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1572B1 - 나사머리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나사머리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1572B1
KR100281572B1 KR1019980013016A KR19980013016A KR100281572B1 KR 100281572 B1 KR100281572 B1 KR 100281572B1 KR 1019980013016 A KR1019980013016 A KR 1019980013016A KR 19980013016 A KR19980013016 A KR 19980013016A KR 100281572 B1 KR100281572 B1 KR 1002815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wire material
wire
screw head
pun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3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80047A (ko
Inventor
김진배
Original Assignee
김진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배 filed Critical 김진배
Priority to KR1019980013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1572B1/ko
Publication of KR199900800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00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1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1572B1/ko

Links

Landscapes

  • Wir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사머리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사각형체로 상하측이 개방되며 본체의 내측에 설치되는 베이스(1)와; 상기 베이스(1) 내의 상측에 설치되며 와이어소재(W)를 안내시키기 위한 유입공(2a) 및 와이어소재(W)를 타격시 지지하기 위한 지지공(2b)이 형성된 와이어 세팅블록(2)과; 상기 베이스(1)에 일측에 구비되는 모터(M)로부터 연결 설치된 제 1구동부(10)와; 상기 제 1구동부(10)에 연결 설치되어 베이스(1)의 상측에서 소정구간 수평동작되는 펀칭수단(20)과; 상기 베이스(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제 1구동부(10)에 체인으로 연결 설치되는 제 2구동부(30)와; 상기 베이스(1)의 일측에 설치되며 제 2구동부(30)에 체인으로 연결 설치되는 제 3구동부(40)와; 상기 제 3구동부(40)에 연결 설치되어 나사머리를 형성시킨 와이어소재(W)를 베이스(1)내에 경사지게 설치된 트레이(T)에 배출시키기 위한 와이어 배출수단(50)과; 상기 제 3구동부(40)에 연결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안내된 와이어소재(W)를 일정하게 베이스(1)내에 공급시키 위한 와이어 공급수단(60)과; 상기 베이스(1) 상측에 직각되게 설치되고, 고정구에 의해 전후조절가능한 장홈이 길이방향에 형성되며, 일측에 와이어소재(W)를 설정된 길이만큼 세팅시키는 지지편이 구비된 길이조절부재(3)와; 상기 세팅된 와이어소재(W)를 절단하고 베이스(1)의 중심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와이어 절단수단(70)과; 상기 절단수단(70)에 연접 설치되어 와이어소재(W)를 일시적으로 홀딩하기 위한 와이어 홀딩제어수단(80)으로 구성된 것인바, 소정직경을 갖는 와이어소재를 연속적으로 절단함과 동시에 홀딩시키고, 홀딩한 와이어소재를 와이어 세팅블록에 안정된 상태로 공급시켜 정확한 위치에서 와이어소재의 일단을 타격시켜 나사머리부를 만들어 배출시키는 동작을 일련의 공정으로서 연속반복되게 제조하므로써, 여러 공정을 별도로 거쳐 나사머리를 제조하는 기존방식에 비해 정밀도 높은 양질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고, 작업시간을 절감함과 동시에 대량제품의 생산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나사머리 제조장치
본 발명은 나사머리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소형나사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와이어소재를 일정길이로 절단하고 나사머리와 나사머리부위에 일자형 또는 십자형의 조절홈을 동시에 형성함으로서 나사산을 형성시키는 작업 전까지의 작업을 할 수 있는 나사머리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직경이 4mm정도 이하인 소형나사는, 일정길이의 와이어소재를 나사머리 제조장치 내로 인입시켜 필요로 하는 나사의 해당 길이로 절단하고, 이어서 소정의 길이로 절단된 와이어소재의 일단부위를 타격하여 나사의 머리부분을 형성시켜 기기의 외부로 배출한 다음, 별도의 장치에서 나사몸체에 나사산을 형성시키는 공정으로 제조된다.
상기와 같이 소형나사는 다수의 공정을 거쳐 제조되는데, 종래의 나사머리 제조장치에 있어서는 각 구성부의 연계작동에 있어서의 소음발생을 최소화 하기 위한 배려가 없는 것임은 물론, 그 정밀도를 신뢰하기에 미흡한 것이며, 또 그 크기가 소프트하지 못하여 넓은 설치면적이 요구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소형나사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와이어소재를 일정길이로 절단한후 나사머리와 나사머리부위에 조절홈을 동시에 형성시켜 배출하는 일연의 공정을 신속하고 정확히 행할 수 있음은 물론, 각 구성부의 연계 작동과정이 부드러워 작업중의 소음을 크게 줄일 수 있고, 또 그 크기가 소프트하여 설치면적을 크게 줄일 수 있는 나사머리 제조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소정직경의 와이어소재를 기기에 안내시켜 나사머리를 제조하기 위한 펀칭장치에 있어서, 상하측이 개방되며 본체의 내측에 설치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내에 설치되며 와이어소재를 안내시키기 위한 유입공 및 와이어소재를 타격시 지지하기 위한 지지공이 형성된 와이어 세팅블록과; 상기 베이스에 일측에 구비되는 모터(M)로부터 연결 설치된 제 1구동부와; 상기 제 1구동부에 연결 설치되어 베이스의 상측에서 소정구간 수평동작되는 펀칭수단과; 상기 베이스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제 1구동부에 체인으로 연결 설치되는 제 2구동부(30)와;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설치되며 제 2구동부(30)에 체인으로 연결 설치되는 제 3구동부와; 상기 제 3구동부에 연결 설치되어 나사머리를 형성시킨 와이어소재를 베이스내에 경사지게 설치된 트레이(T)에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수단과; 상기 제 3구동부에 연결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안내된 와이어소재를 일정하게 기기내에 공급시키 위한 와이어 공급수단과; 상기 와이어소재를 설정된 길이만큼 세팅시키기 위해 베이스 상측에 직각되게 설치되고, 고정구에 의해 전후조절가능한 장홈이 길이방향에 형성된 길이조절부재와; 상기 세팅된 와이어소재를 절단하고 베이스의 중심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절단수단과; 상기 절단수단에 연접 설치되어 와이어소재를 일시적으로 홀딩하기 위한 와이어 홀딩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진 나사머리 제조장치로 상기 과제를 해결했다.
도 1은 본 발명의 나사머리 제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장치의 내부적인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장치의 부분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장치의 요부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소재를 장치에 일직선으로 초기 공급하기 위한 와이어 공급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6 및 7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소재를 장치의 베이스에 공급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도,
도 8 및 9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소재를 절단하기 위한 절단수단의 작동상태도,
도 10 및 11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소재의 홀딩제어수단의 작동상태도,
도 12 및 13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소재를 펀칭시키기 위한 펀칭수단, 펀칭수단을 승하강시키는 승하강수단 및 펀칭수단의 승하강시 위치 결정시키는 위치결정수단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소재의 펀칭 후 배출수단에 의해 배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베이스 2: 세팅블록
3: 길이조절부재 10: 제 1구동부
20: 펀칭수단 30: 제 2구동부
40: 제 3구동부 50: 와이어 배출수단
60: 와이어 공급수단 70: 와이어 절단수단
80: 와이어 홀딩제어수단 90: 위치결정수단
100: 승하강수단 W: 와이어소재
이하, 본 발명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소정직경의 와이어소재(W)를 기기에 안내시켜 나사머리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에 있어, 상하측이 개방되며 본체(A)의 내측에 설치된 베이스(1)와; 상기 베이스(1)내에 설치되며 와이어소재(W)를 안내시키기 위한 유입공(2a) 및 와이어소재(W)를 타격시 지지하기 위한 지지공(2b)이 형성된 와이어 세팅블록(2)과; 상기 베이스(1)에 일측에 구비되는 모터(M)로부터 연결 설치된 제 1구동부(10)와; 상기 제 1구동부(10)에 연결 설치되어 베이스(1)의 상측에서 소정구간 수평동작되는 펀칭수단(20)과; 상기 베이스(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제 1구동부(10)에 체인으로 연결 설치되는 제 2구동부(30)와; 상기 베이스(1)의 일측에 설치되며 제 2구동부(30)에 체인으로 연결 설치되는 제 3구동부(40)와; 상기 제 3구동부(40)에 연결 설치되어 나사머리를 형성시킨 와이어소재(W)를 베이스내에 경사지게 설치된 트레이(T)에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수단(50)과; 상기 제 3구동부(40)에 연결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안내된 와이어소재(W)를 일정하게 기기내에 공급시키 위한 와이어 공급수단(60)과; 상기 와이어소재(W)를 설정된 길이만큼 세팅시키기 위해 베이스(1) 상측에 직각되게 설치되고, 고정구(3-1)에 의해 전후조절가능한 장홈(3a)이 길이방향에 형성되며, 일측에 와이어소재를 설정된 길이만큼 세팅시키는 지지편(3b)이 구비된 길이조절부재(3)와; 상기 세팅된 와이어소재(W)를 절단하고 베이스(1)의 중심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절단수단(70)과; 상기 절단수단(70)에 연접 설치되어 와이어소재(W)를 일시적으로 홀딩하기 위한 와이어 홀딩제어수단(80)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구동부(10)는 중심부위에 편심단차부(11-1)가 일체로 형성된 회전축(11) 양측에 편심단차부(11-1)의 편심회전에 따른 회전중심을 보상하기 위한 웨이트 발란스(12)가 축 설치되고, 상기 편심단차부(11-1)에는 조합링크(13)를 일치시켜 소정의 체결나사로 상호 결합되며, 조합링크(13)의 일단은 펀칭수단(20)에 연결 설치된다.
또한, 회전축(11)의 일단에는 본 장치에 제공되는 모터(M)로부터 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벨트풀리(14)가 축 설치되고, 상기 벨트풀리(14)측의 타측은 제 2구동부(30)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스프라켓(15)이 축 설치되며, 이 스프라켓(15) 일측에는 회전축(11)을 수동으로 구동시키기 위해 손잡이(16-1)가 구비된 핸들(16)이 축 설치되어 고정되며, 상기 핸들(16)은 기기의 본체 외측에서 탈착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한 펀칭수단(20)은 베이스(1)상측에 소정길이를 갖는 수평안내레일(21)이 대응되게 설치되고, 상기 수평안내레일(21)에는 사각형체를 갖는 수평이동체(22)가 소정구간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수평이동체(22)의 일측에는 안내레일홈을 형성시키고, 이 홈에 직사각형체의 펀칭블록(23)이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수평이동체(22)의 상측 중앙에는 수평이동체(22)의 수평이송에 따라 펀칭블록(23)을 상하로 고정시켜 주기 위한 위치결정수단(90)이 설치되고, 상기 수평이동체(22)의 상면에는 일측이 직각되게 절곡된 높이제어구(24)가 고정 설치되어 상기 펀칭블록(23)의 상하동작을 제어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수평이동체(22)의 저면에는 펀칭블록(23)을 간헐적으로 상하동작시키기 위한 승하강수단(100)이 설치된다.
상기한 펀칭블록(23)은 직사각형체의 본체(23a) 상부는 개방되며, 개방된 상부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높이조절구(23-1)를 체결시켜 펀칭블록(23)의 승하강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높이조절구(23-1)는 소정길이를 갖는 체결보울트이다.
상기 펀칭블록(23)의 본체 일측면에는 와이어소재(W)를 펀칭시켜 나사머리를 만들기 위한 제 1펀칭촉(23-2) 및 제 2펀칭촉(23-3)이 상하로 직각되게 부착 설치되며, 상기 제 1펀칭촉(23-2) 및 제 2펀칭촉(23-3)이 설치된 본체(23a)의 후면에는 상하동작되는 펀칭블록(23)을 승하강위치에 대해 고정되게 할 수 있는 제 1위치결정공(23-4) 및 제 2위치결정공(23-5)이 소정간격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펀칭블록(23)의 본체 하측에는 상기한 승하강수단(100)과 연결gk기 위한 연결봉(23-6)이 폭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위치결정수단(90)은 베이스(1)상의 소정위치에 일측면에 경사안내홈(91a)을 갖는 안내블록(91)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경사안내홈(91a)에 안내되도록 일측에 로울러(92a)가 축 설치되며 수평이동체(22) 상면에 고정 설치되는 브라켓트(B1)에 회동편(92)이 회동가능하게 축 설치되며, 회동편(92)의 일단에는 펀칭블록(23)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축(93)이 연결 설치되어 상하동작되는 펀칭블록(23)의 제 1위치결정공(23-4) 및 제 2위치결정공(23-5)에 안내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된다.
상기 승하강수단(100)은 수평이동체(22)의 저면에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결합 설치되고, 그 길이방향 중심부위에 단턱(101a)이 돌출 형성된 연결바(101)와, 상기 연결바(101)의 일측단부에 상하로 연결 설치되어 상기 펀칭블록(23)의 연결봉(23-6)을 탄력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탄력편(102)과, 상기 연결바(101)의 단턱(101a)부위를 수평으로 안내하기 위해 상측 일면에 ㄷ자형의 안내홈(103a)이 형성되고 그 하측방향에 복수의 결합공(103b, 103c)이 형성된 연결체(103)와, 상기 결합공(103b, 103c)에 일측이 회절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는 제 1링크(104) 및 제 2링크(105)와, 상기 제 1링크(104) 및 제 2링크(105)의 일단을 베이스(1)의 측면에 회동가능하게 축 고정하는 지지패널(106)과, 상기 지지패널(106)의 외측으로부터 제 2링크(105)측의 동축상에 축 설치되어 연결바(101)를 상하로 회동시키기 위해 회절체(107)로 구성된다.
상기 회절체(107)의 일측에는 제 2구동부(30)로부터 동력전달되어 상기 회절체(107)를 회동시키기 위한 소정직경의 로울러(107a)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제 2구동부(30)는 베이스(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31)에 상기 회절체(107)에 설치되는 로울러(107a)가 안내되어 구름동작될 수 있도록 일면에 평면곡선홈(32a)이 형성된 평면캠(32)이 축 설치되고, 상기 평면캠(32)의 일측에는 제 1구동부(1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스프라켓(33)이 축 설치되며, 상기 평면캠(32)의 타측에는 제 3구동부(40)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또 하나의 스프라켓(34)이 축 설치되고, 상기 스프라켓(34) 일측에는 절단수단(70)을 구동시키기 위한 곡면캠(35)이 축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한 제 3구동부(40)는 베이스(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41)에 제 2구동부(30)의 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스프라켓(42)이 축 설치되고, 상기 스프라켓(42)의 동축상에는 홀딩제어수단(80)을 연동시켜 주기 위한 또 하나의 스프라켓(43)이 축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41)의 일측에는 와이어소재(W)를 공급하는 와이어 공급수단(60)을 구동시키기 위한 링크(44)가 편심되게 설치되어 구성된다.
와이어 배출수단(50)은 베이스(1)에 설치된 와이어 세팅블록(2)의 지지공(2b)에 슬라이딩가능하게 관통 설치되어 나사머리가 형성된 와이어소재(W)를 밀어내기 위한 작동봉(51)과, 상기 베이스(1)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 작동봉(51)의 일단을 타격시키기 위한 방아부재(52)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방아부재(52)는 소정의 공압으로 회동되는 구조이며, 방아부재(52)의 일측에 구비된 타격봉(52a)은 전후 조절가능한 나사로 체결되어 설치된 구조이며, 상기 작동봉(51)은 와이어 세팅블록(2)의 지지공(2b) 내측에 스프링(도면에서 생략함)과 함께 설치되어 상기 타격봉(52a)의 타격시 소정의 탄성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한편, 상기 와이어 공급수단(60)은 베이스(1)의 일측에 제 3구동부(40)의 링크로부터 동력 전달될 수 있는 회동체(61)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회동체(61)의 동축상에는 소정직경의 제 1기어(62)와, 상기 제 1기어(62)의 동축상에 와이어소재(W)를 안내하기 위해 안내홈(63a)이 외주면에 구비된 제 1안내로울러(63)가 축 설치되며, 상기 제 1안내로울러(63)에 상측에 와이어소재(W)를 안내하기 위해 안내홈(64a)이 외주면에 구비된 제 2안내로울러(64)가 설치되고, 상기 제 2안내로울러(64)의 동축상에 제 1기어(62)와 치합되어 종동될 수 있는 제 2기어(65)가 설치된다.
상기 회동체(61)는 내부에 래칫 및 래칫기어로 설치되어 제 1기어(62)를 일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 구조이다.
상기 제 2안내로울러(64) 및 제 2기어(65)는 일측이 힌지결합되는 블록(66)에 설치되며, 상기 블록(66)은 베이스(1)의 전면에 상측에 설치되고, 블록(66)의 상부 일측에 와이어소재(W)를 초기 안내시 제 2안내로울러(64) 및 제 2기어(65)를 상기 제 1안내로울러(63) 및 제 1기어(62)측으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한 캠레버(67)가 설치된다.
그리고, 와이어 홀딩제어수단(80)은 베이스(1) 전면측에 브라켓트(B2)에 의해 축(81)이 설치되며, 상기 축(81)에 설치되어 제 3구동부(40)의 스프라켓(43)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스프라켓(82)과, 상기 스프라켓(82)의 동축상에 축 설치되는 캠(83)과, 상기 브라켓트(2B)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에는 캠(83)의 외주면을 따라 구름동작되기 위한 로울러(84a)가 설치되며, 로울러(84a)의 타측에는 소정길이를 갖는 누름봉(84b)이 수직되게 설치된 작동편(84)으로 구성된다.
상기 와이어 홀딩제어수단(80)과 연동되는 와이어 절단수단(70)은 베이스(1)의 측면에 원통형으로 상하측에 소정폭을 갖는 장홈(71a)이 형성된 하우징(71)이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71)은 내측에 소정길이를 갖는 슬라이딩축(72)이 수평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딩축(72) 상하측에는 장홈(71a)을 따라 안내되기 위한 수직축(73)이 관통 설치된다.
또한, 상기 수직축(73)에 하우징(71)의 플랜지부위에 소정깊이로 안내되는 가이드봉(74)이 직각되게 연결 설치되고, 상기 수직축(73)의 하측 일단에는 제 2구동부(30)의 곡면캠(35)을 따라 슬라이딩축(72)을 수평으로 전후진시키기 위한 로울러(75)가 회전가능하게 축 설치된다.
한편, 상기 슬라이딩축(72)의 일측에는 베이스(1)의 내측으로 소정길이 통과되어 세팅된 와이어소재(W)를 절단하기 위한 커터(76)가 설치되고, 상기 커터(76)를 고정하는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저면에 구비되는 스프링(S)에 의해 탄력 설치되며, 그 상측은 홀딩제어수단(80)의 작동편(84)에 설치된 누름봉(84b)이 접촉 설치되며 그 타측은 커터(76)의 절단각에 일치되어 세팅된 와이어소재(W)를 홀딩하기 위한 홀딩편(77)이 구비된 홀딩바(78)로 구성된다.
상기 커터(76)의 절단면 및 홀딩편(77)의 일측에는 와이어를 홀딩시키기 위한 반원형의 지지홈(76a)(77a)이 형성된다.
미설명 부호 5는 와이어소재(W)를 초기 공급시키기위한 공급부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나사머리 제조장치에 대한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나사를 제조하기 위한 와이어소재(W)는 다수로 권회되어 일측에서부터 기기측으로 안내시켜 준다. 와이어소재(W)를 초기 기기내에 인입시키기 전 기기의 일측에 설치된 공급부(5)을 통과시켜 주며, 공급부(5)의 중앙측 기기본체의 중심상에 형성된 와이어 유입공(10a)에 유입시켜 준다.
상기 공급부(5)는 초기에 와이어소재(W)의 일단을 사각형체의 프레임(5a) 일측에 설치되어 와이어소재(W)를 초기 안내하는 가이드편(5b)에 통과시켜 주되, 가이드편(5b)의 일측 프레임(5a)측 중심상에 고정된 고정축(93)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 1가이드로울러(5c)의 상측에 와이어소재(W)의 저면을 받쳐주고, 이어서, 상기 제 1가이드로울러(5c)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게 설치된 다수의 제 2가이드로울러(5d)의 사이에 와이어소재(W)를 통과시켜 기기내에 유입되도록 한다.
상기 공급수단(60)의 가이드편(5b)은 중심상에 형성된 가이드공(5b-1)을 통해 통과시킨 와이어소재(W)는 지그재그로 설치된 다수의 제 2가이드로울러(5d)의 회전에 따라 각 제 2가이드로울러(5d)의 외주면에 상호 밀착되어 곡선을 이룬 와이어소재(W)는 일직선으로 펴지면서 이송된다.
상기와 같이 이송되어 기기의 본체에 와이어소재(W)가 소정길이 유입되는 초기상태에서는 기기의 본체(A) 외부케이스 상측에 마련된 도어(A1)를 개방시키고, 본체(A)의 유입공(AO)으로 안내된 와이어소재(W)의 일단을 기기내에 고정 설치된 베이스(1)로부터 유입될 수 있도록 와이어 공급수단(60)의 캠레버(67)를 회동시켜 준다.
상기 캠레버(67)는 베이스(1)상측면으로부터 지렛대 형식으로 상기 와이어공급수단(60)이 설치된 블록(66)을 소정간격 상승시켜 주며, 이때 블록(66)은 압축스프링(S1)에 의해 소정의 가압력으로 블록(66)에 탄성을 가하면서 지지시켜 준다.
이때의 상기 블록(66)에 설치되어 와이어소재(W)를 이송시키기 위한 제 2안내로울러(64)는 하측에 위치되는 제 1안내로울러(63)로부터 이격되는 상태가 된다. 여기서 와이어소재(W)는 상기 제 1안내로울러(63)의 안내홈(63a)을 따라 베이스(1)내에 설치된 와이어 세팅블록(2)의 유입공(2a)에 안내시킬 수 있으며, 와이어소재(W)의 일단이 상기 유입공(2a)에 소정깊이 유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캠레버(67)를 역방향으로 하여 초기상태로 해제시켜 준다.
상기 캠레버(67)의 해제에 따라 상기한 블록(66)은 베이스(1)의 일측에 블록(66)을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힌지축을 중심으로 원상복귀되며, 블록의 원상복귀시에는 블록측에 설치된 압축스프링(S1)의 복원력으로 초기상태를 유지시켜 줄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안내로울러(63)측의 상측으로는 상호 수직방향으로 제 2안내로울러(64)가 소정간격으로 일치되면서 제 1안내로울러(63)의 안내홈(63a)에 안내된 와이어소재(W)의 상측부분을 제 2안내로울러(64)의 외주면에 형성된 안내홈(64a)이 안내되어 상호 가압하면서 와이어소재(W)를 가압하는 형태로 이송시켜 줄 수 있게 된다.
상기 와이어소재(W)가 초기 설치된 상태에서 연속적인 장치의 본 동작상태에서 와이어소재(W)의 연속적인 공급과정을 설명하면, 상기 베이스(1)에 설치되어 제 1구동부(10)로부터 제 2구동부(30)를 통해 동력을 전달받는 제 3구동부(40)의 회전축(41) 일단에 설치된 링크(44)는 상기 회전축(41)의 회전구동에 따라 상기 링크(44)와 연결 설치된 회동체(61)의 동작에 의해 공급된다.
상기 회동체(61)는 상기 링크(44)의 동력전달에 따라 소정각도로 반복적 회동운동을 간헐적으로 실시하며, 이러한 이 회동운동은 회동체(61)의 내측에 설치된 래칫 휠과 래칫(도면에서 생략함)에 의해 일방향으로만 회동되는 것이며, 소정각도 경사진 회동체(61)에 대해 상기 링크(44)의 동력전달은 1사이클에 해당되어 소정각도로 회동된 상태에서의 회동체(61)를 초기 상태로 복귀시켜 준다.
상기 회동체(61)의 회동운동에 따라 회동체(61)의 동축상에 설치된 제 1기어(62)는 첨부된 도 6 및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록(66)에 설치된 제 2안내로울러(64)측의 동축상에 축설되어 구비된 제 2기어(65)와 일정하게 맞물려 소정구간회전되고, 상호 제 1안내로울러(63) 및 제 2안내로울러(64)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와이어소재(W)를 연이어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 1기어(62) 및 제 2기어(65)의 치차는 1:1비율로 동일직경의 평기어이다.
한편, 상기 와이어소재(W)가 베이스(1)내에 유입되는 상태에서 베이스(1)의 상측에 설치된 길이조절부재(3)는 와이어소재(W)를 제조하고자 하는 길이로 와이어소재(W)의 유입전에 미리 세팅되어 있다. 이러한 길이조절부재(3)의 세팅은 베이스(1)상으로부터 길이조절부재(3)에 형성된 장홈(3a)의 길이를 조절한 후 고정구(3-1)를 상기 장홈(3a)에 체결하여 제조되는 나사의 길이를 세팅하여 공정에 따른 와이어소재(W)의 길이를 필요로 하는 제조규격에 일치시켜 줄 수 있다.
상기 와이어소재(W)의 일단이 길이조절부재(3)에 직각되게 설치된 지지편(3b)에의 맞닿는 상태가 되면, 이와 연계동작으로 베이스(1)측에 설치된 절단수단(70)의 동작에 의해 상기 와이어소재(W)를 절단함과 동시에 홀딩시켜 와이어 세팅블록(2)의 내측 중안에 형성된 지지공(2b)에 위치시켜 준다.
상기와 같은 상태를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와이어소재(W)가 일정길이로 세팅된 상태에서 와이어 세팅블록(2)의 유입공(2a)의 선단에 근접해 있는 커터(76)는 수평동작되어 와이어소재(W)를 절단시킴과 동시에, 커터(76)측에 이웃하는 홀딩편(77)은 상기 커터(76)와 함께 절단된 와이어소재(W)를 홀딩시켜 준다. 여기서 와이어소재(W)의 홀딩은 커터(76) 및 홀딩편(77)의 일측면에 형성된 반원형의 지지홈(76a)(77a)에 의해 와이어소재(W)의 외측둘레를 잡아 줄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와이어소재(W)가 홀딩된 상태에서 상기 커터(76)를 고정하고 있는 슬라이딩축(72)은 수평동작되어 베이스(1)내에 설치된 와이어 세팅블록(2)의 중심부위로 와이어소재(W)를 이동시켜 준다. 상기 슬라이딩축(72)의 수평동작은 첨부된 도 8 및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상의 일측에 설치된 원통형의 하우징(71)내에서 슬라이딩동작되는데, 슬라이딩 동작시 상기 슬라이딩축(72)에 수직으로 관통 설치된 수직축(73)은 상기 하우징(71)의 상하측으로 형성된 장홈(71a)내에서 수평동작되며, 상기 장홈(71a)의 외측으로 돌출된 수직축(73)에 직각으로 설치된 가이드봉(74)은 하우징(71)의 플랜지부위에 형성된 안내공(71b)으로 소정깊이 안내되는 동작을 한다. 이러한 가이드봉(74)은 상기 슬라이딩축(72)의 수평동작에 있어 정확히 수평동작을 하여 와이어소재(W)를 절단시키기 위함이다. 또한, 이는 슬라이딩축(72)의 일단에 설치된 커터(76) 및 홀딩바(78)의 홀딩편(77) 일측면에 형성된 반원형의 지지홈(76a)(77a)내에 절단되는 와이어소재(W)를 안내시켜 정확히 홀딩시키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슬라이딩축(72)의 구동은 수직축(73)의 하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축설치된 로울러(75)가 제 2구동부(30)의 회전축(31)에 축설되어 회전운동하는 곡면캠(35)에 접촉되면서 구름동작되어 결국 상기 제2구동부(3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게 된다.
상기 곡면캠(35)의 원주상에 형성된 곡면의 최고 상사점과 하사점으로 이어지는 원주율은 설계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축(72)의 수평동작거리, 즉, 와이어소재(W)를 절단한 다음, 와이어소재(W)를 홀딩시켜 와이어 세팅블록(2)의 유입공(2a)에서부터 수평되게 이격 형성되어 있는 지지공(2b)까지의 와이어소재(W)를 이동시키기 위한 전후 폭의 수평길이가 설정된다.
상기와 같이 절단수단(70)에 의해 와이어소재(W)를 와이어 세팅블록(2)의 중심부까지 정확히 위치된 상태에서는 베이스(1)상에서 슬라이딩되는 펀칭수단(20)에 의해 상기 와이어소재(W)를 펀칭시켜 준다.
상기 펀칭수단(20)의 동작과정을 첨부된 도 12 및 13을 참조하여 자세히 살펴보면, 먼저 베이스(1)의 상측부위에 대응되게 설치된 수평안내레일(21)로부터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된 수평이동체(22)가 제 1구동부(10)의 동력전달에 의해 수평동작된다.
상기 제 1구동부(10)는 모터(M)의 구동을 전달받는 벨트풀리(14)로부터 동력전달되며, 이 벨트풀리(14)의 회전구동은 회전축(11) 중심에 형성된 편심단차부(11-1)에 상하로 결합 설치된 조합링크(13)를 수평으로 소정의 궤도를 가지게 하면서 상기 수평이동체(22)를 수평동작케 한다.
상기 조합링크(13)의 일측은 수평이동체(22)내의 내벽 양측에 회동가능한 범주내에서 축 연결되어 있어, 상기 회전축(11)의 편심단차부(11-1)의 회전편차에 따라 수평이동체(22)의 수평거리가 결정된다.
또한, 상기 회전축(11)의 회동구동에 있어, 회전축의 양측 소정위치에 편심되게 축설된 웨이트 발란스(12)는 상기 수평이동체(22)의 이송동작에 있어 제 1구동부(10)를 중심기점으로 할 때, 수평이동체(22)의 전진이동시에는 상기 웨이트 발란스(12)에 의해 가속되어 급격하게 전진하고, 후진시에는 상기 조합링크(13)의 전진속도보다 느리게 후진되는 동작을 취한다. 즉, 이는 수평이동체(22)의 전진에 따라 와이어 세팅블록(2)의 지지공(2b)dp 세팅된 와이어소재(W)를 급격히 타격시키기 수평이동체(22)의 후진시에는 가속된 속도를 줄일 수 있도록 하여 와이어소재(W)의 타격에 따른 수평동작을 원활히 해주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제 1구동부(10)의 회전축(11)은 펀칭수단(20)의 수평이동체(22)를 전후진시키는 동작을 수행하며, 회전축(11)의 일측에 설치된 스프라켓(15)은 연동되어 제 2구동부(30)측의 회전축(31)에 축설된 스프라켓(33)에 체인으로 상호 연결되어 있어 제 1구동부(10)의 동작과 함께 제 2구동부(30)를 연계동작시켜 준다.
상기 제 1구동부(10)의 회전축(11)에 축 설치된 스프라켓(15)과 제 2구동부(30)의 회전축(31)에 축 설치된 스프라켓(33)을 연결하는 체인은 베이스(1)의 외측측면에 브라켓트에 의해 설치된 아이들 스프라켓에 의해 체인을 장력을 조정으로 적절한 동력을 전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 1구동부(10)의 스프라켓(15)이 설치된 회전축(11)의 일측에 본체 기기의 외측으로부터 설치되어 수동으로 손잡이(16-1)를 회전시켜 각 구동부를 구동시켜 검사할 수 있거나 와이어소재(W)의 초기 공급시에 핸들(16)을 조정하여 와이어소재(W)를 세팅할 수 있는데 사용되며, 나사머리 제조시에는 안전성을 고려하여 핸들(16)에 장착된 손잡이(16-1)를 탈거시켜 사용된다.
상기 제 1구동부(10)의 구동으로 펀칭수단(20)의 구성요소인 수평이동체(22)의 수평동작에 따라 수평이동체(22)가 진행되는 선단 중앙에 설치된 펀칭블록(23)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펀칭블록(23)은 수평이동체(22)가 2회의 수평왕복운동을 함에 있어, 1회의 전진시 펀칭블록(23)의 전면에 이격 설치된 제 1펀칭촉(23-2) 및 제 2펀칭촉(23-3) 중 제 1펀칭촉(23-2)이 와이어 세팅블록(2)측의 중앙으로 전진되어 베이스(1)내의 중앙에 절단수단(70)의 커터(76)와 홀딩편(77)에 의해 위치된 와이어소재(W)를 타격시켜 준다.
상기 제 1펀칭촉(23-2)의 타격시 와이어소재(W)는 상기 커터(76)와 홀딩편(77)이 동시에 와이어 세팅블록(2)의 중앙위치에서 와이어소재의 홀딩을 해제하여 이탈됨과 동시에, 상기 제 1펀칭촉(23-2)의 타격으로 인해 와이어소재(W)는 와이어 세팅블록(2)의 중심에 형성된 지지공(2b)에 소정깊이 즉, 나사머리를 형성하기 위한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부분은 유입되고, 유입된 와이어소재(W)의 일단은 지지공(2b)의 후측에 위치된 와이어소재 배출수단(50)의 구성요소인 작동봉(51)의 일단에 지지되는 상태가 된다.
상기 커터(76)는 슬라이딩축(72)의 후진에 따라 소정길이 후퇴되어 새로이 유입되어 돌출되는 와이어소재(W)에 근접되는 위치에서 다음 공정을 준비하고, 상기 커터(76)에 근접 설치된 홀딩편(77)은 홀딩바(78)의 회동으로 와이어소재(W)로부터 이격된다.
상기 홀딩바(78)의 동작상태는 베이스(1) 상에 설치된 홀딩제어수단(80)에 의해 동작되는데, 상기 홀딩제어수단(80)은 베이스(1)의 외측에 고정 설치된 브라켓트(B2)에 설치되어 제 3구동부(40)의 스프라켓(43)으로부터 체인의 연결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는다. 상기 스프라켓(43)에 연동되는 홀딩제어수단(80)측의 스프라켓(82) 구동에 따라 스프라켓(82)의 동축상에 축 설치된 캠(83)은 동시에 연동되어 회전되고, 상기 캠(83)의 외주면에 접촉되며, 상기 브라켓트(B2)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작동편(84)의 회동에 따라 상기 홀딩바(78)의 일측 상부를 가압시키는 상태에서는 홀딩바(78)를 회동시켜 와이어소재(W)를 해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홀딩바(78)의 저면은 소정길이의 압축스프링(S)이 수직으로 받쳐져 홀딩바(78)의 일측이 가압된 상태에서 초기와 같은 상태로 복귀될 때 홀딩바(78)의 일측 상단은 홀딩제어수단(80)의 작동편(84) 일측에 수직으로 설치된 누름봉(84b)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된다.
상기 캠(83)의 외주면은 소정구간이 중심축방향으로 단턱져 있어 상기 작동편(84)의 일단에 구름가능하게 설치된 로울러(84a)가 접촉된 상태에서 상호 구름동작될 때 상기 단차높이의 차이에 따라 작동편(84)을 소정각도로 회동시키고, 상기 작동편(84)의 일단에는 누름봉(84b)이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어 홀딩바(78)의 일측을 눌러 가압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캠(83)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구름동작되는 상기 로울러(84a)는 캠(83)에 형성된 단턱부분으로 안내되는 초기 상태에서는 절단수단(70)의 홀딩바(78)에 설치된 홀딩편(77)이 해제되고, 다시 단턱진 부위로부터 이격되어 캠(83)의 외측둘레를 접촉하여 구름동작될 때 상기 홀딩바(78)의 일측을 가압하는 형태로, 이때 와이어소재(W)를 절단하고, 와이어 세팅블록(2)의 지지공(2b)의 중심부위까지 와이어소재(W)를 홀딩한 상태에서 이동시켜주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펀칭블록(23)은 수평이동체(22)에 의해 후진동작으로 와이어소재(W)로부터 이격되어 수평이동체(22)와 후진동작 된다. 즉, 펀칭블록(23)의 제 1펀칭촉(23-2)은 와이어소재(W)를 와이어 세팅블록(2)에 세팅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이어서, 상기 수평이동체(22)의 후진동작이 진행됨에 있어, 펀칭블록(23)은 승하강수단(100)에 의해 상하로 동작되며, 또 위치결정수단(90)에 의해 펀칭블록(23)이 상측으로 위치결정되어 상기 제 2펀칭촉(23-3)의 위치를 상기 제 1펀칭촉(23-2)의 초기 타격에 따른 높이로 위치시켜 줄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를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펀칭블록(23)의 상하동작은 상기한 제 2구동부(30)의 회전축(31)에 축설된 평면캠(32)의 구동에 의해 승하강수단(100)의 구성요소인 회절체(107)의 회절동작에 따라 연계적으로 동작된다. 상기 회절체(107)의 회동운동은 회절체(107)의 일측에 설치된 로울러(107a)가 상기 회전축(31)에 축 설치되어 회전되는 평면캠(32)의 평면곡선홈(32a)에 안내되어 평면캠(32)의 회전방향과 반대로 구름동작되어 상기 평면곡선홈(32a)의 궤도를 따라 회절운동시켜 준다.
이와 연계동작으로 회절체(107)에 소정각도로 회절가능하게 설치된 연결체(103), 연결체(103)에 일단이 회절가능하게 설치된 제 1링크(104) 및 제 2링크(105)와, 연결바(101)는 각 연결부위로부터 소정각도 회절되어 첨부된 도 12 및 1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절체(107)의 회동에 따라 상기 연결체(103)를 수직으로 상하운동시켜 준다. 이때, 상기 연결바(101)는 일측이 수평이동체(22)의 저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중심부위의 단턱(101a)부위는 상기 연결체(103)의 상부 일측면에 형성된 ㄷ자형의 안내홈(103a)으로부터 슬라이딩되며, 또 연결바(101)의 일단은 상기 펀칭블록(23)의 본체(23a) 저면에 연결 설치되어 있어 펀칭블록(23)을 상하로 동작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펀칭블록(23)의 상하동작됨에 있어, 상기 펀칭블록(23)의 저면을 연결하는 연결바(101)의 일단은 펀칭블록(23)의 저면에 설치된 연결봉(23-6)의 상하단을 지지하는 소정두께의 탄력편(102)으로 연결 설치되어 있어, 펀칭블록(23)의 하강동작시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게 되며, 펀칭블록(23)의 상하운동시 발생될 수 있는 소음 및 부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펀칭블록(23)이 상하동작됨에 있어, 펀칭블록(23)의 상측에 설치된 높이제어구(24)는 수평이동체(22)의 일측 중앙에 소정높이로 고정 설치되어 승하강되는 펀칭블록(23)의 상측에 위치결정된 높이조절구(23-1)의 길이조정에 따라 그 높이가 견제되어 펀칭블록(23)의 정확한 상승위치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한 수평이동체(22)에 설치된 위치결정수단(90)은 첨부된 도 1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이동체(22)가 후진시 수평이동체(22)의 상측에 고정 설치된 브라켓트(B1)에 양측이 회동되도록 축 설치된 회동편(92)은 소정각도로 회동되고, 회동편(92)의 일단에 걸려진 고정축(93)은 수평이동체(22) 내에서 수평으로 동작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펀칭블록(23)의 후면에 형성된 제 1위치결정공(23-4)으로부터는 상기 고정축(93)이 이격되는 상태로, 수평이동체(22)의 일측에서 펀칭블록(23)은 승하강수단(100)에 의해이 상승되고, 수평이동체(22)가 2회째 수평 전진되는 상태에 있어서는, 상기 회동편(92)의 일측에 연결된 고정축(93)은 다시 펀칭블록(23)의 전면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 1위치결정공(23-4)의 하측에 소정간격지게 형성된 제 2위치결정공(23-5)에 인입되어 펀칭블록(23)이 승강된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수평이동체(22)의 전후진 슬라이딩 동작됨에 있어 회동편(92)의 동축상 일단에 설치된 로울러(92a)는 베이스(1)의 상면에 고정 설치된 안내블록(91)의 경사안내홈(91a)을 따라 이동이 진행되는 가운데 상기 경사안내홈(91a)의 높낮이 차에 따라 회동편(92)을 소정각도로 동작시켜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고정축(93)이 제 1위치결정공(23-4) 및 제 2위치결정공(23-5)에 안내되어 펀칭블록(23)을 상하로 고정시켜 주므로써, 펀칭블록(23)의 고정 상태에 따라 수평이동체(22)는 계속 전진하여 펀칭블록(23)의 전면에 설치된 제 2펀칭촉(23-3)이 와이어소재(W)의 일단을 급격히 타격시켜 나사의 머리부와, 머리부 전면에 십자 또는 일자형의 체결홈을 형성시켜 줄 수 있게 된다. 제 2펀칭촉(23-3)의 전면에는 나사머리홈과 체결홈을 형성시키기 위한 십자형의 돌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와이어소재(W)가 펀칭된 상태에서 와이어소재(W)의 배출은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베이스(1)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배출수단(50)의 구성요소인 방아부재(52)가 소정의 공압에 의해 회동되어 와이어 세팅블록(2)의 지지공(2b)에 삽입된 작동봉(51)의 일단을 타격시켜 준다. 이때 작동봉(51)의 일단은 상기 관통공과 연통되는 와이어 세팅블록(2)의 지지공(2b)으로부터 와이어소재(W)의 순간적으로 후단을 밀어내어 상기 지지공(2b)공으로부터 와이어소재(W)를 배출시켜 주며, 배출되는 와이어소재(W)는 자유로이 낙하되어 베이스(1)내에 경사지게 설치된 배출트레이(T)를 따라 외부로 이송되어 별도의 수집함에 모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동작은 수평이동체(22)의 전후진 동작에 따라 상호 연속 반복적으로 동작되어 일련의 공정을 하나의 기기내에서 작업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소정직경을 갖는 와이어소재를 연속적으로 절단함과 동시에 홀딩시키고, 홀딩한 와이어소재를 와이어 세팅블록에 안정된 상태로 공급시켜 정확한 위치에서 와이어소재의 일단을 타격하여 나사머리부를 만들어 배출시키는 것이므로, 그 연계 작동과정이 신속. 정확하여 종래의 나사머리 제조장치들에 비하여 정밀도 높은 양질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음은 물론, 제품의 생산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 구성부의 연계작동이 대부분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부드럽게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소음의 발생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것이고 그 크기가 소프트하여 적은 면적에도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소정직경의 와이어소재(W)를 안내시켜 나사머리를 제조하기 위하여, 사각형체로 상하측이 개방되며 본체의 내측에 설치되는 베이스(1)와, 상기 베이스(1) 내의 상측에 설치되며 와이어소재(W)를 안내시키기 위한 유입공(2a) 및 와이어소재(W)를 타격시 지지하기 위한 지지공(2b)이 형성된 와이어 세팅블록(2)과, 상기 베이스(1)에 일측에 구비되는 모터(M)로부터 연결 설치된 제 1구동부(10)와, 상기 제 1구동부(10)에 연결 설치되어 베이스(1)의 상측에서 소정구간 수평동작되는 펀칭수단(20)과, 상기 베이스(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제 1구동부(10)에 체인으로 연결 설치되는 제 2구동부(30)와, 상기 베이스(1)의 일측에 설치되며 제 2구동부(30)에 체인으로 연결 설치되는 제 3구동부(40)와, 상기 제 3구동부(40)에 연결 설치되어 나사머리를 형성시킨 와이어소재(W)를 베이스(1)내에 경사지게 설치된 트레이(T)에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수단(50)과, 상기 제 3구동부(40)에 연결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안내된 와이어소재(W)를 일정하게 베이스(1)내에 공급시키 위한 와이어 공급수단(60)과, 상기 베이스(1) 상측에 직각되게 설치되고, 고정구(3-1)에 의해 전후조절가능한 장홈(3a)이 길이방향에 형성되며, 일측에 와이어소재(W)를 설정된 길이만큼 세팅시키는 지지편(3b)이 구비된 길이조절부재(3)와, 상기 세팅된 와이어소재(W)를 절단하고 베이스(1)의 중심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절단수단(70)과, 상기 절단수단(70)에 연접 설치되어 와이어소재(W)를 일시적으로 홀딩하기 위한 와이어 홀딩제어수단(80)을 포함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제 1구동부(10)는, 중심부위에 편심단차부(11-1)가 일체로 형성된 회전축(11)과, 상기 편심단차부(11-1)의 편심회전에 따른 회전중심을 보상하기 위해 회전축(11) 양측에 축 설치되는 웨이트 발란스(12)와, 상기 편심단차부(11-1)에 결합 설치되어 펀칭수단(20)을 수평으로 왕복이송시키기 위한 조합링크(13)와, 상기 회전축(11)의 일단에 축설되어 모터(M)로부터 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벨트풀리(14)와, 상기 벨트풀리(14)측의 타측에 축설되어 제 2구동부(30)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스프라켓(15)과, 상기 스프라켓(15) 일측에 축 설치되어 회전축(11)을 수동으로 구동시키기 위해 손잡이(16-1)가 구비된 핸들(1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머리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펀칭수단(20)은, 베이스(1)상측에 설치된 수평안내레일(21)과, 상기 수평안내레일(21)에 소정구간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평이동체(22)와, 상기 수평이동체(22)의 일측에 수직되게 설치되는 펀칭블록(23)과, 상기 수평이동체(22)의 상측 중앙에 설치되어 수평이동체(22)의 수평이송에 따라 펀칭블록(23)을 상하로 고정시켜 주기 위한 위치결정수단(90)과, 상기 수평이동체(22)의 상면에 직각되게 부착 설치되어 펀칭블록(23)의 상하동작을 제어하는 높이제어구(24)와, 상기 수평이동체(22)의 저면에 설치되어 펀칭블록(23)을 간헐적으로 상하 동작시키기 위한 승하강수단(10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머리 제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펀칭블록(23)은, 직사각형체의 본체(23a) 상부는 개방되며, 개방된 상부 및 내측 하부중앙에 수직으로 체결되어 펀칭블록(23)의 승하강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구(23-1)와, 상기 본체(23a)의 일측면에 상하로 직각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와이어소재(W)를 펀칭시키기 위한 제 1펀칭촉(23-2) 및 제 2펀칭촉(23-3)과, 상기 제 1펀칭촉(23-2) 및 제 2펀칭촉(23-3)이 설치된 본체(23a)의 후면에 소정간격지게 형성된 제 1위치결정공(23-4) 및 제 2위치결정공(23-5)과, 상기 본체(23a)의 하측에 폭방향으로 부착 설치되어 승하강수단(100)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봉(23-6)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머리 제조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위치결정수단(90)은, 베이스(1)상의 소정위치에 고정 설치되며 일측면에 경사안내홈(91a)이 형성된 안내블록(91)과, 상기 안내블록(91)에 안내되도록 일측에 로울러(92a)가 축 설치되고 수평이동체(22) 상면에 고정 설치되는 브라켓트(B1)에 축 설치되어 양측이 회동되는 회동편(92)과, 상기 회동편(92)의 일측에 일단이 연결 설치되어 상하로 동작되는 펀칭블록(23)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축(93)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머리제조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승하강수단(100)은, 수평이동체(22)의 저면에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결합 설치되고, 그 길이방향 중심부위에 단턱(101a)이 돌출 형성된 연결바(101)와, 상기 연결바(101)의 일측단부에 상하로 연결 설치되어 상기 펀칭블록(23)의 연결봉(23-6)을 탄력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탄력편(102)과, 상기 연결바(101)의 단턱(101a)부위를 수평으로 안내하기 위해 상측 일면에 ㄷ자형의 안내홈(103a)이 형성되고 하측방향에 복수의 결합공(103b, 103c)이 형성된 연결체(103)와, 상기 결합공(103b, 103c)에 일측이 회절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는 제 1링크(104) 및 제 2링크(105)와, 상기 제 1링크(104) 및 제 2링크(105)의 일단을 베이스(1)의 측면에 회동가능하게 축 고정하는 지지패널(106)과, 상기 지지패널(106)의 외측으로부터 제 2링크(105)의 동축상에 축 설치되어 연결바(101)를 상하로 회동시키기 위해 일측에 로울러(107a)가 구비된 회절체(107)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머리 제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제 2구동부(30)는, 베이스(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31)과, 상기 회전축(31)에 축 설치되며 일면에 평면곡선홈(32a)이 형성된 평면캠(32)과, 상기 평면캠(32)의 일측에 축 설치되어 제 1구동부(1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스프라켓(33)과, 상기 평면캠(32)의 타측에 축설되어 제 3구동부(40)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스프라켓(34)과, 상기 스프라켓(34) 일측에 축 설치되어 절단수단(70)을 구동시키기 위한 곡면캠(35)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머리 제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제 3구동부(40)는, 베이스(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41)과, 상기 회전축(41)에 축 설치되어 제 2구동부(30)의 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스프라켓(42)과, 상기 스프라켓(42)의 동축상에 근접 설치되어 홀딩제어수단(80)을 연동시켜 주기 위한 또 하나의 스프라켓(43)과, 상기 회전축(41)의 일측에 편심되게 설치되어 와이어소재(W)를 공급하는 와이어 공급수단(60)을 회절시키는 링크(4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머리 제조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와이어 배출수단(50)은 와이어 세팅블록(2)의 지지공(2b)에 슬라이딩가능하게 관통 설치되어 나사머리가 형성된 와이어소재(W)를 밀어내기 위한 작동봉(51)과, 상기 베이스(1)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작동봉(51)의 일단을 타격시키기 위한 방아부재(5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머리 제조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와이어 공급수단(60)은 베이스(1)의 일측에 희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제 3구동부(40)의 링크(44)에 연결 설치되는 희동체(61)와, 상기 희동체(61)의 동축상에 설치되어 연동되는 제 1기어(62)와, 상기 제 1기어(62)의 동축상에 와이어소재(W)를 안내하기 위해 안내홈(63a)이 외주면에 구비된 제 1안내로울러(63)와, 상기 제 1안내로울러(63)에 상측에 설치되며 와이어소재(W)를 안내하기 위해 안내홈(64a)이 외주면에 구비된 제 2안내로울러(64)와, 상기 제 2안내로울러(64)의 동축상에 설치되며 상기 제 1기어(62)와 치합되어 연동되기 위한 제 2기어(65)와, 상기 제 2안내로울러(64) 및 제 2기어(65)가 베이스(1)의 측면에 회전가능하게 축 설치되고, 상측은 베이스(1)상면에 축 고정되는 블록(66)과, 상기 블록(66)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와이어소재(W)의 초기 안내시 제 2안내로울러(64) 및 제 2기어(65)를 상기 제 1안내로울러(63) 및 제 1기어(62)측으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한 캠레버(67)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머리 제조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체(61)는 내부에 래칫 및 래칫기어로 설치되어 제 1기어(62)를 일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머리 제조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와이어 절단수단(70)은 베이스(1)의 측면에 원통형으로 상하측에 소정폭을 갖는 장홈(71a)이 형성된 하우징(71)과, 상기 하우징(71)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축(72), 상기 슬라이딩축(72) 상하측에 관통 설치되어 장홈(71a)을 따라 안내되는 수직축(73)과, 상기 수직축(73)에 직각으로 연결 설치되어 하우징(71)의 플랜지부위에 형성된 안내흠(71a)에 소정깊이로 안내되는 가이드봉(74)과, 상기 수직축(73)의 일단에 축설되어 제 2구동부(30)의 곡면캠(35)을 따라 슬라이딩축(72)을 수평으로 전후진시키기 위한 로울러(75)와, 상기 슬라이딩축(72)의 일측에 설치되어 베이스(1)의 내측으로 소정길이 통과되어 세팅된 와이어소재(W)를 절단하기 위한 커터(76)와, 상기 커터(76)를 고정하는 일측에 중심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은 저면에 구비되는 스프링(S)에 의해 탄력 설치되며, 그 상측은 홀딩제어수단(80)의 작동편(84)에 누름 접촉 설치되며, 그 타측은 커터(76)의 절단각에 일치되어 세팅된 와이어소재(W)를 홀딩하기 위한 홀딩편(77)이 구비된 홀딩바(78)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머리 제조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커터(76)의 절단면 및 홀딩편(77)의 일측에는 와이어소재(W)를 홀딩시키기 위한 반원형의 지지홈(76a)(77a)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머리 제조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와이어 홀딩제어수단(80)은 베이스(1) 전면측에 브라켓트(B2)에 의해 소정길이의 축(81)이 설치되며 상기 축에 설치되어 제 3구동부(4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스프라켓(82)과, 상기 스프라켓의 동축상에 축 설치되는 캠(83)과, 상기 브라켓트(B)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에는 캠(83)의 외주면을 따라 구름동작되기 위한 로울러(84a)가 설치되며 로울러(84a)의 타측에는 소정길이를 갖는 누름봉(84b)이 수직되게 설치된 작동편(84)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머리 제조장치.
KR1019980013016A 1998-04-13 1998-04-13 나사머리 제조장치 KR1002815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3016A KR100281572B1 (ko) 1998-04-13 1998-04-13 나사머리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3016A KR100281572B1 (ko) 1998-04-13 1998-04-13 나사머리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0047A KR19990080047A (ko) 1999-11-05
KR100281572B1 true KR100281572B1 (ko) 2001-02-15

Family

ID=65890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3016A KR100281572B1 (ko) 1998-04-13 1998-04-13 나사머리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157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5388B1 (ko) 2008-06-26 2010-06-22 박준영 너트가공장치
KR102079159B1 (ko) 2019-12-30 2020-02-19 송근철 나사제조장치
KR102079162B1 (ko) 2019-12-30 2020-02-19 송근철 나사제조장치
KR102255937B1 (ko) 2021-02-26 2021-05-25 주식회사 제우테크노 고속 및 고품질 못 제조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6088B1 (ko) * 2012-10-23 2013-04-02 주식회사 제우테크노 고효율 못 제조 시스템
KR102079678B1 (ko) * 2019-12-11 2020-02-20 효동기계공업(주) 인출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62039A (ja) * 1988-04-14 1989-10-18 Kyoei Seisakusho:Kk ボルト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62039A (ja) * 1988-04-14 1989-10-18 Kyoei Seisakusho:Kk ボルトの製造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5388B1 (ko) 2008-06-26 2010-06-22 박준영 너트가공장치
KR102079159B1 (ko) 2019-12-30 2020-02-19 송근철 나사제조장치
KR102079162B1 (ko) 2019-12-30 2020-02-19 송근철 나사제조장치
KR102255937B1 (ko) 2021-02-26 2021-05-25 주식회사 제우테크노 고속 및 고품질 못 제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0047A (ko) 1999-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99566A (en) Apparatus for making gutters and the like
US20140020538A1 (en) Vegetable cutting apparatus
GB2245850A (en) Automatic spring-making machine
KR100281572B1 (ko) 나사머리 제조장치
US4549422A (en) Cup and roll machine
GB1585986A (en) Press feeding apparaus
JPH02200318A (ja) 連続ストリップストックの波状成形機械
US4981060A (en) Cutting apparatus
CN109702081A (zh) 一种用于对钢板裁切、弯折一体化装置
US2705027A (en) Fully automatic machine for making double bodied torsion coiled springs
US6044682A (en) Wire product manufacturing apparatus
KR101246088B1 (ko) 고효율 못 제조 시스템
EP0572210A1 (en) An apparatus for dividing bread dough or the like
KR200268684Y1 (ko) 트윈스프링 제본기
US3738209A (en) Device for punching holes in metal tubes
KR100719404B1 (ko) 핀 제조장치
US5199927A (en) Bent shank nut tapping method and apparatus
JPH06312235A (ja) 線材の折曲および切断装置
US2776678A (en) Wire bending machine for the bending of a wire or the like
JP3549642B2 (ja) 団子製造機
SU1428503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ерфорировани и отрезки ленты или полосы из эластичного материала П-образного профил
KR20040009040A (ko) 방화문용 스틸판의 포밍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작방법
US277577A (en) Machine for making split keys
JP2001204206A (ja) 移植機における苗トレイの縦送り装置
CA1068211A (en) Method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perforated plastic pip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9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