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7458B1 - 직교 간섭의 억제 방법 및 그 회로 장치 - Google Patents

직교 간섭의 억제 방법 및 그 회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7458B1
KR100727458B1 KR1020050092294A KR20050092294A KR100727458B1 KR 100727458 B1 KR100727458 B1 KR 100727458B1 KR 1020050092294 A KR1020050092294 A KR 1020050092294A KR 20050092294 A KR20050092294 A KR 20050092294A KR 100727458 B1 KR100727458 B1 KR 1007274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output
interference
orthogonal
synchronous demodu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2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1967A (ko
Inventor
스타인바흐 인고
피에셀 한스
테메리나크 미오드라그
Original Assignee
마이크로나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이크로나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마이크로나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60051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19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74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74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5High-definition televi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DDEMODULATION OR TRANSFERENCE OF MODULATION FROM ONE CARRIER TO ANOTHER
    • H03D1/00Demodulation of amplitude-modulated oscillations
    • H03D1/22Homodyne or synchrodyne circuits
    • H03D1/2245Homodyne or synchrodyne circuits using two quadrature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igital Transmission Methods That Use Modulated Carrier Waves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Noise Elimin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교 신호(Q)를 출력하는 동기 복조기(15)에서 반송파 신호를 복구할 시에 진폭 변조된 신호의 반송파 신호의 간섭 직교 성분을 억제하기 위한 방법 및 회로 장치(115)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에서 본 발명에 따라 반송파 신호의 간섭 직교 성분이 평가되며, 그리고 평가된 직교 성분은 직교 신호(Q)로부터 감산된다. 회로 장치는 본 발명에 따라 직교 신호 경로(17) 내에 간섭 평가 장치(92) 및 감산 장치(121)를 포함하고 있다.
반송파, 직교, 신호, 간섭, 억제, 회로, 제어

Description

직교 간섭의 억제 방법 및 그 회로 장치{METHOD AND CIRCUIT ARRANGEMENT FOR SUPPRESSING AN ORTHOGONAL PERTURBATION}
도 1은 정보 신호의 진폭 도약 전과 그 후 간섭 성분을 포함하는 TV 신호 영상 반송파를 변조하여 나타낸 포인터 다이어그램으로서,
도 1a)은 작은 신호 진폭에서 큰 신호 진폭으로의 도약을; 그리고
도 1b)는 큰 신호 진폭에서 작은 신호 진폭으로의 도약을 나타낸다.
도 2는 영상 반송파의 직교 간섭 성분을 평가하기 위해 I/Q 복조된 TV 신호와 이 TV 신호로부터 유도된 신호들의 시간 흐름에 따른 특성 곡선을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도 2a)는 동위상 신호(대략 I/Q의 진폭과 동일하다)를;
도 2b)는 직교 신호의 제어 편차를;
도 2c)는 정보 신호의 미분 변화를;
도 2d)는 동위상 신호의 미분 제어 편차를; 그리고
도 2e)는 정보 신호의 변화;와 직교 신호의 미분 제어 편차;의 승산(multiplication)을 나타낸다.
도 3은 직교 간섭 평가를 위한 디지털 회로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회로도이다.
도 4는 반송파 처리 장치;와 직교 간섭을 평가 및 보상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포함하는 동기 복조기를 나타내는 블록회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불균형 보상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종래 기술에 따른 TV 수신기를 나타내는 블록회로도이다.
도 7은 진폭 변조된 TV 신호 영상 반송파(종래 기술)를 나타내는 포인터 다이어그램으로서,
도 7a)은 간섭 성분을 포함하지 않은 경우를; 그리고
도 7b)는 간섭 성분을 포함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8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반송파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동기 복조기를 나타내는 블록회로도이다.
도 9는 복조된 영상 신호에 대한 직교 간섭의 영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종래 기술).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디지털 TV 수신기 2: 믹서
3: 신호 경로 4: 신호 경로
5: 국부 발진기(LO) 6: 신호 경로
7: 대역 통과 필터 8: 신호 경로
9: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ADC) 10: 신호 경로
11: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12: 노드점
13: 신호 경로 14: 신호 경로
15: 동기 복조기 15a: I/Q-복조기
16: 신호 경로 17: 신호 경로
18: 필터 장치 19: 신호 경로
20: 신호 경로
21: 튜너 출력 레벨용 자동 이득 제어 장치(Tuner-AGC)
23: 영상 신호용 자동 이득 제어 장치(VAGC)
25: 음성 신호용 자동 이득 제어 장치(AAGC)
27: 신호 경로 28: 신호 경로
29: 신호 경로 30: 디지털/아날로그-컨버터(DAC)
31: 디지털/아날로그-컨버터 32: 디지털/아날로그-컨버터
33: 영상 정보
33a: 작은 진폭(m < 1)을 갖는 영상 신호
33b: 큰 진폭(m > 1)을 갖는 영상 신호
34: 영상 반송파 35: 간섭 성분(변조기 불균형)
36: 디지털 I/Q-발진기 37: 제어 장치
38: 동위상 신호 저주파 통과 필터 39: 직교 신호 저주파 통과 필터
40: 제1 믹서 41: 제2 믹서
43: 신호 경로 44: 신호 경로
45: 신호 경로 46: 신호 경로
47: 노드점 48: 노드점
49: 신호 경로 50: 신호 경로
51: 저주파 통과 필터 52: 신호 경로
53: 신호 경로 54: 컴퓨터 유닛
55: 신호 경로 56: 신호 경로
57: 신호 경로 58: 신호 경로
59: 영상 반송파 및 간섭 성분의 벡터 합
61: 구형파 정보 신호 62: 양성 도약
63: 음성 도약 64: 적분
65: 적분 66: 톱니파 정보 신호
67: 진폭 도약 68: 적분
69: 대수 부호 보정 70: 대수 부호 보정
71: 적분 72: 적분
73: 양성 도약(62)으로 인한 미분 제어 편차
75: 음성 도약(63)으로 인한 미분 제어 편차
77: 음성 도약(67)으로 인한 미분 제어 편차
79: 양성 도약(62) 시의 시간별 진폭 상승
81: 음성 도약(63) 시의 시간별 진폭 강하
83: 양성 플랭크(68)에서의 시간별 진폭 상승
85: 음성 도약(67) 시의 시간별 진폭 강하
87: 평가값 88: 평가값
89: 평가값
90: 직교 간섭 평가를 위한 회로 장치
92: 평가값 생성기 93: 저주파 통과 필터
94: 제1 지연 부재 95: 제2 지연 부재
96: 제1 감산기 97: 제2 감산기
98: 승산기 99: 동위상 신호 경로
100: 직교 신호 경로 101: 노드점
102: 노드점 103: 제1 동위상 신호 부분 경로
104: 제2 동위상 신호 부분 경로 105: 제1 직교 신호 부분 경로
106: 제2 직교 신호 부분 경로 107: 제1 지연 신호 경로
108: 제2 지연 신호 경로 109: 신호 경로
110: 신호 경로 111: 신호 경로
112: 신호 경로 113: 저주파 통과 필터링
115: 직교 간섭 보상식 동기 복조기 117: 노드점
118: 노드점 119: I-제어기
120: 신호 경로 121: 감산기
IF IN: 중간 주파수 입력부 Tuner AGC: 튜너 출력 레벨의 조정
CVBS: 영상 신호 출력부 SIF: 음성 신호 출력부
q↑: 작은 정보 신호 진폭에서 큰 정보 신호 진폭으로 도약 시의
최대 제어 편차
q↓: 큰 정보 신호 진폭에서 작은 정보 신호 진폭으로 도약 시의
최대 제어 편차
E2 ,1: 믹서의 제1 입력부 E2 ,2: 믹서의 제2 입력부
E7 : 대역 통과 필터의 입력부 E9: A/D 컨버터의 입력부
E15: 동기 복조기의 입력부 E18 ,I: 필터 장치의 동위상 신호 입력부
E18 ,Q: 필터 장치의 직교 신호 입력부
E21 ,1: 튜너 [???]- 신호용 자동 이득 제어 장치의 제1 입력부
E21 ,2: 튜너 [???]- 신호용 자동 이득 제어 장치의 제2 입력부
E23: 영상 신호용 자동 이득 제어 장치의 입력부
E25: 음성 신호용 자동 이득 제어 장치의 입력부
E30: A/D 컨버터의 입력부 E31: A/D 컨버터의 입력부
E32: A/D 컨버터의 입력부 E36: 디지털 I/Q 발진기의 입력부
E37 ,1: 제어 장치의 제1 입력부 E37 ,2: 제어 장치의 제2 입력부
E40 ,1: 믹서의 제1 입력부 E40 ,2: 믹서의 제2 입력부
E41 ,1: 믹서의 제1 입력부 E41 ,2: 믹서의 제2 입력부
E38: 저주파 통과 필터의 입력부 E39: 저주파 통과 필터의 입력부
E51 ,1: 저주파 통과 필터의 제1 입력부 E51 ,2: 저주파 통과 필터의 제2 입력부
E54 ,1: 컴퓨터 유닛의 제1 입력부 E54 ,2: 컴퓨터 유닛의 제2 입력부
E93: 저주파 통과 필터의 입력부 E94: 제1 지연 부재의 입력부
E95: 제2 지연 부재의 입력부 E96 ,1: 제1 감산기의 제1 입력부
E96 ,2: 제1 감산기의 제2 입력부 E97 ,1: 제2 감산기의 제1 입력부
E97 ,2: 제2 감산기의 제2 입력부 E98 ,1: 승산기의 제1 입력부
E98 ,2: 승산기의 제2 입력부 E120: I-제어기의 입력부
E121 ,1: 감산기의 제1 입력부 E121 ,2: 감산기의 제2 입력부
A2: 믹서의 출력부 A7: 대역 통과 필터의 출력부
A9: A/D 컨버터의 출력부
A15,I: 동기 복조기의 동위상 신호 출력부
A15,Q: 동기 복조기의 직교 신호 출력부
A18,I: 필터 장치의 동위상 신호 출력부
A18,Q: 필터 장치의 직교 신호 출력부
A21: Tuner 출력 레벨용 자동 이득 제어 장치의 출력부
A23,1: 영상 신호용 자동 이득 제어 장치의 제1 출력부
A23,2: 영상 신호용 자동 이득 제어 장치의 제2 출력부
A25: 음성 신호용 자동 이득 제어 장치의 출력부
A11,1: DSP의 제1 출력부 A11,2: DSP의 제2 출력부
A11,3: DSP의 제3 출력부 A30: A/D 컨버터의 출력부
A31: A/D 컨버터의 출력부 A32: A/D 컨버터의 출력부
A36: 디지털 I/Q 발진기의 출력부 A37,1: 제어 장치의 제1 출력부
A37,2: 제어 장치의 제2 출력부 A40,1: 믹서의 제1 출력부
A40,2: 믹서의 제2 출력부 A41,1: 믹서의 제1 출력부
A41,2: 믹서의 제2 출력부 A38: 저주파 통과 필터의 출력부
A39: 저주파 통과 필터의 출력부 A51,1: 저주파 통과 필터의 제1 출력부
A51,2: 저주파 통과 필터의 제2 출력부 A54,1: 컴퓨터 유닛의 제1 출력부
A54,2: 컴퓨터 유닛의 제2 출력부 A93: 저주파 통과 필터의 출력부
A94: 제1 지연 부재의 출력부 A95: 제2 지연 부재의 출력부
A96: 제1 감산기의 출력부 A97: 제 감산기의 출력부
A98: 승산기의 출력부 A99: 저주파 통과 필터의 출력부
A120: I-제어기의 출력부 A121: 감산기의 출력부
△I: 동위상 성분의 시간별 진폭 상승
△Q: 미분 제어 편차
I: 동위상 신호
Q: 직교 신호
Figure 112005055737051-pat00001
: 영상 반송파의 진폭
Figure 112005055737051-pat00002
: 영상 반송파
Figure 112005055737051-pat00003
: 동위상 신호에서 평가된 간섭 직교 성분의 진폭
Figure 112005055737051-pat00004
: 직교 간섭의 진폭
Figure 112005055737051-pat00005
: 직교 간섭
Figure 112005055737051-pat00006
: 평가된 직교 간섭의 진폭
Figure 112005055737051-pat00007
: 평가된 직교 간섭
t: 시간
본 발명은 직교 신호를 출력하는 동기 복조기 내에서 반송파 신호를 복구할 시에 진폭 변조된 신호의 반송파 신호의 간섭하는 직교 성분을 억제하기 위한 방법 및 그 회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진폭 변조된 신호(예: 아날로그 TV 신호의 진폭 변조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튜너를 이용하여 중간 주파수(fZ1)(예: fZ1 = 38.9 MHz)에 혼합된 지정된 채널을 선택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신호를 디지털 신호 처리를 이용하여 복조하기 위해, 매우 높은 주사 속도(fAT1)와 분해능(b1)의 A/D-컨버터(ADC =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에 대한 약어)가 필요할 수도 있다(예: fAT1 = 100 MHz/b1 = 10 Bit). 그러므로 신호는 더욱 낮은 제2 중간 주파수(fZ2) 상에 혼합된다. 이러한 중간 주파수(fZ2)는 더욱 이상적인 점에서 HF-대역의 채널 래스터(channel raster)에 상응하는 주파수이다(예: fZ2 = 7 MHz).
대응하는 주파수 선택이 전제가 된다면, 상기 신호는 본질적으로 보다 낮은 주사 주파수(fAT2)를 이용하여 디지털 방식으로 변환될 수 있다. 이에 디지털화된 신호는 동기 복조기를 이용하여 기저 대역에 혼합되되, 반송파 주파수(fT)(바람직하게는 영상 반송파 주파수(fBT))는 완전 디지털 위상 고정 루프(PLL = 위상 고정 루 프에 대한 약어)에 의해 생성된다. 그 결과에 따른 동위상 성분 및 직교 성분을 추가로 디지털 방식으로 필터링 함으로써, 상기 신호(예: 영상 정보 및/또는 음성 정보)는 추출된다.
도 6은 종래 기술에 따라 디지털 방식으로 실현된 TV 수신기(1)의 본질적인 구성을 실례에 따라 도시하고 있다. 디지털 TV 수신기(1)는 하나의 입력부(IF IN(intermediate frequency input): 중간 주파수 입력부에 대한 약어) 및 3개의 출력부, 즉 튜너-AGC(튜너 자동 이득 제어에 대한 약어 = Tuner Automatic Gain Control), CVBS(칼라 영상 귀선 소거 신호에 대한 약어 = Colour Video Blanking Signal) 및 SIF(음성 IF(중간 주파수)에 대한 약어 = Sound IF)를 포함하고 있다. 입력부(IF IN)는 신호 경로(3)를 통해 믹서(2)의 제1 입력부(E2 ,1)와 접속되어 있다. 국부 발진기(5)는 신호 경로(4)를 통해 믹서의 제2 입력부(E2 ,2)와 접속된다. 믹서(2)의 출력부(A2)는 신호 경로(6)를 통해 대역 통과 필터(7)의 입력부(E7)와 접속된다. 대역 통과 필터(7)의 출력부(A7)는 신호 경로(8)를 통해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9)의 입력부(E9)와 접속된다.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9)의 출력부(A9)는 신호 경로(10)를 통해 3개의 출력부(A11,1, A11,2 및 A11,3)를 포함하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11)의 입력부와 접속된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11)(DSP =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에 대한 약어) 내부에는 신호 경로(10)가 노드점(12)에서 2개의 부분 신호 경로(13, 14)로 분리된다.
부분 신호 경로(13)는 튜너(채널 선택 장치) 신호용 자동 이득 제어 장치(21)의 제1 입력부(E21 ,1) 상으로 안내된다. 제2 부분 신호 경로(14)는 동기 복조기(15)의 입력부(E15) 상으로 안내된다. 동기 복조기(15)는 2개의 출력부를 포함하는데, 다시 말해 동위상 신호 출력부(A15,I)와 직교 신호 출력부(A15,Q)를 포함한다. 동기 복조기(15)의 두 신호 출력부(A15,I 및 A15,Q)는 대응하는 신호 경로들(16, 17)을 통해 필터 장치(18)의 대응하는 입력부들(E18 ,I 및 E18 ,Q)과 접속된다. 필터 장치(18)는 자체적으로 재차 2개의 신호 출력부를 포함하는데, 다시 말해 동위상 신호 출력부(A18,I)와 직교 신호 출력부(A18,Q)를 포함하고 있다. 필터 장치(18)의 동위상 신호 출력부(A18,I)는 신호 경로(19)를 통해 영산 신호용 자동 이득 제어 장치(23)의 입력부(E23)와 접속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영상 신호용 자동 이득 제어 장치(23)는 2개의 출력부, 다시 말해 도면 부호(A23,1)를 갖는 제1 출력부와 도면 부호(A23,2)를 갖는 제2 출력부를 포함하고 있다.
영상 신호용 자동 이득 제어 장치(23)의 제1 출력부(A23,1)는 튜너 신호용 자동 이득 제어 장치(21)의 제2 입력부(E21 ,2)와 접속된다. 튜너 신호용 자동 이득 제어 장치의 단 하나의 출력부(A21)는 신호 경로(27)를 통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11)의 앞서 언급한 제1 출력부(A11,1)로 안내된다.
영상 신호용 자동 이득 제어 장치의 제2 출력부(A23,2)는 신호 경로(28)를 통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의 전술한 제2 출력부(A11,2)와 접속된다. 필터 장치(18)의 직교 신호 출력부(A18,Q)는 신호 경로를 통해 음성 신호용 자동 이득 제어 장치(25)의 입력부(E25)와 접속된다. 이 음성 신호용 자동 이득 제어 장치의 출력부(A25)는 추가의 신호 경로(29)를 통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11)의 제3 출력부(A11,3)와 접속된다.
모든 출력부들(A11,1, A11,2, A11,3)은 3개의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30, 31, 32)의 대응하는 입력부들(E30, E31, E32)과 접속되어 있다. 컨버터들의 출력부들은 디지털 TV 수신기(1)의 전술한 출력부들(Tuner AGC, CVBS, SIF)을 형성한다.
디지털 TV 수신기(1) 내에서는 하기와 같은 작동이 실행된다:
튜너의 출력 신호는 디지털 TV 수신기(1)의 입력부(IF IN)에 공급된다. 공급된 출력 신호는 국부 발진기(5)(LO = 국부 발진기의 약어)와 믹서(2)를 이용하여 제2 중간 주파수, 즉 이른바 제2 IF로 변환된다.
제2 IF 신호는 믹서(2)의 출력부(A2)에 인가된다. 상기 신호는 입력부(E7)를 통해 대역 통과 필터(7)로 공급된다. 대역 통과 필터링을 거친 후에, 상기 신호로부터 스퓨리어스 주파수 변환파가 제거되며, 그런 다음 상기 신호는 이른바 앨 리어싱 없이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9)를 이용하여 디지털화될 수 있다.
디지털 부재(11)(DSP =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의 약어)에서 상기 신호는 우선적으로 동기 복조기(15)를 이용하여 기저 대역에 혼합된다. 동기 복조기(15)의 출력부들(A15,I, A15,Q)에는 복조된 동위상 신호(I) 혹은 직교 신호(Q)가 존재한다. 필터 장치(18) 내에서의 추가의 필터링 및 다양한 추가 알고리즘들을 통해, I/Q-데이터로부터 영상 신호와 음성-IF-신호가 획득된다. 튜너-AGC(21)(자동 이득 제어의 약어)를 이용하여, DSP(11)의 입력부(E11)에 접속된 A/D-컨버터(9)가 과변조되지 않도록 튜너 출력 레벨이 조정된다. 출력부들(A18,I, A18,Q)에 접속된 VAGS(23)(영상 AGC의 약어) 및 AAGC(25)(음성 AGC의 약어)를 이용하여, 신호들은 D/A-컨버터(31, 32)에 대해 최적으로 제어된다.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9)의 입력부(E9)에 공급되는 제2 IF신호로서, 영상 반송파 주파수(fBT)를 갖는 코사인 영상 반송파 신호; 영상 정보 주파수(fpicture)를 갖는 코사인 영상 정보 신호; 뿐 아니라 음성 반송파 주파수(fTT)를 갖는 코사인 음성 반송파 신호; 그리고 음성 정보 주파수(fsound)를 갖는 코사인 음성 정보 신호;를 포함하는 제2 IF-신호의 이상적인 경우를 고려한다면, 이는 하기 방정식을 이용하여 기술된다:
Figure 112005055737051-pat00008
(Gl. 1)
상기 식에서,
Figure 112005055737051-pat00009
: 영상 반송파 진폭;
Figure 112005055737051-pat00010
: 변조 지수;
Figure 112005055737051-pat00011
: 음성 반송파 진폭; 그리고
Figure 112005055737051-pat00012
: FM 변조의 위상 편이;이다.
음성 반송파는 영상 반송파 처리와 무관하며, 반송파 복구의 범위 내에서 완전 필터링 된다. 필터링 후에, 하기 방정식을 통해 나타낼 수 있는 신호가 생성된다:
Figure 112005055737051-pat00013
(Gl. 2)
도 7a)는 진폭 변조된 신호의 포인터 다이어그램을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 반송파 복구는 영상 반송파(34);와 영상 정보(33)를 나타내는 두 측대역(OSB, USB)(OSB = 상부 측대역의 약어; USB = 하부 측대역의 약어);으로 이루어진 합으로 고정된다.
예컨대 송신 변조기 내의 비대칭 혹은 TV 수신기(1)의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에서의 비대칭에 의해, 영상 반송파(34)는 직교 성분(35)에 의해 간섭을 받을 수 있다. 그러므로 방정식(Gl. 2)으로부터 하기 방정식이 구해진다:
Figure 112005055737051-pat00014
(Gl. 3)
상기 식에서,
Figure 112005055737051-pat00015
: 간섭 성분의 진폭이다.
도 7b)로부터 제시되는 대응하는 포인터 다이어그램에 따라 확인할 수 있는 점에서, 상기 정보(33)의 진폭 변화에서, 위상 변조(
Figure 112005055737051-pat00016
)가 발생한다. 반송파 복구 시에 위상 변조(
Figure 112005055737051-pat00017
)는 가능한 한 정확하게 보상되어야 한다.
내부적으로 공지된 종래 기술에 따른 복조의 차원화와 관련하여, 위상 변조가 반송파 처리에 의해 계속해서 재조정되는 방식으로 차원화가 이루어진다. 그 결과, 일측에서는, 비록 직교 반송파 성분이 존재할 때에도 영상 반송파의 신속한 추적에 의해, 정보가 정확하게 재구성되긴 하지만, 예컨대 아날로그 TV에서 음성 반송파는 재구성된 영상 반송파를 이용하여 음성 중간 주파수 상에 혼합되기 때문에, 음성 반송파도 동일한 주파수 변화를 겪게 된다(이는 추가의 주파수 변조에서 설명된다); 타측에서 볼 때, 반송파 제어의 높은 필요 대역폭에 의해 잡음도 제어되는데, 이는 신호대잡음비(SNR)(SNR = signal to noise ratio)의 저하로 나타난다.
내부적으로 알려진 종래 기술에 따라 실현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도 6에 따른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11) 내에서 디지털 반송파 처리는 도 8의 블록회로도의 형태로 도시된다.
무엇보다 도 8에서 도 6에 따른 동기 복조기(15)를 확인할 수 있다. 동기 복조기(15)는 실질적인 I/Q 복조기(15a)로 구성되어 있다. 이 I/Q 복조기는 입력 신호를 동위상 신호(I)와 직교 신호(Q)로 변환시킨다. 그 외에도 회로 장치가 제공되어 있는데, 이 회로 장치는 동위상 신호(I)와 직교 신호(Q)로부터 영상 반송파 신호(BT)를 획득하여, 이를 I/Q-복조기(15a)의 제1 믹서(40)에는 직접적으로 공급하고 I/Q-복조기(15a)의 제2 믹서(41)에는 90°의 위상 편이 상태에서 공급한다.
실제로 I/Q-복조기(15a)는 통상적인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I/Q 복조기는 하나의 입력부(E15)와 2개의 출력부, 다시 말해 동위상 신호 출력부(A15,I)와 직교 신호 출력부(A15,Q)를 포함하고 있다. 입력부(E15)는 신호 경로(14)를 통해 노드점(42)과 접속되어 있으며, 이 노드점(42)에서 신호 경로(14)는 2개의 부분 신호 경로(43, 44)로 분리된다. 제1 부분 신호 경로(43)는 전술한 제1 믹서(40)의 입력부(E40)와, 그리고 제2 부분 신호 경로(44)는 전술한 제2 믹서(41)의 제1 입력부(E41 ,1)와 접속된다. 두 믹서(40, 41)는 각각 추가의 제2 입력부(E40 ,2, E41 ,2)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들 제2 입력부들에는 영상 반송파 신호들(BT)이 전술한 방식으로 공급된다.
믹서(40)의 출력부(A40)는 신호 경로(45)를 통해 저주파 통과 필터(38)의 입 력부(E38)와 접속된다. 믹서(41)의 출력부(A41)는 신호 경로(46)를 통해 제2 저주파 통과 필터(39)의 입력부(E39)와 접속된다.
제1 저주파 통과 필터(38)의 출력부(A38)는 전술한 동위상 신호 출력부(A15,I)를 형성하며, 그리고 제2 저주파 통과 필터(39)의 출력부(A39)는 I/Q-복조기(15a)의 전술한 직교 신호 출력부(A15,Q)를 형성한다.
출력부(A15,I)는 신호 경로(16)를 통해 노드점(47)으로 안내된다. 이 노드점(47)으로부터 일측에서는 신호 경로가 도 6에 도시한 필터(18) 상으로 안내되고, 신호 경로(41)를 통해서는 저주파 통과 필터(51)의 제1 입력부(E51,1) 상으로 안내된다.
직교 신호 출력부(A15,Q)는 신호 경로(17)를 통해 노드점(48)으로 안내된다. 이 노드점(48)으로부터 일측에서는 신호 연결부가 도 6에 도시된 필터(16)로 추가 안내되며, 타측에서는 신호 경로(50)를 통해 전술한 저주파 필터(51)의 제2 입력부(E51,2)로 안내된다.
저주파 통과 필터(51)의 전술한 입력부들(E51 ,1 또는 E51 ,2)에 대응하는 출력부들(A51,1 또는 A51,2)은 추가로 대응하는 신호 경로들(52, 53)을 통해 컴퓨터 유닛(54)의 대응하는 입력부들(E54 ,1, E54 ,2)로 안내된다.
컴퓨터 유닛(54)의 2개의 출력부들(A54,1, A54,2)은 대응하는 신호 경로들(55, 56)을 통해 제어 장치(37)의 입력부들(E37 ,1, E37,2)과 접속되어 있다.
컴퓨터 유닛(37)의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출력부(A37)는 대응하는 신호 경로들(57)을 통해 디지털 I/Q 발진기(36)의 대응하는 입력부들(E36)과 접속된다. I/Q 발진기(36)의 대응하는 출력부들(A36)로부터 신호 경로(58)는 믹서(40 또는 41)의 입력부들(E40 ,2, E41 ,2)로 이어진다.
저주파 통과 필터(51)는 본원에서 기저 대역(fBT ~ 0 HZ)에 위치하는 영상 반송파를 선택한다. 그에 이어지는 CORDIC(좌표변환 디지털 컴퓨터 = Coordinate Rotation Digital Computer)(54)는 저주파 통과 필터링 된 I/Q 값쌍(신호 52/53)로부터 위상(55) 및 진폭(56)을 산출한다. 위상(55)은 수신된 신호(14)의 영상 반송파와 I/Q 발진기(36)의 국부 반송파(58) 사이의 위상 차이를 나타낸다. 위상(55)은, 국부 I/Q-발진기(36)를 추적할 수 있도록, 블록(37)에서 보정 신호(57)로 변환된다. 다수의 반복(루핑) 후에, 반송파(58)는 수신된 반송파(14)에 적응된다.
반송파 제어를 전술한 바와 같이 디지털화 방식으로 실현할 시에 아날로그 솔루션에 비교될 수 있는 대역폭은 단지 어렵게 달성할 수 있다. 대역폭은 제어 루프(Cordic-알고리즘을 이용한 필터링과 그 위상 및 진폭의 측정) 내에서의 상대적으로 큰 신호 지연에 의해 제한된다.
아날로그 TV 신호를 수신할 시에, 이 아날로그 TV 신호는 복조된 영상 신호 및 복조된 음성 반송파에 영향을 미치는데, 왜냐하면 복조된 음성 반송파는 PLL의 재조정에 의해 추가적으로 주파수 변조되기 때문이다. 도 9는 복조된 영상 신호에 대한 동위상 신호 내 직교 성분의 작용을 도시하고 있다.
음성 반송파는 국부 I/Q 발진기(36)를 이용하여 음성 중간 주파수로 변환된다. 영상 반송파의 직교 간섭 성분을 바탕으로 영상 반송파의 위상 변조가 발생하면, 이러한 위상 변조는 음성 중간 주파수 반송파의 주파수 변조로서 작용하는데, 왜냐하면 국부 반송파(58)가 위상 변조를 추종하기 때문이다.
도 9는 CVBS 신호로 이루어진 세그먼트를 도시하고 있다. 도 9a에서는 수평 동기화 펄스를 분명하게 확인할 수 있다(약 650 < t < 750에서). 도 9b는 추가의 직교 간섭 성분을 갖는 동일한 사례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 PLL 루프는 신호를 완벽하게 복조할 만큼 충분한 속도를 갖지 못한다. 그런 점에서 수평 동기화 펄스는 왜곡되어 있으며, 그럼으로써 연결된 TV 장치는 그로부터 안정된 영상을 생성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반송파 처리 시에 송신기가 바람직하지 못하게 조정될 시에도 신호의 간섭 없는 변조가 보장되는 방법 및 회로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그 외에도 직교 간섭 평가 및 그 보상을 위한 방법 및 회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청구항 제1항과 제9항 내지 제13항의 특징들을 갖는 방법에 의해, 그리고 청구항 제14항과 제22항 내지 제25항의 특징들을 갖는 회로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과 개선예들은 종속항들에 제시되어 있다.
직교 신호를 출력하는 동기 복조기 내의 반송파 신호를 복구할 시에 진폭 변조된 신호의 반송파 신호에서 간섭하는 직교 성분을 억제하기 위한 방법에서, 본 발명에 따라 반송파 신호의 간섭 직교 성분이 평가되며, 그리고 평가된 직교 성분은 직교 신호로부터 감산된다. 회로 장치는 본 발명에 따라 직교 신호 경로 내에 간섭 평가 장치와 감산 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에 따라 신호 내에 포함된 직교 반송파 성분이 측정되며, 그리고 반송파 제어의 범위 내에서 보상된다. 그러므로 아날로그 TV의 실시예에서 주파수 변조된 음성 신호가 직교 영상 반송파 성분의 존재에 의해 간섭받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품질 손실 없이 정보를 변조할 수 있도록, PLL의 대역폭은 변경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은 다음에서 도면에 따라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동일하거나 동일한 기능의 구성부품의 식별을 위해 도면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가 이용된다.
영어의 전문 용어에서 "변조기 불균형(modulator imbalance)"으로서 지시되는 직교 간섭 성분은 다음과 같이 평가할 수 있다:
직교 간섭 성분은 I/Q믹서 이후 Q-경로 내 직류 전압값으로서 나타난다. 이를 반송파 복구는 (Cordic를 이용하여 측정된) 위상 결함으로서 해석하며, 그에 따라 디지털 I/Q 발진기를 정확한 것으로 간주되는 값으로 조정한다. (예컨대 TV 신 호의 경우 흰색에서 검은색으로 영상 내용이 전환될 때) IF 신호의 진폭 도약 시에 재차 짧은 시간에 Q-경로 내에서 동기 신호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 동기 신호는 재조정된다. Q 경로 내 동기 신호의 진폭 크기는 진폭 도약의 크기 및 방향에 따라 달라진다.
도 1의 포인터 다이어그램은 TV 시호에 대한 실례에서의 상기와 같은 연관성을 도시하고 있다:
무효한 좌표계(I'/Q')는 간섭 성분(35)을 포함하는 변조된 영상 반송파(34)의 조성(59)을 도시하고 있으며, 지점(a)은 정보 신호 진폭(3a)이 작은 경우 신호(예: 아날로그 TV에서 흰색 레벨)를 나타내며, 그리고 지점(b)은 큰 정보 신호 진폭(33b)(예: 검은색 레벨)을 나타낸다. 또 다른 좌표계(I/Q)는 반송파 복구의 순간적인 유효 좌표계의 고정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지점(a)으로부터 (b)로 신호 변화 시에, 우선적으로 음의 Q-값(q↑)을 획득한다. 그 반대로 전환된 경우에는, 양의 Q-값(q↓)을 획득한다. 이때, 도 1로부터 알 수 있듯이, 간단한 관계식이 적용된다:
Figure 112005055737051-pat00018
(Gl. 4)
만일 양성 도약(62) 및 음성 도약(63)이 예컨대 (거의) 구형파 정보 신호(61)(도 2a)에서와 같이 동등한 빈도로 발생한다면, 상기 관계에 의해, 직교 간섭 성분(35)은 Q-값(q↑, q↓)의 간단한 반복(도 2b의 적분 64 및 65)을 통해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컨대 아날로그 TV 전송의 경우 보장될 수 없다.
만일 예컨대 톱니파(영상-이미지: 회색 쐐기모양; 도 2a)의 형태인 정보 신호(66)를 획득한다면, Q-값(q↑, q↓)(도 2b)의 적분(68)을 이용하여 직교 간섭 성분(35)을 평가하기 위해 필요한 진폭 도약(67)은 오로지 일측 방향으로만 발생한다. 타측 방향으로의 진폭 변화(68)는 연속되며, 그에 따른 위상 변조는 반송파 복구에 의해 연속해서 재조정될 수 있다(도 2b에 따른 플랭크(68) 동안 q↑=0, q↓=0). 이러한 경우 간섭 성분의 평가는 허용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바람직하게는 선행된 진폭 변화의 대수 부호(69, 70)를 이용하여 Q-값의 적분(67, 71, 72)을 보정한다.
이상적인 경우에서, 진폭 변화는 절대값을 이용하여 순간적인 I-값과 Q-값으로부터 산출된다. 더욱 간단한 해법은 (반송파 복구가 고정되어 있다는 점을 가정하고) 실례에 따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로지 I 부분의 변화만을 평가함으로써 획득된다.
영상 반송파의 위상 변화에 대항하여 측정을 견고하게 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평가를 위한 하기와 같은 미분 제어 편차가 이용된다:
Figure 112005055737051-pat00019
(Gl. 5)
도 2d는 동위상 신호(I)의 대응하는 진폭 변화들(62, 63, 68, 67)로부터 산출된 미분 진폭 변화들(79, 81, 83, 85)을 도시하고 있다. 평가 결과는 하기 방정식(Gl. 7)에 따른 동위상 성분;과 도 2e)에 따라 기술된 실시예에 대한 동위상 성분;의 미분 진폭 변화(Gl. 6)를 이용하여 획득된다:
Figure 112005055737051-pat00020
(Gl. 6)
Figure 112005055737051-pat00021
(Gl. 7)
도 2e)에서 동위상 신호와 관련하여 전술한 진폭 도약에 대해 산출된 평가값은 도면 부호(78, 88, 89)로 표시되어 있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알 수 있는 점에서, 간섭 성분의 측정은 그 변동이 매우 크며, 그 외에도 송신된 정보에 대한 매우 강한 종속성을 갖는데, 왜냐하면 간섭 성분의 효과는 오로지 정보의 진폭 도약 시에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측정 결과는 추가적으로 저주파 통과 필터링 된다. 저주파 통과 필터링은 도 2e에서 도면 부호 (113)으로써 표시되어 있다.
전술한 방법은 도 3에 도시된 디지털 회로 장치(90)를 이용하여, 예컨대 도 8에 도시한 회로 장치(15)에서 구현된다.
전체 시스템의 제어를 시뮬레이션함으로써 기능이 입증되었다. 효과는 예컨대 아날로그 TV 신호의 경우 영상-라인의 종료시에 흰색 레벨을 갖는 영상 내용에서 특히 바람직하게 인식할 수 있다. 만일 강한 직교 간섭 성분이 존재한다면, 그에 따라 라인 종료 시에 혹은 바로 후행하는 라인의 개시 시에 수평 동기화 펄스는 간섭을 받게 되며, 그럼으로써 후행하는 라인은 수평으로 왜곡된다.
도 5는 도 9에서와 같이 CVBS 신호의 세그먼트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신호는 상대적으로 강한 직교 간섭 성분을 포함하고 있으면서, 이미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화살표로 표시된) 수평 동기화 펄스에서 왜곡되고(도 5의 상부 그래프), 그에 따라, 연결된 TV 장치는 안정된 TV 영상을 생성하지 못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차이점에서, 도 5의 하부 그래프에서는 불균형 보상 제어가 활성화되어 거의 최종값으로 전향된다. 직교 간섭 성분은 완전하게 보상되며, 신호는 완벽하게 복조된다.
본원의 회로 장치는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된 동기 복조기 내에 구현된다. 도 4는 직교 간섭 보상식 동기 복조기(115)를 도시하고 있다. 도 4에 따른 동기 복조기(115)는 일측에서는 도 8에 따른 동기 복조기(15)의 회로 컴포넌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직교 간섭 평가를 위해 구현된 회로 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직교 간섭 평가를 위한 회로 장치는 예컨대 도 3에 따른 회로 장치(90)와 동일하게 설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저주파 통과 필터(51) 및 컴퓨터 유닛(54) 사이의 신호 경로들(52, 53)은 대응하는 노드점들(117, 118)을 통해 도 3에 따른 회로 장치(90)의 신호 경로들(99, 100)과 접속되어 있다. 회로 장치(90)의 출력부(A93)에는 신호 경로(112)를 통해 I-제어기(119)의 입력부(E119)에 대한 연결부가 형성되어 있다.
출력부(A119)는 신호 경로(120)를 통해 감산기의 제2 입력부(E121)로 이어지며, 감산기의 제1 입력부(E121)는 Q-경로 내의 저주파 통과 필터(39)의 출력부(A39)와 접속된다.
I-제어기(119)를 이용하여, 저주파 통과 필터링 되고, 진폭(
Figure 112005055737051-pat00022
)을 갖는 평가 신호(
Figure 112005055737051-pat00023
)는 Q-경로 내에서 직교 신호(Q)로부터 감산되며, 그에 따라 보상된다. 당업자에게 있어 자명한 사실로서 간주되는 점에서, I-제어기(119) 대신에 각각 또 다른 제어 루프를 이용할 수도 있다.
I-제어기는 상기 신호(112)를 우선적으로 설정 가능한 계수를 이용하여 증폭시키거나 감쇠시키며, 그런 다음 적분 부재로 공급한다. 상기 계수를 이용하여 제어 루프의 속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적분 부재의 실제 상태는 동시에 평가 신호(
Figure 112005055737051-pat00024
)이다.
도 3과 관련하여 다음에서 재차 설명된다.
제어 편차는 간섭 직교 성분에 의해 야기되는데, 왜냐하면 간섭 직교 성분은 전술한 위상 변조를 야기하기 때문이다. 반복(및 대수 부호 보정)에 의해, 제어 편차로부터 직교 성분이 평가된다. 이는 오로지 제어 루프를 이용하여서만 활성화되는데, 왜냐하면 직교 간섭 성분을 직접 계산할 수 없기 때문이다.
실질적인 간섭 평가 장치는 도면 부호(90)에 따라 정의되어 있다. 필터(93)를 이용함으로써, 평가 결과는 더욱 신뢰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간섭 평가 장치(90)는 단독으로 간섭 성분의 절대값을 산출할 수 없다. 간섭 평가 장치는 단지 그 경향만을 산출할 수 있다. 이러한 경향은, 제어 루프가 전향된 상태에서 간섭 성분의 절대값을 획득할 수 있도록, 적분기를 I-제어기(119) 내에 탑재하거나 제거함으로써 이용된다.

Claims (27)

  1. 직교 신호(Q)를 출력하는 동기 복조기(15)에서 반송파 신호(35,
    Figure 112005055737051-pat00025
    )를 복구할 시에 진폭 변조된 신호(33, 33a, 33b)의 반송파 신호(34,
    Figure 112005055737051-pat00026
    , 59)의 간섭하는 직교 성분(35,
    Figure 112005055737051-pat00027
    )을 억제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반송파 신호(34,
    Figure 112005055737051-pat00028
    , 59)의 간섭 직교 성분(35,
    Figure 112005055737051-pat00029
    )이 평가되며, 그리고 평가된 직교 성분(35,
    Figure 112005055737051-pat00030
    )은 상기 직교 신호(Q)로부터 감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파 신호(34,
    Figure 112005055737051-pat00031
    , 59)의 상기 간섭 직교 성분(35,
    Figure 112005055737051-pat00032
    )은 상기 직교 신호(Q)의 제어 편차(q↑, q↓)로부터 및/또는 상기 동기 복조기(15)로부터 출력된 동위상 신호(I)의 제어 편차로부터 평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파 신호(34,
    Figure 112005055737051-pat00033
    , 59)의 상기 간섭 직교 성분(35,
    Figure 112005055737051-pat00034
    )은 상기 직교 신호(Q)의 제어 편차(q↑, q↓)의 적분(64, 65, 72)으로부터 및/또는 상기 동 기 복조기(15)로부터 출력된 동위상 신호(I)의 제어 편차의 적분으로부터 평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파 신호(34,
    Figure 112005055737051-pat00035
    , 59)의 상기 간섭 직교 성분(35,
    Figure 112005055737051-pat00036
    )은 상기 직교 신호(Q)의 제어 편차(q↑, q↓)의 적분(64, 65, 72)으로부터 및/또는 상기 동기 복조기(15)로부터 출력된 동위상 신호(I)의 제어 편차의 적분으로부터 평가되되, 상기 각각의 적분(64, 65, 72)은 상기 제어 편차(q↑, q↓)를 야기하는 신호(61, 66)의 진폭 변화(62, 63, 67)의 대수 부호(+, -)와 승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파 신호(34,
    Figure 112005055737051-pat00037
    , 59)의 상기 간섭 직교 성분(35,
    Figure 112005055737051-pat00038
    )은 상기 직교 신호(Q)의 제어 편차(q↑, q↓)의 적분(64, 65, 72)으로부터 및/또는 상기 동기 복조기(15)로부터 출력된 동위상 신호(I)의 제어 편차의 적분으로부터 평가되되, 상기 각각의 적분(64, 65, 72)은 상기 동위상 신호(I, 61, 66)의 진폭 변화(62, 63, 67)의 대수 부호(+, -)와 승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파 신호(34,
    Figure 112005055737051-pat00039
    , 59)의 상기 간섭 직교 성분(35,
    Figure 112005055737051-pat00040
    )은 상기 직교 신호(Q)의 미분 제어 편차(△Q, 73, 75, 77)로부터 및/또는 상기 동기 복조기(15)로부터 출력된 동위상 신호(I)의 미분 제어 편차로부터 평가되되, 상기 각각의 미분 제어 편차(△Q, 73, 75, 77)는 상기 동위상 신호(I, 61, 66)의 진폭 변화(79, 81, 83, 85)와 승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된 직교 성분(35,
    Figure 112005055737051-pat00041
    )은 상기 직교 신호(Q)로부터 감산되기 전에 저주파 통과 필터링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경우에 따라 저주파 통과 필터링 된 상기 평가된 직교 성분(35,
    Figure 112005055737051-pat00042
    )은 귀환된 제어 루프를 이용하여, 더욱 상세하게는 I-제어기(119)를 이용하여 상기 직교 신호(Q)로부터 감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진폭 변조된 신호(33, 33a, 33b)의 반송파 신호(34,
    Figure 112005055737051-pat00043
    , 59)의 간섭 직교 성분(35,
    Figure 112005055737051-pat00044
    )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동기 복조기(15)로부터 출력된 직교 신호(Q)의 제어 편차(q↑, q↓)를 평가하고/하거나 상기 동기 복조기(15)로부터 출 력된 동위상 신호(I)의 제어 편차를 평가함으로써 달성되는 방법.
  10. 진폭 변조된 신호(33, 33a, 33b)의 반송파 신호(34,
    Figure 112005055737051-pat00045
    , 59)의 간섭 직교 성분(35,
    Figure 112005055737051-pat00046
    )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동기 복조기(15)로부터 출력된 직교 신호(Q)의 제어 편차(q↑, q↓)의 적분(64, 65, 72)을 평가하고/하거나 상기 동기 복조기(15)로부터 출력된 동위상 신호(I)의 제어 편차의 적분을 평가함으로써 달성되는 방법.
  11. 진폭 변조된 신호(33, 33a, 33b)의 반송파 신호(34,
    Figure 112005055737051-pat00047
    , 59)의 간섭 직교 성분(35,
    Figure 112005055737051-pat00048
    )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동기 복조기(15)로부터 출력된 직교 신호(Q)의 제어 편차(q↑, q↓)의 적분(64, 65, 72)을 평가하고/하거나 상기 동기 복조기(15)로부터 출력된 동위상 신호(I)의 제어 편차의 적분을 평가함으로써 달성되되, 상기 각각의 적분(64, 65, 72)은 상기 제어 편차(q↑, q↓)를 야기하는 신호(61, 66)의 진폭 변화(62, 63, 67)의 대수 부호(+, -)와 승산되는 방법.
  12. 진폭 변조된 신호(33, 33a, 33b)의 반송파 신호(34,
    Figure 112005055737051-pat00049
    , 59)의 간섭 직교 성분(35,
    Figure 112005055737051-pat00050
    )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동기 복조기(15)로부터 출력된 직교 신호(Q)의 제어 편차(q↑, q↓)의 적분(64, 65, 72)을 평가하고/하거나 상기 동기 복조기(15)로부터 출력된 동위상 신호(I)의 제어 편차의 적분을 평가함으로써 달성되되, 상기 각각의 적분(64, 65, 72)은 상기 동위상 신호(I, 61, 66)의 진폭 변화(62, 63, 67)의 대수 부호(+, -)와 승산되는 방법.
  13. 진폭 변조된 신호(33, 33a, 33b)의 반송파 신호(34,
    Figure 112005055737051-pat00051
    , 59)의 간섭 직교 성분(35,
    Figure 112005055737051-pat00052
    )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동기 복조기(15)로부터 출력된 직교 신호(Q)의 미분 제어 편차(△Q, 73, 75, 77)를 평가하고/하거나 상기 동기 복조기(15)로부터 출력된 동위상 신호(I)의 미분 제어 편차를 평가함으로써 달성되되, 상기 각각의 미분 제어 편차(△Q, 73, 75, 77)는 동위상 신호(I, 61, 66)의 진폭 변화(79, 81, 83, 85)와 승산되는 방법.
  14. 직교 신호(Q)를 출력하는 동기 복조기(15) 내에서 반송파 신호(35,
    Figure 112005055737051-pat00053
    )를 복구할 시에 진폭 변조된 신호(33, 33a, 33b)의 반송파 신호(34,
    Figure 112005055737051-pat00054
    , 59)의 간섭하는 직교 성분(35,
    Figure 112005055737051-pat00055
    )을 억제하기 위한 회로 장치(115)에 있어서,
    상기 반송파 신호(34,
    Figure 112005055737051-pat00056
    , 59)의 간섭 직교 성분(35,
    Figure 112005055737051-pat00057
    )을 평가하기 위한 간섭 평가 장치(90)가 제공되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직교 신호(Q)로부터 평 가된 직교 성분(35,
    Figure 112005055737051-pat00058
    )을 감산하기 위한 감산 장치(121)가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 평가 장치(90)는 상기 직교 신호(Q)의 제어 편차(q↑, q↓)로부터 및/또는 상기 동기 복조기(15)로부터 출력된 동위상 신호(I)의 제어 편차로부터 상기 반송파 신호(34,
    Figure 112005055737051-pat00059
    , 59)의 간섭 직교 성분(35,
    Figure 112005055737051-pat00060
    )을 평가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 평가 장치(90)는 상기 직교 신호(Q)의 제어 편차(q↑, q↓)의 적분(64, 65, 72)으로부터 및/또는 상기 동기 복조기(15)로부터 출력된 동위상 신호(I)의 제어 편차의 적분으로부터 상기 반송파 신호(34,
    Figure 112005055737051-pat00061
    , 59)의 간섭 직교 성분(35,
    Figure 112005055737051-pat00062
    )을 평가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장치.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 평가 장치(90)는 상기 직교 신호(Q)의 제어 편차(q↑, q↓)의 적분(64, 65, 72)으로부터 및/또는 상기 동기 복조기(15)로부터 출력된 동위상 신호(I)의 제어 편차의 적분으로부터 상기 반송파 신호(34,
    Figure 112005055737051-pat00063
    , 59)의 간섭 직교 성분(35,
    Figure 112005055737051-pat00064
    )을 평가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되, 상기 각각의 적분(64, 65, 72)은 상기 제어 편차(q↑, q↓)를 야기하는 신호(61, 66)의 진폭 변화(62, 63, 67)의 대수 부호(+, -)와 승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장치.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 평가 장치(90)는 상기 직교 신호(Q)의 제어 편차(q↑, q↓)의 적분(64, 65, 72)으로부터 및/또는 상기 동기 복조기(15)로부터 출력된 동위상 신호(I)의 제어 편차의 적분으로부터 상기 반송파 신호(34,
    Figure 112005055737051-pat00065
    , 59)의 간섭 직교 성분(35,
    Figure 112005055737051-pat00066
    )을 평가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되, 상기 각각의 적분(64, 65, 72)은 상기 동위상 신호(I, 61, 66)의 진폭 변화(62, 63, 67)의 대수 부호(+, -)와 승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장치.
  19.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 평가 장치(90)는 상기 직교 신호(Q)의 미분 제어 편차(△Q, 73, 75, 77)로부터 및/또는 상기 동기 복조기(15)로부터 출력된 동위상 신호(I)의 미분 제어 편차로부터 상기 반송파 신호(34,
    Figure 112005055737051-pat00067
    , 59)의 간섭 직교 성분(35,
    Figure 112005055737051-pat00068
    )을 평가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되, 상기 각각의 미분 제어 편차(△Q, 73, 75, 77)는 상기 동위상 신호(I, 61, 66)의 진폭 변화(79, 81, 83, 85)와 승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장치.
  20. 제 14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직교 신호(Q)로부터 감산하기 전에 상기 평가된 직교 성분(35,
    Figure 112005055737051-pat00069
    )을 저주파 통과 필터링 하기 위한 저주파 통과 필터(93)가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장치.
  21. 제 14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경우에 따라 저주파 통과 필터링 되는, 평가된 직교 성분(35,
    Figure 112005055737051-pat00070
    )을 상기 직교 신호(Q)로부터 감산할 수 있도록, 귀환된 제어 루프, 더욱 상세하게는 I-제어기(119)가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장치.
  22. 반송파 신호(34,
    Figure 112005055737051-pat00071
    , 59)의 간섭 직교 성분(35,
    Figure 112005055737051-pat00072
    )을 평가하기 위한 간섭 평가 장치(90)로서,
    동기 복조기(15)로부터 출력된 직교 신호(Q)의 제어 편차(q↑, q↓)를 검출하고/하거나 상기 동기 복조기(15)로부터 출력된 동위상 신호(I)의 제어 편차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간섭 평가 장치.
  23. 반송파 신호(34,
    Figure 112005055737051-pat00073
    , 59)의 간섭 직교 성분(35,
    Figure 112005055737051-pat00074
    )을 평가하기 위한 간섭 평가 장치(90)로서,
    동기 복조기(15)로부터 출력된 직교 신호(Q)의 제어 편차(q↑, q↓)를 검출 하고/하거나 상기 동기 복조기(15)로부터 출력된 동위상 신호(I)의 제어 편차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장치를 구비하고 있으며, 그리고
    상기 동기 복조기(15)로부터 출력된 직교 신호(Q)의 제어 편차(q↑, q↓)의 적분(64, 65, 72)을 구하고/구하거나 상기 동기 복조기(15)로부터 출력된 동위상 신호(I)의 제어 편차의 적분을 구하기 위한 적분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간섭 평가 장치.
  24. 제 22 항 또는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편차로부터. 반복과 경우에 따라 필요한 대수 부호 보정에 의해 직교 성분이 평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섭 평가 장치(90).
  25. 반송파 신호(34,
    Figure 112005055737051-pat00075
    , 59)의 간섭 직교 성분(35,
    Figure 112005055737051-pat00076
    )을 평가하기 위한 간섭 평가 장치(90)로서,
    동기 복조기(15)로부터 출력된 직교 신호(Q)의 제어 편차(q↑, q↓)를 검출하고/하거나 상기 동기 복조기(15)로부터 출력된 동위상 신호(I)의 제어 편차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장치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동기 복조기(15)로부터 출력된 직교 신호(Q)의 제어 편차(q↑, q↓)의 적분(64, 65, 72)을 구하고/구하거나 상기 동기 복조기(15)로부터 출력된 동위상 신호(I)의 제어 편차의 적분을 구하기 위한 적분 장치를 구비하고 있으며; 그리고
    상기 제어 편차(q↑, q↓)를 야기하는 신호(61, 66)의 진폭 변화(62, 63, 67)의 대수 부호(+, -)와 상기 각각의 적분(64, 65, 72)을 승산하기 위한 승산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간섭 평가 장치.
  26. 반송파 신호(34,
    Figure 112005055737051-pat00077
    , 59)의 간섭 직교 성분(35,
    Figure 112005055737051-pat00078
    )을 평가하기 위한 간섭 평가 장치(90)로서,
    동기 복조기(15)로부터 출력된 직교 신호(Q)의 제어 편차(q↑, q↓)를 검출하고/하거나 상기 동기 복조기(15)로부터 출력된 동위상 신호(I)의 제어 편차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장치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동기 복조기(15)로부터 출력된 직교 신호(Q)의 제어 편차(q↑, q↓)의 적분(64, 65, 72)을 구하고/구하거나 상기 동기 복조기(15)로부터 출력된 동위상 신호(I)의 제어 편차의 적분을 구하기 위한 적분 장치를 구비하고 있으며; 그리고
    상기 동위상 신호(I, 61, 66)의 진폭 변화(62, 63, 67)의 대수 부호(+, -)와 상기 각각의 적분(64, 65, 72)을 승산하기 위한 승산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간섭 평가 장치.
  27. 반송파 신호(34,
    Figure 112005055737051-pat00079
    , 59)의 간섭 직교 성분(35,
    Figure 112005055737051-pat00080
    )을 평가하기 위한 간섭 평가 장치(90)로서,
    동기 복조기(15)로부터 출력된 직교 신호(Q)의 미분 제어 편차(△Q, 73, 75, 77)를 구하고/구하거나 상기 동기 복조기(15)로부터 출력된 동위상 신호(I)의 미분 제어 편차를 구하기 위한 미분 장치(96, 97)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동위상 신호(I, 61, 66)의 진폭 변화(79, 81, 83, 85)를 측정하기 위한 미분 장치(94, 95)를 구비하고 있으며; 그리고
    상기 동위상 신호(I, 61, 66)의 진폭 변화(79, 81, 83, 85)와 상기 각각의 미분 제어 편차(△Q, 73, 75, 77)를 승산하기 위한 승산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간섭 평가 장치.
KR1020050092294A 2004-10-04 2005-09-30 직교 간섭의 억제 방법 및 그 회로 장치 KR1007274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4048572A DE102004048572A1 (de) 2004-10-04 2004-10-04 Verfahren sowie Schaltungsanordnung zur Unterdrückung einer orthogonalen Störung
DE102004048572.0 2004-10-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1967A KR20060051967A (ko) 2006-05-19
KR100727458B1 true KR100727458B1 (ko) 2007-06-13

Family

ID=35229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2294A KR100727458B1 (ko) 2004-10-04 2005-09-30 직교 간섭의 억제 방법 및 그 회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920653B2 (ko)
EP (1) EP1643633A1 (ko)
JP (1) JP4594202B2 (ko)
KR (1) KR100727458B1 (ko)
CN (1) CN1812554A (ko)
DE (1) DE1020040485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4047424A1 (de) * 2004-09-28 2006-04-06 Micronas Gmbh Schaltung und Verfahren zur Trägerrückgewinnung
US8330873B2 (en) * 2007-03-14 2012-12-11 Larry Silver Signal demodulator with overmodulation protection
US8902365B2 (en) * 2007-03-14 2014-12-02 Lance Greggain Interference avoidance in a television receiver
EP2797225B1 (en) * 2013-04-24 2018-01-10 Analog Devices Global Method of and apparatus for demodulating an amplitude modulated signal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33942A (ja) 1986-04-03 1987-10-14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干渉補償回路
KR19980065462A (ko) * 1997-01-10 1998-10-15 김광호 디지털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제거 회로
KR20000008080A (ko) * 1998-07-07 2000-02-07 윤종용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부호간섭 제거장치 및 방법
JP2004254243A (ja) 2003-02-21 2004-09-09 Fujitsu Ltd 干渉測定評価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5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31235A (en) 1980-08-01 1982-02-19 Hitachi Denshi Ltd Receiving system
SE419581B (sv) * 1980-09-12 1981-08-10 Ericsson Telefon Ab L M Anordning i ett radarsystem for korrektion av fas- och amplitudfel, som uppstar i kvadraturdetektorn
DE3120050A1 (de) 1981-05-20 1982-12-09 Licentia Patent-Verwaltungs-Gmbh, 6000 Frankfurt Zf-verstaerker fuer einen mehrnormen-fernsehempfaenger
US4860018A (en) * 1982-03-01 1989-08-22 Western Atlas International, Inc. Continuous wave interference rejection for reconstructed carrier receivers
US4608703A (en) * 1983-05-12 1986-08-26 Ricoh Company, Ltd. Synchronization detection system for data transmission
US4729110A (en) * 1984-12-24 1988-03-01 General Electric Company Correction of offset and gain errors in RF receivers
US5177604A (en) * 1986-05-14 1993-01-05 Radio Telcom & Technology, Inc. Interactive television and data transmission system
EP0322766B1 (en) * 1987-12-24 1994-09-07 Nec Corporation Carrier recovery circuit for offset QPSK demodulators
CA1288878C (en) * 1988-08-15 1991-09-10 John D. Mcnicol Timing and carrier recovery in tdma without preamable sequence
JP2513331B2 (ja) * 1989-11-10 1996-07-03 日本電気株式会社 搬送波再生器
US5377232A (en) * 1992-01-09 1994-12-27 Cellnet Data Systems, Inc. Frequency synchronized bidirectional radio system
US5604768A (en) * 1992-01-09 1997-02-18 Cellnet Data Systems, Inc. Frequency synchronized bidirectional radio system
JPH06104788A (ja) 1992-09-22 1994-04-15 Toko Inc スーパーヘテロダイン方式の受信機
JPH06112858A (ja) 1992-09-29 1994-04-22 Hitachi Ltd 受信装置
JPH06189342A (ja) * 1992-12-17 1994-07-08 Pioneer Electron Corp 映像合成装置
US5572264A (en) * 1994-02-14 1996-11-05 Hitachi, Ltd. High definition TV signal receiver
CA2144596A1 (en) 1994-04-05 1995-10-06 Richard Prodan Modulator/demodulator using baseband filtering
US5507024A (en) * 1994-05-16 1996-04-09 Allegro Microsystems, Inc. FM data-system radio receiver
JPH07326980A (ja) 1994-06-02 1995-12-12 Japan Radio Co Ltd 移動通信用受信機
EP0696854A1 (en) 1994-08-08 1996-02-14 THOMSON multimedia S.A. Broadcast receiver adapted for analog and digital signals
JP3171052B2 (ja) * 1995-04-13 2001-05-2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Catvコンバータ
FR2734681B1 (fr) * 1995-05-23 1997-07-04 Thomson Multimedia Sa Procede pour numeriser un signal de frequence intermediaire fi, en particulier de television, et circuit pour la mise en oeuvre de ce procede
FR2735316B1 (fr) * 1995-06-12 1997-07-18 Thomson Multimedia Sa Procede de numerisation de signaux video fi et dispositif pour mettre en oeuvre ce procede
US5828705A (en) * 1996-02-01 1998-10-27 Kroeger; Brian W. Carrier tracking technique and apparatus having automatic flywheel/tracking/reacquisition control and extended signal to noise ratio
JP3636397B2 (ja) * 1996-04-04 2005-04-06 富士通株式会社 ジッタ抑圧回路
KR100200589B1 (ko) * 1996-06-12 1999-06-15 윤종용 고해상도 텔레비젼 수신기의 디지털 복조회로 및 방법
US6028903A (en) * 1997-03-31 2000-02-22 Sun Microsystems, Inc. Delay lock loop with transition recycling for clock recovery of NRZ run-length encoded serial data signals
DE19739645C2 (de) 1997-09-10 1999-07-15 Fraunhofer Ges Forschung Vorrichtung zur Gewinnung eines Takt- oder Trägersignales
US6233295B1 (en) * 1998-08-26 2001-05-15 Thomson Licensing S.A. Segment sync recovery network for an HDTV receiver
US6184921B1 (en) 1998-02-20 2001-0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transmitting VSB digital TV with carrier frequency near co-channel NTSC audio carrier frequency
EP0948128B1 (en) * 1998-04-03 2004-12-01 Motorola Semiconducteurs S.A. DC offset cancellation in a quadrature receiver
JP3659800B2 (ja) * 1998-04-15 2005-06-15 三菱電機株式会社 位相誤差検出装置
JP3576410B2 (ja) * 1998-05-29 2004-10-1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受信装置と送受信装置及び方法
DE19825455C2 (de) 1998-06-06 2000-04-06 Micronas Intermetall Gmbh Frequenzumsetzungseinrichtung für ein Fernsehsignalgemisch
EP1127424B1 (en) 1998-11-03 2004-09-29 Broadcom Corporation Dual mode qam/vsb receiver
US6005363A (en) * 1998-11-06 1999-12-21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osition error signal (PES) measurement in a disk drive servo system
US6304136B1 (en) * 1999-03-03 2001-10-16 Level One Communications, Inc. Reduced noise sensitivity, high performance FM demodulator circuit and method
FR2792103B1 (fr) * 1999-03-16 2001-11-09 St Microelectronics Sa Procede et dispositif d'asservissement d'un faisceau optique incident sur une piste d'un support mobile d'informations, en particulier un disque numerique
JP2001008118A (ja) 1999-06-22 2001-01-12 Alps Electric Co Ltd デジタルテレビジョンチューナ
JP2003504927A (ja) 1999-07-07 2003-02-04 シーメンス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有効信号誤りを補正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6661852B1 (en) * 1999-07-21 2003-12-09 Raytheon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quadrature tuner error correction
FR2812162B1 (fr) 2000-07-18 2003-01-17 Thomson Multimedia Sa Procede de determination de parametres d'un signal de type ofdm et recepteur associe
JP3694639B2 (ja) 2000-07-26 2005-09-14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デジタルpll回路及び位相同期方法
US20020097812A1 (en) * 2000-12-01 2002-07-25 John Wiss In-phase and quadrature-phase rebalancer
US7212797B2 (en) * 2002-04-26 2007-05-01 Qualcomm Incorporated DC removal techniques for wireless networking
JP3917919B2 (ja) * 2002-09-19 2007-05-23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直交復調誤差補償方法および回路
CA2470546C (en) 2003-06-13 2010-08-17 The Directv Group,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arrier synchronization in digital broadcast and interactive systems
KR100581059B1 (ko) * 2003-09-26 2006-05-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직교 복조 수신 시스템에서 가변루프이득을 이용한 동위상채널과 직교 채널 간 위상 및 이득 불일치 보상 장치 및그 방법
KR100554981B1 (ko) * 2003-11-20 2006-03-03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지연 고정 루프
US7327806B2 (en) * 2004-04-20 2008-02-05 Delphi Technologies, Inc. System/method for receiving ASK and FSK signals using a single RF receiver
DE102004047424A1 (de) * 2004-09-28 2006-04-06 Micronas Gmbh Schaltung und Verfahren zur Trägerrückgewinnung
DE102004054893A1 (de) * 2004-11-12 2006-05-24 Micronas Gmbh Verfahren und Schaltungsanordnung zur Kanalfilterung analog oder digital modulierter TV-Signa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33942A (ja) 1986-04-03 1987-10-14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干渉補償回路
KR19980065462A (ko) * 1997-01-10 1998-10-15 김광호 디지털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제거 회로
KR20000008080A (ko) * 1998-07-07 2000-02-07 윤종용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부호간섭 제거장치 및 방법
JP2004254243A (ja) 2003-02-21 2004-09-09 Fujitsu Ltd 干渉測定評価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920653B2 (en) 2011-04-05
US20060072686A1 (en) 2006-04-06
JP2006217565A (ja) 2006-08-17
CN1812554A (zh) 2006-08-02
KR20060051967A (ko) 2006-05-19
DE102004048572A1 (de) 2006-04-13
EP1643633A1 (de) 2006-04-05
JP4594202B2 (ja) 2010-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4919B1 (ko) 범용 텔레비전 수신기
KR100200589B1 (ko) 고해상도 텔레비젼 수신기의 디지털 복조회로 및 방법
US5946607A (en) Method of apparatus for automatic gain control, and digital receiver using same
KR100257475B1 (ko) 디지탈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용 자동 이득 제어 장치
RU2146416C1 (ru) Приемник прямого преобразования с цифровой компенсацией
JPH11355810A (ja) 計測用受信器
KR100727458B1 (ko) 직교 간섭의 억제 방법 및 그 회로 장치
US724865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ensating I/Q imbalance based on gain-controlled reference channel i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
KR0163729B1 (ko) 디지탈 잔류 측파대 변조 통신 시스템의 위상 검출 방법 및 위상 트랙킹 루프 회로
JPH1051402A (ja) 受信電界検出回路
JP3822881B2 (ja) デジタル変調信号評価装置
US6370210B1 (en) Circuitry for generating a gain control signal applied to an AGC amplifier and method thereof
JP4941822B2 (ja) 受信装置、及び送信装置
US7170950B2 (en) DRM/AM simulcast
US4686569A (en) Circuitry for reducing demodulation phase error as for an automatic deghosting system
JP2006507760A (ja) Ntsc同一チャネル干渉を検出する装置および方法
JP4392839B2 (ja) 搬送波トラッキング・ループ・ロック検出器
JP2007251908A (ja) ノイズ検出回路及びそれを用いたam受信機
KR100191328B1 (ko) 디지탈 위성방송 수신기의 수신상태 감시회로
JP7143602B2 (ja) 受信装置、受信方法
JP6922801B2 (ja) 受信装置、受信方法
JP4292667B2 (ja) 受信装置およびその方法
EP1175761B1 (en) Ofdm demodulator with phase correction of the i-q signals
KR100480691B1 (ko) 방송수신시스템의복조기와디코더인터페이스장치
JP3578650B2 (ja) キャリア同期回路及び直交復調回路及び混信波除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