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2135B1 - 조향각 센서를 이용한 차고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조향각 센서를 이용한 차고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2135B1
KR100722135B1 KR1020010047639A KR20010047639A KR100722135B1 KR 100722135 B1 KR100722135 B1 KR 100722135B1 KR 1020010047639 A KR1020010047639 A KR 1020010047639A KR 20010047639 A KR20010047639 A KR 20010047639A KR 100722135 B1 KR100722135 B1 KR 1007221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rage
steering angle
vehicle
sensor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7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3569A (ko
Inventor
김완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010047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2135B1/ko
Publication of KR200300135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35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2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21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2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 B60G17/04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fluid spring characteristics
    • B60G17/052Pneumatic spring characteristics
    • B60G17/0523Regulating distributors or valves for pneumatic springs
    • B60G17/0525Height adjusting or levelling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8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specific signal treatment or control meth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9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or the arrangemen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25Stroke; Height; Displac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40Steering conditions
    • B60G2400/41Steering ang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5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regulated action or device
    • B60G2500/30Height or ground clearance

Abstract

본 발명은 조향각 센서를 이용한 차고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 내 차체와 차축 간의 차고를 감지하는 차고 센서; 차량 핸들의 움직임에 따른 조향각을 감지하는 조향각 센서; 조향각 센서에 의해 감지된 조향각의 중심 값(0) 좌우로 임계값(theta 1) 이하이고 일정시간(T2) 이상 경과하면, 직진 주행으로 판단하여 차고 제어를 수행하기 위해 차고 제어 명령어를 제공하는 컨트롤러; 차고 제어 명령어에 따라 압축 공기를 발생하는 에어 콤퓨레셔; 에어 콤퓨레셔에 의해 발생되는 압축 공기를 통과시키거나 차단시키는 제어 밸브; 제어 밸브를 통과한 압축 공기에 따라 차고 센서에 의해 감지된 내륜 및 외륜의 차고를 제어하는 공기 스프링을 구비한다. 따라서, 선회시에 차고 제어로 인한 안정성 저하를 막을 수 있으며, 선회 완료 후, 차고가 좌우로 기울어지는 현상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조향각 센서를 이용한 차고제어장치{HEIGHT CONTROL APPARATUS BY USING STEERING ANG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향각 센서를 이용한 차고제어장치에 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향각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선회 구간에 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차고센서 20 : 조향각 센서
30 : 컨트롤러 40 : 에어 콤퓨레셔
50 : 제어밸브 60 : 공기 스프링
S1 : 내륜 S2 : 외륜
본 발명은 조향각 센서를 이용한 차고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향각 센서를 이용하여 직진 주행시에만 차고 조정을 수행하도록 하는 차고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차량의 차고 제어장치는 차고 센서를 이용하여 차체와 차축의 상대거리를 감지하는 차고의 변화량에 따라 에어 콤퓨레셔에서 발생된 압축 공기를 제어 밸브를 통해 에어 스프링으로 공급하여 차고의 높낮이를 제어한다.
즉, 차고 센서를 이용하면, 차량이 교차로에서 좌/우 회전하거나, U-턴시 또는 국도나 고속도로의 굽이 진 길에서 지속적인 차량 조향에 따라 선회시, 하중 이동에 의해 외륜 차고는 기준차고 보다 낮아지고, 내륜 차고는 기준차고 보다 높아져서 선회하는 동안 차고가 변동되는 것이다.
이때, 차고 센서만으로는 차고 변동이 적재물 변동에 의한 것인지, 아니면 차량 선회로 인한 하중 이동으로 인한 것인지를 인식할 수 없기 때문에 차량 선회로 인한 하중 이동을 차량의 적재물 변동으로 오인하여 차고의 내륜 및 외륜에 관계없이 차고를 유지하기 위해 압축 공기를 공급하여 기준까지 높이게 되어 차고 제어를 정확하게 수행할 수 없게 되는 결점이 있다.
또한, 차고 센서를 이용할 경우, 차량 선회가 상당히 지난 시점에서 차고를 유지하기 위해 외륜은 급기, 내륜은 배기를 수행하여 차고를 제어함에 있어서, 공기 스프링의 반응 속도가 느림에 따라 차량 선회 중 차고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없다.
그리고, 차량 선회 중 차고 변동은 차량의 안정성 면에 있어서도 바람직하지 않으며, 차량 선회 완료 후 직진 주행 시 다시 차고 평형을 맞추기 위해 급기/배기를 역으로 수행하는데 반응시간이 느려 차량이 기울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결점 및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조향각 센서를 이용하여 차량의 선회 주행 및 직진 주행을 판단하여 직진 주행 시에만 차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조향각 센서를 이용한 차고제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서 조향각 센서를 이용한 차고제어장치는 차량 내 차체와 차축 간의 차고를 감지하는 차고 센서; 상기 차량 핸들의 움직임에 따른 조향각을 감지하는 조향각 센서; 상기 조향각 센서에 의해 감지된 조향각의 중심 값(0)에서 좌우로 임계값(theta 1)을 초과하지 않고 일정시간(T2) 이상 경과하면, 직진 주행으로 판단하여 상기 차고 제어를 수행하기 위해 차고 제어 명령어를 제공하고, 상기 조향각의 중심 값(0)에서 좌우로 임계값(theta 1)을 초과하고 일정시간(T1) 이상을 유지하면, 상기 차량 선회 주행으로 판단하여 상기 차고 제어를 수행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차고 제어 명령어를 제공하는 컨트롤러; 상기 차고 제어 명령어에 따라 압축 공기를 발생하는 에어 콤퓨레셔; 상기 에어 콤퓨레셔에 의해 발생되는 압축 공기를 통과시키거나 차단시키는 제어 밸브; 및 상기 제어 밸브를 통과한 상기 압축 공기에 따라 상기 차고 센서에 의해 감지된 내륜 및 외륜의 차고를 제어하는 공기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조향각 센서를 이용한 차고제어장치에 대하여 도시한 도면으로서, 차고 센서(10)와, 조향각 센서(20)와, 컨트롤러(30)와, 에어 콤퓨레셔(40)와, 제어 밸브(50)와, 공기 스프링(60)을 포함한다.
차고 센서(10)는 차체와 차축 간의 상대거리를 측정하는 센서로서, 적재물 또는 승객의 증감에 따른 차고 변동, 또는 교차로나 U-턴시, 국도나 고속도로의 크게 굽이 진 길에서 지속적인 차량 조향에 따른 선회시, 차량의 차체와 차축 간의 불균형한 상태의 차고를 감지하여 컨트롤러(30)에 제공한다.
조향각 센서(20)는 교차로나 U-턴시, 국도나 고속도로의 크게 굽이 진 길에서 차량의 핸들 움직임에 따른 조향각을 감지하여 컨트롤러(30)에 제공한다.
컨트롤러(30)는 차고 센서(10)로부터 제공되는 불균형한 상태의 차고를 메모리(도시되지 않음)에 저장시킨 후, 조향각 센서(20)로부터 제공되는 조향각의 상태를 판단하는데, 도 2a, b를 참조하면, 조향각의 중심 값(0)에서 좌우로 임계값(theta 1) 이하이고 일정시간(T2) 이상 경과할 경우 차량 직진 주행으로 판단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불균형한 상태의 차고를 제어하기 위해 차고 제어 명령어를 에어 콤퓨레셔(40)에 제공한다. 반면에, 컨트롤러(30)는 도 2a, b를 참조하여 조향각의 중심 값(0)에서 좌우로 임계값(theta 1)을 초과하고 일정시간(T1) 이상을 유지할 경우 차량 선회 주행으로 판단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불균형한 상태의 차고를 제어하지 않는다.
에어 콤퓨레셔(40)는 압축공기를 발생하는 장치로서, 컨트롤러(30)로부터 제공되는 차고 제어 명령어에 따라 압축 공기를 발생하여 제어 밸브(50)에 제공한다.
제어 밸브(50)는 전자적인 신호에 의해 온/오프 되어 압축 공기를 통과 또는 차단시키는 밸브로서, 에어 콤퓨레셔(40)에 의해 발생되는 압축 공기를 통과시켜 공기 스프링(60)에 제공한다.
공기 스프링(60)은 차량의 차체와 차축 간에 위치하여 지지하거나, 내륜(S1) 및 외륜(S2)의 차고를 조절하는 스프링으로서, 제어 밸브(50)를 통과한 압축 공기에 따라 차고 센서(10)에 의해 감지된 내륜(S1) 및 외륜(S2)의 불균형한 상태의 차고를 균형적인 상태로 제어한다.
상술한 구성을 바탕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향각 센서를 이용한 차고제어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차량이 국도나 고속도로의 크게 굽이진 길에서 지속적인 조향 제어에 따라 선회시, 차고 센서(10)는 차량의 차체와 차축 간의 불균형한 상태의 차고를 감지하여 컨트롤러(30)에 제공하며, 또한 조향각 센서(20)는 차량의 핸들 움직임에 따른 조향각을 감지하여 컨트롤러(30)에 제공한다.
컨트롤러(30)는 차고 센서(10)로부터 불균형한 상태의 차고를 제공받아 메모리(도시되지 않음)에 저장시킨다. 이후, 컨트롤러(30)는 조향각 센서(20)로부터 제공되는 조향각의 상태를 판단한다.
즉, 도 2a, b를 참조하면, 상기 판단에서 조향각의 중심 값(0)에서 좌우로 임계값(theta 1) 이하이고 일정시간(T2) 이상 경과할 경우, 차량이 직진으로 주행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불균형한 상태의 차고를 균형 상태로 제어하기 위해 차고 제어 명령어를 에어 콤퓨레셔(40)에 제공한다.
반면에, 상기 판단에서 조향각의 중심 값(0)에서 좌우로 임계값(theta 1)을 초과하고 일정시간(T1) 이상을 유지할 경우, 차량이 선회 주행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불균형한 상태의 차고를 제어하지 않는다.
에어 콤퓨레셔(40)는 컨트롤러(30)로부터 제공되는 차고 제어 명령어에 따라 압축 공기를 발생하여 제어 밸브(50)에 제공하며, 제어 밸브(50)는 에어 콤퓨레셔(40)에 의해 발생되는 압축 공기를 통과시켜 공기 스프링(60)에 제공한다.
공기 스프링(60)은 제어 밸브(50)를 통과한 압축 공기에 따라 차고 센서(10)에 의해 감지된 내륜(S1) 및 외륜(S2)의 불균형한 상태의 차고를 균형적인 상태로 제어한다.
따라서, 차량의 선회 상태를 판단하여 선회시에는 차고 제어를 수행하지 않으며, 직진 주행시에만 차고제어를 수행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조향각 센서를 이용하여 차량의 선회 주행 및 직진 주행을 판단하여 직진 주행 시에만 차고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선회시에 차고 제어로 인한 안정성 저하를 막을 수 있으며, 선회 완료 후, 차고가 좌우로 기울어지는 현상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차량의 차고 제어장치에 있어서,
    차량 내 차체와 차축 간의 차고를 감지하는 차고 센서;
    상기 차량 핸들의 움직임에 따른 조향각을 감지하는 조향각 센서;
    상기 조향각 센서에 의해 감지된 조향각의 중심 값(0)에서 좌우로 임계값(theta 1)을 초과하지 않고 일정시간(T2) 이상 경과하면, 직진 주행으로 판단하여 상기 차고 제어를 수행하기 위해 차고 제어 명령어를 제공하고, 상기 조향각의 중심 값(0)에서 좌우로 임계값(theta 1)을 초과하고 일정시간(T1) 이상을 유지하면, 상기 차량 선회 주행으로 판단하여 상기 차고 제어를 수행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차고 제어 명령어를 제공하는 컨트롤러;
    상기 차고 제어 명령어에 따라 압축 공기를 발생하는 에어 콤퓨레셔;
    상기 에어 콤퓨레셔에 의해 발생되는 압축 공기를 통과시키거나 차단시키는 제어 밸브;
    상기 제어 밸브를 통과한 상기 압축 공기에 따라 상기 차고 센서에 의해 감지된 내륜 및 외륜의 차고를 제어하는 공기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각 센서를 이용한 차고제어장치.
  2. 삭제
KR1020010047639A 2001-08-08 2001-08-08 조향각 센서를 이용한 차고제어장치 KR1007221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7639A KR100722135B1 (ko) 2001-08-08 2001-08-08 조향각 센서를 이용한 차고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7639A KR100722135B1 (ko) 2001-08-08 2001-08-08 조향각 센서를 이용한 차고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3569A KR20030013569A (ko) 2003-02-15
KR100722135B1 true KR100722135B1 (ko) 2007-05-25

Family

ID=27718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7639A KR100722135B1 (ko) 2001-08-08 2001-08-08 조향각 센서를 이용한 차고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213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2419A (ko) * 1997-07-29 1999-02-25 박병재 자동차의 차고 제어장치
KR19990050737A (ko) * 1997-12-17 1999-07-05 정몽규 차량의 차고 가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2419A (ko) * 1997-07-29 1999-02-25 박병재 자동차의 차고 제어장치
KR19990050737A (ko) * 1997-12-17 1999-07-05 정몽규 차량의 차고 가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3569A (ko) 2003-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70874B2 (ja) 電子制御懸架装置の減衰力制御方法
KR910000317B1 (ko) 차고(車高) 조정 장치
US5884921A (en) Electric control apparatus for damper device in suspension system of automotive vehicle
US6061615A (en) Vehicle body level control system
KR100722135B1 (ko) 조향각 센서를 이용한 차고제어장치
JP4407217B2 (ja) サスペンション制御装置、サスペンション制御方法、及び車両制御システム
JP3800361B2 (ja) サスペンション制御装置
KR20020045291A (ko) 차량의 가속도 센서의 오차 보정 장치
JP2950897B2 (ja) 車両用ランプの向き制御装置
JP2525780Y2 (ja) エアー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3473292B2 (ja) 車両横転防止装置
KR100722140B1 (ko) 차량의 안티-롤 제어 방법
JPH01172093A (ja) 二輪車用減衰力調整装置
JP2007261461A (ja) 車輪状態検出装置および車高調整装置
JP2541346B2 (ja) 車両用アクティブ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20000055865A (ko) 전자 제어 현가 장치
JPS60191806A (ja) 自動車のサスペンシヨン
KR100719752B1 (ko) 전조등 조사각에 따른 적응적 차고 제어가 가능한 현가장치및 방법
JP2003063228A (ja) 車高調節装置
KR940003519Y1 (ko) 서스팬션 또는 안정기의 제어 장치
KR100559529B1 (ko) 차량의 자세 제어 장치
JPH0435278Y2 (ko)
KR100444453B1 (ko) 차량의 전자현가장치
JP2000103217A (ja) サスペンション制御装置
KR101194803B1 (ko) 전자식 현가 제어 장치 및 그 현가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1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