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7388B1 -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용 와이어 및 와이어의 마킹장치 - Google Patents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용 와이어 및 와이어의 마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7388B1
KR100727388B1 KR1020050121618A KR20050121618A KR100727388B1 KR 100727388 B1 KR100727388 B1 KR 100727388B1 KR 1020050121618 A KR1020050121618 A KR 1020050121618A KR 20050121618 A KR20050121618 A KR 20050121618A KR 100727388 B1 KR100727388 B1 KR 1007273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marking
unit
socket
fb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1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동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216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73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7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73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42Flyback transfor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36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with distinguishing or length mar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23Wi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용 와이어는, 음극선관용 소켓과 접속하는 단부에 구비되고, 그 외피 일부가 벗겨져 심선이 노출된 탈피부; 탈피부에 근접하고, 음극선관용 소켓 내로 삽입되는 삽입부; 및 삽입부가 음극선관용 소켓 내로 삽입되는 깊이를 결정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플라이백, 트랜스포머, 와이어, 음극선관, 소켓, 탈피, 삽입, 표시

Description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용 와이어 및 와이어의 마킹장치{WIRE FOR FLY BACK TRANSFORMER AND DEVICE FOR MARKING THE WIR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용 와이어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용 와이어가 음극선관의 소켓부에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용 와이어의 마킹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도 3의 화살표Ⅳ를 따라 취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0 :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용 와이어 11 : 탈피부
12 : 삽입부 13 : 표시부
20 : 접속부 50 : 마킹장치
본 발명은 TV모니터의 브라운관 등에 고전압을 공급하는 고전압 발생장치인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플라이백 트랜스포머로부터 인출되어 음극선관(CRT)에 접속되는 와이어 및 이 와이어에 삽입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마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이하,“FBT(Fly Back Transformer)”라함)는 고압을 발생시켜 브라운관 또는 전자총 등에 공급하는 고전압발생장치의 일종으로, 일명 고압트랜스라고도 한다.
이러한 FBT는 애노드(Anode), 포커스(Focus) 및 스크린(Screen) 등과 같은 다양한 부품들이 내장되어 있고, 이러한 각 부품들로부터 와이어 내지는 케이블이 인출되어 음극선관(이하, CRT라 함)에 접속되며, 이러한 CRT는 텔레비전, 프로젝션장치, 프로젝션 텔레비전, 컴퓨터용 모니터 등에 이용되고, 이러한 CRT는 FBT로부터 인출된 와이어가 접속되는 CRT용 소켓을 가진다.
한편, FBT의 각 부품(포커스, 스크린, 애노드 등)으로부터 인출되는 와이어는 그 단부에 외피가 벗겨져 심선이 노출된 탈피부 및 CRT용 소켓에 일정깊이로 삽입되는 삽입부가 구비된다. 이러한 와이어의 탈피부 및 삽입부는 CRT 소켓에 삽입된 후에 탈피부의 심선이 소켓의 접점단자와 접점을 이룸으로써 FBT와 브라운관의 전기적 접속을 도모하게 된다.
하지만, 종래의 FBT용 와이어는 FBT가 각각 적용되는 제품 별로 또는 와이어를 제조하는 제조사 별로, 그 삽입부 및 탈피부의 길이가 전혀 상이한 길이로 설정되어 와이어의 규격에 대한 표준화가 이루어지지 못하였고, 이로 인해 FBT용 와이 어의 삽입작업에 대한 표준화공정이 이루어지지 못하였었다.
또한, 종래의 FBT용 와이어는 그 단부를 소켓부에 밀어넣는 방식으로 삽입하게 됨에 따라 와이어의 삽입작업 후에 그 삽입이 정확하게 이루어졌는지를 작업현장에서 육안으로 쉽게 확인하지 못하였고, 이러한 와이어의 삽입불량은 와이어와 브라운관의 소켓부 사이의 접점불량을 유발하여 생산성 및 품질의 신뢰도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FBT용 와이어의 일측에 삽입위치를 표시함으로써 FBT용 와이어의 삽입부 및 탈피부의 길이에 대한 표준화를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와이어의 삽입불량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FBT용 와이어를 제공하는 데 그 주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FBT용 와이어에 대한 삽입위치를 보다 용이하게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마킹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용 와이어는, 음극선관용 소켓과 접속하는 단부에 구비되고, 그 외피 일부가 벗겨져 심선이 노출된 탈피부;
탈피부에 근접하고, 음극선관용 소켓 내로 삽입되는 삽입부; 및
삽입부가 음극선관용 소켓 내로 삽입되는 깊이를 결정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표시부는 삽입부 및 탈피부의 경계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탈피부, 삽입부 및 표시부는 그 길이가 표준치수로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와이어 마킹장치는,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용 와이어의 탈피부 및 삽입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구비한 지그부재;
지그부재의 측면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이동부재; 및
이동부재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용 와이어에 표시부를 마킹하는 마킹부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마킹부재 및 지그부재의 상호 접촉가능한 부분에는 관통개구가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FBT용 와이어(10)는 CRT의 소켓부(20)와 접속하는 단부에 외피(12a)가 벗겨진 탈피부(11)가 구비되고, 이 탈피부(11)의 후방에는 외피(12a)가 피복된 삽입부(12)가 구비되며, 삽입부(12)의 후방 특정위치에는 표시부(13)가 형성된다.
탈피부(11)는 외피(12a)가 제거됨에 따라 와이어(10)의 심선(11a)이 노출된 상태가 되고, 이 노출된 심선(11a)은 CRT용 소켓의 접속부(20)와 전기적 접속을 형성하게 된다.
삽입부(12)는 탈피부(11)의 후방에 외피(12a)가 피복된 상태이고, 탈피부(11)와 함께 소켓부(20) 내로 삽입됨으로써 탈피부(11)의 심선(11a)이 접속부(20)와 접점을 형성하기 위해 직립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표시부(13)는 삽입부(12)가 소켓의 접속부(20) 내로 삽입되는 도중에 그 삽입깊이를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CRT용 소켓의 접속부(20)는 와이어(10)의 탈피부(11) 및 삽입부(12)가 삽입되는 삽입공(21)을 구비하고, 이 삽입공(21) 내부에는 와이어(10)의 심선(11a)과 전기적 접점을 도모하는 탄력적인 접점단자(25)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와이어(10)는 탈피부(11)가 접속부(20)의 삽입공(21)을 통해 삽입된 후에 접속부(20)의 접점단자(25)와 전기적 접점을 형성하게 된다.
탈피부(11)의 삽입에 뒤따라 삽입부(12)도 소켓부(20)의 삽입공(21) 내에 삽입되고, 이러한 삽입부(12)가 소켓부(20)의 삽입공(21)의 설정된 깊이만큼 완전히 삽입되지 않으면 탈피부(11)의 심선(11a)은 접속부(20)의 접점단자(25)와의 전기적 접점을 정밀하게 형성하지 못할 우려가 있으며, 이로 인해 FBT용 와이어(10)와 CRT용 소켓의 접속부(20) 사이에 접점불량을 초래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와이어(10)는 삽입부(12)의 삽입깊이를 표시부(13)를 통해 그 삽입작업 도중에 육안으로 쉽게 할 수 있고, 이로 인해 그 작업성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접점불량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와이어(10)는 삽입부(12)의 특정위치에 표시부(13)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와이어(10)의 탈피부(11) 및 삽입부(12)의 규격(특히, 길이)에 대해 표준화를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FBT용 와이어의 마킹장치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마킹장치(50)는 지그부재(51), 이동부재(53), 및 마킹부재(55)를 포함한다.
지그부재(51)는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용 와이어(10)의 탈피부(11) 및 삽입부(12)가 삽입되는 삽입홈(51a)을 가지고, 지그부재(51)의 일측에는 삽입홈(51a)과 직교하는 관통개구(52)가 형성된다.
이동부재(53)는 가이드부재(53a)에 의해 지그부재(51)를 향해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가이드부재(53a)는 베이스(54)에 소정높이로 지지된다.
이동부재(53)는 그 일측 내부에 마킹부재(55)가 삽입되는 장착공(53b)이 형성되고, 마킹부재(55)는 이동부재(53)의 장착공(53b)에 장착된 후에 고정나사(53c)의 조임작동에 의해 고정된다.
도 3 및 도 4에 적용된 마킹부재(55)는 유성 또는 수성 마킹펜이 적용되었지 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스크라이버 또는 그외 다양한 마킹도구가 적용가능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마킹장치에 의한 작동관계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지그부재(51)의 삽입홈(51a) 내에 와이어(10)의 탈피부(11) 및 삽입부(12)를 삽입하고, 이동부재(53)의 장착공(53b)에 마킹부재(55)를 삽입한 후에 고정나사(53c)를 조여줌으로써 마킹부재(55)를 이동부재(53)에 고정시킨다.
이렇게 마킹부재(55)가 이동부재(53)에 고정된 상태에서 가이드부재(53a)를 이용하여 이동부재(53)를 지그부재(51)를 향해 이동시켜, 마킹부재(55)의 마킹부(55a)가 지그부재(51)의 관통개구(52) 내로 인입되어 와이어(10)의 삽입부(12) 일측과 접촉되도록 한다.
그런 다음에, 지그부재(51)에 삽입된 와이어(10)를 돌리면 마킹부재(55)의 마킹작동에 의해 와이어(10)의 삽입부(12) 특정위치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표시부(13)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FBT용 와이어의 일측에 삽입위치를 표시함으로써 FBT용 와이어의 삽입부 및 탈피부의 길이에 대한 표준화를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와이어의 삽입불량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 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와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수정과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5)

  1. 음극선관용 소켓과 접속하는 단부에 구비되고, 그 외피 일부가 벗겨져 심선이 노출된 탈피부;
    상기 탈피부에 근접하고, 상기 음극선관용 소켓 내로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가 음극선관용 소켓 내로 삽입되는 깊이를 결정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용 와이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삽입부 및 탈피부의 경계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용 와이어.
  3. 삭제
  4.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용 와이어의 탈피부 및 삽입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구비한 지그부재;
    상기 지그부재의 측면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이동부재; 및
    상기 이동부재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플라이백 트랜스용 와이어에 표시부 를 마킹하는 마킹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의 마킹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마킹부재 및 지그부재의 상호 접촉가능한 부분에는 관통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의 마킹장치.
KR1020050121618A 2005-12-12 2005-12-12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용 와이어 및 와이어의 마킹장치 KR1007273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1618A KR100727388B1 (ko) 2005-12-12 2005-12-12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용 와이어 및 와이어의 마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1618A KR100727388B1 (ko) 2005-12-12 2005-12-12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용 와이어 및 와이어의 마킹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7388B1 true KR100727388B1 (ko) 2007-06-12

Family

ID=38359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1618A KR100727388B1 (ko) 2005-12-12 2005-12-12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용 와이어 및 와이어의 마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738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45413A (ja) * 1990-02-21 1991-11-01 Yamaha Corp 被覆線材およびその使用方法
JPH05114425A (ja) * 1991-10-23 1993-05-07 Tokyo Electric Co Ltd 電線接続装置
JP2003229225A (ja) 2002-01-31 2003-08-15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への電線接続検査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45413A (ja) * 1990-02-21 1991-11-01 Yamaha Corp 被覆線材およびその使用方法
JPH05114425A (ja) * 1991-10-23 1993-05-07 Tokyo Electric Co Ltd 電線接続装置
JP2003229225A (ja) 2002-01-31 2003-08-15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への電線接続検査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146840A (ja) 端子圧着装置
KR100727388B1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용 와이어 및 와이어의 마킹장치
EP2200132A1 (en) Cable attaching method, method of manufacturing coaxial cable to which connector cover is attached, coaxial cable to which connector cover is attached
KR100562197B1 (ko) 플라이백트랜스
US7448910B2 (en) Displaying apparatus
JP3326389B2 (ja) 接続端子並びに該接続端子を具えた接続機器及び電気機器
US6188303B1 (en) Flyback transformer
KR0128579Y1 (ko) 플라이 백 트랜스 포머의 포커스 유니트 리드선 결합장치
KR100415574B1 (ko) 개선된 형상의 케이블 인입부를 갖는 분리형 플라이 백트랜스포머의 분배기
KR200153882Y1 (ko) 플라이 백 트랜스포머의 포커스유니트 고압 연결부의 절연구조
KR950002664Y1 (ko) 음극선관 검사장치용 전원연결장치
KR0135046Y1 (ko)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의 포커스 유니트 결합구조
JPH09129292A (ja) 高圧コネクタ
JPH06168680A (ja) 受像管に装着するアノードキャップアセンブリとその組立方法
JP3064719U (ja) フライバックトランス
JP2000232723A (ja) シグナルケーブルの接地装置
JPH08236375A (ja) フライバックトランス
KR200145823Y1 (ko) 음극선관 컨넥터의 케이블고정장치
JPH09320871A (ja) フライバックトランス
JP4530282B2 (ja) ケーブル接続方法
KR100340422B1 (ko) 플라이 백 트랜스포머의 고압 케이블 결합장치
KR0125410Y1 (ko) 플라이백 트랜스의 고압콘덴서 접지단자 결합구조
JP2006332489A (ja) フライバックトランス
KR200153885Y1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애노드 케이블 결합장치
JPH11345729A (ja) フライバックトラン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