하여 상기 케이스(70)와 이에 내장된 모터(20)와 클러치를 덕트(5)의 외부에 장착할 수 있다. 물론, 브라켓(60)에 의해 케이스(70)가 덕트(5)의 외부에 장착된 경우에는 연결수단(30)을 매개로 클러치와 모터(20)의 회전축이 댐퍼(10)의 댐퍼축(12)에 연결된 상태가 된다.
상기 솔레노이드(210)는 브라켓(60)의 채널부(61) 내측면에 장착되어 덕트(10)의 외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솔레노이드(210)의 플런저(212)는 제1스톱퍼(200) 방향으로 향하도록 위치된다.
상기 브라켓(60)의 채널부(61) 내측면에는 리미트 스위치(220)도 장착된다. 이 리미트 스위치(220)는 댐퍼(20)가 일방향으로 개방되어 제1스톱퍼(200)가 터치될 때 모터(30)의 공급 전원을 차단하고 솔레노이드(210)의 플런저(212)를 전진시켜 제1스톱퍼(200)를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미트 스위치(220)는 전원공급부(1)와 모터(20)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동시에 솔레노이드(210)에도 연결된다. 또한, 리미트 스위치(220)와 전원공급부(1) 사이에는 스위치(2)가 연결된다. 부호 80은 퓨즈를 보여준다.
이하,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작동에 대해 도 4 내지 도 8 및 도 15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모터(20)에 전원 공급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코일스프링(46)의 탄성력에 의해 댐퍼(10)가 폐쇄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클러치 레버(88)가 도 6a와 도 8a에 도시된 상태로 있고 제1 및 제2클러치부재(80,82)는 도 8a와 같이 서로 맞물려 연결된 상태에 있다. 또한, 키이(96)는 도 6a에 도시된 상태로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 16에 도시된 스위치(2)를 온(on)시켜서 모터(20)에 전원이 공급되면, 모터(20)의 회전축(미도시)에 기어식으로 연결된 피니온(m)이 도 7a에 도시된 화살표(A1) 방향으로 회전되며, 이 회전력은 제1클러치부재(80)를 거쳐 제2클러치부재(82)에 전달된다.
한편, 도 6a와 같이, 모터(20) 회전축의 회전력은 피니온(m)과 감속기어군(D)을 거쳐 유도링(93)에도 전달되어 화살표(B1) 방향으로 회동된다. 그러면, 영구자석(92)이 자기유도에 의해 같은 방향으로 회전되며, 그 회전력은 다른 감속기 어군(미도시)을 거쳐 키이(96)에 전달되어 화살표(C1) 방향으로 키이(96)가 움직여 도 6b와 같이 걸림 위치로 이동한다. 이 상태에서는 키이(96)가 회동할려고 하더라도 둘레부의 키이걸이(96a)이 회전체(94)의 맞걸림부(94a)에 걸려져 있으므로, 키이(96)의 회동이 저지되며, 이로 인해, 회전전달기어(86)를 구성하는 외측기어(86b)의 회동이 저지되어 제1 및 제2클러치부재(80,82)가 접속된 상태로 유지된다. 그리고, 상기 키이(96)의 키이걸이(96a)이 걸림 위치에 위치한 후에도 영구자석(92)은 유도링(93)으로부터의 자기유도에 의해 계속 회전하려는 힘이 주어지며, 이 힘으로 인해 키이(96)의 키이걸이(96a)가 걸림 위치에 유지된다.
상기의 상태로 되면, 제2클러치부재(82)의 회전력이 감속기어군(미도시)을 통해 캠(87)에 전달되어 도 7a의 화살표(D1) 방향으로 회동하고, 상기 캠(87)에 연결수단(30)을 매개로 연결된 댐퍼축(12)이 회전하면서 댐퍼(10)가 개방 작동된다.
이때, 캠(87)의 외측에 인접되어 힌지축(h2)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클러치 레버(88)의 선단부는 캠(87)의 원호형 가이드부(87a)를 따라 가이드된다. 이러한 캠(87)의 회동이 종단 위치에 도달하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러치 레버(88)의 선단부가 캠(87)의 가이드부(87a) 종단의 오목홈(87b)에 끼워지면서 클러치 레버(88) 기단부의 상향경사부(88a)가 제1클러치부재(80)의 저면부에서 이탈된다.
이러한 결과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클러치부재(80)의 치합돌기(80a)가 스프링(S)의 탄성력에 의해 제2클러치부재(82)의 치합돌기(82a)로부터 이탈되어 제1 및 제2클러치부재(80,82)의 연결이 해재된 상태가 된다.
동시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스톱퍼(200)가 리미트 스위치(220)를 터치할 때, 리미트 스위치(220)가 모터(2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함과 동시에 솔레노이드(210)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그러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210)의 플런저(212)가 전진하여 제1스톱퍼(200)를 지지하기 때문에, 댐퍼(10)가 복귀수단(40)(즉, 코일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다시 회동 복귀되지 않고 덕트(5)를 개방한 상태로 유지되며, 이렇게 댐퍼(10)가 개방 완료된 상태에서는 모터(20)의 구동이 정지된다.
반대로, 사용자가 도 16에 도시된 스위치(2)를 오프(off)시켜 모터(20)와 솔레노이드(210)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면, 모터(20) 회전축의 회전이 정지된다. 그러면, 유도링(93)의 회전도 정지되기 때문에, 키이(96)의 키이걸이(96a)을 걸림 위치에서 유지하려는 힘이 소실된다. 이로 인해, 클러치 레버(88)가 도 6a와 도 8a에 도시된 상태로 복귀하며 제1 및 제2클러치부재(80,82)는 서로 맞물려 연결된 상태에 있다. 또한, 키이(96)는 스프링(98)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도 6a에 도시된 상태로 복귀한다.
동시에 캠(87)은 도 7b의 상태에서 다시 도 7a의 상태로 회동 복귀된다. 이처럼 캠(87)이 다시 원위치로 회동되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러치 레버(88)의 선단부가 캠(87)의 가이드부(87a) 종단의 오목홈(87b)으로부터 이탈된다.
동시에 솔레노이드(210)의 플런저(212)가 후퇴하여 제1스톱퍼(200)를 걸어서 고정하는 힘이 해제되어, 제1 및 제2클러치부재(80,82)가 함께 역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으므로, 댐퍼(10)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덕트(5)를 폐쇄할 수 있다. 아울 러, 제1스톱퍼(200)가 다시 브라켓(60)에 돌출된 제2스톱퍼(230)에 걸려지기 때문에, 댐퍼(10)가 덕트(5)를 폐쇄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댐퍼(10)의 개방을 위한 모터(20)의 전원이 끊어지면 자동으로 모터(20)를 역회전시켜 댐퍼(10)를 닫을 수 있으면서도 모터(20)의 토오크를 높이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여러 모로 효율을 기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댐퍼(10)의 개폐를 위한 클러치의 모든 부품과 모터(20)를 단일의 케이스(70)에 내장하고, 케이스(70)를 브라켓(60)에 의해 장착하기만 하면 되는 구조이므로, 구조를 간소화시키는 장점이 있으며, 주요 부품의 가격이 상대적으로 낮아서 제작 코스트를 절감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경제성 등을 기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케이스(70)는 모터(20)가 내장되는 위치의 외측면에 모터안착부(72)가 돌출 형성되고, 브라켓(60)에는 케이스(70)의 모터안착부(72)의 둘레부에 정합되는 케이스(70) 안착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브라켓(60)의 채널부(61)에는 케이스(70)에 형성된 볼트체결부(74)와 마주하는 면에 볼트공(61)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브라켓(60)의 볼트공(61b)을 관통하는 볼트를 케이스(70)의 볼트체결부(74)에 체결하여 케이스(70)를 조립함과 동시에 브라켓(60)을 조립할 수 있으므로, 브라켓(60)과 케이스(70)의 조립이 보다 신속하고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브라켓(60)은 채널부(61)의 양측단에 볼트결합부(62)0가 구비된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브라켓(60)의 채널부(61)에 원호부(61a)가 형성되어, 이 원호부(61a)에 케이스(70)의 모터안착부(72)가 형합되어 장착되므로, 케이스(70)와 브라켓(60)의 결합구조를 보다 견고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덕트(5)의 외부에는 브라켓(60)의 볼트체결부(62)에 형성된 볼트공(62a)에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보스(6)가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70)와 브라켓(60)을 먼저 조립하여 단일의 제품으로 만든 다음, 상기 브라켓(60)의 볼트체결부(62)에 형성된 볼트공(62a)을 관통하는 볼트를 덕트(5)에 구비된 체결보스(6)에 체결하면 되므로, 본 발명의 덕트(5)구조의 조립이 더욱 용이하고 신속한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모터(20)의 회전축과 덕트(5)의 덕트축(12)은 연결수단(30)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연결수단(30)은 모터(20)의 회전축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면에는 오목홈(32a)의 내부에 방사 방향으로 복수개의 브리지(32b)가 형성된 회전전달체(32)와, 일단부가 회전전달체(32)의 오목홈(32a)과 브리지(32b)홈에 끼워져 결합되고 타단부는 댐퍼(10)를 덕트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시키는 댐퍼축(12)에 연결되는 모터조인트(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의하면, 모터조인트(34)의 타단부를 허브(53)의 중앙에 형성된 결합공(53a)에 삽입하여 모터조인트(34)를 허브(53)에 고정하고, 상기 브라켓(60)에 케이스(70)를 장착한 다음, 회전전달체(32)의 오목홈(32a)에 형성된 브리지(32b)를 모터조인트(34)의 브리지 결합홈(34a)에 끼워 맞춘 상태에서 브라켓(60)의 볼트결합부를 덕트(5) 외측의 체결보스(6)에 볼트로 체결하여 고정하면 되므로, 각 부분(특히, 모터조인트(34)와 회전전달체(32))의 위치 설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1스톱퍼(200)는 댐퍼(10)의 개방시 솔레노이드(210)의 플런저(212)에 걸려지는 기능과, 코일스프링 형태의 복귀수단(40)의 타단부를 걸어주는 두 가지 기능을 함으로써, 댐퍼(10)의 개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스톱퍼와 복귀수단(40)을 걸어주는 핀과 같이 두 개의 부품을 하나의 부품으로 해결하였으므로, 제품의 제작 단가를 더 낮출 수 있는 등의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한편, 도 9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클러치와 모터(20)가 단일의 케이스(70)에 내장되는 것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하고, 이러한 클러치와 모터(20)가 내장된 케이스(70)를 덕트(5)의 외측면에 브라켓(120,130)을 매개로 장착한다. 이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120,130)은 내측 브라켓(120)과 중간브라켓(130)을 갖도록 구성된다. 또한, 중간브라켓(130)의 외측면에 외측브라켓(140)이 더 구비된다. 도 9의 부호 13은 댐퍼축(1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지지 브라켓이고, 부호 13a는 베어링이다.
상기 내측브라켓(120)은 채널부(122)의 양단부에 덕트(5)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덕트밀착부(124)를 갖는 단면 형태로 구성되어, 양측단 덕트밀착부(124)가 덕트(5)의 외측면에 스폿용접(SP)으로 부착 고정된다. 또한, 내측브라켓(120)은 댐퍼축(12)의 일단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댐퍼축 관통공(126)이 형성되고, 내측브라켓(120)의 외측에서 댐퍼축(12)의 일단부측 둘레에 허브(152)가 장착된다.
상기 중간브라켓(130)은 채널부(132)의 양측단에 밀착결합부(134)가 구비된 단면 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밀착결합부(134)가 내측브라켓(120)의 채널 부(122) 외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볼트로 고정된다. 또한, 중간브라켓(130)의 채널부(132)에는 제2스톱퍼(230)이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 제2스톱퍼(230)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중간브라켓(130)의 채널부(132)를 블랭킹 가공하여 채널부(132)에 일체화된 금속편 형태로 구성된다.
또한, 중간브라켓(130)의 내측면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기술한 솔레노이드(210)와 리미트 스위치(220)가 장착된다.
그리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브라켓(130)의 채널부(132)에는 상기 케이스(70)의 볼트체결부(74)와 대응되는 위치에 통공(132a)이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70)의 볼트체결부(74)를 중간브라켓(130)의 외측면에서 채널부(132)의 통공(132a)에 맞춘 다음, 채널부(132)의 통공(132a)을 관통하는 볼트를 케이스(70)의 볼트체결부(74)에 체결함으로써, 중간브라켓(130)의 외측면에 케이스(70)를 일체로 장착할 수 있다. 물론, 케이스(70)의 내부에는 모터와 클러치가 내장되므로, 결국, 모터(20)와 클러치가 단일 케이스(70)에 내장된 상태로 덕트(5)의 외측면에 장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외측브라켓(140)은 채널부(142)의 양측단에 좌우 고정편(144)이 구비된 단면 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좌우 고정편(144)이 중간브라켓(130)의 외측면 양측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어 상기 케이스(70)의 외측면과 양측면을 커버하게 된다. 부호 146은 외측브라켓(140)의 채널부(142) 일측벽에 끼워진 전선지지링으로서, 이 전선지지링(142)의 내부로 모터전원 공급용 전선(e)이 통과되어 지지된다.
이때, 상기 단일 케이스(70)에 내장된 모터의 회전축과 댐퍼(10)의 댐퍼 축(12)은 연결수단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이러한 연결수단은 덕트(5)의 외부에서 댐퍼축(12)의 일단부에 고정된 허브(152)와, 일단부에 구비된 조인트로드(155)가 허브(152) 중앙의 결합공(152a)에 끼워진 모터조인트(15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 모터조인트(154)의 타단부는 케이스(70)에 내장되어 클러치의 종단 출력단에 연결된 회전전달체(미도시)에 연결된다.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조인트(154)의 조인트로드(155) 일측부에는 절취된 형태의 평탄부(155a)가 형성되고, 도 12b와 같이, 모터조인트(154)의 타단부에는 원형결합홈(154a)과 십자결합홈(154b)이 형성된다. 또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퍼축(12)의 일단부측 둘레부에는 절취된 형태의 평탄부(12a)가 형성된다.
따라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조인트(154)의 조인트로드(155)와 댐퍼축(12)의 일단부측 둘레부가 허브(152)의 중앙 결합공(152a)에 끼워진 상태에서 허브(152)를 관통하는 볼트(b)에 의해 모터조인트(154)의 조인트로드(155)가 댐퍼축(12)의 둘레부에 가압 밀착되어 댐퍼축(12)과 모터조인트(154)가 상호 연결된다. 이때, 조인트로드(155) 일측부의 평탄부(155a)와 댐퍼축(12) 둘레부의 평탄부(12a)가 서로 맞닿은 상태가 되기 때문에, 모터에 의해 댐퍼(10)와 댐퍼축(12)이 회전할 때 댐퍼축(12)과 모터조인트(154)의 연결 부위가 서로 슬립되어 공회전하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70)에 내장된 클러치의 종단 출력단에는 회전전달체의 일단부가 연결되고, 회전전달체의 타단부(즉, 모터조인트의 타단부와 마주하는 단부) 에는 모터조인트(154)의 원형결합홈(154a)과 십자결합홈(154b)에 각각 끼워져 결합되는 원형돌부(미도시)와 십자돌부(미도시)가 각각 형성되어, 모터조인트(154)와 회전전달체가 견고하게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즉, 도시되지 않은 회전전달체가 모터의 회전력을 모터조인트(154)에 전달하고, 이 모터조인트(154)의 회전에 의해 댐퍼축(12)과 댐퍼(10)가 회전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면, 사용자가 스위치(2)를 온(on)시켜서 모터(20)에 전원을 공급하면, 모터(20)의 회전력이 클러치에 의해 댐퍼(10)에 전달되고, 댐퍼(10)가 일방향으로 회동되어 덕트(5)가 개방 완료된 상태가 될 때 솔레노이드(210)의 플런저(212)가 제1스톱퍼(200)를 지지하여 덕트(5)의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며, 동시에 리미트 스위치(220)에 의해 모터(20)의 공급 전원이 차단되어 모터(20)는 더 이상 구동되지 않게 된다.
반대로, 사용자가 스위치(2)를 오프(off)시켜 모터(20)와 리미트 스위치(220)의 전원을 차단하면, 솔레노이드(210)의 플런저(212)가 후퇴하여 복귀수단(40)의 탄성력에 의해 댐퍼(10)가 다시 원위치로 회동 복귀되어 덕트(5)를 다시 폐쇄하며, 이렇게 덕트(5)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제1스톱퍼(200)가 중간브라켓(130)에 구비된 제2스톱퍼(230)에 걸려지기 때문에, 덕트(5)의 폐쇄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한 효과를 설명하면, 첫째, 내측브라켓(120)의 양측단 덕트밀착부(124)를 스폿용접(SP)함으로써 내측브라켓(120)을 덕트(5)의 외측에 고정 장착할 수 있으므로, 내측브라켓(120)의 설치 작업이 신속하 고 용이한 효과가 있다. 둘째, 덕트(5)의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는 제2스톱퍼(230)를 중간브라켓(130)을 블랭킹하는 방식으로 일체화시켜 형성하므로, 제2스톱퍼(230)를 형성하는 작업이 보다 용이한 등의 효과가 있다. 셋째, 외측브라켓(140)에 의해 케이스(70)의 외측면과 양측면을 커버하여 보호하기 때문에, 외부의 충격력에 의해 케이스(70)가 손상되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하며, 나아가, 케이스(7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은폐되어 외관상 깔끔하여 제품의 상품성을 높이는 것과 같은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점이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댐퍼의 개방을 위한 모터의 전원이 끊어지면 자동으로 모터를 역회전시켜 댐퍼를 닫을 수 있으면서도 모터의 토오크를 높이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여러 모로 효율을 기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댐퍼의 개폐를 위한 클러치의 모든 부품과 모터를 단일의 케이스에 내장하고, 케이스를 브라켓에 의해 장착하기만 하면 되는 구조이므로, 전체적인 구조를 콤팩트하고 간소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주요 부품의 가격이 상대적으로 낮아서 제작 코스트를 절감할 수 있으며, 나아가, 경제성을 기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이 있다.

Claims (14)

  1. 덕트(5)의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댐퍼(10)에 연결되어 공급 전원에 의해 상기 댐퍼(10)를 개방 작동시키는 모터(20)와, 상기 모터(20)와 댐퍼(10) 사이에 연결되어 댐퍼(10)에 전달되는 모터(20)의 회전력을 단속하는 클러치와, 상기 모터(20)와 댐퍼(10)의 연결부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댐퍼(20)와 함께 회동되는 제1스톱퍼(200)와, 상기 덕트(10)에 장착되어 플런저(212)가 상기 제1스톱퍼(200) 방향을 향하도록 된 솔레노이드(210)와, 상기 댐퍼(20)가 일방향으로 개방되어 상기 제1스톱퍼(200)가 터치될 때 상기 모터(30)의 공급 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솔레노이드(210)의 플런저(212)를 전진시켜 상기 제1스톱퍼(200)를 지지하는 리미트 스위치(220)와, 상기 모터(30)와 리미트 스위치(220)의 전원 차단시 댐퍼(10)를 타방향으로 회동복귀시키는 복귀수단(40)과, 상기 댐퍼(10)에 의해 덕트(5)의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는 제2스톱퍼(23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의 자동복귀가 가능한 댐퍼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수단(40)은 상기 댐퍼(10)를 덕트(5)에 지지하는 댐퍼축(12)의 둘레부에 구비됨과 동시에 일단부가 상기 댐퍼축(12)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덕트(5)에 연결된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의 자동복귀가 가능한 댐퍼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10)의 댐퍼축(12)은 연결수단(32,34)을 매개로 상기 클러치의 종단 출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수단(32,3)은 상기 클러치의 종단 출력단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면에는 오목홈(32a)의 내부에 방사 방향으로 복수개의 브리지(32b)가 형성된 회전전달체(32)와, 일단부에 형성된 브리지 삽입홈(34a)이 상기 회전전달체(32)의 브리지(32b)와 끼워져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댐퍼축(12)의 둘레부에 구비된 허브(53)에 끼워져 상기 댐퍼축(12)에 연결되는 모터조인트(34)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의 자동복귀가 가능한 댐퍼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20)와 클러치는 단일 케이스(70)에 내장 설치되어 상기 덕트(5)의 외측에 브라켓(60)을 매개로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의 자동복귀가 가능한 댐퍼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60)에는 상기 댐퍼(10)의 원위치 복귀시 상기 제1스톱퍼(200)가 걸려지는 제2스톱퍼(230)가 구비되고, 상기 제2스톱퍼(230)는 상기 브라켓(60)을 블랭킹 가공하여 상기 브라켓(60)에 일체화된 금속편 형태로 이 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댐퍼의 자동복귀가 가능한 댐퍼구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60)은 채널부(61)의 양측단에 볼트결합부(62)가 구비된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채널부(61)에는 원호형상으로 절취된 원호부(61a)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원호부의 주위에는 복수개의 통공(61b)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결합부(62)에는 볼트공(62a)이 관통되며, 상기 덕트(5)의 외부에는 상기 볼트결합부(61)의 볼트공(62a)에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보스(6)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의 자동복귀가 가능한 댐퍼구조.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70)는 상기 브라켓(60)의 채널부(61)와 마주하는 일측면에 원형의 모터안착부(72)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60)의 채널부(61)에 형성된 상기 원호부(61a)에 상기 모터안착부(72)가 정합되고, 상기 모터안착부(72) 주변에는 상기 채널부(61)의 통공(61b)과 마주하는 복수개의 볼트체결공(7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의 자동복귀가 가능한 댐퍼구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와 모터(20)는 단일의 케이스(70)에 내장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케이스(70)는 덕트(5)의 외측에 브라켓(120,130)을 매개로 장착 되고, 상기 브라켓(120,130)은 내측 브라켓(120)과 중간 브라켓(130)을 갖도록 구성되며, 상기 내측브라켓(120)은 채널부(122)의 양단부에 덕트(5)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덕트밀착부(124)를 갖는 단면 형태로 구성되어 양측단 덕트밀착부(124)가 덕트(5)의 외측면에 스폿용접(SP)으로 부착 고정되고, 상기 중간브라켓(130)은 채널부(132)의 양측단에 밀착결합부(134)가 구비된 단면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밀착결합부(134)가 내측브라켓(120)의 채널부(122) 외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의 자동복귀가 가능한 댐퍼구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브라켓(130)을 블랭킹하여 상기 제2스톱퍼(230)를 중간브라켓(130)에 일체화된 금속편 형태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브라켓(130)의 외측면에 장착되는 별도의 외측브라켓(14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외측브라켓(140)은 채널부(142)의 양측단에 좌우 고정편(144)이 구비된 단면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외측브라켓(140)의 좌우 고정편(144)이 중간브라켓(130)의 외측면 양측에 밀착되어 상기 중간브라켓(130)의 외측에 장착된 상기 케이스(70)를 상기 외측브라켓(140)에 의해 커버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의 자동복귀가 가능한 댐퍼구조.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10)를 지지하는 댐퍼축(12)은 덕트(5)의 외측으로 돌출된 둘레부에 별도의 허브(53)가 장착되어 구성되고, 상기 허브(53)의 외주연에 상기 제1스톱퍼(200)가 구비되되 상기 제1스톱퍼(200)는 핀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허브(53)의 둘레부에 끼워진 코일스프링 형태의 복귀수단(40) 일단부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의 자동복귀가 가능한 댐퍼구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는 자기 유도에 의해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된 영구자석(92) 및 유도링(93)과, 상기 영구자석(92)과 연계되어 회동되며 일단부에는 키이걸이(96a)가 구비된 키이(96)와, 상기 키이(96)의 키이걸이(96a)에 걸려지는 맞걸이부(94a)가 형성된 회전체(94)와, 상기 키이(96)의 키이걸이(96a)를 상기 회전체(94)의 맞걸이부(94a)에서 벗어나도록 탄지하는 스프링(98)과, 상기 모터(20)에 연계됨과 동시에 상기 회전체(94)에 치합된 제1클러치부재(80)와, 상기 제1클러치부재(80)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스프링(S)에 의해 상기 제1클러치부재(80)와의 연결이 해제되는 제2클러치부재(82)와, 상대 회전하는 내외측기어(86a,86b)로 구성되고 상기 외측기어(86b)는 상기 회전체(94)와 치합되고 상기 내측기어(86a)는 상기 제2클러치부재(82)에 연결된 회전전달기어(86)와, 상기 회전전달기어(86)의 내측기어(86a)에 결합되고 일측 둘레에는 원호형으로 가이드부(87a)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87a)에는 개방홈(87b)이 형성된 캠(87)과, 상기 제1클러치부재(80)의 일측단과 마주하는 일단부에 상향경사부(88a)가 형성되고 타단부는 상기 캠(87)의 가이드부(87a)에 접촉되는 클러치 레버(88)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의 자동복귀가 가능한 댐퍼구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10)의 둘레부에는 상기 덕트(5)의 내주연에 밀착되는 실링부재(11)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의 자동복귀가 가능한 댐퍼구조.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톱퍼(200)는 단일의 핀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댐퍼(10)의 개방시 솔레노이드(210)의 플런저(212)에 걸려짐과 동시에 상기 코일스프링 형태의 복귀수단(40)의 일단부를 걸어주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의 자동복귀가 가능한 댐퍼구조.
KR1020060090259A 2006-09-18 2006-09-18 댐퍼의 자동복귀가 가능한 댐퍼구조 KR1007287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0259A KR100728702B1 (ko) 2006-09-18 2006-09-18 댐퍼의 자동복귀가 가능한 댐퍼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0259A KR100728702B1 (ko) 2006-09-18 2006-09-18 댐퍼의 자동복귀가 가능한 댐퍼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8702B1 true KR100728702B1 (ko) 2007-06-19

Family

ID=38372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0259A KR100728702B1 (ko) 2006-09-18 2006-09-18 댐퍼의 자동복귀가 가능한 댐퍼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8702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5921B1 (ko) 2007-09-14 2008-03-24 (주)디엔텍 풍량조절용 댐퍼장치
KR100855711B1 (ko) 2008-03-28 2008-09-03 심창섭 환기장치용 댐퍼 제어장치
KR101108633B1 (ko) * 2011-06-23 2012-01-31 (주)대양기연 마그네틱과 솔레노이드의 자성을 이용한 연동형 댐퍼
KR200465436Y1 (ko) * 2011-06-23 2013-02-19 (주)대양기연 마그네틱의 자성을 이용한 백 드레프트 댐퍼
KR101264110B1 (ko) * 2011-06-23 2013-05-14 (주)대양기연 솔레노이드 구동회로를 갖는 연동형 댐퍼
KR101317441B1 (ko) * 2013-04-25 2013-10-10 주식회사 그렉스전자 환기용 댐퍼
KR101522564B1 (ko) * 2014-10-30 2015-05-27 (주)대양기연 에어덕트의 소켓형 슬리브 직결 마감링
KR101967911B1 (ko) * 2018-04-10 2019-08-19 손남주 모터를 이용한 댐퍼 장치
KR102079683B1 (ko) * 2018-10-19 2020-02-20 에스지생활안전 주식회사 유해가스 차단밸브 개폐장치
KR102239879B1 (ko) 2020-06-01 2021-04-13 주식회사 존환경디자인 환풍기 역류 방지 댐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5265B1 (ko) * 2006-03-09 2007-01-04 조철휘 건물 환기덕트용 댐퍼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5265B1 (ko) * 2006-03-09 2007-01-04 조철휘 건물 환기덕트용 댐퍼구조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5921B1 (ko) 2007-09-14 2008-03-24 (주)디엔텍 풍량조절용 댐퍼장치
KR100855711B1 (ko) 2008-03-28 2008-09-03 심창섭 환기장치용 댐퍼 제어장치
KR101108633B1 (ko) * 2011-06-23 2012-01-31 (주)대양기연 마그네틱과 솔레노이드의 자성을 이용한 연동형 댐퍼
KR200465436Y1 (ko) * 2011-06-23 2013-02-19 (주)대양기연 마그네틱의 자성을 이용한 백 드레프트 댐퍼
KR101264110B1 (ko) * 2011-06-23 2013-05-14 (주)대양기연 솔레노이드 구동회로를 갖는 연동형 댐퍼
KR101317441B1 (ko) * 2013-04-25 2013-10-10 주식회사 그렉스전자 환기용 댐퍼
KR101522564B1 (ko) * 2014-10-30 2015-05-27 (주)대양기연 에어덕트의 소켓형 슬리브 직결 마감링
KR101967911B1 (ko) * 2018-04-10 2019-08-19 손남주 모터를 이용한 댐퍼 장치
KR102079683B1 (ko) * 2018-10-19 2020-02-20 에스지생활안전 주식회사 유해가스 차단밸브 개폐장치
KR102239879B1 (ko) 2020-06-01 2021-04-13 주식회사 존환경디자인 환풍기 역류 방지 댐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8702B1 (ko) 댐퍼의 자동복귀가 가능한 댐퍼구조
JP5173668B2 (ja) 減速機構付モータ
JP2004351975A (ja) ステアバイワイヤシステムのフェールセーフ機構およびステアバイワイヤシステム
KR100728701B1 (ko) 댐퍼의 자동복귀가 가능한 댐퍼구조
CN100529380C (zh) 具有支撑拨叉支点部分的可靠支点支架的起动机
JPH0796864B2 (ja) ドア及びその類似物内に取付けるタイプのラッチ構造体
KR101629176B1 (ko) 창문 개폐장치용 클러치 조립체
JP2010045954A (ja) 減速機構付モータ
CA2601083A1 (en) Bi-directional air flow damper having uni-directional synchronous motor
JP2005065371A (ja) ギアードモータ
JP4325578B2 (ja) 中間歯車付スタータ
CA2043700C (en) Starter system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6629472B1 (ja) 窓開閉装置
JP2004138125A (ja) クラッチ
CA2492257A1 (en) A damper assembly exploiting a crankshaft
JP3794258B2 (ja) スタータ
JP2009121607A (ja) 電磁クラッチ
JP5887938B2 (ja) スタータ
JP6776119B2 (ja) クラッチ機構およびクラッチ付減速機
JP5061659B2 (ja) クラッチ付きモータ
JPH09299497A (ja) 防火ダンパー
CN213228278U (zh) 一种驱动装置及车辆天窗
JP3995549B2 (ja) スタータ
KR910008061Y1 (ko) 가스밸브의 차단장치
AU2007101193A4 (en) Roller door drive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3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