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9829B1 - 전력선 종단 회로 및 방법, 그리고 전력선 중계 장치 - Google Patents

전력선 종단 회로 및 방법, 그리고 전력선 중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9829B1
KR100719829B1 KR1020057018395A KR20057018395A KR100719829B1 KR 100719829 B1 KR100719829 B1 KR 100719829B1 KR 1020057018395 A KR1020057018395 A KR 1020057018395A KR 20057018395 A KR20057018395 A KR 20057018395A KR 100719829 B1 KR100719829 B1 KR 1007198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line
inductor
frequency band
resistor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8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5322A (ko
Inventor
미츠나리 스즈키
Original Assignee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115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53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9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98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7/00Multiple-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passive electrical elements as network components
    • H03H7/38Impedance-matching networks
    • H03H7/40Automatic matching of load impedance to source impedanc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7/00Multiple-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passive electrical elements as network components
    • H03H7/38Impedance-match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02Details
    • H04B3/46Monitoring; Tes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54Systems for transmission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 H04B3/56Circuits for coupling, blocking, or by-passing of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54Systems for transmission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 H04B3/58Repeater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2203/54Aspects of powerline communications not already covered by H04B3/54 and its subgroups
    • H04B2203/5462Systems for power line communications
    • H04B2203/5491Systems for power line communications using filtering and bypass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07/00Electrical transmission or interconnection systems
    • Y10S307/01Data transmitted over power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Abstract

접속기기에 상관없이 임피던스를 정합시켜 옥내 전력선을 통신에 적합한 상태로 하고, 전기 기기로부터 전력선으로의 노이즈를 저감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전력선 종단 회로 및 방법 그리고 전력선 중계 장치를 제공한다. 접속단 (35A), (35B) 사이에 형성한 커패시터 (33) 와, 옥내 전력선 (1A) 의 종단 (32A) 과 접속단 (35A) 사이에 형성한 인덕터 (34) 에 의해, 전원 전압의 주파수보다도 높고 통신 주파수대보다도 낮은 주파수대에 직렬 공진점을 갖는 직렬 공진 회로를 구성함과 함께, 인덕터 (34) 와 병렬로 옥내 전력선 (1A), (1B) 의 특성 임피던스에 상당하는 저항값을 갖는 저항기 (31) 를 설치한다. 부하 (전기 기기 (5)) 의 유무나 종류에 관계없이, 전력선 종단 회로 (30U) 의 입력 임피던스가 통신 주파수대에서 일정화되어, 전력선 종단부에서의 임피던스 부정합에 따른 반사를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전력선 통신의 통신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전력선 종단 회로

Description

전력선 종단 회로 및 방법, 그리고 전력선 중계 장치{POWER LINE TERMINATING CIRCUIT AND METHOD, AND POWER LINE RELAY DEVICE}
기술분야
본 발명은 교류 전원 전압과 통신 주파수대의 고주파 신호가 중첩되는 옥내 전력선에 적용되는 전력선 종단 회로 및 방법, 그리고 이러한 옥내 전력선의 종단부와 전기 기기 사이를 중계 접속시키는 전력선 중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최근, 컴퓨터 주변 기기의 공유화, 문서ㆍ정지 화상ㆍ동화상 등 정보의 공유화, 게임, 인터넷 등의 목적을 위해, 가정 내에서의 정보 통신의 요구가 높아져 있다. 이 때문에, 오피스뿐만 아니라, 일반 가정에서도 통신 네트워크의 수요가 있다.
최근, 가정 내에서의 통신 네트워크를 구축할 때 사용되는 통신 기술로서 전력선 통신 기술이 유망시되어, 그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이 전력선 통신 기술은, 신호의 전송로로서 옥내 전력선을 이용하는 것이며, 예컨대 제 12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옥내 전력선을 이용하여 실현된다.
제 12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옥내 전력선 (1A, 1B) 의 종단에 접속된 콘센트 등의 접속부 (이하, "아웃렛" 이라고 함 ; 2A) 에 송신기 (3) 의 전원 플러그 (3A) 를 삽입 접속시키는 한편, 다른 아웃렛 (2B) 에 수신기 (4) 의 전원 플러그 (4A) 를 삽입 접속시킨다. 송신기 (3) 및 수신기 (4) 는 각각 옥내 전력선 (1A, 1B) 으로부터 상용 전원의 전력 공급을 받아 동작이 가능함과 함께, 전력선 통신용 모뎀 (변복조기) 을 구비한다. 전력선 통신을 실시하는 경우, 송신기 (3) 는 내장된 모뎀에 의해 송신 신호를 상용 전원 주파수보다도 충분히 높은 주파수의 반송파를 사용하여 고주파의 통신 신호로 변조하고, 이 통신 신호를 옥내 전력선 (1A, 1B) 상의 교류 전압에 중첩하여 수신기 (4) 에 송신한다.
이 기술을 사용하면, 예컨대, 통신 기능을 갖는 복수의 통신 장치 (예컨대, 퍼스널 컴퓨터나 통신 기능이 있는 가전 제품 등) 를 집 안의 각 방에 설치된 아웃렛에 접속시키는 것만으로, 이들 통신 장치 사이에서 통신을 실시할 수 있다. 또, 최근에는, 보다 높은 주파대역에 있어서의 고속 통신 기술이 개발되어 있어, 이 고속 통신 기술과 전력선 통신 기술을 사용한 가정 내 통신 네트워크의 실용화가 요망되고 있다.
그러나, 옥내 전력선은 원래 통신선로로서 시설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통신에 적합한 환경으로 되어 있다고는 할 수 없다. 예컨대, 제 12 도에 있어서, 옥내 전력선 (1A, 1B) 에 전기 기기를 접속시키기 위한 아웃렛 (2C, 2D) 에 전기 기기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아웃렛 (2C, 2D) 을 각각 포함하는 분기 부분 (B1, B2) 이 이른바 오픈 스텁 (open stub) 상태가 되어, 통신 품질에 악영향을 미친다. 즉, 아웃렛 (2C, 2D) 이 개방단 (고임피던스) 이 되어, 여기에서 고주파 신호의 반사가 생기기 때문에, 통신 신호가 열화된다.
또, 아웃렛 (2C) 에 전기 기기 (5) 의 전원 플러그 (5A) 가 접속된 상태에 있어서도, 이 전기 기기 (5) 의 입력 임피던스가 옥내 전력선 (1A, 1B) 의 특성 임피던스와 다른 경우에는, 역시 이 아웃렛 (2C) 부분에서 고주파 신호의 반사가 생겨, 통신 신호가 열화된다.
이러한 견지에서, 예컨대,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217797호에서는, 옥내 전력선 (1A, 1B) 과 전기 기기 (5) 사이에 임피던스 정합 (매칭) 회로를 형성함과 함께, 옥내 전력선 (1A, 1B) 과 전기 기기 (5) 사이에, 신호 및 노이즈의 통과를 저지시키기 위한 인덕터를 형성하도록 한 전력선 종단 회로가 제안되어 있다.
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217797호에 기재된 종단 회로 (130) 는, 제 13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옥내 전력선 (1A, 1B) 사이에 직렬로 접속된 저항기 (131) 및 커패시터 (133) 와, 저항기 (131) 의 일단 측 (옥내 전력선 (1A) 에 접속된 측) 과 부하인 전기 기기 (5) 사이에 접속된 인덕터 (코일 ; 134) 를 구비하고 있다. 저항기 (131) 의 저항값은, 옥내 전력선 (1A, 1B) 의 특성 임피던스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한 쌍의 단자 (135A, 135B) 는, 전기 기기 (5) 의 전원 플러그 (5A) 가 삽입되어 접속되는 소켓 단자이고, 이것을 통해 상용 교류 전력이 전기 기기 (5) 에 공급된다. 저항기 (131) 의 양단이 통신에 사용되는 고주파 신호의 입출력부가 된다. 커패시터 (5B) 는, 단자 (135A, 135B) 에 접속되는 전기 기기 (5) 의 입력단에 형성되어 있는 라인 필터의 커패시터 또는 전기 기기 (5) 내 배선의 선간 용량이다.
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217797호에는, 옥내 전력선 (1A, 1B) 의 특성 임피던스와 동일한 크기의 저항값을 갖는 저항기 (131) 를 배치함으로써, 옥내 전력 선 (1A, 1B) 의 특성 임피던스와 전기 기기 (5) 의 입력 임피던스의 매칭을 취하여, 고주파 신호의 반사에 따른 감쇠를 방지할 수 있다는 기재가 있다.
또한, 상기한 전력선 통신 기술 분야와 직접적인 관계는 없지만, 예컨대, 일본 특허공보 평1-24448호에는, 펄스 폭이 작고 에너지 밀도가 높은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는 노이즈 필터가 개시되어 있다. 이 노이즈 필터는, 제 14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력단 (201) 과 출력단 (202) 사이에 직렬로 접속 배치된 제 1 코일 (인덕터 ; 203) 및 제 2 코일 (204) 과, 제 2 코일 (204) 에 병렬로 접속된 저항기 (205) 와, 출력단 (202) 과 접지 사이에 접속된 커패시터 (206) 를 구비한다. 이 일본 특허공보 평1-24448호에는, 저항기 (205) 와 커패시터 (206) 로 이루어지는 CR 저역 필터에 의해 좁은 펄스 폭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한편, 노이즈를 포함하지 않는 전원 전압이나 신호는 그대로 통과시켜 출력단 (202) 에 접속된 장치 (도시하지 않음) 에 공급할 수 있다는 기재가 있다.
그러나, 상기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217797호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종단 회로 (130) 에 일반 전기 기기가 접속된 경우에 여전히 문제가 남는다. 그 이유는, 상기한 바와 같이, 일반 전기 기기에 있어서는, 통상적으로 입력단에 커패시터를 사용한 라인 필터가 들어가 있는 경우가 많고, 이 경우에는, 분기 부분 (B1, B2) (제 12 도) 이 이른바 숏 스텁 상태로 되기 때문이다. 즉, 전기 기기측 라인 필터에서의 커패시터 (5B) 와 종단 회로에서의 인덕터 (134) 에 의해 직렬 공진이 생기기 때문에, 그 공진 주파수가 통신 주파수 대역 내에 있는 경우에는, 종단 회로의 입력 임피던스가 전력선의 특성 임피던스보다 저하되고, 결과적으로 전력선 종단부에서 반사가 생겨, 통신 신호가 열화되어 버리는 것이다.
또, 전기 기기 (5) 의 입력단에 라인 필터의 커패시터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제 13 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접속되는 전기 기기 내 배선의 선간 용량이 존재한다는 점에서, 동일한 문제가 생길 우려가 있다.
이러한 회로 구성을 취하면서, 라인 필터의 캐퍼시터나 전기 기기 내 배선의 선간 용량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인덕터 (134) 를 매우 큰 값으로 하는 방법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종단 회로가 대형화되어 버린다는 문제가 생긴다.
한편, 일본 특허공보 평1-24448호에 기재된 노이즈 필터에서는, 저항기 (205) 와 직렬로 제 1 코일 (인덕터 ; 203) 이 들어가 있기 때문에, 신호의 주파수가 증가하게 되면, 이 노이즈 필터의 입력 임피던스가 증가하여, 이것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없다. 따라서, 이 노이즈 필터를 단지 전력선의 종단에 적용한 경우에는, 고주파 신호에 대하여 임피던스 매칭을 취할 수 없어, 반사가 발생해 버릴 우려가 있다.
어느 쪽이든, 종래 기술에서는, 전력선 통신에 적합한 전력선 종단 회로를 실현시키는 것은 곤란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제 1 목적은, 접속되는 기기에 상관없이 임피던스 정합에 관한 문제를 개선하여, 콤팩트한 구성으로 옥내 전력선을 통신에 적합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전력선 종단 회로 및 방법 그리고 전력선 중계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전력선에 접속된 전기 기기로부터 전력선으로의 노이즈의 영향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전력선 종단 회로 및 방법 그리고 전력선 중계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전력선 종단 회로는, 교류 전원 전압과 통신 주파수대의 고주파 신호가 중첩되는 한 쌍의 옥내 전력선의 종단부에 형성되는 전력선 종단 회로로서, 한 쌍의 옥내 전력선의 선 사이에 형성되고, 이 옥내 전력선의 종단부에 접속되는 전기 기기에 있어서의 용량 부하의 변동을 억제하는 제 1 커패시터와, 옥내 전력선 상에 형성되고, 제 1 커패시터와 함께 직렬 공진 회로를 구성하는 인덕터와, 인덕터와 병렬로 형성되고, 옥내 전력선의 특성 임피던스에 상당하는 저항값을 갖는 저항기를 구비하고, 직렬 공진 회로가, 교류 전원 전압의 주파수보다도 높고 또한 통신 주파수대보다도 낮은 주파수대에 직렬 공진점을 갖도록 한 것이다. 여기에서, 「직렬 공진 회로가, 교류 전원 전압의 주파수보다도 높고 또한 통신 주파수대보다도 낮은 주파수대에 직렬 공진점을 갖는다」는 것은, 직렬 공진 회로의 공진 주파수가, 교류 전원 전압의 주파수보다도 높고, 또한 통신 주파수대보다도 낮다는 의미이다. 이하, 동일하다.
본 발명의 전력선 종단 방법은, 교류 전원 전압과 통신 주파수대의 고주파 신호가 중첩되는 한 쌍의 옥내 전력선을 종단시키는 방법으로서, 한 쌍의 옥내 전력선의 선 사이에, 이 옥내 전력선의 종단부에 접속되는 전기 기기에 있어서의 용량 부하의 변동을 억제하는 제 1 커패시터를 형성하고, 옥내 전력선 상에, 제 1 커 패시터와 함께 직렬 공진 회로를 구성하는 인덕터를 형성하고, 인덕터와 병렬로, 옥내 전력선의 특성 임피던스에 상당하는 저항값을 갖는 저항기를 형성하며, 직렬 공진 회로가, 교류 전원 전압의 주파수보다도 높고 또한 통신 주파수대보다도 낮은 주파수대에 직렬 공진점을 갖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전력선 종단 회로 또는 전력선 종단 방법에서는, 제 1 커패시터와 인덕터에 의해 직렬 공진 회로가 구성된다. 이 직렬 공진 회로는, 교류 전원 전압의 주파수보다도 높고 또한 통신 주파수대보다도 낮은 주파수대에 직렬 공진점을 갖는다는 점에서, 통신 주파수대에서의 전력선 종단 회로의 입력 임피던스는, 인덕터와 병렬로 형성된 저항기의 저항값과 동일해진다. 이 저항기의 저항값은, 미리 옥내 전력선의 특성 임피던스에 상당하는 값으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통신 주파수대에서는, 전력선 종단 회로의 입력 임피던스가 옥내 전력선의 특성 임피던스와 동일해진다. 이 때문에, 옥내 전력선의 종단부에서 통신 주파수대의 고주파 통신 신호가 반사되는 일이 없다.
본 발명의 전력선 종단 회로 또는 전력선 종단 방법에서는, 통신 주파수대의 하한 주파수에 있어서의 인덕터의 임피던스가, 저항기 저항값의 2 배 이상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덕터와 병렬로 형성된 저항기를, 고주파 신호에 대한 확실한 바이패스로서 기능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또, 본 발명의 전력선 종단 회로 또는 전력선 종단 방법에서는, 한 쌍의 옥내 전력선 중 어느 일방에만 인덕터를 형성하는 불평형형 (비대칭형) 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추가로, 저항기와 직렬로 형성되어 인덕터와 함께 병렬 공진 회로를 구성하는 제 2 커패시터를 형성하고, 이 병렬 공진 회로가, 직렬 공진점보다도 높고 또한 통신 주파수대보다도 낮은 주파수대에 병렬 공진점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커패시터와 인덕터에 의해 구성되는 병렬 공진 회로의 공진점이, 제 1 커패시터와 인덕터에 의해 구성되는 직렬 공진 회로의 공진점보다도 높고 또한 통신 주파수대보다도 낮은 주파수대에 병렬 공진점을 갖기 때문에, 전력선 종단 회로의 입력 임피던스가 일정한 값 (저항기의 저항값) 에 달하는 주파수가 보다 낮은 쪽으로 시프트되어, 그 결과, 반사를 일으키지 않는 주파수대가 확대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전력선 종단 회로 또는 전력선 종단 방법에서는, 인덕터가 한 쌍의 옥내 전력선 각각에 형성된 제 1 및 제 2 인덕터를 포함하고, 저항기가 제 1 인덕터와 병렬로 형성된 제 1 저항기와, 제 2 인덕터와 병렬로 형성된 제 2 저항기를 포함하도록 하여 평형형 (대칭형) 의 회로를 이루고, 제 1 및 제 2 저항기의 저항값의 합이 옥내 전력선의 특성 임피던스에 상당하며, 제 1 및 제 2 인덕터가 제 1 커패시터와 함께 직렬 공진 회로를 구성하도록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사 노이즈가 적어지기 때문이다. 또한, 제 1 및 제 2 인덕터가 서로 동일한 크기의 인덕턴스를 갖고, 제 1 및 제 2 저항기가 서로 동일한 크기의 저항값을 갖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전력선 종단 회로가 완전한 평형형이 되기 때문에, 방사 노이즈가 더욱 적어지기 때문이다. 추가로, 제 1 저항기와 직렬로, 제 1 인덕터와 함께 제 1 병렬 공진 회로를 구성하는 제 3 커패시터를 형성함과 함께, 제 2 저항기와 직렬로, 제 2 인덕터와 함께 제 2 병렬 공진 회로를 구성하는 제 4 커패시터를 형성하고, 이들 제 1 및 제 2 병렬 공진 회로가 각각 직렬 공진 회로의 직렬 공진점보다도 높고 또한 통신 주파수대보다도 낮은 주파수대에 병렬 공진점을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의 불평형형 전력선 종단 회로에 제 2 커패시터를 추가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전력선 종단 회로의 입력 임피던스가 일정한 값에 달하는 주파수가 보다 낮은 쪽으로 시프트되는 결과, 반사를 일으키지 않는 주파수대가 확대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전력선 중계 장치는, 교류 전원 전압과 통신 주파수대의 고주파 신호가 중첩되는 한 쌍의 옥내 전력선의 종단부와, 옥내 전력선으로부터 전력 공급을 받는 전기 기기 사이를 중계하는 전력선 중계 장치로서, 한 쌍의 옥내 전력선의 종단부에 접속되는 한 쌍의 접속 플러그와, 전기 기기의 전원 플러그가 꽂아지는 한 쌍의 전기 기기용 접속 소켓과, 한 쌍의 전기 기기용 접속 소켓 사이에 형성되고, 전기 기기에 있어서의 용량 부하의 변동을 억제하는 제 1 커패시터와 접속 플러그와 전기 기기용 접속 소켓 사이에 형성되고, 제 1 커패시터와 함께 직렬 공진 회로를 구성하는 인덕터와, 인덕터와 병렬로 형성되고, 옥내 전력선의 특성 임피던스에 상당하는 저항값을 갖는 저항기를 구비하고, 직렬 공진 회로가, 교류 전원 전압의 주파수보다도 높고 또한 통신 주파수대보다도 낮은 주파수대에 직렬 공진점을 갖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전력선 중계 장치에서는, 상기 전력선 종단 회로의 작용과 동일한 작용으로 인해, 통신 주파수대에서는, 전력선 종단 회로의 입력 임피던스가 옥내 전력선의 특성 임피던스와 동일하게 되어, 옥내 전력선의 종단부에서 통신 주파수 대의 고주파 통신 신호가 반사되는 일이 없다. 게다가, 본 발명의 전력선 중계 장치를 기존의 옥내 전력선의 종단부와 전기 기기 사이에 어댑터와 같이 배치하는 것만으로, 상기의 전력선 종단 회로의 작용과 동일한 작용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전력선 중계 장치에서는, 통신 주파수대의 하한 주파수에 있어서의 인덕터의 임피던스가, 저항기 저항값의 2 배 이상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인덕터는, 접속 플러그의 일방과 전기 기기용 접속 소켓의 일방 사이 또는 접속 플러그의 타방과 전기 기기용 접속 소켓의 타방 사이 중 어느 일방에만 형성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추가로, 저항기와 직렬로 형성되어 인덕터와 함께 병렬 공진 회로를 구성하는 제 2 커패시터를 형성하고, 이 병렬 공진 회로가, 직렬 공진점보다도 높고 또한 통신 주파수대보다도 낮은 주파수대에 병렬 공진점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 상기 전력선 종단 회로에 관해 서술한 바와 동일한 이유에 따른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전력선 중계 장치에서는, 인덕터가, 접속 플러그의 일방과 전기 기기용 접속 소켓의 일방 사이에 형성된 제 1 인덕터와, 접속 플러그의 타방과 전기 기기용 접속 소켓의 타방 사이에 형성된 제 2 인덕터를 포함하고, 저항기가, 제 1 인덕터와 병렬로 형성된 제 1 저항기와, 제 2 인덕터와 병렬로 형성된 제 2 저항기를 포함하고, 제 1 및 제 2 저항기의 저항값의 합이,옥내 전력선의 특성 임피던스에 상당하고, 제 1 및 제 2 인덕터가 제 1 커패시터와 함께 직렬 공진 회로를 구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특히 제 1 및 제 2 인덕터가 서로 동일한 크기의 인덕턴스를 갖고, 제 1 및 제 2 저항기가 서로 동일한 크기 의 저항값을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로, 제 1 저항기와 직렬로, 제 1 인덕터와 함께 제 1 병렬 공진 회로를 구성하는 제 3 커패시터를 형성하고, 제 2 저항기와 직렬로, 제 2 인덕터와 함께 제 2 병렬 공진 회로를 구성하는 제 4 커패시터를 형성하고, 이들 제 1 및 제 2 병렬 공진 회로가, 각각 직렬 공진 회로의 직렬 공진점보다도 높고 또한 통신 주파수대보다도 낮은 주파수대에 병렬 공진점을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각각 상기 전력선 종단 회로에 관해 서술한 바와 동일한 이유에 따른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전력선 중계 장치에서는, 한 쌍의 옥내 전력선의 종단부에 직접 접속되어 통신 기기의 전원 플러그가 꽂아지는 적어도 한 쌍의 통신 기기용 접속 소켓을 추가로 구비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한 개의 전력선 종단부에, 전기 기기에 추가로 통신 기기까지도 접속시킬 수 있다. 또, 한 쌍의 전기 기기용 접속 소켓에 대해 병렬로 형성되어 전기 기기의 전원 플러그가 꽂아지는 적어도 한 쌍의 전기 기기용 부가 접속 소켓을 추가로 구비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한 개의 전력선 종단부에, 통신 기기와 복수의 전기 기기를 접속시킬 수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 1 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계된 전력선 종단 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제 2 도는 제 1 도의 전력선 종단 회로에 접속되는 부하를 변화시킨 경우에 있어서의 입력 주파수와 입력 임피던스의 관계를 나타내는 특성도이다.
제 3 도는 제 1 도의 전력선 종단 회로에 의한 오븐 스텁 대책 전후의 주파수와 감쇠량의 관계를 비교하여 나타내는 특성도이다.
제 4 도는 제 1 도의 전력선 종단 회로에 의한 숏 스텁 대책 전후의 주파수와 감쇠량의 관계를 비교하여 나타내는 특성도이다.
제 5a 도 및 제 5b 도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1 변형예에 관계된 전력선 중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외관 구조도 및 회로도이다.
제 6a 도 및 제 6b 도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2 변형예에 관계된 전력선 중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외관 구조도 및 회로도이다.
제 7a 도 및 제 7b 도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3 변형예에 관계된 전력선 중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외관 구조도 및 회로도이다.
제 8 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계된 전력선 종단 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제 9 도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계된 전력선 종단 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제 10 도는 제 1 도의 전력선 종단 회로와 제 9 도의 전력선 종단 회로의 주파수 대 임피던스의 특성을 비교하여 나타내는 특성도이다.
제 11 도는 제 3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관계된 전력선 종단 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제 12 도는 일반 가옥의 옥내 전력선 배선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13 도는 종래의 전력선 종단 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14 도는 종래의 노이즈 필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우선, 제 1 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계된 전력선 종단 회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계된 전력선 종단 방법은 본 실시형태에 관계된 전력선 종단 회로에 의해 구현화되기 때문에, 이하에서 모두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력선 종단 회로의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 전력선 종단 회로 (30U) 는 예컨대, 제 12 도에 나타낸 일반 가정의 옥내 배선에 적용되는 것으로, 옥내 벽에 형성된 아웃렛 (예컨대, 제 12 도의 분기 부분 (B1, B2) 에 있어서의 아웃렛 (2C, 2D)) 에 내장된다. 제 1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력선 종단 회로 (30U) 는, 한 쌍의 옥내 전력선 (1A, 1B) 의 종단 (32A, 32B) 과 한 쌍의 접속단 (35A, 35B) 사이에 형성된다. 이 경우, 종단 (32A, 32B) 은 벽콘센트 내부의 배선 단자이고, 한 쌍의 접속단 (35A, 35B) 은 전기 기기 (5) 의 전원 플러그 (5A) (제 12 도) 가 삽입 접속되는 소켓 단자이다. 이 소켓 단자를 통해 옥내 전력선 (1A, 1B) 으로부터 전기 기기 (5) 에 상용 교류 전력이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전기 기기 (5) 는 예컨대, 전자레인지나 텔레비전 수상기 등과 같이, 전력선 통신을 실시하는 것이 상정되어 있지 않은 (또는, 전력선 통신 기능을 갖지 않는) 일반적인 가전 제품이다. 커패시터 (5B) 는 예컨대, 전기 기기 (5) 의 입력단에 형성된 라인 필터의 커패시터 또는 전기 기기 (5) 내 배선의 선간 용량이다.
한 쌍의 옥내 전력선 (1A, 1B) 은 예컨대, 50 ㎐ 또는 60 ㎐ 의 상용 교류 전압 (AC 100 V) 을 전기 기기 (5) 등에 급전하기 위한 것이다. 옥내 전력선 (1A, 1B) 에는 또, 제 12 도의 아웃렛 (2A) 에 접속된 송신기 (3) 로부터 송신된 통신 주파수대의 고주파 신호가 중첩되어, 아웃렛 (2B) 에 접속된 수신기 (4) (제 12 도) 로 전송되도록 되어 있다.
송신기 (3) 및 수신기 (4) 는 각각 전력선용 모뎀 (변복조기) 을 구비하고, 옥내 전력선 (1A, 1B) 으로부터 상용 전원의 전력 공급을 받아 동작할 수 있다. 통신을 실시하는 경우, 송신기 (3) 는 내장된 모뎀에 의해 송신 신호를 상용 전원 주파수 (50 ㎐ 또는 60 ㎐) 보다도 충분히 높은 통신 주파수대 (예컨대, 4 ㎒ ∼ 21 ㎒) 의 반송파를 사용하여 고주파의 통신 신호로 변조하고, 옥내 전력선 (1A, 1B) 상에 중첩하여 수신기 (4) 에 송신한다. 수신기 (4) 는, 옥내 전력선 (1A, 1B) 상에서 전송되어 온 고주파의 통신 신호를 수신하고, 내장된 모뎀에 의해 수신 신호로 복조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변조 방식으로는 예컨대, OFDM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등이 사용된다.
전력선 종단 회로 (30U) 는 한 쌍의 접속단 (35A, 35B) 사이에 형성된 커패시터 (33) 와, 일방의 옥내 전력선 (1A) 의 종단 (32A) 과 일방의 접속단 (35A) 사이에 형성된 인덕터 (34) 와, 이 인덕터 (34) 와 병렬로 형성된 저항기 (31) 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 커패시터 (33) 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 1 커패시 터」의 일 구체예에 대응한다.
저항기 (31) 는 옥내 전력선 (1A, 1B) 의 특성 임피던스 (Z) 에 상당하는 저항값 (R) 을 갖는다. 커패시터 (33) 는 전기 기기 (5) 에 있어서의 용량 부하의 변동을 억제하기 위한 것이다. 이것에 대해서는, 나중에 상세히 기술한다.
인덕터 (34) 는 커패시터 (33) 와 함께 직렬 공진 회로를 구성하고 있다. 이 직렬 공진 회로는, 교류 전원 전압의 주파수 (여기에서는, 예컨대, 상용 전원 주파수 50 ㎐ 또는 60 ㎐) 보다도 높고 또한 고주파의 통신 주파수대 (여기에서는, 예컨대, 4 ㎒ ∼ 21 ㎒) 보다도 낮은 주파수대에 직렬 공진점을 갖는다. 통신 주파수대의 하한 주파수 (여기에서는, 예컨대, 4 ㎒) 에 있어서의 인덕터 (34) 의 임피던스가 저항기 (31) 의 저항값의 2 배 이상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이상과 같은 구성의 전력선 종단 회로 (30U) 의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전기 기기 (5) 에 대한 전력 공급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용 전원 주파수 (50 ㎐ 또는 60 ㎐) 에 있어서는, 인덕터 (34) 의 임피던스가 매우 작은 값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전류는 저항기 (31) 를 통과하지 않고, 인덕터 (34) 를 통과한다. 또, 커패시터 (33) 의 임피던스는 매우 크기 때문에, 커패시터 (33) 에도 거의 전류는 흐르지 않는다. 따라서, 이 전력선 종단 회로 (30U) 를 개재시켜 옥내 전력선 (1A, 1B) 에 전기 기기 (5) 를 접속시킨 경우에는, 전혀 문제없이 전기 기기 (5) 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옥내 전력선 (1A, 1B) 를 이용하여 제 12 도의 송신기 (3) 와 수신기 (4) 사이에서 전력선 통신이 실시된 경우의 동작을 설명한다.
전력선 종단 회로 (30U) 에 전기 기기 (5) 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송신기 (3) 와 수신기 (4) 사이에서 전력선 통신이 이루어지면, 옥내 전력선 (1A, 1B) 상에서 통신 주파수대의 고주파 신호 (통신 신호) 가 전송되는데, 이러한 높은 주파수대에서는, 인덕터 (34) 의 임피던스가 커지기 때문에, 전류의 대부분이 저항기 (31) 를 통과하게 된다. 이 때, 커패시터 (33) 의 임피던스는 매우 작기 때문에, 저항기 (31) 를 통과한 전류는 커패시터 (33) 를 통과한다. 따라서, 옥내 전력선 (1A, 1B) 사이는, 전력선의 특성 임피던스 (Z) 와 동일한 저항기 (31) 의 저항값 (R) 으로 근사되어, 전력선 종단 회로 (30U) 에서의 통신 신호의 반사가 억제된다. 즉, 오픈 스텁에 의한 통신 품질의 열화를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주파수대에서는, 전류의 대부분이 저항기 (31) 를 통과하도록 하기 위해, 인덕터 (34) 의 임피던스가 가능한 한 큰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한 바와 같이, 적어도 통신 주파수대의 하한 주파수 (여기에서는, 예컨대 4 ㎒) 에 있어서의 인덕터 (34) 의 임피던스가 저항기 (31) 의 저항값의 2 배 이상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덕터 (34) 와 병렬로 형성된 저항기 (31) 를, 통신 주파수대의 고주파 신호에 대한 확실한 바이패스로서 기능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통신 주파수대에 있어서, 전력선 종단 회로 (30U) 에 접속된 전기 기기 (5) 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는 것은, 이 전기 기기 (5) 에 대해 통신 신호가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것은, 전기 기기 (5) 에서 발생한 노이즈가 옥내 전력선 (1A, 1B) 을 타는 것이 억제되는 것, 즉 옥내 전력선 상에서의 기기 노이즈 의 감쇠를 의미한다. 이 노이즈 감쇠량은, 상기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217797호의 경우보다도 커, 노이즈 저감 효과에 있어서 우수하다. 그 이유는, 컷 오프 주파수 부근에서의 필터 특성에 주목할 경우,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217797호의 주파수 특성이 1 차 필터의 특성인 데 비해, 본 전력선 종단 회로는 2 차 필터의 특성이 되기 때문이다.
한편, 전력선 종단 회로 (30U) 에 전기 기기 (5) 가 접속된 상태에서는, 전기 기기 (5) 에 내재하는 커패시터 (5B) 가 커패시터 (33) 와 병렬로 접속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송신기 (3) 와 수신기 (4) 사이에서 전력선 통신이 이루어져, 옥내 전력선 (1A, 1B) 상에서 통신 주파수대의 고주파 신호 (통신 신호) 가 전송되면, 2 개의 커패시터 (5B, 33) 의 합성 용량과 인덕터 (34) 에 의해 구성되는 직렬 공진 회로의 공진점 (공진 주파수) 에서 반사가 생긴다. 하지만, 이 공진점은, 커패시터 (5B) 단독과 인덕터 (34) 에 의해 직렬 공진 회로가 구성되는 경우에 비해, 커패시터 (33) 가 존재하는 분만큼 저주파측로 시프트되어 있다. 따라서, 커패시터 (33) 의 값을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직렬 공진 회로의 공진점이 통신 주파수대로부터 완전히 벗어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경우에는, 적어도 통신 주파수대에서는 전력선 종단 회로 (30U) 에서의 반사가 생기지 않게 된다. 즉, 전기 기기 (5) 의 존재에 기인하는 숏 스텁에 의해 통신 신호가 영향을 받는 경우가 없어, 통신 품질의 열화가 회피된다.
제 2 도는 전력선 종단 회로 (30U) 에 접속되는 부하 (전기 기기 (5)) 를 변화시킨 경우에 있어서의, 전력선 종단 회로 (30U) 의 입력 주파수와 입력 임피던스 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횡축은 주파수, 종축은 임피던스를 나타낸다. 실선 (L0) 은 부하가 없는 경우를 나타내고, 파선 (L1) 은 부하가 10 ㎌ (마이크로패럿) 의 용량인 경우를 나타내고, 일 점 쇄선 (L2) 은 부하가 10 ㎌ 인 용량과 10 Ω (옴) 인 저항을 병렬로 접속시킨 것인 경우를 나타낸다. 이 예에서는, 옥내 전력선 (1A, 1B) 의 특성 임피던스 (Z) 가 100 Ω 인 것으로 한다. 또한, 제 2 도는 제 1 도에 나타낸 회로 상수를 다음과 같은 값으로 설정한 경우의 일례이다.
인덕터 (34) 의 인덕턴스 = 20 μH (마이크로헨리)
커패시터 (33) 의 용량 = 0.1 μF
저항기 (31) 의 저항값 = 100 Ω
제 2 도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이 예에서는, 4 ㎒ 이상의 주파수 대역에 있어서, 부하의 유무나 종류에 관계없이, 전력선 종단 회로 (30U) 의 입력 임피던스에 변동은 없이, 특성 임피던스 (Z) 와 동일한 일정한 값 (여기에서는, 100 Ω) 으로 유지되어 있다. 따라서, 통신 대역이 4 ㎒ 이상이면, 전력선 종단 회로 (30U) 에서 반사가 생기는 경우가 없다.
제 3 도 및 제 4 도는, 옥내 전력선 (1A, 1B) 상에서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와 감쇠량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이다. 여기에서, 제 3 도는, 옥내 전력선 (1A, 1B) 의 분기 부분 (B1, B2) 에 전기 기기를 접속시키고 있지 않은 경우 (아웃렛 (2C, 2D) 이 개방단으로 되어 있는 경우) 에 있어서, 오픈 스텁 대책 전후의 신호 특성을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제 4 도는, 옥내 전력선 (1A, 1B) 의 분기 부분 (B1, B2) 에 전기 기기를 접속시킨 경우 (아웃렛 (2C, 2D) 가 개방단이 아닌 경우) 에 있어서, 숏 스텁 대책 전후의 신호 특성을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이들 도면에서, 횡축은 주파수 [㎒], 종축은 감쇠량 [dB] 을 나타낸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오픈 스텁 대책 및 숏 스텁 대책이란, 옥내 전력선 (1A, 1B) 의 분기 부분 (B1, B2) (제 12 도) 에 전력선 종단 회로 (30U) 를 형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오픈 스텁 대책을 실시하지 않는 경우, 즉 옥내 전력선 (1A, 1B) 의 분기 부분 (B1, B2) (제 12 도) 에 전력선 종단 회로 (30U) 를 형성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 3 도의 파선 (D1) 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이들의 분기 부분 (B1, B2) 의 종단부 (아웃렛 (2A, 2B)) 에 있어서의 반사에 의해 통신 주파수대의 일부에 좁고 깊은 감쇠극 (A1, A2) 이 생긴다. 이 결과, 통신 품질이 열화된다.
한편, 오픈 스텁 대책을 실시한 경우, 즉 옥내 전력선 (1A, 1B) 의 분기 부분 (B1, B2) (제 12 도) 에 전력선 종단 회로 (30U) 를 형성한 경우에는, 제 3 도의 실선 (S1) 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이들의 분기 부분 (B1, B2) 의 종단부 (아웃렛 (2A, 2B)) 에서 반사가 생기지 않기 때문에, 통신 주파수대의 전반에 걸쳐 감쇠극이 생기지 않는다. 이 결과, 통신 품질의 열화가 회피된다.
또, 숏 스텁 대책을 실시하지 않는 경우, 즉 옥내 전력선 (1A, 1B) 의 분기 부분 (B1, B2) (제 12 도) 에 전력선 종단 회로 (30U) 를 형성하지 않은 경우에는, 제 4 도의 파선 (D2) 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이들의 분기 부분 (B1, B2) 의 종단부 (아웃렛 (2A, 2B)) 에 있어서의 반사에 의해 통신 주파수대의 중앙부에 크고 깊은 감쇠극 (A3) 이 생긴다. 이 결과, 통신 품질이 열화된다.
한편, 숏 스텁 대책을 실시한 경우, 즉 옥내 전력선 (1A, 1B) 의 분기 부분 (B1, B2) (제 12 도) 에 전력선 종단 회로 (30U) 를 형성한 경우에는, 제 4 도의 실선 (S2) 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분기 부분 (B1, B2) 의 종단부 (아웃렛 (2A, 2B)) 에서의 반사에 의한 감쇠극 (A4) 이 통신 주파수대보다도 낮은 주파수대로 시프트되기 때문에, 통신 품질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한 쌍의 접속단 (35A, 35B) 사이에 형성한 커패시터 (33) 와, 일방의 옥내 전력선 (1A) 의 종단 (32A) 과 일방의 접속단 (35A) 사이에 형성한 인덕터 (34) 에 의해, 교류 전원 전압의 주파수보다도 높고 고주파의 통신 주파수대보다도 낮은 주파수대에 직렬 공진점을 갖는 직렬 공진 회로를 구성함과 함께, 인덕터 (34) 와 병렬로 옥내 전력선 (1A, 1B) 의 특성 임피던스에 상당하는 저항값을 갖는 저항기 (31) 를 형성하도록 했기 때문에, 통신 주파수대에서의 용량 부하 변동을 억제할 수 있다. 즉, 부하 (전기 기기 (5)) 의 유무나 종류에 관계없이, 전력선 종단 회로 (30U) 의 입력 임피던스를 통신 주파수대에서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옥내 전력선 (1A, 1B) 에 통신 기기(송신기 (3) 및 수신기 (4)) 이외의 일반 전기 기기 (5) 등이 접속되어 있든 접속되어 있지 않든, 또는 접속되어 있는 전기 기기의 종류가 어떠한 것이든, 통신 대역에 있어서, 전력선 종단 회로 (30U) 에서의 임피던스 부정합에 의해 반사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여, 통신 품질의 저하를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전력선 종단 회로에 의하면, 옥내 전력선 (1A, 1B) 상의 통신 신호가 전기 기기 (5) 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했기 때문에, 전기 기기 (5) 등에서 생긴 노이즈가 옥내 전력선 (1A, 1B) 상을 타는 것도 억제할 수 있어, 기기 노이즈에 대해 내성이 있는 전력선 통신이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관계된 몇 가지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전력선 종단 회로 (30U) 가 일반 가정의 실내 벽의 아웃렛에 내장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이하의 제 5a 도 및 제 5b 도 ∼ 제 7a 도 및 제 7b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러한 전력선 종단 회로를 갖지 않는 아웃렛에 대해 착탈 가능한 어댑터형 전력선 중계 장치로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들 도면에 있어서, 제 1 도에 나타낸 요소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적절히 설명을 생략한다.
《변형예 1》
제 5a 도 및 제 5b 도는, 상기 실시형태의 제 1 변형예에 관계된 전력선 중계 장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입력 대 출력이 1 대 1인 경우의 일례이다. 여기에서, 제 5a 도는 외관 구조를 나타내고, 제 5b 도는 회로 구성을 나타낸다.
이 전력선 중계 장치 (40) 는, 옥내 전력선 (1A, 1B) 의 기존의 아웃렛 (예컨대, 제 12 도의 아웃렛 (2C)) 으로부터 전기 기기 (5) 로의 전력 공급을 중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기존의 아웃렛」이란, 미리 전력선 통신을 실시하는 것을 상정하여 형성된 것이 아니라, 종래의 일반 가정에서 사용되고 있는 통상의 아웃렛이다.
제 5a 도 및 제 5b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전력선 중계 장치 (40) 는, 입력부 (IN) 로서 기능하는 한 쌍의 접속 플러그 (41A, 41B) 와, 출력 단자 (OUT) 로서 기능하는 한 쌍의 전기 기기용 접속 소켓 (42A, 42B) 과, 제 5b 도에 나타낸 구성의 전력선 종단 회로를 수용하는 케이스체 (43) 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 5b 도의 전력선 종단 회로는 제 1 도에 나타낸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다.
접속 플러그 (41A, 41B) 는 각각 아웃렛 (2C) 등 (제 12 도) 에 있어서의 도시하지 않은 한 쌍의 접속 소켓에 삽입 접속되도록 되고 있다. 전기 기기용 접속 소켓 (42A, 42B) 에는, 각각 전기 기기 (5) 의 한 쌍의 전원 플러그 (5A (제 12 도) 가 삽입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전기 기기용 접속 소켓 (42A, 42B) 은, 각각 제 1 도에 있어서의 접속단 (35A, 35B) 에 대응하는 것이다.
이 전력선 중계 장치 (40) 를 개재시켜 전기 기기 (5) 를 옥내 전력선 (1A, 1B) 의 아웃렛 (2C) 등에 접속시킴으로써, 옥내 전력선 (1A, 1B) 의 종단에 전력선 종단 회로가 형성되고, 이 결과,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한 기능을 발휘한다. 즉, 통신 대역에 있어서, 전력선 종단에서의 임피던스 부정합에 의해 반사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변형예에 의하면, 전기 기기 (5) 등을 아웃렛 (2C) 등에 접속시킬 때, 전력선 중계 장치 (40) 를 어댑터로서 사용함으로써, 기존의 (전력선 통신을 상정하지 않고 있음) 옥내 전력선 (1A, 1B) 을 전력선 통신에 적합한 통신로로 변경할 수 있다. 즉, 기존의 설비를 이용하여 전력선 통신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매우 용이하여, 특별한 공사는 불필요하다.
《변형예 2》
제 6a 도 및 제 6b 도는, 상기 실시형태의 제 2 변형예에 관계된 전력선 중계 장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입력 대 출력이 1 대 2 인 경우의 일례이다. 여기에서, 제 6a 도는 외관 구조를 나타내고, 제 6b 도는 회로 구성을 나타낸다. 또한, 이 도면에 있어서, 제 5a 도 및 제 5b 도에 나타낸 요소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적절히 설명을 생략한다.
이 전력선 중계 장치 (50) 는, 옥내 전력선 (1A, 1B) 의 종단부인 예컨대, 아웃렛 (2A) (제 12 도) 으로부터 통신 기기 (송신기 (3), 수신기 (4) 등) 및 전기 기기 (5) 로의 전력 공급을 중계함과 함께, 이 통신 기기와 옥내 전력선 (1A, 1B) 사이에서 통신 신호를 중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이 전력선 중계 장치 (50) 는, 제 1 출력 단자 (OUT1) 로서 기능하는 한 쌍의 전기 기기용 접속 소켓 (42A, 42B) 에 추가하여, 제 2 출력 단자 (OUT2) 로서 기능하는 한 쌍의 통신 기기용 접속 소켓 (44A, 44B) 을 구비한다. 또, 케이스체 (43) (제 5a 도) 를 대신하여, 제 6b 도에 나타낸 구성의 전력선 종단 회로를 수용하는 케이스체 (45) 를 구비한다. 제 6b 도에 나타낸 전력선 종단 회로는, 제 2 출력 단자 (OUT2) 로서의 통신 기기용 접속 소켓 (44A, 44B) 이, 입력부 (IN) 로서의 한 쌍의 접속 플러그 (41A, 41B) 에 직접 접속되어 있는 점을 제외하고, 제 5b 도에 나타낸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다.
제 1 출력 단자 (OUT1) 인 한 쌍의 전기 기기용 접속 소켓 (42A, 42B) 에는, 전기 기기 (5) 의 한 쌍의 전원 플러그 (5A) (제 12 도) 가 삽입 접속되고, 제 2 출력 단자 (OUT2) 인 한 쌍의 통신 기기용 접속 소켓 (44A, 44B) 에는, 통신 기기 의 전원 플러그 (송신기 (3) 의 전원 플러그 (3A) 또는 수신기 (4) 의 전원 플러그 (4A)) 가 삽입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송신기 등이 모뎀을 내장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옥내 전력선 (1A, 1B) 와 송신기 등 사이에 형성되는 외부에 부착된 전력선 통신 모뎀의 전원 플러그가 통신 기기용 접속 소켓 (44A, 44B) 에 삽입된다.
이 전력선 중계 장치 (50) 의 전기 기기용 접속 소켓 (42A, 42B) 을 이용하여 전기 기기 (5) 를 옥내 전력선 (1A, 1B) 에 접속시킴으로써, 옥내 전력선 (1A, 1B) 의 종단부 (아웃렛 (2A) 등) 에 전력선 종단 회로가 형성되게 되고, 이 결과, 통신 대역에 있어서, 전기 기기 (5) 가 접속된 전력선 종단에서의 임피던스 부정합에 의해 반사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전력선 중계 장치 (50) 의 통신 기기용 접속 소켓 (44A, 44B) 을 이용하여 송신기 (3) 등의 통신 기기를 옥내 전력선 (1A, 1B) 에 접속시킴으로써, 통신 기기 사이에서의 전력선 통신에 적합한 통신로를 구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본 변형예에 의하면, 기존의 옥내 전력선 (1A, 1B) 이라 하더라도, 전력선 중계 장치 (50) 를 이용함으로써, 통신 품질의 저하를 초래하지 않고, 전기 기기 (5) 와 통신 기기를 동일한 아웃렛 (2A) 에 접속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변형예 3》
제 7a 도 및 제 7b 도는, 본 실시형태의 제 3 변형예에 관계된 전력선 중계 장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입력 대 출력이 1 대 4 인 경우의 일례이다. 여기에서, 제 7a 도는 외관 구조를 나타내고, 제 7b 도는 회로 구성을 나타낸다. 또 한, 이 도면에 있어서, 제 6a 도 및 제 6b 도에 나타낸 요소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적절히 설명을 생략한다.
이 전력선 중계 장치 (60) 는, 옥내 전력선 (1A, 1B) 의 종단부인 예컨대, 아웃렛 (2A) (제 12 도) 으로부터 통신 기기 (송신기 (3), 수신기 (4) 등) 및 복수의 전기 기기로의 전력 공급을 중계함과 함께, 이 통신 기기와 옥내 전력선 (1A, 1B) 사이에서 통신 신호를 중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이 전력선 중계 장치 (60) 는, 제 7b 도에 나타낸 전력선 종단 회로 (46C) 를 수용하는 케이스체 (46) 와, 제 7b 도에 나타낸 제 1 ∼ 제 4 출력 단자 (OUT1 ∼ OUT4) 로 이루어지는 출력 회로 (47C) 를 수용하는 케이스체 (47) 와, 전력선 종단 회로 (46C) 와 출력 회로 (47C) 를 접속시키는 케이블 (48) 을 구비하고 있다. 한 쌍의 전기 기기용 접속 소켓 (42A, 42B) 은 제 1 출력 단자 (OUT1) 로서 기능하고, 한 쌍의 통신 기기용 접속 소켓 (44A, 44B) 은 제 2 출력 단자 (OUT2) 로서 기능한다. 전기 기기용 부가 접속 소켓 (52A, 52B) 은 제 3 출력 단자 (OUT3) 로서 기능하고, 전기 기기용 부가 접속 소켓 (53A, 53B) 은 제 4 출력 단자 (OUT4) 로서 기능한다.
제 1 출력 단자 (OUT1) 및 제 3, 제 4 출력 단자 (OUT3, OUT4) 에는, 각각 전기 기기 (5) 등의 전원 플러그가 접속되고, 제 2 출력 단자 (OUT2) 에는, 송신기 (3) 나 수신기 (4) 또는 전력선 통신 모뎀 등의 통신 기기의 전원 플러그가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본 변형예에 의하면, 전력선 중계 장치 (60) 의 출력 단자 (OUT2) 를 이용하 여 통신 기기를 옥내 전력선 (1A, 1B) 에 접속시키는 동시에, 출력 단자 (OUT1, OUT3 및 OUT4) 를 이용하여 복수 (여기에서는, 최대 3 대) 의 전기 기기를 옥내 전력선 (1A, 1B) 에 접속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옥내 전력선 (1A, 1B) 의 종단부 (출력 단자 (OUT1, OUT3 및 OUT4)) 에, 제 1 도와 동일한 전력선 종단 회로 (46C) 가 형성되게 되기 때문에, 통신 주파수대에서의 통신 신호의 반사를 방지할 수 있으며, 통신 기기 사이에서의 전력선 통신에 적합한 통신로를 용이하게 구축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2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력선 종단 회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8 도는 본 실시형태의 전력선 종단 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 도면에서는, 제 1 도에 나타낸 구성 요소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분에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적절히 생략한다.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한 쌍의 옥내 전력선 (1A, 1B) 의 일방에만 인덕터 및 저항기를 배치한, 이른바 불평형형 (Unbalanced) 전력선 종단 회로 (30U) 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에 대해, 본 실시형태의 전력선 종단 회로 (30B) 는, 제 8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옥내 전력선 (1A, 1B) 의 쌍방에 대응하여 각각 인덕터 및 저항기를 배치한, 이른바 평형형 (Balanced) 의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전력선 종단 회로 (30B) 는, 한 쌍의 접속단 (35A, 35B) 사이에 형성된 커패시터 (33) 와, 일방의 옥내 전력선 (1A) 의 종단 (32A) 과 일방의 접속단 (35A) 사이에 형성된 제 1 인덕터 (34A) 와, 이 제 1 인덕터 (34A) 와 병렬로 형성된 제 1 저항기 (31A) 와, 타방의 옥내 전력선 (1B) 의 종단 (32B) 과 타방의 접속단 (35B) 사이에 형성된 제 2 인덕터 (34B) 와, 이 제 2 인덕터 (34B) 와 병렬로 형성된 제 2 저항기 (31B) 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저항기 (31A) 및 제 2 저항기 (31B) 는 모두 제 1 도의 저항기 (31) 의 저항값 (R) 의 1/2 크기의 저항값 (즉, 옥내 전력선의 특성 임피던스 (Z) 의 1/2 의 저항값) 을 갖고, 이들의 합이 옥내 전력선의 특성 임피던스 (Z) 와 동일하게 되어 있다.
제 1 인덕터 (34A) 및 제 2 인덕터 (34B) 는 모두 제 1 도에 나타낸 인덕터 (34) 가 갖는 인덕턴스의 1/2 의 인덕턴스를 갖고, 커패시터 (33) 와 함께 직렬 공진 회로를 구성한다. 이 직렬 공진 회로는, 교류 전원 전압의 주파수보다도 높고 또한 통신 주파수대보다도 낮은 주파수대에 직렬 공진점을 갖는다.
그 밖의 구성 및 접속 관계는 제 1 도의 경우와 동일하다.
본 실시형태의 전력선 종단 회로 (30B) 에 의하면, 상기 제 1 실시형태 (제 1 도) 에 있어서의 인덕터 (34) 를 동일 인덕턴스의 2 개의 인덕터 (34A, 34B) 로 분리하고, 한 쌍의 옥내 전력선 (1A, 1B) 각각에 균등하게 나누어 배치하도록 했기 때문에, 2 개의 인덕터 (34A, 34B) 와 커패시터 (33) 로 이루어지는 직렬 공진 회로가 평형형의 구성이 되어,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비해 방사 (복사) 노이즈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저항기 (31A, 31B) 가 동일한 저항값을 갖고, 2 개의 인덕터 (34A, 34B) 가 동일한 인덕턴스를 갖는 것, 즉 회로 상수가 완전 대칭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완전 대칭일 필요는 없으며, 서로 달라도 된다. 단, 방사 노이즈의 저감을 고려하면, 대칭성의 어긋남이 약 30 % 정도 이하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3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력선 종단 회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9 도는 본 실시형태의 전력선 종단 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 도면에서도, 제 1 도에 나타낸 구성 요소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분에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적절히 생략한다.
제 9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전력선 종단 회로 (30UC) 는, 상기 제 1 실시형태 (제 1 도) 의 전력선 종단 회로 (30U) 에 추가하여, 저항기 (31) 와 직렬로 접속된 제 2 커패시터 (36) 를 더욱 구비하도록 한 것이다. 이 커패시터 (36) 는 인덕터 (34) 와 함께 병렬 공진 회로를 구성한다. 이 경우, 커패시터 (36) 의 용량은, 상기 병렬 공진 회로의 공진 주파수가 커패시터 (33) 및 제 1, 제 2 인덕터 (34A, 34B) 로 이루어지는 직렬 공진 회로의 직렬 공진점보다도 높고, 또한 통신 주파수대보다도 낮은 주파수대에 병렬 공진점을 갖도록 한다. 구체적으로는, 병렬 공진 회로의 공진 주파수가, 통신 주파수의 하한 (예컨대, 4 ㎒) 보다도 약간 낮아지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밖의 구성 및 접속 관계는 제 1 도의 경우와 동일하다.
제 10 도는, 제 9 도에 나타낸 전력선 종단 회로 (30UC) (제 2 커패시터 (36) 가 있는 경우) 의 입력 주파수와 입력 임피던스의 관계를,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경우 (제 2 커패시터 (36) 가 없는 경우 ; 제 1 도) 와 대비하여 나타낸 것이다. 횡축은 주파수, 종축은 임피던스를 나타낸다. 실선 (L0) 및 파선 (L3) 은, 각각 제 1 도 및 제 9 도의 경우에 대하여 모두 부하가 없는 경우 (전기 기기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 를 나타낸다. 또, 옥내 전력선 (1A, 1B) 의 특성 임피던스 (R) 는 100 Ω 으로 한다. 또, 제 10 도는, 제 1 도 및 제 9 도에 나타낸 회로 상수를 다음과 같은 값으로 설정한 경우의 일례이다.
인덕터 (34) 의 인덕턴스 = 20 μH
커패시터 (33) 의 용량 = 0.1 μF
커패시터 (36) 의 용량 = 4 nF (나노패럿)
저항기 (31) 의 저항값 = 100 Ω
제 10 도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제 9 도의 전력선 종단 회로 (30UC) 의 경우 쪽이, 제 1 도의 전력선 종단 회로 (30U) 의 경우보다도, 낮은 주파수의 포인트로 원하는 입력 임피던스 (옥내 전력선 (1A, 1B) 의 특성 임피던스 (Z) = 100 Ω) 에 달하고 있다. 제 10 도에 나타낸 예에서는, 입력 임피던스가 100 Ω 에 달하는 주파수는, 제 1 도의 경우가 약 4 ㎒ 인 데 비해, 제 9 도의 경우에는 약 800 ㎑ 이다. 즉, 통신 가능 주파수의 하한이 4 ㎒ 에서 약 800 ㎑ 로 시프트되어 있어, 통신에 사용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이 확대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 다.
《변형예 4》
상기의 제 3 실시형태 (제 9 도) 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불평형형 전력선 종단 회로 (30U) (제 1 도) 에 있어서, 추가로 저항기 (31) 와 직렬로 제 2 커패시터 (36) 를 형성하도록 한 것이지만, 이 밖에,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평형형 전력선 종단 회로 (30B) (제 8 도) 에 있어서, 추가로 저항기 (31A, 31B) 와 각각 직렬로 제 3 및 제 4 커패시터 (36A, 36B) 를 형성함으로써, 제 11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전력선 종단 회로 (30BC) 를 구성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제 1 인덕터 (34A) 와 제 3 커패시터 (36A) 에 의해 제 1 병렬 공진 회로가 구성됨과 함께, 제 2 인덕터 (34B) 와 제 4 커패시터 (36B) 에 의해 제 2 병렬 공진 회로가 구성된다. 이들 제 1 및 제 2 병렬 공진 회로는, 각각 커패시터 (33) 및 제 1, 제 2 인덕터 (34A, 34B) 로 이루어지는 직렬 공진 회로의 직렬 공진점보다도 높고, 또한 통신 주파수대보다도 낮은 주파수대에 병렬 공진점을 갖도록 한다. 구체적으로는, 제 1 및 제 2 저항기 (31A, 31B) 의 저항값과, 제 1 및 제 2 인덕터 (34A, 34B) 의 인덕턴스에 대해서는, 모두 제 8 도에서 설명한 값과 각각 동일하게 하는 한편, 제 3 및 제 4 커패시터 (36A, 36B) 에 대해서는, 모두 제 9 도로 설명한 제 2 커패시터 (36) 의 2 배의 용량으로 하면 된다. 본 변형예에 의하면, 통신 주파수의 확대와, 방사 노이즈의 저감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몇 가지 실시형태 및 변형예를 들어 본 발명을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형태 및 변형예로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예컨대, 상기 각 실시형태 (제 1 도, 제 8 도, 제 9 도) 또는 제 1 변형예 (제 5a 도 및 제 5b 도) 에서는, 전력선 종단 회로를 벽측 아웃렛에 내장시키거나 또는 아웃렛과 전기 기기 사이에 어댑터로서 배치하는 전력선 중계 장치에 내장시키도록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고, 전기 기기의 내부의 입력단에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또, 상기 각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서는, 저항기 (31) 나 저항기 (31A, 31B) 를 고정 저항으로서 설명했지만, 옥내 전력선 (1A, 1B) 의 특성 임피던스에 따라 저항값을 변경할 수 있는 가변 저항기를 사용하도록 해도 된다.
또, 상기한 제 1 ∼ 제 3 변형예에서는, 제 1 도에 나타낸 전력선 종단 회로 (30U) 를 이용하여 제 5a 도 및 제 5b 도 ∼ 제 7a 도 및 제 7b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전력선 중계 장치를 구성하도록 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제 8 도, 제 9 도 또는 제 11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구성의 전력선 종단 회로를 사용하여, 제 5a 도 및 제 5b 도 ∼ 제 7a 도 및 제 7b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전력선 중계 장치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 제 1 변형예 (제 5a 도 및 제 5b 도) 에서는, 한 쌍의 전기 기기용 접속 소켓을 갖는 전력선 중계 장치를 예시했지만, 2 쌍 이상의 통신 기기용 접속 소켓을 구비하도록 해도 된다.
또, 상기 제 2 및 제 3 변형예 (제 6a 도 및 제 6b 도, 제 7a 도 및 제 7b 도) 에서는, 한 쌍의 통신 기기용 접속 소켓을 갖는 전력선 중계 장치를 예시했지만, 2 쌍 이상의 통신 기기용 접속 소켓을 구비하도록 해도 된다.
또, 상기 제 3 변형예 (제 7a 도 및 제 7b 도) 에서는, 3 쌍의 전기 기기용 접속 소켓을 갖는 전력선 중계 장치를 예시했지만, 2 쌍 또는 4 쌍 이상의 통신 기기용 접속 소켓을 구비하도록 해도 된다.
또, 상기 제 3 변형예 (제 7a 도 및 제 7b 도) 에서는, 전력선 종단 회로 (46C) 를 수용하는 케이스체 (46) 와, 기기 접속용 소켓 (제 1 ∼ 제 4 출력 단자 (OUT1 ∼ OUT4) 로 이루어지는 출력 회로 (47C)) 를 수용하는 케이스체 (47) 를 분리하고, 양자 간을 케이블 (48) 에 의해 접속시키는 구조로 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양자를 1 개의 케이스체에 일체화되도록 해도 된다.
또,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회로 상수의 값이나 옥내 전력선의 특성 임피던스의 값 등은 어디까지나 예시로,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력선 종단 회로 또는 전력선 중계 방법에 의하면, 한 쌍의 옥내 전력선의 선 사이에, 이 옥내 전력선의 종단부에 접속되는 전기 기기에 있어서의 용량 부하의 변동을 억제하는 제 1 커패시터를 형성하고, 옥내 전력선 상에, 제 1 커패시터와 함께 직렬 공진 회로를 구성하는 인덕터를 형성하고, 인덕터와 병렬로, 옥내 전력선의 특성 임피던스에 상당하는 저항값을 갖는 저항기를 형성하며, 직렬 공진 회로가, 교류 전원 전압의 주파수보다도 높고 또한 통신 주파수대보다도 낮은 주파수대에 직렬 공진점을 갖도록 했기 때문에, 통신 주파수대에서의 반사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여, 전력선 통신에 있어서의 통신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특히, 통신 주파수대의 하한 주파수에 있어서의 인덕터의 임피던스가, 저항 기 저항값의 2 배 이상이 되도록 한 경우에는, 인덕터와 병렬로 형성된 저항기가, 고주파 신호에 대한 확실한 바이패스로서 기능하고, 입력 임피던스의 매칭이 또한 양호해지기 때문에 반사가 보다 억제되어, 통신 품질이 보다 양호해진다.
또, 한 쌍의 옥내 전력선 중 어느 일방에만 인덕터를 형성함과 함께, 인덕터와 함께 병렬 공진 회로를 구성하는 제 2 커패시터를 저항기와 직렬로 형성하고, 이 병렬 공진 회로가, 직렬 공진 회로의 직렬 공진점보다도 높고 또한 통신 주파수대보다도 낮은 주파수대에 병렬 공진점을 갖도록 한 경우에는, 전력선 종단 회로의 입력 임피던스가 일정한 값 (저항기의 저항값) 에 달하는 주파수가 보다 낮은 쪽으로 시프트되기 때문에, 반사를 일으키지 않는 주파수대가 확대된다.
또, 한 쌍의 옥내 전력선 각각에 제 1 및 제 2 인덕터를 형성함과 함께, 제 1 및 제 2 인덕터와 각각 병렬로 제 1 및 제 2 저항기를 형성하고, 제 1 및 제 2 저항기의 저항값의 합이,옥내 전력선의 특성 임피던스와 동일해지도록 하고, 제 1 및 제 2 인덕터가 제 1 커패시터와 함께 직렬 공진 회로를 구성하도록 한 경우에 있어서도, 통신 주파수대에서의 반사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여, 전력선 통신에 있어서의 통신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또한, 제 1 및 제 2 인덕터를 서로 동일한 크기의 인덕턴스로 하고, 제 1 및 제 2 저항기를 서로 동일한 크기의 저항값로 한 경우에는, 전력선 종단 회로가 평형형이 되기 때문에, 방사 노이즈가 적어져, 통신 품질이 더욱 향상된다. 추가로, 제 1 저항기와 직렬로, 제 1 인덕터와 함께 병렬 공진 회로를 구성하는 제 3 커패시터를 형성함과 함께, 제 2 저항기와 직렬로, 제 2 인덕터와 함께 병렬 공진 회로를 구성하는 제 4 커패시터를 형성하고, 이들 병렬 공진 회로가, 각각 직렬 공진 회로의 직렬 공진점보다도 높고 또한 통신 주파수대보다도 낮은 주파수대에 병렬 공진점을 갖도록 구성한 경우에는, 전력선 종단 회로의 입력 임피던스가 일정한 값에 달하는 주파수가 보다 낮은 쪽으로 시프트되기 때문에, 반사를 일으키지 않는 주파수대가 확대된다.
본 발명의 전력선 중계 장치에 의하면, 한 쌍의 옥내 전력선의 종단부에 접속되는 한 쌍의 접속 플러그와, 전기 기기의 전원 플러그가 꽂아지는 한 쌍의 전기 기기용 접속 소켓과, 한 쌍의 전기 기기용 접속 소켓 사이에 형성되고, 전기 기기에 있어서의 용량 부하의 변동을 억제하는 제 1 커패시터와, 접속 플러그와 전기 기기용 접속 소켓 사이에 형성되고, 제 1 커패시터와 함께 직렬 공진 회로를 구성하는 인덕터와, 인덕터와 병렬로 형성되고, 옥내 전력선의 특성 임피던스에 상당하는 저항값을 갖는 저항기를 구비하고, 직렬 공진 회로가, 교류 전원 전압의 주파수보다도 높고 또한 통신 주파수대보다도 낮은 주파수대에 직렬 공진점을 갖도록 했기 때문에, 이러한 구성의 전력선 중계 장치를 기존의 옥내 전력선의 종단부와 전기 기기 사이에 어댑터로서 배치하는 것만으로, 옥내 전력선의 종단부에서의 통신 주파수대의 고주파 통신 신호의 반사를 억제할 수 있다. 즉, 특별한 공사를 필요로 하지 않고, 매우 용이하게 기존의 옥내 전력선을 전력선 통신에 적합한 통신로로 변경할 수 있다.

Claims (22)

  1. 교류 전원 전압과 통신 주파수대의 고주파 신호가 중첩되는 한 쌍의 옥내 전력선의 종단부에 형성되는 전력선 종단 회로로서,
    상기 한 쌍의 옥내 전력선의 선 사이에 형성되고, 이 옥내 전력선의 종단부에 접속되는 전기 기기에 있어서의 용량 부하의 변동을 억제하는 제 1 커패시터;
    상기 옥내 전력선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커패시터와 함께 직렬 공진 회로를 구성하는 인덕터; 및
    상기 인덕터와 병렬로 형성된 저항기를 구비하고,
    상기 직렬 공진 회로가, 상기 교류 전원 전압의 주파수보다도 높고 또한 상기 통신 주파수대보다도 낮은 주파수대에 직렬 공진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종단 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주파수대의 하한 주파수에 있어서의 상기 인덕터의 임피던스가, 상기 저항기 저항값의 2 배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종단 회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덕터가, 상기 한 쌍의 옥내 전력선 중 어느 일방에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종단 회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기와 직렬로 형성되어 상기 인덕터와 함께 병렬 공진 회로를 구성하는 제 2 커패시터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병렬 공진 회로가, 상기 직렬 공진점보다도 높고 또한 상기 통신 주파수대보다도 낮은 주파수대에 병렬 공진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종단 회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덕터가, 상기 한 쌍의 옥내 전력선 각각에 형성된 제 1 및 제 2 인덕터를 포함하고,
    상기 저항기가, 상기 제 1 인덕터와 병렬로 형성된 제 1 저항기와, 상기 제 2 인덕터와 병렬로 형성된 제 2 저항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인덕터가 상기 제 1 커패시터와 함께 상기 직렬 공진 회로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종단 회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인덕터가 서로 동일한 크기의 인덕턴스를 갖고,
    상기 제 1 및 제 2 저항기가 서로 동일한 크기의 저항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종단 회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저항기와 직렬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인덕터와 함께 제 1 병렬 공진 회로를 구성하는 제 3 커패시터; 및
    상기 제 2 저항기와 직렬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인덕터와 함께 제 2 병렬 공진 회로를 구성하는 제 4 커패시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병렬 공진 회로가, 각각 상기 직렬 공진 회로의 직렬 공진점보다도 높고 또한 상기 통신 주파수대보다도 낮은 주파수대에 병렬 공진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종단 회로.
  8. 교류 전원 전압과 통신 주파수대의 고주파 신호가 중첩되는 한 쌍의 옥내 전력선의 종단부와, 상기 옥내 전력선으로부터 전력 공급을 받는 전기 기기 사이를 중계하는 전력선 중계 장치로서,
    상기 한 쌍의 옥내 전력선의 종단부에 접속되는 한 쌍의 접속 플러그;
    상기 전기 기기의 전원 플러그가 꽂아지는 한 쌍의 전기 기기용 접속 소켓;
    상기 한 쌍의 전기 기기용 접속 소켓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전기 기기에 있어서의 용량 부하의 변동을 억제하는 제 1 커패시터;
    상기 접속 플러그와 상기 전기 기기용 접속 소켓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커패시터와 함께 직렬 공진 회로를 구성하는 인덕터; 및
    상기 인덕터와 병렬로 형성된 저항기를 구비하고,
    상기 직렬 공진 회로가, 상기 교류 전원 전압의 주파수보다도 높고 또한 상기 통신 주파수대보다도 낮은 주파수대에 직렬 공진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중계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주파수대의 하한 주파수에 있어서의 상기 인덕터의 임피던스가, 상기 저항기 저항값의 2 배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중계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인덕터가, 상기 접속 플러그의 일방과 상기 전기 기기용 접속 소켓의 일방 사이 또는 상기 접속 플러그의 타방과 상기 전기 기기용 접속 소켓의 타방 사이 중 어느 일방에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중계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기와 직렬로 형성되어 상기 인덕터와 함께 병렬 공진 회로를 구성하는 제 2 커패시터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병렬 공진 회로가, 상기 직렬 공진점보다도 높고 또한 상기 통신 주파수대보다도 낮은 주파수대에 병렬 공진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중계 장치.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인덕터가, 상기 접속 플러그의 일방과 상기 전기 기기용 접속 소켓의 일방 사이에 형성된 제 1 인덕터와, 상기 접속 플러그의 타방과 상기 전기 기기용 접속 소켓의 타방 사이에 형성된 제 2 인덕터를 포함하고,
    상기 저항기가, 상기 제 1 인덕터와 병렬로 형성된 제 1 저항기와, 상기 제 2 인덕터와 병렬로 형성된 제 2 저항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인덕터가 상기 제 1 커패시터와 함께 상기 직렬 공진 회로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중계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인덕터가 서로 동일한 크기의 인덕턴스를 갖고,
    상기 제 1 및 제 2 저항기가 서로 동일한 크기의 저항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중계 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저항기와 직렬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인덕터와 함께 제 1 병렬 공진 회로를 구성하는 제 3 커패시터; 및
    상기 제 2 저항기와 직렬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인덕터와 함께 제 2 병렬 공진 회로를 구성하는 제 4 커패시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병렬 공진 회로가, 각각 상기 직렬 공진 회로의 직렬 공 진점보다도 높고 또한 상기 통신 주파수대보다도 낮은 주파수대에 병렬 공진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중계 장치.
  15.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접속 플러그에 직접 접속되어 통신 기기의 전원 플러그가 꽂아지는 적어도 한 쌍의 통신 기기용 접속 소켓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중계 장치.
  16.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전기 기기용 접속 소켓과 병렬로 형성되어 전기 기기의 전원 플러그가 꽂아지는 적어도 한 쌍의 전기 기기용 부가 접속 소켓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중계 장치.
  17. 교류 전원 전압과 통신 주파수대의 고주파 신호가 중첩되는 한 쌍의 옥내 전력선을 종단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한 쌍의 옥내 전력선의 선 사이에, 이 옥내 전력선의 종단부에 접속되는 전기 기기에 있어서의 용량 부하의 변동을 억제하는 제 1 커패시터를 형성하고,
    상기 옥내 전력선 상에, 상기 제 1 커패시터와 함께 직렬 공진 회로를 구성하는 인덕터를 형성하고,
    상기 인덕터와 병렬로 저항기를 형성하고,
    상기 직렬 공진 회로가, 상기 교류 전원 전압의 주파수보다도 높고 또한 상기 통신 주파수대보다도 낮은 주파수대에 직렬 공진점을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종단 방법.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기는, 상기 옥내 전력선의 특성 임피던스에 상당하는 저항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종단 회로.
  1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저항기의 저항값의 합이,상기 옥내 전력선의 특성 임피던스에 상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종단 회로.
  2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기는, 상기 옥내 전력선의 특성 임피던스에 상당하는 저항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중계 장치.
  21.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저항기의 저항값의 합이,상기 옥내 전력선의 특성 임피던스에 상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중계 장치.
  22.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기는, 상기 옥내 전력선의 특성 임피던스에 상당하는 저항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종단 방법.
KR1020057018395A 2003-03-28 2004-03-26 전력선 종단 회로 및 방법, 그리고 전력선 중계 장치 KR1007198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092843A JP4271474B2 (ja) 2003-03-28 2003-03-28 電力線終端回路および方法、ならびに電力線中継装置
JPJP-P-2003-00092843 2003-03-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5322A KR20050115322A (ko) 2005-12-07
KR100719829B1 true KR100719829B1 (ko) 2007-05-18

Family

ID=33127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8395A KR100719829B1 (ko) 2003-03-28 2004-03-26 전력선 종단 회로 및 방법, 그리고 전력선 중계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456516B2 (ko)
JP (1) JP4271474B2 (ko)
KR (1) KR100719829B1 (ko)
CN (1) CN1765061A (ko)
WO (1) WO20040888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5008050B4 (de) * 2005-02-22 2009-08-27 Siemens Ag Verfahren zum Austausch von Informationsdaten zwischen einem elektrischen Verbraucher und einem Betriebsmittel
US8040235B2 (en) * 2005-04-08 2011-10-18 Panasonic Corporation Relay apparatus and electric appliance
JPWO2007046438A1 (ja) 2005-10-19 2009-04-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力アウトレット装置
JP4712521B2 (ja) * 2005-10-26 2011-06-2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終端装置
JP2007221358A (ja) * 2006-02-15 2007-08-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力線通信用ケーブル接続器
ES2302607B1 (es) * 2006-03-23 2009-05-20 Diseño De Sistemas En Silicio S.A. Dispositivo de comunicaciones a traves de la red electrica con salida auxiliar de potencia filtrada.
JP2007329736A (ja) * 2006-06-08 2007-12-20 Mitsubishi Electric Corp 電力線通信用通信線路改善装置
JP4729455B2 (ja) * 2006-08-16 2011-07-20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フィルタ回路
KR100819561B1 (ko) * 2007-01-12 2008-04-08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및 이 장치의 신호 종단 방법
KR100965701B1 (ko) * 2007-06-08 2010-06-24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전력선 반송 통신 시스템
EP2051396B1 (fr) * 2007-10-16 2016-01-13 Orange Transmission par courants porteurs en ligne
JP4603069B2 (ja) 2008-03-17 2010-12-22 株式会社日本自動車部品総合研究所 受信装置
EP2313036A1 (en) 2008-05-02 2011-04-27 Dymedix Corporation Agitator to stimulate the central nervous system
CN102089990B (zh) * 2008-07-14 2015-01-21 报知机株式会社 传输系统
US20100048986A1 (en) * 2008-08-22 2010-02-25 Dymedix Corporation Dosage optimization for a closed loop neuromodulator
WO2010033849A1 (en) * 2008-09-19 2010-03-25 Dymedix Corporation Pyro/piezo sensor and stimulator hybrid circuit
US8362870B2 (en) * 2009-11-10 2013-01-29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Impedance calibration circuit with uniform step heights
JP5313941B2 (ja) * 2010-02-19 2013-10-09 株式会社日本自動車部品総合研究所 電力線通信システム
EP2560294A4 (en) * 2010-04-12 2016-08-03 Panasonic Ip Man Co Ltd IMPEDANCE STABILIZATION DEVICE
JP5102862B2 (ja) * 2010-06-02 2012-12-19 シャープ株式会社 屋内配線終端状態判定装置、plcアダプタ、屋内配線終端状態判定方法
JP5632788B2 (ja) * 2011-04-12 2014-11-2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コンセントおよび接続装置
JP5931864B2 (ja) 2011-06-21 2016-06-08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装置
WO2013008903A1 (ja) * 2011-07-13 2013-01-17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装置
JP6039665B2 (ja) * 2011-07-13 2016-12-07 エーエスエムエル ネザーランズ ビー.ブイ. 放電生成プラズマeuv源のための電源装置
WO2013008921A1 (ja) 2011-07-13 2013-01-17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装置
CN103187858B (zh) * 2011-12-30 2016-06-08 施耐德电器工业公司 逻辑输入装置
FR2985867B1 (fr) * 2012-01-16 2014-10-31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Systeme de communication par courants porteurs hautes frequences plc sur une ligne pilote
DE102014204155A1 (de) * 2014-03-06 2015-09-10 Dr. Johannes Heidenhain Gmbh Vorrichtung zur Signalübertragung
CN105071835B (zh) * 2015-07-29 2018-06-01 北京智芯微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宽带载波通信衰减电路和耦合电路
WO2017163948A1 (ja) * 2016-03-25 2017-09-28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車載処理装置及び車載システム
KR20180013088A (ko) * 2016-07-28 2018-02-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
CN108633123B (zh) * 2017-03-17 2020-11-24 朗德万斯公司 滤波缓冲电路、具有其的照明装置和用于照明装置的电源
JP2019176304A (ja) * 2018-03-28 2019-10-10 株式会社ダイヘン バイパス回路
CN108957168A (zh) * 2018-05-22 2018-12-07 南昌华勤电子科技有限公司 Usb接口电路及包含其的电子设备
CN112640186A (zh) * 2018-08-29 2021-04-09 新唐科技日本株式会社 单元监视电路以及管理系统
CN215581117U (zh) * 2021-09-27 2022-01-18 深圳飞骧科技股份有限公司 天线双讯器电路及功率放大器发射模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20151A (ja) 1983-12-01 1985-06-27 三菱電機株式会社 冷凍空調制御回路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7788Y2 (ja) * 1976-05-24 1984-03-09 松下電工株式会社 インピ−ダンスアツパ−装置
JPS5566459U (ko) * 1978-10-31 1980-05-08
JPS61278221A (ja) * 1985-06-03 1986-12-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搬送通信回路の接続用コンセント
JPS6424448A (en) 1987-07-20 1989-01-26 Fujitsu Ltd Liquid cooling module
JPH01135836A (ja) 1987-11-20 1989-05-29 Nitto Denko Corp ポリイミドフィルム成形品
JP2505226Y2 (ja) * 1988-03-09 1996-07-24 株式会社 トーキン コンセント型ノイズフイルタ
US6177849B1 (en) * 1998-11-18 2001-01-23 Oneline Ag Non-saturating, flux cancelling diplex filter for power line communications
FR2795943B1 (fr) 1999-07-05 2001-10-05 Satelec Sa Soc Pour La Concept Dispositif d'asservissement d'une piece a main dentaire a vibration ultrasonore
JP2002217797A (ja) 2001-01-12 2002-08-02 Sumitomo Electric Ind Ltd 電源線を用いた通信線路
JP3713477B2 (ja) * 2001-11-19 2005-11-09 Tdk株式会社 電力線通信システム
JP3717860B2 (ja) 2002-03-08 2005-11-16 東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電力線搬送通信用終端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20151A (ja) 1983-12-01 1985-06-27 三菱電機株式会社 冷凍空調制御回路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13507382NU 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271474B2 (ja) 2009-06-03
JP2004304365A (ja) 2004-10-28
CN1765061A (zh) 2006-04-26
WO2004088872A1 (ja) 2004-10-14
US20060214507A1 (en) 2006-09-28
KR20050115322A (ko) 2005-12-07
US7456516B2 (en) 2008-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9829B1 (ko) 전력선 종단 회로 및 방법, 그리고 전력선 중계 장치
JP4708145B2 (ja) 電力線通信装置
US7501913B2 (en) Power lin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nnecting device
EP0667067B1 (en) Transmission network and filter therefor
EP1326348B1 (en) Power line communication system and power line branching apparatus
US8040235B2 (en) Relay apparatus and electric appliance
WO1998018211A1 (en) Appliance adapted for power line communications
EP1252727A1 (en) Method of isolating data in a power line communication network
JP2011188532A (ja) 通信装置及び通信装置のためのカプラー
KR20080040354A (ko) 광대역 블로킹필터
US5869909A (en) Active ground compensation
JP2003258689A (ja) 電力線搬送通信システム及び電力線搬送通信用モデム
US8810059B2 (en) Effective low voltage to medium voltage transmission on PRIME band
JP4729455B2 (ja) フィルタ回路
JP2004248119A (ja) Plcモデム
TWI470953B (zh) 將電壓多重輸入於多重導體之裝置
JP2007006371A (ja) 電力線通信用の中継アダプタとその配線構造
JP2003134003A (ja) 電力線結合回路及び電力線搬送通信アダプタ
KR20080040646A (ko) 광대역 블로킹 필터링 시스템
JP2005260910A (ja) 電力線通信信号重畳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電力線通信ネットワーク
JP2013157708A (ja) 電力線通信用インターフェイス回路
JP2006229774A (ja) フィルタ回路
JP2017069916A (ja) 電力線通信モジュール
JP2001285150A (ja) 配電線通信回路網
MXPA96001253A (en) Line interface apparatus and method for aislarde the line to the da terminal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