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9807B1 - 절연 도전성 미립자 및 이를 이용한 이방 도전성 필름 - Google Patents

절연 도전성 미립자 및 이를 이용한 이방 도전성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9807B1
KR100719807B1 KR1020050136088A KR20050136088A KR100719807B1 KR 100719807 B1 KR100719807 B1 KR 100719807B1 KR 1020050136088 A KR1020050136088 A KR 1020050136088A KR 20050136088 A KR20050136088 A KR 20050136088A KR 100719807 B1 KR100719807 B1 KR 1007198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
fine particles
acrylate
insulating
condu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6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호
박진규
전정배
Original Assignee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모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360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98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9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98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20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 H01B1/22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the conductive material comprising metals o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5/14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comprising conductive layers or films on insulating-suppo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5/16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comprising conductive material in insulating or poorly conductive material, e.g. conductive rubb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05K3/321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conductive adhesives
    • H05K3/323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conductive adhesives by applying an anisotropic conductive adhesive layer over an array of p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Non-Insulated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로 접속 시 열 압착에 의해 가압 방향으로만 전도성을 띄는 이방성 도전성 미립자에 관한 것으로, 도전성 미립자의 외 층에 절연 입자를 불연속적 부착 시킨 후 일정 범위 내에서의 가열 압착에서 절연 입자가 용이하게 이탈함으로써 도전성 미립자의 금속층이 전극간 접속을 유도하고, 가열 압착의 영향을 받지 않는 입자는 절연층이 유지되어 전극간 또는 도전성 미립자 간의 통전을 막아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절연 도전성 미립자는 일정 온도 및 압력 하에서 절연 입자의 고착이 유지되며, 일정의 가열 압착 시에만 절연 입자가 이탈함으로써 입자의 안정한 도전 성능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절연 도전성 미립자, 절연 미립자, 이방 도전성 필름

Description

절연 도전성 미립자 및 이를 이용한 이방 도전성 필름{Insulated Conductive Particle Composition with Anisotropic Conduction and Anisotropic Conductive Film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절연 도전성 미립자의 표면 처리 과정에 대한 개략적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절연 전도성 미립자의 전자 현미경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절연 도전성 미립자를 이용한 이방 도전성 필름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절연 도전성 미립자를 함유한 수지 조성물로 성형된 이방성 도전성 필름을 액정 표시 기판과 구동용 직접회로 사이에 접합시키기 전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절연 전도성 미립자를 함유한 이방전도성 필름을 액정 표시 기판과 구동용 집적회로 사이에 접합하여 회로를 접속시켰을 때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절연 도전성 미립자가 회로기판의 범프(bump) 전극에 접속되기 전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발명에 따른 돌기형 도전성 미립자가 회로기판의 범프(bump) 전극에 접속된 후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
1 : 절연 도전성 미립자 2 : 절연성 미세입자
3 : 구동용 집적회로 4 : 액정 표시 기판
5 : 절연 도전성 미립자를 함유한 이방성 필름
11 : 합성수지 기재입자 12 : 금속층
31 : 범프(bump) 전극 41 : 배선 패턴
본 발명은 회로 접속 시 일정 이상의 열 압착에 의해 가압 방향으로만 전도성을 띄는 이방성 도전성 미립자에 관한 것으로, 도전성 미립자의 표면에 절연입자를 불연속 부착/복합화시켜 어느 일정 가열 가압 시 상하부에 위치하는 절연입자는 이탈되고, 좌우에 위치하는 절연입자는 그 형태를 유지함으로써 가압 방향(z축 방향)으로만 도전성을 띠고 x축과 y축 방향으로는 도전성을 띠지 않는 절연 이방 도전성 미립자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방 도전성 필름에 관한 것이다.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는 그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표시 품질의 고해상도화가 진행되어 픽셀 피치(pixel pitch)가 감소되고 이에 따라, 기판 상의 단위 면적당 인쇄된 리드(lead) 수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기술적 요구에 따라, LCD 패널(panel)과 구동 집적회로 (driver IC) 및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을 접속하는 회로의 실장 (packaging) 기술도 발전해 오고 있는데, 회로의 미세화, fine-pitch화에 따라 여러 방법으로 발전하고 있다.특히, LCD 실장 기술 중에서도 가장 많이 적용되고 있는 것으로는, COF (chip on film)법에 의한 액정 패널과 인쇄회로기판의 전기적 접속을 이방전도성 접착 필름(Anisotropic Conductive Film, ACF)을 이용하여 접속하는 방법이 있으며, 인쇄회로기판과의 접속은 연성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를 이용하여 ACF로 접속시키는 실장법이 이용되고 있다. 또한 차세대 LCD 실장법으로는, LCD Glass 패널상에 형성된 ITO pattern 위에 ACF를 이용, 구동 IC 베어 칩(Driver IC Bare Chip)을 pattern과 직접 접속시키는 방법도 제안되고 있다.
일반적인 이방 도전성 필름은 접속 부품 사이에 위치되어 가열되고 압착되어 지는데, 기판과 평행한 방향으로 인접한 단자들은 전기를 통하지 않지만, 수직 방향으로 인접한 단자들은 전도된다. 이러한 전도 기능은 필름내의 접착 물질에 분산되어 있는 도전성 미립자가 해주고 이는 심재물질(core)에 금속물질을 코팅시켜 제조되어 지는데, 이러한 도전성 미립자의 제조방법은, 일본 공개특허 공보 소52-147797호, 공개특허공보 소61-277104호, 공개특허공보 평1-225776, 공개특허공보 평1-247501호, 공개특허공보 평4-147513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심재물질(core)위에 도금층만으로 구성되어진 도전성 미립자의 경우 정밀 회로 내에서 인접한 단자 사이에 단락의 위험성이 항상 노출되어 있는 단점이 있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일본 특개평 8-335407호, 특개소 62-40183호, 특개평3- 46774호, 특개평4-174980호, 특개평 6-060712, 특개평 7-105716, 특개평 4-259766, 특개평 3-112011 등은 도전성 미립자의 외 층에 얇은 열 가소성 수지층이나 열 경화성 수지층으로 이루어진 절연층을 생성하거나 미세절연 입자를 부착시켜 가열 가압 하에 있는 입자는 절연층 막이 용융 또는 부착 미세절연 입자의 분쇄 및 용융 등에 의해 얇아지며 통전하게 되고, 영향을 받지 않는 입자는 입자간 또는 전극간의 단락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절연층을 유지하는 절연 도전성 미립자를 제시하고 있다.
예를 들면 일본 특개평 8-335407호, 특개소 62-40183호, 특개평 6-060712에서는 도전성 미립자의 표면에 물리, 화학적 방법을 동원하여 고분자 수지층을 이용해 절연층을 생성함으로써 입자간 또는 전극간의 단락을 방지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는데, 이렇게 절연층이 절연막으로 이루어진 경우 절연층 생성 중에 절연 도전성 미립자간의 응집으로 인해 이방 도전성 필름상에서 분산성이 떨어지고, 가열, 가압 시 절연층이 압력에 의해 눌려 통전이 되는 원리에서는 절연층이 완전 소멸되지 않아 잔존하는 절연층에 의해 통전 상에 높은 저항을 가져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처리된 절연층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전극간 접속시키는 조건이 높은 열압착을 필요로 하고 드라이버(driver) IC나 기판 등을 손상하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야기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일본 특개평7-105716호에서는 건식 방법에 의해 도전성 미립자 표면면적의 0.1 ∼ 99.9%를 절연 층 또는 절연 입자로 감싸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는데, 상기의 방법으로 절연층이 도전성 미립자를 부분 감싸는 경우, 가열, 압착 시 절연층이 이탈되지 않고 연속 피복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압력에 의해 눌려 통전이 되기 때문에 절연층이 완전 소멸되지 않아 높은 저항을 가져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일본 특개평 4-259766, 특개평 3-112011호에서는 절연 미립자를 정전기 작용이나 하이브리다이제이션(Hybridization) 법에 의하여 도전성 미립자의 표면에 약하게 절연 미세입자를 부착하는 절연 도전성 미립자가 기재되어 있다. 하지만, 기재된 방법에 의해 얻어진 절연 도전성 미립자는 절연 미세입자와 도전성 미립자와의 결합력이 반데르발스힘이나 정전기적인 힘에 의존하기 때문에 상당히 약하고, 이로 인해 약한 충격이나, 바인더 상에 분산 시 쉽게 절연 미세입자가 이탈할 가능성이 높아, 충분한 절연성을 확보하는데 문제가 있다. 즉, 전극간에서 열압착을 가할 때, 인접 입자간에서의 리크(leak)가 일어날 확률이 높아져 전극간 단락을 일으킬 확률이 높아진다.
상기의 특허들에선 도전성 미립자가 절연 수지로 절연화된 경우에 만족할만한 통전 시의 접속 저항값을 구현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절연 미세입자를 이용한 정전기 작용이나 건식법에 의해 절연화된 경우 절연층의 결합력이 결여돼 분산 시 쉽게 절연 입자의 이탈이 야기되는 문제점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절연 도전성 미립자의 절연층이 낮은 압력 및 스트레스에서는 유지되고, 어느 일정 하중 내에서 용이한 이탈을 가져오는 상호 결합력을 고려해야할 필요가 있다.
최근 이러한 문제점은 공정 조건이 저압에서 짧은 시간에 속 경화하는 접속조건으로 변화함에 따라 시급해 해결해야 할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절연 처리된 도전성 미립자의 절연층이 분산상에서 안정한 형태를 유지하고, 전극에 접속할 때에 절연층의 제거가 용이하여 z축 방향의 통전 신뢰성이 높은 절연 도전성 미립자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절연 도전성 미립자의 절연화 처리 시 발생하는 응집현상을 방지하여 인접하는 범프(bump) 또는 배선 패턴 사이에서 단락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xy평면 방향의 절연 신뢰성이 높은 절연 도전성 미립자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배선 패턴의 파인-피치화와 이방 전도성 접착제의 저온 속 경화에 적합한 절연 도전성 미립자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하면 절연성 미세입자가 도전성 미립자의 표면에 불연속적으로 부착되고, 0.05gf ∼ 0.5gf의 하중시 상기 절연성 미세입자의 이동 또는 파괴에 의해 가압 방향으로 전극간의 전기적 접속이 달성하고 가압 방향의 수직방 향으로는 절연성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도전성 미립자가 제공된다.
상기 도전성 미립자는 구형의 고분자 미립자 표면에 1층 이상의 전도성 금속층이 도금된 것 또는 도전성의 금속,합금 및 도전성 금속 산화물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평균 입경이 1∼20㎛이고, 전기 저항치 100Ω 이하인 미립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분자 미립자 표면의 전도성 금속층은 니켈/금의 이중 금속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연성 미세 입자는 도전성 미립자 표면적의 0.1∼99.9%를 불연속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연성 미세입자는 디비닐벤젠, 1,4-디비닐옥시부탄, 디비닐술폰, 디알릴 프탈레이트, 디알릴아크릴아미드, 트리알릴 (이소)시아누레이트, 트리알리 트리멜리테이트 중 어느 하나인 알릴 화합물과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릴트리톨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릴트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릴트리톨 디(데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릴트리톨 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릴트리톨 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세롤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인 아크릴 화합물 중 어느 하나의 단량체가 라디칼 중합된 가교 고분자 미립자를 경질코어부로 하고, (메타)아크릴산, 말레익산, 이타코닉산 중 어느 하나인 불포화 카르복시산, 2-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메타)아 크릴레이트,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알릴 글리시딜 에테르, 2-이소프로페닐-2-옥사졸린, 디에틸아미노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알킬(메타)아크릴아마이드, 4-비닐피리딘, N-메틸올 아크릴아마이드, 디메틸아미노프로필 (메타)아크릴아마이드, (메타)아크릴로일 클로라이드, (메타)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 술폰산, 소듐스티렌 술포네이트 및 그 술폰산 유도체 중 어느 하나의 연질쉘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연성 미세입자의 경질코어부는 가교 중합성 단량체를 30중량%이상 사용하여 공중합된 수지이고, 연질쉘부는 가교 중합성 단량체를 1∼10중량% 사용하여 공중합된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이방 도전성 미립자가 열경화성 수지상에 분산되어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 도전성 필름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절연 도전성 미립자를 함유하는 이방 도전성 필름을 사용하여 전극이 형성된 한 쌍의 마주보는 기판을 열 압착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접속 구조체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방도전성 필름용 절연 도전성 미립자는 구형의 합성수지기재 미립자 표면에 1층 이상의 전도성 금속층이 도금된 것, 도전성의 금속,합금 및 도전성 금속 산화물 중 어느 하나의 표면에 불용인 절연성 미세 입자가 균일하게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압축 시 우수한 도전성능을 구현하기 위해 일정 하중 범위에서 압력을 받는 곳에 상기 절연성 미세 입자가 이동 또는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절연 처리된 도전성 미립자에 0.05gf ∼ 0.5gf의 하중이 가해질 때 하중을 직접 받는 절연성 미세입자가 용이하게 이동 및 파괴되어 전극간에 개재된 도전성 미립자의 접속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절연 도전성 미립자를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절연 도전성 미립자의 표면처리 과정을 보여 주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도전성 미립자는 구형의 합성수지기재 미립자 표면에 1층 이상의 전도성 금속층이 도금된 것, 도전성의 금속,합금 및 도전성 금속 산화물의 미립자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합성수지기재 미립자는 구형의 미립자로서 구체적인 예로는 페놀 수지, 요소 수지, 멜라민 수지, 불소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에폭시 수지, 실리콘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프로필렌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 등과 같은 열경화성 고분자 수지, 또는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부틸렌 수지, 폴리메타크릴상 수지, 메틸렌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수지,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부타디엔 수지, 비닐 수지, 디비닐벤젠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아세탈 수지, 피오노마수지, 폴리에테르설폰 수지, 폴리페닐옥사이드 수지, 폴리페닐렌설파이드 수지, 폴리설폰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중 어느 하나인 열가소성 고분자 및 열경화성 고분자가 바람직하다. 상기 고분자 수지를 유화 중합법에 의하여 합성한 심재물질 미립자가 바람직하다.
상기 도전성 미립자는 구형의 합성수지기재 미립자 표면에 Ni과 Au가 순차적으로 도금되어 구성된다. 도전성 미립자로는 수지 입자 표면에 도금된 입자 뿐만 아니라 미세한 고른 금속 입자 또한 사용 가능하다. 상기에 사용되는 전도성 미립자의 입경은 1∼20㎛, 전기 저항치 100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층을 도금하는 방법으로는 무전해 도금법을 사용할 수 있다. 무전해 도금법을 사용하여 금속층을 형성하는 기술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로부터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
합성수지기재 미립자에 도금되는 Ni과 Au 각각의 막 두께는 미립자 입경의 0.1∼20% 정도가 적당하고, 1∼5%에 해당하는 막 두께가 더욱 적당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도전성 미립자의 표면에 불연속 부착되는 절연성 미세입자로는 용매에 대한 불용성 물질이 우선시 되며, 절연 입자의 입경은 도전성 미립자 입경의 0.1∼20% 정도가 적당하고, 1∼10%의 입경을 가지는 절연 미립자가 더욱 적당하다.
상기 절연성 미세입자는 디비닐벤젠, 1,4-디비닐옥시부탄, 디비닐술폰, 디알릴 프탈레이트, 디알릴아크릴아미드, 트리알릴 (이소)시아누레이트, 트리알리 트리멜리테이트 중 어느 하나인 알릴 화합물과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릴트리톨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릴트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릴트리톨 디(데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릴트리톨 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릴트리톨 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세롤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 화합물 중 어느 하나의 단량체가 라디칼 중합된 가교 고분자 미립자를 경질코어부로 하고, (메타)아크릴산, 말레익산, 이타코닉산 등을 포함하는 불포화 카르복시산, 2-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알릴 글리시딜 에테르, 2-이소프로페닐-2-옥사졸린, 디에틸아미노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알킬(메타)아크릴아마이드, 4-비닐피리딘, N-메틸올 아크릴아마이드, 디메틸아미노프로필 (메타)아크릴아마이드, (메타)아크릴로일 클로라이드, (메타)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 술폰산, 소듐스티렌 술포네이트 및 그 술폰산 유도체 중 어느 하나의 연질쉘부로 이루어진다. 이는 가교제의 사용량에 따라 가교도를 바꿀 수 있다.
상기 절연성 미세입자의 경질코어부는 가교 중합성 단량체를 30중량%이상 사용하여 공중합된 수지이고, 연질쉘부는 가교 중합성 단량체를 1∼10중량% 사용하 여 공중합된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절연성 미세입자를 도전성 미립자에 부착하는 방법은 물리/기계적 마찰을 이용한 건식법, 또는 분무건조법(spraydrying), 진공증착 피복법, 코어 쉘 패션(core shell fashion)법, 습식처리에 의한 고착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의 방법으로 고착된 절연성 미세입자는 경화성 에폭시 수지와의 조액 상에서 금속 표면 층과의 이탈이 없어야 하며, 130∼200℃의 온도에서 형태가 유지되어야 한다. 또한, 미세입자 한 개당 압축에 따른 일정 압력 하에서 즉 0.05∼0.5gf의 범위의 압력을 받았을 때 표면의 절연층이 압력에 대해 x,y 축으로의 이탈성을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도전성 미립자의 외층 표면에 절연성 미세입자가 부착되어있는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또한 상기의 절연 도전성 미립자는 일본의 나라기계 제작소(주)의 하이브리다이제이션 시스템(Hybridization system)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부착되는 절연성 미세입자는 도전성 미립자의 금속 외층 표면적의 0.1∼99.9%의 피복율이 바람직하고, 60∼99%에 해당하는 피복율이 더욱 적당하며 80∼99%가 이상적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하중에 따른 절연층 제거 시점 확인은 미소 압축 시험기(일본 시마즈 제작소의 MCT-W 시리즈)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으며, 직경 50 ㎛의 평활한 상부 가압 압자와 하부 가압판 사이에 단일 미립자를 부착시키고 압축속도 0.2275 gf/sec, 최대 시험 하중 1 gf에서 압축하여 얻은 입자의 하중별 저항 값을 통해 절연층의 제거 및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0.05gf 이하에서 통전이 되는 절연 처리된 도전성 미립자의 경우, 절연 도전성 미립자가 바인더 상에서 초기 분산 시, 절연층이 쉽게 용매에 용해 및 전단스트레스(shear stress)에 의한 박리, 박탈을 불러오며, 이로 인해 결과적으로 절연층의 기능이 제거됨으로써 전극간의 단락을 예방하는 기능이 상실될 수 있다. 또한 0.5gf까지 절연층 제거가 이루어 지지 않아 통전이 되지 않는 절연 도전성 미립자는 고온 고압에서 수초만에 경화반응을 일으키는 이방 도전성 필름 조성물 내에서 충분히 절연층이 제거되지 못한 상태로 경화된 조성물 내에서 전극간 접속을 이룸으로써 접속 저항값이 높아지며, 통전 신뢰성 또한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절연 도전성 미립자를 열경화성 수지상에 분산하여 얻은 이방 도전성 필름을 제공한다. 도 3은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절연 도전성 미립자를 이용한 이방 도전성 필름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절연 도전성 미립자는 접착성분 상에 분산되고, 필름상에서 절연 입자가 이탈되지 않고 금속층 표면에 유지되고 있어야 한다. 또한 절연 입자가 용해되어 접착 성분 내에 용해되지 않아야 한다. 이렇게 필름 내에 분산 되어 있는 절연 도전성 미립자는 필름이 1Mpa 이상의 하중을 받을 때 절연층이 용이하게 제거되는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절연 도전성 미립자를 함유하는 이방 도전성 필름을 사용하여 전극이 형성된 한 쌍의 마주보는 기판을 열압착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전기적 접속 구조체가 제공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이방 도전성 필름이 기판의 상하 범프(bump) 간 사이에 위치한 단면도로써, 이방 도전성 필름과 기판간의 압착 전의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이방 도전성 필름이 기판의 상하 범프(bump) 간 사이에 위치하여, 이방 도전성 필름과 기판간의 압착 후 전기적 접속을 달성하는 모식도 이다. 압착 시 단일입자에 일정 하중이 가해지며 일정 하중 0.05∼0.5gf의 범위에서 절연층이 완전하게 제거되어 금속층이 상하 범프(bump)간의 통전을 완벽하게 이룰 수 있게 도와준다. 가압이 된 입자의 x,y축을 감싸고 있는 절연입자와 외부 압력 또는 응력이 전달되지 않는 절연 도전성 미립자의 절연 층은 이탈 또는 소멸없이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절연 도전성 미립자가 회로 기판의 범프(bump) 전극에 접속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a)도는 접속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b)도는 범프(bump) 전극에 접속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과 같이 회로가 압착될 때 도전성 미립자의 돌기부를 형성하는 미립자는 압력 및 열에 의해 변형이 일어나지 않으며, 전극과 배선 패턴에 돌기부 및 도전성 미립자가 침투해 이러한 금속층이 상하 전극 패드 간의 통전을 이룰 수 있게 된다. 회로간 압착 시 입자상에 0.05∼0.5gf의 힘이 전달되는 면적에 대해서는 절연성 미세입자가 이동 및 파괴로 제거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 예에 의하여 보다 구체화될 것이며, 하기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한정하거나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합성수지 기재 미립자의 합성
유화 중합법에 의하여 입경이 균일한 디비닐벤젠 수지로 이루어진 구형의 합성수지 기재 미립자를 합성하였다. 이때 기재 미립자의 입경은 4 ㎛이었다.
도전성 미립자의 제조
상기 제조된 합성수지 기재 미립자를 크롬산 및 황산 수용액에서 에칭하고, 염화 팔라듐 용액에 침지 및 환원처리에 의하여 팔라듐의 미세 핵을 표면에 형성시키고, 무전해 니켈 도금을 행한 후 금 치환도금에 의하여 니켈/금 전도성 금속층이 형성된 도전성 미립자를 얻었다. 이 때 니켈/금층의 각각의 두께는 80/30nm이다.
절연성 미세 입자의 제조
먼저 반응기에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단량체와 디비닐벤젠(DVB)을, 지용성 개시제인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1.0 g, 분산 안정화제로써 분자량 40,000인 폴리비닐피롤리돈 17.9 g, 용매로써 1:1 중량비로 혼합된 메탄올과 이온교환수 877.7 g를 혼합 교반하여 완전히 용해시켰다. 이 때, 단량체의 총량은 100.0 g가 되도록 조절 하되, DVB를 MMA에 대하여 30.0 중량%로 부착하였다. 이어서 질소 분위기 하에서, 70℃에서 24 시간 220 rpm의 교반속도로 교반하면서 중합하였다. 제조된 폴리(MMA-DVB) 입자는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미반응물과 분산 안정제를 제거시킨 후 진공 오븐에서 24 시간 건조시켜 280 nm 크기의 분말 형태의 경질 미립자를 얻었다.
이렇게 얻은 폴리(MMA-DVB) 입자 20.0 g를 0.25 % 소디움 라우릴 설페이트(sodium lauryl sulfate: SLS) 수용액 150.0 g에 초음파를 10 분간 조사하여 유리 반응기에서 재분산시켜 분산체를 제조하였다. 미립자가 완전히 분산된 후, 다시 초순수 100.0 g을 투입하여 72.5 ℃까지 질소 분위기 하에서 승온하였다. 여기에, 수용성 개시제인 포테지움 퍼설페이트(potassium persulfate: KPS) 0.2 g의 수용액 50.0 g을 투입하고, 30분 후에 스티렌, 메틸메타크릴레이트 각 10.0 g을 혼합한 20.0 g의 단량체 혼합물을 3 시간에 걸쳐 서서히 드로핑(dropping)하여 중합을 행하였다. 단량체의 드로핑 후, 추가 3시간 동안 반응을 더 진행하였고, 제조된 폴리(MMA-DVB)/폴리(St-MMA) 코어-쉘 형태의 미립자를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미반응물과 유화제를 제거한 후, 진공 오븐에서 24시간 동안 건조시켜 350 nm 크기의 복합체인 절연성 미세입자를 분말 형태로 얻었다.
절연 도전성 미립자의 제조
각각,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니켈/금 도금 도전성 미립자와 절연성 미세입자를 나라기계 제작소(주)의 하이브리다이제이션 시스템(Hybridization System)에 의해 복합화 하였다. 이때의 투입 비는 92 : 8로 하였고, 9,000 rpm의 일정 교반 속도에 서, 13분간 물리/화학적 마찰에 의해 절연 전도성 미립자가 제조되었다.
이방 전도성 접속구조체의 제조 및 평가(1)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절연 전도성 미립자의 절연층이 일정 하중 범위에서 제거되는지의 여부는 미소 압축 시험기(일본 시마즈 제작소의 MCT-W 시리즈)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측정값은 미소 압축 시험기의 하부 가압판(plate) 상에 절연 도전성 미립자를 분산한 후 직경 50 ㎛의 가압 압자를 압축속도 0.2275 gf/sec, 최대 시험 하중 1.0 gf에서 압축하여 단 입자의 접속저항값의 변화 정도를 통해 산출하였다. 각각의 테스트는 단입자 10개를 임의적으로 선택하여 10회 측정하였으며, 상부 가압 입자로부터 입자가 하중을 받은 후 절연저항 값이 현저히 변하는 시점을 절연층의 이탈로 간주하여 그 시점의 하중 값 평균치를 계산하였고, 그 결과를 표1에 나타내었다.
이방 전도성 접속구조체의 제조 및 평가(2)
상기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절연 도전성 미립자를 이용하여 이방도전성 필름을 제조하기 위해 NBR 고무 65 중량부, 에폭시 당량이 7000인 비스페놀 A형 에폭시수지 25 중량부 및 경화제로 2-메틸이미다졸 4 중량부를 톨루엔 및 메틸에틸케톤의 혼합용매에 용해시킨 후, 제조된 절연 도전성 미립자를 실란 커플링제와 함께 각각 잘 분산시킨 다음 이형 PET 필름위에 코팅하여 건조시킨 후 두께 22 ㎛의 이방 도전성 필름을 제조하였다. 단위 면적당의 필름 중에 함유된 도전성 미립자의 개수는 18,000 개/㎟ 였다. 이렇게 제조한 이방 도전성 접착용 필름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IC 칩의 접속 저항을 실시하였다.
사용된 평가용 IC칩의 범프(bump) 높이는 약 40 ㎛, IC칩의 크기는 6㎜×㎜였다. BT수지 0.8 ㎜ 두께의 기판 상에 8 ㎛ 두께의 구리 및 금도금으로 배선패턴을 형성한 기판을 사용하였다. 상기 IC칩과 기판과의 사이(이 경우, 범프(bump) 높이와 배선패턴 높이와의 합계는 약 58 ㎛임)에 상기 이방도전성 접착용 필름을 기재시킨 상태에서 온도 160 ℃, 압력 각각 0.8과 1.2 MPa-bump의 조건으로 15초간 가압하고, 압착하여 접속시켰다. 이어서 상기 접속 샘플의 상하 전극간의 전기저항을 측정하는 경우, 20개의 각각의 인접하는 상하 전극간 전기저항을 측정하고 그 평균치를 계산하여 접속저항으로 나타내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및 3]
실시예 2 및 3의 실험방법은 상기 실시 예 1과 동일하게 하되 절연 도전성 미립자의 복합화 과정에서 도전성 미립자와 절연성 미세입자의 혼합 비율을 달리하여 처리하였으며 이를 상시 실시예 1과 동일한 측정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비교예 1]
절연성 미세 입자의 제조
절연성 미세 입자의 제조에 있어서, 반응기에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95중량부) 단량체와 디비닐벤젠(DVB, 5중량부)을 수용성 개시제인 과황산칼륨(KPS, 1중량부) 이 포함된 초 순수에 분산시키고, 무유화 중합법으로 70℃에서 24시간 중합하여 직경 350㎚의 미세 입자를 얻었다. 제조된 poly(MMA-DVB) 입자는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미 반응물과 기타 불순물을 제거시킨 후 진공 오븐에서 24시간 건조시켜 분말 형태로 얻었다.
이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고분자 수지 미립자 및 전도성 미립자, 절연화 처리를 하고, 얻어진 절연 도전성 미립자 및 이를 이용한 접속구조체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및 3]
비교 예 2의 실험방법은 상기 비교 예 1과 동일하게 하되 절연 도전성 미립자의 복합화 과정에서 도전성 미립자와 절연성 미세입자의 혼합 비율을 달리하여 처리하였으며 이를 상시 실시예 1과 동일한 측정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Figure 112005078647023-pat00001
평가: 통전 시 압력 기준 ◎ : 0.05 gf 이상 0.5 gf 이하,
× : 0.05이하 0.5이상 gf
통전 시 저항 기준 ◎ : 4 Ω 이하,
△ : 4 Ω 이상 6 Ω 이하,
× : 6 Ω 이상
상기 실시 예 1∼3 및 비교 실시 예 1∼3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일정 적정 하중 값에서 절연층이 제거되는 기능을 가지는 절연 도전성 미립자는 평가(1) 및 평가(2)에서 모두 그렇지 않은 절연 도전성 미립자와 비교했을 때 일정 하중에서 충분한 절연성을, 일정 하중 이상에서 훨씬 우수한 접속저항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의 결과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절연 도전성 미립자를 채용한 이방 도전성 필름은 기존의 연질 절연층을 형성한 절연 도전성 미립자에 비해 전극간의 접속 후 일정 압력 하까지는 안정적인 절연성을, 일정 하중 이상에서는 완전한 절연층의 제거에 기인하여 뛰어난 접속 신뢰성을 개선할 수 있었다. 또한 압력에 대한 수직 방향(x-,y-)에 대해서 절연층 유지가 보다 안정화됨으로써 전극간의 단락을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8)

  1. 디비닐벤젠, 1,4-디비닐옥시부탄, 디비닐술폰, 디알릴 프탈레이트, 디알릴아크릴아미드, 트리알릴 (이소)시아누레이트, 트리알리 트리멜리테이트 중 어느 하나인 알릴 화합물과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릴트리톨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릴트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릴트리톨 디(데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릴트리톨 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릴트리톨 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세롤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인 아크릴 화합물 중 어느 하나의 단량체가 라디칼 중합된 가교 고분자 미립자를 경질코어부로 하고, (메타)아크릴산, 말레익산, 이타코닉산 중 어느 하나인 불포화 카르복시산, 2-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알릴 글리시딜 에테르, 2-이소프로페닐-2-옥사졸린, 디에틸아미노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알킬(메타)아크릴아마이드, 4-비닐피리딘, N-메틸올 아크릴아마이드, 디메틸아미노프로필 (메타)아크릴아마이드, (메타)아크릴로일 클로라이드, (메타)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 술폰산, 소듐스티렌 술포네이트 및 그 술폰산 유도 체 중 어느 하나의 연질쉘부로 이루어진 절연성 미세입자가 도전성 미립자의 표면에 불연속적으로 부착되고, 0.05gf ∼0.5gf의 하중시 상기 절연성 미세입자의 이동 또는 파괴에 의해 가압 방향으로 전극간의 전기적 접속이 달성되고 가압 방향의 수직방향으로는 절연성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도전성 미립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미립자는 구형의 고분자 미립자 표면에 1층 이상의 전도성 금속층이 도금된 것 또는 도전성의 금속,합금 및 도전성 금속 산화물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평균 입경이 1∼20㎛이고, 전기 저항치 100Ω 이하인 미립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도전성 미립자.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미립자 표면의 전도성 금속층은 니켈/금의 이중 금속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도전성 미립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성 미세 입자는 도전성 미립자 표면적의 0.1∼99.9%를 불연속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 도전성 미립자.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성 미세입자의 경질코어부는 가교 중합성 단량체를 30중량%이상 사용하여 공중합된 수지이고, 연질쉘부는 가교 중합성 단량체를 1∼10중량% 사용하여 공중합된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도전성미립자.
  7. 제 1항 내지 제 4항 및 제 6항 중 어느 한 항 기재의 이방 도전성 미립자가 열경화성 수지상에 분산되어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 도전성 필름.
  8. 제 7항 기재의 이방 도전성 필름을 사용하여 전극이 형성된 한 쌍의 마주보는 기판을 열압착 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접속 구조체.
KR1020050136088A 2005-12-30 2005-12-30 절연 도전성 미립자 및 이를 이용한 이방 도전성 필름 KR1007198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6088A KR100719807B1 (ko) 2005-12-30 2005-12-30 절연 도전성 미립자 및 이를 이용한 이방 도전성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6088A KR100719807B1 (ko) 2005-12-30 2005-12-30 절연 도전성 미립자 및 이를 이용한 이방 도전성 필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9807B1 true KR100719807B1 (ko) 2007-05-18

Family

ID=38277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6088A KR100719807B1 (ko) 2005-12-30 2005-12-30 절연 도전성 미립자 및 이를 이용한 이방 도전성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98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3812A (ko) * 2016-04-29 2017-11-0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회로접속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25955A1 (fr) 2001-09-14 2003-03-27 Sekisui Chemical Co., Ltd. Particule conductrice revetue, procede de fabrication d'une particule conductrice revetue, materiau conducteur anisotrope et structure de connexion electrique
JP2003313459A (ja) 2002-04-22 2003-11-06 Sekisui Chem Co Ltd 被覆粒子
JP2005044773A (ja) 2003-07-07 2005-02-17 Sekisui Chem Co Ltd 被覆導電性粒子、異方性導電材料及び導電接続構造体
KR20050104283A (ko) * 2004-04-28 2005-11-02 제일모직주식회사 절연 전도성 미립자 및 이를 이용한 이방 전도성 필름
KR20050109160A (ko) * 2004-05-14 2005-11-17 제일모직주식회사 절연 도전성 미립자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이방성 도전성필름
KR20050108503A (ko) * 2004-05-12 2005-11-17 제일모직주식회사 절연 전도성 미립자 및 이를 함유하는 이방 전도성 접착필름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25955A1 (fr) 2001-09-14 2003-03-27 Sekisui Chemical Co., Ltd. Particule conductrice revetue, procede de fabrication d'une particule conductrice revetue, materiau conducteur anisotrope et structure de connexion electrique
JP2003313459A (ja) 2002-04-22 2003-11-06 Sekisui Chem Co Ltd 被覆粒子
JP2005044773A (ja) 2003-07-07 2005-02-17 Sekisui Chem Co Ltd 被覆導電性粒子、異方性導電材料及び導電接続構造体
KR20050104283A (ko) * 2004-04-28 2005-11-02 제일모직주식회사 절연 전도성 미립자 및 이를 이용한 이방 전도성 필름
KR20050108503A (ko) * 2004-05-12 2005-11-17 제일모직주식회사 절연 전도성 미립자 및 이를 함유하는 이방 전도성 접착필름
KR20050109160A (ko) * 2004-05-14 2005-11-17 제일모직주식회사 절연 도전성 미립자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이방성 도전성필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3812A (ko) * 2016-04-29 2017-11-0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회로접속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55756B1 (ko) 2016-04-29 2019-03-0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회로접속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05017B2 (ja) 絶縁導電性微粒子及びこれを含有する異方導電性接着フィルム
KR100766205B1 (ko) 피복 도전성 입자, 이방성 도전 재료 및 도전 접속 구조체
JP4904353B2 (ja) 絶縁導電性粒子及びこれを用いた異方導電性接着フィルム
KR100710103B1 (ko) 피복 도전성 미립자, 피복 도전성 미립자의 제조방법,이방성 도전재료, 및 도전 접속 구조체
KR100787381B1 (ko) 미세 캡슐-도전성 입자 복합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이용한 이방 도전성 접착 필름
TWI522409B (zh) Conductive particles, anisotropic conductive materials and connecting structures
KR102114626B1 (ko) 이방성 도전 필름, 접속 방법, 및 접합체
JP5368760B2 (ja) 絶縁被覆導電性粒子、異方性導電材料及び接続構造体
US20100206623A1 (en) Nonconductive adhesive composition and film and methods of making
KR100861010B1 (ko) 절연성 도전 입자 및 이를 이용한 이방 도전성 필름
KR20050043639A (ko) 절연 전도성 미립자 및 이를 함유하는 이방 전도성 필름
JP2001189171A (ja) 異方性導電接続材料
KR100651177B1 (ko) 돌기형 도전성 미립자 및 이를 포함하는 이방 도전성 필름
KR100666611B1 (ko) 개선된 이방성 도전접속용 절연 도전성 입자, 이의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제품
KR100719807B1 (ko) 절연 도전성 미립자 및 이를 이용한 이방 도전성 필름
KR100595979B1 (ko) 절연 도전성 미립자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이방성 도전성필름
JP2001164210A (ja) 異方導電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H087658A (ja) 異方導電性接着フィルム
KR101534841B1 (ko) 돌기형 도전성 미립자 및 이를 포함하는 이방 도전성 필름
KR100589586B1 (ko) 절연 전도성 미립자 및 이를 이용한 이방 전도성 필름
JP2006107881A (ja) 導電性微粒子及び異方性導電材料
KR100593848B1 (ko) 절연 전도성 미립자 및 이를 이용한 이방 전도성 필름
KR100704907B1 (ko) 절연 전도성 미립자 및 이를 이용한 이방 전도성 접착필름
JP5235305B2 (ja) 突起導電微粒子、異方性導電材料及び突起導電微粒子の製造方法
JP4155470B2 (ja) 接続部材を用いた電極の接続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