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0109B1 - 승강보조 프레임과 이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승강로용거푸집 시스템 - Google Patents

승강보조 프레임과 이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승강로용거푸집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0109B1
KR100720109B1 KR1020050032289A KR20050032289A KR100720109B1 KR 100720109 B1 KR100720109 B1 KR 100720109B1 KR 1020050032289 A KR1020050032289 A KR 1020050032289A KR 20050032289 A KR20050032289 A KR 20050032289A KR 100720109 B1 KR100720109 B1 KR 1007201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panel
elevator
wall
lifting
transvers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2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0091A (ko
Inventor
최종학
최준호
신운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호
Priority to KR1020050032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0109B1/ko
Publication of KR20060110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00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0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01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20Fluid pressure source, e.g. accumulator or variable axial piston pump
    • F15B2211/205Systems with pumps
    • F15B2211/20507Type of prime mover
    • F15B2211/20515Electric mo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가 설치되는 승강로 형성을 위한 승강보조프레임과 이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거푸집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은 종래 턴버클 등의 절첩수단에 의하여 접히고 펴지는 공지된 엘리베이터 승강로 내벽 형성용 패널조립체를 이용하여 승강로를 형성함에 있어 아래층 승강로 형성 후 내벽패널조립체를 위층으로 인양하기 위하여 타워크레인 등의 공용 인양장치를 이용하는 방식의 경우 발생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 형성 작업에 공용 인양장비가 독점 사용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인양된 내벽패널조립체의 배근 및 타이로드 설치 전에 조립체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고 별도로 승강로 형성 작업에 독립적으로 사용되는 소형 전동 인양수단을 도입할 수 있도록 하는 승강보조프레임을 도입하고, 상기 승강보조프레임을 채용한 승강로용 거푸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로 시공을 위한 승강보조프레임은 엘리베이터의 승강로의 면적에 상응하는 간격을 유지하고 있으며, 건물 두 층 이상의 높이에 해당하는 높이를 갖는 다수의 종방향파이프;
상기 종방향파이프들을 연결하는 횡방향파이프; 및
상기 횡방향파이프 중 일부에 대칭되는 형태로 삽입되어 있어, 상기 횡방향파이프 외부로 돌출되어 엘리베이터 승강로를 이루는 벽체에 삽입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거푸집 시스템은 엘리베이터의 승강로의 면적에 상응하는 간격을 유지하고 있으며, 건물 두 층 이상의 높이에 해당하는 높이를 갖는 다수의 종방향파이프,
상기 종방향파이프들을 연결하는 횡방향파이프, 그리고
상기 횡방향파이프 중 일부에 대칭되는 형태로 삽입되어 있어, 상기 횡방향파이프 외부로 돌출되어 엘리베이터 승강로를 이루는 벽체에 삽입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승강보조프레임;
다수의 타이로드 끼움공이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외벽패널;
상기 외벽패널과 연결되도록 다수의 타이로드 끼움공이 형성되어 있고 승강로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내벽패널, 내부로 접힐 수 있도록 상기 내벽패널의 접면에 구비된 힌지, 상기 승강보조프레임의 종방향파이프를 위하여 상기 내벽패널에 부착된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내벽패널조립체;
상기 외벽패널 및 내벽패널 사이에 위치하는 철근골조체; 및
상기 내벽패널이 상기 힌지를 축으로 접히고 펴지도록 하는 절첩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엘리베이터, 승강로, 승강보조프레임, 외벽, 내벽, 패널, 패널조립체, 패널결합체, 절첩수단, 턴버클, 유압실린더, 인양수단, 권양기, 발판

Description

승강보조 프레임과 이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거푸집 시스템{AUXILIARY FRAME FOR ASCENT AND DESCENT AND CONSTRUCTION FORM SYSTEM FOR ELEVATOR CORE WALLS USING THAT}
도 1a 내지 도 1e는 승강보조 프레임(10)과 내벽패널조립체(P1)로 이루어진 거푸집시스템(S)을 이용한 일련의 승강로 벽체의 형성과정을 나타낸 도면들,
도 2a 및 도 2b는 각각 다른 형태의 내벽패널조립체(P1)를 위한 절첩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및 개략도,
도 3a 및 도 3b는 각각 다른 형태의 힌지와 힌지에 고정된 가이드링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사시도,
도 4a는 작업발판조립체의 사시도,
도 4b 및 도 4c는 내벽패널조립체의 펼쳐진 상태를 보강하는 고정수단으로서, 각각 모서리부분과 평판부분에 설치되는 고정수단의 사시도,
도 5는 내벽패널과 외벽패널 사이에 위치하는 트러스 철근골조체의 부분 분해사시도,
도 6a는 쐐기형 고정구를 구비한 패널결합체, 특히 외벽을 위한 패널결합체의 사시도,
도 6b는 다른 형태의 고정구를 나타낸 사사도,
도 6c는 패널연결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6d는 연결수단의 단면적확장부와 활주판의 결합과정을 나타낸 사시도,
도 7a 및 도 7b는 서로 다른 형태의 타이로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승강보조프레임 11: 종방향파이프
13A,13B,13C,13D: 횡방향파이프
15: 지지부
15A: 지지부재 15C: 탄성부재
P1: 내벽패널조립체 P2: 패널결합체
20,20A,20B; 패널 21,21A,21B: 끼움공
30: 고정구 30A: 활주판
30B: 고정판 40A,40B: 힌지
47A,47B: 고정수단 48: 부착판
49A,49B: 고정막대 50: 패널 연결구
51: 결합부재 55: 연결부재
60: 턴버클 70: 인양수단
80: 작업발판조립체 85: 안전망지지봉
90: 철근골조체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가 설치되는 승강로 형성을 위한 승강보조프레임과 이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거푸집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은 종래 턴버클 등의 절첩수단에 의하여 접히고 펴지는 공지된 엘리베이터 승강로 내벽 형성용 패널조립체를 이용하여 승강로를 형성함에 있어 아래층 승강로 형성 후 내벽패널조립체를 위층으로 인양하기 위하여 타워크레인 등의 공용 인양장치를 이용하는 방식의 경우 발생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 형성 작업에 공용 인양장비가 독점 사용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인양된 내벽패널조립체의 배근 및 타이로드 설치 전에 조립체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고 별도로 승강로 형성 작업에 독립적으로 사용되는 소형 전동 인양수단을 도입할 수 있도록 하는 승강보조프레임을 도입하고, 상기 승강보조프레임을 채용한 승강로용 거푸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를 위한 승강로는 건물 높이에 상응하는 길이 전체가 하나의 통로를 형성하여야 하므로 건물 축조시 상당한 기술력을 요하는 부분이다.
엘리베이터를 위한 승강로용 거푸집에는 힌지에 의하여 접면이 연결되고 턴버클 등의 절첩수단에 의하여 접히고 펴지는 다수의 패널조립체들과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실용신안등록 제0102364호(1997.01.03)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실용신안등록 제0132978호(1998.10.01) 『엘리베이터 승강로 시공용 거푸집』,
실용신안등록 제0200942호(2000.08.14) 『박스구조물 성형용 시스템폼』,
실용신안등록 제0242479(2001.07.31) 『건축물의 박스형 통로 시공용 거푸집 장치』,
실용신안등록 제0264288호(2002.01.30) 『승강기용 공동부 벽체를 성형하는데 사용되는 거푸집』 등이 있다.
상기 종래기술들은 대부분 힌지로 연결된 내벽패널조립체의 절첩수단 또는 힌지구조의 개량에 중점을 두고 있다.
종래 엘리베이터 승강로를 위한 패널조립체는 아래층의 승가로를 형성한 후 내벽패널조립체를 위층으로 인양할 때 타워크레인이나 윈치(winch) 등의 공용 인양장치를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내벽패널조립체를 위층으로 인양한 후 조립체를 지지 고정하는 방법은 철근골조체를 사이에 두고 외벽패널과 내벽패널을 타이로드로 연결 고정하는 것에 국한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므로 철근배근과 타이로드 설치 작업이 진행되는 동안 타워크레인 등의 공용 인양장비를 독점하게 되므로 다른 구역에서 공용 인양장비를 필요로 하는 작업 진행이 지연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실용신안공개 제1996-0022904호(1996.07.20) 『엘리베이터 코아 거푸집 및 작업발판 인양 후레임』 또는 실용신안등록 제0317313호(2003.06.10) 『엘리베이터 통로의 시공장비』에 제시된 작업발판을 이용할 경우 어느 정도 배근 전 내벽패널조립체의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어 공용 인양장비의 독점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나 고층건물이나 패널조립체의 하중에 따라 범용적인 적용이 불가능하다는 한계를 갖는다.
본 발명은 종래의 각종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형성을 위한 패널조립체의 인양과 지지 고정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아래층에서 위층으로 인양된 내벽패널조립체를 이용하여 거푸집을 형성하기 위하여 배근하고 타이로드를 설치하는 작업 이전에 조립체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고 별도로 소형 전동 인양수단을 도입할 수 있도록 하는 승강보조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승강보조프레임을 이용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거푸집 시스템을 제공하고, 거푸집 시스템에서 승강보조프레임 도입에 적합한 내벽패널조립체를 제공하고, 배근과 타이로드 설치 작업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패널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로 시 공을 위한 승강보조프레임은 엘리베이터의 승강로의 면적에 상응하는 간격을 유지하고 있으며, 건물 두 층 이상의 높이에 해당하는 높이를 갖는 다수의 종방향파이프;
상기 종방향파이프들을 연결하는 횡방향파이프; 및
상기 횡방향파이프 중 일부에 대칭되는 형태로 삽입되어 있어, 상기 횡방향파이프 외부로 돌출되어 엘리베이터 승강로를 이루는 벽체에 삽입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거푸집 시스템은 엘리베이터의 승강로의 면적에 상응하는 간격을 유지하고 있으며, 건물 두 층 이상의 높이에 해당하는 높이를 갖는 다수의 종방향파이프,
상기 종방향파이프들을 연결하는 횡방향파이프, 그리고
상기 횡방향파이프 중 일부에 대칭되는 형태로 삽입되어 있어, 상기 횡방향파이프 외부로 돌출되어 엘리베이터 승강로를 이루는 벽체에 삽입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승강보조프레임;
다수의 타이로드 끼움공이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외벽패널;
상기 외벽패널과 연결되도록 다수의 타이로드 끼움공이 형성되어 있고 승강로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내벽패널, 내부로 접힐 수 있도록 상기 내벽패널의 접면에 구비된 힌지, 상기 승강보조프레임의 종방향파이프를 위하여 상기 내벽패널에 부착된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내벽패널조립체;
상기 외벽패널 및 내벽패널 사이에 위치하는 철근골조체; 및
상기 내벽패널이 상기 힌지를 축으로 접히고 펴지도록 하는 절첩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a 이하의 각 도면에서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또는 십의 자리, 일의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지칭하며,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러한 기준에 의하여 참조부호와 구성요소와의 상관관계를 이해하면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시스템(S)을 설명함에 있어 엄격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성을 정하여 일관된 설명기준을 정하면, 도 1a에서 엘리베이터를 위한 승강로쪽을 내측, 그 반대쪽을 외측으로 정하고, 승강보조프레임(10)의 횡방향 파이프 중 지지부(15)가 설치된 파이프(13A)를 정면에서 바라 본 상태에서 전방과 후방 및 좌측과 우측을 나누며,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상하를 정한다.
먼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다른 승강보조프레임(10)은 엘리베이터의 승강로의 면적에 상응하는 간격을 유지하고 있으며, 건물 두 층 이상의 높이에 해당하는 높이를 갖는 다수의 종방향파이프(11)와 상기 종방향파이프들을 연결하는 횡방향파이프(13A,13B,13C,13D)를 포함하는데,
특히 첨부된 각 도면에서 거푸집시스템(S)은 통상적으로 가장 많은 형태를 차지하는 횡단면적이 사각형인 엘리베이터 승강로 형성에 적합한 형태를 갖고, 이에 따라 상기 승강보조프레임(10)은 대략 육면체의 모서리 위치에 각 파이프가 배열되어 있는 형태이다.
도시된 상기 종방향파이프(11)의 높이는 건물의 2층 높이에 해당하는 것이고, 특히 횡방향 파이프는 하부에 전후로 배열된 두 파이프(13A)와, 상기 두 파이프(13A)의 중간을 연결하여 지지하는 파이프(13B)(도 1c 참조), 그리고 전후좌우로 설치된 상부 파이프(13C), 두 파이프(13C)를 전후로 잇는 중앙파이프(13D)로 이루어진다.
특히 도 1a 및 도 1c에서, 상기 횡방향파이프 중 일부, 즉 하부의 전후 파이프(13A)에는 승강보조프레임(10) 전체가 승강로 공중에 고정되도록 하는 지지부(1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15)는 상기 하부의 전후 횡방향파이프(13A)의 각 양측에 대칭되는 형태로 삽입되어 있는 지지부재, 특히 상기 횡방향파이프(13A)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약간의 유격만을 갖도록 하는 외경을 갖는 파이프로 이루어진 지지부재(15A)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재(15A)는 자동으로 인출되는 것이 사용의 편리성을 위하여 바람직할 것인데, 프레임(10)의 중량을 가능한 줄이면서도 편리한 인출을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지지부재(15A)를 탄지하도록 상기 횡방향파이프(13A)에 장착된 탄성 부재(15C)가 구비되어 있다.
또 상기 횡방향파이프(13A)에는 좌우방향으로 슬릿(13a)과 이에 연통된 걸림홈(13b)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부재(15A)에는 걸림돌기 역할을 겸하는 손잡이(15B)가 결합되어 있어,
상기 손잡이(15B)가 상기 걸림홈(13b)에 위치할 경우에는 상기 지지부재(15)가 횡방향파이프(13A)에 수납되어 있고, 상기 손잡이가 상기 걸림홈을 벗어날 경우에는 탄성부재(15C)의 탄발력에 의하여 상기 지지부재가 횡방향파이프를 벗어나 노출된다.
상기 지지부재(15A)가 노출되었을 경우 도 1a에서와 같이, 아래층에 이미 형성된 승강로 벽체(W)의 끼움공(W1)에 상기 지지부재(15A)가 삽입되어 프레임 전체를 지지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1a 및 도 5에서 상기 승강보조프레임을 이용하는 거푸집 시스템(S)은 상기 프레임(10)을 비롯하여, 외벽패널(20A)과, 일반적인 이형봉강을 승강로 벽체의 두께에 맞게 배근하여 형성하거나 배근과정의 간략화를 위하여 개발된 트러스(truss)철근으로 이루어진 철근골조체, 그리고 상기 철근골조체를 사이에 두고 각 끼움공(21A)(21B)에 삽입되는 타이로드를 통하여 상기 외벽패널(20A)과 연결되는 내벽패널(20B)을 포함한다.
도 1a 내지 도 1e에 도시된 거푸집 시스템(S)에서는 내벽패널 조립체(P1)와 승강보조 프레임(10)에 대한 보다 명확한 파악을 위하여 외벽패널을 생략한 형태로 도시하고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철근골조체가 트러스 철근골조체(90)로서 벽체 두께에 상응하는 간격을 유지하고 있는 두 주철근(91A,91B)과 이를 연결하는 지그재그형 래티스(lattice)근(93)의 배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 도 5,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타이로드(R)(R')는 상기 골조체(90)의 주철근(91A,91B)에 갈고리(R2a,R2b(다만 이는 고리 형태를 갖는다))(R2')를 통하여 좌우 대칭된 형태로 고정되고, 상기 주철근(91A,91B)과 외벽 및 내벽패널(20A)(20B)을 상호 떨어뜨려 주철근의 콘크리트 외부 노출로 인한 부식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각각 금속이나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진 돔(dome) 형상 또는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콘 형상으로 된 이격부재(R3)(R3')를 갖는다. 도 7a에서 참조부호 R3a는 돔 형 이격부재(R3)의 위치 이탈방지를 위한 눌림부이다.
상기 타이로드(R)(R')의 패널(20A)(20B) 외면에 노출되는 단부에는 단면적확장부(R1)(R1')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외벽패널 및 내벽패널은 철근골조체를 사이에 두고 타이로드를 통한 긴장된 결합과 결합과정의 간략성을 위하여 도 1a, 도 5 및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결합체(P2)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패널결합체(P2)는 도 6a에 보다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간격 떨어져 규칙적으로 형성된 끼움공(21)을 갖는 패널(20)과, 활주수단에 의하여 슬라 이드 가능한 형태로 상기 패널(20)의 끼움공(21)에 상응하는 위치마다 배열되어 있는 쐐기 형상의 활주판(30A)을 포함하는 고정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패널(20)은 합판, FRP와 같은 합성수지 소재, 또는 금속판으로 되어 있어 합벽의 콘크리트 양생 후 제거되는 형태로 사용되고, 이를 위하여 상기 패널(20)의 후면에는 콘크리트와의 분리 용이성을 위하여 박리제 또는 탈형제로 불리는 공지된 코팅제가 도포될 수 있다.
상기 패널(20) 전면부에 부착되는 고정구(30)는 상기 패널(20)의 끼움공(21) 위치마다 배열되어 있으며, 활주수단과, 상기 활주수단에 의하여 슬라이드 가능한 형태로 상기 패널(20)에 부착되는 활주판(30A)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활주판(30A)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저점 부근의 확장부(33a)와 최저점에서 최고점까지 이어져 있으며 상기 확장부(33a)와 연통된 협소부(33b)로 이루어진 슬릿(33A)이 형성되어 있고 돌출 형성된 쐐기부(33)와, 상기 쐐기부(33)가 형성되어 있는 평판 형상의 접촉부(31)로 이루어져 있다.
또 상기 활주수단은 상기 활주판(30A)이 패널(20)의 전면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패널의 끼움공(21)과 상기 활주판(30A)의 슬릿(33A)이 동축상에 배열되도록 위치 제한한 상태로 상기 활주판(30A)이 상기 패널(20) 하부에 부착되어 슬라이드 되도록 한다.
상기 활주수단을 구체화한 일례로써 도 6a에 도시된 활주수단은 상기 활주판(30A) 접촉부(31) 양측부에 형성된 요입부(31a)(31b)와 상기 요입부를 외측에서 물 (bite) 수 있는 걸림편(39a)(39b)이 돌설된 고정판(30B)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 6a에서 상기 고정판(30B)은 상기 패널(20)의 끼움공(21)에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 도 5 및 도 6d에서와 같은 패널 외면에 노출되는 타이로드(R)의 단면적확장부(R1)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35)과, 상기 패널(20)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하여 핀(37a)과 같은 체결수단이 끼워질 수 있는 네 귀퉁이에 형성된 고정공(37)을 갖는다.
상기 고정판(30B) 걸림편(39a)(39b)의 내측면 사이의 거리는 상기 활주판(30A) 요입부(31a)(31b) 외측면 사이의 거리 보다 약간 길어 활주판의 원활한 미끄러짐을 보장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도 6b에 도시된 다른 형태의 활주수단은 상기 활주판(130A) 양측부에 치우쳐 형성된 활주장공(130a)(130b)과, 상기 활주장공을 관통하여 상기 패널(20)에 결합된 체결부재인 못(P)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 6b에 도시된 활주판(130A)을 이루는 구성요소의 참조부호는 도 6a의 활주판(30A)의 구성요소의 참조부호와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가 동일한 것은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는 것으로 앞서 설명한 도 6a의 활주판(30A)과 관련된 기재에 준하는 이해하면 되며, 간략한 설명을 위하여 생략한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활주판(30A)(130A)의 양단은 일정 각도로 절곡된 상승부(31c,31d)(131c,131d)를 갖는다. 상기 상승부를 망치와 같은 공구로 살짝살짝 쳐서 활주판(30A)(130A)이 상기 타이로드(R)(R')의 단면적확장부(R1)(R1') 인접부위를 쉽게 물거나 풀 수 있게 하기 위한 타격부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더 나아가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트러스 골조시스템은 패널과 패널의 연결, 특히 외벽 형성을 위한 패널의 연결을 위한 연결구(50)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구(50)는 먼저 상기 패널(20)의 테두리에 일정 간격을 두고 결합되어 있고, 상기 패널(20)의 측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절곡된 접촉편(51a)과, 상기 접촉편(51a)으로부터 내측으로 절곡된 이탈방지편(51b)으로 이루어진 걸림브라켓(51A)을 포함하는 결합부재(51)를 갖는다. 상기 결합부재(51) 상기 패널(20)과의 결합을 위한 다수의 결합공(53)이 본체에 형성되어 있어 체결부재(53a)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연결구(50)는 상호 인접한 두 패널(20)에 결합된 상기 두 결합부재(51)를 결속하기 위한 연결부재(55)를 갖는다.
상기 연결부재(55)에는 인접한 상기 두 결합부재(51) 걸림브라켓(51A)의 이탈방지편(51b)이 삽입될 수 있는 크기를 갖는 확장부(55a)와 상기 걸림브라켓(51A)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면서 두 결합부재(51)를 조여 각각의 접촉편(51a)을 밀착시킬 수 있는 협소부(55b)로 이루어진 결속장공(55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재(55)의 상부는 절곡되어 정지편(55B)을 형성한다.
한편, 도 5 및 도 6d에서, 상기 타이로드(R)의 단면적확장부(R1)는 거푸집패널(20)의 끼움공(21)을 통과하여 패널(20) 외측에 위치하며, 다른 부분에 비하여 횡단면 면적이 증가된 단면적확장부, 상세하게는 횡단면이 다각형인 확장부, 보다 상세하게는 횡단면이 육각형인 확장부(R1)가 형성되어 있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패널(20)을 골조체(90)에 밀착시켜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를 이루는 활주판(30A)과의 결합으로 상기 타이로드(R1)의 이격부재(R3)와 거푸집 패널(20)의 밀착결합을 가능하게 한다.
또 상기 단면적확장부는 거푸집 시스템(S)에 콘크리트를 양생한 후 거푸집 패널(20)을 해체할 때 양생된 콘크리트 구조체 외면에 노출되는 단면적확장부(R1) 부위를 절단하여 제거할 경우 상기 육각형 단면을 갖는 단면적확장부(R1)를 렌치 등의 공구로 파지한 후 돌려 보다 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또 이를 위하여 상기 타이로드(R)의 이격부재(R3) 부근에는 노치(notch) 가공되거나 이와 유사한 가공(예: 가압 눌림 가공)된 부위가 구비되어 있어 절단 기점으로 기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면적확장부(R1)는 그 외경이 상기 패널의 끼움공(21) 내경보다 크거나 작을 수 있으나, 도 5 및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널(20)에 전면에 위치하는 활주판(30A)과의 결합을 고려할 때 단면적확장부의 외경은 끼움공(21)의 내경, 고정판(30B) 삽입공(35)의 내경, 그리고 활주판(30A)의 슬릿(33A) 확장부(33a)의 내경 보다 작고, 상기 활주판(30A)의 슬릿(33A) 협소부(33b)의 틈새 폭 보다 큰 것이어야 한다.
이와 같은 단면적확장부(R1)는 상기 활주판(30A)의 기능을 위하여 필수적인데, 즉 도상기 패널(20)의 끼움공(21) 및 상기 활주판(30A) 슬릿(33A)의 확장부(33a)로 투입되어 상기 패널(20) 전면으로 나오는 단면적확장부(R1) 부위가 쐐기 형상의 활주판(30A)의 이동으로 상기 슬릿(33A)의 협소부(33b)에 의하여 물리고, 상기 단면적확장부(R1)에 의하여 상기 활주판(30A), 결국은 거푸집패널(20)의 이탈이 제한받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시스템(S)에서 핵심 중 하나인 내벽패널조립체(P1)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a 내지 도 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벽패널조립체(P1)는 앞서 설명한 패널결합체로 이루어진 외벽패널(20B)과 각 패널(20B)의 접면에 구비된 힌지(40A)(40B), 그리고 상기 승강보조프레임(10)의 종방향파이프(11)를 위한 가이드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패널(20B)은 육면체의 상부와 하부를 제외한 전후좌우면에 배열되는데, 각 면에 두 개씩 총 8개의 패널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패널의 배열은 횡단면이 사각형인 엘리베이터 승강로를 위하여 배열된 것이며, 승강로의 형태 또는 단면적에 따라 다른 형태와 다른 수의 패널로 배열될 수 있다.
벽체(W)의 양생 후 패널조립체(P1)를 위층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모서리 부분에 위치하는 두 패널과 연결된 턴버클 등의 절첩수단을 이용하여 힌지를 축으 로 상기 패널들을 접어야 하는데, 이때 모서리 부분에 구비된 힌지(40A)는 모서리가 좁아지는 형태로 접히고 평면 부분에 구비된 힌지(40B)는 반대로 접힌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40A)는 연결핀(43)과 연결고리(41a)를 통하여 이어진 두 힌지편(41)으로 이루어진다.
도 1a 및 도 3a에서 상기 내벽패널조립체(P1)의 가이드부재는 절첩수단에 의하여 접히는 상기 내벽패널(20B)을 방해하지 않도록 상기 힌지, 특히 모서리 힌지(40A)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승강보조프레임(10)의 상기 종방향파이프(11) 외경보다 더 큰 내경을 갖는 가이드링(45)으로 되어 있다.
도 3a에 도시된 상기 가이드링(45)은 상기 힌지(40A)의 힌지편(41)에 용접결합되어 있고, 그 내경은 상기 프레임의 종방향파이프(11)를 넉넉하게 수용하여 절첩수단에 의하여 패널이 접히는 동작을 방해하지 않아야 한다.
또 도 3b에 도시된 변형 힌지(140)에서와 같이 가이드링(145)이 결합고리(145a)를 통하여 힌지(140)의 연결핀(143)의 상하에 고정되는 형태로 하여, 상기 패널(20B)과 힌지로부터 가이드링(145)이 어느 정도 떨어져 있어 접히는 패널의 동작을 방해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 도 1a, 도 4b 및 도 4c에서 상기 패널(20B)의 접면에는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한 실용신안등록 제0157149호(1999.06.23) 『거푸집용 합판의 고정장치』와 같은 고정수단을 통하여 펼쳐져서 외벽패널(20A)과 연결된 내벽패널(20B)의 형상 유지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각 패널(20B)의 접면에 힌지 고정 위치를 피하여 배열된 고정수단(47A, 모서리 부분은 위한 것)(47B, 평판 부분을 위한 것)은 패널(20B) 접면에 대칭되게 부착되어 있는 두 부착판(48)과, 상기 부착판의 고정고리들, 특히 부착판 자체를 절개하여 가공한 고정고리(48a)들에 끼워지는 다수의 끼움돌기(49a)를 갖는 고정막대(49A)(49B)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막대가 모서리 부분에 위치하는 패널(20B)을 위한 것(49A)일 경우에는 90도 각도로 절곡된 것이어야 하며, 착탈의 편리성을 위하여 상기 고정막대에는 손잡이(49b)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시스템(S)은 상기 승강보조프레임(10) 또는 내벽패널조립체(P1)를 들어올리는 별도의 전동 인양수단(70)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양수단을 위하여 상기 프레임과 상기 조립체는 가능한 경량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양수단(70)은 전동방식으로 작동되는 소형 권양기(winch)(71), 상기 권양기를 상기 승강보조프레임 등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고리(71a), 권선되고 풀리는 와이어(73)와 와이어 단부에 구비되어 내벽패널조립체(P1) 또는 상기 프레임(10)에 부착되는 갈고리(73a), 그리고 상기 권양기(71)의 on/off, 와이어(73)의 권선 또는 풀림 동작 등이 가능토록 하는 제어박스(75)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시스템(S)은 타이로드(R)(R')와 패널결합체(P2)의 활주판(30A)과의 고정작업 등을 위하여 작업자가 발을 디딜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작업발판부, 특히 여러 부품이 상호 결합되어 이루어진 작업발판조립체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도 4a에 도시된 작업발판조립체(80)는 가로봉(81)과 발판체(83)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가로봉(81)의 양단부에는 발판부(80)를 패널조립체(P1)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부착수단으로서 갈고리(81a)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갈고리(81a)는 특히 상기 패널조립체(P1)의 가이드링(45)에 걸쳐져서 상기 인양수단(70)을 발판조립체(80)에 고정한 상태에서 승강보조프레임(10)을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도 1a 및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판체(83)는 갈고리를 통하여 상기 프레임(10)의 하부 횡방향파이프(13A)에 걸쳐지거나, 패널조립체(P1) 상부를 위한 배근 등의 작업시에는 중간부위의 두 가이드링(45)을 연결하도록 용접결합된 지지파이프(45B)에 갈고리(83a)를 통하여 걸쳐진다. 상기 지지파이프(45B)는 중앙 파이프(45A)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어 있다.
상기 지지파이프(45B)는 내벽패널조립체(P1)의 절첩동작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도 3a에서 보다 상세히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가이드링(45)의 내측에 용접결합되어 있어야 한다.
상기 발판체(83)는 총 세 개이며 각 발판체(83)의 네 귀퉁이에는 상기 가로봉(81) 또는 상기 횡방향파이프(13A)나 지지파이프(45B)에 걸쳐지는 갈고리(83a)가 구비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내벽패널(20B)이 상기 힌지를 축으로 접히고 펴지도록 하는 절첩수단은 다양한 공지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전동 인양수단(70)의 힘을 고려할 때 가능한 경량의 절첩수단이 바람직하다.
먼저 도 1a 및 도 2a에는 턴버클 형태의 절첩수단(6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턴버클(60)은 모서리 부분에 위치하는 두 패널(20B)을 연결하며, 중앙의 회전체(61)를 중심으로 패널 쪽으로 가면서 차례로 나선부(63), 중간부(65), 패널에 부착된 고정판(67)이 대칭되는 형태로 배열되어 있다.
상기 고정판(67)과 상기 중간부(65)는 연결핀(67a)으로 이어져 있어 패널이 접히고 펴짐에 따라 턴버클(60)의 각도 가변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두 나선부(63)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나선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회전체(61)의 회전에 따라 턴버클(60) 전체의 길이가 길어지거나 짧아지도록 되어 있어야 한다. 대안적으로는 상기 회전체(61)에 형성된 나선홈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도 2b에 도시된 절첩수단(160)은 유압실린더(160)를 이용한 것이다. 도시된 유압실린더(160)는 실린더부(161)를 중심으로 실린더부의 일단과 각각 연결된 제1 중개부(163)와, 제1 연결암(164), 제2 중개부(165), 제2 연결암(166), 그리고 패널(20B)에 부착된 결합판(167)이 대칭되는 형태로 배열되어 있다.
상기 제1 중개부(163)에는 각각 다른 제1 중개부에 일단이 결합된 제1 연결암(164)을 위한 가이드공(163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연결암(166)의 양단은 각각 상기 결합판(67) 및 제2 중개부 (165A)(165B)와 결합핀(166a)(166b)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어, 상기 패널(20B)이 접히고 펴짐에 따라 유압실린더(160)와 패널과의 연결 각도 변화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실린더부(161)가 팽창하면 모서리부분에 위치한 상기 패널(20B)은 접히고, 반대로 상기 실린더부가 수축하면 상기 패널은 펼쳐진다.
그 상세 동작은 도 2b의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161)가 수축할 경우 좌측의 제1 중개부(163)는 좌측의 제2 중개부(165)에 제1 연결암(164)의 단부 볼트부(164a)에 결합되는 너트(164b)를 통하여 고정된 형태이므로, 수축시 제1 연결암(164)은 제1 중개부(163)의 가이드공(163a)를 따라서 상기 좌우 제1 중개부(163)가 서로 가까워지는 형태로 슬라이드 되고, 이에 따라 좌우 두 결합판(167), 결국은 모서리 부분의 내측패널(20B)은 밀려서 패널조립체(P1)가 펼쳐지게 된다.
반대로 도 2b의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린더(161)가 팽창할 경우에는 상기 제1 중개부(163)은 서로 멀어지고, 상기 결합판(167)은 가까워지므로, 결국 모서리 부분의 패널에 인력이 작용하여 패널조립체는 접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시스템(S)을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승강로를 축조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a 및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층(상대적인 임의의 층수를 지칭)의 엘리베이터 승강로를 축조하는 경우 승강보조프레임(10)의 지지부(15) 지지부재(15A)가 탄성부재(15C)에 의한 탄발로 돌출되어 제1층에 형성된 벽체(W)의 상부 구멍(W1)에 끼워진 상태로 공중에 지지 고정되어 있고, 도 5에서와 같이 철근골조체를 사이에 두고 상기 외벽패널(20A)과 상기 내벽패널(20B)은 타이로드(R)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특히 도 1a, 도 5, 및 도6a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외벽 및 내벽패널(20A)(20B)은 패널결합체(P2)로 되어 있어 고정구(30)의 활주판(30A)에 의하여 타이로드(R)의 단면적확장부(R1) 부위가 물려 긴장되게 연결된 상태를 유지한다.
또 도 1a, 도 4b 및 도 4c에서와 같이, 상기 내벽패널(20B)은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각 패널의 접면에 구비된 고정수단(47A)(47B)을 포함하는 내벽패널조립체(P1)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콘크리트 몰타르를 투입하고 다지기 작업을 거친 후, 건조과정을 거쳐 제2층의 승강로를 형성한다. 당연히 엘리베이터의 문이 위치하는 부분(D)(도 1b 참조)은 틔어 있어야 한다.
콘크리트 몰타르의 건조가 완료되면, 외벽 및 내벽 패널(20A)(20B)에서 패널결합체(P2)의 활주판(30A)을 들어 올려 타이로드(R)의 단면적확장부(R1)와 분리한 후 렌치 등의 공구로 단면적확장부(R1)를 파지하고 비틀어 노치(notch) 가공부 등을 기점으로 단면적확장부(R1)를 절단 제거한다.
이어서 도 1b 및 도 4b, 도 4c에서, 상기 고정수단(47A)(47B)에서 부착판(48)으로부터 고정막대(49A)(49B)를 분리하고, 절첩수단의 일종인 턴버클(60)의 회전체(61)를 일방향으로 돌려 상기 내벽패널조립체(P1)의 패널(20B)을 각 힌지 (40A)(40B)를 기점으로 접어 성형된 벽체에서 조립체(P1)를 분리한다. 분리된 조립체(P1)는 승강보조프레임(10)의 하부 횡방향파이프(13A)로 인하여 추락하지 않게 된다.
다음으로 도 1b에서, 승강보조프레임(10)의 상부 횡방향파이프(13D)에 인양수단(70)의 고정고리(71a)를 걸고, 갈고리(73)를 내벽패널조립체(P1)의 무게중심, 특히 중앙 가이드링(45)에 용접 결합된 지지파이프(45B)를 연결하는 중앙파이프(45A)에 건다. 경우에 따라서는 와이어(73) 단부에 갈고리(73a)가 네 개 구비되어 있고 각 갈고리는 사방에 위치한 네 턴버클에 걸리는 방식으로 조립체(P1)와 인양수단(70)이 연결될 수 있다.
이어서 제어박스(75)의 버튼 조작으로 권양기(71)가 작동하면서 와이어(73)가 권선되어 상기 내벽패널조립체(P1)는 제3층으로 이동된다.
다음으로 도 1c에서와 같이, 내벽패널조립체(P1)를 펼친 후, 외벽패널과의 배근작업을 진행하는데, 발판체(83)를 상승시켜 상기 지지파이프(45B)에 갈고리를 걸어 고정한다.
대안적으로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발판조립체(80)를 이용할 수 있는데, 즉 패널조립체(P1)의 중간 부분에 위치하는 모서리 부분 힌지(40A)에 구비된 가이드링(45)에 가로봉(81)의 갈고리(81a)를 걸고 발판체(83)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내벽패널조립체(P1)가 상기 인양수단(70)에 의하여 제3층 위치에 고정된 상태에서 작업자는 상기 발판체(83)를 밟고 펼침수단인 턴버클(60)의 회전체(61)를 타방향으로 돌려 상기 내벽패널조립체(P1)를 펼치고, 외벽패널(20A)과 철근골조체를 배열하고, 타이로드(R)의 단면적확장부(R1) 부위를 고정구(30)의 활주판(30A)으로 물어서 내벽패널조립체(P1) 및 외벽패널(20A), 그리고 골조체를 확고하게 고정하고, 이어서 고정수단(47A)(47B)의 설치를 통하여 펼쳐진 내벽패널(20B)의 상태를 보강한다.
작업 중 적절하게 상기 발판체(83)의 높이를 변경하여 작업자는 최적의 상태에서 설치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이후 콘크리트 몰타르를 상기 외벽 및 내벽 패널(20A)(20B) 사이에 투입하여 양생한다.
도 1c 및 도 1d에서, 다음 제4층의 엘리베이터 승강로 작업을 위하여 상기 승강보조프레임(10)을 상승시켜야 하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 인양수단(70)을 상기 지지파이프(46B)를 연결하는 중앙파이프(45A)에 고정고리(71a)를 통하여 걸고, 와이어(73) 단부의 갈고리(73a)를 상기 프레임(10)의 하부 중앙 횡방향파이프(13B)에 걸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10)의 하부 횡방향파이프(13A)에 설치된 지지부(15)의 손잡이(15B)를 잡고 지지부재(15A)를 끌어 당겨 벽체(W)의 끼움공(W1)에서 빼서 파이프(13A)에 수납하고, 손잡이(15B)를 상기 파이프(13A)의 걸림홈(13b)에 건다.
이어서 권양기(71)를 작동시켜 와이어(73)를 권선하여 상기 프레임(10)을 상승시키고, 다시 상기 지지부(15)의 손잡이(15B)를 걸림홈(13b)에서 빼 내어 상기 지지부재(15A)를 상기 횡방향파이프(13A) 외부로 노출시켜 벽체 타설시 미리 형성된 벽체(W)의 제2층 끼움공(W2)에 삽입하여 프레임(10)을 고정한다.
도 1e에서와 같이, 벽체(W)의 제1층 끼움공(W1)에는 안전망(85a)을 위한 지지봉(85)이 삽입되어 공사 중 추락물로 인한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단계를 반복하면서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시공이 진행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승강보조프레임은 아래층에서 위층으로 인양된 내벽패널조립체를 이용하여 거푸집을 형성하기 위하여 배근하고 타이로드를 설치하는 작업 이전에 조립체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고 별도로 소형 전동 인양수단을 도입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승강보조프레임을 이용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거푸집 시스템은 거푸집 시스템에서 승강보조프레임 도입에 적합한 내벽패널조립체를 제공하고, 배근과 타이로드 설치 작업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패널조립체를 제공하여,
타워크레인이나 윈치 등의 공용 인양장치의 사용폭을 넓힐 수 있어 엘리베이 터 승강로 시공 작업과 건물 건축 작업의 편리성을 도모함과 아울러 공기 단축과 인건비 감소면에서 획기적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승강보조프레임과 거푸집 시스템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엘리베이터의 승강로의 면적에 상응하는 간격을 유지하고 있으며, 건물 두 층 이상의 높이에 해당하는 높이를 갖는 다수의 종방향파이프;
    상기 종방향파이프들을 연결하는 횡방향파이프; 및
    상기 횡방향파이프 중 일부에 대칭되는 형태로 삽입되어 있어, 상기 횡방향파이프 외부로 돌출되어 엘리베이터 승강로를 이루는 벽체에 삽입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승강보조프레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지지부재를 탄지하도록 상기 횡방향파이프에 장착된 탄성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가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보조프레임.
  3. 엘리베이터의 승강로의 면적에 상응하는 간격을 유지하고 있으며, 건물 두 층 이상의 높이에 해당하는 높이를 갖는 다수의 종방향파이프,
    상기 종방향파이프들을 연결하는 횡방향파이프, 그리고
    상기 횡방향파이프 중 일부에 대칭되는 형태로 삽입되어 있어, 상기 횡방향파이프 외부로 돌출되어 엘리베이터 승강로를 이루는 벽체에 삽입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승강보조프레임;
    다수의 타이로드 끼움공이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외벽패널;
    상기 외벽패널과 연결되도록 다수의 타이로드 끼움공이 형성되어 있고 승강로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내벽패널, 내부로 접힐 수 있도록 상기 내벽패널의 접면에 구비된 힌지, 상기 승강보조프레임의 종방향파이프를 위하여 상기 내벽패널에 부착된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내벽패널조립체;
    상기 외벽패널 및 내벽패널 사이에 위치하는 철근골조체; 및
    상기 내벽패널이 상기 힌지를 축으로 접히고 펴지도록 하는 절첩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거푸집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보조프레임의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지지부재를 탄지하도록 상기 횡방향파이프에 장착된 탄성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가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거푸집 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내벽패널조립체의 가이드부재는
    접히는 상기 내벽패널을 방해하지 않도록 상기 힌지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승강보조프레임의 상기 종방향파이프 외경보다 더 큰 내경을 갖는 가이드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거푸집 시스템.
  6.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보조프레임 및 내벽패널조립체를 들어올리는 별도의 전동 인양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거푸집 시스템.
  7.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작업발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거푸집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발판부는
    양단부에 갈고리를 갖고,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폭에 해당하는 간격을 유지하고 있는 두 가로봉; 및
    상기 두 가로봉에 걸쳐지는 갈고리들이 양단에 구비된 발판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작업발판조립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거푸집 시스템.
  9.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첩수단은
    상기 내벽패널조립체 중 모서리에 위치하는 인접 두 패널을 상호 연결하는 턴버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거푸집 시스템.
  10.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첩수단은
    상기 내벽패널조립체 중 모서리에 위치하는 인접 두 패널을 상호 연결하는 유압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거푸집 시스템.
KR1020050032289A 2005-04-19 2005-04-19 승강보조 프레임과 이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승강로용거푸집 시스템 KR1007201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2289A KR100720109B1 (ko) 2005-04-19 2005-04-19 승강보조 프레임과 이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승강로용거푸집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2289A KR100720109B1 (ko) 2005-04-19 2005-04-19 승강보조 프레임과 이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승강로용거푸집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0091A KR20060110091A (ko) 2006-10-24
KR100720109B1 true KR100720109B1 (ko) 2007-05-18

Family

ID=37616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2289A KR100720109B1 (ko) 2005-04-19 2005-04-19 승강보조 프레임과 이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승강로용거푸집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010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25268A2 (ko) * 2009-08-27 2011-03-03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나선형 와이어로 구성된 3차원 격자 트러스 구조체와 그 제조방법
KR20220039322A (ko) * 2020-09-22 2022-03-29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접이식 독립기초용 거푸집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0613B1 (ko) * 2021-09-28 2024-01-03 서보산업 주식회사 엘리베이터 코어 시공을 위한 조립식 데크 시공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1044A (ko) * 1993-06-26 1995-01-03 김태희 수직 중공 구조물의 내부 거푸집 시공방법 및 그 장치
KR960041587A (ko) * 1995-05-08 1996-12-19 정순착 링크와 이의 구동장치를 이용한 승강기 설치용 공동부(空洞部)벽체용 거푸집과 그 시공방법
KR100292219B1 (ko) 1998-08-24 2001-06-01 박명길 박스구조물성형용 시스템폼
KR200237588Y1 (ko) 2001-04-04 2001-10-10 삼목정공주식회사 건축물의 엘리베이터 통로 시공용 거푸집장치
KR20010107166A (ko) * 2000-05-25 2001-12-07 김영배 박스구조물 성형용 시스템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1044A (ko) * 1993-06-26 1995-01-03 김태희 수직 중공 구조물의 내부 거푸집 시공방법 및 그 장치
KR960041587A (ko) * 1995-05-08 1996-12-19 정순착 링크와 이의 구동장치를 이용한 승강기 설치용 공동부(空洞部)벽체용 거푸집과 그 시공방법
KR100292219B1 (ko) 1998-08-24 2001-06-01 박명길 박스구조물성형용 시스템폼
KR20010107166A (ko) * 2000-05-25 2001-12-07 김영배 박스구조물 성형용 시스템폼
KR200237588Y1 (ko) 2001-04-04 2001-10-10 삼목정공주식회사 건축물의 엘리베이터 통로 시공용 거푸집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25268A2 (ko) * 2009-08-27 2011-03-03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나선형 와이어로 구성된 3차원 격자 트러스 구조체와 그 제조방법
WO2011025268A3 (ko) * 2009-08-27 2011-07-07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나선형 와이어로 구성된 3차원 격자 트러스 구조체와 그 제조방법
US8745958B2 (en) 2009-08-27 2014-06-10 Industry Foundation Of Chonnam National University 3-dimensional lattice truss structure composed of helical wire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220039322A (ko) * 2020-09-22 2022-03-29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접이식 독립기초용 거푸집
KR102420442B1 (ko) * 2020-09-22 2022-07-14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접이식 독립기초용 거푸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0091A (ko) 2006-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0109B1 (ko) 승강보조 프레임과 이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승강로용거푸집 시스템
JP2009073599A (ja) タワークレーンの支持構造およびクライミング方法
JP5585227B2 (ja) 建物の解体工法
JP4699775B2 (ja) 開口部養生装置
JP3579816B2 (ja) 躯体構築用多目的ステージ
US20070096006A1 (en) Overhead beam assembly
PL207104B1 (pl) Urządzenie do montażu i demontażu oszalowania
RU2078884C1 (ru) Способ возведения монолитного здания и подвижная опалубка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100788000B1 (ko) 타워크레인 설치용 빔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200182858Y1 (ko) 건축물의 코어부 시공용 이동식 작업발판
JP4101232B2 (ja) 昇降可能な仮設足場を用いた建設物の施工方法
KR200394923Y1 (ko) 타워크레인의 고정장치
AU2019392578A1 (en) Building floor-edge protection system
KR102199396B1 (ko) 거푸집 자동 해체 기능을 갖는 인양용 장치 및 이를 갖는 거푸집
JPH08239906A (ja) 建物の構築工法
KR20200100306A (ko) 갱폼의 추락방지가 가능한 안전기구
JP2010084505A (ja) 足場ユニット用玉掛吊具
JP4785013B2 (ja) タワークレーン及びフロアクライミングシステム
KR100539829B1 (ko) 형강을 이용한 거푸집용 갱폼 인양방법
JP5640483B2 (ja) 解体工法及び柱保持装置
KR0142482B1 (ko) 승강기용 공동부 벽체를 성형하는데 사용되는 거푸집 및 이 거푸집을 사용한 시공방법
JP2009299346A (ja) 建築物の施工方法
JPH10152981A (ja) 昇降式足場
CA2624702A1 (en) Overhead beam assembly
JPH0736001Y2 (ja) 着脱式揚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