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9404B1 - 핀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핀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9404B1
KR100719404B1 KR1020060033436A KR20060033436A KR100719404B1 KR 100719404 B1 KR100719404 B1 KR 100719404B1 KR 1020060033436 A KR1020060033436 A KR 1020060033436A KR 20060033436 A KR20060033436 A KR 20060033436A KR 100719404 B1 KR100719404 B1 KR 1007194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pin
wire
wire rod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3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수
Original Assignee
김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수 filed Critical 김인수
Priority to KR1020060033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94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94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94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GMAKING NEEDLES, PINS OR NAILS OF METAL
    • B21G3/00Making pins, nails, or the like
    • B21G3/16Pointing; with or without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11/00Cutting w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GMAKING NEEDLES, PINS OR NAILS OF METAL
    • B21G3/00Making pins, nails, or the like
    • B21G3/18Making pins, nails, or the like by operation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groups B21G3/12 - B21G3/16
    • B21G3/30Making pins, nails, or the like by operation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groups B21G3/12 - B21G3/16 by ro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r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핀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소형 스크류, 소형 못, 이어링 핀, 소형 장난감 자동차 축 또는 핀 등을 가공하는 제조장치의 제조 작업 공정수를 단축함과 동시에 하나의 핀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헤더(Heder) 작업 공정을 거치지 않고 직접 핀을 제작할 수 있도록 발명된 핀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바닥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동작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동작부에 선재를 공급하고 공급된 선재를 이용하여 롤링 성형함과 동시에 절단하여 핀을 제조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일측부에 구동모터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동작하여 핀을 성형하도록 동작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선재가 비틀리거나 이탈하지 않고 공급되도록 선재의 공급을 안내하는 선재 공급가이드부와; 상기 선재 공급가이드부에 의해 안내된 선재를 이송시켜서 공급하는 선재 피딩장치와; 상기 선재 피딩장치에 의해 이송되는 선재를 커터를 이용하여 핀 형상으로 롤링하여 성형 절단하는 선재 절단장치와; 상기 선재 절단장치에 의해 절단된 핀을 배출하는 핀 배출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장치가 간단하고 소형이며, 자동으로 동작되므로 기존의 핀 제조장치에 비하여 저렴하고, 제조공정을 단축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헤더기에서의 작업공정과 롤링기에서의 절단 공정을 떨어 져서 실시하던 것을 하나의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한 번에 작업함으로서 작업 공정수가 단축되어 작업성이 우수해지고 생산성이 빨라지며 작업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핀 제조장치, 핀, 선재, 소형핀, 피딩장치, 절단장치, 배출장치, 크랭크 휠, 커터, 공급 롤러

Description

핀 제조장치{A ROLLING MACHINE}
도 1은 본 발명의 핀 제조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좌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동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핀 제조장치의 동작부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선재 공급 가이드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선재 피딩장치의 동작을 보여주는 일부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선재절단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일부 단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선재절단장치의 승강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선재절단장치의 하강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핀 배출장치의 전진시 동작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핀 배출장치의 후진시 동작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의 선재 피딩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인 선재 피딩장치의 일부 확대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구동모터 12 : 구동모터 축
14 : 구동풀리 16,26 : 벨트
18 : 제 1종동풀리 20 : 종동풀리축
22 : 축 지지대 24 : 제 2종동풀리
28 : 크랭크 휠 풀리 30 : 크랭크 휠 풀리축
32 : 크랭크 휠 33 : 돌출 안내부
34 : 크랭크 축 35 : 이동커터 블럭
36 : 동작부 몸체 38 : 고정블럭
39 : 고정커터 블럭
40 : 세로 고정판 42 : 받침판
44 : 힌지부 46 : 좌측 지지블럭
48 : 우측 지지블럭 50 : 좌측 공급롤러
52 : 우측 공급롤러 54 : 고정수단
56 : 안내홈 58 : 실린더 고정블럭
60 : 실린더 62 : 실린더 로드
64 : 공압호스 66 : 롤러 고정대
68 : 아이들 롤러 70 : 어드져스트 서포트
72 : 어드져스트 블럭 74 : 가로바
76 : 세로바 78, 80 : 고정 브라켓
82 : 푸시축 84 : 스프링
86 : 푸시블럭 88 : 푸시팁
90 : 안내편 92 : 안내롤러
94 : 리미트 스위치 96 : 접촉바
98 : 고정브라켓 유닛
201 : 세로 고정바 203 : 브라켓
204 : 연결바 206 : 고정링크
208 : 세로 연결바 210 : 롤러
212 : 고정 브라켓 214 : 지지바
216 : 스프링 218 : 어드져스트 볼트
220 : 캠 222 : 캠돌부
100 : 고정부 102 : 구동부
104 : 동작부 200 : 선재
300 : 선재 공급가이드부 400,402 : 선재 피딩장치
500 : 선재 절단장치 600 : 핀 배출장치
본 발명은 핀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소형 스크류, 소 형 못, 이어링 핀, 소형 장난감 자동차 축 또는 핀 등을 가공하는 제조장치의 제조 작업 공정수를 단축함과 동시에 하나의 핀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헤더(Heder) 작업 공정을 거치지 않고 직접 핀을 제작할 수 있도록 발명된 핀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형 핀 또는 이어링 핀 및 장난감 자동차의 소형 축 등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선재를 공급하여 한 번에 제조할 수 없으므로 머리를 만드는 헤더작업이 필요하다.
이때, 수년간 경험이 축척된 숙련자가 헤더기를 이용하여 헤더를 만드는 공정을 수행한다.
헤더기를 이용하여 헤더가 만들어진 소형 핀 및 이어링 핀 등은 파트 피더기에 공급되고 상기 파트 피더기는 헤더가 만들어진 소형 핀 및 이어링 핀 등을 헤더가 상방향이 되도록 정렬시키면서 안내하여 롤링기의 절단기로 공급한다.
상기 파트 피더기에 의해 정렬 안내된 소형 핀 및 이어링 핀 등은 상기 절단기에 의해 헤더 부위가 절단되어 소형 핀 및 이어링 핀 등이 완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소형 핀, 소형 축, 이어링 핀 등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선재를 이용하여 헤더를 만드는 제조공정과, 상기 제조된 헤더를 롤링기에서 절단하는 절단공정이 반드시 필요하였다.
이때, 상기 헤더를 만드는 공정은 일반인이 쉽게 성형 제조할 수 없었으며 오랜 경험을 쌓은 숙련자만이 작업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으며, 상기 헤더기에서 헤더가 성형된 소형 핀 및 소형 축, 이어링 핀 등은 롤링기에 공급되어 머리를 절단 하는 절단공정이 필요하였으므로 작업공정이 매우 복잡하였고, 이로 인한 재료의 손실이 많았으며, 작업공정 시간이 오래 걸리고, 생산성이 매우 느린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작업자가 숙련되지 않은 경우 불량이 발생하여 수요자의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업계의 많은 수요자가 간단하고 편리하게 하나의 장치로 제조 성형할 수 있는 생산성이 우수한 핀 제조장치가 필요하게 되었고, 본 출원인은 이러한 욕구에 부응하여 하나의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도록 발명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선재를 직접 공급함과 동시에 소형 핀 및 이어링 핀 등을 헤더 작업 없이 제조할 수 있는 핀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머리를 성형하는 헤더공정과 헤더가 성형된 핀을 이송하는 공정 및 헤더를 절단하는 공정을 하나의 장치로서 해결할 수 있는 핀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소형 핀 및 이어링 핀 등을 제조하는 공정수를 단축함과 동시에 매우 신속하게 가공하여 성형 완성시킬 수 있는 핀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선재의 공급 및 절단 배출을 일괄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자동화된 핀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바닥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동작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동작부에 선재를 공급하고 공급된 선재를 이용하여 롤링 성형함과 동시에 절단하여 핀을 제조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일측부에 구동모터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동작하여 핀을 성형하도록 동작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선재가 비틀리거나 이탈하지 않고 공급되도록 선재의 공급을 안내하는 선재 공급가이드부와; 상기 선재 공급가이드부에 의해 안내된 선재를 이송시켜서 공급하는 선재 피딩장치와; 상기 선재 피딩장치에 의해 이송되는 선재를 커터를 이용하여 핀 형상으로 롤링하여 성형 절단하는 선재 절단장치와; 상기 선재 절단장치에 의해 절단된 핀을 배출하는 핀 배출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부는 일측 하부에 구동풀리가 구비된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풀리와 벨트에 의해 연결되어 회전하도록 제 1종동풀리 및 제 2종동풀리가 상하단부에 구비된 종동풀리축과; 상기 종동풀리축의 제 2종동풀리에 벨트에 의해 연결되어 회전하도록 동작부 몸체의 하부에 설치된 크랭크 휠 풀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선재 공급가이드부는 상기 동작부 몸체의 일측부에 고정되고 힌지부에 의해 연결되어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일측 방향으로 젖혀지도록 설 치된 세로 고정판 및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의 상부에 설치되고 전부에는 좌측 공급롤러가 설치되고 후부에는 좌측 래칫기어가 설치되는 좌측 지지블럭과; 상기 좌측 지지블럭의 일측부에 대응하여 고정되고 전부에는 우측 공급롤러가 설치되고 후부에는 우측 래칫기어가 설치되는 우측 지지블럭과; 상기 좌측 지지블럭 및 우측 지지블럭의 상부에 설치되고 복수개의 아이들 롤러가 지그재그로 고정되어 선재를 하향 공급하도록 설치된 롤러 고정대와; 상기 좌측 및 우측 지지블럭의 후부에 위치하고 일측단은 상기 롤러 고정대와 연결 설치되고 타측단은 받침판에 설치되어 공급되는 선재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어드져스트 서포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어드져스트 서포트는 어드져스트 블럭과; 상기 어드져스트 블럭에 가로 방향으로 끼워져서 고정되는 가로바 및 상기 어드져스트 블럭에 세로방향으로 끼워짐과 동시에 상기 가로바와 수직하게 설치되는 세로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선재 피딩장치는 후측부에 좌측 래칫기어가 구비되고 상기 좌측 지지블럭의 전부에 고정 설치되는 좌측 공급롤러와; 상기 좌측 공급롤러와 맞대어져서 회전하도록 상기 우측 공급롤러의 전부에 고정 설치되고 후부에는 우측 래칫기어와 스플라인기어가 구비된 우측 공급롤러와; 상기 스플라인 기어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스플라인 기어와 맞물려서 역회전을 방지하는 래칫과; 상기 우측 공급롤러의 전부면에 횡방향으로 고정설치되어 상기 우측 공급롤러를 회동시키는 실린더 로드를 구비한 실린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선재 절단장치는 상기 동작부 몸체의 상부 후측부에 설치되고 상기 크랭크 휠 풀리와 연동하여 회전하도 록 연결 고정된 크랭크 휠과; 상기 크랭크 휠의 중심 일측부에 일단부가 고정되어 상기 크랭크 휠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화하는 크랭크 축과; 상기 크랭크 축의 하단부에 고정되어 전후 이동하며 상기 동작부 몸체의 레일과 결합하여 미끄럼 이동하고 일측부에는 돌출 안내부가 형성되고 커터를 구비한 이동 커터블럭과; 상기 이동 커터블럭의 반대편에 대응하여 동작부 몸체에 고정 설치되고 커터를 구비한 고정 커터블럭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핀 배출장치는 상기 동작부에 고정 설치되고 일측부에는 성형된 핀을 밀어내기 위한 푸시팁이 형성되고 상기 푸시팁의 우측부에는 상기 이동 커터블럭과 접촉하여 미끄럼 이동하도록 안내롤러를 구비한 안내편이 고정된한 푸시블럭과; 상기 푸시블럭의 후부에 고정 설치된 푸시블럭 고정 브라켓과 상기 푸시 블럭 고정 브라켓과 대향하고 평행하고 고정 설치되는 리미트 스위치 고정 브라켓과; 상기 푸시블럭 고정 브라켓과 리미트 스위치 고정 브라켓을 연결하도록 설치되고 스프링에 끼워져서 고정된 푸시축과; 상기 리미트 스위치 고정 브라켓에 고정 설치된 리미트 스위치와, 상기 푸시블럭 고정 브라켓에 고정된 접촉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선재 피딩장치는 상기 크랭크 휠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고 캠돌부가 형성된 캠과; 상기 캠에 의해 연동되어 회동하도록 고정 브라켓에 설치되는 세로 연결바와; 상기 세로 연결바와 연동되어 움직이도록 고정링크에 의해 연결 고정되고 가로 방향으로 설치되는 가로 연결바와; 상기 가로 연결바의 일단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우측 공급롤러에 고정되어 있는 연결로드와; 상기 가로 연결바의 중앙부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세로 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세로 고정바와; 상기 세로 연결바가 탄력적으로 복귀되도록 스프링을 구비한 지지바가 구비되며 세로방향으로 설치되는 고정 브라켓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핀 제조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좌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구동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핀 제조장치의 동작부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선재 공급 가이드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선재 피딩장치의 동작을 보여주는 일부 확대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선재절단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일부 단면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선재절단장치의 승강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선재절단장치의 하강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핀 배출장치의 전진시 동작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핀 배출장치의 후진시 동작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로서 선재 피딩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인 선재 피딩장치의 일부 확대 사시도이다.
우선, 도 1 및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핀 제조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바닥에 흔들림 없이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정 브라켓(도면부호 도시안함)이 고정되고 우측 후부에는 제어부(202)가 설치되며 박스형상으로 이루어진 고정부(100)와, 상기 고정부(100)의 좌측부에 설치되고 전원을 공급받은 구동모터(1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동작하는 구동부(102)와, 우측 내부 모서리부에 레일(37)이 형성된 니은자(ㄴ) 형상의 동작부 몸체(36)가 상기 고정부(100)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고 선재를 연속적으로 공급함과 동시에 선재를 성형하고 절단하며 성형된 핀을 배출하는 동작부(10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동작부(104)를 설명하여 보면, 먼저 상기 동작부(104) 몸체(36)의 좌측 상부에는 핀을 성형하기 위한 선재(200)를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선재 공급가이드부(30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선재 공급 가이드부(300)의 하부에는 상기 선재(200)를 일정한 길이만큼 이동시키는 선재 피딩장치(40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선재 피딩장치(400)에 의해 이송된 선재(200)를 상하로 롤링 이동하면서 절단하는 선재 절단장치(500)가 동작부 몸체(36)의 가운데 부분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선재 절단장치(500)에 의해 절단되고, 성형된 핀을 배출시키는 핀 배출장치(600)가 상기 동작부 몸체(36)의 우측 하부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동작부(104) 몸체(36)의 좌측 상부에는 고정블럭(38)이 세로방향으로 고정되어 있다.
한편, 상기 선재(200)를 공급하는 선재 피딩장치(400)는 공압방식에 의해 동작되고, 상기 선재 절단장치(500)는 상기 구동부(102)와 연결 설치되어 구동모터(10)에 의해 동작되며, 상기 핀 배출장치(600)는 상기 선재 절단장치(500)의 동 작에 의해 연동된다.
우선,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여 상기 구동부(102)를 설명하면, 상기 구동부(102)는 상기 고정부(100)의 일측 바람직하기로는 좌측부에 설치되어 있고,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도록 구동모터 축(12)이 구비되고 상기 구동모터 축(12)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구동풀리(14)가 구비된 구동모터(10)와, 상기 구동풀리(14)와 벨트(16)에 의해 연결되고 하측단에는 제 1종동풀리(18)가 연결 설치되어 있고 상측단에는 제 2종동풀리(24)가 연결 설치된 종동풀리 축(20)과, 상기 종동풀리 축(20)의 제 2종동풀리(24)와 벨트(26)에 의해 연결 설치되고 상기 동작부 몸체(36)의 하부에 설치되어 크랭크 휠(32)을 회전시키도록 설치되며 크랭크 휠 풀리축(30)을 구비한 크랭크 휠 풀리(28)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구동부(102)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여 보면, 우선, 구동모터(10)에 구비된 구동모터 축(12)에 구동풀리(14)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구동풀리(14)에는 벨트(16)의 일단이 끼워져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벨트(16)의 타단에는 제 1종동풀리(18)가 끼워져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 1종동풀리(18)가 구비된 종동풀리축(20)의 상단부에는 제 2종동풀리(24)가 연결되어 있는 바, 상기 제 2종동풀리(24)에는 벨트(26)의 일단부가 끼워져서 설치되어 있고, 상기 벨트(26)의 타단부에는 상기 크랭크 휠 풀리(28)가 끼워져서 연결되어 있다.
이때, 상기 고정부(100)의 일측부에는 축 지지대(22)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축 지지대(22)에는 상기 종동풀리 축(20)이 고정 설치되어 있다.
계속해서, 상기 크랭크 휠 풀리(28)의 중앙부에는 크랭크 휠 풀리축(30)이 상방향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크랭크 휠 풀리축(30)은 상기 동작부 몸체(36)를관통하고 상기 선재 절단장치(500)의 크랭크 휠(32)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크랭크 휠(32)에는 크랭크 축(34)이 일측 상부쪽에 편심되어 연결 설치되어 있고, 상기 크랭크 휠(32)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크랭크 축(34)이 움직인다. 즉, 상기 크랭크 휠(32)이 회전운동하게 되면 상기 크랭크 축(34)은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움직이게 된다.
상기와 같이 연결 설치된 구동부(102)의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구동모터(10)가 동작하여 구동풀리(14)가 회전하고, 상기 구동풀리(14)에 연결 설치된 벨트(16)가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벨트(16)의 타단부에 연결된 제 1종동풀리(18)가 회전한다.
상기 제 1종동풀리(18)가 회전하면, 상단부에 연결 형성된 제 2종동풀리(24)가 회전하고, 상기 제 2종동풀리(24)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 2종동풀리(24)에 끼워져서 연결하고 있는 벨트(26)이 회전하면서 상기 벨트(26)의 타단부에 끼워져서 연결된 크랭크 휠 풀리(28)를 회전시킨다.
한편, 상기 크랭크 휠 풀리(28)가 회전하면, 상기 크랭크 휠 풀리축(30)의 상부에 연결된 크랭크 휠(32)이 회전되고, 상기 크랭크 휠(32)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크랭크 축(34)이 직선으로 이동된다.
이어서, 도 4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동작부(104)에 설치되어 선재(200)를 공급하기 위한 선재 공급가이드부(300)는 상기 동 작부(104) 몸체(36)의 좌측면에 세로 고정판(40)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세로 고정판(40)의 상부에는 횡방향으로 받침판(42)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 세로 고정판(40)과 받침판(42)의 연결 부위는 힌지부(44)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힌지부(44)를 중심으로 받침판(42)이 회동된다.
상기 받침판(42)의 상부면에는 도 5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좌측 지지블럭(46)과 우측 지지블럭(48)이 마주 보도록 고정되어 있다.
상기 좌측 지지블럭(46)과 상기 우측 지지블럭(48)의 상부에는 종방향으로 롤러 고정대(66)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롤러 고정대(66)에는 다수의 아이들 롤러(68)가 지그재그로 고정 설치되어 있다.
상기 선재(200)는 상기 아이들 롤러(68)들의 사이를 통과하여 하향 공급된다.
상기 롤러 고정대(66)는 상기 선재(200)가 공급될 때, 휘어지거나 비틀어지거나 장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일정한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안내한다.
그리고, 상기 선재 공급가이드부(300)는 상기 힌지부(44)를 중심으로 화살표 방향으로 젖혀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계속해서, 선재 피딩장치(400)를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상기 선재 공급가이드부(300)의 좌측 지지블럭(46)의 전면부에는 좌측 공급롤러(50)가 고정볼트 등의 고정수단(54)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우측 지지블럭(48)의 전면부에는 안내홈(56)이 형성된 우측 공급롤러(52)가 고정수 단(54)에 의해 고정 설치되어 있다.
상기 좌측 공급롤러(50)와 상기 우측 공급롤러(52)는 서로 맞대어져서 회전하면서 선재(200)를 안내하게 된다. 상기 우측 공급롤러(52)에는 클러치 베어링을 사용한다.
상기 우측 지지블럭(48)의 우측부에는 실린더 고정블럭(58)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실린더 고정블럭(58)에는 실린더(60)가 횡방향으로 고정되어 있다.
상기 실린더(60)에는 그 전부에 실린더 로드(62)가 구비되어 있고, 공압력이 공급되어 실린더(60)가 전후진 동작하도록 공압호스(64)가 측부에 각각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실린더 로드(62)의 단부는 상기 우측 공급롤러(52)에 고정되어 있다.
이때, 상기 실린더 로드(62)는 상기 우측 공급롤러(52)의 중심보다 상방향에 위치하도록 고정수단(54)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상기 실린더(60)에 의해 편심되서 회동된다.
상기 선재 공급가이드부(300)에 의해 안내되는 선재(200)는 상기 좌측 공급롤러(50) 및 우측 공급롤러(52)의 사이에 맞물려 지고 상기 실린더(60)가 전후진 동작함에 따라 상기 우측 공급롤러(52)가 회동하므로서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공급된다.
상기 좌, 우측 지지블럭(46,48) 및 롤러 고정대(66)의 후부에는 어드져스트 서포트(70)가 고정 설치되어 있고, 상기 어드져스트 서포트(70)에 의해 상기 롤러 고정대(66)의 위치를 전후 조절한다.
상기 어드져스트 서포트(70)는 사각 박스형태의 어드져스트 블럭(72)과, 상 기 어드져스트 블럭(72)에 가로 방향으로 끼워져서 전단부가 상기 롤러 고정대(66)와 연결되는 가로바(74) 및 상기 어드져스트 블럭(72)에 세로방향으로 끼워져서 하단부가 받침판(42)에 고정되는 세로바(76)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어드져스트 블럭(72)에 끼우져서 설치된 가로바(74)를 밀거나 당겨서 상기 전단부에 고정된 롤러 고정대(66)를 전후로 이동시켜서 조절한다.
계속해서, 선재 피딩장치(400)를 설명하면, 상기 좌측 공급롤러(50)에는 후부방향으로 연장되어 좌측 지지블럭(46)을 관통하여 좌측 공급롤러축(51)이 끼워져서 고정되어 있고, 상기 좌측 공급롤러축(51)의 후단부에는 좌측 래칫기어(53)가 연결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우측 공급롤러(52)에는 후부방향으로 연장되어 우측 지지블럭(48)을 관통하여 우측 공급롤러축(55)이 끼워져서 고정되어 있고, 상기 우측 공급롤러축(55)의 후부에는 우측 래칫기어(57)가 구비되어 있다.
한편, 상기 좌측 래칫기어(53)와 우측 래칫기어(57)는 서로 치합되어 함께 회전한다.
상기 우측 래칫기어(57)의 후부면에는 스플라인 기어(59)가 연결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플라인 기어(59)의 상부에는 래칫(63)이 맞물리도록 고정 설치되어 있다.
상기 우측 래칫기어(57)의 후부 상측부에 설치된 래칫(63)은 상기 스플라인 기어(59)와 맞물리게 됨으로서 상기 우측 래칫기어(57)가 역회전하지 못하도록 함과 동시에 과도한 회전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선재 피딩장치(400)의 동작을 살펴보면, 우선, 미도시된 공압원에 의해 공압이 실린더(60)에 공급되고 상기 실린더(60)의 실린더 로드(62)가 전,후 방향으로 움직인다.
상기 실린더 로드(62)가 전진 또는 후진 동작함에 따라 실린더 로드(62)의 단부에 고정된 우측 공급롤러(52)가 화살표 방향으로 간헐 회동하고 상기 우측 공급롤러(52)의 안내홈(56)에 끼워지고 상기 좌측 공급롤러(50) 사이에 맞물린 선재(200)가 하향 공급된다.
즉, 상기 우측 공급롤러(52)가 회동하면 상기 우측 공급롤러축(55)이 함께 회전하므로 우측 공급롤러축(55)의 후단부에 고정된 우측 래칫기어(57)가 회동한다. 이때, 상기 우측 래칫기어(57)가 회동함에 따라 상기 우측 래칫기어(57)에 치합된 좌측 래칫기어(53)도 함께 회전하고 상기 좌측 래칫기어(53)와 연결 형성된 좌측 공급롤러(50)도 함께 회전하면서 선재(200)를 선재 절단장치(500)로 하향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계속해서, 선재(200)가 이동되면 상기 선재 절단장치(500)에 설치된 커터가 슬라이딩 이동하며 소형 핀 또는 이어링 핀의 형상으로 롤링하여 절단 성형한다.
상기 선재 절단장치(500)는 상기 동작부(104)의 몸체(36)의 우측 상부면에 위치하여 설치되어 있다.
상기 선재 절단장치(500)는 도 7 내지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선재 절단장치(500)가 설치된 동작부 몸체(36)의 후부에는 고정 브라켓 유닛(98)이 고정 설치되어 있고, 상기 고정 브라켓 유닛(98)은 상기 받침판(42)의 후부에 고정 연결되어 상기 받침판(42)에 설치된 선재 공급가이드부(300)를 지지한다.
계속해서, 상기 선재 절단장치(500)를 설명하면, 상기 동작부 몸체(36)의 상부 후측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크랭크 휠 풀리축(30)과 연결된 크랭크 휠(32)이 회전하면서 이동 커터블럭(35)을 상하로 이동시킨다.
또한,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 커터블럭(35)의 반대편에는 상기 이동 커터블럭(35)과 마주 접하면서 롤링하기 위한 고정 커터블럭(39)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크랭크 휠(32)의 상부에는 크랭크 축(34)의 후단부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크랭크 휠(32)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크랭크 축(34)이 움직인다.
상기 크랭크 축(34)의 전단부에는 핀을 성형하기 위한 이동 커터블럭(35)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이동 커터블럭(35)의 우측면부에는 돌출 안내부(3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 안내부(33)는 전술된 안내편(90)의 안내롤러(92)와 접촉하여 핀 배출장치(600)의 푸시블럭(86)을 밀어낸다.
상기 이동 커터블럭(35)은 상기 동작부 몸체(36)에 형성된 레일(37)과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레일(37)을 따라 전후로 이동된다.
상기 도 8은 선재 절단장치(500)가 상승하였을 때의 상태도이고, 도 9는 선재 절단장치(500)가 하강하였을 때의 상태도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선재 절단장치의 동작을 설명해 보면, 먼저, 상기 구동부(102)가 동작함에 따라 크랭크 휠 풀리축(30)을 구비한 크랭크 휠 풀리(28)가 회 전하고, 상기 크랭크 휠 풀리(28)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크랭크 휠 풀리축(30)과 연결된 크랭크 휠(32)이 동시에 회전한다.
이때, 상기 크랭크 휠(32)에 고정된 크랭크 축(34)이 움직이고 상기 크랭크 축(34)이 전후 직선적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크랭크 축(34)의 전단부에 고정 형성된 이동 커터블럭(35)이 레일(37)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면서 핀을 성형 절단한다.
상기 이동 커터블럭(35)과 고정 커터블럭(39)에는 핀을 롤링 성형할 수 있도록 한 쌍의 커터금형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커터금형의 구조는 일반적인 구성이고 소비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변경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어서, 상기 선재 절단장치(500)에 의해서 선재(200)가 공급되어 소형 핀 또는 이어링 핀의 형상으로 절단되면 상기 형성된 핀을 핀 배출장치(600)가 배출한다.
상기 핀 배출장치(600)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동작부 몸체(36)의 우측 하부면에 고정 브라켓(78)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고정 브라켓(78)의 전부에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고정 브라켓(80)이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 브라켓(78) 및 고정 브라켓(80)을 연결 고정하는 푸시축(82)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고정 브라켓(78)과 고정 브라켓(80)의 사이에 고정된 푸시축(82)에는 스프링(84)이 삽입 설치되어 탄력적으로 움직인다.
상기 고정 브라켓(80)의 전부에는 푸시블럭(86)이 상기 푸시축(82)과 연결 고정되어 있고, 상기 푸시블럭(86)의 전부에는 선재(200)를 밀어내는 푸시팁(88)이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푸시팁(88)이 고정된 우측부에는 안내롤러(92)가 전부에 구비된 안내편(90)이 고정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고정 브라켓(78)의 우측 상부에는 리미트 스위치(94)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고정 브라켓(80)의 일측 후부면에는 상기 리미트 스위치(94)와 대응하도록 접촉바(96)가 고정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고정되어 있는 접촉바(96)는 푸시블럭(86)이 이동함에 따라 상기 리미트 스위치(94)와 접촉되고 상기 푸시팁(88)이 전후 이동할 때 일정한 거리만큼 이동하여 선재(200)를 배출하게 된다.
한편, 상기 푸시블럭(86)에 고정된 안내편(90)의 안내롤러(92)는 상기 크랭크 축(34)의 전부에 고정된 이동 커터블럭(35)이 전후로 이동함에 따라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성형된 핀을 배출한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의 선재 피딩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선재 피딩장치(402)는 상기 동작부 몸체(36)에 설치되어 있는 바, 상기 동작부 몸체(36)의 상부에 브라켓(203)이 고정수단(54)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상기 브라켓(203)의 상방향으로 세로 고정바(201)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세로 고정바(201)의 상단부에는 가로 방향으로 연결바(204)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연결바(204)의 하단부에는 연결로드(63)가 연결 고정되어 있다.
상기 연결로드(63)는 전술한 바와 같이 우측 공급롤러(52)에 연결 고정되어 있다.
상기 연결바(204)의 상단부에는 고정링크(206)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고정링크(206)는 세로 연결바(208)에 고정 연결되어 있고 상기 세로 연결바(208)의 하단부 전면에는 롤러(210)가 연결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동작부 몸체(36)에는 고정 브라켓(212)이 고정수단(54)에 의해 일측면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고정 브라켓(212)에는 지지바(214)가 관통하여 상기 세로 연결바(208)의 후부면에 연결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바(214)에는 스프링(216)이 끼워져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연결바(204)의 하단 일측부에는 어드져스트 볼트(218)이 끼워져서 고정되어 있고, 상기 어드져스트 볼트(218)의 전단부가 상기 우측 지지블럭(48)의 측면부와 맞닿도록 고정되어 있다.
상기 고정 브라켓(212)에 연결 고정된 지지바(214)에 의해 상기 세로 연결바(208)는 탄력적으로 화살표 방향으로 움직인다.
또한, 상기 크랭크 휠(32)의 하부에는 캠돌부(222)가 형성된 캠(220)이 연결 고정되어 있어 상기 크랭크 휠(32)과 함께 회전된다.
상기 캠(220)의 캠돌부(222)는 상기 세로 연결바(208)의 하단부에 고정된 롤러(210)와 접촉되고 상기 롤러(210)를 회전하면서 밀어준다.
상기 캠(220)의 회전에 의해 주기적으로 상기 세로 연결바(208)가 밀려지고, 상기 세로 연결바(208)의 후부에 설치된 지지바(214)의 스프링(216)에 의해 복귀되어 진다.
이때, 상기 세로 연결바(208)는 상기 고정수단(54)을 중심으로 회동함과 동시에 상기 고정링크(206)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연결바(204)를 밀어낸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 선재 피딩장치(402)의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상기 크랭크 휠(32)의 하부에 설치된 캠(220)이 크랭크 휠(32)과 함께 회전되고, 상기 캠(220)에 형성된 캠돌부(222)가 세로 연결바(208)의 하단부를 밀어낸다.
상기 세로 연결바(208)는 가운데를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상단부가 당겨지고 이때, 상기 고정링크(206)에 의해 연결 고정된 연결바(204)의 후단부가 당겨지게 된다.
상기 연결바(204)의 후단부가 당겨짐과 동시에 상기 연결바(204)의 전단부는 밀려나고 상기 연결바(204)에 고정된 연결로드(63)가 당겨져서 상기 우측 공급롤러(52)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리고, 상기 캠(220)이 회전하여 상기 캠돌부(222)가 회전되면 상기 세로 연결바(208)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면서 세로 연결바(208)의 가운데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고정링크(206)와 연결된 연결바(204)를 밀어내고 상기 연결바(204)는 세로 고정바(201)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연결로드(63)를 밀어서 상기 우측 공급롤러(52)를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선재(200)를 하향으로 이동시킨다.
본 발명에서는 일실시예로서 선재의 공급 동작을 설명하였으나 용이한 설계 변경에 의하여 동작 순서와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소형 핀 또는 이어링 핀 등을 제조하는 일실시예로 설명하였지만 더 나아가서는 차축, 연결핀 등의 제조에 모두 적용됨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실시는 본 발명의 핵심요소로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존재한다고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장치가 간단하고 소형이며, 자동으로 동작되므로 기존의 핀 제조장치에 비하여 저렴하고, 제조공정을 단축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헤더기에서의 작업공정과 롤링기에서의 절단 공정을 떨어져서 실시하던 것을 하나의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한 번에 작업함으로서 작업공정수가 단축되어 작업성이 우수해지고 생산성이 빨라지며 작업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바닥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동작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동작부에 선재를 공급하고 공급된 선재를 이용하여 롤링 성형함과 동시에 절단하여 핀을 제조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일측부에 구동모터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동작하여 핀을 성형하도록 동작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선재가 비틀리거나 이탈하지 않고 공급되도록 선재의 공급을 안내하는 선재 공급가이드부와;
    상기 선재 공급가이드부에 의해 안내된 선재를 이송시켜서 공급하는 선재 피딩장치와;
    상기 선재 피딩장치에 의해 이송되는 선재를 커터를 이용하여 핀 형상으로 롤링하여 성형 절단하는 선재 절단장치와;
    상기 선재 절단장치에 의해 절단된 핀을 배출하는 핀 배출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 제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일측 하부에 구동풀리가 구비된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풀리와 벨트에 의해 연결되어 회전하도록 제 1종동풀리 및 제 2종동풀리가 상하단부에 구비된 종동풀리축과;
    상기 종동풀리축의 제 2종동풀리에 벨트에 의해 연결되어 회전하도록 동작부 몸체의 하부에 설치된 크랭크 휠 풀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 제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재 공급가이드부는 상기 동작부 몸체의 일측부에 고정되고 힌지부에 의해 연결되어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일측 방향으로 젖혀지도록 설치된 세로 고정판 및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의 상부에 설치되고 전부에는 좌측 공급롤러가 설치되고 후부에는 좌측 래칫기어가 설치되는 좌측 지지블럭과;
    상기 좌측 지지블럭의 일측부에 대응하여 고정되고 전부에는 우측 공급롤러가 설치되고 후부에는 우측 래칫기어가 설치되는 우측 지지블럭과;
    상기 좌측 지지블럭 및 우측 지지블럭의 상부에 설치되고 복수개의 아이들 롤러가 지그재그로 고정되어 선재를 하향 공급하도록 설치된 롤러 고정대와;
    상기 좌측 및 우측 지지블럭의 후부에 위치하고 일측단은 상기 롤러 고정대와 연결 설치되고 타측단은 받침판에 설치되어 공급되는 선재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어드져스트 서포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 제조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져스트 서포트는 어드져스트 블럭과; 상기 어드져스트 블럭에 가로 방향으로 끼워져서 고정되는 가로바 및 상기 어드져스트 블럭에 세로방향으로 끼워짐과 동시에 상기 가로바와 수직하게 설치되는 세로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 제조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선재 피딩장치는 후측부에 좌측 래칫기어가 구비되고 상기 좌측 지지블럭의 전부에 고정 설치되는 좌측 공급롤러와;
    상기 좌측 공급롤러와 맞대어져서 회전하도록 상기 우측 공급롤러의 전부에 고정 설치되고 후부에는 우측 래칫기어와 스플라인기어가 구비된 우측 공급롤러와;
    상기 스플라인 기어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스플라인 기어와 맞물려서 역회전을 방지하는 래칫과;
    상기 우측 공급롤러의 전부면에 횡방향으로 고정설치되어 상기 우측 공급롤러를 회동시키는 실린더 로드를 구비한 실린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 제조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재 절단장치는 상기 동작부 몸체의 상부 후측부에 설치되고 상기 크랭크 휠 풀리와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연결 고정된 크랭크 휠과;
    상기 크랭크 휠의 중심 일측부에 일단부가 고정되어 상기 크랭크 휠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화하는 크랭크 축과;
    상기 크랭크 축의 하단부에 고정되어 전후 이동하며 상기 동작부 몸체의 레일과 결합하여 미끄럼 이동하고 일측부에는 돌출 안내부가 형성되고 커터를 구비한 이동 커터블럭과;
    상기 이동 커터블럭의 반대편에 대응하여 동작부 몸체에 고정 설치되고 커터를 구비한 고정 커터블럭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 제조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핀 배출장치는 상기 동작부에 고정 설치되고 일측부에는 성형된 핀을 밀어내기 위한 푸시팁이 형성되고 상기 푸시팁의 우측부에는 상기 이동 커터블럭과 접촉하여 미끄럼 이동하도록 안내롤러를 구비한 안내편이 고정된 푸시블럭과;
    상기 푸시블럭의 후부에 고정 설치된 푸시블럭 고정 브라켓과 상기 푸시 블럭 고정 브라켓과 대향하고 평행하고 고정 설치되는 리미트 스위치 고정 브라켓과;
    상기 푸시블럭 고정 브라켓과 리미트 스위치 고정 브라켓을 연결하도록 설치 되고 스프링에 끼워져서 고정된 푸시축과
    상기 리미트 스위치 고정 브라켓에 고정 설치된 리미트 스위치와, 상기 푸시블럭 고정 브라켓에 고정된 접촉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 제조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재 피딩장치는 상기 크랭크 휠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고 캠돌부가 형성된 캠과;
    상기 캠에 의해 연동되어 회동하도록 고정 브라켓에 설치되는 세로 연결바와;
    상기 세로 연결바와 연동되어 움직이도록 고정링크에 의해 연결 고정되고 가로 방향으로 설치되는 가로 연결바와;
    상기 가로 연결바의 일단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우측 공급롤러에 고정되어 있는 연결로드와;
    상기 가로 연결바의 중앙부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세로 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세로 고정바와;
    상기 세로 연결바가 탄력적으로 복귀되도록 스프링을 구비한 지지바가 구비되며 세로방향으로 설치되는 고정 브라켓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 제조장치.
KR1020060033436A 2006-04-13 2006-04-13 핀 제조장치 KR1007194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3436A KR100719404B1 (ko) 2006-04-13 2006-04-13 핀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3436A KR100719404B1 (ko) 2006-04-13 2006-04-13 핀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9404B1 true KR100719404B1 (ko) 2007-05-18

Family

ID=38277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3436A KR100719404B1 (ko) 2006-04-13 2006-04-13 핀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940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6088B1 (ko) 2012-10-23 2013-04-02 주식회사 제우테크노 고효율 못 제조 시스템
KR101498189B1 (ko) * 2012-07-10 2015-03-09 이희만 고정용 앵커핀 제조방법 및 그 금형과 앵커핀
KR102454102B1 (ko) * 2021-12-06 2022-10-14 주식회사 에이치앤비 니들팁 가공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18131A (ja) * 1992-05-26 1993-12-03 Itec Kk 溶接用ピン部材の製造装置
KR960000338A (ko) * 1994-06-04 1996-01-25 이강윤 콘넥터핀 제조기
KR20040020414A (ko) * 2002-08-30 2004-03-09 주식회사 오엔텍 침 자동제조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18131A (ja) * 1992-05-26 1993-12-03 Itec Kk 溶接用ピン部材の製造装置
KR960000338A (ko) * 1994-06-04 1996-01-25 이강윤 콘넥터핀 제조기
KR20040020414A (ko) * 2002-08-30 2004-03-09 주식회사 오엔텍 침 자동제조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8189B1 (ko) * 2012-07-10 2015-03-09 이희만 고정용 앵커핀 제조방법 및 그 금형과 앵커핀
KR101246088B1 (ko) 2012-10-23 2013-04-02 주식회사 제우테크노 고효율 못 제조 시스템
KR102454102B1 (ko) * 2021-12-06 2022-10-14 주식회사 에이치앤비 니들팁 가공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907335B (zh) 一种全自动锯片切割机
CN210389454U (zh) 一种大尺寸汽车装饰条模切机
KR100719404B1 (ko) 핀 제조장치
KR20130044424A (ko) 스크레치를 없애고 제조 공수를 절감시킨 장식 체인 제조기 및 이를 이용한 장식체인의 제조 방법
JPH10154568A (ja) 圧接装置及びハーネス製造方法
CN211079580U (zh) 自动卷带裁切设备
KR100958376B1 (ko) 형상파우치 프레스
KR100958845B1 (ko) 금속판재의 절곡장치
KR100629649B1 (ko) 문틀 제조를 위한 판재 성형장치
JP4417376B2 (ja) 切断機内でログを移動させ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KR100281572B1 (ko) 나사머리 제조장치
CN202877336U (zh) 不锈钢套连续冲压装置
KR20050008569A (ko) 반죽물을 일정형태로 성형시키는 반죽물 성형장치
KR100314669B1 (ko) 돌망테용 철망테두리 기계장치
US767914A (en) Punching-machine.
US1687289A (en) Paper-box-making machine
US3976417A (en)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ceramic plates with ornamental shapes
CN210757881U (zh) 一种全自动切断成型机
KR101421193B1 (ko) 롤 테이프 자동 커터기
CN108555975B (zh) 自动切割长条状工件设备
CN219485912U (zh) 一种侧冲式行线槽冲孔机
CN210556032U (zh) 一种软体搓卷机用的搓卷机构
CN210792175U (zh) 一种轮胎帘布裁切装置
KR910006115Y1 (ko) 벽돌 제조기의 마구리 무늬 성형장치
JP3709271B2 (ja) いなり寿司製造機のいなり寿司仕上げ成形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0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