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4225B1 - 열교환기 - Google Patents

열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4225B1
KR100724225B1 KR1020057022938A KR20057022938A KR100724225B1 KR 100724225 B1 KR100724225 B1 KR 100724225B1 KR 1020057022938 A KR1020057022938 A KR 1020057022938A KR 20057022938 A KR20057022938 A KR 20057022938A KR 100724225 B1 KR100724225 B1 KR 1007242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heat conduction
plate
outer circumferential
ri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2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5326A (ko
Inventor
히로시 시바타
다쿠야 무라야마
Original Assignee
마쓰시타 에코시스테무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쓰시타 에코시스테무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쓰시타 에코시스테무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57022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4225B1/ko
Publication of KR20060015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53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4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42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3/00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Assemblies of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28F3/08Elements constructed for building-up into stacks, e.g. capable of being taken apart for clea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9/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3/00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Assemblies of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경량이고, 리사이클성이 양호하며, 또한 접착제를 이용하지 않고 풍로의 밀봉성이 높은 열교환기가 제공된다. 이 열교환기는 폴리스티렌 시트의 진공 성형에 의해 열전도면, 풍로 리브, 풍로 단면, 홈 A, 돌기, 외주 리브 A, 외주 리브 B, 풍로 단면 커버, 홈 B를 일체 성형한 열전도판 A 및 열전도판 B를 교대로 적층함으로써 구성되고, 홈 A와 홈 B가 밀접하고, 외주 리브 A 및 외주 리브 B의 상면이 열전도판과 밀접하며, 돌기가 외주 리브 B 및 홈 B과 밀접하고, 풍로 단면이 외주 리브 B와 맞닿고, 풍로 단면 커버가 외주 리브 A 및 외주 리브 B의 단면과 맞닿고, 외주 리브 A의 측면끼리가 맞닿는다.

Description

열교환기{HEAT EXCHANGER}
본 발명은 열교환 환기 장치, 또는 그 밖의 공기 조화 장치에 이용되고, 다수의 열전도판을 교대로 적층하여 풍로 A 및 풍로 B를 교대로 형성하는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은 종래 이 종류의 대향류 방식의 열교환기로서,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8-75385호 공보에 기재된 것을 제안하였다.
이하, 그 열교환기에 관해서 도 44, 도 45 및 도 4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4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종이 등으로 이루어지는 평판형의 플레이트(101)의 한 면에 평행 풍로를 형성하기 위해서 풍로의 출입구 근방에 거의 동일 각도로 사교(斜交)한 단부 리브(102a)가 설치되고, 중앙 부분에는 대향류 부분을 형성하기 위해서 단부 리브(102a)와 연결하는 중앙 리브(102b)가 설치되며, 단부 리브(102a)와 중앙 리브(102b)에 의해 거의 S자형의 리브(10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플레이트(101)의 이면에도 표면에 설치된 S자형 리브(102)와 마찬가지로, 단부 리브(103a) 및 중앙 리브(103b)로 이루어지는 거의 S자형의 리브(103)가, 표면의 단부 리브(102a)에 대하여 이면의 단부 리브(103a)가 사교하도록 설치되고, 표면에 설치된 중앙 리브(102b)와 이면에 설치되는 중앙 리브(102b)가 교차하도록 설치되고, S자형의 리브(102 및 103)를 수지에 의해 일체 성형한 단위 부재(104)가 구성된다.
그리고, 단위 부재(104)와 단위 부재(104) 사이에 일정 치수로 절단된 종이 등으로 이루어지는 절단 플레이트(105)를 삽입하고, 풍로 A와 풍로 B가 교대로 형성되도록 적층하여 열교환기가 형성되며, 풍로 A를 흐르는 유체와 풍로 B를 흐르는 유체는 플레이트(101) 및 절단 플레이트(105)를 통해 열교환이 행해진다.
또한, 이 종류의 열교환기를 탑재하는 기기로의 착탈 시 및 열교환기의 운반 시에 사용하는 손잡이(106)의 부착 구조는, 예컨대 도 4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적층 방향의 양 단면의 적어도 한 쪽의 단면에 별개의 부재로서 설치되어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종래의 열교환기로는, 단위 부재(104)의 플레이트(101) 이외의 리브가 중실이기 때문에 중량이 무겁고 재료 비용이 비싸다는 과제가 있다.
또한, 종이 등으로 이루어지는 플레이트(101)와 리브가 수지에 의해 일체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리사이클을 행할 때 복수의 재료의 분별이 곤란하고, 리사이클성이 낮다는 과제가 있다.
또한, 플레이트(101) 및 절단 플레이트(105)의 절단 치수 정밀도 불량, 위치 어긋남 등에 의해 풍로 A와 풍로 B의 밀봉성이 저하된다는 과제가 있다.
또한, 단위 부재(104)와 절단 플레이트(105)를 교대로 적층할 때, 절단 플레이트(105)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기 위해서 단위 부재(104)와 절단 플레이트(105)의 위치 결정을 하면서 적층하는 작업이 곤란하고, 생산 효율이 낮다는 과제가 있 다.
또한, 손잡이(106)가 열전도판의 적층 방향의 단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열교환기의 착탈 방향이 적층 방향이 되도록 열교환기를 탑재하는 기기를 설계할 필요가 있고, 열교환기를 탑재하는 기기의 설계의 자유도가 낮다는 과제가 있다.
또한, 중앙 부분에서 풍로 A를 흐르는 유체와 풍로 B를 흐르는 유체가 대향류가 되기 때문에, 동등 열전도 면적을 갖는 직교 혹은 사교하는 풍로만으로 구성된 열교환기보다도 열교환 효율은 향상하고 있지만, 아직 열교환 효율이 부족하다는 과제가 있다.
열교환기는 열전도판 A와 열전도판 B를 구비하고, 상기 열전도판 A는 대략 S자형으로서 중공 돌출형으로 형성한 풍로 리브를 대략 평행하게 대략 등간격으로 복수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풍로 리브에 의해 대략 S자형의 복수의 풍로 및 열전도면이 형성되고, 상기 열전도판 A의 상기 풍로의 입구와 출구에 풍로 단면을 설치하고, 상기 풍로 단면은 상기 풍로의 입구 및 출구 방향에 대하여 사교 혹은 직교하여 설치되고 상기 풍로 리브의 돌출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상기 열전도면을 절곡하여 설치되며, 상기 풍로 단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상기 열전도판 A에 홈 A을 설치하고, 상기 복수의 풍로 리브의 연장선상이고 상기 홈 A와 상기 풍로 단면 사이의 열전도면에 상기 풍로 단면과 근접하여 상기 풍로 리브의 돌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중공 돌출형의 복수의 돌기를 설치하고, 상기 복수의 돌기는 상기 풍로 단면과 대략 평행을 이루는 한 쌍의 측면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돌기는 상기 복수의 풍로 리브의 돌출 방향의 높이보다도 높은 형상을 이루고, 상기 풍로의 입구와 출구 이외의 상기 열전도판의 외주 가장자리부로서 상기 풍로의 입구와 출구에 인접하는 한 쪽의 대향하는 한 쌍의 외주 가장자리부 A를 상기 대략 S자형의 복수의 풍로 리브의 대략 중앙부와 대략 평행하게 설치하고, 상기 풍로의 입구와 출구에 인접하는 다른 쪽의 대향하는 한 쌍의 외주 가장자리부 B를 상기 대략 S자형의 복수의 풍로의 입구 또는 출구 부분의 상기 풍로 리브에 대략 평행하게 설치하고, 상기 외주 가장자리부 A는 상기 풍로 리브의 돌출 방향과 동일한 방향에 상기 열전도면을 중공 돌출형으로 형성한 외주 리브 A를 구비하고, 상기 외주 리브 A의 돌출 방향의 높이는 상기 풍로 리브의 돌출 방향의 높이보다 높은 형상을 이루고, 상기 외주 리브 A의 외측 측면은 그 되돌림 치수가 상기 열전도면에 대한 상기 외주 리브 A의 돌출 방향의 높이의 치수보다도 큰 치수를 갖도록 상기 풍로 리브의 돌출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되돌려지고, 상기 외주 가장자리부 B는 상기 풍로 리브의 돌출 방향과 동일한 방향에 상기 열전도면을 중공 돌출형으로 형성한 외주 리브 B를 구비하고, 상기 외주 리브 B의 돌출 방향의 높이는 상기 풍로 리브의 돌출 방향의 높이와 동일하게 이루어지고, 상기 외주 리브 B의 외측 측면에 개구부가 설치되도록 상기 외주 리브 B의 외측 측면의 중앙부는 상기 열전도면과 동일면까지 되돌려지고, 상기 외주 리브 B의 외측 측면의 양단에는 상기 풍로 단면의 되돌림 위치와 동일 위치까지 되돌려진 풍로 단면 커버를 설치하고, 상기 외주 리브 B의 상면에 홈 B를 구비하고, 상기 홈 B는 상기 외주 리브 B의 측면과 상기 홈 B의 중심선과의 거리가 상기 홈 A의 중심선과 상기 풍로 단면과의 거리와 동일한 위치에, 상기 홈 A의 길이 방향의 외면이 상기 홈 B의 길이 방향의 내면과 밀접하는 형상으로 상기 열전도면과 동일면까지 요입(凹入)되어 있고, 상기 열전도판 B는 상기 열전도판 A와 거울상 관계를 이루며, 상기 열전도판 B의 형상 중 상기 열전도판 B의 외주 리브 A의 돌출 방향의 높이를 상기 풍로 리브의 돌출 방향의 높이와 동일하게 하고, 또한 상기 열전도판 B의 상기 외주 리브 A의 폭을 상기 열전도판 A에 구비된 상기 외주 리브 A의 폭보다도 넓은 형상을 이루는 형상으로 하고, 상기 열전도판 A 및 상기 열전도판 B를 각각 1장의 시트를 소재로 하여 일체 성형하고, 상기 열전도판 A의 상기 외주 리브 A와 상기 열전도판 B의 상기 외주 리브 A가 중합되도록 상기 열전도판 A와 상기 열전도판 B를 교대로 적층하며, 상기 열전도판 A와 상기 열전도판 B의 적층에 의해 풍로 A 및 풍로 B가 교대로 형성되는 열교환기이고, 상기 열전도판 A와 상기 열전도판 B가 교대로 적층될 때, 상기 풍로 리브, 상기 돌기, 상기 외주 리브 A 및 상기 외주 리브 B의 상면이 위쪽에 적층되는 열전도판과 맞닿고, 상기 홈 B가 상기 홈 B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열전도판에 설치된 상기 외주 리브 B의 상면과 맞닿으며, 상기 돌기에 설치된 상기 풍로 단면과 평행을 이루는 한 쌍의 측면이 상기 돌기의 위쪽에 적층되는 열전도판에 설치된 상기 외주 리브 B의 내측 측면 및 상기 홈 B의 측면의 적어도 한 쪽과 맞닿고, 상기 풍로 단면과 상기 풍로 단면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열전도판에 설치된 상기 외주 리브 B의 외측 측면이 맞닿고, 상기 열전도판 A 및 상기 열전도판 B 각각에 설치된 상기 외주 리브 A의 측면끼리가 맞닿고, 상기 풍로 단면 커버와 상기 풍로 단면 커버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열전도판에 설치된 상기 외주 리브 A 및 상기 외주 리브 B의 단면이 맞닿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열교환기의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동 적층 상태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3은 동 적층 상태의 측면 부분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4는 동 적층 상태의 풍로 출입구 부분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5는 동 적층 상태의 풍로 출입구가 인접하는 코너 부분의 개략 상면 투시도이다.
도 6은 동 적층 상태의 풍로 출입구가 인접하는 코너 부분의 개략 정면 투시도이다.
도 7은 동 적층 상태의 풍로 출입구가 인접하는 코너 부분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 8은 동 적층 상태의 측면측의 풍로 출입구 부분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열교환기의 열전도판의 진공 성형 금형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10은 동 열전도판의 개략 확대 사시도이다.
도 11은 동 열전도판의 풍로 개구부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12는 동 열전도판의 절단 방법 개략 사시도이다.
도 13은 동 열전도판의 풍로 개구부의 절단 위치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열교환기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15는 동 열용착 장치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열교환기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17은 동 열용착 장치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의 열교환기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19는 동 열용착 장치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 6의 열용착 장치의 제1 공정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21은 동 열용착 장치의 제1 공정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 7의 열용착 장치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 8의 열교환기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24는 동 열교환기의 개략 분해도이다.
도 25는 동 열교환기의 다른 형태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26은 동 열교환기의 개략 분해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예 9의 열교환기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28은 동 열교환기의 개략 분해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예 10의 열교환기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30은 동 열교환기의 개략 분해도이다.
도 31은 동 열교환기의 다른 형태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32는 동 열교환기의 개략 분해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1의 열교환기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34는 동 열교환기의 개략 분해도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2의 열교환기의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도 36은 동 적층 상태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37은 동 적층 상태의 측면 부분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38은 동 열교환기의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도 39는 동 적층 상태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40은 본 발명의 실시예 13의 열교환기의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도 41은 동 적층 상태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4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4의 열교환기의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도 43은 동 적층 상태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44는 종래의 열교환기의 단위 부재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45는 동 적층 상태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46은 동 적층 시의 개략 분해도이다.
도 47은 동 손잡이를 구비한 상태의 개략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전술과 같은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중량의 경량화, 재료 비용의 저감, 리사이클성의 향상, 밀봉성이 높은 구조, 생산 효율의 향상, 착탈 방향에 자유도가 있는 구조,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열교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열전도판 A와 열전도판 B를 구비하고, 상기 열전도판 A는 대략 S자형으로서 중공 돌출형으로 형성한 풍로 리브를 대략 평행하게 대략 등간격으로 복수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풍로 리브에 의해 대략 S자형의 복수의 풍로 및 열전 도면이 형성되며, 상기 열전도판 A의 상기 풍로의 입구와 출구에 풍로 단면을 설치하고, 상기 풍로 단면은 상기 풍로의 입구 및 출구 방향에 대하여 사교 혹은 직교하여 설치되고, 상기 풍로 리브의 돌출 방향과는 역방향에 상기 열전도면을 절곡하여 설치되고, 상기 풍로 단면에 대해서 평행하게 상기 열전도판 A에 홈 A를 설치하고, 상기 복수의 풍로 리브의 연장선상이고 상기 홈 A와 상기 풍로 단면 사이의 열전도면에 상기 풍로 단면과 근접하여 상기 풍로 리브의 돌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중공 돌출형의 복수의 돌기를 설치하고, 상기 복수의 돌기는 상기 풍로 단면과 대략 평행을 이루는 한 쌍의 측면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돌기는 상기 복수의 풍로 리브의 돌출 방향의 높이보다도 높은 형상을 이루고, 상기 풍로의 입구와 출구 이외의 상기 열전도판의 외주 가장자리부로서 상기 풍로의 입구와 출구에 인접하는 한 쪽의 대향하는 한 쌍의 외주 가장자리부 A를 상기 대략 S자형의 복수의 풍로 리브의 대략 중앙부와 대략 평행하게 설치하며, 상기 풍로의 입구와 출구에 인접하는 다른 쪽의 대향하는 한 쌍의 외주 가장자리부 B를 상기 대략 S자형의 복수의 풍로의 입구 또는 출구 부분의 상기 풍로 리브에 대략 평행하게 설치하고, 상기 외주 가장자리부 A는 상기 풍로 리브의 돌출 방향과 동일한 방향에 상기 열전도면을 중공 돌출형으로 형성한 외주 리브 A를 구비하고, 상기 외주 리브 A의 돌출 방향의 높이는 상기 풍로 리브의 돌출 방향의 높이보다 높은 형상을 이루고, 상기 외주 리브 A의 외측 측면은 그 되돌림 치수가 상기 열전도면에 대한 상기 외주 리브 A의 돌출 방향의 높이의 치수보다도 큰 치수를 갖도록 상기 풍로 리브의 돌출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되돌려지고, 상기 외주 가장자리부 B는 상기 풍로 리브의 돌출 방향과 동일한 방향에 상기 열전도면을 중공 돌출형으로 형성한 외주 리브 B를 구비하며, 상기 외주 리브 B의 돌출 방향의 높이는 상기 풍로 리브의 돌출 방향의 높이와 동일하게 이루어지고, 상기 외주 리브 B의 외측 측면에 개구부가 설치되도록 상기 외주 리브 B의 외측 측면의 중앙부는 상기 열전도면과 동일면까지 되돌려지고, 상기 외주 리브 B의 외측 측면의 양단에는 상기 풍로 단면의 되돌림 위치와 동일 위치까지 되돌려진 풍로 단면 커버를 설치하며, 상기 외주 리브 B의 표면에 홈 B를 구비하고, 상기 홈 B는 상기 외주 리브 B의 측면과 상기 홈 B의 중심선과의 거리가 상기 홈 A의 중심선과 상기 풍로 단면과의 거리와 동일한 위치에, 상기 홈 A의 길이 방향의 외면이 상기 홈 B의 길이 방향의 내면과 밀접하는 형상으로 상기 열전도면과 동일면까지 요입되어 있고, 상기 열전도판 B는 상기 열전도판 A와 거울상 관계를 이루고, 상기 열전도판 B의 형상 중 상기 열전도판 B의 외주 리브 A의 돌출 방향의 높이를 상기 풍로 리브의 돌출 방향의 높이와 동일하게 하며, 또한 상기 열전도판 B의 상기 외주 리브 A의 폭을 상기 열전도판 A에 구비된 상기 외주 리브 A의 폭보다도 넓은 형상을 이루는 형상으로 하고, 상기 열전도판 A 및 상기 열전도판 B를 각각 1장의 시트를 소재로 하여 일체 성형하고, 상기 열전도판 A의 상기 외주 리브 A와 상기 열전도판 B의 상기 외주 리브 A가 중합되도록 상기 열전도판 A와 상기 열전도판 B를 교대로 적층하고, 상기 열전도판 A와 상기 열전도판 B의 적층에 의해 풍로 A 및 풍로 B가 교대로 형성되는 열교환기이며, 상기 열전도판 A와 상기 열전도판 B가 교대로 적층될 때, 상기 풍로 리브, 상기 돌기, 상기 외주 리브 A 및 상기 외주 리브 B의 상면이 위쪽에 적층되는 열전도판과 맞닿고, 상기 홈 B가 상기 홈 B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열전도판에 설치된 상기 외주 리브 B의 상면과 맞닿고, 상기 돌기에 설치된 상기 풍로 단면과 평행을 이루는 한 쌍의 측면이 상기 돌기의 위쪽에 적층되는 열전도판에 설치된 상기 외주 리브 B의 내측 측면 및 상기 홈 B의 측면의 적어도 한 쪽과 맞닿고, 상기 풍로 단면과 상기 풍로 단면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열전도판에 설치된 상기 외주 리브 B의 외측 측면이 맞닿고, 상기 열전도판 A 및 상기 열전도판 B 각각에 설치된 상기 외주 리브 A의 측면끼리가 맞닿고, 상기 풍로 단면 커버와 상기 풍로 단면 커버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열전도판에 설치된 상기 외주 리브 A 및 상기 외주 리브 B의 단면이 맞닿도록 구성된 것으로, 상기 열전도판 A와 상기 열전도판 B를 교대로 적층할 때, 인접하는 열전도판의 상기 홈 A의 외면과 상기 홈 B의 내면이 밀접하고, 상기 외주 리브 A의 상면 및 상기 외주 리브 B의 상면이 위쪽에 적층되는 열전도판과 밀접하며, 상기 풍로 단면과 아래쪽에 위치하는 열전도판에 설치된 외주 리브 B의 외측 측면이 맞닿고, 인접하는 열전도판에 설치된 상기 외주 리브 A의 측면끼리가 맞닿으며, 상기 풍로 단면 커버와 아래쪽에 위치하는 열전도판에 설치된 상기 외주 리브 A 및 상기 외주 리브 B의 단면이 맞닿음으로써, 상기 풍로 A 및 상기 풍로 B의 외주부에서의 밀봉이 행해지고, 상기 풍로 A 및 상기 풍로 B의 출입구에 설치된 상기 돌기가 위쪽에 적층되는 열전도판에 형성된 외주 리브 B의 이면과 맞닿음으로써, 상기 돌기의 위쪽에 적층되는 열전도판에 형성된 외주 리브 B와 또한 그 위쪽에 적층되는 열전도판에 형성된 열전도면의 밀봉성이 향상되고, 상기 풍로 출입구에 설치된 상기 홈 A가 풍로 출입구부의 열전도판을 보강하며, 상기 외주 리브 B의 상면에 설치된 상기 홈 B는 상기 외주 리브 B를 보강함으로써 상기 외주 리브 B의 상면과 위쪽에 적층된 열전도판의 밀접 시의 변형을 억제하여 밀봉성을 향상시키고, 인접하는 열전도판에 설치된 상기 외주 리브 B가 교차하는 위치에 있어서, 위쪽에 적층된 열전도판에 설치된 상기 홈 B가 아래쪽에 위치하는 열전도판에 설치된 외주 리브 B의 상면과 맞닿음으로써, 적층 방향의 변형이 억제되어 변형에 기인하는 밀봉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인접하는 열전도판의 상기 홈 A의 외면과 상기 홈 B의 내면이 밀접하고, 상기 풍로 단면과 아래쪽에 위치하는 열전도판에 설치된 외주 리브 B의 외측 측면이 맞닿고, 인접하는 열전도판에 설치된 상기 외주 리브 A의 측면끼리가 맞닿고, 상기 풍로 단면 커버와 아래쪽에 위치하는 열전도판에 설치된 상기 외주 리브 A 및 상기 외주 리브 B의 단면이 맞닿고, 상기 돌기에 설치된 상기 풍로 단면과 평행을 이루는 한 쌍의 측면이 위쪽에 적층되는 열전도판에 설치된 외주 리브 B의 내측 측면 및 상기 홈 B의 측면의 적어도 한 쪽과 맞닿음으로써 적층된 열전도판의 위치 어긋남이 억제되고, 위치 어긋남에 기인하는 상기 풍로 A 및 상기 풍로 B의 밀봉성의 저하가 방지되며, 상기 열전도판의 적층 작업 시의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상기 풍로 리브, 상기 외주 리브 A, 상기 외주 리브 B 및 상기 돌기를 1장의 시트를 중공 돌출형으로 성형함으로써 경량 또한 재료 투입량을 저감시킬 수 있고, 열전도판이 시트재인 단일 재료에 의해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리사이클성이 향상되고, 상기 풍로 리브의 내면으로도 유체가 흐르고 풍로 리브에서도 열교환이 행해짐으로써 열교환 효율이 향상된다는 작용을 갖는다.
또한, 시트재로서 열가소성 수지 시트를 이용한 것으로, 성형을 단시간에 용 이하게 행할 수 있다는 열가소성 수지의 특징에 의해 생산 효율이 향상된다는 작용을 갖는다.
또한, 시트재로서 스티렌계 수지 시트를 이용한 것으로, 스티렌계 수지의 점성의 세기에 의해 적층 시의 인접하는 열전도판의 밀접, 맞닿음 부분의 강도가 확보되어 밀봉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작업성이 좋고 생산 효율이 향상된다는 작용을 갖는다.
또한, 시트재로서 폴리스티렌 시트를 이용한 것으로, 재료 비용이 싸고, 수축이 작으며 치수 안정성이 양호하고 성형품의 치수 정밀도가 높고, 풍로의 밀봉성이 향상되며 성형성이 양호하고 생산 효율이 향상된다는 작용을 갖는다.
또한, 열전도판 A 및 열전도판 B를 일체 성형할 때에, 외주 리브 B의 외측 측면과 연속하고, 또한 그 단면 형상이 상기 외주 리브 B의 외측 측면에 형성되는 개구부와 동일한 직사각형부를 구비한 성형틀에 의해 성형 가공을 행하고, 성형 가공된 후, 상기 열전도판 A 및 상기 열전도판 B의 외측 측면을 따라 상기 직사각형부에 의해 형성된 부분 및 상기 열전도판 A 및 상기 열전도판 B 이외의 시트 부분을 절단함으로써 상기 열전도판 A 및 상기 열전도판 B를 제조한 것이고, 열전도판의 외주가 소정의 치수로 절단되는 동시에 외주 리브 B의 측면에 설치되는 풍로 출입구의 개구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외주 리브 B의 측면부를 상기 외주 리브 B의 측면부의 양단에 구비되는 풍로 단면 커버의 되돌림 위치까지 성형한 후, 상기 외주 리브 B의 측면부의 중앙부를 절단하여 상기 출입구의 개구부를 형성하는 작업 공정에 비교해서 생산성이 높다는 작용을 갖는다.
또한, 열전도판 A 및 열전도판 B의 적어도 2개의 각부에서 인접하는 열전도판의 외측 측면에 형성된 풍로 단면 커버, 외주 리브 B, 외주 리브 A 및 풍로 단면이 중합되는 부분이 적층 방향에 전장에 걸쳐 열용착되어 있는 것으로, 적층된 인접하는 열전도판의 풍로 단면 커버와 외주 리브 A의 단면, 풍로 단면 커버와 외주 리브 B의 단면, 풍로 단면과 외주 리브 B의 측면 및 외주 리브 A의 측면끼리가 열용착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열전도판의 위치 어긋남에 기인하는 풍로의 밀봉성의 저하가 방지되고 밀봉성이 향상된다는 작용을 갖는다.
또한, 풍로 A 및 풍로 B의 출입구가 형성되는 면에서 인접하는 열전도판의 외측 측면에 형성된 풍로 단면 커버, 외주 리브 A, 외주 리브 B 및 풍로 단면이 중합되는 부분이 전면에 걸쳐 열용착되어 있는 것으로, 적층된 인접하는 열전도판의 풍로 단면과 외주 리브 A의 측면, 풍로 단면 커버와 외주 리브 A의 측면 및 풍로 단면 커버와 외주 리브 B의 단면이 열용착됨으로써 한 쪽의 풍로의 출입구부에 면하고 있는 다른 쪽의 풍로의 외주 리브 B의 외측 측면이 밀봉되고, 또한 열전도판의 위치 어긋남이 억제되어 풍로의 밀봉성이 향상된다는 작용을 갖는다.
또한, 인접하는 열전도판의 외측 측면이 중합되는 부분이 전면에 걸쳐 열용착되어 있는 것으로, 적층된 인접하는 열전도판의 풍로 단면과 외주 리브 A의 측면, 풍로 단면 커버와 외주 리브 A의 측면 및 풍로 단면 커버와 외주 리브 B의 단면이 열용착됨으로써, 한 쪽의 풍로의 출입구부에 면하고 있는 다른 쪽의 풍로의 외주 리브 B의 외측 측면이 밀봉되고, 또한 적층된 인접하는 열전도판의 외주 리브 A의 외측 측면이 열용착됨으로써 풍로의 모든 외측 측면이 밀봉되고, 또한 열전도 판의 위치 어긋남이 억제되어 풍로의 밀봉성이 향상된다는 작용을 갖는다.
또한, 열교환기의 외측 측면의 인접하는 부분을 열용착할 때, 상기 열교환기의 외측 측면의 인접하는 부분의 형상에 합치한 형상의 열용착면을 갖는 열용착 수단에 의해, 상기 열교환기의 외측 측면의 인접하는 부분이 동시에 열용착되는 것으로, 동일 평면형에 없는 인접하는 열용착 개소를 동시에 열용착함으로써 생산 효율이 향상된다는 작용을 갖는다.
또한, 열교환기의 외측 측면의 인접하는 면을 열용착할 때, 열용착을 행하는 각각의 면과 거의 동일형상의 열용착 수단을 열용착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열교환기의 외측 측면이 열용착되는 것으로, 상기 열용착 수단을 열용착을 행하는 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가압함으로써 열용착을 행할 때의 열전도판의 외측 측면이 중합되는 부분의 밀착성이 향상되어 밀봉성이 향상된다는 작용을 갖는다.
또한, 열용착면이 원통형을 이루는 열용착 수단에 의해, 상기 열용착 수단의 열용착면을 열교환기로 가압하면서 열전도판의 적층 방향을 따라서 위쪽으로부터 아래쪽으로 회전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열교환기의 외측 측면이 열용착되는 것으로, 상기 열용착 수단이 적층 방향을 따라서 위쪽으로부터 아래쪽으로 회전 이동하기 때문에, 상기 열용착 수단의 회전 방향과 열전도판의 외주 측면의 되돌림 방향이 동일한 방향이 되기 때문에 상기 열전도판의 외주 측면의 열용착시에서의 되접힘, 절곡 등의 발생이 방지되고, 또한 상기 열전도판의 외측 측면이 중합됨으로써 생기는 상기 열전도판의 외측 측면의 절단부와 아래쪽에 위치하는 열전도판의 외주 측 면의 단차의 방향이 열용착 수단과 대략 평행해지기 때문에 상기 열전도판의 외측 측면의 단차에 의한 열용착 불량이 방지되어 밀봉성이 높은 열교환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열전도판 A 및 열전도판 B를 교대로 적층한 적층 방향의 양 단면에 각각 대향하도록 상기 제1 단면 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제1 단면 부재는 외주 가장자리부에 적층된 상기 열전도판 A 및 상기 열전도판 B의 외측 측면을 덮는 측면판을 구비하며, 상기 적층된 열전도판의 외주 리브 A의 외측 측면에 양단이 상기 제1 단면 부재와 결합하는 지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단면 부재와 상기 양 단면에 위치하는 열전도판 사이에 개재하는 탄성체를 구비하며, 상기 탄성체는 양 단면에 위치하는 상기 열전도판의 적어도 외주 가장자리부를 가압하는 형상을 이루고, 상기 제1 단면 부재 또는 상기 지지 부재의 적어도 한 쪽에는 손잡이가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열전도판의 적층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 혹은 적층 방향에 손잡이가 설치됨으로써, 적층 방향 혹은 적층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에서 기기로 착탈 가능해지고, 열교환기를 탑재하는 기기로의 착탈 방향의 방향성이 확대되며, 상기 측면판이 열전도판의 외측 측면을 덮는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 단면 부재와 양단에 위치하는 열전도판과의 사이로의 유체의 유입이 억제되고, 상기 탄성체가 상기 양 단면에 위치하는 열전도판의 적어도 외주 가장자리부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제1 단면 부재와 양단에 위치하는 열전도판 사이가 밀봉되고, 또한 상기 측면판이 열전도판의 외측 측면을 덮는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그 위치 맞춤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작용을 갖는다.
또한, 제1 단면 부재와 지지 부재는 상기 지지 부재 중 하나가 분단되도록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적층된 열전도판에 일체로 형성된 상기 제1 단면 부재와 상기 지지 부재를 부착한 후, 상기 분단된 지지 부재의 분단 부분이 결합된 것으로, 적층된 열전도판의 단면에 탄성체를 통해 상기 제1 단면 부재를 배치하고, 적층된 열전도판의 외주 리브 A의 외측 측면에 상기 지지 부재를 배치한 후, 상기 제1 단면 부재와 상기 지지 부재의 결합 작업이 상기 분단된 지지 부재의 분단 부분의 결합 작업만으로 행해진다는 작용을 갖는다.
또한, 열전도판 A 및 열전도판 B를 교대로 적층한 양 단면에 위치하는 열전도판에 점착되는 제2 단면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단면 부재는 적어도 상기 열전도판 A 또는 상기 열전도판 B의 외주 가장자리부와 동일형상으로 성형된 탄성체로 이루어지고, 외주 리브 A의 외측 측면의 적어도 한 면을 따라 띠형 손잡이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띠형 손잡이 부재가 상기 제2 단면 부재에 의해 양 단면에 위치하는 열전도판에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제2 단면 부재를 적층한 열전도판의 양 단면에 위치하는 열전도판에 점착하는 작업과 띠형 손잡이 부재의 고정 작업이 동시에 행해지고, 또한 상기 제2 단면 부재가 탄성체로 이루어짐으로써 기기 탑재 시에 상기 제2 단면 부재가 적층 방향에 가압되고, 기기 탑재 시의 상기 열교환기 단면에서의 밀봉을 행하며, 상기 적층된 열전도판의 외주 리브 A의 외측 측면의 적어도 한 면을 따라 띠형 손잡이 부재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외주 리브 A의 측면 방향에 상기 열교환기의 착탈이 가능해진다는 작용을 갖는다.
또한, 열전도판 A 및 열전도판 B를 교대로 적층한 양 단면에 위치하는 열전 도판에 점착되는 제2 단면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단면 부재는 적어도 상기 열전도판 A 또는 상기 열전도판 B의 외주 가장자리부와 동일형상으로 성형된 탄성체로 이루어지고, 띠형 손잡이 부재를 외주 리브 A의 외측 측면을 따라 구비하며, 상기 띠형 손잡이 부재를 적층된 열전도판의 적층 방향의 한 쪽의 단면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면 부재에 의해 단면에 위치하는 열전도판에 고정하고, 타단에 있어서는 상기 제2 단면 부재의 외측에 배치한 것으로, 상기 제2 단면 부재를 적층한 열전도판의 한 쪽의 단면에 위치하는 열전도판에 점착하는 작업과 띠형 손잡이 부재의 고정 작업이 동시에 행해지고, 또한 상기 제2 단면 부재가 탄성체로 이루어짐으로써 기기 탑재 시에 상기 제2 단면 부재가 적층 방향에 가압되고, 기기 탑재 시의 상기 열교환기 단면에서의 밀봉을 행하며, 상기 적층된 열전도판의 외주 리브 A의 외측 측면의 적어도 한 면을 따라 또한 상기 제2 단면 부재의 적어도 한 쪽의 외측에 띠형 손잡이 부재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열전도판의 적층 방향 혹은 상기 열전도판의 적층 방향과 외주 리브 A의 측면 방향의 양방향에 착탈이 가능해진다는 작용을 갖는다.
또한, 열전도판 B의 외주 리브 A의 상면에 측면 보강 돌출부를 설치하고, 열전도판 A와 상기 열전도판 B를 교대로 적층했을 때, 상기 열전도판 A에 형성된 상기 외주 리브 A의 상면이 상기 열전도판 B에 형성된 상기 외주 리브 A의 이면에 맞닿고, 상기 열전도판 B에 형성된 상기 외주 리브 A의 상면이 상기 열전도판 A에 설치된 열전도면의 이면에 맞닿으며, 또한 상기 열전도판 B의 상기 외주 리브 A에 형성된 상기 측면 보강 돌출부의 상면과 측면이 상기 열전도판 A에 형성된 상기 외주 리브 A의 이면과 측면에 맞닿은 것으로, 열교환기의 외주 리브 A의 외측 측면의 인접하는 면을 열용착할 때, 상기 열전도판 A의 상기 외주 리브 A의 중공 돌출 부분을 상기 열전도판 B의 상기 측면 보강 돌출부가 맞닿음으로써 가열된 열전도판이 용융한 후, 온도가 내려가 각각의 열전도판이 용착되었을 때, 온도 수축에 의한 측면부의 변형을 방지하고, 또한 변형에 기인한 밀봉성의 저하를 막아 측면부의 밀봉성이 향상된다는 작용을 갖는다.
또한, 측면 보강 돌출부를 단속적으로 한 것으로, 열교환기의 외주 리브 A의 외측 측면의 인접하는 면을 열용착할 때, 상기 열전도판 A의 상기 외주 리브 A의 중공 돌출 부분을 상기 열전도판 B의 상기 측면 보강 돌출부가 맞닿음으로써 가열된 열전도판이 용융한 후, 온도가 내려가 각각의 열전도판이 용착되었을 때, 온도 수축에 의한 측면부의 변형을 방지하고, 또한 변형에 기인한 밀봉성의 저하를 막아 측면부의 밀봉성이 향상된다는 작용을 갖는다.
또한, 열전도판 A 및 열전도판 B의 외주 리브 A의 상면에 측면 보강 돌출부를 설치하고, 상기 열전도판 A와 상기 열전도판 B를 교대로 적층했을 때, 상기 열전도판 A에 형성된 상기 측면 보강 돌출부의 상면과 측면이 상기 열전도판 B에 형성된 상기 외주 리브 A의 이면과 측면에 맞닿고, 상기 열전도판 B에 형성된 상기 측면 보강 돌출부의 상면과 측면이 상기 열전도판 A에 형성된 상기 외주 리브 A의 이면과 측면에 맞닿은 것으로, 열교환기의 외주 리브 A의 외측 측면의 인접하는 면을 열용착할 때, 상기 열전도판 A 및 상기 열전도판 B의 상기 외주 리브 A의 중공 돌출 부분을 각각의 상기 측면 보강 돌출부가 맞닿음으로써 가열된 열전도판이 용 융한 후, 온도가 내려가 각각의 열전도판이 용착되었을 때, 온도 수축에 의한 측면부의 변형을 방지하고, 또한 변형에 기인한 밀봉성의 저하를 막아 측면부의 밀봉성이 향상된다는 작용을 갖는다.
또한, 열전도판 A와 열전도판 B를 교대로 적층했을 때, 상기 열전도판 A에 형성된 상기 외주 리브 A의 상면과 측면이 상기 열전도판 B에 형성된 상기 외주 리브 A의 이면과 측면에 맞닿고, 상기 열전도판 B의 상기 외주 리브 A에 형성된 상기 측면 보강 돌출부의 상면과 측면이 상기 열전도판 A에 형성된 상기 외주 리브 A의 이면과 측면에 맞닿은 것으로, 열교환기의 외주 리브 A의 외측 측면의 인접하는 면을 열용착할 때, 상기 열전도판 A의 상기 외주 리브 A의 중공 돌출 부분을 상기 열전도판 B의 상기 측면 보강 돌출부가 맞닿음으로써 가열된 열전도판이 용융한 후, 온도가 내려가 각각의 열전도판이 용착되었을 때, 온도 수축에 의한 측면부의 변형을 방지하고, 또한 변형에 기인한 밀봉성의 저하를 막아 측면부의 밀봉성이 향상된다는 작용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실시예 1)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해서 도 1, 2, 3, 4, 5, 6, 7 및 도 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이용하는 열교환기의 개략 분해 사시도, 도 2는 열전도판의 적층 시의 개략 사시도, 도 3은 그 측면 부분의 개략 단면도, 도 4는 그 풍로 출입구 부분의 개략 단면도, 도 5는 풍로 A의 출입구 부분과 풍로 B의 출입구 부분 이 인접하는 코너 부분의 개략 상면 투시도, 도 6은 그 개략 정면 투시도, 도 7은 그 개략 정면도, 도 8은 열전도판의 측면측의 풍로 출입구 부분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열전도판 A(1)와 열전도판 B(2)를 교대로 적층함으로써 구성되는 열교환기는 각각의 열전도판의 상하에 풍로 A(3)와 풍로 B(4)가 구성되고, 풍로 A(3)를 흐르는 유체는 각각의 열전도판을 통해 열교환을 행하며, 각각의 풍로의 출입구 부분에서는 서로가 사교하여 흐르고 중앙 부분에서는 서로가 대향하는 방향으로 흐르는 대향류형이다.
실제는 다수의 열전도판 A(1)와 열전도판 B(2)가 교대로 적층되어 있지만, 간략을 위해서 4개의 열전도판을 도시하고 있다.
열전도판 A(1) 및 열전도판 B(2)는 평면 형상이 육각형을 이루고, 두께가 예컨대 0.2㎜인 폴리스티렌 시트의 진공 성형 가공에 의해 성형되어 있고, 열전도판 A(1)는 중공 돌출형으로, 예컨대 열전도면(5)의 표면에 대하여 돌출 높이 2㎜로 형성된 대략 S자형의 풍로 리브(6)를 대략 평행, 대략 등간격으로 8개 구비하고, 풍로 리브(6)에 의해 대략 S자형의 풍로 A(3) 및 열전도면(5)이 형성된다. 풍로 A(3)의 출입구 부분에는 열전도판 A(1)의 가장자리를 풍로 리브(6)의 돌출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예컨대 열전도면(5)의 표면에 대해서 2.2㎜의 위치까지 절곡된 풍로 단면(7)을 설치하고, 풍로 단면(7)보다 내측의 열전도면(5)에 풍로 단면(7)과 평행하게 홈 A(8)를, 예컨대 풍로 단면(7)으로부터 홈 A(8)의 중심선의 거리가 4.5㎜인 위치에 홈 A(8)의 폭의 바깥 칫수가 2㎜가 되도록 설치하고, 홈 A(8)와 풍로 단면(7) 사이의 풍로 리브(6)의 연장선상에 풍로 단면과 근접하여 풍로 리브(6)의 돌출 방향과 동일한 방향에 중공 돌출형이고 풍로 리브(6)의 높이보다도 높은 높이의 복수의 돌기(9)를, 예컨대 높이가 열전도면(5)에 대하여 4㎜로서 8개 설치하고, 돌기(9)는 풍로 단면(7)과 평행한 한 쌍의 측면(10a 및 10b), 또한 열전도면(5)과 평행을 이루는 상면(11)을 구비하고, 열전도판 A(1)의 외주 가장자리부 중 대향류가 되는 풍로 부분과 대략 평행을 이루는 한 쌍의 외주 가장자리부에 풍로 리브(6)의 돌출 방향과 동일한 방향에 중공 돌출형이고 돌기(9)와 동일한 높이에 형성한 외주 리브 A(12)를, 예컨대 그 폭이 4㎜가 되도록 구비하고, 외주 리브 A(12)의 상면은 열전도면(5)과 평행을 이루고, 외측 측면은 풍로 단면(7)과 동일 위치까지 절곡되며, 열전도판 A(1)의 외주 가장자리부 중 사교류가 되는 풍로 부분과 대략 평행을 이루는 한 쌍의 외주 가장자리부에 풍로 리브(6)의 돌출 방향과 동일한 방향에 중공 돌출형이고 풍로 리브(6)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한 외주 리브 B(13)를, 예컨대 그 폭이 7㎜가 되도록 구비하고, 외주 리브 B(13)의 상면은 열전도면(5)과 평행을 이루며, 외측 측면의 중앙부는 열전도면(5)과 동일 위치까지 절곡되어 풍로 개구부(14)가 형성되며, 양단 부분, 예컨대 코너로부터 8㎜인 부분은 풍로 단면(7)과 동일 위치까지 절곡되고 풍로 단면 커버(15)가 형성되며, 외주 리브 B(13)의 상면에 홈 B(16)를 구비하고, 홈 B(16)는 외주 리브 B(13)의 상면의 외측 측면 절곡 위치와 홈 B의 중심선과의 거리가 홈 A(8)의 중심선과 풍로 단면(7)의 절곡 위치와의 거리와 동일한 위치에, 홈 A(8)의 길이 방향의 외면이 홈 B(16)의 길이 방향의 내면과 밀접하는 형상으로, 예컨대 홈 B(16)의 폭의 내측 칫수가 2㎜가 되도록 열 전도면(5)과 동일면까지 요입되어 있다.
복수의 풍로 리브(6)를 대략 평행, 대략 등간격으로 8개 구비하고, 외주 리브 A(12) 및 외주 리브 B(13)를 풍로 리브(6)와 대략 평행이 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풍로 리브(6), 외주 리브 A(12) 및 외주 리브 B(13)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풍로 A(3)를 흐르는 각각의 유체의 흐름이 균일화되고, 통기 저항의 증가가 억제되며, 열전도판 A(1)의 열전도면(5) 전역이 열교환에 효율적으로 기능한다.
또한, 열전도판 B(2)는 열전도판 A(1)와 거울상 관계를 이루고 있고, 열전도판 B(2)의 형상 중 열전도판 B(2)의 외주 리브 A(12)의 높이를 풍로 리브(6)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하고, 또한 열전도판 B(2)의 외주 리브 A(12)의 폭을 열전도판 A(1)의 외주 리브 A(12)의 폭보다도 넓은 형상으로 예컨대 7㎜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열전도판 A(1)와 열전도판 B(2)를 교대로 적층했을 때,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열전도판 A(1)의 외주 리브 A(12a)의 상면은 위쪽에 적층된 열전도판 B(2)의 외주 리브 A(12b)에 밀접하고, 열전도판 B(2)의 외주 리브 A(12b)의 상면은 위쪽에 적층된 열전도판 A(1)의 외주 리브 A(12a)에 밀접하며, 인접하는 외주 리브 A(12)의 외측 측면의 외면과 내면이 밀접하도록 성형되어 있고, 풍로 A(3) 및 풍로 B(4)의 외주 리브 A(12) 부분에서의 밀봉이 행해진다.
또한, 풍로 리브(6)는 상면이 위쪽에 적층된 열전도판에 맞닿도록 형성되어 있고, 풍로 A(3) 및 풍로 B(4)의 풍로 높이를 유지하고 있으며, 그 풍로 높이는 통기 저항 등의 열교환기의 성능면 및 성형 가공성 등에서 설계되어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풍로 출입구에서는 홈 B(16)의 내면에 위쪽으로 적층된 열전도판의 홈 A(8)의 외면이 밀접하고, 외주 리브 B(13)의 상면이 위쪽으로 적층된 열전도판과 밀접하며, 풍로 단면(7)과 평행하는 돌기(9)의 한 쌍의 측면(10)의 한 쪽의 측면(10a)이 위쪽에 적층된 열전도판의 외주 리브 B(13)의 외측 측면의 내면에 밀접하고, 다른 쪽의 측면(10b)이 위쪽에 적층된 열전도판의 홈 B(16)의 측면과 밀접하며, 돌기(9)의 상면(11)이 위쪽에 적층된 열전도판의 외주 리브 B(13)의 상면의 이면에 밀접하고, 외주 리브 B(13)의 외측 측면과 위쪽에 적층된 열전도판의 풍로 단면의 내면이 밀접하도록 성형되어 있고, 풍로 A(3) 및 풍로 B(4)의 출입구 부분에서의 밀봉이 행해지고, 또한 적층된 열전도판의 위치 어긋남의 방지, 열전도판의 적층 시의 위치 결정이 행해진다.
또한,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열전도판 A(1)의 외주 리브 B(13)와 열전도판 B(2)의 외주 리브 B(13)가 교차하는 코너 부분에 있어서, 외주 리브 B(13)의 상면에 구비된 홈(B13)도 교차하고, 외주 리브 B(13)의 상면과 위쪽에 적층된 열전도판의 홈 B(16)가 맞닿도록 성형되어 있으며, 외주 리브 B(13)가 교차하는 코너 부분의 열전도판의 적층 방향의 변형을 억제하여 변형에 기인하는 밀봉성의 저하를 막는다.
또한,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풍로 A(3) 및 풍로 B(4)의 양단에 있어서, 풍로 A(3)의 출입구와 풍로 B(4)의 출입구가 인접하는 코너 부분에서는 외주 리브 B(13)의 단면과 위쪽에 적층된 열전도판의 풍로 단면 커버(15a)의 내면이 밀접하고, 풍로 A(3) 또는 풍로 B(4)의 출입구와 외주 리브 A(12)가 인접하는 코너 부분에서는 외주 리브 A(12)의 단면과 위쪽에 적층된 열전도판의 풍로 단면 커버(15b)의 내면이 밀접하도록 성형되어 있으며, 풍로 A(3) 및 풍로 B(4)의 양단에서의 밀봉성을 확보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풍로 A(3) 및 풍로 A(4)의 밀봉성이 높고, 열전도판 A(1) 및 열전도판 B(2)의 적층 작업 시의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으며, 풍로 리브(6), 돌기(9), 외주 리브 A(12) 및 외주 리브 B(13)를 1장의 폴리스티렌 시트의 진공 성형 가공에 의해 중공 돌출형으로 성형함으로써 경량 또한 재료 투입량을 저감시킬 수 있고, 열교환기가 열전도판(A3) 및 열전도판(B4)의 재료인 폴리스티렌, 단일 재료에 의해 구성되기 때문에 리사이클성이 향상되고, 중공 돌출형으로 형성된 풍로 리브(6)의 내면으로도 유체가 흘러 풍로 리브(6)에 있어서도 열교환이 행해짐으로써 열교환 효율이 향상되는 열교환기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열전도판의 재료로서 폴리스티렌 시트를 이용하여, 진공 성형에 의한 일체 성형으로 하였지만, 재료로서 ABS,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의 그 밖의 열가소성 수지 필름, 알루미늄 등의 박압 금속판, 혹은 열전도성과 투습성을 갖는 종이재, 미다공성 수지 필름, 수지가 혼입된 종이재 등을 이용해도 좋고, 또한 성형 방법에 관해서도 압공 성형, 초고압 성형, 프레스 성형 등의 다른 공법에 의해 열전도판을 일체 성형해도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각부의 치수값 및 개수는 일례이고, 특히 그 값에 한정되지 않고 통기 저항, 열교환 효율 등의 열교환기의 성능면 및 성형 가공성 등으로부터 적절하게 설계된 경우라도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시트재로서 폴리스티렌 시트를 이용하고, 그 두께를 0.2㎜로 하였지만, 시트재의 두께는 0.05∼0.5㎜의 범위의 시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로서는 0.05㎜ 이하로 하면, 요철 형상의 성형 시 및 성형 후의 열전도판의 취급 시에 시트재에 찢김 등의 파손이 일어나기 쉬워지고, 또한 성형된 열전도판에 점성이 없어 그 취급성이 나빠지며 또한 0.5㎜를 넘으면 열전도성이 저하된다.
시트 두께가 얇아질수록 열전도성이 높아지고 또한 성형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으며, 반대로 시트 두께가 두꺼워질수록 열전도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성형성, 열전도성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시트재의 두께는 0.05∼0.5㎜인 범위의 시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 0.15∼0.25㎜의 범위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실시예 2)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관해서, 도 9, 10, 11, 12,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한편, 실시예 1과 동일 부분은 동일 번호로 하고, 동일한 작용 효과를 갖는 것으로 하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는 본 실시예에 이용하는 열교환기의 열전도판 A(1) 및 열전도판 B(2)의 진공 성형 금형의 개략 사시도, 도 10은 한 쌍의 열전도판 A(1) 및 열전도판 B(2)의 진공 성형품의 개략 확대 사시도, 도 11은 그 풍로 개구부(14) 부분의 개략 단면도, 도 12는 한 쌍의 열전도판 A(1) 및 열전도판 B(2)의 절단 방법 개략 사시도, 도 13은 열전도판의 풍로 개구부(14) 부분의 절단 위치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진공 성형 금형(17)은 열전도판 A(1)의 금형부(17a) 및 열전도판 B(2)의 금형부(17b)를 구비하고 있고, 열전도판 A(1)의 금형부(17a) 및 열전도판 B(2)의 금형부(17b)의 외주 리브 B(13)의 외측 측면의 풍로 개구부(14)가 형성되는 부분에는 단면 형상이 풍로 개구부(14)와 동일한, 예컨대 높이가 1.8㎜, 폭이 160㎜인 직사각형 금형부(18)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고, 열전도판 A(1)의 금형부(17a)와 열전도판 B(2)의 금형부(17b)를 각각의 외주 리브 B(13)의 외측 측면이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대향하는 각각의 외주 리브 B(13)의 측면에 일체로 구비된 직사각형 금형부(18)가 연결되어 구비되어 있고, 1대의 진공 성형 금형(17)에는 한 쌍의 열전도판 A(1)의 금형부(17a)와 열전도판 B(2)의 금형부(17b)가 3조 구비되어 있다.
도 10은 진공 성형 금형(17)을 이용하여 진공 성형을 행한 1장의 폴리스티렌 시트이고, 열전도판 A(1) 및 열전도판 B(2)의 성형품이며, 실제로는 열전도판 A 및 열전도판 B의 조가 3조 성형되지만, 간략을 위해 1조의 열전도판 A(1)와 열전도판 B(2)만 도시하고 있다.
열전도판 A(1)와 열전도판 B(2)는 외주 리브 B(13)의 외측 측면이 대향하여 직사각형 금형부(18)에 의해 중공 돌출형으로 성형된 개구 형성부(19)가 일체로 되어 성형되어 있고,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구 형성부(19)가 외주 리브 B(13)의 외측 측면의 풍로 개구부(14)의 개구 높이와 동일한 높이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외주 리브 B(13)의 외측 측면과 연속하여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각의 열전도판의 외주 형상과 동일한 형상의 펀칭 칼날을 구비한 펀칭틀(20)을 열전도판 A(1)의 외주 가장자리부 및 열전도판 B(2)의 외주 가장자리부로 가압함으로써 열전도판 A(1) 및 열전도판 B(2)를 절단한다.
열전도판 A(1) 및 열전도판 B(2)를 절단할 때,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주 리브 B(13)의 외측 측면과 연속하여 일체로 형성된 개구 형상부(19)는 펀칭틀(20)에 의해 외주 리브 B(13)의 외측 측면으로부터 절단되고, 외주 리브 B(13)의 외측 측면에는 풍로 개구부(14)가 형성된다.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열전도판 A(1) 및 열전도판 B(2)의 외주를 소정의 치수로 절단하는 동시에 외주 리브 B(13)의 외측 측면에 풍로 개구부(14)가 형성되기 때문에 생산 효율이 높은 열교환기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진공 성형 금형(17)에 열전도판 A의 금형부(17a) 및 열전도판 B의 금형부(17b)를 3세트 설치했지만, 그 세트 수는 일례이고, 특히 그 값에 한정되는 일없이 설계된 경우라도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각부의 치수값 및 개수는 일례이고, 특히 그 값에 한정되는 일없이, 통기 저항, 열교환 효율 등의 열교환기의 성능면 및 성형 가공성 등으로부터 적절하게 설계된 경우라도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3)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관해서,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한편, 실시예 1 및 2와 동일 부분은 동일 번호로 하고, 동일한 작용 효과를 갖는 것으로 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4는 본 실시예에 이용하는 코너부에 열용착이 이루어지고 있는 열교환기의 개략 사시도, 도 15는 그 열용착 장치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열교환기(21)는 소정의 매수의 열전도판 A(1) 및 열전도판 B(2)를 교대로, 예컨대 열전도판 A(1) 및 열전도판 B(2)를 각각 61장씩 열전도판 A(1)를 최하단으로 하여 교대로 적층하고, 그 6개소의 코너 부분에 있어서 적층된 인접하는 열전도판의 외측 측면이 열용착에 의해 용착되어 있다.
도 15는 그 열용착 장치(22)이고, 열전도판 A(1) 및 열전도판 B(2)를 각각 61장씩 열전도판 A(1)를 최하단으로 하여 교대로 적층한 시트 블록(23)의 적층 방향의 어긋남을 억제하고, 시트 블록(23)의 적층 높이를 규정하는, 예컨대 적층 높이를 280㎜로 규정하는 누름판(24)을 구비하고, 시트 블록(23)을 구성하는 열전도판의 수평 방향으로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하는 지지판(25)을 구비하며, 지지판(25)은 열전도판의 풍로 A(3) 및 풍로 B(4)의 출입구가 형성되는 외측 측면과 외주 리브 A(12)의 외측 측면과 합치하는 형상을 이루고 있고, 누름판(24) 및 지지판(25)에 의해 고정된 시트 블록(23)의 풍로 출입구 부분이 인접하는 코너 부분의 열용착을 이루는 열용착 수단으로서의 히터 블록(26a 및 26b)을 구비하고, 히터 블록(26a 및 26b)의 용착면은 풍로 단면 커버(15a) 및 외주 리브 B(13)의 단면과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며, 외주 리브 B(13)의 양단의 코너 부분의 열용착을 행하는 열용착 수단으로서의 히터 블록(26c 및 26d)을 구비하고, 히터 블록(26c 및 26d)의 용착면은 풍로 단면 커버(15b) 및 외주 리브 A(12)의 단면과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고, 히터 블록(26a∼d)은 내부에 원통형의 전기 히터(27)를 구비하고 있다.
열용착 장치(22)에 시트 블록(23)을 지지판(25)과 밀접하도록 설치하고, 그 후 누름판(24)을 시트 블록(23)의 상면에 가압함으로써 시트 블록(23)을 열용착 장치(22)에 고정한다.
열용착 장치(22)에 고정된 시트 블록(23)에, 예컨대 그 표면 온도가 140℃ 로 설정된 히터 블록(26a, 26b, 26c, 26d)을, 예컨대 5초간 가압함으로써 시트 블록(23)의 4개의 코너의 열용착을 행하고, 그 후 누름판(24)을 시트 블록(23)으로부터 일단 떼어 시트 블록(23)의 설치 방향을 180도 회전시키고, 다시 누름판(24) 및 지지판(25)에 의해 시트 블록(23)을 고정하며, 히터 블록(26c, 26d)을 시트 블록(23)의 코너 부분에 가압함으로써 시트 블록(23)의 6개소의 코너부 부분을 적층 방향의 전장에 걸쳐 열용착이 이루어진 열교환기(21)가 제조된다.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적층된 인접하는 열전도판의 풍로 단면 커버(15)와 외주 리브 A(12)의 단면, 풍로 단면 커버(15)와 외주 리브 B(13)의 단면, 풍로 단면(7)과 외주 리브 B(13)의 측면 및 외주 리브 A(12)의 측면끼리가 열용착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열전도판의 위치 어긋남에 기인하는 풍로의 밀봉성의 저하가 방지되고, 밀봉성이 향상되며 동일 평면상에 없는 인접하는 열용착 개소에 동시에 열용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생산 효율이 높은 열교환기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열용착 장치(22)로의 시트 블록(23)의 설치 방법을 열전도판의 적층 방향을 연직 방향으로 하였지만, 시트 블록(23)의 설치 방법을 열 전도판의 적층 방향을 수평 방향으로 한 열용착 장치(22)를 이용해도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시트 블록(23)을 구성하는 열전도판 A(1) 및 열전도판 B(2)의 적층 매수는 일례이고, 열교환기의 통기 저항, 열교환 효율 등의 성능면에서 적절하게 설계된 경우라도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한 최하단에 배치하는 열전도판에 대해서도 특히 열전도판 A(1)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열전도판 B(2)를 최하단으로 하여 적층해도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히터 블록(26)의 온도, 개수, 용착 시간은 일례이고, 특히 그 값에 한정되는 일없이 양호한 용착 상태가 선택되도록 설계된 경우라도,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4)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관해서,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한편, 실시예 1, 2 및 3과 동일 부분은 동일 번호로 하고 동일한 작용 효과를 갖는 것으로 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6은 본 실시예에 이용하는 풍로 A(3) 및 풍로 B(4)의 출입구가 형성되는 면에 열용착이 이루어지고 있는 열교환기의 개략 사시도, 도 17은 그 열용착 장치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열교환기(21)는 소정의 매수의 열전도판 A(1) 및 열전도판 B(2)를 교대로, 예컨대 열전도판 A(1) 및 열전도판 B(2)를 각각 61장 씩 열전도판 A(1)를 최하단으로 하여 교대로 적층하고, 풍로 A(3) 및 풍로 B(4)의 출입구가 형성되는 4면 전면이 열용착에 의해 용착되어 있다.
도 17은 그 열용착 장치(22)이고, 열전도판 A(1) 및 열전도판 B(2)를 각각 61장씩 열전도판 A(1)를 최하단으로 하여 교대로 적층한 시트 블록(23)의 적층 방향의 어긋남을 억제하고 시트 블록(23)의 적층 높이를 규정하는, 예컨대 적층 높이를 280㎜로 규정하는 누름판(24)을 구비하고, 시트 블록(23)을 구성하는 열전도판의 수평 방향으로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하는 지지판(25)을 구비하며, 지지판(25)은 열전도판의 풍로 A(3) 및 풍로 B(4)의 출입구가 형성되는 외측 측면과 합치하는 형상을 이루고 있고, 누름판(24) 및 지지판(25)에 의해 고정된 시트 블록(23)의 풍로 A(3) 및 풍로 B(4)의 출입구가 형성되는 인접하는 면의 열용착을 행하는 열용착 수단으로서의 히터 블록(26)을 구비하며, 그 양단은 풍로 A(3) 및 풍로 B(4)의 출입구가 형성되는 면보다도 돌출하는, 예컨대 10㎜씩 돌출하는 형상이고, 그 상하단은 시트 블록(23)의 상하 방향으로 돌출하는, 예컨대 10㎜씩 돌출하는 형상이며, 내부에 복수의 예컨대 5개의 원통형의 전기 히터(27)를 구비하고 있다.
열용착 장치(22)에 시트 블록(23)을 지지판(25)과 밀접하도록 설치하고, 그 후 누름판(24)을 시트 블록(23)의 상면에 가압함으로써 시트 블록(23)을 열용착 장치(22)에 고정한다.
열용착 장치(22)에 고정된 시트 블록(23)에, 예컨대 그 표면 온도가 140℃ 로 설치된 히터 블록(26)을 예컨대 5초간 가압함으로써 시트 블록(23)의 풍로 A(3) 및 풍로 B(4)의 출입구가 형성되는 인접하는 2면의 열용착을 동시에 행하고, 그 후 누름판(24)을 시트 블록(23)으로부터 일단 떼어 시트 블록(23)의 설치 방향을 180도 회전시키고, 다시 누름판(24) 및 지지판(25)에 의해 시트 블록(23)을 고정하며, 히터 블록(26)을 시트 블록(23)의 풍로 A(3) 및 풍로 B(4)의 출입구가 형성되는 인접하는 2면에 가압함으로써 시트 블록(23)의 풍로 A(3) 및 풍로 B(4)의 출입구가 형성되는 4면 모든 면에서 열전도판 A(1) 및 열전도판 B(2)의 측면이 중합되는 부분의 열용착이 이루어진 열교환기(21)가 제조된다.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적층된 인접하는 열전도판의 풍로 A(3) 및 풍로 B(4)의 출입구가 형성되는 면에 있어서, 풍로 단면(7)과 외주 리브 B(13)의 측면, 풍로 단면 커버(15a)와 외주 리브 B(13)의 단면 및 풍로 단면 커버(15b)와 외주 리브 A(12)의 단면이 열용착에 의해 용착됨으로써, 한 쪽의 풍로의 출입구부에 면하고 있는 다른쪽의 풍로의 외주 리브 B(13)의 외측 측면이 밀봉되고, 또한 열전도판의 위치 어긋남이 억제되어 풍로의 밀봉성이 향상되며, 열전도판의 위치 어긋남에 기인하는 풍로의 밀봉성의 저하가 방지되고, 풍로 A(3) 및 풍로 B(4)의 밀봉성이 높고, 풍로 A(3) 및 풍로 B(4)의 출입구가 형성되는 동일 평면상에 없는 인접하는 2면에 대하여 동시에 열용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생산 효율이 높은 열교환기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히터 블록(26)을 1개로 하였지만, 지지판(25)을 시트 블록(23)의 외주 리브 A(12)의 측면 밀접하는 평면 형상으로 하고, 2개의 히터 블록(26)을 대향하는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히터 블록(26)이 열용착 수단과 시트 블록(23)의 지지 수단을 겸하는 구조로 하고, 풍로 A(3) 및 풍로 B(4)의 출입구가 형 성되는 동일 평면상에 없는 4면 전면을 동시에 열용착할 수 있는 구조로 함으로써 더욱 생산 효율을 높일 수 있고, 또한 열용착 장치(22)로의 시트 블록(23)의 설치 방법을 열전도판의 적층 방향을 연직 방향으로 하였지만, 시트 블록(23)의 설치 방법을 열전도판의 적층 방향을 수평 방향으로 한 열용착 장치(22)를 이용해도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시트 블록(23)을 구성하는 열전도판 A(1) 및 열전도판 B(2)의 적층 매수는 일례이고, 열교환기의 통기 저항, 열교환 효율 등의 성능면에서 적절하게 설계된 경우라도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또한 최하단에 배치하는 열전도판에 대해서도 특히 열전도판 A(1)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열전도판 B(2)를 최하단으로 하여 적층해도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히터 블록(26)의 온도, 개수, 용착 시간은 일례이고, 특히 그 값에 한정되는 일없이, 양호한 용착 상태가 선택되도록 설계된 경우라도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5)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관해서,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한편, 실시예 1, 2, 3 및 4와 동일 부분은 동일 번호로 하고, 동일한 작용 효과를 갖는 것으로 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8은 본 실시예에 이용하는 외주 측면 전면에 열용착이 이루어지고 있는 열교환기의 개략 사시도, 도 19는 그 열용착 장치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열교환기(21)는 소정의 매수의 열전도판 A(1) 및 열전도판 B(2)를 교대로, 예컨대 열전도판 A(1) 및 열전도판 B(2)를 각각 61장씩 열전도판 A(1)를 최하단으로 하여 교대로 적층하고, 풍로 A(3) 및 풍로 B(4)의 출입구가 형성되는 면 및 외주 리브 A(12)의 외측 측면의 6면 전면이 열용착에 의해 용착되어 있다.
도 19는 그 열용착 장치(22)이고, 열전도판 A(1) 및 열전도판 B(2)를 각각 61장씩 열전도판 A(1)를 최하단으로 하여 교대로 적층한 시트 블록(23)의 적층 방향의 어긋남을 억제하고, 시트 블록(23)의 적층 높이를 규정하는, 예컨대 적층 높이를 280㎜로 규정하는 누름판(24)을 구비하고, 시트 블록(23)을 구성하는 열전도판의 수평 방향으로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하는 지지판(25)을 구비하며, 지지판(25)은 열전도판의 풍로 A(3) 및 풍로 B(4)의 출입구가 형성되는 외측 측면과 외주 리브 A(12)의 외측 측면과 합치하는 형상을 이루고 있고, 누름판(24) 및 지지판(25)에 의해 고정된 시트 블록(23)의 지지판(25)과 밀접하는 면과 대향하는 풍로 A(3) 및 풍로 B(4)의 출입구가 형성되는 면 및 외주 리브 A(12)의 외측 측면의 열용착을 행하는 열용착 수단으로서의 히터 블록(26)을 구비하고, 히터 블록(26)은 풍로 A(3) 및 풍로 B(4)의 출입구가 형성되는 면 및 외주 리브 A(12)의 외측 측면과 합치하는 열용착면을 구비하며, 그 양단은 풍로 A(3) 및 풍로 B(4)의 출입구가 형성되는 면보다도 돌출하는, 예컨대 10㎜씩 돌출하는 형상이고, 그 상하단은 시트 블록(23)의 상하 방향으로 돌출하는, 예컨대 10㎜씩 돌출하는 형상이고, 내부에 복수의 예컨대 7개의 원통형의 전기 히터(27)를 구비하고 있다.
열용착 장치(22)에 시트 블록(23)을 지지판(25)과 밀접하도록 설치하고, 그 후 누름판(24)을 시트 블록(23)의 상면에 가압함으로써 시트 블록(23)을 열용착 장치(22)에 고정한다.
열용착 장치(22)에 고정된 시트 블록(23)에, 예컨대 그 표면 온도가 140℃로 설정된 히터 블록(26)을 예컨대 5초간 가압함으로써 시트 블록(23)의 외주 리브 A(12)의 외측 측면과 외주 리브 A(12)와 인접하는 풍로 A(3) 및 풍로 B(4)의 출입구가 형성되는 2면의 합계 3면의 열용착을 동시에 행하고, 그 후 누름판(24)을 시트 블록(23)으로부터 일단 떼어 시트 블록(23)의 설치 방향을 180도 회전시키고, 다시 누름판(24) 및 지지판(25)에 의해 시트 블록(23)을 고정하며, 히터 블록(26)을 시트 블록(23)에 가압함으로써 시트 블록(23)의 외주 리브 A(12)의 외측 측면과 풍로 A(3) 및 풍로 B(4)의 출입구가 형성되는 6면 모든 면에서 열전도판 A(1) 및 열전도판 B(2)의 측면이 중합되는 부분의 열용착이 이루어진 열교환기(21)가 제조된다.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적층된 인접하는 열전도판의 풍로 A(3) 및 풍로 B(4)의 출입구가 형성되는 면에서 풍로 단면(7)과 외주 리브 B(13)의 측면, 풍로 단면 커버(15a)와 외주 리브 B(13)의 단면 및 풍로 단면 커버(15b)와 외주 리브 A(12)의 단면이 히터 블록(26)에 의해 열용착됨으로써, 한 쪽의 풍로의 출입구부에 면하고 있는 다른 쪽의 풍로의 외주 리브 B(13)의 외측 측면이 밀봉되고, 적층된 인접하는 열전도판의 외주 리브 A(12)의 외측 측면에 있어서, 외주 리브 A(12)의 외측 측면끼리가 히터 블록(26)에 의해 열용착됨으로써 풍로의 모든 외주 부분이 밀봉되고, 또한 열전도판의 위치 어긋남이 억제되어 풍로의 밀봉성이 향상되며, 열전도판의 위치 어긋남에 기인하는 풍로의 밀봉성의 저하가 방지되고, 풍로 A(3) 및 풍로 B(4)의 밀봉성이 높고, 외주 리브 A(12)의 외측 측면과 외주 리브 A(12)와 인접하는 풍로 A(3) 및 풍로 B(4)의 출입구가 형성되는 2면의 동일 평면형에 없는 합계 3면에 대하여 동시에 열용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생산 효율이 높은 열교환기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열용착 장치(22)로의 시트 블록(23)의 설치 방법을 열전도판의 적층 방향을 연직 방향으로 하였지만, 시트 블록(23)의 설치 방법을 열전도판의 적층 방향을 수평 방향으로 한 열용착 장치(22)를 이용해도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시트 블록(23)을 구성하는 열전도판 A(1) 및 열전도판 B(2)의 적층 매수는 일례이고, 열교환기의 통기 저항, 열교환 효율 등의 성능면에서 적절하게 설계된 경우라도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한 최하단에 배치하는 열전도판에 대해서도 특히 열전도판 A(1)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열전도판 B(2)를 최하단으로 하여 적층해도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히터 블록(26)의 온도, 개수, 용착 시간은 일례이고, 특히 그 값에 한정되는 일없이, 양호한 용착 상태가 선택되도록 설계된 경우라도,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6)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관해서,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 다.
한편, 실시예 1, 2, 3, 4 및 5와 동일 부분은 동일 번호로 하고, 동일한 작용 효과를 갖는 것으로 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0은 본 실시예에 이용하는 열용착 장치의 제1 공정의 개략 사시도, 도 21은 동 제2 공정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열용착 장치(22)는 열전도판 A(1) 및 열전도판 B(2)를 교대로 소정의 매수, 예컨대 열전도판 A(1) 및 열전도판 B(2)를 각각 61장씩 열전도판 A(1)를 최하단으로 하여 교대로 적층한 시트 블록(23)의 적층 방향의 어긋남을 억제하고, 시트 블록(23)의 적층 높이를 규정하는, 예컨대 적층 높이를 280㎜로 규정하는 누름판(24)을 구비하고, 시트 블록(23)을 구성하는 열전도판의 수평 방향으로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하는 지지판(25)을 구비하고, 지지판(25)은 열전도판의 풍로 A(3) 및 풍로 B(4)의 출입구가 형성되는 외측 측면과 외주 리브 A(12)의 외측 측면과 합치하는 형상을 이루고 있고, 누름판(24) 및 지지판(25)에 의해 고정된 시트 블록(23)의 지지판(25)과 밀접하는 면과 대향하는 외주 리브 A(12)의 외측 측면의 열용착을 행하는 열용착 수단으로서의 히터 블록(26a)을 구비하며, 누름판(24) 및 지지판(25)에 의해 고정된 시트 블록(23)의 지지판(25)과 밀접하는 면과 대향하는 풍로 A(3) 및 풍로 B(4)의 출입구가 형성되는 2면의 열용착을 행하는 열용착 수단으로서의 히터 블록(26b 및 26c)을 구비하고, 히터 블록(26a)은 그 양단에 인접하는 풍로 A(3) 및 풍로 B(4)의 출입구가 형성되는 면의 풍로 단면 커버(15b)를 열용착 가능한 위치까지 열용착면이 돌출한 형상을 이루고, 히터 블록(26b 및 26c)은 인접하는 외주 리브 A(12)의 방향으로 돌출하여 인접하는 외주 리브 A(12)의 외측 측면의 일부, 예컨대 코너로부터 10㎜의 위치까지를 열용착 가능한 열용착면을 일단에 구비하고, 타단은 풍로 A(3) 및 풍로 B(4)의 출입구가 형성되는 면보다도 돌출하는, 예컨대 10㎜ 씩 돌출하는 형상이고, 히터 블록(26a, 26b 및 26c)의 상하단은 시트 블록(23)의 상하 방향으로 돌출하는, 예컨대 10㎜ 씩 돌출하는 형상이고, 각각 내부에 복수의, 예컨대 3개의 원통형의 전기 히터(27)를 구비하고 있다.
열용착 장치(22)에 시트 블록(23)을 지지판(25)과 밀접하도록 설치하고, 그 후 누름판(24)을 시트 블록(23)의 상면에 가압함으로써 시트 블록(23)을 열용착 장치(22)에 고정한다.
열용착의 제1 공정으로서 열용착 장치(22)에 고정된 시트 블록(23)의 외주 리브 A(12)의 측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예컨대 그 표면 온도가 140℃로 설정된 히터 블록(26a)을, 예컨대 5초간 가압하여 시트 블록(23)의 외주 리브 A(12)의 외측 측면 및 외주 리브 A(12)와 인접하는 풍로 A(3) 및 풍로 B(4)가 형성되는 면에 구비된 풍로 단면 커버(15b)와 외주 리브 A(12)의 단면의 열용착을 행하고, 그 후 히터 블록(26a)을 시트 블록(23)으로부터 떼고, 다음에 제2 공정으로서,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컨대 그 표면 온도가 130℃로 설정된 히터 블록(26b 및 26c)을 시트 블록(23)의 풍로 A(3) 및 풍로 B(4)의 출입구가 형성되는 각각의 면으로 수직하게 예컨대 3초간 가압하여, 풍로 A(3) 및 풍로 B(4)의 출입구가 형성되는 각각의 면 및 풍로 A(3) 및 풍로 B(4)의 출입구가 형성되는 각각의 면과 외주 리브 A(12)와의 코너 부분의 열용착을 행하고, 제1 공정 및 제2 공정에 의해 지지판(25)과 밀접하는 면과 대향하는 외주 리브 A(12)의 외측 풍로와 A3 및 풍로 B(4)의 출입구가 형성되는 2면의 합계 3면의 열용착이 행해진다.
그 후, 누름판(24)을 시트 블록(23)으로부터 일단 떼어 시트 블록(23)의 설치방향을 180도 회전시키고, 다시 누름판(24) 및 지지판(25)에 의해 시트 블록(23)을 고정하고, 제1 공정 및 제2 공정과 마찬가지로 열용착의 제3 공정으로서 열용착 장치(22)에 고정된 시트 블록(23)의 외주 리브 A(12)의 측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히터 블록(26a)을 가압하고, 시트 블록(23)의 외주 리브 A(12)의 외측 측면 및 외주 리브 A(12)와 인접하는 풍로 A(3) 및 풍로 B(4)가 형성되는 면에 구비된 풍로 단면 커버(15b)와 외주 리브 A(12)의 단면의 열용착을 행하고, 그 후 히터 블록(26a)을 시트 블록(23)으로부터 떼고, 다음에 제4 공정으로서 히터 블록(26b 및 26c)을 시트 블록(23)의 풍로 A(3) 및 풍로 B(4)의 출입구가 형성되는 각각의 면으로 수직으로 가압하며, 풍로 A(3) 및 풍로 B(4)의 출입구가 형성되는 각각의 면 및 풍로 A(3) 및 풍로 B(4)의 출입구가 형성되는 각각의 면과 외주 리브 A(12)의 코너 부분의 열용착을 행하고, 제3 공정 및 제4 공정에 의해 지지판(25)과 밀접하는 면과 대향하는 외주 리브 A(12)의 외측 측면과 풍로 A(3) 및 풍로 B(4)의 출입구가 형성되는 2면의 합계 3면의 열용착이 행해지고, 열용착의 제1 공정, 제2 공정, 제3 공정 및 제4 공정에 의해 시트 블록(23)의 외주 리브 A(12)의 외측 측면과 풍로 A(3) 및 풍로 B(4)의 출입구가 형성되는 6면 모든 면에서, 열전도판 A(1) 및 열전도판 B(2)의 측면이 중합되는 부분의 열용착이 이루어진 열교환기(21)가 제조된다.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풍로 A(3) 및 풍로 B(4)의 출입구가 형성되는 면과 외주 리브 A(12)와의 코너 부분의 열용착이 히터 블록(26a, 26b 혹은 26c)에 의해 2회 행해짐으로써, 열용착이 이루어지기 어려운 코너 부분의 열용착을 확실히 행할 수 있고, 히터 블록(26a, 26b, 26c)을 각각 시트 블록(23)의 열용착면에 수직으로 가압함으로써 열용착을 행할 때의 열전도판의 외측 측면이 중합되는 부분의 밀착성을 높이고, 적층된 인접하는 열전도판의 풍로 A(3) 및 풍로 B(4)의 출입구가 형성되는 면에서 풍로 단면(7)과 외주 리브 B(13)의 측면, 풍로 단면 커버(15a)와 외주 리브 B(13)의 단면 및 풍로 단면 커버(15b)와 외주 리브 A(12)의 단면이 히터 블록(26b 및 26c)에 의해 열용착됨으로써 한 쪽의 풍로의 출입구부에 면하고 있는 다른 쪽의 풍로의 외주 리브 B(13)의 외측 측면이 밀봉되고, 적층된 인접하는 열전도판의 외주 리브 A(12)의 외측 측면에 있어서, 외주 리브 A(12)의 외측 측면끼리가 히터 블록(26)에 의해 열용착됨으로써 풍로의 모든 외주 부분이 밀봉되고, 또한 열전도판의 위치 어긋남이 억제되어 풍로의 밀봉성이 향상되며, 열전도판의 위치 어긋남에 기인하는 풍로의 밀봉성의 저하가 방지되고, 풍로 A(3) 및 풍로 B(4)의 밀봉성이 높은 열교환기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열용착 공정의 제1 공정과 제2 공정의 순서 및 제3 공정과 제4 공정의 순서를 교체해도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한 열용착 장치(22)로의 시트 블록(23)의 설치 방법을 열전도판의 적층 방향을 연직 방향으로 하였지만, 시트 블록(23)의 설치 방법을 열전도판의 적층 방향을 수평 방향으로 한 열용착 장치(22)를 이용해도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시트 블록(23)을 구성하는 열전도판 A(1) 및 열전도판 B(2)의 적층 매수는 일례이고, 열교환기의 통기 저항, 열교환 효율 등의 성능면에서 적절하게 설계된 경우라도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한 최하단에 배치하는 열전도판에 대해서도 특히 열전도판 A(1)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열전도판 B(2)를 최하단으로 하여 적층해도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히터 블록(26)의 온도, 개수, 용착 시간은 일례이고, 특히 그 값에 한정되는 일없이 양호한 용착 상태를 얻을 수 있도록 설계된 경우라도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7)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 7에 관해서, 도 2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한편, 실시예 1, 2, 3, 4, 5 및 6과 동일 부분은 동일 번호로 하고, 동일한 작용 효과를 갖는 것으로 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2는 본 실시예에 이용하는 열용착 장치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열용착 장치(22)는 열전도판 A(1) 및 열전도판 B(2)를 교대로 소정의 매수, 예컨대 열전도판 A(1) 및 열전도판 B(2)를 각각 61장씩 열전도판 A(1)를 최하단으로 하여 교대로 예컨대 적층 높이를 280㎜로 규정하는 적층한 시트 블록(23)의 적층 방향의 어긋남을 억제하고, 시트 블록(23)의 적층 높이를 규정하는 누름판(24)을 구비하며, 시트 블록(23)을 구성하는 열전도판의 수평 방향으로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하는 지지판(25)을 구비하고, 지지판(25)은 열전도판의 풍로 A(3) 및 풍로 B(4)의 출입구가 형성되는 외측 측면과 외주 리브 A(12)의 외측 측면과 합치하는 형상을 이루고 있고, 누름판(24) 및 지지판(25)에 의해 고정된 시트 블록(23)의 지지판(25)과 밀접하는 면과 대향하는 외주 리브 A(12)의 외측 측면의 열용착을 행하는 열용착 수단으로서의 히터 롤러(28a)를 구비하고, 누름판(24) 및 지지판(25)에 의해 고정된 시트 블록(23)의 지지판(25)과 밀접하는 면과 대향하는 풍로 A(3) 및 풍로 B(4)의 출입구가 형성되는 2면의 열용착을 행하는 열용착 수단으로서의 히터 롤러(28b 및 28c)를 구비하고, 히터 롤러(28a, 28b 및 28c)는 시트 블록(23)의 각각의 열용착면보다도 돌출하는 길이, 예컨대 15㎜씩 돌출하는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열용착 장치(22)에 시트 블록(23)을 지지판(25)과 밀접하도록 설치하고, 그 후 누름판(24)을 시트 블록(23)의 상면에 가압함으로써 시트 블록(23)을 열용착 장치(22)에 고정한다.
열용착 장치(22)에 고정된 시트 블록(23)의 외주 리브 A(12)의 측면에 대하여 히터 롤러(28a)를 가압하고, 적층 방향의 위쪽으로부터 아래쪽으로 회전 이동시킴으로써 외주 리브 A(12)의 측면의 열용착을 행하고, 그 후, 소정의 간격, 예컨대 30㎜의 간격을 두어 히터 롤러(28b 및 28c)를 시트 블록(23)의 풍로 A(3) 및 풍로 B(4)의 출입구가 형성되는 각각의 면으로 가압하며, 적층 방향의 위쪽으로부터 아래쪽으로 회전 이동시킴으로써 풍로 A(3) 및 풍로 B(4)의 출입구가 형성되는 각각의 면 및 풍로 A(3) 및 풍로 B(4)의 출입구가 형성되는 각각의 면의 열용착을 행하고, 지지판(25)과 밀접하는 면과 대향하는 외주 리브 A(12)의 외주 측면과 풍로 A(3) 및 풍로 B(4)의 출입구가 형성되는 2면의 합계 3면의 열용착이 행해진다.
그 후, 누름판(24)을 시트 블록(23)으로부터 일단 떼어 시트 블록(23)의 설치 방향을 180도 회전시키고, 다시 누름판(24) 및 지지판(25)에 의해 시트 블록(23)을 고정하며, 열용착 장치(22)에 고정된 시트 블록(23)의 외주 리브 A(12)의 측면에 대하여 히터 롤러(28a)를 가압하고, 적층 방향의 위쪽으로부터 아래쪽으로 회전 이동시킴으로써 외주 리브 A(12)의 측면의 열용착을 행하고, 그 후, 소정의 간격을 두어 히터 롤러(28b 및 28c)를 시트 블록(23)의 풍로 A(3) 및 풍로 B(4)의 출입구가 형성되는 각각의 면으로 가압하고, 적층 방향의 위쪽으로부터 아래쪽으로 회전 이동시킴으로써 풍로 A(3) 및 풍로 B(4)의 출입구가 형성되는 각각의 면 및 풍로 A(3) 및 풍로 B(4)의 출입구가 형성되는 각각의 면의 열용착을 행하고, 지지판(25)과 밀접하는 면과 대향하는 외주 리브 A(12)의 외주 측면과 풍로 A(3) 및 풍로 B(4)의 출입구가 형성되는 2면의 합계 3면의 열용착이 행해지고, 시트 블록(23)의 외주 리브 A(12)의 외측 측면과 풍로 A(3) 및 풍로 B(4)의 출입구가 형성되는 6면 모든 면에서, 열전도판 A(1) 및 열전도판 B(2)의 측면이 중합되는 부분의 열용착이 이루어진 열교환기(21)가 제조된다.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히터 롤러(28)가 열전도판의 적층 방향을 따라서 위쪽으로부터 아래쪽으로 회전 이동하기 때문에, 히터 롤러의 회전 방향과 열전도판의 외주 측면의 되돌림 방향이 동일한 방향이 되기 때문에 열전도판의 외주 측면의 열용착시에서의 되접힘, 절곡 등의 발생이 방지되고, 또한 열전도판의 외측 측면이 중합됨으로써 생기는 열전도판의 외측 측면의 절단부와 아래쪽에 위치하는 열전도판의 외주 측면과의 단차의 방향이 히터 롤러(28)와 대략 평행해지기 때문에 열전 도판의 외측 측면의 단차에 의한 열용착 불량이 방지되어 밀봉성이 높은 열교환기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열용착 장치(22)로의 시트 블록(23)의 설치 방법을 열전도판의 적층 방향을 연직 방향으로 하였지만, 시트 블록(23)의 설치 방법을 열전도판의 적층 방향을 수평 방향으로 한 열용착 장치(22)를 이용해도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시트 블록(23)을 구성하는 열전도판 A(1) 및 열전도판 B(2)의 적층 매수는 일례이고, 열교환기의 통기 저항, 열교환 효율 등의 성능면에서 적절하게 설계된 경우라도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또한 최하단에 배치하는 열전도판에 대해서도 특히 열전도판 A(1)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열전도판 B(2)를 최하단으로 하여 적층해도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8)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 8에 관해서, 도 23 및 도 2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한편, 실시예 1, 2, 3, 4, 5, 6 및 7과 동일 부분은 동일 번호로 하고, 동일한 작용 효과를 갖는 것으로 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3은 본 실시예에 이용하는 열교환기의 개략 사시도, 도 24는 그 개략 분해도이다.
도 23 및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열교환기(21)는 열전도판 A(1) 및 열전도판 B(2)를 교대로 소정의 매수, 예컨대 열전도판 A(1) 및 열전도판 B(2)를 각 각 61장씩 열전도판 A(1)를 최하단으로 하여 교대로 적층한 시트 블록(23)의 적층 방향의 양단에 탄성체로서의 발포 우레탄 시트(29)를 구비하고, 발포 우레탄 시트(29)는 그 두께가 예컨대 5㎜이며, 열전도판 A(1) 및 열전도판 B(2)의 평면 형상과 동일형상인 육각형상을 이루고 있고, 시트 블록(23)의 적층 방향의 양단에 발포 우레탄 시트(29)를 통해 제1 단면 부재로서의 천정판(30) 및 바닥판(31)을 구비하고, 천정판(30) 및 바닥판(31)은 발포 우레탄 시트(29) 및 시트 블록(23)의 양단에 배치된 열전도판 A(1) 또는 열전도판 B(2)의 외측 측면을 덮는 측면 커버(32)를 구비하고, 시트 블록(23)의 외주 리브 A(12)의 측면의 양면에 천정판(30)과 바닥판(31)과 연결하는 지지 부재로서의 측판(33a 및 33b)을 구비하고, 측판(33a 및 33b)의 양단에는 천정판(30) 및 바닥판(31)과의 연결부(34)가 절곡되어 형성되어 있고, 천정판(30) 및 바닥판(31)과 측판(33a) 및 측판(33b)에 설치된 연결부(34)는 나사(35)에 의해 체결되어 있으며, 천정판(30)의 상면에는 손잡이(36a)가 구비되고, 측판(33a)은 시트 블록(23)과는 반대 방향에 コ자형으로 절곡된 손잡이(36b)가 구비되고, 천정판(30), 바닥판(31) 및 측판(33)은 얇은 두께, 예컨대 0.5㎜의 철판에 의해 제조되어 있다.
열전도판의 적층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에 손잡이(36a)가 설치되고, 적층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 즉 외주 리브 A(12)의 측면에 손잡이(36b)가 설치됨으로써, 열전도판의 적층 방향 및 외주 리브 A(12)의 측면 방향에서 기기로의 착탈이 가능하고, 천정판(30) 및 바닥판(31)에 설치된 측면 커버(32)와 우레탄 시트(29)에 의해 천정판(30) 및 바닥판(31)과 시트 블록(23) 사이에서의 풍로 A(3) 및 풍로 B(4)와의 밀봉이 행해지고, 또한 측면 커버(32)에 의해 우레탄 시트(29), 시트 블록(23), 천정판(30) 및 바닥판(31)의 조립 시의 위치 맞춤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천정판(30), 바닥판(31), 측판(33)을 해체함으로써 시트 블록(23)을 교환 가능하고, 발포 우레탄 시트(29), 천정판(30), 바닥판(31), 측판(33) 및 나사(35)를 재이용할 수 있고, 시트 블록(23)도 폴리스티렌만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리사이클성이 높은 열교환기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측판(31a)을 コ자형으로 절곡한 손잡이(36b)를 형성하였지만, 도 25 및 도 26과 같이 풍로 A(3) 또는 풍로 B(4)의 출입구 방향으로 돌출시킨 형상으로 해도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고, 탄성체로서 우레탄 시트(29)를 이용했지만, 발포 에틸렌, 발포 스티렌 등의 그 밖의 수지의 발포체 혹은 고무의 발포체를 이용해도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고, 그 두께도 일례이고, 천정판(30) 및 바닥판(31)과 시트 블록(23) 사이에서의 풍로 A(3) 및 풍로 B(4)와의 밀봉을 확보할 수 있는 두께라면,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우레탄 시트(29)를 열전도판 A(1) 및 열전도판 B(2)의 평면 형상과 동일형상인 육각형상으로 하였지만, 그 중앙 부분을 뽑아낸 환형으로 해도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한 천정판(30), 바닥판(31) 및 측판(33)을 판금으로 하였지만, 알루미늄 등의 그 밖의 판금, 혹은 수지제로도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열교환기(21)의 착탈 방향이 한정되는 경우에는 그 착탈 방향에만 손잡이(36)를 설치해도 좋다.
또한, 시트 블록(23)을 구성하는 열전도판 A(1) 및 열전도판 B(2)의 적층 매수는 일례이고, 열교환기의 통기 저항, 열교환 효율 등의 성능면에서 적절하게 설계된 경우라도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또한 최하단에 배치하는 열전도판에 대해서도 특히 열전도판 A(1)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열전도판 B(2)를 최하단으로 하여 적층해도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9)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 9에 관해서 도 27 및 도 2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한편, 실시예 1, 2, 3, 4, 5, 6, 7 및 8과 동일 부분은 동일 번호로 하고, 동일한 작용 효과를 갖는 것으로 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7은 본 실시예에 이용하는 열교환기의 개략 사시도, 도 28은 그 개략 분해도이다.
도 27 및 도 2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열교환기(21)는 열전도판 A(1) 및 열전도판 B(2)를 교대로 소정의 매수, 예컨대 열전도판 A(1) 및 열전도판 B(2)를 각각 61장씩 열전도판 A(1)를 최하단으로 하여 교대로 적층한 시트 블록(23)의 적층 방향의 양단에 탄성체로서의 발포 우레탄 시트(29)를 구비하고, 발포 우레탄 시트(29)는 그 두께가 예컨대 5㎜이며, 열전도판 A(1) 및 열전도판 B(2)의 평면형상과 동일형상의 육각형상을 이루고 있고, 시트 블록(23)의 적층 방향의 양단에 발포 우레탄 시트(29)를 통해 제1 단면 부재로서의 천정판(30) 및 바닥판(31)을 구비하고, 천정판(30) 및 바닥판(31)은 발포 우레탄 시트(29) 및 시트 블록(23)의 양단에 배 치된 열전도판 A(1) 및 열전도판 B(2)의 외측 측면을 덮는 측면 커버(32)를 구비하고, 시트 블록(23)의 외주 리브 A(12)의 측면의 한 면에는 천정판(30)과 연속한 지지 부재로서의 측판(33a)과 바닥판(31)과 연속한 측판(33b)을 구비하고, 측판(33a)과 측판(33b)은 그 끝을 コ자형으로 절곡된 연결부에서 나사(35)에 의해 체결되어 있고, 시트 블록(23)의 외주 리브 A(12)의 측면의 다른 한 쪽 면에는 천정판(30) 및 바닥판(31)과 연속한 측판(33c)을 구비하고, 천정판(30), 바닥판(31), 측판(33a, 33b 및 33c)은 얇은 두께 예컨대 0.5㎜의 철판에 의해 제조되어 있다.
시트 블록(23)의 외주 리브 A(12)의 측면에 설치된 측판(33a)과 측판(33b)과 연결하는 コ자형의 연결부(34)가 열교환기(21)의 손잡이를 겸함으로써 외주 리브 A(12)의 측면 방향에서 기기로의 착탈이 가능하고, 천정판(30), 바닥판(31), 측판(33a, 33b 및 33c)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조립 작업이 용이하고, 측판(33a)과 측판(33b)을 체결하는 나사(35)를 제거함으로써 시트 블록(23)을 교환가능하고, 발포 우레탄 시트(29), 천정판(30), 바닥판(31), 측판(33) 및 나사(35)를 재이용할 수 있으며, 시트 블록(23)도 폴리스티렌만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리사이클성이 높은 열교환기를 얻을 수 있다.
한편, 탄성체로서 우레탄 시트(29)를 이용했지만, 발포에틸렌, 발포스티렌 등의 그 밖의 수지의 발포체 혹은 고무의 발포체를 이용해도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고, 그 두께도 일례이며, 천정판(30) 및 바닥판(31)과 시트 블록(23) 사이에서의 풍로 A(3) 및 풍로 B(4)와의 밀봉을 확보할 수 있는 두께라면, 동일한 작용 효과가 얻어지고,
우레탄 시트(29)를 열전도판 A(1) 및 열전도판 B(2)의 평면 형상과 동일형상의 육각형상으로 하였지만, 그 중앙 부분을 뽑아낸 환형으로 해도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한 천정판(30), 바닥판(31) 및 측판(33)을 판금으로 하였지만, 알루미늄 등의 그 밖의 판금, 혹은 수지제로서도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시트 블록(23)을 구성하는 열전도판 A(1) 및 열전도판 B(2)의 적층 매수는 일례이고, 열교환기의 통기 저항, 열교환 효율 등의 성능면에서 적절하게 설계된 경우라도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한 최하단에 배치하는 열전도판에 대해서도 특히 열전도판 A(1)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열전도판 B(2)를 최하단으로 하여 적층해도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10)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 10에 관해서, 도 29 및 도 30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한편, 실시예 1, 2, 3, 4, 5, 6, 7, 8 및 9와 동일 부분은 동일 번호로 하고, 동일한 작용 효과를 갖는 것으로 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9는 본 실시예에 이용하는 열교환기의 개략 사시도, 도 30은 그 개략 분해도이다.
도 29 및 도 3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열교환기(21)는 열전도판 A(1) 및 열전도판 B(2)를 교대로 소정의 매수, 예컨대 열전도판 A(1) 및 열전도판 B(2)를 각각 61장씩 열전도판 A(1)를 최하단으로 하여 교대로 적층한 시트 블록(23)의 외주 리브 A(12)의 측면의 양면을 따라 띠형 손잡이 부재로서의 수지 밴드(37)를 구비하고, 시트 블록(23)의 적층 방향의 양단에 제2 단면 부재로서의 발포 우레탄 시트(29)를 구비하고, 발포 우레탄 시트(29)는 그 두께가 예컨대 10㎜이고, 열전도판 A(1) 및 열전도판 B(2)의 평면형상과 동일형상인 육각형상을 이루고, 한 면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으며, 수지 밴드(37)는 시트 블록(23)의 적층 방향의 양단의 열전도판에 발포 우레탄 시트(29)의 점착에 의해 고정된다.
발포 우레탄 시트(29)를 시트 블록(23)의 적층 방향의 양단에 점착하는 작업에 의해 수지 밴드(37)의 고정 작업이 동시에 행해지기 때문에 적은 작업 공정수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발포 우레탄 시트(29)가 기기 탑재 시에 기기와 열교환기(21)의 열전도판 적층 방향의 단면에서 밀봉을 행하고, 수지 밴드(37)가 외주 리브 A(12)의 외측 측면 상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외주 리브 A(12)의 측면 방향에 착탈 가능하고, 시트 블록(23)으로부터 발포 우레탄 시트(29)를 박리함으로써 시트 블록(23)은 시트 재료의 폴리스티렌만으로 구성되게 되고 리사이클성이 높은 열교환기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수지 밴드(37)를 환형의 구조로 하였지만, 도 31 및 도 3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트 블록(23)의 외주 리브 A(12)의 측면의 한 면에 그 양단이 돌출하는 한 개의 밴드 형상으로 해도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고, 탄성체로서 우레탄 시트(29)를 이용했지만, 발포에틸렌, 발포스티렌 등의 그 밖의 수지의 발포체 혹은 고무의 발포체를 이용해도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고,
그 두께도 일례이며, 기기와 열교환기(21) 사이에서의 풍로 A(3) 및 풍로 B(4)와의 밀봉을 확보할 수 있는 두께라면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우레탄 시트(29)를 열전도판 A(1) 및 열전도판 B(2)의 평면 형상과 동일형상인 육각형상으로 하였지만, 그 중앙 부분을 뽑아낸 환형으로 해도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시트 블록(23)을 구성하는 열전도판 A(1) 및 열전도판 B(2)의 적층 매수는 일례이고, 열교환기의 통기 저항, 열교환 효율 등의 성능면에서 적절하게 설계된 경우라도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한 최하단에 배치하는 열전도판에 대해서도 특히 열전도판 A(1)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열전도판 B(2)를 최하단으로 하여 적층해도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11)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 11에 관해서, 도 33 및 도 3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한편, 실시예 1, 2, 3, 4, 5, 6, 7, 8, 9 및 10과 동일 부분은 동일 번호로 하고, 동일한 작용 효과를 갖는 것으로 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3은 본 실시예에 이용하는 열교환기의 개략 사시도, 도 34는 그 개략 분해도이다.
도 33 및 도 3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열교환기(21)는 열전도판 A(1) 및 열전도판 B(2)를 교대로 소정의 매수, 예컨대 열전도판 A(1) 및 열전도판 B(2)를 각각 61장씩 열전도판 A(1)를 최하단으로 하여 교대로 적층한 시트 블록(23)의 외주 리브 A(12)의 측면의 양면을 따라 띠형 손잡이 부재로서의 수지 밴드(37)를 구비하고, 시트 블록(23)의 적층 방향의 양단에 제2 단면 부재로서의 발포 우레탄 시트(29)를 구비하며, 발포 우레탄 시트(29)는 그 두께가 예컨대 10㎜이고, 열전도판 A(1) 및 열전도판 B(2)의 평면형상과 동일형상인 육각형상을 이루고, 한 면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고, 수지 밴드(37)는 시트 블록(23)의 적층 방향의 아래쪽의 단면에 발포 우레탄 시트(29)의 점착과 동시에 최하단의 열전도판 A(1)에 고정되며, 상단에서는 수지 밴드(37)가 발포 우레탄 시트(29)의 외측에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최하단의 열전도판 A(1)에 발포 우레탄 시트(29)를 점착하는 작업에 의해 수지 밴드(37)의 고정 작업이 동시에 행해지기 때문에 제조 공정수가 적고, 발포 우레탄 시트(29)가 기기 탑재 시에 기기와 열교환기(21)의 열전도판적층 방향의 단면에서 밀봉을 행하고, 수지 밴드(37)가 외주 리브 A(12)의 외측 측면 상 및 상면에 점착된 우레탄 시트(29)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외주 리브 A(12)의 측면 방향 및 열전도판의 적층 방향의 양방향에 착탈 가능하고, 시트 블록(23)으로부터 발포 우레탄 시트(29)를 박리함으로써 시트 블록(23)은 시트 재료의 폴리스티렌만으로 구성되게 되고 리사이클성이 높은 열교환기를 얻을 수 있다.
한편, 탄성체로서 우레탄 시트(29)를 이용했지만, 발포에틸렌, 발포스티렌 등의 그 밖의 수지의 발포체 혹은 고무의 발포체를 이용해도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우레탄 시트(29)를 열전도판 A(1) 및 열전도판 B(2)의 평면 형상과 동일형상인 육각형상으로 하였지만, 그 중앙 부분을 뽑아낸 환형으로 해도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 두께도 일례이고, 기기와 열교환기(21) 사이에서의 풍로 A(3) 및 풍로 B(4)와의 밀봉을 확보할 수 있는 두께라면,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우레탄 시트(29)를 열전도판 A(1) 및 열전도판 B(2)의 평면형상과 동일형상인 육각형상으로 하였지만, 그 중앙 부분을 뽑아낸 환형으로 해도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시트 블록(23)을 구성하는 열전도판 A(1) 및 열전도판 B(2)의 적층 매수는 일례이고, 열교환기의 통기 저항, 열교환 효율 등의 성능면에서 적절하게 설계된 경우라도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한 최하단에 배치하는 열전도판에 대해서도 특히 열전도판 A(1)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열전도판 B(2)를 최하단으로 하여 적층해도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12)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 12에 관해서, 도 35, 36, 37, 38 및 도 39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한편, 실시예 1, 2, 3, 4, 5, 6, 7, 8, 9, 10 및 11과 동일 부분은 동일 번호로 하고, 동일한 작용 효과를 갖는 것으로 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5는 본 실시예에 이용하는 열교환기의 개략 분해 사시도, 도 36은 열전도판의 적층 시의 개략 사시도, 도 37은 그 측면 부분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35 및 도 3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열전도판 B(2)의 외주 리브 A(12)의 상면에 측면 보강 돌출부(38)를 설치하고, 측면 보강 돌출부(38)의 폭은 예컨대 열전도판 A(1)의 외주 리브 A(12)의 폭과 동일한 4㎜로 하고, 돌출 높이는 외주 리브 A(12)의 표면에 대하여 4㎜의 연속적인 형상으로 한다.
열전도판 A(1)와 열전도판 B(2)를 교대로 적층했을 때, 도 3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열전도판 A(1)에 형성된 외주 리브 A(12)의 상면이 열전도판 B(2)에 형성된 외주 리브 A(12)의 이면에 맞닿고, 열전도판 B(2)에 형성된 외주 리브 A(12)의 상면이 열전도판 A(1)에 설치된 열전도면(5)의 이면에 맞닿으며, 또한 열전도판 B(2)의 외주 리브 A(12)에 형성된 측면 보강 돌출부(38)의 상면과 측면이 열전도판 A(1)에 형성된 외주 리브 A(12)의 이면과 측면에 맞닿는다.
상기 구성에 의해, 열교환기(21)의 외주 리브 A(12)의 외측 측면의 인접하는 면을 열용착할 때, 열전도판 A(1)의 외주 리브 A(12)의 중공 돌출 부분을 열전도판 B(2)의 측면 보강 돌출부(38)가 맞닿음으로써 가열된 열전도판이 용융한 후, 온도가 내려가 각각의 열전도판이 용착되었을 때, 온도 수축에 의한 측면부의 변형을 방지하고, 또한 변형에 기인한 밀봉성의 저하를 막아 측면부의 밀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측면 보강 돌출부(38)를 연속적인 형상으로 설명하였지만, 도 38 및 도 3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측면 보강 돌출부(38)를 단속적으로 한 구성으로도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13)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 13에 관해서, 도 40 및 도 4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 다.
한편, 실시예 1, 2, 3, 4, 5, 6, 7, 8, 9, 10, 11 및 12와 동일 부분은 동일 번호로 하고, 동일한 작용 효과를 갖는 것으로 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0은 본 실시예에 이용하는 열교환기의 개략 분해 사시도, 도 41은 열전도판의 적층 시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40 및 도 4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열전도판 A(1) 및 열전도판 B(2)의 외주 리브 A(12)의 폭은 예컨대 4㎜로 하고, 돌출 높이는 열전도면(5)의 표면에 대하여 2㎜의 형상으로 한다. 열전도판 A(1) 및 열전도판 B(2)는 상기 외주 리브 A(12)의 상면에 단속적인 측면 보강 돌출부(38)를 설치하고, 측면 보강 돌출부(38)의 폭은 예컨대 상기 외주 리브 A(12)의 폭과 동일한 4㎜로 하며, 돌출 높이는 외주 리브 A(12)의 표면에 대하여 2㎜로 한다. 또한, 열전도판 A(1)와 열전도판 B(2)의 측면 보강 돌출부(38)는, 열전도판 A(1)와 열전도판 B(2)를 교대로 적층했을 때, 열전도판 A(1)에 형성된 측면 보강 돌출부(38)의 상면과 측면이 열전도판 B(2)에 형성된 외주 리브 A(12)의 이면과 측면에 맞닿고, 열전도판 B(2)에 형성된 측면 보강 돌출부(38)의 상면과 측면이 열전도판 A(1)에 형성된 외주 리브 A(12)의 이면과 측면에 맞닿도록 열전도판의 적층 방향에 대하여 엇갈려 놓은 구성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열교환기(21)의 외주 리브 A(12)의 외측 측면의 인접하는 면을 열용착할 때, 열전도판 A(1) 및 열전도판 B(2)의 외주 리브 A(12)의 중공 돌출 부분을 각각의 측면 보강 돌출부(38)가 맞닿음으로써, 가열된 열전도판이 용융 한 후, 온도가 내려가 각각의 열전도판이 용착되었을 때, 온도 수축에 의한 측면부의 변형을 방지하고, 또한 변형에 기인한 밀봉성의 저하를 막아 측면부의 밀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14)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 14에 관해서 도 42 및 도 4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한편, 실시예 1, 2, 3, 4, 5, 6, 7, 8, 9, 10, 11, 12 및 13과 동일 부분은 동일 번호로 하고, 동일한 작용 효과를 갖는 것으로 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2는 본 실시예에 이용하는 열교환기의 개략 분해 사시도, 도 43은 열전도판의 적층 시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42 및 도 4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열전도판 A(1) 및 열전도판 B(2)의 외주 리브 A(12)의 폭은 예컨대 4㎜로 하고, 열전도판 A(1)의 돌출 높이는 열전도면(5)의 표면에 대하여 4㎜로 하며, 열전도판 B(2)의 돌출 높이는 열전도면(5)의 표면에 대하여 2㎜의 형상으로 한다. 열전도판 B(2)는 상기 외주 리브(12)의 상면에 단속적인 측면 보강 돌출부(38)를 설치하고, 측면 보강 돌출부(38)의 폭은 예컨대 상기 외주 리브 A(12)의 폭과 동일한 4㎜로 하며, 돌출 높이는 외주 리브 A(12)의 표면에 대하여 4㎜로 한다.
열전도판 A(1)와 열전도판 B(2)를 교대로 적층했을 때, 열전도판 A(1)에 형성된 외주 리브 A(12)의 상면과 측면이 열전도판 B(2)에 형성된 외주 리브 A(12)의 이면과 측면에 맞닿고, 열전도판 B(2)의 외주 리브 A(12)에 형성된 측면 보강 돌출 부(38)의 상면과 측면이 열전도판 A(1)에 형성된 외주 리브 A(12)의 이면과 측면에 맞닿는다.
상기 구성에 의해, 열교환기(21)의 외주 리브 A(12)의 외측 측면의 인접하는 면을 열용착할 때, 열전도판 A(1)의 외주 리브 A(12)의 중공 돌출 부분을 열전도판 B(2)의 측면 보강 돌출부(38)가 맞닿음으로써 가열된 열전도판이 용융한 후, 온도가 내려가 각각의 열전도판이 용착되었을 때, 온도 수축에 의한 측면부의 변형을 방지하고, 또한 변형에 기인한 밀봉성의 저하를 막아 측면부의 밀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로부터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의하면 풍로 리브, 외주 리브 A 및 외주 리브 B는 1장의 시트를 돌출형으로 절곡함으로써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경량으로 재료 투입량도 감소함으로써 재료 비용도 저감되고, 열전도판이 시트재의 단일 재료에 의해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리사이클성이 높고, 풍로 리브의 중공 부분으로도 유체가 흐르며, 풍로 리브에 있어서도 열교환이 행해짐으로써 열교환 효율이 향상되고, 홈 A와 홈 B의 밀접, 외주 리브 A 및 외주 리브 B의 상면과 그 위쪽에 적층된 열전도판과의 밀접 및 외측 측면의 맞닿음에 의해 풍로 A와 풍로 B의 밀봉이 행해지고, 돌기와 그 위쪽에 위치하는 열전도판에 설치된 외주 리브 B 및 홈 B과의 밀접함에 의해 열전도판의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기 어렵기 때문에, 열전도판의 절단 정밀도 및 위치 어긋남 등에 기인하는 밀봉성의 저하가 억제되고, 풍로 A와 풍로 B의 밀봉성이 높고, 또한 열전도판의 적층 작업이 용이하며, 생산 효율이 높은 열교환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열전도판의 요철 형상의 성형이 용이하고 생산성이 양호한 열교환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점성이 강하고 성형품의 휨이 작기 때문에, 밀봉성이 높고 작업 효율이 높은 열교환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재료 비용이 싸고, 성형 가공성 또한 치수 안정성이 양호하며, 생산 효율이 높은 열교환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성형 가공 후의 시트로부터 열전도판을 절단하는 동시에, 외주 리브 B의 외측 측면에 형성되는 개구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생산 효율이 높은 열교환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열전도판 A 및 열전도판 B의 적어도 2개의 각부에서, 인접하는 열전도판이 중합하는 부분이 적층 방향에 전장에 걸쳐 열용착되고, 적층된 열전도판이 서로 고정되기 때문에, 열전도판의 어긋남에 기인하는 풍로의 밀봉성의 저하가 방지되고, 밀봉성이 높은 열교환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풍로 A 및 풍로 B의 출입구가 형성되는 면에서 인접하는 열전도판이 중합되는 부분이 전면에 걸쳐 열용착되어 있기 때문에, 풍로 출입구 부분에서의 다른 쪽의 풍로와의 밀봉성이 향상되고, 밀봉성이 높은 열교환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인접하는 열전도판의 외측 측면이 중합되는 부분이 전면에 걸쳐 열용착되어 풍로의 모든 외측 측면부가 밀봉되기 때문에, 풍로의 밀봉성이 높은 열교환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인접하는 열용착면을 동시에 열용착함으로써 생산 효율이 높은 열교환 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개개의 열용착면을 확실히 열용착할 수 있고, 밀봉성이 높은 열교환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열용착 수단이 적층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 이동하기 때문에, 열전도판의 외주 측면이 그 되돌림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가압되어 열용착면의 상면이 하면에 확실히 가압됨으로써 열용착면이 확실히 용착되어 밀봉성이 높은 열교환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열전도판의 적층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 혹은 적층 방향에 손잡이가 설치됨으로써, 적층 방향 및 적층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에서 기기로 착탈 가능한 열교환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1 단면 부재와 지지 부재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제1 단면 부재와 지지 부재의 결합 작업의 공정수를 저감시킬 수 있고 생산 효율이 높은 열교환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2 단면 부재를 양 단면의 열전도판에 점착하는 동시에, 띠형 손잡이 부재의 고정이 행해지기 때문에 생산 효율이 높고, 제2 단면 부재가 탄성체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탑재 시의 열교환기 단면에서의 밀봉성이 높은 열교환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띠형 손잡이 부재가 열전도판의 적층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 혹은 적층 방향에 설치됨으로써, 적층 방향 및 적층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에서 기기로 착탈 가능하고, 제2 단면 부재를 상기 양 단면의 열전도판에 점착하는 동시에 띠형 손잡이 부재의 고정이 행해지기 때문에 생산 효율의 높이가 높고, 제2 단면 부재가 탄성체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탑재 시의 열교환기 단면에서의 밀봉성이 높은 열교환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열교환기의 외주 리브 A의 외측 측면의 인접하는 면을 열용착할 때, 열전도판 A의 외주 리브 A의 중공 돌출 부분을 열전도판 B의 측면 보강 돌출부가 맞닿음으로써 가열된 열전도판이 용융한 후, 온도가 내려가 각각의 열전도판이 용착되었을 때, 온도 수축에 의한 측면부의 변형을 방지하고, 또한 변형에 기인한 밀봉성의 저하를 막아 측면부의 밀봉성이 높은 열교환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열교환기의 외주 리브 A의 외측 측면의 인접하는 면을 열용착할 때, 열전도판 A 및 열전도판 B의 외주 리브 A의 중공 돌출 부분을 각각의 측면 보강 돌출부가 맞닿음으로써 가열된 열전도판이 용융한 후, 온도가 내려가 각각의 열전도판이 용착되었을 때, 온도 수축에 의한 측면부의 변형을 방지하고, 또한 변형에 기인한 밀봉성의 저하를 막아 측면부의 밀봉성이 높은 열교환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열전도판 B의 외주 리브 A의 상면에 측면 보강 돌출부를 설치하고, 열전도판 A와 상기 열전도판 B를 교대로 적층했을 때, 상기 열전도판 A에 형성된 상기 외주 리브 A의 상면이 상기 열전도판 B에 형성된 상기 외주 리브 A의 이면에 맞닿고, 상기 열전도판 B에 형성된 상기 외주 리브 A의 상면이 상기 열전도판 A에 설치된 열전도면의 이면에 맞닿으며, 또한 상기 열전도판 B의 상기 외주 리브 A에 형성된 상기 측면 보강 돌출부의 상면과 측면이 상기 열전도판 A에 형성된 상기 외주 리브 A의 이면과 측면에 맞닿은 것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열교환기의 외주 리브 A의 외측 측면의 인접하는 면을 열용착할 때, 가열된 열전도판이 용융한 후, 온도가 내려가 각각의 열전도판이 용착되었을 때, 온도 수축에 의한 측면부의 변형을 방지하고, 또한 변형에 기인한 밀봉성의 저하를 막아 밀봉성이 높은 열교환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측면 보강 돌출부를 단속적으로 한 것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열교환기의 외주 리브 A의 외측 측면의 인접하는 면을 열용착할 때, 가열된 열전도판이 용융한 후, 온도가 내려가 각각의 열전도판이 용착되었을 때, 온도 수축에 의한 측면부의 변형을 방지하고, 또한 변형에 기인한 밀봉성의 저하를 막아 밀봉성이 높은 열교환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열전도판 A 및 열전도판 B의 외주 리브 A의 상면에 측면 보강 돌출부를 설치하고, 상기 열전도판 A와 상기 열전도판 B를 교대로 적층했을 때, 상기 열전도판 A에 형성된 상기 측면 보강 돌출부의 상면과 측면이 상기 열전도판 B에 형성된 상기 외주 리브 A의 이면과 측면에 맞닿고, 상기 열전도판 B에 형성된 상기 측면 보강 돌출부의 상면과 측면이 상기 열전도판 A에 형성된 상기 외주 리브 A의 이면과 측면에 맞닿은 것을 나타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열교환기의 외주 리브 A의 외측 측면의 인접하는 면을 열용착할 때, 가열된 열전도판이 용융한 후, 온도가 내려가 각각의 열전도판이 용착되었을 때, 온도 수축에 의한 측면부의 변형을 방지하고, 또한 변형에 기인한 밀봉성의 저하를 막아 밀봉성이 높은 열교환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열전도판 A와 열전도판 B를 교대로 적층했을 때, 상기 열전도판 A에 형성된 상기 외주 리브 A의 상면과 측면이 상기 열전도판 B에 형성된 상기 외주 리브 A의 이면과 측면에 맞닿고, 상기 열전도판 B의 상기 외주 리브 A에 형성된 상기 측면 보강 돌출부의 상면과 측면이 상기 열전도판 A에 형성된 상기 외주 리브 A의 이면과 측면에 맞닿은 것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열교환기의 외주 리브 A의 외측 측면의 인접하는 면을 열용착할 때, 가열된 열전도판이 용융한 후, 온도가 내려가 각각의 열전도판이 용착되었을 때, 온도 수축에 의한 측면부의 변형을 방지하고, 또한 변형에 기인한 밀봉성의 저하를 막아 밀봉성이 높은 열교환기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열교환 환기 장치, 또는 그 밖의 공기 조화 장치에 이용되고, 다수의 열전도판을 교대로 적층하여 풍로 A 및 풍로 B를 교대로 형성하는 열교환기이다. 본 발명에 의한 열교환기는 경량이고 리사이클성이 양호하고, 또한 접착제를 이용하지 않고 풍로의 밀봉성이 높다.

Claims (19)

  1. 열전도판 A와 열전도판 B를 구비하고, 상기 열전도판 A는 S자형으로서 중공 돌출형으로 형성한 풍로 리브를 평행하게 등간격으로 복수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풍로 리브에 의해 S자형의 복수의 풍로 및 열전도면이 형성되고, 상기 열전도판 A의 상기 풍로의 입구와 출구에 풍로 단면을 설치하며, 상기 풍로 단면은 상기 풍로의 입구 및 출구 방향에 대하여 사교 혹은 직교하여 설치되고, 상기 풍로 리브의 돌출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상기 열전도면을 절곡하여 설치되고, 상기 풍로 단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상기 열전도판 A에 홈 A를 설치하고, 상기 복수의 풍로 리브의 연장선상이고 상기 홈 A와 상기 풍로 단면 사이의 열전도면에 상기 풍로 단면과 근접하여 상기 풍로 리브의 돌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중공 돌출형의 복수의 돌기를 설치하고, 상기 복수의 돌기는 상기 풍로 단면과 평행을 이루는 한 쌍의 측면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돌기는 상기 복수의 풍로 리브의 돌출 방향의 높이보다도 높은 형상을 이루고, 상기 풍로의 입구와 출구 이외의 상기 열전도판의 외주 가장자리부로서 상기 풍로의 입구와 출구에 인접하는 한 쪽의 대향하는 한 쌍의 외주 가장자리부 A를 상기 S자형의 복수의 풍로 리브의 중앙부와 평행하게 설치하고, 상기 풍로의 입구와 출구에 인접하는 다른 쪽의 대향하는 한 쌍의 외주 가장자리부 B를 상기 S자형의 복수의 풍로의 입구 또는 출구 부분의 상기 풍로 리브에 평행하게 설치하고, 상기 외주 가장자리부 A는 상기 풍로 리브의 돌출 방향과 동일한 방향에 상기 열전도면을 중공 돌출형으로 형성한 외주 리브 A를 구비하고, 상기 외주 리브 A의 돌출 방향의 높이는 상기 풍로 리브의 돌출 방향의 높이보다 높은 형상이고, 상기 외주 리브 A의 외측 측면은 그 되돌림 치수가 상기 열전도면에 대한 상기 외주 리브 A의 돌출 방향의 높이의 치수보다도 큰 치수를 갖도록 상기 풍로 리브의 돌출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되돌려지고, 상기 외주 가장자리부 B는 상기 풍로 리브의 돌출 방향과 동일한 방향에 상기 열전도면을 중공 돌출형으로 형성한 외주 리브 B를 구비하고, 상기 외주 리브 B의 돌출 방향의 높이는 상기 풍로 리브의 돌출 방향의 높이와 동일하게 이루어지고, 상기 외주 리브 B의 외측 측면에 개구부가 설치되도록 상기 외주 리브 B의 외측 측면의 중앙부는 상기 열전도면과 동일면까지 되돌려지고, 상기 외주 리브 B의 외측 측면의 양단에는 상기 풍로 단면의 되돌림 위치와 동일 위치까지 되돌려진 풍로 단면 커버를 설치하며, 상기 외주 리브 B의 상면에 홈 B를 구비하고, 상기 홈 B는 상기 외주 리브 B의 측면과 상기 홈 B의 중심선과의 거리가 상기 홈 A의 중심선과 상기 풍로 단면과의 거리와 동일한 위치에, 상기 홈 A의 길이 방향의 외면이 상기 홈 B의 길이 방향의 내면과 밀접하는 형상으로 상기 열전도면과 동일면까지 요입되어 있고, 상기 열전도판 B는 상기 열전도판 A와 거울상 관계를 이루고, 상기 열전도판 B의 형상 중 상기 열전도판 B의 외주 리브 A의 돌출 방향의 높이를 상기 풍로 리브의 돌출 방향의 높이와 동일하게 하며, 또한 상기 열전도판 B의 상기 외주 리브 A의 폭을 상기 열전도판 A에 구비된 상기 외주 리브 A의 폭보다도 넓은 형상을 이루는 형상으로 하고, 상기 열전도판 A 및 상기 열전도판 B를 각각 1장의 시트를 소재로 하여 일체 성형하고, 상기 열전도판 A의 상기 외주 리브 A와 상기 열전도판 B의 상기 외주 리브 A가 중합되도록 상기 열전도판 A와 상기 열전도판 B를 교대로 적층하고, 상기 열전도판 A와 상기 열전도판 B의 적층에 의해 풍로 A 및 풍로 B가 교대로 형성되는 열교환기이고, 상기 열전도판 A와 상기 열전도판 B가 교대로 적층될 때, 상기 풍로 리브, 상기 돌기, 상기 외주 리브 A 및 상기 외주 리브 B의 상면이 위쪽에 적층되는 열전도판과 맞닿고, 상기 홈 B가 상기 홈 B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열전도판에 설치된 상기 외주 리브 B의 상면과 맞닿고, 상기 돌기에 설치된 상기 풍로 단면과 평행을 이루는 한 쌍의 측면이 상기 돌기의 위쪽에 적층되는 열전도판에 설치된 상기 외주 리브 B의 내측 측면 및 상기 홈 B의 측면의 적어도 한 쪽과 맞닿고, 상기 풍로 단면과 상기 풍로 단면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열전도판에 설치된 상기 외주 리브 B의 외측 측면이 맞닿고, 상기 열전도판 A 및 상기 열전도판 B 각각에 설치된 상기 외주 리브 A의 측면끼리가 맞닿으며, 상기 풍로 단면 커버와 상기 풍로 단면 커버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열전도판에 설치된 상기 외주 리브 A 및 상기 외주 리브 B의 단면이 맞닿는 열교환기.
  2. 제1항에 있어서, 시트가 열가소성 수지 시트인 열교환기.
  3. 제1항에 있어서, 시트가 스티렌계 수지 시트인 열교환기.
  4. 제1항에 있어서, 시트가 폴리스티렌 시트인 열교환기.
  5. 제1항에 있어서, 열전도판 A 및 열전도판 B를 일체 성형할 때, 외주 리브 B의 외측 측면과 연속하고, 또한 그 단면 형상이 상기 외주 리브 B의 외측 측면에 형성되는 개구부와 동일한 직사각형부를 구비한 성형틀에 의해 성형 가공을 행하고, 성형 가공된 후, 상기 열전도판 A 및 상기 열전도판 B의 외측 측면을 따라 상기 직사각형부에 의해 형성된 부분 및 상기 열전도판 A 및 상기 열전도판 B 이외의 시트 부분을 절단함으로써, 상기 열전도판 A 및 상기 열전도판 B가 제조되는 열교환기.
  6. 제1항에 있어서, 열전도판 A 및 열전도판 B의 적어도 2개의 각부에 있어서, 인접하는 열전도판의 외측 측면에 형성된 풍로 단면 커버, 외주 리브 A, 외주 리브 B 또는 풍로 단면이 중합되는 부분이 적층 방향으로 전장에 걸쳐 열용착되어 있는 열교환기.
  7. 제1항에 있어서, 풍로 A 및 풍로 B의 출입구가 형성되는 면에 있어서, 인접하는 열전도판의 외측 측면에 형성된 풍로 단면 커버, 외주 리브 A, 외주 리브 B 및 풍로 단면이 중합되는 부분이 전면에 걸쳐 열용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8. 제1항에 있어서, 인접하는 열전도판의 외측 측면이 중합되는 부분이 전면에 걸쳐 열용착되어 있는 열교환기.
  9. 제6항, 제7항 또는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열교환기의 외측 측면의 인접하는 부분을 열용착할 때, 상기 열교환기의 외측 측면의 인접하는 부분의 형상에 합치한 형상의 열용착면을 갖는 열용착 수단에 의해, 상기 열교환기의 외측 측면의 인접하는 부분이 동시에 열용착되는 열교환기.
  10.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열교환기의 외측 측면의 인접하는 면을 열용착할 때, 열용착을 하는 각각의 면과 거의 동일형상인 열용착 수단을 열용착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열교환기의 외측 측면이 열용착되는 열교환기.
  11. 제6항, 제7항 또는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열용착면이 원통형을 이루는 열용착 수단에 의해, 상기 열용착 수단의 열용착면을 열교환기로 가압하면서 열전도판의 적층 방향을 따라서 위쪽으로부터 아래쪽으로 회전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열교환기의 외측 측면이 열용착되는 열교환기.
  12. 제1항, 제2항, 제3항, 제4항, 제5항, 제6항, 제7항 또는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열전도판 A 및 열전도판 B를 교대로 적층한 적층 방향의 양 단면에 각각 대향하도록 제1 단면 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제1 단면 부재는 외주 가장자리부에 적층된 상기 열전도판 A 및 상기 열전도판 B의 외측 측면을 덮는 측면판을 구비하며, 상기 적층된 열전도판의 외주 리브 A의 외측 측면에 양단이 상기 제1 단면 부재와 결합하는 지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단면 부재와 상기 양 단면에 위치하는 열전도판 사이에 개재하는 탄성체를 구비하고, 상기 탄성체는 양 단면에 위치하는 상기 열전도판의 적어도 외주 가장자리부를 가압하는 형상을 이루고, 상기 제1 단면 부재 또는 상기 지지 부재의 적어도 한 쪽에는 손잡이가 구비되어 있는 열교환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제1 단면 부재와 지지 부재는 상기 지지 부재 중 하나가 분단되도록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열전도판 A 및 열전도판 B를 교대로 적층한 적층 방향의 양 단면에 각각 대향하도록 탄성체를 통해 상기 제1 단면 부재를 배치하며, 적층된 열전도판의 외주 리브 A의 외측 측면에 상기 지지 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분단된 지지 부재의 분단 부분이 결합되는 열교환기.
  14. 제6항, 제7항, 또는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열전도판 A 및 열전도판 B를 교대로 적층한 양 단면에 위치하는 열전도판에 점착되는 제2 단면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단면 부재는 적어도 상기 열전도판 A 또는 상기 열전도판 B의 외주 가장자리부와 동일형상으로 성형된 탄성체로 구성되고, 외주 리브 A의 외측 측면의 적어도 한 면을 따라 띠형 손잡이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띠형 손잡이 부재는 상기 제2 단면 부재에 의해 양 단면에 위치하는 열전도판에 고정되어 있는 열교환기.
  15. 제6항, 제7항, 또는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열전도판 A 및 열전도판 B를 교대로 적층한 양 단면에 위치하는 열전도판에 점착되는 제2 단면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단면 부재는 적어도 상기 열전도판 A 또는 상기 열전도판 B의 외주 가장자리부와 동일형상으로 성형된 탄성체로 구성되고, 띠형 손잡이 부재를 외주 리브 A의 외측 측면을 따라 구비하며, 상기 띠형 손잡이 부재는 적층된 열전도판의 적층 방향의 한 쪽의 단면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면 부재에 의해 단면에 위치하는 열전도판에 고정되어 있고, 타단에 있어서는 상기 제2 단면 부재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는 열교환기.
  16. 제1항에 있어서, 열전도판 B의 외주 리브 A의 상면에 측면 보강 돌출부를 설치하고, 열전도판 A와 상기 열전도판 B를 교대로 적층하였을 때, 상기 열전도판 A에 형성된 상기 외주 리브 A의 상면이 상기 열전도판 B에 형성된 상기 외주 리브 A의 이면에 맞닿고, 상기 열전도판 B에 형성된 상기 외주 리브 A의 상면이 상기 열전도판 A에 설치된 열전도면의 이면에 맞닿으며, 또한 상기 열전도판 B의 상기 외주 리브 A에 형성된 상기 측면 보강 돌출부의 상면과 측면이 상기 열전도판 A에 형성된 상기 외주 리브 A의 이면과 측면에 맞닿은 열교환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보강 돌출부는 단속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열교환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열전도판 A 및 열전도판 B의 외주 리브 A의 상면에 측면 보강 돌출부를 설치하고, 상기 열전도판 A와 상기 열전도판 B를 교대로 적층했을 때, 상기 열전도판 A에 형성된 상기 측면 보강 돌출부의 상면과 측면이 상기 열전도판 B에 형성된 상기 외주 리브 A의 이면과 측면에 맞닿고, 상기 열전도판 B에 형성된 상기 측면 보강 돌출부의 상면과 측면이 상기 열전도판 A에 형성된 상기 외주 리브 A의 이면과 측면에 맞닿은 열교환기.
  19. 제17항에 있어서, 열전도판 A와 열전도판 B를 교대로 적층했을 때, 상기 열전도판 A에 형성된 상기 외주 리브 A의 상면과 측면이 상기 열전도판 B에 형성된 상기 외주 리브 A의 이면과 측면에 맞닿고, 상기 열전도판 B의 상기 외주 리브 A에 형성된 상기 측면 보강 돌출부의 상면과 측면이 상기 열전도판 A에 형성된 상기 외주 리브 A의 이면과 측면에 맞닿은 열교환기.
KR1020057022938A 2005-11-30 2003-06-05 열교환기 KR1007242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7022938A KR100724225B1 (ko) 2005-11-30 2003-06-05 열교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7022938A KR100724225B1 (ko) 2005-11-30 2003-06-05 열교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5326A KR20060015326A (ko) 2006-02-16
KR100724225B1 true KR100724225B1 (ko) 2007-05-31

Family

ID=37124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2938A KR100724225B1 (ko) 2005-11-30 2003-06-05 열교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422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8309B1 (ko) * 2013-08-12 2014-02-27 (주)월드이엔씨 배기열 회수용 열교환기
KR20240060368A (ko) 2022-10-28 2024-05-08 주식회사 에콤 전열교환기와 이를 이용한 열회수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7787B1 (ko) * 2007-01-12 2008-1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환기 장치의 열교환기
KR100737323B1 (ko) * 2007-02-23 2007-07-09 엘.에이에너지(주) 폐열회수환기장치
KR100783599B1 (ko) * 2007-03-09 2007-12-07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환기장치용 열교환기
CN110595023A (zh) * 2019-10-10 2019-12-20 台州市普瑞泰环境设备科技股份有限公司 全榫合热交换芯片长短对称流道龙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75385A (ja) * 1994-08-31 1996-03-19 Matsushita Seiko Co Ltd 熱交換素子
JPH08178577A (ja) * 1994-12-26 1996-07-12 Daikin Ind Ltd 熱交換エレメン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75385A (ja) * 1994-08-31 1996-03-19 Matsushita Seiko Co Ltd 熱交換素子
JPH08178577A (ja) * 1994-12-26 1996-07-12 Daikin Ind Ltd 熱交換エレメント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특허공개 평8-178577호
일본특허공개 평8-75385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8309B1 (ko) * 2013-08-12 2014-02-27 (주)월드이엔씨 배기열 회수용 열교환기
KR20240060368A (ko) 2022-10-28 2024-05-08 주식회사 에콤 전열교환기와 이를 이용한 열회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5326A (ko) 2006-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24271B1 (en) Heat exchanger
CA2664832C (en) Heat exchanging element
US20170106639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thermoforming two and three way heat exchangers
US7866379B2 (en) Heat exchanger
JP4279021B2 (ja) 熱交換器
CN107031142B (zh) 层叠结构体及其制造方法
CN110657694A (zh) 热交换器
KR100724225B1 (ko) 열교환기
JP4311056B2 (ja) 熱交換器
JP2017114111A (ja) 積層構造体の製造方法
JP4848718B2 (ja) 熱交換器
KR100917518B1 (ko) 열교환기
CN214333484U (zh) 热交换器及其内散热片
US20210199384A1 (en) Heat exchanger and inner fin thereof
JP4449529B2 (ja) 熱交換器
EP1189010A2 (en) Process for making a plastic counterflow heat exchanger
JP4466156B2 (ja) 熱交換器
JPH11254047A (ja) 熱交換器に使用する薄板の曲げ方法及び熱交換器
JP2022043445A (ja) 熱交換器の製造方法
JP2006097958A (ja) 熱交換器
JPH11264679A (ja) 熱交換器および熱交換方法
JP5206815B2 (ja) 熱交換器
WO2022075043A1 (ja) 熱交換器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2002372393A (ja) 熱交換素子とその製造方法
KR20080107819A (ko) 플라스틱 열교환장치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