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8547B1 - 렌지 - Google Patents

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8547B1
KR100598547B1 KR1020050026882A KR20050026882A KR100598547B1 KR 100598547 B1 KR100598547 B1 KR 100598547B1 KR 1020050026882 A KR1020050026882 A KR 1020050026882A KR 20050026882 A KR20050026882 A KR 20050026882A KR 100598547 B1 KR100598547 B1 KR 1005985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switch
control means
heating
bur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6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5154A (ko
Inventor
아츠지 우라
신이치로 하타
히로유키 야마다
카스야 히로타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60045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51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8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85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2101/00Type of solid waste
    • B09B2101/02Gases or liquids enclosed in discarded articles, e.g. aerosol cans or cooling systems of refrig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30Driving arrangements; Transmissions; Couplings; Brakes
    • B01F35/32Driving arrangements
    • B01F35/32005Type of drive
    • B01F35/3204Motor driven, i.e. by means of an electric or IC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 F26B21/02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with provisions for changing the drying gas flow pattern, e.g. by reversing gas flow, by mov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hrough subsequent compartments, at least two of which have a different direction of gas flow
    • F26B21/024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with provisions for changing the drying gas flow pattern, e.g. by reversing gas flow, by mov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hrough subsequent compartments, at least two of which have a different direction of gas flow by using movable fan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08Humidity
    • F26B21/086Humidity by condensing the moisture in the drying medium, which may be recycled, e.g. using a heat pump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25Mixing waste with other ingredi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4Garb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Abstract

[과제]
사용자의 조작이외의 요인으로서 터치스위치가 비검지 상태에서 검지상태로 절환되었을때에 버너의 점화처리가 되지 않는 것을 방지하는 렌지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버너(4a,4b)를 수용한 렌지본체(1)의 상면을 덮는 글라스 천정판(2)에 사용자가 버너(4a,4b)의 작동개시와 정지를 지시하기 위해 설치한 것으로서 글라스천정판(2)의 상면의 접촉물 또는 접근물을 검지하는 터치스위치를 가지는 조작부(6)와 터치스위치가 ON상태(검지상태)인지 OFF상태(비검지상태)인지를 파악하고 파악결과에 따라서 버너(4a,4b)의 작동을 제어하는 가열제어 수단을 구비한 렌지에 있어서 이 가열제어수단은 버너(4a,4b)가 연소정지상태로서 터치스위치가 OFF상태에서 ON상태로 절환된 후에 OFF상태로 복귀한 때에 버너(4a,4b)의 점화처리를 행하고, 버너(4a,4b)가 연소상태로서 터치스위치가 OFF상태에서 ON상태로 절환될때에 버너(4a,4b)의 소화처리를 행한다.
렌지본체, 글라스천정판, 조작부, 화력 업 스위치, 점화준비표시부

Description

렌지{range}
도 1a, 1b는 본 발명의 렌지의 외관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난 조작부의 상세도이다.
도 3은 렌지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4는 버너 점화처리의 플로차트이다.
도 5는 버너 점화처리의 플로차트이다.
도 6은 버너 점화처리의 플로차트이다.
도 7은 버너 점화처리의 플로차트이다.
도 8은 버너 소화처리의 플로차트이다.
도 9는 버너 소화처리의 플로차트이다.
도 10은 종래 렌지의 외관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렌지본체 2 : 글라스천정판 4a : 좌버너
4b : 우버너 6 : 조작부 10 : 운전스위치
11a,11b : 점화준비스위치 12a,12b : 화력 dawm 스위치
13a,13b : 화력 업 스위치 14a,14b : 점화준비표시부
15a,15b : 화력레벨표시부 16 : 연료±표시부 17 : 로크표시부
본 발명은 가열수단을 구비한 렌지에 관한 것으로서 특별히 천정판의 상면에 가열수단의 작동을 지시하기 위한 조작부를 구비한 렌지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도 10에 나타난 바과 같이 시스템키친의 카운터톱에 형성된 개구 (開口)에 렌지본체(101)를 매설한 드롭인(drop in)식 렌지에는, 가스버너(100a, 100b)가 수용된 렌지본체(101)의 상면을 덮는 글라스천정판(102)에 가스버너(100a, 100b)의 점화/소화 및 화력조절을 행하기 위한 조작손잡이(103a, 103b)가 설치된 것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참조).
이러한 렌지에 의하면, 전면(前面)에 조작부를 구비한 렌지를 설치하는 경우와 같이 카운터톱의 전면에 조작부를 구비할 개구를 만들 필요없이 카운터톱에서의 렌지의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천정판(102)에 설치되어 시인성이 좋은 조작손잡이(103a, 103b)로 가스버너의 점화/소화나 화력조절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조작성이 향상된다.
도 10에 나타낸 렌지에 의하면 조작손잡이(103a, 103b)가 글라스천정판(102)의 상면에 돌출되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조리(調理)를 행할 때에 방해가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가스버너(100a, 100b)의 조작수단으로서 예를 들어, 정전(靜電)용량식센서의 검출부를 글라스천정판(102)의 이면에 설치하고 글라스천정판(102)의 표면에 조작부를 구비한 터치스위치를 설치하여 글라스천정판(102)의 상면 을 평평하게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상기 터치스위치를 설치한 경우 오덕(104a, 104b)에 재치된 냄비 등에서 조리물이 끓어 넘치거나 글라스천정판(102)에 낙하물 등이 떨어져 터치스위치를 덮침으로써 터치스위치가 ON이 되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우버너(100b)만을 사용해서 가열조리를 행할 때에 우버너(100b)의 오덕(104b)에 재치된 냄비가 끓어 넘쳐 좌버너(100a)의 점화스위치가 ON이 되어 점화되어 버린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여 사용자가 조작 이외의 요인으로 인해 터치스위치가 비검지상태에서 검지상태로 전환될 때에 버너가 점화처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렌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상기 가열수단의 작동개시와 정지를 지시하기 위해 가열수단을 수용하는 렌지본체의 상면을 덮는 천정판에 설치되고, 상기 천정판 상면에 접촉물 또는 접근물을 검지하는 터치스위치와, 상기 터치스위치가 검지상태인지 비검지상태인지 파악하여 그 결과에 따라서 상기 가열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가열제어수단을 구비한 렌지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가열제어수단은 상기 가열수단이 정지상태에 있을 때 상기 터치스위치가 비검지상태에서 검지상태로 전환되고 다시 비검지상태로 복귀한 때에는 상기 가열수단의 작동을 개시시키고, 상기 가열수단이 작동상태에 있을 때 상기 터치스위치가 비검지상태에서 검지상태로 전환되었을 때는 상기 가열수단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가열제어수단은, 상기 터치스위치가 비검지상태에서 검지상태로 전환되고 다시 비검지상태로 복귀한 때에 상기 가열수단의 작동을 개시시킨다. 그러므로 천정판상에 조리물이 끓어 넘치거나 낙하물(행주 등)이 떨어져 터치스위치를 덮어 터치스위치가 검지상태가 되더라도 터치스위치는 비검지상태로 복귀하지 않기 때문에 가열제어수단에 의한 가열수단의 작동이 개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가열수단이 작동상태에 있을 때에는, 상기 가열제어수단은 상기 터치스위치가 비검지상태에서 검지상태로 전환되었을 때 상기 가열수단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상기 가열수단의 작동개시 조작을 할 때에는 손가락으로 상기 터치스위치에 접촉한 후에 손가락을 뗄 필요가 있지만 가열수단의 정지 조작을 할 때에는 손가락으로 터치스위치에 접촉하는 것만으로 즉시 가열수단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하기 편리해서 좋다.
또한 상기 터치스위치를 복수개로 구비하는 상기 가열제어수단은 상기 가열수단이 정지상태에 있을 때 복수개의 터치스위치 중 이미 설정된 적어도 두 개의 터치스위치가 설정된 순서대로 비검지상태에서 검지상태로 전환되고 다시 비검지상태로 복귀한 때에 상기 가열수단의 작동을 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가열제어수단은 미리 설정된 복수개의 터치스 위치가 설정된 순서대로 비검지상태에서 검지상태로 전환되고 다시 비검지상태로 복귀한 때에 상기 가열수단의 작동을 개시시킨다. 그래서 조리물이 끓어 넘치거나 낙하물에 의해 상기 순서로 복수의 터치스위치가 검지상태에서 비검지상태로 전환되고 다시 검지상태로 복귀할 가능성은 극히 낮게 될 것으로 상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조리물이 끓어 넘치거나 낙하물에 의해 터치스위치의 잘못된 검지로 인한 가열수단의 작동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제어수단은 상기 가열수단이 작동상태에 있을 때에 상기 미리 설정된 적어도 두 개의 터치스위치 중 어느 것이 비검지상태에서 검지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가열수단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가열수단이 작동상태에 있을 때는 상기 가열수단의 작동개시 지시에 따라, 상기 미리 설정된 모든 터치스위치들이 검지상태에서 비검지상태로 전환된 것을 상기 가열제어수단이 파악하고 있다. 그러므로 상기 이미 선택된 모든 터치스위치는 비검지상태에서 검지상태로의 전환이 불가능한 고장상태가 아닌 것으로 된다.
그래서 상기 이미 선택된 터치스위치중 어느 것이 비검지상태에서 검지상태로 전환된 때에 상기 가열수단의 작동을 정지시킴으로써 터치스위치의 고장으로 인해 상기 가열수단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없는 상황이 될 가능성을 낮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정판에 상기 가열수단이 작동중인 것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해 설치된 점등수단과, 상기 가열수단이 정지상태에 있을 때에 상기 터치스위치가 비 검지상태에서 검지상태로 전환되었을 때는 상기 가열제어수단에 의해 상기 가열수단의 작동개시에 선행하여 상기 점등수단을 점등시키는 점등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상기 터치스위치를 접촉하여 상기 가열수단의 작동개시를 지시한 때에 실제로 상기 가열제어수단에 의해 상기 가열수단의 작동이 개시되는 것은 사용자가 상기 터치스위치에서 손가락을 뗀 때이다. 그러나 사용자가 상기터치스위치에 손가락을 접촉하거나 떼는 시간이 길어지면 터치스위치에 접촉했음에도 불구하고 상황은 변하지 않아서 사용자에게 위화감을 줄 우려가 있다.
그리고 상기 점등제어수단에 의해 상기 터치스위치가 비검지상태에서 검지상태로 전환된 때에는 상기 가열제어수단에 의한 상기 가열수단의 작동개시에 선행하여, 상기 점등수단을 점등시킨다. 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상기 가열수단의 작동개시의 지시가 받아들여진 것을 알려 사용자가 상술한 위화감을 느끼게 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 1a∼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1a, 1b는 본 발명의 렌지의 외관도, 도 2는 도 1a, 1b에 도시한 조작부의 상세도, 도 3은 렌지의 제어블록도, 도 4∼7은 버너점화처리의 플로차트, 도 8∼도 9는 버너점화처리의 플로차트이다.
도 1a, 1b는 렌지본체(1)의 상면에 내열성이 우수한 결정화글라스로 제작된 글라스천정판(2)을 장착한 드롭인식 렌지를 나타내고 있다. 글라스천정판(2)에는 좌우 한쌍의 렌지개구(開口)(3a, 3b)가 개설되어 있다. 그리고 렌지본체(1)내에 각 렌지개구(開口)(3a, 3b)를 향해 좌버너(4a) 및 우버너(4b)(본 발명의 가열수단에 해당한다.)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렌지개구(開口)(3a, 3b)에는 조리용기를 재치하는 오덕(5a, 5b)이 배치되어 있고, 글라스천정판(2)의 상면의 앞쪽에 좌버너(4a) 및 우버너(4b)의 작동을 지시하기 위한 조작부(6)가 설치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조작부(6)에는 렌지에 전원이 투입된 상태에서 좌버너(4a) 및 우버너(4b)의 작동지시가 가능한 「운전상태」와 상기 작동지시가 불가능한 「대기상태」로 전환시키는 스위치(10)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좌버너(4a)의 작동을 지시하기 위해 좌버너(4a)를 점화준비상태로 만드는 점화준비스위치(11a), 좌버너(4a)의 화력을 5단계로 전환시키는 화력다운스위치(12a)와 화력업스위치(13a), 좌버너(4a)가 점화준비상태일때 또는 작동중에 점등되는 점화준비표시부(14a) 및 좌버너(4a)의 화력설정을 표시하는 화력레벨표시부(15a)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좌버너(4a)가 점화준비상태에 있을 때에 화력업스위치(13a)가 조작된 때에는 좌버너(4a)의 점화처리가 실행된다. 또 좌버너(4a)의 연소중에 점화준비스위치(11a) 또는 운전스위치(10)가 조작된 때는 좌버너(4a)의 소화처리가 실행된다.
같은 형식으로 우버너(4b)의 작동을 지시하기 위해 우버너(4b)를 점화준비상태로 만드는 점화준비스위치(11b), 우버너(4b)의 화력을 5단계로 전환시키는 화력다운스위치(12b)와 화력업스위치(13b), 우버너(4b)가 점화준비상태에 있을 때와 우버너(4b)가 작동중에 점등되는 점화준비표시부(14b) 및 우버너(4b)의 화력설정을 표시하는 화력레벨표시부(15b)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우버너(4b)가 점화준비상태에 있을 때에 화력업스위치(13b)가 조작된 때에는 우버너(4b)의 점화처리가 실행된다. 또 우버너(4b)의 연소중에 점화준비스위치(11b) 또는 운전스위치(10)가 조작된 때는 우버너(4b)의 소화처리가 실행된다.
또한 조작부(6)에는 「운전상태」에 있을 때 점등되는 언로크표시부(16)와, 운전스위치(10)가 소정시간(예를 들어, 4초)이상 연속 조작되어 모든 스위치의 조작이 불가능한 차일드록상태가 된 때에 점등되는 로크표시부(17)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조작부(6)의 스위치는 글라스천정판(2)의 이면에 설치된 정전(靜電)용량센서와, 이 정전용량센서와 마주보는 천장판(2)의 표면 부분에 프린트된 각 스위치의 터치포인트를 나타낸 프린트 부분으로 구성된 무접점형(無接點型) 터치스위치이다. 그리고 상기 프린트 부분(상기 정전용량센서와 마주보는 천정판(2)의 표면 부분)에 정전체(靜電體)가 놓여있을 때는 정전용량센서에 의해 상기 정전체가 검출되어 터치스위치는 on상태(본 발명의 검지상태에 해당된다.)가 된다. 한편, 상기 프린트부분에 정전체가 놓여져있지 않은 때에는 정전용량센서에 의해 상기 정전체가 검출되지 않아 터치스위치는 off상태(본 발명의 비검지상태에 해당된다.)가 된다.
또한, 조작부(6)의 각 표시부는 글라스천정판(2)의 이면에 설치된 LED와, 이 LED와 마주보는 글라스천정판(2)의 이면부분에 프린트된 프린트부분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LED를 ON시킨 때에 표시부가 점등상태가 되고 OFF시킨 때에는 소등상태가 된다.
또한, 화력레벨표시부(15a)는 좌버너(4a)의 화력레벨(레벨 1∼레벨 5)을 나 타낸 5개의 점등부분으로 이루어지는 바(bar)표시의 좌측에서부터 점등부분의 점등개수로 표시한다. 예를 들어 좌버너(4a)의 화력레벨이 1일때는 바표시의 좌단의 점등부분만 점등되고 좌버너(4a)의 화력레벨이 5일때는 바표시의 5개의 점등부분이 모두 점등된다. 같은 형식으로 화력레벨표시부(15b)는 우버너(4b)의 화력레벨(레벨 1∼레벨 5)을 도시한 5개의 점등부분으로 이루어진 바표시의 좌측에서부터 점등되는 점등개수로 표시한다.
다음에, 도 3을 참조하면, 렌지본체(1)내에는 렌지의 전체적인 작동을 제어하는 콘트롤러(30)가 구비되어 조작부(6)의 각 스위치(운전스위치(10), 점화준비스위치(11a, 11b), 화력다운스위치(12a, 12b), 화력업스위치(13a, 13b))의 조작상태(ON/OFF)의 검지신호가 콘트롤러(30)에 입력된다.
또한, 상기 콘트롤러(3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렌지본체(1)로의 연료가스의 공급과 차단을 전환시키는 가스원밸브(元弁)(40), 좌버너(4a)로의 연료가스의 공급과 차단을 전환시키는 좌버너용개폐밸브(41a), 좌버너(4a)로의 연료가스 공급유량을 변경시키는 좌버너용화력조절밸브(42a), 좌버너(4b)의 점화전극(도시하지 않음)에 고전압을 인가하여 불꽃방전을 발생시키는 좌버너용이그니터(43a), 우버너(4b)로 연료가스의 공급과 차단을 전환시키는 우버너용개폐밸브(41b), 우버너(4b)로의 연료가스의 공급유량을 변경시키는 우버너용화력조절밸브(42b), 우버너(4b)의 점화전극(도시하지 않음)에 고전압을 인가하여 불꽃방전을 발생시키는 우버너용이그니터(43b)의 작동이 제어된다.
그리고 콘트롤러(3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조작부(6)에 구비된 각 표시 부(점화준비표시부(14a, 14b), 화력레벨표시부(15a, 15b), 언로크표시부(16), 로크표시부(17))의 점등/소등과 부저(18)의 on/off가 제어된다.
또한, 콘트롤러(30)에는 좌버너(4a)와 우버너(4b)의 작동을 제어하는 가열제어수단(31)과, 조작부(6)에 구비된 각 표시부의 점등/소등의 제어와 부저(18)로 알려주는 점등제어수단(32)이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조작부(6)에 설치된 터치스위치는 글라스천정판(2)의 상면에 소재하는 정전체의 유무를 검지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터치스위치를 접촉하는 경우 이외에는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버너(4b)만을 사용하여 냄비(20)안의 조리물을 가열시키고 있을 때 조리물의 가장자리넘침이(21) 발생되고 이 가장자리넘침(21)이 조작부(6)에 도달하여 우버너(4b)용터치스위치가 on상태로 되는 일이 발생할 수 있다. 혹은, 상기 글라스천정판(2)상의 낙하물(행주, 음식재료 등)이나 글라스천정판(2)위에 놓여진 조리용기로 인해 조작부(6)가 덮여 터치스위치가 on상태로 되는 일도 발생할 수 있다.
그래서 콘트롤러(30)에 구비된 가열제어수단(31)은 이와 같이 사용자의 조작 이외의 요인으로 인해 터치스위치가 off상태에서 on상태로 전환되었을 때에 잘못해서 좌버너(4a)나 우버너(4b)의 점화처리가 실행되지 않도록 하기위해 처리한다. 이하, 도 4∼도 9의 플로차트는 이러한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그리고 도 4∼도 9의 플로차트는 좌버너(4a)에 대한 처리지만 우버너(4b)에 대한 처리도 동일하다.
우선, 도 4의 STEP 1∼STEP 6은 운전스위치(10)가 off상태에서 on상태로 전환되고 다시 off상태로 복귀한 것을 인식하기 위한 처리이다. 렌지에 전원이 투입 되어 콘트롤러(30)가 작동을 개시하면 「대기상태」가 되고, 가열제어수단(31)은 도 4의 STEP 1에서 운전스위치(10)가 on상태로 되기를 기다린다.
그리고 운전스위치(10)가 on상태로 되었을 때에 STEP 2로 진행하여 2초 타이밍 또는 4초 타이밍을 스타트시키고, 계속해서 STEP 3과 STEP 30으로 이루어진 루프(loop)에서, STEP 30에서 운전스위치(10)가 on상태로 유지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면서 STEP 3에서 2초 타이밍의 타임업(time up:종료)을 기다린다.
STEP 3에서 2초 타임이 타임업(time up:종료)되었을 때 즉, 운전스위치(10)의 on상태가 2초이상 계속되었을 때에는 STEP 4로 진행한다. STEP 4, STEP 5는 점등제어수단(32)에 의한 처리이고, 점등제어수단(32)은 언로크표시부(16)를 점등시킴과 동시에 부저(18)를 울리게 하여 운전스위치(10)의 조작이 받아들여졌음을 사용자에게 알린다.
한편, STEP 30에서 운전스위치(10)가 on상태가 아니었을 때는 노이즈 등에 의해 운전스위치(10)가 순간적으로 on상태가 된 것을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 가열제어수단(31)은 STEP 1로 되돌아가고 다시 운전스위치(10)가 off상태에서 on상태로 전환되기를 기다린다.
STEP 6과 STEP 35에서 이루어지는 루프에서 상기 가열제어수단(31)은 STEP 35에서 4초 타이머의 타임업(time up:종료)을 확인하면서 STEP 6에서 운전스위치(10)가 off상태가 되기를 기다린다.
STEP 6에서 운전스위치(10)가 off상태로 되었을 때 즉, STEP 1에서 운전스위치(10)가 on상태로 되고서 4초가 경과하기 전에 운전스위치(10)가 off상태로 복귀 한 때에는 STEP 7로 진행하여 가열수단(31)은 15분 타이머를 스타트 시킨다. 한편 STEP 35로 4초타이머가 타이밍업 한 때 즉, 운전스위치(10)의 on상태가 4초이상 계속 되었을 때에는 도 7의 STEP 80으로 진행한다. 도 7은 차일드록의 처리이고 점등제어수단(32)은 STEP 80에서 언로크표시부(16)를 소등시키고, STEP 81에서 로크표시부(17)을 점등시키고, STEP 82에서 부저(18)를 울리게 한다.
그리고 가열제어수단(31)은, 다음의 STEP 83에서 운전스위치(10)가 on상태로 되기를 기다린다. 이에 따라 운전스위치(10)의 조작에 의해 차일드록상태가 해제되기까지 모든 스위치에 대한 조작이 불가능한 차일드록 상태가 된다. 차일드록 상태에서 사용자가 운전스위치(10)에 접촉하여 운전스위치(10)가 on상태가 되면 STEP 83에서 STEP 83로 진행하고, 가열제어수단(31)은 4초 타이머를 스타트시킨다.
계속해서 가열제어수단(31)은 STEP 85와 STEP 90이 되는 루프에서, STEP 90에서 스위치(10)가 on상태인지 아닌지를 확인하면서 STEP 85에서 4초 타이머의 타임업(time up:종료)을 기다린다. STEP 85에서 4초 타이머가 타임업(time up:종료)되었을 때 즉, 차일드록 상태에서 사용자가 운전스위치(10)에 계속 접촉하여 운전스위치(10)가 4초 이상 계속해서 on상태가 되었을 때 STEP 86으로 진행한다. 그리고 다음의 STEP 86에서 점등제어수단(32)이 로크표시부(17)을 소등시키고, STEP 87에서 부저(18)를 울리게 하여 도 4의 STEP 1로 진행한다. 이것에 의해 차일드록 상태가 해제된다.
도 4의 STEP 6에서 운전스위치(10)가 off상태가 되었을 때 즉, STEP 1에서 운전스위치(10)가 on상태로 된 후 4초가 경과하기 전에 운전스위치(10)가 off상태 로 되었을 STEP 7로 진행되어 때는 콘트롤러(30)는 15분 타이머를 스타트시킨다.
다음에 STEP 8∼도 5의 STEP 14는 점화준비스위치(11a)가 off상태에서 on상태로 전환되고 다시 off상태로 복귀한 것을 인식하기위한 처리이다. 가열제어수단(31)은 STEP 8과 STEP 40로 이루어지는 루프에 따라 STEP 40에서 15분 타이머의 타임업(time up:종료) 유무를 인식하면서 STEP 8에서 점화준비스위치(11a)가 off상태에서 on상태로 전환되기를 기다린다. 그래서 STEP 8에서 점화준비스위치(11a)가 on상태로 되었을 때 도 5의 STEP 9로 진행한다.
한편 STEP 40에서 15분 타이머가 타임업(time up:종료)되었을 때 즉, STEP 6에서 운전스위치(10)가 off상태로 되었을 때부터 15분이 경과할 때까지 점화준비스위치(11a)가 on상태로 되지 않았을 때는 STEP 41로 진행하여 콘트롤러(30)는 언로크표시부(16)을 소등시키고, STEP 42에서 부저(18)를 울리게 하여 STEP 1로 되돌아가 「대기상태」로 된다. 이 과정에 따라 사용자가 운전스위치(10)를 조작한 후 15분이 경과할 때까지 좌버너(4a)의 점화조작을 하지 않았을 때에 렌지를 「대기상태」로 복귀시킨다.
도 5의 STEP 9에서 가열제어수단(31)은 1초 타이머를 스타트시키고 계속해서 STEP 10과 STEP 50에서 이루어지는 루프로서 STEP 50에서 점화준비스위치(11a)가 on상태인지 아닌지를 확인하면서 STEP 10에서 1초 타이머의 타임업(time up:종료)을 기다린다. 그리고 STEP 10에서 1초 타이머가 타임업(time up:종료) 되었을 때 즉, 점화준비스위치(11a)가 1초이상 계속해서 on상태로 되었을 때 STEP 11로 진행한다.
한편 STEP 50에서 1초 타이머가 타임업(time up:종료) 되었을 때 즉, 점화준비스위치(11a)가 1초미만 on상태였을 때는 노이즈 등으로 인해 점화준비스위치(11a)가 순간적으로 on상태로 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이 경우에는 도 4의 STEP 7로 되돌아가고, 가열제어수단(31)은 다시 점화준비스위치(11a)가 off상태에서 on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기다린다.
STEP 11∼STEP 12는 점등제어수단(32)에 의한 처리이고, 점등제어수단(32)은 STEP 11에서 점화준비표시부(14a)를 점등하며, STEP 12에서 부저(18)를 울리게 한다. 그리고 가열제어수단(31)은 STEP 13에서 2초 타이머를 스타트시켜 다음의 STEP 14와 STEP 55로 이루어지는 루프로서 STEP 55에서 2초 타이머의 타임업(time up:종료) 유무를 확인하면서 STEP 14에서 점화준비스위치(11a)가 off상태로 되기를 기다린다.
STEP 14에서 점화준비스위치(11a)가 off상태로 되었을 때 즉, 점화준비스위치(11a)가 1초간 on상태로 된 후 2초 이내에 점화준비스위치(11a)가 on상태에서 off상태로 복귀한 때에 STEP 15로 진행하고, 가열제어수단(31)은 10초 타이머를 스타트시킨다.
한편 STEP 55에서 2초 타이머가 타임업(time up:종료) 되었을 때 즉, 점화준비스위치(11a)가 1초간 on상태로 된 후 다시 2초간 계속해서 on상태로 되었을 때는 STEP 56으로 진행한다. 그리고 콘트롤러(30)는 STEP 56에서 점화준비표시부(14a)를 소등시키고, STEP 57에서 부저(18)를 울리게 하여 도 4의 STEP 7로 되돌아간다. 이것에 의해 끓어 넘치는 것 등으로 인해 점화준비스위치(11a)의 on상태가 유지되었 을 때에는 STEP 15이하의 처리가 금지되어 좌버너(4a)의 점화처리는 실행되지 않는다.
이어서 STEP 15 ∼도 6의 STEP 19는 화력업스위치(13a)가 off상태에서 on상태로 전환되고 다시 off상태로 복귀한 것을 인식하기 위한 처리이다. 가열제어수단(31)은 STEP 15에서 10초 타이머를 스타트시켜 도 6의 STEP 16으로 진행하고, STEP 16과 STEP 60으로 이루어진 루프로서 STEP 60에서 10초타이머의 타임업의 유무를 확인하면서 STEP 16에서 화력업스위치(13a)가 off상태에서 on상태로 전환되기를 기다린다.
STEP 16에서 화력업스위치(13a)가 on상태로 되었을때 즉, 점화준비 스위치(11a)가 off상태로 된후 10초 이내에 화력업스위치(13a)가 on상태로 전환되었을 때는 STEP 17로 진행한다. STEP 17과 STEP 18은 점등제어수단(32)에 의해 처리되고 점등제어수단(32)은 STEP 17에서 화력레벨표시부(15a)를 레벨4로 점등되고 STEP 18에서 부저(18)를 울리게 하여 STEP 19로 진행한다.
여기서, STEP 16에서 화력업스위치(13a)가 on상태로 되었을 때에는 후술하는 STEP 20에서 실행되는 좌버너(4a)의 점화처리에 선행하여 STEP 17에서 화력레벨표시부(15a)를 점등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점화지시가 받아들여졌다는 것을 알리고 있다.
한편, STEP 60에서 10초 타이머가 타이업 되었을때 즉, 점화준비스위치(11a)가 off상태로 된 후 10초가 경과해도 화력업스위치(13a)가 on상태로 전환되지 않았을때에는 STEP 61로 진행한다. STEP 61과 STEP 62는 점등제어수단(32)에 의한 처리 이고, 점등제어수단(32)은 STEP 61에서 점등준비표시부(14a)를 소등하고, STEP 62에서 부저(18)를 울리게 하여 도 4의 STEP 7로 되돌아간다. 이것에 의해 가열제어수단(31)은 다시 점화준비스위치(11a)가 off상태에서 on상태로 전환되기를 기다린다.
가열제어수단(31)은 STEP 19와 STEP 65로 이루어진 루프에서는 STEP 65에서 10초 타이머의 타이밍업의 유무를 확인하면서 STEP 19에 화력업스위치(13a)가 off태로 복귀하기를 기다린다. 그리고 STEP 19에서 화력업스위치(13a)가 off상태로 복귀했을 때에 STEP 20으로 진행하고, 가열제어수단(31)은 이그니터(43a)를 작동시켜 점화전극으로 불꽃방전을 발생시킨 상태에서 가스원밸브(40)와 좌버너용 개폐밸브(41a)를 열고, 좌버너용화력조절밸브(42a)를 화력레벨 4로 설정하여 좌버너(4a)의 점화처리를 실행한다.
한편, STEP 65로 10타이머가 타임업 되었을 때 즉, 점화준비스위치(11a)가 on상태로 된 후 10초 이내에 화력 업스위치(13a)가 off상태에서 on상태로 전환되고 다시 off상태로 복귀하지 않았을 때는 STEP 66으로 진행한다. STEP 66에서 STEP68은 점등제어수단(32)에 의한 처리이고, 점등제어수단(32)은 STEP 66에서 점화준비표시부(14a)를 소등하고, STEP 67에서 화력레벨표시부(15a)를 소등시키고 STEP 68에서 부저(18)를 울리게 하여 도4의 STEP 7로 되돌아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가열제어수단(31)은 운전스위치(10)가 off→on상태→off상태로 전환된 후, 점화준비스위치(11a)가 off상태→on상태→off상태로 전환되었을 때에는 좌버너(4a)의 점화처리를 실행한다.
그 때문에 끓어 넘치는 것 등에 의해 운전스위치(10), 점화준비스위치(11a)및 화력업스위치(13a)가 off상태에서 on상태로 전환되어도 좌버너(4a)에 점화되는 일은 없다. 또한, 이들 3개의 스위치가 운전스위치(10)→점화준비스위치(11a)→화력업스위치(13a)라는 미리 설정된 순서대로 각 스위치가 off상태→on상태→off상태로 전환 된 경우에만 좌버너(4a)의 점화처리가 실행된다.
그리고 끓어넘치는 것 등에 의해 이 순서에서 각 스위치가 off상태→on상태→off상태로 전환되는 상황이 되는 것은 상정하기 어렵기 때문에 사용자의 조작이외의 요인에 의한 좌버너(4a)의 점화처리가 실행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도 8, 도 9는 버너의 소화조작 플로차트이고, 도 8은 버너연소중에 운전스위치(10)가 on상태가 되었을 때의 플로차트를 나타내고, 도 9는 버너연소중 점화준비스위치(11a)가 on상태로 된 경우의 플로차트를 나타내고 있다.
먼저 도 8을 참조하면, 좌버너(4a)의 연소중에 운전스위치(10)가 on상태로 되었을때 STEP 100에서 STEP 101로 진행하고, 콘트롤러(3)는 1초 타이머를 스타트시킨다. 그리고 STEP 102와 STEP 100으로 이루어진 루프에서는 STEP 110에서 운전스위치(10)가 on상태인지 아닌지를 확인하면서 STEP 102에서 1초 타이머의 타임업을 기다린다.
STEP 102에서 1초 타이머가 타임업 되었을 때 즉, 운전스위치(10)가 1초이상 계속하해서 on상태로 되었을 때는 STEP 103으로 진행한다. STEP 103에서 STEP 105 및 STEP 107은 점화제어수단(32)에 의한 처리이고, 점화제어수단(32)은 STEP 103∼ STEP 105에서 점화준비 표시부(14a)와 화력레벨표시부(15a)와 언로크표시부(16)를 소등시킨다.
그리고, 다음의 STEP 106에서 가열제어수단(31)은 좌버너용개폐밸브(41a)와 가스원밸브(40)를 닫아서 좌버너(4a)를 소화하고, STEP 107에서 점화제어수단(32)이 부저(18)을 울리게 하여 버너(4a)의 소화를 알리고, 도 4의 STEP 1로 되돌아간다.
이어서 도 9를 참조하면, 좌버너(4a)의 연소중에 점화준비스위치(11a)가 on상태로 되었을 때에 STEP 120에서 STEP 121로 진행하고, 콘트롤러(30)는 1초타이머를 스타트시킨다. 그리고 STEP 122와 STEP 130으로 이루어진 루프에서는, STEP 130에서 점화준비 스위치(11a)가 on상태인지 아닌지를 확인하면서 STEP 122에서 1초 타이머의 타임업을 기다린다.
STEP 122에서 1초 타이머가 타임업 되었을 때 즉, 점화준비 스위치(11a)가 1초이상 계속해서 on상태가 되었을 때는 STEP 123으로 진행한다. STEP 123과 STEP 124 및 STEP 126은 점등제어수단(32)에 의한 처리이고, 점등제어수단(32)은 STEP 123, STEP 124에서 점화준비표시부(14a)와 화력레벨표시부(15a)를 소등한다.
그리고 다음의 STEP 125에서 가열제어수단(31)은 좌버너용개폐밸브(41a)를 닫아 좌버너(4a)를 소화시키고, STEP 126에서 점등제어수단(32)이 부저(18)를 울리게 하여 버너(4a)의 소화를 알리고, 도 4의 STEP 7로 되돌아간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좌버너(4a)의 점화처리는 운전스위치(10)와 점화준비 스위치(11a)와 화력업스위치(13a)가 off상태→on상태→off상태로 전환 되었을 때에 실행된다. 그 때문에 사용자가 좌버너(4a)의 점화조작을 했을 때에 운전스위치(10)와 점화준비스위치(11a)와 화력업스위치(13a)중 어느 하나가 OFF고장(스위치가 off상태에서 on상태로 전환되지 않는 상태가 되는 고장)상태가 아니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8,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점화조작시에 OFF고장이 생기지 않았던 운전스위치(10)와 점화준비스위치(11a)가 off상태에서 on상태로 전환되었을 때에 왼쪽버너(4a)의 소화처리를 실행하여 스위치의 OFF고장에 의해 버너(4a)의 소화가 불능하게 되는 것을 억제할 수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가열수단으로서 가스버너(4a, 4b)를 구비한 렌지를 나타내지만 전기히터 등 다른 종류의 가열수단을 구비한 렌지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천정판으로서 내열글라스를 이용한 글라스천정판(2)을 구비한 렌지를 나타냈지만 스테인리스 등 다른 소재의 천정판을 구비한 렌지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터치스위치로서 정전용량형의 터치스위치를 채택한 렌지를 나타냈지만 터치스위치의 종류는 이것에 한하지 않고 적외선의 발행부/수광부를 구비한 포토스위치나 택트스위치 등의 기계접점식 터치스위치를 채택한 렌지에 있어서도 본 발명의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조작 이외의 요인으로 인해 터치스위치가 비검지상태에서 검지상태로 전환될 때에 버너가 점화처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렌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Claims (4)

  1. 가열수단을 수용하는 렌지본체의 상면을 덮는 천정판에 사용자가 이 가열수단의 작동 개시와 정지를 지시하기 위해 설치되고 이 천장판의 상면에 접촉물 또는 접근물을 검지하는 터치스위치와,
    상기 터치스위치가 검지상태에 있는지 비검지상태에 있는지를 파악하여 그 결과에 따라 상기 가열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가열제어수단을 구비한 렌지에 있어서,
    상기 가열제어수단은 상기 가열수단이 정지상태이고, 상기 터치스위치가 비검지상태에서 검지상태로 전환 된 후에 비검지상태로 복귀했을 때 상기 가열수단의 작동을 개시하고,
    상기 가열수단이 작동상태이고, 상기 터치스위치가 비검지상태에서 검지상태로 전환되었을 때에 상기 가열수단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위치를 복수개 구비하고,
    상기 가열제어수단은 상기 가열수단이 정지상태이고, 복수개의 터치스위치중 미리 선택된 적어도 두 개의 터치스위치가 미리 설정된 순서대로 비검지상태에서 검지상태로 전환 된 후에 비검지상태로 복귀했을 때 상기 가열수단의 작동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제어수단은 상기 가열수단이 작동상태이고 상기 미리 선택된 터치스위치중 어느 하나가 비검지상태에서 검지상태로 전환되었을 때에 상기 가열수단의 작동이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지.
  4.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천장판에 설치된 점등수단과,
    상기 가열수단의 작동중에 상기 점등수단을 점등시키는 동시에, 상기 가열수단이 정지상태에 있을 때 상기 터치스위치가 비검지상태에서 검지상태로 전환되었을 때에는 상기 가열제어수단에 의해 상기 가열수단의 작동개시에 선행하여 상기 점등수단을 점등시키는 점등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지.
KR1020050026882A 2004-03-31 2005-03-31 렌지 KR1005985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102483 2004-03-31
JP2004102483A JP2005291512A (ja) 2004-03-31 2004-03-31 コン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5154A KR20060045154A (ko) 2006-05-16
KR100598547B1 true KR100598547B1 (ko) 2006-07-10

Family

ID=35324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6882A KR100598547B1 (ko) 2004-03-31 2005-03-31 렌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5291512A (ko)
KR (1) KR100598547B1 (ko)
TW (1) TWI27574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91512A (ja) 2004-03-31 2005-10-20 Rinnai Corp コンロ
JP4792931B2 (ja) * 2005-11-16 2011-10-1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加熱調理器
JP5751972B2 (ja) * 2011-07-27 2015-07-22 三菱電機株式会社 熱機器および該熱機器の操作受付判定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41463A (en) 1989-06-05 1993-08-31 White Consolidated Industries, Inc. Control system for gas burners
JP2521367B2 (ja) 1990-08-10 1996-08-07 富士工業株式会社 電気調理器のスイッチ装置
US6198080B1 (en) 1999-08-05 2001-03-06 General Electric Company Glass touch cooktop dual element and bridge burner control
WO2001029483A1 (en) 1999-10-18 2001-04-26 Pierre Repper Electronic gas cooktop control with simmer system and method thereof
EP1582817A1 (en) 2004-03-31 2005-10-05 Rinnai Corporation Cooking stove
JP2005291512A (ja) 2004-03-31 2005-10-20 Rinnai Corp コンロ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41463A (en) 1989-06-05 1993-08-31 White Consolidated Industries, Inc. Control system for gas burners
JP2521367B2 (ja) 1990-08-10 1996-08-07 富士工業株式会社 電気調理器のスイッチ装置
US6198080B1 (en) 1999-08-05 2001-03-06 General Electric Company Glass touch cooktop dual element and bridge burner control
WO2001029483A1 (en) 1999-10-18 2001-04-26 Pierre Repper Electronic gas cooktop control with simmer system and method thereof
EP1582817A1 (en) 2004-03-31 2005-10-05 Rinnai Corporation Cooking stove
JP2005291512A (ja) 2004-03-31 2005-10-20 Rinnai Corp コン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5154A (ko) 2006-05-16
TW200535381A (en) 2005-11-01
JP2005291512A (ja) 2005-10-20
TWI275749B (en) 2007-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6244B1 (ko) 렌지
KR100598544B1 (ko) 렌지
US7335861B2 (en) Cooking stove
US7422010B2 (en) Cooking stove
KR100598547B1 (ko) 렌지
KR100666243B1 (ko) 렌지
KR100598545B1 (ko) 렌지
KR100598546B1 (ko) 렌지
US10935248B2 (en) Method of operating an ignition element of a gas burner
KR940005905B1 (ko) 가스테이블의 그릴제어방법
JP3739322B2 (ja) ガス器具
KR940005904B1 (ko) 가스테이블의 그릴제어방법
KR0178349B1 (ko) 가스오븐렌지의 제어방법
JPH07167428A (ja) 燃焼制御装置
KR20040011708A (ko) 자동화 버너의 오사용 방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050090052A (ko) 가스렌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