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2169B1 - 음료용 포장용기 제조방법 및 그의 제조물 - Google Patents

음료용 포장용기 제조방법 및 그의 제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2169B1
KR100722169B1 KR1020050106658A KR20050106658A KR100722169B1 KR 100722169 B1 KR100722169 B1 KR 100722169B1 KR 1020050106658 A KR1020050106658 A KR 1020050106658A KR 20050106658 A KR20050106658 A KR 20050106658A KR 100722169 B1 KR100722169 B1 KR 1007221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material
packaging container
straw
beverage packaging
lam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6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9495A (ko
Inventor
조흥묵
Original Assignee
조흥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흥묵 filed Critical 조흥묵
Priority to KR10200501066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2169B1/ko
Publication of KR20070049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94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2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21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70/00Making flexible containers, e.g. envelopes or bags
    • B31B70/14Cutting, e.g. perforating, punching, slitting or trimm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70/00Making flexible containers, e.g. envelopes or bags
    • B31B70/008Stiffening or reinforc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70/00Making flexible containers, e.g. envelopes or bags
    • B31B70/74Auxiliary operations
    • B31B70/88Printing; Embo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2160/00Shape of flexible containers
    • B31B2160/10Shape of flexible containers rectangular and flat, i.e. without structural provision for thickness of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2160/00Shape of flexible containers
    • B31B2160/20Shape of flexible containers with structural provision for thickness of contents

Landscapes

  • Packag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Wrap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리 빨대구멍을 제3원자재에 천공한 후, 물성이 서로 다른 제1, 제2, 제3원자재를 합지시킴에 따라서, 빨대구멍에 관련된 포장용기의 내용물 저장성 및 기능성이 우수하고, 포장용기의 제조가 용이한 음료용 포장용기 제조방법 및 그의 제조물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음료용 포장용기 제조방법은 음료용 포장용기의 포장재를 제조하기 위해 합지장치와 천공장치 및 음료용 포장용기 제대장치를 이용하되, 상기 음료용 포장용기의 빨대 규격에 대응하게 제3원자재에 상기 천공장치로 천공구멍을 형성하는 천공단계(S10)와; 상기 합지장치에 의해 제2원자재에 제1원자재 혹은 제3원자재 중 어느 하나를 적층시켜 하나의 1차합지물로 형성하는 1차 합지단계(S20)와; 상기 1차합지물의 제2원자재면 위에 제1원자재 혹은 제3원자재 중 어느 하나를 적층 및 합체시켜서 상기 천공구멍에 별도의 실링 포일을 부설할 필요가 없는 2차합지물 형식의 포장재를 만드는 2차 합지단계(S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포장용기 제조방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음료, 포장용기, 알루미늄 포일, PET, LLDPE, PE, OPP, 빨대, 파우치

Description

음료용 포장용기 제조방법 및 그의 제조물{METHOD FOR MANUFACTURING BEVERAGE POUCH AND PRODUCT THEREOF}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빨대구멍을 갖는 스탠드업 타입 용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및 그의 A-A 확대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빨대구멍을 갖는 스탠드업 타입 용기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 포장용기 제조에 사용된 합지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5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합지장치에 의한 음료용 포장용기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제조물인 음료용 포장용기의 사시도 및 그의 선 B-B를 따라 절단한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제1원자재(LLDPE) 35, 45 : 접착제층
39 : 1차합지물 40 : 제2원자재(AL foil)
50 : 제3원자재(PET 또는 OPP) 51 : 천공구멍
100 : 2차합지물 110 : 제조물
111 : 빨대삽입부위
본 발명은 음료용 포장용기 제조방법 및 그의 제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료용 포장용기의 외장재 제조 단계에서부터 음료용 포장용기의 본체에 빨대구멍을 형성하는 음료용 포장용기 제조방법 및 그의 제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료용 포장용기는 그 소재에 따라 크게 페트(PET)류, 알루미늄캔, 종이팩, 유리병 등으로 나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음료제품 용기의 소재에 다양한 디자인이 도입되어 소비자의 호기심과 구매욕구를 더욱 더 자극시키고 있다.
이중에서도 페트 필름 소재의 음료용 파우치 용기는 캔 용기와 같이 일그러지거나 내부의 부식이 없으며, 종이팩과 같이 쉽게 찢어지거나 마모되어 내용물이 유출될 염려가 없고, 유리병과 같이 파열되거나 금이 갈 위험이 없다.
이와 같은 페트 소재의 음료용 팩 용기는 진공상태로 내용물의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며, 휴대하기 쉽고 가벼운 장점을 가지고 있어 널리 애용되고 있고, 주로 빨대를 이용해서 내용물을 섭취하게 되므로 페트용기에 빨대가 부착되어 제공된다.
이와 같은 페트소재의 팩 용기는 페트의 특성상 쉽게 절취되지 않기 때문에 빨대 삽입 부위를 특별히 얇게 처리하여 빨대가 쉽게 관통하도록 형성시키거나, 관통 부위에 덧씌워지는 절개 가능한 접착식 스티커를 제공하는 등의 방식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고가의 한약재를 포장 보관하는데 이용되는 파우치의 경우에는 사용자의 위생적인 음용을 위해 생산자 또는 공급자 및 사용자 자신 또한 취급에 더욱 신경을 쓸 수 밖에 없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외력에 의해 열려진 절개부를 통해 외부로 한약재가 유출되었을 경우 사용자가 입게 되는 경제적 손실은 이루 말할 수 없는 것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빨대구멍을 갖는 스탠드업 타입 용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의 양측 및 저부 테두리 모두가 밀폐되어 있으며, 내용물을 저장한 후 상부 테두리(9)를 밀봉시키고, 저부의 안쪽에서 접혀있던 바닥면(1a)을 바닥 형상으로 확장 가능하게 형성한 팩(pack)을 의미한다.
이런 용기의 본체(1)는 내측에서 바라볼 때, 합지형 외장재에 형성한 빨대구멍(1b)을 형성한 후, 합지형 외장재의 내측면에 내장재인 실링 포일(2)을 덧대어 배열한 다음, 실링 포일(2)과 접촉하는 상기 빨대구멍(1b)의 테두리 주변부위(2b)만을 융착시켜 융착 부위(8)가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즉, 도 1에서 확대한 선 A-A 단면과 같이, 합지형 외장재는 그의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폴리에틸렌(PE) 또는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재질의 내층(3)과, 알루미늄(AL) 포일층(4 : foil layer)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또는 방향성폴리프로필렌(OPP) 필름 재질의 외층(3)으로 이루어진 두께 구조를 갖 는다.
그러한 합지형 외장재의 두께 구조는 빨대구멍(1b)이 없는 경우, 상기와 같이 알루미늄 포일층(4)을 중간에 개재한 상태에서 해당 상층(3) 또는 하층(5)으로 감싸져 있기 때문에, 대기 중의 산소가 투과될 수 없고 내용물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다.
이런 종래의 빨대 피어싱 구조에서는, 상기 종래의 합지형 외장재를 관통하여 빨대가 쉽게 꼽혀질 수 있도록, 종래의 합지형 외장재 두께 전체에 걸쳐 미리 천공 작업에 의해 관통한 빨대구멍(1b)이 필요하다.
이런 빨대구멍(1b)을 갖는 합지형 외장재에는 띠 형상 또는 스트립(strip) 형상의 실링 포일(2)이 빨대구멍(1b)에 덧대어지도록 배열된 후, 빨대구멍(1b)의 테두리 주변부위(2b)가 융착되고, 경우에 따라 융착 주위의 잔여 실링(2c)이 제거된다.
여기서, 실링 포일(2)은 얇은 비닐막 형상으로서 단순히 빨대를 꼽아 사용할 때 쉽게 절개 또는 찢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므로, 상기 외장재의 두께 구조에 비해 적어도 빨대구멍(1b)의 연직 하부에 위치한 실링 포일(2)의 절개부위(2a)에 해당하는 곳에서 내구성이나 안전성이 상대적으로 떨어지고, 전체적으로 완전 밀폐형 파우치에 비해 내용물의 신선도 유지가 다소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런 종래 기술에 따른 빨대구멍을 갖는 스탠드업 타입 용기의 제조방법을 정리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피에 해당하는 원자재의 표면에 음료용 포장용기에 상응한 인쇄물을 인쇄하는 과정(S1)과; 인쇄된 원자재를 비롯하여 내피에 해당하는 모든 원자재들을 다층으로 동시에 적층하여 합지시키는 동시적 합지과정(S2)과; 상기 합지과정을 통해 얻은 합지물의 천공과정(S3)과; 실링 포일의 배열과정(S4)과; 천공된 구멍 주위에 실링 포일을 접합시키는 융착과정(S5)과; 융착 주위의 잔여 실링 포일을 제거하는 제거과정(S6)과; 제단 및 접합하여 실제 음료용 포장용기의 형상을 갖게 하는 밀봉하는 제대(sealing)과정(S7)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절차상 제조단계가 상대적으로 복잡하고 비효율적인 단점이 있다.
이처럼, 종래 기술에 따른 빨대구멍을 갖는 스탠드업 타입 용기의 제조방법은 별도로 부설하여야만 하는 실링 포일 때문에 비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빨대구멍의 위치에 알루미늄 포일이 감싸져 있지 않기 때문에 알루미늄 포일에 의해 완전 밀폐되는 안전성 있는 파우치의 제작이 불가능한 단점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미리 빨대구멍을 제3원자재에 천공한 후, 물성이 서로 다른 제1, 제2, 제3원자재를 합지시킴에 따라서, 빨대구멍에 관련된 포장용기의 내용물 저장성 및 기능성이 우수하고, 포장용기의 제조가 용이한 음료용 포장용기 제조방법 및 그의 제조물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에 대해 부연 설명하면, 본 발명에서는 포장재에 해당하는 제1, 제2, 제3원자재의 구성만으로 빨대구멍을 형성함에 따라, 종래 기술에서 빨대구멍에 덧대어지는 별도의 실링 포일 또는 폴리에틸렌을 부착할 필요가 없으며 포장 재는 물론 빨대구멍까지도 알루미늄 포일로 차단되어 더욱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고, 포장용기 제조공정이 단순한 음료용 포장용기 제조방법 및 그의 제조물이 제공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음료용 포장용기의 포장재를 제조하기 위한 합지장치, 천공장치 및 음료용 포장용기 제대장치를 이용한 음료용 포장용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음료용 포장용기의 빨대 규격에 대응하게 제3원자재에 상기 천공장치로 천공구멍을 형성하는 천공단계와; 상기 합지장치에 의해 제2원자재에 제1원자재 혹은 제3원자재 중 어느 하나를 적층시켜 하나의 1차합지물로 형성하는 1차 합지단계와; 상기 1차합지물의 제2원자재면 위에 제1원자재 혹은 제3원자재 중 어느 하나를 적층 및 합체시켜서 상기 천공구멍에 별도의 실링 포일을 부설할 필요가 없는 2차합지물 형식의 포장재를 만드는 2차 합지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포장용기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1차 합지단계 전에 상기 제3원자재의 표면에 소정 인쇄 도안을 인쇄하는 인쇄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1차 합지단계와 상기 2차 합지단계에서는 상기, 제1, 제2, 제3원자재 중 하나에 표면에너지 변화처리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 제1항에 개시된 음료용 포장용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제조물에 있어서, 상기 제조물은 다중으로 접착한 제1원자재, 제2원자재 및 제3원자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원자재는 30∼120마이크로미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두께를 갖는 폴리에틸렌(PE) 또는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재질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제2원자재는 6∼20㎛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두께를 갖는 알루미늄 포일 재질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제3원자재는 미리 그의 외표면에 인쇄가 되어 있는 것으로서, 12∼40㎛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두께를 갖는 PET 필름 또는 OPP 필름 재질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원자재에 해당하는 알루미늄 포일 재질의 빨대삽입부위가 인쇄가 된 제3원자재의 표면에 비해 상대적으로 알루미늄 광택을 갖고 있고, 상기 빨대삽입부위를 접착제층에 의해 덮어 코팅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한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 포장용기 제조방법 및 그의 제조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 포장용기 제조에 사용된 제조장치들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고, 도 5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제조장치들에 의한 음료용 포장용기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제조물인 음료용 포장용기의 사시도 및 그의 선 B-B를 따라 절단한 확대 단면도이다.
먼저, 도 3 및 도 4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 포장용기의 제조방법을 실 현하기 위한 제조장치들이 도시되어 있다.
예컨대, 본 발명에 사용된 제조장치는 제1, 제2원자재(또는 기재)의 1차 합지, 완성된 상기 1차합지물과 제3원자재의 2차 합지를 위한 합지장치(도 3과 도 4참조)와; 통상의 음료용 포장용기 형성을 위한 제대(sealing)장치(도 4참조)를 보여주고 있다.
본 발명의 음료용 포장용기는 통상적으로 완전 밀폐형 파우치, 팩 등에 사용되는 원자재들을 여러층으로 접합한 통상의 포장재를 이용하여 제작된다.
도 3에 보이는 바와 같이, 제1원자재(30)는 30∼120마이크로미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두께를 갖는 폴리에틸렌(PE) 또는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제2원자재(40)는 6∼20㎛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두께를 갖는 알루미늄 포일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3원자재(50)는 미리 그의 외표면에 인쇄가 되어 있는 것으로서, 12∼40㎛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두께를 갖는 PET 필름 또는 OPP 필름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제3원자재(50)의 외표면에는 통상의 음료용 포장용기를 위한 이미지, 형상, 사진, 일러스트, 문자, 부호, 글씨 등이 인쇄장치에 의해 인쇄되어 있다.
이하, 제1, 제2제조장치에 대한 설명을 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합지장치에서, 제1원자재(30)와 제2원자재(40)는 해당 원자재 공급기(U/W : Un-winder)에서 풀려진다.
특히, 제1원자재(30)의 일측 표면은 표면에너지 변화처리장치(31) 또는 코로나처리장치에 의해 표면에너지 변화처리가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원자재(40)의 표면에도 다른 표면에너지 변화처리장치에 의해 표면에너지 변화처리가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표면에너지 변화처리장치(31)는 일명, 코로나 처리(corona process)를 수행하는 장치로서, PE 또는 LLDPE인 제1원자재(30)를 비롯한 합성수지 재질의 박판 또는 필름 등의 표면에 전기적인 충격을 주어서, 표면의 상태가 표면에너지(단위 : Dyne) 40 ∼ 42 Dyne 범위내에서 유지되게 하여 미세한 요철을 갖도록 함에 따라 접착력을 증가시키는 프로세스이다.
표면에너지 변화처리된 제1원자재(30)의 일측 표면에는 접착제 도포장치(32)의 고무롤(R)과 요철형 스틸롤(S)을 통과하면서, 접착제(35)가 도포된다.
만일, 본 발명에서 접착제(35)를 대신하여 용융 PE를 대체 사용할 경우, 접착제 도포장치(32)도 통상의 압출 라미네이팅 공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용융 PE 도포장치로 대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접착제(35) 또는 용융 PE 중 어느 하나가 도포된 제1원자재(30)는 건조장치(36)를 통과하여 그의 접착제 두께가 다소 줄어들고 끈끈해진 상태에서 최적의 접착 가능 상태가 된다.
이런 제1원자재(30)와 제2원자재(40)는 1차 합지를 위한 다른 고무롤(R-1)과 스틸롤(S-1)의 사이로 공급되고, 중간에 개재된 접착제(35)에 의해 1차합지물(39)로서 1차 합지된 후, 해당 권취기(34)(R/W : Re-winder)에 회수된다. 역시 접착 제(35)도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용융 PE로 대체 가능하다.
해당 권취기(34)에 회수된 제1원자재(30)와 제2원자재(40)로 이루어진 1차합지물(39)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합지장치의 해당 원자재 공급기(37)(U/W : Un-winder)에 장착된다.
상기 합지장치의 원자재 공급기(37)는 1차합지물(39)을 해당 표면에너지 변화처리장치(31) 쪽으로 공급한다.
표면에너지 변화처리장치(31)는 앞서와 같은 방식으로 1차합지물(39)에 접착제가 도포될 측면에 표면에너지 변화처리를 수행한다.
이후, 1차합지물(39)은 해당 접착제 도포장치의 고무롤(R)과 요철형 스틸롤(S)을 통과하면서, 접착제(45)가 1차합지물(39)에 도포되고,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해당 건조장치를 통과한다.
한편, 제3원자재(50)는 천공기(미도시)에 의해 미리 계획된 위치에 빨대구멍으로 사용할 천공구멍(51)이 천공되어 있다.
여기서, 미리 계획된 위치에 천공되는 천공구멍(51)은 해당 음료용 포장용기의 통상적인 빨대 규격에 대응하게 설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제3원자재(50)의 표면에도 해당 표면에너지 변화처리장치에 의해 표면에너지 변화처리가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천공구멍(51)이 형성된 제3원자재(50)와, 상기 1차합지물(39)은 압착용 고무롤(R-1)과 스틸롤(S-1)을 통과하면서, 접착제(45) 또는 용융 PE 중 어느 하나에 의해 2차 합지된 후, 해당 권취기(54)(R/W : Re-winder)에 회수된다.
권취기(54)에 최종적으로 회수된 2차합지물(100)은 본 발명의 음료용 포장용기의 포장재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음료용 포장용기의 포장재 자체에는 천공구멍(51)이 미리 형성된 상태로 다른 식품 포장용 제1, 제2원자재(30, 40)가 적층 접합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 기술과 같이 별도의 실링 포일을 더 부설할 필요가 없게 된다.
이런 2차합지물(100)인 포장재는 통상의 음료용 포장용기 제대(sealing)장치로 옮겨진 후 규격, 사이즈, 디자인 별로 음료용 포장용기로서 완성된다.
여기서, 음료용 포장용기 제대장치는 소정의 용기 규격으로 2차합지물(100)인 포장재를 커팅하는 재단장치와, 음료와 같은 내용물 투입한 후 개구부위를 봉합, 즉 실링하는 봉합장치와, 포장된 빨대를 포장용기의 외부에 부착하는 빨대장착장치 등을 포함한다.
예컨대, 음료용 포장용기 제대장치는 도 6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조물(110)을 완성한다.
제조물(110)인 음료용 포장용기는 알루미늄 포일에 해당하고 도 3, 도 4에 도시된 제2원자재(4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접착제층(35, 45)이 더 개재되어 있는 두께 구조를 갖는다.
이런 두께 구조에서는 빨대구멍의 역할을 담당하는 천공구멍(51)이 미리 제3원자재(50)에 형성함에 따라, 결과적으로 2차합지물(100)의 외측 두께 일부에 천공구멍(51)이 표출되게 형성하면서 서로 다른 물성을 갖는 여러층의 원자재(30, 40, 50)들이 용기 내용물을 안정하게 보관할 수 있게 하고, 필요에 따라 천공구멍(51) 이 빨대(120) 등에 의해 통공되어 내용물을 음용할 수 있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음료용 포장용기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음료용 포장용기 제조방법은 제3원자재(PET 필름)에 소정 인쇄 도안을 인쇄하는 인쇄단계(S10)와; 해당 음료용 포장용기의 통상적인 빨대 규격에 대응하게 제3원자재(PET 또는 OPP 필름)에 천공구멍을 형성하는 천공단계(S20)와; 제1원자재(예 : PE 또는 LLDPE)와 제2원자재(예 : AL foil)를 적층하여 하나의 1차합지물로 형성하는 1차 합지단계(S30)와; 상기 1차합지물과 천공구멍을 갖는 제3원자재를 적층 및 합체시켜 포장재형식의 2차합지물을 만드는 2차 합지단계(S40)와; 상기 2차합지물을 실링하여 음료용 포장용기와 같은 제조물을 완성하기 위한 음료용 포장용기 제대단계(S50)를 포함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음료용 포장용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제조물(110)은 천공구멍(51)을 일 측면의 중앙 상단에 형성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조물(110)은 알루미늄 포일 재질의 빨대삽입부위(111)가 제3원자재(50)의 표면에 비해 상대적으로 알루미늄 광택을 갖기 때문에, 사용자로 하여금 빨대구멍에 해당하는 천공구멍(51)을 용이하게 찾도록 해준다.
또한, 제조물(110)에서 빨대삽입부위(111)는 덮여진 접착제층에 의해 일종의 코팅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빨대삽입부위(111)에서의 산소 투과를 방지할 수 있고, 알루미늄 포일의 특성에 의해 표면 산화가 없어 먼지 등이 쉽게 쌓이거나 오물 등이 묻어 지저분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부가적인 특징을 갖는다.
또한, 제조물(110)은 알루미늄 포일 재질의 빨대삽입부위(111)를 천공구멍(51)의 안쪽에 배치시킬 수 있게 됨에 따라, 종래 기술의 융착에 의한 표면 변형에 비교할 때 외형적으로 표면 상태가 균일하여 고품질 인쇄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조물(110)과 함께 제공되는 빨대(120)의 끝단은 화살촉과 같이 날카롭게 경사져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천공구멍(51)을 통해 삽입될 경우, 빨대(120)의 끝단이 먼저, 빨대삽입부위(111) 위의 접착제층(45)과 함께 제2원자재(40)인 알루미늄 포일의 특성(크랙 발생이 합성 수지보다 쉽게 발생되고, 합성수지가 아닌 접착제층으로 코팅되어 있는 특성)에 따라 제1원자재(30)까지도 용이하게 절개되는 개선된 빨대 피어싱 구조를 갖게 된다.
이런 경우, 천공구멍(51) 안쪽의 빨대삽입부위(111)가 빨대의 내경을 통해서 음료 내용물이 외부로 나올 수 있는 개방 상태가 된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물성이 다른 소재인 원자재들 중에서 미리 천공구멍을 형성한 원자재에 다른 원자재를 여러층으로 접합시킴으로써, 내용물의 저장성 및 기능성이 우수한 포장재를 양산할 수 있는 음료용 포장용기 제조방법 및 그의 제조물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이런 본 발명의 음료용 포장용기 제조방법은 천공구멍에 해당하는 빨대구멍을 위해 별도로 실링 포일을 부설할 필요가 없어서 계통적으로 단순한 제조공정을 통해 대량 생산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음료용 포장용기 제조방법은 빨대구멍의 빨대삽입부위를 산소 투과가 어려운 알루미늄 포일과 같은 제2원자재로 형성함에 따라, 내용물을 더욱 더 신선하고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음료용 포장용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제조물은 알루미늄 포일 재질의 빨대삽입부위가 상대적으로 육안 식별이 좋은 알루미늄 광택을 갖기 때문에, 사용자로 하여금 천공구멍인 빨대구멍을 용이하게 찾을 수 있도록 해주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음료용 포장용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제조물은 알루미늄 포일 재질의 빨대삽입부위를 천공구멍의 안쪽에 배치시킬 수 있음에 따라, 융착에 의해 표현이 변형된 종래 기술에 비해, 외형적으로 표면 상태가 균일하여 고품질 인쇄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음료용 포장용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제조물에서 빨대삽입부위는 덮여진 접착제층에 의해 일종의 코팅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빨대삽입부위에서의 산소 투과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알루미늄 포일의 특성에 의해 표면 흠집이 없어 먼지 등이 쉽게 쌓이거나 오물 등이 묻어 지저분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부가적인 효과를 갖는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음료용 포장용기 제조방법 및 그의 제조물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5)

  1. 음료용 포장용기의 포장재를 제조하기 위한 합지장치, 천공장치 및 음료용 포장용기 제대장치를 이용한 음료용 포장용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음료용 포장용기의 빨대 규격에 대응하게 제3원자재에 상기 천공장치로 천공구멍을 형성하는 천공단계(S20)와;
    상기 합지장치에 의해 제2원자재에 제1원자재 혹은 제3원자재 중 어느 하나를 적층시켜 하나의 1차합지물로 형성하는 1차 합지단계(S30)와;
    상기 1차합지물의 제2원자재면 위에 제1원자재 혹은 제3원자재 중 어느 하나를 적층 및 합체시켜서 상기 천공구멍에 별도의 실링 포일을 부설할 필요가 없는 2차합지물 형식의 포장재를 만드는 2차 합지단계(S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포장용기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합지단계(S30) 전에 상기 제3원자재의 표면에 소정 인쇄 도안을 인쇄하는 인쇄단계(S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포장용기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합지단계(S30)와 상기 2차 합지단계(S40)에서는 상기, 제1, 제2, 제3원자재 중 하나에 표면에너지 변화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포장용기 제조방법.
  4. 삭제
  5. 삭제
KR1020050106658A 2005-11-08 2005-11-08 음료용 포장용기 제조방법 및 그의 제조물 KR1007221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6658A KR100722169B1 (ko) 2005-11-08 2005-11-08 음료용 포장용기 제조방법 및 그의 제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6658A KR100722169B1 (ko) 2005-11-08 2005-11-08 음료용 포장용기 제조방법 및 그의 제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9495A KR20070049495A (ko) 2007-05-11
KR100722169B1 true KR100722169B1 (ko) 2007-05-28

Family

ID=38273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6658A KR100722169B1 (ko) 2005-11-08 2005-11-08 음료용 포장용기 제조방법 및 그의 제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21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3838U (ko) 2016-04-29 2017-11-09 임경환 기능성 파우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501B1 (ko) * 2007-07-06 2008-10-08 최성열 음료용 팩의 제작 방법 및 음료용 팩
KR102497451B1 (ko) 2020-11-06 2023-02-10 주식회사 보네르홈 안마 매트리스
KR20230041265A (ko) 2021-09-17 2023-03-24 오상훈 전신진동운동 마사지장치
KR102438631B1 (ko) 2021-10-28 2022-08-31 오상훈 전신 진동마사지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6958A (ja) 1996-06-28 1998-01-20 Daiwa Gravure Co Ltd 液体収納袋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6958A (ja) 1996-06-28 1998-01-20 Daiwa Gravure Co Ltd 液体収納袋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016958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3838U (ko) 2016-04-29 2017-11-09 임경환 기능성 파우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9495A (ko) 2007-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159546A1 (en) Container Inner Seal With A Releasable Panel
JP5423486B2 (ja) 三角錐形包装袋
KR100722169B1 (ko) 음료용 포장용기 제조방법 및 그의 제조물
EP1650137B1 (en) Packaging having a weakening line
US20210292071A1 (en) Deep drawing sheet
JPH09267819A (ja) アイスクリ−ム用包装材料、それを使用した包装袋および包装体
EP1919795B1 (en) Box-shaped package having an inner and outer package
JP2010143583A (ja) 密封容器
JP2008201422A (ja) 易開封性を有するバリア包装袋及びラミネートフィルム
JP6780228B2 (ja) 包装容器
JP4424645B2 (ja) 紙容器
KR200406725Y1 (ko) 음료용 포장용기
JP4899355B2 (ja) 包材
JP6468310B2 (ja) 容器用のブランク板及び筒状カートンの製造方法
KR101544545B1 (ko) 스트로우 파우치
JP5966492B2 (ja) 紙容器
JP2006027675A (ja) 熱収縮性ラベル、およびラベル付き容器
CN108883855B (zh) 包装容器及其解体方法
JP6281275B2 (ja) タブ材
JP6772537B2 (ja) 紙容器及びその解体方法
JP2015013682A (ja) 詰め替え用包装袋
JP6236861B2 (ja) 口栓付き包装袋
JP7490933B2 (ja) 包装体
JP6146518B2 (ja) 容器
JP6897133B2 (ja) 積層体及び包装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