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8834B1 - 진 - Google Paten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8834B1
KR100718834B1 KR1020060001573A KR20060001573A KR100718834B1 KR 100718834 B1 KR100718834 B1 KR 100718834B1 KR 1020060001573 A KR1020060001573 A KR 1020060001573A KR 20060001573 A KR20060001573 A KR 20060001573A KR 100718834 B1 KR100718834 B1 KR 1007188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ing
seam
main
line
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1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1355A (ko
Inventor
고우스케 후쿠도메
쓰네오 요시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빅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빅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빅죤
Publication of KR20060081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13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8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88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CBRAIDING OR MANUFACTURE OF LACE, INCLUDING BOBBIN-NET OR CARBONISED LACE; BRAIDING MACHINES; BRAID; LACE
    • D04C3/00Braiding or lac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CBRAIDING OR MANUFACTURE OF LACE, INCLUDING BOBBIN-NET OR CARBONISED LACE; BRAIDING MACHINES; BRAID; LACE
    • D04C3/00Braiding or lacing machines
    • D04C3/02Braiding or lacing machines with spool carriers guided by track plates or by bobbin heads exclusively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CBRAIDING OR MANUFACTURE OF LACE, INCLUDING BOBBIN-NET OR CARBONISED LACE; BRAIDING MACHINES; BRAID; LACE
    • D04C3/00Braiding or lacing machines
    • D04C3/02Braiding or lacing machines with spool carriers guided by track plates or by bobbin heads exclusively
    • D04C3/14Spool carriers
    • D04C3/16Spool carriers for horizontal spool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CBRAIDING OR MANUFACTURE OF LACE, INCLUDING BOBBIN-NET OR CARBONISED LACE; BRAIDING MACHINES; BRAID; LACE
    • D04C3/00Braiding or lacing machines
    • D04C3/02Braiding or lacing machines with spool carriers guided by track plates or by bobbin heads exclusively
    • D04C3/14Spool carriers
    • D04C3/18Spool carriers for vertical spool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DTRIMMINGS; RIBBONS, TAPES OR BAN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D9/00Ribbons, tapes, welts, bands, beadings, or other decorative or ornamental strip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축성을 갖는 옷감이 상하 방향으로도 신축할 수 있도록 하고, 힙을 좌우의 산으로 나누어 각각의 외형을 갖추는 힙업 기능을 구비한 진(jeans)을 제공한다.
웨이스트를 따라 주회(周回)하는 벨트부(13)와 좌우의 앞길(12) 및 뒷길(11)로 이루어진 진에 있어서, 신축성을 갖는 주요 안감(21) 및 보강 안감(22)으로 이루어진 이중 구조의 스트레치 안감(2)을 각 뒷길(11)의 내측에 배치하여 이루어지고, 주요 안감(21)은 대퇴부에서 힙 톱 라인까지의 범위에서 힙에 아래쪽에서부터 딱 맞게 대어지는 크기 또는 형상이며, 보강 안감(22)은 대퇴부의 윗부분에서 힙 언더 라인까지의 범위에서 힙에 아래쪽에서부터 딱 맞게 대어지는 크기 또는 형상인 진(1)이다.
진, 신축성, 옷감, 힙업 기능, 주요 안감, 보강 안감, 스트레치 안감

Description

진{Jeans}
도 1은 진(jeans)의 오른쪽 뒷길에 스트레치 안감을 봉착(逢着)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진의 오른쪽 뒷길에 대한 스트레치 안감의 형상 및 크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스트레치 안감을 봉착한 진의 착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부호의 설명]
1 진
11 뒷길
12 앞길
13 벨트부
141 주회 봉착선
142 중앙 봉착선
143 바깥쪽 옆 봉착선
144 안쪽 옆 봉착선
2 스트레치 안감
21 주요 안감
211 위 테두리
212 아래 테두리
213 안쪽 테두리
214 바깥쪽 테두리
22 보강 안감
221 위 테두리
222 아래 테두리
223 안쪽 테두리
224 바깥쪽 테두리
본 발명은 힙업 기능을 구비한 진(데님 옷감으로 된 하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진 착용시에 있어서의 힙의 외관이나, 다리를 예쁘게 보이게 하는 관점에서, 힙업 기능이 요구되어 오고 있다. 여기에서, 힙업 기능이란, 힙을 전체적으로 들어 올리는 협의의 힙업 기능 외에, 들어 올린 힙의 외형이나 대퇴부의 윗부분을 두드러지게 하는 힙 정형 기능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힙업 기능은 신축성을 갖는 옷감으로부터 스트레치 안감을 구성하고, 착용에 의해서 신장되는 스트레 치 옷감이 줄어들려고 하는 작용을 이용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헌[참조: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3-268606호, 2~4페이지, 도 2]은 신축성을 갖는 옷감(신축성 직편포 천)을 V자상의 좌우 허리띠체(帶體)로 형성하고, 이러한 좌우 허리띠체의 중앙 교차선의 곡저(谷底)를 안쪽 허벅지 상방 개소에서 힙 톱 라인(힙에서 가장 고조되는 라인= 힙의 능선)과 동등하거나 이보다 아래쪽에 배치하여, 당해 허리띠체의 좌우측 말단 테두리를 좌우 길 천의 옆선 및/또는 웨이스트라인에 봉착시키고 있다. 문헌[참조: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3-268606호, 2~4페이지, 도 2]에서는 신축성을 갖는 옷감의 위 테두리가 힙 톱 라인보다 아래쪽이 됨으로써 힙을 들어 올리는 협의의 힙업 기능을 실현하고 있다.
문헌[참조: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3-268606호, 2~4페이지, 도 2]이 제시하는 V자상의 좌우 허리띠체는 확실히 힙을 들어 올리는 협의의 힙업 기능을 갖는 것으로 생각되지만, 힙에 접면하는 허리띠체의 폭이 좁기 때문에, 힙 정형 기능은 불충분하다고 생각된다. 이 점에서, 문헌[참조: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3-268606호, 2~4페이지, 도 2]이 예시하는 슬랙스에서는 힙 정형 기능이 특별히 중요하지 않기 때문에 문제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진의 경우에는, 힙의 외형 뿐만 아니라, 대퇴부의 윗부분이 뚜렷해짐으로써 심미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힙 정형 기능은 중요하다. 이로부터, 문헌[참조: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3-268606호, 2~4페이지, 도 2]이 제시하는 V자상의 좌우 허리띠체를 그대로 진에 적용할 수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래서, 진을 비롯한 캐주얼한 하의를 대상으로 하여, 협의의 힙업 기능과 힙 정형 기능을 겸비한 스트레치 안감을 개발하기 위해서 검토하였다.
검토 결과 개발한 것이, 웨이스트를 따라 주회하는 벨트부와 좌우의 앞길 및 뒷길로 이루어지며, 뒷길은 서로 고간부에서 벨트부로 향하여 연장되는 중앙 봉착선으로 봉착하고, 앞길 및 뒷길은 고간부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안쪽 옆 봉착선과 벨트부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바깥쪽 옆 봉착선으로 각각 봉착하고, 앞길 및 뒷길은 각각 벨트부에 주회 봉착선으로 봉착한 진으로서, 신축성을 갖는 주요 안감 및 보강 안감으로 이루어진 이중 구조의 스트레치 안감을 각 뒷길의 내측에 배치하여 이루어지고, 주요 안감은 대퇴부에서 힙 톱 라인까지의 범위에서 힙에 아래쪽에서부터 딱 맞게 대어지는 크기 또는 형상이며, 보강 안감은 대퇴부의 윗부분에서 힙 언더 라인까지의 범위에서 힙에 아래쪽에서부터 딱 맞게 대어지는 크기 또는 형상인 진이다.
본 발명의 진은 힙 톱 라인으로부터 위를 제외한 힙의 대부분을 덮는 크기 또는 형상의 스트레치 안감을 사용하고 있으며, 신축성을 보충하는 의미에서 이중 구조의 스트레치 안감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이중 구조의 스트레치 안감은 대퇴부에서 힙 톱 라인까지의 범위에서 힙에 아래쪽에서부터 딱 맞게 대어지는 크기 또는 형상의 주요 안감에 의해 주로 힙 정형 기능을 실현하고, 대퇴부의 윗부분에서 힙 언더 라인까지의 범위에서 힙에 아래쪽에서부터 딱 맞게 대어지는 크기 또는 형상의 보강 안감에 의해 주로 협의의 힙업 기능을 실현한다. 그리고, 각 뒷길마다 개별 스트레치 안감을 배치하여 힙의 좌우 산마다 협의의 힙업 기능과 힙 정형 기능이 작용하기 때문에, 들어 올린 힙의 심미성이 우수한 입체감을 실현할 수 있다.
구체적인 스트레치 안감은 주회 봉착선과 교차하는 중앙 봉착선 상측 말단으로부터 주회 봉착선과 교차하는 바깥쪽 옆 봉착선 상측 말단으로 힙 톱 라인을 본뜬 깊은 U자상의 주요 안감 위 테두리, 안쪽 옆 봉착선으로부터 바깥쪽 옆 봉착선으로 연장되는 대략 직선상의 주요 안감 아래 테두리, 중앙 봉착선으로부터 안쪽 옆 봉착선을 따른 주요 안감 안쪽 테두리, 그리고 바깥쪽 옆 봉착선을 따른 주요 안감 바깥쪽 테두리로 둘러싸인 주요 안감과, 중앙 봉착선으로부터 바깥쪽 옆 봉착선으로 힙 톱 라인을 본뜬 대략 직선상의 보강 안감 위 테두리, 안쪽 옆 봉착선으로부터 바깥쪽 옆 봉착선에 걸친 대략 직선상의 보강 안감 아래 테두리, 중앙 봉착선으로부터 안쪽 옆 봉착선을 따른 보강 안감 안쪽 테두리, 그리고 바깥쪽 옆 봉착선을 따른 보강 안감 바깥쪽 테두리로 둘러싸인 보강 안감으로 이루어지며, 주요 안감 및 보강 안감은 주요 안감 위 테두리, 주요 안감 아래 테두리, 보강 안감 위 테두리 및 보강 안감 아래 테두리를 각각 자유 상태로 하여, 주요 안감 안쪽 테두리 및 보강 안감 안쪽 테두리를 맞추어 중앙 봉착선으로부터 안쪽 옆 봉착선까지 뒷길에 봉착하고, 주요 안감 바깥쪽 테두리 및 보강 안감 바깥쪽 테두리를 맞추어 바깥쪽 옆 봉착선까지 봉착하여 구성한다.
여기에서, 「주요 안감」및「보강 안감」은 각각의 작용에 따라 편의상 구별한 명칭이고, 착용자측에서 볼 때 어느 쪽이 내면 또는 외면이 되어도 상관없지만, 주요 안감과 비교하여 작은 보강 안감을 숨기기 위해서, 착용자측에서 볼 때 주요 안감을 내면, 보강 안감을 외면으로 하면 양호하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주요 안감 및 보강 안감의 주된 기능의 차이로부터, 스트레치 안감은 상대적으로 신축성이 낮은 주요 안감과 상대적으로 신축성이 높은 보강 안감으로 이루어진 이중 구조로 하면 양호하다. 이 경우, 신축성이 높고 주요 안감에 비해 작은 보강 안감이 착용자측에서 볼 때 내면이 되면, 보강 안감의 위 테두리 또는 아래 테두리가 힙에 심을 만들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역시 착용자측에서 볼 때 주요 안감을 내면, 보강 안감을 외면으로 하면 양호하다.
구체적인 주요 안감은 상하 방향으로 발휘되는 신축성을 좌우 방향으로 발휘되는 신축성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하면 양호하다. 보다 바람직한 주요 안감은 상하 방향과 중앙 봉착선으로 향하여 기울어진 방향으로 발휘되는 신축성을 좌우 방향으로 발휘되는 신축성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하면 양호하다. 또한, 주요 안감의 신축성이 보다 양호하게 발휘되기 때문에, 주요 안감은 주요 안감 안쪽 테두리 및 주요 안감 바깥쪽 테두리의 폭을 각 뒷길의 중앙 봉착선 및 옆 봉착선의 폭보다 짧게 하고, 주요 안감 안쪽 테두리는 중앙 봉착선으로부터 안쪽 옆 봉착선으로, 주요 안감 바깥쪽 테두리는 바깥쪽 옆 봉착선으로 각각 뒷길에 봉착함으로써 폭 방향으로 신장시키고, 긴장 상태로 하여 뒷길의 내측에 배치하면 양호하다.
동일하게, 구체적인 보강 안감은 상하 방향으로 발휘되는 신축성을 좌우 방향으로 발휘되는 신축성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하면 양호하며, 바람직한 보강 안감 은 상하 방향과 중앙 봉착선으로 향하여 기울어진 방향으로 발휘되는 신축성을 좌우 방향으로 발휘되는 신축성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하면 양호하다. 또한, 보강 안감의 신축성이 보다 양호하게 발휘되기 때문에, 보강 안감은 보강 안감 안쪽 테두리 및 보강 안감 바깥쪽 테두리의 폭을 각 뒷길의 중앙 봉착선 및 옆 봉착선의 폭보다 짧게 하여 이루어지며, 보강 안감 안쪽 테두리는 중앙 봉착선으로부터 안쪽 옆 봉착선으로, 보강 안감 바깥쪽 테두리는 바깥쪽 옆 봉착선으로 각각 뒷길에 봉착함으로써 폭 방향으로 신장시키고, 긴장 상태로 하여 뒷길의 내측에 배치하면 양호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진(1)의 오른쪽 뒷길(11)에 스트레치 안감(2)을 봉착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진(1)의 오른쪽 뒷길(11)에 대한 스트레치 안감(2)의 형상 및 크기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은 스트레치 안감(2)을 봉착한 진(1)의 착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서는 뒷길(11)의 힙 상당 부근에 만드는 포켓(111)(도 3 참조)을 외형 봉착선만으로 나타내고 있다.
본 예의 진(1)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의 각 뒷길(11)의 힙 아래쪽에서부터 딱 맞게 대어지는 스트레치 안감(2)을 각각 배치하고 있다. 본 예의 스트레치 안감(2)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요 안감(21) 및 보강 안감(22)을 포갠 이중 구조로, 주요 안감(21) 및 보강 안감(22)을 모두 주로 상하 방향과 중앙 봉착선(142)으로 향하여 기울어진 방향으로 신축성(도 1 및 도 2 중 사선 실선 참조)을 갖는 옷감으로부터 재단하고 있다.
주요 안감(21)은 벨트부(13)의 주회 봉착선(141)과 교차하는 중앙 봉착선(142) 상측 말단에서 주회 봉착선(141)과 교차하는 바깥쪽 옆 봉착선(143) 상측 말단으로 힙 톱 라인을 본뜬 깊은 U자상의 주요 안감 위 테두리(211), 안쪽 옆 봉착선(144)으로부터 바깥쪽 옆 봉착선(143)으로 연장되는 대략 직선상의 주요 안감 아래 테두리(212), 중앙 봉착선(142)으로부터 안쪽 옆 봉착선(144)을 따른 주요 안감 안쪽 테두리(213), 그리고 바깥쪽 옆 봉착선(143)을 따른 주요 안감 바깥쪽 테두리(214)로 둘러싸인 외형상이다. 또한, 본 예의 주요 안감(21)은 주요 안감 아래 테두리(212)가 대퇴부에 걸친 부근에 위치하고 있으며, 대퇴부를 단단하게 죄어서 쉐이프 업하는 작용도 발휘한다(도 3 참조).
보강 안감(22)은 중앙 봉착선(142)으로부터 바깥쪽 옆 봉착선(143)으로 힙 톱 라인을 본뜬 대략 직선상의 보강 안감 위 테두리(221), 안쪽 옆 봉착선(144)으로부터 바깥쪽 옆 봉착선(143)에 걸친 대략 직선상의 보강 안감 아래 테두리(222), 중앙 봉착선(142)으로부터 안쪽 옆 봉착선(144)을 따른 보강 안감 안쪽 테두리(223), 그리고 바깥쪽 옆 봉착선(143)을 따른 보강 안감 바깥쪽 테두리(224)로 둘러싸인 외형상이다. 또한, 본 예의 보강 안감(22)은 착용자에 따라 다르지만, 보강 안감 아래 테두리(222)가 대퇴부의 윗부분과 대략 일치하거나 근접하는 위치에 있으며, 특히 대퇴부의 윗부분을 뚜렷하게 하는 작용도 발휘한다(도 3 참조).
본 예의 스트레치 안감(2)을 구성하는 주요 안감(21) 및 보강 안감(22)은 각각 1장의 옷감으로서 도시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힙을 본떠 만곡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입체 재단 또는 복수의 옷감을 봉합하여 1장의 주요 안감(21) 또 는 보강 안감(22)을 구성하면 양호하다.
주요 안감(21) 및 보강 안감(22)을 구성하는 옷감은 신축성을 갖는 종사 또는 횡사로 편성한 옷감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보강 안감(22)의 신축성을 상대적으로 주요 안감(21)과 비교하여 강하게 하기 위해서는, 보강 안감(22)을 구성하는 옷감의 종사의 신축성을 높여 두면 양호하다. 이에 의해, 특히 보강 안감(22)을 주요 안감(21)에 포갠 부분은 신축성을 보다 양호하게 발휘할 수 있다. 주요 안감(21)에 대하여 보강 안감(22)을 포개는 부분은 스트레치 안감(2)으로서 내구성이 요구되는 부분이고, 보강 안감(22)은 주요 안감(21)을 보강하는 취지를 갖지만, 본 발명에서는 더욱 힙을 들어 올리는 협의의 힙업 기능을 실현하는 작용을 갖는다.
주요 안감(21) 및 보강 안감(22)은 신축성을 갖는 종사 또는 횡사로 편성된 옷감을 사용하여 구성함으로써 옷감을 편성하는 종사 및 횡사 각각의 신축성을 다르게 하거나, 별도의 신축성을 갖는 옷감 또는 실을 내장 또는 봉착시켜 신축성을 방향지을 수 있다. 이 경우, 보강 안감(22)이 주요 안감(21)을 보강하는 취지에서는 주요 안감(21) 및 보강 안감(22)의 신축성의 방향을 일치시켜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양자는 별도의 개체이고, 뒷길에 봉착하여 일체가 되기 때문에 각각의 신축성의 방향을 다르게 할 수 있다.
본 예의 주요 안감(21)은 뒷길(11)의 외형에 대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래쪽으로 감에 따라서 주요 안감 안쪽 테두리(213)와 주요 안감 바깥쪽 테두리(214)를 연결하는 거리를 중앙 봉착선(142) 또는 안쪽 옆 봉착선(144)과 바깥쪽 옆 봉착선(143)을 연결하는 거리보다 서서히 짧게 하고 있다. 이에 의해, 본 예의 주요 안감(21)은 중앙 봉착선(142) 및 안쪽 옆 봉착선(144)에 의해 주요 안감 안쪽 테두리(213)를 바깥쪽 옆 봉착선(143)에 의해 주요 안감 바깥쪽 테두리(214)를 뒷길(11)에 봉착함으로써 주요 안감 안쪽 테두리(213) 또는 주요 안감 바깥쪽 테두리(214)와 힙 톱 라인을 본뜬 주요 안감 위 테두리(211)를 연결하는 2방향으로 긴장(도 1 중 흰색 화살표 참조)을 줄 수 있다.
동일하게, 보강 안감(22)은 아래쪽으로 감에 따라서 보강 안감 안쪽 테두리(223)와 보강 안감 바깥쪽 테두리(224)를 연결하는 거리를 중앙 봉착선(142) 또는 안쪽 옆 봉착선(144)과 바깥쪽 옆 봉착선(143)을 연결하는 거리보다 서서히 짧게 하고 있다. 이에 의해, 본 예의 보강 안감(22)은 중앙 봉착선(142) 및 안쪽 옆 봉착선(144)에 의해 보강 안감 안쪽 테두리(223)를 바깥쪽 옆 봉착선(143)에 의해 보강 안감 바깥쪽 테두리(224)를 뒷길(11)에 봉착함으로써 보강 안감 안쪽 테두리(223) 또는 보강 안감 바깥쪽 테두리(224)와 힙 톱 라인을 본뜬 보강 안감 위 테두리(221)를 연결하는 2방향으로 긴장(도 1 중 흰색 화살표 참조)을 줄 수 있다. 이러한 주요 안감(21) 및 보강 안감(22)에 미리 주어지는 긴장은 스트레치 안감(2)을 힙에 밀착시키는 작용을 갖고 있다.
스트레치 안감(2)은 포켓(111)과 관계없이 뒷길(11)에 봉착한다. 이에 의해, 스트레치 안감(2)은 특히 포켓(111) 부근에서 부피가 커지지 않고, 주요 안감 위 테두리(211) 및 보강 안감 위 테두리(221)가 각각 자유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힙 톱 라인을 단단히 죄일 우려가 없다. 즉, 본 예의 진(1)을 착용하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뒷길(11)과 함께 스트레치 안감(2)은 힙을 본떠 변형되고, 힙에 눌려져 넓어짐으로써 신장되어 복원력을 발생시키고, 이러한 복원력에 의해 힙업 기능을 발휘시킨다.
본 발명의 스트레치 안감(2)은 주요 안감(21) 및 보강 안감(22)을 포갬으로써 힙의 가압에 견디는 강한 신축성을 발휘한다. 또한, 주요 안감(21)은 주회 봉착선(141)에 이르는 주요 안감 안쪽 테두리(213)의 상측 말단을 내측 말단으로 하고, 동일하게 주회 봉착선(141)에 이르는 주요 안감 바깥쪽 테두리(214)를 외측 말단으로 하여 늘어뜨려지는 U자상의 주요 안감 위 테두리(211)에 의해, 양 말단을 치켜 올리도록 하여 상하 방향으로 신장되기 때문에, 상기 신축성을 남김없이 힙을 들어 올리는 데 이용할 수 있고, 양호한 협의의 힙업 기능을 발휘시킬 수 있다.
또한, 주요 안감 위 테두리(211)의 양 말단을 치켜 올림으로써 스트레치 안감(2)의 주요 안감(21)에 미리 제공해 둔 주요 안감 안쪽 테두리(213) 또는 주요 안감 바깥쪽 테두리(214)와 주요 안감 위 테두리(211)를 연결하는 2방향의 복원력은 힙을 좌우의 산으로 나누고, 각각의 산을 중앙, 본 예에서 말하자면 포켓(111) 부근을 중심으로 하여 힙을 모으는 힙 정형 기능을 발휘시킬 수 있다. 이것은 협의의 힙업 기능에 관해서는 보강 안감(22)이 필요한 신축성을 보충하기 때문에, 힙을 넓게 덮는 주요 안감(21) 자체의 신축성이 힙 정형 기능에 작용하는 효과에 의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협의의 힙업 기능 이외에, 힙 정형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는 진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것은 힙 톱 라인으로부터 위를 제외한 힙의 대부분을 덮는 크기 또는 형상으로, 이중 구조의 스트레치 안감을 사용한 것에 의한 효과이다. 협의의 힙업 기능은 상기 스트레치 안감에 있어서, 주로 대퇴부의 윗부분에서 힙 언더 라인까지의 범위에서 힙에 아래쪽에서 딱 맞게 대어지는 크기 또는 형상의 보강 안감에 의한 효과이다. 또한, 각 뒷길마다 개별 스트레치 안감을 배치하여 힙의 좌우의 산마다 상기 협의의 힙업 기능이 작용하기 때문에, 들어 올린 힙의 심미성이 우수한 입체감을 실현하는 힙 정형 기능의 효과를 수득할 수 있다.

Claims (9)

  1. 웨이스트를 따라 주회(周回)하는 벨트부와 좌우의 앞길 및 뒷길로 이루어지며, 뒷길은 서로 고간부에서 벨트부로 향하여 연장되는 중앙 봉착선으로 봉착하고, 앞길 및 뒷길은 고간부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안쪽 옆 봉착선과 벨트부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바깥쪽 옆 봉착선으로 각각 봉착하고, 앞길 및 뒷길은 각각 벨트부에 주회 봉착선으로 봉착한 진으로서, 신축성을 갖는 주요 안감 및 보강 안감으로 이루어진 이중 구조의 스트레치 안감을 각 뒷길의 내측에 배치하여 이루어지며, 주요 안감은 대퇴부에서 힙 톱 라인까지의 범위에서 힙에 아래쪽으로부터 딱 맞게 대어지는 크기 또는 형상이며, 보강 안감은 대퇴부의 윗부분에서 힙 언더 라인까지의 범위에서 힙에 아래쪽으로부터 딱 맞게 대어지는 크기 또는 형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진.
  2. 제1항에 있어서, 스트레치 안감은 주회 봉착선과 교차하는 중앙 봉착선 상측 말단으로부터 주회 봉착선과 교차하는 바깥쪽 옆 봉착선 상측 말단으로 힙 톱 라인을 본뜬 깊은 U자형의 주요 안감 위 테두리, 안쪽 옆 봉착선으로부터 바깥쪽 옆 봉착선으로 연장되는 직선상의 주요 안감 아래 테두리, 중앙 봉착선으로부터 안쪽 옆 봉착선을 따른 주요 안감 안쪽 테두리, 그리고 바깥쪽 옆 봉착선을 따른 주요 안감 바깥쪽 테두리로 둘러싸인 주요 안감과, 중앙 봉착선으로부터 바깥쪽 옆 봉착선으로 힙 언더 라인을 본뜬 직선상의 보강 안감 위 테두리, 안쪽 옆 봉착선으로부터 바깥쪽 옆 봉착선에 걸친 직선상의 보강 안감 아래 테두리, 중앙 봉착선으로부터 안쪽 옆 봉착선을 따른 보강 안감 안쪽 테두리, 그리고 바깥쪽 옆 봉착선을 따른 보강 안감 바깥쪽 테두리로 둘러싸인 보강 안감으로 이루어지며, 주요 안감 및 보강 안감은 주요 안감 위 테두리, 주요 안감 아래 테두리, 보강 안감 위 테두리 및 보강 안감 아래 테두리를 각각 자유 상태로 하여 주요 안감 안쪽 테두리 및 보강 안감 안쪽 테두리를 맞추어 중앙 봉착선으로부터 안쪽 옆 봉착선까지 뒷길에 봉착하고, 주요 안감 바깥쪽 테두리 및 보강 안감 바깥쪽 테두리를 맞추어 바깥쪽 옆 봉착선까지 봉착하는 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스트레치 안감은 상대적으로 신축성이 낮은 주요 안감과 상대적으로 신축성이 높은 보강 안감으로 이루어진 이중 구조인 진.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주요 안감은 상하 방향으로 발휘되는 신축성이 좌우 방향으로 발휘되는 신축성보다 상대적으로 큰 진.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주요 안감은 상하 방향과 중앙 봉착선으로 향하여 기울어진 방향으로 발휘되는 신축성이 좌우 방향으로 발휘되는 신축성보다 상대적으로 큰 진.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주요 안감은 주요 안감 안쪽 테두리 및 주요 안 감 바깥쪽 테두리의 폭을 각 뒷길의 중앙 봉착선 및 옆 봉착선의 폭보다 짧게 하여 이루어지며, 주요 안감 안쪽 테두리는 중앙 봉착선으로부터 안쪽 옆 봉착선으로, 주요 안감 바깥쪽 테두리는 바깥쪽 옆 봉착선으로 각각 뒷길에 봉착함으로써 폭방향으로 신장시키고, 긴장 상태로 하여 뒷길의 내측에 배치한 진.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보강 안감은 상하 방향으로 발휘되는 신축성이 좌우 방향으로 발휘되는 신축성보다 상대적으로 큰 진.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보강 안감은 상하 방향과 중앙 봉착선으로 향하여 기울어진 방향으로 발휘되는 신축성이 좌우 방향으로 발휘되는 신축성보다 상대적으로 큰 진.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보강 안감은 보강 안감 안쪽 테두리 및 보강 안감 바깥쪽 테두리의 폭을 각 뒷길의 중앙 봉착선 및 옆 봉착선의 폭보다 짧게 하여 이루어지며, 보강 안감 안쪽 테두리는 중앙 봉착선으로부터 안쪽 옆 봉착선으로, 보강 안감 바깥쪽 테두리는 바깥쪽 옆 봉착선으로 각각 뒷길에 봉착함으로써 폭방향으로 신장시키고, 긴장 상태로 하여 뒷길의 내측에 배치한 진.
KR1020060001573A 2005-01-07 2006-01-06 KR1007188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002379A JP4551772B2 (ja) 2005-01-07 2005-01-07 ジーンズ
JPJP-P-2005-002379 2005-01-07
JPJP-P-2005-00002379 2005-01-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1355A KR20060081355A (ko) 2006-07-12
KR100718834B1 true KR100718834B1 (ko) 2007-05-17

Family

ID=36796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1573A KR100718834B1 (ko) 2005-01-07 2006-01-06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551772B2 (ko)
KR (1) KR1007188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1345B1 (ko) 2007-08-22 2008-08-08 주식회사 우양크리에이션 체형보정기능을 갖는 바지
KR100872161B1 (ko) * 2008-07-25 2008-12-08 주식회사 우양크리에이션 바지
WO2011136066A1 (ja) * 2010-04-26 2011-11-03 株式会社オンワードホールディングス ストレッチ織物および伸縮性を有するズボン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9808A (ja) * 1995-08-11 1997-03-04 River Stone Kk 矯正用ガードル付きパンツ又はスカート
KR200371203Y1 (ko) 2004-06-07 2004-12-29 신현덕 거들 기능의 바지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616U (ko) * 1989-06-15 1991-01-28
JPH0380399U (ko) * 1989-12-08 1991-08-16
JP3008616U (ja) * 1994-09-05 1995-03-20 リバー・ストーン株式会社 ヒップアップ用矯正スラックス
JPH0959805A (ja) * 1995-08-16 1997-03-04 Katsuto Kawamura ヒップライン補整法
JP3080399U (ja) * 2001-03-19 2001-09-21 日本デリバリーサービス 株式会社 ヒップアップ用スラックス
JP2003268606A (ja) * 2002-03-08 2003-09-25 Japan Delivery Service Co Ltd ヒップアップ機能を備えたスラックス
JP3605808B1 (ja) * 2004-05-21 2004-12-22 日本デリバリーサービス 株式会社 ヒップアップ用スラックス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9808A (ja) * 1995-08-11 1997-03-04 River Stone Kk 矯正用ガードル付きパンツ又はスカート
KR200371203Y1 (ko) 2004-06-07 2004-12-29 신현덕 거들 기능의 바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188798A (ja) 2006-07-20
KR20060081355A (ko) 2006-07-12
JP4551772B2 (ja) 2010-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080865A1 (ja) 男性用下半身衣類
KR100718834B1 (ko)
CN208692333U (zh) 胸罩
KR100832080B1 (ko) 하의와 허리고정밴드의 봉재 방법
KR101155420B1 (ko) 하지용 의류
CN104320983A (zh) 下身衣物
US20140130227A1 (en) Bicycle Cuff
WO2017078005A1 (ja) ボトム衣類
US20210267295A1 (en) Garment provided with elastic waist bel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5273532B2 (ja) 成形衣料
JP3185091U (ja) 肩紐部を有するボディス−ツ
KR101448427B1 (ko) 항문주위에 팬티 끼임 방지기능을 갖는 남성팬티
JP3605808B1 (ja) ヒップアップ用スラックス
JP4386769B2 (ja) ジーンズ
JP3777464B2 (ja) ヒップアップ用スラックス
JP3787281B2 (ja) ファウンデーション
KR101487849B1 (ko) 아랫배 누름 기능성팬티
JP3118742U (ja) 補正用下着
JP3159291U (ja) 伸縮性を有するズボン
CN107205499B (zh) 户外活动服
JP5085795B1 (ja) 衣類
JP2013023797A (ja) カップ部を有する衣類
JP6744563B1 (ja) 下衣
JP3118378U (ja) かかとソックス
JP3175018U (ja) 二部式着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