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1877B1 - 하급직원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하급직원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1877B1
KR100721877B1 KR1020050084913A KR20050084913A KR100721877B1 KR 100721877 B1 KR100721877 B1 KR 100721877B1 KR 1020050084913 A KR1020050084913 A KR 1020050084913A KR 20050084913 A KR20050084913 A KR 20050084913A KR 100721877 B1 KR100721877 B1 KR 1007218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ployee
work
information
management agent
staf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4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0341A (ko
Inventor
엄현석
Original Assignee
엄현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현석 filed Critical 엄현석
Priority to KR1020050084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1877B1/ko
Publication of KR20070030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03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1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18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06Q10/06398Performance of employee with respect to a job fun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든 직원들이 업무내용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급직원이 하급직원들의 업무를 결재, 평가하기 위한 하급직원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데이터 통신망; 회원으로 등록된 직원의 조작에 따라 업무내용 입력창을 제공하여 본인이 처리해야 할 업무내용을 일별, 주별, 월별, 년도 별로 입력할 수 있도록 서비스하고, 입력되는 업무내용 데이터를 업로드시키는 제1 직원관리 에이전트가 탑재된 제1 직원 단말기; 관리자에 의해 결정되어진 그룹에 속해있는 직원들의 업무내용을 온라인상에서 확인하고 결재하며, 평가할 수 있도록 권한이 부여되며, 제1 직원관리 에이전트에 의해 업로드된 업무내용 데이터를 온라인상에서 확인하고 결재하며, 업무결과를 통해 평가정보를 입력하는 제2 직원관리 에이전트가 탑재된 제2 직원 단말기; 및 제1 직원 단말기의 요청에 응하여 상기 제1 직원관리 에이전트를 통해 업무내용을 입력할 수 있도록 서비스하고, 상기 제1 직원관리 에이전트를 통해 업로드되는 업무내용 데이터를 이용하여 근무현황 정보 DB를 구축하는 한편, 결재 및 평가 권한이 부여된 직원 단말기의 제2 에이전트로 근무현황 정보 DB 중 부여된 권한에 속한 그룹의 직원에 의해 작성된 업무내용 데이터만 제공되도록 하는 직원관리 서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급직원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직원관리 서버는, 상급 직원이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하급 직원을 관리할 수 있도록 권한을 부여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직원관리 서버는, 전 직원의 프로필 정보와 부여된 권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직원정보 DB와, 전 직원의 식별정보에 매칭되어 업무내용이 저장되어 있는 근무현황정보 DB와, 그룹장에 의해 평가된 평가정보를 해당 직원의 식별정보에 매칭시켜 저장하고 있는 근무평가정보 DB와, 제1 직원관리 에이전트 또는 제2 직원관리 에이전트를 이용하여 온라인 접속을 이룬 직원에 의해 입력된 식별정보가 등록된 식별정보인지 판단하고, 등록된 식별정보인 경우 해당 직원에게 부여된 권한정보를 체크한 후 권한정보에 대응하는 서비스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직원식별모듈과, 전 직원이 자신의 단말기에 설치되어 있는 제1 직원관리 에이전트 또는 제2 직원관리 에이전트를 통해 일별, 주별, 월별 또는 년도별 업무내용을 입력할 수 있도록 서비스하는 근무현황 입력모듈과, 상급 직원이 자신의 단말기에 탑재된 제2 직원관리 에이전트를 통해 부여된 권한 그룹에 포함되는 하급 직원의 업무내용을 체크하고 결재할 수 있도록 서비스하며, 상기 제2 직원관리 에이전트를 통해 업로드되는 결재정보를 상기 근무현황정보 DB에 저장시켜 갱신하는 근무현황 결재모듈과, 상급 직원이 자신의 단말기에 탑재된 제2 직원관리 에이전트를 통해 부여된 권한 그룹에 포함되는 하급 직원의 업무처리 및 근무상태를 체크하고 평가할 수 있도록 서비스하며, 상기 제2 직원관리 에이전트를 통해 업로드되는 하급직원 평가정보를 상기 근무평가정보 DB에 저장시켜 갱신하는 근무평가 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 직원관리 에이전트 또는 제2 직원관리 에이전트는, 업무를 미리 입력하여 보관할 수 있는 예약 스케줄러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직원관리, 그룹관리, 업무현황, 결재, 평가

Description

하급직원 관리 시스템{SYSTEM AND FOR MANAGEMENT OF LOW LEVEL EMPOLYE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급직원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도 1에 적용된 제1, 제2 직원단말기에 직원관리 에이전트가 포함되어 있음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에 적용된 하급직원 관리서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하급직원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 데이터 통신망 200 : 제1 직원 단말기
300 : 제2 직원 단말기 400 : 하급직원 관리 서버
500 : 체크 단말기
본 발명은 하급직원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모든 직원들이 일일, 주간별, 월별, 년도 별로 진행할 업무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급직원이 일정 그룹으로 분류된 하급직원들의 업무를 결재하여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업무 진행 여부를 체크하여 평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하급직원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업 업무 관리 시스템은 개인의 작업환경을 자동으로 관리하는 사용자 워크 매니저와 개인의 업무 흐름을 관리하는 워크플로우 엔진으로 구분된다. 워크플로우는 정보의 흐름과 업무 프로세서에서의 제어로 표현할 수 있으며, 워크플로우 관리 시스템은 정보의 흐름과 업무 프로세스의 제어를 자동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기업은 다양한 업무 프로세스를 갖고 있으며, 업무 프로세스의 규칙 및 관리 효율이 제품의 생산성, 서비스의 질, 생산비 등을 결정한다. 업무 프로세스의 예로서는 주문 처리, 구매, 제품 생산, 결재 등 수많은 예가 있다.
현재 상용화되어 있는 워크플로우 관리 시스템은 업무 흐름을 정의하고, 담당자로부터 입력된 작업 진행 정보에 따라 정의된 업무흐름에 맞춰 업무를 처리하여 저장한다.
이러한 워크플로우 관리시스템은 전체적인 워크플로우만 관장하고, 업무진행에 대응되어 갱신된 작업내용 및 결정된 후속담당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처리만 하기 때문에 작업자들은 워크플로우 관리시스템에 액세스하기 전에는 업 무상 연계된 선행 작업자가 작업을 마쳤는지 새로운 작업을 할당받았는지를 알 수 없다.
따라서, 작업자는 현재 자신에게 할당된 작업이 있는지 또는 처리된 작업이 순조롭게 후속 담당자를 통해 처리되고 있는지에 대한 작업 진척도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워크플로우 관리시스템에서 정해 놓은 경로에 액세스하여 작업 현황을 알아보고 판단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한 사용자 액세스 형 작업 흐름 접근 방식은 사용자의 워크플로우 관리시스템의 접속 충실도에 따라 작업진행 효율이 결정되는 단점이 있고, 사용자는 수시로 워크플로우 관리 시스템에 액세스해야 하는 부담이 있다. 즉, 작업자는 할당받은 작업이 완료될 때 완료된 작업내용을 워크플로우 관리시스템에 입력하여야만 작업 진행 플로우가 갱신되기 때문에 비록 할당된 작업에 대한 처리는 완료하였으나 완료된 작업내용을 워크플로우 관리시스템에 입력하는 과정을 늦추거나 망각하는 경우 작업진행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작업자의 작업진행 흐름과 전산적으로 관리되는 작업진행 흐름이 일치되지 않게 되어 작업진척 효율을 떨어뜨릴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워크플로우 관리 시스템은 작업자들의 작업 진행 상황에 대응되는 작업 환경 변화 정보를 해당 담당자들에 별도의 조작 없이도 연계시켜 제공해주질 못해 전산 처리된 작업내용과 작업자들의 작업 처리 상황이 작업 진행 과정에서 부분적으로 이원화되는 경우가 발생하여 업무 처리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각종 업무에 대해 업무 처리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절차 안내 및 작성 방식 등을 전산적으로 가이드 해주질 못함으로써, 해당 업무 처리를 위해 필요한 정보 및 지식은 별도의 책자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아 작업진행 효율을 높일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필요성에 발맞추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모든 직원들이 일일, 주간별, 월별, 년도 별로 진행할 업무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급직원이 일정 그룹으로 분류된 하급직원들의 업무를 결재하여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업무 진행 여부를 체크하여 평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하급직원 관리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체크 단말기를 통해 해당 직원의 현재 상태가 출근 상태인지, 외출 상태인지, 퇴근 상태를 파악할 수 있고, 외출 상태인 경우 업무 내용을 통해 어떤 이유로 외출하였는지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하급직원 관리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예약 스케줄러를 제공하여 상급직원이 하급직원의 미래상황을 미리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업무처리가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하급직원 관리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터넷, 왑 등을 통해 근무지 이외의 장소에서도 업무내용을 입력, 변경하거나 업무처리 내용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결재 및 평가 또한 즉시 처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하급직원 관리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데이터 통신망; 회원으로 등록된 직원의 조작에 따라 업무내용 입력창을 제공하여 본인이 처리해야 할 업무내용을 일별, 주별, 월별, 년도 별로 입력할 수 있도록 서비스하고, 입력되는 업무내용 데이터를 업로드시키는 제1 직원관리 에이전트가 탑재된 제1 직원 단말기; 관리자에 의해 결정되어진 그룹에 속해있는 직원들의 업무내용을 온라인상에서 확인하고 결재하며, 평가할 수 있도록 권한이 부여되며, 제1 직원관리 에이전트에 의해 업로드된 업무내용 데이터를 온라인상에서 확인하고 결재하며, 업무결과를 통해 평가정보를 입력하는 제2 직원관리 에이전트가 탑재된 제2 직원 단말기; 및 제1 직원 단말기의 요청에 응하여 상기 제1 직원관리 에이전트를 통해 업무내용을 입력할 수 있도록 서비스하고, 상기 제1 직원관리 에이전트를 통해 업로드되는 업무내용 데이터를 이용하여 근무현황 정보 DB를 구축하는 한편, 결재 및 평가 권한이 부여된 직원 단말기의 제2 에이전트로 근무현황 정보 DB 중 부여된 권한에 속한 그룹의 직원에 의해 작성된 업무내용 데이터만 제공되도록 하는 직원관리 서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급직원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직원관리 서버는, 상급 직원이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하급 직원을 관리할 수 있도록 권한을 부여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직원관리 서버는, 전 직원의 프로필 정보와 부여된 권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직원정보 DB와, 전 직원의 식별정보에 매칭되어 업무내용이 저장되어 있는 근무현황정보 DB와, 그룹장에 의해 평가된 평가정보를 해당 직원의 식별정보에 매칭시켜 저장하고 있는 근무평가정보 DB와, 제1 직원관리 에이전트 또는 제2 직원관리 에이전트를 이용하여 온라인 접속을 이룬 직원에 의해 입력된 식별정보가 등록된 식별정보인지 판단하고, 등록된 식별정보인 경우 해당 직원에게 부여된 권한정보를 체크한 후 권한정보에 대응하는 서비스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직원식별모듈과, 전 직원이 자신의 단말기에 설치되어 있는 제1 직원관리 에이전트 또는 제2 직원관리 에이전트를 통해 일별, 주별, 월별 또는 년도별 업무내용을 입력할 수 있도록 서비스하는 근무현황 입력모듈과, 상급 직원이 자신의 단말기에 탑재된 제2 직원관리 에이전트를 통해 부여된 권한 그룹에 포함되는 하급 직원의 업무내용을 체크하고 결재할 수 있도록 서비스하며, 상기 제2 직원관리 에이전트를 통해 업로드되는 결재정보를 상기 근무현황정보 DB에 저장시켜 갱신하는 근무현황 결재모듈과, 상급 직원이 자신의 단말기에 탑재된 제2 직원관리 에이전트를 통해 부여된 권한 그룹에 포함되는 하급 직원의 업무처리 및 근무상태를 체크하고 평가할 수 있도록 서비스하며, 상기 제2 직원관리 에이전트를 통해 업로드되는 하급직원 평가정보를 상기 근무평가정보 DB에 저장시켜 갱신하는 근무평가 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 직원관리 에이전트 또는 제2 직원관리 에이전트는, 업무를 미리 입력하여 보관할 수 있는 예약 스케줄러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하급직원 관리시스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된 하급직원 관리시스템은 첨부 도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내통신망, 옥내통신망, 사설통신망, 인터넷, 인프라, 왑 등과 같은 유무선 통신망을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망(100)과, 회원으로 등록된 직원의 조작에 따라 업무내용 입력창을 제공하여 본인이 처리해야 할 업무내용을 일별, 주별, 월별, 년도 별로 입력할 수 있도록 서비스하고, 입력되는 업무내용 데이터를 업로 드시키는 제1 직원관리 에이전트(210)가 탑재된 제1 직원 단말기(200)와, 관리자에 의해 결정되어진 그룹에 속해있는 직원들의 업무내용을 온라인상에서 확인하고 결재하며, 평가할 수 있도록 권한이 부여되며, 제1 직원관리 에이전트(210)에 의해 업로드된 업무내용 데이터를 온라인상에서 확인하고 결재하며, 업무결과를 통해 평가정보를 입력하는 제2 직원관리 에이전트(310)가 탑재된 제2 직원 단말기(300)와, 제1 직원 단말기(200)의 요청에 응하여 상기 제1 직원관리 에이전트(210)를 통해 업무내용을 입력할 수 있도록 서비스하고, 상기 제1 직원관리 에이전트(210)를 통해 업로드되는 업무내용 데이터를 이용하여 근무현황 정보 DB(도2의 520)를 구축하는 한편, 결재 및 평가 권한이 부여된 직원 단말기의 제2 에이전트(310)로 근무현황 정보 DB(도2의 520) 중 부여된 권한에 속한 그룹의 직원에 의해 작성된 업무내용 데이터만 제공되도록 하는 직원관리 서버(400)와, 신체 식별정보를 통해 해당 직원의 출근, 퇴근, 외출을 체크하고, 체크 결과를 상기 직원관리 서버로 업로드하여 해당 직원의 근무현황 데이터가 갱신되도록 하는 체크단말기(500)로 구성된다.
상기 제2 직원관리 에이전트(310)는 상급직원의 업무내용을 입력할 수 있는 업무내용 입력창을 더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직원관리 에이전트(210) 또는 제2 직원관리 에이전트(310)는 업무를 미리 입력하여 보관할 수 있는 예약 스케줄러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직원관리 서버(400)는 상급 직원이 하나 또는 둘이상의 하급 직원을 관리할 수 있도록 권한을 부여한다.
그리고, 상기 직원관리 서버(400)는 첨부 도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 직원의 프로필 정보와 부여된 권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직원정보 DB(410)와, 전 직원의 식별정보에 매칭되어 업무내용이 저장되어 있는 근무현황정보 DB(420)와, 그룹장에 의해 평가된 평가정보를 해당 직원의 식별정보에 매칭시켜 저장하고 있는 근무평가정보 DB(430)와, 제1 직원관리 에이전트(210) 또는 제2 직원관리 에이전트(310)를 이용하여 온라인 접속을 이룬 직원에 의해 입력된 식별정보가 등록된 식별정보인지 판단하고, 등록된 식별정보인 경우 해당 직원에게 부여된 권한정보를 체크한 후 권한정보에 대응하는 서비스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직원식별모듈(440)과, 전 직원이 자신의 단말기에 설치되어 있는 제1 직원관리 에이전트(210) 또는 제2 직원관리 에이전트(310)를 통해 일별, 주별, 월별 또는 년도별 업무내용을 입력할 수 있도록 서비스하는 근무현황 입력모듈(450)과, 상급 직원이 자신의 단말기에 탑재된 제2 직원관리 에이전트(310)를 통해 부여된 권한 그룹에 포함되는 하급 직원의 업무내용을 체크하고 결재할 수 있도록 서비스하며, 상기 제2 직원관리 에이전트(310)를 통해 업로드되는 결재정보를 상기 근무현황정보 DB(420)에 저장시켜 갱신하는 근무현황 결재모듈(460)과, 상급 직원이 자신의 단말기에 탑재된 제2 직원관리 에이전트(310)를 통해 부여된 권한 그룹에 포함되는 하급 직원의 업무처리 및 근무상태를 체크하고 평가할 수 있도록 서비스하며, 상기 제2 직원관리 에이전트(310)를 통해 업로드되는 하급직원 평가정보를 상기 근무평가정보 DB(430)에 저장시켜 갱신하는 근무평가 모듈(470)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직원관리 에이전트(210)와 제2 직원관리 에이전트(310)는 실제로 동일한 에이전트이나 각 에이전트를 사용하는 직원의 권한에 따라 제공되는 인터페이스 화면에 차이가 있을 수 있어 서로 각각 명명한 것임을 밝혀두는 바이다.
그리고, 상기 상급직원은 자신의 단말기에 탑재된 제2 직원관리 에이전트(310)를 이용하여 하급직원을 실시간으로 통제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상위 직원이 하위 직원 그룹을 관리한다. 즉, 상위 직급이 하위 직급을 관리한다. 예를 들면 일반 직원 그룹은 대리직급에 의해 관리되고, 대리 직급의 그룹은 과장 직급에 의해 관리되고, 과장 직급의 그룹은 부장 직급에 의해 관리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하급직원 관리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 도면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원관리 서버(400)의 직원식별모듈(440)은 하급직원의 요청에 응하여 제1 직원 단말기(200)로 업무내용 입력창을 제공하는 제1 직원관리 에이전트(210)를 다운로드하여 상기 제1 직원관리 에이전트(210)를 통해 직원 본인이 처리해야 할 업무내용을 일별, 주별, 월별, 년도 별로 입력할 수 있도록 서비스한다(S100).
이때, 직원관리 서버(400)의 관리자는 전 직원을 대상으로 직급별로 분류하여 상급직원그룹과 하급직원그룹으로 분류한다. 그리고, 한 상급직원이 한 그룹의 하급직원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이룬다. 예를 들어 한 과장 상급직원이 10명의 팀원을 관리한다. 또한 상급직원들 또한 그보다 더 높은 그룹의 상급직원의 하급직원으로 편성된다. 예를 들어 한 부장 상급직원이 한 그룹의 과장 하급직원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이룬다.
그리고, 직원관리 서버(400)의 직원식별모듈(440)은 제1 직원단말기(200) 또는 제2 직원단말기(300)를 통해 온라인 접속을 이룬 직원에게 직원식별정보를 입력하도록 유도하고, 직원식별정보가 직원정보 DB(410)에 등록된 정보인지 판단한다. 판단 결과 등록된 직원식별정보인 경우 직원식별모듈(440)은 직원의 그룹을 체크한다. 체크 결과 하급직원인 경우 직원식별모듈(440)은 근무현황 입력모듈(450)을 연동시켜 제1 직원단말기(200)에 탑재된 제1 직원관리 에이전트(210)를 통해 업무내용을 입력할 수 있도록 서비스한다. 한편, 하급직원 그룹을 관리하는 상급직원인 경우 직원식별모듈(440)은 근무현황 입력모듈(450)과 근무현황 결재모듈(460), 근무평가모듈(470)을 연동시켜 본인의 업무내용을 입력할 수 있도록 서비스할 뿐만 아니라 관리 그룹에 속해있는 하급직원의 업무내용을 파악하여 결재하며, 업무처리 결과를 이용하여 해당 하급직원을 평가할 수 있도록 서비스한다.
그러면, 근무현황 입력모듈(450)은 제1 직원관리 에이전트(210)를 통해 업로드되는 업무내용 데이터를 이용하여 근무현황 정보 DB(420)를 갱신한다(S110).
한편, 직원관리 서버(400)의 직원식별모듈(440)은 상급직원의 요청에 응하여 상급 직원식별정보를 제공하는 한편 제2 직원단말기(300)로 결재 및 평가를 할 수 있는 창을 제공하는 제2 직원관리 에이전트(320)가 다운로드되도록 한다(S120).
그리고, 직원관리 서버(400)의 근무현황 결재모듈(460) 및 근무평가모듈(470)은 결재 및 평가 권한이 부여된 직원 단말기(300)의 제2 직원관리 에이전트(310)로 근무현황 정보 DB(420) 중 부여된 권한에 속한 그룹의 직원에 의해 작성된 업무내용 데이터만 상기 결재 및 평가창을 통해 제공되도록 한다(S130).
그리고, 직원관리 서버(400)의 근무현황 결재모듈(460) 및 근무평가모듈(470)은 상기 제2 직원관리 에이전트(310)를 통해 상급직원이 하급직원들의 업무내용을 온라인상에서 확인하고 결재하며, 평가할 수 있도록 서비스한다(S140).
한편, 상기 제1, 제2 직원관리 에이전트(210)(310)는 해당 직원이 자신의 스케줄을 미리 입력할 수 있는 달력형태를 가지는 예약 스케줄러를 제공한다. 그러면 해당 직원은 일자를 클릭하여 업무내용을 입력할 수 있는 창을 로딩시킨 후 상기 창에 업무내용을 입력한다. 상기 예약 스케줄러는 해당 직원이 휴가를 신청하게 되는 경우 일자의 색상을 빨간 색으로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하여 상급직원이 일자색상만 보고도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업무내용이 기록된 일자는 굵은 글자로 표시하거나 업무내용이 기록되지 않은 일자의 색상과 다르게 표시되도록 하여 결재 및 평가를 수행하는 상급직원이 한눈에 알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직원관리서버(400)는 데이터 통신망(100)에 연결된 체크단말기(100)를 통해 신체식별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직원정보 DB(410)에 등록된 신체식별정보인지를 체크하고, 등록된 신체식별정보인 경우 근무현황정보 DB(420)에 등록된 해당 직원의 식별정보에 매칭시켜 출근, 외출, 퇴근 여부를 체크한다. 이때 상기 신체식별정보는 홍채, 지문, 음성 등 본인임을 나타낼 수 있는 식별정보는 모두 포함된다 할 것이다.
한편, 권한이 부여된 직원들은 근무지 이외의 장소에서도 인터넷을 통해 직 원관리 서버(400)에 온라인 접속을 이룬 후 본인에게 부여된 권한을 이용할 수 있다. 즉, 업무내용 입력, 업무처리 결과입력, 결재, 평가 작업 등을 인터넷을 통해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이 영업직 사원을 대상으로 적용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영업건당 평가를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험사 영업직 사원이 소지하고 있는 PDA 단말기에 제 1 에이전트가 탑재되도록 하여, 영업이 이루어진 경우 그 즉시 제 1 에이전트를 통해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 제 1 에이전트는 상기 입력된 보험영업정보를 실시간으로 직원관리 서버로 업로드시켜, 상기 보험사 영업직 사원을 관리하는 관리자가 실시간으로 체크하여 영업건당 평가를 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축할 수도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포함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용 그리고 바람직한 실시예를 가지는 본 발명은 모든 직원들이 일일, 주간별, 월별, 년도 별로 진행할 업무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급직원이 일정 그룹으로 분류된 하급직원들의 업무를 결재하여 파악할 수 있 도록 하고, 업무 진행 여부를 체크하여 평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체크 단말기를 통해 해당 직원의 현재 상태가 출근상태인지, 외출상태인지, 퇴근상태를 파악할 수 있고, 외출상태인 경우 업무내용을 통해 어떤 이유로 외출하였는지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예약 스케줄러를 제공하여 상급직원이 하급직원의 미래상황을 미리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업무처리가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터넷, 왑 등을 통해 근무지 이외의 장소에서도 업무내용을 입력, 변경하거나 업무처리 내용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결재 및 평가 또한 즉시 처리될 수 있도록 하여 신속한 업무처리에 업무능률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데이터 통신망; 회원으로 등록된 직원의 조작에 따라 업무내용 입력창을 제공하여 본인이 처리해야 할 업무내용을 일별, 주별, 월별, 년도 별로 입력할 수 있도록 서비스하고, 입력되는 업무내용 데이터를 업로드시키는 제1 직원관리 에이전트가 탑재된 제1 직원 단말기; 관리자에 의해 결정되어진 그룹에 속해있는 직원들의 업무내용을 온라인상에서 확인하고 결재하며, 평가할 수 있도록 권한이 부여되며, 제1 직원관리 에이전트에 의해 업로드된 업무내용 데이터를 온라인상에서 확인하고 결재하며, 업무결과를 통해 평가정보를 입력하는 제2 직원관리 에이전트가 탑재된 제2 직원 단말기; 및 제1 직원 단말기의 요청에 응하여 상기 제1 직원관리 에이전트를 통해 업무내용을 입력할 수 있도록 서비스하고, 상기 제1 직원관리 에이전트를 통해 업로드되는 업무내용 데이터를 이용하여 근무현황 정보 DB를 구축하는 한편, 결재 및 평가 권한이 부여된 직원 단말기의 제2 에이전트로 근무현황 정보 DB 중 부여된 권한에 속한 그룹의 직원에 의해 작성된 업무내용 데이터만 제공되도록 하는 직원관리 서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급직원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직원관리 서버는, 상급 직원이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하급 직원을 관리할 수 있도록 권한을 부여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직원관리 서버는, 전 직원의 프로필 정보와 부여된 권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직원정보 DB와, 전 직원의 식별정보에 매칭되어 업무내용이 저장되어 있는 근무현황정보 DB와, 그룹장에 의해 평가된 평가정보를 해당 직원의 식별정보에 매칭시켜 저장하고 있는 근무평가정보 DB와, 제1 직원관리 에이전트 또는 제2 직원관리 에이전트를 이용하여 온라인 접속을 이룬 직원에 의해 입력된 식별정보가 등록된 식별정보인지 판단하고, 등록된 식별정보인 경우 해당 직원에게 부여된 권한정보를 체크한 후 권한정보에 대응하는 서비스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직원식별모듈과, 전 직원이 자신의 단말기에 설치되어 있는 제1 직원관리 에이전트 또는 제2 직원관리 에이전트를 통해 일별, 주별, 월별 또는 년도별 업무내용을 입력할 수 있도록 서비스하는 근무현황 입력모듈과, 상급 직원이 자신의 단말기에 탑재된 제2 직원관리 에이전트를 통해 부여된 권한 그룹에 포함되는 하급 직원의 업무내용을 체크하고 결재할 수 있도록 서비스하며, 상기 제2 직원관리 에이전트를 통해 업로드되는 결재정보를 상기 근무현황정보 DB에 저장시켜 갱신하는 근무현황 결재모듈과, 상급 직원이 자신의 단말기에 탑재된 제2 직원관리 에이전트를 통해 부여된 권한 그룹에 포함되는 하급 직원의 업무처리 및 근무상태를 체크하고 평가할 수 있도록 서비스하며, 상기 제2 직원관리 에이전트를 통해 업로드되는 하급직원 평가정보를 상기 근무평가정보 DB에 저장시켜 갱신하는 근무평가 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 직원관리 에이전트 또는 제2 직원관리 에이전트는, 업무를 미리 입력하여 보관할 수 있는 예약 스케줄러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급직원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신체 식별정보를 통해 해당 직원의 출근, 퇴근, 외출을 체크하고, 체크 결과를 상기 직원관리 서버로 업로드하여 해당 직원의 근무현황 데이터가 갱신되도록 하는 체크단말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급직원 관리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직원관리 에이전트는,
    상급직원의 업무내용을 입력할 수 있는 업무내용 입력창을 더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급직원 관리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050084913A 2005-09-13 2005-09-13 하급직원 관리 시스템 KR1007218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4913A KR100721877B1 (ko) 2005-09-13 2005-09-13 하급직원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4913A KR100721877B1 (ko) 2005-09-13 2005-09-13 하급직원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0341A KR20070030341A (ko) 2007-03-16
KR100721877B1 true KR100721877B1 (ko) 2007-05-28

Family

ID=41634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4913A KR100721877B1 (ko) 2005-09-13 2005-09-13 하급직원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18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0391B1 (ko) * 2007-04-11 2008-11-25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그룹 권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5006A (ko) * 2000-12-07 2002-06-19 구자홍 업무 관리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의 운영 방법
KR20030004838A (ko) * 2001-07-06 2003-01-15 에이원정보기술(주) 기업 업무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30005790A (ko) * 2001-07-10 2003-01-23 쌍용정보통신 주식회사 업무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5006A (ko) * 2000-12-07 2002-06-19 구자홍 업무 관리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의 운영 방법
KR20030004838A (ko) * 2001-07-06 2003-01-15 에이원정보기술(주) 기업 업무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30005790A (ko) * 2001-07-10 2003-01-23 쌍용정보통신 주식회사 업무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0341A (ko) 2007-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815168B (zh) 信息系统工程监理项目质量管理系统
CN112950162B (zh) 信息系统工程监理工作派发管理信息系统
US2012013087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Sales Transaction Data
WO2006041865A2 (en) Method for reengineering of business processes
CN103210405A (zh) 用于工作流整合的方法和系统
US20100257012A1 (en) Lead management system
JP2015225550A (ja) 勤怠シフトシステム、シフト割当サーバ
KR102197286B1 (ko) 거래업체별 인력 배치, 급여 정산 및 비용 정산을 위한 자동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CN110770771A (zh) 用于管理临时工的系统和界面
US20090307027A1 (en) Repair order management
WO2001061948A9 (en) Improved database access system
WO2021060029A1 (ja) 勤怠管理方法、勤怠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勤怠管理システム
US2007022599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Marketing, and Supporting Integrated Web-Based Software
KR101807762B1 (ko) 고용인 및 피고용인 사이의 인적 네트워크 시스템 및 운용방법
JP6205675B2 (ja) 労務財産情報管理装置、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0721877B1 (ko) 하급직원 관리 시스템
JP6374581B2 (ja) 労務財産情報管理装置、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4152021A (ja) 弁当予約方法、及び弁当予約システム
JP2002063616A (ja) 勤怠管理システム
US20120215718A1 (en) Computer Implemented System and Method for Aggregating, Analyzing and Distribut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Retirement Plans
JP2003108794A (ja) ジョブ管理方法およびアサインシステム
JP6749709B2 (ja) 労務財産情報管理装置、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6541850B2 (ja) 労務財産情報管理装置、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7078395B2 (ja) 就業管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220358466A1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employment mana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