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8617B1 - 각도 조절이 가능한 작업 테이블 - Google Patents

각도 조절이 가능한 작업 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8617B1
KR100728617B1 KR1020060118372A KR20060118372A KR100728617B1 KR 100728617 B1 KR100728617 B1 KR 100728617B1 KR 1020060118372 A KR1020060118372 A KR 1020060118372A KR 20060118372 A KR20060118372 A KR 20060118372A KR 100728617 B1 KR100728617 B1 KR 1007286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cylinder
hydraulic cylinder
angle
work 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8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진호
Original Assignee
문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진호 filed Critical 문진호
Priority to KR1020060118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86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8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86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1/0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 B25H1/14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with provision for adjusting the bench to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1/0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 B25H1/14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with provision for adjusting the bench top
    • B25H1/18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with provision for adjusting the bench top in inclin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1/00Fluid-delivery valves, e.g. self-closing valves
    • F16K21/04Self-closing valves, i.e. closing automatically after operation
    • F16K21/06Self-closing valves, i.e. closing automatically after operation in which the closing movement, either retarded or not, starts immediately after opening
    • F16K21/10Self-closing valves, i.e. closing automatically after operation in which the closing movement, either retarded or not, starts immediately after opening with hydraulic brake cylinder acting on the closure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tu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품을 올려놓아 절삭 또는 조립 및 용접 등을 하는 작업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작업 테이블의 상판 저면에 구비되는 다수의 유압 실린더가 유압에 의해 상판을 상하로 이동시켜 각도를 조절하는 작업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판을 상하이동시키는 제 2 유압실린더(60)를 제 1 유압실린더(30)를 이용하여 좌우 한 쌍으로 설치하며, 제 2 유압실린더(60)의 피스톤(61) 상단에 구비된 탄성축(63)의 볼(65C)이 상부 플레이트(20)의 저면에 구비된 접촉판(21)을 따라 미끄럼 접촉되게 하여 상부 플레이트(20)의 틸팅(Tilting) 각도 조절간에 발생하는 비틀림을 해소하고, 탄성축(63)이 탄성 스프링(64)을 통해 상부 플레이트(20) 저면과 밀착유지되게 하여 상부 플레이트(20)의 흔들림을 방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압실린더, 볼, 모터, 작업 테이블, 작업대

Description

각도 조절이 가능한 작업 테이블{Work table adjustable tilting angle control}
도 1은 종래의 작업 테이블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작업 테이블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작업 테이블의 상부 플레이트가 분리된 사시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작업 테이블의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부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조인트의 사용 예를 보인 사용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작업 테이블 중 유압장치부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작업 테이블 중 유압장치부의 제 1 유압실린더가 분리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작업 테이블 중 유압장치부의 제 2 유압실린더가 분리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작업 테이블 중 수치측정부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작업 테이블 중 미끄럼 발생부의 일 예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작업 테이블 중 미끄럼 발생부의 예를 보인 사용상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작업 테이블 중 제어부의 일 예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작업 테이블 중 제 1 유압실린더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지지대 2: 고무막
3: 조인트 3A, 3B: 고정판
4: 가이드레일 5: 스토퍼
6: 오일유입구 10: 베이스 플레이트
20: 상부 플레이트 21: 접촉판
21A: 만곡면 30: 제 1 유압실린더
31: 피스톤 32: 실린더
32A: 유로 32B: 개구부
33: 로드 34: 나사홀
40: 스크류축 50: 전동모터
60: 제 2 유압실린더 61: 피스톤
61A: 결속홀 62: 실린더
62A: 실린더 고정장치 63: 탄성축
64: 탄성 스프링 65: 미끄럼 수단
65A: 가이드부 65B: 홀
65C: 볼 70: 수치측정장치
71: 래크기어 71A: 이송축
72: 피니언 72A: 조인트
73: 엔코더 74: 컨트롤 장치
80: 제어장치 R: O링
H: 유로관 S: 전원 스위치
D: 디스플레이 A, B : 전도선
본 발명은 제품을 올려놓아 절삭 또는 조립 및 용접 등을 하기 위한 작업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제품생산을 위한 작업 과정 중 작업자가 용접 및 절삭 가공 등을 하기 위해 작업 테이블 상판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작업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작업 테이블이란, 일반적으로 고정된 형태로 제작되어 제품을 올려놓거나 각종 생산공정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을 칭하는 것으로, 작업 테이블을 정해진 위 치에 고정 설치하여 반복되는 생산공정을 처리해 오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작업 테이블은 변화없는 고정된 작업에는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으나, 제품의 형태나 크기, 작업자의 키 등과 같은 조건이 달라지면 오히려 불편함을 느끼게 될 수 있는 문제가 따르고 있다.
이에 대한 예로서, 작업자의 키와 작업 테이블의 높이의 차이가 크면 작업자는 허리와 등을 구부린 자세로 장시간 일해야 하고, 결과적으로 피로감을 빠르게 느끼게 되어 집중력이 저하되며, 이로 인해 제품 생산성이 떨어지고, 심하게는 작업자의 근육통과 허리 디스크 등과 같은 직업병을 동반하게 된다.
또한, 용접과 조립 등과 같은 작업은 한 방향에서 작업하지 아니하고, 대상물의 형태 및 특징에 따라 위치를 변화하여 작업하여야 하나, 고정된 작업 테이블은 각도를 조절할 수 없어 작업자가 이동하여 작업할 수밖에 없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한 선출원 기술로써 공개특허번호 1998-047579호, 명칭: 작업 테이블과 같이 작업 테이블의 각도를 작업자가 원하는 대로 조절할 수 있도록 조절 가능한 작업 테이블이 출원된 바 있다.
상기 작업 테이블은, 도 1 도시와 같이 다수의 정렬공을 구비한 선반(100)과, 상기 정렬공을 통해 작업물을 일정 위치에 고정하는 고정부재(200)와, 상기 선반(100)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300)과, 상기 지지프레임(300)에 고정되어 선반(100)을 전후좌우로 소정 경사각을 갖도록 조절하는 4개의 실린더(400)와, 상기 실린더(4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50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어수단(500)은, 솔레노이드밸브(Solenoid-Valve)를 통해 4방 향 밸브(4Way-Valve)를 제어하여 4개의 실린더(400)에 서로 다른 양의 유압(공압)을 공급하거나 차단할 수 있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른 종래의 작업 테이블은, 4개의 실린더(400) 중 일측 실린더의 피스톤이 상승하면, 이와 마주하는 타측 실린더의 피스톤이 하향되어 상승된 피스톤측 선반(100)의 높이가 상승하여 전후좌우로 선반(100)의 틸팅(Tilting) 각도가 조절된다.
즉, 제어수단(500)으로 4개의 실린더(400)의 피스톤 높이를 제어하여 선반(100)의 경사 각도가 조절되게 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선반(100)이 상승되는 각도의 변화에 따라 실린더의 피스톤과 선반 저면의 결속부가 서로 비틀리지 않고 유지되도록 유니버셜 조인트(J) 또는 볼 조인트 등을 사용하여 결속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유니버셜 조인트와 볼 조인트는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결속부의 마모가 발생하여 이로 인해 유격이 발생하고, 결과적으로 선반(100)의 고정이 헐거워져 유동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선반(100)의 각도를 조절함에 있어서, 실린더(400)의 피스톤 각각의 높이 변화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없어서 선반(100)의 각도를 눈대중으로 조절하던 불편함이 있었으며, 종래의 실린더(400)와 피스톤의 결속부는 선반(100)의 장기간 사용으로 인해 손상되기 쉬운 구조를 취하고 있다.
즉, 선반(100)의 각도가 복합적으로 변화되면 소정 각 조절되고, 이로 인해 실린더(400)가 비틀리게 되어 파손될 우려가 있으며, 실린더(400) 파손부를 통해 유압(공압)의 누출이 발생하여 작업장이 누출된 오일(유체)로 오염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제품의 용접 또는 가공시 지지용으로 사용되는 선반(100)의 결속부(유니버셜조인트, J)가 마모되어 견고히 고정되지 못하고, 작업자가 선반(100)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많은 시간이 소모하게 되며, 선반(100)의 각도조절이 전방향으로 유연하게 조절되지 못하여 작업 능률이 저하되던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각도 조절가능한 작업 테이블에 있어서, 전후좌우로 각도조절될 시 발생하는 마모로 인해 유격이 발생하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항상 상부 플레이트 측으로 밀착 유지되도록 한 탄성축을 구비한 유압실린더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실린더의 피스톤 이동 거리를 측정하여 출력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가 작업 테이블의 각도를 정밀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한 작업 테이블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작업 테이블의 저면을 지지하여 상하향되는 피스톤이 결속고정되지 아니하고 자유롭게 미끄럼 접속될 수 있도록 미끄럼 장치를 구비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실린더 내측에 구비되는 피스톤의 이송 거리를 정밀하게 측정하여 연산 출력할 수 있는 수치측정장치를 구비함으로써 달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장치는, 작업 테이블 상판의 각도를 조절하는 유압장치부와, 상기 미끄럼 발생부와 수치측정부 및 유압장치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실시될 수 있다.
상기 목적과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과 특징들은 양호한 실시 예를 도시한 첨부도면과 관련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른 실시 예를 도시한 첨부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도 2 도시와 같이 지지대(1) 상면에 베이스 플레이트(10)를 장착 고정하고, 베이스 플레이트(10) 상부에 상부 플레이트(20)가 적층된다. 여기서 베이스 플레이트(10)와 상부 플레이트(20) 간에 유압장치부, 수치측정부, 미끄럼발생부, 제어부를 장착하며, 그 외부 둘레를 고무막(2)으로 감싸 이물질 유입을 방지한다.
한편, 베이스 플레이트(10)와 상부 플레이트(20)는, 도 3a 도시와 도 3b 도시와 같이 열십자형으로 형성되어 각각 전후좌우로 회전되는 조인트(3)가 고정판(3A,3B)을 통해 결속된 것으로, 조인트(3)를 통해 결속된 두 쌍의 축중 한 쌍은 베이스 플레이트(10)와 결속되는 하부 고정판(3A)을 통해 결속되고, 다른 한 쌍은 상부 플레이트(10)와 결속되는 상부 고정판(3B)을 통해 결속된다.
여기서 조인트(3)는, 베이스 플레이트(10) 상면에 적층된 상부 플레이트(20)가 전후좌우로 자유롭게 유동하도록 유니버셜 조인트 또는 볼 조인트와 같은 역할 을 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조인트(3)의 구성은 일반적으로 널리 실시되고 있으며,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로 변형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고정된 베이스 플레이트(10) 상측면에 적층된 상부 플레이트(20)가 조인트(3)를 통해 전후좌우로 자유롭게 각도조절되며, 이를 4방향뿐만 아니라 각 모서리부(대각선)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하여, 전후좌우의 각도와 모서리부의 각도를 연계시켜 조절하면 상부 플레이트(10)의 전방향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크게 제 1, 2 유압실린더(30, 60)로 이루어진 유압장치부와, 상기 유압장치부에 연동되며 엔코더(73)을 통해 수치를 측정하는 수치측정부와, 상기 유압장치부의 제 2 유압실린더(60)와 상부 플레이트(20)의 접촉면이 미끄럼 접촉되게 하는 미끄럼 발생부와, 상기 수치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값을 출력하며 작업자의 조작을 통해 유압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본 발명의 유압장치부, 수치측정부, 미끄럼 발생부, 제어부를 이하에서 좀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유압장치부의 실시 예>
본 발명의 유압장치부는, 도 4 도시와 같이 2개 한 쌍으로 이루어진 제 2 유압실린더(60)의 유압을 조절하는 제 1 유압실린더(30)로 이루어진 것으로, 각 유압실린더의 유압조절에 따라 상부 플레이트(20)가 상하향되어 전후좌우는 물론 대각선 방향을 포함한 전방향으로의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유압장치부는, 도 5 도시 및 도 6 도시와 같이 제 1 유압실린더(30)의 실린더(32)가 좌우로 이송되게 설치되며, 실린더(32) 양 끝단에 형성된 유로(32A)에 일정 길이의 유로관(H)이 결속된다. 또한, 상기 유로관(H)의 타측단은 제 2 유압실린더(60)의 실린더(62)와 연결되어 관통되게 설치되며, 상기 실린더(62)는 상하로 길이를 갖게 설치되어 내측 피스톤(61)이 상하로 이송되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유압실린더(30)는, 실린더(32)에 형성된 개구부(32B)를 통해 내측 피스톤(31)과 연결되는 로드(33)가 설치되며, 상기 로드(33)는 나사홀(34)이 형성되어 스크류축(40)과 나사결합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스크류축(40)은 일측단이 전동모터(50)와 연동되어 회전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 1, 2 유압실린더(30, 60)의 피스톤(31, 61)은 각각 내부 유체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다수의 O링(R)을 장착하여 구비된다.
한편, 제 2 유압실린더(60)는 실린더 고정장치(62A)를 통해 실린더(62)를 고정하고, 실린더 고정장치(62A)의 저면을 베이스 플레이트(10)에 고정하여 실시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유압장치부는, 상기 제 1 유압실린더(30)의 실린더(32) 내부 양측에 유입된 유체의 양이 같게 조절된 것으로, 상기 피스톤(31)이 실린더(32) 일측방향으로 완전히 밀착되면 제 1 유압실린더(30)의 실린더(32)에 유입되어있던 유체가 유로관(H)을 따라 제 2 유압실린더(60) 일측으로 유입되어 피스톤(61)을 상향시키고, 이와 반대 측에 연결된 제 2 유압실린더(60)는 제 1 유압실린더(30)의 피스 톤(31)이 타측으로 완전히 이격되어 내측 유체가 유출되므로 피스톤(61)이 하향된다.
즉, 제 1 유압실린더(30) 양측의 제 2 유압실린더(60)는 2개 1쌍으로 일측의 피스톤(61)이 하향하는 높이만큼 타측 피스톤(61)이 상승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유압장치부를 열십자 형태로 구성하여 4개 2쌍 설치한 것으로, 상부 플레이트(20)의 저면의 각 측면을 지지하도록 설치되어 이를 통해 상부 플레이트(20)의 전후좌우측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됨은 물론, 각 피스톤(61)의 상하 이동을 제어하여 모서리로 경사지게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플레이트(20)의 전후좌우측 각도변화와 모서리측 각도변화를 연계적으로 조절하여 상부 플레이트(20)가 전방향으로 각도 조절된다.
여기서 상기 로드(33)는, 스크류축(40)에 의해 좌우로 이송될시 발생하는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레일(4)을 포함하여 실시될 수 있으며, 제 2 유압실린더(60)의 피스톤(61)은, 상하로 관통되는 오일유입구(6)를 구비하여 실린더(62) 내측의 오일(유체)량을 조절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실시될 수 있다.
<수치측정부의 실시 예>
본 발명의 수치측정부는, 상기 유압장치부의 제 1 유압실린더(10)의 좌우 이송 거리를 측정하고, 이를 연산하여 제 2 유압실린더(60)의 높이로 변환하며, 변환값을 제어부를 통해 화면으로 출력한다.
이와 같은 수치측정부는, 도 7 도시와 같이 로드(33)는 끝단에 좌우로 길이를 갖는 이송축(71A)을 장착고정하고, 이송축(71A) 끝단에 래크기어(71)를 장착하 여 피니언(72)과 맞닿게 설치된다.
한편, 상기 피니언(72)은 회전축(72A)에 엔코더(73)를 장착한 것으로, 래크기어(71)의 좌우 이송 거리에 따라 피니언(72)이 회전되며, 피니언(72)의 회전수를 엔코더(73)가 감지하여 거리를 측정한다.
또한, 수치측정부는 래크기어(71)의 일측에 돌출부를 형성하여 래크기어(71)가 좌우로 이송되는 거리의 한계에 따라 전동모터(50)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스토퍼(5)를 포함한 것으로, 상기 스토퍼(5)는 전도선(B)를 통해 제어부로 연결되며, 이는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따른 장치는, 전동모터(50)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으로 인해 스크류축(40)이 회전되고, 스크류축(40)과 결합된 나사홀(34)로 인해 로드(33)가 회전 방향에 따라 좌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로드(33)가 좌우이송됨에 따라 제 1 유압실린더(30)의 내측 피스톤(31)이 좌우측 이송되어 유압장치부를 구동시킨다. 여기서 제 1 유압실린더(30)의 피스톤(31) 이송 거리를 엔코더(73)가 측정하여 제어부로 측정값을 송출한다.
한편, 스크류축(40)을 회전시키는 전동모터(50)는 수치제어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서보모터(Servomotor)를 적용하여 실시될 수 있다.
<미끄럼 발생부의 실시 예>
본 발명의 미끄럼 발생부는, 유압장치부의 제 2 유압실린더(60)의 피스톤(61)과 상부 플레이트(20)가 각도 변화와 회전에 의해 비틀리지 않도록 자연스럽게 미끄럼 접촉되게 한 미끄럼 수단(65)이다.
이와 같은 미끄럼 발생부는, 도 8 도시와 같이 제 2 유압실린더(60)의 실린더(62) 내측의 피스톤(61)에 탄성축(63)을 설치한 것으로, 탄성축(63)은 피스톤(61) 내측에 상면 중심측에서 일정 깊이로 형성된 홀(65B)에 삽입되어 저면의 탄성 스프링(64)을 통해 상승압력이 작용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축(63)은 상부 끝단에 가이드부(65A)를 구비하여 볼(65C)이 삽입 설치된다.
또한, 상부 플레이트(20)는, 저면에 가이드부(65A)의 볼(65C)과 맞닿는 만곡면(21B)이 형성된 접촉판(21)이 제 2 유압실린더(60)와 짝을 이루게 설치된다.
한편, 상기 제 2 유압실린더(60)의 탄성축(63)은 외부에 나사가 형성된 볼트로 구비되어 피스톤(61) 내측의 결속홀(61A)과 나사결합되며, 상단의 가이드부(65A)가 볼트의 머리부로 형성되어, 탄성축(63)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실시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미끄럼 발생부는, 도 9 도시와 같이 제 2 유압실린더(60)의 상하향 이송에 따른 상부 플레이트(20)의 각도 변화에 따라 볼(65C)이 접촉판(21)의 만곡면(21B)을 따라 자연스럽게 미끄러짐을 반복한다.
한편, 상기 탄성축(63)은 하부 끝단에 구비된 탄성 스프링(64)을 통해 상단의 볼(65C)과 상부 플레이트(20)의 접촉판(21)이 각도에 따라 상하이동되어 간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 것으로, 탄성 스프링(64)의 탄성력으로 인해 탄성축(63)이 상측으로 밀착 유지되어 상부 플레이트(20)의 간격발생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상부 플레이트(20)가 각도변환되어도 흔들림없이 고정된다.
<제어부의 실시 예>
본 발명의 제어부는, 유압장치부의 제 1, 2 유압실린더(30, 60)를 제어하고, 수치측정부의 연산값을 출력하며, 작업자가 유압장치부를 조작하여 상부 플레이트(20)의 각도를 조절하거나 회전을 제어할 수 있게 한다.
이상과 같은 제어부는, 도 10 도시와 같이 전동모터(50)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스위치(S)와, 수치측정부의 엔코더(73)의 측정값을 연산 및 변환하는 연산장치(미도시)가 설치된 제어장치(80)로, 연산장치(미도시)를 통해 변환된 값이 디스플레이(D)를 통해 출력된다.
또한, 유압장치부의 제 1, 2 유압실린더(30, 60)의 조작을 용이하도록 조이스틱(Joy stick)과 같은 형태로 컨트롤 장치(74)를 설치하여 원하는 방향을 제어하기 쉽게 한다.
여기서 컨트롤 장치(74)는 각각의 전동모터(50)와 연결되는 전도선(A)을 통해 정회전 및 역회전을 제어할 수 있도록 연결되고, 수치측정부의 연산 값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D)는 각각의 엔코더(73)와 연결되는 전도선(B)을 통해 연결된다.
이와 같은 제어부는 컨트롤 장치(74)의 방향 제어에 의해 2개의 전동모터(50)가 구동되고, 전동모터(50)의 정회전 및 역회전 조절을 통해 4개의 제 2 유압실린더의 상하향을 조절하며, 전동모터(50)의 회전을 통해 도 7 도시의 래크기어(71)가 좌우측 이송되어 수치측정부로 제 1 유압실린더의 좌우 이송값을 전달한다.
이상과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컨트롤 장치(74)의 조작을 통해 전동모터(50)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되게 하고, 전동모터(50)의 회전을 통해 스 크류축(40)이 회전되어 로드(33)를 좌우로 이송시킨다. 또한, 로드(33)가 좌우로 이송됨에 따라 제 1 유압실린더(30)의 피스톤(31)이 좌우로 이송되어 양측 제 2 유압실린더(60)가 각각 상하로 이동된다. 이때 제 2 유압실린더(60)의 피스톤(61) 상면으로 돌출된 탄성축(63)의 볼(65C)이 상부 플레이트(20) 저면의 접촉판(21)과 자연스럽게 미끄러지며 상부 플레이트(20)를 상하이동시키고, 결과적으로 제 2 유압실린더(60) 각각의 높이 차이로 인해 상부 플레이트(20)의 각도가 조절된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압장치부는, 열십자 형태로 4개 2쌍 구비되는 것으로 명시되었으나, 이는 일 실시 예로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로 변형 실시되어도 무관하다.
또한, 도 11 도시의 다른 실시 예와 같이, 제 1 유압실린더(300)는, 실리더(320) 일측을 관통하는 로드(330)를 구비하고, 로드(330) 끝단에 피스톤(310)을 장착하여 좌우측으로 이송됨으로써, 실린더(320) 양측의 오일(유체)가 유로(320A)를 따라 유로관(H)으로 유입 또는 유출되게 한 것으로 변형 실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80)는 조이스틱과 같은 형태의 컨트롤 장치를 구비한 것을 명시되었으나, 이는 일 실시 예로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하기 위해 버튼 또는 스위치 등으로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또한, 각 유압실린더의 기밀유지를 위해 명시된 O링은 내부 오일(유체)의 기밀유지수단의 일 예로, 다양한 종류와 재질로 변형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또한 본 발명은 작업 테이블에 국한되지 않고, 상부 플레이트(20)의 틸팅 각도 조절이 필요한 다양한 분야에 적용실시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고 작용하는 본 발명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작업 테이블의 사용으로, 작업 테이블의 전후좌우 일측 각도 조절뿐만 아니라 전방향 각도로 조절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각각 구비된 실린더의 피스톤 이동 거리를 측정하여 제어장치에 화면 출력하므로, 사용자가 작업 테이블의 각도를 눈으로 보면서 정밀하게 조작할 수 있어 빠르고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유압실린더의 비틀림을 해소하여 파손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실린더 내부의 오일(유체)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아 작업환경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른 실시 예를 통해 설명되어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형태로의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는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속함은 자명한 것이다.

Claims (6)

  1. 작업대 상판 저면에 다수의 유압 실린더를 구비하여 유압 실린더의 피스톤에 의해 작업대 상판이 조인트로 회전되게 고정되어 전후좌우로 각도조절되게 한 작업 테이블에 있어서,
    일정 폭과 길이를 갖는 베이스 플레이트(1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 상측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적층되는 상부 플레이트(2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 상측에 구비되며, 좌우로 이송되는 피스톤(31)을 구비한 다수의 제 1 유압실린더(30)와;
    상기 피스톤(31) 일측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일정 길이의 스크류축(40)과;
    상기 스크류축(40)을 정회전시키거나 역회전시키는 전동모터(50)와;
    상기 제 1 유압실린더(30)의 양 끝단에 각각 연결되며, 상부 플레이트(20)의 저면과 맞닿아 상하향되는 피스톤(61)을 구비하는 다수의 제 2 유압실린더(60)와;
    상기 스크류축(40)의 회전에 따른 제 1 유압실린더(30)의 피스톤(31)의 좌우측 이송 거리를 측정하는 수치측정장치(70) 및;
    상기 수치측정장치(70)의 측정값을 출력하며, 상부 플레이트(20)의 각도를 조절하거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장치(8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작업 테이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압실린더(30)는, 좌우로 길이를 가지며 양 끝단으로 유체가 유입되거나 유출되는 유로(32A)를 구비하고, 중심측에 좌우로 길이를 갖는 개구부(32B)가 형성된 실린더(32)와;
    상기 실린더(32) 내측에 구비되어 양 측단 외경에 O링(R)을 다수 구비하는 피스톤(31)과;
    상기 피스톤(31) 중심측에 장착되어 실린더(32)의 개구부(32B)측을 관통하고, 일정 길이 연장되는 로드(33)와;
    상기 로드(33)를 좌우로 관통하는 나사홀(3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작업 테이블.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유압실린더(60)는, 제 1 유압실린더(30) 양 끝단의 유로(32A)와 연결된 유로관(H)을 통해 내측이 연통하고, 상하로 길이를 갖는 실린더(62)와;
    상기 실린더(62) 내측에 구비되어 상하로 이송되며, 하측에 다수의 O링(R)을 구비하며, 상면 중심측에 소정 크기를 가지며 상하로 길이를 갖는 결속홀(61A)이 형성된 피스톤(61)과;
    상기 결속홀(61A)에 삽입되어 피스톤(61)의 상면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는 탄성축(63)과;
    상기 탄성축(63) 하부 끝단 외부와 결속홀(61A)의 저면에 맞닿게 구비되는 탄성 스프링(64)과;
    상기 탄성축(63) 상부 끝단에 구비되어 상부 플레이트(20)와 맞닿는 미끄럼 수단(65)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작업 테이블.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수단(65)은, 상기 탄성축(63)의 상부 끝단에 일정 크기를 갖는 가이드부(65A)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부(65A) 중심측에 형성되는 홀(65B) 내측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케 장착되는 볼(65C)을 구비하며, 상부 플레이트(20) 저면에 볼(65C)과 접촉되는 만곡면(21A)이 형성된 접촉판(21)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작업테이블.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치측정장치(70)는, 상기 제 1 유압실린더(30)의 로드(33)에 일단이 결합되며, 타단이 일측으로 연장되는 길이를 갖는 래크기어(71)와;
    상기 래크기어(71)와 맞닿아 회전되는 피니언(72)과;
    상기 피니언(72)의 회전축(72A)에 장착되어 피니언(72)의 회전수를 측정하는 엔코더(73) 및;
    상기 엔코더(73)의 측정값을 제 2 유압실린더(60)의 높이변화 값으로 변환 연산하는 것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작업 테이블.
  6. 삭제
KR1020060118372A 2006-11-28 2006-11-28 각도 조절이 가능한 작업 테이블 KR1007286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8372A KR100728617B1 (ko) 2006-11-28 2006-11-28 각도 조절이 가능한 작업 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8372A KR100728617B1 (ko) 2006-11-28 2006-11-28 각도 조절이 가능한 작업 테이블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4582A Division KR100728619B1 (ko) 2007-03-13 2007-03-13 각도 조절이 가능한 작업 테이블용 유압실린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8617B1 true KR100728617B1 (ko) 2007-06-15

Family

ID=38359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8372A KR100728617B1 (ko) 2006-11-28 2006-11-28 각도 조절이 가능한 작업 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861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58144A (zh) * 2018-01-16 2018-05-22 深圳市晶向科技有限公司 一种机器操作台
KR101900461B1 (ko) 2018-02-14 2018-11-08 (주)썬테크 헤드터닝 심실링 장치
CN109318187A (zh) * 2018-10-22 2019-02-12 江门市新会区金萃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翻转台组件
KR101971053B1 (ko) * 2018-10-11 2019-08-13 조창환 특장차 적재함 제작장치 및 이를 이용한 특장차 적재함 제작방법
CN117961849A (zh) * 2024-03-28 2024-05-03 成都菲奥姆光学有限公司 一种大口径光学镜面面形误差检测的装置
CN117961849B (zh) * 2024-03-28 2024-06-04 成都菲奥姆光学有限公司 一种大口径光学镜面面形误差检测的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3677A (ko) * 1983-10-24 1985-06-26 로더 오. 스미스 의자용 지지기둥 장치
KR0127790Y1 (ko) * 1991-05-01 1998-11-02 한스 율겐 바우어 및 헬게 시그너 의자좌석의 연속적인 조정을 위한 쇄정가능한 인양장치
KR200349113Y1 (ko) 2004-01-28 2004-04-30 한세코리아 주식회사 인덱스 테이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3677A (ko) * 1983-10-24 1985-06-26 로더 오. 스미스 의자용 지지기둥 장치
KR0127790Y1 (ko) * 1991-05-01 1998-11-02 한스 율겐 바우어 및 헬게 시그너 의자좌석의 연속적인 조정을 위한 쇄정가능한 인양장치
KR200349113Y1 (ko) 2004-01-28 2004-04-30 한세코리아 주식회사 인덱스 테이블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58144A (zh) * 2018-01-16 2018-05-22 深圳市晶向科技有限公司 一种机器操作台
KR101900461B1 (ko) 2018-02-14 2018-11-08 (주)썬테크 헤드터닝 심실링 장치
KR101971053B1 (ko) * 2018-10-11 2019-08-13 조창환 특장차 적재함 제작장치 및 이를 이용한 특장차 적재함 제작방법
CN109318187A (zh) * 2018-10-22 2019-02-12 江门市新会区金萃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翻转台组件
CN117961849A (zh) * 2024-03-28 2024-05-03 成都菲奥姆光学有限公司 一种大口径光学镜面面形误差检测的装置
CN117961849B (zh) * 2024-03-28 2024-06-04 成都菲奥姆光学有限公司 一种大口径光学镜面面形误差检测的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8617B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작업 테이블
KR100728619B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작업 테이블용 유압실린더
CN104588453B (zh) 双驱动系统的简易数控折弯机
TWI500930B (zh) 油壓系統及萬能測試裝置
KR102034928B1 (ko) 볼스크류의 피치 측정장치
RU2615369C2 (ru) Сверлильный станок с одной головкой
US443226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feeding of a bandsaw blade of horizontal bandsaw machines
JPS609635A (ja) 工作機械における変位補正装置
KR101299378B1 (ko) 스트레인게이지 부착장치
US11279029B2 (en) Articulated-arm robot and method for machining a workpiece by means of the articulated-arm robot
US453424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feeding of a bandsaw blade in bandsaw machines
CA123218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feeding of a bandsaw blade in bandsaw machines
US11027375B2 (en) Automatic and manual welding apparatus
KR101139470B1 (ko) 면취기의 툴 조정장치
CN208583839U (zh) 自动化智能直线滑轨校直流水线
KR101359426B1 (ko) 파이프 롱심 밀링장치
KR102449887B1 (ko) 금형가공용 고정지그
KR100631864B1 (ko) 리니어 모션 가이드용 가이드 레일의 샤프트 압입장치
EP0188862A1 (en) Device for feeding work to a machine tool
CN207138556U (zh) 一种精准控油的校直机
CN108772438A (zh) 自动化智能直线滑轨校直流水线
KR101640740B1 (ko) 벨트 터렛 장치
CN215432009U (zh) 一种工作台水平可调的加工装置
JP2670296B2 (ja) 制御弁
CN215413509U (zh) 一种用于v型焊接接头焊前坡口尺寸测量的辅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