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8797B1 - 가스 곤로 - Google Patents

가스 곤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8797B1
KR100718797B1 KR1020030097373A KR20030097373A KR100718797B1 KR 100718797 B1 KR100718797 B1 KR 100718797B1 KR 1020030097373 A KR1020030097373 A KR 1020030097373A KR 20030097373 A KR20030097373 A KR 20030097373A KR 100718797 B1 KR100718797 B1 KR 1007187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upper plate
switches
switch
op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7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3738A (ko
Inventor
미즈타니요시히로
가마아츠히토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40103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37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87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87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4Control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08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gulation And Control Of Combustion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과제) 가열 조리시의 조작성이 향상되고, 상판의 상면의 청소에 있어서는 그 작업을 원활하고도 확실하게 실행할 수 있는 가스 곤로를 제공하는 것.
(해결수단) 내열 유리로 이루어지는 상판(22)의 상면위치에서 점화나 화력조절 등의 각종 조작을 할 수 있도록, 상판(22)의 하면에 광센서 등으로 이루어지는 비접점형 스위치(38A∼38G)를 형성한다. 그 스위치(38A∼38G)에 의해서 조작자의 조작이 검출되었을 때, 그 조작에 따른 특정 동작이 행해지도록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형성한다.

Description

가스 곤로{GAS COOKING STOVE}
도 1은 제 1 실시형태의 가스 곤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도 1의 가스 곤로를 확대해서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도 2의 가스 곤로의 부분 확대 단면도
도 4는 도 1의 가스 곤로의 횡단면도
도 5는 도 1의 가스 곤로의 조작부를 확대해서 나타내는 부분 평면도
도 6은 도 5의 조작부의 하부의 스위치부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7은 도 5의 7-7선에 의한 부분 단면도
도 8은 도 1의 가스 곤로의 회로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9는 상기 가스 곤로의 점화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챠트
도 10은 제 2 실시형태의 가스 곤로의 조작부를 나타내는 부분 평면도
도 11은 상기 가스 곤로의 점화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챠트
도 12는 제 3 실시형태의 가스 곤로의 조작부를 나타내는 부분 평면도
도 13은 제 4 실시형태의 가스 곤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14는 제 5 실시형태의 가스 곤로의 조작부를 나타내는 부분 평면도
도 15는 상기 가스 곤로의 조작 로크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챠트
도 16은 제 6 실시형태의 가스 곤로의 조작부를 나타내는 부분 평면도
도 17은 변형예의 가스 곤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18은 종래의 가스 곤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9는 도 18의 가스 곤로를 확대해서 나타내는 측면도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곤로 본체로서의 본체 케이스
22 - 상판
24A,24B - 가스 버너
28 - 전자가스 제어밸브로서의 메인 개폐 밸브
29A,29B - 전자가스 제어밸브로서의 화력 조절 밸브
30 - 제어 박스
31 - 오동작방지수단, 동작규제수단 및 긴급소화수단을 구성하는 제어부로서의 제어장치
32 - 메모리
34 - 스위치용 기판
38A∼38G - 검출수단으로서의 비접점형 스위치
38a - 발광소자
38b - 수광소자
39A∼39C - 표시 램프
40A∼40G - 조작부
43A,43B,48A,48B - 검출수단으로서의 비접점형 스위치
44A,44B,47,49A,49B - 조작부
45 - 조작자 검출 센서
46 - 로크수단으로서의 조작 로크 스위치
본 발명은, 가스 버너를 구비한 가스 곤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판, 이른바 톱 플레이트를 유리판에 의해서 구성한 가스 곤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가스 곤로로서는 곤로 본체의 전면(前面)에 조작부를 설치하여 곤로 본체에 수용된 가스 버너를 조작하는 가스 곤로가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이 가스 곤로에서는 조작부가 곤로 본체의 전면에 있기 때문에 버너로부터의 열영향을 받는 일이 없지만, 카운터 톱의 밑에 위치하기 때문에 조작성이 나쁘다. 또한 이와 같은 카운터 톱의 개구에 곤로 본체를 매설하는 이른바 드롭인식의 가스 곤로에서는 카운터 톱의 전면에도 조작부를 면하게 하기 위한 개구를 형성할 필요가 있을 뿐만 아니라 카운터 톱에 곤로를 설치하기도 수고스럽다.
그래서, 예를 들면 도 18 및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상판에 조작부를 배치한 구성의 것이 있다(특허문헌 2 참조). 이 구성에 있어서는, 본체 케이스(51) 가 상면이 개구된 상자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상단(上端)의 외측 가장자리의 플랜지부(51a)에 의해서 키친 카운터 톱(52)에 형성된 부착구멍(52a)에 끼워져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본체 케이스(51)의 상면 개구부에는 상판(53)이 부착되고, 그 뒷부분의 상면에는 1쌍의 버너용 개구(53a)가 형성됨과 아울러 앞부분에는 조작부용의 1쌍의 조작축용 투시구멍(53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버너용 개구(53a)에 대응하여 본체 케이스(51)내에는 1쌍의 가스 버너(5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양 버너용 개구(53a)의 주변에는 삼발이(55)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본체 케이스(51)내의 앞부분 중앙에는, 각 가스 버너(54)의 점화 및 화력조절을 하기 위한 1쌍의 점화·화력 조절장치(56)(가스 콕)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그들 조작축(56a)이 상판(53)의 조작축용 투시구멍(53b)을 통해서 상판(53)의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판(53)의 상면에 있어서, 각 조작축(56a)에는 조작 손잡이(57)가 부착되어 조작부를 이루고 있다. 이들 조작 손잡이(57)를 회동조작함으로써 점화·화력 조절장치(56)가 작동되어 각 가스 버너(54)의 점화동작이나 화력조절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10-89704호
[특허문헌 2]
일본국 실용신안공개공보 소58-186302호
상기 가스 곤로에 있어서는 조작부가 상판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성은 좋아졌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조작 손잡이(57)가 상판(53)의 상면에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가스 버너(54)를 사용해서 가열 조리를 하는 경우에, 특히 큰 남비를 사용하는 경우에 이들 조작 손잡이(57)가 열영향을 받아서 조작 손잡이가 뜨거워져 조작하기 어려워지거나 조작 손잡이가 변형되거나 할 우려가 있다. 또 이와 같이 가열 조리를 하는 경우, 이들 조작 손잡이(57)가 조리 작업의 방해가 되며, 특히 중화요리 남비와 같이 크고 무거운 남비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바닥부가 조작 손잡이(57)에 닿아서 불쾌한 충격을 느끼거나 혹은 조작 손잡이(57)나 점화·화력 조절장치(56)에 문제를 일으키거나 할 우려가 있었다. 게다가, 상판(53)의 상면을 청소하는 경우에, 이들 조작 손잡이(57)가 작업의 방해가 되는 문제도 있었다. 또, 상판(53)에 조작축용 투시구멍(53b)이 형성되기 때문에, 이 투시구멍(53b)으로부터 끓어 넘친 국물 등이 본체 케이스(51)내로 들어가 점화·화력 조절장치(56) 등의 내장 부품의 고장의 원인이 되거나 하기도 하였다.
한편, 상기 가열 조리시에 있어서의 조작 손잡이(57)로의 열영향을 억제하기 위해서, 도 18 및 도 19에 2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손잡이(57)와 가스 버너(54)의 사이에서 상판(53)의 상면에 차열판(58)을 세워서 형성한 구성도 종래부터 제안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차열판(58)을 형성한 경우에는 부품 점수가 늘게 된다. 또한 상판(53)이 유리판이면 차열판(58)을 상판(53)과 일체로 형성할 수 없고, 따라서, 상판(53)에 구멍을 뚫고 차열판(58)은 그 구멍을 통해서 본체 케이스(51)에 조립되게 되므로, 부품 점수가 느는 것은 물론 가스 곤로의 조립 이 복잡해진다. 그리고, 가열 조리나 상판(53)을 청소할 때 조작 손잡이(57) 및 차열판(58) 모두가 방해가 되어 청소작업이 한층 더 번거로워진다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오히려 차열판(58)이 있기 때문에 상판(53)의 상면을 넓게 사용할 수 없어 되어, 큰 남비나 석쇠를 사용할 때에 사용상의 편리성이 나빠짐과 아울러, 남비 등이 가스 버너(54)에 가까운 차열판(58)에 닿기 쉬워져서 상술한 바와 같은 불쾌감을 느끼는 일이 많아진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존재하는 문제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그 주된 목적은, 조작 손잡이나 차열판이 상판위로 돌출함으로써 발생하는 각종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가스 곤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판에 조작축용 투시구멍을 형성할 필요가 없어, 투시구멍으로부터 끓어 넘친 국물 등이 들어가서 내장 부품의 고장의 원인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가스 곤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가스 버너를 수용하는 곤로 본체의 상면을 덮는 상판을 유리판으로 함과 아울러, 그 상판에는 가스 버너용 개구가 형성된 가스 곤로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상면에 조작부를 형성하고, 상판의 조작부에 대응하는 하면에는 검출수단을 형성하여, 상기 조작부에 있어서의 조작자의 조작이 상기 검출수단에 의해서 검출되었을 때, 그 조작에 따른 특정 동작이 행해지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와 마찬가지로, 검출수단으로서는, 예를 들면, 비접점형 스위치를 채용할 수 있다.
삭제
삭제
따라서, 상기 조작부가 상판위에 있기 때문에 조작성이 뛰어난 것이면서도 상판의 상면측으로 돌출하는 조작 손잡이가 불필요하게 된다. 이 때문에, 가스 버너를 사용해서 가열 조리를 할 때에, 상술한 종래의 조작 손잡이의 변형 등에 의한 조작성 악화와 같은 문제는 생기지 않는다. 이 때문에, 종래와 같은 차열판이 불필요하게 된다. 그리고, 이 가열 조리시 혹은 상판의 상면을 청소할 때에, 그 상판의 상면에는 가열 조리나 청소 작업의 방해가 되는 조작 손잡이나 돌출물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그러한 작업을 용이하고도 신속하며 또한 쾌적하게 행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판의 상면에 돌출물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상판의 상면을 넓게 사용할 수 있어 사용하기 편리하다. 게다가, 투시구멍으로부터 끓어 넘친 국물 등이 들어가서 내장 부품의 고장의 원인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조리에 직접 관여하지 않는 차열판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부품 점수가 적어지고 가스 곤로의 조립이 용이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가스 버너를 수용하는 곤로 본체의 상면을 덮는 상판을 유리판으로 함과 아울러, 그 상판에는 가스 버너용 개구가 형성된 가스 곤로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상면에 조작부를 형성하고, 상판의 조작부에 대응하는 하면에는 검출수단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곤로 본체에는 가스 버너에 가스를 공급하는 전자(電磁)가스 제어밸브를 설치하여, 상기 조작부에 있어서의 조작자의 조작이 상기 검출수단에 의해서 검출되었을 때, 상기 전자가스 제어밸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검출수단으로서는, 예를 들면 비접점형 스위치를 채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작부가 상판위에 있기 때문에 조작성이 뛰어난 것이면서도 상판의 상면측으로 돌출하는 조작 손잡이가 불필요하게 된다. 이 때문에, 가스 버너를 사용해서 가열 조리를 할 때에, 상술한 종래의 조작 손잡이의 변형 등에 의한 조작성 악화와 같은 문제는 생기지 않는다. 이 때문에, 종래와 같은 차열판이 불필요하게 된다. 그리고, 이 가열 조리시 혹은 상판의 상면을 청소할 때에, 그 상판의 상면에는 가열 조리나 청소 작업의 방해가 되는 조작 손잡이나 돌출물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그러한 작업을 용이하고도 신속하며 또한 쾌적하게 행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판의 상면에 돌출물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상판의 상면을 넓게 사용할 수 있어 사용하기 편리하다. 게다가, 투시구멍으로부터 끓어 넘친 국물 등이 들어가서 내장 부품의 고장의 원인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조리에 직접 관여하지 않는 차열판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부품 점수가 적어지고 가스 곤로의 조립이 용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검출수단으로서 광센서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검출수단으로서는, 광센서, 그 중에서도, 적외선을 검출하는 타입의 것, 가시광선을 검출하는 타입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 검출수단으로서 정전용량의 변화를 검출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검출수단에 의해서 조작자에 의한 조작을 확실하게 검출하여, 가스 곤로의 점화나 화력조절 등의 특정 동작을 확실하게 하도록 할 수 있다.
또, 상기 상판의 열전도율이 1.0∼2.OW/m·k의 범위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가열 조리시에 가스 버너의 열이 상판을 통해서 조작부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검출수단이나 그 주변 기구에 대해서 열에 의한 영향이 미칠 우려를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조작부가 뜨거워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자연스럽고 쾌적한 조작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조작부가 가스 버너의 정면에서 벗어난 측방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조작부를 가스 버너로부터 이간시켜서 배치할 수 있으므로 가열 조리시에 검출수단이나 그 주변 기구에 대해서 열영향이 미칠 우려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조작부가 가스 버너의 정면에서 벗어난 측방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점화나 화력조절 등의 조작을 상판의 상면 바로 앞측에서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조리남비를 버너로부터 비켜놓거나 할 때, 끓어 넘친 국물 등이 조작부에 떨어져 검출수단이 반응하거나, 혹은 더러운 물질에 기인한 반응악화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검출수단의 반응악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검출수단이 상판상에 있어서 이물질 혹은 작은 동물 등과 같은 조작자 이외의 것을 검출하였을 때, 상기 제어부가 오동작하는 것을 방지하는 오동작 방지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검출수단의 상측의 상판위에 종이나 천 등의 이물질이 놓인 경우, 혹은 바퀴나 쥐 등의 작은 동물이 걸어간 경우에, 점화 등의 동작이 실수로 행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조작자가 오조작하였을 때, 상기 제어부가 오조작에 대응한 제어 동작을 행하지 않도록 규제하는 동작규제수단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조작자에 의해서 화력의 업조절 등의 조작이 실수로 행해진 경우에도, 그 오조작에 의해서 화력의 업동작이 행해지는 것을 규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가스 버너의 점화 후에 조작자가 오조작하였을 때, 소화동작을 하게 하기 위한 긴급소화수단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가스 버너의 점화 후에 조작자에 의해서 예를 들면 복수의 검출수단을 구성하는 스위치를 일시에 조작하는 등의 오조작이 행해진 경우에 가스 버너를 즉각 소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제어부의 동작을 로크하기 위한 로크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예를 들면 상판의 상면의 청소시 등에 있어서, 검출수단의 오검출에 의해서 점화 등의 동작이 실수로 행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형태}
(제 1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를 도 1 내지 도 9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가스 곤로의 곤로 본체로서의 본체 케이스(21)는 상면이 개구된 상자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상단의 외측 가장자리에는 플랜지부(21a)가 형성되어 있다. 본체 케이스(21)의 상면 개구부(21b)는 내열 유리판으로 이루어지는 상판(22)으로 덮혀져 있고, 그 상판(22)의 뒷부분에는 1쌍의 버너용 개구(22a)가 형성됨과 아울러, 외측 가장자리에는 테두리체(22b)가 부착되어 있다. 이 상판(22)은 투광성이지만 착색(암색)되어 본체 케이스(21) 내를 눈으로 볼 수 없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상판(22)로서는 열전도율이 1.0∼·2.OW/m·k의 범위내의 유리가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 상판(22)로서는, 결정화 유리, 예를 들면, 독일 쇼트(SCHOTT)사의「세란」유리(「세란」은 쇼트일본주식회사의 등록상표)가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본체 케이스(21)가 키친의 카운터 톱(23)에 형성된 부착구멍(23a)에 끼워 넣어진 상태로, 본체 케이스(21)의 플랜지부(21a) 및 상판(22)의 테두리체(22b)가 각각 카운터 톱(23)의 상면에 지지되어, 이른바 드롭인식 가스 곤로를 이루고 있다.
도 1, 도 2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본체 케이스(21)내에는 상기 버너용 개구(22a)와 대향하도록 1쌍의 가스 버너(24A,24B)가 횡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스 버너(24A,24B)는 염구(24E)가 환상으로 내측을 향하는 내염식 버너로 되어 있다. 또 버너용 개구(22a)에는 삼발이(25)가 부착되어 있다. 본체 케이스(21)의 저면에는 가스 공급구(26)가 배치되고, 그 가스 공급구(26)가 가스 배관(27)을 통해서 양 가스 버너(24A,24B)에 접속되어 있다. 가스 배관(27)의 도중에는 양 가스 버너(24A,24B)로의 가스의 공급을 통단(通斷)하기 위한 전자가스 제어밸브로서의 메인 개폐 밸브(28)가 접속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가스 배관(27)의 도중에는 각 가스 버너(24A,24B)로의 가스의 공급을 통단함과 아울러, 가스 공급량을 조절하기 위한 1쌍의 전자가스 제어밸브로서의 가스량 조절 밸브(29A,29B)가 접속되어 있다.
도 3, 도 4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본체 케이스(21)의 내저부에 있어서, 양 가스 버너(24A,24B) 사이의 중간부의 전단측의 위치에는 제어 박스(3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어 박스(30)내에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 가스 버너(24A,24B)의 점화나 화력조절 등의 각종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서 메인 개폐 밸브(28)나 가스량 조절 밸브(29A,29B) 등을 제어하는 제어부로서의 제어 장치(31) 및 그 제어 장치(31)를 동작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데이타나 일시적인 워킹 데이타 등의 모든 데이타를 기억하는 메모리(32)가 실장되어 있다. 본체 케이스(21)의 내저부에 있어서 제어 박스(30)의 양측 위치에는 1쌍의 점화기(33A,33B)가 설치되고, 이들 점화기(33A,33B)는 각각 도시하지 않은 급전선(給電線)을 통해서 스파커(33a,33b)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그 스파커(33a,33b)에 있어서의 고전압에 의한 방전에 의해서 각 가스 버너(24A,24B)를 점화시킨다. 가스 버너(24A,24B)의 흡기구(24AK,24BK)는 제어 박스(30), 스위치용 기판(34), 부착 프레임(35)의 근방에 있으며, 연소시에 흡기구(24AK,24BK)로부터 1차공기를 흡인함으로써 이 근방에 공기흐름이 생겨, 상기 제어 박스(30) 등이 냉각된다.
도 3 내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 박스(30)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상판(22)의 하면에서, 후술하는 조작부(40A∼40G)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스위치용 기판(34)이 부착 프레임(35)을 통해서 부착되어 있다. 즉, 상판(22)의 하면에는 부착 프레임(35)이 실리콘 고무로 이루어지는 접착제(36)에 의해서 접착고정되며, 그 부착 프레임(35)내에 스위치용 기판(34)이 복수의 나사(37)에 의해서 부착되어 있다. 상기 부착 프레임(35)은 스위치용 기판(34)에 배치된 후술하는 검출수단으로서 의 비접점형 스위치(38A∼38G) 및 표시 램프(39A∼39C)와 대응하는 부위에 개구(35K)가 형성된 상면판(35T)을 구비한 바닥이 없는 상자체이다.
상기 개구(35K) 중, 비접점형 스위치(38A∼38G)용 개구(35K)에는 둘레벽(35S)이 구비되어 있고, 스위치용 기판(34)이 부착 프레임(35)에 부착되었을 때 비접점형 스위치(38A∼38G)는 상기 둘레벽(35S)에 의해서 측방이 둘러싸이게 됨과 아울러, 정상부는 개구(35K)를 통해서 상판(22)의 조작부(후술함)에 대향한다.
상기 스위치용 기판(34)의 상부 앞가장자리에는 복수의 비접점형 스위치(38A∼38G)가 횡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즉, 스위치용 기판(34)의 앞가장자리 중앙에는 전원 스위치(38A)가 배치되고, 그 전원 스위치(38A)의 양 측방에는 각 가스 버너(24A,24B)의 점화 및 소화를 하게 하기 위한 1쌍의 점소화 스위치(38B,38C)가 배치되어 있다. 각 점소화 스위치(38B,38C)의 양측에는 각 가스 버너(24A,24B)의 화력을 조절하기 위한 각 1쌍의 화력 업 스위치(38D,38E) 및 화력 다운 스위치(38F,38G)가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세란 유리」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암색에 의해서 곤로 내부가 잘 보이지 않고, 또한 적외선 투과성이기 때문에 유리에 특별한 처리를 할 필요는 없지만, 만일, 곤로 내부를 볼 수 있는 유리로 하면, 유리 이면에 인쇄를 하게 되고, 이 경우, 상기 스위치(38A∼38G)와 대응하는 상판(22)의 부분이 적외선을 충분히 투과하도록 특정 광투과색으로 착색된다. 혹은, 특정 색으로 착색되지 않고 투명하게 되어 있어도 된다. 그리고, 상기 각 스위치(38A∼38G)로서, 적외선을 발생하는 발광부로서의 발광소자(38a)와 적외선을 수광하는 수광부 로서의 수광소자(38b)를 가지는 광센서가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구성을 대신하여 스위치(38A∼38G)와 대응하는 상판(22)의 부분을 가시광선이 투과하도록 특정 색으로 착색하여 형성하거나 혹은 투명하게 형성하고, 각 스위치(38A∼38G)로서 가시광선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를 가지는 광센서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이 구성을 대신하여, 각 스위치(38A∼38G)로서 상판(22)의 상면의 정전용량의 변화에 의해서 동작하는 정전용량형 스위치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 정전용량형 스위치를 사용한 경우에는, 상판(22)의 스위치와 대응하는 부분을 특정색으로 착색하거나 투명하게 하거나 할 필요는 없다.
상기 각 스위치(38A∼38G)와 대응하도록, 스위치용 기판(34)상에는 발광 다이오드 등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표시 램프(39A∼39C)가 배치되어 있다. 즉, 전원 스위치(38A)의 뒷부분에는 전원의 투입상태를 점등표시하기 위한 전원 표시 램프(39A)가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일측의 가스 버너(24A)용 점소화 스위치(38B), 화력 업 스위치(38D) 및 화력 다운 스위치(38F)의 후측 근방에는 화력의 조절상태(강약상태)를 점등표시하기 위한 5개의 화력 표시 램프(39B)가 횡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타측의 가스 버너(24B)용 점소화 스위치(38C), 화력 업 스위치(38E) 및 화력 다운 스위치(38G)의 후측 근방에는 화력의 조절상태(강약상태)를 점등표시하기 위한 5개의 화력 표시 램프(39C)가 횡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또, 당연한 것이지만 상판(22)의 각 표시 램프(39A∼39C)와 대응하는 표시부분은 표시광이 투과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각 스위치(38A∼38G) 및 각 표시 램프(39A ∼39C)와 대응하도록, 상기 부착 프레임(35)에는 상기와 같이 개구(35K)가 형성되어 있다. 화력 표시 램프(39A∼39C)는 상기 개구(35K)를 통해서 상판(22)의 이면에 맞닿도록 하여 스위치용 기판(34)이 부착 프레임(35)에 부착되어 있다. 또, 상술한 접착제(36)를 구성하는 실리콘 고무는 투명하며, 상기 각 개구(35K)의 부분을 포함하는 스위치용 기판(34) 전체와 상판(22)과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발광소자(38a)나 표시 램프(39A∼39C)등으로부터의 빛이 상판(22)의 하면에 의해서 난반사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도 1, 도 5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각 스위치(38A∼38G)의 바로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판(22)의 상면에는 조작부(40A∼40G)를 나타내는 표시가 인쇄 혹은 착색에 의해서 부설되어 있다. 상기 조작부(40A∼40G)는 가스 버너(24A,24B)의 정면에서 측방으로 벗어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이 배치위치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양 가스 버너(24A,24B)의 중간의 전방이 된다. 그리고, 이러한 조작부(40A∼40G)를 조작자가 선택적으로 접촉조작하였을 때, 그것과 대응하는 스위치(38A∼38G)에 있어서, 발광소자(38a)로부터의 적외선에 의해서 반사하고 그것이 수광소자(38b)에 의해서 감지되어 조작자의 조작상태가 검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각 화력 표시 램프(39B,39C)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상판(22)의 상면에는 각 1쌍의 화력 표시 마크(41A∼41D)가 인쇄 또는 착색에 의해서 부설되어 있다. 그리고, 1쌍의 화력 표시 마크(41A∼41D)간에 있어서의 화력 표시 램프(39B,39C)의 점등표시위치에 의거하여 화력의 조절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도 7에 있어서는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조작부(40A∼40G)로서 그 두께를 도시하고 있으나 실제로는 조작부(40A∼40G)의 두께는 존재하지 않는다.
이어서 상기와 같은 가스 곤로의 회로구성 및 동작을 도 8 및 도 9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9에 나타내는 플로챠트는, 메모리(32)내의 프로그램 데이타에 의거하여 제어 장치(31)의 제어의 근원으로 진행하는 것이다. 도 11 등에 나타내는 본 실시형태와는 다른 실시형태의 플로챠트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상기 가스 곤로의 제어 장치(31)에는 직류 전원(59)이 접속됨과 아울러 각 밸브(28,29A,29B) 및 각 점화기(33A,33B)를 작동시키기 위한 교류 전원(60)이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자에 의해서 조작부(40A)가 접촉조작되고 전원 스위치(38A)에 의해서 그 조작상태가 검출되었을 때, 제어 장치(31)에 의해서 전원 표시 램프(39A)가 점등된다. 그 후, 조작부(40B,40C)가 접촉조작되어 점소화 스위치(38B,38C)에 의해서 그 조작상태가 검출되었을 때, 제어 장치(31)에 의해서 밸브(28,29A,29B)가 개방됨과 아울러 점화기(33A,33B)가 작동되어 가스 버너(24A,24B)가 점화된다.
이 경우, 제어 장치(31)에 의해서 오동작 방지수단이 구성되어, 스위치(38A∼38G)가 상판(22)위에 있어서의 이물질이나 작은 동물 등의 조작자 이외의 것을 검출하였을 때 제어 장치(31)가 오동작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즉, 도 9에 나타내는 프로그램에 있어서, 전원 스위치(38A)가 단독으로 2초간 연속해서 조작되었는가의 여부가 판별되어(스텝 S1), 2초간 이상으로 연속해서 단독 조작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교류 전원(60)이 투입되지 않는다. 그리고, 전원 스위치(38A)의 2초간 이상의 연속조작에 의해서 교류 전원(60)이 투입되면, 그 후에 점소화 스위치(38B,38C)가 조작되었는가의 여부가 판별된다(스텝 S2).
이 판별에 있어서, 점소화 스위치(38B,38C)가 조작되지 않는 경우에는 전원 스위치(38A)의 조작으로부터 15초간 경과하였는지의 여부가 판별된다(스텝 S3). 그리고, 전원 스위치(38A)의 조작으로부터 15초간 이상 경과한 경우에는 교류 전원(60)이 차단되어 초기상태로 되돌려진다. 이에 반해서, 전원 스위치(38A)의 조작으로부터 15초간 이내에 점소화 스위치(38B,38C)가 조작된 경우에는 점화동작이 행해진다(스텝 S4).
따라서, 상판(22)의 조작부(40A∼40G)위에 종이나 천등의 이물질이 놓여져서 전원 스위치(38A) 및 점소화 스위치(38B,38C)가 동시에 조작상태가 된 경우나, 전원 스위치(38A)만이 조작상태로 계속된 경우에는 제어 장치(31)로부터 밸브(28,29A,29B) 및 점화기(33A,33B)에 점화동작 신호가 출력되는 일은 없다. 또 상판(22)의 조작부(40A∼40G)위를 바퀴나 쥐 등과 같은 작은 동물이 이동하여 전원 스위치(38A)가 단시간만 조작상태가 된 경우에도 제어 장치(31)로부터 점화동작 신호가 출력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스위치(38A∼38G)가 상판(22)위의 이물질이나 작은 동물 등의 조작자 이외의 것을 검출하여 가스 버너(24A,24B)가 실수로 점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가스 버너(24A,24B)의 점화시에는, 예를 들어, 소화시의 화력이 어떠한 강도라도, 가스량 조절 밸브(29A,29B)에 의한 화력의 조절상태가 복수단계(예를 들면 5단계) 중, 중간의 조절상태(예를 들면, 5단계 중 레벨 3)로 설정되어 점화에 적합한 가스량으로 하고 있다. 이 때문에, 화력을 변경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는 화력 업 스위치(38D,38E) 또는 화력 다운 스위치(38F,I38G)를 조작하면, 제어 장치(31)에 의해서 가스량 조절 밸브(29A,29B)가 작동되어 화력이 중간의 조절상태에서 업 조절 또는 다운 조절된다.
이 경우, 상기 제어 장치(31)에 의해서 동작규제수단이 구성되어, 조작자가 화력 업을 위해서 조작부(40D,40E)에 의해서 스위치(38D∼38E)를 연속조작하였다고 해도 그 연속조작에 맞춘 화력 업 제어 동작이 행해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화력 업 스위치(38D,38E)는 1회마다의 조작에 의해서 화력이 1단계씩 업 방향으로 변경되게 되어 있어, 연속조작되어도 제어 장치(31)는 그것을 접수하지 않아 화력의 급격한 업 조절 동작이 규제된다. 따라서, 이 화력 업 스위치(38D,38E)에 관해서는, 단계적인 조작만이 유효하게 되어 화력조절이 이루어진다. 또, 화력 다운 스위치(38F,38G)가 연속조작된 경우에는 그 조작이 제어 장치(31)에 의해서 유효화되어 화력이 다운된다.
또 이 가스 버너(24A,24B)의 점화 후에는, 상기 제어 장치(31)에 의해서 긴급소화수단이 구성되어, 조작자가 오조작하였을 때, 소화동작이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즉, 가스 버너(24A,24B)의 점화상태에서 한 번에 많은(3곳 이상) 조작부(40A∼40G), 즉 스위치(38A∼38G)가 조작되었을 때는, 제어 장치(31)에 의해서 이상조작으로 판단되어 각 밸브(28,29A,29B)가 닫혀서 가스 버너(24A,24B)가 소화된다. 또 가스 버너(24A,24B)의 점화상태에서 점소화 스위치(38B,38C)와 다른 스위치(38D∼38G)가 동시에 조작되었을 때는 제어 장치(31)에 의해서 점소화 스위치(38B,38C)의 조작이 우선되어 가스 버너(24A,24B)가 소화된다. 물론, 가스 버너(24A,24B)의 점화상태에서 점소화 스위치(38B,38C)가 단독으로 조작된 경우에는 가스 버너(24A,24B)가 소화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이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이 가스 곤로에 있어서는, 내열 유리로 이루어지는 상판(22)의 상면위치에서 점화나 화력조절 등의 각종 조작을 할 수 있도록 상판(22)의 하면에 비접점형 스위치(38A∼38G)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그 스위치(38A∼38G)에 의해서 조작자의 조작이 검출되었을 때, 그 조작에 따른 특정 동작이 행해지도록 제어하는 제어 장치(31)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판(22)의 상면에 점화나 화력조절 등의 조작을 하기 위한 조작 손잡이가 돌출상태로 배치될 일은 없다. 따라서 조작 손잡이의 존재에 부수되는 조작성 악화 등의 문제가 생기지 않고 조작성이 향상된다. 또한, 조작 손잡이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차열판도 불필요하고 중화요리 남비와 같은 무거운 것이라도 가스 곤로의 상면에서 지장없이 다룰 수 있음과 아울러, 상판(22)의 상면을 넓고 쾌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조작 손잡이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상판(22)의 상면을 청소할 때에 그 작업을 용이하고도 신속하게 할 수 있음과 아울러 남김없이 닦아낼 수 있어 위생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게다가, 버너용 개구(22a) 외에 상판(22)에 조작축을 끼워서 통과시키기 위한 투시구멍을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상판(22)을 형성하는 유리의 강도의 저하를 초래하는 일이 없고, 이 투시구멍으로부터 끓어 넘친 국물 등이 들어가서 내장 부품의 고장의 원인이 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도 있다. 또, 조작 손잡이나 차열판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그것들의 조립 이 불필요해져서 가스 곤로의 조립이 간단해진다.
(2) 이 가스 곤로에 있어서는, 조작부(40A∼40G)가 가스 버너(24A,24B)의 정면에서 벗어난 측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스위치(38A∼38G)를 가스 버너(24A,24B)에서 이간시켜서 배치할 수 있어 가열 조리시에 스위치(38A∼38G)에 대해서 열영향이 미칠 우려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조작부(40A∼40G)가 가스 버너(24A,24B)의 정면이 아니고 좌측 또는 우측으로 벗어나서 배치되게 되므로 점화나 화력조절 등의 조작을 용이하면서도 실수없이 할 수 있다. 게다가, 남비 등을 삼발이로부터 들어내거나 할 때에 낙하된 끓어 넘친 국물 등에 의해서 더럽혀지는 일이 없어 스위치의 반응 악화가 잘 생기지 않는다.
(3) 이 가스 곤로에 있어서는, 상기 상판(22)의 스위치(38A∼38G)와 대응하는 부분이 적외선을 투과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스위치(38A∼38G)로서 적외선 발광소자(38a)와 수광소자(38b)를 가지는 광센서가 사용되고 있다. 이 때문에, 적외선의 반사광의 변화에 의거하여 조작자의 조작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고, 그 조작에 따라 점화나 화력조절 등의 특정 동작을 확실하게 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을 대신하여 스위치(38A∼38G)로서 가시광선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를 가지는 광센서를 사용한 경우나, 정전용량의 변화에 의해서 동작하는 정전용량형 스위치를 사용한 경우도, 마찬가지로 조작자의 조작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
(4) 이 가스 곤로에 있어서는, 상기 상판(22)의 열전도율이 1.0∼2.OW/m·k 의 범위내로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가열 조리시에 가스 버너(24A,24B)의 열이 상판(22)을 통해서 스위치(38A∼38G)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저감할 수 있어 스위치(38A∼38G)에 열영향이 미칠 우려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스위치(38A∼38G)가 과열되어 동작불량이 되거나 할 우려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조작부(40A∼40G)가 불쾌할 정도로 뜨거워지는 일이 없어 쾌적하게 조작할 수 있다.
(5) 이 가스 곤로에 있어서는, 상기 스위치(38A∼38G)가 상판(22)위의 이물질이나 작은 동물을 검출하였을 때, 상기 제어 장치(31)의 오동작이 방지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스위치(38A∼38G)의 상향의 상판(22)위에 종이나 천 등의 이물질이 놓인 경우, 혹은 바퀴나 쥐 등의 작은 동물이 지나가는 경우, 점화 등의 동작이 의도하지 않게 행해지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6) 이 가스 곤로에 있어서는, 조작자가 오조작하였을 때, 제어 장치(31)의 동작이 규제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조작자에 의해서 화력의 업 조절 등의 조작이 실수로 행해진 경우라도 그 오조작에 의해서 화력의 업 동작이 행해지는 것을 확실하게 규제할 수 있다.
(7) 이 가스 곤로에 있어서는, 상기 가스 버너(24A,24B)의 점화 후에 조작자가 오조작하였을 때 소화동작이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가스 버너(24A,24B)의 점화 후에 조작자에 의해서 예를 들면 복수의 스위치(38A∼38G)를 일시에 조작하는 등의 오조작이 행해진 경우에, 가스 버너(24A,24B)를 즉각 소화시킬 수 있어, 조리 실수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이어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도 10 및 도 11에 의거해서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다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제 2 실시형태 이후의 각 실시형태의 설명에 있어서도, 제 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제 1 실시형태와 다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점소화 스위치(38B,38C)를 대신하여 스위치용 기판(34)상에 소화기능만의 소화 스위치(43A,43B)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들 소화 스위치(43A,43B)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판(22)의 상면에는 조작부(44A,44B)가 인쇄 혹은 착색에 의해서 부설되어 있다. 그리고,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전원 스위치(38A)의 조작 후에, 각각의 가스 버너(24A,24B)의 조작부(40D) 등의 화력 업 스위치(38D,38E)와 화력 다운 스위치(38F,38G)를 동시에 조작함으로써 점화동작이 행해지게 되어 있다.
그리고,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같이, 제어 장치(31)에 의해서 이물질이나 작은 동물의 검출시의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한 오동작 방지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즉,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원 스위치(38A)가 2초간 연속해서 단독 조작되었는지의 여부의 판별이 행해진 후(스텝 S5), 화력 업 스위치(38D,38E)와 화력 다운 스위치(38F,38G)가 동시에 조작되었는지의 여부의 판별이 행해진다(스텝 S6).
이 판별에 있어서, 스위치(38D∼38G)의 동시조작이 행해지지 않는 경우에는, 전원 스위치(38A)의 조작으로부터 15초간 경과하였는가의 여부가 판별된다(스텝 S7). 그리고, 전원 스위치(38A)의 조작으로부터 15초간 이상 경과한 경우에는 교류 전원이 차단되어 초기상태로 되돌려진다. 이에 반해서, 전원 스위치(38A)의 조작으로부터 15초간 이내에 스위치(38D∼38G)가 동시조작된 경우에는 점화동작이 행해진다(스텝 S8).
따라서,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1)∼(7)에 기재된 효과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이어서,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를 도 12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각 가스 버너(24A,24B)에 대응하여 각각의 전원 스위치(38A)가 스위치용 기판(34)의 상면 양측에 형성되어 있다. 또, 이들 전원 스위치(38A)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판(22)의 상면에는 조작부(40A)가 각각 인쇄 또는 착색에 의해서 부설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도 9에 나타내는 동작과 동일한 점화동작이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1)∼(7)에 기재된 효과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 4 실시형태)
이어서,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를 도 13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제 4 실시형태에서는, 상판(22)의 앞가장자리측의 테두리체(22b)에 적외선 등의 발광소자(45a) 및 수광소자(45b)로 이루어지는 조작자 검출 센서(45)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조작자 검출 센서(45)에 의해서 카운터 톱(23)의 전방측에 조작자가 존재하고 있는지의 여부가 검출되고, 조작자의 존재가 검출되었을 경우에만 스위치(38A∼38G)의 조작에 따른 점화 등의 동작이 허용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제 4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1)∼(7)에 기재된 효과에 부가하여 이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8) 이 가스 곤로에 있어서는, 조작자의 존재를 검출하기 위한 조작자 검출센서(45)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스위치(38A∼38G)가 상판(22)위의 이물질이나 작은 동물을 오검출하여 점화 등의 오동작이 행해지는 것을 한층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즉, 제 4 실시형태에서는 조작자 검출센서(45)가 조작자를 검출하지 않는 경우에는 점화나 화력 업의 동작이 행해지지 않도록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5 실시형태)
이어서,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를 도 14 및 도 15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제 5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나의 전원 스위치(38A)가 스위치용 기판(34)의 일측 상면에 형성되고, 이 전원 스위치(38A)와 대응하도록, 상판(22)의 상면에는 조작부(40A)가 인쇄 또는 착색에 의해서 부설되어 있다. 또한, 전원 스위치(38A)와 이간하여 위치하도록, 스위치용 기판(34)의 타측 상면에는 로크수단으로서의 조작 로크 스위치(46)가 형성되며, 이 조작 로크 스위치(46)와 대응하도록, 상판(22)의 상면에는 조작부(47)가 인쇄 또는 착색에 의해서 부설되어 있다.
그리고, 상판(22)의 상면을 청소하는 경우 등에 있어서, 조작 로크 스위치(46)를 조작한 후, 전원 스위치(38A)를 조작함으로써, 스위치(38A∼38G)의 조작불능상태가 설정되도록 되어 있다. 즉,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로크 스위치(46)가 2초간 연속해서 조작되었는가의 여부가 판별되고(스텝 S9), 2초간 이상 연속해서 조작된 경우에는 그 후에 전원 스위치(38A)가 조작되었는가의 여부가 판별된다(스텝 S1O).
이 판별에 있어서, 전원 스위치(38A)가 조작되지 않는 경우에는, 조작 로크 스위치(46)의 조작으로부터 3초간 경과하였는지의 여부가 판별된다(스텝 S1l). 그리고, 조작 로크 스위치(46)의 조작으로부터 3초간 이상 경과한 경우에는 초기상태로 되돌려진다. 이에 반해서, 조작 로크 스위치(46)의 조작으로부터 3초간 이내에 전원 스위치(38A)가 조작된 경우에는 조작불능상태가 설정된다(스텝 S12).
따라서, 이 상태에서 상판(22)의 상면을 청소한 경우, 각 스위치(38A∼38G)상의 조작부(40A∼40G)에 닿아도 그들 스위치(38A∼38G)가 실수로 검출동작될 일이 없어, 부주의하게 점화동작 등이 행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스 곤로를 사용하지 않을 시에 상술한 조작불능상태를 설정해 둠으로써 이물질이나 작은 동물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5 실시형태에서는, 가스 버너(24A,24B)의 점화상태에서, 상기 조작 로크 스위치(46)와 화력 업 스위치(38D,38E) 또는 화력 다운 스위치(38F,38G)가 동시에 조작되었을 때 화력의 조절불능상태가 설정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이 설정상태에 있어서, 오조작 등에 의해서 화력의 조절이 부주의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 5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1)∼(7)에 기재된 효과에 부가하여 이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9) 이 가스 곤로에 있어서는, 필요에 의해서 제어 장치(31)의 동작이 로크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상판(22)의 상면을 청소할 때에 스위치(38A∼38G)의 오검출에 의해서 점화 등의 동작이 실수로 행해지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제 6 실시형태)
이어서,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를 도 16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제 6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화력 업 스위치(38D,38E) 및 화력 다운 스위치(38F,38G)를 대신하여 스위치용 기판(34)위에 각 5개의 화력조절 스위치(48A,48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들 화력조절 스위치(48A,48B)와 대응하도록, 상판(22)의 상면에는 각 5개의 조작부(49A,49B)가 인쇄 또는 착색에 의해서 부설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화력조절 스위치(48A,48B)를 선택적으로 조작함으로써 가스 버너(24A,24B)의 화력이 5단계로 조절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각 단계의 화력에 대응한 스위치(48A,48B)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화력조정조작을 이해하기 쉬워, 그 조작이 용이하고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 6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1)∼(7)에 기재된 효과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변경예)
또한, 본 실시형태는 다음과 같이 변경하여 구체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ㆍ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판(22)의 앞가장자리측의 테두리체(22b)의 내단에 위치결정용 노치부(50)를 형성하고, 이 노치부(50)에 스위치용 기판(34)의 부착 프레임(35)을 끼워맞추는 것. 이와 같이 구성하면, 스위치용 기판(34)이 상판(22)의 하면의 소정의 부착위치에 위치결정된다. 따라서, 스위치용 기판(34)상에 형성된 스위치(38A∼38G)를, 상판(22)의 상면에 형성된 조작부(40A∼40G)에 대해서 정확하게 위치맞춤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치용 기판(34)을 버너로부터 떨어져 조작자에 가까운 측에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버너로부터의 열영향의 우려를 더욱 적게 할 수 있음과 아울러 조작하기 쉬워진다.
ㆍ상기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가스 버너(24A,24B)의 연소 중에, 그 화력조절상태를 메모리(32)에 기억시켜 둬서, 끓어 넘친 국물 등에 의해서 가스 버너(24A,24B)가 부주의하게 소화되었을 때, 그 후의 점화조작에 의한 점화시에 전의 화력조절상태로 되돌려지도록 구성하는 것. 이와 같이 하면, 본의가 아닌 화력이 선택되는 일이 없고, 소화 전의 상태로 간단히 복귀할 수 있다.
ㆍ상기 각 실시형태의 동작에 있어서, 전원 스위치(38A) 등을 연속해서 조작하는 초수(抄數), 전원 스위치(38A) 등의 조작으로부터 점소화 스위치(38B,38C) 등의 조작까지의 경과초수 등을 임의로 변경해서 설정하는 것.
ㆍ상기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전원 스위치(38A) 등을 연속해서 조작하는 초수, 전원 스위치(38A) 등의 조작으로부터 점소화 스위치(38B,38C) 등의 조작까지의 경과초수 등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형성하는 것. 이와 같이 하 면 조작자의 상황이나 희망에 따른 작동상태를 얻을 수 있다.
ㆍ상기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가스 버너(24A,24B)의 설치수를 1개 또는 3 개 이상의 복수의에 변경하고, 그것에 따라 스위치(38A∼38G) 및 조작부(40A∼40G)의 수를 변경하는 것.
ㆍ상기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체 케이스(21)의 하면에 복수의 지지다리를 돌출형성하여, 가스 곤로를 카운터 톱(23)의 상면 등에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
ㆍ상기 각 실시형태의 가스 곤로에, 가스 곤로가 오조작된 경우, 그 오조작을 부저 등에 의해서 알리는 알림수단을 형성하는 것.
ㆍ상기 각 실시형태의 가스 곤로에, 언어에 의한 음성발생수단을 형성하여, 조작 확인이나 가스 곤로의 상태(예를 들면, 화력) 등을 조작자에 대해서 언어에 의해서 나타내도록 구성하는 것.
ㆍ상기 가스 곤로에 음성인식기능과 그것에 의한 동작기능을 가지도록 하여, 조작자가 가스 곤로에 대해서 음성에 의해서 화력 업이나 소화 등의 동작을 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
이상, 실시형태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하에 나타내는 효과를 발휘한다. 즉, 조작 손잡이의 변형등에 의한 조작성 악화와 같은 문제에는 관계가 없으며, 가열 조리시의 조작성이 향상하고, 상판의 상면을 청소하는데 있어서는 그 작업을 원활하고도 확실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 상판의 상면에 돌출물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상판의 상면을 넓게 사용할 수 있어 사용상 편리성이 좋다. 게다가, 상판에 조작축용 투시구멍을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투시구멍으로부터 끓어 넘친 국물 등이 들어가서 내장 부품의 고장의 원인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 차열판와 같은 조리에 관여되지 않는 부재가 불필요해지기 때문에 구성이 간단해지고 가스 곤로의 조립도 용이해 진다.
또한, 가스버너가 내염식 버너로 되므로 불꽃이 내향인 것에 의해 유리 상판이나 조작부 주변의 열적 영향이 적게 된다.

Claims (1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가스 버너를 수용하는 곤로 본체의 상면을 덮는 상판을 유리판으로 함과 아울러, 그 상판에는 가스 버너용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가스 버너는 염구가 환상으로 내측을 향하는 내염식 버너로 되고,
    상기 상판의 상면에 평탄면으로 된 조작부를 형성하고, 상판의 조작부에 대응하는 하면에는 검출수단을 형성하고, 상기 조작부에 있어서의 조작자의 조작이 상기 검출수단에 의해서 검출되었을 때, 그 조작에 따른 특정 동작이 행해지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형성한 것에 있어서,
    상기 검출수단이 상판상에 있어서 이물질 혹은 작은 동물 등의 조작자 이외의 것을 검출하였을 때, 상기 제어부가 오동작하는 것을 방지하는 오동작 방지수단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곤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가스 버너를 수용하는 곤로 본체의 상면을 덮는 상판을 유리판으로 함과 아울러, 그 상판에 가스 버너용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가스 버너는 염구가 환상으로 내측을 향하는 내염식 버너로 되고,
    상기 상판의 상면에 평탄면으로 된 조작부를 형성하고, 상판의 조작부에 대응하는 하면에는 검출수단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곤로 본체에는 가스를 공급하는 전자가스 제어밸브를 설치하고, 상기 조작부에 있어서의 조작자의 조작이 상기 검출수단에 의해서 검출되었을 때, 상기 전자가스 제어밸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형성한 것에 있어서,
    상기 검출수단이 상판상에 있어서 이물질 혹은 작은 동물 등의 조작자 이외의 것을 검출하였을 때, 상기 제어부가 오동작하는 것을 방지하는 오동작 방지수단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곤로.
KR1020030097373A 2003-05-30 2003-12-26 가스 곤로 KR1007187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56032A JP4105037B2 (ja) 2003-05-30 2003-05-30 ガスコンロ
JPJP-P-2003-00156032 2003-05-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3738A KR20040103738A (ko) 2004-12-09
KR100718797B1 true KR100718797B1 (ko) 2007-05-16

Family

ID=34050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7373A KR100718797B1 (ko) 2003-05-30 2003-12-26 가스 곤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4105037B2 (ko)
KR (1) KR100718797B1 (ko)
CN (1) CN100402934C (ko)
HK (1) HK1070936A1 (ko)
TW (1) TWI23292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05037B2 (ja) 2003-05-30 2008-06-18 リンナイ株式会社 ガスコンロ
JP4604826B2 (ja) * 2005-05-12 2011-01-0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ガス調理装置
JP5074722B2 (ja) * 2006-08-11 2012-11-14 大阪瓦斯株式会社 ガス器具の接続部構造
JP5302652B2 (ja) * 2008-12-16 2013-10-02 株式会社ハーマン 加熱調理器
JP5557809B2 (ja) * 2011-07-22 2014-07-23 リンナイ株式会社 グリル付ガスコンロ
JP6813994B2 (ja) * 2016-08-31 2021-01-13 株式会社ハーマン 加熱調理器
JP6813993B2 (ja) * 2016-08-31 2021-01-13 株式会社ハーマン ガスこんろ
CN107704015A (zh) * 2017-11-13 2018-02-16 江门市卡迪慧亚金属制品有限公司 透光旋钮
CN108317515B (zh) * 2018-04-13 2024-03-15 珠海鑫崴贸易有限公司 一种可采用固体或液体燃料的燃烧炉
JP2020021296A (ja) * 2018-08-01 2020-02-06 シャープ株式会社 電気機器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34119A (ja) * 1987-11-19 1989-05-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加熱装置
JPH05231654A (ja) * 1990-03-13 1993-09-07 Gaggenau Werke Haus & Lufttechnik Gmbh 電子装置の切換装置および切換装置の制御方法
EP0729292A1 (de) 1995-02-21 1996-08-28 Thielmann Ag Kommanditgesellschaft Herdmulde
JP2000146197A (ja) * 1998-10-23 2000-05-26 Carl Zeiss:Fa ガラスセラミック、ガラス又はセラミック製ワンピ―ス成形品
KR20020020995A (ko) * 2000-09-12 2002-03-18 강성모 빌트인 곤로
JP2002349878A (ja) 2001-05-29 2002-12-04 Hitachi Hometec Ltd 加熱調理器
JP2003133040A (ja) 2001-10-26 2003-05-09 Hitachi Hometec Ltd 加熱調理器
JP2004360926A (ja) 2003-05-30 2004-12-24 Rinnai Corp ガスコンロ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71174A (en) * 1981-04-11 1982-10-21 Kiyoji Unno Automatic cock closing device
GB2249383B (en) * 1990-10-31 1995-02-08 Union Gas Appliances Trading L Gas cooker
JPH0886445A (ja) * 1994-09-19 1996-04-02 Tokyo Gas Co Ltd ガスコンロ用安全装置
JP2001141244A (ja) * 1999-11-10 2001-05-25 Osaka Gas Co Ltd コンロ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34119A (ja) * 1987-11-19 1989-05-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加熱装置
JPH05231654A (ja) * 1990-03-13 1993-09-07 Gaggenau Werke Haus & Lufttechnik Gmbh 電子装置の切換装置および切換装置の制御方法
EP0729292A1 (de) 1995-02-21 1996-08-28 Thielmann Ag Kommanditgesellschaft Herdmulde
JP2000146197A (ja) * 1998-10-23 2000-05-26 Carl Zeiss:Fa ガラスセラミック、ガラス又はセラミック製ワンピ―ス成形品
KR20020020995A (ko) * 2000-09-12 2002-03-18 강성모 빌트인 곤로
JP2002349878A (ja) 2001-05-29 2002-12-04 Hitachi Hometec Ltd 加熱調理器
JP2003133040A (ja) 2001-10-26 2003-05-09 Hitachi Hometec Ltd 加熱調理器
JP2004360926A (ja) 2003-05-30 2004-12-24 Rinnai Corp ガスコン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070936A1 (en) 2005-06-30
JP2004360926A (ja) 2004-12-24
JP4105037B2 (ja) 2008-06-18
CN100402934C (zh) 2008-07-16
TW200427952A (en) 2004-12-16
CN1573213A (zh) 2005-02-02
KR20040103738A (ko) 2004-12-09
TWI232921B (en) 2005-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6244B1 (ko) 렌지
KR100718797B1 (ko) 가스 곤로
CN100504179C (zh) 炉具
KR100598544B1 (ko) 렌지
JP4115343B2 (ja) コンロ
US7422010B2 (en) Cooking stove
JP7010596B2 (ja) ビルトイン式加熱調理器
KR100691058B1 (ko) 가스 풍로
KR100598545B1 (ko) 렌지
KR100598547B1 (ko) 렌지
JP3842026B2 (ja) ビルトインコンロ
KR100598546B1 (ko) 렌지
KR100555439B1 (ko) 가열조리기
JP4045217B2 (ja) 加熱調理器
JP2005241028A (ja) ガスコンロ
KR20110035738A (ko) 가열조리기기
JP2005241029A (ja) ガスコン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