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7790Y1 - 의자좌석의 연속적인 조정을 위한 쇄정가능한 인양장치 - Google Patents

의자좌석의 연속적인 조정을 위한 쇄정가능한 인양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7790Y1
KR0127790Y1 KR2019920007178U KR920007178U KR0127790Y1 KR 0127790 Y1 KR0127790 Y1 KR 0127790Y1 KR 2019920007178 U KR2019920007178 U KR 2019920007178U KR 920007178 U KR920007178 U KR 920007178U KR 0127790 Y1 KR0127790 Y1 KR 01277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guide tube
guide
lifting device
addi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200071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20769U (ko
Inventor
시그너 헬게
슈타델만 루드비히
울프 헤르버트
Original Assignee
한스 율겐 바우어 및 헬게 시그너
수스파 콤파트 악틴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스 율겐 바우어 및 헬게 시그너, 수스파 콤파트 악틴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한스 율겐 바우어 및 헬게 시그너
Publication of KR92002076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2076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77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77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3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vertically-acting fluid cylinder

Landscapes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Abstract

의자좌석의 연속적인 조정을 위한 쇄정가능한 인양장치에서 안내튜브(1)가 주어지며 이 안내튜브의 저면판(5)에는 종방향으로 조절할수 있는 개스스프링(8)의 피스톤로드(10)가 고정되어 있다. 이 안내튜브(1)는 망원경식으로 밖으로 나와질수 있으며 안내튜브(1)에 고정된 안내붓슈(22)내에 추가적인 튜브(20)를 갖추고 있다. 다음에 개스스프링의 하우징(9)은 추가적인 튜브(20)에 고정된 가이드붓슈(27)에 안내되어있다. 기계적스프링(26)은 안내튜브(1)와 추가적인튜브(22)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며 안내튜브(1)로부터 밖으로의 방향에서 추가적인 튜브(20)에 작용한다.

Description

의자좌석이 연속적인 조정을 위한 쇄정가능한 인양장치
제1도는 의장기둥의 형태로된 인양장치의 종단면도이며, 그리고
제2도는 제1도와 비교하여 변경된 인양장치의 하부부분의 종단면도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안내튜브 8 : 개스스프링
10 : 피스톤로드 22 : 안내붓슈
이 발명은 청구범위 제1항의 상위개념에 따르는 쇄정가능한 인양장치에 관한 것이다.
(미합중국특허 제 3711 054호와 일본특허 제 892209호에 대응하는) 독일특허 제 1931012호로부터 공지된 일반적인 종류의 인양장치에서 개스스프링의 케이싱의 원통형표면은 안내튜브와 연결된 가이드붓슈에 직접적으로 안내된다.
개스스프링은 의자나 테이블기둥의 지지 또는 종방향으로 조절할수 있는 요소일뿐만이 아니라, 안내 또는 회전가능한 요소이다. 피스톤로드가 자유로운 회전을 위해서만이 아니라 역시 충분한 반경방향의 유격을 가지는 안내튜브의 저면판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개스스프링은 좌석이나 또는 테이블상부의 어떤가능한 그리고 변동하는 부하방향에 대하여도 조절할수가 있으며, 이것에 의하여 안내붓슈내에서 끼워지는 위험이 제거된다.
이 목적을 위하여 사용한 종류의 종방향으로 조절가능한 개스스프링은 (미합중국특허 제 3 656 593호 일본특허 제 846 405호에 대응하는) 독일특허 제 1812281호에 부터 공지되어 있다. 이들 개스스프링은 (미합중국특허 제 4979 718호로 부터 공지되어 있다. 이들 개스스프링은 (미합중국특허 제 4979 718호에 대응하며 일본 특허 제 60 5446 U1에 대응하는) 유럽특허 제 0 133 524 B1호로 부터 공지된 바와같이 그 케이싱에 단단히 연결된 추가적인 보호튜브를 가질수 있다.
상기의 공지된 장치에서 개스스프링은 구조와 비용의 조건에서 가장 고가의 부품이다. 결과적으로 되도록 많은 상이한 의자, 테이블류가 가급적이면 적게 상이한 개스스프링의 종류를 가지고 실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조적인 한계는 상술한 설계에 의하여 최대의 행정에 의하여 얻어진다.
따라서 개스스프링의 구조를 간섭하는 일이없이 일반적인 종류의 장치의 행정을 확대하는 것이 이발명의 과제이다.
이 발명에 따라서 상기의 과제는 청구범위 제1항의 특정부에 의하여 얻어진다. 이 발명에 따라서는 연장된 행정을 허용하는 추가적인 튜브로 인하여 개스스프링에 추가하여 기계적인 스프링과 망원경식의 배열이 제공된다.
위로부터 부하된다면, 즉 만일 예를들어서 어떤사람이 좌석위에 앉는다면 예를들어서 좌석담체나 또는 개스스프링의 케이싱에 단단히 축방향으로 배열된 어떤 다른 스톱퍼가 추가적인 튜브의 또는 거기에 사용된 첫번째의 안내붓슈의 상부전면에 대하여 기대게 될 때까지 인양장치는 먼저 개스스프링의 하우징이 피스톤로드에 관하여 이 되는것에 의하여 길이가 감소된다. 이 행정동안에 작용하는 것은 개스스프링의 힘 뿐이다.
상기의 스톱퍼 위치가 도달될 때 제 2 스프링행정이 즉 또다른 스톱퍼가 도달되거나 또는 기계적인 스프링이 더 이상 압축되어질수 없고 이로서 자체가 스톱퍼를 형성하기까지 기계적인 스프링의 스프링작용에 대하여 카버된다.
기계적 스프링은 유리하게는 코일압축스프링으로서 실시되어 있으며 그결과로 이것은 각각 추가적인 튜브의 또는 안내튜브의 근처에 유리하게 배열되어질수 있다.
첫번째의 유리한 실시예에서는 추가적인 튜브의 상단부를 둘러싸면서 코일스프링은 추가적인 튜브의 자유단에 있는 환형칼라와 그리고 안내튜브의 전방단부 사이에서 배열되도록 만들어진다. 이 환형칼라는 다만 굽어젖히는 추가적인 튜브의 상단부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현되어질수 있다. 코일스프링의 반대편의 스톱퍼는 두번째의 안내붓슈에 의하여 또는 안내튜브의 외부림에 의하여 형성된다.
이 실시예의 하나의 대안으로서 코일스프링의 안내튜브 내부에 배열되고 그리고 한편으로는 추가적인 튜브의 하부전면에 대하여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안내튜브의 내부스톱퍼에 대하여 기대는 것으로 만들어질수 있다. 이 스톱퍼는 별도의 환형칼러이거나 또는 역시 예를들면 안내튜브의 저면판 일수가 있다.
추가적인 튜브는 예를들면 저면판을 바라보는 두 번째 안내 붓슈의 림의 뒤로 부터 파지하고 있는 지지단부를 갖는다. 이것은 추가적인 튜브에 관련하여 두 번째 안내 붓슈를 단순한 가능성이다.
지지단부는 추가적인 튜브의 단부의 팽창에 의하여 형성되어질수 있거나 또는 다른 유리한 실시에에 따라서 이것은 탄성적으로 복귀하면서 그리고 중앙종축에 관하여 반경방향으로 뒤로부터 두 번재의 가이드붓슈를 파지할수 있다.
또 유리하게는 안내튜브의 저면판으로부터 먼쪽을 바라보는 상단부의 부근에 두 번째의 가이드붓슈가 축방향의 이동에 대한 제한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안내튜브의 상부림에 돌기부와 공동작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의 지지돌기부를 갖도록 만들어 질 수 있다.
한정된 스톱퍼의 실현을 위하여 압력링은 좌석담체가 고정된곳의 근처에서 개스스프링의 케이싱의 외부표면에 만들어질수가 있다.
이 발명의 또다른 상세, 이점 그리고 특징은 도면과 결합하여 취하여진 2개의 실시예의 다음기술로 부터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면에 표시된 인양장치는 대체로 원통형으로 설계되어 있는 하부안내튜브(1)를 포함하여 이 안내튜브의 하부부분은 기둥각부(脚部)(4)의 상응하는 중심부(3)에서의 수취를 위하여 역할을 하는 하방으로 원추형으로 가늘어지는 구간(2)을 갖는다.
이 안내튜브(1)는 그의 하부단에서 하나의 저면판(5)을 갖추고 있으며 이 저면판은 전체의 인양장치의 그리고 이와함께 안내튜브(1)의 중앙종축(6)에 동심인 개구(7)을 갖는다.
길이조절이 가능하며, 유압적으로 또는 공압적으로 쇄정할수 있는 개스스프링(8)이 마찬가지로 종축(6)과 축이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이 개스스프링의 원통형의 케이싱(9)은 안내튜브(1)의 상부위안에 또는 이것을 지나서 뻗쳐있다. 소속하는 피스톤로드(10)는 하우징(9)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여 저면판(5)에 해체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를위하여 피스톤로드(10)의 자유단은 감소된 횡단면의 저어널(11)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저어널에는 스라스트 볼 베어링(12)이 배열되어 있으며 이 베어링의 상부의 트랙링(track ring)(13)은 저어널(11)과 피스톤 로드(10) 사이의 이월부에 형성된 환형칼라(14)에 기대며, 한편 하부의 트랙링(15)은 저면판(5)에 대하여 기댄다.
저어널(11)은 10분지 수미리메터로 부터 1미리메터 까지의 충분한 반경방향의 충분한 유격을 가지는 개구(7)을 통과하며, 그결과로 피스톤로드(10)는 안내튜브(1)에 관련하여 반경방향으로 조여지지 않는다. 개구(7)의 직경보다도 더큰 직경의 두께 조정용판(17)이 외측으로부터, 즉 아래로부터 저어널(11)위에 놓여진다. 지지요소(18)는 개스스프링의 피스톤로드(10)가 축방향으로 단단히 그러나 안내튜브(1)와 해체가능하게 연결되는 그러한 방법으로 밀어넣어져 있다. 대체로 고무로된 환형의 실린더형 단부 위치 댐퍼 또는 스톱댐퍼919)는 피스톤로드(10)상에 위치하여지며 그의 하부측을 가지고 스라스트 볼 베어링(12)의 상부트랙링에 대하여 접촉한다.
이제까지 특수화된 실시예는 (미국특허 제 4,969,619 및 일본특허 제헤이-1-257 991에 대응하는) 독일특허 제 388395 9 Al으로 부터 공지되어 있다.
추가튜브(20)는 안내튜브의 상부로부터 안내튜브(1)에 넣어진다.
추가적인 튜브(20)가 그의 하단부에서 지지단부(21)를 형성하면서 외측을 향하여 구브러져 있다. 이 지지단부는 저면판(5)을 향하고 있으며 프라스틱재료로된 안내붓슈(22)의 림(rim)(21a)에 기대로 있다. 안내붓슈(22)는 림(21a)의 반대편에 있는 그의 부분에 중앙종축에 대하여 반경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돌기부(23)를 갖는다. 안내튜브(1)의 상부자유단에는 내측으로 향하여진 돌기부(24)가 만들어져 있으며 그리고 탄성지지돌기부에 대한 축방향의 스톱퍼를 형성하면서 탄성지지돌기부(23)에 의하여 뒤로부터 파지되어 있다. 이돌기부는 안내붓슈(22)를 가지는 추가적인 튜브(20)가 안내튜브(1)로부터 축방향으로 상부를 향하여 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이 지지단부(21)는 이추가적인 튜브(20)가 안내붓슈(22)내로 들어가질수 있도록 간극(21b)가 주어져 있다. 이 위에 지지단부(21)는 중앙종축(6)를 향하여 탄성적으로 변형되며 그리고 이것이 다음에는 림(21a)의 뒤에 위치하여 지도록 진압과정의 말기에 탄성적으로 팽창한다. 대안으로는 물론 안내붓슈(22)내로 추가적인 튜브(20)가 들어간후에 적당한 도구를 가지고 지지단부(21)를 구부려 젖히는 것이 가능하다.
이 안내붓슈(22)는 안내튜브(1)의 상부의 자유스러운 림에 대하여는 기대는 스톱퍼칼라(22a)에 의하여 안내튜브(1)내로 밀려지는 것이 방지된다. 그래서 안내붓슈(22)는 중앙종축(6)의 양방향에서 안내튜브(1)내에 고정되어 있다. 안내붓슈(22)는 반경방향으로 리브들(22b)에 의하여 공지된 방법으로 안내튜브(1)에 대하여 기댄다.
추가적인 튜브(20)의 상부자유단은 환형칼라(25)을 형성하면서 외측으로 향하여 구브러져 있다. 헤리칼 압축스프링(26) 한편으로는 상기 환형칼라(26)의 하측에 기대며 다른한편으로는 안내튜브(1)에 파지된 안내붓슈(22)의 상부측또는 전방에 대하여 기대며 그리고 결과적으로 추가적인 튜브(20)를 저면판(5)으로부터 떨어진 방향으로 배출하는 위치로 즉 제1도에 보여진 위치에로 누르며 여기서 지지단부(21)는 안내붓슈(22)의 소속하는 림(21a)에 대하여 기댄다.
추가적인 튜브(20)의 상부부분의 내부에는 또다른 안내붓슈(27)가 배열되어 있으며 이 안내붓슈는 가장자리 융기부(26)를 가지고 추가적인 튜브(20)의 환형칼라(25)에 대하여 접촉하며 그래서 추가적인튜브(20)에서의 축방향 미끄러짐이 방지된다. 개스스프링(8)의 케이싱(9)은 중앙종축(6)의 축방향의 이동을 위하여 안내붓슈(27)내에 지지되어있다.
저면판(5)으로부터 먼쪽에 면하고 있는 그의 자유단상에는 케이싱(9)은 원추형고정구간(29)을 갖추고 있으며 이 원추형 고정구간은 다만 개략적으로만 표시된 좌석담체(31)의 지지원추형상체(30)와 맞물린다. 또 이 고정구간(29)의 하부에 케이싱의 외부표면상에는 압력링(thrust ring)(32)이 축방향으로 이동할수 없게 위치하여져 있다.
작동핀(34)이 고정구간(29)위로 돌출하며 이 작동핀에 의하여는 개스스프링(8)의 케이싱(9)내에 위치하여진 밸브가 열려지거나 닫혀질수 있다. 이 밸브가 닫혀진 다면 개스스프링은 크게 봉쇄되며, 즉 케이싱(9)에 대한 피스톤로드(10)의 자유로운 이동이 불가능하다. 그러나 밀어넣어지는 작동핀(9)에 의하여 밸브가 열려진다면 개스스프링의 전체길이는 케이싱(9)을 들어가거나 나오는 피스톤로드에 의하여 변동되어질수 있다. 예를들면 (미합중국특허 제 3,656,593호 및 일본특허 제 846, 405호에 대응하는) 독일특허 제 1812282호로부터 이런종류의 종방향으로 조정가능하거나 쇄정가능한 개스스프링(8)은 일반적으로 공지되었다.
인양장치가 그의 최대의 길이를 가지도록 피스톤로드(10)가 완전히 케이싱(9)을 나간 제1도에서 표시된 위치로부터 계속하여 작동방법은 다음과 같다. 작동핀(34)이 개스스프링(8)의 케이싱(8)안으로 밀려질 때 개스스프링(8)의 길이조정이 일어난다. 먼저 의자기둥이 화살표(33)의 방향으로 상부로부터 될 때 개스스프링(8)의 케이싱(9)은 압력링(32)의 하부측이 도는 그러한 링이 마련되지 안했다면 좌석담체(31)의 하부 가장자기가 환형칼라(25) 또는 용기된 모서리(28)에 기덱 될때까지 행정(A)만큼 안내붓슈(27)내로 이동된다. 추가적인 튜브(20)가 덮혀지는 행정(A)는 코일스프링이 완전히 압축될때까지 코일스프링(26)의 압축에 의하여 안내붓슈(22)에 관련하여 이동된다. 행정(B)은 이에 카버된다. 종래의 의자기둥과 비교하여 A + B의 합계에 의하여 형성된 연장된 전체의 행정(C)은 그래서 개스스프링(8)자체의 어떤 변경도 없이 얻어진다. 인양장치의 전체의 행정(C)은 비교적 길게 만들어질수 있으며, 개스스프링의 케이싱(9)의 충분한 안내는 개스스프링이 크게 또는 완전히 인출된 상태에 있을때까지도 아직도 보증된다.
제2도는 추가튜브(20)의 환형칼라(25)와 안내붓슈(22)의 전면사이에 배열된 코일압축스프링을 가지지 않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오히려 이 실시예는 한편으로는 저면판(5)에 기대며 다른한편으로는 추가적인 튜브의 지지단부(21)에 기대고 있는 코일압축스프링(26a) 을 포함한다. 이것은 역시 추가적인 튜브(20)가 안내튜브(1)의 저면판(5)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효과를 갖는다. 코일압축스프링이 주어지지 않았다는 것에 존재하는 차이를 별문제로 하고 제2도에 따른 인양장치는 다만 하부부분만이 도시되어야 할 정도로 제1도의 인양장치와 동일하다.
추가적인 튜브(20)가 망원경의 방식으로 안내튜브(1)내에 들어갈때 힘이 코일압축스프링(26 또는 26a)을 압축하기 위하여 필요하여진다는 사실로 인하여 한편으로 개스스프링(8)과 다른 한편으로는 코일압축스프링(26 또는 26a)의 전체스프링특성은 급변하여진다. 그래서 특히 개스스프링의 길이조정의 동안에 좌석담체(31)에 의하여 반송된 좌석위에 앉아있는 무거운 사람으로서 개스스프링(8)의 케이싱(9)은 기술된 힘에 의하여 복구된 방법으로 스톱퍼댐퍼(19)를 접속할 것이다.
행정(B)의 동안에 종방향의 조정은 더 큰 스프링작용에 의하여 그리고 탄성적으로 완충된다.

Claims (8)

  1. 기둥각부(4)에 연결할수 있는 하나의 안내튜브(1)와 종방향으로 조절가능하고, 쇄정가능한 하나의 개스스프링(8)을 포함하며, 이 개스스프링의 피스톤로드(10)는 축방향으로 단단하게, 그러나 해체가능하게 안내튜브(1)의 저면판(5)과 연결되어 있으며 그리고 이 개스스프링의 하우징(9)은 안내튜브(1)내에 안내되고 그리고 피스톤로드(10)의 반대편단부에서 의자좌석(좌석담체 31)와 축방향으로 단단히 연결할수 있으며 그리고 유격없이 횡방향으로 그리고 공통적인 종축(6)의 방향에서 이동가능하며, 의자좌석의 연속적인 조정을 위한 쇄정가능한 인양장치에 있어서, 제 1 안내붓슈(27)은 케이싱(9)과 추가적인 튜브(20)사이에 배열되어 있어서 그결과 케이싱(9)은 종축(6)의 방향에서 추가적인 튜브(20)에 관한 이동을 위하여 지지되며, 제 2 안내붓슈(22)는 추가적인 튜브(20)와 안내튜브(1)사이에 배열되어 있으며 추가적인 튜브(20)가 다음에 안내튜브(1)에 관련하여 축방향으로 안내되는 동안에 이동가능하도록 종축(6)의 방향에서 안내튜브(1)에 관련하여 고정되어 있으며, 기계적인 코일압축스프링(26, 26a)이 추가적인 튜브(20)와 안내튜브(1)사이에 만들어져 있으며 그리고 안내튜브(1)의 저면판(5)으로부터 떨어진 방향에서 추가적인 튜브(20)에 작동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기계적인 스프링은 코일압축스프링(26, 26a)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인양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추가적인 튜브(20)의 상단부를 둘러싸는 동안에 기계적인 코일압축스프링(26, 26a)이 추가적인 튜브(20)이 자유단에서 스톱퍼(환형칼러 25)와 안내튜브(1)의 전단부 사이에 배열되어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양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코일스프링(26)이 안내튜브(1)안에 배열되며 그리고 한편으로는 추가적인 튜브(20)의 하부전면에 대하여 그리고 다른한편으로는 안내튜브(1)의 내부스톱퍼(저면판 5)에 대하여 기대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양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추가적인 튜브(20)는 저면판(5)을 바라보고 있는 제 2안내붓슈(22)의 림(21)의 뒤로부터 파지하고 있는 지지단부(21)를 갖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양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지지단부(21)는 탄성적으로 복귀하면서 그리고 중앙의 종축(6)에 관련하여 반경방향으로 뒤에서부터 제 2의 안내붓슈(22)를 파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양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안내튜브(1)의 저면판(5)으로부터 먼쪽을 바라보는 그상단부의 부근에 제 2 안내붓슈(22)가 축방향의 이동에 대한 한계를 형성하기 위하여 안내튜브(1)의 상부림에서 돌출부(24)가 공동작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의 지지돌출부(23)를 갖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양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입력링(32)이 좌석담체(31)가 고정되어있는 곳의 부근의 하우징(9)의 외부표면에 마련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인양장치.
KR2019920007178U 1991-05-01 1992-04-29 의자좌석의 연속적인 조정을 위한 쇄정가능한 인양장치 KR0127790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4114227 1991-05-01
DEP4114227.6 1991-05-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20769U KR920020769U (ko) 1992-12-18
KR0127790Y1 true KR0127790Y1 (ko) 1998-11-02

Family

ID=6430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20007178U KR0127790Y1 (ko) 1991-05-01 1992-04-29 의자좌석의 연속적인 조정을 위한 쇄정가능한 인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779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3825B1 (ko) * 2001-01-20 2003-05-14 주식회사 삼홍사 의자용 칼럼 유니트
KR100728619B1 (ko) * 2007-03-13 2007-06-15 문진호 각도 조절이 가능한 작업 테이블용 유압실린더
KR100728617B1 (ko) * 2006-11-28 2007-06-15 문진호 각도 조절이 가능한 작업 테이블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3825B1 (ko) * 2001-01-20 2003-05-14 주식회사 삼홍사 의자용 칼럼 유니트
KR100728617B1 (ko) * 2006-11-28 2007-06-15 문진호 각도 조절이 가능한 작업 테이블
KR100728619B1 (ko) * 2007-03-13 2007-06-15 문진호 각도 조절이 가능한 작업 테이블용 유압실린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20769U (ko) 1992-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88345A (en) Lockable elevating mechanism for the continuous adjustment of chair seats
US4899969A (en) Lockable elevating mechanism for the continuous adjustment of furniture and guide sleeve for such an elevating mechanism
US6176548B1 (en) Tilt mechanism for chair having adjustable spring characteristics
US5909925A (en) Rocker stool with contact means centrally arranged below the seat
US6315262B1 (en) Auto-returning height-control assembly for a chair
US4493469A (en) Height adjustment control arrangement
JPH0313237Y2 (ko)
JP3711149B2 (ja) ガスばねを有する家具部分の高低調節用の竪管
KR970702133A (ko) 펀치 유니트(punch unit)
JPH05154023A (ja) 荷重を支承する調節可能な支柱のためのプラスチック製鉛直パイプ支持体
JPH02149217A (ja) 椅子、机などの、長さの調整可能な脚
KR0127790Y1 (ko) 의자좌석의 연속적인 조정을 위한 쇄정가능한 인양장치
US4807841A (en) Omnidirectionally tilting and swivelling support mechanism for chairs or the like
JPH0767740A (ja) テレスコープ式に互いに内外で摺動可能な円筒形部分のための案内装置
KR102505960B1 (ko) 의자 일체형 테이블의 의자 댐핑장치
JPH0132905Y2 (ko)
SE470328B (sv) Höjdjusteringsanordning, särskilt för stolar, bord och liknande
US5265838A (en) Hub construction for rotatable chair
US5070969A (en) Device to limit relative speed of two elements
KR960001431Y1 (ko) 길이조정이 가능한 가스스프링 및 그러한 가스스프링을 구비한 높이조절기구
EP0295843A2 (en) Telescopic support member with locking mechanism
US6402102B1 (en) Adjustable length column for chairs and tables and length adjusting element therefor
CN212537341U (zh) 一种可调节高度的风扇升降杆组件
JPH09108062A (ja) ガススプリング装置
KR100374068B1 (ko) 의자,테이블또는이와유사한것을위한길이조정가능한지주와,이를위한직립튜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18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